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4928B1 - 건축용 내, 외장패널 조립체 - Google Patents

건축용 내, 외장패널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4928B1
KR102484928B1 KR1020200087378A KR20200087378A KR102484928B1 KR 102484928 B1 KR102484928 B1 KR 102484928B1 KR 1020200087378 A KR1020200087378 A KR 1020200087378A KR 20200087378 A KR20200087378 A KR 20200087378A KR 102484928 B1 KR102484928 B1 KR 1024849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ilding
wall
bracket
coupling protrusion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73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9093A (ko
Inventor
박세영
Original Assignee
박세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세영 filed Critical 박세영
Priority to KR10202000873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4928B1/ko
Publication of KR202200090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90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49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49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04B1/80Heat insulating elements slab-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72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specially adapted, structured or shaped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73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specially adapted, structured or shaped covering or lining elements for particular building parts, e.g. corners or columns
    • E04F13/0733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specially adapted, structured or shaped covering or lining elements for particular building parts, e.g. corners or columns for corn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05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89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04F13/089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개의 패널을 조립하여 건축물의 내벽 또는 외벽을 마감할 수 있도록 한 건축용 내, 외장패널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후면이 건물의 내벽 또는 외벽에 고정 설치되는 단열부;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ㄱ’자 형상 중 수평으로 된 부분이 상기 단열부의 전면에 고정 설치되는 앵글부; 격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앵글부의 ‘ㄱ’자 형상 중 수직으로 된 부분에 결합되는 격자프레임부; 상기 앵글부의 ‘ㄱ’자 형상 중 수평으로 된 부분과 상기 단열부를 관통하여 건물의 내벽 또는 외벽에 삽입 체결되는 체결부; 상기 격자프레임부의 전면에 설치되어, 건축물 내벽 또는 외벽을 장식하기 위한 평판 형태의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일단에 돌출 형성되는 결합돌기부; 및 상기 본체부의 다른 일단에 연장 형성되는 삽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부는, 상기 격자프레임부에 고정되거나, 다른 본체부의 일단에 형성된 결합돌기를 삽입하여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건축용 내, 외장패널 조립체{Interior and exterior panel assembly for construction}
본 발명은 건축용 내, 외장패널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수개의 패널을 조립하여 건축물의 내벽 또는 외벽을 마감할 수 있도록 한 건축용 내, 외장패널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벽체에 있어 외부의 시선에 노출되는 부위의 경우 그 외관을 미려하게 장식할 수 있도록 벽 구조체의 표면에 마감 공사를 실시하게 된다.
한국등록특허 제10-0538992호(2005.12.20 등록)는 건축용 조립식 패널어셈블리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으며,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경량화와 단열 및 내구성을 만족할 수 있도록 내부재를 가지고 양측에 상호 치합될 수 있는 자웅(雌雄)체의 연결부를 가지도록 성형하여 구비되는 패널바디와 패널바디의 외측에는 다양한 색상으로 표현이 가능하도록 마감하는 고강도몰탈과 자체연결부에는 체결요입홈을 통한 견고한 체결이 가능하도록 체결공을 형성한 금속판재로 마감하고 웅체연결부와 내부재에 강도보강을 위한 수단으로 금속판재와 심재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조립식 패널어셈블리에 있어서 내부재는 경량화와 단열 및 내구성을 만족할 수 있도록 합성수지를 발포시켜 황토와 혼합하여 구성하고 고강도몰탈의 내부에는 충분한 강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합성수지 또는 금속와이어 등으로 구성되는 보조심재를 가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2120588호(2020.06.02 등록)는 조립식 패널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제1 패널부재; 제2 패널부재; 제1 패널부재와 제2 패널부재가 각각 끼워지는 연결클립; 및 연결클립에 결합되어 제1 패널부재와 제2 패널부재를 고정시키는 결합캡을 포함하며, 제1 패널부재 또는 제2 패널부재에 결합되는 제3 패널부재를 더 포함하며, 제1 패널부재 및 제2 패널부재은 복수의 재질이 적층되어 형성되고, 제1 패널부재 및 제2 패널부재 각각은, 내측에 배치된 제1 플레이트; 제1 플레이트로부터 이격되어 제1 플레이트보다 외측에 배치된 제2 플레이트; 및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된 보강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제1 패널부재 및 제2 패널부재의 보강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는 동일한 길이를 가지도록 마련되고, 제1 플레이트는 보강플레이트 및 제2 플레이트보다 긴 길이를 가지도록 연장부가 형성되며, 제1 플레이트는 미리 설정된 공간을 가지도록 절곡되고, 제1 플레이트의 연장부는, 제1 플레이트의 단부로부터 동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연장부; 제1 연장부에 겹쳐지도록 제1 연장부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2 연장부; 제2 연장부로부터 수직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며, 제1 플레이트의 보강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에 모두 접촉되는 제3 연장부; 및 제2 연장부와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제2 연장부와 평행하게 제3 연장부로부터 수직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4 연장부를 포함하며, 제3 패널부재가 제1 플레이트의 연장부의 공간에 끼워져 결합되며, 제3 패널부재의 제1 플레이트와, 보강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 모두가 제1 플레이트의 제2 연장부와 제4 연장부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수용되어 지지되는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건축용 조립식 패널어셈블리는, 복수개의 패널바디를 조립하여 시공할 수 있으나, 패널바디 사이의 결합력이 약하기 때문에 시공 후 지진 등 외부 충격에 의해 서로 분리되어 추락하면서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위험이 있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조립식 패널은, 제1 패널부재와 제2 패널부재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별도의 연결클립과 결합캡의 구성이 개시되어 있으나, 시공시 제1 패널부재와 제2 패널부재 각각에 연결클립과 결합캡을 끼워 고정시켜야 하므로 매우 번거롭고 작업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538992호 한국등록특허 제10-2120588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별도의 연결구 없이 복수개의 패널을 용이하면서 견고하게 조립하여 건축물의 내벽 또는 외벽을 마감할 수 있도록 한 건축용 내, 외장패널 조립체를 제공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후면이 건물의 내벽 또는 외벽에 고정 설치되는 단열부;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ㄱ’자 형상 중 수평으로 된 부분이 상기 단열부의 전면에 고정 설치되는 앵글부; 격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앵글부의 ‘ㄱ’자 형상 중 수직으로 된 부분에 결합되는 격자프레임부; 상기 앵글부의 ‘ㄱ’자 형상 중 수평으로 된 부분과 상기 단열부를 관통하여 건물의 내벽 또는 외벽에 삽입 체결되는 체결부; 상기 격자프레임부의 전면에 설치되어, 건축물 내벽 또는 외벽을 장식하기 위한 평판 형태의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일단에 돌출 형성되는 결합돌기부; 및 상기 본체부의 다른 일단에 연장 형성되는 삽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부는, 상기 격자프레임부에 고정되거나, 다른 본체부의 일단에 형성된 결합돌기를 삽입하여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내, 외장패널 조립체를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본체부의 전면에 기 설정된 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되는 복수개의 장식라인돌기; 및 상기 본체부의 후면에 기 설정된 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의 평탄성을 유지하기 위한 복수개의 평탄성유지라인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삽입부는, 상기 본체부의 다른 일단에서 후방으로 비스듬하게 연장 형성되는 제1 연장부재; 상기 제1 연장부재의 일단에서 수평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연장부재; 상기 제2 연장부재의 가운데 부분에서 전방으로 비스듬하게 연장 형성되는 제3 연장부재; 및 상기 제2 연장부재의 일단에서 전방으로 수직하게 연장 형성되는 제4 연장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건축물 내벽 또는 외벽의 아웃코너 부분에 설치시, 일측이 상기 결합돌기부에 결합되는 아웃코너 패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건축물 내벽 또는 외벽의 아웃코너 부분에 설치시, 일측이 상기 아웃코너 패널부의 다른 일측에 연결되고, 건축물 내벽 또는 외벽의 인코너 부분에 설치시, 일측으로 상기 결합돌기부를 삽입 고정시키기 위한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일측이 상기 삽입부에 결합되고, 다른 일측이 상기 브라켓의 다른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삽입부와 상기 브라켓 사이를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브라켓은, 건축물 내벽 또는 외벽의 아웃코너 또는 인코너 부분에 설치되는 격자프레임부에 고정되는 브라켓 고정부재; 상기 브라켓 고정부재의 일측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기부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부재; 상기 삽입부재에 일측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를 수직으로 삽입하기 위한 수직 삽입부재; 상기 수직 삽입부재의 일측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를 수평으로 삽입하기 위한 수평 삽입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브라켓의 외측에 결합되어, 상기 브라켓의 외측을 덮기 위한 아웃코너 캡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부의 하부를 마감하기 위한 하부 마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본체부와 수직 방향으로 이웃하는 본체부 사이를 연결하기 위한 조인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일측이 상기 삽입부에 연결되고, 다른 일측이 상기 격자프레임부에 고정 설치되는 클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결합돌기부와 상기 삽입부 사이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1 연장부재의 내측에 비스듬하게 형성되어,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기부를 가압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가압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별도의 연결구 없이 복수개의 패널을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외부 충격에 의해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하여 패널이 추락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시공이 용이하여 작업 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패널의 연결 부위가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하여 외관을 깔끔하게 마무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패널 사이를 실리콘으로 메우지 않아도 되어, 실리콘 사용에 의한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건축용 내, 외장패널 조립체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건축용 내, 외장패널 조립체가 건축물 내벽 또는 외벽에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는 평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건축용 내, 외장패널 조립체를 설명하는 평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건축용 내, 외장패널 조립체를 설명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건축용 내, 외장패널 조립체를 설명하는 평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건축용 내, 외장패널 조립체를 설명하는 평단면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축용 내, 외장패널 조립체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건축용 내, 외장패널 조립체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건축용 내, 외장패널 조립체가 건축물 내벽 또는 외벽에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는 평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건축용 내, 외장패널 조립체(10)는, 단열부(20), 앵글부(30), 격자프레임부(40), 체결부(50), 본체부(100), 결합돌기부(200), 삽입부(300)를 포함한다.
단열부(20)는, 후면이 건물의 내벽 또는 외벽(A)에 고정 설치되며, 전면에 복수개의 앵글부(30)가 설치된다.
일 실시 예에서, 단열부(20)는, 우레탄, 글라스울 등 다양한 소재의 단열재일 수 있다.
앵글부(30)는,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ㄱ’자 형상 중 수평으로 된 부분이 단열부(20)의 전면에 고정 설치된다.
일 실시 예에서, 앵글부(30)는, ‘ㄱ’자 형상 중 수평으로 된 부분이 단열부(20)의 전면에 체결부(50)를 통해 고정 설치되며, ‘ㄱ’자 형상 중 수직으로 된 부분이 격자프레임부(40)에 용접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앵글부(30)는, 격자프레임부(40)가 단열부(20)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격자프레임부(40)는, 수평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이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격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앵글부(30)의 ‘ㄱ’자 형상 중 수직으로 된 부분에 결합된다.
일 실시 예에서, 격자프레임부(40)는, 격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프레임 중 수직프레임이 앵글부(30)의 수직으로 된 부분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격자프레임부(40)는, 앵글부(30)의 ‘ㄱ’자 형상 중 수직으로 된 부분 말단에 결합되어, 단열부(20)와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결합 위치를 유동적으로 변경하여 이격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체결부(50)는, 앵글부(30)의 ‘ㄱ’자 형상 중 수평으로 된 부분과 단열부(20)를 관통하여 건물의 내벽 또는 외벽(A)에 삽입 체결된다.
일 실시 예에서, 체결부(50)는, 앵커볼트 등 다양한 체결수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체부(100)는, 직사각의 평판으로서, 격자프레임부(40)의 전면에 설치되어, 건축물 내벽 또는 외벽(A)을 장식한다.
일 실시 예에서, 본체부(100)는, 건축물의 크기 또는 디자인에 따라 크기 및 개수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본체부(100)는, 색상, 재질, 무늬가 어느 하나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시공시 이들을 조합하여 외부에서 보았을 때 미려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결합돌기부(200)는, 본체부(100)의 일단에 돌출 형성되어, 다른 본체부(100)에 구비된 삽입부(300)에 삽입 고정된다.
일 실시 예에서, 결합돌기부(200)는, 본체부(100)의 일단에서 후방으로 약 30도 ~ 60도(바람직하게는, 45도)의 각도만큼 비스듬하게 연장 형성되어, 삽입부(300)에 비스듬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서, 결합돌기부(200)는, 충분한 강도를 유지할 수 있을 정도의 두께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삽입부(300)는, 본체부(100)의 다른 일단에 연장 형성되어, 다른 본체부(100)에 구비된 결합돌기부(200)를 삽입하여 고정시킨다.
일 실시 예에서, 삽입부(300)는, 직결피스, 볼트 등을 통해 격자프레임부(40)의 수평프레임 또는 수직프레임 또는 둘 다에 고정 설치되거나, 다른 본체부(100)의 일단에 형성된 결합돌기(200)를 삽입하여 연결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삽입부(300)는, 제1 연장부재(310), 제2 연장부재(320), 제3 연장부재(330), 제4 연장부재(34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연장부재(310)는, 본체부(100)의 다른 일단에서 후방으로 비스듬하게 연장 형성된다.
제2 연장부재(320)는, 제1 연장부재(310)의 일단에서 수평으로 연장 형성된다.
제3 연장부재(330)는, 제2 연장부재(320)의 가운데 부분에서 전방으로 비스듬하게 연장 형성된다.
제4 연장부재(340)는, 제2 연장부재(320)의 일단에서 전방으로 수직하게 연장 형성된다.
즉, 결합돌기부(200)가 다른 본체부(100)에 구비된 삽입부(300)의 제1 연장부재(310)와 제3 연장부재(330) 사이로 비스듬하게 삽입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결합돌기부(200)가 삽입 고정된 이후에는 삽입부(300)로부터 전, 후, 좌, 우 어느 방향으로도 쉽게 빠지지 않게 된다.
또한, 삽입부(300)의 제2 연장부재(320)에 직결피스, 볼트 등을 관통시켜 격자프레임부(4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건축용 내, 외장패널 조립체(10)는, 장식라인돌기(110), 평탄성유지라인돌기(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장식라인돌기(110)는, 본체부(100)의 전면에 기 설정된 간격(예를 들어, 30 ~ 40cm)을 두고 돌출 형성되어, 본체부(100)의 전면을 장식한다.
일 실시 예에서, 장식라인돌기(110)는, 본체부(100)의 전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평탄성유지라인돌기(120)는, 본체부(100)의 후면에 기 설정된 간격(예를 들어, 30 ~ 40cm)을 두고 돌출 형성되어, 본체부(100)의 휘어짐을 방지할 수 있어 높은 평탄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서, 평탄성유지라인돌기(120)는, 본체부(100)와 격자프레임부(40) 사이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켜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평탄성유지라인돌기(120)는, 단면이 ‘l’자 형태로 형성된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보강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단면이 ‘I’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평탄성유지라인돌기(120)는, 장식라인돌기(110)와 대응되는 위치에 해당하는 본체부(100)의 후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건축용 내, 외장패널 조립체(10)는, 결합돌기부(200)가 다른 본체부(100)에 구비된 삽입부(300)에 비스듬하게 삽입 고정되어, 별도의 연결구 없이 복수개의 본체부(100)를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외부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결합돌기부(200)와 삽입부(300) 사이가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하여 본체부(100)가 추락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시공이 용이하여 작업 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다.
또한, 결합돌기부(200)가 삽입부(300)의 제1 연장부재(310)와 제3 연장부재(330) 사이로 완전히 삽입되어 연결 부위가 표시나지 않도록 하고, 삽입부(300)의 제2 연장부재(320)가 직결피스, 볼트 등으로 격자프레임부(40)에 고정된 부위를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가려주어 외관을 깔끔하게 마무리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건축용 내, 외장패널 조립체를 설명하는 평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건축용 내, 외장패널 조립체(10)는, 본체부(100), 결합돌기부(200), 삽입부(300), 아웃코너 패널부(400), 브라켓(500), 연결부(600), 아웃코너 캡(700)을 포함한다. 여기서, 본체부(100), 결합돌기부(200), 삽입부(300)는 도 1의 구성요소와 유사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아래에서 설명한다.
아웃코너 패널부(400)는, 건축물 내벽 또는 외벽(A)의 아웃코너 부분에 설치시, 일측이 건축물 내벽 또는 외벽(A)의 아웃코너 쪽에 설치되는 결합돌기부(200)와 결합되고, 다른 일측에는 후술할 브라켓(500)이 연결된다.
일 실시 예에서, 아웃코너 패널부(400)는, 일측이 삽입부(300)의 제1 연장부재(310) 내지 제4 연장부재(340)의 구성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건축물 내벽 또는 외벽(A)의 아웃코너 쪽에 고정 설치되고, 결합돌기부(200)를 삽입 고정하는 것으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브라켓(5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축물 내벽 또는 외벽(A)의 아웃코너 부분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축물 내벽 또는 외벽(A)의 인코너 부분 각각에 설치될 수 있으며, 건축물 내벽 또는 외벽의 아웃코너 부분에 설치시, 일측이 아웃코너 패널부(400)의 다른 일측에 결합되고, 건축물 내벽 또는 외벽(A)의 인코너 부분에 설치시, 일측으로 결합돌기부(200)를 삽입 고정시킨다.
일 실시 예에서, 브라켓(500)은, 브라켓 고정부재(510), 삽입부재(520), 수직 삽입부재(530), 수평 삽입부재(54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브라켓 고정부재(510)는, 직결피스, 볼트 등을 통해 건축물 내벽 또는 외벽(A)의 아웃코너 또는 인코너 쪽에 설치되는 격자프레임부(40)에 고정 설치된다.
삽입부재(520)는, 브라켓 고정부재(510)의 일측에 연장 형성되어, 인코너 부분에 설치시 결합돌기부(200)를 삽입 고정시킨다.
수직 삽입부재(530)는, 삽입부재(520)에 일측에 연장 형성되어, 인코너 부분에 설치시 연결부(600)를 수직으로 삽입한다.
수평 삽입부재(540)는, 수직 삽입부재(530)의 일측에 연장 형성되어, 아웃코너 부분에 설치시 연결부(600)를 수평으로 삽입한다.
일 실시 예에서, 수평 삽입부재(540)는, 인코너 부분에 설치시 격자프레임부(40)와 연결부(600)의 다른 일측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연결부(600)는, 일측이 삽입부(300)에 결합되고, 다른 일측이 브라켓(500)의 다른 일측에 결합되어, 삽입부(300)와 브라켓(500) 사이를 연결한다.
일 실시 예에서, 연결부(600)는, 일측이 후방으로 비스듬하게 연장 형성되고, 다른 일측이 평평하게 형성되어 브라켓(500)의 수직 삽입부재(530) 또는 수평 삽입부재(540)에 삽입 고정될 수 있다.
아웃코너 캡(700)은, 브라켓(500)의 외측에 결합되어, 브라켓(500)의 외측을 덮어 직결피스, 볼트 등의 결합 부위가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건축용 내, 외장패널 조립체(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축물 내벽 또는 외벽(A)의 아웃코너 부분을 마감하기 위해서, 먼저, 삽입부(300)에 연결부(600)의 일측을 삽입하여 연결하고, 브라켓(500)의 수평 삽입부재(540)가 연결부(600)의 다른 일측을 삽입하도록 결합하여 브라켓 고정부재(510)를 아웃코너 부분에 위치되는 격자프레임부(40)에 고정시킨 다음, 아웃코너 패널부(400)가 브라켓 고정부재(510)에 연결되면서 건축물 내벽 또는 외벽(A)의 아웃코너를 마감할 수 있도록 고정 설치하고, 아웃코너 패널부(400)의 일측에 결합돌기부(200)를 삽입하며, 마지막으로, 아웃코너 캡(700)을 브라켓(500)의 외측에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연결부(600), 브라켓(500) 및 아웃코너 패널부(400)의 구성요소를 통해 건축물 내벽 또는 외벽(A)의 아웃코너 부분을 마감해주면서 본체부(100)와 다른 본체부(100) 사이를 연결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건축용 내, 외장패널 조립체(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500)을 건축물 내벽 또는 외벽(A)의 인코너 부분을 마감하기 위해서는, 먼저, 연결부(600)의 다른 일측을 브라켓(500)의 수직 삽입부재(530)에 수직으로 삽입하여 연결한 후, 연결부(600)의 일측을 삽입부(300)에 삽입하여 연결하고, 브라켓 고정부재(510)를 인코너 부분에 고정시킨 다음, 삽입부재(520)에 결합돌기부(200)를 삽입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연결부(600)와 브라켓(500)의 구성요소를 통해 건축물 내벽 또는 외벽(A)의 인코너 부분을 마감해주면서 본체부(100)와 다른 분체부(100) 사이를 연결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브라켓(500)은, 건축물 내벽 또는 외벽(A)의 아웃코너 뿐만 아니라 인코너 부분에도 설치 가능하여, 각 코너별 브라켓을 별도로 제작하지 않아도 되므로 자재의 낭비를 줄이고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건축용 내, 외장패널 조립체를 설명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건축용 내, 외장패널 조립체(10)는, 하부 마감부(800), 조인트부(900)를 더 포함한다.
하부 마감부(800)는, 본체부(100)의 하부에 결합되어, 본체부(100)의 하부를 마감한다.
일 실시 예에서, 하부 마감부(800)는, 최하단에 위치하는 본체부(100)의 하부에 결합되어, 틈 사이로 물 또는 이물질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조인트부(900)는, 본체부(100)와 수직 방향으로 이웃하는 본체부(100) 사이를 연결한다.
일 실시 예에서, 조인트부(900)는, 고정수단(910)을 삽입하여 본체부(100)와의 틈 사이를 메꾸어 고정시킬 수 있다.
여기서 고정수단(910)은, 예를 들어, 고무 씰일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수밀성 향상과 더불어 편리하게 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조인트부(900)는, 상부가 본체부(100)의 하부를 받쳐주고, 하부가 본체부(100)의 하부 수직방향으로 이웃하는 본체부(100)의 상부에 고정수단(910)을 통해 고정되며, 중앙 부분에 직결피스, 볼트 등을 관통시켜 격자프레임부(4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조인트부(900)는, 최상단에 위치하는 본체부(100)의 상부에 설치되는 경우, 본체부(100)와 지붕패널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건축용 내, 외장패널 조립체를 설명하는 평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건축용 내, 외장패널 조립체(10)는, 클립(1100)을 더 포함한다.
클립(1100)은, 일측이 삽입부(300)에 연결되고, 다른 일측이 격자프레임부(40)에 고정 설치된다. 따라서 결합돌기부(200) 쪽의 본체부(100) 안쪽을 받쳐주어 보강력을 향상시키고 결합돌기부(200)와 삽입부(300) 사이의 결합력을 향상시키며, 열팽창 완화 기능에 따라 균열 및 뒤틀림을 최소화할 수 있다.
즉, 삽입부(300)의 제2 연장부재(320)에 직결피스, 볼트 등으로 고정하는 대신 클립(1100)의 일측을 제2 연장부재(320)에 삽입하고 클립(1100)의 다른 일측을 격자프레임부(40) 중 수평프레임에 고정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제5 연장부재(350)와 클립(1100)에는 각각 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걸림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건축용 내, 외장패널 조립체를 설명하는 평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건축용 내, 외장패널 조립체(10)는, 고정부(1200)를 더 포함한다.
고정부(1200)는, 결합돌기부(200)와 삽입부(300) 사이를 고정시킨다.
일 실시 예에서, 고정부(1200)는,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고정부(1200)는, 탄성부재(1210), 가압 고정부재(12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탄성부재(1210)는, 제1 연장부재(310)의 내측에 비스듬하게 설치되어, 가압 고정부재(1220)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탄성부재(1210)는, 코일 스프링 등 탄성체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가압 고정부재(1220)는, 탄성부재(1210)의 일단에 형성되어, 삽입부(300)에 삽입된 결합돌기부(200)를 가압하여 고정시킨다.
이때, 가압 고정부재(1220)는, 대략 ‘凸’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결합돌기부(200)에는 삽입홈(210)이 구비되어, 가압 고정부재(1220)의 돌출된 부분이 삽입홈(210)에 삽입되어 이들 사이가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즉, 결합돌기부(200)가 삽입부(300)에 삽입되면 가압 고정부재(1220)가 밀리면서 탄성부재(1210)가 압축되고, 결합돌기부(200)가 삽입부(300)에 완전히 삽입되어 가압 고정부재(1220)가 결합돌기부(200)의 삽입홈(210)에 위치되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 고정부재(1220)의 돌출된 부분이 삽입홈(210)에 삽입 결합된다.
이에 따라, 가압 고정부재(1220)가 결합돌기부(200)를 제2 연장부재(320) 방향으로 가압하여 고정시켜줌으로써, 결합돌기부(200)와 삽입부(300) 사이의 결합력을 극대화하여 강한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이들 사이가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운용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 건축용 내, 외장패널 조립체
20 : 단열부
30 : 앵글부
40 : 격자프레임부
50 : 체결부
100 : 본체부
110 : 장식라인돌기
120 : 평탄성유지라인돌기
200 : 결합돌기부
210 : 삽입홈
300 : 삽입부
310 : 제1 연장부재
320 : 제2 연장부재
330 : 제3 연장부재
340 : 제4 연장부재
400 : 아웃코너 패널부
500 : 브라켓
510 : 브라켓 고정부재
520 : 삽입부재
530 : 수직 삽입부재
540 : 수평 삽입부재
600 : 연결부
700 : 아웃코너 캡
800 : 하부 마감부
900 : 조인트부
910 : 고정수단
1100 : 클립
1200 : 고정부
1210 : 탄성부재
1220 : 가압 고정부재
A : 건축물 내벽 또는 외벽

Claims (5)

  1. 후면이 건물의 내벽 또는 외벽에 고정 설치되는 단열부;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ㄱ’자 형상 중 수평으로 된 부분이 상기 단열부의 전면에 고정 설치되는 앵글부;
    격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앵글부의 ‘ㄱ’자 형상 중 수직으로 된 부분에 결합되는 격자프레임부;
    상기 앵글부의 ‘ㄱ’자 형상 중 수평으로 된 부분과 상기 단열부를 관통하여 건물의 내벽 또는 외벽에 삽입 체결되는 체결부;
    상기 격자프레임부의 전면에 설치되어, 건축물 내벽 또는 외벽을 장식하기 위한 평판 형태의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일단에 돌출 형성되는 결합돌기부; 및
    상기 본체부의 다른 일단에 연장 형성되는 삽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부는,
    상기 격자프레임부에 고정되거나, 다른 본체부의 일단에 형성된 결합돌기를 삽입하여 연결하며,
    상기 결합돌기부와 상기 삽입부 사이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삽입부는,
    상기 본체부의 다른 일단에서 후방으로 비스듬하게 연장 형성되는 제1 연장부재;
    상기 제1 연장부재의 일단에서 수평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연장부재;
    상기 제2 연장부재의 가운데 부분에서 전방으로 비스듬하게 연장 형성되는 제3 연장부재; 및
    상기 제2 연장부재의 일단에서 전방으로 수직하게 연장 형성되는 제4 연장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1 연장부재의 내측에 비스듬하게 형성되어,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기부를 가압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가압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건축물 내벽 또는 외벽의 아웃코너 부분에 설치시, 일측이 상기 결합돌기부에 결합되는 아웃코너 패널부;
    건축물 내벽 또는 외벽의 아웃코너 부분에 설치시, 일측이 상기 아웃코너 패널부의 다른 일측에 연결되고, 건축물 내벽 또는 외벽의 인코너 부분에 설치시, 일측으로 상기 결합돌기부를 삽입 고정시키기 위한 브라켓;
    일측이 상기 삽입부에 결합되고, 다른 일측이 상기 브라켓의 다른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삽입부와 상기 브라켓 사이를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부; 및
    상기 브라켓의 외측에 결합되어, 상기 브라켓의 외측을 덮기 위한 아웃코너 캡을 더 포함하며,
    상기 브라켓은,
    건축물 내벽 또는 외벽의 아웃코너 또는 인코너 부분에 설치되는 격자프레임부에 고정되는 브라켓 고정부재;
    상기 브라켓 고정부재의 일측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기부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부재;
    상기 삽입부재에 일측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를 수직으로 삽입하기 위한 수직 삽입부재; 및
    상기 수직 삽입부재의 일측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를 수평으로 삽입하기 위한 수평 삽입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내, 외장패널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전면에 기 설정된 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되는 복수개의 장식라인돌기; 및
    상기 본체부의 후면에 기 설정된 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의 평탄성을 유지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평탄성유지라인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내, 외장패널 조립체.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00087378A 2020-07-15 2020-07-15 건축용 내, 외장패널 조립체 KR1024849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7378A KR102484928B1 (ko) 2020-07-15 2020-07-15 건축용 내, 외장패널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7378A KR102484928B1 (ko) 2020-07-15 2020-07-15 건축용 내, 외장패널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9093A KR20220009093A (ko) 2022-01-24
KR102484928B1 true KR102484928B1 (ko) 2023-01-04

Family

ID=80049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7378A KR102484928B1 (ko) 2020-07-15 2020-07-15 건축용 내, 외장패널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4928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8992B1 (ko) 2003-08-28 2005-12-27 양수석 건축용 조립식 패널어셈블리
SI1650375T2 (sl) * 2004-10-22 2011-04-29 Vaelinge Innovation Ab Set talnih panelov
KR101640797B1 (ko) * 2015-01-02 2016-07-19 김성근 조립식 건축물의 벽체용 패널 및 그 시공방법
KR102120588B1 (ko) 2019-05-09 2020-06-08 신형일 조립식 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9093A (ko) 2022-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7662B1 (ko) 커튼월용 외벽패널의 결합구조
KR20100112058A (ko) 유닛룸과 그 2단 설치 구조
KR101344734B1 (ko) 단열재가 내장된 커튼월
KR101698593B1 (ko) 알루미늄-스틸 복합 커튼월 구조
KR101325301B1 (ko) 단열패널 및 그를 이용한 단열벽체 시공방법
KR101692286B1 (ko) 강도보강 및 단열 구조를 갖는 커튼월 프레임
KR102484928B1 (ko) 건축용 내, 외장패널 조립체
CN210507910U (zh) 一种钢结构装配式墙板
KR20010091455A (ko) 벽체용 패널의 접합구조 및 조립시공방법
CN215760125U (zh) 一种装配式墙板系统
CN214995464U (zh) 外挂式墙板
KR101705717B1 (ko) 건축용 외장 패널 시스템 및 이의 설치 방법
KR100758376B1 (ko) 고층용 창호
CN106337521A (zh) 一种装饰条与立柱、横梁一体化的玻璃幕墙
CN211396460U (zh) 拼接式铝地板结构
KR101289241B1 (ko) 하이브리드 패널을 이용한 벽 및 하이브리드 패널을 이용한 벽의 형성방법
KR200459774Y1 (ko) 건축용 조립 판넬의 연결구조
CN211257316U (zh) 一种双边墙体铝合金连接结构
JP5175506B2 (ja) 建物ユニット間の目地構造及びユニット建物
CN216740255U (zh) 一种幕墙系统
KR20190062360A (ko) 단열성이 향상된 복합성능 방화문
CN211499591U (zh) 一种牢固性极佳的墙顶面板连接件
CN218952697U (zh) 一种线条安装结构
CN211257315U (zh) 一种钝角墙体铝合金连接结构
CN218541266U (zh) 多功能装饰板及建筑墙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