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5148B1 - 자재 유도장치 - Google Patents

자재 유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5148B1
KR102485148B1 KR1020200081025A KR20200081025A KR102485148B1 KR 102485148 B1 KR102485148 B1 KR 102485148B1 KR 1020200081025 A KR1020200081025 A KR 1020200081025A KR 20200081025 A KR20200081025 A KR 20200081025A KR 102485148 B1 KR102485148 B1 KR 1024851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part
support
guide device
main body
material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10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3346A (ko
Inventor
김효상
이창주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000810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5148B1/ko
Publication of KR202200033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33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51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51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2Arrangements of earthing wires suspended between masthea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38Fittings, e.g. caps; Fastening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5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material of the contacting members
    • H01R4/66Connections with the terrestrial mass, e.g. earth plate, earth pi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Landscapes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도하고자 하는 자재를 작업자의 직접 접촉 없이 체결부로 지지하여 목표하는 위치로 안전하게 유도할 수 있는 자재 유도장치에 관한 것으로, 바디부, 바디부의 일측에 연결되어 자재를 지지하여 이동방향을 유도할 수 있는 체결부, 체결부의 지지력을 향상시키는 지지부를 포함하며, 체결부는 자재를 지지하기 위하여 양쪽으로 벌어지도록 연장 형성되어 작업자가 유도되는 자재에 직접 접촉하지 않아 유도 대상 자재와 작업자가 충돌하는 사고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재 유도장치{MATERIAL GUIDING DEVICE}
본 발명은 자재 유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도하고자 하는 자재를 작업자의 직접 접촉 없이 체결부로 지지하여 목표하는 위치로 안전하게 유도할 수 있는 자재 유도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자에는 건설현장 및 배전현장에서 작업자들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한 안전장치가 도입되고 있다. 종래 안전장치는 누설되는 전류에 의해 작업자들이 시공중에 감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절연체를 이용하여 제작되어 활용되어 왔다.
한국등록특허 제10-1839539호에는 배전선로 전주의 접지선 시공용 공구조합체가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시공용 공구는 배전공사시에 양질의 전력공급을 위해 활선 상태에서 공사가 이루어지는 무정전 공법에서 작업자들의 감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절연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배전공사시 이용되는 전주 및 철근뭉치와 같은 무거운 자재를 유도하는 작업 단계에 있어서, 종래기술은 지지력이 약해 사용되지 못하며, 작업자들은 직접 접촉하여 자재를 지지하거나 통상적인 막대기를 이용하여 유도를 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따라서, 크레인에 의해 들어 올려져 작업위치로 유도되는 과정에서 자재가 유동하거나 회전하며 작업자에게 충돌하여, 안전사고가 빈번히 발생하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제10-1796657호에는 전주에 근접 시공되는 통신주가 개시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통신주와 전주는 민원발생을 최소화하고 매설부지를 원활하게 확보하기 위하여 근접 설치되는데, 시공 과정에서 상공에 배치된 케이블에 접촉하여 전주 내지 통신주 등의 자재에 전류가 통전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였다.
따라서, 전주와 같은 자재를 유도하는 과정에서 상공에 배치된 케이블에 전주가 접촉하여 유도된 전류에 의해 작업자가 감전되는 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안전장치가 가지는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작업자들이 하중이 큰 자재의 방향을 유도하는 작업 중 안전을 확보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자재 유도장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일측에 연결되어 자재를 지지하여 이동방향을 유도할 수 있는 체결부; 및 상기 체결부의 지지력을 향상시키는 지지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부는,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의 메인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는, 자재를 지지하기 위하여 양쪽으로 벌어지도록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체결부의 지지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일측이 상기 체결부의 상기 바디부 방향의 외측면에 배치되며, 타측은 상기 메인바디의 내부로 인입되도록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는, 자재를 지지할 수 있도록 배치시킬 수 있는 내부공간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바디부측에서 벌어지도록 굴곡지게 연장 형성되고, 양측 단부는 서로 마주보도록 폭이 좁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는, 양측 단부의 간격이 350mm 이상 450mm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디부는, 상기 메인바디의 외면에 이동 가능하도록 끼워지는 조작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일측 단부에 상기 체결부와 직접 접촉하여 지지하는 체결부지지대; 및 타측 단부에서 상기 메인바디의 외주면을 향하여 굴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조작장치 걸림부; 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장치는, 상기 조작장치 걸림부의 상기 체결부측에 접촉되어, 이동시 상기 지지부를 함께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조작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조작장치가 이동하면 함께 이동하며, 상기 체결부지지대는, 상기 메인바디를 향하여 인력을 받아, 상기 체결부에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상기 체결부는, 상기 체결부지지대에 의해 압력을 받으면 벌어진 양측 단부가 서로를 향해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체결부는, 양측 단부가 연결되어 유선형의 내부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체결부는, 내부공간의 직경이 350mm 이상 450mm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디부는, 상기 메인바디의 타측 단부에 끼워져 결합되는 마감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감캡은, 상기 조작장치가 상기 메인바디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조작장치의 직경보다 더 긴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는, 자재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내측면에 부착되는 완충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완충시트는, 자재와의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완충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는, 서로 맞닿는 양측 단부의 미끄러짐 및 자재 하중에 의해 단부가 이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양측 단부에 끼워지는 한 쌍의 연결범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범퍼는, 서로간의 연결 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각각 자성체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바디부는, 작업자의 감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절연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작장치는, 작업자의 손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표면에 다수개의 주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는, 개방된 입구가 일측에 치우쳐져 배치되도록 일측이 타측에 비해 더 길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재 유도장치는,
첫째, 체결부를 구비하여 작업자들이 자재와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여 유도 대상 자재와 작업자가 충돌하는 사고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둘째, 작업자들이 자재와 직접 접촉하지 않더라도 자재를 목표하는 위치로 유도할 수 있는 작업 능률 향상의 효과가 있다.
셋째, 바디부는 절연체로 형성되어 유도 대상 자재를 통해 작업자가 감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재 유도장치의 외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재 유도장치가 자재를 지지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는 자재 유도장치의 체결부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부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와 바디부의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작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재 유도장치의 외형 및 자재를 지지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될 수 있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수 있다.
아울러, 이하의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재 유도장치의 외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 개시되어있고, 도 2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재 유도장치가 자재를 지지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 개시되어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재 유도장치(1)는 체결부(100), 지지부(200) 및 바디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부(100)는 바디부(300)의 일측에 연결되어 자재(C)를 지지하여 이동방향을 유도할 수 있다. 체결부(100)의 형상은 양쪽으로 벌어지는 날개 형상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작업현장에서 사용되어온 장봉은 단부에 면적이 좁아, 작업자들이 자재(C)에 압력을 가할 때 접촉면이 좁아 충분한 지지력의 전달이 어려웠다. 또한, 가압시 자재(C)의 외면에서 미끄러져 자재(C)가 유동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체결부(100)가 양쪽으로 벌어져서 자재(C)를 지지할 수 있는 면적이 넓어지고, 점접촉에서 선접촉되거나 체결부(100)의 높이에 따라 면접촉될 수 있어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의 실시예를 참조하면, 체결부(100)는 자재(C)를 지지할 수 있도록 배치시킬 수 있는 내부공간을 형성하기 위하여, 소정의 길이만큼 상기 바디부(300)측에서 벌어지도록 굴곡지게 연장 형성된 뒤, 양측 단부는 서로 마주보도록 폭이 좁아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내부공간내에 배치된 자재(C)는 체결부에 의해 사방으로 둘러쌓여 지지되는 바, 작업자가 자재를 유도하는데 더 나은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의 실시예를 참조하면, 체결부(100)의 양측 단부는 소정의 간격(d1)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자재 유도장치(1)는 전주의 유도를 가정으로 설계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상기 소정의 간격(d1)은 통상적인 전주의 직경을 고려하여 350mm 이상 450mm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200)는 체결부(100)의 지지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체결부(100)의 바디부(300) 방향의 외측면에 배치되며, 타측은 바디부(300)의 후술할 메인바디(310)의 내부로 인입되도록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도 2의 실시예를 참조하면, 자재(C)는 체결부(100)와 지지부(200)에 의해서 이중으로 지지되어 더욱 강하게 지지될 수 있다. 작업자는 통상적으로 바디부(300)를 파지하고 자재(C)를 밀어 유도할 수 있다. 따라서 자재(C)는 체결부(100)와 지지부(200)에 의해서 이중으로 지지되는 일측에 의해 더 강한 지지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지지부(200)는 후술할 조작장치(320)와 연결되어 체결부(100)를 가압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지지부(200)에 의해 가압된 체결부(100)는 양쪽 단부가 서로 만나 연결되어 유선형의 내부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유선형의 내부공간은 유도되는 자재(C)의 종류와 직경 또는 단면적을 고려하여 설계될 수 있다. 통상적인 전주의 직경을 고려할 때 내부공간의 직경은 350mm 이상 450mm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유도되는 자재(C)가 철근뭉치 등 단면적이 가변적인 경우에는 체결부(100)의 재질 및 강도를 고려하여 내부공간의 직경이 선택될 수 있다.
사용자가 조작장치(320)를 조작하여 지지부(200)를 통해 체결부(100)를 가압하는 일련의 과정에 대하여는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바디부(300)는 자재 유도장치(1)의 몸체와 작업자의 파지공간을 마련하며, 메인바디(310), 조작장치(320) 및 마감캡(330)을 포함할 수 있다.
바디부(300)는 작업자의 파지가 이루어지는 바, 작업자의 감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절연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바디부(300)의 구성인 메인바디(310), 조작장치(320) 및 마감캡(330)은 모두 절연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메인바디(310)는 원통형으로 길이방향으로 일정길이 이상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메인바디(310)의 길이는 80cm 이상 150cm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활선작업시 안전거리는 약 80cm로 알려져 있는데, 작업자의 유도전류에 의한 감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80cm 이상의 거리를 유지할 수 있도록 메인바디(310)의 길이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메인바디(310)의 길이가 150cm를 넘는 경우에는 체결부(100)의 하중에 따라 발생하는 토크로 작업자의 작업편의성이 하락할 수 있다. 다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체결부(100)의 재질에 따른 하중 및 활선 전압의 강도를 고려하여 다양하게 설계가 변경될 수 있다.
체결부(100)의 길이(도 2 및 도 7 참조)와 메인바디(310)의 길이를 모두 고려한 안전장치의 총 길이는 120cm 이상 250cm 이하로 선택될 수 있다.
조작장치(320)는 메인바디(310)의 외면에 이동 가능하도록 끼워져 배치될 수 있다. 이동이 가능해야 하는 바, 조작장치(320)의 직경은 메인바디(310)의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조작장치(320)는 지지부(200)와 연결되어 체결부(100)에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체결부(100)에 압력을 가하는 구조에 대하여는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마감캡(330)은 메인바디(310)의 체결부(100)가 연결되지 않은 타측 단부에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 마감캡(330)은 조작장치(320)가 메인바디(310)의 외주면상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조작장치(320)의 직경보다 더 긴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마감캡(330)은 내경이 메인바디(310)에 끼워질 수 있도록 메인바디(310)의 직경과 대응하여 형성되며, 외경은 조작장치(320)의 직경보다 더 길게 형성되는, 소정의 두께(외경 - 내경)를 가지는 고리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자재 유도장치의 체결부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부분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3a를 참조하면, 체결부(100)는 완충시트(101)를 포함할 수 있다.
완충시트(101)는 체결부(100)에 의해 지지되는 자재(C)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체결부(100)의 내측면에 부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체결부(100)의 내면 전체에 완충시트(101)가 부착될 수 있다.
완충시트(101)는 자재(C)의 미끄러짐 방지 외에 체결부(100)가 자재(C)와의 충돌에 의해 형태가 변형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완충시트(101)의 재질은 자재(C)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고 자재(C)와 체결부(100)의 충돌시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고무(rubber)나 스폰지(sponge)와 같은 완충재질로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내면상에 주름이 일부 형성되어 자재(C)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고 자재(C)와 체결부(100)의 충돌시 충격을 완화시키는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체결부(100)는 연결범퍼(102)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범퍼(102)는 체결부(100)의 양측 단부가 서로 맞닿아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실시예에서 양측 단부끼리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내부공간에 배치된 자재의 하중에 의해 양측 단부가 서로 이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체결부(100)가 지지부(200)의 가압에 의해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경우(도 2 참조) 양측 단부끼리 서로 맞닿게 되는데, 통상적으로 금속 재질로 체결부(100)의 단부가 서로 접촉되면 미끄러질 수 있다. 또한 자재의 하중 내지 유동충격에 의해 체결부(100)의 양측 단부가 이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미끄러짐 또는 이격이 발생하면, 체결부(100)의 내부공간은 일측이 개방되어 체결부(100)의 메인바디(310)를 향하는 방향측의 자재(C)에 대한 지지력이 약해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체결부(100)의 내부공간의 형상이 개략적인 원형에서 메인바디(310)의 길이방향이 더 긴 장축을 갖는 타원형으로 변형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체결부(100)의 장축방향의 길이가 자재(C)의 직경과 일정 길이 이상 차이를 두고 길어질 수 있어, 장축방향으로의 자재(C)의 유도가 즉각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나아가, 체결부(100)의 벌어진 양측단부에 자재(C)의 하중이 실려 체결부(100)의 형상이 영구적으로 변형되어 자재 유도장치(1)가 파손될 수 있으며, 체결부(100)의 벌어진 양측단부로 자재(C)가 이탈할 수도 있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연결범퍼(102)를 구비하여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체결부(100)의 양측 단부간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한 다른 실시예가 도출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는, 체결부(100)의 양측 단부에 한 쌍의 자성체(미도시)가 각각 배치된 후 연결범퍼(102)가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 각각의 자성체는 자성을 띄어 자기력에 의해 서로를 향해 인력이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체결부(100)의 양측 단부사이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연결범퍼(102)의 외면에 톱니형상 또는 블록형상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당 실시예에 의하면, 체결부(100)의 양측 단부가 서로 만나며 한 쌍의 연결범퍼(102)가 서로 맞물려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체결부(100)의 양측 단부사이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200)와 바디부(300)의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지지부(200)는 체결부지지대(210) 및 조작장치 걸림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부지지대(210)는 체결부(100)와 직접 접촉되어 지지하는 부분으로, 지지부(200)의 일측에서 체결부(100)의 형상과 대응하여 소정의 각도로 굴곡져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조작장치 걸림부(220)는 체결부지지대(210)가 형성되지 않은 타측 단부에서 메인바디(310)의 외주면을 향하여 굴곡되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메인바디(310)는 외주면상에 개방되어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지지부 가이드홀(311)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조작장치 걸림부(220)는 지지부 가이드홀(311)을 통해 메인바디(310)의 외주면을 넘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도 4의 실시예에 따르면, 조작장치(320)는 일측 단부가 조작장치 걸림부(220)의 상기 체결부(100)측에 접촉되어, 이동시 조작장치 걸림부(220)와 연결된 지지부(200)를 함께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지지부(200)는 조작장치 걸림부(220)의 이동에 기해 조작장치(320)와 함께 이동한다. 조작장치 걸림부(220)는 체결부지지대(210)에 메인바디(310)를 향하는 방향으로 인력을 가할 수 있다. 체결부지지대(210)는 메인바디(310)를 향하여 인력을 받아, 체결부(100)에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체결부(100)는 체결부지지대(210)로부터 메인바디(310)의 축 방향으로 압력을 받아 벌어진 양측 단부가 서로를 향해 이동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체결부지지대(210)로부터 메인바디(310)의 축 방향으로 압력을 받아, 체결부(100)는 양측 단부가 연결되어 유선형의 내부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조작장치(320)는 작업자의 손에서 미끄러져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표면에 다수개의 주름이 형성될 수 있다. 작업자의 손에서 미끄러지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하여, 조작장치(320)는 고무(rubber)와 같은 마찰계수가 높은 재질로 선택 형성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재 유도장치의 외형 및 자재를 지지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의 실시예에 따르면, 자재 유도장치(1)의 체결부(100)는 일측이 타측에 비해 긴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길이가 더 긴 체결부(100)의 일측은 조작장치(320)에 의해 이동하여 내부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내부공간의 개방된 입구는 중심축에서 벗어나 일측에 치우쳐져 배치될 수 있다.
당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공간에 배치된 자재(C)가 당겨지는 경우, 지지되는 접점이 체결부(100)의 양측 단부가 만나는 지점에서 벗어날 수 있다. 따라서, 자재(C)에 대한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체결부(100)의 양측 단부가 벌어져 자재(C)가 내부공간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체결부(100)의 재질은 자재(C)의 무게를 지지할 수 있도록 금속 또는 고분자화합물로 선택될 수도 있다.
자재 유도장치(1)는 전주의 유도를 가정으로 설계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체결부(100)의 일측과 타측 사이의 소정의 간격(d3)은 통상적인 전주의 직경을 고려하여 350mm 이상 450mm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체결부(100)의 더 긴 일측이 당겨진 경우 타측과의 간격(d6)은 최소화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을 참조하면, 자재가 체결부의 양측 단부 사이로 인입된 후, 작업자는 조작장치(320)를 마감캡(330)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조작장치(320)는 체결부(100)의 길이가 더 긴 일측을 잡아당길 수 있다. 따라서 자재(C)는 체결부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사방에서 지지될 수 있다. 이 경우, 조작장치(320)를 당기는 힘은 체결부(100)의 일측에 집중되어 보다 강한 지지력을 전달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 자재 유도장치
100: 체결부
101: 완충시트
102: 연결범퍼
200: 지지부
210: 체결부지지대
220: 조작장치 걸림대
300: 바디부
310: 메인바디
320: 조작장치
330: 마감캡

Claims (19)

  1. 내부가 비어있는 메인바디와, 상기 메인바디의 외면에 이동 가능하도록 끼워지는 조작장치를 포함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일측에 연결되어 자재를 지지하여 이동방향을 유도하며, 서로 맞닿는 양측 단부의 미끄러짐 및 상기 자재의 하중에 의해 단부가 이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양측 단부에 끼워지는 한 쌍의 연결범퍼를 포함하는 체결부; 및
    일측 단부에는 상기 체결부와 직접 접촉하며 양쪽으로 벌어지도록 연장 형성되어 상기 자재를 지지하는 체결부지지대가 마련되고, 타측 단부에는 상기 메인바디의 외주면을 향하여 굴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조작장치 걸림부가 마련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장치는,
    상기 조작장치 걸림부의 체결부 측에 접촉되어 이동시 상기 지지부를 함께 이동시키며,
    상기 체결부는,
    개방된 입구가 일측에 치우쳐져 배치되도록 일측이 타측에 비해 더 길게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재 유도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체결부의 지지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일측이 상기 체결부의 상기 바디부 방향의 외측면에 배치되며, 타측은 상기 메인바디의 내부로 인입되도록 연장 형성되는 자재 유도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자재를 지지할 수 있도록 배치시킬 수 있는 내부공간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바디부측에서 벌어지도록 굴곡지게 연장 형성되고, 양측 단부는 서로 마주보도록 폭이 좁아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재 유도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양측 단부의 간격이 350mm 이상 450mm 이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재 유도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조작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조작장치가 이동하면 함께 이동하며,
    상기 체결부지지대는,
    상기 메인바디를 향하여 인력을 받아, 상기 체결부에 압력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재 유도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체결부지지대에 의해 압력을 받으면 벌어진 양측 단부가 서로를 향해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재 유도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양측 단부가 연결되어 유선형의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재 유도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내부공간의 직경이 350mm 이상 450mm 이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재 유도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상기 메인바디의 타측 단부에 끼워져 결합되는 마감캡을 더 포함하는 자재 유도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캡은,
    상기 조작장치가 상기 메인바디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조작장치의 직경보다 더 긴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재 유도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자재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내측면에 부착되는 완충시트를 포함하는 자재 유도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시트는,
    자재와의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완충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재 유도장치.
  15. 삭제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범퍼는,
    서로간의 연결 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각각 자성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재 유도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작업자의 감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절연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재 유도장치.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장치는,
    작업자의 손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표면에 다수개의 주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재 유도장치.
  19. 삭제
KR1020200081025A 2020-07-01 2020-07-01 자재 유도장치 KR1024851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1025A KR102485148B1 (ko) 2020-07-01 2020-07-01 자재 유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1025A KR102485148B1 (ko) 2020-07-01 2020-07-01 자재 유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3346A KR20220003346A (ko) 2022-01-10
KR102485148B1 true KR102485148B1 (ko) 2023-01-06

Family

ID=79347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1025A KR102485148B1 (ko) 2020-07-01 2020-07-01 자재 유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5148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01409A (en) * 1978-09-11 1980-05-06 Hara James J O Portable pick-up device
KR20100135407A (ko) * 2009-06-17 2010-12-27 민승규 자석이 구비된 집게
KR20140138478A (ko) * 2013-05-24 2014-12-04 김용만 수로관 운반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DE 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3346A (ko) 2022-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63011B2 (en) Insulating cover and retaining pin for high voltage electrical transmission structures
CN108602656B (zh) 起重卷筒与具有起重卷筒的纤维绳索驱动装置
CN105337233A (zh) 一种可调式通用街码
KR102485148B1 (ko) 자재 유도장치
US3328511A (en) Crossarm cover
JP2009118561A (ja) 碍子バインド
US8789811B2 (en) Wire puller
JP4176469B2 (ja) 外装ケーブルおよびケーブル終端装置
KR102212168B1 (ko) 원터치식 철근 커플러
KR200479231Y1 (ko) 와이어 커넥터
CN205846660U (zh) 快速安装的架空线缆耐张线夹
CN216904038U (zh) 一种带电作业用可伸缩式架空导线绝缘遮蔽装置
DE102019104110A1 (de) Ladestation für Elektrofahrzeuge
KR102390667B1 (ko) 간접 활선용 임시걸이구
CN110970784B (zh) 一种电缆的应力消除装置及消除方法
JP6779192B2 (ja) 楔式ロープ止め装置
KR200412783Y1 (ko) 단상 2선식인입선용 인류애자(pvc)
DE102011086809B4 (de) Kabeltrommel und diese umfassendes elektrisches Gerät
JP5917246B2 (ja) ワイヤストッパー
EP2849299A2 (de) Vorrichtung zur Fixierung eines Kabels und Funktionseinheit
CN211863620U (zh) 一种铁塔防坠保护器
CN104340908A (zh) 一种分叉式电葫芦导线防断手柄
KR102247151B1 (ko) 전선 거리 조절장치
US9502869B2 (en) Tool and method for extracting wires from a cable
KR102551476B1 (ko) 접지용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