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7538B1 - 테이블을 구비한 캠핑 트레일러 - Google Patents

테이블을 구비한 캠핑 트레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7538B1
KR102487538B1 KR1020220058606A KR20220058606A KR102487538B1 KR 102487538 B1 KR102487538 B1 KR 102487538B1 KR 1020220058606 A KR1020220058606 A KR 1020220058606A KR 20220058606 A KR20220058606 A KR 20220058606A KR 102487538 B1 KR102487538 B1 KR 1024875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trailer
stopper
groove
resp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86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현
Original Assignee
김기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현 filed Critical 김기현
Priority to KR10202200586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75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75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75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32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comprising living accommodation for people, e.g. caravans, camping, or like vehicles
    • B60P3/36Auxiliary arrangements; Arrangements of living accommodation;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00Extensible tables
    • A47B1/02Extensible tables with insertable leaves arranged in the centre and fixed frames
    • A47B1/03Extensible tables with insertable leaves arranged in the centre and fixed frames the leaves being foldable or revolv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00Extensible tables
    • A47B1/02Extensible tables with insertable leaves arranged in the centre and fixed frames
    • A47B1/03Extensible tables with insertable leaves arranged in the centre and fixed frames the leaves being foldable or revolvable
    • A47B2001/035Extensible tables with insertable leaves arranged in the centre and fixed frames the leaves being foldable or revolvable the extension leaves being unfold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00Extensible tables
    • A47B1/08Extensible tables with extensible frames or with additional legs
    • A47B2001/085Extensible tables with extensible frames or with additional legs with draw-leaf supported by additional le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61Accessories
    • A47B2220/0069Hinges
    • A47B2220/0072Hinges for furni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8Semi-trailers, articulate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캠핑용 트레일러를 개시한다.
구체적으로는,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의하면, 본체; 상기 본체의 후면의 우측변에 대하여 일 방향으로 회동함으로써 상기 본체의 후면을 개폐하도록 구성된 후면도어; 상기 후면으로부터 상기 본체의 내부를 향해 형성되는 테이블 수납홈; 상기 테이블 수납홈에 수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후면의 좌측변에 평행한 변에 대해 상기 일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구성된 테이블; 및 상기 본체에 부착되며, 상기 테이블과 힌지결합되는 테이블 마운트;를 포함하는, 트레일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테이블을 구비한 캠핑 트레일러{Camping Trailer Comprising Table}
본 개시는 테이블을 구비한 캠핑 트레일러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개시에 대한 배경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최근, 캠핑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면서 관련 시장이 확대되는 추세이다. 이와 더불어 캠핑에 필요한 물품의 종류와 개수가 많아지면서, 캠핑에 필요한 물품들을 개인용 차량에 모두 싣기에는 부담이 있다. 이에, 캠핑 트레일러(trailer)에 대한 요구도 증대되고 있다.
국내 등록특허 제10-2184412호는 다기능 테이블을 구비한 캠핑카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한 등록특허의 도 3을 참조하면, 슬라이딩 홈(H1)에 수납되는 테이블(12)이 개시된다. 테이블(12)은 사용되지 않을 때에는 슬라이딩 홈(H1)에 수납되어 있다가, 필요시 슬라이딩 부재를 통해 테이블(12)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캠핑카(C)의 외부로 돌출되어 나온다. 다만, 상기한 테이블(12)의 경우, 테이블(12)에 놓여야할 물건들이 많아지는 경우, 협소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국내 등록특허 제10-1992688는 캠핑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한 등록특허는 제2 서랍부(220)를 포함함으로써, 더 넓은 사용면적을 제공할 수 있는 캠핑 장치를 개시한다. 다만, 이러한 캠핑 장치는 차량의 내부에 설치되기에, 차량 내에 앉을 수 있는 공간이 없어져서 사용에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테이블을 조정할 수 없다는 불편함이 있다.
이에, 본 개시는 수납공간은 최소화하면서도 사용 면적이 넓은 테이블을 포함하는 트레일러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개시는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테이블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트레일러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의하면, 본체; 상기 본체의 후면의 한 변에 대하여 일 방향으로 회동함으로써 상기 본체의 후면을 개폐하도록 구성된 후면도어; 상기 후면으로부터 상기 본체의 내부를 향해 형성되는 테이블 수납홈; 상기 테이블 수납홈에 수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후면의 한 변에 평행한 다른 한 변에 대해 상기 일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구성된 테이블; 및 상기 본체에 부착되며, 상기 본체와 상기 테이블을 힌지결합시키는 테이블 마운트;를 포함하는, 트레일러를 제공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 개시의 상기 본체는, 상기 테이블 수납홈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후면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돌출 형성되며 상기 후면도어의 하단에 위치하는 데크를 포함하고, 상기 데크 상에는 상기 테이블의 회동방향을 따라 형성된 가이드부재가 형성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 개시의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가이드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가이드부재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메인 가이드홈; 상기 메인 가이드홈의 중간에 형성되며, 상기 메인 가이드홈의 폭보다 더 큰 폭을 가지는 제1 고정홈; 및 상기 메인 가이드홈의 일단에 형성되며, 상기 메인 가이드홈의 폭보다 더 큰 폭을 가지는 제2 고정홈;을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 개시의 상기 테이블은, 상기 테이블의 일 측면에 부착되는 스토퍼 마운트; 상기 스토퍼 마운트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메인 가이드홈에 개재되도록 형성된 스토퍼; 및 상기 스토퍼 마운트 및 상기 스토퍼의 사이에 배치되는 스프링;을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 개시의 상기 테이블은, 제1 테이블; 및 상기 제1 테이블과 테이블 연결부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제1 테이블의 한 변에 대하여 회동하도록 구성된 제2 테이블을 포함하되, 상기 제2 테이블은 상기 제1 테이블에 대해 회동각이 0도인 상태에서 상기 테이블 수납홈에 수납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 개시의 상기 테이블은 상기 제2 테이블의 하면에 부착되며 상기 제2 테이블의 일면에 대해 하방으로 회동하도록 구성되는 테이블 다리를 더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 개시의 트레일러는 지면으로부터 상기 테이블 수납홈까지의 높이가 상기 테이블 다리의 높이와 같거나 높게 형성되도록, 상기 테이블 다리의 높이가 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 개시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테이블은, 상기 테이블의 일면에 부착되며, 일부가 상기 테이블 마운트에 대해 회동하도록 형성된 스토퍼 마운트; 및 상기 스토퍼 마운트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테이블 마운트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체결홀에 삽입되도록 형성된 스토퍼;를 포함하는, 트레일러를 제공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 개시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체결홀은, 상기 테이블 마운트의 일면에서 등간격으로 형성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 개시의 제3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테이블은, 제1 테이블; 및 상기 제1 테이블과 테이블 연결부를 통해 힌지결합되되, 상기 제1 테이블의 상면의 수직축에 대하여 회동하도록 구성된 제2 테이블을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 개시의 제4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테이블은, 제1 테이블; 및 상기 제1 테이블과 테이블 연결부를 통해 연결되되, 상기 제1 테이블에 대하여 슬라이딩하여 이동하도록 구성된 제2 테이블을 포함한다.
또한, 본 개시의 제5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 상기 본체의 후면의 한 변에 대하여 일 방향으로 회동함으로써 상기 본체의 후면을 개폐하도록 구성된 후면도어; 상기 후면으로부터 상기 본체의 내부를 향해 형성되는 테이블 수납홈; 상기 테이블 수납홈에 수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테이블 수납홈으로부터 슬라이딩되어 이동하도록 구성된 테이블; 및 상기 테이블 수납홈과 상기 테이블을 결합시키는 레일 형상의 테이블 마운트를 포함하되, 상기 테이블은, 제1 테이블; 및 상기 제1 테이블과 테이블 연결부를 통해 힌지결합되되, 상기 제1 테이블의 상면의 수직축에 대하여 회동하도록 구성된 제2 테이블을 포함하는 트레일러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트레일러는 수납공간은 최소화하면서도 사용 면적이 넓은 테이블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위치로 테이블을 조정할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트레일러의 후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트레일러의 후면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이 전개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재를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이 전개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마운트를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개시의 제3 실시예 내지 제5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의 전개방식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개시에 따른 실시예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i), ii), a), b) 등의 부호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부호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부호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 또는 차례나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명시적으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개시에서, "상방(upward)"은, 도 1에 도시된 z축의 양의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본 개시에서, "후방(backward)"은, 도 1에 도시된 y축의 양의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본 개시에서 "좌측(left side)"은, 도 1에 도시된 x축의 양의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본 개시에서 "수직축(vertical axis)"은, 도 1에 도시된 z축에 평향한 축을 의미한다.
또한, 본 개시에서, "수평축(horizontal axis)"은, 도 1에 도시된 x축 또는 y축에 평행한 축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트레일러의 후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트레일러의 후면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트레일러(1)의 구조를 설명한다.
트레일러(1)는 본체(10) 및 본체(10)의 후면을 개폐하도록 구성된 후면도어(11)를 포함한다.
본체(10)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한 수용공간에는 캠핑을 위한 도구 및 시설들이 배치될 수 있다. 본체(10)의 후면에는 본체(10)의 후면을 개폐하도록 구성된 후면도어(11)가 형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도어(11)는 본체(10)와 힌지결합하여, 일축에 대해 회동하도록 구성된다. 후면도어(11)가 개방되면, 테이블 수납홈(12)이 본체(10)의 내부에 형성된 것이 보인다. 테이블 수납홈(12)에는 테이블(100)이 수납되어 있다. 한편, 테이블 수납홈(12)의 높이는 테이블(100)의 높이를 감안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테이블(100)의 높이는 70 cm 내지 80 cm 인 것이 바람직한바, 테이블 수납홈(12)의 높이는 지면으로부터 70 cm 내지 80 cm의 높이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에서 후면도어(11)는 본체(10) 후면의 우측변에 힌지결합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후면도어(11)는 본체(10) 후면의 좌측변에 힌지결합 하도록 결합할 수도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후면도어(11)가 본체(10) 후면의 우측변에 힌지결합 하는 것으로 상정하여 설명함에 유의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이 전개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재를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개시의 본체(10)의 구성, 테이블(100)의 구성, 및 테이블(100)과 본체(10)의 결합관계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체(10)에는 테이블 마운트(14)가 부착된다. 테이블 마운트(14)를 통해 테이블(100)은 본체(10)에 힌지결합되어, 본체(10)의 높이방향 축(본체(10)의 후면의 우측변)을 중심으로 일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다. 한편, 테이블 마운트(14)는, 후면도어(11)의 회전축과 평행하도록 형성되되, 후면도어(11)의 회동방향과 테이블(100)의 회동방향은 반대방향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테이블 마운트(14)는 후면도어(11)가 본체(10)와 결합된 우측변의 반대 방향인 좌측변에 부착된다. 이로 인해, 후면도어(11)가 개방된 후, 테이블 수납홈(12)으로부터 테이블(100)이 회동할 때 상호 간섭이 없이 회동할 수 있다.
본 개시의 트레일러(1)는 데크(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데크(13)는 본체(10)의 후면에 형성되어, 후방을 향해 더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데크(13)는 본체(10)의 테이블 수납홈(12)보다 하부에 형성되어 있다.
데크(13)가 후면도어(11)의 하단에 위치함으로써, 후면도어(11)를 지지하며 안전성을 더 높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후면도어(11)의 내부에는 수납공간 등이 형성되어 부피가 크고, 수납이 이루어질 경우 하중이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도 후면도어(11)가 폐쇄된 상태에서 데크(13)가 후면도어(11)를 지지할 수 있어, 안정성이 증대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데크(13)가 일정 폭만큼 후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고, 해당 폭만큼 테이블(100)을 지지하는 힘을 가질 수 있다. 이로 인해, 테이블(100) 상에 무거운 물건들이 올려져 테이블(100)에 가해지는 하중이 크더라도, 안정성 있게 테이블(100)을 지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데크(13)의 돌출되어 있는 폭이, 후면도어(11)의 두께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트레일러(1)의 주행 시 주행 안전성이 증대될 수 있다.
데크(13) 상에는 가이드부재(200)가 형성된다. 가이드부재(200)는 테이블(100)의 회동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테이블(100)의 회동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이를 위하여, 가이드부재(200)는 원호(arc) 형상으로 형성된다. 가이드부재(200)는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데크(13)가 목재로 형성되는 경우, 가이드부재(200)가 금속으로 형성됨으로써, 스토퍼(140)에 의해 데크(13)에 가해지는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강도가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
가이드부재(200)는, 메인 가이드홈(220), 제1 고정홈(240) 및 제2 고정홈(260)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한다.
메인 가이드홈(220)은, 가이드부재(200)의 중앙에 형성되며, 가이드부재(200)의 전체 형상과 마찬가지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메인 가이드홈(220)에 스토퍼(140)의 일단이 삽입되며, 메인 가이드홈(220)을 따라 스토퍼(140)가 이동할 수 있다.
제1 고정홈(240)은 메인 가이드홈(220)의 일부에 형성된다. 제1 고정홈(240)은 메인 가이드홈(220)의 폭보다 큰 폭을 가지며, 스토퍼(140)의 일단이 개재되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메인 가이드홈(220)에 대해 돌출형성된 제1 고정홈(240)의 일부에 스토퍼(140)의 일단이 개재됨으로써 스토퍼(140)가 제1 고정홈(240)의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다. 제1 고정홈(240)이 메인 가이드홈(220)의 길이 중 절반에 해당하는 부분에 형성된다면, 제1 고정홈(240)에 스토퍼(140)가 고정된 경우 테이블(100)이 절반만 이동한 상태일 것이다. 예컨대, 메인 가이드홈(220)의 중심각이 180도이고, 제1 고정홈(240)의 중심각이 90도라면 제1 고정홈(240)에 스토퍼(140)가 개재되어 고정될 경우 테이블(100)의 회전각은 90도가 될 수 있다.
제2 고정홈(260)은, 메인 가이드홈(220)의 단부에 형성된다. 제2 고정홈(260)은 메인 가이드홈(220)의 폭보다 큰 폭을 가지며, 스토퍼(140)의 일단이 개재되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 메인 가이드홈(220)에 대해 돌출형성된 제2 고정홈(260)의 일부에 스토퍼(140)의 일단이 개재됨으로써 스토퍼(140)가 제2 고정홈(260)의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다. 제2 고정홈(260)은 메인 가이드홈(220)의 길이 중 가장 긴 부분에 해당하는 부분에 형성되기에, 제2 고정홈(260)에 스토퍼(140)가 고정되면, 테이블(100)이 전부 이동한 상태일 것이다.
테이블(100)은 제1 테이블(110), 제2 테이블(120), 테이블 연결부(130) 및 스토퍼(140)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한다.
제1 테이블(110)과 제2 테이블(120)은 테이블 연결부(130)를 통해 연결된다. 또한, 제2 테이블(120)은 테이블 연결부(130)에 형성된 테이블 힌지(132)에 의해 제1 테이블(110)의 한 변에 대하여 회동할 수 있다. 즉, 제2 테이블(120)은 제1 테이블(110)에 대해 회동각이 0도인 상태(즉, 접혀진 상태)에서 테이블 수납홈(12)에 수납되어 있다가, 테이블 수납홈(12)으로부터 꺼내어져 제1 테이블(110)에 대해 회동함으로써 펼쳐진다.
한편, 테이블(100)이 제1 테이블(110) 및 제2 테이블(120)을 포함하고, 제2 테이블(120)이 제1 테이블(110)에 대해 회동하도록 구성됨으로써, 테이블(100) 수납 시에는 작은 공간에 집약적으로 수납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테이블(100)을 사용 시에는, 제2 테이블(120)이 펼쳐지기에 더 큰 공간을 사용할 수 있어, 테이블(100)의 사용 면적이 배가될 수 있다.
스토퍼(140)는 제1 테이블(110)의 일 측면에 부착되며, 가이드부재(200)를 따라 테이블(100)의 회동을 가이드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스토퍼(140)는 스토퍼 마운트(142), 스프링(144) 및 가이드돌기(146)를 포함한다.
스토퍼 마운트(142)는 제1 테이블(110)의 일 측면에 부착되고, 스토퍼 마운트(142)에는 스토퍼(140)가 장착될 수 있다. 스토퍼 마운트(142)는 제1 테이블(110)에 볼팅체결되거나 접착되어 있을 수 있다. 스토퍼(140)는 스토퍼 마운트(142)를 관통하도록 배치되며, 스토퍼(140)와 스토퍼 마운트(142)의 사이에는 스프링(144)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스프링(144)은 스토퍼(140)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구성된다.
스토퍼(140)에 아무런 힘이 가해지지 않으면 스토퍼(140)는 하방으로 이동한다(도 4의 (a) 참조). 이러한 상황에서는 스프링(144)에 의해 스토퍼(140)의 일단에 형성된 가이드돌기(146)가 가이드부재(200)에 개재되어 있고, 가이드부재(200)를 따라 테이블(100)이 이동한다. 테이블(100)이 테이블 수납홈(12)에 전부 수납되어 있는 상태에서, 스토퍼(140)는 데크(13)에 형성된 정지홈(stopping groove, 미도시)에 삽입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정지홈(미도시)은 데크(13)에 함몰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테이블(100)이 의도치 않게 테이블 수납홈(12)으로부터 이탈되어 회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스토퍼(140)가 상방으로 이동하면, 스프링(144)이 압축된다((도 4의 (b) 참조). 이로 인해, 가이드돌기(146)는 메인 가이드홈(220)으로부터 이격되고, 테이블(100)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가이드돌기(146)가 정지홈으로부터 벗어나게 되면, 사용자는 스토퍼(140)에 가하는 힘을 해제하고, 가이드돌기(146)는 다시 메인 가이드홈(220)에 개재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이 전개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테이블(100)이 절반만 전개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때, 스토퍼(140)는 제1 고정홈(240)에 개재되어 있는 상태이다.
또한, 도 6은 본 개시의 테이블(100)이 끝까지 전개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때, 스토퍼(140)는 제2 고정홈(260)에 개재되어 있는 상태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테이블(100)은 테이블 다리(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테이블(120)이 제1 테이블(110)에 대해 접힌 상태에서 펼쳐지게 되면, 제2 테이블(120)의 하중을 테이블 마운트(14)가 전부 부담하게 된다. 이로 인해, 테이블 마운트(14)에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여기서, 테이블 마운트(14)에 발생할 수 있는 손항이라 함은, 테이블 마운트(14)에 가해지는 지속적인 하중으로 인한 변형 및 마모를 의미한다. 한편, 제2 테이블(120)의 하면에 테이블 다리(150)가 부착될 경우, 제2 테이블(120)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테이블 마운트(14)의 손상을 방지하고, 제2 테이블(120)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테이블 다리(150)는 제2 테이블(120)의 하면에 부착되며 제2 테이블(120)의 일 면에 대하여 회동하도록 구성된다. 이로 인해, 제2 테이블(120)의 일면에 평행하도록 테이블 다리(150)가 접힌 상태에서 테이블(100)이 테이블 수납홈(12)에 수납될 수 있다. 또한, 테이블 다리(150)가 있는 경우, 테이블 수납홈(12)은, 테이블 다리(150)의 높이보다 같거나 높게 형성될 것이다.
추가적으로, 테이블 다리(150)는 높이가 조절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경사가 있는 지형에서도 테이블(100)의 수평을 맞출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한편, 도 5 및 도 6은 테이블(100)의 배치 각도가 여러가지일 수 있음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인바, 반드시 테이블(100)이 데크(13)에 대해 90도(도 5) 또는 180도(도 6)로 배치될 필요는 없다. 제1 고정홈(240) 및 제2 고정홈(260)의 개수 및 위치에 따라, 테이블(100)이 고정될 수 있는 위치는 달라질 수 있음에 유의한다.
도 7은 본 개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마운트를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트레일러(1')는, 데크(13'), 테이블 마운트(14') 및 테이블(100')을 포함한다.
이때, 테이블 마운트(14')와 스토퍼 마운트(142')는 일체형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테이블 마운트(14')는 트레일러(1')의 본체에 부착되며, ㄷ자형의 브라켓 형상일 수 있다.
스토퍼 마운트(142')는 테이블(100')의 일면에 부착되며, 일부가 테이블 마운트(14')와 힌지결합되어 테이블 마운트(14')에 대하여 회동하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하여, 스토퍼 마운트(142')는 대략 ㄴ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스토퍼 마운트(142')와 테이블 마운트(14')는 볼팅체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다.
스토퍼(140')는, 스토퍼 마운트(142')를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스토퍼(140')는 스토퍼 마운트(142')를 관통함과 동시에 테이블 마운트(14')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체결홀(144')에 삽입될 수 있다. 체결홀(144')은, 테이블 마운트(14')의 일면에 형성되며,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만약 3개의 체결홀(144')이 테이블 마운트(14')에 형성되어 있다면, 사용자는 테이블(100')을 총 4 단계로 회동 및 고정시킬 수 있을 것이다. 그 중 가운데 체결홀(144')에 스토퍼(140')가 삽입되면, 도 5에 도시된 테이블의 상태처럼, 테이블(100')은 90도 회전된 상태일 수 있다. 또한, 가장 마지막(여기서, 마지막은 테이블이 가장 많이 회동했을 때 스토퍼가 체결되는 위치를 의미한다)의 체결홀(144')에 스토퍼(140')가 삽입되면, 도 6에 도시된 테이블의 상태처럼, 테이블(100')은 180도 회전된 상태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트레일러(1')의 경우, 데크(13')에 별도의 가이드부재가 형성되어 있을 필요가 없다. 이는, 하나 이상의 체결홀(144')에 스토퍼(140')가 삽입됨으로써 테이블(100')이 해당 위치에 적절히 고정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트레일러(1')의 중량이 감소하고, 사용부재의 감소로 인해 생산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개시의 제3 실시예 내지 제5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의 전개방식을 도시한 것이다.
본 개시의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은 본체로부터 꺼내질 때 본체와 테이블의 힌지결합에 의해 테이블이 수직축에 대해 회동하면서 꺼내진다. 또한, 제1 테이블과 제2 테이블이 펼쳐질 때, 힌지결합에 의해 제2 테이블이 수평축에 대해 회동하면서 펼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도 8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3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800)은, 본체(80)로부터 꺼내질 때 본체(80)와 테이블(800)의 힌지결합에 의해 테이블(800)이 수직축에 대해 회동하면서 꺼내진다(도 8의 (a) 및 (b) 참조). 또한, 제1 테이블(810)과 제2 테이블(820)이 펼쳐질 때, 제2 테이블(820)이 제1 테이블(810)에 대해 슬라이딩되면서 펼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도 8의 (c) 참조). 구체적으론, 제2 테이블(820)이 제1 테이블(810)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다가, 슬라이딩부재(미도시)에 의해 제1 테이블(810)에 대해 돌출되는 서랍식 이동이 가능하다.
또한, 도 9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900)은, 본체(90)로부터 꺼내질 때, 본체(90)와 테이블(900)의 힌지결합에 의해 테이블(900)이 수직축에 대해 회동하면서 꺼내진다(도 9의 (a) 및 (b) 참조). 또한, 제1 테이블(910)과 제2 테이블(920)이 펼쳐질 때, 제2 테이블(920)이 제1 테이블(910)과의 힌지결합에 의해 제2 테이블(920)이 수직축에 대해 회동하면서 펼쳐진다(도 9의 (c) 참조). 즉, 제4 실시예의 제2 테이블은, 제1 및 제2 실시예의 제2 테이블이 수평축에 대해 회동하는 것과는 달리, 수직축에 대해 회동한다는 차이점이 있다.
또한, 도 10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1000)은, 본체(10')로부터 꺼내질 때, 테이블(1000)이 본체(10')에 대해 슬라이딩되면서 꺼내진다(도 10의 (a) 및 (b) 참조). 또한, 제1 테이블(1010)과 제2 테이블(1020)이 펼쳐질 때, 제2 테이블(1020)이 제1 테이블(1010)에 대해 수직축에 대해 회동하면서 펼쳐진다(도 10의 (c) 참조). 제5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1000)은, 제1 내지 제4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이 본체와 힌지결합하는 것과는 달리, 슬라이딩되도록 결합되어 있기에, 제5 실시예의 테이블 마운트(미도시)는 레일 형식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트레일러
10, 10': 본체
11: 후면도어
12: 테이블 수납홈
13, 13': 데크
14, 14': 테이블 마운트
100, 800, 900, 1000: 테이블
110, 810, 910, 1010: 제1 테이블
120, 820, 920, 1020: 제2 테이블
130: 테이블 연결부
132: 테이블 힌지
140, 140': 스토퍼
142, 142': 스토퍼 마운트
144: 스프링
144': 체결홀
146: 가이드돌기
150: 테이블 다리
200: 가이드부재
220: 메인 가이드홈
240: 제1 고정홈
260: 제2 고정홈

Claims (12)

  1. 본체;
    상기 본체의 후면의 한 변에 대하여 일 방향으로 회동함으로써 상기 본체의 후면을 개폐하도록 구성된 후면도어;
    상기 후면으로부터 상기 본체의 내부를 향해 형성되는 테이블 수납홈;
    상기 테이블 수납홈에 수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후면의 한 변에 평행한 다른 한 변에 대해 상기 일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구성된 테이블; 및
    상기 본체에 부착되며, 상기 본체와 상기 테이블을 힌지결합시키는 테이블 마운트;를 포함하되,
    상기 일 방향과 상기 반대 방향은 지면에 수직한 축에 대한 회동 방향이고,
    상기 본체는, 상기 테이블 수납홈의 하부에 상기 후면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돌출 형성되며 되며 상기 후면도어의 하단에 위치하는 데크를 포함하고,
    상기 데크는 상기 후면도어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후면도어를 지지하며, 상기 테이블이 상기 테이블 수납홈으로부터 꺼내지면 상기 테이블을 지지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데크의 돌출 폭은 상기 후면도어의 두께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데크 상에는 상기 테이블의 회동방향을 따라 형성된 가이드부재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가이드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가이드부재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메인 가이드홈; 및
    상기 메인 가이드홈의 절반 지점에 형성되며, 상기 메인 가이드홈의 폭보다 더 큰 폭을 가지는 제1 고정홈;을 포함하고,
    상기 테이블은 상기 테이블의 일 측면에 부착되는 스토퍼 마운트; 및
    상기 스토퍼 마운트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메인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거나, 상기 제1 고정홈에 고정되도록 형성된 스토퍼;를 포함하는,
    트레일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메인 가이드홈의 일단에 형성되며, 상기 메인 가이드홈의 폭보다 더 큰 폭을 가지는 제2 고정홈;을 더 포함하는,
    트레일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은,
    상기 스토퍼 마운트 및 상기 스토퍼의 사이에 배치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트레일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은,
    제1 테이블; 및
    상기 제1 테이블과 테이블 연결부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제1 테이블의 한 변에 대하여 회동하도록 구성된 제2 테이블을 포함하되,
    상기 제2 테이블은 상기 제1 테이블에 대해 회동각이 0도인 상태에서 상기 테이블 수납홈에 수납되는,
    트레일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은 상기 제2 테이블의 하면에 부착되며 상기 제2 테이블의 일면에 대해 하방으로 회동하도록 구성되는 테이블 다리를 더 포함하는,
    트레일러.
  7. 제6항에 있어서,
    지면으로부터 상기 테이블 수납홈까지의 높이가 상기 테이블 다리의 높이와 같거나 높게 형성되도록, 상기 테이블 다리의 높이가 조절되는,
    트레일러.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은,
    제1 테이블; 및
    상기 제1 테이블과 테이블 연결부를 통해 힌지결합되되, 상기 제1 테이블의 상면의 수직축에 대하여 회동하도록 구성된 제2 테이블을 포함하는,
    트레일러.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은,
    제1 테이블; 및
    상기 제1 테이블과 테이블 연결부를 통해 연결되되, 상기 제1 테이블에 대하여 슬라이딩하여 이동하도록 구성된 제2 테이블을 포함하는,
    트레일러.
  12. 삭제
KR1020220058606A 2022-05-12 2022-05-12 테이블을 구비한 캠핑 트레일러 KR1024875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8606A KR102487538B1 (ko) 2022-05-12 2022-05-12 테이블을 구비한 캠핑 트레일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8606A KR102487538B1 (ko) 2022-05-12 2022-05-12 테이블을 구비한 캠핑 트레일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7538B1 true KR102487538B1 (ko) 2023-01-11

Family

ID=84892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8606A KR102487538B1 (ko) 2022-05-12 2022-05-12 테이블을 구비한 캠핑 트레일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7538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23840A (ja) * 1995-08-29 1997-05-13 Toyota Auto Body Co Ltd 車両用スイングハンガー
US20100319742A1 (en) * 2005-10-14 2010-12-23 Prusmack A Jon Multi-purpose towed trailer and collapsible shelter used therewith
KR101559870B1 (ko) * 2014-09-04 2015-10-26 엄태건 해치백 차량에 설치되는 캠핑장비
KR20190030304A (ko) * 2017-09-14 2019-03-22 신동준 캠핑 확장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캠핑카
KR200491235Y1 (ko) * 2019-09-03 2020-03-06 조정미 가변형 보조테이블이 구비된 가구
KR20200001824U (ko) * 2019-02-08 2020-08-19 김주희 실내외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싱크대가 설치된 캠핑카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23840A (ja) * 1995-08-29 1997-05-13 Toyota Auto Body Co Ltd 車両用スイングハンガー
US20100319742A1 (en) * 2005-10-14 2010-12-23 Prusmack A Jon Multi-purpose towed trailer and collapsible shelter used therewith
KR101559870B1 (ko) * 2014-09-04 2015-10-26 엄태건 해치백 차량에 설치되는 캠핑장비
KR20190030304A (ko) * 2017-09-14 2019-03-22 신동준 캠핑 확장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캠핑카
KR20200001824U (ko) * 2019-02-08 2020-08-19 김주희 실내외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싱크대가 설치된 캠핑카
KR200491235Y1 (ko) * 2019-09-03 2020-03-06 조정미 가변형 보조테이블이 구비된 가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45723B2 (en) Folding and tilting table
US8359982B2 (en) Self-stowing support table with articulating arm
RU2696189C2 (ru) Система ящика для хранения (варианты),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и способ обеспечения дополнительного отделения для хранения
US6082805A (en) Multi-purpose recreational vehicle seat having storage compartment access
US20060282983A1 (en) Sprung hinge for supporting a closure element
US20210177136A1 (en) Work station having a multi-purpose work surface
US11466497B2 (en) Dampening hinges and table assemblies including the same
CA3136998A1 (en) Support device
KR102487538B1 (ko) 테이블을 구비한 캠핑 트레일러
US3186761A (en) Movable chair
US6883438B2 (en) Mounting assembly
KR101610582B1 (ko) 자동차용 2단 러기지 룸 어셈블리
CN112078459A (zh) 一种座椅扶手翻转桌面
KR101073198B1 (ko) 장애인용 관람 의자
US9969444B2 (en) Vehicle cargo area divider work surface
CN113727627A (zh) 可旋转的壁橱柜拉出元件
US5460104A (en) Stowable table
KR101847351B1 (ko) 의자 일체형 테이블
CN115027338B (zh) 用于车辆的桌板机构及车辆
KR200480068Y1 (ko) 폴딩도어의 이동유닛 구조
KR100463151B1 (ko) 자동차의 루프 랙
US20240010135A1 (en) Folding vehicle rack system
CN213640056U (zh) 一种车载式笔记本电脑工作台
CN213524291U (zh) 具有翻转桌面板的桌子、支撑支架及滑动解锁式折叠支架
CN219270392U (zh) 一种房车折叠桌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