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5206B1 - 커버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력 변환 장치 - Google Patents

커버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력 변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5206B1
KR102485206B1 KR1020200164860A KR20200164860A KR102485206B1 KR 102485206 B1 KR102485206 B1 KR 102485206B1 KR 1020200164860 A KR1020200164860 A KR 1020200164860A KR 20200164860 A KR20200164860 A KR 20200164860A KR 102485206 B1 KR102485206 B1 KR 1024852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sub
filter
protrusion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48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76073A (ko
Inventor
송보선
Original Assignee
엘에스일렉트릭(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일렉트릭(주) filed Critical 엘에스일렉트릭(주)
Priority to KR10202001648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5206B1/ko
Priority to PCT/KR2021/017361 priority patent/WO2022114763A1/ko
Priority to US18/039,470 priority patent/US20240001272A1/en
Publication of KR202200760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60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52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52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5Mounting of filtering elements within casings, housings or fram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003Constructional details, e.g. physical layout, assembly, wiring or busbar conn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4Details of removable closures, lids, caps or filter hea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4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00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gaseous coolant in electronic enclosures
    • H05K7/20136Forced ventilation, e.g. by fans
    • H05K7/20181Filters; Louv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8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for power electronics, e.g. for inverters for controlling motor
    • H05K7/20909Forced ventilation, e.g. on heat dissipaters coupled to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65/00Casings, housings or mounting for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2265/02Non-permanent measures for connecting different parts of the filter
    • B01D2265/027Quick closing means for, e.g. filter heads, caps, maintenance ope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65/00Casings, housings or mounting for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2265/06Details of supporting structures for filtering material, e.g. co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79/00Filters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specially modified for specific uses
    • B01D2279/45Filters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specially modified for specific uses for electronic devices, e.g. computers, hard-discs, mobile phon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8Packaging or power distribution
    • G06F1/183Internal mounting support structures, e.g. for printed circuit boards, internal connecting means
    • G06F1/188Mounting of power supply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verter Devices (AREA)

Abstract

커버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력 변환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버 조립체는 인버터 장치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커버 조립체는 인버터 장치의 내부와 연통되되, 송풍 팬을 덮으며 인버터 장치와 결합된다. 따라서, 송풍 팬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게 되어 임의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고, 외부에 체류되는 먼지 등이 인버터 장치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게 된다.

Description

커버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력 변환 장치{Cover assembly and power conversion device include the same}
본 발명은 커버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력 변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통전되는 부분이 외부에 임의로 노출되지 않고, 먼지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의 커버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력 변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력 변환 장치는 일반적으로 직류 전원을 입력받고, 이를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는 가정용, 산업용으로 이용되는 전원은 주로 교류 전원임에 기인한다.
이때 전력 변환 장치가 한번에 변환할 수 있는 용량 또는 한번에 저장할 수 있는 교류 전원의 용량을 "전력변환용량"이라고 명명할 수 있다.
전력 변환 장치는 ESS(Energy Storage System, 에너지 저장 장치)에 구비되어 사용될 수 있다. 전력 변환 장치의 전력변환용량은 해당 전력 변환 장치가 구비되는 ESS의 용량을 결정하는 중요 인자가 된다.
전력 변환 장치의 구성 요소로서 인버터와 필터를 들 수 있다. 인버터는 입력된 직류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필터는 인버터에 의해 변환된 교류 전원의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필터링을 수행한다.
전력 변환 장치를 구성하는 인버터는 다양한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 인버터가 작동됨에 따라, 상기 구성 요소는 많은 양의 열을 발생시킨다. 발생된 열이 인버터 내부에 체류될 경우, 상기 구성 요소가 발생된 열에 의해 손상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방열은 인버터의 작동에 있어 중요한 요소이다. 이를 위해, 인버터에는 통상 팬(fan)이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종래 기술에 따른 인버터에 구비되는 팬은 외부에 노출되게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는, 인버터 내부에 발생된 열을 대기 중으로 직접 배출하기 위함이다.
그런데, 팬이 외부에 노출됨에 따라, 전력 변환 장치가 설치되는 환경에 의해 손상되는 일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외부 환경에 존재하는 먼지 등이 공기의 흐름에 따라 팬을 통해 인버터의 내부로 유입될 가능성 또한 배제할 수 없다.
한국등록특허문헌 제10-1699214호는 전력변환장치 및 공기조화장치를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전력변환장치에서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공기조화장치를 함께 구비하는 예를 개시한다.
그런데, 상기 선행문헌은 팬을 이용하여 전력변환장치에서 발생된 열을 방열하기 위한 방안을 개시할 뿐, 그 배치 구조에 대해서는 명확하게 개시하지 않는다.
한국등록특허문헌 제10-1652675호는 전력변환장치를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전력변환장치에서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실외 팬을 구비하는 전력변환장치를 개시한다.
그런데, 상기 선행문헌 또한 팬을 이용하여 전력변환장치에서 발생된 열을 방열하기 위한 방안만을 개시할 뿐, 팬의 배치 구조 및 노출을 방지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지 못한다.
더 나아가, 상기 선행문헌들에 구비되는 팬은 전력변환장치의 외부에 구비된다. 상기 선행문헌들은 전력변환장치의 내부에 팬을 구비하되, 먼지 등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지 못한다.
한국등록특허문헌 제10-1699214호 (2017.10.23.) 한국등록특허문헌 제10-1652675호 (2016.08.30.)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구조의 커버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력 변환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먼저, 전력을 변환하기 위한 구성 요소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 구조의 커버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력 변환 장치를 제공함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각 구성 요소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게 진행될 수 있는 구조의 커버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력 변환 장치를 제공함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각 구성 요소의 결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구조의 커버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력 변환 장치를 제공함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전력을 변환하기 위한 구성 요소의 열을 방열하기 위해 유입되는 공기에 함유된 먼지 등을 효과적으로 분리할 수 있는 구조의 커버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력 변환 장치를 제공함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미려한 외관을 확보할 수 있는 구조의 커버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력 변환 장치를 제공함을 일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메인 커버; 상기 메인 커버의 상기 공간을 덮으며 상기 메인 커버에 탈거 가능하게 결합되는 필터 커버; 및 상기 필터 커버에 탈거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메인 커버의 상기 공간에 수용되는 필터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커버는, 관통 형성되어 외부와 연통되고, 상기 공간을 형성하는 수용 공간부; 및 상기 수용 공간부를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메인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 공간부에 수용된 상기 필터 커버는, 상기 메인 몸체에 의해 지지되는 커버 조립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커버 조립체는, 상기 메인 커버에 탈거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서브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커버는, 상기 서브 커버의 상기 일 방향의 각 단부를 둘러싸는 상기 메인 몸체의 각 부분에 위치되고, 상기 서브 커버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결합 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서브 커버는, 상기 결합 돌기에 탈거 가능하게 결합되는 서브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 조립체의 상기 서브 결합부는, 상기 메인 몸체의 상기 각 부분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결합 돌기와 접촉되거나 이격되는 서브 돌기; 및 상기 메인 몸체의 상기 각 부분을 향해 돌출되며, 상기 서브 돌기와 이격되어, 그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는 가압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 돌기는, 상기 서브 돌기와 상기 가압 돌기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공간에 삽입되거나 인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 조립체의 상기 서브 결합부는, 상기 서브 돌기 및 상기 가압 돌기와 각각 연속되며, 형상 변형 가능한 소재로 형성되는 탄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 조립체의 상기 가압 돌기는, 상기 서브 돌기보다 상기 메인 몸체에 더 멀게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 조립체의 상기 서브 커버는 타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메인 커버와 결합되고, 상기 가압 돌기가 상기 결합 돌기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가압되면, 상기 결합 돌기와 상기 서브 돌기는 상기 타 방향을 따라 겹쳐지게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 조립체의 상기 메인 커버는, 상기 필터 커버를 향하는 방향 및 상기 필터 커버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 커버는, 상기 체결부를 향하는 일측에 위치되어, 상기 체결부가 수용되거나 인출되는 체결 공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 조립체의 상기 필터 커버는, 상기 체결 공간부를 둘러싸며, 상기 체결부를 향해 연장되는 구속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속 돌출부는, 상기 체결 공간부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게 배치되는 어느 한 쌍의 면; 및 상기 어느 한 쌍의 면과 연속되며, 상기 체결 공간부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게 배치되는 다른 한 쌍의 면을 포함하며, 상기 체결 공간부에 수용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어느 한 쌍의 면 및 상기 다른 한 쌍의 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면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 조립체의 상기 체결부는, 상기 메인 커버의 외측으로 노출되게 연장되며, 상기 필터 커버를 향하는 방향 및 상기 필터 커버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메인 몸체에 결합되는 핸들부; 및 상기 핸들부와 결합되어 상기 핸들부와 함께 이동되며, 상기 필터 커버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체결 공간부에 수용되거나 인출되는 결합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 조립체의 상기 필터 커버는, 상기 필터 부재를 수용하며, 상기 메인 커버를 향하는 일측이 개방 형성되는 필터 수용부; 및 상기 필터 수용부를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필터 커버 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 조립체의 상기 필터 커버는, 상기 일측에 반대되는 타측에 위치되며, 상기 필터 수용부를 외부와 연통하는 복수 개의 관통공을 포함하는 그리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 조립체의 상기 필터 커버는, 상기 필터 수용부를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상기 필터 커버 몸체에 위치되어, 수용된 상기 필터 부재를 지지하는 필터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필터 지지부는, 상기 필터 수용부를 향해 연장되며, 서로 이격되어 마주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면; 및 복수 개의 상기 면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필터 부재가 삽입되는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의 전원과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외부의 전원에 의해 작동되는 송풍 팬을 포함하는 인버터 장치; 및 상기 송풍 팬을 덮으며 상기 인버터 장치에 탈거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 조립체는, 상기 송풍 팬을 수용하며, 외부와 연통되는 연통부를 포함하는 메인 커버; 상기 메인 커버에 탈거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연통부를 덮는 필터 커버; 및 상기 필터 커버에 수용되어, 상기 연통부를 덮는 필터 부재를 포함하는 전력 변환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전력 변환 장치의 상기 메인 커버는, 외부 및 상기 연통부와 연통되며, 상기 인버터 장치에 반대되는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필터 커버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부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 커버는, 상기 필터 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연통부를 마주하게 위치되며, 복수 개의 관통공 및 상기 관통공을 둘러싸는 복수 개의 리브를 구비하는 그리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력 변환 장치의 상기 메인 커버에 탈거 가능하게 결합되는 서브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커버는, 상기 수용 공간부와 연통되며, 서브 커버가 덮는 공간인 메인 결합부; 및 상기 메인 결합부를 감싸는 면에서 상기 메인 결합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결합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서브 커버는, 상기 결합 돌기가 수용되거나 인출되는 공간을 포함하는 서브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력 변환 장치의 상기 서브 결합부는, 상기 면을 향해 돌출되며, 상기 결합 돌기가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 돌기보다 상기 메인 커버에 더 인접하게 위치되는 서브 돌기; 상기 면을 향해 돌출되며, 상기 결합 돌기가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 돌기를 사이에 두고 상기 서브 돌기를 마주하게 위치되는 가압 돌기; 및 상기 서브 돌기 및 상기 가압 돌기와 각각 연속되며, 형상 변형 가능한 소재로 형성되는 탄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력 변환 장치의 상기 가압 돌기가 상기 메인 결합부를 향해 가압되면, 상기 서브 돌기가 상기 결합 돌기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결합 돌기와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력 변환 장치의 상기 메인 커버는, 상기 필터 커버를 향하는 방향 및 상기 필터 커버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 커버는, 상기 체결부를 향하는 일측에 위치되어, 상기 체결부가 수용되거나 인출되는 체결 공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력 변환 장치의 상기 체결부는, 상기 인버터 장치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메인 커버의 외측으로 노출되고, 승강 가능하게 상기 메인 커버에 결합되는 핸들부; 및 상기 핸들부와 연결되어 상기 핸들부와 함께 승강되고, 상기 체결 공간부에 삽입되거나 인출되는 결합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달성될 수 있다.
먼저, 전력 변환 장치에는 커버 조립체가 구비된다. 커버 조립체는 외부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인버터 장치에 탈거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때, 커버 조립체는 인버터 장치에 구비되는 송풍 팬을 덮으며 인버터 장치에 결합된다.
따라서, 인버터 장치의 구성 요소 중 인버터 장치의 외측에 배치되는 구성 요소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송풍 팬 등이 작동됨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안전 사고가 예방될 수 있다.
또한, 커버 조립체는 인버터 장치와 결합되는 메인 커버, 메인 커버에 결합되는 서브 커버, 필터 커버 및 필터 부재를 포함한다. 서브 커버와 메인 커버는 결합 돌기와 서브 결합부의 결합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서브 결합부에 외력이 인가됨에 따라, 서브 커버는 메인 커버와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필터 커버와 메인 커버는 필터 커버가 수용 공간부에 수용됨으로써 결합된다. 메인 커버에는 필터 커버를 향하는 방향 및 그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승강 가능한 체결부가 구비된다. 체결부가 하강되면 필터 커버의 체결 공간부에 수용된다. 상기 상태에서, 필터 커버는 메인 커버에서 임의로 분리되지 않는다. 체결부가 상승되면, 필터 커버의 체결 공간부에서 인출되어 필터 커버가 메인 커버에서 분리될 수 있다.
필터 부재는 필터 커버의 필터 수용부에 수용된다. 수용된 필터 부재는 필터 지지부에 결합되어, 필터 커버에서 임의 이탈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구성에 의해, 커버 조립체를 구성하는 각 구성 요소가 서로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외력이 인가되지 않는 한, 각 구성 요소는 임의 분리되지 않으므로, 결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커버 조립체는 인버터 장치에 구비되는 송풍 팬을 덮으며 인버터 장치에 결합된다. 송풍 팬은 인버터 장치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여, 인버터 장치 내부의 열을 냉각하기 위한 외기를 흡입한다. 이때, 커버 조립체에 구비되는 필터 부재 또한 송풍 팬을 덮게 배치되어, 외부의 공기는 필터 부재를 통과하여야만 송풍 팬을 통해 인버터 장치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인버터 장치에 구비되는 구성 요소의 열을 냉각하기 위해 유입되는 외기는 필터 부재에 의해 필터링(filtering)된 후에 인버터 장치 내부로 유입된다. 결과적으로, 인버터 장치 내부에는 정화된 공기가 유입되므로, 먼지 등에 의한 인버터 장치의 구성 요소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커버 조립체는 인버터 장치를 덮으며 결합된다. 이때, 송풍 팬 등 회전되는 구성 요소 및 외부와의 통전을 위해 구비되는 구성 요소들은 커버 조립체에 덮여 외부에 노출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인버터 장치의 구성 요소, 특히 회전되는 송풍 팬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인버터 장치의 작동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안전 사고가 예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력 변환 장치 전체의 외관이 미려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력 변환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전력 변환 장치의 구성 요소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전력 변환 장치에 구비되는 커버 조립체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커버 조립체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커버 조립체에서 서브 커버가 탈거되는 과정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의 커버 조립체에서 서브 커버가 탈거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상태를 도시하는 A-A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6의 커버 조립체에서 필터 커버 및 필터 부재가 탈거되는 과정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3의 커버 조립체에 구비되는 메인 커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메인 커버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3의 커버 조립체에 구비되는 서브 커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서브 커버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4는 도 12의 서브 커버를 도시하는 B-B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2의 서브 커버를 도시하는 배면도이다.
도 16은 도 12의 서브 커버를 도시하는 좌측면도(a) 및 우측면도(b)이다.
도 17은 도 3의 커버 조립체에 구비되는 필터 커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필터 커버를 도시하는 정면도(a) 및 배면도(b)이다.
도 19는 도 17의 필터 커버를 도시하는 다른 각도의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7의 필터 커버를 도시하는 또다른 각도의 사시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버 조립체가 인버터 장치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버 조립체가 인버터 장치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C-C 단면도(a) 및 D-D 단면도(b)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버 조립체가 인버터 장치와 분리될 수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버 조립체가 인버터 장치와 분리될 수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E-E 단면도(a) 및 F-F 단면도(b)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력 변환 장치(1)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특징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일부 구성 요소들에 대한 설명이 생략될 수 있다.
1. 용어의 정의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통전 가능한 연결"이라는 용어는 하나 이상의 부재가 다른 부재와 전기적 신호 또는 전류 전달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상태를 의미한다. 일 실시 예에서, 통전 가능한 연결은 도선 부재 등에 의해 유선의 방식으로 형성되거나, 자기장 또는 전기장 등에 의해 무선의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전방 측", "후방 측", "상측", "하측", "좌측" 및 "우측"이라는 용어는 도 1, 도 3, 도 10, 도 12 및 도 20에 도시된 좌표계를 참조하여 이해될 것이다.
2.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력 변환 장치(1)의 구성의 설명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력 변환 장치(1)는 인버터 장치(10) 및 커버 조립체(20)를 포함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인버터 장치(10)를 중심으로 설명하되, 커버 조립체(20)는 별항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버터 장치(10)는 모듈(module)로 구성될 수 있다. 모듈화된 인버터 장치(10)는 복수 개 구비되어, 서로 통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인버터 장치(10)에 의해 구성되는 전력 변환 장치(1)의 전력 변환 용량이 증가되거나 감소되게 조정될 수 있다.
인버터 장치(10)는 외부의 전원 및 부하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인버터 장치(10)는 직류 전류를 전달받아 교류 전류로 변환할 수 있다. 변환된 교류 전류는 외부의 부하에 전달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인버터 장치(10)는 필터 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 장치(미도시)는 변환된 교류 전류를 필터링하여, 잔존하는 잡음 성분(noise)을 제거할 수 있다.
인버터 장치(10)는 일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인버터 장치(10)의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간에는 인버터 장치(10)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다양한 구성 요소가 실장될 수 있다.
인버터 장치(10)에는 커버 조립체(20)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인버터 장치(10)의 전방 측에 커버 조립체(20)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커버 조립체(20)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방향은 후술될 송풍 팬(11)이 인버터 장치(10)의 외부로 노출되는 방향임이 이해될 것이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인버터 장치(10)는 송풍 팬(11) 및 단자부(12)를 포함한다.
송풍 팬(11)은 인버터 장치(10)의 상기 공간에 수용된 구성 요소를 냉각하기 위한 공기를 흡입한다. 송풍 팬(11)은 외부의 공기가 인버터 장치(10)의 상기 공간으로 유동되기 위한 이송력을 형성한다.
송풍 팬(11)은 제어 전원(미도시)과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인버터 장치(10)가 작동되면, 송풍 팬(11)은 제어 전원(미도시)에서 인가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작동될 수 있다.
송풍 팬(11)은 인버터 장치(10)의 내부에 형성된 상기 공간과 외부를 연통한다. 즉, 송풍 팬(11)이 작동되면 외부의 공기가 인버터 장치(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송풍 팬(11)은 제어 신호에 의해 작동되어, 공기의 유동을 형성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송풍 팬(11)은 모터(미도시)에 의해 회전 작동되며, 복수 개의 블레이드(blade)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송풍 팬(11)은 인버터 장치(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송풍 팬(11)은 인버터 장치(10)의 외측으로 부분적으로 노출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송풍 팬(11)은 인버터 장치(10)의 전방 측 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그 전방 측이 외측으로 노출된다.
송풍 팬(11)은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송풍 팬(11)은 인버터 장치(10)의 상기 전방 측 면에, 서로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송풍 팬(11)은 두 개 구비되어, 두 개의 송풍 팬(11)은 좌우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된다.
후술될 바와 같이, 송풍 팬(11)은 커버 조립체(20)에 의해 덮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버 조립체(20)가 인버터 장치(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송풍 팬(11)은 커버 조립체(20)의 필터 부재(400)에 의해 덮일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상기 상태에서, 송풍 팬(11)과 필터 부재(400)는 커버 조립체(20)가 인버터 장치(10)에 결합되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으로 겹쳐지게 배치된다.
따라서, 송풍 팬(11)이 작동되면, 외부의 공기는 필터 부재(400)를 통과하며 필터링된 후 인버터 장치(10)의 내부에 형성되는 상기 공간으로 유입된다. 따라서, 외부의 먼지 등이 인버터 장치(10)의 내부에 유입되지 않게 되어 인버터 장치(10)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단자부(12)는 인버터 장치(10)를 외부의 전원 및 부하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한다. 단자부(12)를 통해 전달된 직류 전류는 인버터 장치(10)를 통해 교류 전류로 변환된 후 외부의 부하로 전달될 수 있다.
단자부(12)는 커버 조립체(20)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자부(12)는 메인 몸체(110)의 단자 개구부(112)에 관통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인버터 장치(10)에 결합된 커버 조립체(20)는 단자부(12)에 의해서도 지지될 수 있어, 인버터 장치(10)와 커버 조립체(20)의 결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단자부(12)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단자부(12)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단자부(12)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외부의 전원과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다른 하나 이상은 외부의 부하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단자로 구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단자부(12)는 좌측에 위치되는 단자부(12) 및 우측에 위치되는 단자부(12)를 포함한다.
또한, 외부의 전원 또는 외부의 부하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각 단자부(12)는 서로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외부의 전원 또는 외부의 부하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단자부(12)는 각각 세 개씩 구비된다.
세 개의 각 단자부(12)는 인버터 장치(10)의 높이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된다.
단자부(12)의 개수 및 배치 방식은 인버터 장치(10)에 의해 변환되는 교류 전류의 상(phase)의 개수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즉, 도시된 실시 예에 따른 인버터 장치(10)는 3상 전류를 출력하게 구성됨이 이해될 것이다.
3.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버 조립체(20)의 설명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력 변환 장치(1)는 커버 조립체(20)를 포함한다.
커버 조립체(20)는 인버터 장치(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커버 조립체(20)는 인버터 장치(10)의 일측, 구체적으로 송풍 팬(11)이 외부로 노출되는 일측을 덮게 인버터 장치(10)와 결합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커버 조립체(20)는 인버터 장치(10)의 전방 측에, 송풍 팬(11)을 덮으며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커버 조립체(20)는 공기가 연통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커버 조립체(20)의 외부의 공기는 커버 조립체(20)를 통과하여 송풍 팬(11)을 통해 인버터 장치(1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버 조립체(20)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커버 조립체(20)는 메인 커버(100), 서브 커버(200), 필터 커버(300) 및 필터 부재(400)를 포함한다.
(1) 메인 커버(100)의 설명
메인 커버(100)는 커버 조립체(20)의 몸체를 형성한다. 메인 커버(100)는 커버 조립체(20)가 인버터 장치(10)와 결합되는 부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메인 커버(100)는 커버 조립체(20)에 탈거 가능하게 결합된다.
메인 커버(100)는 송풍 팬(11)을 덮으며 인버터 장치(10)에 결합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송풍 팬(11)은 인버터 장치(10)의 전방 측에 위치되는 바, 메인 커버(100)는 인버터 장치(10)의 전방 측에 탈거 가능하게 결합된다.
메인 커버(100)에는 단자부(12)가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단자부(12)는 메인 커버(100)에 형성된 단자 개구부(112)에 관통 결합된다.
메인 커버(100)는 인버터 장치(10)의 전방 측을 덮기에 충분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메인 커버(100)의 상하 방향의 길이는 인버터 장치(10)의 전방 측의 상하 방향의 길이 이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메인 커버(100)의 좌우 방향의 길이는 복수 개의 단자부(12)가 서로 이격되는 거리 이상으로 형성된다.
메인 커버(100)는 인버터 장치(10)의 전방 측을 덮을 수 있는 임의의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메인 커버(100)는 그 단면의 형상이 사각형이되, 상측의 폭이 하측의 폭보다 크게 형성된다.
메인 커버(100)의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공간에는 송풍 팬(11)이 수용된다. 또한, 상기 공간은 커버 조립체(20)의 외부와 연통된다.
구체적으로, 메인 커버(100)의 상기 공간은 필터 부재(400)를 통과하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과 연통된다. 또한, 메인 커버(100)의 상기 공간은 인버터 장치(10)를 향하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과 연통된다.
따라서, 전력 변환 장치(1) 외부의 공기는 송풍 팬(11)에 의해 인가되는 이송력에 의해, 필터 부재(400)를 통과하며 필터링된 후, 상기 공간을 거쳐 인버터 장치(1)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메인 커버(100)에는 서브 커버(200)가 탈거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메인 커버(100)의 전방의 상측에 서브 커버(200)가 결합된다.
메인 커버(100)에는 필터 커버(300) 및 필터 부재(400)가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필터 부재(400)는 메인 커버(10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수용되고, 필터 커버(300)는 수용된 필터 부재(400)를 외측에서 덮으며 메인 커버(100)에 탈거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메인 커버(100)는 메인 몸체(110), 연통부(120), 수용 공간부(130), 체결부(140) 및 메인 결합부(150)를 포함한다.
메인 몸체(110)는 메인 커버(100)의 외형 내지 몸체를 형성한다. 메인 몸체(110)에는 상술한 메인 커버(100)의 각 구성, 즉 연통부(120), 수용 공간부(130), 체결부(140) 및 메인 결합부(150)가 위치된다.
메인 몸체(110)는 경량이면서도 고강성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 조립체(20)가 결합되더라도 전력 변환 장치(1) 전체의 중량이 과다하게 증가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메인 몸체(110)는 내열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인버터 장치(10)에 결합된 커버 조립체(20)가 인버터 장치(10)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메인 몸체(110)는 복수 개의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즉, 메인 몸체(110)는 서브 커버(200)가 결합되는 부분, 인버터 장치(10)와 결합되는 부분, 필터 커버(300) 및 필터 부재(400)가 결합되는 부분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서브 커버(200)가 결합되는 부분은 메인 몸체(110)의 상측에 위치된다. 또한, 메인 몸체(110)가 인버터 장치(10)와 결합되는 부분은 메인 몸체(110)의 후방 측, 좌측 및 우측에 각각 위치된다. 또한, 메인 몸체(110)가 필터 커버(300) 및 필터 부재(400)와 결합되는 부분은 전방의 하측에 위치된다.
메인 몸체(110)의 상기 각 부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메인 몸체(110)는 윙부(111) 및 단자 개구부(112)를 포함한다.
윙부(111)는 메인 몸체(110)가 인버터 장치(10)와 결합되는 부분이다. 윙부(111)에는 관통공(도면 부호 미표기)이 형성되어, 메인 몸체(110)와 인버터 장치(10)를 체결하는 체결 부재(미도시)가 관통 결합될 수 있다.
윙부(111)는 메인 몸체(110)에서 외측을 향해 연장 형성된다. 또한, 윙부(111)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윙부(111)는 두 개 구비되어, 메인 몸체(110)의 좌측 모서리 및 우측 모서리에 각각 위치된다.
또한, 도시된 실시 예에서, 윙부(111)는 메인 커버(100)의 상측에 치우쳐 위치된다. 이는, 윙부(111)에 형성되는 단자 개구부(112)에 관통되는 단자부(12)의 위치에 기인한다. 따라서, 윙부(111)의 위치는 단자부(12)의 위치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윙부(111)의 내부에는 단자 개구부(112)가 관통 형성된다.
단자 개구부(112)에는 단자부(12)가 관통 결합된다. 단자 개구부(112)는 윙부(111)의 두께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단자 개구부(112)가 관통 형성되는 방향은 단자부(12)가 연장되는 방향에 상응하게 결정됨이 이해될 것이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단자 개구부(112)는 사각형의 단면을 갖고, 전후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사각판형의 공간으로 형성된다. 단자 개구부(112)의 형상은 단자부(12)가 관통 결합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단자 개구부(112)는 복수 개의 군(group)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군의 단자 개구부(112)는 복수 개의 윙부(111)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단자 개구부(112)는 두 개의 군으로 구비되어, 좌측 및 우측에 위치되는 윙부(111)에 각각 형성된다.
또한, 각 군은 복수 개의 단자 개구부(112)는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단자 개구부(112)는 서로 이격되어 일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각 군은 세 개의 단자 개구부(112)를 포함하되,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된다.
연통부(120)는 메인 커버(10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도 10에 가장 잘 도시됨). 연통부(120)에는 송풍 팬(11)이 수용된다. 송풍 팬(11)이 연통부(120)에 수용된 상태에서 작동되면, 메인 커버(100)의 외측, 즉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의 외기가 연통부(120)로 유입될 수 있다.
연통부(120)로 유입된 공기는 송풍 팬(11)의 작동에 의해 인가되는 이송력에 의해 인버터 장치(10)의 내부로 유입된다. 유입된 공기는 인버터 장치(10) 내부에 구비되는 다양한 구성 요소에서 발생된 열을 냉각하기 위해 활용될 수 있다.
연통부(120)는 메인 몸체(110)의 내부에 형성된다. 연통부(120)는 메인 몸체(110)의 내주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연통부(120)의 상측 및 하측과, 좌측 및 우측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향이 메인 몸체(110)의 내주에 둘러싸인다.
연통부(120)는 부분적으로 개방 형성된다. 상기 개방 형성된 부분을 통해, 외기가 연통부(120)로 유입되고, 유입된 외기가 인버터 장치(10)의 내부로 유출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연통부(120)는 커버 조립체(20)가 인버터 장치(10)와 결합되는 방향, 즉 전후 방향이 개방 형성된다.
달리 표현하면, 연통부(120)는 전후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연통부(12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연통부(120)에는 송풍 팬(11)이 각각 수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연통부(120)는 두 개 구비되어,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된다. 이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버터 장치(10)에 구비되는 송풍 팬(11)의 개수가 두 개임에 기인한다.
연통부(120)의 개수는 송풍 팬(11)의 개수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연통부(120)는 격벽(121)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격벽(121)은 복수 개의 연통부(120)를 물리적으로 이격시킨다. 이에 따라, 각 연통부(120)에 수용된 송풍 팬(11) 중 어느 하나가 인가하는 이송력은, 다른 하나가 인가하는 이송력에 의해 간섭받지 않게 된다.
격벽(121)은 복수 개의 연통부(120) 사이에 위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시된 실시 예에서 연통부(120)는 두 개 구비되어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어 위치된다. 격벽(121)은 상기 두 개의 연통부(120) 사이에 위치된다.
격벽(121)은 복수 개의 연통부(120)를 물리적으로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격벽(121)은 상하 방향 및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연통부(120)는 수용 공간부(130)와 연통된다.
수용 공간부(130)는 필터 부재(400)가 수용되는 공간이다. 또한, 수용 공간부(130)에는 필터 부재(400)를 외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에서 지지하는 필터 커버(300)가 삽입된다.
수용 공간부(130)는 필터 커버(300) 및 필터 부재(400)를 향하는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에 형성된다. 달리 표현하면, 수용 공간부(130)는 인버터 장치(10)에 반대되는 일측에 형성된다.
수용 공간부(130)는 메인 커버(100)의 상하 방향 중 어느 하나에 치우쳐 위치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수용 공간부(130)는 메인 커버(100)의 하측에 치우쳐 위치된다. 수용 공간부(130)의 위치는 연통부(120) 및 송풍 팬(11)의 위치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커버 조립체(20) 외부의 공기는 수용 공간부(130)에 수용된 필터 부재(400)를 통과하며 필터링된 후, 인버터 장치(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수용 공간부(130)는 메인 커버(100)의 외부와 연통된다. 구체적으로, 수용 공간부(130)는 유입될 외기가 체류되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과 연통된다.
수용 공간부(130)는 연통부(120)와 연통된다. 수용 공간부(130)에 유입된 공기(즉, 필터 부재(400)를 통과한 공기)는 연통부(120)로 유입될 수 있다.
즉, 수용 공간부(130)는 커버 조립체(20)가 인버터 장치(10)와 결합되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수용 공간부(130)는 메인 몸체(110)의 내주에 둘러싸인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수용 공간부(130)는 메인 몸체(110)의 내주 중 전방 측에 위치되는 부분에 의해, 상측, 하측, 좌측 및 우측이 둘러싸인다.
체결부(140)는 수용 공간부(130)에 수용된 필터 커버(300) 및 필터 부재(400)를 메인 커버(100)에 체결하거나 체결 해제한다. 체결부(140)가 조작됨에 따라, 메인 커버(100)는 필터 커버(300) 및 필터 부재(400)와 결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체결부(140)가 조작됨에 따라, 필터 커버(300) 및 필터 부재(400)는 메인 커버(100)와 분리될 수 있다.
체결부(140)는 메인 몸체(11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체결부(140)는 메인 몸체(1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일 방향 및 상기 일 방향에 반대되는 타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체결부(140)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메인 몸체(110)에 결합된다.
체결부(14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체결부(140)는 서로 이격되어, 서로 다른 위치에서 필터 커버(300) 및 필터 부재(400)를 구속하거나 구속 해제할 수 있다.
체결부(140)가 복수 개의 위치에서 필터 커버(300) 및 필터 부재(400)를 구속함에 따라, 메인 커버(100)와 필터 커버(300) 및 필터 부재(400) 사이의 결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체결부(140)는 두 개 구비되어 각각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위치된다. 또한, 각 체결부(140)는 메인 몸체(110)의 상측에 치우쳐 위치된다.
달리 표현하면, 각 체결부(140)는 수용 공간부(130)의 상측에 위치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체결부(140)는 핸들부(141), 결합 연장부(143) 및 지지 부재(144)를 포함한다(도 8, 도 22 및 도 24에 가장 잘 도시됨).
핸들부(141)는 자동 또는 수동으로 조작된다. 핸들부(141)가 조작됨에 따라, 체결부(140)가 필터 커버(300) 및 필터 부재(400)를 구속하거나 해방할 수 있다.
핸들부(141)가 수동으로 조작되는 실시 예에서, 핸들부(141)는 작업자에 의해 가압되어 조작될 수 있다.
핸들부(141)는 이동 가능하게 메인 몸체(110)에 결합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핸들부(141)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메인 몸체(110)에 결합된다.
핸들부(141)의 일 부분은 메인 커버(100)의 외측에 노출된다. 작업자는 노출된 부분을 가압하여 핸들부(141)를 조작할 수 있다.
핸들부(141)의 상기 일 부분은 메인 커버(100)의 외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을 향해 연장 형성된다. 핸들부(141)의 상기 부분이 연장되는 방향이 인버터 장치(10)에 반대되는 방향임이 이해될 것이다.
핸들부(141)의 다른 부분은 메인 커버(100)의 내측에 수용된다. 즉, 핸들부(141)의 상기 일 부분은 그 연장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으로 메인 몸체(110)에 관통된다.
핸들부(141)의 상기 다른 부분은 상기 일 부분과 연속된다. 따라서, 핸들부(141)의 상기 일 부분이 가압되면, 상기 다른 부분 또한 함께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핸들부(141)의 상기 다른 부분은 핸들부(141)가 이동되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다.
핸들부(141)가 가압되어 상측으로 이동되었을 때, 핸들부(141)의 상기 일 부분의 상측은, 상기 일 부분이 관통된 개구부를 둘러싸는 모서리 중 상측 모서리에 접촉될 수 있다.
이때, 핸들부(141)의 상기 다른 부분의 상측 단부는 메인 몸체(110)의 내주의 상측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상태에서, 핸들부(141)의 상기 다른 부분과 연속되는 결합 연장부(143)는 그 하측 단부가 필터 커버(300)의 구속 돌출부(312)의 상측 단부보다 높게 위치된다.
즉, 상기 상태에서, 결합 연장부(143)와 구속 돌출부(312)는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다. 따라서, 결합된 필터 커버(300) 및 필터 부재(400)가 해방되어, 수용 공간부(130)에서 인출될 수 있다.
핸들부(141)가 가압되어 하측으로 이동되었을 때, 핸들부(141)의 상기 일 부분의 하측과 연속되는 결합 연장부(143)는 그 하측 단부가 필터 커버(300)의 구속 돌출부(312)의 상측 단부보다 낮게 위치된다.
즉, 상기 상태에서, 결합 연장부(143)와 구속 돌출부(312)는 전후 방향으로 겹쳐지게 배치된다. 따라서, 결합된 필터 커버(300) 및 필터 부재(400)가 구속되어, 수용 공간부(130)에서 임의 인출되지 않는다.
핸들부(141)는 결합 연장부(143)와 연속된다.
결합 연장부(143)는 필터 커버(300)의 구속 돌출부(312)와 전후 방향으로 겹쳐지게 배치되거나, 겹쳐지지 않게 배치된다. 달리 표현하면, 결합 연장부(143)는 그 하측 단부가 구속 돌출부(312)의 상측 단부보다 상측에 위치되거나, 하측에 위치된다.
결합 연장부(143)가 구속 돌출부(312)와 전후 방향으로 겹쳐지지 않는 상태, 즉 결합 연장부(143)의 하측 단부가 구속 돌출부(312)의 상측 단부보다 상측에 위치되는 상태에서, 필터 커버(300) 및 필터 부재(400)는 메인 커버(100)와 분리될 수 있다.
또한, 결합 연장부(143)가 구속 돌출부(312)와 전후 방향으로 겹쳐지는 상태, 즉 결합 연장부(143)의 하측 단부가 구속 돌출부(312)의 상측 단부보다 하측에 위치되는 상태에서, 필터 커버(300) 및 필터 부재(400)는 메인 커버(100)와 분리되지 않는다.
결합 연장부(143)는 핸들부(141)와 연속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결합 연장부(143)는 핸들부(141)의 상기 다른 부분의 하측 단부와 연속된다. 결합 연장부(143)는 핸들부(141)의 상기 다른 부분의 하측 단부에서 하측을 향해 연장 형성된다.
결합 연장부(143)는 핸들부(141)와 함께 이동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결합 연장부(143)는 그 하측 단부가 구속 돌출부(312)의 상측 단부보다 높게 위치되는 제1 위치 및 그 하측 단부가 구속 돌출부(312)의 하측 단부보다 낮게 위치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승강될 수 있다.
핸들부(141) 및 결합 연장부(143)는 지지 부재(144)에 의해 지지된다.
지지 부재(144)는 핸들부(141) 및 결합 연장부(143)의 이동을 상하 방향으로 가이드한다. 지지 부재(144)에 의해, 핸들부(141) 및 결합 연장부(143)의 전후 방향의 이동이 제한된다. 결과적으로, 핸들부(1410 및 결합 연장부(143)는 안정적으로 승강될 수 있다.
지지 부재(144)는 메인 몸체(11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배치된다. 일 실시 예에서, 지지 부재(144)는 메인 몸체(110)의 내부에 형성된 상기 공간에 고정될 수 있다.
지지 부재(144)는 핸들부(141) 및 결합 연장부(143)를 사이에 두고 핸들부(141)의 상기 일 부분이 관통되는 관통공을 마주하게 배치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기 관통공(메인 몸체(110)의 전방 측 면에 형성된), 핸들부(141) 및 지지 부재(144)는 순서대로 전방 측에서 후방을 향해 순서대로 배치된다.
즉, 도시된 실시 예에서, 지지 부재(144)는 핸들부(141) 및 결합 연장부(143)의 후방 측을 지지한다.
지지 부재(144)는 핸들부(141)의 상기 다른 부분 또는 결합 연장부(143)가 연장되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다.
지지 부재(144)의 상측 단부는 핸들부(141)가 상측으로 가압되었을 때, 핸들부(141)의 상측 단부보다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이때, 지지 부재(144)의 하측 단부는 핸들부(141)의 하측 단부보다 하측에 위치된다.
또한, 지지 부재(144)의 하측 단부는 핸들부(141)가 하측으로 가압되었을 때, 핸들부(141)의 하측 단부보다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이때, 지지 부재(144)의 상측 단부는 핸들부(141)의 상측 단부보다 상측에 위치된다.
따라서, 핸들부(141) 및 결합 연장부(143)가 승강되는 동안, 지지 부재(144)는 핸들부(141)가 연장되는 방향의 각 단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단부를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핸들부(141) 및 결합 연장부(143)의 승강이 안정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메인 결합부(150)는 서브 커버(200)가 결합되는 부분이다. 메인 결합부(150)는 메인 커버(10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메인 결합부(150)는 그 일부가 개방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메인 결합부(150)의 상측 및 전방 측이 개방 형성된다. 메인 결합부(150)의 상기 일부가, 서브 커버(200)에 의해 덮일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메인 결합부(150)는 수용 공간부(130)에 반대되는 타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메인 몸체(110)의 상측에 위치된다. 메인 결합부(150)의 위치는 서브 커버(200)가 메인 커버(100)와 결합되는 위치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메인 결합부(150)는 서브 커버(200)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메인 결합부(150)는 좌우 방향의 연장 길이가 상하 방향 및 전후 방향의 연장 길이보다 긴, 사각기둥 형상의 공간으로 형성된다.
메인 결합부(150)가 더 길게 연장되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우 방향의 각 단부의 외측에는 체결부(140)가 위치된다.
메인 결합부(150)는 메인 몸체(110)의 내주에 의해 부분적으로 둘러싸인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메인 결합부(150)는 개방 형성된 상측 및 전방 측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메인 몸체(110)의 내주에 의해 둘러싸인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메인 결합부(150)는 가이드 연장부(151) 및 결합 돌기(152)를 포함한다.
가이드 연장부(151)는 메인 커버(100)에 결합되는 서브 커버(200)를 가이드한다. 서브 커버(200)는 가이드 바(230)가 가이드 연장부(151)와 결합되거나 분리되는 방향으로 메인 커버(100)와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메인 커버(100)와 서브 커버(200)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면서도 안정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가이드 연장부(151)는 서브 커버(200)가 메인 커버(100)와 결합되는 방향 및 분리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가이드 연장부(151)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방향이, 핸들부(141)의 상기 일 부분의 연장 방향과 같음이 이해될 것이다.
가이드 연장부(151)의 내부에는 중공이 형성된다. 상기 중공은 가이드 연장부(151)가 연장되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중공은 가이드 연장부(151)가 연장되는 방향의 일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 단부까지 연장된다.
즉, 상기 중공은 가이드 연장부(151)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서브 커버(200)의 가이드 바(230)는 상기 전방 측을 통해 상기 중공에 관통 삽입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가이드 연장부(151)는 원호 형상의 단면을 갖고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며,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실린더(cylinder) 형상이다. 가이드 연장부(151)의 형상은 가이드 바(230)가 결합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가이드 연장부(151)는 메인 결합부(150)를 둘러싸는 메인 몸체(110)의 내주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가이드 연장부(151)는 메인 결합부(150)를 하측에서 둘러싸는 메인 몸체(110)의 내주에 배치된다.
가이드 연장부(151)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가이드 연장부(151)는 서로 다른 위치에서 서브 커버(200)의 가이드 바(230)와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가이드 연장부(151)는 두 개 구비되어, 메인 결합부(150)가 연장되는 방향, 즉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위치된다.
결합 돌기(152)는 서브 커버(200)의 서브 결합부(220)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메인 커버(100)와 서브 커버(200)의 결합 상태는, 결합 돌기(152)와 서브 결합부(220)가 결합되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결합 돌기(152)는 서브 결합부(220)와 후크 결합(hook fit)될 수 있다.
결합 돌기(152)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결합 돌기(152)는 서로 다른 위치에서 서브 결합부(220)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결합 돌기(152)는 메인 결합부(150)를 둘러싸는 메인 몸체(110)의 내주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결합 돌기(152)는 두 개 구비되어, 메인 결합부(150)를 좌측 및 우측에서 둘러싸는 메인 몸체(110)의 내주에 각각 위치된다. 즉, 두 개의 결합 돌기(152)는 메인 결합부(150)가 길게 연장되는 방향, 즉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위치된다.
결합 돌기(152)의 개수 및 배치 방식은 서브 결합부(220)의 개수 및 배치 방식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결합 돌기(152)는 메인 결합부(150)의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측에 위치되는 결합 돌기(152)는 우측을 향해 돌출 형성된다. 또한, 우측에 위치되는 결합 돌기(152)는 좌측을 향해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복수 개의 결합 돌기(152)는 서로를 향해 돌출 형성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결합 돌기(152)는 상하 방향의 연장 길이가 전후 방향 또는 좌우 방향의 연장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결합 돌기(152)와 서브 결합부(220)가 결합되는 면적이 증가되어, 메인 커버(100)와 서브 커버(200)의 결합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결합 돌기(152)는 전후 방향의 형상이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돌기(152)의 전방 측 면의 곡률은 후방 측 면의 곡률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결합 돌기(152)의 전방 측면은 후방 측면보다 전후 방향에 대해 더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결합 돌기(152)의 상기 형상 및 서브 결합부(220)의 서브 돌기(221)의 형상에 의해 서브 커버(200)가 메인 커버(100)를 향해 가압되는 것만으로도 서브 돌기(221)와 결합 돌기(152)가 결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결합 돌기(152)의 상기 형상 및 서브 돌기(221)의 형상에 의해, 서로 결합된 결합 돌기(152)와 서브 돌기(221)는 외력이 인가되지 않는 한 임의로 분리되지 않는다.
(2) 서브 커버(200)의 설명
도 12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버 조립체(20)는 서브 커버(200)를 포함한다.
서브 커버(200)는 메인 커버(100)와 결합되어, 메인 커버(100)의 일부 구성 요소를 덮는다. 서브 커버(200)에 의해, 메인 커버(100)의 상기 일부 구성 요소는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다.
서브 커버(200)는 메인 커버(1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서브 커버(200)는 메인 커버(100)를 향하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으로 가압되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메인 커버(100)와 결합된 서브 커버(200)는 외력이 인가되지 않는 한 임의로 메인 커버(100)와 분리되지 않는다. 이는 후술될 서브 결합부(220)에 의해 달성된다.
서브 커버(200)는 메인 커버(100)의 메인 결합부(150)에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서브 커버(200)는 메인 결합부(150)를 덮으며, 메인 결합부(150)에 수용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서브 커버(200)는 서브 몸체(210), 서브 결합부(220) 및 가이드 바(230)를 포함한다.
서브 몸체(210)는 서브 커버(200)의 외형 내지 몸체를 형성한다. 서브 몸체(210)에는 상술한 서브 커버(200)의 각 구성, 즉 서브 결합부(220) 및 가이드 바(230)가 위치된다.
서브 몸체(210)는 경량이면서도 고강성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 조립체(20)가 결합된 전력 변환 장치(1) 전체의 중량이 과도하게 증가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서브 몸체(210)는 내열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인버터 장치(10)에서 발생되는 고열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일 실시 예에서, 서브 몸체(210)는 강화 플라스틱 등의 합성 수지 소재 또는 세라믹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서브 몸체(210)는 제1 서브 면(211), 제2 서브 면(212) 및 파지 공간부(213)를 포함한다.
제1 서브 면(211)은 서브 몸체(210)의 골격의 일부를 형성한다. 또한, 제1 서브 면(211)은 서브 몸체(210)의 일 면을 형성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서브 면(211)은 서브 몸체(210)의 상측 면을 형성한다.
제1 서브 면(211)은 일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제1 서브 면(211)이 연장되는 상기 일 방향은 메인 결합부(150)가 연장되는 방향과 같음이 이해될 것이다.
제1 서브 면(211)이 짧게 연장되는 방향의 모서리 중 메인 커버(100)를 향하는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 모서리에는 홈이 형성된다. 상기 홈은 상기 후방 측 모서리에서 함몰 형성된다.
상기 홈은 서브 커버(200)가 덮는 메인 결합부(150)와 외부를 연통한다. 작업자는 상기 홈을 통해 서브 커버(200)를 파지할 수 있다.
제1 서브 면(211)은 제2 서브 면(212)과 연속된다.
제2 서브 면(212)은 서브 몸체(210)의 골격의 나머지 일부를 형성한다. 또한, 제2 서브 면(212)은 서브 몸체(210)의 타면을 형성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2 서브 면(212)은 서브 몸체(210)의 전방 측 면을 형성한다.
제2 서브 면(212)은 상기 일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제2 서브 면(212)이 연장되는 상기 일 방향 또한 메인 결합부(150)가 연장되는 방향과 같음이 이해될 것이다.
제2 서브 면(212)은 제1 서브 면(211)과 연속된다. 즉, 제1 서브 면(211)과 제2 서브 면(212)이 서로 마주하는 각 모서리는 서로 연속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서브 면(211)의 전방 측 모서리 및 제2 서브 면(212)의 상측 모서리가 서로 연속된다.
제2 서브 면(212)과 제1 서브 면(211)은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연속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소정의 각도는 직각일 수 있다.
제1 서브 면(211) 및 제2 서브 면(212)의 형상은 서브 결합부(220)의 형상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제2 서브 면(212)이 연장되는 방향의 각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측 단부 및 우측 단부에는 서브 결합부(220)가 위치된다.
파지 공간부(213)는 작업자가 필터 커버(300)를 파지하기 위해 손이나 도구 등을 삽입할 수 있는 공간이다.
파지 공간부(213)는 제2 서브 면(212)의 모서리 중 필터 커버(300)를 향하는 일 모서리에서 함몰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파지 공간부(213)는 제2 서브 면(212)의 하측 모서리에서 함몰 형성된다. 파지 공간부(213)가 함몰되는 길이는, 작업자의 손 또는 도구 등이 삽입되기에 충분하게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파지 공간부(213)는 필터 커버(300)의 파지부(311)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파지 공간부(213)는 제2 서브 면(212)의 하측 모서리의 좌우 방향의 중앙 부분에 위치된다. 파지 공간부(213)의 위치는 파지부(311)의 위치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서브 결합부(220)는 서브 커버(200)가 메인 커버(100)에 체결되는 부분이다. 서브 결합부(220)에 의해, 서브 커버(200)는 메인 커버(1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서브 결합부(220)는 메인 커버(100)의 결합 돌기(152)에 탈거 가능하게 결합된다. 일 실시 예에서, 서브 결합부(220)와 결합 돌기(152)는 후크 결합(hook fit)될 수 있다.
서브 결합부(22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서브 결합부(220)는 서브 커버(200)의 서로 다른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서브 결합부(220)는 두 개 구비되어, 제2 서브 면(212)의 좌측 및 우측 단부에 각각 위치된다.
서브 결합부(220)의 위치는 메인 커버(100)의 결합 돌기(152)의 위치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서브 결합부(220)가 복수 개 구비됨에 따라, 서브 커버(200)는 복수 개의 위치에서 메인 커버(100)와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브 커버(200)와 메인 커버(100)의 결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서브 결합부(220)는 외력에 의해 가압되어 복원력을 저장하며 형상 변형된 후, 상기 복원력에 의해 서브 커버(200)와 메인 커버(100)의 결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서브 결합부(220)는 소정의 형상 변형이 가능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서브 결합부(220)는 서브 돌기(221), 가압 돌기(222) 및 탄성부(223)를 포함한다(도 14에 가장 잘 도시됨).
서브 돌기(221)는 결합 돌기(152)와 결합되어, 서브 커버(200)와 메인 커버(100)의 결합 상태를 유지한다.
서브 돌기(221)는 제2 서브 면(212)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서브 결합부(220)는 복수 개 구비되어, 제2 서브 면(212)의 좌측 단부 및 우측 단부에 각각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좌측에 위치되는 서브 돌기(221)는 좌측을 향해, 우측에 위치되는 서브 돌기(221)는 우측을 향해 돌출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결합 돌기(152) 또한 복수 개 구비되어, 메인 결합부(150)를 좌측 및 우측에서 둘러싸는 각 면에서 서로를 향해 연장 형성된다.
이때, 외력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서브 돌기(221) 및 결합 돌기(152)는 전후 방향으로 겹쳐지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서브 돌기(221)의 단부는 전후 방향으로 결합 돌기(152)와 겹쳐지고, 결합 돌기(152)의 단부는 전후 방향으로 서브 돌기(221)와 겹쳐질 수 있다.
따라서, 외력이 인가되지 않는 한, 서브 돌기(221)는 결합 돌기(152)를 통과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서브 커버(200)와 메인 커버(100)의 결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서브 돌기(221)는 가압 돌기(222)와 이격되어 위치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서브 돌기(221)는 가압 돌기(222)의 후방 측에, 가압 돌기(222)와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위치된다. 서브 돌기(221)와 가압 돌기(222)가 이격되어 형성되는 공간에는 결합 돌기(152)가 수용된다.
서브 돌기(221)는 탄성부(223)와 연결된다. 후술될 바와 같이, 가압 돌기(222)가 가압되어 탄성부(223)가 만곡되면, 서브 돌기(221)는 탄성부(223)와 함께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서브 돌기(221)는 결합 돌기(152)에 반대되는 방향, 즉 내측을 향해 이동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가압 돌기(222)가 가압될 경우 좌측에 위치되는 서브 돌기(221)는 우측을 향해, 우측에 위치되는 서브 돌기(221)는 좌측을 향해 이동됨이 이해될 것이다.
이에 따라, 서브 돌기(221)와 결합 돌기(152)는 전후 방향으로 겹쳐지지 않게 된다. 달리 표현하면, 서브 돌기(221)와 결합 돌기(152)는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다.
상기 상태에서, 서브 커버(200)는 메인 커버(100)에 결합되거나, 메인 커버(100)에서 분리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외력이 인가되지 않는 한, 메인 커버(100)에 결합된 서브 커버(200)는 메인 커버(100)와 임의 분리되지 않는다.
가압 돌기(222)는 탄성부(223) 및 탄성부(223)에 연결된 서브 돌기(221)를 이동시키기 위한 외력이 인가되는 부분이다. 일 실시 예에서, 가압 돌기(222)는 작업자에 의해 가압될 수 있다.
가압 돌기(222)는 메인 커버(100)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서브 돌기(221)와 이격되어 위치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가압 돌기(222)는 서브 돌기(221)의 전방 측에 위치된다.
가압 돌기(222)의 일부는 서브 몸체(210)의 외측으로 노출된다. 가압 돌기(222)의 외측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 및 좌측 또는 우측 단부는 제2 서브 면(212)의 외측으로 노출된다.
즉, 제2 서브 면(212)의 좌측 단부에 위치되는 가압 돌기(222)는 그 전방 측 및 좌측 단부가 외측으로 노출된다. 또한, 제2 서브 면(212)의 우측 단부에 위치되는 가압 돌기(222)는 그 전방 측 및 우측 단부가 외측으로 노출된다.
이에, 작업자는 가압 돌기(222)가 외측으로 노출된 상기 부분들을 가압하여 서브 커버(200)를 메인 커버(100)에 결합시키거나, 메인 커버(100)에서 분리할 수 있다.
가압 돌기(222)는 탄성부(223)와 연속된다. 가압 돌기(222)가 내측을 향해 가압되면, 탄성부(223)가 형상 변형되며 서브 돌기(221)가 이동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가압 돌기(222)는 탄성부(223)의 일 단부, 즉 전방 측 단부와 연속된다.
좌측 및 우측에 위치되는 각 가압 돌기(222)는 제2 서브 면(212)이 연장되는 방향의 외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측 및 우측으로 각각 연속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좌측 및 우측에 위치되는 각 서브 돌기(221) 또한 가압 돌기(222)와 같은 방향으로 연속된다.
이에, 서브 돌기(221)와 가압 돌기(222)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에 형성된다. 상기 소정의 공간에는 결합 돌기(152)가 인출 가능하게 삽입됨은 상술한 바와 같다.
탄성부(223)는 외력이 인가됨에 따라 형상 변형되며 복원력을 저장한다. 탄성부(223)가 저장한 복원력에 의해, 서브 커버(200)와 메인 커버(100)의 결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탄성부(223)는 서브 돌기(221)와 결합된다. 서브 돌기(221)는 탄성부(223)가 형상 변형됨에 따라 제2 서브 면(212)의 내측 또는 외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탄성부(223)는 가압 돌기(222)와 결합된다. 탄성부(223)는 가압 돌기(222)가 내측을 향해 가압됨에 따라 형상 변형될 수 있다.
탄성부(223)는 제2 서브 면(212)에 결합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탄성부(223)는 제2 서브 면(212)의 좌측 단부 및 우측 단부와 각각 연속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탄성부(223)는 적어도 하나의 절곡부를 포함한다. 상기 절곡부는 서브 결합부(220)의 후방 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절곡부는 가압 돌기(222)에 인가되는 외력에 의해 형상 변형될 수 있다.
상기 절곡부는 복수 개의 판이 서로 연속되는 부분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기 절곡부는 두 개의 판의 후방 측 단부가 서로 연속되어 형성된다. 즉, 상기 실시 예에서, 탄성부(223)의 형상은 'V'자 형태이다.
구체적으로, 가압 돌기(222)에 내측을 향하는 방향의 외력이 인가되면, 상기 절곡부를 형성하는 복수 개의 판 사이의 거리가 감소된다. 이에 따라, 서브 돌기(221) 또한 내측으로 이동되어, 서브 돌기(221)와 결합 돌기(152)가 좌우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탄성부(223)는 탄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되어, 형상 변형되며 복원력을 저장할 수 있다. 가압 돌기(222)에 인가되던 외력이 소멸하면, 탄성부(223)는 초기 형상으로 복원된다. 즉, 상기 절곡부를 형성하는 복수 개의 판 사이의 거리가 증가되며 원래 형상으로 복귀된다.
이에 따라, 서브 돌기(221) 또한 외측으로 이동되어, 서브 돌기(221)와 가압 돌기(222)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결합 돌기(152)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과정에 의해 서브 결합부(220)와 결합 돌기(152)가 결합된다.
가이드 바(230)는 서브 커버(200)가 메인 커버(100)에 결합되는 방향을 구속한다. 가이드 바(230)에 의해, 서브 커버(200)는 기 설정된 방향으로만 메인 커버(100)에 결합될 수 있다.
가이드 바(230)는 서브 몸체(210)에서 메인 커버(100)를 향하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을 향해 연장 형성된다. 가이드 바(230)는 제1 서브 면(211)에 반대되는 서브 몸체(210)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의 하측에 위치된다.
가이드 바(230)는 소정의 단면을 갖고, 메인 커버(100)를 향해 연장된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가이드 바(230)는 원형의 단면을 갖고, 후방 측으로 연장 형성된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가이드 바(230)의 형상은 가이드 연장부(151)의 내부에 형성된 중공부의 형상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이때, 가이드 바(230)는 그 단부가 테이퍼(taper) 가공되어, 가이드 연장부(151)와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가이드 바(230)는 메인 커버(100)의 가이드 연장부(151)와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가이드 바(230)는 가이드 연장부(151)의 내부에 관통 형성된 중공부에 인출 가능하게 삽입 결합된다.
따라서, 서브 커버(200)는 가이드 바(230)가 가이드 연장부(151)의 상기 중공부에 삽입되는 방향으로만 메인 커버(100)와 결합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가이드 바(23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가이드 바(230)는 서로 다른 위치에서 서브 몸체(210)로부터 메인 커버(100)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가이드 바(230)는 두 개 구비되어,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복수 개의 가이드 바(230)는 복수 개의 가이드 연장부(151) 내부에 형성된 중공부에 각각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서브 커버(200)의 결합 방향이 복수 개의 위치에서 가이드됨에 따라, 서브 커버(200)와 메인 커버(100)의 결합 과정이 안정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3) 필터 커버(300)의 설명
도 17 내지 도 2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버 조립체(20)는 필터 커버(300)를 포함한다.
필터 커버(300)는 메인 커버(100)에 삽입된 필터 부재(400)를 외측에서 지지한다. 필터 커버(300)는 필터 부재(400)를 덮으며 메인 커버(1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필터 커버(300)는 메인 커버(100)의 수용 공간부(130)에 삽입된다. 따라서, 필터 커버(300)의 형상은 수용 공간부(130)의 형상에 상응하게 결정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필터 커버(300)는 좌우 방향의 연장 길이가 상하 방향의 연장 길이보다 길고, 전후 방향의 두께를 갖는 사각의 판형으로 구비된다.
필터 커버(300)의 면 중 일 면,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 면은 외부에 노출된다. 필터 커버(300)의 면 중 상기 일 면을 마주하는 타 면,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 면은 필터 부재(400)를 마주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필터 커버(300)는 필터 커버 몸체(310), 그리드(grid)부(320), 필터 수용부(330) 및 필터 지지부(340)를 포함한다.
필터 커버 몸체(310)는 필터 커버(300)의 외형 내지 몸체를 형성한다. 필터 커버 몸체(310)에는 상술한 필터 커버 몸체(310)의 각 구성, 즉 그리드부(320), 필터 수용부(330) 및 필터 지지부(340)가 위치된다.
필터 커버 몸체(310)는 경량이면서도 고강성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 조립체(20)가 구비된 전력 변환 장치(1)의 전체 중량이 과다하게 증가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필터 커버 몸체(310)는 내열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인버터 장치(10)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일 실시 예에서, 필터 커버 몸체(310)는 강화 플라스틱 등의 합성 수지 소재 또는 세라믹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필터 커버 몸체(310)는 파지부(311), 구속 돌출부(312) 및 체결 공간부(313)를 포함한다.
파지부(311)는 필터 커버 몸체(310)가 작업자에 의해 파지되는 부분이다. 필터 커버(300)가 메인 커버(100)와 결합되면, 파지부(311)는 수용 공간부(130)의 일측으로 노출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파지부(311)는 수용 공간부(130)의 상측에 노출된다.
파지부(311)는 파지 공간부(213)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일 실시 예에서, 파지부(311)는 파지 공간부(213)에 부분적으로 수용될 수 있다. 작업자는 손 또는 도구 등을 파지 공간부(213)에 삽입한 후, 파지부(311)를 파지할 수 있다.
파지부(311)는 필터 커버 몸체(310)의 일 모서리에 위치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파지부(311)는 서브 커버(200)를 향하는 필터 커버 몸체(310)의 일측, 즉 상측 모서리에 위치된다.
일 실시 예에서, 파지부(311)는 필터 커버 몸체(310)가 길게 연장되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우 방향으로 중앙 부분에 위치될 수 있다. 파지부(311)의 위치는 파지 공간부(213)의 위치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파지부(311)의 내부에는 개구부(도면 부호 미표기)가 형성될 수 있다. 작업자는 상기 개구부를 둘러싸는 복수 개의 면 중 하나 이상을 파지할 수 있다.
파지부(311)와 이격되어, 구속 돌출부(312)가 위치된다.
구속 돌출부(312)는 필터 커버(300)가 메인 커버(100)와 결합되는 부분이다. 구속 돌출부(312)는 메인 커버(100)의 결합 연장부(143)와 결합 또는 분리된다. 이에 따라, 수용 공간부(130)에 삽입된 필터 커버(300) 및 필터 커버(300)에 의해 지지되는 필터 부재(400)의 임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구속 돌출부(312)는 필터 커버 몸체(310)의 상기 일 모서리에 위치된다. 즉, 구속 돌출부(312)는 서브 커버(200)를 향하는 필터 커버 몸체(310)의 상기 일측, 상측 모서리에 위치된다.
구속 돌출부(312)는 파지부(311)와 이격되어 위치된다. 또한, 구속 돌출부(312)는 체결부(140)와 상하 방향으로 겹쳐지게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속 돌출부(312)는 체결부(140)의 결합 연장부(143)의 수직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구속 돌출부(312)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구속 돌출부(312)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구속 돌출부(312)는 두 개 구비되어, 필터 커버 몸체(310)가 길게 연장되는 방향, 즉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위치된다. 두 개의 구속 돌출부(312) 사이에는 파지부(311)가 위치된다.
달리 표현하면, 두 개의 구속 돌출부(312)는 서로 이격되어, 파지부(311)를 사이에 두고 마주하게 배치된다.
체결부(140)를 향하는 구속 돌출부(312)의 일측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 단부는 필터 커버 몸체(310)를 향해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달리 표현하면, 구속 돌출부(312)의 상측 단부는 전방 측의 높이가 후방 측의 높이보다 높다.
따라서, 필터 커버 몸체(310)는 수용 공간부(130)에 용이하게 삽입되되, 임의로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구속 돌출부(312)는 복수 개의 면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구속 돌출부(312)는 서로 마주하는 두 쌍의 면을 포함한다. 각 쌍의 면은 서로 연속되되, 그 사이에는 체결 공간부(313)가 형성된다.
체결 공간부(313)는 체결부(140)의 결합 연장부(143)가 삽입되고 인출되는 공간이다. 체결 공간부(313)는 구속 돌출부(312)의 내부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속 돌출부(312)는 서로 마주하는 두 쌍의 면으로 구성된다. 체결 공간부(313)는 각 쌍의 면이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구속 돌출부(312)를 구성하는 각 쌍의 각 면은 체결 공간부(313)를 사이에 두고 마주하게 배치된다.
서브 커버(200)를 향하는 체결 공간부(313)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에는 개구부가 형성된다. 체결부(140)의 결합 연장부(143)는 상기 개구부를 통해 체결 공간부(313)에 삽입되거나 인출될 수 있다.
체결 공간부(313)에 삽입된 결합 연장부(143)의 하측 단부는, 체결 공간부(313)를 둘러싸는 복수 개의 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면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수용 공간부(130)에 수용된 필터 커버(300) 및 필터 부재(400)가 임의로 이탈되지 않고, 결합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그리드부(320)는 필터 커버(300)가 외부와 연통되는 부분이다. 외기는 그리드부(320)를 통과하여 필터 부재(400)를 향해 유동될 수 있다.
그리드부(320)는 필터 부재(400)에 반대되는 필터 커버 몸체(310)의 일 면,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 면에 형성된다. 즉, 그리드부(320)는 필터 부재(400)를 사이에 두고 송풍 팬(11) 또는 연통부(120)를 마주하게 배치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그리드부(320)는 관통공(321) 및 리브(rib)(322)를 포함한다.
관통공(321)은 외기가 필터 커버(300)를 통과하는 통로로 기능된다. 관통공(321)은 필터 커버 몸체(310)의 상기 일 면,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 면에 형성된다.
관통공(321)은 필터 커버 몸체(310)의 상기 일 면의 두께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달리 표현하면, 관통공(321)은 필터 부재(400)를 향하는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관통공(321)은 육각형의 단면을 갖게 형성된다. 관통공(321)의 형상은 여타 다각형, 원형 또는 타원형 등으로 변경될 수 있다.
관통공(321)은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관통공(321)은 서로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다. 즉, 복수 개의 관통공(321)은 리브(322)에 의해 이격된다.
리브(322)는 복수 개의 관통공(321) 사이에 형성되어, 복수 개의 관통공(321)을 물리적으로 이격시킨다. 또한, 리브(322)는 관통공(321)이 형성된 필터 커버 몸체(310)의 상기 일 면의 강성을 보강한다.
리브(322)는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리브(322)는 복수 개의 관통공(321) 사이에 각각 위치될 수 있다.
필터 수용부(330)는 필터 부재(400)를 수용하는 공간이다(도 19 및 도 20에 가장 잘 도시됨). 필터 수용부(330)는 부분적으로 개방 형성되되, 나머지 부분은 필터 커버 몸체(310)에 둘러싸여 형성된다.
필터 수용부(330)는 메인 커버(100) 또는 필터 부재(400)를 향하는 필터 커버 몸체(310)의 타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에 형성된다.
필터 수용부(330)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은 그리드부(320)에 둘러싸인다. 필터 수용부(330)는 그리드부(320)의 관통공(321)에 의해 외부와 연통된다.
필터 수용부(330)의 상기 일측에 반대되는 타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은 개방 형성된다. 필터 부재(400)는 상기 후방 측을 통해 필터 수용부(330)에 수용될 수 있다.
필터 수용부(330)의 다른 타측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 하측, 좌측 및 우측은 각각 필터 커버 몸체(310)에 둘러싸인다. 필터 커버 몸체(310)는 필터 수용부(330)에 수용된 필터 부재(400)를 각 측에서 지지할 수 있다.
필터 수용부(330)를 둘러싸는 필터 커버 몸체(310)의 상기 다른 타측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측의 내측에는 필터 지지부(340)가 위치된다.
필터 지지부(340)는 필터 수용부(330)에 수용된 필터 부재(400)를 지지한다. 필터 지지부(340)에 의해, 필터 부재(400)는 필터 수용부(330)에 수용된 상태에서 요동되지 않게 된다.
필터 지지부(340)는 필터 커버 몸체(310)에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필터 수용부(330)는 필터 커버 몸체(310)에 의해 상측, 하측, 좌측 및 우측이 둘러싸인다.
필터 지지부(340)는 필터 커버 몸체(310)의 상측, 하측, 좌측 및 우측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측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필터 지지부(340)는 필터 커버 몸체(310)의 상측 및 하측의 내측에 위치된다.
필터 지지부(340)는 서로 이격되어 마주하는 복수 개의 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면 사이에는 필터 부재(400)가 삽입되는 공간이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필터 지지부(340)는 후방 측 단부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일 면 및 상기 일 면과 그리드부(320)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공간을 사이에 두고 상기 일 면을 마주하는 타 면을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필터 지지부(34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필터 지지부(340)는 서로 다른 위치에서 필터 부재(400)를 지지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필터 지지부(340)는 필터 커버 몸체(310)의 상측의 내측에 위치되는 제1 필터 지지부(341) 및 필터 커버 몸체(310)의 하측의 내측에 위치되는 제2 필터 지지부(342)를 포함한다.
제1 필터 지지부(341) 및 제2 필터 지지부(342)는 각각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제1 필터 지지부(341)는 서로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제2 필터 지지부(342) 또한 서로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필터 지지부(341) 및 제2 필터 지지부(342)는 각각 두 개 구비되어, 필터 커버 몸체(310)가 더 길게 연장되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위치된다.
따라서, 필터 수용부(330)에 수용된 필터 부재(400)는 복수 개의 위치, 즉 좌상측, 우상측, 좌하측 및 우하측에서 각각 지지된다. 이에 따라, 필터 부재(400)가 필터 수용부(330)에 안정적으로 수용될 수 있다.
(4) 필터 부재(400)의 설명
다시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버 조립체(20)는 필터 부재(400)를 포함한다.
필터 부재(400)는 인버터 장치(10)의 내부로 유입되는 외기를 필터링(filtering)한다. 외기에 함유되어 있던 먼지 등은 필터 부재(400)에 의해 걸러지게 된다. 즉, 필터 부재(400)를 통과하는 외기는 먼지가 제거된 상태이다.
따라서, 인버터 장치(10)의 내부에 구비되는 각 구성 요소는, 유입된 외기에 의해 손상되지 않게 된다.
필터 부재(400)는 공기가 통과되되, 공기 중에 함유된 먼지 등을 걸러낼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저성능 필터(pre filter), 중성능 필터(medium filter), 고성능 필터(HEPA, High Efficiency Particulate Air filter) 또는 초고성능 필터(ULPA, Ultra Low Penetration Air filter)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필터 부재(400)는 직사각형의 단면을 갖고, 전후 방향의 두께를 갖는 직사각의 판형으로 구비된다. 필터 부재(400)의 형상은 메인 커버(100) 및 필터 커버(300)의 형상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필터 부재(400)는 메인 커버(100)에 수용된다. 구체적으로, 필터 부재(400)는 메인 커버(100)의 내부에 형성되는 수용 공간부(130)에 수용된다.
메인 커버(100)를 향하는 필터 부재(400)의 일 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은 메인 커버(10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메인 커버(100)에 반대되는 필터 부재(400)의 타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은 필터 커버(30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즉, 필터 커버(300)는 필터 부재(400)를 사이에 두고 메인 커버(100)의 수용 공간부(130)를 마주하게 배치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필터 커버(300)에는 외부와 연통되는 그리드부(320)가 구비된다. 외기는 그리드부(320)의 관통공(321) 및 필터 부재(400)를 차례로 통과하여, 인버터 장치(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4.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버 조립체(20)를 구성하는 결합 관계의 설명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버 조립체(20)는 인버터 장치(10)와 결합되어, 인버터 장치(10)를 외부와 물리적으로 이격시킨다. 또한, 커버 조립체(20)는 인버터 장치(10) 내부에서 발생된 열을 냉각하기 위한 외기를 흡입하되, 외기에 함유된 먼지 등을 필터링할 수 있다.
따라서, 인버터 장치(10)에 구비되는 송풍 팬(11)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되어, 송풍 팬(11)의 작동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안전 사고가 예방될 수 있다. 또한, 인버터 장치(10)의 각 구성 요소가 커버 조립체(20)에 의해 덮이므로, 외부에 노출되지 않게 된다.
더 나아가, 외기가 필터링된 후 인버터 장치(10) 내부로 유입되므로, 인버터 장치(10) 내부의 구성 요소가 먼지 등에 의해 손상되지 않게 된다. 더 나아가. 커버 조립체(20)에 의해, 인버터 장치(10) 및 이를 포함하는 전력 변환 장치(1)의 외관이 미려해질 수 있다.
상술한 커버 조립체(20)의 각 구성 요소는 다양한 방식에 의해 결합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즉, 외력이 인가되지 않는 한, 커버 조립체(20)를 구성하는 각 구성 요소는 임의로 분리되지 않게 된다.
이하, 도 21 내지 도 2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버 조립체(20)의 각 구성 요소의 결합 관계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1 및 도 22를 참조하면, 커버 조립체(20)를 구성하는 각 구성 요소가 서로 결합된 상태의 정면도(도 21) 및 측단면도(도 22)가 도시된다.
결합 상태에서, 메인 커버(100)의 체결부(140)의 핸들부(141)는 필터 커버(300)를 향하는 방향, 즉 하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된다. 이에 따라, 결합 연장부(143) 또한 하측으로 이동되어, 필터 커버(300)의 체결 공간부(313)에 삽입된다.
체결 공간부(313)에 삽입된 결합 연장부(143)는 체결 공간부(313)를 둘러싸는 복수 개의 면, 즉 구속 돌출부(312)를 형성하는 두 쌍의 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면에 의해 지지된다.
한편, 필터 커버(300)의 필터 수용부(330)는 필터 부재(400)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필터 커버(300)는 수용 공간부(130)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필터 부재(400)가 결합된 필터 커버(300)가 수용 공간부(130)에 수용되면, 필터 커버(300)가 체결부(140)에 의해 지지되어 임의 요동되지 않게 된다.
한편, 서브 커버(200) 또한 메인 커버(100)와 결합된다. 이때, 서브 커버(200)의 가이드 바(230)가 메인 커버(100)의 가이드 연장부(151)의 내부에 형성된 중공부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서브 커버(200)와 메인 커버(100)가 결합된다.
이때, 서브 결합부(220)의 가압 돌기(222)는 외력에 의해 내측으로 가압된다. 이에 따라, 탄성부(223)의 형상이 변형되며, 탄성부(223)에 연결된 서브 돌기(221) 또한 내측으로 이동되어, 결합 돌기(152)와 전후 방향으로 겹쳐지지 않게 된다.
가이드 바(230)와 가이드 연장부(151)의 결합이 완료되면, 결합 돌기(152)는 전후 방향으로 서브 돌기(221)와 가압 돌기(222) 사이에 위치된다. 가압 돌기(222)에 인가되던 외력이 해제되면 탄성부(223)는 형상 변형되며 저장한 복원력에 의해 원래 형상으로 복귀된다.
이에 따라, 서브 돌기(221) 및 가압 돌기(222)가 외측으로 이동되어, 결합 돌기(152)는 서브 돌기(221) 및 가압 돌기(222)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수용된다.
결합 돌기(152)는 서브 돌기(221)의 전방 측에서 서브 돌기(221)와 전후 방향으로 겹쳐지게 배치되어, 외력이 인가되지 않는 한 서브 커버(200)가 메인 커버(100)에서 임의 분리되지 않게 된다.
도 23 및 도 24를 참조하면, 커버 조립체(20)를 구성하는 각 구성 요소가 분리될 수 있는 상태의 정면도(도 23) 및 측단면도(도 24)가 도시된다.
상기 상태에서, 체결부(140)의 핸들부(141)는 필터 커버(300)에 반대되는 방향, 즉 상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된다. 이에 따라, 결합 연장부(143) 또한 상측으로 이동되어, 체결 공간부(313)에서 인출된다.
따라서, 체결부(140)는 필터 커버(300)를 구속하지 않게 되어, 필터 커버(300)가 수용 공간부(130)에서 인출될 수 있다.
또한, 서브 커버(200)가 메인 커버(100)와 분리되기 위해, 가압 돌기(222)가 내측으로 가압된다. 이에 따라, 탄성부(223)의 형상이 변형되며, 탄성부(223)에 연결된 서브 돌기(221) 또한 내측으로 이동되어, 결합 돌기(152)와 전후 방향으로 겹쳐지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서브 커버(200)는 메인 커버(100)에 반대되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을 향해 이동될 수 있다.
이때, 가이드 바(230)는 가이드 연장부(151)에 인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가이드 바(230)가 구비되는 실시 예에서, 가이드 바(230)는 같은 속도로 가이드 연장부(151)에서 인출된다. 즉, 가이드 바(230) 및 가이드 연장부(151)에 의해, 서브 커버(200)의 인출 방향이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에서 가이드될 수 있다.
따라서, 서브 커버(200)는 메인 커버(100)에서 용이하고도 안정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전력 변환 장치
10: 인버터 장치
11: 송풍 팬
12: 단자부
20: 커버 조립체
100: 메인 커버
110: 메인 몸체
111: 윙부
112: 단자 개구부
120: 연통부
121: 격벽
130: 수용 공간부
140: 체결부
141: 핸들부
143: 결합 연장부
144: 지지 부재
150: 메인 결합부
151: 가이드 연장부
152: 결합 돌기
200: 서브 커버
210: 서브 몸체
211: 제1 서브 면
212: 제2 서브 면
213: 파지 공간부
220: 서브 결합부
221: 서브 돌기
222: 가압 돌기
223: 탄성부
230: 가이드 바
300: 필터 커버
310: 필터 커버 몸체
311: 파지부
312: 구속 돌출부
313: 스위치 결합부
320: 그리드(grid)부
321: 관통공
322: 리브(rib)
330: 필터 수용부
340: 필터 지지부
341: 제1 필터 지지부
342: 제2 필터 지지부
400: 필터 부재

Claims (19)

  1.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메인 커버;
    상기 메인 커버의 상기 공간을 덮으며 상기 메인 커버에 탈거 가능하게 결합되는 필터 커버;
    상기 필터 커버에 탈거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메인 커버의 상기 공간에 수용되는 필터 부재; 및
    상기 메인 커버에 탈거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서브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커버는,
    관통 형성되어 외부와 연통되고, 상기 공간을 형성하는 수용 공간부; 및
    상기 수용 공간부를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메인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 공간부에 수용된 상기 필터 커버는, 상기 메인 몸체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메인 커버에는,
    상기 서브 커버의 상기 일 방향의 각 단부를 둘러싸는 상기 메인 몸체의 각 부분에 위치되고, 내주의 일 측에서 타 측을 향해 돌출되고, 내주의 타 측에서 일 측을 향해 각각 돌출 형성되는 결합 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서브 커버는 상기 일 측 및 타 측 각각의 결합 돌기에 탈거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양 측에 구비되고, 적어도 하나의 돌기를 구비하는 서브 결합부를 포함하는 커버 조립체.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결합부는,
    상기 메인 몸체의 상기 각 부분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결합 돌기와 접촉되거나 이격되는 서브 돌기; 및
    상기 메인 몸체의 상기 각 부분을 향해 돌출되며, 상기 서브 돌기와 이격되어, 그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는 가압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 돌기는,
    상기 서브 돌기와 상기 가압 돌기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공간에 삽입되거나 인출되는,
    커버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결합부는,
    상기 서브 돌기 및 상기 가압 돌기와 각각 연속되며, 형상 변형 가능한 소재로 형성되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커버 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돌기는,
    상기 서브 돌기보다 상기 메인 몸체에 더 멀게 위치되는,
    커버 조립체.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커버는 타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메인 커버와 결합되고,
    상기 가압 돌기가 상기 결합 돌기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가압되면, 상기 결합 돌기와 상기 서브 돌기는 상기 타 방향을 따라 겹쳐지게 위치되는,
    커버 조립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커버는,
    상기 필터 커버를 향하는 방향 및 상기 필터 커버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 커버는,
    상기 체결부를 향하는 일측에 위치되어, 상기 체결부가 수용되거나 인출되는 체결 공간부를 포함하는,
    커버 조립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커버는,
    상기 체결 공간부를 둘러싸며, 상기 체결부를 향해 연장되는 구속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속 돌출부는,
    상기 체결 공간부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게 배치되는 어느 한 쌍의 면; 및
    상기 어느 한 쌍의 면과 연속되며, 상기 체결 공간부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게 배치되는 다른 한 쌍의 면을 포함하며,
    상기 체결 공간부에 수용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어느 한 쌍의 면 및 상기 다른 한 쌍의 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면에 의해 지지되는,
    커버 조립체.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메인 커버의 외측으로 노출되게 연장되며, 상기 필터 커버를 향하는 방향 및 상기 필터 커버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메인 몸체에 결합되는 핸들부; 및
    상기 핸들부와 결합되어 상기 핸들부와 함께 이동되며, 상기 필터 커버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체결 공간부에 수용되거나 인출되는 결합 연장부를 포함하는,
    커버 조립체.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커버는,
    상기 필터 부재를 수용하며, 상기 메인 커버를 향하는 일측이 개방 형성되는 필터 수용부; 및
    상기 필터 수용부를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필터 커버 몸체를 포함하는,
    커버 조립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커버는,
    상기 일측에 반대되는 타측에 위치되며, 상기 필터 수용부를 외부와 연통하는 복수 개의 관통공을 포함하는 그리드부를 포함하는,
    커버 조립체.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커버는,
    상기 필터 수용부를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상기 필터 커버 몸체에 위치되어, 수용된 상기 필터 부재를 지지하는 필터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필터 지지부는,
    상기 필터 수용부를 향해 연장되며, 서로 이격되어 마주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면; 및
    복수 개의 상기 면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필터 부재가 삽입되는 공간을 포함하는,
    커버 조립체.
  13. 외부의 전원과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외부의 전원에 의해 작동되는 송풍 팬을 포함하는 인버터 장치; 및
    상기 송풍 팬을 덮으며 상기 인버터 장치에 탈거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 조립체는,
    상기 송풍 팬을 수용하며, 외부와 연통되는 연통부를 포함하는 메인 커버;
    상기 메인 커버에 탈거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연통부를 덮는 필터 커버;
    상기 필터 커버에 수용되어, 상기 연통부를 덮는 필터 부재; 및
    상기 메인 커버에 탈거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서브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커버는,
    관통 형성되어 외부와 연통되고, 상기 공간을 형성하는 수용 공간부; 및
    상기 수용 공간부를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메인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 공간부에 수용된 상기 필터 커버는, 상기 메인 몸체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서브 커버의 상기 일 방향의 각 단부를 둘러싸는 상기 메인 몸체의 각 부분에 위치되고, 내주의 일 측에서 타 측을 향해 돌출되고, 내주의 타 측에서 일 측을 향해 각각 돌출 형성되는 결합 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서브 커버는 상기 일 측 및 타 측 각각의 결합 돌기에 탈 거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양 측에 구비되고, 적어도 하나의 돌기를 구비하는 서브 결합부를 포함하는,
    전력 변환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공간부는 외부 및 상기 연통부와 연통되며, 상기 인버터 장치에 반대되는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필터 커버는,
    상기 필터 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연통부를 마주하게 위치되며, 복수 개의 관통공 및 상기 관통공을 둘러싸는 복수 개의 리브를 구비하는 그리드부를 포함하는,
    전력 변환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커버는,
    상기 수용 공간부와 연통되며, 서브 커버가 덮는 공간인 메인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 돌기는 상기 메인 결합부를 감싸는 면에서 상기 메인 결합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서브 결합부는 상기 결합 돌기가 수용되거나 인출되는 공간을 포함하는 전력 변환 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결합부는,
    상기 면을 향해 돌출되며, 상기 결합 돌기가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 돌기보다 상기 메인 커버에 더 인접하게 위치되는 서브 돌기;
    상기 면을 향해 돌출되며, 상기 결합 돌기가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 돌기를 사이에 두고 상기 서브 돌기를 마주하게 위치되는 가압 돌기; 및
    상기 서브 돌기 및 상기 가압 돌기와 각각 연속되며, 형상 변형 가능한 소재로 형성되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전력 변환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돌기가 상기 메인 결합부를 향해 가압되면,
    상기 서브 돌기가 상기 결합 돌기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결합 돌기와 이격되는,
    전력 변환 장치.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커버는,
    상기 필터 커버를 향하는 방향 및 상기 필터 커버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 커버는,
    상기 체결부를 향하는 일측에 위치되어, 상기 체결부가 수용되거나 인출되는 체결 공간부를 포함하는,
    전력 변환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인버터 장치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메인 커버의 외측으로 노출되고, 승강 가능하게 상기 메인 커버에 결합되는 핸들부; 및
    상기 핸들부와 연결되어 상기 핸들부와 함께 승강되고, 상기 체결 공간부에 삽입되거나 인출되는 결합 연장부를 포함하는,
    전력 변환 장치.
KR1020200164860A 2020-11-30 2020-11-30 커버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력 변환 장치 KR1024852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4860A KR102485206B1 (ko) 2020-11-30 2020-11-30 커버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력 변환 장치
PCT/KR2021/017361 WO2022114763A1 (ko) 2020-11-30 2021-11-24 커버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력 변환 장치
US18/039,470 US20240001272A1 (en) 2020-11-30 2021-11-24 Cover assembly and power conversion device compri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4860A KR102485206B1 (ko) 2020-11-30 2020-11-30 커버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력 변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6073A KR20220076073A (ko) 2022-06-08
KR102485206B1 true KR102485206B1 (ko) 2023-01-05

Family

ID=81754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4860A KR102485206B1 (ko) 2020-11-30 2020-11-30 커버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력 변환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40001272A1 (ko)
KR (1) KR102485206B1 (ko)
WO (1) WO2022114763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90484B2 (ja) * 1989-08-01 1998-08-27 松下精工株式会社 空気清浄機のグリル着脱装置
KR102092103B1 (ko) * 2013-09-06 2020-03-24 버티브 코오퍼레이션 랙에 장착가능한 모듈식 dc 전력 유닛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N210924376U (zh) * 2019-11-07 2020-07-03 孙乃旭 一种计算机机箱清扫装置
CN211063536U (zh) * 2020-01-20 2020-07-21 西安精石电气科技有限公司 一种储能变流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85270B2 (ja) * 2004-02-24 2009-06-24 富士電機システムズ株式会社 モータ駆動用ドライブユニットの筐体構造
JP5804019B2 (ja) 2013-10-16 2015-11-04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電力変換装置
JP5825319B2 (ja) 2013-10-16 2015-12-02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電力変換装置ならびに空気調和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90484B2 (ja) * 1989-08-01 1998-08-27 松下精工株式会社 空気清浄機のグリル着脱装置
KR102092103B1 (ko) * 2013-09-06 2020-03-24 버티브 코오퍼레이션 랙에 장착가능한 모듈식 dc 전력 유닛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N210924376U (zh) * 2019-11-07 2020-07-03 孙乃旭 一种计算机机箱清扫装置
CN211063536U (zh) * 2020-01-20 2020-07-21 西安精石电气科技有限公司 一种储能变流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40001272A1 (en) 2024-01-04
WO2022114763A1 (ko) 2022-06-02
KR20220076073A (ko) 2022-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4396B1 (ko) 배터리 조립체
KR102485206B1 (ko) 커버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력 변환 장치
KR100917294B1 (ko) 공구함을 구비한 사다리
CN210061022U (zh) 电池包及电动工具、以及电池包与电动工具的组合
CN216450297U (zh) 一种建筑设计用多功能沙盘
JP6878104B2 (ja) 電気機器および真空ポンプ
CN215645790U (zh) 一种便于配电柜维修的可升降辅助装置
CN212966081U (zh) 一种三相电服务器电源
CN204621994U (zh) 便携式电动切割工具
CN209766963U (zh) 一种可移动智能交流负载柜
CN211254885U (zh) 一种建筑电梯施工用的安全防护装置
CN209888831U (zh) 一种agv用便携式电池更换手推车
CN201270303Y (zh) 护盖及芯片模块与护盖的组合
CN216065805U (zh) 切割工具
CN217706791U (zh) 一种合同分类储存装置
CN218733405U (zh) 便于安装的应急电源
CN216437698U (zh) 一种天文场馆陨石展项的控制系统
CN215772429U (zh) 一种动力母线箱除尘装置
CN209986954U (zh) 一种基于协作机器人的模块化控制柜
CN217808460U (zh) 一种自动放配重和取配重的循环系统
CN213304284U (zh) 弧形电路保护板及由其组成的动力电池模组
CN217740685U (zh) 一种便于检修的多层叠放式电池pack箱
CN218446826U (zh) 一种便于移动固定的礼品机
CN212825279U (zh) 变电站运维用安全工具箱
CN216566088U (zh) 一种自动化橡塑压延机控制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