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4446B1 - Xr 트램펄린 시스템 - Google Patents

Xr 트램펄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4446B1
KR102484446B1 KR1020200173021A KR20200173021A KR102484446B1 KR 102484446 B1 KR102484446 B1 KR 102484446B1 KR 1020200173021 A KR1020200173021 A KR 1020200173021A KR 20200173021 A KR20200173021 A KR 20200173021A KR 102484446 B1 KR102484446 B1 KR 1024844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yer
auxiliary device
trampoline
motion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30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83877A (ko
Inventor
최주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뉴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뉴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뉴토
Priority to KR10202001730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4446B1/ko
Publication of KR202200838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38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44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44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60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 A63F13/65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automatically by game devices or servers from real world data, e.g. measurement in live racing competi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03Analysing the course of a movement or motion sequences during an exercise or trainings sequence, e.g. swing for golf or tenni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00Apparatus for jumping
    • A63B5/11Trampolin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00Apparatus for jumping
    • A63B5/16Training devices for jumping; Devices for balloon-jumping; Jumping ai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1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 A63F13/212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using sensors worn by the player, e.g. for measuring heart beat or leg activit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1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 A63F13/213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comprising photodetecting means, e.g. cameras, photodiodes or infrared cell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2071/0658Position or arrangement of displa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03Motion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3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sensor
    • A63B2220/836Sensors arranged on the body of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30/00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XR 트램펄린 시스템은, 바닥, 벽면 및 천장으로 구성되는 인터렉티브 공간; 상기 인터렉티브 공간 내에 구비되고, 플레이어의 동작을 보조하는 보조장치; 상기 플레이어의 이미지 및 영상콘텐츠를 출력하는 출력부; 상기 플레이어가 착용하고, 상기 플레이어의 생체정보 및 동작정보를 감지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및 상기 영상콘텐츠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은 트램펄린으로 구성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XR 트램펄린 시스템을 제공된다.
또한, 바닥이 트램펄린으로 구성되는 인터렉티브 공간 내에 보조장치를 포함하여 플레이어의 동작을 보조하는 시스템이 제공된다.
또한, 바닥이 트램펄린으로 구성되는 인터렉티브 공간 내에 보조장치가 레일을 따라 움직이도록 구성되어 플레이어의 동작을 보조하는 시스템이 제공 된다.

Description

XR 트램펄린 시스템{Extreme reality trampoline system}
본 발명은 XR 트램펄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플레이어의 동작을 보조하는 보조장치를 포함하여 트램펄린 상에서 점프동작 외에 다양한 동작을 시도하며 안전하게 게임을 즐기는 XR 트램펄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트램펄린은 고정된 틀에 그물망이 스프링으로 연결되어 그 위에 올라가 점프를 할 수 있는 운동 기구로서, 바닥에서 점프할 때 보다 무릎이나 관절의 충격을 덜 주어 성장기 어린이, 고령자, 비만인 사람 등 남녀 노소에 관계 없이 즐기기 좋은 운동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에는 트램펄린이 칼로리 소모 효과가 다른 운동에 비해 강도가 낮으면서 많다는 사실이 알려지기 시작하면서 다이어트에 좋은 운동으로 각광 받고 있다.
트램펄린 운동은 미국 나사에서도 인정한  칼로리 소모 운동으로 30분의 운동으로 약 500kcal의 열량을 소모시킬 수 있는 운동이다.
트램펄린 운동은 가볍게 음악을 들으며 뛰거나 TV를 보면서 즐겁게 할 수 있어 운동의 재미도 느끼면서 스트레스 해소에도 많은 도움이 된다.
트램펄린은 탄력있는 트램펄린 상에서 점프하는 재미로 인해 예전부터 오랜 시간동안 아이들의 놀이기구로 인기를 얻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트램펄린을 이용한 놀이기구의 경우 단순히 트램펄린 상에서 사용자가 점프하는 것 외에는 다른 콘텐츠가 적용되는 경우가 많지 않은 아쉬움이 존재한다.
최근에는 실내 공간에서 트램펄린과 미디어를 연동하여 증강 현실을 체험할 수 있는 실내형 미디어 트램펄린 놀이터가 출시된 바 있다.
하지만, 트램펄린에서 맨몸으로만 점프하는 것은 동작에 제한이 있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등록특허 제10-1974911호
본 발명의 실시 예는 XR 트램펄린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바닥이 트램펄린으로 구성되는 인터렉티브 공간 내에 보조장치를 포함하여 플레이어의 동작을 보조하는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는 바닥이 트램펄린으로 구성되는 인터렉티브 공간 내에 보조장치가 레일을 따라 움직이도록 구성되어 플레이어의 동작을 보조하는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XR 트램펄린 시스템은, 바닥, 벽면 및 천장으로 구성되는 인터렉티브 공간; 상기 인터렉티브 공간 내에 구비되고, 플레이어의 동작을 보조하는 보조장치; 상기 플레이어의 이미지 및 영상콘텐츠를 출력하는 출력부; 상기 플레이어가 착용하고, 상기 플레이어의 생체정보 및 동작정보를 감지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및 상기 영상콘텐츠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은 트램펄린으로 구성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특히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플레이어의 동작을 감지하는 동작감지모듈; 상기 플레이어의 동작을 순간캡쳐는 캡쳐모듈;및 상기 영상콘텐츠와 상기 플레이어의 순간캡쳐 이미지를 비교판단하는 비교판단모듈;을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특히 상기 보조장치는, 플레이어 몸에 착용되는 바디부; 천장에 고정되는 고정부;및 상기 바디부와 고정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트램펄린에서 플레이어의 동작을 보조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특히 상기 보조장치는, 천장에 고정되는 레일; 플레이어 몸에 착용되는 바디부; 상기 레일에 고정되는 고정부;및 상기 바디부와 고정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여 동작하는 플레이어의 동작을 보조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특히 프로젝션 맵핑 기술을 이용하여, 상기 인터렉티브 공간 내로 영상콘텐츠를 출력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특히 상기 영상콘텐츠는 경계선을 가지는 특정 형태의 모양이 출력되고, 상기 플레이어는 상기 특정 형태 경계선 내로 몸을 통과할 수 있도록 동작을 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플레이어의 순간모션을 캡쳐하여 상기 경계선 내로 상기 플레이어의 몸이 통과하는지 판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XR 트램펄린 시스템을 제공된다.
또한, 바닥이 트램펄린으로 구성되는 인터렉티브 공간 내에 보조장치를 포함하여 플레이어의 동작을 보조하는 시스템이 제공된다.
또한, 바닥이 트램펄린으로 구성되는 인터렉티브 공간 내에 보조장치가 레일을 따라 움직이도록 구성되어 플레이어의 동작을 보조하는 시스템이 제공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인 XR 트램펄린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인 XR 트램펄린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의 플레이어 착용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 및 도 2의 제어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를 참고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인 XR 트램펄린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인 XR 트램펄린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의 플레이어 착용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 및 도 2의 제어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XR 트램펄린 시스템은 인터렉티브 공간(10), 보조장치(100), 출력부(50), 웨어러블 디바이스(30) 및 제어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인터렉티브 공간(10)은 바닥(11), 벽면(12) 및 천장(13)으로 구성되고, 상기 바닥(11)은 트램펄린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는 사각형 형태의 공간을 예시하고 있으나, 공간의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공간의 형태에 따라 트램펄린 또한 사각, 원형, 미끄럼틀 형태 등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보조장치(100)는 상기 인터렉티브 공간(10) 내에 구비되고, 플레이어(20)의 동작을 보조한다.
상기 출력부(50)는 상기 플레이어(20)의 이미지 및 영상콘텐츠를 출력한다.
상기 출력부(50)는 상기 인터렉티브 공간(10) 내에 구비되고, 카메라(미도시), 센서(미도시) 및 프로젝터(미도시)를 포함하고, 카메라를 이용해 촬영된 플레이어(20)의 이미지와 영상콘텐츠를 합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출력부(50)는 프로젝션 맵핑 기술을 이용하여 상기 인터렉티브 공간(10) 내에 플레이어(20)의 이미지 및 영상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어(20)의 이미지 및 영상콘텐츠는 인터텍티브 공간(10) 내인 바닥(11), 벽면(12) 및 천장(13)에 출력되어, HMD(head-mounted display)와 같은 장비 없이도 증강현실을 출력하여 현실감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30)는 상기 플레어어(20)가 착용하고, 상기 플레이어(20)의 생체정보 및 동작정보를 감지한다.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30)는 플레이어(20)의 손목에 착용 가능한 밴드형을 수 있으나, 발목 착용형, 스포츠 조끼에 삽입되는 소형의 원반 또는 사각판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스마트 워치, 손이나 다리에 착용하는 형태, 센서가 삽입된 신발, 모자, 헤어밴드, 복수의 센서가 부착된 수트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30)는 트램펄린에서 점프를 하는 플레이어(20)의 신체에 착용되기 위한 것으로서, 경량화 된 소형의 장치일 수 있다.
상기 생체정보는 심박수, 운동시간, 이동거리, 이동정보 등을 포함한다.
상기 동작정보는 플레이어(20)의 위치정보를 포함하고, 출력부(50)와 연동하여 플레이어(20)의 순간동작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력부(50)의 카메라 및 센서를 통해 플레이어(20)의 동작정보를 감지할 수 도 있다.
또한, 상기 동작정보는 플레이어(20)의 3차원 좌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30)와 출력부(50)는 연동하여 상기 플레이어(20)의 3차원 좌표 정보를 제어부(200)로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3차원 좌표 정보로부터 플레이어(20)의 점프 높이를 산출하여 영상콘텐츠에 혼합할 수 있다.
상기 인터렉티브 공간(10) 내에 복수의 플레이어(20)가 게임을 즐길 수 있으며, 웨어러블 디바이스(30)는 복수의 플레이어(20) 각각에 착용되어, 각각의 플레어어(20)를 객체 구분할 수 있는 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디바이스(30)에 ID가 부여되어, 부여된 ID로 플레이어(20)를 구분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0)는 영상콘텐츠를 제어한다. 상기 영상콘텐츠는 플레이어(20)가 인터렉티브 공간(10) 내에서 운동을 하면서 게임을 즐길 수 있도록, 스포츠와 게임을 결합한 게임 콘텐츠로서, 게임 플레이에 필요한 각종 이미지 및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장치(100)는 플레이어(20)의 동작을 보조하며, 도 1과 같이 바디부(110), 고정부(140) 및 연결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바디부(110)는 플레이어(20)의 몸에 착용될 수 있다. 상기 바디부(110)는 플레이어(20)의 몸에 착용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의자형태, 벨트 형태 등으로 구성되어 플레이어(20)가 트램펄린 상에서 점프 등과 같은 동작을 할 때, 플레이어(20)의 동작을 보조한다.
상기 고정부(140)는 천장(13)에 보조장치(100)를 고정한다.
상기 연결부(170)는 상기 바디부(110)와 고정부(140)를 연결한다. 상기 연결부(170)에는 손잡이가 구비되어 플레이어(20)가 점프와 같은 동작을 할 때 도움을 줄 수 있다.
플레이어(20)는 도 1에 도시된 보조장치(100)를 이용하여 트램펄린 상에서 점프와 같은 동작을 하며 게임을 즐길 수 있다.
상기 보조장치(100)는 플레이어(20)의 동작을 보조하며, 도 2와 같이 레일(120), 바디부(115), 고정부(145) 및 연결부(17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레일(120)은 인터렉티브 공간(10) 내 천장(13)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부(145)는 상기 보조장치(100)를 상기 레일(120)에 고정한다. 상기 보조장치(100)는 상기 레일(120)에 고정되어 레일(120)을 따라 움직일 수 있다.
상기 바디부(115)는 플레이어(20)의 몸에 착용될 수 있다. 상기 바디부(115)는 플레이어(20)의 몸에 착용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의자형태, 벨트 형태 등으로 구성되어 플레이어(20)가 트램펄린 상에서 점프 등과 같은 동작을 할 때, 플레이어(20)의 동작을 보조한다.
상기 연결부(175)는 상기 바디부(115)와 고정부(145)를 연결한다. 상기 연결부(175)에는 손잡이가 구비되어 플레이어(20)가 점프와 같은 동작을 할 때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장치(100)는 레일(120)을 따라 움직일 때, 정지한 상태에서 더이상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는 고정버튼(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어(20)는 보조장치(100)를 착용하고 레일(120)을 따라 이동하며 플레이 할 때, 어느 지점에 멈출수 있도록 상기 고정버튼을 눌러 보조장치(100)를 고정할 수 있다. 상기 보조장치(100) 고정 후 다시 고정버튼을 눌러 상기 보조장치(100)가 다시 레일(120)을 따라 움직이게 할 수 있다.
플레이어(20)는 도 2에 도시된 보조장치(100)를 이용하여 레일(120)을 따라 움직이며 트램펄린 상에서 점프와 같은 동작을 하며 게임을 즐길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0)는 동작감지모듈(210), 캡쳐모듈(220) 및 비교판단모듈(2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200)는 출력부(50)와 연동되고 상호 무선통신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30), 출력부(50) 및 제어부(200)는 상호 무선통신하여 필요한 정보를 송수신 할 수 있다.
상기 동작감지모듈(210)은 플레이어(20)의 동작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한다.
상기 촬영부(50)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30)로부터 플레에어(20)의 동작정보, 3차원 좌표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정보를 수신받아, 플레이어(20)의 동작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한다.
상기 캡쳐모듈(220)은 상기 플레이어(20)의 동작을 순간캡쳐한다.
상기 비교판단모듈(230)은 상기 영상콘텐츠와 상기 플레이어(20)의 순간캡쳐 이미지를 비교판단한다.
일 실시 예로, 상기 영상콘텐츠는 경계선을 가지는 다양한 모양이 출력될 수 있다. 경계선의 영상콘텐츠가 출력되었을 때, 상기 플레이어(20)는 상기 경계선 내로 몸을 통과할 수 있도록 동작을 하고,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플레이어의 동작을 순간캡쳐하여 상기 경계선 내로 플레이어(20)의 몸이 통과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를 참고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경계선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동작을 하는 사람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특정 사람 모양의 경계선은 출력부(50)를 통하여 원근감 있게 플레이어(20)에게 다가오고, 플레이어(20)에게 근접했을 시, 경계선이 진해지거나 검정에서 빨간색으로 변한는 것과 같이 변하면 플레이어(20)는 상기 특정 사람 모양의 경계선안으로 플레이어(20)의 몸이 통과할 수 있도록 동작한다. 이 때, 출력부(50) 및 제어부(200)는 연동하여 상기 특정 사람 모양을 한 플레이어(20)의 동작을 순간캡쳐하고, 상기 순간캡쳐 이미지와 출력된 특정 사람 모양의 경계선을 비교판단하여 통과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인터렉티브 공간 11 바닥
12 벽면 13 천장
20 플레이어 30 웨어러블 디바이스
50 출력부 100 보조장치
110 115 바디부 120 레일
140 145 고정부 170 175 연결부
200 제어부 210 동작감지모듈
220 캡쳐모듈 230 비교판단모듈

Claims (6)

  1. 바닥, 벽면 및 천장으로 구성되는 인터렉티브 공간;
    상기 인터렉티브 공간 내에 구비되고, 플레이어의 동작을 보조하는 보조장치;
    상기 플레이어의 이미지 및 영상콘텐츠를 출력하는 출력부;
    상기 플레이어가 착용하고, 상기 플레이어의 생체정보 및 동작정보를 감지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및
    상기 영상콘텐츠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은 트램펄린으로 구성되고,
    상기 보조장치는,
    천장에 고정되는 레일;
    플레이어 몸에 착용되는 바디부;
    상기 레일에 고정되는 고정부;및
    상기 바디부와 고정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여 동작하는 플레이어의 동작을 보조하고,
    상기 연결부에는 플레이어가 점프와 같은 동작을 할 때 도움을 주는 손잡이가 구비되고,
    상기 보조장치는 고정버튼을 더 포함하고,
    플레이어가 보조장치를 착용하고 레일을 따라 이동하며 플레이 할 때 상기 고정버튼을 눌러 보조장치를 고정하고, 상기 보조장치 고정 후 다시 고정버튼을 눌러 상기 보조장치가 다시 상기 레일을 따라 움직이게 하는,
    XR 트램펄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플레이어의 동작을 감지하는 동작감지모듈;
    상기 플레이어의 동작을 순간캡쳐는 캡쳐모듈;및
    상기 영상콘텐츠와 상기 플레이어의 순간캡쳐 이미지를 비교판단하는 비교판단모듈;을 포함하는,
    XR 트램펄린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콘텐츠는 경계선을 가지는 특정 형태의 모양이 출력되고,
    상기 플레이어는 상기 특정 형태 경계선 내로 몸을 통과할 수 있도록 동작을 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플레이어의 순간모션을 캡쳐하여 상기 경계선 내로 상기 플레이어의 몸이 통과하는지 판단하는,
    XR 트램펄린 시스템.
KR1020200173021A 2020-12-11 2020-12-11 Xr 트램펄린 시스템 KR1024844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3021A KR102484446B1 (ko) 2020-12-11 2020-12-11 Xr 트램펄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3021A KR102484446B1 (ko) 2020-12-11 2020-12-11 Xr 트램펄린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3877A KR20220083877A (ko) 2022-06-21
KR102484446B1 true KR102484446B1 (ko) 2023-01-05

Family

ID=82221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3021A KR102484446B1 (ko) 2020-12-11 2020-12-11 Xr 트램펄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444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4911B1 (ko) * 2018-10-29 2019-05-03 (주)앤트로스 트램펄린을 이용한 증강현실 기반 스포츠 게임 시스템
US20190160318A1 (en) * 2016-07-06 2019-05-30 Patentselskabet AF 24. November 2017 APS An assembly of a frame component and a bungee component adapted for converting a trampoline into a bungee trampolin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1714A (ko) * 2009-03-10 2010-09-20 정부환 안전레일이 구비된 보행운동용 평행봉
KR20130098770A (ko) * 2012-02-28 2013-09-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입체감 확장형 가상 스포츠 체험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160318A1 (en) * 2016-07-06 2019-05-30 Patentselskabet AF 24. November 2017 APS An assembly of a frame component and a bungee component adapted for converting a trampoline into a bungee trampoline
KR101974911B1 (ko) * 2018-10-29 2019-05-03 (주)앤트로스 트램펄린을 이용한 증강현실 기반 스포츠 게임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3877A (ko) 2022-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72534B2 (en) Interactive wearable videogame through the use of wireless electronic sensors and physical objects
US8892219B2 (en) Motivation and enhancement of physical and mental exercise, rehabilitation, health and social interaction
KR101974911B1 (ko) 트램펄린을 이용한 증강현실 기반 스포츠 게임 시스템
US11263462B2 (en)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extraction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US7722501B2 (en) Interactive step-type gymnastics practice device
Shaw et al. Challenges in virtual reality exergame design
US11850499B2 (en) Augmented reality based interactive sports device using LiDAR sensor
US20060262120A1 (en) Ambulatory based human-computer interface
US20040266528A1 (en) Apparatus and a method for more realistic video games on computers or similar devices using visible or invisible light and a light sensing device
EP2919099B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KR102088335B1 (ko) 학습과 운동이 동시에 가능한 혼합 현실 기반의 학습 게임 제공 시스템
US8523674B2 (en) Video game controller for multiple users
US20180204481A1 (en) Method of creating and distributing digital data sets to improve performance of physical activities
KR102484446B1 (ko) Xr 트램펄린 시스템
KR20220090835A (ko) 인터랙티브 놀이 시스템
JPH08131654A (ja) ゲーム装置およびゲーム装置に用いる運動測定装置
WO2010068901A2 (en) Interface apparatus for software
KR102476285B1 (ko) 증강현실 인터랙티브 스포츠 장치를 이용한 개인별 운동량 측정 방법
KR102384296B1 (ko) 뎁스 인식 및 컬러 인식을 이용한 증강현실 스포츠 콘텐츠 시스템
KR20130100440A (ko) 타격 감지 기구를 이용한 게임 장치
TW201729879A (zh) 移動式互動跳舞健身系統
KR101092183B1 (ko) 사이버 러닝머신 시스템
KR102476730B1 (ko) 증강현실 인터랙티브 스포츠 장치를 이용한 서킷 트레이닝 제공 방법
KR20190134134A (ko) 스마트폰과 스마트티브이를 융합한 동작감지 온라인 무예 게임 앱 시스템
KR102478155B1 (ko) 발판센서를 이용한 운동 및 놀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