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5395B1 - Artificial marble with marble resin reg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Artificial marble with marble resin reg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5395B1
KR102485395B1 KR1020220063041A KR20220063041A KR102485395B1 KR 102485395 B1 KR102485395 B1 KR 102485395B1 KR 1020220063041 A KR1020220063041 A KR 1020220063041A KR 20220063041 A KR20220063041 A KR 20220063041A KR 102485395 B1 KR102485395 B1 KR 1024853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rble
resin composition
base resin
region
specific grav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304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71170A (en
Inventor
서병훈
정철
김영종
한병철
박지영
예성훈
남해림
이지윤
최보영
구본호
염정석
송병규
Original Assignee
(주)엘엑스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엑스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엑스하우시스
Publication of KR202200711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117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53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539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6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 B29C45/1634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with a non-uniform dispersion of the moulding material in the article, e.g. resulting in a marble effe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FSPECIAL DESIGNS OR PICTURES
    • B44F9/00Designs imitating natural patterns
    • B44F9/04Designs imitating natural patterns of stone surfaces, e.g. marbl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4Per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27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aluminiu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마블 수지 조성물을 주형하고 그 상면에 1차 베이스 수지 조성물을 주형하여 적층하는 단계;및 (b) 상기 1차 베이스 수지 조성물 상면에 2차 베이스 수지 조성물을 주형하여 적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1차 베이스 수지 조성물 및 2차 베이스 수지 조성물은 아크릴계 수지 및 수산화알루미늄을 포함하고, 상기 마블 수지 조성물은 아크릴계 수지 및 수산화알루미늄을 포함하는, 마블 수지 영역이 형성된 인조대리석의 제조방법에 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인조대리석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lding a marble resin composition and molding and laminating a first base resin composition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and (b) molding and laminating a second base resin composi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base resin composition. wherein the first base resin composition and the second base resin composition include an acrylic resin and aluminum hydroxide, and the marble resin composition includes an acrylic resin and aluminum hydroxide. It is about. It also relates to artificial marble manufactured by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ption

마블 수지 영역이 형성된 인조대리석 및 그 제조방법 {Artificial marble with marble resin reg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Artificial marble with marble resin reg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rtificial marble with marble resin reg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인조대리석을 구성하는 조성물간 비중 차이를 이용하여 선명하고 풍부한 마블 형상을 구현할 수 있는 마블 수지 영역이 형성된 인조대리석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아지테이팅(Agitating) 모션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구현할 수 있고, 선명하고 풍부한 마블 형상을 구현할 수 있는 마블 수지 영역이 형성된 인조대리석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rtificial marble formed with a marble resin region capable of implementing a clear and rich marble shape by using the difference in specific gravity between the compositions constituting the artificial marbl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which has various shapes according to an agitating mo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rtificial marble formed with a marble resin region capable of implementing a clear and rich marble shap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일반적으로 인조대리석은 천연의 광석분 또는 합성 무기 재료 분말을 필터로 하여 수지로 경화시킨 후 압축 프레스로 성형한 것으로서, 천연 대리석에 가까운 질감 및 무늬를 구현한 인조물이다. In general, artificial marble is an artificial product obtained by using natural ore powder or synthetic inorganic material powder as a filter, hardening it into a resin, and then molding it with a compression press, and implementing a texture and pattern close to that of natural marble.

이러한 인조대리석은 천연 대리석의 대체재로 각종 상판재료, 드레싱 테이블, 세면대, 테이블, 벽재, 바닥마루 재료, 가구, 내장재, 간접조명패널, 인테리어 소품과 같은 다양한 용도에 사용되고 있다. As a substitute for natural marble, artificial marble is used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various countertop materials, dressing tables, sinks, tables, wall materials, floor materials, furniture, interior materials, indirect lighting panels, and interior accessories.

인조대리석의 질감을 나타내는 수단으로는 일반적으로 칩이 사용된다. 또한 인조대리석의 마블 패턴을 구현하기 위하여 안료 등을 사용하여 자연스러운 물결 무늬를 구현하는 기술이 사용되고 있다. Chips are generally used as a means of expressing the texture of artificial marble. In addition, in order to implement a marble pattern of artificial marble, a technology for implementing a natural wave pattern using pigments is being used.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19635호는 각각 다른 색상의 안료가 첨가된 2종 이상의 인조대리석용 액상 수지를 제조하는 제1단계, 제조된 2종 이상의 액상 수지를 이동이 가능한 별개의 배출구 노즐을 통해 각각 이송 벨트의 불규칙한 위치에 공급하는 2단계, 및 이송 벨트에서 액상 수지를 서로 번지게 하여 비방향성 무늬를 형성시켜 경화시키는 제3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 대리석의 연속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등록특허는 2종 이상의 인조 대리석용 액상 수지가 동일한 비중으로서 번짐을 통해 무늬를 형성시키므로 도 1과 같이 마블 패턴의 선명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619635 discloses the first step of manufacturing two or more types of liquid resin for artificial marble to which pigments of different colors are added, respectively, through separate discharge nozzles capable of moving the two or more liquid resins. Disclosed is a continuous manufacturing method of artificial marble,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second step of supplying the liquid resin to irregular positions of the conveying belt and a third step of spreading the liquid resin to each other to form a non-directional pattern and hardening it. However, in the registered patent, since two or more kinds of liquid resin for artificial marble have the same specific gravity and form a pattern through smearing, the clarity of the marble pattern is poor, as shown in FIG. 1 .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인조대리석에 선명하고 풍부하며 샤프한 형상을 갖는 마블 수지 영역을 구현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has as a problem to implement a marble resin area having a clear, rich and sharp shape in artificial marble.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마블 수지 영역을 구성하는 마블 수지 조성물이 번지거나 퍼지지 않도록 하는 것을 해결 과제로 한다. To this e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the marble resin composition constituting the marble resin region from spreading or spreading.

또한, 본 발명은 아지테이팅 모션(agitating motion)에 의하여 의도되는 형상의 마블 수지 영역을 형성할 수 있는 인조대리석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 과제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manufacturing artificial marble capable of forming a marble resin region of an intended shape by an agitating mo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a) 마블 수지 조성물을 주형하고 그 상면에 1차 베이스 수지 조성물을 주형하여 적층하는 단계;및(a) molding a marble resin composition and molding and laminating a primary base resin composition on the upper surface; and

(b) 상기 1차 베이스 수지 조성물 상면에 2차 베이스 수지 조성물을 주형하여 적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b) molding and laminating a secondary base resin composi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rimary base resin composition;

상기 1차 베이스 수지 조성물 및 2차 베이스 수지 조성물은 아크릴계 수지 및 수산화알루미늄을 포함하고, 상기 마블 수지 조성물은 아크릴계 수지 및 수산화알루미늄을 포함하는, The primary base resin composition and the secondary base resin composition include an acrylic resin and aluminum hydroxide, and the marble resin composition includes an acrylic resin and aluminum hydroxide.

마블 수지 영역이 형성된 인조대리석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Provided is a method for manufacturing artificial marble in which a marble resin region is formed.

또한 본 발명은,Als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마블 수지 영역이 형성된 인조대리석을 제공한다.Provided is an artificial marble having a marble resin region, manufactured by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인조대리석의 제조방법은 선명하고 풍부하며 샤프한 형상을 갖는 마블 수지 영역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인조대리석의 제조방법은 아지테이팅 모션(agitating motion)에 의하여 의도되는 형상의 다양한 형상을 갖는 마블 수지 영역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인조대리석의 생산 속도 또한 증가하는 특징이 있다.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artificial marbl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lement a marble resin area having a clear, rich and sharp shape. In additio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artificial marb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marble resin regions having various shapes of intended shapes can be formed by an agitating motion, and the production speed of artificial marble is also increased.

도 1은 종래의 인조 대리석의 표면 무늬를 나타내는 이미지이다.
도 2는 아지테이팅(Agitating) 전 마블 수지 조성물(10)과 1차 베이스 수지 조성물(20)이 적층된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은 아지테이팅(Agitating) 후의 마블 수지 조성물(10)에 의해 마블 수지 영역(11)이 형성된 것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마블 수지 조성물(10)이 아지테이팅을 통하여 1차 베이스 수지 조성물(20) 및 2차 베이스 수지 조성물(30)사이로 상승하여 무정형 형상을 갖는 마블 수지 영역(11)이 형성된 것을 알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인조 대리석의 단면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마블 수지 영역이 형성된 인조 대리석의 표면 무늬를 나타내는 이미지이다.
1 is an image showing a surface pattern of a conventional artificial marble.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arble resin composition 10 and the primary base resin composition 20 are stacked before agitating.
FIG. 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at the marble resin region 11 is formed by the marble resin composition 10 after agitating. It can be seen that the marbled resin composition 10 rises between the first base resin composition 20 and the second base resin composition 30 through agitating to form the marbled resin region 11 having an amorphous shape.
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cross section of the artificial marble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image showing a surface pattern of artificial marble formed with a marble resin reg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The present invention,

(a) 마블 수지 조성물을 주형하고 그 상면에 1차 베이스 수지 조성물을 주형하여 적층하는 단계;및(a) molding a marble resin composition and molding and laminating a primary base resin composition on the upper surface; And

(b) 상기 1차 베이스 수지 조성물 상면에 2차 베이스 수지 조성물을 주형하여 적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b) molding and laminating a secondary base resin composi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rimary base resin composition;

상기 1차 베이스 수지 조성물 및 2차 베이스 수지 조성물은 아크릴계 수지 및 수산화알루미늄을 포함하고, 상기 마블 수지 조성물은 아크릴계 수지 및 수산화알루미늄을 포함하는, The primary base resin composition and the secondary base resin composition include an acrylic resin and aluminum hydroxide, and the marble resin composition includes an acrylic resin and aluminum hydroxide.

마블 수지 영역이 형성된 인조대리석의 제조방법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manufacturing artificial marble having a marble resin region.

또한 본 발명은,Als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마블 수지 영역이 형성된 인조대리석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rtificial marble having a marble resin region formed there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며,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only for exemplify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을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도면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 층 및 영역의 두께를 과장되게 나타내었다.In the drawings accompanying this specification,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have been omitted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n the drawings, the thickness is shown enlarged to clearly express the various layers and regions. Also, in the drawings, the thicknesses of some layers and regions are exaggerat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마블 수지 영역이 형성된 인조대리석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artificial marble with marble resin area formed

본 발명은, (a) 마블 수지 조성물을 주형하고 그 상면에 1차 베이스 수지 조성물을 주형하여 적층하는 단계;및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a) molding a marble resin composition and molding and laminating a primary base resin composition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and

(b) 상기 1차 베이스 수지 조성물 상면에 2차 베이스 수지 조성물을 주형하여 적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b) molding and laminating a secondary base resin composi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rimary base resin composition;

상기 1차 베이스 수지 조성물 및 2차 베이스 수지 조성물은 아크릴계 수지 및 수산화알루미늄을 포함하고, 상기 마블 수지 조성물은 아크릴계 수지 및 수산화알루미늄을 포함하는, The primary base resin composition and the secondary base resin composition include an acrylic resin and aluminum hydroxide, and the marble resin composition includes an acrylic resin and aluminum hydroxide.

마블 수지 영역이 형성된 인조대리석의 제조방법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manufacturing artificial marble having a marble resin region.

이때, 1차 베이스 수지 조성물의 경화 후 비중은 2차 베이스 수지 조성물의 경화 후 비중의 90 내지 110 %이며,At this time, the specific gravity after curing of the primary base resin composition is 90 to 110% of the specific gravity after curing of the secondary base resin composition,

1차 베이스 수지 조성물 및 2차 베이스 수지 조성물의 경화 후 비중은 마블 수지 조성물의 경화 후 비중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The specific gravity after curing of the primary base resin composition and the secondary base resin composition is preferably greater than that of the marble resin composition after curing.

상기 1차 및/또는 2차 베이스 수지 조성물은 아크릴계 수지 및 수산화알루미늄을 포함한다. 상기 아크릴계 수지 및 수산화알루미늄의 중량비는 1:1.66 내지 1:2.3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1.7 내지 1:2.0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1.8 일 수 있다. 상기 중량비를 갖는 경우 1차 및/또는 2차 베이스 수지 조성물의 경화 후 비중, 즉 베이스 영역의 비중이 1.7 내지 1.8 범위내로서 고비중을 갖게 된다. 1차 베이스 수지 조성물 및 2차 베이스 수지 조성물의 조성은 동일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1차 및/또는 2차 베이스 수지 조성물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한, 서로 상이할 수도 있다. 상기 1차 베이스 수지 조성물 및/또는 2차 베이스 수지 조성물은 아크릴계 수지 및 수산화알루미늄(Aluminium Tri Hydroxide))의 중량비가 1:1.66 내지 1:2.3 이고, 상기 마블 수지 조성물은 아크릴계 수지 및 수산화알루미늄의 중량비가 1:0.8 내지 1:1.2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primary and/or secondary base resin composition includes an acrylic resin and aluminum hydroxide. The weight ratio of the acrylic resin and aluminum hydroxide may be 1:1.66 to 1:2.3, preferably 1:1.7 to 1:2.0, and more preferably 1:1.8. In the case of having the above weight ratio, the specific gravity after curing of the primary and/or secondary base resin composition, that is, the specific gravity of the base region is in the range of 1.7 to 1.8, and has a high specific gravity. The composition of the primary base resin composition and the secondary base resin composition may be the same, and may differ from each other as long as the conditions of the primary and/or secondary base resin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atisfied. The primary base resin composition and/or the secondary base resin composition has a weight ratio of acrylic resin and aluminum tri hydroxide (Aluminium Tri Hydroxide) of 1:1.66 to 1:2.3, and the marble resin composition has a weight ratio of acrylic resin and aluminum hydroxide. is preferably from 1:0.8 to 1:1.2.

또한 상기 1차 베이스 수지 조성물 또는 2차 베이스 수지 조성물의 경화 후 비중은 1.7 내지 1.8이고, 상기 마블 수지 조성물의 경화 후 비중은 1.40 내지 1.50인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pecific gravity after curing of the primary base resin composition or the secondary base resin composition is 1.7 to 1.8, and the specific gravity after curing of the marble resin composition is 1.40 to 1.50.

상기 1차 및/또는 2차 베이스 수지 조성물은 아크릴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수산화알루미늄 166 내지 230 중량부, 가교제 1 내지 5 중량부, 퍼옥사이드계 화합물 0.05 내지 0.10 중량부 및 첨가제 1 내지 2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rimary and/or secondary base resin composition includes 166 to 230 parts by weight of aluminum hydroxide, 1 to 5 parts by weight of a crosslinking agent, 0.05 to 0.10 parts by weight of a peroxide compound, and 1 to 2 parts by weight of an additive,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an acrylic resin. wealth may be included.

상기 마블 수지 조성물은 아크릴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수산화알루미늄 80 내지 120 중량부, 가교제 1 내지 5 중량부, 퍼옥사이드계 화합물 0.05 내지 0.10 중량부 및 첨가제 1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arble resin composition may include 80 to 120 parts by weight of aluminum hydroxide, 1 to 5 parts by weight of a crosslinking agent, 0.05 to 0.10 parts by weight of a peroxide compound, and 1 to 5 parts by weight of an additive,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acrylic resin.

상기 마블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아크릴계 수지 및 수산화알루미늄은 상기 1차 및/또는 2차 베이스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아크릴계 수지 및 수산화알루미늄과 각각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1차 및/또는 2차 베이스 수지 조성물 및 마블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아크릴계 수지 및 수산화알루미늄이 각각 동일할 수 있다. The acrylic resin and aluminum hydroxide included in the marble resin composition may b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the acrylic resin and aluminum hydroxide included in the primary and/or secondary base resin composition, respectively. Preferably, the acrylic resin and aluminum hydroxide contained in the primary and/or secondary base resin composition and the marble resin composition may be the same.

다만, 1차 및/또는 2차 베이스 수지 조성물과 마블 수지 조성물에 동일 수지 및 동일 수산화알루미늄을 사용하는 경우 마블 수지 조성물에 의해 형성되는 마블 형상, 즉 마블 수지 영역의 선명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1차 및/또는 2차 베이스 수지 조성물과 마블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수산화알루미늄의 함량을 각각 다르게 조절함으로써 1차 및/또는 2차 베이스 수지 조성물이 고비중이고 마블 수지 조성물이 저비중이 되도록 한다. 즉, 1차 베이스 수지 조성물 및 2차 베이스 수지 조성물 둘 다 마블 수지 조성물보다 고비중이 되어야 한다.However, when the same resin and the same aluminum hydroxide are used in the primary and/or secondary base resin composition and the marble resin composition, the marble shape formed by the marble resin composition, that is, the clarity of the marble resin region may be deteriorated. . Therefore, the first and/or second base resin composition and the marble resin composition have a high specific gravity and the marble resin composition have a low specific gravity by differently adjusting the content of aluminum hydroxide in the first and/or second base resin composition and the marble resin composition. . That is, both the primary base resin composition and the secondary base resin composition should have higher specific gravity than the marble resin composition.

상기 1차 및/또는 2차 베이스 수지 조성물은 아크릴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수산화알루미늄 166 내지 230 중량부, 가교제 1 내지 5 중량부, 경화제인 퍼옥사이드계 화합물 0.05 내지 0.10 중량부 및 첨가제 1 내지 2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imary and/or secondary base resin composition includes 166 to 230 parts by weight of aluminum hydroxide, 1 to 5 parts by weight of a crosslinking agent, 0.05 to 0.10 parts by weight of a peroxide-based compound as a curing agent, and 1 to 230 parts by weight of an additive,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an acrylic resi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tains 2 parts by weight.

상기 마블 수지 조성물은 아크릴계 수지 및 수산화알루미늄을 포함한다. 상기 아크릴계 수지 및 수산화알루미늄의 중량비는 1:0.8 내지 1:1.2일 수 있고, 1:0.85 내지 1:1.15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0.9 내지 1:1.1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1일 수 있다. 상기 중량비를 갖는 경우 마블 수지 조성물의 경화 후 비중, 즉 경화된 마블 수지 영역의 비중이 1.40 내지 1.50 범위 내로서 저비중을 갖게 된다. The marble resin composition includes an acrylic resin and aluminum hydroxide. The weight ratio of the acrylic resin and aluminum hydroxide may be 1:0.8 to 1:1.2, 1:0.85 to 1:1.15, preferably 1:0.9 to 1:1.1, more preferably 1:0.85 to 1:1.15. : can be 1. In the case of having the above weight ratio, the specific gravity after curing of the marble resin composition, that is, the specific gravity of the cured marble resin region is within the range of 1.40 to 1.50, and has a low specific gravity.

또한, 상기 마블 수지 조성물은 아크릴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수산화알루미늄 80 내지 120 중량부, 가교제 1 내지 5 중량부, 퍼옥사이드계 화합물 0.05 내지 0.10 중량부 및 첨가제 1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arble resin composition includes 80 to 120 parts by weight of aluminum hydroxide, 1 to 5 parts by weight of a crosslinking agent, 0.05 to 0.10 parts by weight of a peroxide compound, and 1 to 5 parts by weight of an additive,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acrylic resin. to be

상기 1차 및/또는 2차 베이스 수지 조성물이 마블 수지 조성물 보다 수산화알루미늄의 함량이 더 크며, 이 경우에 인조대리석의 표면에 무정형의 선명하고 풍부한 마블 형상을 갖는 마블 수지 영역이 더 잘 형성될 수 있다. The primary and/or secondary base resin composition has a higher aluminum hydroxide content than the marble resin composition, and in this case, a marble resin region having an amorphous, clear and rich marble shape can be better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artificial marble. there is.

또한, 상기 1차 및/또는 2차 베이스 수지 조성물은 아크릴계 수지 및 수산화알루미늄의 중량비가 1:1.66 내지 1:2.3 이고, 상기 마블 수지 조성물은 아크릴계 수지 및 수산화알루미늄의 중량비가 1:0.8 내지 1:1.2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imary and/or secondary base resin composition has a weight ratio of acrylic resin and aluminum hydroxide of 1:1.66 to 1:2.3, and the marble resin composition has a weight ratio of acrylic resin and aluminum hydroxide of 1:0.8 to 1:0.8 to 1: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1.2.

상기 1차 및/또는 2차 베이스 수지 조성물의 경화 후 비중, 즉 베이스 영역의 비중은 1.7 내지 1.8이고, 바람직하게는 1.73 내지 1.77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74 내지 1.76 이다. 상기 마블 수지 조성물의 경화 후 비중, 즉 경화된 마블 수지 영역의 비중은 1.40 내지 1.50이고, 바람직하게는 1.42 내지 1.48이다. 상기 1차 및/또는 2차 베이스 수지 조성물 및 마블 수지 조성물의 비중 차이로 인하여, 마블 수지 조성물이 1차 및/또는 2차 베이스 수지 조성물의 내부에 퍼지거나 번지지 않고 선명한 경계를 가지면서 이동하므로 선명하고 풍부한 마블 형상을 갖는 마블 수지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1차 및/또는 2차 베이스 수지 조성물이 경화된 베이스 영역과 마블 수지 영역의 분리 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면서도 선명한 경계를 갖는 선명하고 풍부한 마블 수지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The specific gravity after curing of the primary and/or secondary base resin composition, that is, the specific gravity of the base region is 1.7 to 1.8, preferably 1.73 to 1.77, and more preferably 1.74 to 1.76. The specific gravity of the marble resin composition after curing, that is, the specific gravity of the cured marble resin region is 1.40 to 1.50, preferably 1.42 to 1.48. Due to the difference in specific gravity between the first and/or second base resin composition and the marble resin composition, the marble resin composition moves while having a clear boundary without spreading or spreading inside the first and/or second base resin composition, so it is clear and a marble resin region having a rich marble shape. In addition, a clear and rich marble resin region having a clear boundary may be formed without separation between the marble resin region and the base region where the primary and/or secondary base resin composition is cured.

본 발명의 한 구현예에서, 상기 1차 및/또는 2차 베이스 수지 조성물의 경화 후 비중, 즉 베이스 영역의 비중은 1.7 내지 1.8 이고, 상기 마블 수지 조성물의 경화 후 비중, 즉 경화된 마블 수지 영역의 비중은 1.40 내지 1.50 이다. 즉, 1차 및/또는 2차 베이스 수지 조성물의 경화 후 비중은 마블 수지 조성물의 경화 후 비중보다 크다. 경화 후에 상기 범위의 비중을 갖는 경우 1차 및/또는 2차 베이스 영역과 마블 수지 영역의 분리 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면서도 선명한 경계를 갖는 선명하고 풍부한 형상을 갖는 마블 수지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pecific gravity after curing of the primary and/or secondary base resin composition, that is, the specific gravity of the base region is 1.7 to 1.8, and the specific gravity after curing of the marble resin composition, that is, the cured marble resin region The specific gravity of is 1.40 to 1.50. That is, the specific gravity after curing of the primary and/or secondary base resin composition is greater than the specific gravity after curing of the marble resin composition. When the resin has a specific gravity within the above range after curing, it is possible to form a marble resin region having a clear and rich shape with a clear boundary without separation between the primary and/or secondary base region and the marble resin region.

또한 본 발명의 마블 수지 영역이 형성된 인조대리석의 제조방법은 (a) 마블 수지 조성물을 주형하고 그 상면에 1차 베이스 수지 조성물을 주형하여 적층하고 아지테이팅을 수행하여 상기 마블 수지 조성물이 상기 1차 베이스 수지 조성물 사이로 상승하면서 마블 수지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1차 베이스 수지 조성물 상면에 2차 베이스 수지 조성물을 주형하여 적층하고 아지테이팅을 수행하여 상기 마블 수지 조성물이 상기 2차 베이스 수지 조성물 사이로 상승하면서 마블 수지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및 (c) 경화를 수행한 후, 경화된 마블 수지 조성물의 하부 표면을 샌딩하여 마블 수지 영역을 노출시키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1차 및 2차 베이스 수지 조성물은 아크릴계 수지 및 수산화알루미늄(Aluminium Tri Hydroxide)을 포함하고, 상기 마블 수지 조성물은 아크릴계 수지 및 수산화알루미늄(Aluminium Tri Hydroxide)을 포함하고, 상기 1차 및 2차 베이스 수지 조성물보다 비중이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rtificial marble having a marble resin reg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olds a marble resin composition, molds and laminates a primary base resin composition on the upper surface, and performs agitating, so that the marble resin composition is formed in the first forming a marble resin region while rising between the tea base resin composition; (b) molding and depositing a second base resin composi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base resin composition and performing agitating to form a marble resin region while the marble resin composition rises between the second base resin compositions; and (c) after curing, sanding the lower surface of the cured marble resin composition to expose the marble resin region; In this case, the primary and secondary base resin compositions include an acrylic resin and aluminum tri hydroxide, and the marble resin composition includes an acrylic resin and aluminum hydroxide (Aluminium Tri Hydroxid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pecific gravity is lower than the primary and secondary base resin compositions.

상기 (a) 단계는 마블 수지 조성물의 두께는 1.0mm 내지 2.0mm이고, 1차 베이스 수지 조성물의 두께는 경화 후 5.5 mm 내지 7 mm이며, (b) 단계에서 2차 베이스 수지 조성물의 경화 후 두께는 5.5 mm 내지 7 mm일 수 있다. 또한, 상기 (c) 단계는 상기 경화된 마블 수지 조성물의 하부 표면을 1mm 내지 2mm 샌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c) 단계에서 샌딩을 수행한 후 1차 베이스 수지 조성물의 두께는 6 mm 내지 6.5 mm이며, 2차 베이스 수지 조성물의 두께는 6 mm 내지 6.5 mm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샌딩 후 1차 베이스 수지 조성물 및 2차 베이스 수지 조성물, 즉 베이스 영역의 두께는 12 mm 내지 13 mm이다. 상기와 같은 두께의 비율을 가지고 적층될 때 베이스 수지 조성물 내부에 적당량의 마블 수지 조성물이 퍼져 마블 수지 영역을 형성하여 천연대리석과 같은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In step (a), the thickness of the marble resin composition is 1.0 mm to 2.0 mm, the thickness of the primary base resin composition is 5.5 mm to 7 mm after curing, and the thickness of the secondary base resin composition after curing in step (b) may be 5.5 mm to 7 mm. In addition, since the step (c) is characterized by sanding the lower surface of the cured marble resin composition by 1 mm to 2 mm, the thickness of the primary base resin composition after performing the sanding in step (c) is 6 mm to 6.5 mm. mm, and the thickness of the secondary base resin composition may be 6 mm to 6.5 mm. Preferably, the thickness of the primary base resin composition and the secondary base resin composition, that is, the base region, after sanding is 12 mm to 13 mm. When stacked with the thickness ratio as described above, an appropriate amount of the marbled resin composition spreads inside the base resin composition to form a marbled resin region, thereby forming an appearance similar to that of natural marble.

본 발명은 저비중의 마블 수지 조성물이 고비중의 1차 및 2차 베이스 수지 조성물의 아래에 적층되는 단계를 거치기 때문에, 저비중의 마블 수지 조성물 전체가 외부의 동력 없이 중력에 의해 자발적으로 1차 및/또는 2차 베이스 수지 조성물의 내부를 통과하여 인조대리석의 상부 표면으로 이동하게 되면 천연 대리석과 같은 마블 무늬를 구현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marble resin composition of low specific gravity goes through the step of being laminated under the primary and secondary base resin compositions of high specific gravity, the entire marble resin composition of low specific gravity is spontaneously primary by gravity without external power. And/or passing through the interior of the secondary base resin composition and moving to the upper surface of the artificial marble, a problem arises in which a marble pattern like that of natural marble cannot be realized.

따라서 상기 1차 및/또는 2차 베이스 수지 조성물과 마블 수지 조성물이 일정 범위의 점도를 갖도록 함으로써 아지테이터(agitator)에 의한 교반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만, 즉, 외력에 의해 인외적인 혼합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만 아지테이터가 교반하는 위치에서 저비중인 마블 수지 조성물이 고비중인 1차 및/또는 2차 베이스 수지 조성물 내부를 통과하여 상부로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선명한 마블 수지 영역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아지테이팅 모션에 의하여 의도되는 형상으로 마블 수지 영역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아지테이팅 모션을 다양하게 하여 다양한 마블 무늬를 구현할 수 있어 우수한 마블 수지 영역 확장성을 갖는다.Therefore, by making the primary and/or secondary base resin composition and the marble resin composition have a certain range of viscosities, only when agitation is performed by an agitator, that is, only when external mixing is performed by an external force. A clear marbled resin region can be implemented by allowing the low specific gravity marble resin composition to pass through the high boiling primary and/or secondary base resin composition and move upward at the position where data is stirred. In addition, since the marble resin region can be formed in an intended shape by the agitating motion, various marble patterns can be implemented by varying the agitating motion, thereby having excellent marble resin region expandability.

이를 위해, 상기 베이스 수지 조성물은 점도가 5500cps 내지 8000cps이고, 바람직하게는 6500cps 내지 7500cps 일 수 있다. 상기 마블 수지 조성물의 점도는 2000 cps 내지 5000 cps이고, 바람직하게는 2200 cps 내지 4500 cps일 수 있다. 상기 점도는 브룩필드 점도계(Brookfield viscometer 64spindle)를 이용하여 30 rpm을 측정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base resin composition may have a viscosity of 5500cps to 8000cps, preferably 6500cps to 7500cps. The viscosity of the marble resin composition may be 2000 cps to 5000 cps, preferably 2200 cps to 4500 cps. The viscosity can be measured at 30 rpm using a Brookfield viscometer 64spindle.

이때 아지테이팅은 (a) 1차 베이스 수지 조성물을 적층하면서 아지테이터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고, (b)에서 상기 1차 베이스 수지 조성물 상면에 2차 베이스 수지 조성물을 주형하여 적층하는 경우 역시 적층하면서 아지테이터를 이용하여 아지테이팅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정량펌프에서 공급되는 1차 베이스 수지 조성물 및 2차 베이스 수지 조성물의 양 및 적층 속도는 밸브를 이용하여 조절할 수 있다. At this time, agitating can be performed using an agitator while laminating (a) the first base resin composition, and in (b), when the second base resin composition is molded and lamin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base resin composition, Agitating may be performed using an agitator while stacking. At this time, the amount and stacking speed of the primary base resin composition and the secondary base resin composition supplied from the metering pump may be adjusted using a valve.

1차 베이스 수지 조성물 및 2차 베이스 수지 조성물로 2중으로 베이스 수지 조성물을 적층함으로써, 베이스 수지 조성물을 단일 층으로 이용할 때보다 적은 양의 마블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풍부한 형상을 갖는 마블 수지 영역을 표현할 수 있고 제조 공정에 있어, 라인의 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다. 그러므로 2중으로 베이스 수지 조성물을 적층하는 경우 같은 양의 마블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도 마블 수지 영역이 외부에서 육안으로 더 잘 보이게 된다.By laminating the base resin composition in two layers with the primary base resin composition and the secondary base resin composition, a marble resin region having a rich shape can be expressed using a smaller amount of the marble resin composition than when the base resin composition is used as a single layer. and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the speed of the line can be increased. Therefore, when the base resin composition is laminated in two layers, the marble resin region is more visible to the naked eye from the outside even when the same amount of the marble resin composition is used.

상기 1차 및/또는 2차 베이스 수지 조성물은 아크릴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수산화알루미늄 166 내지 230 중량부, 가교제 1 내지 5 중량부, 퍼옥사이드계 화합물 0.05 내지 0.10 중량부 및 첨가제 1 내지 2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rimary and/or secondary base resin composition includes 166 to 230 parts by weight of aluminum hydroxide, 1 to 5 parts by weight of a crosslinking agent, 0.05 to 0.10 parts by weight of a peroxide compound, and 1 to 2 parts by weight of an additive,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an acrylic resin. wealth may be included.

상기 마블 수지 조성물은 아크릴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수산화알루미늄 80 내지 120 중량부, 가교제 1 내지 5 중량부, 퍼옥사이드계 화합물 0.05 내지 0.10 중량부 및 첨가제 1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arble resin composition may include 80 to 120 parts by weight of aluminum hydroxide, 1 to 5 parts by weight of a crosslinking agent, 0.05 to 0.10 parts by weight of a peroxide compound, and 1 to 5 parts by weight of an additive,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acrylic resin.

본 발명의 마블 수지 조성물은 칩미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마블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칩미분은 천연대리석의 질감을 나타내기 위한 수단임과 동시에 마블 수지 조성물이 일정한 점도를 유지하도록 점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칩미분이 포함되지 않은 마블 수지 조성물은 베이스 조성물에 비하여 필러 대비 수지의 양이 많아 점도가 낮을 수 밖에 없는데 이 경우, 칩미분을 포함함으로써 점도가 낮은 마블 수지 조성물의 점도를 증가시키며, 이로써 마블 수지 조성물이 쉽게 퍼지지 않아 작업성이 높아지고 선명하고 풍부한 형상을 갖는 마블 수지 영역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The marble resin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chip powder. Chip powder included in the marble resin composition is a means for expressing the texture of natural marble and at the same time serves to control the viscosity of the marble resin composition to maintain a constant viscosity. A marble resin composition that does not contain chip powder has a high amount of resin compared to the filler compared to the base composition, so the viscosity is inevitably low. In this case, the viscosity of the marble resin composition having low viscosity is increased by including chip powder, thereby increasing the marble resin composition. Since the composition does not spread easily, workability is improved and a marble resin area having a clear and rich shape can be realized.

상기 칩미분은 아크릴계 칩미분, 에폭시계 칩미분, 스타이렌계 칩미분 및 폴리에스터계 칩미분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The chip powder may be any one of acrylic-based chip powder, epoxy-based chip powder, styrene-based chip powder, and polyester-based chip powder.

상기 칩미분은 200㎛ 이하 크기의 미분 분말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50㎛ 내지 150 ㎛ 크기의 미분 분말이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100㎛일 수 있다. 칩미분은 상기 범위내에서 다양한 입자 크기를 가짐으로써 천연대리석과 유사한 질감 및 무늬를 표현할 수 있다. As the chip fine powder, fine powder having a size of 200 μm or less may be used.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use fine powder having a size of 50 μm to 150 μm, more preferably 60 μm to 100 μm. Chip powder can express texture and pattern similar to natural marble by having various particle sizes within the above range.

마블 수지 조성물은 칩미분을 3 내지 8 중량%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3 내지 4 중량%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마블 수지 조성물에서 아크릴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칩미분은 5 내지 20 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의 함량을 갖는 경우 마블 수지 조성물의 점도가 2000 cps 내지 5000 cps이고, 바람직하게는 2200 cps 내지 4500 cps인 적정 점도를 유지할 수 있다. The marble resin composition may include 3 to 8% by weight of chip powder. It may preferably contain 3 to 4% by weight. For example, the marble resin composition may include 5 to 20 parts by weight of chip powder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acrylic resin. When the content is within the above range, the viscosity of the marble resin composition is 2000 cps to 5000 cps, preferably 2200 cps to 4500 cps.

상기 아크릴계 수지는 메타크릴산,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n-부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2-에틸헥실 메타클릴레이트 및 이들의 중합체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일 수 있다. The acrylic resin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methacrylic acid, methyl methacrylate, ethyl methacrylate, isopropyl methacrylate, n-butyl methacrylate, and 2-ethylhexyl methacrylate and polymers thereof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Preferably it may be polymethyl methacrylate.

상기 마블 수지 조성물 및 1차 및/또는 2차 베이스 수지 조성물은 가교제, 퍼옥사이드계 화합물 및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marble resin composition and the primary and/or secondary base resin composition may further include a crosslinking agent, a peroxide-based compound, and an additive.

상기 가교제는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타크릴레이트(TMPTMA), 트리메티올프로판 메타크릴레이트(TMPMA), 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EGDMA)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 이상일 수 있다. The crosslinking agent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rimethylolpropane trimethacrylate (TMPTMA), trimethylolpropane methacrylate (TMPMA), and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EGDMA).

상기 퍼옥사이드계 화합물은 경화반응을 개시하는 역할을 하며 터셔리부틸싸이크로헥실 퍼옥시디카보네이트, 벤조일 퍼옥사이드, 디쿠밀 퍼옥사이드, 부틸하이드로 퍼옥사이드, 쿠밀하이드로 퍼옥사이드, t-부틸퍼옥시 말레인산, t-부틸하이드로 퍼옥사이드, 아세틸퍼옥사이드, 라우로일 퍼옥사이드,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및 아조비스디메틸발레로니트릴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 이상일 수 있다. The peroxide-based compound serves to initiate a curing reaction and includes tert-butylcyclohexyl peroxydicarbonate, benzoyl peroxide, dicumyl peroxide, butyl hydroperoxide, cumylhydroperoxide, t-butylperoxy maleic acid, It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butyl hydroperoxide, acetyl peroxide, lauroyl peroxide, azobisisobutyronitrile, and azobisdimethylvaleronitrile.

상기 첨가제는 색상부여제, 소포제, 커플링제, 자외선흡수제, 광확산제, 중합억제제, 대전방지제, 난연제 및 열안정제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 이상일 수 있다. The additive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a color imparting agent, an antifoaming agent, a coupling agent, an ultraviolet absorber, a light diffusing agent, a polymerization inhibitor, an antistatic agent, a flame retardant, and a heat stabilizer.

상기 마블 수지 조성물에 색상부여제를 혼합하여 다양한 색상의 마블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고, 이들을 1종 이상 혼합하여 천연 대리석과 같은 마블 형상을 갖는 마블 수지 영역을 구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3종 이상의 색상을 포함함으로써 보다 천연대리석에 가까운 외관을 구현할 수 있다. Marble resin compositions of various colors may be prepared by mixing a color imparting agent with the marble resin composition, and a marble resin region having a marble shape like natural marble may be implemented by mixing one or more of them. Preferably, by including three or more colors, an appearance closer to that of natural marble can be realized.

(a) 마블 수지 조성물을 주형하고 그 상면에 1차 베이스 수지 조성물을 주형하여 적층하는 단계(a) molding a marble resin composition and molding and laminating a primary base resin composition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본 발명의 마블 수지 영역이 형성된 인조대리석의 제조방법은 (a) 마블 수지 조성물을 주형하고 그 상면에 1차 베이스 수지 조성물을 주형하여 적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a) 단계는 (a) 마블 수지 조성물을 주형하고 그 상면에 1차 베이스 수지 조성물을 주형하여 적층하고 아지테이팅을 수행하여 상기 마블 수지 조성물이 상기 1차 베이스 수지 조성물 사이로 상승하면서 마블 수지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일 수 있다.The manufacturing method of artificial marble having a marble resin reg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a) molding a marble resin composition and then molding and laminating a first base resin composition on the top surface of the marble resin composition. In the step (a), (a) a marble resin composition is molded, a primary base resin composition is laminated by molding, and agitating is performed so that the marble resin composition rises between the primary base resin compositions and the marble resin It may be a step of forming a region.

상기 1차 베이스 수지 조성물은 아크릴계 수지 및 수산화알루미늄을 포함하고, 상기 마블 수지 조성물은 아크릴계 수지 및 수산화알루미늄을 포함한다.The primary base resin composition includes an acrylic resin and aluminum hydroxide, and the marble resin composition includes an acrylic resin and aluminum hydroxide.

상기 (a) 단계는 마블 수지 조성물을 주형하고 그 상면에 1차 베이스 수지 조성물을 주형하여 적층하고 아지테이팅을 수행하여 상기 마블 수지 조성물이 상기 1차 베이스 수지 조성물 사이로 상승하면서 마블 수지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일 수 있다.In the step (a), the marble resin composition is molded, and the first base resin composition is laminated by molding the upper surface, and agitating is performed to form a marble resin region while the marble resin composition rises between the first base resin compositions. It may be a step to

상기 1차 베이스 수지 조성물은 아크릴계 수지 및 수산화알루미늄의 중량비가 1:1.66 내지 1:2.3 이고, 상기 마블 수지 조성물은 아크릴계 수지 및 수산화알루미늄의 중량비가 1:0.8 내지 1:1.2인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weight ratio of acrylic resin and aluminum hydroxide in the primary base resin composition is 1:1.66 to 1:2.3, and the weight ratio of acrylic resin and aluminum hydroxide in the marble resin composition is 1:0.8 to 1:1.2.

또한 상기 1차 베이스 수지 조성물의 경화 후 비중은 1.7 내지 1.8이고, 상기 마블 수지 조성물의 경화 후 비중은 1.40 내지 1.50인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pecific gravity after curing of the primary base resin composition is 1.7 to 1.8, and the specific gravity after curing of the marble resin composition is preferably 1.40 to 1.50.

상기 마블 수지 조성물은 칩미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arble resin composition may further include chip powder.

상기 도 2에 마블 수지 조성물을 주형하고 그 상면에 1차 베이스 수지 조성물을 주형하여 적층하는 것을 나타내었다. 이는 아지테이팅을 수행하기 전의 상태이다. 2 shows that the marble resin composition is molded and the primary base resin composition is molded and laminated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This is a state before agitating is performed.

(b) 상기 1차 베이스 수지 조성물 상면에 2차 베이스 수지 조성물을 주형하여 적층하는 단계(b) molding and laminating a secondary base resin composi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rimary base resin composition

본 발명의 마블 수지 영역이 형성된 인조대리석의 제조방법은 (b) 상기 1차 베이스 수지 조성물 상면에 2차 베이스 수지 조성물을 주형하여 적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method of manufacturing artificial marble having a marble resin reg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b) molding and laminating a second base resin composition on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base resin composition.

상기 2차 베이스 수지 조성물은 아크릴계 수지 및 수산화알루미늄을 포함하고, 상기 마블 수지 조성물은 아크릴계 수지 및 수산화알루미늄을 포함한다.The secondary base resin composition includes an acrylic resin and aluminum hydroxide, and the marble resin composition includes an acrylic resin and aluminum hydroxide.

상기 (b) 단계는 상기 1차 베이스 수지 조성물 상면에 2차 베이스 수지 조성물을 주형하여 적층하고 아지테이팅을 수행하여 상기 마블 수지 조성물이 상기 2차 베이스 수지 조성물 사이로 상승하면서 마블 수지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일 수 있다.In the step (b), a second base resin composition is molded and lamin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base resin composition, and agitating is performed to form a marble resin region while the marble resin composition rises between the second base resin compositions. may be a step.

상기 2차 베이스 수지 조성물은 아크릴계 수지 및 수산화알루미늄의 중량비가 1:1.66 내지 1:2.3 이고, 상기 마블 수지 조성물은 아크릴계 수지 및 수산화알루미늄의 중량비가 1:0.8 내지 1:1.2 인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secondary base resin composition has a weight ratio of acrylic resin and aluminum hydroxide of 1:1.66 to 1:2.3, and the marble resin composition has a weight ratio of acrylic resin and aluminum hydroxide of 1:0.8 to 1:1.2.

또한 상기 2차 베이스 수지 조성물의 경화 후 비중은 1.7 내지 1.8이고, 상기 마블 수지 조성물의 경화 후 비중은 1.40 내지 1.50인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pecific gravity after curing of the secondary base resin composition is 1.7 to 1.8, and the specific gravity after curing of the marble resin composition is 1.40 to 1.50.

도 3은 (a) 및 (b) 단계에 의하여, 마블 수지 조성물이 주형된 상면에 1차 베이스 수지 조성물(20)과 2차 베이스 수지 조성물(30)이 적층되고, 마블 수지 조성물(10)에 아지테이터를 통해 아지테이팅을 수행하여 비중 차이로 인하여 저비중의 상기 마블 수지 조성물(10)이 상기 1차 베이스 수지 조성물(20) 및 상기 2차 베이스 수지 조성물(30) 사이로 상승하도록 하여 무정형의 형상을 갖는 마블 수지 영역(11)을 형성하는 것을 보여준다. 이를 통해 아지테이팅 모션에 의하여 의도되는 형상으로 마블 수지 영역(11)을 형성할 수 있으며, 아지테이팅 모션을 다양하게 하여 다양한 형상의 마블 수지 영역(11)을 구현할 수 있으므로 마블 수지 영역의 확장성이 우수하다.3 shows that, in steps (a) and (b), the first base resin composition 20 and the second base resin composition 30 are laminated on the upper surface on which the marble resin composition is molded, and the marble resin composition 10 is Agitating is performed through an agitator so that the marble resin composition 10 of low specific gravity rises between the first base resin composition 20 and the second base resin composition 30 due to the difference in specific gravity, thereby forming an amorphous Formation of the marble resin region 11 having a shape is shown. Through this, the marble resin area 11 can be formed in the intended shape by the agitating motion, and the marble resin area 11 in various shapes can be implemented by varying the agitating motion, thereby expanding the marble resin area The castle is excellent.

(c) 경화를 수행하고, 경화된 마블 수지 조성물의 하부 표면을 샌딩하여 마블 수지 영역을 노출시키는 단계(c) performing curing and sanding the lower surface of the cured marble resin composition to expose the marble resin region;

본 발명의 마블 수지 영역이 형성된 인조대리석의 제조방법은 상기 (b) 단계 후 (c) 경화를 수행하고, 경화된 마블 수지 조성물의 하부 표면을 샌딩하여 마블 수지 영역을 노출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of manufacturing artificial marble having a marble resin reg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the step of (c) curing after step (b), and exposing the marble resin region by sanding the lower surface of the cured marble resin composition. can do.

샌딩을 수행한 후 마블 수지 조성물의 두께는 1.0mm 내지 2.0 mm이고, 1차 베이스 수지 조성물 및 2차 베이스 수지 조성물의 두께는 12 mm 내지 13 mm일 수 있다.After sanding, the thickness of the marble resin composition may be 1.0 mm to 2.0 mm, and the thicknesses of the primary base resin composition and the secondary base resin composition may be 12 mm to 13 mm.

도 4는 상기 (a) 단계 및 (b)단계에 의하여, 마블 수지 영역(11)이 형성된 상태에서 경화를 수행한 후, 경화된 마블 수지 조성물(10)의 하부 표면을 샌딩하여 마블 수지 영역(11)을 노출시켜 인조 대리석(100)을 제조한 것을 보여준다. 상기 경화된 마블 수지 조성물의 하부 표면을 1mm 내지 2mm 샌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 mm 내지 1.5mm 샌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4 shows that after curing is performed in the state where the marble resin region 11 is formed by steps (a) and (b), the lower surface of the cured marble resin composition 10 is sanded to form the marble resin region ( 11) is exposed to show that the artificial marble 100 is manufactured. It is preferable to sand the lower surface of the cured marble resin composition by 1 mm to 2 mm, and it is more preferable to sand by 1 mm to 1.5 mm.

이 때, 마블 수지 영역(11)이 노출된 상기 경화된 마블 수지 조성물의 하부 표면이 본 발명에 따른 마블 수지 영역이 형성된 인조대리석의 표면이 된다. At this time, the lower surface of the cured marble resin composition where the marble resin region 11 is exposed becomes the surface of the artificial marble on which the marble resin reg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본 발명의 마블 수지 영역이 형성된 인조대리석Artificial marble with marble resin reg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마블 수지 영역이 형성된 인조대리석일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n artificial marble with a marble resin region formed by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마블 수지 영역이 형성된 인조대리석은 베이스 영역 및 마블 수지 영역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마블 수지 영역이 형성된 인조대리석은 아크릴계 수지 및 수산화알루미늄을 포함하는 1차 베이스 수지 조성물 및 2차 베이스 수지 조성물을 경화시킨 베이스 영역 및 아크릴계 수지 및 수산화알루미늄을 포함하고 상기 1차 베이스 수지 조성물 및 2차 베이스 수지 조성물보다 비중이 낮은 마블 수지 조성물을 경화시킨 무정형의 마블 수지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artificial marble formed with the marble resin reg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region and a marble resin region. The artificial marble having the marble resin reg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base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an acrylic resin and aluminum hydroxide, a base region obtained by curing a second base resin composition, and an acrylic resin and aluminum hydroxide, and the first base resin composition and an amorphous marble resin region obtained by curing a marble resin composition having a specific gravity lower than that of the secondary base resin composition.

즉, 상기 베이스 영역은 1차 베이스 수지 조성물 및 2차 베이스 수지 조성물이 경화된 영역이다. That is, the base region is a region in which the first base resin composition and the second base resin composition are cured.

상기 마블 수지 영역은 마블 수지 조성물이 경화된 영역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블 수지 영역이란 마블 수지 조성물이 아지테이팅에 의해 무정형으로 퍼져나간 형상을 갖게 된 마블 수지 조성물 또는 그 경화물을 의미한다. 즉, 아지테이팅 전에는 마블 수지 조성물로 존재하고, 아지테이팅 후에는 마블 수지 조성물이 마블 수지 영역을 형성한다. 마블 수지 영역은 최종물인 인조대리석의 표면 및 내부에 나타나는 무늬를 의미한다. The marble resin region is a region in which the marble resin composition is cured. Preferably, the marbled resin region refers to a marbled resin composition or a cured product thereof having a shape in which the marbled resin composition spreads out in an amorphous form by agitating. That is, before agitating, the marbled resin composition exists, and after agitating, the marbled resin composition forms a marbled resin region. Marble resin area refers to patterns appearing on the surface and inside of artificial marble, which is the final product.

본 발명의 인조대리석은 마블 수지 영역의 반대 방향으로 1차 베이스 수지 조성물을 경화시킨 베이스 영역과 접하는, 2차 베이스 수지 조성물을 경화시킨 베이스 영역을 포함한다. 이때 2차 베이스 수지 조성물을 주형한 뒤 아지테이팅을 하기 때문에 1차 베이스 수지 조성물이 경화된 부분과 2차 베이스 수지 조성물이 경화된 부분 사이의 계면은 육안으로 보이지 않는다.The artificial marbl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region cured with a secondary base resin composition that contacts the base region cured with the primary base resin composition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marble resin region. At this time, since agitating is performed after casting the secondary base resin composition, the interface between the cured portion of the primary base resin composition and the cured secondary base resin composition is not visible to the naked eye.

상기 베이스 영역의 경화 후 비중은 1.7 내지 1.8이고, 상기 마블 수지 조성물의 경화 후 비중은 1.40 내지 1.50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pecific gravity after curing of the base region is 1.7 to 1.8, and the specific gravity after curing of the marble resin composition is 1.40 to 1.50.

상기 마블 수지 조성물은 칩미분을 더 포함할 수 있는바, 상기 마블 수지 영역은 칩미분을 포함할 수 있다.The marble resin composition may further include chip powder, and the marble resin region may include chip powder.

본 발명에 따른 마블 수지 영역이 선명하고 풍부한 인조대리석은 선명하고 풍부하며 샤프한 마블 형상 및/또는 무늬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제조한 인조대리석은 천연대리석과 거의 유사한 대리석 색감과 마블 무늬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제조한 인조대리석은 아지테이팅 모션에 따라 다양한 형상 및/또는 무늬를 갖는 마블 수지 영역을 구현할 수 있다. The artificial marble having a clear and rich marble resin reg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lement a clear, rich, and sharp marble shape and/or pattern. In addition, the artificial marble manufactured by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lement a marble color and marble pattern almost similar to natural marble. In addition, the artificial marble manufactured by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lement marble resin regions having various shapes and/or patterns according to the agitating motion.

이때 마블 수지 조성물의 두께는 1.0mm 내지 2.0 mm이고, 샌딩을 수행한 후 1차 베이스 수지 조성물의 두께는 6 mm 내지 6.5 mm이며, 2차 베이스 수지 조성물의 두께는 6 mm 내지 6.5 mm 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샌딩 후 베이스 영역, 즉 1차 베이스 수지 조성물 및 2차 베이스 수지 조성물의 두께는 12 mm 내지 13 mm이다.In this case, the thickness of the marble resin composition may be 1.0 mm to 2.0 mm, the thickness of the primary base resin composition after sanding may be 6 mm to 6.5 mm, and the thickness of the secondary base resin composition may be 6 mm to 6.5 mm. . Preferably, the thickness of the base region after sanding, that is, the primary base resin composition and the secondary base resin composition, is 12 mm to 13 mm.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ow to achieve them,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following embodiment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different from each other, only these embodiments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completely inform the person who has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실시예Exampl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어떠한 의미로도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는 없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rough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is is presented as a preferred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an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present invention by this in any sense.

1.베이스 수지 조성물의 제조1. Preparation of base resin composition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100 중량부, 수산화알루미늄(Aluminium Tri Hydroxide, ATH) 180 중량부, EGDMA(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3 중량부 부틸하이드로 퍼옥사이드 0.05 중량부, 첨가제 1.2 중량부를 혼합하여 경화 후 비중이 1.73 이고, 점도가 6500 cps 인 베이스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Polymethyl methacrylate (PMMA) 100 parts by weight, aluminum hydroxide (Aluminium Tri Hydroxide, ATH) 180 parts by weight, EGDMA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3 parts by weight butyl hydroperoxide 0.05 parts by weight, additive 1.2 parts by weight mixed After curing, a base resin composition having a specific gravity of 1.73 and a viscosity of 6500 cps was prepared.

2. 마블 수지 조성물의 제조2. Preparation of Marble Resin Composition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100 중량부, 수산화알루미늄(Aluminium Tri Hydroxide, ATH) 100 중량부, EGDMA(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3 중량부 부틸하이드로 퍼옥사이드 0.05 중량 부, 첨가제 1.7 중량부, 아크릴계 칩미분 3.5 중량부를 혼합하여 비중이 1.43이고, 점도가 3000cps인 마블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Polymethyl methacrylate (PMMA) 100 parts by weight, aluminum hydroxide (Aluminium Tri Hydroxide, ATH) 100 parts by weight, EGDMA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3 parts by weight butyl hydroperoxide 0.05 parts by weight, additives 1.7 parts by weight, A marble resin composition having a specific gravity of 1.43 and a viscosity of 3000 cps was prepared by mixing 3.5 parts by weight of acrylic chip powder.

<실시예 1> 인조 대리석의 제조<Example 1> Preparation of artificial marble

마블 수지 조성물을 1.0 mm 두께로 3.0 M/분의 속도의 컨베이어 몰드에 주형하였다. 이때 마블 수지 조성물이 캐스팅 라인을 따라 이동될 때, 1차 베이스 수지 조성물을 그 상면에 7 mm 두께로 주입하며, 마블 수지 조성물과 접촉 시 아지테이터로 교반하여 마블 수지 영역을 형성하였다. 그리고 2차 베이스 수지 조성물을 1차 베이스 수지 조성물 상에 6 mm 두께로 주입하며, 1차 베이스 수지 조성물과 접촉 시 아지테이터로 교반하여 마블 수지 영역을 추가로 형성하였다. 그 후 80℃에서 50분 동안 경화시킨 후, 하부 표면에서 두께 1mm 만큼 샌딩하여 마블 수지 영역이 표면에 노출되도록 하여 인조대리석을 제조하였다.The marbled resin composition was cast into a conveyor mold with a thickness of 1.0 mm and a speed of 3.0 M/min. At this time, when the marble resin composition was moved along the casting line, the first base resin composition was injected into the upper surface to a thickness of 7 mm, and upon contact with the marble resin composition, it was stirred with an agitator to form a marble resin region. In addition, the second base resin composition was injected into the first base resin composition to a thickness of 6 mm, and upon contact with the first base resin composition, it was stirred with an agitator to further form a marbled resin region. After curing at 80° C. for 50 minutes, artificial marble was prepared by sanding the lower surface to a thickness of 1 mm so that the marble resin region was exposed on the surface.

그 결과, 종래 인조대리석의 무늬인 도 1과 달리 선명하고 풍부한 형상을 갖는 마블 수지 영역이 나타난 것을 확인할 수 있다(도 5).As a result, it can be confirmed that a marble resin area having a vivid and rich shape appeared, unlike the pattern of the conventional artificial marble in FIG. 1 (FIG. 5).

<비교예 1> 인조 대리석의 제조<Comparative Example 1> Manufacture of artificial marble

마블 수지 조성물을 2mm 두께로 1.0 M/분의 속도의 컨베이어 몰드에 투입한 후, 그 상면에 베이스 수지 조성물을 12mm 두께로 주입하여 적층하였다. 다음으로, 마블 수지 조성물 및 베이스 수지 조성물을 아지테이터로 교반하여 마블 수지 영역을 형성한 후, 80℃에서 50분 동안 경화시킨 후, 하부 표면에서 두께 1mm 만큼 샌딩하여 마블 수지 영역이 표면에 노출되도록 하여 인조대리석을 제조하였다. After the marble resin composition was put into a conveyor mold with a thickness of 2 mm and a speed of 1.0 M/min, a base resin composition was injected and lamin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old with a thickness of 12 mm. Next, the marble resin composition and the base resin composition are stirred with an agitator to form a marble resin region, cured at 80 ° C. for 50 minutes, and then sanded to a thickness of 1 mm from the lower surface so that the marble resin region is exposed on the surface. Thus, artificial marble was manufactured.

그 결과, 실시예 1과 동일한 인조대리석이 제조되었다As a result, the same artificial marble as in Example 1 was prepared.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모두 종래 인조대리석의 무늬인 도 1과 달리 선명하고 풍부한 마블 수지 영역이 나타났다. 그러나 실시예 1은 제조예 1보다 생산 속도가 상당히 증가하여, 빠른 시간 내에 인조대리석 생산이 가능했다.Both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 1 showed clear and rich marble resin regions, unlike the conventional pattern of artificial marble in FIG. 1 . However, in Example 1, the production speed was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Preparation Example 1, so that artificial marble could be produced in a short time.

10: 마블 수지 조성물
11: 마블 수지 영역
20: 1차 베이스 수지 조성물
30: 2차 베이스 수지 조성물
100: 인조대리석
10: marble resin composition
11: marble resin area
20: primary base resin composition
30: secondary base resin composition
100: artificial marble

Claims (11)

(a) 마블 수지 조성물을 주형하고 그 상면에 1차 베이스 수지 조성물을 주형하여 적층하고 아지테이팅을 수행하는 단계; 및
(b) 상기 1차 베이스 수지 조성물 상면에 2차 베이스 수지 조성물을 주형하여 적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1차 베이스 수지 조성물 또는 2차 베이스 수지 조성물은 아크릴계 수지 및 수산화알루미늄을 포함하고, 상기 마블 수지 조성물은 아크릴계 수지 및 수산화알루미늄을 포함하며,
1차 베이스 수지 조성물 또는 2차 베이스 수지 조성물의 경화 후 비중은 마블 수지 조성물의 경화 후 비중보다 큰,
마블 수지 영역이 형성된 인조대리석의 제조방법.
(a) casting a marble resin composition and molding and laminating a primary base resin composition on the top surface of the marble resin composition and performing agitating; and
(b) molding and laminating a secondary base resin composi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rimary base resin composition;
The first base resin composition or the second base resin composition includes an acrylic resin and aluminum hydroxide, and the marble resin composition includes an acrylic resin and aluminum hydroxide,
The specific gravity after curing of the primary base resin composition or the secondary base resin composition is greater than the specific gravity after curing of the marble resin composition,
A method for manufacturing artificial marble having a marble resin reg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마블 수지 조성물을 주형하고 그 상면에 베이스 수지 조성물을 주형하여 적층하고 아지테이팅을 수행하여 상기 마블 수지 조성물이 상기 베이스 수지 조성물 사이로 상승하면서 마블 수지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블 수지 영역이 형성된 인조대리석의 제조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a) is a step in which a marble resin composition is molded, a base resin composition is laminated by molding, and agitated is performed to form a marble resin region while the marble resin composition rises between the base resin compositions. characterized by,
A method for manufacturing artificial marble having a marble resin reg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1차 베이스 수지 조성물 상면에 2차 베이스 수지 조성물을 주형하여 적층하고 아지테이팅을 수행하여 상기 마블 수지 조성물이 상기 2차 베이스 수지 조성물 사이로 상승하면서 마블 수지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블 수지 영역이 형성된 인조대리석의 제조방법.
According to claim 1,
In the step (b), a second base resin composition is molded and lamin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base resin composition, and agitating is performed to form a marble resin region while the marble resin composition rises between the second base resin compositions.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p,
A method for manufacturing artificial marble having a marble resin region.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 후 (c) 경화를 수행하고, 경화된 마블 수지 조성물의 하부 표면을 샌딩하여 마블 수지 영역을 노출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블 수지 영역이 형성된 인조대리석의 제조방법.
According to claim 3,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c) curing after the step (b) and exposing the marble resin region by sanding the lower surface of the cured marble resin composition,
A method for manufacturing artificial marble having a marble resin region.
제 3항에 있어서,
1차 베이스 수지 조성물의 경화 후 비중은 2차 베이스 수지 조성물의 경화 후 비중의 90 내지 110 %이며,
1차 베이스 수지 조성물 및 2차 베이스 수지 조성물의 경화 후 비중은 마블 수지 조성물의 경화 후 비중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블 수지 영역이 형성된 인조대리석의 제조방법.
According to claim 3,
The specific gravity after curing of the primary base resin composition is 90 to 110% of the specific gravity after curing of the secondary base resin composi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specific gravity after curing of the primary base resin composition and the secondary base resin composition is greater than the specific gravity after curing of the marble resin composition,
A method for manufacturing artificial marble having a marble resin reg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베이스 수지 조성물 또는 2차 베이스 수지 조성물은 아크릴계 수지 및 수산화알루미늄의 중량비가 1:1.66 내지 1:2.3 이고, 상기 마블 수지 조성물은 아크릴계 수지 및 수산화알루미늄의 중량비가 1:1.35 내지 1:1.55인
마블 수지 영역이 형성된 인조대리석의 제조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primary base resin composition or the secondary base resin composition has a weight ratio of acrylic resin and aluminum hydroxide of 1:1.66 to 1:2.3, and the marble resin composition has a weight ratio of acrylic resin and aluminum hydroxide of 1:1.35 to 1:1.55. sign
A method for manufacturing artificial marble having a marble resin reg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베이스 수지 조성물 또는 2차 베이스 수지 조성물의 경화 후 비중은 1.7 내지 1.8이고, 상기 마블 수지 조성물의 경화 후 비중은 1.40 내지 1.50인
마블 수지 영역이 형성된 인조대리석의 제조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specific gravity after curing of the primary base resin composition or the secondary base resin composition is 1.7 to 1.8, and the specific gravity after curing of the marble resin composition is 1.40 to 1.50.
A method for manufacturing artificial marble having a marble resin reg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블 수지 조성물은 칩미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블 수지 영역이 형성된 인조대리석의 제조방법.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marble resin composition further comprises chip powder,
A method for manufacturing artificial marble having a marble resin region.
제 4 항에 있어서, 샌딩을 수행한 후 마블 수지 조성물의 두께는 1.0mm 내지 2.0 mm이고, 1차 베이스 수지 조성물 및 2차 베이스 수지 조성물의 두께는 12 mm 내지 13 mm인,
마블 수지 영역이 형성된 인조대리석의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thickness of the marble resin composition after sanding is 1.0 mm to 2.0 mm, and the thickness of the primary base resin composition and the secondary base resin composition is 12 mm to 13 mm,
A method for manufacturing artificial marble having a marble resin region.
삭제delete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마블 수지 영역이 형성된 인조대리석.
An artificial marble having a marble resin region, manufactured by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1 to 9.
KR1020220063041A 2020-04-01 2022-05-23 Artificial marble with marble resin reg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485395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39925 2020-04-01
KR1020200039925 2020-04-01
KR1020200148907A KR102403145B1 (en) 2020-04-01 2020-11-09 Artificial marble with marble resin reg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8907A Division KR102403145B1 (en) 2020-04-01 2020-11-09 Artificial marble with marble resin reg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1170A KR20220071170A (en) 2022-05-31
KR102485395B1 true KR102485395B1 (en) 2023-01-06

Family

ID=7807870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8907A KR102403145B1 (en) 2020-04-01 2020-11-09 Artificial marble with marble resin reg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0220063041A KR102485395B1 (en) 2020-04-01 2022-05-23 Artificial marble with marble resin reg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8907A KR102403145B1 (en) 2020-04-01 2020-11-09 Artificial marble with marble resin reg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403145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19149A (en) 2011-04-06 2012-11-12 Bridgestone Corp Inorganic microparticle dispersion, and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KR101791457B1 (en) * 2016-01-26 2017-10-30 한화엘앤씨 주식회사 Artificial marble
JP2018089934A (en) 2016-12-07 2018-06-14 トクラス株式会社 Production method of artificial marbl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7973B1 (en) * 2005-09-02 2008-02-28 주식회사 엘지화학 Artificial marble having natural marble pattern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KR20080041501A (en) * 2006-11-07 2008-05-13 주식회사 에스켐 Artificial marble chip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KR101259219B1 (en) * 2009-02-12 2013-04-29 (주)엘지하우시스 Process for preparing artificial marble having marble pattern
KR20130052162A (en) * 2011-11-11 2013-05-22 제일모직주식회사 Artificial marble with random shape pattern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KR101914447B1 (en) * 2015-12-01 2018-11-05 (주)엘지하우시스 Method of manufactuing artificial marble
KR101991685B1 (en) * 2015-12-01 2019-06-24 (주)엘지하우시스 Artificial marble composition and method of manufactuing artificial marble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19149A (en) 2011-04-06 2012-11-12 Bridgestone Corp Inorganic microparticle dispersion, and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KR101791457B1 (en) * 2016-01-26 2017-10-30 한화엘앤씨 주식회사 Artificial marble
JP2018089934A (en) 2016-12-07 2018-06-14 トクラス株式会社 Production method of artificial marb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3145B1 (en) 2022-05-27
KR20220071170A (en) 2022-05-31
KR20210122646A (en) 2021-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54579B2 (en) Artificial marble having crack patter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5664987B2 (en) Method for producing granite patterned acrylic artificial marble
KR100796437B1 (en) Artificial marble having quartz effect using transparent chip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JP4857282B2 (en) Foamed marble molded artic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270349B1 (en) Synthetic acrylic marble having pearl-containing pattern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EP0064396B1 (en) A method of producing shaped resinous articles and casting moulds for use in the method
CN101117009A (en) Method of producing patterned artificial marble
KR101385862B1 (en) Synthetic marble with acrylic solid surface having anti-scratch property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EP1904416A1 (en) Composition for artificial marble having natural pattern
US8211536B2 (en) Composite solid surface article comprising at least one of randomly shaped fibers and powder particles
KR101605584B1 (en) Artificial Marble Chip and Artificial Marble including Same
KR20080041501A (en) Artificial marble chip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KR20130052162A (en) Artificial marble with random shape pattern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KR100747790B1 (en) Marble Chip with Stripe Pattern and Synthetic Marble Using Same, and Method of Preparing the Marble Chip
KR102485395B1 (en) Artificial marble with marble resin reg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991685B1 (en) Artificial marble composition and method of manufactuing artificial marble using the same
KR100714886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rtificial marble having sink pattern
KR101770878B1 (en) Apparatus for making imitation marbl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imitation marble using the same
KR102288019B1 (en) A method and a device for manufacturing artificial marble having stripe pattern
AU2002340211B2 (en) Formation of three dimensional burls in a filled acrylic solid surface material
KR100619635B1 (en) Artificial Marble Having Non-Direction Pattern and Method for Continuous Preparing the Same
KR100915129B1 (en) Artificial Marble
KR100609986B1 (en) Composition for Artificial Marble Having a Microscopic Powdery Chip
KR102267882B1 (en) Artificial marble composition for artificial marb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rtificial marble
JP2010253791A (en) Method of manufacturing mold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