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4520B1 - 이동 단말기 및 미들 프레임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및 미들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4520B1
KR102484520B1 KR1020217031524A KR20217031524A KR102484520B1 KR 102484520 B1 KR102484520 B1 KR 102484520B1 KR 1020217031524 A KR1020217031524 A KR 1020217031524A KR 20217031524 A KR20217031524 A KR 20217031524A KR 102484520 B1 KR102484520 B1 KR 1024845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display screen
lining plate
delete delet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15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32710A (ko
Inventor
쩐 리
촨하오 원
Original Assignee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1327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27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45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45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8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06F1/1605Multimedia displays, e.g. with integrated or attached speakers, cameras, microphon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49Details of the mechanical connection between the housing parts or relating to the method of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2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battery compart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2Illumination; Arrangements for improving the visibility of characters on d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이동 단말기(10) 및 미들 프레임에 있어서, 이동 단말기(10)는, 디스플레이 스크린(240)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200) - 디스플레이 스크린(240)은 평면 영역을 구비함 -; 및 투광부(111) 및 프레임 바디를 포함하는 미들 프레임(100) - 프레임 바디는 장착 공간을 둘러 싸고,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200)는 장착 공간에 설치되어 있고; 투광부(111)는 기준 평면에서의 정투영의 엣지에 제1 엣지 라인(101)을 형성하며, 프레임 바디는 기준 평면에서의 정투영에 제2 엣지 라인(102)을 형성하고, 제1 엣지 라인(101)이 둘러 싸서 설치한 영역의 일부 또는 전부는 제2 엣지 라인(102)의 디스플레이 스크린(240)과 멀리 떨어져 있는 일측에 위치하고; 기준 평면은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240)의 평면 영역이 위치한 평면임 - ; 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 및 미들 프레임
본 출원은 이동 단말기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 단말기 및 미들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전면 카메라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상단에 설치되어 있고, 디스플레이 스크린 엣지와 미들 프레임 엣지 사이에는 전면 카메라의 입사광 영역을 미리 확보해야 하므로,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엣지로부터 이동 단말기 상단 까지의 거리가 비교적 크게 되는 경우를 초래한다. 즉, 미들 프레임의 상부 프레임의 높이가 비교적 높아, 외관에 영향을 준다.
상기 내용을 기반으로, 이동 단말기 및 미들 프레임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 -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평면 영역을 구비함; 및
투광부 및 프레임 바디를 포함하는 미들 프레임 - 상기 프레임 바디는 장착 공간을 둘러 싸고,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는 장착 공간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투광부는 기준 평면에서의 정투영의 엣지에 제1 엣지 라인을 형성하며, 상기 프레임 바디는 기준 평면에서의 정투영에 제2 엣지 라인을 형성하고, 상기 제1 엣지 라인이 둘러 싸서 설치한 영역의 일부 또는 전부는 상기 제2 엣지 라인의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과 멀리 떨어져 있는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기준 평면은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평면 영역이 위치한 평면임 - ; 을 포함한다.
상기 범프는 입광 렌즈와 멀리 떨어진 제3 외측 표면을 구비하고, 상기 범프는 제1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측면은 상기 범프의 상기 기판과 멀리한 끝단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측면과 상기 제3 외측 표면은 교차되어 직각을 형성하고; 상기 기판은 제2 측면, 제3 측면 및 제4 외측 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측면은 상기 제2 측면과 상기 제3 측면에 연결되며, 상기 제4 외측 표면은 상기 제3 외측 표면과 동일 평면에 있고; 상기 제2 측면과 상기 제4 외측 표면은 매끄럽게 과도하고, 상기 제3 측면과 상기 제4 외측 표면은 매끄럽게 과도한다.
상기 미들 프레임은 중앙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 바디는 상기 중앙 플레이트의 주변에 위치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중앙 플레이트의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와 멀리 떨어져 있는 일측의 메인보드에 위치하고, 상기 메인보드에는 노치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노치를 관통하여 설치된다.
상기 메인보드의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와 멀리 떨어져 있는 일측에 위치한 압판을 포함하고, 상기 압판에는 수용 홈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카메라 모듈의 일부 구조는 상기 수용 홈에 수용되고 상기 압판은 상기 카메라 모듈을 누른다.
메인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발광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 바디에는 제2 관통 홀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2 관통 홀은 상기 제1 접합면을 관통하고, 상기 발광 소자가 방출한 광선은 상기 제2 관통 홀을 통과하여 상기 투광부를 비춘다.
미들 프레임은, 투광부 및 프레임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 바디는 장착 공간을 둘러 싸고; 상기 투광부는 기준 평면에서의 정투영의 엣지에 제1 엣지 라인을 형성하며, 상기 프레임 바디는 기준 평면에서의 정투영에 제2 엣지 라인을 형성하고, 상기 제1 엣지 라인이 둘러 싸서 설치한 영역의 일부 또는 전부는 상기 제2 엣지 라인의 상기 장착 공간과 멀리 떨어져 있는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기준 평면은 상기 프레임 바디의 길이 방향 및 너비 방향이 정의한 평면이다.
상기 프레임 바디는 서로 연결된 제1 외측 표면과 제1 접합면을 포함하고, 상기제1 접합면은 상기 라이닝 플레이트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외측 표면은 상기 제1 접합면 주변에 위치하며; 상기 투광부는 서로 대향 설치된 제2 외측 표면 및 제2 접합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외측 표면의 엣지와 상기 제2 접합면의 엣지는 서로 연결되고; 상기 제1 접합면과 상기 제2 접합면은 서로 접합된다.
상기 제2 외측 표면과 상기 제1 외측 표면이 매끄럽게 연결된다.
상기 라이닝 플레이트는 제1 수용 블록 및 제2 수용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수용 블록과 상기 제2 수용 블록은 상기 제1 접합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2 수용 블록은 상기 제1 수용 블록에 비해 상기 라이닝 플레이트의 엣지에 더 가깝고; 상기 제1 수용 블록의 내부 캐비티와 상기 제2 수용 블록의 내부 캐비티는 서로 연통된다.
상기 제1 수용 블록은 상단 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투광부에는 상기 제1 수용 블록과 결합하는 관통 홀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관통 홀은 상기 제2 외측 표면과 상기 제2 접합면을 관통하고, 상기 제1 수용 블록은 상기 관통 홀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상기 상단 표면과 상기 제2 외측 표면은 매끄럽게 연결된다.
상기 투광부에는 상기 제2 수용 블록과 결합하는 오목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오목부는 상기 제2 외측 표면과 상기 제2 접합면의 엣지를 관통하고, 상기 제2 수용 블록은 상기 오목부에 수용되며, 일부 상기 제1 외측 표면은 상기 제2 수용 블록의 앞표면을 형성하고, 상기 앞표면과 상기 제2 외측 표면은 매끄럽게 연결된다.
중앙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 바디는 상기 중앙 플레이트의 주변에 위치한다.
미들 프레임은, 투광부 및 프레임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 바디는 장착 공간을 둘러 싸고; 상기 투광부는 상기 장착 공간 밖에 위치하고 상기 프레임 바디의 일단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투광부 및 상기 프레임 바디가 배열된 방향에서, 상기 투광부의 상기 프레임 바디와 멀리 있는 일측은 상기 프레임 바디의 엣지 윤곽선 밖에 위치한다.
상기 프레임 바디는 서로 대향 설치된 바텀 프레임과 라이닝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라이닝 플레이트의 두께는 상기 바텀 프레임의 두께보다 작고; 상기 투광부는 상기 라이닝 플레이트를 커버하여 설치된다.
상기 프레임 바디는 서로 연결된 제1 외측 표면과 제1 접합면을 포함하고, 상기제1 접합면은 상기 라이닝 플레이트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외측 표면은 상기 제1 접합면 주변에 위치하며; 상기 투광부는 서로 대향 설치된 제2 외측 표면 및 제2 접합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외측 표면의 엣지와 상기 제2 접합면의 엣지는 서로 연결되고; 상기 제1 접합면과 상기 제2 접합면은 서로 접합되며; 상기 제2 외측 표면과 상기 제1 외측 표면은 매끄럽게 연결된다.
상기 라이닝 플레이트는 제1 수용 블록 및 제2 수용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수용 블록과 상기 제2 수용 블록은 상기 제1 접합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2 수용 블록은 상기 제1 수용 블록에 비해 상기 라이닝 플레이트의 엣지에 더 가깝고; 상기 제1 수용 블록의 내부 캐비티와 상기 제2 수용 블록의 내부 캐비티는 서로 연통된다.
상기 제1 수용 블록은 상단 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투광부에는 상기 제1 수용 블록과 결합하는 관통 홀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관통 홀은 상기 제2 외측 표면과 상기 제2 접합면을 관통하고, 상기 제1 수용 블록은 상기 관통 홀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상기 상단 표면과 상기 제2 외측 표면은 매끄럽게 연결된다.
상기 투광부에는 상기 제2 수용 블록과 결합하는 오목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오목부는 상기 제2 외측 표면과 상기 제2 접합면의 엣지를 관통하고, 상기 제2 수용 블록은 상기 오목부에 수용되며, 일부 상기 제1 외측 표면은 상기 제2 수용 블록의 앞표면을 형성하고, 상기 앞표면과 상기 제2 외측 표면이 매끄럽게 연결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 또는 종래 기술 중의 기술적 수단을 더 뚜렷이 설명하기 위해, 이하 실시예 또는 종래 기술의 설명에 사용되는 도면을 간단히 설명하고, 아래의 설명에서 도면은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일 뿐, 당업자에게 있어서, 창조성 노동을 거치지 않고, 당해 도면을 통해 기타 실시예의 도면을 획득하는 것은 자명한 것이다.
도1은 일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이동 단말기의 사시도이다.
도2a는 도1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의 정면도이다.
도2b는 도2a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의 제1 엣지 라인과 제2 엣지 라인의 개략도이다.
도3은 도2a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의 좌측면도이다.
도4는 도1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의 배면도이다.
도5는 도4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의 평면도이다.
도6은 도1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의 분해도이다.
도7은 도6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의 A부분 구조 확대도이다.
도8은 도6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의 투광부재를 일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9는 도6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의 투광부재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10은 도6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의 미들 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11은 도6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의 B부분 구조 확대도이다.
도12는 도6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의 H부분 구조 확대도이다.
도13은 도2a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이 L-L부분에서의 단면도이다.
도14는 도13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이 하나의 실시예에서의 C부분 구조 확대도이다.
도15는 도13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의 D부분 구조 확대도이다.
도16은 도13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이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서의 C부분 구조 확대도이다.
도17은 도4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이 M-M부분에서의 단면도이다.
도18은 도17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의 E부분 구조 확대도이다.
도19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이동 단말기의 구조 개략도이다.
본 출원을 쉽게 이해하기 위해, 이하 관련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에 대해 더 전면적으로 설명한다. 도면은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공한다. 그러나, 본 출원은 복수의 부동한 형식으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반대로, 당해 실시예를 제공하는 목적은 본 출원의 개시 내용을 더 투철하게 이해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말 기기"로서, 하기의 임의 1종 또는 몇 종의 연결 방식으로 연결되고 통신 신호를 수신 및/또는 송신할 수 있는 장치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을 가리킨다.
(1)유선회로를 거친 연결 방식, 예를 들면, 공중 전화 교환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s, PSTN), 디지털 가입자 회선(Digital Subscriber Line, DSL), 디지털 케이블, 직접 케이블 연결을 거친 방식 등이 있다.
(2)무선 인터페이스를 거친 방식, 예를 들면, 셀룰러 네트워크, 무선 근거리 통신망(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DVB-H 네트워크와 같은 디지털 텔레비전 네트워크, 위성 네트워크, AM-FM 방송 송신기 등이 있다.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신하도록 설치된 단말 기기는 "이동 단말기"라고 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예시는 하기의 전자 장치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1)위성 전화 또는 셀룰러 전화;
(2)셀룰러 무선 전화와 데이터 처리, 팩스 및 데이터 통신 능력을 조합할 수 있는 개인 통신 시스템(Personal Communications System, PCS);
(3)무선 전화, 비퍼, 인터넷/인트라넷 접속, 웹 브라우저, 기록부, 캘린더, 위성 항법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수신기가 배치된 개인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 PDA);
(4)통상적인 랩톱 및/또는 팜톱 수신기;
(5)통상적인 랩톱 및/또는 팜톱 무선 전화 송수신기 등이 있다.
도1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 이동 단말기(10)를 제공하고, 이동 단말기(10)는 스마트 폰, 컴퓨터 또는 태블릿 PC일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200), 미들 프레임(100), 배터리 커버(300) 및 메인보드(60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200)와 배터리 커버(300)는 각각 미들 프레임(100)의 양측에 고정되어 있고,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200), 미들 프레임(100)과 배터리 커버(300)는 이동 단말기(10)의 외부 구조를 형성하고, 메인보드(600)는 이동 단말기(10) 내부에 위치하고, 메인보드(600)에는 컨트롤러, 저장 유닛, 전원 관리 유닛, 베이스밴드 칩 등 전자 소자가 집적되어 있다.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200)는 화면 또는 글자체를 디스플레이하는데 사용되고, 메인보드(600)는 이동 단말기(1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 미들 프레임(100)은 베젤 및 중앙 플레이트(150)를 포함하고, 중앙 플레이트(150)는 사각이 모따기를 한 사각 구조이고, 베젤은 중앙 플레이트(150)의 주변을 둘러 싼다. 베젤과 중앙 플레이트(150)의 양측은 모두 오픈 박스 모양의 장착 공간이 형성되고,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200)는 일측의 장착 공간에 고정되어 있고, 배터리 커버(300)는 타측의 장착 공간에 고정되어 있다. 중앙 플레이트(150)와 배터리 커버(300) 사이에는 메인보드(600) 및 압판(700)이 설치되어 있고, 메인보드(600)와 압판(700)은 나사를 통해 중앙 플레이트(150)의 배터리 커버(300)를 향한 일측에 고정되어 있다. 이해해야 할 것은, 사용자가 정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로 전화를 받고 걸 경우, 이동 단말기(10)의 수화기는 귀를 향하고, 이동 단말기(10)의 마이크는 입을 향하고, 이동 단말기(10)은 거의 지면에 수직되며, 위로 향한 일단은 이동 단말기(10)의 상단이고, 아래로 향한 일단은 이동 단말기(10)의 하단이고, 왼쪽으로 향한 일단은 이동 단말기(10)의 좌단이며, 오른쪽으로 향한 일단은 이동 단말기(10)의 우단이다. 좌단과 우단 사이의 거리는 이동 단말기(10)의 너비를 정의하고, 상단과 하단 사이의 거리는 이동 단말기(10)의 길이를 정의하고,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200)의 외측 표면과 배터리 커버(300)의 외측 표면 사이의 거리는 이동 단말기(10)의 두께를 결정한다.
도2b, 도6 내지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200)는 디스플레이 스크린(240)을 포함하고, 디스플레이 스크린(240)은 직사각형 또는 모서리가 둥근 직사각형이고, 디스플레이 스크린(240)이 위치한 평면을 기준 평면으로 정의한다. 이해해야 할 것은, 프레임 바디의 길이 방향과 너비 방향이 정의한 평면은 디스플레이 스크린(240)이 위치한 평면과 평행되거나 또는 중합된다. 베젤은 투광부(111) 및 프레임 바디를 포함하고, 프레임 바디는 중앙 플레이트(150)를 둘러 싸고 중앙 플레이트(150)와 함께 장착 공간을 형성하고,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200)와 배터리 커버(300)는 각각 반대 방향으로 설치된 장착 공간에 설치되어 있다. 투광부(111)는 기준 평면에서의 정투영의 엣지에 제1 엣지 라인(101)을 형성하고, 프레임 바디는 기준 평면에서의 정투영에 제2 엣지 라인(102)을 형성한다. 제1 엣지 라인(101)이 둘러 싸서 설치한 영역의 일부 또는 전부는 제2 엣지 라인(102)의 디스플레이 스크린(240)과 멀리 떨어져 있는 일측에 위치한다. 프레임 바디는 서로 대향 설치된 제1 사이드 프레임(120), 제2 사이드 프레임(140) 및 상기 제1 사이드 프레임(120)과 상기 제2 사이드 프레임(140)사이에 연결된 바텀 프레임(130), 라이닝 플레이트(112)를 포함하고, 바텀 프레임(130)과 상기 라이닝 플레이트(112)는 반대 방향으로 설치되고, 라이닝 플레이트(112)의 두께는 바텀 프레임(130)의 두께보다 작다. 제1 사이드 프레임(120)은 이동 단말기(10)의 좌단에 위치하고, 제2 사이드 프레임(140)은 이동 단말기(10)의 우단에 위치하고, 라이닝 플레이트(112)는 이동 단말기(10)의 좌단에 위치하고, 바텀 프레임(130)은 이동 단말기(10)의 하단에 위치한다. 일 실시예에서, 프레임 바디와 중앙 플레이트(150)는 일체 성형 공정으로 제조된다. 투광부(111)는 라이닝 플레이트(112)를 커버하여 설치되고, 투광부(111)와 라이닝 플레이트(112)는 베젤의 상부 프레임(110)을 함께 형성한다. 일 실시예에서, 투광부(111)는 접착제 도포 공정을 통해 라이닝 플레이트(112)에 고정되어, 미들 프레임(100)의 외관 구조를 보충한다. 도6,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광부(111)는 스트립 모양으로 이동 단말기(10)의 너비 방향을 따라 설치된다. 투광부(111)의 길이는 이동 단말기(10)의 너비보다 조금 작거나 같고, 투광부(111)의 너비는 이동 단말기(10)의 두께보다 조금 작거나 같다.
본 출원은 프레임의 상부 프레임(110)을 투광부(111)와 비투광 라이닝 플레이트(112)로 분해하고, 투광 재료로 투광부(111)를 제조하고, 접착제 도포 공정 또는 기타 공정으로 라이닝 플레이트(112)에 고정하여, 미들 프레임(100)의 외관 구조를 보충함으로, 미들 프레임(100)의 상부 프레임(110)의 시각적 높이를 감소한다. 도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프레임(110)이 모두 비투광 재료로 제조될 경우, 상부 프레임(110)의 시각적 높이는 d1이다. 그러나 본 출원의 상부 프레임(110)의 일부 구조는 투광 재료로 투광부(111)를 제조하고, 라이닝 플레이트(112)에 커버하여 설치할 경우, 상부 프레임(110)의 시각적 높이는 d2임으로, 미들 프레임(100)의 시각적 길이를 감소하는 효과를 달성한다.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 프레임 바디는 서로 연결된 제1 외측 표면(160)과 제1 접합면(112b)을 포함하고, 제1 외측 표면(160)은 제1 접합면(112b) 주변에 위치하고, 제1 접합면(112b)은 상기 라이닝 플레이트(112)의 바텀 프레임(130)과반대되는 측에 위치한다. 이해해야 할 것은, 라이닝 플레이트(112)의 바텀 프레임(130)과 반대되는 측은 제1 접합면(112b) 및 제1 접합면(112b)을 둘러 싼 표면을 포함하고, 제1 사이드 프레임(120)의 외측 표면, 제2 사이드 프레임(140)의 외측 표면, 바텀 프레임(130)의 외측 표면 및 라이닝 플레이트(112)의 제1 접합면(112b) 이외의 부분은 제1 외측 표면(160)을 함께 형성한다. 즉, 프레임 바디의 외측 표면은 제1 접합면(112b) 외에, 기타 부분은 모두 제1 외측 표면(160)에 속한다. 즉, 제1 접합면(112b)과 라이닝 플레이트(112)의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200)를 향한 일측의 내부 표면 사이에는 거리가 존재하고, 당해 거리는 라이닝 플레이트(112)의 두께이고, 라이닝 플레이트(112)의 두께는 바텀 프레임(130)의 두께보다 작다. 이해해야 할 것은, 라이닝 플레이트(112)와 투광부(111)가 중첩된 두께와 바텀 프레임(130)의 두께는 대체적으로 동일하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접합면(112b)은 평면일 수 있고;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서, 제1 접합면(112b)은 곡면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접합면(112b)의 중간 부분은 평면이고, 양단은 매끄럽게 과도한 곡면임으로, 제1 접합면(112b)과 제1 사이드 프레임(120)의 외측 표면, 제2 사이드 프레임(140)의 외측 표면 사이에 복록한 모서리가 존재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8과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 투광부(111)는 엣지가 서로 연결된 2개의 곡면이 대합하여 형성되고, 서로 대향 설치된 제2 외측 표면(111a) 및 제2 접합면(111b)을 포함한다. 제2 외측 표면(111a)의 엣지와 제2 접합면(111b)의 엣지는 서로 연결한다. 이해해야 할 것은, 제2 외측 표면(111a)은 하나의 곡면 또는 평면을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곡면 또는 평면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2 접합면(111b)은 하나의 곡면 또는 평면을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곡면 또는 평면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1 접합면(112b)과 제2 접합면(111b)의 면적과 형상은 같다. 투광부(111)가 라이닝 플레이트(112) 뒤에 고정된 후, 제1 접합면(112b)과 제2 접합면(111b)은 서로 접합되고, 제2 외측 표면(111a)과 제1 외측 표면(160)은 매끄럽게 연결되고, 투광부(111)와 라이닝 플레이트(112)는 상부 프레임(110)을 함께 형성한다.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 라이닝 플레이트(112)는 제1 수용 블록(113) 및 제2 수용 블록(114)을 포함하고, 제1 수용 블록(113)과 제2 수용 블록(114)은 제1 접합면(112b)으로부터 돌출된다. 제2 수용 블록(114)은 제1 접합면(112b)의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200)의 일측을 향한 엣지에 위치하고, 제1 접합면(112b) 주변에 위치한 제1 외측 표면(160)은 제2 수용 블록(114)의 앞표면(114a)을 형성하고, 이해해야 할 것은, 제2 수용 블록(114)의 앞표면(114a)은 제1 외측 표면(160)의 라디안을 따라 연장되고, 시각적으로 제1 외측 표면(160)의 일부에 속한다. 제1 수용 블록(113)은 제2 수용 블록(114)의 앞표면(114a)과 반대되는 측에 접착되고, 제1 수용 블록(113)은 제2 수용 블록(114)과 제1 접합면(112b)의 배터리 커버(300)를 향한 일측의 엣지 사이에 위치한다. 제1 수용 블록(113)의 내부 캐비티와 제2 수용 블록(114)의 내부 캐비티는 서로 관통된다.
도1, 도8 및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 투광부(111)에는 제1 수용 블록(113)과 결합하는 관통 홀(111c)이 설치되어 있고, 관통 홀(111c)은 제2 외측 표면(111a)과 제2 접합면(111b)을 관통한다. 투광부(111)에는 제2 수용 블록(114)과 결합하는 오목부(111d)가 설치되어 있고, 오목부(111d)는 제2 외측 표면(111a)과 제2 접합면(111b)의 엣지를 관통한다. 투광부(111)가 라이닝 플레이트(112)에 고정된 상태에서, 제1 수용 블록(113)은 상기 관통 홀(111c)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제1 수용 블록(113)은 상단 표면(113a)을 포함하고, 상단 표면(113a)과 제2 외측 표면(111a)은 매끄럽게 연결되고; 제2 수용 블록(114)은 오목부(111d)에 수용되고, 제2 수용 블록(114)의 앞표면(114a)과 제2 외측 표면(111a)은 매끄럽게 연결된다. 상단 표면(113a), 앞표면(114a)과 제2 외측 표면(111a)은 모두 매끄럽게 연결되어, 상부 프레임(110)의 외측 표면이 매끄럽게 연결된 곡면을 나타나게 함으로, 볼록한 모서리가 생겨 이동 단말기(10)의 외관 표현력을 저하시키는 것을 방지한다.
도6 및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 이동 단말기(10)는 카메라 모듈(400)을 포함하고, 카메라 모듈(400)은 렌즈 배럴(412), 베이스(413) 및 연성 회로 기판 등 소자를 포함한다. 연성 회로 기판은 베이스(413)에 연결되고, 베이스(413)에는 이미지 프로세서, AF 구동 컴포넌트, 적외선 필터 및 메모리 등 소자가 설치되어 있어, 외계 물체 이미징을 구현한다. 렌즈 배럴(412)은 베이스(413)와 연결되고, 렌즈 배럴(412)의 내부 캐비티와 베이스(413)의 내부 캐비티는 연통된다. 렌즈 배럴(412)에는 입광 렌즈(411) 및 기타 광학 렌즈가 설치되어 있고, 렌즈 배럴(412)의 베이스(413)와 멀리 떨어져 있는 일단은 단부 벽(411a)이고, 단부 벽(411a)에는 입광구(411b)가 설치되어 있고, 입광 렌즈(411)는 입광구(411b)를 통해 노출된다.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서, 렌즈 배럴(412)은 서로 연결되는 제1 보스(412a) 및 제2 보스(412b)를 포함한다. 제2 보스(412b)는 제1 보스(412a)와 베이스(413) 사이에 연결되고, 제2 보스(412b)는 계단면을 포함하고, 계단면은 제1 보스(412a)를 둘러 싼다. 단부 벽(411a)은 제1 보스(412a)의 베이스(413)와 멀리 떨어져 있는 일측에 설치되고, 입광 렌즈(411)는 제1 보스(412a)에 장착되고, 단부 벽(411a)에 설치된 입광구(411b)를 통해 노출된다.
도10, 도13 및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 카메라 모듈(400)은 이동 단말기(10) 내에 위치하고, 베이스(413)의 적어도 일부 구조는 제1 수용 블록(113) 내에 설치되고, 렌즈 배럴(412)의 적어도 일부는 제2 수용 블록(114) 내에 위치한다. 이해해야 할 것은, 제1 수용 블록(113), 제2 수용 블록(114)이 비교적 클 경우, 베이스(413)는 전부가 제1 수용 블록(113) 내에 위치할 수 있고, 렌즈 배럴(412)은 전부가 제2 수용 블록(114)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수용 블록(113), 제2 수용 블록(114)이 비교적 작을 경우, 베이스(413)는 일부가 제1 수용 블록(113) 내에 위치할 수 있고, 렌즈 배럴(412)는 일부가 제2 수용 블록(114) 내에 위치할 수 있고, 실제 수요에 따라 베이스(413)의 전부 또는 일부를 제1 수용 블록(113) 내에 수용할 수 있으며, 렌즈 배럴(412)의 전부 또는 일부를 제2 수용 블록(114) 내에 수용할 수 있다. 제2 수용 블록(114)에는 요홈(114b)이 설치되어 있고, 요홈(114b)은 앞표면(114a)을 관통하고, 제2 수용 블록(114)에는 제1 관통 홀(114c)이 설치되어 있으며, 제1 관통 홀(114c)은 요홈(114b)의 홈 밑면을 관통하고, 입광 렌즈(411)는 제1 관통 홀(114c)을 통해 노출되고, 입광 렌즈(411)의 방향과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200)의 방향은 동일하고, 환경 광선은 제1 관통 홀(114c)을 통해 입광 렌즈(411)까지 비추어, 이동 단말기(10)이 전면 카메라로 사진을 찍거나 비디오 촬영을 하거나 녹화를 가능하게 된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200)는 LCD (Liquid Crystal Display, 액정 디스플레이)스크린으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LCD 스크린은 TFT(Thin Film Transistor, 박막 트랜지스터) 디스플레이 스크린(240) 또는 IPS(In-Plane Switching, 평면 정렬 스위칭) 디스플레이 스크린(240) 또는 SLCD(Splice Liquid Crystal Display, 스플라이스 액정 디스플레이) 디스플레이 스크린(240)일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200)는 OLED(Organic Light-Emitting Diode, 유기 발광 디이오드)스크린으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OLED스크린은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능동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스크린(240) 또는Super AMOLED (Super 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슈퍼 액티브 구동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스크린(240) 또는 Super AMOLED Plus(Super 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Plus, 슈퍼 액티브 매트릭스 유기 발광 다이오드 플러스)디스플레이 스크린(240)일 수 있다. 이해해야 할 것은,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200)는 OLED스크린을 사용하는것이 바람직하고, 당해 스크린은 비교적 얇아, 이동 단말기(10)의 두께를 감소시키는데 유리하다. 컨트롤러의 제어 하에,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200)는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사용자를 위해 동작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13 및 도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200)는 순차적으로 설치된 커버 플레이트(210), 제1 광학 접착층(220), 편광판(230), 디스플레이 스크린(240), 제2 광학 접착층(250), 폼(260) 및 히트 싱크(270)를 포함한다. 커버 플레이트(210)는 투명한 유리로 제조된 것이고, 광 투과율은 80% 이상이고, 커버 플레이트(210)의 두께는 0.55mm보다 작거나 같다. 제1 광학 접착층(220)은 OCA투명 접착제로 제조된 것이고, 커버 플레이트(210)와 편광판(230)을 접착하는데 사용되고, 제1 광학 접착층(220)의 두께는 0.15mm보다 작거나 같다. 편광판(230)은 제1 광학 접착층(220)과 디스플레이 스크린(240) 사이에 위치하고, 두께는 0.147mm보다 작거나 같다. 디스플레이 스크린(240)의 두께는 0.03mm보다 작거나 같고,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제2 광학 접착층(250)은 OCA투명 접착제로 제조된 것이고, 디스플레이 스크린(240)과 폼(260)을 접착하는데 사용되고, 제2 광학 접착층(250)의 두께는 0.088mm보다 작거나 같다. 폼(260)은 제2 광학 접착층(250)의 디스플레이 스크린(240)과 반대되는 측에 위치하고, 밀폐와 댐핑 작용을 구비하고, 폼(260)의 두께는 0.239mm보다 작거나 같다. 폼(260)의 제2 광학 접착층(250)과 반대되는 측에는 히트 싱크(270)가 설치되어 있어, 디스플레이 스크린(240)의 방열에 편리하고, 히트 싱크(270)의 두께는 0.03mm보다 작거나 같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 커버 플레이트(210)는 서로 연결되는 기판(211) 및 범프(212)를 포함하고, 기판(211)은 디스플레이 스크린(240)을 커버하여 설치되고, 범프(212)는 기판(211)의 엣지에 돌출되게 설치되고, 당해 엣지의 중간위치에 위치하고, 요홈(114b)과 결합하여 요홈(114b)에 수용될 수 있다. 이해해야 할 것은, 범프(212)가 기판(211)의 엣지에 돌출되게 설치된 것은 하기의 방식으로 해석할 수 있다. 기판(211)과 범프(212)를 기준 평면을 향해 정투영할 경우, 기판(211)의 범프(212)와 동일측에 있는 단부는 기준 평면에 정투영한 엣지에 1개의 곡선을 형성하고, 당해 곡선은 범프(212) 양측에 위치한 2개의 선분을 포함하고, 2개의 선분을 연결하여 1개의 기준 직선을 형성하고, 기판(211)은 기준 직선의 일측에 위치하고, 범프(212)는 기준 직선의 다른 일측에 위치한다.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 범프(212)는 제1 측면(212a) 및 제3 외측 표면(212b)을 포함하고, 제1 측면(212a)과 제3 외측 표면(212b)는 교차되어 직각을 형성하고, 돌기(212)의 상단에 매끄럽게 과도한 라디안을 제조하는 것을 방지하여, 돌기(212)가 이동 단말기(10)의 길이 방향에서의 사이즈를 감소시킴으로, 카메라 모듈의 광축에서 이동 단말기(10)의 상단까지의 거리를 감소시키고, 상부 프레임(110)의 높이를 감소시킬 수 있다. 기판(211)은 제2 측면(211a), 제3 측면(211b) 및 제4 외측 표면(211c)을 포함하고, 제1 측면(212a)은 제2 측면(211a) 및 제3 측면(211b)에 연결되고, 제4 외측 표면(211c)은 제3 외측 표면(212b)과 동일 평면에 있다. 제2 측면(211a)과 제4 외측 표면(211c)은 교차되어 직각을 형성하고, 제3 측면(211b)과 제4 외측 표면(211c)은 교차되어 직각을 형성한다.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서, 도12 및 도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측면(211a)과 제4 외측 표면(211c) 사이에는 2.5D로 제조될 수 있어 매끄럽게 과도할 수 있고, 경사면 모따기로 제조하여 양자 사이를 매끄럽게 과도할 수도 있다.
도14 및 도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일 실시예에서, 제1 측면(212a)과 제3 외측 표면(212b) 사이의 모따기 너비는 0.1mm~0.15mm이다. 제3 측면(211b)과 제4 외측 표면(211c) 사이의 모따기 너비는 0.1mm~0.15mm이고, 이해해야 할 것은, 제4 외측 표면(211c)이 모따기를 하기 시작한 위치부터 제3 측면(211b)이 있는 평면까지의 거리(d5)는 0.1mm~0.15mm이다. 제2 측면과 제4 외측 표면(211c) 사이의 모따기 너비는 d5와 동일함으로, 0.1mm~0.15mm이다.
또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서, 제2 측면(211a)과 제3 측면(211b)은 범프(212)에 위치하고, 범프(212)의 최대 너비와 기판(211)의 너비는 동일하고, 범프(212)의 최대 너비 부위는 기판(211)에 연결된다. 제1 측면(212a)은 제2 측면(211a)과 제3 측면(211b) 사이에 연결되고, 제2 측면(211a)과 제3 측면(211b)은 반대 방향으로 설치되고, 제1 측면(212a)은 범프(212)의 기판(211)과 멀리 떨어진 끝단에 위치한다. 제1 측면(212a)과 제3 외측 표면(212b)은 교차하여 직각을 형성한다.
도13 및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 전자 기기의 길이 방향에서, 디스플레이 스크린(240)과 렌즈 배럴(412) 사이에는 간극이 존재한다. 이해해야 할 것은, 디스플레이 스크린(240) 상단의 높이는 렌즈 배럴(412)보다 낮음으로, 디스플레이 스크린(240)의 상단과 렌즈 배럴(412) 사이에 간극이 존재하게 된다.
도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스크린(240)의 엣지와 단부 벽(411a)은 중첩된다. 즉, 디스플레이 스크린(240)이 커버 플레이트(210)에 투영한 일부 엣지는 단부 벽(411a)의 엣지가 커버 플레이트(210)에 있는 투영 내에 있다. 디스플레이 스크린(240)의 엣지와 단부 벽(411a)이 중첩된 영역의 너비(d3)는 0.1mm~0.2mm이다.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200)는 디스플레이 영역과 디스플레이 영역을 둘러 싸서 설치된 블랙 보더 영역을 포함하고, 이해해야 할 것은, 디스플레이 스크린(240)을 단부 벽(411a)과 중첩되게 설치하여, 블랙 보더 영역의 사이즈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스크린(240)과 단부 벽(411a) 사이에는 실(280)이 설치되어 있고, 실(280)의 일측은 단부 벽(411a)에 접촉되고, 실(280)의 일측과 반대 방향으로 설치된 다른 일측은 디스플레이 스크린(240)에 접촉하고, 먼지 및 수증기가 이동 단말기(10) 내부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댐핑 작용을 구비하고, 이동 단말기(10)가 충격을 받았을 경우, 디스플레이 스크린(240)이 받는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고, 디스플레이 스크린(240)이 손상된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실(280)은 환상 실링 링이고, 폼(260)으로 제조할 수 있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 메인보드(600)에는 노치(61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카메라 모듈(400)은 노치(610)를 관통하여 설치된다. 당해 구조는 카메라 모듈(400)을 메인보드(600)에 겹쳐 설치하는 것을 방지하고, 이동 단말기(10)의 전체 두께를 얇게 하는데 유리하고, 이동 단말기(10)의 경량화에 유리하다.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서, 압판(700)은 메인보드(600)의 배터리 커버(300)를 향한 일측에 위치하고, 압판(700)과 메인보드(600)는 함께 나사를 통해 중앙 플레이트(150)에 고정된다. 압판(700)에는 수용 홈(710)이 설치되어 있고, 카메라 모듈(400)의 일부 구조는 수용 홈(710)에 수용되고, 압판(700)은 카메라 모듈(400)을 눌러, 카메라 모듈(400)을 고정한다. 이해해야 할 것은, 압판(700)은 필수적인 것이 아니고, 카메라 모듈(400)은 기타 방식을 통해 확실하게 위치 고정할 수 있고, 여기서 한정하지 않는다.
도6, 도10, 도17 및 도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 이동 단말기(10) 내에는 발광 소자(800)가 설치되어 있고, 발광 소자(800)는 중앙 플레이트(150)와 메인보드(600) 사이에 위치한다. 일 실시예에서, 발광 소자(800)는 LED등이다. 도17 및 도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 소자(800)는 연성 회로 기판(810)및 탄성 시트(820)를 통해 메인보드(6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6 및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이닝 플레이트(112)에는 제2 관통 홀(112a)이 설치되어 있고, 제2 관통 홀(112a)은 제1 접합면(112b)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발광 소자(800)가 방출한 광선은 제2 관통 홀(112a)을 통과하여 투광부(111)를 비춘다. 일 실시예에서, 발광 소자(800)의 수량은 2개이고, 카메라 모듈(400)의 양측에 대칭되게 분포되고, 제2 관통 홀(112a)의 수량은 2개이고, 제1 수용 블록(113)의 양측에 대칭되게 설치된다. 메인보드(600)가 발광 소자(800)를 발광하도록 제어한 후, 발광 소자(800)는 투광부(111)를 균일하게 조명할 수 있어, 이동 단말기(10)가 조명 효과를 구비하게 하고, 완제품의 외관 표현력을 향상시킨다.
일 실시예에서, 이동 단말기(10)의 조립 순서는 하기와 같다. 접착제 도포 공정으로 투광부를 라이닝 플레이트(112)에 고정하고; 접착제 도포 기술로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200)를 미들 프레임(100)에 고정하고, 카메라 모듈(400)을 미들 프레임(100)에 조립하며, 미들 프레임(100)을 통해 카메라 모듈(400)의 길이와 너비 방향을 포지셔닝하고, 입광 렌즈(411)는 제1 관통 홀(114c)을 통해 노출되고; 연성 회로 기판(810)을 통해 발광 소자(800)를 미들 프레임(100)에 조립하며, 2개의 발광 소자(800)는 각각 카메라 모듈(400)의 양측에 위치하고, 연성 회로 기판(810)은 탄성 시트(820)을 통해 메인보드(600)에 연결되고; 메인보드(600)를 미들 프레임(100)에 조립하며; 카메라 모듈(400)의 BTB 커넥터를 메인보드(600)에 스냅 결합하고; 나사를 통해 압판(700)을 미들 프레임(100)에 조립하고, 메인보드(600)의 중앙 플레이트(150)와 반대되는 일측에 위치하며, 압판(700)은 카메라 모듈(400)을 꽉 누르고; 배터리 커버(300)를 스냅 결합한다.
이동 단말기(10)의 풀 스크린의 보급에 따라, 카메라 모듈(400)은 미들 프레임(100) 상단에 점점 가까워짐으로, 커버 플레이트(210)로부터 미들 프레임(100) 상단까지의 거리가 증가되어, 상부 프레임(110)의 시각적 높이가 비교적 높아져, 외관에 영향을 준다. 본 출원은 상부 프레임(110)을 투광부(111)와 라이닝 플레이트(112)로 분해하고, 투광부(111)는 접착제 도포 공정 또는 기타 기술로 라이닝 플레이트(112)에 고정되어, 상부 프레임(110)의 시각적 높이를 감소시키며, 발광 소자(800)를 통해 투광부(111)를 비춰, 이동 단말기(10)에 조명 효과가 증가되고, 이동 단말기(10)의 외관 표현력을 향상시킨다.
도19를 참조하면, 도19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이동 단말기의 구조 개략도이다. 당해 이동 단말기(10)는 무선 주파주(RF, Radio Frequency) 회로(501),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포함하는 메모리(502), 입력 유닛(503), 디스플레이 유닛(504), 센서(505), 오디오 회로(506), 와이파이(WiFi, Wireless Fidelity) 모듈(507),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처리 코어를 포함하는 프로세서(508), 전원(509) 등 컴포넌트를 포함한다. 당업자는, 도19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10)의 구조가 이동 단말기(10)에 대한 한정을 구성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고, 도시된 것보다 더 많거나 더 적은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고, 일부 컴포넌트를 조합하거나, 부동한 컴포넌트로 배치할 수 있다 .
무선 주파주 회로(501)는 정보를 송수신하거나, 통화 과정의 신호를 수신 및 송신하는데 사용되고, 특히 기지국의 다운 링크 정보를 수신한 후,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508)에 맏겨 처리하고; 또한, 업 링크에 관한 테이터를 기지국에 송신한다. 통상적으로, 무선 주파주 회로(501)는 안테나, 적어도 하나의 증폭기, 동조기, 하나 또는 복수의 발진기, 가입자 확인 모듈(SIM, Subscriber Identity Module)카드, 송수신기, 커플러, 저잡음 증복기(LNA, Low Noise Amplifier), 듀플렉스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외에, 무선 주파주 회로(501)는 무선 통신을 통해 네트워크 및 기타 기기와 통신할 수 있다. 당해 무선 통신은 임의 통신 기준 또는 프로토콜을 사용할 수 있고, 이동통신 세계화 시스템 (GSM, Global System of Mobile communication), 일반 패킷 무선 서비스(GPRS , General Packet Radio Service),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WCDMA,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롱 텀 에볼루션(LTE, Long Term Evolution), 이메일, 메시지 서비스(SMS, Short Messaging Service)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메모리(502)는 응용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메모리(502)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에는 수행 코드가 포함되어 있다. 응용 프로그램은 다양한 기능 모듈을 구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508)는 메모리(502)에 저장되어 있는 응용 프로그램을 운행하여, 다양한 기능 응용 및 데이터 처리를 수행한다. 메모리(502)는 주로 프로그램 저장 영역과 데이터 저장 영역을 포함하고, 프로그램 저장 영역은 운영 체제,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 수요되는 응용 프로그램(예를 들면, 사운드 재생 기능, 이미지 재생 기능 등) 등을 저장할 수 있고; 데이터 저장 영역은 이동 단말기(10)의 사용에 의해 작성된 데이터(예를 들면, 오디오 데이터, 전화번호부 등)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이외에, 메모리(502)는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 비휘발성 저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자기 메모리 장치, 플래시 메모리 장치, 또는 기타 휘발성 솔리드 스테이트 저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응하게, 메모리(502)는 메모리 컨트롤러를 더 포함할수 있어, 프로세서(508)와 입력 유닛(503)이 메모리(502)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한다.
입력 유닛(503)은 입력된 숫자, 문자 정보 또는 사용자 특징 정보(예를 들면 지문)를 수신하고 사용자 설정과 기능 제어에 관한 키보드, 마우스, 조이스틱, 광학 또는 트랙볼의 신호 입력을 생성하는데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입력 유닛(503)은 터치 감지 표면 및 기타 입력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감지 표면은,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 또는 터치 패드라고도 하고, 사용자가 그 위에서 또는 주변에서의 터치 동작(예를 들면 사용자가 손가락, 터치펜 등 임의 적합한 물체 또는 액세서리로 터치 감지 표면 또는 터치 감지 표면 주변에서의 동작)을 수집하고,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해당 연결 장치를 구동한다. 선택적으로, 터치 감지 표면은 터치 검출 장치와 터치 컨트롤러 2개 부분을 포함한다. 여기서, 터치 검출 장치는 사용자의 터치 방향을 검출하고, 터치 동작이 생성한 신호를 검출하고, 신호를 터치 컨트롤러에 송신하며; 터치 컨트롤러는 터치 검출 장치에서 터치 정보를 수신하고, 당해 정보를 접점 좌표로 전환하고, 프로세서(508)에 송신하며, 프로세서(508)에서 송신한 명령을 수신하고 수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504)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정보 또는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정보 및 이동 단말기(10)의 다양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데 사용되고, 당해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이미지, 텍스트, 아이콘, 비디오 및 임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504)은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디이오드(OLED, Organic Light-Emitting Diode) 등 형식으로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성한다. 나아가, 터치 감지 표면은 디스플레이 패널을 커버할 수 있고, 터치 감지 표면이 그 위에서 또는 주변에서의 터치 동작을 검출한 후, 프로세서(508)에 전송하여 터치 사건의 유형을 결정하고, 프로세서(508)는 터치 사건의 유형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에 해당 시각 출력을 제공한다. 도19에서, 터치 감지 표면과 디스플레이 패널은 2개의 독립적인 컴포넌트로서 입력 및 입력 기능을 구현하지만, 일부 실시예에서, 터치 감지 표면과 디스플레이 패널을 집적하여 입력 및 출력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이해해야 할 것은,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입력 유닛(503) 및 디스플레이 유닛(504)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50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센서, 모션센서 및 기타 센서를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광센서는 환경 광센서 및 근접 센서를 포함하고, 환경 광센서는 환경 광선의 명암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고, 근접 센서는 이동 단말기(10)가 귓가에 이동될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 및/또는 배광을 끌 수 있다. 모션 센서의 1종으로서, 중력 가속도 센서는 각 방향에서(통상적으로 3축임) 가속도의 크기를 검출할 수 있고, 정지될 경우 중력의 크기 및 방향을 검출할 수 있고, 휴대폰 자세를 인식하는 애플리케이션 (예를 들면, 화면의 가로 세로 전환, 관련 게임, 자력계 자세 교정), 진동 인식 관련 기능(예를 들면, 계보기, 펀치) 등에 사용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가 더 구성할 수 있는 자이로스코프,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적외선 센서 등 기타 세서에 대해서, 여기서 더는 설명하지 않는다.
오디오 회로(506)는 스피커, 마이크로폰을 통해 사용자와 이동 단말기(10) 사이의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오디오 회로(506)는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를 전기 신호로 전환하여 스피커에 전송하고, 스피커로 음성 신호로 전환하여 출력한다. 또한, 마이크로폰은 수집된 음성 신호를 전기 신호로 전환하고, 오디오 회로(506)로 수신한 후 오디오 데이터로 전환하고, 오디오 데이터를 프로세서(508)에 출력하여 처리한 후, 무선 주파주 회로(501)를 통해 다른 하나의 이동 단말기(10)에 송신하거나, 또는 오디오 데이터를 메모리(502)에 출력하여 추가 처리를 할수 있도록 한다. 오디오 회로(506)는 헤드폰 홀더를 더 포함할 수 있어, 외장 헤드폰과 이동 단말기(10)의 통신을 제공한다.
와이파이(WiFi)는 단거리 무선 전송 기술에 속하고, 이동 단말기(10)는 와이파이 모듈(507)을 통해 사용자가 이메일을 송수신하고, 웹 페이지를 브라우징하고, 스트리밍 미디어에 액세스하는 등의 작업을 하도록 돕고, 사용자에게 무선 광대역 인터넷 액세스를 제공한다. 도19에는 와이파이 모듈(507)을 도시하였지만, 이해해야 할 것은, 와이파이 모듈(507)은 이동 단말기(10)의 필수 구성에 속하지 않고, 수요에 따라 발명의 본질을 개변하지 않는 범위에서 생략할 수 있다.
프로세서(508)는 이동 단말기(10)의 제어 센터이고, 경우에 따라 주컨트롤러라고도 하고, 프로세서(508)는 각 인터페이스 및 회로로 전체 이동 단말기(10)의 각 부분을 연결하며, 메모리(502)에 저장되어 있는 응용 프로그램을 운행 또는 수행하고, 메모리(502)에 저장된 데이터를 호출하여, 이동 단말기(10)의 각 기능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함으로, 이동 단말기(10)에 대해 전체적인 모니터링을 수행한다. 선택적으로, 프로세서(508)는 하나 또는 복수의 처리 코어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 프로세서(508)는 프로세서와 모뎀 프로세서를 집적할 수 있고, 응용 프로세서는 주로 운영 체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응용 프로그램 등을 처리하고, 모뎀 프로세서는 주로 무선 통신을 처리한다. 이해해야 할 것은, 상기 모뎀 프로세서는 프로세서(508)에 집적되지 않아도 된다.
이동 단말기(10)는 각 컴포넌트에 급전하는 전원(509)을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전원(509)은 전원 관리 시스템을 통해 프로세서(508)와 논리적으로 연결함으로, 전원 관리 시스템을 통해 충전, 방전 및 공률의 손실을 관리하도록 구현한다. 전원(509)은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직류 또는 교류 전원, 재충전 시스템, 전원 고장 검출 회로, 전력 변환 장치 또는 인버터, 전원 상태 지시기 등 임의 컴포넌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19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이동 단말기(10)는 블루투스 모듈 등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더는 설명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실시할 경우, 상기 각 모듈은 독립적인 엔티티로 구현할 수 있고, 임의로 조합하여, 동일 또는 몇 개의 엔티티로 구현할 수도 있고, 상기 각 모듈의 구체적인 실시는 상기의 방법 실시예를 참조할 수 있고, 여기서 더는 설명하지 않는다. 상기 실시예의 각 기술 특징은 임의로 조합할 수 있고, 설명을 간단하기 위해, 상기 실시예의 각 기술 특징의 모든 가능한 조합에 대해 설명하지 않는다, 그러나, 당해 기술 특징의 조합에는 모순이 존재하지 않는 한, 모두 본 명세서의 기재 범위로 인정해야 한다.
상기 실시예는 본 출원의 몇 가지 실시 방식을 표현하였을 뿐, 당해 설명이 비교적 구체적이고 상세하지만, 특허 청구 범위에 대한 한정으로 이해해서는 안된다. 지적해야 할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본 출원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전제에서, 임의의 변형과 개량을 더 할 수 있고, 모두 본 출원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따라서, 본 출원의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을 기준으로 해야 한다.

Claims (31)

  1.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 및
    프레임 바디와 상기 프레임 바디의 상부에 위치한 투광부를 포함하는 미들 프레임; 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 바디는 서로 대향 설치된 바텀 프레임과 라이닝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투광부는 상기 라이닝 플레이트를 커버하여 설치되고,
    상기 라이닝 플레이트는 제2 수용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투광부는 오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수용 블록은 상기 라이닝 플레이트의 상기 바텀 프레임과 반대되는 측에 돌출되고, 상기 오목부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닝 플레이트의 두께는 상기 바텀 프레임의 두께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바디는 서로 연결된 제1 외측 표면과 제1 접합면을 포함하고,
    상기제1 접합면은 상기 라이닝 플레이트의 상기 바텀 프레임과 반대되는 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외측 표면은 상기 제1 접합면 주변에 위치하며,
    상기 투광부는 서로 대향 설치된 제2 외측 표면 및 제2 접합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외측 표면의 엣지와 상기 제2 접합면의 엣지는 서로 연결되고,
    상기 제1 접합면과 상기 제2 접합면은 서로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외측 표면과 상기 제1 외측 표면은 매끄럽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닝 플레이트는 제1 수용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수용 블록은 상기 제1 접합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2 수용 블록은 상기 제1 수용 블록에 비해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에 더 가깝고,
    상기 제1 수용 블록의 내부 캐비티와 상기 제2 수용 블록의 내부 캐비티는 서로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용 블록은 상단 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투광부에는 상기 제1 수용 블록과 결합하는 관통 홀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관통 홀은 상기 제2 외측 표면과 상기 제2 접합면을 관통하고,
    상기 제1 수용 블록은 상기 관통 홀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상기 상단 표면과 상기 제2 외측 표면은 매끄럽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상기 투광부의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를 향한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외측 표면과 상기 제2 접합면의 엣지를 관통하고,
    상기 제2 수용 블록은 상기 제1 접합면의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를 향한 일측의 엣지에 위치하고, 일부 상기 제1 외측 표면은 상기 제2 수용 블록의 앞표면을 형성하고, 상기 앞표면과 상기 제2 외측 표면은 매끄럽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8. 제7 항에 있어서,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은 렌즈 배럴, 베이스 및 연성 회로 기판를 포함하고,
    상기 연성 회로 기판은 상기 베이스에 연결되고,
    상기 렌즈 배럴은 상기 베이스와 연결되며,
    상기 베이스의 적어도 일부 구조는 상기 제1 수용 블록에 수용되고,
    상기 렌즈 배럴의 적어도 일부 구조는 상기 제2 수용 블록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은 렌즈 배럴에 노출된 입광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수용 블록에는 요홈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요홈은 상기 앞표면을 관통하고,
    상기 제2 수용 블록에는 제1 관통 홀이 설치되고,
    상기 제1 관통 홀은 상기 요홈의 홈 밑면을 관통하고,
    상기 입광 렌즈는 상기 제1 관통 홀을 통해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0. 제9 항에 있어서,
    배터리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 커버와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는 각각 프레임 바디의 양측에 위치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는 배터리 커버를 향한 방향에서 순차적으로 설치된 커버 플레이트, 제1 광학 접착층, 편광판, 디스플레이 스크린, 제2 광학 접착층, 폼 및 히트 싱크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직사각형 또는 사각이 둥근 직사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플레이트는 서로 연결된 기판 및 범프를 포함하고,
    상기 범프는 상기기판의 엣지에 돌출되게 설치되고,
    상기 기판은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커버하여 설치되고, 상기 범프는 상기 요홈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범프는 입광 렌즈와 멀리 떨어진 제3 외측 표면을 구비하고,
    상기 범프는 제1 측면, 제2 측면 및 제3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측면은 상기 제2 측면과 상기 제3 측면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제2 측면과 상기 제3 측면은 서로 대향 설치되고,
    제1 측면은 상기 범프의 상기 기판과 멀리한 끝단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측면과 상기 제3 외측 표면은 교차되어 직각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범프는 입광 렌즈와 멀리 떨어진 제3 외측 표면을 구비하고,
    상기 범프는 제1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측면은 상기 범프의 상기 기판과 멀리한 끝단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측면과 상기 제3 외측 표면 사이의 모따기 너비는 0.1mm~0.15mm이며,
    상기 기판은 제2 측면, 제3 측면 및 제4 외측 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측면은 상기 제2 측면과 상기 제3 측면에 연결되고,
    상기 제4 외측 표면은 상기 제3 외측 표면과 동일 평면에 있으며,
    상기 제2 측면과 상기 제4 외측 표면 사이의 모따기 너비는 0.1mm~0.15mm이고,
    상기 제3 측면과 상기 제3 외측 표면 사이의 모따기 너비는 0.1mm~0.15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4. 미들 프레임에 있어서,
    서로 대향 설치된 바텀 프레임과 라이닝 플레이트; 및
    상기 라이닝 플레이트를 커버하여 설치된 투광부; 를 포함하고,
    상기 라이닝 플레이트와 상기 투광부는 상기 미들 프레임의 상부 프레임을 형성하고,
    상기 라이닝 플레이트는 제2 수용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투광부는 오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수용 블록은 상기 라이닝 플레이트의 상기 바텀 프레임과 반대되는 측에 돌출되고, 상기 오목부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들 프레임.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닝 플레이트의 두께는 상기 바텀 프레임의 두께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들 프레임.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KR1020217031524A 2019-03-19 2020-03-04 이동 단말기 및 미들 프레임 KR1024845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20354727.8U CN210225469U (zh) 2019-03-19 2019-03-19 移动终端和中框
CN201920354727.8 2019-03-19
PCT/CN2020/077680 WO2020187020A1 (zh) 2019-03-19 2020-03-04 移动终端和中框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2710A KR20210132710A (ko) 2021-11-04
KR102484520B1 true KR102484520B1 (ko) 2023-01-03

Family

ID=69921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1524A KR102484520B1 (ko) 2019-03-19 2020-03-04 이동 단말기 및 미들 프레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10409527A1 (ko)
EP (1) EP3930296B1 (ko)
JP (1) JP7228713B2 (ko)
KR (1) KR102484520B1 (ko)
CN (1) CN210225469U (ko)
WO (1) WO202018702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66443B (zh) * 2019-11-27 2023-08-08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电子设备的中框及电子设备
CN117641077A (zh) * 2022-08-30 2024-03-01 荣耀终端有限公司 前置摄像头的组装结构及电子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53861A1 (en) * 2008-09-02 2010-03-04 Chi-Young Kim Mobile terminal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4037B1 (ko) * 2002-10-31 2005-03-11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회전형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폰
KR100877049B1 (ko) * 2006-09-28 2009-01-07 가시오 히타치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컴퍼니 리미티드 방수구조
KR101606063B1 (ko) * 2008-09-26 2016-03-24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KR101639406B1 (ko) * 2010-01-04 2016-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JP6101641B2 (ja) * 2014-01-09 2017-03-2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撮像装置
KR102150630B1 (ko) * 2014-01-13 2020-09-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US10331260B2 (en) * 2015-10-30 2019-06-25 Essential Products, Inc. Variable transparency layers for electronic devices
KR20170088684A (ko) * 2016-01-25 2017-08-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CN107168464A (zh) * 2017-05-11 2017-09-15 努比亚技术有限公司 终端设备
CN207491002U (zh) * 2017-11-24 2018-06-12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摄像头模组和移动终端
CN207652494U (zh) * 2017-11-27 2018-07-2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
CN108712524B (zh) * 2018-04-13 2020-01-0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
CN209447456U (zh) * 2019-02-27 2019-09-2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终端设备
CN209748935U (zh) * 2019-02-27 2019-12-06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终端设备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53861A1 (en) * 2008-09-02 2010-03-04 Chi-Young Kim Mobile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528034A (ja) 2022-06-08
US20210409527A1 (en) 2021-12-30
KR20210132710A (ko) 2021-11-04
CN210225469U (zh) 2020-03-31
EP3930296A1 (en) 2021-12-29
JP7228713B2 (ja) 2023-02-24
EP3930296A4 (en) 2022-04-06
EP3930296B1 (en) 2023-08-23
WO2020187020A1 (zh) 2020-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44906B1 (ko) 전자 기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 및 커버 플레이트
CN209472640U (zh) 移动终端
KR20160096927A (ko) 이동 단말기
US20230176279A1 (en) Display panel and terminal
KR20160103415A (ko) 근접센서와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과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KR20110117746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 디스플레이 장치의 윈도우 제조방법
KR102484520B1 (ko) 이동 단말기 및 미들 프레임
US11870924B2 (en) Mobile terminal
CN210225468U (zh) 终端设备、中框、屏幕保护盖板和显示屏模组
CN210015391U (zh) 电子设备和中框
WO2020187074A1 (zh) 电子设备、显示屏组件和盖板
CN209823799U (zh) 移动终端和手机中框
CN209787210U (zh) 移动终端和手机中框
WO2020211634A1 (zh) 移动终端及其电池盖
CN111885229A (zh) 电子设备和显示屏组件
WO2020014821A1 (zh) 电子设备
CN213661672U (zh) 电子设备及其显示屏
WO2023016162A1 (zh) 一种平面光波导方式的定向放光反射屏及显示设备
CN209787211U (zh) 终端设备
WO2020199885A1 (zh) 终端设备
CN210225470U (zh) 终端设备
US11528543B2 (en) Terminal device and sound-emitting apparatus
WO2020014817A1 (zh) 电子设备及其导光件
KR20150088601A (ko) 이동 단말기
CN110602370B (zh) 摄像头模组和终端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