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7286B1 - 연단기 - Google Patents

연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7286B1
KR102487286B1 KR1020220038602A KR20220038602A KR102487286B1 KR 102487286 B1 KR102487286 B1 KR 102487286B1 KR 1020220038602 A KR1020220038602 A KR 1020220038602A KR 20220038602 A KR20220038602 A KR 20220038602A KR 102487286 B1 KR102487286 B1 KR 1024872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coupled
drum
main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8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진규
Original Assignee
강진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진규 filed Critical 강진규
Priority to KR10202200386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72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72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72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HMARKING, INSPECTING, SEAMING OR SEVERING TEXTILE MATERIALS
    • D06H7/00Apparatus or processes for cutting, or otherwise severing, specially adapted for the cutting, or otherwise severing, of textile materials
    • D06H7/04Apparatus or processes for cutting, or otherwise severing, specially adapted for the cutting, or otherwise severing, of textile materials longitudinal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00Applying liquids, gases or vapours onto textile material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or impregnating
    • D06B1/02Applying liquids, gases or vapours onto textile material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or impregnating by spraying or project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3/00Stretching, tentering or spreading textile fabrics; Producing elasticity in textile fabrics
    • D06C3/06Stretching, tentering or spreading textile fabrics; Producing elasticity in textile fabrics by rotary disc, roller, or like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단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원단을 다단으로 연속 적층하되, 이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원단 상의 주름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연단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연단기{Automatic spreading machine}
본 발명은 연단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원단을 다단으로 연속 적층하되, 이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원단 상의 주름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연단기에 관한 것이다.
연단기란, 길게 제조된 직물 등의 원단을 일정한 길이로 펼쳐 절단하는 연단작업을 자동으로 수행하기 위한 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연단기는 원단이 감겨 져 있는 본체부를 베이스부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베이스부의 상부로 원단을 다단으로 펼쳐 적층할 수 있도록 된것이 특징이다.
그러나, 일반적인 연단기의 경우 베이스부의 상면에 원단을 다단으로 적층하게될 때 정전기나 기타 원단의 표면에 형성된 점성에 의해 주름이 발생하게 되어, 원단을 균일하게 펼쳐 적층하는 것이 한계가 있었다.
이에, 연단기의 작동과는 별개로, 작업자가 직접 본체부의 이동 중간 중간에 막대 등을 이용하여 주름진 원단을 일일이 풀어 내는 작업을 수작업으로 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연단기를 이용한 원단의 연단작업이 비효율적으로 이루어지고, 불필요한 작업시간과 작업비용이 증대 되는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그리하여,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공개특허 제10-2019-0005807호(이하, 종래기술이라 함)에는 원단을 펼치는 과정에서 원단의 주름 형성을 억제하는 연단기와 관련된 기술이 제안된 바 있지만, 이러한 종래기술 역시, 원단에 형성된 과도한 주름이나, 마주하는 원단 사이에 심한 기포가 개재되면, 이를 해소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공개특허 제10-2019-0005807호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원단이 연속적으로 적층되는 과정에서 원단을 하부를 향해 가압하여 원단과 원단 사이에 개재된 기포를 밀어내는 방식으로 제거하여 원단이 보다 밀도 있게 적층되어질 수 있도록 하되, 원단을 과도하게 가압함으로써 원단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전구조를 갖춘 연단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 전후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으로 원단을 배출하는 배출부 및 상기 배출부와 연결 설치되며 배출부의 전후 방향 이동시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으로 배출된 원단을 상부에서 가압하여 주름을 펴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연단기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배출부의 전방에 연결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대; 상기 한 쌍의 지지대 상에 거치되는 메인회전축; 및 상기 메인회전축을 중앙에 두고 복수 개가 등각도로 회전 배열되며 상기 메인회전축에 스포크를 매개로 결합되며 베이스부의 상면으로 배출된 원단의 상면에 접촉되는 복 수 개의 회전드럼;을 포함하며, 상기 메인회전축을 일정 각도 회전시켜 복수 개의 회전드럼 중 적어도 둘 이하를 원단의 상면에 접촉 가능하게 배치시키며, 상기 복수 개의 회전드럼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은 원단에 접촉시 외주면이 탄성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회전드럼은, 90도 간격으로 이격된 제1 드럼 및 제2 드럼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드럼 및 제2 드럼은 각각, 양 단이 상기 스포크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코어롤; 상기 코어롤의 외측으로 결합되며 외주면에 복수 개의 설치구가 함몰 형성되 는 원통형 슬리브; 상기 복수 개의 설치구 각각의 대응개소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제1 탄성스프링; 판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복수 개의 제1 탄성스프링 각각의 끝단에 결합되 는 복수 개의 가압편; 및 상기 슬리브의 외측으로 씌워지는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가압편 각각의 제1 탄성스프링이 결합되는 반대측 외측면에 는 탄성패드가 결합되며, 상기 한 쌍의 지지대는 각각, 연결프레임; 및 상기 연결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메인회전축의 끝단을 지지한 채 메인회전축을 상하로 승강시키는 제1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액츄에이터는, 실린더 몸체; 상기 실린더 몸체에서 신장 가능하게 작동하는 로드; 및 상기 로드의 상단에 결합되며 내부로 결합된 메인회전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 지하는 베어링;을 포함하며, 상기 메인회전축의 외주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45도 간격으로 걸림홈이 함몰 형성되며 상기 베어링의 내륜 내주면에는 볼수용홈이 함몰 형성되며 상기 볼수 용홈에는 제2 탄성스프링이 설치되고 상기 제2 탄성스프링의 끝단에는 결합볼이 결합되어 제2 탄성스프링에 의해 메인회전축 방향으로 탄성 가압되며 상기 결합볼이 복수 개의 걸림홈 중 어느 하나로 삽입되면 베어링 내에서 메인회전축의 회전이 제한되며, 상기 슬리브의 좌우 끝단에는 반경방향을 향해 가압편 지점까지 지지판 돌출 형성되어 좌우측 최외곽 가압편과 접촉되며, 상기 복수 개의 가압편 각각은 측면이 서로 접촉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의 전단에는 원단의 단부를 파지 고정하는 클램프가 형성되며, 상기 코어롤은 내부가 빈 중공형으로 이루어져 내부로 기능액이 충전되며, 외주면에 상기 기능액을 유출시키는 제1 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슬리브에는 상기 제1 유출구와 연통되도록 제1 유출구의 대응개소에 제2 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가압편과 탄성패드에는 제2 유출구를 통해 유출된 기능액을 유출시키는 노즐이 관통되어 결합되고, 상기 제2 유출구와 노즐은 연결배관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코어롤의 내부 중앙에는 사면이 망사구조로 마련된 함체 형태의 케이스가 고정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는 복수 개의 교반비즈가 장입되며, 상기 교반비즈는 케이스의 망사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어 케이스의 외부로 배출되지 아니하도록 하며, 상기 코어롤 내부에는 상기 케이스를 가로질러 교반축이 축설되고 교반축의 외측으로는 방사형태로 연장된 복수 개의 교반패들이 장착되며, 상기 연결배관은 신장 또는 압축이 가능한 자바라관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탄성패드는 기능액을 흡수할 수 있는 스펀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원단이 연속적으로 적층되는 과정에서 원단을 하부를 향해 가압하여 원단과 원단 사이에 개재된 기포를 밀어내는 방식으로 제거하여 원단이 보다 밀도 있게 적층되어질 수 있도록 하되, 원단을 과도하게 가압함으로써 원단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단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단기의 일측면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단기의 요부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가압부의 전면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스포크의 단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커버의 일부가 절개된 상태의 제1, 2 드럼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제1, 2 드럼의 종단면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제1, 2 드럼의 횡단면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제1, 2 드럼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지지대의 요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A-A선을 기준으로 하는 단면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 한 도면.
도 12는 원단에 동시에 두 개의 회전드럼이 접촉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연단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베이스부(10), 배출부(20) 및 가압부(30)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베이스부(10)는 평평하게 펼쳐진 원단(f)을 지지할 수 있을 정도의 면적을 가지는 판상의 구조로서,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어 배출부(20)로부터 풀려 나오는 원단(f)을 하부에서 지지한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베이스부(10)의 좌우 양 단에는 레일이 형성될 수 있으며, 배출부(20)는 상기 레일에 접속되어 전후 방향으로 가이드되어질 수 있다.
베이스부(10)의 전단에는 원단(f)의 단부를 파지 고정하는 클램프(11)가 형성될 수 있는데, 배출부(20)에서 베이스부(10)를 향해 배출된 원단(f)의 끝단을 클램프(11)에 파지 고정한 상태에서 배출부(20)가 전후로 이동함에 따라, 배출부(20)에서 연속적으로 배출되는 원단(f)이 베이스부(10)의 상면에 평평하게 펼쳐질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배출부(20)는 상기 베이스부(10)의 상부에 전후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베이스부(10)의 상면으로 원단(f)을 배출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즉, 배출부(20)가 베이스부(10) 위를 전후로 이동하며 원단(f)을 연속적으로 배출하게 되면 베이스부(10)에는 원단(f)이 펼쳐진 상태로 다단 적층되어질 수 있게 된다.
배출부(20)에는 원단(f)이 말린 원단롤이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내장되어질 수 있으며, 원단롤에 말린 원단(f)은 베이스부(10)의 외부로 노출되어, 베출부(20)의 왕복 이동에 따라 자연스럽게 풀려 베이스부(10)를 향해 배출되어질 수 있다. 또한, 배출부(20)는 배출된 원단(f)을 특정 위치에서 절단하는 칼날과, 전후 방향으로의 왕복이동을 가능케 하는 LM 가이드 구조물 등을 더 포함하며, 이때, 배출부(20)는 공지된 연단기로부터 그대로 참조될 수 있으므로, 이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가압부(30)는 배출부(20)와 연결 설치되며 배출부(20)의 전후 방향 이동시 상기 베이스부(10)의 상면으로 배출된 원단(f)을 상부에서 가압하여 주름을 펴는 역할을 담당한다.
즉, 가압부(30)는 배출부(20)의 왕복 이동시 이와 연동하여 베이스부(10)의 상부를 왕복 이동하면서, 배출부(20)에서 배출된 원단(f)을 그 즉시 상부에서 가압해 주름 형성을 방지하거나, 혹은 발생한 주름을 펴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의 가압부(30)는 원단(f)을 하부를 향해 가압하여 원단(f)과 원단(f) 사이에 개재된 기포를 밀어내는 방식으로 제거하여 원단(f)이 보다 밀도 있게 적층되어질 수 있도록 하되, 원단(f)을 과도하게 가압함으로써 원단(f)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전구조를 갖춘다.
민자 원단(f)의 경우 가압력을 특별히 제한하는 바는 아니지만, 수술, 장식, 비즈 등이 마련된 원단(f)을 연단하고자 할 때에는 원단(f)을 적절한 압력으로 가압해야지만 원단(f)을 올바르게 펼쳐 밀도 있게 적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원단(f)의 각종 부착물들 또는 원단(f) 자체에 특별한 물리적 손상을 가하지 아니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의 가압부(30)는 크게, 지지대(100), 메인회전축(200) 및 회전드럼(300)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먼저, 지지대(100)는 배출부(20)의 전방에 연결 설치되는 구성으로, 베이스부(10)를 중앙에 두고 좌우 한 쌍으로 마련되어 메인회전축(200)의 좌우 양 단을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지지대(100)는 상하 길이조절을 가능케 함으로써 원단(f)의 적층높이나 방향 선회 지점에서 클램프(11)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메인회전축(200)과 연결 구성된 회전드럼(30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갖춘다.
좌우 한 쌍의 지지대(100)는 각각 메인회전축(200)의 좌측단과 우측단을 회전 가능하게 거치할 수 있다.
한 쌍의 지지대(100)는 각각 배출부(20)의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ㄴ'자 형태의 연결프레임(110) 및 상기 연결프레임(110)에 설치되며 상기 메인회전축(200)의 끝단을 지지한 채 메인회전축(200)을 상하로 승강시키는 제1 액츄에이터(12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연결프레임(110)은 고정형 구성이고, 연결프레임(110) 상단에 마련된 제1 액츄에이터(120)가 별도 제어신호를 통해 상하로 신장 또는 압축하며 메인회전축(20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메인회전축(200)의 높낮이가 조절되면 이와 연동하여 회전드럼(300)의 높낮이가 조절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메인회전축(200)의 좌측단과 우측단에서는 각각 복수 개의 스포크(210)가 방사형태로 연장 형성되며 이때 각각의 스포크(210) 끝단에 회전드럼(300)이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특히 각각의 스포크(210)는 원단(f)의 높낮이 차이에 의해 원단(f) 표면에서 구름되는 회전드럼(300)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하여 회전드럼(300)이 보다 유연하게 접촉될 수 있도록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회전축(200)에서부터 연장되는 중공형상의 하우징(211), 일단은 상기 하우징(211) 내로 삽입되고 타단은 회전드럼(300)과 연결되는 완충바(212) 및 상기 하우징(211)과 완충바(212) 사이에 설치되는 제3 탄성스프링(213)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에, 회전드럼(300)에 원단(f)에 구름되는 과정에서 회전드럼(300)에 충격이 가해지면 회전드럼(300)과 완충바(212) 구성이 하우징(211)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제3 탄성스프링(213)에 의해 완충되며 이때, 제3 탄성스프링은 원단(f) 방향으로 완충바(212)와 회전드럼(300) 구성을 탄성 지지하고 있으므로 회전드럼(300)은 그 위치가 탄성적으로 변화하면서 원단(f)을 가압해 원단(f)의 주름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회전드럼(300)은 메인회전축(200)을 중앙에 두고 복수 개가 등각도로 회전 배열되며 상기 메인회전축(200)에 스포크(210)를 매개로 결합되며 베이스부(10)의 상면으로 배출된 원단(f)의 상면에 접촉되어 원단(f)을 가압한다.
이때, 회전드럼(300)은 배출부(20)의 전후 방향 왕복 이동에 따라, 배출부(20)에서 배출되는 원단(f)의 표면에 구름 가능하게 접촉되어 원단(f)을 가압하는 한편, 이때, 원단(f) 주름이나 기포는 회전드럼(300)에 의해 제거되면서 적층된 원단(f)이 서로 밀착 구성되어질 수 있다.
복수 개의 회전드럼(300)(240)은 제1 드럼(300-1), 제2 드럼(300-2), 제3 드럼(300-3) 및 제4 드럼(300-4)으로 구성되며 이때, 각각의 드럼은 메인회전축(200)을 중심에 두고 90도 간격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드럼(300-1)과 제2 드럼(300-2)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3 드럼(300-3)은 일반적인 원통형 솔리드 타입의 드럼이고, 제4 드럼(300-4)은 스펀지와 같이 쉬운 변형이 가능한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제1 드럼(300-1)과 제2 드럼(300-2)은 원단(f)과의 접촉시 외주면이 원단(f)의 굴곡 형상에 대응되게 탄성변형될 수 있는 구조를 갖춤으로써 원단(f)의 표면에 보다 균일하게 접촉하여 원단(f)에 무리 없이 작용하여 주름을 제거해낼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드럼(300-1) 및 제2 드럼(300-2)은 각각, 양 단이 상기 스포크(210)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코어롤(310), 상기 코어롤(310)의 외측으로 결합되며 외주면에 복수 개의 설치구(321)가 함몰 형성되는 원통형 슬리브(320), 상기 복수 개의 설치구(321) 각각의 대응개소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제1 탄성스프링(330), 판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복수 개의 제1 탄성스프링(330) 각각의 끝단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가압편(340) 및 상기 슬리브(320)의 외측으로 씌워지는 커버(350)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슬리브(320)의 좌우 끝단에는 반경방향을 향해 가압편(340) 지점까지 지지판(322)이 돌출 형성되어 좌우측 최외곽 가압편(340)과 접촉되며, 상기 복수 개의 가압편(340) 각각은 측면이 서로 접촉 지지될 수 있다.
즉, 복수 개의 가압편(340)들이 서로 인접한 가압편(340)들과 측면이 지지된 상태이고 특히, 슬리브(320)의 좌우측 최외곽 지점에 배치된 가압편(340)의 경우 슬리브(320)의 지지판(322)과도 접촉 지지된 상태가 되어, 가압편(340)이 반경 방향인 직선 방향으로만 안정적으로 이동하게 되는 구조가 갖춰진다.
복수 개의 가압편(340)들은 각각 제1 탄성스프링(330)의 끝단에 결합되어 있는바, 원단(f)과의 접촉시 쉽게 요동칠 우려가 있게 되는데, 이때, 복수 개의 가압편(340)들이 서로 측면으로 지지하고 있고 또한, 슬리브(320)의 좌우측 최외곽 지점에 배치된 가압편(340)들은 지지판(322)에 의해 측면이 지지되어 있게 되므로, 원단(f)과의 접촉시 요동치지 않고 직진 방향으로만 왕복 이동할 수 있는 구조가 되는 것이다.
제1 탄성스프링(330)은 가압편(340)을 원단(f)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되, 가압편(340)이 원단(f)에 접촉함에 따라 슬리브(320) 방향으로 이동하면 압축되고, 원단(f)과 이격되면 다시 신장하여 가압편(340)을 원위치로 복원시킨다.
이에 따라, 가압편(340)은 소정의 탄성력으로 원단(f)을 가압하게 되기 때문에, 원단(f)이 과도하게 압축되지 아니하게 되어 원단(f)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가압편(340)에는 제1 탄성스프링(330)의 끝단부가 결합되기 위한 결합대(342)가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탄성스프링(330)이 결합되는 반대측 외측 면에는 탄성패드(341)가 결합될 수 있다.
탄성패드(341)는 스펀지 등과 같이 연질의 재료로 구성되어 원단(f)에 접촉하였을 때 외력을 최소화시킴으로써 원단(f)의 변형을 방지한다. 또한, 후술 될 기능액을 흡수 저장하였다가, 원단(f) 상에 도포할 수 있도록 한다.
커버(350)는 슬리브(320)는 물론 가압편(340)까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끔 슬리브(320)를 완전히 덮음으로써 이에 가압편(340)은 커버(350)를 매개로 원단(f)과 접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커버(350)로 슬리브(320)를 감싸는 이유는 원단(f) 상에 가압편(340)에 의한 문양이나 자국 등이 남지 않도록 하여, 원단(f)을 보다 깔끔하게 연단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커버(350)는 후술 될 기능액을 용이하게 흡수배출할 수 있도록 망사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편(340)에 결합된 탄성패드(341)가 원단(f)에 접촉되면 제1 탄성스프링(330)이 압축되면서 가압편(340)을 코어롤(310) 방향으로 탄성 이동시킴으로써 제1 드럼(300-1) 및 제2 드럼(300-2)의 외주면이 장식, 수술, 비즈 등에 의한 원단(f)의 돌출형상에 맞게 함몰되는 양상으로 탄성변형이 될 수 있으며, 이에 원단(f)에는 하중이 집중되는 일 없이 전체적으로 가압력이 균등하게 가해질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각각의 회전드럼(300)은 원단(f)의 종류에 따라 원단(f)에 적용될 회전드럼(300)을 선택하여 적용시킬 수 있으며, 예컨대, 메인회전축(200)을 일정 각도 회전시켜 복수 개의 회전드럼(300) 중 적어도 둘 이하를 원단(f)의 상면에 접촉 가능하게 배치시킬 수 있게 된다.
통상, 민자 원단(f)의 경우 원단(f)을 적층하게 될 때 별도의 돌출부위가 없기 때문에 제3 드럼(300-3)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원단(f) 상에 수술, 장식, 비즈 등이 부착되어진 경우 제1 드럼(300-1), 제2 드럼(300-2) 또는 제4 드럼(300-4)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해 원단(f)을 가압하여 주름을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우에 따라 복수의 회전드럼(300)을 동시에 사용하여 원단(f)을 가압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드럼(300-1)과 제2 드럼(300-2)을 원단(f)에 동시에 접촉시키기 위하여, 도 12에 도시된 것처럼 회전드럼(3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원단(f)에 접촉된 상태에서 메인회전축(200)을 45도로 회전시키고 동시에, 제1 액츄에이터(120)를 통해 메인회전축(200)을 원단(f) 방향을 향해 일정 거리 하강시키면 원단(f)의 상면에 제1 드럼(300-1)과 제2 드럼(300-2)이 동시에 접촉 가능해질 수 있다.
이에, 원단(f)에 제1 드럼(300-1)과 제2 드럼(300-2)이 단계 적으로 작용하게 되어 원단(f)의 주름이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되어질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상황에 따라 메인회전축(200)을 회전시켜 적절한 회전드럼(300)을 사용하게 되는데, 이때, 사용되는 회전드럼(300)이 정해지면 메인회전축(200)의 회전을 제한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조가 요구된다. 즉, 필요에 의해서만 메인회전축(200)을 회전시키고, 회전드럼(300) 각각의 고정위치에서는 메인회전축(200)이 임의로 회전되지 않도록 메인회전축(200)을 고정시킬 수 있는 구조가 요구된다.
이를 위해, 제1 액츄에이터(120)는 실린더 몸체(121), 상기 실린더 몸체(121)에서 신장 가능하게 작동하는 로드(122) 및 상기 로드(122)의 상단에 결합되며 내부로 결합된 메인회전축(20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123)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이때,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회전축(200)의 외주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45도 간격으로 걸림홈(220)이 함몰 형성되며 상기 베어링(123)의 내륜(123a) 내주면에는 볼수용홈(123b)이 함몰 형성되며 상기 볼수 용홈에는 제2 탄성스프링(123c)이 설치되고 상기 제2 탄성스프링(123c)의 끝단에는 결합볼(123d)이 결합될 수 있다.
결합볼(123d)은 제2 탄성스프링(123c)에 의해 메인회전축(200) 방향으로 탄성 가압되며, 이때, 결합볼(123d)이 복수 개의 걸림홈(220) 중 어느 하나로 삽입되면 베어링(123) 내에서 메인회전축(200)의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메인회전축(200)에 일정 토크를 가해 강제 회전시킬 경우 결 합볼이 제2 탄성스프링(123c) 측으로 밀리면서 이때 제2 탄성스프링(123c)은 압축되고, 결합볼(123d)은 걸림홈(220)을 빠져나오게 된 뒤 메인회전축(200)의 외주면에 구름 접촉되다가 다시 인접한 걸림홈(220)을 만나면 제2 탄성스프링(123c)에 밀려 걸림홈(220) 내로 삽입되어지면서 메인회전축(200)의 회전을 제한하게 된다.
즉, 메인회전축(200)을 회전시킴에 있어, 메인회전축(200)이 결합볼(123d)에 단계적으로 걸림됨으로써 각각의 회전드럼(300)을 원단(f)에 접촉되는 위치로 이동 및 이동된 상태에서 위치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의 연단기는 원단(f)의 주름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원단(f)에 기능액을 침투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갖춘다.
여기서 기능액이라 함은, 원단(f)의 전처리에 사용되는 항균액이 이에 해당할 수 있으며, 리퀴드 형태로서 원단(f) 상에 도포될 수 있는 선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다시, 원단(f)에 기능액을 침투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코어롤(310)은 내부가 빈 중공형으로 이루어져 내부로 기능액이 충전될 수 있도록 하며, 코어롤(310)의 외주면에 상기 기능액을 유출시키는 제1 유출구(311)가 형성될 수 있다.
동시에, 코어롤(310) 외측에 결합된 슬리브(320)에는 상기 제1 유출구(311)와 연통되도록 제1 유출구(311)의 대응개소에 제2 유출구(323)가 형성될 수 있으며, 가압편(340)과 탄성패드(341)에는 제2 유출구(323)를 통해 유출된 기능액을 유출시키는 노즐(343)이 관통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유출구(323)와 노즐(343)은 연결배관(344)을 통해 연결될 수 있도록 하여, 코어롤(310)에 내장된 기능액이 제1 유출구(311), 제2 유출구(323), 연결배관(344)을 통해 노즐(343)로 전달되어지고, 노즐(343)로 유출된 기능액은 탄성패드(341)에 흡수되어진 상태에서 커버(350)를 통과해 원단(f)에 직접 도포되어질 수 있다.
연결배관(344)은 신장 또는 압축이 가능한 자바라관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해, 가압편(340)의 이동시 이에 유연하게 대응 변형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회전드럼(300)이 원단(f)에 접촉하여 원단(f)을 가압하는 과정에서, 노즐(343)에서는 기능액이 유출되어 원단(f)으로 자연스럽게 도포되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회전드럼(300)은 원단(f)에 접촉되어진 상태에서 제자리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데, 이때, 회전드럼(300)의 회전력을 이용해, 기능액을 적절히 교반시킴으로써 코어롤(310) 내부에서 기능액이 경화 변질되지 아니하도록 하며, 또한 기능액의 유효성분을 분산시켜 기능액으로서의 역할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코어롤(310)의 내부 중앙에는 사면이 망사구조로 마련된 함체 형태의 케이스(312)가 고정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312)의 내부에는 복수 개의 교반비즈(313)가 장입될 수 있다. 이 경우, 회전드럼(300)이 회전하는 과정에서 케이스(312) 내에서 교반비즈(313)가 요동치게 되면서 기능액을 적절히 교반시키게 된다.
이때, 교반비즈(313)는 케이스(312)의 망사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어 케이스(312)의 외부로 배출되지 아니하도록 한다. 이에, 교반비즈(313)가 코어롤(310) 내부로 배출되어 기능액에 부유됨으로써 교반효율을 저하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코어롤(310) 내부에는 상기 케이스(312)를 가로질러 교반축(314)이 축설되고 교반축(314)의 외측으로는 방사형태로 연장된 복수 개의 교반패들(315)이 장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드럼(300)이 회전하게 될 때 케이스(312) 부분에서 뿐만 아니라, 코어롤(310) 내부의 전반적인 부분에서, 기능액의 교반작용이 일어나게 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베이스부 20: 배출부 30: 가압부

Claims (3)

  1.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 전후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으로 원단을 배출하는 배출부 및 상기 배출부와 연결 설치되며 배출부의 전후 방향 이동시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으로 배출된 원단을 상부에서 가압하여 주름을 펴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연단기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배출부의 전방에 연결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대;
    상기 한 쌍의 지지대 상에 거치되는 메인회전축; 및
    상기 메인회전축을 중앙에 두고 복수 개가 등각도로 회전 배열되며 상기 메인회전축에 스포크를 매개로 결합되며 베이스부의 상면으로 배출된 원단의 상면에 접촉되는 복 수 개의 회전드럼;을 포함하며,
    상기 메인회전축을 일정 각도 회전시켜 복수 개의 회전드럼 중 적어도 둘 이하를 원단의 상면에 접촉 가능하게 배치시키며,
    상기 복수 개의 회전드럼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은 원단에 접촉시 외주면이 탄성변형되며,
    상기 복수 개의 회전드럼은,
    90도 간격으로 이격된 제1 드럼 및 제2 드럼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드럼 및 제2 드럼은 각각,
    양 단이 상기 스포크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코어롤;
    상기 코어롤의 외측으로 결합되며 외주면에 복수 개의 설치구가 함몰 형성되 는 원통형 슬리브;
    상기 복수 개의 설치구 각각의 대응개소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제1 탄성스프링;
    판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복수 개의 제1 탄성스프링 각각의 끝단에 결합되 는 복수 개의 가압편; 및
    상기 슬리브의 외측으로 씌워지는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가압편 각각의 제1 탄성스프링이 결합되는 반대측 외측면에 는 탄성패드가 결합되며,
    상기 한 쌍의 지지대는 각각,
    연결프레임; 및
    상기 연결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메인회전축의 끝단을 지지한 채 메인회전축을 상하로 승강시키는 제1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액츄에이터는,
    실린더 몸체;
    상기 실린더 몸체에서 신장 가능하게 작동하는 로드; 및
    상기 로드의 상단에 결합되며 내부로 결합된 메인회전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을 포함하며,
    상기 메인회전축의 외주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45도 간격으로 걸림홈이 함몰 형성되며 상기 베어링의 내륜 내주면에는 볼수용홈이 함몰 형성되며 상기 볼수 용홈에는 제2 탄성스프링이 설치되고 상기 제2 탄성스프링의 끝단에는 결합볼이 결합되어 제2 탄성스프링에 의해 메인회전축 방향으로 탄성 가압되며 상기 결합볼이 복수 개의 걸림홈 중 어느 하나로 삽입되면 베어링 내에서 메인회전축의 회전이 제한되며,
    상기 슬리브의 좌우 끝단에는 반경방향을 향해 가압편 지점까지 지지판 돌출 형성되어 좌우측 최외곽 가압편과 접촉되며, 상기 복수 개의 가압편 각각은 측면이 서로 접촉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단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의 전단에는 원단의 단부를 파지 고정하는 클램프가 형성되며,
    상기 코어롤은 내부가 빈 중공형으로 이루어져 내부로 기능액이 충전되며, 외주면에 상기 기능액을 유출시키는 제1 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슬리브에는 상기 제1 유출구와 연통되도록 제1 유출구의 대응개소에 제2 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가압편과 탄성패드에는 제2 유출구를 통해 유출된 기능액을 유출시키는 노즐이 관통되어 결합되고,
    상기 제2 유출구와 노즐은 연결배관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코어롤의 내부 중앙에는 사면이 망사구조로 마련된 함체 형태의 케이스가 고정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는 복수 개의 교반비즈가 장입되며,
    상기 교반비즈는 케이스의 망사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어 케이스의 외부로 배출되지 아니하도록 하며,
    상기 코어롤 내부에는 상기 케이스를 가로질러 교반축이 축설되고 교반축의 외측으로는 방사형태로 연장된 복수 개의 교반패들이 장착되며,
    상기 연결배관은 신장 또는 압축이 가능한 자바라관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탄성패드는 기능액을 흡수할 수 있는 스펀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단기.
KR1020220038602A 2022-03-29 2022-03-29 연단기 KR1024872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8602A KR102487286B1 (ko) 2022-03-29 2022-03-29 연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8602A KR102487286B1 (ko) 2022-03-29 2022-03-29 연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7286B1 true KR102487286B1 (ko) 2023-01-10

Family

ID=84893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8602A KR102487286B1 (ko) 2022-03-29 2022-03-29 연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72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023263A (zh) * 2023-10-09 2023-11-10 山东圣豪家纺有限公司 厚织物的全自动挂布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7237B1 (ko) * 2008-09-12 2009-07-10 차성희 측방펼침장치가 설치된 자동 연단기
KR101538098B1 (ko) * 2015-01-06 2015-07-21 김치희 자동 연단기
KR20190005807A (ko) 2018-08-14 2019-01-16 유한회사 블루진 원단 주름 방지가 가능한 아동복용 연단기
CN210238133U (zh) * 2019-05-23 2020-04-03 上海希丝无纺布制品有限公司 一种铺布机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7237B1 (ko) * 2008-09-12 2009-07-10 차성희 측방펼침장치가 설치된 자동 연단기
KR101538098B1 (ko) * 2015-01-06 2015-07-21 김치희 자동 연단기
KR20190005807A (ko) 2018-08-14 2019-01-16 유한회사 블루진 원단 주름 방지가 가능한 아동복용 연단기
CN210238133U (zh) * 2019-05-23 2020-04-03 上海希丝无纺布制品有限公司 一种铺布机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023263A (zh) * 2023-10-09 2023-11-10 山东圣豪家纺有限公司 厚织物的全自动挂布机
CN117023263B (zh) * 2023-10-09 2023-12-01 山东圣豪家纺有限公司 厚织物的全自动挂布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7286B1 (ko) 연단기
CN110304478B (zh) 一种电脑横机用多配件组装成的面料收卷驱动装置
CN1026876C (zh) 平版印刷机
FI99035C (fi) Paperikoneen imutelan tiivisterakenne
US7014716B2 (en) Method of cleaning a cylinder of a printing press
CN112111880B (zh) 一种给液效果较好的印染前处理装置
US7975609B2 (en) Printing unit having a blanket cylinder which can be moved between a throw-on position and a throw-off position and corresponding printing press
KR102705982B1 (ko) 원단 다단 적층기 및 이를 이용한 원단 적층 방법
KR20230142200A (ko) 원단 다단 적층기 및 이를 이용한 원단 적층 방법
FI76766C (fi) Anordning foer uppbromsning av en pappers- eller kartongmaskins maskinrulle.
CA2422243C (en) Proof press for mounting flexographic printing plates
CN210236633U (zh) 一种布料生产用收卷装置
CN215757434U (zh) 一种用于人造革的张紧裁切装置
US6061885A (en) Press roll system
CA2273041C (en) Winder for rolling webs of material, especially for winding paper or cardboard webs into reels
CN108820965A (zh) 一种具有减振功能的纺织用布匹缠绕装置
CN208980743U (zh) 一种皮革作旧机
JP2008126673A (ja) 印刷機の操作装置
CN111516069A (zh) 一种胶合板生产线用预压机
US3542624A (en) Apparatus for building up pneumatic vehicle tires
JPH11246089A (ja) シート分割巻取装置のタッチローラ装置
JPH10158987A (ja) 抄紙機用プレス装置
JP2001062775A (ja) ロール式切断装置
CN108754846A (zh) 编织机的熨烫机构
CN108729014A (zh) 编织机的熨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