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8311B1 - 실링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카드 리더기 - Google Patents

실링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카드 리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8311B1
KR102488311B1 KR1020200164694A KR20200164694A KR102488311B1 KR 102488311 B1 KR102488311 B1 KR 102488311B1 KR 1020200164694 A KR1020200164694 A KR 1020200164694A KR 20200164694 A KR20200164694 A KR 20200164694A KR 102488311 B1 KR102488311 B1 KR 1024883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der
card
sealing member
unit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4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75982A (ko
Inventor
양희수
이태훈
Original Assignee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646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8311B1/ko
Publication of KR202200759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59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83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83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013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 G06K7/0056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housing of the card connect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8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means detecting the change of an electrostatic or magnetic field, e.g. by detecting change of capacitance between electrodes
    • G06K7/08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means detecting the change of an electrostatic or magnetic field, e.g. by detecting change of capacitance between electrodes using inductive or magnetic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카드 리더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드 리더기는 카드를 수용할 수 있는 슬롯을 구비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상기 카드가 상기 슬롯에 삽입된 경우 상기 카드로부터 데이터를 독출할 수 있는 리더모듈 및 상기 하우징과 상기 리더모듈 사이에 배치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유체가 상기 리더모듈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실링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실링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카드 리더기{A SEALING MEMBER AND A CARD READER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실링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카드 리더기에 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방수 기능을 갖는 실링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카드 리더기에 관한 것이다.
신용카드, 체크카드, 직불카드, 현금카드 등(이하, 카드라 통칭함)은 온라인/오프라인 가맹점에서 현금 결제를 대체하는 수단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카드들의 정보는 카드 리더기를 통해 리드되어, 온/오프 전용라인을 통하여 중계 서버 또는 VAN 사 서버로 전달됨으로써 카드 결제업무가 수행된다.
최근 배달 서비스, 푸드트럭 등 전용 결제단말기를 활용하기 어려운 환경에서의 카드 결제가 비약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 개발되는 리더기는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통신 단말기와 연계하여 카드 결제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휴대를 위해 소형화될 것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의 예로, 대한민국특허공보 제10-1143856호(등록일 2012.04.24)는 모바일 단말기의 이어폰 및 마이크 연결 단자를 포함하는 연결 포트와 연결 가능한 커넥터 및 카드 정보를 리딩하는 자기 스트라이프 리더를 구비하여 카드 정보를 암호화하여 암호화된 카드 정보를 모바일 단말기의 마이크 연결 단자를 통해 전송하는 카드 리더를 개시한다.
최근 카드 리더기가 소형화되어 휴대성이 향상되면서 먼지, 유체 등과 같은 오염물과 외부 충격에 쉽게 노출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휴대용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카드 결제를 가능케 하는 장치로서 내구성이 향상된 카드 리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카드 리더기의 침수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실링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드 리더기는 카드를 수용할 수 있는 슬롯을 구비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상기 카드가 상기 슬롯에 삽입된 경우 상기 카드로부터 데이터를 독출할 수 있는 리더모듈 및 상기 하우징과 상기 리더모듈 사이에 배치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유체가 상기 리더모듈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실링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드 리더기에 사용될 수 있는 실링부재는 상기 카드 리더기 내에 배치된 리더모듈을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베이스 및 상기 리더모듈 상에 형성되어 카드 리더기에 삽입된 카드 상의 자기 스트라이프에 저장된 데이터를 리딩하는 제1 리더부의 위치에 대응하는 부분에 형성된 제1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실링부재는 외부로부터 유입된 유체가 상기 제1 개구를 통하여 상기 리더모듈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드 리더기는 휴대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카드 결제를 가능케 하는 장치로서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링부재는 카드 리더기의 침수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링부재를 포함하는 카드 리더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드 리더기의 리더모듈을 나타낸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드 리더기의 실링부재를 나타낸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드 리더기의 리더모듈이 실링부재에 의하여 실링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카드 리더기의 실링부재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발명에 대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하기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사용된 용어들의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 및 이에 상응한 기능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링부재를 포함하는 카드 리더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카드 리더기(10)는 제1 하우징(100), 리더모듈(200), 실링부재(300) 및 제2 하우징(40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실링부재(300)는 실리콘 또는 고무와 같은 신축성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하우징(100)은 카드를 수용할 수 있는 슬롯(110)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슬롯(110)은 일 측으로 삽입된 카드를 고정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리더모듈(200)은 제1 하우징(100) 내부에 배치되될 수 있다. 리더모듈(200)은 카드가 슬롯(110)에 삽입된 경우 카드로부터 데이터를 독출할 수 있다.
일 예로, 리더모듈(200)은 카드의 정보를 읽어들이기 위한 데이터입력부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리더모듈(200)은 데이터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된 개인 정보를 무선 인터넷 망을 통하여 전송될 수 있도록 전기적 데이터로 변환시키는 데이터처리부가 포함될 수 있다.
상술한 데이터입력부는 휴대용 통신 단말기에 제공하는 인식 방법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판독된 정보를 휴대용 통신 단말기에 제공하는 판독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판독모듈은 신용카드, MS마그네틱, IC카드 , QR코드, 바코드 및 RF태그 중 적어도 하나를 인식하여 판독할 수 있다.
상술한 휴대용 통신 단말기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컴퓨터(laptop computer), 태블릿컴퓨터,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등 다양한 전자기기일 수 있다.
또한, 리더모듈(200)은 데이터처리부를 통하여 전기적 데이터로 가공된 개인 정보가 후술할 무선전송모듈로 전송되도록 하기 위한 송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전송모듈은 무선 인터넷 망으로의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소프트웨어가 포함될 수 있다.
일 예로, 무선전송모듈 및 리더모듈(200)은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실링부재(300)는 리더모듈(200)의 일 측에 실링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실링부재(300)는 리더모듈(200)에 실링된 상태에서 제1 하우징(10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실링부재(300)는 제1 하우징(100) 내부로 유입되는 유체가 리더모듈(200)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제1 하우징(100)에는 카드로부터 데이터를 독출하기 위하여 후술할 제1 리더부 또는 제2 리더부와 같은 구성이 카드와 접촉될 수 있도록 각종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개구는 제1 하우징(100) 내측으로 전입되는 유체(예를 들면, 수분이나 땀)의 이동 통로가 될 수 있다.
즉, 카드 리더기(10)의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유체가 하우징 내측으로 이동되어 리더모듈(200) 상으로 흘러 들어갈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는 회로 기판 등으로 구성된 리더모듈(200)의 오작동 및 손상을 불러일으키는 주요 원인이 된다.
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드 리더기(10)와 같이, 제1 하우징(100)과 리더모듈(200) 사이에 리더모듈(200)과 밀착시킨 실링부재(300)를 추가적으로 배치시킴으로써, 제1 하우징(100)의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유체가 리더모듈(200) 상으로 이동되는 것을 효과적을 차단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는 회로 기판 등으로 구성된 리더모듈(200)의 오작동 및 손상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매커니즘에 해당된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드 리더기의 리더모듈을 나타낸다.
도2 를 참조하면, 리더모듈(200)은 제1 리더부(210), 제2 리더부(220), 전원부(230), 충전포트부(240), 전원부의 온오프를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부(250) 및 안내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리더부(210)는 카드 상의 자기 스트라이프에 저장된 데이터를 리딩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리더부(210)는 MSR(magnetic stripe reader) 헤드(210)일 수 있다.
일 예로, 카드가 스와이프되면, 자기 스트라이프는 MSR 헤드(210)의 근접한 위치에서 이동한다. 자기 도메인(magnetic domain)의 교차 극성을 포함한 자기 스트라이프의 움직임은 MSR 헤드(210)의 좁은 센싱 구멍(sensing aperture)에서 자기장 변동을 생성한다. 이 경우, MSR 헤드(210)는 자기장 변동을 등가의 전기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제2 리더부(220)는 카드 상의 IC칩과 접속하여 카드 정보를 독출할 수 있다.
전원부(230)는 리더모듈(200)에 전력을 제공하는 배터리로 구성될 수 있다.
충전포트부(240)는 전원부를 충전하기 위한 외부 전원이 체결될 수 있다.
스위치부(250)는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전원부의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
안내부(260)는 제1 하우징(100) 내로 삽입되는 카드의 정지 위치를 안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안내부(260)는 삽입되는 카드에 구비된 IC 칩이 제2 리더부(220) 상에 접하도록 카드의 위치를 정확하게 안내할 수 있다.
일 예로, 안내부(260)는 IC칩이 삽입된 카드 또는 자기 스트라이프가 형성된 카드로부터 정보를 독출하기 위한 하이브리드 구조의 카드 리더기(10)에 사용될 수 있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드 리더기의 실링부재를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실링부재(300)는 리더모듈(200)의 전원부(230), 충전포트부(240), 스위치부(250) 및 안내부(260)의 일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반면, 실링부재(300)는 제1 리더부(210) 및 제2 리더부(220)의 위치에 대응되는 부분에 각각 개구를 구비함으로써 제1 리더부(210) 및 제2 리더부(220)를 노출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3을 참조하면, 실링부재(300)는 제1 개구(310), 제2 개구(320) 및 돌출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개구(310)는 리더모듈(200)의 제1 리더부(210)의 위치에 대응하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개구는(320) 제2 리더부(220)의 위치에 대응하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330)는 전원부(320)를 감싸도록 기 설정된 높이만큼 돌출된 부분(330)을 포함할 수 있다.
실링부재(200)는 제1 개구(310)의 가장자리부(311), 제1 홈(312) 및 제2홈(31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홈(312)은 제1 개구(310)의 주위(또는 가장자리부(311))를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홈(313)은 제1 홈(312)을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실링부재(200)는 제1 개구(310)의 가장자리부(311)로부터 제1 홈(312) 및 제2 홈(313)까지 굴곡지게 형성되어 일명 자바라와 같이 신축성을 가지게 된다.
이에 따라, 제1 개구(310)의 가장자리부(311)는 리더모듈(200)의 제1 리더부(210)가 상하좌우로 유동되더라도 제1 리더부(210)의 둘레에 더 강하게 밀착되어 수분이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개구(310)의 가장자리부(311)는 리더모듈(200)의 제1 리더부(210)의 직경 또는 둘레보다 좁거나 짧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개구(310)의 가장자리부(310)는 제1 개구(310)의 내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개구(310)의 가장자리부(310)의 팁은 제1 개구(310)의 내측으로 향하도록 돌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개구(310)의 가장자리부(311)는 리더모듈(200)의 제1 리더부(210)의 둘레에 더 강하게 밀착되어 유체가 제1 개구(310)를 통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실링부재(200)는 제3 홈(321)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제3 홈(321)은 제2 개구(320) 주위를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3 홈(321)의 외측면은 제2 리더부(220)의 형상에 맞게 계단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개구 주위에 상기 개구를 둘러싸는 방향으로 연장된 홈을 배치시킴으로써 실링부재와 제1 리더부(210) 또는 제2 리더부(220)와의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유체가 상기 제1 리더부(210) 또는 제2 리더부(220) 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다만, 위와 같이 구비되는 홈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추가 또는 감소될 수 있다.
아울러, 실링부재(300) 상에는 일 부분에 리더모듈(200), 제1 하우징(100) 및 제2 하우징(400)과 체결되기 위하여 나사와 같은 체결요소가 삽입될 수 있는 추가적인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들을 포함하는 리더모듈(200) 위에 실링부재(300)가 배치된 경우, 도4와 같은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드 리더기의 리더모듈이 실링부재에 의하여 실링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실링부재(300)는 리더모듈(200)의 충전포트부(240), 스위치부(250) 및 안내부(260)의 일면을 전체적으로 감쌀 수 있는 형상으로 배치된다.
다만, 제1 하우징(100)의 슬롯(110)에 삽입되는 카드와 실질적으로 접촉하여 상기 카드로부터 정보를 독출하여야 하는 구성인 제1 리더부(210) 또는 제2 리더부(220) 각각은 실링부재 상에 형성된 제1 개구(310) 또는 제2 개구(320)를 통하여 노출될 수 있다.
도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카드 리더기의 실링부재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나타낸다.
도5의 (a) 및 (b)를 참조하면, 실링부재(300)가 제1 하우징(100)과 리더모듈(200) 사이에서 밀착된 경우, 제1 개구(310)의 주위에 형성된 제1 홈(312)의 일측면은 제1 리더부(210)의 측면과 면접촉을 형성하게 된다.
즉, 실링부재(300)가 리더모듈(200)과 밀착되는 경우, 실링부재(300)는 수축하게 되며, 그에 따라, 제1 리더부(210)와 마주하는 제1 홈(312)의 외측면(A)(또는 상술한 제1 개구(310)의 가장자리부(311))은 제1 리더부(210)의 측면(B)에 대하여 평행한 방향으로 기립하게 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홈(312)의 외측면(A)과 제1 리더부의 측면(B)이 전체적으로 면접촉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1 리더부(210)와 제1 개구(310)에 최인접한 실링부재의 일 부분이 전체적으로 면접촉을 형성하여 효과적인 실링 구조를 도출할 수 있으며, 나아가, 리더모듈(200) 측으로 유체가 전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구조 및 매커니즘은 제2 개구(320)와 제3 홈(321) 사이에서 동일 또는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즉, 실링부재(300)가 리더모듈(200)과 밀착되는 경우 실링부재(300)는 수축하게 되며, 그에 따라, 제2 리더부(220)의 외측면과 마주하는 제3 홈(321)의 외측면은 제2 리더부(220)의 측면에 대하여 평행한 방향으로 기립하게 되고, 제3 홈(321)의 외측면과 제2 리더부(220)의 측면이 전체적으로 면접촉을 형성하게 된다.
도5의 (a) 및 (b)를 참조하면, 실링부재(300)는 제1 홈(312)의 상기 외측면(A)과 반대편에 배치되어 리더모듈(200)을 향하는 타측면(A')에 배치되어 유체의 존재 유무를 검지할 수 있는 센서요소(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타측면(A')에 배치되는 센서요소(340)를 더 포함함으로써, 실링부재(300)의 제1 홈(312)의 외측면(A)과 제1 리더부(210)의 측면(B) 사이를 통하여 유체가 리더모듈(200)을 향해 유입되는 상황을 즉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센서요소(340)에 의하여 리더모듈(200) 측으로 유체가 유입되었음을 감지한 경우, 스위치부는 즉각적으로 전원부를 오프시킴으로써 감전에 의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카드 리더기(10)의 과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에서 설명한 구조 및 매커니즘은 제3 홈(321) 측에도 동일 또는 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즉, 실링부재(300)는 제3홈(321)의 상기 외측면과 반대편에 배치되어 리더모듈(200)을 향하는 타측면에 배치되어 유체의 존재 유무를 검지할 수 있는 추가적인 센서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구성들을 포함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카드 리더기(10)는 유체의 유입에 의하여 회로가 손상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함으로써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일 실시예에 따른 실링부재(300)는 카드 리더기(10)의 침수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제1 하우징: 100
리더모듈: 200
제1 리더부: 210
제2 리더부: 220
전원부: 230
충전포트부: 240
스위치부: 250
안내부: 260
실링부재: 300
제1 개구: 310
제2 개구: 320
돌출부: 330
센서요소: 340

Claims (11)

  1. 카드 리더기에 있어서,
    카드가 수용 가능한 슬롯을 구비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상기 카드가 상기 슬롯에 삽입된 경우 상기 카드에 저장된 데이터를 리딩하는 제1 리더부를 포함하는 리더모듈; 및
    상기 하우징과 상기 리더모듈 사이에 배치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유체가 상기 리더모듈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고, 상기 리더모듈의 상기 제1 리더부의 위치에 대응하는 부분에 형성된 제1 개구가 형성된 실링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제1 개구의 주위를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된 제1 홈 및 상기 제1 홈의 주위를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된 제2 홈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과 상기 리더모듈 사이에서 밀착된 경우, 상기 제1 홈의 일측면은 상기 제1 리더부의 측면과 면접촉하고 상기 제1 리더부의 측면에 대하여 평행한 방향으로 기립하는, 카드 리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의 주위를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제1 홈 및 상기 제1 홈의 주위를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제2 홈은 신축성을 갖는 자바라 구조인, 카드 리더기.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는 외부로부터 유입된 유체가 상기 제1 개구를 통하여 상기 리더모듈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카드 리더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더모듈은,
    상기 카드 상의 IC칩과 접속하여 상기 카드와 통신을 수행하는 제2 리더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리더모듈의 상기 제2 리더부의 위치에 대응하는 부분에 형성된 제2 개구;를 더 포함하는, 카드 리더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제2 개구의 주위를 감싸는 형상으로 제3 홈이 형성된, 카드 리더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더모듈은,
    상기 리더모듈에 전력을 제공하는 전원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전원부를 감싸도록 기 설정된 높이만큼 돌출된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카드 리더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리더모듈은,
    상기 전원부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포트부;
    상기 전원부의 온오프를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부; 및
    상기 하우징 내로 삽입되는 카드의 정지 위치를 안내하는 안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충전포트부, 상기 스위치부 및 상기 안내부의 일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카드 리더기.
  9. 카드 리더기에 사용될 수 있는 실링부재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카드 리더기 내에 배치된 리더모듈을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베이스; 및
    상기 리더모듈 상에 형성되어 카드 리더기에 삽입된 카드에 저장된 데이터를 리딩하는 제1 리더부의 위치에 대응하는 부분에 형성된 제1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실링부재는 외부로부터 유입된 유체가 상기 제1 개구를 통하여 상기 리더모듈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고,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제1 개구의 주위를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된 제1 홈 및 상기 제1 홈의 주위를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된 제2 홈을 포함하고,
    하우징과 상기 리더모듈 사이에서 밀착된 경우, 상기 제1 홈의 일측면은 상기 제1 리더부의 측면과 면접촉하고 상기 제1 리더부의 측면에 대하여 평행한 방향으로 기립하는, 실링부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의 주위를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제1 홈 및 상기 제1 홈의 주위를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제2 홈은 신축성을 갖는 자바라 구조인, 실링부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리더모듈 상에 형성되어 카드 리더기에 삽입된 카드 상의 IC칩과 접속하여 상기 카드와 통신을 하는 제2 리더부의 위치에 대응하는 부분에 형성된 제2 개구; 및
    상기 제2 개구의 주위를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된 제3 홈;을 더 포함하는, 실링부재.
KR1020200164694A 2020-11-30 2020-11-30 실링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카드 리더기 KR1024883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4694A KR102488311B1 (ko) 2020-11-30 2020-11-30 실링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카드 리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4694A KR102488311B1 (ko) 2020-11-30 2020-11-30 실링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카드 리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5982A KR20220075982A (ko) 2022-06-08
KR102488311B1 true KR102488311B1 (ko) 2023-01-12

Family

ID=81981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4694A KR102488311B1 (ko) 2020-11-30 2020-11-30 실링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카드 리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831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41372A (ja) * 2006-08-03 2008-02-21 Jst Mfg Co Ltd Icカード用コネクタ
JP2017112262A (ja) * 2015-12-17 2017-06-22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電子機器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7752Y1 (ko) * 2016-10-28 2018-10-30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탈부착 장치를 포함하는 카드 리더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41372A (ja) * 2006-08-03 2008-02-21 Jst Mfg Co Ltd Icカード用コネクタ
JP2017112262A (ja) * 2015-12-17 2017-06-22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電子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5982A (ko) 2022-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2302B1 (ko) 휴대용 장치를 위한 듀얼 범용 집적회로카드(uicc)시스템
US8583179B2 (en) Communication device comprising a battery and a near-field communication module
US6592031B1 (en) Authentication system for PC cards
CN101933033B (zh) 具有双集成电路的系统以及所述系统在实施远程应用方面的使用
US20100181377A1 (en) Card reader with near field communication function and near field communication device thereof
KR101510317B1 (ko) 카드 리더기
KR102045292B1 (ko) 카드 오삽입 인식을 위한 전자 장치 및 그것의 운용 방법
TWI447653B (zh) 應用具有雙晶片的智能卡之行動通訊裝置與資料驗證系統
US20090122497A1 (en) Magnetically Attachable Accessories for a Mobile Unit
US10411331B2 (en) Back cover assembly
US20180102812A1 (en) Recharging an electronic device using an nfc front end
KR102488311B1 (ko) 실링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카드 리더기
JP3529087B2 (ja) 非接触式icカード用読み取り書き込み装置
WO2002103923A1 (en) Portable telephone having smartcard which non-contact interface is transferred into break contact point
US20140075074A1 (en) Electronic data exchange device
US20080277483A1 (en) Contactless IC card system with partible antenna
US20080302875A1 (en) Communication terminal with contactless IC card system
JP2005222097A (ja) 携帯機器
US8418923B2 (en) Non-contact reading device with reduced loading effect
US6422471B2 (en) PCMCIA module including a chip card interface
JP2018101198A (ja) 無線通信装置、及び改札機
WO2010052770A1 (ja) 半導体装置
KR20110047787A (ko) 통신 커넥터와 iso 7816 리더를 갖춘 스마트 카드
JP2005149355A (ja) Uimアダプタ
JP5659733B2 (ja) 通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