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6767B1 - 화재진화용 담수 장치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화재진화용 담수 장치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6767B1
KR102486767B1 KR1020220064677A KR20220064677A KR102486767B1 KR 102486767 B1 KR102486767 B1 KR 102486767B1 KR 1020220064677 A KR1020220064677 A KR 1020220064677A KR 20220064677 A KR20220064677 A KR 20220064677A KR 102486767 B1 KR102486767 B1 KR 1024867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water
bucket
fire extinguishing
contro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46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준혁
Original Assignee
차준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준혁 filed Critical 차준혁
Priority to KR10202200646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6767B1/ko
Priority to KR1020220123135A priority patent/KR202301660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67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67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2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 A62C3/0228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with delivery of fire extinguishing material by air or aircraft
    • A62C3/0235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with delivery of fire extinguishing material by air or aircraft by means of containers, e.g. bucke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4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with electrically-controlled releas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62C99/0009Methods of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spread of fire by cooling down or suffocating the flames
    • A62C99/0072Methods of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spread of fire by cooling down or suffocating the flames using sprayed or atomised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3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 B05B1/3026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the controlling element being a gate valve, a sliding valve or a co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05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mounted on vehicles or designed to apply a liquid on a very large surface, e.g. on the road, on the surface of larg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B65D88/12Large containers rigid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 B65D88/122Large containers rigid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with access from abo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B65D88/12Large containers rigid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 B65D88/14Large containers rigid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by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48Arrangements of indicating or measur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20Optical components
    • H02S40/22Light-reflecting or light-concentr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88/00Large container
    • B65D2588/74Large container having means for heating, cooling, aerating or other conditioning of contents
    • B65D2588/743Large container having means for heating, cooling, aerating or other conditioning of contents blowing or injecting heating, cooling or other conditioning fluid inside the container
    • B65D2588/746Large container having means for heating, cooling, aerating or other conditioning of contents blowing or injecting heating, cooling or other conditioning fluid inside the container with additional treatment fun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8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specially adapted for farm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화재진화용 담수 장치의 제어 방법은 화재진화용 물을 수용하고, 운반체에 의해 운반되어 수용된 물을 외부로 분사하는 화재진화용 담수 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써, 제어부가 상기 화재진화용 물이 수용되는 버켓부의 외부에 노출된 상부가 태양광 패널부에 의해 개방 또는 폐쇄되도록 상기 태양광 패널부를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버켓부에 수용된 화재진화용 물이 동결되지 않게 동결 방지제를 공급하는 동결 방지부를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화재진화용 물을 외부로 분사해야 하는 분사 조건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분사 조건인지 여부의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버켓부에 수용된 화재진화용 물을 상기 버켓부 외부로 분사하는 분사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재진화용 담수 장치의 제어 방법{Method for controlling ponding water apparatus for firefighting}
본 발명은 화재진화용 담수 장치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화재진화용 물의 담수, 담수된 화재진화용 물의 관리 및 화재진화용 물의 분사를 제어하는 화재진화용 담수 장치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산불은 물 사정이 나쁘고 소화하는 데 어려움이 많은 장소에서 발생해서 바람 등에 의해 퍼져나가기 때문에 조기에 확산을 방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그리고, 산불예방은 건조기에 화기나 인화물질의 사용을 금지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산림법에서는 산림의 보호를 위해 산불 예방을 위한 각종 금지행위와 입산통제 등을 규정하고 있다.
또한, 산림소유자 및 관리자는 산불예방 및 진화에 필요한 조치를 해야 하며 허가 없이 산림 또는 산림에 근접한 지역에 불을 놓거나 가지고 들어가지 못하게 하고 있다. 만약, 허가를 받은 경우에는 미리 산불을 예방하는 시설을 마련하고 근접한 산림소유자 및 관리자에게 통지하여야 한다.
그 밖의 예방적 조치로서 방화선의 설정, 방화림(firebreak forest)의 조성, 유령림(young stand)의 풀베기와 밑가지치기, 숲길이나 보도의 정비, 저수시설, 흡연장소설치, 입산규제, 망이나 순찰에 의한 조기발견체제의 확립 등이 있다.
또한, 소방대를 편성하여 훈련시키는 것과 통보시설을 정비하는 것도 필요하다. 소화법으로는 흙이나 물을 끼얹기도 하고, 생나무 가지 등으로 불이 붙은 곳을 두들겨서 직접 불을 끄는 직접소화법이 사용되기도 하고, 불이 타는 속도가 빠를 경우에는 위험하여 접근할 수 없기 때문에 연소되는 방향에 놓인 삼림을 벌채하여 가연물을 제거하고 방화선을 구축하여 산불 확산을 차단하는 간접소화법이 사용되기도 한다.
대형 산불의 경우에는 주로 간접소화법으로 대응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맞불을 놓아 끄기도 한다. 간접소화법에는 연소 전방에 방화선 등의 연소저지선을 설정해 놓는 방법, 지면을 파서 광물질 토양이 노출되게 하는 방법, 동력톱 등을 이용하여 임목을 벌채 제거하는 방법, 불도저를 이용하여 적절한 방화선을 구축하는 방법, 임도, 하천, 낭떠러지 등을 연소 저지선으로 이용하는 방법, 연소 진행 예상 방향에 소방헬기를 이용한 화재진화용 물을 분사하는 방법 등이 있다.
하지만, 공중에서 화재진화용 물을 분사하는 소방헬기를 이용하여 화재를 진화하더라도, 대량의 물을 퍼나르기 위해서는 호수나 강으로 헬기가 이동한 후, 물을 담아 다시 화재가 발생된 지역으로 이동해야 하므로 화재진화에 소요되는 시간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화재진화용 물의 담수가 필요한 상황에서만 담수를 수행하고, 담수된 화재진화용 물의 오염과 동결을 관리하며, 분사 조건인 상황에서 화재용 물의 분사를 수행하도록 화재진화용 담수 장치를 제어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재진화용 담수 장치의 제어 방법은 화재진화용 물을 수용하고, 운반체에 의해 운반되어 수용된 물을 외부로 분사하는 화재진화용 담수 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써, 제어부가 상기 화재진화용 물이 수용되는 버켓부의 외부에 노출된 상부가 태양광 패널부에 의해 개방 또는 폐쇄되도록 상기 태양광 패널부를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버켓부에 수용된 화재진화용 물이 동결되지 않게 동결 방지제를 공급하는 동결 방지부를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화재진화용 물을 외부로 분사해야 하는 분사 조건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분사 조건인지 여부의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버켓부에 수용된 화재진화용 물을 상기 버켓부 외부로 분사하는 분사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태양광 패널부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강수의 유무를 나타내는 강수 유무 정보, 상기 버켓부에 수용된 화재진화용 물의 양을 나타내는 수용량 정보 및 상기 버켓부에 수용된 화재진화용 물의 오염 정도를 나타내는 오염도 정보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상기 버켓부의 상부가 개방 또는 폐쇄되도록 상기 태양광 패널부의 이동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태양광 패널부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강수 유무 정보가 강수가 있음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버켓부의 상부가 개방되도록 상기 태양광 패널부의 이동을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수용량 정보가 기준 수용량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버켓부의 상부가 폐쇄되도록 상기 태양광 패널부의 이동을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오염도 정보가 기준 오염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버켓부의 상부가 개방되도록 상기 태양광 패널부의 이동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동결 방지부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대기의 온도를 나타내는 대기 온도 정보 및 상기 버켓부에 수용된 화재진화용 물의 온도를 나타내는 수온 정보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상기 동결 방지제를 공급하도록 상기 동결 방지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동결 방지부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대기 온도 정보가 제1 기준 온도 이하거나 상기 수온 정보가 제2 기준 온도 이하이면 상기 동결 방지제를 공급하도록 상기 동결 방지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재진화용 담수 장치의 제어 방법에 의해 제어되는 화재진화용 담수 장치는 상부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형성되고, 상부에서 내부로 화재진화용 물이 투입되어 화재진화용 물이 수용되는 버켓부; 상기 버켓부 일측에 형성되고, 운반체와 체결되는 체결부; 상기 버켓부에 수용된 화재진화용 물을 상기 버켓부 외부로 분사하는 분사부; 상기 버켓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태양광으로부터 발전을 수행하고, 상기 버켓부의 상부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태양광 패널부; 및 상기 버켓부에 수용된 화재진화용 물이 동결되지 않게 상기 버켓부에 수용된 화재진화용 물로 동결 방지제를 공급하도록 제어되는 동결 방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재진화용 담수 장치는 상부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형성되고, 상부에서 내부로 화재진화용 물이 투입되어 화재진화용 물이 수용되는 버켓부; 상기 버켓부 일측에 형성되고, 운반체와 체결되는 체결부; 및 상기 버켓부에 수용된 화재진화용 물을 상기 버켓부 외부로 분사하는 분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재진화용 담수 장치는 상기 버켓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태양광으로부터 발전을 수행하는 태양광 패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태양광 패널부는 강수의 유무를 나타내는 강수 유무 정보, 상기 버켓부에 수용된 화재진화용 물의 양을 나타내는 수용량 정보 및 상기 버켓부에 수용된 화재진화용 물의 오염 정도를 나타내는 오염도 정보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상기 버켓부의 상부가 개방 또는 폐쇄되도록 이동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태양광 패널부는 상기 강수 유무 정보가 강수가 있음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버켓부의 상부가 개방되도록 이동되고, 상기 수용량 정보가 기준 수용량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버켓부의 상부가 폐쇄되도록 이동되고, 상기 오염도 정보가 기준 오염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버켓부의 상부가 개방되도록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재진화용 담수 장치는 상기 버켓부에 수용된 화재진화용 물이 동결되지 않게 상기 버켓부에 수용된 화재진화용 물로 동결 방지제를 공급하도록 제어되는 동결 방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동결 방지부는 대기의 온도를 나타내는 대기 온도 정보 및 상기 버켓부에 수용된 화재진화용 물의 온도를 나타내는 수온 정보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상기 동결 방지제를 공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동결 방지부는 상기 대기 온도 정보가 제1 기준 온도 이하거나 상기 수온 정보가 제2 기준 온도 이하이면 상기 동결 방지제를 공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재진화용 담수 장치는 제어부가 상기 화재진화용 물이 수용되는 버켓부의 외부에 노출된 상부가 태양광 패널부에 의해 개방 또는 폐쇄되도록 상기 태양광 패널부를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버켓부에 수용된 화재진화용 물이 동결되지 않게 동결 방지제를 공급하는 동결 방지부를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화재진화용 물을 외부로 분사해야 하는 분사 조건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분사 조건인지 여부의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버켓부에 수용된 화재진화용 물을 상기 버켓부 외부로 분사하는 분사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재진화용 담수 장치의 제어 방법에 의해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재진화용 물의 담수가 필요한 상황에서만 담수를 수행함으로써, 효율적으로 담수량을 관리하고, 담수된 화재진화용 물의 오염과 동결을 관리함으로써, 담수된 화재진화용 물이 화재진화에 사용될 수 있도록 유지할 수 있으며, 분사 조건인 상황에서 화재용 물의 분사를 수행함으로써, 화재진화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재진화용 담수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재진화용 담수 장치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재진화용 담수 장치가 운반체에 체결되어 운반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재진화용 담수 장치의 태양광 패널부가 개폐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재진화용 담수 장치의 동결 방지부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재진화용 담수 장치의 동결 방지부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재진화용 담수 장치가 화재진화용 물을 분사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재진화용 담수 장치의 제어 방법에 따른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 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 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 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 등의 표현 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 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사용자 기기와 제2 사용자 기기는,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어떤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 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 (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 (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 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컨텍스트 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컨텍스트 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화재진화용 담수 장치>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재진화용 담수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재진화용 담수 장치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재진화용 담수 장치(100)는 화재 발생시 화재가 발생된 화재영역에 분사되는 화재진화용 물을 내부에 수용하고, 운반체(H)에 의해 화재영역으로 이송된 후, 화재진화용 물을 화재영역에 분사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재진화용 담수 장치(100)는 화재 발생시 화재진화용 물을 조달하기 어려운 지역에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재진화용 담수 장치(100)는 차량이 진입하기 불가능한 지역 및 산간 지역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재진화용 담수 장치(100)는 버켓부(110), 체결부(120), 태양광 패널부(130), 동결 방지부(140), 분사부(150), 제어부(160), 센싱부(170), 통신부(180) 및 저장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버켓부(110)는 상부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형성되고, 상부에서 내부로 화재진화용 물이 투입되어 화재진화용 물이 수용될 수 있다.
이러한, 버켓부(110)는 화재진화용 물이 내부에 수용되도록 복수의 격벽(111)을 통해 수용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켓부(110)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단면의 넓이가 좁아지는 수용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버켓부(110)는 상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부에는 격벽(111)이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즉, 버켓부(110)는 복수의 격벽(111)이 측면과 하부를 둘러싼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상부는 외부로 노출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버켓부(110)의 상부는 외부로 노출되어 강수가 발생되면 강수가 버켓부(110)의 내측으로 유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재진화용 담수 장치(100)가 위치한 장소에 비, 눈, 짓눈깨비 등과 같은 강수가 발생되면, 버켓부(110)의 내부로 강수가 유입되고, 유입된 강수는 화재진화용 물로써 버켓부(11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한편, 버켓부(110)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복수의 격벽(111)은 태양광이 내부에 수용된 화재진화용 물에 조사되도록 투명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버켓부(110)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복수의 격벽(111)은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외력(충격)으로 인해 파손되지 않고, 내부에 수용된 화재진화용 물의 무게를 버틸수 있도록 특정 강도를 갖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버켓부(110)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복수의 격벽(111)은 운반체(H)에 의해 운반되기 위해 무게가 낮은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버켓부(110)는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버켓부(110)는 투명하고, 외력으로 인해 파손되지 않으며, 내부에 수용된 화재진화용 물의 무게를 버티고, 운반체(H)에 의해 운반될 수 있는 무게의 소재라면, 그 소재의 종류가 제한되지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재진화용 담수 장치가 운반체에 체결되어 운반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더 참조하면, 체결부(120)는 버켓부(110)의 일측에 형성되고, 운반체(H)와 체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체결부(120)는 운반체(H)에 의해 운반되기 위해, 운반체(H)의 체결 수단에 체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체결부(120)는 운반체(H)의 체결 수단의 체결 방식에 대응하여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체결부(120)는 헬기인 운반체(H)의 체결 수단으로 로프(L) 끝단에 후크(K)가 이용되는 경우, 후크(K)가 삽입될 수 있는 체결홈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체결부(120)는 운반체(H)에 체결되어 운반되는 과정에서 균형을 유지하도록 버켓부(110)의 4개의 측면 각각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체결부(120)는 4개로 구성되고 4개의 체결부(120)는 버켓부(110)의 4개의 측면 각각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운반체(H)는 화재진화용 물이 수용된 화재진화용 담수 장치(100)와 체결되어 화재진화용 담수 장치(100)를 화재가 발생된 지역으로 운반하는 수단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반체(H)는 헬기, 드론, 무인비행기 및 트랙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하지만, 운반체(H)는 화재진화용 물이 수용된 화재진화용 담수 장치(100)를 화재가 발생된 지역으로 운반하는 수단이면, 그 종류가 제한되지 않음을 유의한다.
이를 통해, 운반체(H)는 체결부(120)와 체결되어 화재진화용 담수 장치(100)를 화재가 발생된 지역으로 운반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재진화용 담수 장치의 태양광 패널부가 개폐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더 참조하면, 태양광 패널부(130)는 버켓부(110)의 일측에 설치되어 태양광으로부터 발전을 수행할 수 있다.
즉, 태양광 패널부(130)는 태양광으로부터 발전을 수행하여 화재진화용 담수 장치(100)가 작동하는데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한편, 태양광 패널부(130)는 버켓부(110)의 일측에 설치되어 버켓부(110)의 상부가 개방되거나 폐쇄되도록 이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태양광 패널부(130)는 한쌍으로 구성되고, 한쌍의 태양광 패널부(130) 각각의 하부에는 톱니레일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버켓부(110)의 상부 일측에는 한쌍의 태양광 패널부(130) 각각의 하부에 형성된 톱니레일과 결합되는 톱니바퀴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태양광 패널부(130)는 톱니바퀴가 회전됨으로써, 버켓부(110)의 상부를 향해 이동되거나 상부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태양광 패널부(130)가 버켓부(110)의 상부를 향해 이동되는 경우, 버켓부(110)의 상부는 폐쇄될 수 있다.
이때, 버켓부(110)의 상부가 태양광 패널부(130)에 의해 폐쇄되는 경우, 강수가 발생하더라도 버켓부(110)의 내부로 강수가 유입되지 않을 수 있다.
반대로, 태양광 패널부(130)가 버켓부(110)의 상부와 멀어지도록 이동되는 경우, 버켓부(110)의 상부는 개방될 수 있다.
이때, 버켓부(110)의 상부가 개방되는 경우, 강수가 발생하면 강수가 버켓부(110) 내부로 유입되어 버켓부(110)의 내측에 화재진화용 물이 증가될 수 있다.
한편, 태양광 패널부(130)는 강수의 유무를 나타내는 강수 유무 정보, 버켓부(110)에 수용된 화재진화용 물의 양을 나타내는 수용량 정보 및 버켓부(110)에 수용된 화재진화용 물의 오염 정도를 나타내는 오염도 정보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버켓부(110)의 상부가 개방 또는 폐쇄되도록 이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태양광 패널부(130)는 강수 유무 정보가 강수가 있음을 나타내는 경우 버켓부(110)의 상부가 개방되도록 이동되고, 수용량 정보가 기준 수용량을 초과하는 경우 버켓부(110)의 상부가 폐쇄되도록 이동되고, 오염도 정보가 기준 오염도를 초과하는 경우 버켓부(110)의 상부가 개방되도록 이동될 수 있다.
이때, 태양광 패널부(130)의 이동은 후술되는 제어부(160)에 의해 제어되며, 이러한, 제어부(160)의 태양광 패널부(130)에 대한 제어는 후술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재진화용 담수 장치의 동결 방지부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더 참조하면, 동결 방지부(140)는 버켓부(110)에 수용된 화재진화용 물이 동결되지 않도록 버켓부에 수용된 화재진화용 물로 동결 방지제를 공급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동결 방지부(140)는 동결 방지제를 저장하는 저장모듈과 저장모듈에 저장된 동결 방지제를 화재진화용 물로 토출시키는 토출노즐(141)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동결 방지부(140)는 화재진화용 물이 동결될 것으로 예상되는 조건이면 화재진화용 물의 동결을 방지하기 위해 동결 방지제를 공급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때, 동결 방지부(140)는 대기의 온도를 나타내는 대기 온도 정보 및 버켓부(110)에 수용된 화재진화용 물의 온도를 나타내는 수온 정보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동결 방지제를 공급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동결 방지부(140)는 대기 온도 정보가 제1 기준 온도 이하거나 수온 정보가 제2 기준 온도 이하이면 동결 방지제를 공급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기준 온도는 섭씨 영하 10도일 수 있고, 제2 기준 온도는 섭씨 0도일 수 있다.
여기서, 동결 방지제는 물의 동결을 방지하는 화학 물질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동결 방지제는 염화칼슘일 수 있다.
이때, 동결 방지부(140)의 동결 방지제 공급은 후술되는 제어부(160)에 의해 제어되며, 이러한, 제어부(160)의 동결 방지부(140)에 대한 제어는 후술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재진화용 담수 장치의 동결 방지부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더 참조하면, 동결 방지부(140)는 버켓부(110)에 수용된 화재진화용 물이 동결되지 않게 화재진화용 물을 순환시키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동결 방지부(140)는 화재진화용 물을 순환시키는 스크류(141') 및 스크류(141')를 회전시키는 스큐류 모터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동결 방지부(140)의 스크류(141')는 버켓부(110)의 내측 최하부에 설치되어 화재진화용 물의 하부부터 순환시킬 수 있다.
한편, 동결 방지부(140)는 화재진화용 물이 동결될 것으로 예상되는 조건이면 화재진화용 물의 동결을 방지하기 위해 스크류(141')가 회전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때, 동결 방지부(140)는 대기의 온도를 나타내는 대기 온도 정보 및 버켓부(110)에 수용된 화재진화용 물의 온도를 나타내는 수온 정보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스크류(141')가 회전 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동결 방지부(140)는 대기 온도 정보가 제1 기준 온도 이하거나 수온 정보가 제2 기준 온도 이하이면 스크류(141')가 회전 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동결 방지부(140)는 동결 조건에 있는 화재진화용 물을 순환시킴으로써, 화재진화용 물의 동결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재진화용 담수 장치가 화재진화용 물을 분사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분사부(150)는 버켓부(110)에 수용된 화재진화용 물을 버켓부(110) 외부로 분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분사부(150)는 버켓부(110)의 하부면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한쌍의 개폐 플레이트(151)를 구비할 수 있다.
개폐 플레이트(151)는 일측이 버켓부(110)의 하부면에 고정되어 회전됨으로써, 버켓부(110)의 하부면을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다.
이때, 버켓부(110)의 하부면은 개폐 플레이트(151)의 면적에 대응하여 일부 영역이 관통되고 관통된 영역에 개폐 플레이트(151)가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분사부(150)의 개폐 플레이트(151)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버켓부(110)의 하부면을 개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버켓부(110)에 수용된 화재진화용 물은 개방된 버켓부(110)의 하부면을 통해 화재가 발생된 영역으로 분사될 수 있다.
반대로, 분사부(150)의 개폐 플레이트(151)는 상호 근접되는 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버켓부(110)의 하부면을 폐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버켓부(110)에 수용된 화재진화용 물은 버켓부(110) 내부에 수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분사부(150)는 개폐 플레이트(151)의 회전 각도를 제어하여 버켓부(110)의 개방된 하부면의 개방 넓이를 조절함으로써, 화재진화용 물의 분사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때, 분사부(150)의 화재진화용 물 분사는 후술되는 제어부(160)에 의해 제어되며, 이러한, 제어부(160)의 분사부(150)에 대한 제어는 후술하도록 한다.
제어부(160)는 화재진화용 담수 장치(1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60)는 화재진화용 담수 장치(100)에 포함된 구성 요소들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160)는 후술되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재진화용 담수 장치의 제어 방법을 통해 화재진화용 담수 장치(100) 및 이에 포함된 구성 요소들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60)의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재진화용 담수 장치의 제어 방법을 후술하면서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제어부(160)는 화재진화용 담수 장치(100) 및 이에 포함된 구성 요소들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해 프로세서를 구비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화재진화용 담수 장치(100)를 전반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는 저장부(190)와 연결되는 한편 저장부(19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CPU, AP, DSP(Digital Signal Processor) 등과 같은 범용 프로세서, GPU, VPU(Vision Processing Unit) 등과 같은 그래픽 전용 프로세서 또는 NPU와 같은 인공지능 전용 프로세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인공지능 전용 프로세서는, 특정 인공지능 모델의 훈련 내지는 이용에 특화된 하드웨어 구조로 설계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된 다양한 실시 예들은 서로 저촉되지 않는 한 둘 이상의 실시 예가 함께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된 다양한 실시 예들은 소프트웨어(software), 하드웨어(hardware)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개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은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 제어기(controller),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unit)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이 프로세서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 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센싱부(170)는 화재진화용 담수 장치(100)와 관련한 다양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센싱부(170)는 강수의 유무를 나타내는 강수 유무 정보, 버켓부(110)에 수용된 화재진화용 물의 양을 나타내는 수용량 정보, 버켓부(110)에 수용된 화재진화용 물의 오염 정도를 나타내는 오염도 정보, 대기의 온도를 나타내는 대기 온도 정보, 버켓부(110)에 수용된 화재진화용 물의 온도를 나타내는 수온 정보, 화재진화용 담수 장치(100)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 및 화재진화용 담수 장치(100)의 고도를 나타내는 고도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센싱부(170)는 강수 유무를 센싱하여 강수 유무 정보로 출력하는 강수 센서(예를 들어, 레인 센서), 버켓부(110)의 내측 수위를 센싱하여 수용량 정보로 출력하는 수위 센서, 버켓부(110)에 수용된 화재진화용 물의 탁도 및 용존산소량 중 하나 이상을 센싱하여 오염도 정보로 출력하는 오염도 센서, 대기 온도를 센싱하여 대기 온도 정보로 출력하는 대기 온도 센서, 버켓부(110)에 수용된 화재진화용 물의 온도를 센싱하여 수온 정보로 출력하는 수온 센서, 화재진화용 담수 장치(100)의 위치를 센싱하여 위치 정보로 출력하는 위치 센서 및 화재진화용 담수 장치(100)의 고도를 센싱하여 고도 정보로 출력하는 고도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센싱부(170)는 제어부(160)의 요청에 따라 센싱된 정보를 제어부(160)로 출력할 수 있다.
통신부(180)는 다양한 유무선 통신방식으로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회로, 모듈, 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80)는 다양한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들과 연결될 수 있다.
특히, 통신부(180)는 센싱부(170)를 통해 센싱된 다양한 정보를 외부 장치(예를 들어, 운영 서버)로 송신할 수 있다.
저장부(190)는 화재진화용 담수 장치(100)의 구성요소들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및 화재진화용 담수 장치(100)의 구성요소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 또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구성이다.
저장부(190)는 ROM, 플래시 저장부 등의 비휘발성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DRAM 등으로 구성된 휘발성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90)는 하드 디스크, SSD(Solid state drive)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화재진화용 담수 장치의 제어 방법>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재진화용 담수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술된 화재진화용 담수 장치(100)를 제어하는 방법일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재진화용 담수 장치의 제어 방법에 따른 순서도이다.
도 8을 더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재진화용 담수 장치의 제어 방법은 S1 단계에서, 제어부(160)가 화재진화용 물이 수용되는 버켓부(110)의 외부에 노출된 상부가 태양광 패널부에 의해 개방 또는 폐쇄되도록 태양광 패널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60)는 강수의 유무를 나타내는 강수 유무 정보, 버켓부(110)에 수용된 화재진화용 물의 양을 나타내는 수용량 정보 및 버켓부(110)에 수용된 화재진화용 물의 오염 정도를 나타내는 오염도 정보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버켓부(110)의 상부가 개방 또는 폐쇄되도록 태양광 패널부(130)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60)는 제어부가 강수 유무 정보가 강수가 있음을 나타내는 경우 버켓부(110)의 상부가 개방되도록 태양광 패널부(130)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수용량 정보가 기준 수용량을 초과하는 경우 버켓부(110)의 상부가 폐쇄되도록 태양광 패널부(130)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오염도 정보가 기준 오염도를 초과하는 경우 버켓부(110)의 상부가 개방되도록 태양광 패널부(130)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60)는 오염도 정보가 기준 오염도를 초과하는 경우, 수용량 정보가 기준 수용량을 초과하더라도 버켓부(110)의 상부가 개방되도록 태양광 패널부(130)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수용량 정보가 기준 수용량을 초과하는 경우, 강수 유무 정보가 강수가 있음을 나타내더라도 버켓부(110)의 상부가 폐쇄되도록 태양광 패널부(130)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60)는 버켓부(110)의 상부가 개방 또는 폐쇄되는 것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톱니바퀴가 회전되도록 태양광 패널부(130)에 구비된 톱니바퀴의 회전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재진화용 담수 장치의 제어 방법은 S2 단계에서, 제어부(160)가 버켓부(110)에 수용된 화재진화용 물이 동결되지 않게 동결 방지제를 공급하는 동결 방지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60)는 제어부(160)가 대기의 온도를 나타내는 대기 온도 정보 및 버켓부(110)에 수용된 화재진화용 물의 온도를 나타내는 수온 정보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동결 방지제를 공급하도록 동결 방지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60)는 대기 온도 정보가 제1 기준 온도 이하거나 수온 정보가 제2 기준 온도 이하이면 동결 방지제를 공급하도록 동결 방지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60)는 버켓부(110)에 수용된 화재진화용 물의 표면(수면)의 굴절률을 나타내는 굴절률 정보를 확인하고, 굴절률 정보가 기준 굴절률 범위에 포함되면 동결 방지제를 공급하거나 후술되는 S2' 단계에서와 같이, 스크류(141')가 회전되도록 동결 방지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굴절률 범위는 화재진화용 물의 표면이 얼음이 된 경우의 굴절률 범위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센싱부(170)는 굴절률을 센싱하여 굴절률 정보로 출력하는 굴절률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재진화용 담수 장치의 제어 방법은 S2 단계를 대신하여 S2'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S2' 단계에서, 제어부(160)는 버켓부(110)에 수용된 화재진화용 물이 동결되지 않게 화재 진화용 물이 순환되도록 동결 방지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60)는 대기 온도 정보 및 수온 정보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버켓부(110)에 수용된 화재진화용 물이 동결되지 않게 화재 진화용 물이 순환되도록 동결 방지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60)는 대기 온도 정보가 제1 기준 온도 이하거나 수온 정보가 제2 기준 온도 이하이면 동결 방지부(140)의 스크류(141')가 회전되도록 동결 방지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재진화용 담수 장치의 제어 방법은 S3 단계에서, 제어부(160)가 화재진화용 물을 외부로 분사해야 하는 분사 조건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60)는 통신부(180)를 통해 화재진화용 물의 분사를 요청하는 분사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분사 조건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분사 요청 신호는 운반체(H)를 조정하는 조정자로부터 제어되는 장치가 조정자로부터 분사 요청을 입력받아 화재진화용 담수 장치(100)로 송신하는 신호일 수 있다.
이때, 분사 요청 신호는 화재진화용 담수 장치(100)에서 분사되는 화재진화용 물의 총 분사량을 나타내는 분사량 정보 및 화재진화용 담수 장치(100)에서 분사되는 화재진화용 물의 단위시간당 분사량을 나타내는 분사 속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재진화용 담수 장치의 제어 방법은 S4 단계에서, 분사 조건을 만족하면 S5 단계를 수행하고, 분사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S1 단계로 돌아간다.
이후,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재진화용 담수 장치의 제어 방법은 S5 단계에서, 제어부(160)는 분사 조건이면 버켓부(110)에 수용된 화재진화용 물을 버켓부(110) 외부로 분사하는 분사부(150)를 제어하여 화재진화용 물을 분사시킬 수 있다.
이때, 제어부(160)는 분사 요청 신호와 함께 수신된 분사량 정보 및 분사 속도 정보에 기초하여 분사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60)는 분사 속도 정보가 나타내는 단위시간당 분사량에 대응하여 분사부(150)에서 화재진화용 물이 분사되도록 분사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분사량 정보가 나태는 총 분사량에 대응하여 분사부(150)에서 화재진화용 물이 분사되도록 분사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60)는 단위시간당 분사량 및 분사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60)는 총 분사량을 단위시간당 분사량으로 나누어 분사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즉, 제어부(160)는 분사시간 동안 단위시간당 분사량만큼 화재진화용 물이 분사되도록 분사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분사부(150)가 버켓부(110)의 하부면에 배치되는 한쌍의 분사 플레이트(151)로 구성된 경우, 제어부(160)는 단위시간당 분사량에 대응되는 개방 각도만큼 한쌍의 분사 플레이트(151)를 회전시켜 버켓부(110)의 하부면을 개방시킴으로써, 단위시간당 분사량만큼 화재진화용 물을 분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분사시간 동안 한쌍의 분사 플레이트(151)를 회전시켜 버켓부(110)의 하부면을 개방시킴으로써, 총 분사량만큼 화재진화용 물을 분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화재진화용 담수 장치
110: 버켓부
120: 체결부
130: 태양광 패널부
140: 동결 방지부
150: 분사부
160: 제어부
170: 센싱부
180: 통신부
190: 저장부

Claims (6)

  1. 화재진화용 물을 수용하고, 운반체에 의해 운반되어 수용된 물을 외부로 분사하는 화재진화용 담수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제어부가 상기 화재진화용 물이 수용되는 버켓부의 외부에 노출된 상부가 태양광 패널부에 의해 개방 또는 폐쇄되도록 상기 태양광 패널부를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버켓부에 수용된 화재진화용 물이 동결되지 않게 동결 방지제를 공급하는 동결 방지부를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화재진화용 물을 외부로 분사해야 하는 분사 조건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분사 조건인지 여부의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버켓부에 수용된 화재진화용 물을 상기 버켓부 외부로 분사하는 분사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태양광 패널부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강수의 유무를 나타내는 강수 유무 정보, 상기 버켓부에 수용된 화재진화용 물의 양을 나타내는 수용량 정보 및 상기 버켓부에 수용된 화재진화용 물의 오염 정도를 나타내는 오염도 정보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상기 버켓부의 상부가 개방 또는 폐쇄되도록 상기 태양광 패널부의 이동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진화용 담수 장치의 제어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 패널부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강수 유무 정보가 강수가 있음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버켓부의 상부가 개방되도록 상기 태양광 패널부의 이동을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수용량 정보가 기준 수용량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버켓부의 상부가 폐쇄되도록 상기 태양광 패널부의 이동을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오염도 정보가 기준 오염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버켓부의 상부가 개방되도록 상기 태양광 패널부의 이동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진화용 담수 장치의 제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결 방지부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대기의 온도를 나타내는 대기 온도 정보 및 상기 버켓부에 수용된 화재진화용 물의 온도를 나타내는 수온 정보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상기 동결 방지제를 공급하도록 상기 동결 방지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진화용 담수 장치의 제어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동결 방지부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대기 온도 정보가 제1 기준 온도 이하거나 상기 수온 정보가 제2 기준 온도 이하이면 상기 동결 방지제를 공급하도록 상기 동결 방지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진화용 담수 장치의 제어 방법.
  6.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재진화용 담수 장치의 제어 방법에 의해 제어되는 화재진화용 담수 장치는
    상부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형성되고, 상부에서 내부로 화재진화용 물이 투입되어 화재진화용 물이 수용되는 버켓부;
    상기 버켓부 일측에 형성되고, 운반체와 체결되는 체결부;
    상기 버켓부에 수용된 화재진화용 물을 상기 버켓부 외부로 분사하는 분사부;
    상기 버켓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태양광으로부터 발전을 수행하고, 상기 버켓부의 상부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태양광 패널부; 및
    상기 버켓부에 수용된 화재진화용 물이 동결되지 않게 상기 버켓부에 수용된 화재진화용 물로 동결 방지제를 공급하도록 제어되는 동결 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진화용 담수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220064677A 2022-05-26 2022-05-26 화재진화용 담수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4867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4677A KR102486767B1 (ko) 2022-05-26 2022-05-26 화재진화용 담수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220123135A KR20230166034A (ko) 2022-05-26 2022-09-28 화재진화용 물의 동결방지가 가능한 담수 장치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4677A KR102486767B1 (ko) 2022-05-26 2022-05-26 화재진화용 담수 장치의 제어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3135A Division KR20230166034A (ko) 2022-05-26 2022-09-28 화재진화용 물의 동결방지가 가능한 담수 장치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6767B1 true KR102486767B1 (ko) 2023-01-09

Family

ID=8489270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4677A KR102486767B1 (ko) 2022-05-26 2022-05-26 화재진화용 담수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220123135A KR20230166034A (ko) 2022-05-26 2022-09-28 화재진화용 물의 동결방지가 가능한 담수 장치의 제어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3135A KR20230166034A (ko) 2022-05-26 2022-09-28 화재진화용 물의 동결방지가 가능한 담수 장치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48676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23682A1 (en) * 2004-10-25 2009-09-10 Ramatis Piscirilli Ramos Process to fight foci of heat and/or fires of any magnitude, and pieces of equipment for running the operations, pieces of equipment for fire extinction, and compounds that promote fire extinction - project salamandras"
US20110192617A1 (en) * 2008-11-10 2011-08-11 Joan Saurina Casals Device for extinguishing fires
WO2013055342A1 (en) * 2011-10-13 2013-04-18 Utc Fire & Security Corporation Device for introducing an agent into a fire suppression system
US20160236022A1 (en) * 2015-02-17 2016-08-18 Leonard E. Doten Modular polymer gel preparation system for aircraf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23682A1 (en) * 2004-10-25 2009-09-10 Ramatis Piscirilli Ramos Process to fight foci of heat and/or fires of any magnitude, and pieces of equipment for running the operations, pieces of equipment for fire extinction, and compounds that promote fire extinction - project salamandras"
US20110192617A1 (en) * 2008-11-10 2011-08-11 Joan Saurina Casals Device for extinguishing fires
WO2013055342A1 (en) * 2011-10-13 2013-04-18 Utc Fire & Security Corporation Device for introducing an agent into a fire suppression system
US20160236022A1 (en) * 2015-02-17 2016-08-18 Leonard E. Doten Modular polymer gel preparation system for aircraf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6034A (ko) 2023-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6767B1 (ko) 화재진화용 담수 장치의 제어 방법
Petryna Horizon Work: At the Edges of Knowledge in an Age of Runaway Climate Change
KR102483775B1 (ko) 화재진화용 담수 장치
US4986363A (en) Fire fighting process and use of the method
RU2630649C1 (ru) Способ тушения локальных подземных торфяных пожаров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реализации
KR102358597B1 (ko) 산림보호용 친환경 저지선 구축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US20220362596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extinguishing fires
Penney et al. A handbook of wildfire engineering: guidance for wildfire suppression and resilient urban design
US5070945A (en) Fire fighting method and use of the method
JP3357923B2 (ja) 消火システム
RU88970U1 (ru) Система защиты торфяников от возгорания
RU2639074C1 (ru) Способ тушения локальных наземных и подземных торфяных пожаров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реализации (варианты)
RU106542U1 (ru) Комплексная система мониторинга и защиты торфяников от возгорания
RU2658796C2 (ru) Система противопожарной защиты объекта
KR20220138468A (ko) 산림보호용 비굴착식 친환경 저지선 구축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Khoroshilov et al. Equipment of the Aeromobile Group of the Main Department of the Emercom of Russia in the Republic of Karelia
KR20240071688A (ko) 산불 예방 및 진화시스템
KR101389799B1 (ko) 수막을 이용한 산불방지 급수 시스템
Barnard Potential physical effects of any future 1886 type eruption from Tarawera Volcano on the Bay of Plenty Region.
CA2721996A1 (en) Satellite communication remote controlled unmanned aerial vehicles
Pangas et al. Environmental planning directions in peri-urban residential areas and scattered settlements vulnerable to forest fires
RU2622787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и тушения пожаров и способ его возведения
Orlovsky et al. Environmental problems of fighting fires in the permafrost zone
Friedrich Fire on the watersheds of the nation
Hanson et al. Fire severity in mechanically thinned versus unthinned forests of the Sierra Nevada, Californ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