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6438B1 - 냉각조끼 - Google Patents
냉각조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86438B1 KR102486438B1 KR1020220037073A KR20220037073A KR102486438B1 KR 102486438 B1 KR102486438 B1 KR 102486438B1 KR 1020220037073 A KR1020220037073 A KR 1020220037073A KR 20220037073 A KR20220037073 A KR 20220037073A KR 102486438 B1 KR102486438 B1 KR 10248643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ayer
- water
- moisture
- water inlet
- inlet pip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6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6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6
- 239000004745 nonwoven fabric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9000011247 coating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2745 absorben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9000002250 absorb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29920001340 Microbial cellulos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9834 vaporiz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8016 vaporiz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36760 body temperature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2
- 230000006750 UV protec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9000008400 supply water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29920002678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13
- 239000001913 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06010019345 Heat stroke Diseas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103 nanocoatin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0544 Gore-Tex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792 add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0408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086 nano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4243 sweat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0742 Cotto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297 Rayo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7180 Sunstrok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11 Van der Waals for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373 anti-foul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529 body temperature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217 dele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0 dele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894 electron beam technolog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20 evap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57 fib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0272 inorganic materi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47 inorgan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05 nano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16 organ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699 permeabi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871 repell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940 repell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338 self-assembl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80 solge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QDWJJTJNXAKQKD-UHFFFAOYSA-N trihexyphenidyl hydrochloride Chemical compound Cl.C1CCCCC1C(C=1C=CC=CC=1)(O)CCN1CCCCC1 QDWJJTJNXAKQK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78 waterproof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2—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 A41D13/0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with controlled temperature
- A41D13/0053—Cooled garment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4—Vests, jerseys, sweaters or the like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0—Impermeable to liquids, e.g. waterproof; Liquid-repellent
- A41D31/102—Waterproof and breathable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10—Heat retention or warming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26—UV light pro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조끼는, 앞판면과 뒷판면이 연결된 조끼본체, 앞판면과 뒷판면의 연결부위에 복수개로 구비되어 물이 공급되는 수분유입부, 착용자로부터 발산되는 열을 흡수하는 흡수층, 흡수층 상면에 위치하여 열을 흡수하고, 수분유입부와 연결되어 공급된 물이 균일하게 유지되는 수분층, 수분유입부가 관통되고, 수분층 상면에 위치하는 부직포층 및 부직포층 상면에 연결되고, 수분층에서 증발되는 수분이 기화되며 표면에 자외선차단 코팅이 된 코팅층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냉각조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외에서 일하는 노동자들은 자외선 같은 외부 복사열에 장시간 노출이 될 수밖에 없다. 이와 같이 실외 노동자들은 외부 복사열에 장시간 노출 됨으로써 땀과 같은 과도한 수분 배출, 장기 손상까지 이어지며 일사병 발생을 유발하고 있다.
일사병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자외선이 차단되는 곳에서 휴식하거나, 물을 충분하게 마시고 시원한 바람을 맞는 통풍을 통해 체온을 식히는 것이 중요하다.
하지만 실제 노동 현장에서 이러한 일사병 예방 수칙들을 모두 지켜가며 일을 진행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노동 환경을 변화시키는 것이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노동자들이 간편하게 착용만으로 일사병을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을 고안하고자 하였다.
최근에 이러한 일사병을 예방하기 위해 실외 노동자들이 착용만으로 피부에 직접적인 냉각효과를 줄 수 있는 의복이 개발되고 있다.
의복에 팬이 부착되어, 팬의 회전으로 인해 통풍이 되며 피부의 온도를 낮춰주거나, 의복 안에 아이스 폴리머가 내장되어 있어 냉수를 흡수한 뒤 팽창하여 증발과 기화작용을 통해 착용자 피부의 열을 빼앗아 시원함을 느끼도록 해준다.
하지만 이러한 냉각 의복들은 의복의 부분적인 냉각 및 냉각의 유지시간이 짧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배경을 바탕으로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조끼 전체에
보다 균일하게 물이 공급되어, 체온 조절 및 장시간 착용이 가능한 냉각조끼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조끼에 있어서, 앞판면과 뒷판면이 연결된 조끼본체, 앞판면과 뒷판면의 연결부위에 복수개로 구비되어 물이 공급되는 수분유입부, 착용자로부터 발산되는 열을 흡수하는 흡수층, 흡수층 상면에 위치하여 열을 흡수하고, 수분유입부와 연결되어 공급된 상기 물이 균일하게 유지되는 수분층, 수분유입부가 관통되고 수분층 상면에 위치하는 부직포층 및 부직포층 상면에 연결되고, 수분층에서 증발되는 수분이 기화되며, 표면에 자외선차단 코팅이 된 코팅층을 포함할 수 있다.
수분층과 상기 흡수층 사이에 위치하며, 앞판면과 뒷판면을 따라 배열되어 있고, 수분유입부에 연결되어 물을 수분층까지 유입시키는 수분유입관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수분층은 건조 바이오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질 수 있다.
흡수층 및 상기 코팅층 측면에 위치하고 서로 연결되어, 수분층 및 부직포
층에 위치하는 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분유입부는, 조끼본체와 연결되고, 서로 다른 지름을 가지며 누르는 힘에 의해 겹겹이 겹쳐지고, 당기는 힘에 의해 펴지는 하판접이부 및 하판접이부에 연결되어 여닫을 수 있는 상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배경을 바탕으로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조끼는 보다 균일하게 조끼 내부에 물이 공급되어, 체온 조절 및 장시간 착용이 가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조끼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조끼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조끼의 수분유입부의 구조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조끼의 흡수층과 수분층 사이에 위치한 수분공급관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구조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조끼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조끼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조끼의 수분유입부의 구조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조끼의 흡수층과 수분층 사이에 위치한 수분공급관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구조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조끼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고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조끼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조끼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조끼는, 앞판면(10)과 뒷판면(20)이 연결된 조끼본체(100), 앞판면(10)과 뒷판면(20)의 연결부위에 복수개로 구비되어 물이 공급되는 수분유입부(40), 착용자로부터 발산되는 열을 흡수하는 흡수층(30), 흡수층(30) 상면에 위치하여 열을 흡수하고, 수분유입부(40)와 연결되어 공급된 물이 균일하게 유지되는 수분층(31), 수분유입부(40)가 관통되고 수분층(31) 상면에 위치하는 부직포층(32) 및 부직포층(32) 상면에 연결되고, 수분층(31)에서 증발되는 수분이 기화되며, 표면에 자외선차단 코팅이 된 코팅층(33)을 포함할 수 있다.
앞판면(10)의 상부에는 제1포켓(11)이 대칭되게 부착될 수 있다. 제1포켓(11)은 수납이 가능하고, 일반 단추나 똑딱이 단추 등으로 개폐가 구분 지어질 수 있으나 이에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앞판면(10)의 하부에는 제2포켓(12)이 대칭되게 부착될 수 있다.
앞판면(10)의 중앙부에는 단추나 지퍼 등을 통해 앞판면(10)이 이등분되며 팔을 넣어 착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뒷판면(20)은 앞판면(10)과 연결되고, 몸의 등판이 닿는 곳이기 때문에 앞판면(10)과의 모양은 상이할 수 있다.
흡수층(30)은 착용자로부터 발산되는 열을 흡수할 수 있다. 따라서, 흡수층(30)은 나노 코팅되어 통기성이 있는 초박지 원단일 수 있다.
원단에 나노코팅이 형성될 수 있다면, bottom up 공정 방식에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top down 공정 방식으로도 제조할 수 있다.
Bottom up 방식은 sol-gel 과정 등을 통해 섬유소재에 나노 형태를 형성시키거나 나노물질을 직접 형성시킨다. Sol-gel을 이용한 나노코팅 가공은 무기물이건 유기물이건 나노 물질이 가지는 자기 조직화(self-assemnling) 기능과 강력한 Van der waals력에 의해 섬유표면에 나노 두께의 강고한 기능성물질 피막을 손쉽게 얻을 수 있다.
반면, top down 방식은, 이미 만들어진 나노물질을 섬유에 부착시키고, 나노유연제나 나노발수제 또는 무기재료 등의 나노 입자를 이용할 수 있다. 이 외에 plasma, electron beam, laser, super critical, ultra sonic 등 물리적 에너지를 이용하는 나노코팅 기술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흡수층(30)은 벤텍스 사의 DRY-ZONE일 수 있다. DRY-ZONE 원단은 나노코팅 방식으로 통기성이 유지되는 소재이다. 외부로부터의 물기는 안쪽으로 침투되지 않고, 몸에서 발생되는 땀은 밖으로 배출시키는 기능을 갖추고 있으며 열전도율이 낮아 여름에도 시원함을 느낄 수 있다.
수분층(31)은 건조 바이오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질 수 있다.
건조 바이오셀룰로오스는 미세한 다공성의 3차원 망상구조로 이루어져있으며, 건조 중량의 200배 이상의 수분함유 능력을 가지고 있어 냉각조끼 내의 많은 수분저장을 통해 냉각효과를 장시간 유지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바이오셀룰로오스와 일반 부직포 섬유의 직경 차이는 100 배에서 1,000배까지 차이가 나며, 이런 섬유들이 3차원 망상구조로 얽혀 있어, 전체적으로 바이오셀룰로오스가 일반 부직포보다 조밀도가 월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건조 바이오셀룰로오스에 수분이 추가되면, 습윤 셀룰로오스로 환원되며 기존 습윤 셀룰로오스와 동일한 효과를 나타내거나 더 우수한 수분 함량의 유지가 가능하다.
따라서, 냉각조끼 내의 수분이 건조 바이오 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진 수분층(31)을 통하여 더 오랜 시간 동안 유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습윤 바이오셀룰로오스에 비해 약 1/4 두께를 차지하는 건조 바이오셀룰로오스를 수분층(31)으로 사용하여, 보다 우수한 효과를 구현함과 동시에, 가볍고 얇은 냉각조끼를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건조 바이오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진 수분층(31)은 3차원 망상구조를 통한 고유의 냉각 효과를 흡수층(30)으로 전달하여 착용자의 체온을 낮추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이하, 수분층(31)으로 면이 혼용된 일반 부직포가 적용된 실시예 1 및 건조 바이오셀룰로오스가 적용된 실시예 2의 비교를 통해 자세히 기술한다.
수분층(31)의 종류만 달리하여 냉각조끼 시험품을 제작한 뒤, 400 ml의 물을 수분층(31)에 흡수시키고, 착용자가 냉각조끼를 입은 상태에서 시간의 흐름에 따른 체온을 측정하여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냉각조끼 착용 시, 뒷판면(20)에 접촉되는 목 뒤쪽을 접촉식 체온계를 사용하여 시험자 10명의 체온을 측정하였으며, 결과의 신뢰를 높이기 위해 실시예 1 내지 2의 시험은 각기 다른 날에 시험하여 표 1에 기재하였다.
구분 | 실시예 1 | 실시예 2 | ||||
0 h | 3 h | 온도차 | 0 h | 3 h | 온도차 | |
1 | 33 | 31 | 2 | 32.4 | 28.8 | 3.6 |
2 | 33.3 | 32.1 | 1.2 | 32.3 | 28.3 | 4 |
3 | 33.2 | 31 | 2.2 | 32.3 | 27.8 | 4.5 |
4 | 32.5 | 29.5 | 3 | 32.4 | 27.6 | 4.8 |
5 | 32.6 | 29.6 | 3 | 32.2 | 27.5 | 4.7 |
6 | 33.1 | 30.2 | 2.9 | 32.5 | 27.1 | 5.4 |
7 | 33.5 | 32 | 1.5 | 32 | 27.3 | 4.7 |
8 | 32.8 | 32 | 0.8 | 33 | 28.5 | 4.5 |
9 | 32.3 | 31.5 | 0.8 | 32.1 | 28.1 | 4 |
10 | 33 | 32.3 | 0.7 | 32.5 | 26.5 | 6 |
평균 | 1.81 | 평균 | 4.62 |
표 1을 참고하면, 실시예 1 내지 2의 냉각조끼를 착용한 10 명의 시험자 모두 착용 직후에 비해 3 시간이 경과한 시점에서의 체온이 낮게 측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1의 경우 3 시간 뒤, 시험자들의 체온이 평균 1.81 ℃ 감소한 것이 비해, 수분층(31)이 건조 바이오셀룰로오스인 실시예 2를 착용한 시험자들의 경우, 3 시간 뒤 체온이 평균 4.62 ℃ 감소한 것을 측정되었다.
이를 통해, 수분층(31)으로 건조 바이오셀룰로오스가 적용될 경우, 건조 바이오셀룰로오스의 수분 저장능력과 냉감효과를 통해 체온 유지의 대한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추가적으로 수분층(31)이 건조 바이오셀룰로오스일 경우, 냉각이 지속되는 시간이 얼마나 유효할지에 대해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표 1의 시험을 위해 제조된 냉각조끼 실시예 1 내지 2를 기반으로, 시간의 흐름에 따라 냉각조끼가 지니고 있는 온도를 측정해 표 2에 기재하였다.
이때, 온도는 시험자가 냉각조끼를 벗지 않고 장시간 착용하고 있는 것이 용이하지 않아, 실시예 1 내지 2의 뒷판면(20) 내부, 코팅층(33) 상부 표면을 비접촉 온도계를 통해 측정하였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2를 실온 조건에 걸어두어 보관하면서 온도를 측정하였다.
구분 | 경과 시간 (시간) | |||||
0 | 6 | 12 | 24 | 36 | 48 | |
실시예 1 | 28 | 32 | 33 | 35 | 36 | 37 |
실시예 2 | 24 | 25 | 25 | 27 | 27.5 | 28 |
표 2를 참고하면, 실시예 1의 경우, 온도 측정 초기에는 냉감효과가 있다가 6 시간이 경과하면서부터 30 ℃ 이상으로 온도가 상승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에 비해, 수분층(31)이 건조 바이오셀룰로오스인 실시예 2의 경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온도가 점차 상승하기는 하나, 48 시간이 지난 후에도 여전히 30 ℃ 이하로 온도를 유지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수분층(31)이 건조 바이오셀룰로오스로 구성될 경우, 바이오셀룰로오스 자체의 망상구조를 통한 수분유지 능력으로 인해 냉감효과가 상대적으로 오랫동안 지속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부직포층(32)은 수분층(31) 상면에 위치하여, 여분의 수분을 저장했다가 수분층(31)으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부직포층(32)은 셀룰로오스를 기반으로 한 코튼이나 비스코스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조끼의 냉각 유지시간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부직포층(32)의 평량을 조절하여 적용할 수 있다. 평량을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바람직하게는 35 gsm ~ 100 gsm일 수 있다.
부직포층(32)의 평량이 35 gsm 미만이면, 냉각조끼가 가볍고 얇게 제작되어 착용자가 입고 활동하기에 용이하지만, 부직포층(32)에서 여분의 수분을 저장하고 있는 것이 용이하지 않아, 수분층(31)이 보유하고 있는 수분에만 의존하여야 한다. 또한, 평량이 100 gsm 이상이 되면, 다량의 여분의 수분을 저장이 가능하여 수분층(31)에 원활한 수분공급이 가능하지만, 많은 양의 수분을 머금고 있기 때문에 착용자가 냉각조끼를 입고 있을 때, 무게의 증가로 인해 신체에 무리가 갈 수 있다.
코팅층(33)은 부직포층(32) 상면에 연결되고, 수분층(31)에서 증발되는 수분이 기회되며, 표면에 자외선차단 코팅이 될 수 있다. 착용자가 외부의 복사열에 의한 체온상승을 방지하기 위해, 나노코팅되어 자외선차단 및 방수, 방오의 특성을 가지는 원단 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코팅층(33)은 W.S. GORE&ASSOCIATES. INC사의 GORE-TEX, GORE-TEX XCR 중 하나 이상이 선택될 수 있다. GORE-TEX 원단은 흰색의 얇은 막으로 1평방인치당 90억개 이상의 미세한 구멍으로 이루어진 멤브레인이 존재한다. 멤브레인의 미세한 구멍 하나의 크기가 물방울 입자보다 2만배 이상 작고, 수증기 분자보다 700배 이상 커서 외부의 비나 눈 등의 액체는 침투하지 못하고, 몸에서 나는 수증기나 땀은 밖으로 배출시킨다.
이에 따라, 착용자 신체에서 나온 열기를 코팅층(33)의 미세한 구멍을 통해 기화시켜 배출해주어 체온 조절에 기여할 수 있다.
수분유입부(40)는, 앞판면(10)과 뒷판면(20)의 연결부위에 복수개로 구비되어 물이 공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앞판면(10) 전체 면적의 물을 공급해주는 앞판수분유입부(40a)와, 뒷판면(20) 전체 면적의 물을 공급해주는 뒷판수분유입부(40b)로 구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조끼의 수분유입부의 구조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수분유입부(40)는, 조끼본체(100)와 연결되고, 서로 다른 지름을 가지며 누르는 힘에 의해 겹겹이 겹쳐지고, 당기는 힘에 의해 펴지는 하판접이부(42), 하판접이부(42)에 연결되어 여닫을 수 있는 상판(41)을 포함할 수 있다.
하판접이부(42)는, 가장 큰 지름과 하판홈(43)을 가지며, 가장 바깥쪽에 존재하는 하판제1접이부(42a)와 상대적으로 작은 지름을 가지며 하판제1접이부(42a)의 안쪽에 위치한 하판제2접이부(42b), 그에 비해 더 작은 지름을 가지며 하판제2접이부(42b)의 안쪽에 위치한 하판제3접이부(42c), 그보다 더 작은 지름을 가지며 하판제3접이부(42c)의 안쪽에 위치한 하판제4접이부(42d), 가장 작은 지름을 가지며 하판제4접이부(42d)의 안쪽에 위치한 하판제5접이부(42e)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조끼의 하판접이부(42)는 하판제5접이부(42e)까지 다섯 단계로 구성되어 있지만, 필요에 따라 단계는 더 늘어나거나 줄어들 수 있으며, 특별히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하판접이부(42)는 하판제1접이부(42a) 방향에서 하판제5접이부(42e) 방향인 위에서 아래로 힘을 가해주면 하판제1접이부(42a)가 최외측으로 안착되며 지름이 작아지는 순서대로 접히면서 안착되며, 지름이 가장 작은 하판제5접이부(42e)가 하판접이부(42) 중앙에 위치하여 안착되게 접힐 수 있다.
또한, 하판접이부(42)가 접혀있는 상태에서, 하판제5접이부(42e) 방향에서 하판제1접이부(42a) 방향인 아래에서 위로 힘을 가해 당겨주면, 하판제5접이부(42e)가 최내측으로 안착되며 지름이 커지는 순서대로 펴치면서 역삼각형 형태로 안착된다. 이를 통해 지름이 가장 큰 하판제1접이부(42a) 내부에 물을 주입하게 되면 하판접이부(42) 전체가 깔대기 역할을 하며 냉각조끼 내부로 용이하게 물을 공급할 수 있다.
하판접이부(42)가 누르거나 당기는 등의 압력을 통해 접혀지거나 펴지면서, 용이한 물의 주입 뿐만 아니라, 하판접이부(42)를 접어 최소한의 부피로 만들고, 냉각조끼를 착용하는 근로자의 행동반경 등에 대한 제한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판(41)은, 하판접이부(42)에 연결되어 여닫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하판접이부(42)의 뚜껑 역할을 하며, 상판홈(41a)이 하판제1접이부(42a)에 존재하는 하판홈(43)에 갈고리처럼 걸리며 상판(41)이 닫힌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조끼는, 수분층(31)과 흡수층(30) 사이에 위치하며, 앞판면(10)과 뒷판면(20)을 따라 배열되어 있고, 수분유입부(40)에 연결되어 물을 수분층(31)까지 유입시키는 수분유입관(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분유입관(50)은 강도가 세지 않고 유동성이 있는 실리콘 재질의 튜브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조끼의 흡수층과 수분층 사이에 위치한 수분공급관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구조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수분유입부(40)를 통해 연결된 수분유입관(50)이 수분층(31)과 흡수층(30) 사이에 지그재그 형태로 배열되며, 물이 수분유입관(50)을 따라 흐르면서 앞판면(10)이나 뒷판면(20)에 골고루 주입이 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수분유입홀(51)을 포함할 수 있다.
수분유입관(50)에 물이 주입되면, 수분유입관(50)을 따라 물이 흐르고, 복수개의 수분유입홀(51)을 통해 수분층(31)으로 물이 흡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물이 주입되면 앞면판(10) 또는 뒷면판(20)의 하부 방향으로 물이 적체가 되면서 하부의 수분유입관말단(53)이나 수분유입홀(51)로부터 수분층(31)으로의 물의 흡수가 일어날 수 있다. 이 후에, 점차 물이 적체되는 구간의 높이가 상승하게 되면서 상부의 수분유입홀(51)에서 수분층(31)으로의 물의 흡수가 일어나게 된다. 이를 통해, 앞판면(10)이나 뒷판면(20) 면적 전체에 고르게 물을 분포해줄 수 있다.
또한, 수분유입관말단(53)은 수분유입홀(51)에 비해 크기가 작을 수 있다.
수분유입관말단(53)의 크기가 커질수록 수분유입관말단(53)을 통한 수분층(31)의 물 유입이 증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냉각조끼 하부에 물이 적체되며, 고르게 분포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수분유입관말단(53)은 수분유입홀(51)의 1/2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수분유입관(50)은 물이 적체되지 않고 중력에 의해 흐름이 원활할 수 있도록 기울기가 적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분유입관(50)의 기울기가 45 도로 적용되어 보다 빠르게 수분층(31)에 물이 도달할 수 있다.
또한 수분유입관(50)은 지그재그 형태로 수분유입부(40)부터 냉각조끼의 하단면까지 배열되어 있는데, 물이 적체가 되지 않고 중력에 의해서 잘 흐를 수 있도록 수분유입커브(5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분유입커브(52)는 곡면으로 이루어지거나, 각이 질 수 있으나 이에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이하, 수분유입관의 유무에 따른 냉각조끼의 부위별 온도 차이를 표 3에 기재된 실시예 3 내지 4를 통해 자세히 기술한다.
실시예 3은 수분유입관을 구성하지 않고, 수분유입부를 통해 물을 주입하여 수분층의 흡수만을 통해 분포되게 하고, 실시예 4는 수분유입관을 수분층과 흡수층 사이에 구성하여 냉각조끼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3 내지 4의 각각의 앞판면과 뒷판면의 상부부터 상, 중, 하로 구분지어 표면을 비접촉 온도계를 통해 측정하여 표 3에 기재하였다.
구분 | 앞판면 | 뒷판면 | ||||
상 | 중 | 하 | 상 | 중 | 하 | |
실시예 3 | 26 | 29 | 30 | 25 | 28.2 | 31.5 |
실시예 4 | 25 | 25.4 | 24.8 | 24.7 | 25 | 25.2 |
표 3을 참고하면, 수분유입관이 구성되지 않은 실시예 3의 경우, 상, 중, 하면의 온도가 비교적 고르지 못하며, 뒷판면의 경우 상부와 하부의 온도가 6.5 ℃로 많은 차이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에, 수분유입관이 구성되어 있는 실시예 4의 경우, 상, 중, 하면의 온도가 비교적 고르며, 상대적으로 온도 차이가 큰 앞판면의 상부와 하부는 1.8 ℃ 차이로, 실시예 3에 비해 현저하게 고른 온도 분포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조끼의 수분유입관(50)의 구성은 물을 상, 중, 하부에 골고루 분포시킬 수 있으며, 착용자가 냉각조끼를 입었을 때, 피부에 닿는 모든 면적에서 냉감효과를 느낄 수 있을 것이라 판단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조끼는, 흡수층(30) 및 코팅층(33) 측면에
위치하고 서로 연결되어, 수분층(31) 및 부직포층(32)에 위치하는 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지부(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조끼의 단면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흡수층(30), 수분유입관(50), 수분층(31), 부직포층(32), 코팅층(33)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있을 수 있다.
수분유입관(50)을 통해 물이 주입되면, 기본적으로 수분유입홀(51)이나 수분유입관말단(53)을 통해 물이 우선적으로 수분층(31)에 흡수하게 되는데, 이미 흡수된 물이 코팅층(33)까지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방지부(60)가 포함될 수 있다.
방지부(60)는 코팅층(33)에서 흡수층(30)까지를 압착하는 형식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특히 코팅층(33)이 아닌, 여분의 물을 저장하였다가 수분층(31)에 공급해주는 부직포층(32)으로 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방지홈(61)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물이 코팅층(33) 근처까지 이동이 되었다가, 방지홈(61)에 막혀 부직포층(32)으로 흡수되며 수분층(31)까지의 물의 전달을 도와줄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0: 조끼본체
10: 앞판면 11: 제1포켓
12: 제2포켓 20: 뒷판면
30: 흡수층 31: 수분층
32: 부직포층 33: 코팅층
40: 수분유입부 40a: 앞판수분유입부
40b: 뒷판수분유입부 41: 상판
41a: 상판홈 42: 하판접이부
42a: 하판제1접이부 42b: 하판제2접이부
42c: 하판제3접이부 42d: 하판제4접이부
42e: 하판제5접이부 43: 하판홈
50: 수분유입관 51: 수분유입홀
52: 수분유입커브 53: 수분유입관말단
60: 방지부 61: 방지홈
10: 앞판면 11: 제1포켓
12: 제2포켓 20: 뒷판면
30: 흡수층 31: 수분층
32: 부직포층 33: 코팅층
40: 수분유입부 40a: 앞판수분유입부
40b: 뒷판수분유입부 41: 상판
41a: 상판홈 42: 하판접이부
42a: 하판제1접이부 42b: 하판제2접이부
42c: 하판제3접이부 42d: 하판제4접이부
42e: 하판제5접이부 43: 하판홈
50: 수분유입관 51: 수분유입홀
52: 수분유입커브 53: 수분유입관말단
60: 방지부 61: 방지홈
Claims (5)
- 앞판면과 뒷판면이 연결된 조끼본체;
상기 앞판면과 뒷판면의 연결부위에 위치하면서, 상기 앞판면에 연결되는 복수개의 앞판수분유입부 및 상기 뒷판면에 연결되는 복수개의 뒷판수분유입부로 이루어져 물이 상기 조끼본체로 공급되는 수분유입부;
착용자로부터 발산되는 열을 흡수하는 흡수층;
상기 흡수층 상면에 위치하여 상기 열을 흡수하고, 상기 수분유입부와 연결되어 공급된 상기 물이 균일하게 유지되는 수분층;
상기 수분유입부가 관통되고 상기 수분층 상면에 위치하는 부직포층;
상기 부직포층 상면에 연결되고, 상기 수분층에서 증발되는 수분이
기화되며, 표면에 자외선차단 코팅이 된 코팅층; 및
상기 수분유입부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수분층과 상기 흡수층 사이에 지그재그로 배열되는 수분유입관을 포함하고,
상기 수분유입관은,
상기 착용자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물이 상기 수분유입관을 따라 흐를 때, 상기 수분층으로 배출되도록 아래방향으로 수분유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수분유입부로부터 유입된 상기 물이 적체되지 않고 중력에 의해서 잘 흐를 수 있도록 곡면 또는 각이 져 형성된 수분유입커브; 및
상기 수분유입관 말단에 위치하여, 상기 수분유입홀 보다 크기가 작게 형성된 수분유입관말단을 포함하며,
상기 수분층은 건조 바이오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지고,
상기 부직포층은 평량이 35 ~ 100 gs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조끼. - 삭제
- 삭제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층 및 상기 코팅층 측면에 위치하고 서로 연결되어, 상기 수분층
및 상기 부직포층에 위치하는 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냉각조끼.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유입부는,
상기 조끼본체와 연결되고, 서로 다른 지름을 가지며 누르는 힘에 의해 겹겹이 겹쳐지고, 당기는 힘에 의해 펴지는 하판접이부; 및
상기 하판접이부에 연결되어 여닫을 수 있는 상판을 포함하는 냉각조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37073A KR102486438B1 (ko) | 2022-03-25 | 2022-03-25 | 냉각조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37073A KR102486438B1 (ko) | 2022-03-25 | 2022-03-25 | 냉각조끼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86438B1 true KR102486438B1 (ko) | 2023-01-09 |
Family
ID=84892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37073A KR102486438B1 (ko) | 2022-03-25 | 2022-03-25 | 냉각조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86438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008301B2 (ja) * | 2012-01-10 | 2016-10-19 | 株式会社日曜発明ギャラリー | 装着具 |
KR20180107589A (ko) * | 2017-03-22 | 2018-10-02 | (주)밀양한천 | 고강도, 고탄성의 한천을 이용한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제조방법 |
JP2020078251A (ja) * | 2018-11-12 | 2020-05-28 | 田村駒株式会社 | 冷感体 |
-
2022
- 2022-03-25 KR KR1020220037073A patent/KR10248643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008301B2 (ja) * | 2012-01-10 | 2016-10-19 | 株式会社日曜発明ギャラリー | 装着具 |
KR20180107589A (ko) * | 2017-03-22 | 2018-10-02 | (주)밀양한천 | 고강도, 고탄성의 한천을 이용한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제조방법 |
JP2020078251A (ja) * | 2018-11-12 | 2020-05-28 | 田村駒株式会社 | 冷感体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Fan et al. | Superior unidirectional water transport and mechanically stable 3D orthogonal woven fabric for human body moisture and thermal management | |
Bhuiyan et al. | Electrospun polyacrylonitrile–silica aerogel coating on viscose nonwoven fabric for versatile protection and thermal comfort | |
Liu et al. | A novel approach to design nanoporous polyethylene/polyester composite fabric via TIPS for human body cooling | |
ES2532504T3 (es) | Artículo compuesto textil | |
CN101796245A (zh) | 织物与织物叠层 | |
US9913504B2 (en) | Flame resistant thermal liner, composite fabric, and garment | |
JP2020515685A (ja) | 断熱性延伸ポリテトラフルオロエチレン製品 | |
Shabaridharan et al. | Study on heat and moisture vapour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through multilayered fabric ensembles | |
WO2021249326A1 (zh) | 可控液体传输材料、系统及其制备方法 | |
CN108611738A (zh) | 一种梯度结构拒水排汗的双面功能织物及用途 | |
KR102486438B1 (ko) | 냉각조끼 | |
US20200215362A1 (en) | Cloth using heat sink, and clothes and mouth mask using the cloth | |
Gu et al. | Polylactic acid based Janus membranes with asymmetric wettability for directional moisture transport with enhanced UV protective capabilities | |
CN106626588B (zh) | 一种导湿快干的微纳米级再生纤维无纺布的制备方法 | |
WO2020211115A1 (zh) | 一种被服气凝胶填充结构及其应用 | |
CN110438611A (zh) | 一种可进行温度调控的纱线及其制备工艺 | |
KR101588726B1 (ko) | 온열 및 냉감 기능의 다층구조 원단 | |
CN108741337B (zh) | 基于分形自相似结构的仿生纺织品 | |
CN206157306U (zh) | 一种吸湿导湿保暖涤纶长丝空气层面料 | |
KR20090026629A (ko) | 자기제어형 보온원단 | |
KR102472824B1 (ko) | 여성 드레스용 원단의 제조방법 | |
KR20040061417A (ko) | 온도조절 기능을 갖는 인공지능형 초발수 흡수속건성 원단 | |
CN111941942A (zh) | 一种透气性面料 | |
TWI553179B (zh) | 質輕防風抗寒蓄熱保暖透氣布 | |
CN211710205U (zh) | 一种生物实验防护服面料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