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5711B1 - 이산화탄소 저감 장치 - Google Patents

이산화탄소 저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5711B1
KR102485711B1 KR1020220115385A KR20220115385A KR102485711B1 KR 102485711 B1 KR102485711 B1 KR 102485711B1 KR 1020220115385 A KR1020220115385 A KR 1020220115385A KR 20220115385 A KR20220115385 A KR 20220115385A KR 102485711 B1 KR102485711 B1 KR 1024857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dioxide
water
precipitation
absorption tower
re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53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엔씨
Priority to KR10202201153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57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57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57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1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bsorption
    • B01D53/1456Removing acid components
    • B01D53/1475Removing carbon diox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B01D47/063Spray cleaning with two or more jets impinging against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14Packed scrub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1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bsorption
    • B01D53/18Absorbing units; Liquid distributors therefor
    • B01D53/185Liquid distribu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8Liquid phase processes with gas-liquid cont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9Injecting reactants
    • B08B1/002
    • B08B1/005
    • B08B1/04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FCOMPOUNDS OF THE METALS BERYLLIUM, MAGNESIUM, ALUMINIUM, CALCIUM, STRONTIUM, BARIUM, RADIUM, THORIUM, OR OF THE RARE-EARTH METALS
    • C01F11/00Compounds of calcium, strontium, or barium
    • C01F11/18Carbon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1/00Reactants
    • B01D2251/40Alkaline earth metal or magnesium compounds
    • B01D2251/404Alkaline earth metal or magnesium compounds of calciu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 Gas Separation By Ab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이산화탄소 저감 장치에 있어서, 상단에 배기구가 형성되고 내부 공간을 가지는 흡수탑; 상기 흡수탑의 측면으로 통하며 이산화탄소를 함유한 피처리수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유출구를 가지며 상기 흡수탑에 설치되는 피처리수 유통부; 상기 흡수탑 중 상기 피처리수 유통부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피처리수로부터 증발되어 상승하는 이산화탄소를 포함하는 가스에 칼슘이온을 함유하는 반응용액을 분사하는 용액 분사부; 상기 반응용액을 상기 분사부로 공급하는 반응용액 공급부; 상기 피처리수 유통부의 상기 유출구와 연결되며, 피처리수 및 상기 가스와 반응한 후 낙하하는 반응용액과 상기 피처리수가 혼합된 혼합수가 유입되는 반응조; 및 상기 반응조에 설치되어 상기 혼합수에 담겨져 상기 혼합수에 함유된 이산화탄소와 칼슘이온의 반응에 의한 탄산칼슘을 석출시키는 석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저감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이산화탄소 저감 장치{CARBON DIOXIDE REDUCTION DEVICE}
본 발명은 이산화탄소 저감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수처리된 물에 포함된 이산화탄소를 저감하기 위한 이산화탄소 저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구온난화에 영향을 주는 온실효과 가스는 이산화탄소(CO2), 메탄(CH4), 아산화질소 (N2O) 등을 들 수 있으며, 각 성분의 대기 중 농도는 산업화의 진행에 따라 지속적으로 현저하게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로 인해 지구온난화현상은 점차 가속화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온실효과가스가 지금과 같이 증가하게 되면 2030년대에는 지구 전체 의 평균기온이 현재에 비해 약 1.5 ~ 3.5℃ 상승하게 되고, 기후변동, 생태계의 교란, 해수 면 상승, 토양침식 증가 등의 결과를 예측하고 있다. 이에 따라 CO2를 적게 배출하는 제품 공정, 생산공정과 연소 시스템 등의 CO2 발생을 줄이기 위한 연소 시스템, 기술 개발, 발생된 CO2를 포집 및 저장시키기 위한 기술 개발이 활발하게 집중적으로 진행되어왔다.
하수도는 국민의 생활환경의 향상과 공공 수역의 수질 보전에 대해서 중요한 사회자본이지만 하수도시설에서는 많은 양의 온실 효과가스가 배출되고 있다. 하수도시설로부터 배출되는 온실효과가스 중에서 주 배출원으로는 「전력, 석유등 에너지 생성 소비에 의해 발생하는 CO2, 슬러지 소각 시에 발생하는 N2O, 수처리시 배출되는 CH4, N2O의 3가지를 들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하수도시설로부터 배출되는 온실효과가스의 제어기술이 필요하다. 특히 CO2에 대해서는 하수처리장의 에너지 절약 등의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하수처리된 물에 포함된 이산화탄소를 저감시키기 위한 이산화탄소 저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하수처리된 물에 포함된 이산화탄소를 저감시키는 동시에 악취 가스나 유해가스를 저감 내지 제거하는 이산화탄소 저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이산화탄소 저감 장치에 있어서, 상단에 배기구가 형성되고 내부 공간을 가지는 흡수탑; 상기 흡수탑의 측면으로 통하며 이산화탄소를 함유한 피처리수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유출구를 가지며 상기 흡수탑에 설치되는 피처리수 유통부; 상기 흡수탑 중 상기 피처리수 유통부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피처리수로부터 증발되어 상승하는 이산화탄소를 포함하는 가스에 칼슘이온을 함유하는 반응용액을 분사하는 용액 분사부; 상기 반응용액을 상기 분사부로 공급하는 반응용액 공급부; 상기 피처리수 유통부의 상기 유출구와 연결되며, 피처리수 및 상기 가스와 반응한 후 낙하하는 반응용액과 상기 피처리수가 혼합된 혼합수가 유입되는 반응조; 및 상기 반응조에 설치되어 상기 혼합수에 담겨져 상기 혼합수에 함유된 이산화탄소와 칼슘이온의 반응에 의한 탄산칼슘을 석출시키는 석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저감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석출부는, 상기 반응조의 측벽에 설치되며, 상기 반응조의 내부로 통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 내로 후퇴되거나 상기 반응조 내부로 돌출되어 상기 혼합수로부터 탄산칼슘이 표면에 석출되도록 하며, 내부에 열선이 구비된 석출봉; 상기 실린더의 내면에 장착되어 상기 실린더의 내부로 후퇴된 상기 석출봉의 표면을 브러싱하여 탄산칼슘을 분리시키는 브러시; 상기 반응조의 외부에서 상기 실린더에 결합되어 상기 석출봉을 후퇴 및 돌출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석출부는, 상기 실린더와 통하는 배출관에 설치되는 배출펌프; 상기 실린더와 상기 배출펌프 사이의 상기 배출관에 설치되어 상기 브러싱에 의해 이탈된 탄산칼슘을 필터링하는 필터; 및 상기 반응조와 통하는 상기 실린더의 입구를 개폐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석출봉이 후퇴된 후 닫히고, 상기 석출봉이 돌출되도록 열리는 개폐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석출부는, 상기 반응조의 바닥에 설치되며, 내부에 열선이 구비되고, 표면에 탄산칼슘이 석출되는 석출판; 상기 석출판의 상면에 설치되며 상기 상면에 석출된 탄산칼슘을 스크레이핑하도록 회전되는 블레이드; 및 상기 블레이드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상기 석출부는, 상기 석출판 및 상기 블레이드를 수용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과 통하는 배출관에 설치되는 배출펌프; 상기 하우징과 상기 배출펌프 사이의 상기 배출관에 설치되어 상기 스크레이핑에 의해 이탈된 탄산칼슘을 필터링하는 필터; 및 상기 석출판에서 탄산칼슘의 석출시에는 상기 혼합수가 상기 하우징 내로 유입되도록 개방되고 상기 블레이드의 스크레이핑 중에는 닫히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개폐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반응조의 바닥에 설치되어 상기 석출봉 주변에 와류를 형성시키는 와류 유도부; 상기 흡수탑 중 상기 분사부 아래 설치되어 상측으로 고압공기를 분사하는 공기 분사부; 및 상기 공기 분사부와 상기 용액 분사부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고압공기에 의해 부유되며 상기 용액 분사부로부터의 반응용액과 상기 가스의 접촉비를 증가시키는 다공성 충진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하수처리된 물에 포함된 이산화탄소를 저감시키기 위한 이산화탄소 저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하수처리된 물에 포함된 이산화탄소를 저감시키는 동시에 악취 가스나 유해가스를 저감 내지 제거하는 이산화탄소 저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탄소 저감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석출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탄소 저감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석출부에 탄산칼슘이 석출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석출부의 탄산칼슘 분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탄산칼슘을 분리한 후 석출부가 다시 반응조 내부로 삽입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탄소 저감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석출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탄소 저감 장치(1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산화탄소 저감 장치(100)는 각종 시설이나 산업공정에서 이산화탄소를 저감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 이산화탄소 저감 장치(100)는 하수처리장치 등에 사용될 수 있는 전처리 장치로 적용될 수 있다. 하수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CO2가 발생할 수 있다. 이산화탄소 저감 장치(100)는 칼슘이온을 함유하는 반응용액을 분사하여 탄산칼슘화함으로써 CO2를 저감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이산화탄소 저감 장치(100)는, 흡수탑(110), 피처리수 유통부(120), 용액 분사부(130), 용액 공급부(140), 반응조(150) 및 석출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흡수탑(110)은 내부 공간을 가지는 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피처리수 유통부(120)는 흡수탑(110)에 설치될 수 있다. 피처리수 유통부(120)는 흡수탑(110)의 측면으로 통하며 이산화탄소를 함유한 피처리수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반응조(150)로 통하는 유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피처리수는 예를 들어, 일차적으로 하수 처리가 된 물일 수 있다. 이러한 피처리수에는 CO2 뿐만 아니라 미생물 소화 등으로 인해 여러 가스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이산화탄소 저감 장치(100)는 CO2 뿐만 아니라 다른 여러 가스도 제거 내지 저감시켜서 배출시킴으로써, 악취나 온실가스의 배출을 저감시킬 수 있다. 피처리수 유통부(120)는 경사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피처리수는 피처리수 유통부(120)를 따라 하강하며 피처리수 유통부(120)의 유출구에 연결된 반응조(150)로 제공될 수 있다.
용액 분사부(130)는 흡수탑(110) 중에서 피처리수 유통부(120)의 상측에 설치될 수 있다. 피처리수 유통부(120)를 따라 흐르는 피처리수로부터 CO2를 포함하는 가스가 증발되어 상승될 수 있다. 용액 분사부(130)는 이러한 가스에 칼슘이온을 함유하는 반응용액을 분사할 수 있다. 반응용액의 칼슘이온과 가스 중의 CO2가 반응하여 낙하하며 회수될 수 있다. 회수된 CO2는 다시 피처리수에 혼합되어 반응조(150)로 제공될 수 있다.
용액 공급부(140)는 용액 분사부(130)로 반응용액을 공급할 수 있다. 용액 공급부(140)는 흡수탑(110)의 하측에 구비되는 용액 저장조(141)와 공급펌프(142)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급펌프(142)가 용액 저장조(141)로부터 반응용액을 용액 분사부(130)로 고압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산화탄소 저감 장치(100)는 충진재(180) 및 공기 분사부(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공기분사부는 용액 분사부(130)와 대향하여 용액 분사부(13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충진재(180)는 용액 분사부(130)와 공기 분사부(19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충진재(180)는 공극이 있고, 가벼운 물체(예: 스티로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충진재(180)는 이러한 가벼운 물질로 된 비드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공기 분사부(190)가 이러한 충진재(180)의 하측에서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므로, 충진재(180)가 위로 뜰 수 있다. 이에 의해 반응용액과 가스 간의 접촉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반응용액이 가스 중에 CO2를 흡수하여 하측으로 떨어져서 피처리수에 합쳐져 회수되는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가스가 충진재(180)를 통과하면서 CO2 이외의 다른 유해한 가스가 포집되는 효율이 증가할 수 있다. 피처리수 유통부(120)를 흐르는 피처리수 및 가스와 반응한 후 낙하하는 반응용액이 혼합된 혼합수가 반응조(150)로 유입될 수 있다.
석출부(160)는 반응조(150)에 설치되며, 일부가 혼합수에 담겨져 탄산칼슘을 석출시킬 수 있다. 즉, 반응조(150)에서는 CO2와 칼슘이온이 반응하여 석출부(160)에서 탄산칼슘으로 석출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석출부(160)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 석출부(160)는 반응조(150)의 측벽에 설치될 수 있다. 석출부(160)는 실린더(161), 석출봉(162), 브러시(163) 및 구동부(164)를 포함할 수 있다. 반응조(150)의 측벽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실린더(161)가 개구부에 설치될 수 있다. 실린더(161)는 내부가 중공된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브러시(163)는 실린더(161) 내면에 장착될 수 있다. 석출봉(162)은 실린더(161)에 삽입되어 있고, 구동부(164)는 실린더(161)의 후방에 구비되어 석출봉(162)을 전진(돌출) 및 후진(후퇴)시키거나 회전시킬 수 있다. 석출봉(162)이 반응조(150) 내의 혼합수에 입수되어 석출봉(162)의 표면에 탄산칼슘이 석출될 수 있다. 석출봉(162)에는 열선(1621)이 내장되어 가열됨으로써 탄산칼슘의 석출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석출부(160)의 동작은 더 후술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탄소 저감 장치(100)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이산화 탄소 저감 장치(100)에 의한 CO2 저감 및 가스 처리의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일차로 하수처리된 하수, 즉 피처리수가 흡수탑(110)에 설치된 피처리수 유통부(120)로 유입될 수 있다(S101). 피처리수 유통부(120)는 경사를 이루고 상측으로 개방될 있다. 피처리수 유통부(120)를 흐르는 피처리수로부터 CO2를 포함하는 가스가 증발될 수 있다.
증발되어 상승하는 가스에 반응용액을 분사한다(S102). 반응용액이 충진재(180)로 인해 가스와 접촉이 증가되어 가스 중의 CO2가 반응용액에 의해 흡수되어 낙하할 수 있다.
또한, 충진재(180)에 의해 가스 중에 CO2 이외의 가스를 포집할 수 있다(S103). 이때, 고압 공기에 의해 충진재(180)가 부유하면서 반응용액과 가스의 접촉비를 증가시킬 수 있다.
CO2를 흡수한 반응용액이 낙하하여 피처리수에 혼합됨으로써 혼합수가 되어 반응조(150)로 유입될 수 있다(S104).
도 4는 석출부(160)에 탄산칼슘이 석출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반응조(150)에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164)에 의해 실린더(161) 내에 위치된 석출봉(162)이 반응조(150)의 혼합수에 잠기도록 반응조(150) 내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S105). 이때 실린더(161)에 연통된 배출관은 밸브에 의해 잠겨 있을 수 있다. 또한, 실린더(161)의 앞단에 개폐밸브(167)가 열린 상태일 수 있다.
이후,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석출봉(162)은 열선 등에 의해 가열된 상태에서 혼합수에 함유된 반응용액의 칼슘이온과 혼합수 내의 CO2가 반응하여 탄산칼슘이 석출봉(162)의 표면에서 석출될 수 있다(S106). 석출봉(162)에서의 탄산칼슘의 석출의 정도는 석출봉(162)이 혼합수에 담겨진 시간과 반응조(150)에 설치된 PH 센서가 혼합수의 PH 변화를 감지하여 판단될 수 있다. 반응조(150)의 바닥에는 석출봉(162) 주변에 와류를 형성하여 석출을 촉진하기 위한 와류 유도부(170)가 구비될 수 있다.
도 5는 석출부(160)의 탄산칼슘 분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석출봉(162)의 표면에 탄산칼슘이 일정량 이상 석출된 경우, 제어부는 석출봉(162)을 후진시켜 실린더(161) 내로 삽입시킬 수 있다(S107). 이때,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밸브(167)가 실린더(161)의 전방입구를 차폐하여 반응조(150) 내의 혼합수와 실린더(161) 내부를 분리시킬 수 있다.
이후 석출봉(162)으로부터 탄산칼슘을 분리시킬 수 있다(S108). 예를 들어, 제어부에 의해 구동부(164)가 실린더(161) 또는 석출봉(162)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실린더(161) 내부에 구비된 브러시(163)가 석출봉(162)과 마찰을 하면서 탄산칼슘이 석출봉(162)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실린더(161) 내부에는 혼합수가 잔류하고 있어서 탄산칼슘 입자가 실린더(161) 내부의 혼합수와 함께 배출관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배출관은 외부의 처리 장치로 연결될 수 있다. 또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관이 다시 반응조(150)로 회귀하도록 설치되고 배출관에 흡입펌프(168)가 설치되며 필터(166)가 설치될 수 있다. 필터(166)는 배출관을 통해 배출되는 탄산칼슘을 필터링할 수 있다(S109).
도 6은 탄산칼슘을 분리한 후 석출봉(162)이 다시 반응조(150) 내부로 삽입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후, 탄산칼슘 분리 공정이 완료되면 도 6(a)와 같이 석출봉(162) 표면에는 탄산칼슘이 제거되어 재생될 수 있다. 반응조(150)에서 PH 센서가 감지한 PH나 작동시간이 기준값에 도달한 것인지 판단한다(S110).
이후, 아직 기준값에 도달되지 않았다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밸브가 열리고 구동부(164)에 의해 석출봉(162)이 다시 반응조(150)의 내부로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반응조(150) 내의 혼합수로부터 CO2를 제거하고, 충진재(180)에 의해 유해가스를 흡착함으로써, 하수에 포함된 CO2 또는 유해가스를 제거하거나 저감시켜 배출시킬 수 있다. 여기서 하수는 생활하수일 수도 있고, 산업시설에서 배출되는 배출수일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탄소 저감 장치(1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석출부(21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이산화탄소 저감 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6에서 설명된 이산화탄소 저감 장치(100)와 석출부(210)에 차이가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석출부(210)는, 석출판(211), 블레이드(212), 하우징(213), 배출펌프(214), 필터(215) 및 개폐밸브(216)를 포함할 수 있다.
석출판(211)은 반응조(150)의 바닥에 설치되며, 내부에 열선이 구비될 수 있다. 석출판(211)은 혼합수에 잠겨 있으므로, 도 8의 하측의 사진에 예시된 바와 같이, 석출판(211)의 표면에 탄산칼슘이 석출될 수 있다.
블레이드(212)는 석출판(211)의 상면에 설치되며 상면에 석출된 탄산칼슘을 스크레이핑하도록 회전될 수 있다. 구동부(217)는 블레이드(212)를 회전시킬 수 있다.
하우징(213)은 석출판(211) 및 블레이드(212)를 수용할 수 있다.
배출펌프(214)는 하우징(213)과 통하는 배출관에 설치될 수 있다. 필터(215)는 하우징(213)과 배출펌프(214) 사이의 배출관에 설치되어 스크레이핑에 의해 이탈된 탄산칼슘을 필터링할 수 있다.
개폐밸브(167)는 하우징(213)에 설치될 수 있다. 개폐밸브(216)는 석출판(211)에서 탄산칼슘의 석출시에는 혼합수가 하우징(213) 내로 유입되도록 개방되고 블레이드(212)의 스크레이핑 중에는 닫히도록 작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실시예들에 의하면, 하수처리장치 등의 수처리 장치에 이산화탄소 저감 장치(100)가 설치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이산화탄소를 용이하게 제거 내지 저감할 뿐만 아니라 이산화탄소 이외의 악취나 유해가스를 함께 저감시킬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이산화탄소 저감 장치
110 : 흡수탑
120 : 피처리수 유통부
130 : 용액 분사부
140 : 용액 공급부
141 : 용액 저장조
142 : 공급펌프
150 : 반응조
160 : 석출부
161 : 실린더
163 : 브러시
164 : 구동부
165 : 배출펌프
166 : 필터
167 : 개폐밸브
170 : 와류 유도부
180 : 충진재
190 : 공기 분사부

Claims (6)

  1. 이산화탄소 저감 장치에 있어서,
    상단에 배기구가 형성되고 내부 공간을 가지는 흡수탑;
    상기 흡수탑의 측면으로 통하며 이산화탄소를 함유한 피처리수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유출구를 가지며 상기 흡수탑에 설치되는 피처리수 유통부;
    상기 흡수탑 중 상기 피처리수 유통부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피처리수로부터 증발되어 상승하는 이산화탄소를 포함하는 가스에 칼슘이온을 함유하는 반응용액을 분사하는 용액 분사부;
    상기 반응용액을 상기 분사부로 공급하는 반응용액 공급부;
    상기 피처리수 유통부의 상기 유출구와 연결되며, 피처리수 및 상기 가스와 반응한 후 낙하하는 반응용액과 상기 피처리수가 혼합된 혼합수가 유입되는 반응조; 및
    상기 반응조에 설치되어 상기 혼합수에 담겨져 상기 혼합수에 함유된 이산화탄소와 칼슘이온의 반응에 의한 탄산칼슘을 석출시키는 석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석출부는,
    상기 반응조의 측벽에 설치되며, 상기 반응조의 내부로 통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 내로 후퇴되거나 상기 반응조 내부로 돌출되어 상기 혼합수로부터 탄산칼슘이 표면에 석출되도록 하며, 내부에 열선이 구비된 석출봉;
    상기 실린더의 내면에 장착되어 상기 실린더의 내부로 후퇴된 상기 석출봉의 표면을 브러싱하여 탄산칼슘을 분리시키는 브러시; 및
    상기 반응조의 외부에서 상기 실린더에 결합되어 상기 석출봉을 후퇴 및 돌출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저감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석출부는,
    상기 실린더와 통하는 배출관에 설치되는 배출펌프;
    상기 실린더와 상기 배출펌프 사이의 상기 배출관에 설치되어 브러싱에 의해 이탈된 탄산칼슘을 필터링하는 필터; 및
    상기 반응조와 통하는 상기 실린더의 입구를 개폐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석출봉이 후퇴된 후 닫히고, 상기 석출봉이 돌출되도록 열리는 개폐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 탄소 저감 장치.
  4. 이산화탄소 저감 장치에 있어서,
    상단에 배기구가 형성되고 내부 공간을 가지는 흡수탑;
    상기 흡수탑의 측면으로 통하며 이산화탄소를 함유한 피처리수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유출구를 가지며 상기 흡수탑에 설치되는 피처리수 유통부;
    상기 흡수탑 중 상기 피처리수 유통부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피처리수로부터 증발되어 상승하는 이산화탄소를 포함하는 가스에 칼슘이온을 함유하는 반응용액을 분사하는 용액 분사부;
    상기 반응용액을 상기 분사부로 공급하는 반응용액 공급부;
    상기 피처리수 유통부의 상기 유출구와 연결되며, 피처리수 및 상기 가스와 반응한 후 낙하하는 반응용액과 상기 피처리수가 혼합된 혼합수가 유입되는 반응조; 및
    상기 반응조에 설치되어 상기 혼합수에 담겨져 상기 혼합수에 함유된 이산화탄소와 칼슘이온의 반응에 의한 탄산칼슘을 석출시키는 석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석출부는,
    상기 반응조의 바닥에 설치되며, 내부에 열선이 구비되고, 표면에 탄산칼슘이 석출되는 석출판;
    상기 석출판의 상면에 설치되며 상기 상면에 석출된 탄산칼슘을 스크레이핑하도록 회전되는 블레이드; 및
    상기 블레이드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저감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석출부는,
    상기 석출판 및 상기 블레이드를 수용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과 통하는 배출관에 설치되는 배출펌프;
    상기 하우징과 상기 배출펌프 사이의 상기 배출관에 설치되어 상기 스크레이핑에 의해 이탈된 탄산칼슘을 필터링하는 필터; 및
    상기 석출판에서 탄산칼슘의 석출시에는 상기 혼합수가 상기 하우징 내로 유입되도록 개방되고 상기 블레이드의 스크레이핑 중에는 닫히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개폐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저감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반응조의 바닥에 설치되어 상기 석출봉의 주변에 와류를 형성시키는 와류 유도부;
    상기 흡수탑 중 상기 용액 분사부의 아래에 설치되어 상측으로 고압공기를 분사하는 공기 분사부; 및
    상기 공기 분사부와 상기 용액 분사부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고압공기에 의해 부유되며 상기 용액 분사부로부터의 반응용액과 상기 가스의 접촉비를 증가시키는 다공성 충진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저감 장치.
KR1020220115385A 2022-09-14 2022-09-14 이산화탄소 저감 장치 KR1024857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5385A KR102485711B1 (ko) 2022-09-14 2022-09-14 이산화탄소 저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5385A KR102485711B1 (ko) 2022-09-14 2022-09-14 이산화탄소 저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5711B1 true KR102485711B1 (ko) 2023-01-09

Family

ID=84892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5385A KR102485711B1 (ko) 2022-09-14 2022-09-14 이산화탄소 저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571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11173A (ja) * 2002-01-25 2003-07-29 Rinkai:Kk 水処理方法及び装置並びに光化学反応液体処理装置
KR101077574B1 (ko) * 2011-10-06 2011-10-27 (주)대우건설 수산화칼슘을 이용한 배출가스 이산화탄소 연속 포집장치 및 방법
KR101096180B1 (ko) * 2011-10-06 2011-12-22 (주)대우건설 배출가스 재순환 이산화탄소 포집장치 및 방법
KR101474540B1 (ko) * 2014-02-06 2014-12-22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산업시설 배기가스 중 이산화탄소를 저감시키기 위한 이산화탄소 저감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탄산칼슘 제조방법
KR101565746B1 (ko) * 2014-05-08 2015-11-05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제지공정 중에 배출되는 이산화탄소와 제지 공정수를 활용한 탄산염광물 추출 시스템 및 탄산염광물 추출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11173A (ja) * 2002-01-25 2003-07-29 Rinkai:Kk 水処理方法及び装置並びに光化学反応液体処理装置
KR101077574B1 (ko) * 2011-10-06 2011-10-27 (주)대우건설 수산화칼슘을 이용한 배출가스 이산화탄소 연속 포집장치 및 방법
KR101096180B1 (ko) * 2011-10-06 2011-12-22 (주)대우건설 배출가스 재순환 이산화탄소 포집장치 및 방법
KR101474540B1 (ko) * 2014-02-06 2014-12-22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산업시설 배기가스 중 이산화탄소를 저감시키기 위한 이산화탄소 저감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탄산칼슘 제조방법
KR101565746B1 (ko) * 2014-05-08 2015-11-05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제지공정 중에 배출되는 이산화탄소와 제지 공정수를 활용한 탄산염광물 추출 시스템 및 탄산염광물 추출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16911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covering carbon dioxide in exhaust gas
KR19990008460A (ko) 유출물 처리 시스템
KR101056686B1 (ko) 캐비테이션 기포 발생기 및 이를 이용한 악취제거장치
KR101306139B1 (ko) 고농도 악취가스 탈취장치
KR101804116B1 (ko) 바이오가스 탈황장치
KR101118538B1 (ko) 철화합물을 이용한 황화수소 제거방법
JP2004352587A (ja) 排ガス中の二酸化炭素回収システムおよび二酸化炭素回収方法
CN108579373A (zh) 一种针对含有高浓度硫化氢沼气的脱硫系统及其脱硫方法
KR101391410B1 (ko) 혐기성 소화공정에서 발생되는 실록산 및 악취물질을 포함한 바이오 가스의 전처리 시스템
CN201424465Y (zh) 沼气脱硫塔
KR102485711B1 (ko) 이산화탄소 저감 장치
JP2008086896A (ja) 気体溶解装置
KR101139416B1 (ko) 미세 호기 발생기를 부착한 건식 혐기성 소화조
KR102276016B1 (ko) 황화 수소 선택적 산화 반응 시스템
CN204816181U (zh) 一种voc处理系统
KR100954371B1 (ko) 탈황 및 탈질장치
US20160185632A1 (en) Method and installation for removing sulphur from the digestate and the biogas of a digester
KR101230372B1 (ko) 소각로용 음폐수처리장치 및 방법
KR101815107B1 (ko) Fpso용 오염물질 저감장치
KR20200020093A (ko) 바이오가스를 이용한 에너지화 시스템 및 에너지화 방법
KR102221791B1 (ko) 하수처리 부산물의 에너지 절약형 자원화 시스템 및 자원화 방법
CN207755960U (zh) 一种双碱法烟气脱硫改进系统
JP2003062421A (ja) 生物脱硫装置
JPH08131768A (ja) 燃焼ガスのc▲o2▼及び黒煙除去方法
KR102642532B1 (ko) 기액분사형 탈기장치를 이용한 암모니아 제거회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