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6187B1 - 다자간 협의 기반의 건설 및 건축 자재의 전자상거래 중개 시스템 - Google Patents

다자간 협의 기반의 건설 및 건축 자재의 전자상거래 중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6187B1
KR102486187B1 KR1020210170079A KR20210170079A KR102486187B1 KR 102486187 B1 KR102486187 B1 KR 102486187B1 KR 1020210170079 A KR1020210170079 A KR 1020210170079A KR 20210170079 A KR20210170079 A KR 20210170079A KR 102486187 B1 KR102486187 B1 KR 1024861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orderer
information
driver
constr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00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태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요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요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요따
Priority to KR10202101700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61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61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61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설 및 건축을 위한 각종 자재를 주문, 판매 및 배송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전자상거래를 위한 전자 인수와 더불어 자재의 전자상거래를 중개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건설 또는 건축 자재의 구매 의사가 있는 주문자에 의해 인터넷을 통해 건설 및 건축 자재 전자상거래 중개 플랫폼(500)에 접속하는 주문자단말기(100); 인터넷을 통해 건설 및 건축 자재 전자상거래 중개 플랫폼(500)에 접속한 복수의 주문자단말기(100)에게 재고로 보유하고 있는 각종 건설 또는 건축 자재를 판매하는 판매자단말기(200); 인터넷을 통해 건설 및 건축 자재 전자상거래 중개 플랫폼(500)에 접속한 상기 주문자단말기(100)나 판매자단말기(200)에게 각종의 건설 또는 건축 자재를 배송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차량과 이 차량을 다룰 수 있는 드라이버스(Drivers) 정보를 제공하는 드라이버스센터서버(300); 인터넷으로 접속된 상기 드라이버스센터서버(300)에서 건설 또는 건축 자재의 배송을 위한 배정을 받아 판매자가 보유한 자재를 주문자에게 배송하는 드라이버스단말기(400); 인터넷으로 접속된 상기 주문자단말기(100)의 건설 및 건축 자재에 관한 주문내역증을 생성하여 판매자단말기(200)와 드라이버스단말기(400)에 전송하고, 주문내역증에 주문자단말기(100), 판매자단말기(200) 및 드라이버스단말기(400) 각각의 주문, 판매 및 배송과 관련된 전자서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중개서버(510)와, 상기 중개서버(510)로 각종 데이터를 입출력하고 저장하는 DB서버(550)를 포함하는 건설 및 건축 자재 전자상거래 중개 플랫폼(5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자간 협의 기반의 건설 및 건축 자재의 전자상거래 중개 시스템은 주문자, 판매자 및 드라이버스가 각각 자재의 주문, 판매 및 배송을 협의하고, 주문에서 배송까지 각각의 전자서명으로 추후 발생할 수 있는 책임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자간 협의 기반의 건설 및 건축 자재의 전자상거래 중개 시스템{Mediation System for Electronic Commerce of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Based on Multi Council}
본 발명은 다자간 협의 기반의 건설 및 건축 자재의 전자상거래 중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설 및 건축을 위한 각종 자재를 주문, 판매 및 배송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전자상거래를 위한 전자 인수와 더불어 자재의 전자상거래를 중개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4차산업은 정보 및 지식 산업의 발달과 함께 사회의 문화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경제의 지식 기반 일부를 기술하는 한 방법으로써 정보 배포 및 공유, 정보기술, 상담, 교육, 연구 및 개발, 금융 계획, 기타 지식 기반 서비스를 포함한다. 이러한 4차산업은 기계학습과 인공지능(AI)의 발달로 인한 산업의 변화를 가리킨다. 더욱이 4차산업은 단순히 기기와 시스템을 연결하고 스마트화하는 데 그치지 않고 훨씬 넓은 범주까지 아우른다. 이는 유전자 염기서열분석에서 나노기술 재생가능에너지에서 퀀텀 컴퓨팅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거대한 약진이 동시다발적으로 일어나고 있다. 이 모든 기술을 융합하여 물리적 영역, 디지털 영역, 생물 영역이 상호교류하는 4차산업은 종전의 그 어떤 혁명과도 근본적으로 궤를 달리한다. 따라서 지금까지 기술적 진보는 더 많은 새로운 고용 창출의 기회를 가져왔고 전체적으로 유지하는 수준이 되었다.
특히, 4차산업 분야에서 지능정보 기술은 AI(인공지능)의 "지능"과 ICBM(IoT, Cloud Computing, Big Data, Mobile)에 기반한 "정보"가 종합적으로 결합한 형태로, 대량의 데이터가 지속해서 생성되고, 실시간으로 전달(IoT, Mobile)되어 저장, 분석, 활용되고, 새로운 알고리즘의 유형을 통해 적용 분야가 지속 발전하고 확대할 수 있다. 이러한 지능정보 기술은 기계가 인간의 고차원적인 판단기능을 수행하여 독립된 주체로서 활동함으로써 자동화와 무인화가 확산하는 무인 의사결정; 데이터의 수집, 분석, 판단, 추론 등 일련의 과정들이 ICT 기술을 통해 즉각 처리되어 기계가 실시간으로 반응하는 실시간 반응; 딥러닝 등의 기계학습을 통해 스스로 진화하여 기계의 성능이 기하급수적으로 향상되는 자율 진화, 그리고 과거에는 보관 및 활용이 어려웠던 생체정보, 행태정보, 비정형 정보 등의 데이터도 기계학습 과정을 거치며 의미를 추출할 수 있는 만물의 자료화가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다.
또한, 빅데이터를 이용한 마케팅은 빅데이터를 통해 고객의 소비 패턴과 선호도, 정보 등을 분석하여, 구매 가능성이 큰 고객에게 맞춤형 혜택을 제공하는 마케팅 방식이다. 최근에는 단순히 유형의 상품뿐만 아니라 금융, 유통, 의료, 통신, 보험 분야와 같은 무형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4차산업 환경하에서 인터넷을 통한 전자상거래(Electronic Commerce, e-Commerce, eCommerce)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즉, 전자상거래는 컴퓨터 등을 이용하여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상에서 이루어지는 전자적 매체(시스템)를 이용한다. 이러한 전자상거래는 가상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제품이나 용역을 사고파는 거래행위이다. 그리고 전자상거래는 더 넓은 범위에 있어서 전자우편을 사용하기도 하지만, 보통 월드 와이드 웹(World Wide Web, WWW)을 사용한다. 또한, 전자상거래는 전자 비즈니스(e-Business)의 한 부분으로서 인터넷이나 네트워크, 다른 디지털 기술들을 이용하여 전자적으로 제품이나 서비스를 사고파는 것이다. 또한, 전자상거래는 광고, 마케팅, 고객 지원, 배송, 지급 등과 같은 활동들도 포함한다. 또한, 전자상거래는 인터넷상에 비디오와 그래픽으로 구성된 가상시장에서 세계 각국의 생산자와 소비자가 직접 만나 중간상 없는 교역을 할 수 있으며, 신용카드나 전자화폐를 통한 대금결제가 가능하다.
종래에 오프라인을 통한 상거래에서 상품의 매매를 위하여 배송에 따른 인수 완료 때에 이를 증명하기 위하여 종이인수증을 작성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이인수증은 판매자 또는 배송자가 매번 종이와 펜을 들고 구매자의 인수 완료 서명을 받아야 한다. 더욱이 구매자의 부재나 거래 명세 등의 오류 등으로 서명을 받기 위하여 여러 번의 방문을 거쳐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가 있었고, 수많은 종이인수증의 처리 및 관리의 문제와 더불어 종이인수증의 전달 과정으로 인한 배송비용의 지급이 지연되는 문제도 있었다. 더욱이 상품의 발주나 운송 과정에서 다단계의 도급을 거치거나 해당 단계마다 결제일이 별도로 지정되는 경우는 판매자뿐만 아니라 배송자가 상품의 대금을 결제받는 데 오랜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도 발생하였다.
또한, 종래에 각종 건설자재나 건축자재를 주문하고자 할 때는 배송일자에 맞추어 미리 주문하거나 또 긴급하게 자재가 필요할 때는 해당 판매자에게 직접 전화하거나 문자메시지 등을 이용하여 자재 수급을 요청하지만, 해당 판매자가 보유한 재고가 없을 때는 전체 공사 일정에 차질이 발생하거나 다른 판매자로부터 재고를 확보하더라도 불만스러운 자재 품질의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또한, 각종 건설자재나 건축자재는 작게는 체결부품에서부터 목재 등, 크게는 전용의 차량이나 전문인력이 필요한 콘크리트믹서 차량 등 다양하다. 따라서 건설이나 건축을 위한 각종 부품이나 소량의 목재 등은 전용의 차량이나 전문인력 없이도 쉽게 배송할 수 있지만, 많은 수량의 자재를 배송하기 위한 차량의 배정이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전문인력이 필요한 콘크리트믹서 차량 등의 특수장비는 전문인력이 없을 때는 자재의 손상을 초래할 수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특허문헌1의 가격과 성능을 고려한 건축 자재 및 설비의 정보 제공 및 거래 중개 방법은, 객관적인 데이터를 활용하여 자재를 선택하여야 하는 구매자에게 원하는 성능을 갖는 건축 자재와 설비에 대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제공하고, 많은 양의 제품을 구매한 구매자의 평가 점수가 적은 양의 제품을 구매한 구매자의 평가 점수보다 큰 영향을 주어 평가 점수의 신뢰성을 상승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1은 자재에 대한 다양한 정보의 제공과 양적 구매에 따른 평가 점수를 차별화하여 더 저렴한 자재의 구매를 유도하고 있다.
특허문헌2의 데크 및 건축자재 유통 및 시공 시스템은, 데크 자재 정보 및 데크시공 비용을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더 정규화된 지식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편리하게 데크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고, 데크의 시공에 대한 맞춤식 자재 및 시공 지식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단계별로 자재 및 시공을 선택하여 견적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3은 데크의 자재 정보와 시공 비용을 제공하고 단계별 견적을 확인할 수 있다.
특허문헌3의 기록매체에 기록된 건축자재 주문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화물배송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오픈 마켓 시스템은, 개인과 업체 간 또는, 업체와 업체 간 거래에 있어서 구매량에 따른 차등적 가격설정 기능 및 독점권 부여 기능을 구현하여 구매자와 판매자에게 건축자재에 특화된 오픈 마켓 서비스를 제공하고, 개인 또는 업체 간 건축 인테리어 자재 거래에서 더 유용한 배송설정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3은 구매자의 구매량에 따라 차등의 가격설정과 독점권의 제공 및 배송의 설정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특허문헌4의 건설자재 처리시스템 및 건설자재 거래방법은, 건설자재를 생산업자, 구매업자, 운송업자를 온라인으로 연결해주고, 오프라인의 물류이동, 생산업자의 품질평가, 운송업자의 운송능력 평가, 결제 관계 데이터 등의 입출력 처리 및 품질 개선 피드백을 동시적으로 처리하여 주는 시스템과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4는 온라인으로 연결된 생산업자, 구매업자, 운송업자 사이에 물류이동, 품질평가, 운송능력의 평가, 그리고 결제 관계의 입출력 및 품질 개선에 대한 피드백을 처리하도록 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33408호(2019.10.11.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267381호(2021.06.15. 등록)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124793호(2018.11.21.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1-0023379호(2021.03.04. 공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건설 또는 건축 자재의 구매, 판매 및 배송에 따른 오프라인상의 종이인수증을 이용할 때 주문자와 배송자의 인적 사항의 기재에 관한 오류와 인수자의 부재 등 모든 불편 사항들을 한 번에 해결함은 물론, 안전하고 투명한 다자간 협의 기반의 전자 인수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위치를 기반으로 하여 최적의 거래처와 건설 또는 건축 자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 다른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건설 또는 건축 자재 배송자의 취급 전문성을 고려하여 안전한 배송에 최적화된 드라이버스를 운영할 수 있도록 한 것이 또 다른 목적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건설 또는 건축 자재의 구매 의사가 있는 주문자에 의해 인터넷을 통해 건설 및 건축 자재 전자상거래 중개 플랫폼에 접속하는 주문자단말기; 인터넷을 통해 건설 및 건축 자재 전자상거래 중개 플랫폼에 접속한 복수의 주문자단말기에게 재고로 보유하고 있는 각종 건설 또는 건축 자재를 판매하는 판매자단말기; 인터넷을 통해 건설 및 건축 자재 전자상거래 중개 플랫폼에 접속한 상기 주문자단말기나 판매자단말기에게 각종의 건설 또는 건축 자재를 배송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차량과 이 차량을 다룰 수 있는 드라이버스(Drivers) 정보를 제공하는 드라이버스센터서버; 인터넷으로 접속된 상기 드라이버스센터서버에서 건설 또는 건축 자재의 배송을 위한 배정을 받아 판매자가 보유한 자재를 주문자에게 배송하는 드라이버스단말기; 인터넷으로 접속된 상기 주문자단말기의 건설 및 건축 자재에 관한 주문내역증을 생성하여 판매자단말기와 드라이버스단말기에 전송하고, 주문내역증에 주문자단말기, 판매자단말기 및 드라이버스단말기 각각의 주문, 판매 및 배송과 관련된 전자서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중개서버와, 상기 중개서버로 각종 데이터를 입출력하고 저장하는 DB서버를 포함하는 건설 및 건축 자재 전자상거래 중개 플랫폼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다자간 협의 기반의 건설 및 건축 자재의 전자상거래 중개 시스템을 제공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중개서버는, 상기 주문자단말기가 건설 및 건축 자재 전자상거래 중개 플랫폼을 통해 주문하려는 건설 또는 건축 자재에 관한 품명(모델명, 자재 사진), 수량, 금액 및 전자서명란과 배송을 포함하는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항목이 갖춰진 자재주문서를 생성하는 자재주문서생성모듈과, 상기 주문자단말기가 자재주문서의 작성이 자재 주문에 관한 내역증을 생성하는 주문내역증생성모듈과, 상기 판매자단말기에 의해 건설 또는 건축 자재의 거래를 위하여 주문자단말기 및 드라이버스단말기와 실시간으로 대화(SNS, MMS)를 나눌 수 있는 초대창을 생성하는 거래초대창생성모듈과, 상기 주문내역증에 주문자, 판매자 및 드라이버스가 각각 해당하는 주문, 판매 및 배송과정에서 확인을 위하여 공개키 암호방식에 의한 디지털 서명을 위한 전자서명모듈과, 상기 드라이버스단말기가 위치한 곳에서 건설 또는 건축 자재를 판매자로부터 주문자까지의 위치와 거리를 표시하는 지도를 제공하는 지리정보모듈과, 상기 주문내역증의 자재를 배송하는 드라이버스와 관련된 배송의 숙련도, 안전도, 배송비를 포함하는 각각의 평점과 가중치를 누적하여 산출하는 평점 및 가중치모듈과, 상기 드라이버스의 자재 배송과정을 실시간으로 추적하여 주문자단말기로 전송하는 실시간배송정보모듈과, 상기 주문자단말기가 주문한 자재를 배송받아 수령이 완료된 때에 자재비용 및 배송비용의 결제를 수행하는 결제모듈을 포함하는 건설 및 건축 자재 중개용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고, 상기 건설 및 건축 자재 전자상거래 중개 플랫폼에 접속하여 복수의 판매자가 판매하는 건설 또는 건축 자재를 주문하는 주문자와 관련된 기본정보를 저장하는 주문자정보DB와, 상기 건설 및 건축 자재 전자상거래 중개 플랫폼에 접속하여 복수의 주문자에게 각종 건설 또는 건축 자재를 판매하는 판매자와 관련된 기본정보를 저장하는 판매자정보DB와, 판매자가 보유한 건설 또는 건축 자재를 주문자까지 배송하는 드라이버스의 기본정보를 저장하는 드라이버스정보DB와, 상기 주문자단말기가 판매자로부터 구매하려는 자재를 주문하기 위하여 자재주문서에 입력한 정보를 저장하는 자재주문서정보DB와, 상기 드라이버스에 의해 자재를 배송하는 차량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배송차량정보DB와, 상기 주문자단말기의 자재 주문내역, 전자서명, 차량정보, 배송정보, 금액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주문내역증정보DB와, 상기 주문자, 판매자, 드라이버스의 전자서명을 저장하는 전자서명정보DB와, 상기 판매자가 보유한 각종 건설 또는 건축 자재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자재정보DB와, 상기 드라이버스가 자재를 배송하는 동안 발생하는 배송정보를 저장하는 배송정보DB와, 상기 드라이버스에 관한 배송의 숙련도, 안전도, 배송비를 포함하는 정보를 저장하는 평점정보DB와, 상기 주문자단말기의 자재 및 배송비용의 결제정보를 저장하는 결제정보DB를 포함하는 DB서버가 중개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주문내역증생성모듈에서 생성된 주문내역증은 URL형태를 포함하고, 드라이버스센터서버에 건설 또는 건축 자재의 용량, 난이도, 특수차량, 배송일자, 배송거리에 따른 배송비의 견적 항목을 포함하며, 주문자가 직접 판매자의 자재를 수령하는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평점 및 가중치모듈은 주문자단말기가 판매자단말기의 자재판매와 드라이버스단말기의 자재배송에 관한 평가 점수를 부여하거나 주문자단말기, 판매자단말기, 드라이버스단말기는 각각 대응하는 주문자, 판매자, 드라이버스에 대한 평가 점수를 부여하여 서비스 만족도를 평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주문자와 판매자의 기본정보는 각각 성명이나 상호를 포함하는 명칭, 단말기번호, 주소를 포함하고, 상기 드라이버스의 기본정보는 드라이버스의 성명이나 상호를 포함하는 명칭, 단말기번호, 주소, 자격증이나 경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드라이버스센터서버는, DB서버에 저장된 복수의 트럭과 중장비차량과 드라이버스 중에서 주문자단말기에 의해 생성된 주문내역증에 포함된 자재를 배송할 수 있는 해당 차량과 드라이버스를 배정하는 드라이버스배정모듈과, 배정 대기 중이거나 이미 배정된 복수의 트럭과 중장비차량 및 드라이버스에 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갱신하는 드라이버스업데이트모듈을 포함하는 드라이버스 배정용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고, 자재를 적재하여 운송하는 다양한 적재용량을 가진 트럭에 관한 정보와, 다양한 적재용량과 자재를 승강하는 리프트가 설치된 트럭에 관한 정보와, 토사나 골재를 적재하여 운송하는 다양한 적재용량을 가진 덤프트럭에 관한 정보와, 콘크리트를 적재하여 운송하는 다양한 적재용량을 가진 콘크리트믹서트럭에 관한 정보와, 견인차, 굴삭기 또는 지게차를 포함하는 중장비차량에 관한 정보와, 상기 해당 트럭과 중장비차량을 운전할 수 있는 전문인력에 해당하는 드라이버스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DB서버가 상기 드라이버스센터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드라이버스단말기는 주문자에게 자재를 배송한 때에 주문자가 부재 시에 주문자의 요구에 따른 위치에 자재를 배송한 후에 배송완료 사진을 촬영하여 판매자단말기와 주문자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터넷을 통해 주문자, 판매자 및 드라이버스 다자간의 협의를 기반으로 건설 또는 건축 자재의 주문, 판매 및 배송과 관련하여 각각의 과정에서 전자서명을 통해 전자인수증의 기능으로 기존 종이와 펜을 없앨 수 있고, 누구나 언제 어디서나 모바일단말기나 PC를 이용하여 더 편리하게 이용 가능하며, 주문 때의 기재사항의 오류를 배제하고, 주문자의 부재로 인한 자재 인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주문자와 판매자의 인적 사항의 누락 문제 등을 해결하고 있고, 주문자, 판매자 및 드라이버스 사이에 안전하고 투명한 전자상거래가 가능하며, 위치를 기반으로 최적의 판매자와 주문자의 정보를 제공하여 최적의 자재 배송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전문인력으로 구성된 드라이버스에 의한 안전한 배송으로 자재의 손상을 예방할 수 있어 자재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주문자가 원하는 일시에 빠른 배송과 더불어 주문자의 직접 수령과 배송 금액 및 판매자와 자재, 그리고 드라이버스의 평점을 모두 고려하여 합리적인 전자상거래를 제공하고, 주문자와 판매자 및 드라이버스의 이용에 편의를 향상시킨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로, 다자간 협의 기반의 건설 및 건축 자재의 전자상거래 중개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자간 협의 기반의 건설 및 건축 자재의 전자상거래 중개 시스템에서 드라이버스 배정용 애플리케이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자간 협의 기반의 건설 및 건축 자재의 전자상거래 중개 시스템에서 건설 및 건축 자재 중개용 애플리케이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자간 협의 기반의 건설 및 건축 자재의 전자상거래 중개 시스템에서 DB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자간 협의 기반의 건설 및 건축 자재의 전자상거래 중개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자간 협의 기반의 건설 및 건축 자재의 전자상거래 중개 방법에서 주문자가 자재를 직접 수령할 때에 판매자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다자간 협의 기반의 건설 및 건축 자재의 전자상거래 중개 시스템에 관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서, 주문자단말기(100)는 인터넷을 통해 건설 및 건축 자재 전자상거래 중개 플랫폼(500)에 접속하여 각종의 건설 또는 건축 자재를 구매하려는 의사가 있는 주문자가 보유한 단말기이다. 주문자단말기(100)는 건설 및 건축 자재 전자상거래 중개 플랫폼(500)에서 제공하는 건설 및 건축 자재 중개용 애플리케이션(520)으로 중개서버(510)에 접속할 수 있는 모바일단말기이거나 인터넷웹사이트를 통해 중개서버(510)에 접속할 수 있는 PC 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주문자단말기(100)는 건설 또는 건축 자재의 구매의사를 가진 주문자가 중개서버(510)에 접속하여 건설 또는 건축 자재의 정보 검색, 비교 및 구매, 배송 요청 등을 수행하는 것이다.
판매자단말기(200)는 인터넷을 통해 건설 및 건축 자재 전자상거래 중개 플랫폼(500)에 접속한 복수의 주문자단말기(100)에게 재고로 보유하고 있는 각종의 건설 또는 건축 자재를 판매하려는 의사가 있는 판매자가 보유한 단말기이다. 판매자단말기(200)는 건설 및 건축 자재 전자상거래 중개 플랫폼(500)에서 제공하는 건설 및 건축 자재 중개용 애플리케이션(520)으로 중개서버(510)에 접속할 수 있는 모바일단말기이거나 인터넷웹사이트를 통해 중개서버(510)에 접속할 수 있는 PC 등을 포함한다. 또한, 판매자단말기(200)는 인터넷을 통해 하나 또는 복수의 건설 또는 건축 자재를 전시 및 판매하는 운영자이다. 판매자단말기(200)는 자체적으로 운영하는 쇼핑몰의 웹사이트에 해당 건설 또는 건축 자재의 정보를 업로드하거나 수정 및 변경 또는 삭제할 수 있는 단말기이다. 판매자단말기(200)는 건설 및 건축 자재 전자상거래 중개 플랫폼(500)을 운영하는 운영자로 복수의 주문자단말기(100)의 주문자에게 건설 또는 건축 자재를 판매하고, 드라이버스센터서버(300)를 통해 차량 및 드라이버스의 정보를 받아 거래 중인 자재의 안전한 배송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드라이버스센터서버(300)는 인터넷을 통해 건설 및 건축 자재 전자상거래 중개 플랫폼(500)에 접속한 주문자단말기(100)나 판매자단말기(200)에게 각종의 건설 또는 건축 자재를 배송할 수 있는 다양한 기능이나 종류의 차량 정보를 제공하고, 이러한 차량의 취급 전문성과 안전 배송을 위한 전문인력에 해당하는 복수의 드라이버스(Drivers) 정보를 제공한다. 드라이버스센터서버(300)는 다양한 기능과 종류의 차량 정보와 전문인력에 해당하는 드라이버스의 운용 현황을 실시간을 통해 수집, 등록 및 저장하여 업데이트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항상 최신의 정보데이터를 제공한다. 드라이버스센터서버(300)는 전국 단위 또는 지역 단위로 차량 및 드라이버스를 운영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드라이버스센터서버(300)는 주문자의 자재 주문내역증에 포함된 자재의 배송을 위하여 최적의 차량과 드라이버스의 지원이 이루어지도록 복수의 드라이버스와 차량을 제시하여 주문자나 판매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더욱이 제시한 복수의 차량과 드라이버스에 관한 해당하는 배송비용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예컨대, 차량의 적재용량이나 차량의 연식 또는 드라이버스의 경력이나 중장비와 같은 특수차량 등의 운전을 위한 자격증 유무 등에 따라 배송비용이 차등적으로 설계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 2에서, 드라이버스센터서버(300)에는 드라이버스 배정용 애플리케이션(310)이 포함된다. 드라이버스 배정용 애플리케이션(310)은 드라이버스센터서버(300)에 접속된 DB서버(350)에 저장된 복수의 트럭과 중장비와 같은 특수차량과 드라이버스 중에서 주문자단말기(100)에 의해 생성된 주문내역증에 포함된 자재를 배송할 수 있는 해당 차량과 드라이버스를 배정하는 드라이버스배정모듈(311)을 포함한다. 또한, 드라이버스 배정용 애플리케이션(310)에는 배정 대기 중이거나 이미 배정된 복수의 트럭과 특수차량 및 드라이버스에 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갱신하는 드라이버스업데이트모듈(312)을 포함한다.
더욱이 드라이버스센터서버(3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DB서버(350)에는 자재를 적재하여 운송하는 다양한 적재용량을 가진 트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다양한 적재용량과 더불어 자재를 승강하여 적재하거나 하역하는 리프트가 설치된 트럭에 관한 정보도 포함하며, 토사나 골재를 적재하여 운송하는 다양한 적재용량을 가진 덤프트럭에 관한 정보도 포함한다. 또한, 콘크리트를 적재하여 운송하는 다양한 적재용량을 가진 콘크리트믹서트럭에 관한 정보도 포함하고, 견인차, 굴삭기 또는 지게차 등의 특수차량이나 중장비차량에 관한 정보도 포함한다. 더욱이 DB서버(350)에는 콘크리트나 아스팔트 또는 시멘트 등의 재료나 이를 운송하거나 포장하는 중장비차량도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DB서버(350)는 해당하는 트럭과 중장비차량을 운전할 수 있는 전문인력에 해당하는 드라이버스에 관한 정보도 포함하는 것이 좋다.
드라이버스단말기(400)는 인터넷으로 접속된 드라이버스센터서버(300)에서 건설 또는 건축 자재의 배송을 위한 배정을 받아 판매자가 보유한 자재를 주문자에게 배송하는 전문인력이 보유한 단말기이다. 드라이버스단말기(400)는 드라이버스센터서버(300)나 건설 및 건축 자재 전자상거래 중개 플랫폼(500)에서 제공하는 건설 및 건축 자재 중개용 애플리케이션(520)으로 중개서버(510)에 접속할 수 있는 모바일단말기인 것이 좋지만, 인터넷웹사이트를 통해 중개서버(510)에 접속할 수 있는 P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드라이버스단말기(400)는 건설 또는 건축 자재를 구매하려는 주문자에게 판매자가 판매하는 자재의 배송을 수행하는 것이다. 더욱이 드라이버스는 자체적으로 트럭이나 특수차량을 보유하거나 다양한 특수차량의 운전이 가능한 자격증을 갖춘 운용자일 수 있다. 따라서 드라이버스는 전문인력으로 숙련도나 안전도 및 자격증의 유무 등에 따라 평점과 가중치에 따라 드라이버스센터서버(300)로부터 우선순위의 배정이 가능할 것이다.
건설 및 건축 자재 전자상거래 중개 플랫폼(500)은 인터넷으로 접속된 주문자단말기(100), 판매자단말기(200), 드라이버스센터서버(300), 그리고 드라이버스가 건설 또는 건축 자재의 주문, 판매, 차량의 배정 및 배송 등 일련의 과정을 중개하고 관리하는 것이다. 건설 및 건축 자재 전자상거래 중개 플랫폼(500)은 다자간, 즉, 주문자, 판매자, 드라이버스의 참여 및 대화로 신속하고 안전한 자재의 구매와 배송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건설 및 건축 자재 전자상거래 중개 플랫폼(500)은 건설 또는 건축 자재의 구매와 배송과정에서 자재의 명확하고 안전한 수령과 배송을 위한 전자인수증의 전자서명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판매자와 주문자의 위치를 기반으로 하여 차량이나 드라이버스의 배정과 더불어 취급 전문성을 고려하여 안전한 배송이 이루어지도록 최적화된 운영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건설 및 건축 자재 전자상거래 중개 플랫폼(500)은 건설 또는 건축 자재를 판매하는 판매자가 운영함으로써 향상된 품질의 자재가 더 신속하고 안전하게 주문자에게 배송되도록 할 수 있다.
중개서버(510)는 인터넷으로 접속된 주문자단말기(100)의 건설 및 건축 자재에 관한 주문내역증을 생성하여 판매자단말기(200)와 드라이버스단말기(400)에 전송하고, 주문내역증에 주문자단말기(100), 판매자단말기(200) 및 드라이버스단말기(400) 각각의 주문, 판매 및 배송과 관련된 전자서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중개서버(510)에는 다양한 건설 또는 건축 자재의 중개를 위한 건설 및 건축 자재 중개용 애플리케이션(520)이 포함된다. 건설 및 건축 자재 중개용 애플리케이션(520)은 주문자단말기(100), 판매자단말기(200) 및 드라이버스단말기(400), 그리고 드라이버스센터서버(300)의 드라이버스 배정용 애플리케이션(310)과도 자재와 자재의 배송 등의 중개와 관련된 정보도 송수신한다.
도 3에서, 건설 및 건축 자재 중개용 애플리케이션(520)에 포함된 자재주문서생성모듈(521)은 주문자단말기(100)가 건설 및 건축 자재 전자상거래 중개 플랫폼(500)을 통해 주문하려는 건설 또는 건축 자재에 관한 품명, 예를 들어, 모델명이나 자재 사진을 포함하고, 자재의 수량이나 자재 금액 및 전자서명란과 배송을 포함하는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항목이 갖춰진 자재주문서를 생성하는 것이다. 자재주문서는 주문자가 자재의 주문을 위한 초기의 주문서이다.
주문내역증생성모듈(522)은 주문자단말기(100)가 자재주문서의 작성이 완료되면 자재 주문에 관한 내역증을 생성하는 것이다. 주문내역증은 주문자가 초기 자재주문서가 작성되면 자재의 주문에서 배송까지 모든 과정에서 전자서명 등의 확인할 수 있는 형태가 된다. 더욱이 주문내역증은 URL의 형태로 자재를 배송하는 어느 과정에서도 수신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또, 주문내역증은 배송하는 과정에서 계속 갱신되는 형태가 될 것이다. 또한, 주문내역증은 드라이버스센터서버(300)에 건설 또는 건축 자재의 용량, 난이도, 특수차량, 배송일자, 배송거리에 따른 배송비의 견적 항목을 포함하며, 주문자가 직접 판매자의 자재를 수령하는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거래초대창생성모듈(523)은 판매자단말기(200)에 의해 건설 또는 건축 자재의 거래를 위하여 주문자단말기(100) 및 드라이버스단말기(400)와 실시간으로 대화, 예컨대, 문자메시지(SNS)나 음성이나 영상 또는 사진(MMS) 등으로 나눌 수 있는 초대창을 생성하는 것이다. 거래초대창은 판매자단말기(200)에 의해 생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필요에 따라 주문자단말기(100)나 드라이버스단말기(400)에서도 생성하여 자재의 주문, 판매 및 배송을 위하여 다자간 협의가 가능한 것이 좋다.
전자서명모듈(524)은 주문내역증에 주문자, 판매자 및 드라이버스가 각각 해당하는 주문, 판매 및 배송과정에서 확인을 위한 것으로, 전자서명은 공개키 암호방식에 의한 디지털 서명이 가능한 것이 좋을 것이다. 전자서명은 주문자가 주문내역의 확인이나 자재의 수령, 판매자가 자재의 지급이나 판매를 완료하거나 드라이버스가 판매자에게서 자재의 수령이나 주문자에게 배송하는 등의 과정에서 상호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사후에 의무나 책임 소재를 가릴 수도 있을 것이다.
지리정보모듈(525)은 드라이버스단말기(400)가 위치한 곳에서 건설 또는 건축 자재를 판매자로부터 주문자까지의 위치와 거리를 표시하는 지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지리정보모듈(525)은 주문자, 판매자 및 드라이버스의 지리적인 위치와 거리를 표시하여 판매자로부터 주문자까지의 거리에 따라 자재의 배송비에 대한 표시 등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배송 중인 자재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표시할 수 있을 것이다.
평점 및 가중치모듈(526)은 주문내역증의 자재를 배송하는 드라이버스와 관련된 배송의 숙련도, 배송안전도, 배송비를 포함하는 각각의 평가 점수와 가중치를 누적하여 산출하는 것이다. 평점 및 가중치모듈(526)에서 가중치는 드라이버스의 숙련도나 배송안전도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우선순위의 선택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평점 및 가중치모듈(526)은 주문자단말기(100)가 판매자단말기(200)의 자재판매와 드라이버스단말기(400)의 자재배송에 관한 평가 점수를 부여하거나 주문자단말기(100), 판매자단말기(200), 드라이버스단말기(400)는 각각 대응하는 주문자, 판매자, 드라이버스에 대한 평가 점수를 부여하여 서비스 만족도를 평가할 수 있도록 한다.
실시간배송정보모듈(527)은 드라이버스의 자재 배송과정을 실시간으로 추적하여 주문자단말기(100)로 전송하는 것이다. 실시간배송정보모듈(527)은 드라이버스가 판매자가 판매하는 자재를 수령하여 차량으로 배송하는 동안 배송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하여 주문자단말기(100)나 판매자단말기(200)에게 전송한다. 이때, 자재가 배송되는 과정을 지리정보를 이용하여 표시할 수도 있을 것이다.
결제모듈(528)은 주문자단말기(100)가 주문한 자재를 배송받아 수령이 완료된 때에 자재비용 및 배송비용의 결제를 수행하는 것이다. 결제모듈(528)은 주문자자 자재를 구매한 시점에서 대금을 결제하거나 자재를 수령한 시점에서 대금을 결제할 수 있다. 또한, 자재의 배송을 위한 배송비용은 자재 대금에 포함하여 결제하거나 배송비용을 별도로 결제할 수 있다. 또한, 주문자단말기(100)가 주문하여 배송받는 자재에 관한 제반 비용을 건설 및 건축 자재 전자상거래 중개 플랫폼(500)에서 주문자로부터 결제받은 후에 판매자와 드라이버스에게 각각의 비용을 선불 또는 후불로 지불할 수 있을 것이다. 또, 자재의 배송비용은 드라이버스센터서버(300)에서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도 4에서, DB서버(550)는 중개서버(510)로 각종 데이터를 입출력하고 저장하는 것으로, DB서버(550)의 주문자정보DB(551)는 건설 및 건축 자재 전자상거래 중개 플랫폼(500)에 접속하여 복수의 판매자가 판매하는 건설 또는 건축 자재를 주문하는 주문자와 관련된 기본정보를 저장하는 것이다. 주문자의 기본정보는 각각 주문자의 성명이나 상호를 포함하는 명칭과 주문자단말기(100)의 번호, 그리고 배송지 주소 등을 포함한다. 더욱이 주문자가 이전에 주문한 건설 또는 건축 자재 등에 관한 이력 정보도 포함될 수 있다.
판매자정보DB(552)는 건설 및 건축 자재 전자상거래 중개 플랫폼(500)에 접속하여 복수의 주문자에게 각종 건설 또는 건축 자재를 판매하는 판매자와 관련된 기본정보를 저장하는 것이다. 판매자의 기본정보는 각각 판매자의 성명이나 상호를 포함하는 명칭과 판매자단말기(200)의 번호, 그리고 판매자의 사업장 주소 등을 포함한다. 더욱이 판매자가 판매하는 건설 또는 건축 자재에 관한 각종 정보나 판매 등에 관한 이력 정보도 포함될 수 있다.
드라이버스정보DB(553)는 판매자가 보유한 건설 또는 건축 자재를 주문자까지 배송하는 드라이버스의 기본정보를 저장하는 것이다. 드라이버스의 기본정보는 드라이버스의 성명이나 상호를 포함하는 명칭과 드라이버스단말기(400)의 번호, 그리고 드라이버스의 사업장 주소나 특수차량의 운전에 필요한 자격증이나 경력 등을 포함한다. 또한, 드라이버스가 보유한 차량의 정보나 운전할 수 있는 차량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자재주문서정보DB(554)는 주문자단말기(100)가 판매자로부터 구매하려는 자재를 주문하기 위하여 자재주문서에 초기에 입력한 정보를 저장하는 것이다. 자재주문서정보는 자재의 품명이나 모델명, 수량, 주문 개수나 중량이나 부피 등과 배송에 관한 정보와 금액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배송차량정보DB(555)는 드라이버스에 의해 자재를 배송하는 차량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것이다. 배송차량정보DB(555)는 드라이버스센터서버(300)의 DB서버(350)에 저장된 차량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업데이트될 수 있다. 배송차량은 다양한 적재용량을 갖는 트럭이나 특수차량, 그리고 건설 또는 건축에 사용되는 중장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주문내역증정보DB(556)는 주문자단말기(100)의 자재 주문내역, 전자서명, 차량정보, 배송정보, 금액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것이다. 주문내역증은 주문자의 초기 자재주문서를 주문자단말기(100), 판매자단말기(200)와 드라이버스단말기(400)가 모두 열람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주문내역증은 주문내역증생성모듈(522)에서 생성되고, 주문내역증은 URL형태를 포함하고, 드라이버스센터서버에 건설 또는 건축 자재의 용량, 난이도, 특수차량, 배송일자, 배송거리에 따른 배송비의 견적 항목을 포함하며, 주문자가 직접 판매자의 자재를 수령하는 항목을 포함한다.
전자서명정보DB(557)는 주문자, 판매자, 드라이버스에 의해 입력한 전자서명을 저장한다. 전자서명은 공개키 암호방식에 의한 디지털 서명인 것이 좋다.
자재정보DB(558)는 판매자가 보유한 각종 건설 또는 건축 자재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것이다. 자재정보는 건설이나 건축에 필요한 제반의 자재나 특수차량을 포함할 수 있다.
배송정보DB(559)는 드라이버스가 자재를 배송하는 동안 발생하는 배송정보를 저장하는 것이다. 배송정보는 드라이버스가 판매자로부터 주문자까지 자재를 배송하는 모든 과정을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것이 좋다.
평점정보DB(560)는 드라이버스에 관한 배송의 숙련도, 안전도, 배송비를 포함하는 정보를 저장하는 것이다. 평점정보는 드라이버스의 숙련도나 이전의 배송 경험 등을 바탕으로 평가 점수를 환산하고, 여기에 특수차량의 운전에 관한 자격증 유무와 자재 배송에 관한 안전도 등을 가중치로 환산하여 산출한다. 평점정보는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되어 자재 배송을 위한 배정에 유리한 지위를 가질 수 있다.
결제정보DB(561)는 주문자단말기(100)의 자재 및 배송비용의 결제정보를 저장하는 것이다. 결제정보DB(561)는 주문자의 자재비용 및 배송비용 등에 관한 모든 결제정보를 포함할 것이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다자간 협의 기반의 건설 및 건축 자재의 전자상거래 중개 시스템의 운영 방법에 관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 5 내지 도 7의 흐름도와 도 8의 예시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에서, 주문자단말기(100)는 인터넷을 통해 건설 및 건축 자재 전자상거래 중개 플랫폼(500)에 접속하여 중개서버(510)로부터 건설 및 건축 자재 중개용 애플리케이션(520)을 내려받기한다(S1). 건설 및 건축 자재 중개용 애플리케이션(520)은 중개서버(510)에서 제공하거나 앱스토어 등에서 내려받아 설치할 수 있을 것이다. 건설 및 건축 자재 중개용 애플리케이션(520)은 PC용이나 모바일 전용을 구분하여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주문자단말기(100)는 별도의 중개용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지 않아도 중개서버(510)에 접속하여 각종 건설 또는 건축 자재를 주문하고 구매할 수도 있을 것이다.
주문자단말기(100)는 건설 및 건축 자재 중개용 애플리케이션(520)에서 제공하는 자재주문서를 작성한다(S2). 주문자단말기(100)는 자재주문서에 구매하려는 건설 또는 건축 자재를 선택하고 배송을 요청하게 된다. 이때, 중개서버(510)는 건설 및 건축 자재 전자상거래 중개 플랫폼(500)을 통해 복수 판매자의 건설 또는 건축 자재를 리스트를 제공한다. 더욱이 주문자가 원하는 건설 또는 건축 자재의 검색으로 해당하는 판매자의 다양한 자재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을 것이다.
주문자단말기(100)에 의해 자재주문서의 작성이 완료되면, 건설 및 건축 자재 중개용 애플리케이션(520)에서 주문자단말기(100)가 주문한 내역을 입력한 주문내역증을 생성한다(S3). 이때, 주문자는 생성된 주문내역증을 통해 주문과 관련된 자재의 품명이나 모델명, 자재 사진이나 수량, 금액 및 배송 등 전반의 주문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주문내역증의 배송 및 비용과 관련하여 드라이버스센터서버(300)를 통해 주문한 자재의 용량, 난이도, 특수차량의 적용, 배송일자와 배송거리에 따른 견적을 받아 산출할 수 있다. 더욱이 주문자단말기(100)는 생성된 주문내역증에 오류가 발생한 때에는 자재주문서를 재작성하여 주문내역증을 재생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판매자단말기(200)는 인터넷을 통해 건설 및 건축 자재 전자상거래 중개 플랫폼(500)으로부터 주문자단말기(100)의 주문내역증을 수신한다(S4). 즉, 주문자단말기(100)가 주문한 자재에 관한 정보가 주문내역증으로 생성되면, 생성된 주문내역증은 해당 자재를 판매하는 판매자단말기(200)로 전송된다.
주문내역증을 수신한 판매자단말기(200)는 건설 및 건축 자재 중개용 애플리케이션(520)을 통해 거래초대창을 생성하여 주문자단말기(100)를 초대한 다음 주문내역증을 전송하여 전자서명을 요청한다(S5). 그리고 주문자단말기(100)는 주문내역증을 수신한 후에 전자서명을 수행하고 배송을 요청한다(S6). 즉, 판매자단말기(200)는 건설 및 건축 자재 전자상거래 중개 플랫폼(500)의 거래초대창에 초대된 주문자단말기(100)로 전송하고, 주문자단말기(100)는 수신된 주문내역증에 포함된 주문내역을 재확인한 후에 전자서명을 수행한다. 이때, 주문자단말기(100)는 주문한 자재의 품명이나 모델명, 자재 사진 등으로 주문한 자재를 확인하고 품질의 동의, 금액 동의 및 배송비용 등을 동의하는 전자서명을 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판매자단말기(200)는 건설 및 건축 자재 중개용 애플리케이션(520)을 통해 생성된 거래초대창에 드라이버스단말기(400)를 초대하고 드라이버스단말기(400)로 주문자단말기(100)에 의해 전자서명된 주문내역증을 전송한다(S7). 이는 판매자단말기(200)는 건설 및 건축 자재 전자상거래 중개 플랫폼(500)에서 드라이버스센터서버(300)로부터 배정받은 드라이버스를 초대하여 주문자단말기(100)가 전자서명한 주문내역증을 확인할 수 있도록 전송하는 것이다. 그리고 드라이버스단말기(400)는 판매자단말기(200)에서 수신한 주문내역증을 확인하고 판매자로부터 자재를 수령하기 위한 정보를 입력하고 판매자단말기(200)에게 전송한다(S8).
드라이버스단말기(400)는 판매자가 위치한 곳으로 가서 판매자가 보유하고 있는 자재를 수령한 후에 수령한 자재를 배송차량에 싣고 배송이 시작하기 전에 주문자단말기(100)로 자재의 배송을 위한 전자서명을 요청한다(S9). 드라이버스는 전자서명된 주문내역증을 확인한 다음 배송할 건설 또는 건축 자재의 용량이나 난이도, 배송일자, 배송지를 확인한다. 또한, 판매자단말기(200)는 드라이버스단말기(400)로부터 수신한 자재의 배송을 위한 전자서명을 수행하고, 드라이버스단말기(400)는 자재를 수령 후 전자서명을 수행하여 배송의 시작을 알리게 된다(S10).
이후, 중개서버(510)는 주문자단말기(100), 판매자단말기(200) 및 드라이버스단말기(400)의 전자서명이 완료되면, 드라이버스의 배송 진행상황을 실시간을 통해 주문자단말기(100)로 전송한다(S11). 이때, 드라이버스는 자재의 수령 후에 자재의 배송상황을 실시간으로 업로드하여 주문자단말기(100)와 더불어 판매자단말기(200)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드라이버스단말기(400)는 주문자에게 자재의 배송이 완료되면, 주문자단말기(100)에게 자재의 인수 완료에 따른 주문내역증에 전자서명을 요청한다(S12). 이때, 주문자가 배송지에 부재중이면 자재를 배송지에 내려놓고 사진이나 동영상을 촬영한 후에 주문자단말기(100)로 전송하고, 주문자의 전자서명을 요청하여 전자서명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주문자단말기(100)가 배송된 자재의 수령이 완료되면 일련의 배송이 완료된다. 그리고 주문자단말기(100)는 자재의 인수 후에 자재비용 및/또는 배송비용을 건설 및 건축 자재 전자상거래 중개 플랫폼(500)을 통해 결제를 진행한다(S13). 더욱이 드라이버스에 의해 자재의 배송이 완료되면, 주문자에게 배송완료의 전자서명이나 체크 또는 팝업의 클릭으로 자동으로 결제가 진행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주문자가 초기에 전자서명한 주문내역증의 항목과 일치하면 추가적인 서명 없이 간편 서명이나 이미 저장된 내역으로 자동 결제가 진행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주문자단말기(100)는 판매자단말기(200)의 자재판매와 드라이버스단말기(400)의 자재배송에 관한 만족도에 대한 평가 점수를 부여하여 평가할 수 있다. 더욱이 주문자단말기(100), 판매자단말기(200), 드라이버스단말기(400)는 각각 대응하는 주문자, 판매자, 드라이버스에 대한 평가 점수를 부여하여 서비스 만족도를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도 6에서, 위치를 기반으로 하는 최적의 거래처 제공과 최적의 자재를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단계(S2)에서, 주문자단말기(100)가 자재주문서를 작성할 때 필요로 하는 건설 또는 건축 자재의 품목과 수량 등의 주문정보와 주문자가 원하는 배송방법, 예컨대, 직접 수령이나 택배 배송 등의 배송정보를 각각 선택적으로 작성하여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S21).
중개서버(510)는 주문자단말기(100)가 입력한 자재에 관한 재고와 수량을 보유한 위치기반의 복수 판매자를 검색한 후 해당하는 판매자 리스트를 주문자단말기(100)로 전송한다(S22). 그리고 주문자단말기(100)는 중개서버(510)에서 수신한 판매자 리스트 중에서 재고와 수량을 보유한 복수의 판매자를 1차 선택한다(S23).
따라서 주문자단말기(100)는 판매자로부터 자재를 직접 수령하거나 드라이버스를 통해 택배 배송으로 수령할 지를 선택한다(S24). 이때, 주문자단말기(100)는 직접 수령을 선택하면, 복수의 판매자 중에서 거리와 금액 및 평점 등을 참고하여 주문자에게 가장 유리한 최적의 판매자를 선택한다(S25). 즉, 도 8의 예시도에서, 주문자의 위치를 기반으로 하는 지도 위에 1순위의 판매자A는 거리가 3km이고 금액이 15,000이며 평점은 9.0이고, 2순위의 판매자B는 거리가 1km이고 금액이 15,000원이며 평점은 7.0이고, 3순위의 판매자C는 거리가 500m이고 금액이 20,000원이며 평점은 8.5인 판매자를 중개서버(510)로부터 제시하였다면, 금액은 다른 판매자A와 판매자B 보다 비싸지만 가장 가깝고 평점이 좋은 판매자C를 선택하여 자재의 방문 수령을 위한 예약을 할 수 있다. 또, 필요에 따라 주문자는 판매자에게 예약금의 입금과 더불어 방문일시를 정하여 선택할 수도 있도록 하여 판매자 중심으로 일정의 제한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주문자가 자재를 직접 수령할 때에는 위치가 가깝고 금액에 대비하여 품질을 직접 확인할 수 있으며 빠른 주문과 자재의 수령이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주문자단말기(100)는 판매자를 방문하여 자재를 수령할 때에 주문자가 선택한 판매자단말기(200)로 방문을 위한 예약정보를 전송한다(S26). 판매자단말기(200)는 주문자의 예약정보를 확인하여 자재의 수령을 위한 예약정보를 확인하여 예약일시를 조율할 수도 있을 것이다. 주문자단말기(100)는 예약된 일시에 판매자를 방문하여 주문한 자재를 수령함으로써 자재의 주문, 구매 및 배송 등 일련의 과정이 완료될 수 있다. 또한, 주문자단말기(100)가 1차 선택한 복수의 판매자 중에서 원하는 일시에 택배 배송이 가능한 복수의 판매자를 2차로 선택한다(S28). 그리고 중개서버(510)는 금액과 평점에 가중치가 부여된 복수의 판매자를 순위별로 분류하여 주문자단말기(100)로 전송한다(S29). 예컨대, 1순위의 판매자A는 금액이 20,000이고 평점은 9.0이며, 2순위의 판매자B는 금액이 20,000원이고 평점은 7.0이며, 3순위의 판매자C는 금액이 25,000원이고 평점은 8.5인 판매자를 중개서버(510)로부터 제시하였다면, 배송비 및 평가점수에 가중치가 부여된 순위별로 정렬하여 제공한다. 이때, 주문자는 1순위인 판매자A를 선택하여 주문 및 배송이 진행되도록 하여 주문자의 편의를 극대화할 수 있을 것이다.
주문자단말기(100)는 중개서버(510)에서 수신된 순위별 판매자 중에서 주문자에게 가장 유리한 최적의 판매자를 3차 선택한다(S30). 이후 상기 단계(S3)의 주문과 배송과정을 수행한다.
다음으로, 도 7에서, 취급의 전문성을 고려하여 안전한 배송을 위한 최적의 드라이버스를 운영할 수 있다. 이는 전용의 차량이 없거나 드라이버스의 전문성이 떨어지면 자재의 배송 중에 손상을 가할 수 있으므로 이를 고려하여 최적화된 드라이버스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먼저, 드라이버스센터서버(300)는 복수의 차량과 더불어 차량을 포함하는 복수의 드라이버스에 관한 정보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하여 DB서버(350)에 등록하여 관리한다(S51). 차량에 관한 정보데이터는 차량의 요건이나 스펙, 예컨대, 차량의 적재용량이나 모델, 치수나 규격 등을 포함하고, 리프트가 포함되어 있거나 콘크리트믹서트럭이거나 시멘트, 콘크리트 또는 아스팔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드라이버스에 관한 정보데이터는 차량의 운행경력이나 유사한 자재의 배송 횟수와 더불어 평점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단계(S7)로부터, 중개서버(510)는 주문자단말기(100)가 전자서명한 주문내역증을 드라이버스센터서버(300)로 전송한다(S52). 드라이버스센터서버(300)는 DB서버(350)에 저장된 드라이버스를 주문내역증에 따라 매칭되는 복수의 드라이버스 리스트를 판매자단말기(200)로 전송한다(S53). 이때, 중개서버(510)의 건설 또는 건축 자재의 주문과 요청사항을 수신한 드라이버스센터서버(300)는 차량의 정보데이터와 실시간의 위치를 파악하여 매칭되는 차량과 드라이버스 데이터정보를 전송한다. 또한, 드라이버스센터서버(300)는 주문한 자재의 종류, 총 중량과 더불어 별도의 요청사항, 특수차량의 필요여부에 따라 정량적으로 차량을 매칭하여 선정한다. 더욱이 주문자가 원하는 배송금액 범위와 배송 예정일까지 배송 가능한 차량을 매칭한다. 예컨대, 11월 15일 9시에서 10시 사이에 배송이 이루어지도록 요청하면, 현재 공차상태가 아니라도 해당 시간 이내에 배송 가능하다면 운행이 가능한 차량으로 매칭하는 것이다.
그리고 판매자단말기(200)는 수신된 복수의 드라이버스 리스트 중에서 상위 3개의 드라이버스에게 주문내역증과 수락여부를 전송한다(S54). 더욱이 운행이 가능한 차량 중 상위 3개의 차량에 우선순위를 제공하여 배송 진행 수락여부를 전송한다. 상위 3개의 차량은 드라이버스 정보데이터로부터 주문자가 주문한 동일 또는 유사한 자재의 배송 횟수나 평점을 기반으로 판단한다. 이는 드라이버스에게 안전, 정확 및 신속한 배송을 위한 동기부여를 제공하게 된다. 이때, 상위 3개의 드라이버스 중에서 주문내역증을 수신한 어느 하나의 드라이버스로부터 일정의 시간 이내에 수락여부를 기다린다(S55). 따라서 판매자단말기(200)는 일정의 시간 내에 주문내역증에 따라 가장 먼저 수락한 드라이버스단말기(400)에게 배송을 요청하고, 수락한 드라이버스단말기(400)를 초대창으로 초대한다(S58). 그리고 드라이버스센터서버(300)는 배송요청을 수락한 드라이버스에 관한 정보데이터를 DB서버(350)에 업데이트한다(S59). 이후, 주문자는 드라이버스의 배송에 관한 평가 점수를 부여하여 드라이버스센터서버(300)에서 드라이버스에 대한 평점을 업데이트하고 배송비용의 정산과 다음 배송 일정을 조율하게 된다.
그러나 판매자단말기(200)는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도 주문내역증을 수신한 상위 3개의 드라이버스로부터 배송을 수락한 드라이버스단말기(400)가 없다면, 드라이버스센터서버(300)에서 제공한 리스트로부터 주문내역증의 요건을 충족하는 드라이버스에게 주문내역증을 전송하여 배송 수락여부를 전송한다(S56). 그리고 판매자단말기(200)는 주문내역증을 수신한 드라이버스단말기(400)로부터 배송을 가장 먼저 수락한 드라이버스단말기(400)에게 배송을 요청한다(S57). 그리고 드라이버스센터서버(300)는 배송요청을 수락한 드라이버스에 관한 정보데이터를 DB서버(350)에 업데이트한다(S59). 이후, 주문자는 드라이버스의 배송에 관한 평가 점수를 부여하여 드라이버스센터서버(300)에서 드라이버스에 대한 평점을 업데이트하고 배송비용의 정산과 다음 배송 일정을 조율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자간 협의 기반의 건설 및 건축 자재의 전자상거래 중개 시스템은 주문자, 판매자 및 드라이버스가 각각 자재의 주문, 판매 및 배송을 협의하고, 주문에서 배송까지 각각의 전자서명으로 추후 발생할 수 있는 책임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0: 주문자단말기
200: 판매자단말기
300: 드라이버스센터서버 310: 드라이버스 배정용 애플리케이션 311: 드라이버스배정모듈 312: 드라이버스업데이트모듈 350: DB서버
400: 드라이버스단말기
500: 건설 및 건축 자재 전자상거래 중개 플랫폼 510: 중개서버 520: 건설 및 건축 자재 중개용 애플리케이션 521: 자재주문서생성모듈 522: 주문내역증생성모듈 523: 거래초대창생성모듈 524: 전자서명모듈 525: 지리정보모듈 526: 평점 및 가중치모듈 527: 실시간배송정보모듈 528: 결제모듈 550: DB서버 551: 주문자정보DB 552: 판매자정보DB 553: 드라이버스정보DB 554: 자재주문서정보DB 555: 배송차량정보DB 556: 주문내역증정보DB 557: 전자서명정보DB 558: 자재정보DB 559: 배송정보DB 560: 평점정보DB 561: 결제정보DB

Claims (7)

  1. 건설 또는 건축 자재의 구매 의사가 있는 주문자에 의해 인터넷을 통해 건설 및 건축 자재 전자상거래 중개 플랫폼(500)에 접속하는 주문자단말기(100);
    인터넷을 통해 건설 및 건축 자재 전자상거래 중개 플랫폼(500)에 접속한 복수의 주문자단말기(100)에게 재고로 보유하고 있는 각종 건설 또는 건축 자재를 판매하는 판매자단말기(200);
    인터넷을 통해 건설 및 건축 자재 전자상거래 중개 플랫폼(500)에 접속한 상기 주문자단말기(100)나 판매자단말기(200)에게 각종의 건설 또는 건축 자재를 배송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차량과 이 차량을 다룰 수 있는 드라이버스(Drivers) 정보를 제공하는 드라이버스센터서버(300);
    인터넷으로 접속된 상기 드라이버스센터서버(300)에서 건설 또는 건축 자재의 배송을 위한 배정을 받아 판매자가 보유한 자재를 주문자에게 배송하는 드라이버스단말기(400);
    인터넷으로 접속된 상기 주문자단말기(100)의 건설 및 건축 자재에 관한 주문내역증을 생성하여 판매자단말기(200)와 드라이버스단말기(400)에 전송하고, 주문내역증에 주문자단말기(100), 판매자단말기(200) 및 드라이버스단말기(400) 각각의 주문, 판매 및 배송과 관련된 전자서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중개서버(510)와, 상기 중개서버(510)로 각종 데이터를 입출력하고 저장하는 DB서버(550)를 포함하는 건설 및 건축 자재 전자상거래 중개 플랫폼(5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중개서버(510)는,
    상기 주문자단말기(100)가 건설 및 건축 자재 전자상거래 중개 플랫폼(500)을 통해 주문하려는 건설 또는 건축 자재에 관한 품명(모델명, 자재 사진), 수량, 금액 및 전자서명란과 배송을 포함하는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항목이 갖춰진 자재주문서를 생성하는 자재주문서생성모듈(521)과,
    상기 주문자단말기(100)가 자재주문서의 작성이 자재 주문에 관한 내역증을 생성하는 주문내역증생성모듈(522)과,
    상기 판매자단말기(200)에 의해 건설 또는 건축 자재의 거래를 위하여 주문자단말기(100) 및 드라이버스단말기(400)와 실시간으로 대화(SNS, MMS)를 나눌 수 있는 초대창을 생성하는 거래초대창생성모듈(523)과,
    상기 주문내역증에 주문자, 판매자 및 드라이버스가 각각 해당하는 주문, 판매 및 배송과정에서 확인을 위하여 공개키 암호방식에 의한 디지털 서명을 위한 전자서명모듈(524)과,
    상기 드라이버스단말기(400)가 위치한 곳에서 건설 또는 건축 자재를 판매자로부터 주문자까지의 위치와 거리를 표시하는 지도를 제공하는 지리정보모듈(525)과,
    상기 주문내역증의 자재를 배송하는 드라이버스와 관련된 배송의 숙련도, 안전도, 배송비를 포함하는 각각의 평점과 가중치를 누적하여 산출하는 평점 및 가중치모듈(526)과,
    상기 드라이버스의 자재 배송과정을 실시간으로 추적하여 주문자단말기(100)로 전송하는 실시간배송정보모듈(527)과,
    상기 주문자단말기(100)가 주문한 자재를 배송받아 수령이 완료된 때에 자재비용 및 배송비용의 결제를 수행하는 결제모듈(528)을 포함하는 건설 및 건축 자재 중개용 애플리케이션(520)을 포함하고,
    상기 건설 및 건축 자재 전자상거래 중개 플랫폼(500)에 접속하여 복수의 판매자가 판매하는 건설 또는 건축 자재를 주문하는 주문자와 관련된 기본정보를 저장하는 주문자정보DB(551)와,
    상기 건설 및 건축 자재 전자상거래 중개 플랫폼(500)에 접속하여 복수의 주문자에게 각종 건설 또는 건축 자재를 판매하는 판매자와 관련된 기본정보를 저장하는 판매자정보DB(552)와,
    판매자가 보유한 건설 또는 건축 자재를 주문자까지 배송하는 드라이버스의 기본정보를 저장하는 드라이버스정보DB(553)와,
    상기 주문자단말기(100)가 판매자로부터 구매하려는 자재를 주문하기 위하여 자재주문서에 입력한 정보를 저장하는 자재주문서정보DB(554)와,
    상기 드라이버스에 의해 자재를 배송하는 차량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배송차량정보DB(555)와,
    상기 주문자단말기(100)의 자재 주문내역, 전자서명, 차량정보, 배송정보, 금액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주문내역증정보DB(556)와,
    상기 주문자, 판매자, 드라이버스의 전자서명을 저장하는 전자서명정보DB(557)와,
    상기 판매자가 보유한 각종 건설 또는 건축 자재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자재정보DB(558)와,
    상기 드라이버스가 자재를 배송하는 동안 발생하는 배송정보를 저장하는 배송정보DB(559)와,
    상기 드라이버스에 관한 배송의 숙련도, 안전도, 배송비를 포함하는 정보를 저장하는 평점정보DB(560)와,
    상기 주문자단말기(100)의 자재 및 배송비용의 결제정보를 저장하는 결제정보DB(561)를 포함하는 DB서버(550)가 중개서버(51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상기 주문자단말기(100)에서 상기 자재주문서의 작성시 필요한 주문정보와 배송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중개서버(510)는 주문자단말기(100)에서 입력된 자재에 관한 재고와 수량을 보유한 위치기반의 복수 판매자를 검색하여 판매자로부터 주문자까지의 거리, 배송 금액 및 드라이버스의 평점에 따른 우선순위별 상기 복수 판매자에 관한 정보를 상기 주문자단말기(100)로 전송하고, 상기 주문자단말기(100)는 상기 중개서버(510)로부터 수신된 판매자 리스트 중 재고와 수량을 보유한 복수의 판매자를 1차 선택하고,
    상기 주문자단말기(100)는 판매자로부터 자재를 직접 수령하거나 드라이버스를 통해 택배 배송으로 수령할지 여부를 선택하고,
    만약 주문자단말기(100)가 직접 수령을 선택하는 경우 상기 주문자단말기(100)는 상기 복수의 판매자 중 어느 하나의 판매자를 선택하고,
    만약 주문자단말기(100)가 택배 배송을 선택하는 경우 상기 주문자단말기(100)는 상기 1차 선택한 복수의 판매자 중 주문자가 원하는 일시에 택배 배송이 가능한 복수의 판매자를 2차 선택하고, 상기 중개서버(510)는 상기 2차 선택된 복수의 판매자를 배송 금액과 드라이버스의 평점에 가중치가 부여된 순위별로 분류하여 상기 주문자단말기(100)로 전송하고, 상기 주문자단말기(100)에 의해 상기 중개서버(510)로부터 수신된 순위별 판매자 중 어느 하나의 판매자가 3차 선택되며,
    상기 드라이버스센터서버(300)는 복수의 차량과 상기 복수의 차량을 포함하는 복수의 드라이버스에 관한 정보데이터를 수집하여 DB서버(350)에 등록하여 관리하며,
    상기 중개서버(510)는 상기 주문자단말기(100)가 전자서명한 주문내역증을 상기 드라이버스센터서버(300)로 전송하고,
    상기 드라이버스센터서버(300)는 상기 주문내역증에 따라 매칭되는 복수의 드라이버스 리스트를 상기 판매자단말기(200)로 전송하며,
    상기 판매자단말기(200)는 수신된 복수의 드라이버스 리스트 중 상위 3개의 드라이버스에게 주문내역증과 수락여부를 전송하고,
    상기 판매자단말기(200)는 일정 시간 내에 상기 주문내역증에 따라 가장 먼저 수락한 드라이버스단말기(400)에게 배송을 요청하고,
    상기 판매자단말기(200)는 상기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도 상기 주문내역증을 수신한 상위 3개의 드라이버스로부터 배송을 수락한 드라이버스단말기(400)가 없는 경우 상기 드라이버스센터서버(300)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드라이버스 리스트로부터 상기 주문내역증의 요건을 충족하는 드라이버스에게 주문내역증을 전송하여 배송 수락여부를 전송하며,
    상기 판매자단말기(200)는, 상기 주문내역증을 수신한 드라이버스단말기(400) 중 배송을 가장 먼저 수락한 드라이버스단말기(400)에게 배송을 요청하는, 다자간 협의 기반의 건설 및 건축 자재의 전자상거래 중개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문내역증생성모듈(522)에서 생성된 주문내역증은 URL형태를 포함하고, 드라이버스센터서버에 건설 또는 건축 자재의 용량, 난이도, 특수차량, 배송일자, 배송거리에 따른 배송비의 견적 항목을 포함하며, 주문자가 직접 판매자의 자재를 수령하는 항목을 포함하는, 다자간 협의 기반의 건설 및 건축 자재의 전자상거래 중개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점 및 가중치모듈(526)은 주문자단말기(100)가 판매자단말기(200)의 자재판매와 드라이버스단말기(400)의 자재배송에 관한 평가 점수를 부여하거나 주문자단말기(100), 판매자단말기(200), 드라이버스단말기(400)는 각각 대응하는 주문자, 판매자, 드라이버스에 대한 평가 점수를 부여하여 서비스 만족도를 평가할 수 있도록 하는, 다자간 협의 기반의 건설 및 건축 자재의 전자상거래 중개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문자와 판매자의 기본정보는 각각 성명이나 상호를 포함하는 명칭, 단말기번호, 주소를 포함하고, 상기 드라이버스의 기본정보는 드라이버스의 성명이나 상호를 포함하는 명칭, 단말기번호, 주소, 자격증이나 경력을 포함하는, 다자간 협의 기반의 건설 및 건축 자재의 전자상거래 중개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스센터서버(300)는,
    DB서버(350)에 저장된 복수의 트럭과 중장비차량과 드라이버스 중에서 주문자단말기에 의해 생성된 주문내역증에 포함된 자재를 배송할 수 있는 해당 차량과 드라이버스를 배정하는 드라이버스배정모듈(311)과, 배정 대기 중이거나 이미 배정된 복수의 트럭과 중장비차량 및 드라이버스에 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갱신하는 드라이버스업데이트모듈(312)을 포함하는 드라이버스 배정용 애플리케이션(310)을 포함하고,
    자재를 적재하여 운송하는 다양한 적재용량을 가진 트럭에 관한 정보와, 다양한 적재용량과 자재를 승강하는 리프트가 설치된 트럭에 관한 정보와, 토사나 골재를 적재하여 운송하는 다양한 적재용량을 가진 덤프트럭에 관한 정보와, 콘크리트를 적재하여 운송하는 다양한 적재용량을 가진 콘크리트믹서트럭에 관한 정보와, 견인차, 굴삭기 또는 지게차를 포함하는 중장비차량에 관한 정보와, 상기 해당 복수의 트럭과 중장비차량을 운전할 수 있는 전문인력에 해당하는 드라이버스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DB서버(350)가 상기 드라이버스센터서버(3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다자간 협의 기반의 건설 및 건축 자재의 전자상거래 중개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스단말기(400)는 주문자에게 자재를 배송한 때에 주문자가 부재 시에 주문자의 요구에 따른 위치에 자재를 배송한 후에 배송완료 사진을 촬영하여 판매자단말기(200)와 주문자단말기(100)로 전송하는, 다자간 협의 기반의 건설 및 건축 자재의 전자상거래 중개 시스템.
KR1020210170079A 2021-12-01 2021-12-01 다자간 협의 기반의 건설 및 건축 자재의 전자상거래 중개 시스템 KR1024861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0079A KR102486187B1 (ko) 2021-12-01 2021-12-01 다자간 협의 기반의 건설 및 건축 자재의 전자상거래 중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0079A KR102486187B1 (ko) 2021-12-01 2021-12-01 다자간 협의 기반의 건설 및 건축 자재의 전자상거래 중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6187B1 true KR102486187B1 (ko) 2023-01-10

Family

ID=84893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0079A KR102486187B1 (ko) 2021-12-01 2021-12-01 다자간 협의 기반의 건설 및 건축 자재의 전자상거래 중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6187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6734A (ko) * 2000-05-23 2001-12-07 류수열 건설자재 처리시스템 및 건설자재거래방법
KR20180124793A (ko) 2018-07-17 2018-11-21 최병달 기록매체에 기록된 건축자재 주문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화물배송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오픈 마켓 시스템
KR101930359B1 (ko) * 2018-08-27 2018-12-18 황규리 개인 간 물류배송시스템 및 배송 방법
KR20190081616A (ko) * 2017-12-29 2019-07-09 에스큐아이소프트(주) 가격과 성능을 함께 고려한 건축 자재 및 설비의 정보 제공 및 거래 중개 방법
KR20210023379A (ko) 2019-08-23 2021-03-04 주식회사 나라건재 건설자재 처리시스템 및 건설자재거래방법
KR102267381B1 (ko) 2020-11-30 2021-06-22 나비온 주식회사 데크 및 건축자재 유통 및 시공 시스템
KR20210133513A (ko) * 2020-04-29 2021-11-08 장세한 건축자재 촬상 이미지 기반의 견적서 제공방법 및 그 견적서 제공 시스템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6734A (ko) * 2000-05-23 2001-12-07 류수열 건설자재 처리시스템 및 건설자재거래방법
KR20190081616A (ko) * 2017-12-29 2019-07-09 에스큐아이소프트(주) 가격과 성능을 함께 고려한 건축 자재 및 설비의 정보 제공 및 거래 중개 방법
KR102033408B1 (ko) 2017-12-29 2019-11-08 에스큐아이소프트 주식회사 가격과 성능을 함께 고려한 건축 자재 및 설비의 정보 제공 및 거래 중개 방법
KR20180124793A (ko) 2018-07-17 2018-11-21 최병달 기록매체에 기록된 건축자재 주문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화물배송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오픈 마켓 시스템
KR101930359B1 (ko) * 2018-08-27 2018-12-18 황규리 개인 간 물류배송시스템 및 배송 방법
KR20210023379A (ko) 2019-08-23 2021-03-04 주식회사 나라건재 건설자재 처리시스템 및 건설자재거래방법
KR20210133513A (ko) * 2020-04-29 2021-11-08 장세한 건축자재 촬상 이미지 기반의 견적서 제공방법 및 그 견적서 제공 시스템
KR102267381B1 (ko) 2020-11-30 2021-06-22 나비온 주식회사 데크 및 건축자재 유통 및 시공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21766B1 (en)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and co-ordinating an alternate delivery of one or more selected items
Kuhn et al. Integrated order batching and vehicle routing operations in grocery retail–a general adaptive large neighborhood search algorithm
US20150193724A1 (en) Providing optimized delivery locations for an order
WO2013006696A1 (en) Transaction facilitatio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WO2010051359A1 (en) System and method for aggregating delivery of goods or services
Olson Supply chain information technology
Luo et al. Physical Internet-enabled customised furniture delivery in the metropolitan areas: digitalisation, optimisation and case study
US8793194B2 (en) Direct distribution system for consumer goods and services
Ocicka et al. In search of excellence in E-customer logistics service
Wu et al. Fulfillment scheduling for buy‐online‐pickup‐in‐store orders
US20220092535A1 (en) Shipping resource based redirection of return items
Turban et al. Order fulfillment along the supply chain in e-commerce
Janssen et al. Evaluating the information architecture of an electronic intermediary
KR102486187B1 (ko) 다자간 협의 기반의 건설 및 건축 자재의 전자상거래 중개 시스템
JP2020030826A (ja) 情報処理装置
Foroughi MRO and eProcurement: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Turban et al. Order Fulfillment Along the Supply Chain
US11989681B2 (en) System for travel plan based shipments
Sarferaz Process of Source to Pay
Kurbel et al. ERP: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Lindberg Real-time Balance Management in Omnichannel Retail
Wajih The Rol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n Enhancing Exporting Case study: TOLGA AGRO FOOD
Karim Impact of distribution of capital logistics and c-express ltd on logistics and local courier business
Muya A systematic approach for improving construction materials logistics
Svantesson et al. Distribution strategy of Volvo Cars last-mile logistics with direct to end-consumer sa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