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4137B1 - 배전용 전신주의 케이블 연결시스템 구축방법 - Google Patents

배전용 전신주의 케이블 연결시스템 구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4137B1
KR102484137B1 KR1020220035279A KR20220035279A KR102484137B1 KR 102484137 B1 KR102484137 B1 KR 102484137B1 KR 1020220035279 A KR1020220035279 A KR 1020220035279A KR 20220035279 A KR20220035279 A KR 20220035279A KR 102484137 B1 KR102484137 B1 KR 1024841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ssed part
panel
fluid
cable
fluid in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52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귀주
Original Assignee
김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귀주 filed Critical 김귀주
Priority to KR10202200352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41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41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41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3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 A01M29/32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specially adapted for birds, e.g. spik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2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capable of producing different kinds of discharge, e.g. either jet or spr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8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 B05B12/1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responsive to conditions of ambient medium or target, e.g. humidity, temperature position or movement of the target relative to the spray apparatus
    • B05B12/12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responsive to conditions of ambient medium or target, e.g. humidity, temperature position or movement of the target relative to the spray apparatus responsive to presence or shape of targ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2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 B05B7/04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efore discharge
    • B05B7/0408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efore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two or more liq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8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ba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5Biocide distribution means, e.g. nozzles, pumps, manifolds, fans, baffles, spray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배전용 전신주의 케이블 연결시스템 구축방법을 제공한다. 배전용 전신주의 케이블 연결시스템 구축방법은 배전선 케이블 밴드가 준비되는 단계; 상기 배전선 케이블 밴드가 현장에 이송되는 단계; 및 상기 배전선 케이블 밴드가 현장에서 전신주에 설치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케이블 밴드는 배전선에 공통으로 연결되는 통신용 케이블을 전신주에 연결하는 케이블 밴드에 있어서, 케이블 밴드(10)를 구성하는 몸체(10A, 10B)의 중앙에 어댑터 연결 볼트(20)가 설치되고 어댑터 연결 볼트(20)와 케이블밴드 접속 볼트(15) 사이에 분기 걸이용 고리(30)를 부착하여 구성되며, 상기 현장에는 유체제공유닛(100')이 설치되어, 상기 전신주에 대한 조류의 퇴치를 위한 제1유체를 분사하는 제1동작과, 상기 현장에 진입하는 대상자에 대한 소독을 위한 제2유체를 분사하는 제2동작을 수행한다.

Description

배전용 전신주의 케이블 연결시스템 구축방법{Providing method for build a cable connection system for power distribution poles}
본 발명은 배전용 전신주의 케이블 연결시스템 구축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전선에 공통으로 연결되는 통신용 케이블을 전신주에 연결하는 케이블 밴드를 제공하되, 조류 퇴치를 통한 부정적 환경영향을 해소하고 조류 퇴치와 방역관리를 복합적으로 수행하며 복합수단의 물리적 안정성을 확보하여 파손에 대해 충분한 저항력 가지는 배전용 전신주의 케이블 연결시스템 구축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신주에 연결되는 배전선에 공통으로 통신용 케이블을 연결한다. 이러한 설치는 설치되는 케이블의 갯수와 같은 수량의 케이블 밴드를 설치하지 않고 하나의 케이블 밴드를 사용할 수 있게 해준다.
그러나 이러한 단일한 기능 외에도 복합적인 목적으로서 방역과 조튜퇴치 등을 무리없이 함께 달성하기 위한 기술이 요구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신주에 연결되는 배전선에 공통으로 통신용 케이블을 연결하되, 설치되는 케이블의 갯수와 같은 수량의 케이블 밴드를 설치하지 않고 하나의 케이블 밴드를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배전용 전신주의 케이블 연결시스템 구축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단일한 기능 외에도 복합 목적으로서 방역과 조튜퇴치를 무리없이 함께 달성하기 위한 배전용 전신주의 케이블 연결시스템 구축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조류 퇴치를 통한 부정적 환경영향을 해소하는 배전용 전신주의 케이블 연결시스템 구축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단순한 조류퇴치 뿐만 아니라 해당 현장에서 방역관리를 위한 인원과 자재를 복합 수행하는 배전용 전신주의 케이블 연결시스템 구축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조류퇴치와 방역관리를 복합적으로 수행하되, 복합수단의 물리적 안정성을 확보하여 파손에 대해 충분한 저항력 가지도록 하는 배전용 전신주의 케이블 연결시스템 구축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복합수단에 유체를 분사하는 파츠에 대해서 효과적으로 탈거와 장착이 가능하여 신속한 공급과 신속한 탈거가 용이하게 진행되도록 하는 배전용 전신주의 케이블 연결시스템 구축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복합수단의 크기를 다양하게 구현하여 설치 목적과 필요에 적합한 복합수단의 운용이 가능한 배전용 전신주의 케이블 연결시스템 구축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이를 통해 복합수단을 여러대 구비하지 않아도 충분히 효율적인 운용이 가능한 배전용 전신주의 케이블 연결시스템 구축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배전용 전신주의 케이블 연결시스템 구축방법은 배전선 케이블 밴드가 준비되는 단계; 상기 배전선 케이블 밴드가 현장에 이송되는 단계; 및 상기 배전선 케이블 밴드가 현장에서 전신주에 설치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케이블 밴드는 배전선에 공통으로 연결되는 통신용 케이블을 전신주에 연결하는 케이블 밴드에 있어서, 케이블 밴드(10)를 구성하는 몸체(10A, 10B)의 중앙에 어댑터 연결 볼트(20)가 설치되고 어댑터 연결 볼트(20)와 케이블밴드 접속 볼트(15) 사이에 분기 걸이용 고리(30)를 부착하여 구성되며, 상기 현장에는 유체제공유닛이 설치되어, 상기 전신주에 대한 조류의 퇴치를 위한 제1유체를 분사하는 제1동작과, 상기 현장에 진입하는 대상자에 대한 소독을 위한 제2유체를 분사하는 제2동작을 수행하며, 상기 유체제공유닛은, 상기 유체제공유닛, 중앙몸몸체와, 상기 중앙몸체의 상부로 설치되며 상부로 주변의 촬영대상이 기 설정된 대상에 해당되는지 촬영 및 판단하는 판단모듈이 구비되는 상방거치몸체와, 상기 중앙몸체의 일측으로 출몰되는 제1이동패널과, 상기 중앙몸체의 타측으로 출몰되는 제2이동패널과, 상기 제1이동패널과 마주 접하며, 바닥에 일부가 묻혀져 설치되는 제1묻힘패널과, 상기 제2이동패널과 마주 접하며, 바닥에 일부가 묻혀져 설치되는 제2묻힘패널과, 상기 상방거치몸체의 상부 양측에 설치되어 탈거에 기반하는 교체형으로 장착되어 유체를 분사하는 유체분사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유체분사모듈은, 현장에 접근하는 조류를 퇴치하기 위한 상기 제1유체와, 현장에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의 소독을 위한 상기 제2유체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분사하되, 상기 판단모듈의 상기 판단에 기반하여 상기 유체를 분사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이 있다.
본 발명은 전신주에 연결되는 배전선에 공통으로 통신용 케이블을 연결하되, 설치되는 케이블의 갯수와 같은 수량의 케이블 밴드를 설치하지 않고 하나의 케이블 밴드를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배전용 전신주의 케이블 연결시스템 구축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단일 기능 외에도 복합적 목적으로서 방역과 조튜퇴치를 무리없이 동시 달성하기 위한 배전용 전신주의 케이블 연결시스템 구축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조류에 퇴치를 통한 부정적 환경을 해소하는 배전용 전신주의 케이블 연결시스템 구축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단순한 조류퇴치 뿐만 아니라 해당 현장에서 방역관리를 인원과 자재 등에 대해 복합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배전용 전신주의 케이블 연결시스템 구축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이러한 조류퇴치와 방역관리를 복합적으로 수행하되, 이러한 복합수단의 물리적 안정성을 확보하여 파손에 대해 충분한 저항력 가지도록 하는 배전용 전신주의 케이블 연결시스템 구축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이러한 복합수단에 유체를 분사하는 파츠에 대해서 효과적으로 탈거와 장착이 가능하여 신속한 공급과 신속한 탈거가 용이하게 진행되도록 하는 배전용 전신주의 케이블 연결시스템 구축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이러한 복합수단의 크기를 다양하게 구현하여 설치 목적과 필요에 적합한 복합수단의 운용이 가능한 배전용 전신주의 케이블 연결시스템 구축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이를 통해 복합수단을 여러대 구비하지 않아도 충분히 효율적인 운용이 가능한 배전용 전신주의 케이블 연결시스템 구축방법을 제공한다.
도 1a는 종래의 기술에 의한 케이블 밴드의 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b는 종래의 기술에 의한 케이블 밴드를 사용한 다분기 선로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c는 종래의 기술에 의한 케이블 밴드를 사용한 다회선 선로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 밴드의 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 밴드의 형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4a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케이블 밴드 어댑터의 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4b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케이블 밴드 어댑터의 형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5a는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 밴드를 사용한 다분기 선로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b는 종래의 기술에 의한 케이블 밴드를 사용한 다회 선로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6 내지 도 10는 도 2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 밴드의 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배전선에 공통으로 연결되는 통신용케이블을 전신주에 연결하는 케이블 밴드에 있어서, 케이블 밴드(10)를 구성하는 몸체(10A, 10B)의 중앙에어댑터 연결 볼트(20)가 설치되고 어댑터 연결 볼트(20)와 케이블 밴드 접속 볼트(15) 사이에 분기 걸이용고리(30)를 부착하여 구성되어 있음을 도시하고 있다.
이때 분기 걸이용 고리(30)는 반원형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연결되는 케이블의 수량이 많아질 경우에는 케이블 어댑터(40)를 어댑터 연결 볼트(20)에 볼트 고정한다. 이때 케이블 어댑터(40)는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되고 중심선을 따라 다수개의 볼트홀(45)이 형성되어 있어, 케이블 어댑터(40)의 고정시에는 볼트홀(45)에 어댑터 연결 볼트(20)을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케이블 어댑터(40)는 통신용 케이블의 고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케이블 밴드(10)와 직각을 이루도록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케이블 밴드(10)의 설치를 필요로 하는 전신주(3)의 일측에 케이블 밴드(10)의 몸체(10A)를 맞대어 놓고, 다른 몸체(10B)를 준비하여 각각의 몸체(10A, 10B)의 양단이 서로 맞닿도록 한 후, 연결 볼트(20)를 사용하여 케이블 밴드(10)를 형성한다.
케이블 밴드(10)를 결합하기 직전 케이블 밴드 몸체(10A, 10B)에 어댑터 연결 볼트(20)를 고정하는 것이바람직하다. 전신주(3)에 케이블 밴드(10)가 위치된 후, 케이블을 가설한다. 케이블(4)을 설치하고 케이블(4)의 측면에는 조가선(5)을 연결하여 케이블이 안정적으로 결합되도록 한다.
도 5a는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 밴드를 사용한 다분기 선로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다수의 케이블을 가설할 경우, 케이블을 가설한 후 케이블 밴드(10)에 형성되어 있는 분기 걸이용 고리(30)에 조가선(5)의 일단을 고정한 후, 나머지 부분을 케이블(4)의 측면에 연결하도록 한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케이블 밴드(10)에 연결되는 케이블(4)을 연결함으로서, 하나의 케이블밴드를 설치한 상태에서 여러 가닥으로 분기되어 있는 케이블을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도 5b는 종래의 기술에 의한 케이블 밴드를 사용한 다회선로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설치되는 케이블의 회선수가 많을 때 케이블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실시예이다. 상기한 실시예에 의하면, 우선, 케이블 밴드(10)에 고정되어 있는 어댑터 연결 볼트(20)에 케이블 어댑터(40)를 고정한다. 케이블 고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케이블 어댑터(40)는 전신주(3)와 평행하게 한다.
즉, 케이블 밴드(10)와 수직으로 교차하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케이블 어댑터(40)에는 다수의 볼트홀(45)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케이블(4)을 연결함에 케이블 어댑터(40)에 형성된 볼트홀(45)에 조가선(5)을 연결한 후, 조가선(5)을 케이블(4)에 연결하여, 케이블(4)의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배전용 전신주의 케이블 연결시스템 구축방법은 배전선 케이블 밴드가 준비되는 단계; 상기 배전선 케이블 밴드가 현장에 이송되는 단계; 및 상기 배전선 케이블 밴드가 현장에서 전신주에 설치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블 밴드는 배전선에 공통으로 연결되는 통신용 케이블을 전신주에 연결하는 케이블 밴드에 있어서, 케이블 밴드(10)를 구성하는 몸체(10A, 10B)의 중앙에 어댑터 연결 볼트(20)가 설치되고 어댑터 연결 볼트(20)와 케이블밴드 접속 볼트(15) 사이에 분기 걸이용 고리(30)를 부착하여 구성된다.
상기 현장에는 유체제공유닛(100')이 설치되어, 상기 전신주에 대한 조류의 퇴치를 위한 제1유체를 분사하는 제1동작과, 상기 현장에 진입하는 대상자에 대한 소독을 위한 제2유체를 분사하는 제2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유체제공유닛(100')은, 중앙몸체(110')와, 상기 중앙몸체(110')의 상부로 설치되며 상부로 주변의 촬영대상이 기 설정된 대상에 해당되는지 촬영 및 판단하는 판단모듈(114')이 구비되는 상방거치몸체(112')와, 상기 중앙몸체(110')의 일측으로 출몰되는 제1이동패널(116')과, 상기 중앙몸체(110')의 타측으로 출몰되는 제2이동패널(118')과, 상기 제1이동패널(116')과 마주 접하며, 바닥에 일부가 묻혀져 설치되는 제1묻힘패널(120')과, 상기 제2이동패널(118')과 마주 접하며, 바닥에 일부가 묻혀져 설치되는 제2묻힘패널(122')과, 상기 상방거치몸체(112')의 상부 양측에 설치되어 탈거에 기반하는 교체형으로 장착되어 유체를 분사하는 유체분사모듈(211',212',213',214',215’)을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유체분사모듈(211',212',213',214',215’)은, 현장(P')에 접근하는 조류를 퇴치하기 위한 제1유체와, 현장(P')에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의 소독을 위한 제2유체를 분사한다.
여기서 상기 유체분사모듈(211',212',213',214',215’)은, 상기 유체가 충진되고 상기 유체를 분사하는 분사구조체(221')와, 상기 분사구조체(221')의 상부에 위치되며, 상기 분사구조체(221') 로부터 모터회전방식을 회전구동되는 가변구조체(222')를 포함한다.
이러한 상기 상방거치몸체(112')는 양측 상부로 수평 설치되는 제1상부이동체(310')와, 양측 하부로 수평 설치되는 제1하부이동체(316')와, 양측으로 수평 설치되며 상기 제1상부이동체(310')와 대향하는 제1간격유지패널(312')과, 양측으로 수평 설치되며 양측으로 상기 제1하부이동체(316')와 대향하는 제2간격유지패널(314')을 포함한다.
상기 제1상부이동체(310')에는 하부에 제1-1함입부와 제1-2함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간격유지패널(312') 상부에는 제2-1함입부와 제2-2함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간격유지패널(312') 하부에는 제3-1함입부와 제3-2함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간격유지패널(314') 상부에는 제4-1함입부와 제4-2함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간격유지패널(314') 하부에는 제5-1함입부와 제5-2함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하부이동체(316')에는 상부에 제6-1함입부와 제6-2함입부가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유체분사모듈(211',212',213',214',215’)은 상기 제1-1함입부와 상기 제2-1함입부 사이 제1-1영역(S1')에 거치 장착되는 제1유체분사모듈(211')과, 상기 제1-2함입부와 상기 제2-2함입부 사이 제1-2영역(S2')에 거치 장착되는 제2유체분사모듈(212')과, 상기 제2-1함입부와 상기 제3-1함입부 사이 제2-1영역(S3')에 거치 장착되는 제3유체분사모듈(213')과, 상기 제2-2함입부와 상기 제3-2함입부 사이 제2-2영역(S4')에 거치 장착되는 제4유체분사모듈(214')과, 상기 제3-1함입부와 상기 제4-1함입부 사이 제3-1영역(S5')에 거치 장착되는 제5유체분사모듈(215')과, 상기 제3-2함입부와 상기 제4-2함입부 사이 제3-2영역(S6')에 거치 장착되는 제6유체분사모듈(216')을 포함한다.
상기 상방거치몸체(112')는 상기 중앙몸체(110')에서 상하로 승하강 가능하며, 상기 제1이동패널(116')은 하부에 상기 제1묻힘패널(120') 내부로 진입하여 장착되는 제1저면유동체(1161')가 구비되고, 상기 제2이동패널(118')은 하부에 상기 제2묻힘패널(122') 내부로 진입하여 장착되는 제2저면유동체(1181')가 구비되며, 상기 제1이동패널(116')과 상기 제2이동패널(118')에서 상기 제1묻힘패널(120')과 상기 제2묻힘패널(122')은 각기 수평방향으로 각기 슬라이딩 유동되어 상기 제1묻힘패널(120')과 상기 제2묻힘패널(122')에 대한 고정력이 작용하도록 하며, 상기 고정력에 기반하여 상기 중앙몸체(110')는 상기 제1묻힘패널(120')과 상기 제2묻힘패널(122')에 대하여 연동고정이 이루어져 외부의 충격에 대응하도록 구비된다.
한편 상기 제1유체분사모듈(211') 내지 상기 제6유체분사모듈(216')은 상기 거치 장착상태에서 상기 분사구조체(221')의 수평방향간에 둘레회전으로 회전힘을 가하여 상기 유체분사모듈(211',212',213',214',215’)이 상기 상방거치몸체(112'), 상기 제1간격유지패널(312'), 상기 제2간격유지패널(314')에서 장착 고정력이 강화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제1묻힘패널(120')의 상부에는 제1외측패널(124')이 구비되며, 상기 제1외측패널(124')은 내측으로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제1가변구동체(1241, 1242')가 구비되며, 상기 제2묻힘패널(122')의 상부에는 제2이동패널(118')이 구비되며, 상기 제2이동패널(118')은 내측으로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제2가변구동체(1261',1262')가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제1이동패널(116')과 상기 제2이동패널(118')은 각각 상기 제1묻힘패널(120')과 상기 제2묻힘패널(122')측으로 슬라이딩형태로 이동되며, 상기 제1가변구동체(1241,1242')는 상기 상방거치몸체(112')의 일측에서 상기 제1상부이동체(310')의 상부면과 상기 제1하부이동체(316')의 하부면을 눌러 고정하며, 상기 제2가변구동체(1261',1262')는 상기 상방거치몸체(112')의 타측에서 상기 제1상부이동체(310')의 상부면과 상기 제1하부이동체(316')의 하부면을 눌러 고정한다.
상기 제1이동패널(116') 및 상기 제2이동패널(118')은 각각 상기 제1유체분사모듈(211')을 상하로 눌러 가압하는 제1접촉모듈(411')과 상기 제3유체분사모듈(213')을 눌러 가압하는 제2접촉모듈(412')과 상기 제5유체분사모듈(215')을 상하로 눌러 가압하는 제3접촉모듈(413')이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상방거치몸체(112')는 상기 제1-1영역(S1')과 상기 제1-2영역(S2') 사이로 출몰되는 제1세로몸체(511')와, 상기 제1세로몸체(511')에서 상기 제1-1영역(S1')의 상기 제1유체분사모듈(211')과 상기 제1-2영역(S2')의 제2유체분사모듈(212')을 각각 누르도록 출몰되는 제1가로몸체(521')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제1상부이동체(310')는, 상기 제2-1영역(S3')과 상기 제2-2영역(S4') 사이로 출몰되는 제2세로몸체(512')와, 상기 제1상부이동체(310')에서 상기 제2-1영역(S3')의 상기 제2유체분사모듈(212')과 상기 제2-2영역(S4')의 제3유체분사모듈(213')을 각각 누르도록 출몰되는 제2가로몸체(522')가 구비된다.
상기 제1하부이동체(316')는, 상기 제3-1영역(S5')과 상기 제3-2영역(S6') 사이로 출몰되는 제3세로몸체(513')와, 상기 제1하부이동체(316')에서 상기 제3-1영역(S5')의 상기 제3유체분사모듈(213')과 상기 제3-2영역(S6')의 제4유체분사모듈(214')을 각각 누르도록 출몰되는 제3가로몸체(523')가 구비된다.
한편 여기서의 현장(P)은 케이블 연결시스템이 구축을 위한 제1현장(P1)과, 상기 제1현장(P1)으로 진입하기 위한 게이트에 해당되는 제3현장(P3)과 상기 제1현장(P1)과 상기 제3현장(P3) 사이에서 위치되는 제2현장(P2)을 포함한다. 여기서의 적어도 상기 제2현장(P2)은 상기 유체제공유닛(100')이 배치 혹은 설치된다.
이상에서 전술한 물리적 구성들의 구동방식은 모터, 엑츄에이터 등을 기반으로 전후유동, 회전이동이 이루어지며 각 구성부의 형상과 크기는 설치 현장과 구현하고자하는 자재들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되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3 : 전신주 10 : 케이블 밴드
20 : 어댑터 연결 볼트 30 : 분기 걸이용 고리
40 : 프론트 사이드 판넬

Claims (2)

  1. 배전용 전신주의 케이블 연결시스템으로서,
    배전선 케이블 밴드가 현장에 이송되고, 상기 배전선 케이블 밴드가 현장에서 전신주에 설치되고,
    상기 케이블 밴드는,
    배전선에 공통으로 연결되는 통신용 케이블을 전신주에 연결하는 케이블 밴드에 있어서, 케이블 밴드(10)를 구성하는 몸체(10A, 10B)의 중앙에 어댑터 연결 볼트(20)가 설치되고 어댑터 연결 볼트(20)와 케이블밴드 접속 볼트(15) 사이에 분기 걸이용 고리(30)를 부착하여 구성되며,
    상기 현장에는 유체제공유닛(100')이 설치되어, 상기 현장에 진입하는 대상자에 대한 소독을 위한 제2유체를 분사하는 제2동작을 수행하되,
    상기 유체제공유닛(100')은,
    중앙몸체(110')와, 상기 중앙몸체(110')의 상부로 설치되며 상부로 주변의 촬영대상이 기 설정된 대상에 해당되는지 촬영 및 판단하는 판단모듈(114')이 구비되는 상방거치몸체(112')와, 상기 중앙몸체(110')의 일측으로 출몰되는 제1이동패널(116')과, 상기 중앙몸체(110')의 타측으로 출몰되는 제2이동패널(118')과, 상기 제1이동패널(116')과 마주 접하며, 바닥에 일부가 묻혀져 설치되는 제1묻힘패널(120')과, 상기 제2이동패널(118')과 마주 접하며, 바닥에 일부가 묻혀져 설치되는 제2묻힘패널(122')과, 상기 상방거치몸체(112')의 상부 양측에 설치되어 탈거에 기반하는 교체형으로 장착되어 유체를 분사하는 유체분사모듈(211',212',213',214',215’)을 포함하되,
    상기 유체분사모듈(211',212',213',214',215’)은,
    현장(P')에 접근하는 조류를 퇴치하기 위한 제1유체와, 현장(P')에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의 소독을 위한 제2유체를 분사하되,
    상기 유체분사모듈(211',212',213',214',215’)은,
    현장(P')에 접근하는 조류를 퇴치하기 위한 제1유체와, 소독을 위한 제2유체와, 현장(P')에 선정된 대상에 대한 식별을 위한 식별용인 유색의 제3유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분사하되, 상기 판단모듈(114')의 상기 판단에 기반하여 상기 유체를 분사하되,,
    상기 유체분사모듈(211',212',213',214',215’)은,
    상기 유체가 충진되고 상기 유체를 분사하는 분사구조체(221')와, 상기 분사구조체(221')의 상부에 위치되며, 상기 분사구조체(221') 로부터 모터회전방식을 회전구동되는 가변구조체(222')를 포함하며,
    상기 상방거치몸체(112')는,
    양측 상부로 수평 설치되는 제1상부이동체(310')와, 양측 하부로 수평 설치되는 제1하부이동체(316')와, 양측으로 수평 설치되며 상기 제1상부이동체(310')와 대향하는 제1간격유지패널(312')과, 양측으로 수평 설치되며 양측으로 상기 제1하부이동체(316')와 대향하는 제2간격유지패널(314')을 포함하되,
    상기 제1상부이동체(310')에는 하부에 제1-1함입부와 제1-2함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간격유지패널(312') 상부에는 제2-1함입부와 제2-2함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간격유지패널(312') 하부에는 제3-1함입부와 제3-2함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간격유지패널(314') 상부에는 제4-1함입부와 제4-2함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간격유지패널(314') 하부에는 제5-1함입부와 제5-2함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하부이동체(316')에는 상부에 제6-1함입부와 제6-2함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유체분사모듈(211',212',213',214',215’)은
    상기 제1-1함입부와 상기 제2-1함입부 사이 제1-1영역(S1')에 거치 장착되는 제1유체분사모듈(211')과, 상기 제1-2함입부와 상기 제2-2함입부 사이 제1-2영역(S2')에 거치 장착되는 제2유체분사모듈(212')과, 상기 제2-1함입부와 상기 제3-1함입부 사이 제2-1영역(S3')에 거치 장착되는 제3유체분사모듈(213')과, 상기 제2-2함입부와 상기 제3-2함입부 사이 제2-2영역(S4')에 거치 장착되는 제4유체분사모듈(214')과, 상기 제3-1함입부와 상기 제4-1함입부 사이 제3-1영역(S5')에 거치 장착되는 제5유체분사모듈(215')과, 상기 제3-2함입부와 상기 제4-2함입부 사이 제3-2영역(S6')에 거치 장착되는 제6유체분사모듈(216')을 포함하며,
    상기 유체분사모듈(211',212',213',214',215’)은, 상기 유체가 충진되고 상기 유체를 분사하는 분사구조체(221')와, 상기 분사구조체(221')의 상부에 위치되며, 상기 분사구조체(221') 로부터 모터회전방식을 회전구동되는 가변구조체(222')를 포함하고,
    상기 상방거치몸체(112')는 양측 상부로 수평 설치되는 제1상부이동체(310')와, 양측 하부로 수평 설치되는 제1하부이동체(316')와, 양측으로 수평 설치되며 상기 제1상부이동체(310')와 대향하는 제1간격유지패널(312')과, 양측으로 수평 설치되며 양측으로 상기 제1하부이동체(316')와 대향하는 제2간격유지패널(314')을 포함하고,
    상기 제1상부이동체(310')에는 하부에 제1-1함입부와 제1-2함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간격유지패널(312') 상부에는 제2-1함입부와 제2-2함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간격유지패널(312') 하부에는 제3-1함입부와 제3-2함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간격유지패널(314') 상부에는 제4-1함입부와 제4-2함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간격유지패널(314') 하부에는 제5-1함입부와 제5-2함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하부이동체(316')에는 상부에 제6-1함입부와 제6-2함입부가 형성되되,
    상기 유체분사모듈(211',212',213',214',215’)은
    상기 제1-1함입부와 상기 제2-1함입부 사이 제1-1영역(S1')에 거치 장착되는 제1유체분사모듈(211')과, 상기 제1-2함입부와 상기 제2-2함입부 사이 제1-2영역(S2')에 거치 장착되는 제2유체분사모듈(212')과, 상기 제2-1함입부와 상기 제3-1함입부 사이 제2-1영역(S3')에 거치 장착되는 제3유체분사모듈(213')과, 상기 제2-2함입부와 상기 제3-2함입부 사이 제2-2영역(S4')에 거치 장착되는 제4유체분사모듈(214')과, 상기 제3-1함입부와 상기 제4-1함입부 사이 제3-1영역(S5')에 거치 장착되는 제5유체분사모듈(215')과, 상기 제3-2함입부와 상기 제4-2함입부 사이 제3-2영역(S6')에 거치 장착되는 제6유체분사모듈(216')을 포함하되,
    상기 상방거치몸체(112')는,
    상기 중앙몸체(110')에서 상하로 승하강 가능하며, 상기 제1이동패널(116')은 하부에 상기 제1묻힘패널(120') 내부로 진입하여 장착되는 제1저면유동체(1161')가 구비되고,
    상기 제2이동패널(118')은 하부에 상기 제2묻힘패널(122') 내부로 진입하여 장착되는 제2저면유동체(1181')가 구비되며, 상기 제1이동패널(116')과 상기 제2이동패널(118')에서 상기 제1묻힘패널(120')과 상기 제2묻힘패널(122')은 각기 수평방향으로 각기 슬라이딩 유동되어 상기 제1묻힘패널(120')과 상기 제2묻힘패널(122')에 대한 고정력이 작용하도록 하며, 상기 고정력에 기반하여 상기 중앙몸체(110')는 상기 제1묻힘패널(120')과 상기 제2묻힘패널(122')에 대하여 연동고정이 이루어져 외부의 충격에 대응하도록 구비되는 배전용 전신주의 케이블 연결시스템 구축방법.
  2. 삭제
KR1020220035279A 2022-03-22 2022-03-22 배전용 전신주의 케이블 연결시스템 구축방법 KR1024841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5279A KR102484137B1 (ko) 2022-03-22 2022-03-22 배전용 전신주의 케이블 연결시스템 구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5279A KR102484137B1 (ko) 2022-03-22 2022-03-22 배전용 전신주의 케이블 연결시스템 구축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4137B1 true KR102484137B1 (ko) 2023-01-04

Family

ID=84924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5279A KR102484137B1 (ko) 2022-03-22 2022-03-22 배전용 전신주의 케이블 연결시스템 구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413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0450B1 (ko) * 2002-10-31 2005-04-07 한국전력공사 배전선 공통 연결 케이블 밴드
KR20160075199A (ko) * 2014-12-19 2016-06-29 이강훈 광고효과를 갖는 자동이동장치용 핸드레일
KR102277658B1 (ko) * 2020-09-22 2021-07-15 주식회사 양양엔지니어링 배전선로의 전선 보호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0450B1 (ko) * 2002-10-31 2005-04-07 한국전력공사 배전선 공통 연결 케이블 밴드
KR20160075199A (ko) * 2014-12-19 2016-06-29 이강훈 광고효과를 갖는 자동이동장치용 핸드레일
KR102277658B1 (ko) * 2020-09-22 2021-07-15 주식회사 양양엔지니어링 배전선로의 전선 보호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535224B (zh) 一种智能刷树机及方法
US20210094459A1 (en) Machine Configuration System Capable Of Different Works By Means Of Various Components And Equipments
US5453916A (en) Modular safety light system
DE2713724A1 (de) Montagetraeger fuer elektrische verbinder
EP3319190A1 (de) Leitungsfahrwagen sowie montagesystem zur autonomen montage von armaturen an freileitungen
US20130048933A1 (en) Livestock fence system
KR102484137B1 (ko) 배전용 전신주의 케이블 연결시스템 구축방법
DE102018132207B4 (de) Serviceplattform, Containerumschlaghubwagen und Verfahren
DE19654594A1 (de) Freiluftgehäuse zur Aufnahme von Telekommunikationseinrichtungen und Verfharen zur Unterstützung von Freiluftgehäusen
ITMI962000A1 (it) Centrale semovente per telecomunicazioni
US10320166B2 (en) Protection cover for connecting electric and/or data communication cables to several locations
US6223478B1 (en) Wall panel system
CN111049000B (zh) 一种下沉式预制舱底座
AU2013269711A1 (en) Ducting chamber ring and module, a ducted chamber and a method of assembling a modular chamber system
Aracil et al. Robots for live-power lines: Maintenance and inspection tasks
CN210167744U (zh) 一种展览展示用十字柱过线槽
CN202084210U (zh) 高仿真多功能网络工程与管理及智能楼宇综合实训室
CN214379825U (zh) 一种快接式桥架
CN210671502U (zh) 一种带隐藏式布线槽的温室大棚骨架
KR102584877B1 (ko) 선조립 철골 구조물의 하중 분산형 실내 리프팅 장비 및 이를 이용한 선조립 철골 구조물의 설치방법
CN212719152U (zh) 一种机械设备安全运行装置
KR102623001B1 (ko) 선조립 철골 구조물의 양중용 이중 프레임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선조립 철골 구조물의 하중 분산형 실내 리프팅 장비
Tsuchihashi et al. Manipulator system for constructing overhead distribution lines
CN212011556U (zh) 一种防雷接地跨接线的专用揻弯器
US20230182316A1 (en) Device For Carrying Out Interventions On An Electrical Transmission Line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