KR102488386B1 - 공동주택 전기의 절전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공동주택 전기의 절전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8386B1
KR102488386B1 KR1020220036624A KR20220036624A KR102488386B1 KR 102488386 B1 KR102488386 B1 KR 102488386B1 KR 1020220036624 A KR1020220036624 A KR 1020220036624A KR 20220036624 A KR20220036624 A KR 20220036624A KR 102488386 B1 KR102488386 B1 KR 1024883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mode
water
cold water
boi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6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봉상
Original Assignee
부흥감리이엔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흥감리이엔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부흥감리이엔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366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83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83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83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1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D19/100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 F24D19/1051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domestic hot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1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having provisions against scalding, e.g. temperature limiting devices, external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7/00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0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5/00Control of fluid heaters
    • F24H15/10Control of fluid heat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control
    • F24H15/156Reducing the quantity of energy consumed; Increasing efficiency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4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 전기의 절전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모드감지부와, 보일러의 유량스위치와 직렬로 연결되는 온오프스위치와, 모드감지부의 감지신호에 따라 온오프스위치를 제어하는 시스템 제어부를 구비하여, 수도전이 온수 쪽으로 전환된 상태에서 열었을 때 곧바로 보일러가 가동되지 않고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대기하였다가 설정 시간이 경과하면 계속해서 보일러가 가동되게 하고, 설정 시간 내에 수도전이 냉수 쪽으로 전환되면 보일러가 가동되지 않게 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의 낭비를 방지하여 절전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연료낭비를 방지할 수 있고, 냉수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수도전의 손잡이가 온수모드 또는 혼합수모드로 돌아간 상태에서 손잡이를 위로 올렸을 경우, 냉수모드로 전환할 수 있도록 스피커를 통해 안내문을 출력함으로써 전력낭비와 연료낭비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공동주택 전기의 절전 제어 시스템{Power saving control system for multi-family housing}
본 발명은 공동주택 전기 분야 기술 중에서, 공동주택 전기의 절전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수도전이 온수 쪽으로 전환된 상태에서 열었을(open) 때 곧바로 보일러가 가동되지 않고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대기하였다가 설정 시간이 경과하면 계속해서 보일러가 가동되게 하고, 설정 시간 내에 수도전이 냉수 쪽으로 전환되면 보일러가 가동되지 않게 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의 낭비를 방지하여 절전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연료낭비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냉수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수도전의 손잡이가 온수모드 또는 혼합수모드로 돌아간 상태에서 손잡이를 위로 올렸을 경우, 냉수모드로 전환할 수 있도록 스피커를 통해 안내문을 출력함으로써 전력낭비와 연료낭비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공동주택 전기의 절전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공동주택에서 전기를 절전할 수 있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겠으나, 전자제품 등 전기로 가동되는 제품의 사용시간을 줄이는 방법이 가장 간편하고 확실한 방법이다.
한편, 항상 가동되어야 하는 냉장고(김치냉장고 포함)는 실질적으로 온도를 높이거나 에너지등급이 높은 제품을 구비하여 사용하는 수밖에 없다.
또한 에어컨과 보일러와 같이 고부하 제품의 경우에는 사용시간을 줄이고 적정온도로 가동시키는 것에 의해 절전할 수 있다.
보일러의 경우 난방모드와 온수모드로 가동될 수 있는데 난방모드는 적정온도로 설정함으로써 절전이 가능하며, 온수모드는 온수사용을 줄이는 수밖에 없다.
한편, 공동주택의 주방의 싱크대와 욕실의 샤워기 및 세면대에는 냉수와 온수를 사용할 수 있는 냉, 온수 혼합 수도전이 사용된다.
냉, 온수 혼합 수도전은 냉수관과 온수관이 구비되며, 냉수관은 상수도라인에 연결되고, 온수관은 보일러의 온수라인에 연결된다.
손잡이가 냉수 쪽으로 돌아간 상태에서는 수도전을 열면(open), 냉수가 나오는데 냉수관은 상수도라인에 직결되어 있기 때문에 이 경우 보일러는 가동되지 않는다.
손잡이가 온수 쪽(통상 왼쪽)으로 돌아간 상태에서 수도전을 열게(open) 되면, 보일러의 온수라인의 물이 수도전의 온수관 쪽으로 흐르게 되고, 이 흐름을 유량스위치가 감지하게 되며, 유량스위치의 감지 신호에 따라 보일러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버너가 점화되고 펌프가 가동되어 보일러의 온수라인의 온수가 온수관을 통해 수도전에서 나오게 된다.
손잡이가 완전히 온수 쪽으로 돌아가지 않더라도 조금이라도 온수 쪽으로 돌아간 상태에서는 수도전이 열리면 상수도라인의 냉수와 보일러의 온수라인의 온수가 섞여서 나오게 된다.
온수를 사용하다가 수도전을 냉수 쪽(통상 오른쪽)으로 전환시키면 유량스위치가 온수라인의 물의 흐름이 감지되지 않게 되므로 유량스위치가 「오프」로 되어 보일러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보일러의 가동이 중지되고, 수도전에는 냉수만 나오게 된다.
그런데 수도전을 사용한 후 수도전이 온수 쪽으로 전환된 상태로 잠근 경우, 다음에 수도전을 사용할 때 무심코 수도전을 열게 되는데 이 경우 보일러의 온수라인의 물이 온수관으로 흐르게 되고, 이를 유량스위치가 감지하여 「온」으로 되며, 사용자의 의지와 무관하게 보일러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보일러가 가동되어 전기가 소모된다.
더구나 보일러는 가스나 석유 등의 연료를 사용하기 때문에 전기 소모와 동시에 연료가 소모된다.
따라서 수도전이 온수 쪽으로 전환된 상태에서 무심코 수도전을 열었다가 냉수 쪽으로 전환하는 경우 보일러가 불필요하게 가동됨에 따른 전력과 연료를 낭비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여기서 보일러의 가동 시간이 짧다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이러한 과정이 수십, 수백 번, 수천 번 반복된다고 한다면 그 시간과 소모된 전력과 연료의 불필요한 소모량은 결코 무시할 수 없을 것이다.
종래 공동주택의 전기 절전을 위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81791호(2007.11.27.)는 장시간 사용되지 않는 전기기구가 콘센트에 연결되어진 경우, 이를 감지하여 해당 전기기구로의 전력공급이 자동으로 차단하는 것에 의해 절전하는 "전기공급용 콘센트"를 개시하고 있다.
또한 종래 공동주택의 전기 절전을 위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14004호(2021.02.03.)는 공동주택의 벽체에 고정 설치되어 가전기기의 미사용시, 플러그수용홈에 연결된 가전기기로의 대기전력을 차단하여 불필요한 전력의 낭비를 방지하는 한편, 콘센트에 의한 감전사고가 미연에 방지되도록 하는 "공동주택의 전기의 벽체 고정형 절전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81791호와 제10-2214004호는 콘센트에 연결되어 있지만 장시간 사용되지 않는 전기기구에 대하여 전원을 차단하는 것으로서 대기전력을 차단하는 효과는 있다고 하겠으나 보일러와 같이 사철 사용해야 하는 전기전자제품에 대해서는 적용될 수 없는 것이다.
또한 종래 공동주택의 전기 절전을 위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99070호(2010.12.01.)는 공동주택 단지의 각 세대에서 전력사용 현황을 나타내고 그에 따른 모니터링을 할 수 있는 전력사용 현황 모니터링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한 시스템은, 세대의 통합 조작 스위치부와 연결되어 통합 조작 스위칭에 따른 제1 순시 전력을 검출하는 전력 검출부와; 상기 전력 검출부로부터 출력된 제1 순시 전력과, 원격검침에 의한 제2 순시 전력을 받아 화면상에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전력량 표시기를 구비함에 의해, 세대의 전등이나 전열의 사용에 대한 순시 전력이 실시간으로 표시되어 절전의 유도가 시각적으로 이루어지게 한 "전력사용 현황 모니터링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99070호는 순시 전력을 실시간으로 표시하여 절전을 유도하는 것일 뿐 보일러와 같이 사철 사용해야 하는 전기전자제품에 대해서는 적용할 수 없는 것이다.
또한 상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99070호는 자동적으로 절전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고, 사용자가 모니터링하여 스스로 절전하여야 하는 것으로서 실질적인 절전효과는 미흡하다고 할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81791호(2007.11.27.) "전기공급용 콘센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14004호(2021.02.03.) "공동주택의 전기의 벽체 고정형 절전장치"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99070호(2010.12.01.) "전력사용 현황 모니터링 시스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수도전이 온수 쪽으로 전환된 상태에서 열었을 때 곧바로 보일러가 가동되지 않고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대기하였다가 설정 시간이 경과하면 계속해서 보일러가 가동되게 하고, 설정 시간 내에 수도전이 냉수 쪽으로 전환되면 보일러가 가동되지 않게 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의 낭비를 방지하여 절전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연료낭비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공동주택 전기의 절전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냉수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수도전의 손잡이가 온수모드 또는 혼합수모드로 돌아간 상태에서 손잡이를 위로 올렸을 경우, 냉수모드로 전환할 수 있도록 스피커를 통해 안내문을 출력함으로써 전력낭비와 연료낭비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공동주택 전기의 절전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수도전에 설치되며 냉수모드, 온수모드, 냉온혼합수모드를 감지하는 모드감지부와, 보일러의 온수출수관에 설치된 유량스위치와 직렬로 연결되는 온오프스위치와, 모드감지부에 의해 온수모드 또는 혼합수모드를 포함하는 비냉수모드가 감지되면, 시간을 카운트하며,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온오프스위치가 「오프」 상태로 유지되게 함과 아울러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모드감지부에 의해 냉수모드가 감지되면 계속해서 온오프스위치가 오프상태로 유지되게 하고,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고 모드감지부에 의해 비냉수모드가 감지되면 온오프스위치가 「온」 상태로 전환되게 하는 시스템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공동주택 전기의 절전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비냉수모드감지신호를 전달받은 시스템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안내문을 출력하는 스피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공동주택 전기의 절전 제어 시스템에 의하면 모드감지부와, 보일러의 유량스위치와 직렬로 연결되는 온오프스위치와, 모드감지부의 감지신호에 따라 온오프스위치를 제어하는 시스템 제어부를 구비하여, 수도전이 온수 쪽으로 전환된 상태에서 열었을 때 곧바로 보일러가 가동되지 않고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대기하였다가 설정 시간이 경과하면 계속해서 보일러가 가동되게 하고, 설정 시간 내에 수도전이 냉수 쪽으로 전환되면 보일러가 가동되지 않게 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의 낭비를 방지하여 절전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연료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공동주택 전기의 절전 제어 시스템에 의하면 냉수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수도전의 손잡이가 온수모드 또는 혼합수모드로 돌아간 상태에서 손잡이를 위로 올렸을 경우, 냉수모드로 전환할 수 있도록 스피커를 통해 안내문을 출력함으로써 전력낭비와 연료낭비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공동주택 전기의 절전 제어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 전기의 절전 제어 시스템의 기능블록도,
도 2는 세면대에 적용한 예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수도전을 보인 부분 절개 확대 사시도,
도 4는 냉수모드의 부분 절개 평면도,
도 5는 온수모드의 부분 절개 평면도,
도 6은 혼합수모드의 부분 절개 평면도,
도 7은 보일러의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공동주택 전기의 절전 제어 시스템을 첨부도면에 예시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공동주택 전기의 절전 제어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 전기의 절전 제어 시스템을 설명하기에 앞서 이해를 돕기 위해 수도전(200)과 보일러(300)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도 2는 세면대에 적용한 예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수도전을 보인 부분 절개 확대 사시도, 도 4는 냉수모드의 부분 절개 사시도, 도 5는 온수모드의 부분 절개 사시도, 도 6은 혼합수모드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수도전(200)은 세면대, 샤워실, 싱크대에 고정 설치되며 출수부(211)를 가지는 수도전본체(210)와, 수도전본체(210)의 상단에 삽입되며 밸브축(221)이 좌우회전 및 전후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밸브(220)와, 밸브축(221)에 연결되는 밸브연결부(231)를 가지는 손잡이(230)를 포함한다.
밸브연결부(231)에는 밸브축(221)이 삽입되는 축연결부(232)가 구비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밸브(220)에는 가요성 고압호스로 되는 냉수관(241)과 온수관(242)이 연결되며, 냉수관(241)과 온수관(242)에서 유입된 냉수 또는 온수 또는 냉온혼합수가 유출되는 출수관(243)이 연결된다. 출수관(243)은 수도전본체(210)의 출수부(211)에 연결된다.
냉수관(241)은 세면대, 샤워실, 싱크대가 설치되는 벽체를 관통하여 상수도라인에 연결되는 냉수공급관(251)에 연결되며, 온수관(242)은 상기 벽체를 관통하여 보일러(300)의 온수출수관(332)에 연결되는 온수공급관(252)에 연결된다.
수도전(200)은 손잡이(230)를 냉수 쪽으로 완전히 돌리면 밸브축(221)이 함께 돌아가서 냉수관(241)을 통해 공급되는 냉수만 출수관(243)을 통해 출수부(211)로 출수될 수 있는 냉수모드로 되며, 손잡이(230)를 온수 쪽으로 완전히 돌리면 밸브축(221)이 함께 돌아가서 온수관(242)을 통해 공급되는 온수만 출수관(243)을 통해 출수부(211)로 출수될 수 있는 온수모드로 되고, 손잡이(230)를 냉수 쪽과 온수 쪽 사이로 돌리면 밸브축(221)이 함께 돌아가서 냉수관(241)을 통해 공급되는 냉수와 온수관(242)을 통해 공급되는 온수가 혼합된 혼합수가 출수부(211)로 출수될 수 있는 혼합수모드로 사용된다.
또한 수도전(200)은 손잡이(230)를 아래로 내리면 밸브축(221)이 함께 후방으로 회동하여 밸브(220)가 닫힘 상태로 되고, 손잡이(230)를 위로 올리면 밸브축(221)이 함께 전방으로 회동하여 밸브(220)가 열림 상태로 된다.
따라서 냉수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손잡이(230)를 냉수 쪽으로 완전히 돌린 상태에서 손잡이(230)를 위로 올리거나, 손잡이(230)를 위로 올린 상태에서 손잡이(230)를 냉수 쪽으로 완전히 돌리면 밸브(220)의 작용으로 냉수만 출수부(211)를 통해 출수된다.
온수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손잡이(230)를 온수 쪽으로 완전히 돌린 상태에서 손잡이(230)를 위로 올리거나, 손잡이(230)를 위로 올린 상태에서 손잡이(230)를 냉수 쪽으로 완전히 돌리면 밸브(220)의 작용으로 온수만 출수부(211)를 통해 출수된다.
냉온혼합수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손잡이(230)를 냉수 쪽과 온수 쪽의 사이로 돌린 상태에서 손잡이(230)를 위로 올리거나, 손잡이(230)를 위로 올린 상태에서 손잡이(230)를 냉수 쪽과 온수 쪽의 사이로 돌리면 밸브(220)의 작용으로 냉온혼합수가 출수부(211)를 통해 출수된다.
보일러(300)는 보일러본체(3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입수되는 냉수로부터 열교환에 의해 온수를 생성하는 열교환기(320)와, 상수도라인에 연결되어 열교환기(320)에 냉수를 공급하는 냉수입수관(331)과, 열교환기(320)에서 생성된 온수를 출수하는 온수출수관(332)과, 온수출수관(332)에 설치되는 유량스위치(340)와, 유량스위치(350)가 「온」으로 되면 보일러를 온수모드로 가동되게 제어하는 보일러 제어부(350)를 포함한다.
여기서 열교환기(320)는 온수모드 뿐만 아니라 난방모드에서 난방수를 공급하는 것이지만 난방모드는 본 실시예의 공동주택 전기의 절전 제어 시스템과 무관하므로 이에 대한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 전기의 절전 제어 시스템의 계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 전기의 절전 제어 시스템(100)은 수도전(200)에 설치되며 냉수모드, 온수모드, 냉온혼합수모드를 감지하는 모드감지부(110)와, 보일러(300)의 온수출수관(332)에 설치된 유량스위치(340)와 직렬로 연결되는 온오프스위치(120)와, 모드감지부(110)에 의해 온수모드 또는 혼합수모드를 포함하는 비냉수모드가 감지되면, 시간을 카운트하며,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온오프스위치(120)가 「오프」 상태로 유지되게 함과 아울러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모드감지부(110)에 의해 냉수모드가 감지되면 계속해서 온오프스위치(120)가 오프상태로 유지되게 하고,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고 모드감지부(110)에 의해 비냉수모드가 감지되면 온오프스위치(120)가 「온」 상태로 전환되게 하는 시스템 제어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모드감지부(110)는 밸브축(221)에 매설되는 자석(111)과, 밸브(220)에 설치되어 손잡이(230)가 냉수 쪽으로 완전히 돌아갔을 때 자석(111)에 연동하여 「오프」 상태로 되는 리드스위치(112)를 포함할 수 있다.
리드스위치(112)는 B접점 형으로 구성되어 손잡이(230)가 냉수 쪽으로 완전히 돌아간 냉수모드(도 4 참조)에서는 자석(111)이 리드스위치(112)를 향하게 되어 리드스위치(112)가 「오프」로 되면서 냉수모드감지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손잡이(230)가 온수 쪽으로 완전히 돌아간 온수모드(도 5 참조)와 손잡이(230)가 냉수 쪽과 온수 쪽의 사이에 있는 혼합수모드(도 6 참조)에서는 자석(111)이 리드스위치(112)로부터 벗어나게 되어 모드감지부(110)가 비냉수모드감지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모드감지부(110)는 손잡이(230)가 냉수 쪽에서 조금이라도 온수 쪽으로 돌아간 경우에도 비냉수모드감지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모드감지부(110)를 자석(111)과 리드스위치(112)로 구성하였으나 이로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손잡이(230)가 냉수 쪽으로 완전히 돌아갔을 때 「오프」로 되는 것이라면 어떠한 형태의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다.
밸브(220)에는 리드스위치(112)를 설치하기 위한 스위치고정대(222)를 구비할 수 있다.
온오프스위치(120)는 시스템 제어부(13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 전자스위치가 사용되며, 보일러(300)의 내부에서 유량스위치(340)와 직렬로 연결된다.
온오프스위치(120)와 유량스위치(340)를 직렬로 연결하는 전선은 수도전본체(210)의 내부를 통해 배선됨과 아울러 온수공급관(252)을 따라 보일러(300)까지 배선될 수 있다.
제어부(130)은 세면대, 샤워기, 싱크대가 설치되는 벽면이나 세면대의 내부 공간, 싱크대의 내부 공간 등에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손잡이(230)가 냉수 쪽(오른쪽)으로 완전히 돌아간 냉수모드에서는 손잡이(230)와 함께 밸브축(221)이 냉수 쪽으로 돌아가게 되고, 모드감지부(110)가 냉수모드감지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냉수모드감지신호를 전달받은 시스템 제어부(130)는 온오프스위치(120)를 「오프」 상태로 제어할 수 있으나, 냉수모드는 보일러(300)와 무관하므로 실질적으로 아무런 제어도 할 필요가 없다.
한편, 손잡이(230)가 온수 쪽(왼쪽)으로 완전히 돌아간 온수모드와, 손잡이(230)가 냉수 쪽과 온수 쪽의 사이로 돌아간 혼합수모드에서는 모드감지부(110)가 비냉수모드감지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비냉수모드감지신호를 전달받은 시스템 제어부(130)는 시간을 카운트하며, 미리 설정된 시간(약 3~5초) 동안 온오프스위치(120)를 「오프」로 제어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보일러(300)의 유량스위치(340)와 직렬로 연결된 온오프스위치(120)가 「오프」로 되므로 보일러 제어부(350)의 제어에 의해 보일러(300)가 가동되지 않게 된다.
또한 공동주택 전기의 절전 제어 시스템(100)은 비냉수모드감지신호를 전달받은 시스템 제어부(130)의 제어에 의해 안내문을 출력하는 스피커(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140)에서 출력되는 안내문은 "냉수만 사용하시려면, 손잡이를 오른쪽으로 완전히 돌리세요. 지금 상태로 사용하시려면 3초만 기다리세요." 둥일 수 있다.
이때, 유량스위치(340)는 온오프스위치(120)와 무관하게 온수출수관(332)에 온수가 흐르지 않은 상태에서는 「오프」 상태로 유지된다.
손잡이(230)가 온수모드 또는 혼합수모드로 유지된 상태에서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시스템 제어부(130)는 온오프스위치(120)를 「온」 상태로 제어하고, 보일러(300)의 유량스위치(340)가 「온」으로 되고, 직렬로 연결된 유량스위치(340)와 온오프스위치(120)가 모두 「온」으로 되어, 보일러 제어부(350)의 제어에 의해 보일러가 가동되고, 온수출수관(332), 온수공급관(252), 온수관(242), 밸브(220), 출수관(243)을 통해 공급되는 온수가 출수부(211)에서 출수되거나 이 온수가 냉수관(241)을 통해 공급되는 냉수와 혼합된 냉온혼합수가 출수부(211)에서 출수된다.
따라서 냉수만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무심코 수도전(200)의 손잡이(230)가 온수모드 또는 혼합수모드로 돌아간 상태에서 손잡이(230)를 위로 올렸을 경우, 곧바로 출수되지 않고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지연시킴과 아울러 스피커(140)를 통해 안내문을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손잡이(230)를 냉수 쪽으로 완전히 돌릴 수 있게 하여 불필요한 전력소모와 가스소모를 방지하여 에너지 절감에 기여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지연되는 시간이 짧다고 생각할 수 있으나, 이러한 과정이 수십, 수백, 수천 번 반복된다고 한다면 그 시간과 소모된 전력과 연료의 불필요한 소모량은 결코 무시할 수 없을 것이며, 그만큼 에너지 절감에 기여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예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고유사상의 범위 내에서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0 : 제어 시스템 110 : 모드감지부
120 : 온오프스위치 130 : 시스템 제어부
140 : 스피커 200 : 수도전
210 : 수도전본체 220 : 밸브
221 : 밸브축 230 : 손잡이
241 : 냉수관 242 : 온수관
243 : 출수관 251 : 냉수공급관
252 : 온수공급관 300 : 보일러
310 : 보일러본체 320 : 열교환기
331 : 냉수입수관 332 : 온수출수관
340 : 유량스위치 350 : 보일러 제어부

Claims (2)

  1. 출수부를 가지는 수도전본체와, 수도전본체의 상단에 삽입되며 밸브축이 좌우회전 및 전후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밸브와, 밸브축에 연결되는 밸브연결부를 가지는 손잡이와, 벽체에 설치되는 냉수공급관과 온수공급관을 밸브에 연결하는 냉수관과 온수관와, 밸브를 통과한 냉수 또는 온수 또는 냉온혼합수가 출수부로 출수되게 하는 출수관을 포함하는 수도전과;
    보일러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입수되는 냉수로부터 열교환에 의해 온수를 생성하는 열교환기와, 상수도라인에 연결되어 열교환기에 냉수를 공급하는 냉수입수관과, 열교환기에서 생성된 온수를 출수하며 온수공급관에 연결되는 온수출수관과, 온수출수관에 설치되는 유량스위치와, 유량스위치가 「온」으로 되면 보일러를 온수모드로 가동되게 제어하는 보일러 제어부를 포함하는 보일러;를 포함하는 것에 있어서,
    밸브축에 매설되는 자석과, 밸브에 설치되어 손잡이가 냉수 쪽으로 완전히 돌아갔을 때 자석에 연동하여 「오프」 상태로 되는 리드스위치를 포함하여, 손잡이가 냉수 쪽으로 완전히 돌아간 냉수모드에서는 자석이 리드스위치를 향하게 되어 리드스위치가 「오프」로 되면서 냉수모드감지신호를 출력하고, 손잡이가 온수 쪽으로 완전히 돌아간 온수모드와, 손잡이가 온수 쪽과 온수 쪽의 사이에 있는 혼합수모드에서는 자석이 리드스위치로부터 벗어나게 되어 비냉수모드감지신호를 출력하는 모드감지부와,
    보일러의 온수출수관에 설치된 유량스위치와 직렬로 연결되는 온오프스위치와,
    모드감지부에 의해 온수모드 또는 혼합수모드를 포함하는 비냉수모드가 감지되면, 시간을 카운트하며,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온오프스위치가 「오프」 상태로 유지되게 함과 아울러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모드감지부에 의해 냉수모드가 감지되면 계속해서 온오프스위치가 오프상태로 유지되게 하고,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고 모드감지부에 의해 비냉수모드가 감지되면 온오프스위치가 「온」 상태로 전환되게 하는 시스템 제어부와,
    비냉수모드감지신호를 전달받은 시스템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안내문을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수도전의 손잡이가 온수모드 또는 혼합수모드로 돌아간 상태에서 냉수만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무심코 손잡이를 위로 올렸을 때 곧바로 출수되지 않고 미리 설정된 사간 동안 지연시킴과 아울러 스피커를 통해 “냉수만 사용하시려면, 손잡이를 오른쪽으로 완전히 돌리세요. 지금 상태로 사용하시려면 3초만 기다리세요.”라는 안내문을 출력하여 사용자가 손잡이를 냉수 쪽으로 완전히 돌릴 수 있게 하여 불필요한 전력소모와 가스소모를 방지하여 에너지 절감에 기여할 수 있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전기의 절전 제어 시스템.
  2. 삭제
KR1020220036624A 2022-03-24 2022-03-24 공동주택 전기의 절전 제어 시스템 KR1024883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6624A KR102488386B1 (ko) 2022-03-24 2022-03-24 공동주택 전기의 절전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6624A KR102488386B1 (ko) 2022-03-24 2022-03-24 공동주택 전기의 절전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8386B1 true KR102488386B1 (ko) 2023-01-13

Family

ID=84900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6624A KR102488386B1 (ko) 2022-03-24 2022-03-24 공동주택 전기의 절전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838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9537A (ko) * 1993-12-21 1995-07-24 배순훈 가스보일러 유수감지스위치의 오동작 방지회로 및 방법
KR100781791B1 (ko) 2007-02-15 2007-12-04 신한전설(주) 공동주택의 전기공급용 콘센트
KR100999070B1 (ko) 2009-12-21 2010-12-07 (주)한성테크놀러지 전력사용 현황 모니터링 시스템
KR102214004B1 (ko) 2020-08-18 2021-02-09 주식회사 극동파워테크 공동주택 전기의 벽체 고정형 절전장치
KR20210135839A (ko) * 2020-05-06 2021-11-16 문세곤 온수 순환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9537A (ko) * 1993-12-21 1995-07-24 배순훈 가스보일러 유수감지스위치의 오동작 방지회로 및 방법
KR100781791B1 (ko) 2007-02-15 2007-12-04 신한전설(주) 공동주택의 전기공급용 콘센트
KR100999070B1 (ko) 2009-12-21 2010-12-07 (주)한성테크놀러지 전력사용 현황 모니터링 시스템
KR20210135839A (ko) * 2020-05-06 2021-11-16 문세곤 온수 순환 시스템
KR102214004B1 (ko) 2020-08-18 2021-02-09 주식회사 극동파워테크 공동주택 전기의 벽체 고정형 절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09572A (en) Water conservation device
JP5081520B2 (ja) リモコン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給湯システム
US4568821A (en) Remote water heater controller
CA2614923C (en) Rapid hot water apparatus and method
WO2010122564A1 (en) Water supply system with recirculation
AU2006259924B2 (en) Water controller
KR101990855B1 (ko) 저탕식 온수저장탱크를 구비한 보일러의 온수 및 난방 자동 전환방법
US20060022062A1 (en) On-cue hot-water circulator
US20110308641A1 (en) Intelligent water supply cpu and water tap
US7036520B2 (en) Hot water heater recirculation system and method
CN110220314A (zh) 一种燃气热水器控制方法及燃气热水器
KR101054487B1 (ko) 대기전력 차단 내선공사 공법 및 그 공법으로 시공된 대기전력 차단 스마트 분전반
KR102488386B1 (ko) 공동주택 전기의 절전 제어 시스템
JP3547987B2 (ja) 給湯機
JP2014240704A (ja) 貯湯式給湯機
US20130327410A1 (en) Commercial Hot Water Control Systems
KR20110032135A (ko) 온수절약장치
CN211345878U (zh) 一种调节温度的燃气热水器系统
CN211345824U (zh) 一种含独立调节温度水龙头的燃气壁挂炉系统
CN210373667U (zh) 一种空气能与天然气壁挂炉结合的地暖及热水循环系统
KR100522567B1 (ko) 급탕관의 예비 가열 시스템
JP2012017956A (ja) 給湯システム
JP2011226653A (ja) 給湯装置
RU174451U1 (ru) Устройство экономного потребления воды
JP2001304681A (ja) 温水機器の凍結防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