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8278B1 - Cable-changing apparatus for wiring harness device - Google Patents

Cable-changing apparatus for wiring harness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8278B1
KR102488278B1 KR1020200178735A KR20200178735A KR102488278B1 KR 102488278 B1 KR102488278 B1 KR 102488278B1 KR 1020200178735 A KR1020200178735 A KR 1020200178735A KR 20200178735 A KR20200178735 A KR 20200178735A KR 102488278 B1 KR102488278 B1 KR 1024882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backward
wires
wiring harness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873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88071A (en
Inventor
임다영
Original Assignee
(주)케이엠 디지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엠 디지텍 filed Critical (주)케이엠 디지텍
Priority to KR10202001787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8278B1/en
Priority to PCT/KR2021/019285 priority patent/WO2022131854A1/en
Publication of KR202200880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807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82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827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003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for feeding conductors or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1/00Forwarding filamentary material
    • B65H51/02Rotary devices, e.g. with helical forwarding surfaces
    • B65H51/04Rollers, pulleys, capstans, or intermeshing rotary elements
    • B65H51/08Rollers, pulleys, capstans, or intermeshing rotary elements arranged to operate in groups or in co-operation with other elements
    • B65H51/10Rollers, pulleys, capstans, or intermeshing rotary elements arranged to operate in groups or in co-operation with other elements with opposed coacting surfaces, e.g. providing n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1/00Forwarding filamentary material
    • B65H51/32Supporting or driving arrangements for forwarding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1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for manufacturing wire harnesses
    • H01B13/01209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4Handled filamentary material electric cords or electric power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Abstract

와이어링 하네스 장치에서 작업 대상 전선을 자동으로 교체할 수 있는 와이어링 하네스 장비의 전선 교체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링 하네스 장비의 전선 교체장치는 복수개의 전선 중에 선택된 전선이 이송되는 프로세싱 높이가 형성되도록 전선을 이송하기 위한 부재들이 구비된 고정 프레임; 상기 복수개의 전선이 각각 통과하는 통과 홀이 적층 형성된 전선 선택부가 전후방 양단에 각각 형성되고,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전선이 상기 프로세싱 높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고정 프레임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승강 프레임; 상기 고정 프레임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프로세싱 높이에 위치한 전선을 전방으로 이송시키는 전진 이송부; 및 상기 고정 프레임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프로세싱 높이에 위치한 전선을 후방으로 이송시키는 후진 이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Disclosed is a wire replacement device of a wiring harness device capable of automatically replacing a target wire in a wiring harness device. Wire replacement device of wiring harness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xed frame equipped with members for transferring wires to form a processing height at which wires selected from among a plurality of wires are transferred; An elevating frame having wire selection units having stacked passage holes through which the plurality of wires pass, respectively, at both front and rear ends, and installed to be movable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fixed frame so that a selected wire is positioned at the processing height. ; a forward conveying unit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xed frame and forwardly conveying the wires located at the processing height; and a backward conveying unit install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fixing frame and conveying the wire located at the processing height to the rear.

Description

와이어링 하네스 장비의 전선 교체장치{CABLE-CHANGING APPARATUS FOR WIRING HARNESS DEVICE}Wire replacement device for wiring harness equipment {CABLE-CHANGING APPARATUS FOR WIRING HARNESS DEVICE}

본 발명은 전선 교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와이어링 하네스 장치에서 작업 대상 전선을 자동으로 교체할 수 있는 와이어링 하네스 장비의 전선 교체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 replacement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wire replacement device of a wiring harness device capable of automatically replacing an electric wire to be operated in a wiring harness device.

일반적으로 와이어링 하네스는 차량 내 각 시스템으로 전기 신호와 전력의 전달을 위한 목적으로 제작되어, 전선, 커넥터, 전원 분배 장비 등을 가공하여 결속한 물품을 총칭하는 용어이다.In general, a wiring harness is a general term for articles manufactured for the purpose of transmitting electric signals and power to each system in a vehicle, and processed and bound with wires, connectors, power distribution equipment, and the like.

이러한 차량 탑재용 와이어링 하네스는 여러 개의 커넥터 단자와 와이어로 이루어지는 복잡한 구조로 제작되며 최종적으로 차량에 장착되기 전에 와이어링 하네스의 불량 여부 검사를 수행한 후 해당 차량에 탑재된다.Such a vehicle-mounted wiring harness is manufactured in a complex structure composed of a plurality of connector terminals and wires, and is finally mounted on the vehicle after inspecting whether or not the wiring harness is defective before being mounted on the vehicle.

이때, 탑재되는 와이어링 하네스의 종류도 다양한 종류가 적용되기 때문에 제공되는 다양한 전선으로 교체하여야 하고, 이러한 전선 교체는 통상 전선을 제공하는 장치에서 수동으로 또는 반자동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인다. 따라서 와이어링 하네스 장치를 구동하는 시간보다 전선을 수동으로 교체하는 시간이 더 많이 소요되는 경우도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At this time, since various types of mounted wiring harnesses are also applied, they must be replaced with various wires provided, and such wire replacement is generally performed manually or semi-automatically in a device providing wires.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takes more time to manually replace the wire than the time to drive the wiring harness device.

등록특허 10-1164036Registered Patent No. 10-1164036

본 발명에 따르면 이전의 작업 중인 전선을 후진시켜 놓음으로써 다음 작업에 제공될 전선을 프로세싱에 위치시키고 작업을 자동으로 진행할 수 있는 와이어링 하네스 장비의 전선 교체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intended to provide a wire replacement device for wiring harness equipment capable of automatically proceeding with the work by positioning the wire to be provided for the next work in the processing by reversing the wire in the previous work.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와이어링 하네스 장비의 전선 교체장치는, 복수개의 전선 중에 선택된 전선이 이송되는 프로세싱 높이가 형성되도록 전선을 이송하기 위한 부재들이 구비된 고정 프레임; 상기 복수개의 전선이 각각 통과하는 통과 홀이 적층 형성된 전선 선택부가 전후방 양단에 각각 형성되고,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전선이 상기 프로세싱 높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고정 프레임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승강 프레임; 상기 고정 프레임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프로세싱 높이에 위치한 전선을 전방으로 이송시키는 전진 이송부; 및 상기 고정 프레임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프로세싱 높이에 위치한 전선을 후방으로 이송시키는 후진 이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An apparatus for replacing wires of wiring harness equipment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xing frame equipped with members for transferring wires to form a processing height at which wires selected from among a plurality of wires are transferred; An elevating frame having wire selection units having stacked passage holes through which the plurality of wires pass, respectively, at both front and rear ends, and installed to be movable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fixed frame so that a selected wire is positioned at the processing height. ; a forward conveying unit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xed frame and forwardly conveying the wires located at the processing height; and a backward conveying unit install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fixing frame and conveying the wire located at the processing height to the rear.

이때, 상기 전진 이송부는 상기 고정 프레임의 전단에 설치되고, 상기 후진 이송부는 고정 프레임의 후단에 설치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orward transfer unit may be installed at a front end of the fixed frame, and the backward transfer unit may be installed at a rear end of the fixed frame.

이때, 상기 후진 이송부는, 상기 전선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회전 구동력을 전달 받아 회전됨으로써 밀착된 전선을 후진 이동시키는 후진 구동 롤러; 상기 전선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후진 구동 롤러와 한 쌍을 이뤄 전선을 후진 이동시키는 후진 종동 롤러; 상기 후진 구동 롤러와 상기 후진 종동 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한 쌍의 베이스 블록; 및 상기 베이스 블록을 직선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한 쌍의 구동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backward conveying unit may include a backward driving roller installed to be movabl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wire and rotated by receiving rotational driving force to move the wi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backward; a backward driven roller installed to be movabl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electric wire and forming a pair with the backward driving roller to move the electric wire backward; a pair of base blocks to which the backward driving roller and the backward driven roller are rotatably fixed; and a pair of driving cylinders for driving the base block in a linear direction.

이때, 상기 한 쌍의 구동 실린더는 상기 후진 구동 롤러와 후진 종동 롤러를 동시에 구동할 수 있도록 동기 제어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pair of driving cylinders may be synchronously controlled to simultaneously drive the backward driving roller and the backward driven roller.

이때, 상기 후진 구동 롤러와 상기 후진 종동 롤러는 전도체로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후진 구동 롤러와 종동 롤러 각각 검출 블록과 연결되며, 상기 검출 블록을 통하여 전기의 도통 여부를 검출할 수 있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At this time, the backward driving roller and the backward driven roller are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each of the backward driving roller and the driven roller is connected to a detection block, and it is possible to detect whether or not electricity is continuity through the detection block. .

이때, 상기 검출 블록은 상기 후진 구동 롤러와 후진 종동 롤러가 서로 접촉한 상태와 상기 후진 구동 롤러와 후진 종동 롤러 사이에 전선의 심선이 위치한 상태를 검출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detection block may detect a state in which the backward driving roller and the backward driven roller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a state in which a core wire of an electric wire is positioned between the backward driving roller and the backward driven roller.

이때, 상기 한 쌍의 구동 실린더와 상기 후진 구동 롤러 및 상기 후진 종동 롤러 사이에는 절연 재질의 베이스 블록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In this case, a base block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may be provided between the pair of driving cylinders, the backward driving roller, and the backward driven roller.

이때, 상기 전진 이송부의 전방에는 전방 전선 선택부가 형성되고, 상기 전선 선택부를 통과한 전선을 안내하는 노즐부가 구비될 수 있다.At this time, a front wire selection unit may be formed in front of the forward transfer unit, and a nozzle unit may be provided to guide the wire passing through the wire selection unit.

이때, 상기 전방 전선 선택부의 전단에는 상기 전선을 상기 노즐부의 중앙 홀까지 안내하는 깔때기형 가이드가 구비될 수 있다.At this time, a funnel-shaped guide for guiding the wire to the central hole of the nozzle unit may be provided at a front end of the front wire selector.

이때, 상기 노즐부의 전단과 상기 전선을 전달받아 다음 공정을 진행할 장비 사이에는 전선을 안내하는 안내관이 구비될 수 있다.At this time, a guide pipe for guiding the electric wire may be provided between the front end of the nozzle unit and equipment receiving the electric wire and performing the next process.

상기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링 하네스 장비의 전선 교체장치는, 후진 이송부에 의해 이전 작업의 전선을 후진시켜 고정시키고 다음 작업의 전선을 자동으로 프로세싱하게 되기 때문에 신속하게 전선 교체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wire replacement device of the wiring harness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verses and fixes the wire of the previous operation by the backward transfer unit and automatically processes the wire of the next operation, so that the wire replacement operation can be performed quickly. Because of this, productivity can be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링 하네스 장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링 하네스 장비의 전선 교체장치의 전방 사시도와 후방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링 하네스 장비의 전선 교체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링 하네스 장비의 전선 교체장치의 일부 구성요소인 후방 이송부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링 하네스 장비의 전선 교체장치의 일부 구성요소인 전방 이송부 부분의 평면 상세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링 하네스 장비의 전선 교체장치의 일부 구성요소인 클램프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클램프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클램프 유닛의 작동을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링 하네스 장비의 전선 교체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링 하네스 장비의 전선 교체장치의 일부 구성요소인 후방 이송부 부분의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들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링 하네스 장비의 전선 교체장치의 일부 구성요소인 후방 이송부의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iring harness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and 3 are a front perspective view and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wire replacement device for wiring harness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lan view of a wire replacement device for wiring harness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and 6 are perspective views of a rear transfer part, which is a part of a component of a wire replacement device of a wiring harness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etailed plan view of a front conveyor portion, which is a part of a component of a wire replacement device of a wiring harness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clamp unit, which is a part of a component of a wire replacement device of a wiring harness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lamp unit shown in FIG. 8;
10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clamp unit shown in FIG. 8 .
11 is a perspective view of a wire replacement device for wiring harness equipm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and 13 are perspective views viewed from different directions of a part of the rear transport part, which is a part of the wire replacement device of the wiring harness equipm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ar transfer unit, which is a part of a component of a wire replacement device of a wiring harness equipm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단어와 용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않고,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발명자가 용어와 개념을 정의할 수 있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Words and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not construed as limited in their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but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 that the inventors can define terms and concepts in order to best describe their inventions. It should be interpreted as a meaning and concept that corresponds to the technical idea.

그러므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해당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해당 구성은 본 발명의 출원시점에서 이를 대체할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가 있을 수 있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correspond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the corresponding configurations are various to replace them at the time of fil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may be equivalents and variations.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설명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are intended to describ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s not precluded.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전방", "후방", "상부" 또는 "하부"에 있다는 것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와 바로 접하여 "전방", "후방",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연결"되어 있다는 것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로 직접 연결되는 것뿐만 아니라 간접적으로 서로 연결되는 경우도 포함한다.A component being in the "front", "rear", "above" or "below" of another component means that it is in direct contact with another component, unless there are special circumstances, and is "in front", "rear", "above" or "below". It includes not only those disposed at the lower part, but also cases in which another component is disposed in the middle. In addition, the fact that certain components are “connected” to other components includes cases where they are not only directly connected to each other but also indirectly connected to each other unless there are special circumstances.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링 하네스 장비(1)의 전선 교체장치(100)를 설명한다.Hereinafter, the wire replacement device 100 of the wiring harness equipment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우선,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링 하네스 장비(1)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에 전선(2)을 교체하여 공급할 수 있는 전선 교체장치(100)가 위치하고, 전선 교체장치(100) 전방에는 공급된 전선을 가공하기 위한 장치들(200-400)이 배치되어 있다.First, referring to Figure 1, a wiring harness equipment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As shown, the wire replacement device 100 capable of replacing and supplying the wire 2 is located at the rear, and devices 200-400 for processing the supplied wire are disposed in front of the wire replacement device 100. has been

이때, 전선 교체장치(100)로부터 이송되어 프로세싱 공정으로 공급된 전선(2)은 복수개의 전선 중에 선택되는 하나의 전선이다. 여기서 전선(2)의 프로세싱 공정은 전선(2)을 절단, 탈피, 단자결합을 진행하게 된다. 즉 전선 교체장치(100) 전방 전면의 전선을 제공 받아 전선(2)의 자유단의 위치와 길이를 조절하여 프로세싱 공정에 제공하는 전선 제어부(200)가 위치하고, 그 전방에 전선(2)을 절단 및 탈피하는 장비(300)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절단 및 탈피 장비(300)의 양쪽으로는 단자를 제공하여 전선(2)에 결합시키는 프레싱 장비(400, 400')가 설치되어 두 곳, 즉 앞뒤에서 단자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신속한 프로세싱 공정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At this time, the wire 2 transported from the wire replacement device 100 and supplied to the processing process is one wire selected from among a plurality of wires. Here, the processing process of the wire 2 proceeds with cutting, stripping, and terminal bonding of the wire 2. That is, the wire control unit 200 receives the wire on the front of the wire replacement device 100, adjusts the position and length of the free end of the wire 2, and provides it to the processing process, and cuts the wire 2 in front of it. And equipment 300 for peeling is disposed. In addition, on both sides of the cutting and stripping equipment 300, pressing equipment 400, 400' for providing terminals and coupling them to the electric wire 2 is installed so that terminal bonding is performed in two places, that is, in the front and back, thereby enabling a rapid processing process. is made possible.

이러한 와이어링 하네스 장비(1)에서 프로세싱 공정이 이루어지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전선 교체장치(100)가 선택된 전선을 자동으로 교체하면서 적절한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한다.In order to carry out the processing process in this wiring harness equipment 1, the wire replacement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automatically replaces the selected wire so that appropriate work is perform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링 하네스 장비(1)의 전선 교체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10을 참고하면, 고정 프레임(110), 승강 프레임(120), 전진 이송부(130), 그리고 후진 이송부(15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S. 1 to 10, the wire replacement device 100 of the wiring harness equipment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xed frame 110, a lifting frame 120, and a forward transfer unit 130. , and includes a backward transfer unit 150.

상기 고정 프레임(110)은,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복수개의 전선 중에 선택된 전선(2)이 이송되는 프로세싱 높이가 형성되도록 전선(2)을 이송하기 위한 부재들이 구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to 4 , the fixing frame 110 may be provided with members for transferring the wire 2 such that a processing height at which the wire 2 selected from among a plurality of wires is transferred is formed.

이때, 상기 고정 프레임(110)은 프레임으로 위치가 고정되어 있고, 다른 장비와 부재들을 고정하여 지지하게 되는 프레임 역할을 수행한다.At this time, the fixed frame 110 is fixed in position as a frame, and serves as a frame to fix and support other equipment and members.

이때, 상기 고정 프레임(110)에는 수직방향을 따라서 적층되는 식으로 일정 높이마다 전선이 통과하도록 수직 방향으로 긴 홈이 형성되어 있고, 프로세싱 공정으로 제공되는 전선(2)은 이러한 복수개의 적층된 전선 중에 하나의 전선이 될 것이다. 따라서 여기서는 다양한 종류의 굵기와 종류의 전선들이 제공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고정 프레임(110)의 상부면에서 중간 부분을 가로질러 전선들이 적층될 수 있도록 가운데 부분이 절개되어 있는 긴 홈 형태를 가진다.At this time, the fixed frame 110 is formed with long grooves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wires pass through at regular heights in a manner that is stacked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wire 2 provided in the processing process is a plurality of these stacked wires. One of the wires will be Accordingly, various types of wires of various thicknesses and types can be provided here. That is, the upper surface of the fixing frame 110 has a long groove shape in which the middle part is cut so that wires can be stacked across the middle part.

상기 승강 프레임(120)은, 도 1 내지 4를 참고하면, 상기 복수개의 전선(2)이 각각 통과하는 통과 홀(121a, 123a)이 적층 형성된 전선 선택부(121, 123)가 전후방 양단에 각각 형성되고,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전선이 상기 프로세싱 높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고정 프레임(110)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to 4, the elevating frame 120 has wire selectors 121 and 123 formed by stacking passage holes 121a and 123a through which the plurality of wires 2 pass, respectively, at both front and rear ends, respectively. Any one wire formed and selected may be installed so as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fixing frame 110 so as to be positioned at the processing height.

이때, 승강 프레임(120)은 고정 프레임(110) 중간 부분의 전선(2)이 이송되는 부분에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모터 등의 구동 수단에 의해 제어되면서 승강하도록 되어 있다.At this time, the elevating frame 120 is installed so as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in the portion where the wire 2 is transported in the middle of the fixed frame 110, and is controlled by a driving means such as a motor to move up and down.

이때, 전선 선택부(121, 123)는 상기 승강 프레임(120)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승강 프레임(120)과 함께 승강하도록 되어 있고, 그에 따라 승강 프레임(120)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전선 선택부(121a, 123a)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되고, 결국에는 프로세싱 높이의 선택되는 전선을 결정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since the electric wire selectors 121 and 123 are fixed to the elevating frame 120, they move up and down together with the elevating frame 120, and accordingly, b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elevating frame 120, the wire selector ( 121a, 123a) can be adjusted in height, and consequently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selected wire of the processing height.

이때, 프로세싱 높이는 와이어링 하네스 작업 공정이 진행될 선택된 전선(2)이 위치하게 되는 높이가 된다. 상기 프로세싱 높이의 전선(2)이 전후진 이송부(130, 150)의 작동에 의해 와이어링 하네스 프로세싱 장비(1)로 전진 또는 후진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processing height becomes the height at which the selected wire 2 to be processed in the wiring harness work process is positioned. The wire 2 of the processing height is moved forward or backward to the wiring harness processing equipment 1 by the operation of the forward and backward transfer units 130 and 150 .

이때, 전선 선택부(121, 123)는 복수개의 층으로 이루어지고, 각 층에는 전선이 통과되는 통과 홀(121a, 123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전선 선택부(121, 123)는 고정 프레임(110)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구비되어 있다.At this time, the wire selection units 121 and 123 are composed of a plurality of layers, and passage holes 121a and 123a through which wires pass are formed in each layer, respectively. The wire selectors 121 and 123 are provided at the front and rear of the fixing frame 110, respectively.

이때, 전후방 전선 선택부(121, 123)의 중간 부분에는 통과하는 전선(2)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프레임(122)이 승강 프레임(120)에 고정되어 있다. 물론 상기 가이드 프레임(122)에도 동일하게 통과 홀들이 적층되도록 구비되어 통과하는 전선(2)을 이송 방향을 따라 직진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하면서 안내하게 된다. 가이드 프레임(122)은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 구비되어 전선(2)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된다.At this time, a guide frame 122 for guiding the passing wire 2 is fixed to the elevating frame 120 in the middle of the front and rear wire selectors 121 and 123 . Of course, the guide frame 122 is provided with the same through-holes, so that the passing wires 2 are supported and guided so that they can move in a straight line along the conveying direction. A plurality of guide frames 122 are provided at regular intervals to stably support the wire 2 .

상기 전진 이송부(130)는,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고정 프레임(110)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프로세싱 높이에 위치한 전선(2)을 전방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to 4 , the forward conveying unit 130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xing frame 110 and can forward the wire 2 positioned at the processing height.

이때, 상기 전진 이송부(130)는 상기 고정 프레임(110)의 전단에 설치되고, 상기 후진 이송부(150)는 고정 프레임(110)의 후단에 설치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orward transfer unit 130 may be installed at the front end of the fixed frame 110 , and the backward transfer unit 150 may be installed at the rear end of the fixed frame 110 .

이때, 상기 전진 이송부(130)는 복수개의 쌍으로 이루어진 롤러들(131-133)과 벨트(134)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복수개의 쌍으로 이루어진 롤러들(131-133)은 블록들(135)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블록들(135)은 전선(2)의 이송방향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전후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블록들(135)이 전후진함에 따라 쌍으로 작동되는 롤러들(131-133)과 벨트(134)는 서로 밀착되거나 이격된다. 물론 한 쌍의 롤러들(131-133)이 서로 밀착되거나 벨트(134)가 밀착되면 롤러(131-133)의 회전에 의해 프로세싱 높이의 전선(2)은 전진 이송되고, 롤러(131-133)의 회전이 멈출 때까지 전진 이송된다.At this time, the forward conveying unit 130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pairs of rollers 131-133 and a belt 134. The plurality of pairs of rollers 131-133 are rotatably connected to the blocks 135, and the blocks 135 are installed so as to be able to move forward and backwar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wire 2, there is. Accordingly, as the blocks 135 move forward and backward, the pair of rollers 131 to 133 and the belt 134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or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Of course, when the pair of rollers 131-133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or the belt 134 is in close contact, the wire 2 of the processing height is forward-transferred by the rotation of the rollers 131-133, and the rollers 131-133 It is fed forward until it stops rotating.

상기 후진 이송부(150)는,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고정 프레임(110)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프로세싱 높이에 위치한 전선(2)을 후방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to 6 , the backward transfer unit 150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xing frame 110 and can transfer the wire 2 located at the processing height to the rear.

이때, 상기 후진 이송부(150)는, 상기 전선(2)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회전 구동력을 전달 받아 회전됨으로써 밀착된 전선(2)을 후진 이동시키는 후진 구동 롤러(151)와, 상기 전선(2)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후진 구동 롤러(151)와 한 쌍을 이뤄 전선을 후진 이동시키는 후진 종동 롤러(151)와, 상기 후진 구동 롤러(151)와 상기 후진 종동 롤러(151)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한 쌍의 베이스 블록(152)과, 상기 베이스 블록(152)을 직선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한 쌍의 구동 실린더(152a)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backward conveying unit 150 is installed to be movabl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electric wire 2 and is rotated by receiving rotational driving force, thereby moving the electric wire 2 in close contact with the backward driving roller 151 ), and a backward driven roller 151 installed to be movabl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wire 2 and forming a pair with the backward driving roller 151 to move the wire backward, and the backward driving roller 151, a pair of base blocks 152 to which the backward driven rollers 151 are rotatably fixed, and a pair of driving cylinders 152a for driving the base blocks 152 in a linear direction. can

이때, 상기 한 쌍의 구동 실린더는(152a) 상기 후진 구동 롤러와 후진 종동 롤러(151)를 동시에 구동할 수 있도록 동기 제어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pair of driving cylinders 152a may be synchronously controlled to simultaneously drive the backward driving roller and the backward driven roller 151 .

이때, 상기 후진 이송부(150)의 롤러들(151)은 전선 교체장치(100)의 후방에 설치되어 있고, 이러한 배치에 의해 전선의 정확한 후진 거리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rollers 151 of the backward transfer unit 150 are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wire replacement device 100, and by this arrangement,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exact backward distance of the wire.

이때, 상기 전진 이송부(130)의 전방 또는 후진 이송부(150)의 후방에는 전선 선택부(121, 123)의 측면에 프로세싱 높이의 전선을 고정 또는 해제하는 클램프 유닛(160, 170)이 설치될 수 있다.At this time, clamp units 160 and 170 for fixing or releasing wires having a processing height may be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wire selection units 121 and 123 in front of the forward transfer unit 130 or behind the backward transfer unit 150. there is.

이때, 상기 클램프 유닛(160, 170)은, 도 7 내지 도 10을 참고하면, 상기 전선(2)의 이송 방향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전후진 구동되는 푸싱 부재(161)와, 상기 전선 선택부(121)의 통과 홀(121a)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형성된 록킹용 홀(121b)에 전후진 가능하게 설치되고, 도 10을 참고하면, 상기 전선(2)의 일부가 상기 푸싱 부재(161)에 의해 밀려 상기 전선(2)의 경로가 통과 홀(121a)과 나란히 일치되면 전선(2)의 이송이 가능하도록 하고, 푸싱 부재(161)가 원위치로 복귀 되었을 때 상기 전선이 통과 홀로부터 벗어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전선(2)의 이송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록킹 부재(164)와, 상기 록킹 부재(164)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 수단을 포함한다.At this time, referring to FIGS. 7 to 10, the clamp units 160 and 170 include a pushing member 161 driven forward and backwar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electric wire 2, and the electric wire selector ( 121) is installed in the locking hole 121b formed in a right angl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through hole 121a, and referring to FIG. 10, a part of the electric wire 2 is moved by the pushing member 161 When the path of the wire 2 is pushed and coincides with the through hole 121a, the wire 2 can be transported, and when the pushing member 161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the wire escapes from the through hole. It includes a locking member 164 for fixing the wire 2 so that it is not transferred, and a return means for returning the locking member 164 to its original position.

이때, 상기 복귀 수단은 상기 록킹 부재를(164) 원위치로 미는 힘을 제공하는 스프링 또는 공압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return means may be a spring or pneumatic force providing force to push the locking member 164 to its original position.

한편, 상기 전진 이송부(130)의 전방에는 전방 전선 선택부(121)가 형성되고, 상기 전선 선택부(121)를 통과한 전선(2)을 안내하는 노즐부(124)가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a front wire selection unit 121 may be formed in front of the forward transfer unit 130, and a nozzle unit 124 guiding the wire 2 passing through the wire selection unit 121 may be provided.

이때, 상기 전방 전선 선택부(121)의 전단에는 상기 전선(2)을 상기 노즐부(124)의 중앙 홀까지 안내하는 깔때기형 가이드(124a)가 구비될 수 있다.At this time, a funnel-shaped guide 124a for guiding the wire 2 to the central hole of the nozzle unit 124 may be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front wire selector 121 .

이때, 상기 노즐부(124)의 전단과 상기 전선(2)을 전달받아 다음 공정을 진행할 장비 사이에는 전선(2)을 안내하는 투명한 안내관(124b)이 구비될 수 있다.At this time, a transparent guide tube 124b for guiding the electric wire 2 may be provided between the front end of the nozzle part 124 and equipment receiving the electric wire 2 and proceeding with the next process.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링 하네스 장비(1)가 전체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전선 교체장치(100)에서 선택되는 전선(2)이 프로세싱 높이에 위치하게 되고, 전진 이송부(130)에 의해 그 전선(2)은 전선 제어부(200)에 공급되고 전선 제어부(200)에는 전선(2)의 방향을 조절하여 절단 및 탈피 장비(300)로 공급한다. 여기서, 전선(2)의 전단 일부분이 탈피되고 전선 제어부(200)는 방향을 변경하여 측면의 프레싱 장비(400, 400')로 공급한다.Referring to Figure 1, a wiring harness equipment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as a whole. The wire (2) selected in the wire changing device 100 is positioned at the processing height, and the wire (2) is supplied to the wire control unit 200 by the forward conveying unit 130, and the wire control unit 200 has the wire ( 2) is supplied to the cutting and peeling equipment 300 by adjusting the direction. Here, a portion of the front end of the wire 2 is stripped and the wire control unit 200 changes the direction and supplies it to the pressing equipment 400 and 400' on the side.

상기 프레싱 장비(400, 400')에서는 전선(2)의 탈피된 부분에 해당하는 단자를 프레싱 공정에 의해 물리적으로 결합시킨다.In the pressing equipments 400 and 400', terminals corresponding to the stripped parts of the wire 2 are physically coupled by a pressing process.

그 후, 상기 전선 제어부(200)는 원위치로 복귀하고, 전선 이송부(130)에 의해 전선(2)을 전방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전선(2)의 이송거리는 설정된 값에 따르게 되고, 절단 작업이 이루어진다. 그 다음 절단된 전선(2)의 전단부는 상술한 탈피와 프레싱 공정을 거치게 된다. 앞선 전선(2)은 상기 전선 제어부(200)의 반대편에 설치된 또 다른 전선 제어부에 의해 전선 후단부에 탈피와 프레싱 공정이 이루어진 후, 배출된다.After that, the wire control unit 200 returns to the original position, and the wire 2 is moved forward by the wire transfer unit 130 . At this time, the transfer distance of the electric wire 2 follows the set value, and the cutting operation is performed. Then, the front end of the cut wire 2 goes through the above-described peeling and pressing processes. The front wire 2 is discharged after peeling and pressing processes are per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wire by another wire control unit install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wire control unit 200.

이러한 작업을 반복하여 실시하다가 전선(2)을 다른 전선으로 교체하게 되면, 작업중이던 전선은 후진 이송부(150)에 의해 후방으로 이송된다. 즉 작업중이던 전선(2)의 전단부는 전선 제어부(200)에 위치하다가, 후진하여 전방 이송부(130)의 클램프 유닛(160)에 의해 멈추는 위치까지 후진한 다음 클램프 유닛(160, 170)에 의해 그 위치가 고정된다. 그에 따라 작업 중이던 전선(2)은 후방 클램프(170)의 뒤에 약간 늘어진 채로 멈추어 있게 된다.When the wire 2 is replaced with another wire while performing this operation repeatedly, the wire being worked is transported backward by the backward transfer unit 150 . That is, the front end of the wire 2 being worked is located at the wire control unit 200, then moves backward to the position where it is stopped by the clamp unit 160 of the front transfer unit 130, and then the clamp unit 160, 170 position is fixed. Accordingly, the electric wire (2) that was working is stopped while slightly hanging behind the rear clamp (170).

그 다음 승강 프레임(120)이 승강하여 선택되는 전선이 프로세싱 높이에 위치하도록 하고, 교체 전선을 잡고 있던 클램프 유닛(160, 170)은 해제되며 전방 이송부(130)에 의해 전선 제어부(200)로 공급되어 작업이 개시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전선의 교체 작업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되어 기계를 멈추지 않고 계속 작업이 가능하여 더욱 많은 생산량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Then, the elevating frame 120 moves up and down so that the selected wire is located at the processing height, the clamp units 160 and 170 holding the replacement wire are released, and the wire is supplied to the wire control unit 200 by the forward transfer unit 130. and work commences. In this way, the replacement of the wire is automatically performed, so that the machine can continue to work without stopping, thereby providing more production.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고정 프레임(110)의 상부면에 전선 이송을 위한 부품들이 설치되어 프로세싱 높이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프로세싱 높이에는 전방으로부터 노즐부(124), 전방 클램프(160), 전방 이송부(130), 전선을 펴주는 교정부(140), 후진 이송부(150), 그리고 후방 클램프(170)가 순서대로 설치되어 있다. 프로세싱 높이의 선택된 전선(2)은 클램프 유닛(160, 170)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가, 클램프 유닛(160, 170)이 해제되면 전방 이송부(130)에 의해 전선 이송이 시작된다. 전선(2)은 전선 교체장치(100)의 후방에서 후방 전선 선택부(123)의 통과 홀(123a)을 통과하고 후진 이송부(150)를 간섭없이 통과한 다음 가이드 프레임(122)을 통과하고, 교정부(140)에서 전선이 직선으로 펴지도록 된 후, 다시 가이드 프레임(122)을 통과한다. 그 다음 전진 이송부(130)에 의해 전방으로 계속 이동하고, 전방 전선 선택부(121)의 통과 홀(121a)을 통과한 후, 노즐부(124)를 거쳐 전선 교체장치(100)를 떠나게 된다. 전선(2)은 노즐부(124)에 연결된 안내관(124b)을 따라 전선 제어부(200)로 이송되어 프로세싱 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전선(2)의 교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전선(2)의 전단부가 전선 제어부(200)로부터 전방 클램프 유닛(160)의 위치까지 후진하도록 후진 이송부(150)가 작동하게 되고, 그 위치에서 클램프 유닛들(160, 170)에 의해 작업 중이던 전선(2)이 고정된다. 그 다음 교체될 전선이 프로세싱 높이에 위치하도록 승강 프레임(120)이 승강하여 위치를 조절한다. 프로세싱 높이에선 전선(2)의 클램프 유닛들(160, 170)은 해제되고, 전방 이송부(130)가 작동하여 새로운 교체 전선이 공급되면서 동일한 작업이 반복되어 이루어진다.Referring to FIGS. 2 and 3 , parts for wire transfer are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xing frame 110 to form a processing height. At this processing height, the nozzle unit 124, the front clamp 160, the forward transfer unit 130, the straightening unit 140 that straightens the wire, the backward transfer unit 150, and the rear clamp 170 are sequentially installed from the front. has been The wire 2 selected at the processing height is fixed by the clamp units 160 and 170, and when the clamp units 160 and 170 are released, the wire transfer is started by the forward transfer unit 130. The electric wire 2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123a of the rear electric wire selection part 123 at the rear of the wire changing device 100, passes through the backward transport part 150 without interference, and then passes through the guide frame 122, After the electric wire is straightened in the straightening unit 140, it passes through the guide frame 122 again. Then, it continues to move forward by the forward conveying part 130,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121a of the front wire selector 121, and then leaves the wire changing device 100 through the nozzle part 124. The wire 2 is transferred to the wire control unit 200 along the guide tube 124b connected to the nozzle unit 124, and processing is performed. As described above, in the replacement of the electric wire 2, the reverse transfer part 150 operates so that the front end of the electric wire 2 moves backward from the electric wire control part 200 to the position of the front clamp unit 160, and the clamp unit at that position. The wires 2 being worked on are fixed by the slabs 160 and 170. Then, the elevating frame 120 moves up and down to adjust the position so that the wire to be replaced is located at the processing height. At the processing height, the clamp units 160 and 170 of the wire 2 are released, and the same operation is repeated while the forward transfer unit 130 operates to supply a new replacement wire.

이때 작업중이던 전선(2)은 일정 거리 후진하였기 때문에 전선 교체장치(100) 후방에서 늘어질 것이다. 다만 전선을 공급하는 롤도 동일한 거리 회전하게 되면 후진 및 되감기가 이루어져 늘어진 전선을 되감아 늘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At this time, the wire 2 being worked on will hang down at the rear of the wire replacement device 100 because it has moved backward a certain distance. However, if the roll supplying the wire also rotates the same distance, it will be able to rewind and rewind the stretched wire to prevent it from being stretched.

도 4를 참고하면, 후방 클램프 유닛(170)은 전선(2)을 구속하고 있고, 그 외 다른 부품들은 전선을 해제하고 있는 상태를 보여준다. 전선(2)은 3개의 가이드 프레임(122)을 통과하면서 직선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전방 이송부(130)에 의해 최종적으로 노즐부(124)를 통하여 교체장치(100)를 떠나도록 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4 , the rear clamp unit 170 restrains the wire 2, and other parts show a state in which the wire is released. The electric wire 2 can be supported in a straight line while passing through the three guide frames 122, and finally leaves the replacement device 100 through the nozzle part 124 by the forward transfer part 130. .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후진 이송부(150)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이를 참고하면, 롤러들(151)은 베이스 블록(152)에 각각 조립되어 있기 때문에 베이스 블록(152)에 각각 연결된 구동 실린더(152a)의 작동에 따라 롤러들(151)은 서로 전선(2)으로부터 이격되거나 사이에 전선이 위치한 상태에서 밀착되도록 이동될 수 있다. 밀착된 상태에서 후진 구동 롤러(151)가 구동 모터(153)에 의해 구동 회전되면 전선(2)은 후진하게 된다. 롤러들(151)은 후진 작동 외에는 서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Referring to FIGS. 5 and 6 , the configuration of the backward transfer unit 150 is shown. Referring to this, since the rollers 151 are each assembled to the base block 152, the rollers 151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the electric wire 2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cylinders 152a connected to the base block 152, respectively. It can be spaced apart or moved so that i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electric wire located therebetween. When the reverse driving roller 151 is driven and rotated by the driving motor 153 in a closely attached state, the wire 2 moves backward. The rollers 151 remain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except for the backward operation.

도 7을 참고하면, 전방의 전선 선택부(121)와 클램프 유닛(160), 그리고 노즐부(124)가 도시되어 있다. 전방 선택부(121)를 전선(2)이 통과한 다음 노즐부(124)를 거쳐 전선 제어부(200)까지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전선 선택부(121)의 측면에는 클램프 유닛(160)이 설치되어 클램프 유닛(160)의 푸싱 부재(161)의 작동에 의해 전선(2)은 전방 전선 선택부(121)에 고정될 수 있을 것이다. 전선 교체 시에는 작업중이던 전선(2)의 전단부는 전선 제어부(200)로부터 노즐부(124)를 통하여 전선 선택부(121)까지 후진한 다음, 클램프 유닛(16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새로운 교체 전선은 승강 프레임(120)의 작동에 의해 결정되고 클램프 유닛(160, 170)의 해제에 의해 전선(2)의 전단부가 해제되고 전방 이송부(130)에 의해 교체 전선의 전단부가 깔때기형 가이드(124a)의 안내를 받아 노즐부(124)를 통과한 다음 안내관(124b)을 거쳐 전선 제어부(200)로 이송될 것이다.Referring to FIG. 7 , a front wire selection unit 121, a clamp unit 160, and a nozzle unit 124 are shown. After the wire 2 passes through the front selector 121, it moves to the wire control unit 200 via the nozzle unit 124. At this time, the clamp unit 160 is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wire selector 121, and the wire 2 can be fixed to the front wire selector 121 by the operation of the pushing member 161 of the clamp unit 160. will be. At the time of replacing the wire, the front end of the wire 2 being worked on may be reversed from the wire control unit 200 to the wire selection unit 121 through the nozzle unit 124 and then fixed by the clamp unit 160. The new replacement wire is determined by the operation of the elevating frame 120, the front end of the wire 2 is released by the release of the clamp units 160 and 170, and the front end of the replacement wire is guided by the funnel-shaped guide by the forward transfer unit 130. After passing through the nozzle part 124 under the guidance of (124a), it will be transferred to the wire control unit 200 via the guide pipe (124b).

도 8 내지 도 10을 참고하면, 클램프 유닛(160)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전방 클램프 유닛(160)이 도시되어 있고, 후방 클램프 유닛(170) 또한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클램프 유닛(160)은 푸싱 부재(161)가 구동 실린더(163)에 의해 전후진 작동되는 베이스 블록(162)에 고정되어 있고, 전단부에는 충격완화부재(161a)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푸싱 부재(161)는 록킹 부재(164)를 밀어 록킹 부재(164)의 관통 홀(164a)이 전선 선택부(121)의 통과 홀(121a)과 나란히 일치하도록 함으로써 전선(2)이 그 위치에서 고정 해제되어 이송이 가능하도록 된다. 반대로 복귀 수단에 의해 록킹 부재(164)가 복귀되면 전선이 고정된다. 복귀 수단은 전술한 바와 같이 스프링이나 공압을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는 공압을 이용하여 복귀하도록 되어 있다. 록킹 부재(164)는 전선 선택부(121)의 록킹 홀(121b)에 삽입되도록 되어 있고, 지지 블록(165)에 의해 전방이 지지되며 록킹 시, 록킹 부재(164)의 작동 거리를 제한하게 된다.8 to 10, the structure of the clamp unit 160 is shown. A front clamp unit 160 is shown, and a rear clamp unit 170 also has the same structure. The clamp unit 160 is fixed to the base block 162 on which the pushing member 161 is operated forward and backward by the driving cylinder 163, and a shock relieving member 161a is installed at the front end. The pushing member 161 pushes the locking member 164 so that the through hole 164a of the locking member 164 coincides with the through hole 121a of the wire selector 121, so that the electric wire 2 is positioned there. It is released from the fixation and transport is possible. Conversely, when the locking member 164 is returned by the return means, the wire is fixed. The return means may use a spring or pneumatic pressure as described above. Here, it is designed to return using pneumatic pressure. The locking member 164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hole 121b of the wire selector 121, the front is supported by the support block 165, and when locked, the operating distance of the locking member 164 is limited. .

전술한 전선의 교체는 통상 반 자동 또는 수동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다양한 전선이 교체되면서 작업이 이루어지는 경우, 작업 시간 중에 수동으로 전선을 교체하는 시간이 실제 작업시간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컸으나, 본 발명에서는 자동으로 전선들이 신속하게 교체되기 때문에 와이어링 하네스 장비(1)를 멈추지 않고도 교체와 작업이 신속하고 연속적으로 이루어지게 되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Since the replacement of the above-mentioned wires is usually performed semi-automatically or manually, when the work is performed while replacing various wires, the time to manually replace wires during working hours occupies a very large portion of the actual working time,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automatic Since the wires are quickly replaced, replacement and work can be performed quickly and continuously without stopping the wiring harness equipment 1, so productivity can be improved.

한편, 도 11 내지 도 1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와이어링 하네스 장비의 전선 교체장치가 도시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referring to FIGS. 11 to 14, a wire replacement device for wiring harness equipm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여기서, 전선을 후진 시키기 위한 롤러들이 전도체 재질로 이루어지고 롤러들이 밀착 접촉되어 전기 신호가 발생되거나 전선의 피복이 노출되어 롤러들에 밀착된 경우 이를 전기적으로 감지할 수 있도록 검출 블록이 구비된 점에서 전번 실시예와 차이점이 있다.Here, the rollers for reversing the wire are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and a detection block is provided to electrically detect when the rollers are in close contact and an electrical signal is generated or the coating of the wire is exposed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rollers. There is a difference from the previous embodiment.

즉, 후진 구동 롤러와 후진 종동 롤러는 전도체로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후진 구동 롤러와 종동 롤러 각각 검출 블록과 연결되며, 상기 검출 블록을 통하여 전기의 도통 여부를 검출할 수 있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That is, the backward driving roller and the backward driven roller may be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connected to each of the backward driving roller and the driven roller with a detection block, and whether electricity is continuity may be detected through the detection block.

이때, 상기 검출 블록은 상기 후진 구동 롤러와 후진 종동 롤러가 서로 접촉한 상태와 상기 후진 구동 롤러와 후진 종동 롤러 사이에 전선의 심선이 노출된 상태를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피복 불량도 감지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detection block may detect a state in which the backward driving roller and the backward driven roller contact each other and a state in which a core wire of an electric wire is exposed between the backward driving roller and the backward driven roller. Therefore, even coating defects can be detected.

이때, 상기 한 쌍의 구동 실린더와 상기 후진 구동 롤러 및 상기 후진 종동 롤러 사이에는 절연 재질의 베이스 블록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In this case, a base block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may be provided between the pair of driving cylinders, the backward driving roller, and the backward driven roller.

도 11 내지 도 14를 참고하면, 상기 검출 블록이 상기 후진 구동 롤러와 후진 종동 롤러 하부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도 14를 참고하면, 후진 구동 롤러와 후진 종동 롤러가 서로 밀착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때 상기 검출 블록들에는 전기가 흐르게 되고 이를 전기적으로 검출하여 후진 구동 롤러와 후진 종동 롤러 사이에 전선이 없음을 감지할 수 있게 된다. 만약 후진 구동 롤러와 후진 종동 롤러 사이에 피복된 전선이 있게 되면 검출 블록들에는 전기가 흐르지 않게 되어 전선이 있음을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정보에 따라 후진 구동 롤러와 후진 종동 롤러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Referring to FIGS. 11 to 14 , the detection block is installed under the reverse driving roller and the reverse driven roller, respectively. Referring to FIG. 14 , a reverse drive roller and a reverse driven roller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t this time, electricity flows through the detection blocks, and by electrically detecting it, it is possible to detect that there is no electric wire between the reverse drive roller and the reverse driven roller. If there is a covered electric wire between the reverse driving roller and the backward driven roller, electricity does not flow to the detection blocks, so that the existence of the electric wire can be detected. Depending on this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reverse driving roller and the reverse driven roller.

더불어, 소위 전선 조인트인 심선이 지나고 있는 경우도 검출 블록이 이를 검출할 수 있게 되는 바, 전선 끝단 피복을 제거 후 심선을 연결하여 재료 공급 시간을 단축하려 할 때 심선 연결 부위를 감지할 수 있게 되어 이러한 작동을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etection block can detect the case where the core wire, which is a so-called wire joint, is passing through, so that the core wire connection can be detected when trying to shorten the material supply time by removing the coating at the end of the wire and connecting the core wire. You can make this work possible.

물론, 후진 롤러들과 검출 블록에는 전기가 흐르게 되기 때문에 그 하부에 이들을 물리적으로 지지하는 베이스 블록은 아세탈과 같은 절연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Of course, since electricity flows through the reverse rollers and the detection block, a base block physically supporting them may be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such as acetal.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presented herei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ho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dd or change components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spirit. Other embodiments can be easily proposed by adding, deleting, adding, etc., but this will also be sai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 와이어링 하네스 장비
2 : 전선 100 : 전선 교체장치
110 : 고정 프레임 120 : 승강 프레임
121; 전장 전선 선택부 122 : 가이드 프레임
123 : 후방 전선 선택부 130 : 전방 이송부
140 : 교정부 150 : 후방 이송부
160 : 전방 클램프 유닛 170 : 후방 클램프 유닛
200 : 전선 제어부 300 : 절단 및 탈피 장비
400, 400': 프레싱 장비
1: Wiring harness equipment
2: wire 100: wire replacement device
110: fixed frame 120: elevating frame
121; Electric wire selection unit 122: guide frame
123: rear wire selection unit 130: front transfer unit
140: correction unit 150: rear transfer unit
160: front clamp unit 170: rear clamp unit
200: wire control 300: cutting and peeling equipment
400, 400': Pressing equipment

Claims (10)

복수개의 전선 중에 선택된 전선이 이송되는 프로세싱 높이가 형성되도록 전선을 이송하기 위한 부재들이 구비된 고정 프레임;
상기 복수개의 전선이 각각 통과하는 통과 홀이 적층 형성된 전선 선택부가 전후방 양단에 각각 형성되고,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전선이 상기 프로세싱 높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고정 프레임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승강 프레임;
상기 고정 프레임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프로세싱 높이에 위치한 전선을 전방으로 이송시키는 전진 이송부; 및
상기 고정 프레임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프로세싱 높이에 위치한 전선을 후방으로 이송시키는 후진 이송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전진 이송부와 상기 후진 이송부 사이에는 전선을 펴는 교정부가 배치되고, 상기 전진 이송부는 상기 교정부와 전방 전선 선택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후진 이송부는 상기 교정부와 후방 전선 선택부 사이에 배치된, 와이어링 하네스 장비의 전선 교체장치.
a fixing frame equipped with members for conveying wires so that a processing height is formed at which wires selected from among a plurality of wires are transferred;
An elevating frame having wire selection units having stacked passage holes through which the plurality of wires pass, respectively, at both front and rear ends, and installed to be movable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fixed frame so that a selected wire is positioned at the processing height. ;
a forward conveying unit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xed frame and forwardly conveying the wires located at the processing height; and
a backward transfer unit install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fixing frame and transporting the wire located at the processing height to the rear;
including,
A straightening unit for stretching wires is disposed between the forward transfer unit and the backward transfer unit, the forward transfer unit is disposed between the straightening unit and the front wire selector, and the backward transfer unit is disposed between the corrector and the rear wire selector. , Wire change device for wiring harness equipmen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진 이송부는 상기 고정 프레임의 전단에 설치되고, 상기 후진 이송부는 고정 프레임의 후단에 설치된, 와이어링 하네스 장비의 전선 교체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forward transfer unit is installed at the front end of the fixed frame, and the backward transfer unit is installed at the rear end of the fixed fram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진 이송부는,
상기 전선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회전 구동력을 전달 받아 회전됨으로써 밀착된 전선을 후진 이동시키는 후진 구동 롤러;
상기 전선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후진 구동 롤러와 한 쌍을 이뤄 전선을 후진 이동시키는 후진 종동 롤러;
상기 후진 구동 롤러와 상기 후진 종동 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한 쌍의 베이스 블록; 및
상기 베이스 블록을 직선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한 쌍의 구동 실린더;
를 포함하는, 와이어링 하네스 장비의 전선 교체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backward transfer unit,
a backward drive roller installed to be movabl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electric wire and rotated by receiving rotational driving force to move the electric wi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backward;
a backward driven roller installed to be movabl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electric wire and forming a pair with the backward driving roller to move the electric wire backward;
a pair of base blocks to which the backward driving roller and the backward driven roller are rotatably fixed; and
a pair of driving cylinders for driving the base block in a linear direction;
Including, the wire replacement device of the wiring harness equipment.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구동 실린더는 상기 후진 구동 롤러와 후진 종동 롤러를 동시에 구동할 수 있도록 동기 제어되는, 와이어링 하네스 장비의 전선 교체장치.
According to claim 3,
The pair of driving cylinders are synchronously controlled to simultaneously drive the backward driving roller and the backward driven roller, wire replacement device of wiring harness equipment.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후진 구동 롤러와 상기 후진 종동 롤러는 전도체로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후진 구동 롤러와 종동 롤러 각각 검출 블록과 연결되며, 상기 검출 블록을 통하여 전기의 도통 여부를 검출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와이어링 하네스 장비의 전선 교체장치.
According to claim 3,
The reverse driving roller and the backward driven roller are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the backward driving roller and the driven roller are each connected to a detection block, and the wiring harness is configured to detect whether or not electricity is continuity through the detection block. Equipment wire changer.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블록은 상기 후진 구동 롤러와 후진 종동 롤러가 서로 접촉한 상태와 상기 후진 구동 롤러와 후진 종동 롤러 사이에 전선의 심선이 노출되어 위치한 상태를 검출하는, 와이어링 하네스 장비의 전선 교체장치.
According to claim 5,
The detection block detects a state in which the backward driving roller and the backward driven roller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a state in which the core wire of the wire is exposed and located between the backward driving roller and the backward driven roller.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구동 실린더와 상기 후진 구동 롤러 및 상기 후진 종동 롤러 사이에는 절연 재질의 베이스 블록이 각각 구비된, 와이어링 하네스 장비의 전선 교체장치.
According to claim 5,
A wire replacement device for wiring harness equipment, wherein a base block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is provided between the pair of driving cylinders, the backward driving roller, and the backward driven roll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진 이송부의 전방에는 전방 전선 선택부가 형성되고, 상기 전선 선택부를 통과한 전선을 안내하는 노즐부가 구비된, 와이어링 하네스 장비의 전선 교체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front wire selection unit is formed in front of the forward transfer unit, and a nozzle unit for guiding the wires passing through the wire selection unit is provided.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전선 선택부의 전단에는 상기 전선을 상기 노즐부의 중앙 홀까지 안내하는 깔때기형 가이드가 구비된, 와이어링 하네스 장비의 전선 교체장치.
According to claim 8,
A wire replacement device for wiring harness equipment, wherein a funnel-shaped guide is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front wire selection unit to guide the wire to the central hole of the nozzle unit.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의 전단과 상기 전선을 전달받아 다음 공정을 진행할 장비 사이에는 전선을 안내하는 안내관이 구비된, 와이어링 하네스 장비의 전선 교체장치.
According to claim 8,
A wire replacement device for wiring harness equipment, wherein a guide tube for guiding the wire is provided between the front end of the nozzle unit and the equipment that receives the wire and proceeds with the next process.
KR1020200178735A 2020-12-18 2020-12-18 Cable-changing apparatus for wiring harness device KR102488278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8735A KR102488278B1 (en) 2020-12-18 2020-12-18 Cable-changing apparatus for wiring harness device
PCT/KR2021/019285 WO2022131854A1 (en) 2020-12-18 2021-12-17 Wiring harness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8735A KR102488278B1 (en) 2020-12-18 2020-12-18 Cable-changing apparatus for wiring harness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8071A KR20220088071A (en) 2022-06-27
KR102488278B1 true KR102488278B1 (en) 2023-01-13

Family

ID=82246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8735A KR102488278B1 (en) 2020-12-18 2020-12-18 Cable-changing apparatus for wiring harness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8278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85750A (en) * 1999-03-31 2000-10-13 Shin Meiwa Ind Co Ltd Automatic electric wire replacement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34512A (en) * 1996-02-29 1997-09-09 Mitsubishi Heavy Ind Ltd Cable selecting device
JP3374358B2 (en) * 1996-06-11 2003-02-04 矢崎総業株式会社 Wire selection device
JP3314626B2 (en) * 1996-09-12 2002-08-12 住友電装株式会社 Wire removal part detection device with self-diagnosis function
JP5172072B2 (en) 2003-10-28 2013-03-27 コマツクス・ホールデイング・アー・ゲー Wire processing equipmen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85750A (en) * 1999-03-31 2000-10-13 Shin Meiwa Ind Co Ltd Automatic electric wire replacement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8071A (en) 2022-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53160A (en) Apparatus for making finished wire harnesses or sub-assemblies therefor
WO2011158527A1 (en) Multiple crimped wire manufacturing device, multiple crimped wire manufacturing method, multiple wire feeding device, terminal crimping method, and terminal crimping device
EP2291317A2 (en) Cable transport device
EP0147081A2 (en) A wire length varying device in combination with apparatus for making electrical harnesses
US6961996B2 (en) Method for installing cable ends in plug housings
KR102052010B1 (en) Apparatus for inserting pin to connector
US5913469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ensuring a wire feed amount in manufacturing of wire harnesses
JP2019507078A (en) Cable processing equipment
KR102488278B1 (en) Cable-changing apparatus for wiring harness device
EP0708507B1 (en) Wire harness termination apparatus
CN111371040A (en) Method for automatically arranging cable on wiring substrate
KR102508772B1 (en) Controlling board electric wiring harness automatic manufacturing system
US5575058A (en) Connector housing supplying device
GB1587342A (en) Making cable harnesses
CN106516868B (en) Winding device capable of gradually adjusting double-line posture of cable
CN111362050A (en) Intelligent wire harness machine
JPH0765652A (en) Method for wire harness manufacture and wire harness manufacturing apparatus to realize such method
KR102378017B1 (en) Connector Jig and Conducting Wire Connecting Device and Connection Method of Such Connector Jig
CN213125011U (en) Full-automatic processing and assembling assembly line for single-core wire for connector
EP0316125B1 (en) Electrical connector high-speed welding apparatus
CN112202029A (en) Full-automatic processing and assembling assembly line for single-core wire for connector
JP4420617B2 (en) Welding equipment
JPH08236259A (en) Connector feeder of connector loading device
CN110649512A (en) Wiring device
JP7311687B2 (en) Two-dimensional robot system for supplying assembly parts to mounting machin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