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7381B1 - 데크 및 건축자재 유통 및 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데크 및 건축자재 유통 및 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7381B1
KR102267381B1 KR1020200164684A KR20200164684A KR102267381B1 KR 102267381 B1 KR102267381 B1 KR 102267381B1 KR 1020200164684 A KR1020200164684 A KR 1020200164684A KR 20200164684 A KR20200164684 A KR 20200164684A KR 102267381 B1 KR102267381 B1 KR 1022673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struction
deck
selection operation
user
sel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46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용철
김석태
Original Assignee
나비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비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나비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646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73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73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73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3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06Q30/0643Graphical representation of items or shopper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크 및 내외장 건축자재 유통 및 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집, 사옥 아파트를 포함하는 건축물의 데크 공사에 필요한 자재 및 시공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크 및 내외장 건축자재 유통 및 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 시스템에서 사용자측 단말은 상기 서버에서 제공하는 웹페이지 상에서 또는 서버와 연동하는 애플리케이션의 화면 인터페이스 상에서,데크 공사 면적을 입력하는 동작; 데크 자재를 결정하기 위해 자재 선택 동작; 및 데크 시공팀을 결정하기 위한 시공 선택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서버는 상기 사용자측 단말로부터 입력된 자재 선택 정보 및 시공 선택 정보에 대응하여 자재 견적서 및 시공 견적서를 사용자측 단말의 화면에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데크 및 건축자재 유통 및 시공 시스템{DECK MATERIAL AND CONSTRUCTION MATERIAL DISTRIBUTION AND CONSTRUCTION SYSTEM}
본 발명은 데크 및 내외장 건축자재 유통 및 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집, 사옥 아파트를 포함하는 건축물의 데크 공사에 필요한 자재 및 시공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크 및 내외장 건축자재 유통 및 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소득수준이 높아지면서 주택, 아파트, 빌라, 상가, 빌딩과 같은 건축물에 거주하고 있는 일반인들은 자신의 거주 공간을 자신의 취향 또는 유행에 따라 변화시키고자 내부 및 외부 인테리어를 바꾸려는 시도가 많이 일어나고 있다.
데크(Deck)는 건축물의 테라스(발코니), 옥상, 정원, 계단, 경사로, 빌딩 입구 등에 주로 설치되어 거주 공간의 미적인 측면을 높여주고, 거주자의 안전성 및 거주자의 편안함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여러 다목적성을 가지고 이용될 수 있으며, 최근 거주 공간 또는 건물의 내외부에 데크 시공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데크 시공은 일반적으로 소비자의 요구에 따라 데크 시공 업체가 직접 현장에 방문하여 데크 시공에 따른 견적 정보를 소비자에게 제공하고, 소비자가 이를 최종 결정한 후 데크 시공에 이르는 일련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
그러나 소비자가 데크를 설치하고자 할 때 제공되는 정보가 제한적이기 때문에 여러 가지 어려움을 겪게 된다. 예를 들면 데크 자재의 경우 판매 사이트 마다 특정 제품만을 판매하고 있기 때문에 데크 자재의 통합적인 비교가 어렵고, 어떠한 자재와 시공방법이 적합한지에 대한 판단기준을 가지기 어렵다.
또한 소비자가 데크를 설치하고자 할 때 견적 및 시공에 대한 비용 정보를 얻어야 하는데 데크의 경우 설치 장소, 설치 면적, 사용되는 데크 자재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개별 전화를 통한 상담을 진행해야하므로 데크 시공 문의에 대해서도 소비자는 부담감을 느끼게 된다.
이처럼 데크 시공의 경우 데크 자재 및 데크 시공에 대한 통합된 정보를 얻기가 어렵고 이를 위해서는 소비자는 많은 시간을 할당해야만 하고 이는 소비자에게 불편함을 초래하게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에 기반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데크 공사에 필요한 데크 자재 및 데크 시공 비용을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사용자가 보다 신뢰감을 가지고 편리하게 데크를 설치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데크 및 내외장 건축자재 유통 및 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데크 시공에 대한 맞춤식 자재 및 시공 지식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단계별로 자재 및 시공을 선택하여 견적을 확인할 수 있는 데크 및 내외장 건축자재 유통 및 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데크 설치에 필요한 자재 및 시공 업체에 대한 비교를 하며 선택하여 진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소비자가 보다 편리하고 합리적인 가격으로 데크 설치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유통 및 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양태에 따르면, 사용자측 단말 및 데크 자재 및 시공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는 온라인 상에서의 데크 및 내외장 건축자재 유통 및 시공 시스템이 제공되고, 사용자측 단말은 상기 서버에서 제공하는 웹페이지 상에서 또는 서버와 연동하는 애플리케이션의 화면 인터페이스 상에서, 데크 공사 면적을 입력하는 동작; 데크 자재를 결정하기 위해 자재 선택 동작; 및 데크 시공업체를 결정하기 위한 시공 선택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서버는 상기 사용자측 단말로부터 입력된 자재 선택 정보 및 시공 선택 정보에 대응하여 실시간 자재견적 및 시공견적 비용이 사용자측 단말의 화면에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자재 및 시공의 견적 값들은 동시에 제공이 가능하며, 최종 자재 선택이나 모든 시공 상황 선택이 확정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각 선택 수준에 맞게 서버가 제공하는 자재 및 시공 견적 비용으로 계산되어 단말기에 제공된다.
또한 전술한 양태에서 자재 선택 동작은, 데크 자재의 대분류를 선택하기 위한 대분류 선택 동작; 선택된 자재 대분류에서 자재의 소분류를 선택하기 위한 소분류 선택 동작; 선택된 자재의 소분류에서 자재의 두께를 선택하기 위한 두께 선택 동작; 대분류, 소분류, 두께의 선택에 해당하는 자재 목록에서 최종 자재를 선택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또한 전술한 양태에서 시공 선택 동작은, 데크 설치 장소의 상황을 선택하기 위한 현장 상황 선택 동작; 설치될 데크의 디자인 시공을 선택하기 위한 디자인 유형 선택 동작; 데크를 시공할 업체의 규모와 평판에 따른 시공업체 선택 동작; 데크 시공업체의 시공 지역에 따른 최종 시공업체 선택 동작; 을 포함한다.
또한 전술한 양태에서 사용자 단말측로부터 데크 자재를 결정하기 위해 자재 선택 동작이 완료된 후, 서버는 후속된 동작으로 시공 선택 동작을 더 수행할 것인지 여부를 사용자 단말에 문의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서버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시공 선택 동작을 더 수행하는 것으로 입력된 경우에만 시공 선택 동작을 수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사용자측 단말에 표시된 최종 실제 자재가격을 반영한 견적을 확인하고 바로 자재구매 요청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시공 선택 동작은 자재 선택 없이도 바로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양태에서 서버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시공 선택 동작을 더 수행하는 것으로 입력된 경우에 시공 선택 동작을 수행하고, 시공 선택 동작을 완료한 후 단말기에 표시된 최종 실제 자재 견적 및 실제 적용 시공 견적 비용을 확인하고 자재 구매 요청과 시공 요청이 동시에 가능하게 구성된다.
또한 전술한 양태에서 사용자측 단말이 구매 요청 또는 시공 요청을 수행하면 상기 서버는 해당하는 자재의 자재 업체 또는 해당하는 시공 업체에 자재 견적서 또는 시공 견적서를 발행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데크 자재 정보 및 데크 시공 비용을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사용자가 보다 정규화된 지식 정보를 제공하여 편리하게 데크를 설치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데크 및 내외장 건축자재 유통 및 시공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데크 시공에 대한 맞춤식 자재 및 시공 지식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단계별로 자재 및 시공을 선택하여 견적을 확인할 수 있는 데크 및 내외장 건축자재 유통 및 시공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데크 설치에 필요한 자재 및 시공 업체에 대한 비교 진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소비자가 보다 편리하고 합리적인 가격으로 데크 설치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유통 및 시공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데크 및 내외장 건축자재 유통 및 시공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데크 및 내외장 건축자재 유통 및 시공 시스템의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데크 및 내외장 건축자재 유통 및 시공 시스템에서의 데크 자재 선택 및 시공 선택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데크 및 내외장 건축자재 유통 및 시공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데크 자재 선택 화면 중 데크 자재 대분류를 선택하는 화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데크 및 내외장 건축자재 유통 및 시공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데크 자재 선택 화면 중 데크 자재 소분류를 선택하는 화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데크 및 내외장 건축자재 유통 및 시공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데크 자재 선택 화면 중 데크 자재 두께를 선택하는 화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데크 및 내외장 건축자재 유통 및 시공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데크 자재 선택 화면 중 실제 데크 자재 리스트의 화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데크 및 내외장 건축자재 유통 및 시공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시공 선택 단계 중 현장 상황 선택 화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데크 및 내외장 건축자재 유통 및 시공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시공 선택 단계 중 디자인 선택 화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데크 및 내외장 건축자재 유통 및 시공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시공 선택 단계 중 시공업체 선택 화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데크 및 내외장 건축자재 유통 및 시공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시공 선택 단계 중 공사 지역에 맞는 실제 시공업체 선택 화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데크 및 내외장 건축자재 유통 및 시공 시스템에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자재 견적서 및 시공 견적서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데크 및 내외장 건축자재 유통 및 시공 시스템의 전체 동작 흐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 예들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데크 및 내외장 건축자재 유통 및 시공 시스템(10)의 일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10)은 고객 측 단말(100), 자재 업체 측 단말(300), 시공 업체 측 단말(400), 및 데크 자재 및 시공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200)를 포함하고, 이들 단말은 모두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네트워크는 고객 측 단말(100), 자재업체 측 단말(300), 시공업체 측 단말(400), 및 데크 자재 및 시공 정보 서비스 서버(200) 사이의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례에는 RF,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PP(5th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고객 측 단말(100)은, 고객의 입력에 따라 네트워크를 통해 여행 상품 제공 서버(100)에 접속하여, 데크 자재 및 시공 정보 서비스 서버(200)로부터 제공되는 다양한 웹페이지를 표시하게 되고,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가 고객 측 단말(100)에 설치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되는 경우 고객 측 단말은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데크 자재 및 시공 정보 서비스 서버(200)는, 데크 자재 및 시공 정보 서비스에 가입한 고객 또는 사용자로부터 등록되는 가입자 정보를 저장한다. 여기서 가입자정보는, 가입자의 이름, 로그인 정보, 패스워드 정보, 나이, 직업, 주소, 연락처, 이메일, 홈페이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데크 자재 및 시공 정보 서비스 서버(200)는 자재 업체 측 단말(300)과 시공 업체 측 단말(400)을 통해 자재 정보 및 시공 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된 자재 정보 및 시공 정보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다.
자재 업체 측 단말(300)은 데크 자재를 제공하는 업체 측에서 이용하는 단말을 의미하고 자재업체는 데크 자재 및 시공 서비스 서버(200)에 회원 가입을 통해 데크 자재 판매자 계정을 생성하고 데크 자재 및 시공 서비스 서버(200)에서 제공하는 통일된 형식의 데크 자재의 가격 정보(대분류별, 소분류별, 규격별)를 등록할 수 있다.
시공 업체 측 단말(400)은 데크 시공을 수행하는 업체 측에서 이용하는 단말을 의미하고 데크 시공 업체는 자재업체와 동일하게 데크 자재 및 시공 서비스 서버(200)에 회원 가입을 통해 데크 시공자 계정을 생성하고 데크 자재 및 시공 서비스 서버(200)에서 제공하는 통일된 형식의 데크 시공 가격 정보(현장별, 디자인별)를 등록할 수 있다.
전술한 고객 측 단말, 자재 업체 측 단말 및 시공 업체 측 단말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데크 자재 및 시공 정보 서비스 서버(200)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내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단말들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내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태블릿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전술한 고객 측 단말, 자재 업체 측 단말 및 시공 업체 측 단말과 서비스 서버(200) 사이에서의 통신은 단말에 설치되는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되거나, 서비스 서버(200)에서 운영하는 웹페이지에 단말을 이용하여 접속하는 방식으로 데크 자재 및 시공 서비스가 제공될 수도 있다.
도 2는 전술한 바와 같은 데크 자재 및 시공 정보 서비스 서버(200)에서 수행되는 내부 기능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크 자재 및 시공 정보 서비스 서버(200)는 자재 등록 모듈(210), 시공 등록 모듈(220), 견적서 계산 모듈(230), 견적서 발행 모듈(240), 고객 등록 모듈(250) 및 정보 제공 모듈(2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자재 등록 모듈(210)은 회원 가입된 또는 본 서비스를 운영하는 운영자 측과 상호 계약이 체결된 자재 업체로부터의 자재 정보를 등록하도록 기능한다. 등록된 자재는 자재 데이터베이스 내에 자재 대분류, 자재 소분류, 자재 두께의 정보로 분류되고 저장된다.
데크 자재 대분류별 정보는 방부목, 천연 목재, 합성 목재를 포함한다.
방부목 데크 자재의 경우 미송에 수분/곰팡이로부터 보호를 위해 방부액을 처리한 데크 자재를 의미한다. 방부목 데크의 경우 천연목재 데크, 합성 목재 데크에 비해 저렴한 장점이 있지만, 오염에 취약하고 수분에 의한 변형이 쉽게 발생되어 유지 관리 비용이 비교적 많이 드는 단점이 있다.
또한 천연 목재 데크의 경우 통상적으로 방킬라이, 말라스, 이페, 자라, 캠파스와 같이 강도와 내구성이 좋아 가공 처리를 하지 않고도 이용할 수 있는 하드 타입의 목재를 포함하고, 무늬와 외관이 아름답고 목재의 비중이 높아 목재의 내부에 빈 공간이 적어 목재 내부로의 물의 침투가 방부목에 비해 우수하지만 천연 목재 데크 역시 장시간 물에 노출되거나(장마철) 관리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쉽게 파손되는 문제도 있으며, 방부목 데크에 비해 가격이 비싸다는 단점도 있다.
합성 목재 데크는 목재 성분과 플라스틱 성분을 혼합하여 압출기에서 압출 또는 사출하여 제조되는 데크 자재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합성 목재의 경우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나 폴리프로필렌(PP) 또는 폴리에틸렌(PE)과 같은 플라스틱 성분과 목재성분 그리고 첨가제가 포함된 제품으로 첨가제는 자외선에 견디는 성질, 제품이 휘거나 수축 또는 팽창하는 성질을 부여하도록 선택된다.
통상적으로 합성 목재 데크의 경우 전술한 방부목 및 천연 목재에 비교하여 내구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높은 하중도 견딜 수 있으며 수분에 매우 강하다는 이점이 있지만 방부목에 비해 비싸다는 단점도 존재한다.
데크 자재 소분류별 정보는 방부목재, 천연 목재, 합성 목재의 서브 메뉴를 구성한다. 예를 들면 방부 목재의 자재 소분류별 정보는 사용된 목재정보, 사용된 방부액 정보, 색상, 규격, 방부방식(침전식, 가압식, 탄화식)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천연 목재의 자재 소분류별 정보는 사용된 목재정보, 즉 이페, 방킬라이, 멀바우, 말라스, 올런, 자라, 라치, 마사란 두바 등의 천연 목재 정보를 포함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합성 목재의 자재 소분류별 정보는 제작 방식에 따라 단일압출_솔리드형, 단일압출_중공형, 이중압출_솔리드형 및 이중압출_중공형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중공형 합성 목재의 경우 데크의 내부가 비어있는 합성 목재를 의미하고 솔리드형의 경우 중공부가 없는 합성 목재를 의미하고, 중공형에 비해 솔리드형이 더 높은 하중을 견딜 수 있다.
데크 자재 두께별 정보는 데크 자재의 두께별 분류 정보를 의미한다. 통상적으로 데크 자재의 두께는 설치되는 장소, 최대 허용 하중 치를 고려하여 분류되는 요소이다.
예를 들면 20T 제품의 경우 개인 주택이나 아파트 베란다에 주로 사용되는 두께로 최대 허용 하중치가 300Kg 정도이다.
또한 예를 들면 25T 제품의 경우 가장 많이 사용되는 데크 자재의 두께로 최대 허용 하충 치는 300~400Kg 정도이며, 사람들의 왕래가 비교적 많은 카페, 펜션, 공원길과 같은 곳에 주로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는 데크 자재의 두께는 15T 이하, 16~19T, 20~24T, 25T~29T, 30T 이상의 두께로 세분화하여 사용자가 제공하고, 각 두께별로 어떤 현장과 상황에서 사용하는지에 대한 정보 역시 정보 제공부를 통해 제공된다.
[표 1]
Figure 112020129299097-pat00001
위의 표 1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자재의 키 필드 항목을 예시적으로 나나태고 있다. 키 필드는 데크 자재의 대분류(키 필드 1), 데크 자재의 소분류(키 필드2), 두께(t)를 포함하고 있으며 사용자 또는 고객은 전술한 키 필드 항목에 기반하여 자재를 선택가능하게 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시공 등록 모듈(220)은 회원 가입된 또는 본 서비스를 운영하는 운영자 측과 상호 계약이 체결된 시공 업체로부터의 시공 정보를 등록하도록 기능한다. 등록된 시공 정보는 시공 데이터베이스 내에 현장 상황별, 디자인별로 분류되고 저장된다.
예를 들면 시공 데이터베이스 내에 저장되는 시공 정보 중 현장 정보는 크게 4개의 유형으로 분류되는데 예를 들면 현장 A 타입 ~ 현장 D 타입으로 분류된다. 데크 시공의 경우 현장에 따라 여러 가지 부대 공사를 동반할 수 있으며 동반되는 공사가 많을수록 시공 비용이 증가하게 된다.
예를 들면 현장 상황 중 현장 A 타입 공사의 경우 다이렉트 하지 공사를 의미할 수 있고, 현장 B 타입의 경우에는 파일링 공사와 하지공사를 필요로 하는 공사를 의미할 수도 있다. 또한 현장 C타입의 경우에는 계단공사와 하지공사를 필요로 하는 공사를 의미할 수 있으며 현장 D 타입의 경우에는 파일링 공사, 계단 공사 및 하지 공사를 필요로 하는 공사를 의미할 수도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시공 데이터베이스 내에는 디자인별 시공 정보가 저장되고 디자인별 시공 정보는 기본형, 고급형, 주문형 디자인 장보가 더 저장된다. 기본형 디자인의 경우 가장 일반적인 일자형의 데크 시공을 의미하고 시공 단가가 저렴하다. 한편 고급형 디자인의 경우 기본형 데크 시공에 테두리 마감이 더 진행되어 기본형 데크 시공에 비해 심미적인 아름다움을 가지지만 기본형에 비해 시공 단가가 비싸다. 주문형 디자인의 경우 고객이 원하는 다양한 데크 패턴 디자인이 제공된다. 주문형 디자인의 경우 심미적으로 매우 아름답지만 설치 방법이 까다롭고 시간도 일반형이나 고급형에 비해 오래 소요됨에 따라 시공 단가가 가장 비싸다.
시공 데이터베이스 내에 저장되는 실제 시공업체들의 목록은 품질보증이나 평판과 같은 시공업체 정보가 더 포함된다. 시공업체 정보에는 시공업체의 연락처, 주소, 업체 지역정보가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도2를 참조하면 데크 자재 및 시공 정보 서비스 서버(200)는 견적서 계산 모듈(230) 및 견적서 발행 모듈(240)을 포함하고 있다. 견적서 계산 모듈(230)은 사용자가 웹페이지 또는 애플리케이션 상에서 모든 선택 단계에서 선택한 데크 자재 및/또는 시공 옵션에 대한 계산을 수행하고 단계별 수준에 맞춘 자재 견적, 시공견적, 총 견적 비용을 화면에 나타내며, 견적서 발행 모듈(240)은 사용자가 선택 확정한 데크 자재에 대한 자재 업체와 시공 업체에 대해 견적서를 발행하도록 기능한다.
고객 등록 모듈(250)은 본 발명에 따른 데크 자재 및 시공 정보 서비스에 가입한 고객, 자재 업체 및 시공 업체에 대한 아이디. 패스워드, 이름 또는 업체명, 연락처와 같은 회원 정보를 등록하고 고객 데이터베이스에 이를 저장하여 보관한다.
정보 제공 모듈(260)에선 전술한 바와 같은 데크 자재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 예를 들면 방부목, 천연목재, 합성목재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와 특징, 각종 목재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와 특징, 데크 자재 두께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 시공 방법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데크 자재 및 시공 방법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데크 자재 및 시공 정보 서비스 서버(200)에서 제공되는 자재 및 시공 정보 서비스의 동작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와 같은 동작 흐름은 전술한 바와 같이 웹페이지 또는 사용자의 단말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먼저 단계 S100에서 사용자는 웹페이지의 화면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화면 인터페이스를 통해 공사하고자 하는 면적을 입력하게 된다. 입력된 면적은 이후의 단계에서 데크 사용될 자재의 총 수량을 결정하는데 이용된다.
이어서 사용자는 웹페이지의 화면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화면 인터페이스를 통해 자재 선택 단계(200)로 진행된다. 자재 선택 단계(200)는 대분류 선택 단계(S210), 소분류 선택 단계(S220), 두께 선택 단계(S230), 및 최종 실제 자재 선택 단계(S240)로 차례대로 진행된다.
대분류 선택 단계(S210)에서 사용자는 방부목, 천연목재 및 합성목재 중 하나를 선택하게 되면, 도 4는 웹페이지의 화면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화면 인터페이스 상에서 구현되는 분류 선택 단계의 일례를 나타낸다.
사용자가 화면 인터페이스를 통해 마우스 또는 손가락 등을 방부목 , 천연목재, 합성목재의 위에 오버래핑 시키면 방부목, 천연목재, 및 합성목재의 특징이 사용자의 화면에 오버랩 되어 표시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가 데크 자재 대분류를 선택하는데 도움을 준다. 이때 화면에는 선택된 단계별로 자재비(선택 단계까지의 평균 자재비), 시공비(선택 단계까지의 평균 시공비) 그리고 총 견적이 나타난다.
사용자가 데크 자재 소분류를 선택하고 나면 사용자의 웹페이지 화면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화면 인터페이스는 소분류 선택 화면으로 전환된다. 도 5는 웹페이지의 화면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화면 인터페이스 상에서 구현되는 소분류 선택 단계의 일례를 나타낸다.
사용자가 이전 단계에서 방부목을 선택하면 방부목에 대한 서브 메뉴 화면이 제공되고, 사용자가 이전 단계에서 천연목재를 선택하면 천연목재에 대한 서브 메뉴 화면이 사용자에게 제공되며, 사용자가 이전 단계에서 합성목재를 선택하면 합성목재에 대한 서브 메뉴 화면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데, 도 5의 경우 합성목재에 대한 서브 메뉴가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되고 사용자는 합성목재에 대한 서브 메뉴 상에서 원하는 데크 자재를 선택하게 된다. 이때 화면에는 선택된 단계별로 자재비(합성목재의 평균값), 시공비, 총 견적이 나타난다.
이 단계에서도 이전 단계와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화면 인터페이스를 통해 마우스 또는 손가락 등을 각각의 메뉴에 오버래핑 시키면 각각의 항목에 대한 데크 자재의 특징 또는 설명이 사용자의 화면에 오버랩 되어 표시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가 데크 자재 소분류를 선택하는데 도움을 준다.
사용자가 데코 목재의 소분류를 선택하고 나면 단계는 S230으로 진행되고, 단계 S230에서 사용자의 웹페이지 화면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화면 인터페이스는 두께 선택 화면으로 전환된다.
도 6은 웹페이지의 화면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화면 인터페이스 상에서 구현되는 두께 선택 단계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께 선택 단계에서 시스템에서 제안된 몇 가지의 두께, 예를 들면 15T 이하, 16~19T, 20~24T, 25T~29T, 30T 이상의 두께로 세분화하여 사용자가 선택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때 화면에는 선택된 단계별로 자재비(합성목재 25T~29T의 평균값), 시공비, 총 견적이 나타난다.
도 7은 사용자가 단계 S230에서 데크 자재의 두께를 선택하고 나면 웹페이지의 화면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화면 인터페이스 상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단계 S210 내지 S230을 통해 선택한 대분류, 소분류 및 두께에 부합되는 데크 자재들 표시된다.
사용자가 화면에 표시된 데크 자재들 중 하나를 선택하면 서버(200)의 견적서 계산 모듈(230)은 사용자가 입력된 설치 면적과 사용자가 최종 선택한 데크 자재의 단위 제곱 미터당 가격에 기반하여 실제 자재비를 계산한 자재비(실제 자재 반영 계산값), 시공비, 총 견적이 사용자의 화면에 표시한다.
사용자가 자재 선택 단계(S200)을 완료하게 되면 서버(200)는 시공 선택 단계(S300)로 계속 진행할 것인지를 사용자에게 질의하고 사용자가 시공 선택 단계를 선택하면 단계는 S310으로 진행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 단계는 바로 자재 구매요청을 하든지, 아니면 임시저장을 하고 다른 경로로 이동한다.
한편 사용자가 시공 선택 단계(S300)를 선택한 경우 단계는 현장 상황 선택단계(S310), 디자인 유형 선택 단계(S320), 시공업체 선택 단계(S330) 및 지역별 최종 시공업체 선택 단계(S340)로 순차적으로 진행된다.
도 8은 현장 상황 선택 단계(S310)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장 상황 선택 단계(S310)은 웹페이지 또는 사용자의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에 시공 현장 상황, 예를 들면 현장 A(다이렉트 하지 공사), 현장 B(파일링공사+하지공사), 현장 C(계단 공사+하지공사), 현장 D(파일링 공사+계단공사+하지공사) 등과 같이 복수의 현장 공사 타입을 사용자에게 선택하도록 한다.
사용자가 화면 인터페이스를 통해 마우스 또는 손가락 등을 각각의 메뉴 위에 오버래핑 시키면 각각의 메뉴에 대한 설명이 화면에 오버랩 되어 표시되고 이는 사용자가 자신의 현장 상황을 선택하는데 도움을 준다.
사용자가 현장 상황을 선택하면 견적서 계산 모듈은 사용자가 선택한 현장 상황에 대한 기본 단가를 계산하여 사용자 화면에 표시한다.
사용자가 단계 S310에서 현장 상황을 선택하고 나면 단계는 사용자로 하여금 디자인을 선택할 수 있는 S320으로 진행된다. 도 9는 디자인 선택 단계(S320)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자인 선택 단계(S320)는 웹페이지 또는 사용자의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에 기본형, 고급형, 주문형 등과 같이 복수의 디자인 옵션을 사용자에게 선택하도록 한다.
기본형 디자인의 경우 가장 일반적인 일자형의 데크 시공을 의미하고 시공 단가가 저렴하다. 한편 고급형 디자인의 경우 기본형 데크 시공에 테두리 마감이 더 진행되어 기본형 데크 시공에 비해 심미적인 아름다움을 가지지만 기본형에 비해 시공 단가가 비싸다. 주문형 디자인의 경우 기본형 및 고급형에서 이용되는 일자형 데크 디자인과 다양한 데크 패턴 디자인이 제공된다. 주문형 디자인의 경우 심미적으로 아름답지만 설치 방법이 까다롭고 시간도 일반형이나 고급형에 비해 오래 소요됨에 따라 시공 단가가 가장 비싸다.
사용자가 디자인을 선택하면 견적서 계산 모듈은 사용자가 선택한 디자인에 대한 기본 단가를 현상 상황 단가에 더하여 사용자 화면에 표시한다.
이전 단계와 동일하게 사용자가 화면 인터페이스를 통해 마우스 또는 손가락 등을 각각의 메뉴 위에 오버래핑 시키면 각각의 메뉴에 대한 설명이 화면에 오버랩 되어 표시되고 이는 사용자가 디자인을 선택하는데 도움을 준다.
사용자가 단계 S320에서 디자인 유형을 선택하고 나면 단계는 사용자는 선택할 수 있는 S330으로 진행된다. 도 10은 시공업체 선택 단계(S330)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공업체 선택 단계(S330)는 웹페이지 또는 사용자의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에 시공 팀 소개 및 전문업체 책임 시공의 옵션을 사용자에게 선택하도록 한다.
사용자가 시공업체 소개를 선택하는 경우 사용자가 선택한 분야에 적합한 시공업체의 리스트가 제공되고, 전문업체 책임시공을 선택하는 경우에는 추가의 전문 비용이 더 추가되어 시공비에 반영하여 표시한다.
사용자가 단계 S330에서 시공업체를 선택하고 나면 단계는 S340으로 진행되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공지역 선택에 따른 실제 최종 시공업체들이 화면에 표시되면서 최종 시공업체를 선택하게 된다. 이때는 시공업체가 실제로 제시한 시공비가 반영되어 표시한다.
도 12의 (a) 및 (b)는 단계 S200 및 단계 S300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자재 견적서 및 시공 견적서를 각각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재 견적서 및 시공 견적서는 사용자가 단계별로 진행하여 선택한 항목을 기준으로 작성되며 화면에 표시되는 것과 별도로 발행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자재 선택을 먼저 진행하고 이어서 시공 선택이 수행됨에 따라 자재 견적서 상에는 시공 견적으로 연결되는 메뉴가 형성되고, 시공을 선택하지 않을 경우에는 자재 구매 요청만을 진행할 수도 있다.
이와 반대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시공 선택을 먼저 진행하고 이어서 자재 선택이 수행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이 경우 시공 견적서 상에는 자재 견적으로 연결되는 메뉴가 형성되고, 자재 선택을 수행하지 않을 경우에는 시공 요청만을 진행할 수도 있다.
도 13은 도 3을 기초하여 설명한 자재 선택 단계와 시공 선택 단계를 포함하여 구매 요청까지의 동작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3의 설명은도 3에서 도 12까지를 기초하여 설명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 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매체 또는 장치에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 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 예들 및 특허 청구 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 청구 범위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100: 고객측 단말 200: 데크 자재/시공 서비스 서버
210: 자재 등록 모듈 220: 시공 등록 모듈
230: 견적서 계산 모듈 240: 견적서 발행 모듈
250: 고객 등록 모듈 260: 정보 제공 모듈
300: 자재업체측 단말 400: 시공업체측 단말

Claims (6)

  1. 사용자측 단말 및 데크 자재 및 시공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는 온라인 상에서의 데크 및 내외장 건축자재 유통 및 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측 단말은 상기 서버에서 제공하는 웹페이지 상에서 또는 서버와 연동하는 애플리케이션의 화면 인터페이스 상에서,
    데크 공사 면적을 입력하는 동작;
    데크 자재를 결정하기 위해 자재 선택 동작; 및
    데크 시공을 결정하기 위한 시공 선택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측 단말로부터 입력된 공사 면적 정보, 자재 선택 정보 및 시공 선택 정보에 대응하여 자재 견적서 및 시공 견적서를 사용자측 단말의 화면에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자재 선택 동작은,
    데크 자재의 분류를 선택하기 위한 분류 선택 동작;
    선택된 자재 분류에서 자재의 종류를 선택하기 위한 종류 선택 동작;
    선택된 자재의 종류에서 자재의 두께를 선택하기위한 두께 선택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시공 선택 동작은,
    데크 설치 장소의 상황을 선택하기 위한 현장 상황 선택 동작;
    설치될 데크의 디자인을 선택하기 위한 디자인 유형 선택 동작;
    데크를 시공할 시공팀을 선택하기 위한 시공팀 선택 동작을 포함하며,
    상기 자재 선택 동작은 데크 자재에 대한 기본 정보 제공 동작을 더 포함하고, 여기서 데크 자재에 대한 기본 정보는 데크 자재로 이용되는 방부목재, 천연목재, 및 합성목재의 분류에 따른 특징, 자재 종류에 대한 특징, 상기 목재에 대한 두께별 사용 용도에 대한 정보를 분류 선택 동작, 종류 선택 동작 및 두께 선택 동작시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시공 선택 동작은 데크 시공에 대한 기본 정보 제공 동작을 더 포함하고, 여기서 데크 시공에 대한 기본 정보는 현장 상황에 따라 대응하는 기초공사인 다이렉트 하지 공사, 파일링 추가 하지 공사, 계단 추가 하지 공사, 파일링과 계단 추가 하지 공사, 데크 디자인 유형에 따른 정보, 데크 시공팀에 대한 목록 및 이력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사용자 단말측로부터 데크 자재를 결정하기 위해 자재 선택 동작이 완료된 후, 서버는 후속된 동작으로 시공 선택 동작을 더 수행할 것인지 여부를 사용자 단말에 문의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서버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시공 선택 동작을 더 수행하는 것으로 입력된 경우에만 시공 선택 동작을 수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자재 견적서 만을 사용자측 단말에 표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서버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시공 선택 동작을 더 수행하는 것으로 입력된 경우에 시공 선택 동작을 수행하고, 시공 선택 동작을 완료한 후 자재 견적서 및 시공 견적서 모두를 사용자측 단말에 표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자재 견적서는 자재 손실율 선택 항목을 더 포함하고, 자재 손실율 선택 항목이 선택된 경우, 자재 견적서는 자재 선택 동작에서 선택된 자재 개수에 사용자가 설정한 자재 손실율의 비율을 적용하여 데크 자재의 개수를 계산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상에서의 데크 및 내외장 건축자재 유통 및 시공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200164684A 2020-11-30 2020-11-30 데크 및 건축자재 유통 및 시공 시스템 KR1022673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4684A KR102267381B1 (ko) 2020-11-30 2020-11-30 데크 및 건축자재 유통 및 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4684A KR102267381B1 (ko) 2020-11-30 2020-11-30 데크 및 건축자재 유통 및 시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7381B1 true KR102267381B1 (ko) 2021-06-22

Family

ID=76600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4684A KR102267381B1 (ko) 2020-11-30 2020-11-30 데크 및 건축자재 유통 및 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73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6187B1 (ko) 2021-12-01 2023-01-10 주식회사 요따 다자간 협의 기반의 건설 및 건축 자재의 전자상거래 중개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2123A (ko) * 2018-10-15 2020-04-23 주식회사 스타키움 인테리어 자재 주문정보 등록과 견적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200058957A (ko) * 2018-11-20 2020-05-28 김진영 시공 직거래 연결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2123A (ko) * 2018-10-15 2020-04-23 주식회사 스타키움 인테리어 자재 주문정보 등록과 견적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200058957A (ko) * 2018-11-20 2020-05-28 김진영 시공 직거래 연결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6187B1 (ko) 2021-12-01 2023-01-10 주식회사 요따 다자간 협의 기반의 건설 및 건축 자재의 전자상거래 중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3235368B2 (en) Method and system for quick square roof reporting
US20090083128A1 (en) Predicted variable analysis based on evaluation variables relating to site selection
KR101373612B1 (ko) Nui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1067204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cessing orders for structural designs
KR100330810B1 (ko) 건설정보 통합 관리시스템상에서 건설관련 자재목록을 이용한 시공에 관한 검색과 주문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2267381B1 (ko) 데크 및 건축자재 유통 및 시공 시스템
Shin et al. Application of information technology for mass customization in the housing construction industry in Korea
KR20010007742A (ko) 인터넷을 이용한 주택설계 및 인테리어 디자인 시스템 및그 방법
KR20190081197A (ko) 인테리어 토탈 서비스 관리 시스템
KR20200064359A (ko) 부동산 개발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20090126574A (ko) 기본건축유닛의 조합 방식에 의한 포스트와 빔 구조의목조건축물의 설계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설계방법
CN107071864A (zh) 一种用于连接无线接入点的方法、设备及系统
KR101949035B1 (ko) 부동산 정보의 중개 시스템 및 방법
JP3301704B2 (ja) 建物設計装置および設計方法
US2017007264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Distributed 3D Printed Structures
CN114036619A (zh) 基于bim的住宅模块化设计方法、装置及计算机存储介质
Haron et al. The application of quality function deployment (QFD) in the design phase of industrialized building system (IBS) apartment construction project
JP2008204255A (ja) 建築見積処理システム
US20040111334A1 (en) Method of interactive home detail submission and pricing
US20190114726A1 (en) Rental Real Estate Information Sharing System and Method
Chauhan et al. On rent—an android mobile application
KR102561469B1 (ko) 부동산의 개발 또는 정비 사업에 관한 시각적인 지원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11847382B2 (en) Deck configuration system
KR102545098B1 (ko) 인공지능을 이용한 건설자재 거래 중개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50199723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curing a local service provi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