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4057B1 - 크리에이팅 음원에 대한 선택적 보컬 매칭을 통한 음원 에스티메이팅 시스템 - Google Patents

크리에이팅 음원에 대한 선택적 보컬 매칭을 통한 음원 에스티메이팅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4057B1
KR102484057B1 KR1020210068138A KR20210068138A KR102484057B1 KR 102484057 B1 KR102484057 B1 KR 102484057B1 KR 1020210068138 A KR1020210068138 A KR 1020210068138A KR 20210068138 A KR20210068138 A KR 20210068138A KR 102484057 B1 KR102484057 B1 KR 1024840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source
unit
predetermined
user
cre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8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31127A (ko
Inventor
송창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젤리펀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젤리펀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젤리펀치
Publication of KR202201311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11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40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40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6Accompaniment arrangements
    • G10H1/361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 G10H1/366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with means for modifying or correcting the external signal, e.g. pitch correction, reverberation, changing a singer's vo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8Au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10/00Aspects or methods of musical processing having intrinsic musical character, i.e. involving musical theory or musical parameters or relying on musical knowledge, as applied in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10/005Musical accompaniment, i.e. complete instrumental rhythm synthesis added to a performed melody, e.g. as output by drum machin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1/00Speech or voice signal processing techniques to produce another audible or non-audible signal, e.g. visual or tactile, in order to modify its quality or its intelligibility
    • G10L21/003Changing voice quality, e.g. pitch or formants
    • G10L21/007Changing voice quality, e.g. pitch or formant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used
    • G10L21/013Adapting to target pitch
    • G10L2021/0135Voice conversion or morph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Wav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크리에이팅 음원에 대한 선택적 보컬 매칭을 통한 음원 에스티메이팅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크리에이터의 단말기로부터 크리에이터가 만든 소정의 음원을 선택적으로 획득하여 전송하는 크리에이터 유닛; 소정의 음원을 유저에게 선택적으로 제공하여 크리에이터와 유저 사이를 상호 중개하는 미디에이팅 유닛; 소정의 음원에 유저의 음성을 녹음하여 소정의 레코딩 음원을 생성하는 유저 레코딩 유닛; 소정의 레코딩 음원을 에스티메이터에게 선택적으로 제공하여, 에스티메이터로 하여금 소정의 레코딩 음원이 평가되도록 하는 에스티메이팅 유닛을 포함하는 기술적 사상을 개시한다.

Description

크리에이팅 음원에 대한 선택적 보컬 매칭을 통한 음원 에스티메이팅 시스템{System for estimating of sound source through selective vocal matching for creating sound sources}
본 발명은 크리에이팅 음원에 대한 선택적 보컬 매칭을 통한 음원 에스티메이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크리에이터와 보컬 사이를 중개하여, 크리에이터가 창작한 소정의 음원에 보컬 유저의 음성을 선택적으로 녹음하여 소정의 레코딩 음원을 생성하여 업로드하게 되고, 업로드된 소정의 레코딩 음원을 평가하여 소정의 차트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하는 음원 에스티메이팅 시스템에 관한 기술분야이다.
불법 디지털 음원 유통으로 인해 침체됐던 음악 시장에 스트리밍 서비스가 자리 잡으면서 음악 산업은 최근 5년 동안 매년 7% 이상 성장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국제음반산업협회(IFPI)에 따르면 1999년 이후 하락세였던 세계 음악 시작이 2015년을 기점으로 회복세를 보였고 지난해 세계 음악산업 시장 규모는 202억달러로 1년 전보다 8%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콘텐츠진흥원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음악산업 규모는 7조원으로 1년 전보다 8% 증가됐다.
그 중에서도 스트리밍 서비스의 경우, 2009년 매출이 4억달러에 불과했지만, 10년후인 지난해 114억달러까지 커지면서 스트리밍 서비스의 매출은 10년사이 28배 이상 급증했다. 스트리밍 서비스는 지난해 전체 음악산업에서 56.4%의 비중을 차지하며 처음으로 절반을 넘어섰다. IFPI에 따르면 세계 유료 스트리밍 이용자 수는 지난해 말 기준 3억4100만 명으로 추정된다.
이와 관련된 선행 특허문헌의 예로서 “음원 제공 서버의 불특정 다수에 의한 음원 제작 방법, 음원 제공 서버 및 음원 제작 단말 (공개번호 제10-2018-0025084호, 이하 특허문헌1이라 한다.)”이 존재한다.
특허문헌1에 따른 발명의 경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 1 음원을 수신하고, 다른 사용자 단말이 제 1 음원을 조회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다른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 2 음원을 수신하여, 제 1 음원 및 제 2 음원을 병합함으로써, MR 음원을 완성하고, 또 다른 사용자 단말이 MR 음원을 조회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MR제작 단계; 또 다른 사용자 단말로부터 보컬 사운드를 포함하는 제 3 음원을 수신하여 MR 음원과 제 3 음원을 병합하거나, 다른 사용자 단말로부터 MR 음원과 제 3 음원이 병합된 상태의 제 3 음원을 수신함으로써 노래 음원을 확정하고, 다른 사용자 단말이 노래 음원을 조회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노래 음원 제작 단계; 및 병합된 음원에 대응하는 파일을 생성하고, 파일이 복수의 사용자 단말에 다운로드 가능하도록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다른 특허문헌의 예로서 “음원 커뮤니티 시스템 (공개번호 제10-2019-0129643호, 이하 특허문헌2이라 한다.)”이 존재한다.
특허문헌2에 따른 발명의 경우, 제작된 음원 창작물을 음원 등록 서버에 전송하여 등록하는 음원 창작자 단말기; 음원에 대해 연주, 가창을 포함하는 실연을 하는 음원 실연자가 사용하는 단말기로서, 음원 등록 서버에 접속하여 검색 요청한 음원 창작물 리스트를 수신하여 표시하며, 음원 실연자로부터 선택되는 음원 창작물을 수신하여 표시하며, 수신받은 음원 창작물에 대해서 음원 실연자가 실연한 음원 실연물을 음원 등록 서버에 전송하여 등록하는 음원 실연자 단말기; 음원 실연물을 감상하는 음원 사용자가 사용하는 단말기로서, 음원 등록 서버에 접속하여 검색 요청한 음원 실연물 리스트를 수신하여 표시하며, 음원 사용자로부터 선택되는 음원 실연물을 수신하여 재생하는 음원 사용자 단말기; 및 음원 창작자 단말기에 의해 등록되는 음원 창작물 중에서 음원 실연자 단말기로부터 검색 요청된 음원 창작물 리스트를 음원 실연자 단말기로 제공하여 음원 창작물 리스트 중에서 음원 실연자로부터 선택되는 음원 창작물을 음원 실연자 단말기로 제공하고, 음원 실연자 단말기에 의해 등록되는 음원 실연물 중에서 음원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검색 요청된 음원 실연물 리스트를 음원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여 음원 실연물 리스트 중에서 음원 사용자로부터 선택되는 음원 실연물을 음원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음원 등록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허문헌의 예로서 “뮤직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등록번호 제10-1852102호, 이하 특허문헌3이라 한다.)”이 존재한다.
특허문헌3에 따른 발명의 경우, 상세하게는 4차 산업혁명에 따른 기술 환경의 변화로 저작권자들의 기존 창작물 판매 방식과 음반 제작에 필요한 음악 제작자들의 작품 수집 환경에 여러 오차와 불필요한 프로세스를 줄여 자신이 원하는 음악 권리자를 정확히 찾아 효율적인 프로세스를 가능하도록 하는 뮤직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특허문헌의 예로서 “음원 제작 및 유통 단일화 플랫폼 기반 협업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등록번호 제10-2191895호, 이하 특허문헌4이라 한다.)”이 존재한다.
특허문헌4에 따른 발명의 경우, 음원 제작 및 유통 단일화 플랫폼 기반 협업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제공되며, 음원의 발매를 요청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프로필을 업로드하고 협업을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 사용자 단말의 협업 요청에 대응하여 작사, 작곡, 편곡, 녹음, 믹싱 및 마스터링의 협업을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로부터 선택된 경우 프로젝트 플랫폼 내에서 협업을 진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협업 단말 및 프로젝트 플랫폼을 제공하여 사용자 단말 및 적어도 하나의 협업 단말의 협업 콘텐츠가 업로드되도록 하는 프로젝트 관리부, 사용자 단말로부터 프로필이 등록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과 프로필을 매핑하여 저장하고 업로드하는 프로필 제공부, 적어도 하나의 협업 단말로부터 협업 제공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로 전달하는 협업중개부, 사용자 단말에서 적어도 하나의 협업 단말을 선택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협업 단말로 프로젝트 플랫폼으로의 엑세스권을 제공하는 엑세스 관리부, 사용자 단말 및 적어도 하나의 협업 단말에서 음원 생산이 완료되는 경우, 음원 유통을 진행하는 유통부를 포함하는 협업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공개번호 제10-2018-0025084호 공개번호 제10-2019-0129643호 등록번호 제10-1852102호 등록번호 제10-2191895호
본 발명에 따른 크리에이팅 음원에 대한 선택적 보컬 매칭을 통한 음원 에스티메이팅 시스템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제시한다.
첫째, 크리에이터는 자신이 만든 음원에 맞는 보컬을 매칭받고자 한다.
둘째, 보컬은 크리에이터가 만든 크리에이팅 음원 중, 원하는 음원에 선택적으로 녹음을 진행하고자 한다.
셋째, 보컬이 녹음한 음원을 에스티메이터들과 공유하여 평가받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해결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크리에이팅 음원에 대한 선택적 보컬 매칭을 통한 음원 에스티메이팅 시스템은 상기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과제 해결 수단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크리에이팅 음원에 대한 선택적 보컬 매칭을 통한 음원 에스티메이팅 시스템은 크리에이터(creator)의 단말기로부터 상기 크리에이터가 만든 소정의 음원을 선택적으로 획득하여 전송하는 크리에이터 유닛(creator unit); 상기 크리에이터 유닛으로부터 전송된 상기 소정의 음원을 유저에게 선택적으로 제공하여 상기 크리에이터와 상기 유저 사이를 상호 중개하는 미디에이팅 유닛(intermediating unit); 상기 미디에이팅 유닛을 통해 제공된 상기 소정의 음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상기 소정의 음원에 상기 유저의 음성이 레코딩되도록 하여 소정의 레코딩 음원을 생성하는 유저 레코딩 유닛(user recording unit); 및 상기 유저로부터 레코딩된 상기 소정의 레코딩 음원을 에스티메이터(estimator)에게 선택적으로 제공하여, 상기 에스티메이터로 하여금 상기 소정의 레코딩 음원이 평가되도록 하는 에스티메이팅 유닛(estimating unit)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크리에이팅 음원에 대한 선택적 보컬 매칭을 통한 음원 에스티메이팅 시스템의 상기 크리에이터 유닛은, 상기 크리에이터로부터 제작된 상기 소정의 음원은 오리지널 음원 또는 가이드 음원을 선택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크리에이팅 음원에 대한 선택적 보컬 매칭을 통한 음원 에스티메이팅 시스템의 상기 미디에이팅 유닛은, 상기 크리에이터 유닛으로부터 상기 소정의 음원을 수신하여 상기 유저 레코딩 유닛으로 전송하는 트랜스미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크리에이팅 음원에 대한 선택적 보컬 매칭을 통한 음원 에스티메이팅 시스템의 상기 미디에이팅 유닛은, 상기 크리에이터로부터 상기 크리에이터의 프리퍼런스 보이스(preference voice) 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크리에이터의 상기 프리퍼런스 보이스와 유사한 상기 유저를 상호 매칭해주는 매칭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크리에이팅 음원에 대한 선택적 보컬 매칭을 통한 음원 에스티메이팅 시스템의 상기 유저 레코딩 유닛은, 상기 미디에이팅 유닛으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소정의 음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소정의 음원을 상기 유저로부터 선택되도록 하는 음원 셀렉팅부; 상기 음원 셀렉팅부로부터 선택된 상기 소정의 음원에 상기 유저의 음성을 레코딩되도록 하여 소정의 레코딩 음원을 생성하는 음원 레코딩부; 및 상기 음원 레코딩부로부터 상기 유저의 음성이 레코딩된 상기 소정의 레코딩 음원을 상기 에스티메이팅 유닛으로 전송하는 유저 업로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크리에이팅 음원에 대한 선택적 보컬 매칭을 통한 음원 에스티메이팅 시스템의 상기 음원 셀렉팅부는, 상기 소정의 음원의 중 미리 설정된 구간을 상기 유저에게 선택적으로 선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크리에이팅 음원에 대한 선택적 보컬 매칭을 통한 음원 에스티메이팅 시스템의 상기 음원 레코딩부는, 상기 소정의 음원 별 상기 유저마다 미리 설정된 횟수로 레코딩 횟수를 선택적으로 제한하며, 상기 소정의 레코딩 음원은 소정의 시간동안 선택적으로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크리에이팅 음원에 대한 선택적 보컬 매칭을 통한 음원 에스티메이팅 시스템의 상기 에스티메이팅 유닛은, 상기 유저 레코딩 유닛으로부터 전송된 상기 소정의 레코딩 음원을 게시하여 상기 에스티메이터에게 선택적으로 공유하고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하는 음원 쉐어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크리에이팅 음원에 대한 선택적 보컬 매칭을 통한 음원 에스티메이팅 시스템의 상기 에스티메이팅 유닛은, 상기 에스티메이터로 하여금 상기 음원 쉐어링부로부터 공유된 상기 소정의 레코딩 음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투표할 수 있도록 보팅 이벤트를 선택적으로 생성하는 음원 보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크리에이팅 음원에 대한 선택적 보컬 매칭을 통한 음원 에스티메이팅 시스템의 상기 에스티메이팅 유닛은, 상기 에스티메이터가 선택한 상기 소정의 레코딩 음원을 카운팅하여, 상기 보팅 이벤트를 선택적으로 분석하여 소정의 차트를 제공하는 랭킹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크리에이팅 음원에 대한 선택적 보컬 매칭을 통한 음원 에스티메이팅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크리에이터는 자신이 만든 음원을 업로드하여 음원에 적합한 보컬을 매칭받을 수 있게 된다.
둘째, 보컬은 크리에이터가 만든 음원 중, 원하는 음원에 자신의 음성을 녹음하여 소정의 레코딩 음원을 생성할 수 있게 된다.
셋째, 보컬이 레코딩한 소정의 레코딩 음원을 에스티메이터들과 공유하여 평가받고 투표받을 수 있게 된다.
넷째, 에스티메이터들의 평가를 토대로 소정의 차트를 생성하여, 소정의 레코딩 음원을 출시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리에이팅 음원에 대한 선택적 보컬 매칭을 통한 음원 에스티메이팅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리에이팅 음원에 대한 선택적 보컬 매칭을 통한 음원 에스티메이팅 시스템의 크리에이터 유닛의 개념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리에이팅 음원에 대한 선택적 보컬 매칭을 통한 음원 에스티메이팅 시스템의 미디에이팅 유닛의 개념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리에이팅 음원에 대한 선택적 보컬 매칭을 통한 음원 에스티메이팅 시스템의 유저 레코딩 유닛의 개념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리에이팅 음원에 대한 선택적 보컬 매칭을 통한 음원 에스티메이팅 시스템의 음원 레코딩부의 개념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리에이팅 음원에 대한 선택적 보컬 매칭을 통한 음원 에스티메이팅 시스템의 에스티메이팅 유닛의 개념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리에이팅 음원에 대한 선택적 보컬 매칭을 통한 음원 에스티메이팅 시스템의 랭킹 생성부의 개념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리에이팅 음원에 대한 선택적 보컬 매칭을 통한 음원 에스티메이팅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리에이팅 음원에 대한 선택적 보컬 매칭을 통한 음원 에스티메이팅 시스템의 미디에이팅 유닛의 블록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리에이팅 음원에 대한 선택적 보컬 매칭을 통한 음원 에스티메이팅 시스템의 유저 레코딩 유닛의 블록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리에이팅 음원에 대한 선택적 보컬 매칭을 통한 음원 에스티메이팅 시스템의 에스티메이팅 유닛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크리에이팅 음원에 대한 선택적 보컬 매칭을 통한 음원 에스티메이팅 시스템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리에이팅 음원에 대한 선택적 보컬 매칭을 통한 음원 에스티메이팅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리에이팅 음원에 대한 선택적 보컬 매칭을 통한 음원 에스티메이팅 시스템의 크리에이터 유닛의 개념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리에이팅 음원에 대한 선택적 보컬 매칭을 통한 음원 에스티메이팅 시스템의 미디에이팅 유닛의 개념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리에이팅 음원에 대한 선택적 보컬 매칭을 통한 음원 에스티메이팅 시스템의 유저 레코딩 유닛의 개념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리에이팅 음원에 대한 선택적 보컬 매칭을 통한 음원 에스티메이팅 시스템의 음원 레코딩부의 개념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리에이팅 음원에 대한 선택적 보컬 매칭을 통한 음원 에스티메이팅 시스템의 에스티메이팅 유닛의 개념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리에이팅 음원에 대한 선택적 보컬 매칭을 통한 음원 에스티메이팅 시스템의 랭킹 생성부의 개념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리에이팅 음원에 대한 선택적 보컬 매칭을 통한 음원 에스티메이팅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리에이팅 음원에 대한 선택적 보컬 매칭을 통한 음원 에스티메이팅 시스템의 미디에이팅 유닛의 블록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리에이팅 음원에 대한 선택적 보컬 매칭을 통한 음원 에스티메이팅 시스템의 유저 레코딩 유닛의 블록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리에이팅 음원에 대한 선택적 보컬 매칭을 통한 음원 에스티메이팅 시스템의 에스티메이팅 유닛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크리에이팅 음원에 대한 선택적 보컬 매칭을 통한 음원 에스티메이팅 시스템의 경우, 도1 및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리에이터 유닛(creator unit, 100), 미디에이팅 유닛(mediating unit, 200), 유저 레코딩 유닛(user recording unit, 300), 및 에스티메이팅 유닛(estimating unit, 400)을 포함하게 된다.
먼저 이들 구성요소에서 언급하는 유닛(unit)의 의미는 특정한 제품, 부품, 혹은 기타 유형물의 단위체를 언급하는 것이 아니라, 이들 유닛을 형용하는 기술적 사상이 구현되는 기술적 사상의 개념적 단위를 의미하게 된다.
따라서, 이들 유닛은 특정한 제품, 부품, 혹은 기타 유형물 그 자체가 아니라 제품, 부품 혹은 기타 유형물 상에서 구현되는 기술적 기능의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크리에이팅 음원에 대한 선택적 보컬 매칭을 통한 음원 에스티메이팅 시스템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리에이터(creator, 1)와 유저(user, 2) 사이를 중개하여, 크리에이터(1)가 창작한 소정의 음원에 보컬 유저(2)의 음성을 선택적으로 녹음하여 소정의 레코딩 음원을 생성하여 업로드하게 되고, 업로드된 소정의 레코딩 음원을 평가하여 소정의 차트를 생성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여기서 말하는 크리에이터(1)는 작곡가, 유저(2)는 보컬(vocal), 소정의 음원을 평가하는 사람은 에스티메이터(estimator, 3)로 정의할 수 있다. 크리에이터(1), 유저(2), 에스티메이터(3)는 특정 음원을 기준으로 포지션별로 개념화한 것으로 상대적으로 구분하기 위한 것이며 크리에이터(1), 유저(2), 에스티메이터(3)의 역할은 소정의 음원에 따라서 상호 교차가 가능하다.
또한, 크리에이터(1), 유저(2), 에스티메이터(3)는 각자가 소지하고 있는 단말기 예컨대, 스마트폰, 랩톱 PC, 데스크톱 PC, 태블릿PC 등을 통해서 소정의 음원을 공유하고 소정의 음원에 레코딩을 진행하고, 평가할 수 있도록 한다.
즉, 크리에이터 유닛(100), 유저 레코딩 유닛(300), 에스티메이팅 유닛(400)은 크리에이터(1), 유저(2), 에스티메이터(3) 각각의 모바일 스마트폰에 설치된 앱(application) 혹은 PC에 설치된 프로그램 혹은 이들 스마트폰이나 PC에서 접속하는 웹 페이지 상에서 구현되는 기술적 기능의 개념적 단위로 접근해야 한다.
먼저, 크리에이터 유닛(100)의 경우,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리에이터(1)의 단말기로부터 크리에이터(1)가 만든 소정의 음원을 선택적으로 획득하여 전송하는 구성이다.
크리에이터 유닛(100)은 크리에이터(1)로부터 제작된 소정의 음원은 오리지널 음원 또는 가이드 음원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말하는 소정의 음원에 속하는 오리지널 음원과 가이드 음원은 다운로드 받거나 실시간 스트리밍으로 재생할 수 있는 디지털 음악 데이터이다. 또한, 오리지널 음원은 MR(music recorded) 또는 인스트(inst, instrumental)과 같이 보컬 트랙이 없이 녹음된 음악 데이터로 정의하며, 가이드 음원의 경우, AR(all recorded)과 같이 가이드 보컬이 포함된 음악 데이터로 정의할 수 있다.
미디에이팅 유닛(200)의 경우, 도1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리에이터 유닛(100)으로부터 전송된 소정의 음원을 유저(2)에게 선택적으로 제공하여 크리에이터(1)와 유저(2) 사이를 상호 중개하는 구성이다.
미디에이팅 유닛(200)은 인터넷, 인트라넷, 유무선 통신망, 이동통신망 등을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크리에이터 유닛(100)으로부터 소정의 음원 데이터와 크리에이터(1)의 정보와 같은 각종 신호 및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크리에이팅 음원에 대한 선택적 보컬 매칭을 통한 음원 에스티메이팅 시스템의 미디에이팅 유닛(200)의 경우,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랜스미팅(transmitting)부(210) 및 매칭(matching)부(220)를 포함하게 된다.
먼저, 트랜스미팅부(210)의 경우, 크리에이터 유닛(100)으로부터 소정의 음원을 수신하여 유저 레코딩 유닛(300)으로 전송하는 구성이다.
트랜스미팅부(210)는 크리에이터 유닛(100)과 유저 레코딩 유닛(300)을 상호 중개하여 크리에이터 유닛(100)에서 획득된 소정의 음원을 유저 레코딩 유닛(300)으로 전송하여, 유저(2)에게 제공함으로써, 유저(2)가 소정의 음원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트랜스미팅부(210)는 크리에이터(1)와 유저(2)를 선택적으로 매칭시켜주고, 매칭된 크리에이터(1)와 유저(2)가 소정의 음원에 대한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매칭부(220)의 경우,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리에이터(1)로부터 크리에이터(1)의 프리퍼런스 보이스(preference voice) 정보를 제공받아, 크리에이터(1)의 프리퍼런스 보이스와 유사한 유저(2)를 상호 매칭해주는 구성이다.
매칭부(220)에서 제공받는 프리퍼런스 보이스는 크리에이터(1)로부터 사전에 입력되는 정보로서, 크리에이터(1)가 선호하는 보컬 유형 정보로서 정의할 수 있다. 즉, 크리에이터(1)가 창작한 소정의 음원에 어울리는 보컬 또는 크리에이터(1)가 원하는 보컬을 찾기 위해 사전에 정보를 수집하고, 프리퍼런스 보이스에 따라 적합한 보컬을 매칭시켜 주기 위함이다.
유저 레코딩 유닛(300)의 경우,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디에이팅 유닛(200)을 통해 제공된 소정의 음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소정의 음원에 유저(2)의 음성을 레코딩 되도록 하여 소정의 레코딩 음원을 생성하는 구성이다.
유저 레코딩 유닛(300)의 경우, 유저(2)가 소지하고 있는 단말기에 장착된 마이크, 헤드셋, 이어폰 등을 통해 유저(2)의 음성을 레코딩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크리에이팅 음원에 대한 선택적 보컬 매칭을 통한 음원 에스티메이팅 시스템의 유저 레코딩 유닛(300)의 경우,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원 셀렉팅부(310), 음원 레코딩부(320) 및 유저 업로드부(330)를 포함하게 된다.
먼저, 음원 셀렉팅부(310)의 경우, 미디에이팅 유닛(200)으로부터 제공받은 소정의 음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정의 음원을 유저(2)로부터 선택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음원 셀렉팅부(310)는 미디에이팅 유닛(200)으로부터 제공받은 복수 개의 소정의 음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유저(2)로 하여금 선택하도록 하게 된다.
이때, 음원 셀렉팅부(310)에서는 복수 개의 소정의 음원은 가요, pop, ost, 힙합, 트로트, 재즈 등과 같이 장르별로 분류하여 유저(2)에게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음원 셀렉팅부(310)는 유저(2)가 소정의 음원을 선택하는데 있어서, 소정의 음원 중 미리 설정된 구간을 유저(2)에게 선택적으로 선제공하도록 한다.
여기서 말하는 미리 설정된 구간은 크리에이터(1)가 만든 소정의 음원의 일부 구간으로 정의한다. 미리 설정된 구간은 크리에이터(1)에 의해 설정되거나 음원 셀렉팅부(310)에서 랜덤하게 설정되며, 미리 설정된 구간은 1분 내외로 지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저(2)는 소정의 음원의 미리 설정된 구간을 듣고 레코딩 진행 여부에 대해 결정을 하게 된다.
또한, 크리에이터(1)는 유저(2)에게 미리 설정된 구간만을 선제공하여, 크리에이터(1)가 창작한 소정의 음원에 대한 유출 또는 표절로부터 보호받고자 한다.
음원 레코딩부(320)의 경우,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원 셀렉팅부(310)로부터 선택된 소정의 음원에 유저(2)의 음성을 레코딩되도록 하여 소정의 레코딩 음원을 생성하는 구성이다.
음원 레코딩부(320)는 선택된 소정의 음원 예컨대, 오리지널 음원, MR(music recorded) 또는 인스트(inst, instrumental)에 유저(2)의 음성을 녹음하여 소정의 레코딩 음원을 생성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음원 레코딩부(320)는 소정의 음원 별 유저(2)마다 미리 설정된 횟수로 레코딩 횟수를 선택적으로 제한하며, 소정의 레코딩 음원은 소정의 시간 동안 선택적으로 저장되도록 한다.
예컨대, 미리 설정된 횟수가 N회일 경우, 상기 유저(2)는 상기 소정의 음원에 N회 레코딩이 가능하며, 상기 레코딩된 N개의 레코딩 음원은 임의의 공간 예컨대, 도5에 도시된 나의 녹음실과 같은 공간에 임의의 시간동안 선택적으로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음원 레코딩부(320)에서는 유저(2)로 하여금 N개의 레코딩 음원을 비교 분석해서 더 마음에 드는 레코딩 음원을 선택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임의의 시간 동안 저장된다. 만약, 소정의 레코딩 음원이 N개를 초과할 경우, 제일 처음으로 레코딩된 음원은 자동으로 삭제되도록 한다.
유저 업로드부(330)의 경우, 음원 레코딩부(320)로부터 유저(2)의 음성이 레코딩된 소정의 레코딩 음원을 에스티메이팅 유닛(400)으로 전송하는 구성이다.
유저 업로드부(330)는, 음원 레코딩부(320)로부터 유저(2)에 의해 최종적으로 선택된 소정의 레코딩 음원을 에스티메이팅 유닛(400)으로 전송하여 에스티메이터(3)와 공유하도록 한다.
에스티메이팅 유닛(400)의 경우,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저(2)로부터 레코딩된 소정의 레코딩 음원을 에스티메이터(3)에게 선택적으로 제공하여, 에스티메이터(3)로 하여금 소정의 레코딩 음원이 평가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본 발명에 따른 크리에이팅 음원에 대한 선택적 보컬 매칭을 통한 음원 에스티메이팅 시스템의 에스티메이팅 유닛(400)의 경우,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원 쉐어링부(410), 음원 보팅부(420) 및 랭킹 생성부(430)를 포함하게 된다.
먼저, 음원 쉐어링부(410)의 경우, 유저 레코딩 유닛(300)으로부터 전송된 소정의 레코딩 음원을 게시하여 에스티메이터(3)에게 선택적으로 공유하고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하는 구성이다.
음원 쉐어링부(410)에서는 업로드된 소정의 레코딩 음원에 대해서 에스티메이터(3), 크리에이터(1), 유저(2) 모두가 스트리밍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음원 쉐어링부(410)에서는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되는 소정의 레코딩 음원에 대해 에스티메이터(3), 크리에이터(1), 유저(2) 모두 소정의 댓글 참여가 가능하도록 한다. 소정의 댓글을 통해 소정의 레코딩 음원에 대한 감상평을 공유하고 소통할 수 있도록 한다.
음원 보팅부(420)의 경우, 에스티메이터(3)로 하여금 음원 쉐어링부(410)로부터 공유된 소정의 레코딩 음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투표할 수 있도록 보팅 이벤트(voting event)를 선택적으로 생성하는 구성이다.
음원 보팅부(420)에서는 보팅 타이틀(voting title), 보팅 리스트(voting list), 보팅 듀데이트(voting due date), 또는 보팅 옵션(voting option)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세팅하여 상기 보팅 이벤트의 폼(form)을 생성할 수 있도록 한다.
음원 보팅부(420)로부터 생성된 보팅 이벤트 폼에 따라서 에스티메이터(3)는 보팅 리스트에 포함된 소정의 레코딩 음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투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음원 보팅부(420)에서는 생성된 보팅 이벤트에 대해서는 리스팅된 소정의 레코딩 음원 중 하나만 투표하거나 또는 중복투표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음원 보팅부(420)에서는 투표 뿐만 아니라, 소정의 레코딩 음원 각각에 대한 스트리밍 횟수, 좋아요 횟수 등의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랭킹 생성부(430)의 경우,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스티메이터(3)가 선택한 소정의 레코딩 음원을 카운팅하여, 보팅 이벤트를 선택적으로 분석하여 소정의 차트를 제공하는 구성이다.
랭킹 생성부(430)에서는 에스티메이터(3)가 선택한 소정의 레코딩 음원을 각각 카운팅하여 선택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랭킹 생성부(430)에서는 에스티메이터(3)에게 가장 많은 투표를 받은 소정의 레코딩 음원 순으로 랭킹을 솔팅하여 소정의 차트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제공되는 소정의 차트에는 인기곡 차트, 신곡 소개 차트, 장르별 차트(가요, pop, ost, 힙합, 트로트, 재즈 등)과 같은 차트로 정의할 수 있다.
또한, 랭킹 생성부(430)에서는 스트리밍 횟수 또는 좋아요 횟수에 따라서도 랭킹을 생성하여 소정의 차트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랭킹 생성부(430)로부터 인기곡으로 선정된 소정의 레코딩 음원은 공식 음원 출시가 가능하도록 하여 신인 크리에이터(1)와 신인 보컬을 발굴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게 된다.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결정되며, 특허 청구범위에 사용된 괄호는 선택적 한정을 위해 기재된 것이 아니라, 명확한 구성요소를 위해 사용되었으며, 괄호 내의 기재도 필수적 구성요소로 해석되어야 한다.
1: 크리에이터
2: 유저
3: 에스티메이터
100: 크리에이터 유닛
200: 미디에이팅 유닛
210: 트랜스미팅부
220: 매칭부
300: 유저 레코딩 유닛
310: 음원 셀렉팅부
320: 음원 레코딩부
330: 유저 업로드부
400: 에스티메이팅 유닛
410: 음원 쉐어링부
420: 음원 보팅부
430: 랭킹 생성부

Claims (10)

  1. 크리에이터(creator)의 단말기로부터 상기 크리에이터가 만든 소정의 음원을 선택적으로 획득하여 전송하는 크리에이터 유닛(creator unit);
    상기 크리에이터 유닛으로부터 전송된 상기 소정의 음원을 유저에게 선택적으로 제공하여 상기 크리에이터와 상기 유저 사이를 상호 중개하는 미디에이팅 유닛(intermediating unit);
    상기 미디에이팅 유닛을 통해 제공된 상기 소정의 음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상기 소정의 음원에 상기 유저의 음성이 레코딩되도록 하여 소정의 레코딩 음원을 생성하는 유저 레코딩 유닛(user recording unit); 및
    상기 유저로부터 레코딩된 상기 소정의 레코딩 음원을 에스티메이터(estimator)에게 선택적으로 제공하여, 상기 에스티메이터로 하여금 상기 소정의 레코딩 음원이 평가되도록 하는 에스티메이팅 유닛(estimating unit)을 포함하되,
    상기 유저 레코딩 유닛은,
    상기 미디에이팅 유닛으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소정의 음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소정의 음원을 상기 유저로부터 선택되도록 하는 음원 셀렉팅부;
    상기 음원 셀렉팅부로부터 선택된 상기 소정의 음원에 상기 유저의 음성을 레코딩되도록 하여 소정의 레코딩 음원을 생성하는 음원 레코딩부; 및
    상기 음원 레코딩부로부터 상기 유저의 음성이 레코딩된 상기 소정의 레코딩 음원을 상기 에스티메이팅 유닛으로 선택적으로 전송하는 유저 업로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음원 셀렉팅부는,
    상기 소정의 음원의 중 미리 설정된 구간을 상기 유저에게 선택적으로 선제공하며,
    상기 음원 레코딩부는,
    상기 소정의 음원 별 상기 유저마다 미리 설정된 횟수로 레코딩 횟수를 선택적으로 제한하며, 상기 소정의 레코딩 음원은 소정의 시간동안 선택적으로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리에이팅 음원에 대한 선택적 보컬 매칭을 통한 음원 에스티메이팅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리에이터 유닛은,
    상기 크리에이터로부터 제작된 상기 소정의 음원은 오리지널 음원 또는 가이드 음원을 선택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리에이팅 음원에 대한 선택적 보컬 매칭을 통한 음원 에스티메이팅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에이팅 유닛은,
    상기 크리에이터 유닛으로부터 상기 소정의 음원을 수신하여 상기 유저 레코딩 유닛으로 전송하는 트랜스미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리에이팅 음원에 대한 선택적 보컬 매칭을 통한 음원 에스티메이팅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에이팅 유닛은,
    상기 크리에이터로부터 상기 크리에이터의 프리퍼런스 보이스(preference voice) 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크리에이터의 상기 프리퍼런스 보이스와 유사한 상기 유저를 상호 매칭해주는 매칭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리에이팅 음원에 대한 선택적 보컬 매칭을 통한 음원 에스티메이팅 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스티메이팅 유닛은,
    상기 유저 레코딩 유닛으로부터 전송된 상기 소정의 레코딩 음원을 게시하여 상기 에스티메이터에게 선택적으로 공유하고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하는 음원 쉐어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리에이팅 음원에 대한 선택적 보컬 매칭을 통한 음원 에스티메이팅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에스티메이팅 유닛은,
    상기 에스티메이터로 하여금 상기 음원 쉐어링부로부터 공유된 상기 소정의 레코딩 음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투표할 수 있도록 보팅 이벤트를 선택적으로 생성하는 음원 보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리에이팅 음원에 대한 선택적 보컬 매칭을 통한 음원 에스티메이팅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에스티메이팅 유닛은,
    상기 에스티메이터가 선택한 상기 소정의 레코딩 음원을 카운팅하여, 상기 보팅 이벤트를 선택적으로 분석하여 소정의 차트를 제공하는 랭킹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리에이팅 음원에 대한 선택적 보컬 매칭을 통한 음원 에스티메이팅 시스템.
KR1020210068138A 2021-03-19 2021-05-27 크리에이팅 음원에 대한 선택적 보컬 매칭을 통한 음원 에스티메이팅 시스템 KR1024840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035861 2021-03-19
KR1020210035861 2021-03-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1127A KR20220131127A (ko) 2022-09-27
KR102484057B1 true KR102484057B1 (ko) 2023-01-04

Family

ID=83451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8138A KR102484057B1 (ko) 2021-03-19 2021-05-27 크리에이팅 음원에 대한 선택적 보컬 매칭을 통한 음원 에스티메이팅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405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0107B1 (ko) * 2016-06-29 2017-10-25 이승택 음악 종합 서비스 방법 및 서버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3104B1 (ko) * 2015-08-28 2018-01-30 장현준 음악 재능 중계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80025084A (ko) 2016-08-31 2018-03-08 송기백 음원 제공 서버의 불특정 다수에 의한 음원 제작 방법, 음원 제공 서버 및 음원 제작 단말
KR101852102B1 (ko) 2017-08-25 2018-04-26 홍성민 뮤직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90129643A (ko) 2018-05-12 2019-11-20 주식회사 도레미 음원 커뮤니티 시스템
KR102191895B1 (ko) 2020-04-20 2020-12-16 김도협 음원 제작 및 유통 단일화 플랫폼 기반 협업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0107B1 (ko) * 2016-06-29 2017-10-25 이승택 음악 종합 서비스 방법 및 서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1127A (ko) 2022-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64993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pagating a media item recommendation message comprising recommender presence information
US8285776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a received media item recommendation message comprising recommender presence information
US9037632B2 (en) System and method of generating a media item recommendation message with recommender presence information
US8611563B2 (en) Method, a system and an apparatus for delivering media layers
Shiga Copy-and-persist: The logic of mash-up culture
US20080301187A1 (en) Enhanced media item playlist comprising presence information
US20150066780A1 (en) Developing Music and Media
US11545187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mpiling user-generated videos
US10990625B2 (en) Playlist preview
Cook et al. The Cambridge companion to music in digital culture
KR102484057B1 (ko) 크리에이팅 음원에 대한 선택적 보컬 매칭을 통한 음원 에스티메이팅 시스템
Tofalvy Continuity and chang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opular music, culture, and technology: an introduction
JP2013542480A (ja) 一般人タレントを見出し、展開するバーチャルスタジオ
Razlogova Provincializing Spotify: Radio, algorithms and conviviality
Bonini et al. Platformed! How Streaming, Algorithm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are Shaping Music Cultures
Dias et al. Improvisation in the digital age: New narratives in jazz promotion and dissemination
US20220215819A1 (en) Methods, systems, apparatuses, and devices for facilitating the interactive creation of live music by multiple users
van Rensburg Interpreting music consumption data published by the music industry to inform the career choices of music graduates
Blakeley Against the Stream: Niche Music Streaming Services and the Streaming Paradigm
Van Esler More Than Movies: Social Formations in Informal Networks of Media Sharing
Savoia Streaming technology and its impact on the music industry A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of willingness to pay for digital music and premium subscriptions to streaming music platforms
VARGHESE AN INSIGHT INTO THE DIGITAL MARKETING TOOLS USED BY RISING ELECTRONIC DANCE MUSIC PRODUCERS.
Kyryllova Listening to Digital Media: Analysis of Music Consumption Pattern on the Example of Russian Social Networking Site VKontakte: A user-focused research based on in-depth interviews
Nutzel et al. Sharing systems for future HiFi systems
Mhlambi et al. The Effect of Digital Transformation in the Music Industry: A Scoping Revie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