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3798B1 - 일상적 진동의 영향이 없는 장수명의 다방향 진동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일상적 진동의 영향이 없는 장수명의 다방향 진동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3798B1
KR102483798B1 KR1020220088868A KR20220088868A KR102483798B1 KR 102483798 B1 KR102483798 B1 KR 102483798B1 KR 1020220088868 A KR1020220088868 A KR 1020220088868A KR 20220088868 A KR20220088868 A KR 20220088868A KR 102483798 B1 KR102483798 B1 KR 1024837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piston
bolt
control device
direction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88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채성
Original Assignee
(주)지승씨앤아이
(주)휴텍
이채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승씨앤아이, (주)휴텍, 이채성 filed Critical (주)지승씨앤아이
Priority to KR10202200888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37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37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37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30/00Purpose; Design features
    • F16F2230/0023Purpose; Design features protecti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38/00Type of springs or dampers
    • F16F2238/04Damp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구조와 하부구조 사이에 설치되는 진동제어장치에 있어서, 하부를 향해 방향제어부재(21)가 구비되는 연결판(20); 상기 연결판(20)의 아래쪽에 구비되는 하부판(30); 상기 연결판(20)과 하부판(30)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부구조와 하부구조 사이에서 발생하는 상시진동을 수용하는 하우징(70)을 포함하는 일상적 진동의 영향이 없는 장수명의 다방향 진동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일상적 진동의 영향이 없는 장수명의 다방향 진동제어장치{Multi-directional vibration control device with a long lifespan by blocking daily vibration}
본 발명은, 구조물, 플랜트기계 등의 진동제어를 위해 상부구조와 하부구조 사이에 설치되는 진동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하부판의 상부에 하우징을 구비하여 구조물에 발생하는 상시진동을 수용하도록 하고, 가압부재를 일방향 또는 양방향으로 설치하고, 가압부재에 의해 도입되는 프리스트레스력에 의해 방향제어부재에 가해지는 압력을 조절함으로써 감쇠의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일상적 진동의 영향이 없는 장수명의 다방향 진동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토목구조물, 건축구조물 및 플랜트기계 등의 구조물의 안정성, 내구성을 위협하는 가장 큰 요인은 지진시 발생되는 지진하중, 큰 태풍 또는 운전 중 이상진동하중 등이므로, 구조물을 설계하고 시공할 때 진동제어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지진하중, 큰 태풍 또는 운전 중 이상진동하중 등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구조물의 진동제어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주로 댐퍼를 사용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지진, 큰 태풍, 운전 중 이상진동 등을 제어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댐퍼는 대부분 유체의 점성마찰 또는 마찰재의 마찰이 근간이 되며, 마찰면에서 상대적 움직임을 통해 발생되는 마찰력에 의해 댐퍼로서의 역할을 하게 된다.
그러나 구조물은 지진, 큰 태풍, 이상진동하중이 발생하지 않는 평상시에도 차량, 바람, 온도변화, 습도변화, 이동하중, 설비운전 등에 의해 지속적인 진동과 변위가 발생하고 있고, 이러한 평상시의 진동은 댐퍼에 지속적으로 움직임을 유발시켜 댐퍼 주요부재의 마모 또는 손상 등을 발생시킨다.
지진이나 태풍 등을 대비하여 설치한 댐퍼가, 상시에 발생하는 일상적인 진동으로 인해 주요부재의 마찰과 마모를 발생시키고, 내구성이 저하되며, 그로 인해 지진, 큰 태풍 또는 이상진동하중이 발생했을 때에는 필요 요구성능을 만족하지 못하여 댐퍼의 성능을 충분히 발휘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목표수명이 되기도 전에 주기적으로 보수 또는 교체를 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한, 종래의 댐퍼는 감쇠의 정도를 조절하기 어려워, 구조물의 제원 및 설계 지진하중, 큰 태풍 또는 이상진동하중에 맞는 감쇠 성능을 부여하기 어려웠고, 댐퍼의 길이방향, 즉 오직 한 방향으로만 댐퍼기능을 수행하므로 다방향의 댐퍼기능이 없었다.
따라서 평상시에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댐퍼가 마모되고, 제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할 필요가 있었고, 더불어 구조물의 제원 및 설계 지진하중에 적합한 감쇠 성능을 부여할 수 있으며, 감쇠 성능의 조절 기능에 더하여 효율적인 구조에 의해 전단키 기능은 물론 동시에 여러 방향의 댐퍼 기능도 함께 발휘할 수 있는 다기능 진동제어장치의 개발이 필요하였다.
한국등록특허공보 10-2100808호
위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평상시에 구조물에 발생하는 진동이, 댐퍼 기능을 담당하는 구성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여 댐퍼 기능을 담당하는 구성의 마모, 손상을 방지하고, 내구수명이 획기적으로 증대되는 일상적 진동의 영향이 없는 장수명의 다방향 진동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평상시 진동에 의한 마모, 손상을 방지하여 지진 발생시 필요로 하는 요구성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일상적 진동의 영향이 없는 장수명의 다방향 진동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프리스트레스력을 도입할 수 있는 가압부재를 구비하여, 구조물의 설계 지진하중에 적합하도록 감쇠의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일상적 진동의 영향이 없는 장수명의 다방향 진동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일방향 감쇠성능 조절 뿐만 아니라 양방향으로 감쇠성능을 조절할 수 있는 일상적 진동의 영향이 없는 장수명의 다방향 진동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방향제어부재, 가압부재, 하우징 및 측면구속부재의 유기적인 결합에 의해 전단키 기능도 함께 가질 수 있는 일상적 진동의 영향이 없는 장수명의 다방향 진동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직교하는 2개의 수평방향과 연직방향까지 진동 및 충격을 제어할 수 있어, 구조물 및 중요 설비 등에 적용할 수 있는 3차원 6자유도 댐퍼 기능을 갖는 일상적 진동의 영향이 없는 장수명의 다방향 진동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부구조와 하부구조 사이에 설치되는 진동제어장치에 있어서, 하부를 향해 방향제어부재(21)가 구비되는 연결판(20); 상기 연결판(20)의 아래쪽에 구비되는 하부판(30); 상기 연결판(20)과 하부판(30)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부구조와 하부구조 사이에서 발생하는 상시진동을 수용하는 하우징(70)을 포함하는 일상적 진동의 영향이 없는 장수명의 다방향 진동제어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하부판(30)의 상부에는, 위를 향해 구속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70)은 상기 구속부재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며, 상기 하우징(70)과 구속부재 사이에 상시진동수용부가 구비되어, 상부구조와 하부구조 사이에서 발생하는 상시진동을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속부재는, 상기 방향제어부재(21)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구비되는 2개의 측면구속부재(311); 상기 측면구속부재(311)의 길이방향 양측에 구비되는 전후면구속부재(312)를 포함하고, 상기 상시진동수용부는, 상기 측면구속부재(311)와 하우징(70) 사이에 구비되는 제1진동수용부재(81); 상기 전후면구속부재(312)와 하우징(70) 사이에 구비되는 제2진동수용부재(82)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70)과 하부판(30) 사이에 구비되는 방진패드(90)를 더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70)에 수용되어 상기 방향제어부재(21)쪽으로 압력을 가하는 가압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재에 의한 가압력을 조절함으로써 감쇠의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압부재는 가압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재의 본체부에는 상기 가압볼트를 삽입할 수 있는 볼트관통홀이 상하방향으로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70)은, 저판(72); 상기 저판(72)에 구비되어 상기 가압볼트를 체결할 수 있는 볼트관통공(73); 상기 저판(72)의 상부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구비되는 2개의 반력대(71)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볼트의 체결력에 의해, 상기 방향제어부재(21)로 가해지는 압력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압부재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구비되는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는 피스톤(60)이 구비되고, 상기 가압부재의 가압에 의해 상기 피스톤(60)이 상기 방향제어부재(21)를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피스톤(60)은, 연직선과 일정각도를 이루는 피스톤경사면(61)을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재는,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구비되는 측면 중 어느 하나에 가압부재경사면이 구비되고,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구비되는 측면 중 다른 하나에 상기 피스톤경사면(61)이 안착될 수 있는 피스톤안착면이 구비되거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구비되는 양측면에 상기 피스톤경사면(61)이 안착될 수 있는 피스톤안착면이 구비되며, 상기 피스톤안착면에 상기 피스톤경사면(61)이 면접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피스톤(60)은, 상기 피스톤경사면(61)의 반대쪽 측면에 구비되는 마찰재안착홈(63); 상기 마찰재안착홈(63)에 삽입되는 마찰재(64)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방향제어부재(21)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구비되는 양측면에는 미끄럼판(22)이 구비되며, 상기 가압볼트의 체결력에 의해, 상기 마찰재(64)와 미끄럼판(22) 사이의 마찰력이 조절됨으로써 감쇠의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반력대(71)는 반력대경사면(711)을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재경사면, 반력대경사면(711), 피스톤경사면(61) 및 피스톤안착면이 연직선과 이루는 경사각(a)이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향제어부재(21)가 하나이고,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방향제어부재(21)와 반력대(71)의 사이에 구비되는 외측가압부재(4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향제어부재(21)가 복수 개이고,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방향제어부재(21)와 반력대(71)의 사이에 구비되는 외측가압부재(40)와 상기 방향제어부재(21)와 방향제어부재(21)의 사이에 구비되는 내측가압부재(5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측가압부재(40)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구비되는 측면 중 상기 방향제어부재(21)에 인접한 측면에 피스톤안착면(43)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측가압부재(40)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구비되는 측면 중 상기 방향제어부재(21)에 인접한 측면에 피스톤안착면(43)이 구비되고, 상기 내측가압부재(50)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구비되는 양측면에 피스톤안착면(53)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진동수용부재(81)는, 중앙에 관통홀(812)이 구비된 탄성체(811); 상기 관통홀(812) 내부에 구비되는 압축제한부재(813);를 포함하고, 상기 제2진동수용부재(82)는, 중앙에 관통홀(822)이 구비된 탄성체(821); 상기 관통홀(822) 내부에 구비되는 압축제한부재(823);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판(20)의 상부에 구비되되, 상부를 향해 방향제어부재(121)가 구비되는 상부연결판(120); 일정 간격을 두고 나란한 방향으로 2개의 측면구속부재(131)가 일체로 구비되는 상부판(130); 상기 방향제어부재(121)쪽으로 압력을 가하는 상부가압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방향제어부재(121)와 상부가압부재는 상기 2개의 측면구속부재(131)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방향제어부재(121), 측면구속부재(131) 및 상부가압부재가 설치되는 방향이, 상기 방향제어부재(21)가 설치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가압부재는 가압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가압부재의 본체부에는 가압볼트를 삽입할 수 있는 볼트관통홀이 상하방향으로 구비되며, 상기 상부판(130)에는 상기 상부가압부재의 볼트관통홀에 삽입되는 가압볼트를 체결할 수 있는 볼트관통공(133)이 구비되고, 상기 상부가압부재의 볼트관통홀에 삽입되는 가압볼트의 체결력에 의해, 상기 방향제어부재(121)로 가해지는 압력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상적 진동의 영향이 없는 장수명의 다방향 진동제어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평상시에 구조물에 발생하는 진동에 대해 상시진동수용부가 수용하도록 하고, 상시진동이 하우징 내부에 있는 피스톤과 방향제어부재 사이의 마찰재에는 전달되지 않도록 하므로, 상시진동에 의한 감쇠기능을 담당하는 마찰재의 마모,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진동제어장치의 목표수명과 목표성능을 언제든 확보할 수 있다.
둘째, 가압부재에 의해 프리스트레스력을 도입할 수 있고, 도입되는 프리스트레스력을 조절함으로써 구조물의 설계 지진하중 또는 큰 태풍, 이상진동하중에 맞는 감쇠 성능을 부여할 수 있다.
셋째, 가압부재를 체결하는 가압볼트를 조이는 것만으로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할 수 있으므로 설치와 조작이 간편하고, 효과적이다.
넷째, 방향제어부재, 가압부재, 하우징 및 측면구속부재의 유기적인 결합에 의해 감쇠 성능을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단키 기능도 함께 구비할 수 있다.
다섯째, 구조물에 발생한 변위, 마찰재의 마모, 크리프 등으로 미끄럼판과 마찰재 사이의 마찰력(압력)을 변경할 필요가 있을 때, 별도의 추가부재 없이 현장에서 진동제어장치를 분해하여 프리스트레스력을 쉽게 조절할 수 있다.
여섯째, 하우징과 하부판의 사이에 방진패드를 구비함으로써, 수평방향의 진동흡수 뿐만 아니라, 연직방향의 제진기능도 발휘할 수 있다.
일곱째, 한 쌍의 방향제어부재, 가압부재, 피스톤을 연직방향으로 각각 직교시켜 배열시키고, 한쪽의 하우징 하면과 하부판 상면 사이에 방진패드가 구비되므로, 2개의 수평방향과 연직방향까지 진동 및 충격을 제어할 수 있는 3차원 6자유도 댐퍼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제1실시예의 진동제어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다른 방향에서 본 제1실시예의 진동제어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 제1실시예의 진동제어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 제1실시예의 진동제어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 진동제어장치의 연결판의 단면도, 평면도,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 진동제어장치의 하부판의 정면도와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 진동제어장치의 하우징의 단면도와 평면도이다.
도 8은 하우징에 외측가압부재와 내측가압부재가 설치되는 사시도이다.
도 9는 외측가압부재의 단면도와 평면도이다.
도 10은 외측가압부재의 일측에 피스톤이 연결되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내측가압부재의 단면도와 평면도이다.
도 12는 내측가압부재의 양측에 피스톤이 연결되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피스톤의 측면도와 단면도이다.
도 14는 피스톤경사면(61), 피스톤안착면(43), 피스톤안착면(53), 가압부재경사면(411)의 경사각(a)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방진패드의 단면도와 평면도이다.
도 16은 제1진동수용부재에 관한 것이다.
도 17은 하부판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제2진동수용부재에 관한 것이다.
도 19는 본 발명 제2실시예의 진동제어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0은 다른 방향에서 본 제2실시예의 진동제어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 제2실시예의 진동제어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 제2실시예에서 상부외측가압부재와 상부피스톤, 상부내측가압부재와 상부피스톤의 체결을 설명하는 것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토목구조물, 건축구조물 및 플랜트기계 등의 구조물의 상부구조(1)와 하부구조(2) 사이에 설치되는 진동제어장치에 관한 것이고, 특히 구조물의 상시진동을 흡수하는 상시진동수용부를 구비하여 평상시에는 댐퍼 기능을 담당하는 구성으로 전가되는 상시진동을 차단하여 진동제어장치의 내구수명을 늘리고, 구조물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방향제어부재를 가압하는 가압부재를 구비하여 감쇠의 정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전단키 기능은 물론 동시에 여러 방향의 댐퍼기능도 함께 발휘할 수 있는 다기능 진동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진동제어장치는 크게 2가지의 실시예를 가진다.
도 4에 표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제1실시예는 x축 방향으로 상시진동 수용 기능과 지진 발생 시 마찰댐퍼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고, y축 방향으로 상시진동 수용 기능과 전단키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며, z축 방향으로 방진기능을 수행한다.
도 4, 21에 표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제2실시예는 x축 방향으로 상시진동 수용 기능과 지진 발생 시 마찰댐퍼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고, y축 방향으로 상시진동 수용 기능과 지진 발생 시 마찰댐퍼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며, z축 방향으로 방진기능을 수행한다.
먼저 제1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 이후 제2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제1실시예에서의 본 발명 일상적 진동의 영향이 없는 장수명의 다방향 진동제어장치는, 연결판(20), 하부판(30), 하우징(70), 가압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판(20)은, 상부구조(1)에 고정되는 솔플레이트(10)에 볼트에 의해 고정될 수 있고, 상기 하부판(30)은 하부구조(2)에 설치되어 있는 하부앵커(100)에 하부앵커볼트(32)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솔플레이트(10)는 상부앵커볼트(11)에 의해 상부구조에 고정될 수 있다. 솔플레이트가 구비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연결판(20)은 다른 형태로 상부구조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연결판(20)의 하부에는, 지진 등 큰 하중 발생 시 이동이 허용되는 방향을 따라 방향제어부재(21)가 구비된다.
상기 하부판(30)의 상부에는 위를 향해 구속부재가 구비된다.
상기 구속부재는, 상기 방향제어부재(21)와 동일한 방향을 따라 구비되되, 상기 방향제어부재(21)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구비되는 2개의 측면구속부재(311)와 상기 측면구속부재(311)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구비되는 전후면구속부재(312)를 포함한다.
상기 방향제어부재(21)와 측면구속부재(311)는 일정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고, 상기 방향제어부재(21)는 후술하는 하우징의 반력대(71)의 사이에 위치한다.
원활한 변위수용과 구속을 위해, 상기 방향제어부재(21)의 길이가 반력대(71)의 길이보다 길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향제어부재(21)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구비되는 양측면에는 미끄럼판(22)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후술하는 피스톤(60)의 마찰재(63)와 마찰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방향제어부재(21)는 원활한 방향제어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두께, 높이에 비해 길이가 긴 육면체 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진동제어장치에 구비되는 연결판(20)에 형성되는 방향제어부재(21)는 적용되는 구조물에 따라 그 크기와 수가 달라질 수 있는데, 본 발명의 가압부재는 상기 연결판(20)에 구비되는 방향제어부재(21)의 수에 따라 실시예가 달라질 수 있다(구체적인 실시 형태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에는 방향제어부재(21)가 3개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방향제어부재(21)에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방향제어부재(21)의 수에 상관없이 적용할 수 있다.
측면구속부재(311)는 측면으로의 변위를 구속하는 부재로서의 기능과 구조물에 발생하는 상시진동을 흡수하는 반력대로서의 기능을 함께 발휘한다.
측면구속부재(311)는 길이방향으로 쭉 이어지도록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측면구속부재(311)의 내측면에는 후술하는 제1진동수용부재(81)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돌기(3111)가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전후면구속부재(312)는 전후방향으로 하우징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구조물에 발생하는 상시진동을 흡수하는 반력대로서의 기능을 함께 발휘한다.
전후면구속부재(312)는 전후방향으로 하우징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므로, 양측의 측면구속부재(311) 사이에 쭉 이어지도록 구비될 필요는 없고, 각 측면구속부재(311)의 내측으로 일정 폭만큼 구비되되, 하우징의 이동, 진동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강도, 내구성을 가져야 하고, 방향제어부재(21)에 간섭되지 않도록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후면구속부재(312)가 반력대(71)보다는 더 내측으로 형성되도록, 전후면구속부재(312)의 폭을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우징(70)은 상기 구속부재 사이의 공간에 위치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부판(30)의 상부에서 측면구속부재(311)와 전후면구속부재(312)의 사이 공간에 위치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70)과, 측면구속부재(311) 및 전후면구속부재(312)의 사이에 상시진동수용부가 구비되어, 상부구조와 하부구조 사이에서 발생하는 상시진동을 수용하게 된다.
상기 하우징(70)은, 하우징의 하면을 형성하는 저판(72); 상기 저판(72)에 구비되는 볼트관통공(73); 상기 저판(72)의 양측에서 상부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구비되는 2개의 반력대(71)를 포함한다.
상기 방향제어부재(21)와 가압부재는 상기 2개의 반력대(71)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반력대(71)의 양 측면 중 내측면(가압부재와 면접하는 쪽)은 반력대경사면(711)으로 구비하고, 상기 반력대경사면(711)은 연직선과 일정 각도(a) 기울어진 평면으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력대(71)의 양 측면 중 외측면(측면구속부재(311)를 향하는 면)의 형상은 특별히 제한하지는 않으나, 측면구속부재(311)와 전후면구속부재(312)의 사이에 위치한 하우징이 상시진동을 원활하게 흡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연직평면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2개의 반력대(71)의 외측면을 연직평면으로 하고, 그 외측면에 미끄럼판(75)이 부착되어, 후술하는 제1진동수용부재(81)의 마찰재(814)와 원활하게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향제어부재(21)와 하우징(70)은, 가압부재 및 측면구속부재(311)와의 유기적인 결합을 통해, 상시진동 수용, 전단키 기능 및 마찰댐퍼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시진동수용부는, 상기 측면구속부재(311)와 하우징(70) 사이에 구비되는 제1진동수용부재(81) 및 상기 전후면구속부재(312)와 하우징(70) 사이에 구비되는 제2진동수용부재(82)를 포함한다.
상기 제1진동수용부재(81)의 기본적인 실시 형태는 탄성체(811)를 측면구속부재(311)와 하우징(70)의 반력대(71) 사이에 구비하여, 탄성체의 탄성 및 복원력에 의해 상시진동과 변위를 흡수하는 것이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는, 탄성체(811)의 중앙에 관통홀(812)을 형성하고, 상기 관통홀(812) 내부에 삽입되는 압축제한부재(813)를 더 포함하는 형태이다.
앞서, 상기 측면구속부재(311)의 내측면에 제1진동수용부재(81)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돌기(3111)가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고 하였는데, 상기 관통홀(812)에 상기 고정돌기(3111)가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1진동수용부재(81)를 고정할 수 있다.
여기서 관통홀(812)에 고정돌기(3111)가 삽입되도록 하여 제1진동수용부재(81)를 고정하는 실시 형태를 설명하였는데, 제1진동수용부재(81)를 고정하는 방법으로 반드시 고정돌기에 의해 고정하는 것은 아니고, 접착제 등 다른 수단에 의해서도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제1진동수용부재(81) 중 측면구속부재(311)와 접하는 면의 반대쪽(반력대(71)를 향하는 쪽)에는 마찰재(814)를 구비하여, 반력대(71)의 외측면에 부착되어 있는 미끄럼판(75)과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정량 이상의 진동, 충격에 대해서는 더 이상의 압축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관통홀(812) 내부에 압축제한부재(813)를 삽입하여, 진동, 충격 등에 의해 탄성체가 압축되더라도 압축제한부재(813)에 의해 더 이상의 압축은 제한할 수 있다.
압축제한부재(813)의 두께, 면적 등에 의해 제한되는 압축량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압축제한부재(813)는 스테인리스스틸 등 압축성이 없는 금속 재질로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제2진동수용부재(82)의 기본적인 실시 형태는 탄성체(821)를 전후면구속부재(312)와 하우징(70) 사이에 구비하여, 탄성체의 탄성 및 복원력에 의해 상시진동을 흡수하는 것이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는, 탄성체(821)의 중앙에 관통홀(822)을 형성하고, 상기 관통홀(822) 내부에 삽입되는 압축제한부재(823)를 더 포함하는 형태이다.
상기 제2진동수용부재(82)를 전후면구속부재(312)에 부착 고정할 수도 있으나, 설치될 때 약간 압축된 상태로 설치되므로 부착 고정하지 않더라도 위치고정이 가능하다.
일정 수준 이상의 진동, 충격에 대해서는 더 이상의 압축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관통홀(822) 내부에 압축제한부재(823)를 삽입하여, 충격 등에 의해 탄성체가 압축되더라도 압축제한부재(823)에 의해 더 이상의 압축은 제한하게 된다.
압축제한부재(823)의 두께, 면적 등에 의해 제한되는 압축량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압축제한부재(823)는 스테인리스스틸 등 압축성이 없는 금속재질로 제작할 수 있다.
그리고, 제2진동수용부재(82)의 내구성을 강화하기 위해 구속판(824)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탄성체(821)에 구속판(824)을 고정하는 일실시예로, 정면과 배면에 있는 구속판(824)의 표면을 탄성체 밖으로 노출시키고, 탄성체(821)의 내부에 하나 이상의 구속판(824)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탄성체(811) 및 탄성체(821)는 합성고무, 천연고무, 라텍스, 실리콘, 우레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재질로 제작할 수 있고, 탄성과 복원력을 가지고 있어, 구조물에 발생하는 상시진동을 원활하게 흡수할 수 있다.
상기 제1진동수용부재(81)와 제2진동수용부재(82)는 일정량 수축과 팽창을 반복하면서 상시진동을 수용하게 되고, 그 일정량 이상의 변위가 발생하게 되면, 댐퍼 기능이 작동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평상 시에는 댐퍼가 전혀 작동하지 않으므로, 마찰재의 마모, 손상을 방지할 수 있어, 진동제어장치의 내구수명이 획기적으로 늘어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상기 제1진동수용부재(81) 및 제2진동수용부재(82)의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의 진동제어장치를 실시할 수 있는 일실시예를 설명한 것이며, 탄성, 복원력을 가진 다른 형태의 진동수용수단을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아울러, 측면구속부재(311)와 하우징(70) 사이에 제1진동수용부재(81)가 구비되고, 전후면구속부재(312)와 하우징(70) 사이에 제2진동수용부재(82)가 구비되는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제1진동수용부재(81) 및 제2진동수용부재(82)의 복원력, 제원 등에 따라 측면구속부재(311)와 하우징(70) 사이에 제2진동수용부재(82)가 구비되고, 전후면구속부재(312)와 하우징(70) 사이에 제1진동수용부재(81)가 구비되는 실시예도 가능할 것이다.
하부판(30)의 상면과 하우징의 저판(72) 사이에는 방진패드(90)가 구비될 수 있다.
방진패드(90)는 합성고무, 천연고무, 라텍스, 실리콘, 우레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재질로 제작할 수 있고, 하우징의 회전을 수용하고, 연직방향의 진동에 대한 방진 기능을 수행한다.
저판(72)의 볼트관통공(73)과 너트수용홈(74)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볼트수용홀(91)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방향제어부재(21)에 압력을 가하되, 가압부재에 도입되는 프리스트레스력의 정도에 따라 방향제어부재에 가해지는 압력을 조절할 수 있고, 상기 가압부재에 의한 가압력을 조절함으로써 감쇠의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압부재는, 방향제어부재(21)와 반력대(71)의 사이에 구비되는 외측가압부재(40)일 수 있고, 방향제어부재(21)와 방향제어부재(21)의 사이에 구비되는 내측가압부재(50)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방향제어부재(21)의 수에 관계없이 적용할 수 있는 바, 상기 방향제어부재(21)가 하나인 경우에는, 하나의 방향제어부재(21)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각각 외측가압부재(40)가 구비된다.
상기 방향제어부재(21)가 복수인 경우에는, 방향제어부재(21)와 반력대(71)의 사이에는 외측가압부재(40)가 구비되고, 방향제어부재(21)와 방향제어부재(21)의 사이에는 내측가압부재(50)가 구비된다.
즉, 가압부재는 방향제어부재(21)의 수에 따라, 외측가압부재(40) 2개만 구비되는 실시예(방향제어부재(21)의 수가 단수인 경우)와 외측가압부재(40) 및 내측가압부재(50)가 함께 구비되는 실시예(방향제어부재(21)의 수가 복수인 경우)가 있다.
외측가압부재(40)의 수는 항상 2개 구비되고, 내측가압부재(50)는 방향제어부재(21)의 수에 따라 달라진다.
방향제어부재(21)의 수가 2인 경우, 내측가압부재(50)의 수는 1이 되고, 방향제어부재(21)의 수가 3인 경우, 내측가압부재(50)의 수는 2가 되는 식이다. 즉, 내측가압부재(50)의 수는 방향제어부재(21)의 수 보다 하나 적은 수로 구비된다.
이하에서는 외측가압부재(40)와 내측가압부재(50)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상기 외측가압부재(40)는, 본체부(41), 볼트관통홀(42), 피스톤안착면(43), 가압볼트(44)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41)는 전체적으로 육면체 구조의 막대 형상이고, 단면 형상은 위에서 아래로 갈수록 폭이 감소하는 상광하협의 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부(41)의 양측면 중 상기 반력대(71)에 면접하는 면, 즉, 반력대경사면(711)에 접하는 면은 가압부재경사면(411)으로 구비하고, 상기 가압부재경사면(411)은 연직선과 일정 각도(a) 기울어진 평면으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력대경사면(711)이 연직선과 이루는 각도(a)와 가압부재경사면(411)이 연직선과 이루는 각도(a)는 동일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부(41)에는 상기 가압볼트(44)를 삽입할 수 있는 볼트관통홀(42)이 상하방향으로 구비되고, 상기 가압볼트(44)는 상기 볼트관통홀(42)을 통과하여 하우징(70)에 체결된다.
가압볼트(44), 볼트관통홀(42) 및 볼트관통공(33)의 수는 필요로 하는 가압력을 고려하여 결정한다.
하우징(70)의 저판(72)에는 가압볼트(44)를 체결할 수 있는 볼트관통공(73)이 구비되어 가압볼트(44)를 체결한다.
제작과 시공 편의성 및 견고한 체결을 위해 가압볼트(44)와 나사결합하는 너트(4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너트(45)를 포함하여 체결하는 경우, 저판(72)의 하부에는 볼트관통공(73)과 연통되도록 너트수용홈(74)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본체부(41)의 상부에서 하부로 가압볼트(44)가 체결되므로, 본체부(41)의 상부에는 가압볼트(44)의 볼트머리가 수용될 수 있는 볼트안착홈(46)을 구비할 수 있다.
볼트안착홈(46)은 상기 볼트관통홀(42)과 연통되도록 본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하나로 이어지도록 구비할 수도 있고(도 9), 상기 볼트관통홀(42)의 수만큼 개별적으로 구비할 수도 있다.
외측가압부재(40)의 가압부재경사면(411)의 반대쪽 측면에는 피스톤안착면(43)이 구비되고, 피스톤안착면(43)의 길이방향 양단에는 피스톤의 안정적인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피스톤가이드(431)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피스톤안착면(43)은 상기 본체부(41)에 홈을 형성하여 구비되고, 상기 피스톤안착면(43)에는 후술하는 피스톤(60)이 수용된다.
피스톤(60)이 피스톤안착면(43)에 안정적으로 수용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피스톤안착면(43)의 길이를 피스톤(60)의 길이와 동일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피스톤안착면(43)은 연직선과 일정 각도(a) 기울어진 평면으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압부재경사면(411)과 피스톤안착면(43)은 연직선과 동일한 각도로 경사지면서 아래로 갈수록 간격이 줄어드는 단면 형상을 이루게 된다.
상기 가압볼트(44)의 체결 정도에 따라 상기 본체부(41)의 상하 위치가 달라지고, 가압볼트(44)의 조임에 의해 본체부(41)가 아래로 갈수록 피스톤안착면(43)에 수용되어 있는 피스톤(60)이 상기 방향제어부재(21) 쪽으로 이동하면서 가압하게 된다.
상기 내측가압부재(50)는, 본체부(51), 볼트관통홀(52), 피스톤안착면(53), 가압볼트(54)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51)는 전체적으로 육면체 구조의 막대 형상이고, 단면 형상은 위에서 아래로 갈수록 폭이 감소하는 상광하협의 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부(51)에는 상기 가압볼트(54)를 삽입할 수 있는 볼트관통홀(52)이 상하방향으로 구비되고, 상기 가압볼트(54)는 상기 볼트관통홀(52)을 통과하여 하우징(70)에 체결된다.
하우징(70)의 저판(72)에는 가압볼트(54)를 체결할 수 있는 볼트관통공(73)이 구비되어 가압볼트(54)를 체결한다.
제작과 시공 편의성 및 견고한 체결을 위해 가압볼트(54)와 나사결합하는 너트(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너트(55)를 포함하여 체결하는 경우, 저판(72)의 하부에는 볼트관통공(73)과 연통되도록 너트수용홈(74)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본체부(51)의 상부에서 하부로 가압볼트(54)가 체결되므로, 본체부(51)의 상부에는 가압볼트(54)의 볼트머리가 수용될 수 있는 볼트안착홈(56)을 구비할 수 있다.
볼트안착홈(56)은 상기 볼트관통홀(52)과 연통되도록 본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하나로 이어지도록 구비할 수도 있고(도 11), 상기 볼트관통홀(52)의 수만큼 개별적으로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외측가압부재(40)와 달리 내측가압부재(50)에서는 본체부(51)의 양측에 피스톤안착면(53)이 구비되고, 피스톤안착면(53)의 길이방향 양단에는 피스톤의 안정적인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피스톤가이드(531)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피스톤안착면(53)은 상기 본체부(51)에 홈을 형성하여 구비되고, 상기 피스톤안착면(53)에는 후술하는 피스톤(60)이 수용된다.
피스톤(60)이 피스톤안착면(53)에 안정적으로 수용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피스톤안착면(53)의 길이를 피스톤(60)의 길이와 동일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피스톤안착면(53)은 연직선과 일정 각도(a) 기울어진 평면으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부(51)의 양측에 구비되는 피스톤안착면(53)은 연직선과 동일한 각도로 경사지면서 아래로 갈수록 간격이 줄어드는 단면 형상을 이루게 된다.
상기 가압볼트(54)의 체결 정도에 따라 상기 본체부(51)의 상하 위치가 달라지고, 가압볼트(54)의 조임에 의해 본체부(51)가 아래로 갈수록 피스톤안착면(53)에 수용되어 있는 피스톤(60)이 상기 방향제어부재(21) 쪽으로 이동하면서 가압하게 된다.
피스톤(60)은, 피스톤경사면(61), 마찰재구속면(6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스톤경사면(61)은 연직선과 일정 각도(a) 경사진 평면이고, 상기 마찰재구속면(62)은 연직선과 동일한 방향이 바람직하다.
피스톤(60)의 전체적인 단면 형상은, 상기 피스톤경사면(61)과 마찰재구속면(62)에 의해 아래로 갈수록 증가하는 상협하광의 형상이 바람직하다.
각 방향제어부재의 양측면에 가해지는 압력을 균일하게 하기 위해, 상기 피스톤경사면(61)이 연직선과 이루는 각도(a)는, 피스톤안착면(43), 피스톤안착면(53), 반력대경사면(711), 가압부재경사면(411)이 연직선과 이루는 각도(a)와 동일하도록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스톤(60)이 방향제어부재를 가압하여, 마찰력이 발생하도록 하고, 지진 등에 의해 발생하는 수평력이 마찰재의 정지마찰력 이상이 되면, 이동 및 변위수용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피스톤경사면(61)의 반대쪽 측면에는 마찰재(64)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찰재(64)를 삽입하기 위해, 상기 마찰재구속면(62)에 의해 둘러싸인 내부에 마찰재안착홈(63)을 구비한다.
상기 마찰재안착홈(63)에 마찰재(64)가 삽입된다. 마찰재(64)의 일부는 삽입되고, 일부는 마찰재구속면(62)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구비한다.
가압볼트에 의한 프리스트레스력에 의해 마찰재(64)에 구속효과가 부여되므로,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마찰재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전술한 대로, 상기 방향제어부재(21)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구비되는 양측면에, 상기 마찰재(63)와 대응되는 위치에 미끄럼판(22)이 고정되어, 마찰력을 발휘하도록 하고, 마찰재와 미끄럼판 사이의 정지마찰력 이상의 수평력이 작용하게 되면, 마찰재와 미끄럼판이 상대운동을 하면서 댐퍼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마찰재(64)와 미끄럼판(22)은 연직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끄럼판은 스테인레스스틸 재질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가압볼트의 체결력에 의해, 상기 마찰재(64)와 미끄럼판(22)의 마찰력이 조절됨으로써 감쇠의 정도를 조절할 수 있고, 마찰재(64)와 미끄럼판(22) 사이의 마찰력은 마찰재와 미끄럼판의 마찰계수, 가압부재에 의한 압력 등을 고려하여 필요로 하는 마찰력이 도입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마찰재(64)의 평면형상은 직사각형,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할 수 있다.
직사각형으로 하는 경우, 도면과 같이 길이가 긴 하나의 마찰재를 삽입할 수도 있고, 복수의 마찰재안착홈을 형성하여 복수의 마찰재를 삽입할 수도 있다.
마찰재의 평면형상을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하는 경우, 마찰재안착홈을 복수 개 구비하고, 마찰재안착홈의 형상과 크기를 마찰재의 평면형상 및 평면크기와 동일하게 하여, 복수의 마찰재를 각 마찰재안착홈에 삽입할 수 있다.
미끄럼판(22)의 평면형상은 직사각형이 바람직하고, 평면치수는 마찰재(64)보다 미끄럼판(22)의 평면치수가 더 크도록 하여 지진 등 큰 하중 발생 시 방향제어부재가 안정적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가압부재의 가압부재경사면, 피스톤안착면의 경사각, 반력대경사면을 이용하여, 댐퍼 기능(감쇠 기능)을 갖는 피스톤의 슬라이딩을 통해 마찰 감쇠 기능을 갖도록 한 것이다.
피스톤경사면(61), 피스톤안착면(43), 피스톤안착면(53), 반력대경사면(711), 가압부재경사면(411)의 경사각을 동일하게 하여, 가압부재의 가압에 따라 피스톤의 마찰재와 방향제어부재의 미끄럼판 사이에서 발생되는 면압이 균등하게 발생하도록 한다.
가압볼트를 조일수록 가압부재는 아래로 이동하게 되고, 아래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가압부재의 경사진 면(피스톤안착면, 가압부재경사면)에 의해, 피스톤경사면이 구비된 피스톤이 슬라이딩되면서 마찰재가 방향제어부재의 미끄럼판을 가압하게 된다.
이렇게 도입되는 프리스트레스력은 가압볼트의 조임정도, 피스톤경사면(61), 피스톤안착면(43), 피스톤안착면(53), 반력대경사면(711), 가압부재경사면(411)이 연직선과 이루는 각도(a)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경사각이 동일할 경우에는 조이는 힘이 클수록 가압력이 커질 수 있고, 가압볼트의 긴장력이 동일할 경우에는 경사각이 작을수록 경사면 및 마찰재와 미끄럼판 사이의 가압력이 커질 수 있다.
가압볼트에 의해 프리스트레스력을 도입하는 이유는 방향제어부재의 양측면에 균일한 압력을 가하여 미끄럼판과 마찰재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감쇠의 정도를 조절하기 위한 것이므로, 진동제어장치의 제원, 적용되는 구조물의 제원, 설계 지진하중 등을 고려하여 경사각(a)과 가압볼트의 체결의 정도를 결정할 수 있다.
경사면 사이의 면압(가압력)을 효과적으로 유지하는 바람직한 경사각은 3~35도이다.
적정한 가압력에 의해 설치된 본 발명의 진동제어장치에 지진 등에 의한 큰 수평력이 가해졌을 때, 그 수평력이 마찰재와 미끄럼판 사이의 정지마찰력 이상이 되면 마찰재와 미끄럼판이 서로 상대운동을 하게 되고, 댐퍼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댐퍼의 감쇠력은, 피스톤경사면(61), 피스톤안착면(43), 피스톤안착면(53), 반력대경사면(711), 가압부재경사면(411)의 경사각, 가압볼트의 수량, 가압볼트의 가압력(긴장력), 마찰재와 미끄럼판의 마찰특성, 면적 및 수량 등에 의해 결정된다.
이하에서는 제1실시예의 일상적 진동의 영향이 없는 장수명의 다방향 진동제어장치의 작동 원리에 대해 설명한다.
지진이 발생하지 않는 평상시에도 구조물에는, 차량, 바람, 온도변화, 습도변화, 이동하중, 설비운전 등에 의해 지속적인 진동과 변위가 발생하고 있다.
위와 같은 평상시의 진동과 변위에 의해, 마찰댐퍼 기능을 담당하는 구성에 마찰, 마모가 발생하게 되면, 정작 지진, 큰 태풍, 운전 중 이상진동에 마찰댐퍼 기능을 못하는 문제가 있었기 때문에,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시진동수용부를 구비한다.
평상시에는 본 발명의 방향제어부재(21), 가압부재 및 하우징은 서로 간의 상대이동이 없다. 평상시의 진동, 변위에 대해서는 상대이동이 발생하지 않을 정도의 가압력(프리스트레스력)을 부여함으로써 방향제어부재(21)와 하우징 간에 상대진동은 없고, 대신 이 상시진동은 상시진동수용부에서 흡수된다.
따라서 평상시의 진동에 대해, 마찰재(64)와 미끄럼판(22) 사이에는 상대이동이 전혀 발생하지 않아 마찰재(64)의 마모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평상시에 발생하는 진동은, 하우징과 하부판 사이의 상대이동 및 상시진동수용부에 의해 모두 흡수되고, 하우징 내측으로는 상시진동이 전달되지 않는다.
앞서 설명한 대로, 상시진동수용부는, 측면구속부재(311)와 하우징(70) 사이에 구비되는 제1진동수용부재(81) 및 전후면구속부재(312)와 하우징(70) 사이에 구비되는 제2진동수용부재(82)를 포함하므로, 수평방향의 모든 진동에 대해 수용이 가능하다.
더욱이, 하우징의 아래에는 방진패드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하우징의 수평방향 변위, 회전을 부드럽게 흡수할 수 있고, 연직방향의 진동도 흡수할 수 있다.
이후 지진 등에 의한 큰 수평력이 발생하는 경우, 상시진동수용부의 허용변위량을 넘어서게 되고, 그 수평력이 마찰재(64)와 미끄럼판(22) 사이의 정지마찰력 이상이 되면 마찰재(64)와 미끄럼판(22)이 서로 상대운동을 하게 되어 마찰댐퍼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의 방향제어부재(21)의 설치 방향과 직각인 방향(도 4의 y축 방향)에 대해 마찰댐퍼 기능을 부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상부연결판(120), 상부판(130), 상부가압부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하기 방향제어부재(121), 측면구속부재(131) 및 상부가압부재는, 상기 방향제어부재(21)가 설치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구비된다.
상기 상부연결판(120)은, 상기 연결판(20)을 상하반전시키고, 수평으로 90도 회전한 형태이다. 그리고, 상기 상부연결판(120)과 연결판(20)은 볼트 체결, 용접 등에 의해 일체화한다.
상기 상부연결판(120)의 상부에, 지진 등 큰 하중 발생 시 변위가 발생하는 방향을 따라 방향제어부재(121)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판(130)의 하부에는 방향제어부재(121)와 같은 방향을 따라 구비되되, 상기 방향제어부재(121)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나란한 방향으로 2개의 측면구속부재(131)가 일체로 구비된다.
상기 방향제어부재(121)와 측면구속부재(131)는 같은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지진 시 댐퍼기능을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해, 상기 방향제어부재(121)의 길이가 상기 측면구속부재(131)의 길이보다 길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향제어부재(121)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구비되는 양측면에는 미끄럼판(122)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후술하는 상부피스톤(160)의 마찰재(163)와 마찰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방향제어부재(121)는 원활한 방향제어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두께, 높이에 비해 길이가 긴 육면체 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사용되는 방향제어부재(121) 역시 방향제어부재(21)와 마찬가지로 크기와 수가 달라질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상부가압부재 역시 방향제어부재(121)의 수에 따라 실시예가 달라질 수 있고, 외측가압부재(40) 및 내측가압부재(50)와 마찬가지로, 제2실시예에서 상부외측가압부재(140) 및 상부내측가압부재(150)를 포함할 수 있다.
측면구속부재(131)는 상부가압부재가 방향제어부재(121)를 가압하기 위한 반력대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측면구속부재(131)의 양 측면 중 내측면(상부가압부재와 면접하는 쪽)은 구속부재경사면(132)으로 구비하고, 상기 구속부재경사면(132)은 연직선과 일정 각도 기울어진 평면으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측면구속부재(131)의 양 측면 중 외측면(상부가압부재와 면접하는 쪽의 반대쪽)의 형상은 특별히 제한하지 않고, 측면구속부재(131)가 필요로 하는 강도와 내구성을 가질 수 있으면 충분하다.
상기 상부가압부재는 상기 방향제어부재(121)에 압력을 가하되, 상부가압부재에 도입되는 프리스트레스력의 정도에 따라 방향제어부재(121)에 가해지는 압력을 조절할 수 있고, 상기 상부가압부재에 의한 가압력을 조절함으로써 감쇠의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방향제어부재(121)와 상부가압부재는 상기 2개의 측면구속부재(131) 사이에 위치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부가압부재는, 방향제어부재(121)와 측면구속부재(131)의 사이에 구비되는 상부외측가압부재(140)일 수 있고, 방향제어부재(121)와 방향제어부재(121)의 사이에 구비되는 상부내측가압부재(150)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방향제어부재(121)의 수에 관계없이 적용할 수 있는 바, 상기 방향제어부재(121)가 하나인 경우에는, 하나의 방향제어부재(121)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각각 상부외측가압부재(140)가 구비된다.
상기 방향제어부재(121)가 복수인 경우에는, 방향제어부재(121)와 측면구속부재(131)의 사이에는 상부외측가압부재(140)가 구비되고, 방향제어부재(121)와 방향제어부재(121)의 사이에는 상부내측가압부재(150)가 구비된다.
상부외측가압부재(140)의 수는 항상 2개 구비되고, 상부내측가압부재(150)는 방향제어부재(121)의 수 보다 하나 적은 수로 구비된다.
상기 상부외측가압부재(140)는, 상기 외측가압부재(40)를 상하반전시키고, 수평으로 90도 회전시킨 형태로 구비된다.
상부외측가압부재(140)는, 본체부(141), 볼트관통홀(142), 피스톤안착면(143), 가압볼트(144)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141)는 전체적으로 육면체 구조의 막대 형상이고, 단면 형상은 위에서 아래로 갈수록 폭이 증가하는 상협하광의 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부(141)의 양측면 중 상기 측면구속부재(131)에 면접하는 면, 즉, 구속부재경사면(132)에 접하는 면은 가압부재경사면(1411)으로 구비하고, 상기 가압부재경사면(1411)은 연직선과 일정 각도 기울어진 평면으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속부재경사면(132)이 연직선과 이루는 각도와 가압부재경사면(1411)이 연직선과 이루는 각도는 동일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부(141)에는 상기 가압볼트(144)를 삽입할 수 있는 볼트관통홀(142)이 상하방향으로 구비되고, 상기 가압볼트(144)는 상기 볼트관통홀(142)을 통과하여 상부판(130)에 체결된다.
가압볼트(144), 볼트관통홀(142) 및 볼트관통공(133)의 수는 필요로 하는 가압력을 고려하여 결정한다.
상부판(130)에는 가압볼트(144)를 체결할 수 있는 볼트관통공(133)이 구비되어 가압볼트(144)를 체결한다.
제작과 시공 편의성 및 견고한 체결을 위해 가압볼트(144)와 나사결합하는 너트(14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너트(145)를 포함하여 체결하는 경우, 상부판(130)의 상부에는 볼트관통공(133)과 연통되도록 너트수용홈(134)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본체부(141)의 하부에서 상부로 가압볼트(144)가 체결되므로, 본체부(141)의 하부에는 가압볼트(144)의 볼트머리가 수용될 수 있는 볼트안착홈(146)을 구비할 수 있다.
볼트안착홈(146)은 상기 볼트관통홀(142)과 연통되도록 본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하나로 이어지도록 구비할 수도 있고, 상기 볼트관통홀(142)의 수만큼 개별적으로 구비할 수도 있다.
상부외측가압부재(140)의 가압부재경사면(1411)의 반대쪽 측면에는 피스톤안착면(143)이 구비되고, 피스톤안착면(143)의 길이방향 양단에는 피스톤의 안정적인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피스톤가이드(1431)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피스톤안착면(143)은 상기 본체부(141)에 홈을 형성하여 구비되고, 상기 피스톤안착면(143)에는 후술하는 상부피스톤(160)이 수용된다.
상부피스톤(160)이 피스톤안착면(143)에 안정적으로 수용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피스톤안착면(143)의 길이를 피스톤(160)의 길이와 동일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피스톤안착면(143)은 연직선과 일정 각도 기울어진 평면으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압부재경사면(1411)과 피스톤안착면(143)은 연직선과 동일한 각도로 경사지면서 아래로 갈수록 간격이 증가하는 단면 형상을 이루게 된다.
상기 내측가압부재(150)는, 상기 내측가압부재(50)를 상하반전시키고, 수평으로 90도 회전시킨 형태로 구비된다.
상기 내측가압부재(150)는, 본체부(151), 볼트관통홀(152), 피스톤안착면(153), 가압볼트(154)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151)는 전체적으로 육면체 구조의 막대 형상이고, 단면 형상은 위에서 아래로 갈수록 폭이 증가하는 상협하광의 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부(151)의 양측에 피스톤안착면(153)이 구비되고, 피스톤안착면(153)의 길이방향 양단에는 피스톤의 안정적인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피스톤가이드(1531)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부(151)에는 상기 가압볼트(154)를 삽입할 수 있는 볼트관통홀(152)이 상하방향으로 구비되고, 상기 가압볼트(154)는 상기 볼트관통홀(152)을 통과하여 상부판(130)에 체결된다.
가압볼트(154), 볼트관통홀(152) 및 볼트관통공(153)의 수는 필요로 하는 가압력을 고려하여 결정한다.
상부판(130)에는 가압볼트(154)를 체결할 수 있는 볼트관통공(133)이 구비되어 가압볼트(154)를 체결한다.
제작과 시공 편의성 및 견고한 체결을 위해 가압볼트(154)와 나사결합하는 너트(1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너트(155)를 포함하여 체결하는 경우, 상부판(130)의 상부에는 볼트관통공(133)과 연통되도록 너트수용홈(134)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본체부(151)의 하부에서 상부로 가압볼트(154)가 체결되므로, 본체부(151)의 하부에는 가압볼트(154)의 볼트머리가 수용될 수 있는 볼트안착홈(156)을 구비할 수 있다.
볼트안착홈(156)은 상기 볼트관통홀(152)과 연통되도록 본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하나로 이어지도록 구비할 수도 있고, 상기 볼트관통홀(152)의 수만큼 개별적으로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피스톤안착면(153)은 상기 본체부(151)에 홈을 형성하여 구비되고, 상기 피스톤안착면(153)에는 후술하는 상부피스톤(160)이 수용된다.
상부피스톤(160)이 피스톤안착면(153)에 안정적으로 수용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피스톤안착면(153)의 길이를 피스톤(160)의 길이와 동일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피스톤안착면(153)은 연직선과 일정 각도 기울어진 평면으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부(151)의 양측에 구비되는 피스톤안착면(153)은 연직선과 동일한 각도로 경사지면서 아래로 갈수록 간격이 증가하는 단면 형상을 이루게 된다.
상부피스톤(160)은, 피스톤경사면(161), 마찰재구속면(16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스톤경사면(161)은 연직선과 일정 각도 경사진 평면이고, 상기 마찰재구속면(162)은 연직선과 동일한 방향이 바람직하다.
상부피스톤(160)의 전체적인 단면 형상은, 상기 피스톤경사면(161)과 마찰재구속면(162)에 의해 아래로 갈수록 감소하는 상광하협의 형상이 바람직하다.
각 방향제어부재의 양측면에 가해지는 압력을 균일하게 하기 위해, 상기 피스톤경사면(161)이 연직선과 이루는 각도는, 피스톤안착면(143), 피스톤안착면(153), 구속부재경사면(132), 가압부재경사면(1411)이 연직선과 이루는 각도와 동일하도록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사면 사이의 면압(가압력)을 효과적으로 유지하는 바람직한 경사각은 3~35도이다.
상부피스톤(160)이 방향제어부재를 가압하여, 마찰력이 발생하도록 하고, 지진 등에 의해 발생하는 수평력이 마찰재의 정지마찰력 이상이 되면, 이동 및 변위수용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피스톤경사면(161)의 반대쪽 측면에는 마찰재(164)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찰재(164)를 삽입하기 위해, 상기 마찰재구속면(162)에 의해 둘러싸인 내부에 마찰재안착홈(163)을 구비한다.
상기 마찰재안착홈(163)에 마찰재(164)가 삽입된다. 마찰재(164)의 일부는 삽입되고, 일부는 마찰재구속면(162)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구비한다.
가압볼트에 의한 프리스트레스력에 의해 마찰재(164)에 구속효과가 부여되므로,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마찰재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방향제어부재(121)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구비되는 양측면에, 상기 마찰재(163)와 대응되는 위치에 미끄럼판(122)이 고정되어, 마찰력을 발휘하도록 하고, 마찰재와 미끄럼판 사이의 정지마찰력 이상의 수평력이 작용하게 되면, 마찰재와 미끄럼판이 상대운동을 하면서 도 21의 y축 방향 댐퍼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마찰재(163)와 미끄럼판(122)은 연직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끄럼판(122)의 재질, 형상, 마찰재안착홈(163) 및 마찰재(164)의 형상, 구조는, 상기 미끄럼판(22)의 재질, 형상, 마찰재안착홈(63) 및 마찰재(64)의 형상, 구조와 같은 방식으로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상부판(130)은, 상부구조(1)에 고정되는 솔플레이트(10)에 볼트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솔플레이트가 구비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상부판(130)은 다른 형태로 상부구조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가압볼트의 돌출부를 유입시키기 위해, 상부판(130)과 솔플레이트(10) 사이에 스페이서(11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스페이서(110)는 플레이트 형태로 구비할 수 있고, 가압볼트 돌출부를 수용할 수 있는 볼트수용홀(111)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제2실시예의 일상적 진동의 영향이 없는 장수명의 다방향 진동제어장치의 작동 원리에 대해 설명한다.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의 구성의 상부에 직각방향으로의 댐퍼기능을 부여한 것이므로, 방향제어부재(121)의 길이방향으로 지진 등에 의한 큰 수평력이 발생하기 전에는, 평상시에 발생하는 진동은, 하우징과 하부판 사이의 상대이동 및 상시진동수용부에 의해 모두 흡수된다.
이후 방향제어부재(121)의 길이방향으로 지진 등에 의한 큰 수평력이 발생하는 경우, 상시진동수용부의 허용변위량을 넘어서게 되고, 그 수평력이 마찰재(164)와 미끄럼판(122) 사이의 정지마찰력 이상이 되면 마찰재(164)와 미끄럼판(122)이 서로 상대운동을 하게 되어 마찰댐퍼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상부구조 2. 하부구조
10. 솔플레이트 11. 상부앵커볼트
20. 연결판
21. 방향제어부재 22. 미끄럼판
30. 하부판
311. 측면구속부재 312. 전후면구속부재
3111. 고정돌기
32. 하부앵커볼트
40. 외측가압부재
41. 본체부 411. 가압부재경사면
42. 볼트관통홀
43. 피스톤안착면 431. 피스톤가이드
44. 가압볼트
45. 너트 46. 볼트안착홈
50. 내측가압부재
51. 본체부 52. 볼트관통홀
53. 피스톤안착면 531. 피스톤가이드
54. 가압볼트
55. 너트 56. 볼트안착홈
60. 피스톤
61. 피스톤경사면 62. 마찰재구속면
63. 마찰재안착홈 64. 마찰재
70. 하우징
71. 반력대 711. 반력대경사면
72. 저판
73. 볼트관통공 74. 너트수용홈
75. 미끄럼판
80. 상시진동수용부
81. 제1진동수용부재
811. 탄성체 812. 관통홀
813. 압축제한부재 814. 마찰재
82. 제2진동수용부재
821. 탄성체 822. 관통홀
823. 압축제한부재 824. 구속판
90. 방진패드
91. 볼트수용홀
100. 하부앵커
110. 스페이서 111. 볼트수용홀
120. 상부연결판
121. 방향제어부재 122. 미끄럼판
130. 상부판
131. 측면구속부재 132. 구속부재경사면
133. 볼트관통공 134. 너트수용홈
140. 상부외측가압부재
141. 본체부 1411. 가압부재경사면
142. 볼트관통홀
143. 피스톤안착면 1431. 피스톤가이드
144. 가압볼트
145. 너트 146. 볼트안착홈
150. 상부내측가압부재
151. 본체부 152. 볼트관통홀
153. 피스톤안착면 1531. 피스톤가이드
154. 가압볼트
155. 너트 156. 볼트안착홈
160. 상부피스톤
161. 피스톤경사면 162. 마찰재구속면
163. 마찰재안착홈 164. 마찰재
a. 피스톤경사면(61), 피스톤안착면(43), 피스톤안착면(53), 반력대경사면(711), 가압부재경사면(411)이 연직선과 이루는 각도(a)

Claims (17)

  1. 상부구조와 하부구조 사이에 설치되는 진동제어장치에 있어서,
    하부를 향해 방향제어부재(21)가 구비되는 연결판(20);
    상기 연결판(20)의 아래쪽에 구비되는 하부판(30);
    상기 연결판(20)과 하부판(30)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부구조와 하부구조 사이에서 발생하는 상시진동을 수용하는 하우징(70)을 포함하되,
    상기 하부판(30)의 상부에는, 위를 향해 구속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70)은 상기 구속부재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며,
    상기 하우징(70)과 구속부재 사이에 상시진동수용부가 구비되어, 상부구조와 하부구조 사이에서 발생하는 상시진동을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상적 진동의 영향이 없는 장수명의 다방향 진동제어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부재는, 상기 방향제어부재(21)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구비되는 2개의 측면구속부재(311); 상기 측면구속부재(311)의 길이방향 양측에 구비되는 전후면구속부재(312)를 포함하고,
    상기 상시진동수용부는,
    상기 측면구속부재(311)와 하우징(70) 사이에 구비되는 제1진동수용부재(81); 상기 전후면구속부재(312)와 하우징(70) 사이에 구비되는 제2진동수용부재(82)를 포함하는
    일상적 진동의 영향이 없는 장수명의 다방향 진동제어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70)과 하부판(30) 사이에 구비되는 방진패드(90)를 더 포함하는
    일상적 진동의 영향이 없는 장수명의 다방향 진동제어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70)에 수용되어 상기 방향제어부재(21)쪽으로 압력을 가하는 가압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재에 의한 가압력을 조절함으로써 감쇠의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상적 진동의 영향이 없는 장수명의 다방향 진동제어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는 가압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재의 본체부에는 상기 가압볼트를 삽입할 수 있는 볼트관통홀이 상하방향으로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70)은, 저판(72); 상기 저판(72)에 구비되어 상기 가압볼트를 체결할 수 있는 볼트관통공(73); 상기 저판(72)의 상부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구비되는 2개의 반력대(71)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볼트의 체결력에 의해, 상기 방향제어부재(21)로 가해지는 압력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상적 진동의 영향이 없는 장수명의 다방향 진동제어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구비되는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는 피스톤(60)이 구비되고,
    상기 가압부재의 가압에 의해 상기 피스톤(60)이 상기 방향제어부재(21)를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상적 진동의 영향이 없는 장수명의 다방향 진동제어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60)은, 연직선과 일정각도를 이루는 피스톤경사면(61)을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재는,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구비되는 측면 중 어느 하나에 가압부재경사면이 구비되고,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구비되는 측면 중 다른 하나에 상기 피스톤경사면(61)이 안착될 수 있는 피스톤안착면이 구비되거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구비되는 양측면에 상기 피스톤경사면(61)이 안착될 수 있는 피스톤안착면이 구비되며,
    상기 피스톤안착면에 상기 피스톤경사면(61)이 면접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상적 진동의 영향이 없는 장수명의 다방향 진동제어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60)은, 상기 피스톤경사면(61)의 반대쪽 측면에 구비되는 마찰재안착홈(63); 상기 마찰재안착홈(63)에 삽입되는 마찰재(64)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방향제어부재(21)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구비되는 양측면에는 미끄럼판(22)이 구비되며,
    상기 가압볼트의 체결력에 의해, 상기 마찰재(64)와 미끄럼판(22) 사이의 마찰력이 조절됨으로써 감쇠의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상적 진동의 영향이 없는 장수명의 다방향 진동제어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반력대(71)는 반력대경사면(711)을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재경사면, 반력대경사면(711), 피스톤경사면(61) 및 피스톤안착면이 연직선과 이루는 경사각(a)이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상적 진동의 영향이 없는 장수명의 다방향 진동제어장치.
  11. 제6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제어부재(21)가 하나이고,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방향제어부재(21)와 반력대(71)의 사이에 구비되는 외측가압부재(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상적 진동의 영향이 없는 장수명의 다방향 진동제어장치.
  12. 제6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제어부재(21)가 복수 개이고,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방향제어부재(21)와 반력대(71)의 사이에 구비되는 외측가압부재(40)와 상기 방향제어부재(21)와 방향제어부재(21)의 사이에 구비되는 내측가압부재(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상적 진동의 영향이 없는 장수명의 다방향 진동제어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가압부재(40)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구비되는 측면 중 상기 방향제어부재(21)에 인접한 측면에 피스톤안착면(43)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상적 진동의 영향이 없는 장수명의 다방향 진동제어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가압부재(40)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구비되는 측면 중 상기 방향제어부재(21)에 인접한 측면에 피스톤안착면(43)이 구비되고,
    상기 내측가압부재(50)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구비되는 양측면에 피스톤안착면(53)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상적 진동의 영향이 없는 장수명의 다방향 진동제어장치.
  15. 제3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진동수용부재(81)는, 중앙에 관통홀(812)이 구비된 탄성체(811); 상기 관통홀(812) 내부에 구비되는 압축제한부재(813);를 포함하고,
    상기 제2진동수용부재(82)는, 중앙에 관통홀(822)이 구비된 탄성체(821); 상기 관통홀(822) 내부에 구비되는 압축제한부재(823);를 포함하는
    일상적 진동의 영향이 없는 장수명의 다방향 진동제어장치.
  16.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판(20)의 상부에 구비되되, 상부를 향해 방향제어부재(121)가 구비되는 상부연결판(120);
    일정 간격을 두고 나란한 방향으로 2개의 측면구속부재(131)가 일체로 구비되는 상부판(130);
    상기 방향제어부재(121)쪽으로 압력을 가하는 상부가압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방향제어부재(121)와 상부가압부재는 상기 2개의 측면구속부재(131)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방향제어부재(121), 측면구속부재(131) 및 상부가압부재가 설치되는 방향이, 상기 방향제어부재(21)가 설치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상적 진동의 영향이 없는 장수명의 다방향 진동제어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가압부재는 가압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가압부재의 본체부에는 가압볼트를 삽입할 수 있는 볼트관통홀이 상하방향으로 구비되며,
    상기 상부판(130)에는 상기 상부가압부재의 볼트관통홀에 삽입되는 가압볼트를 체결할 수 있는 볼트관통공(133)이 구비되고,
    상기 상부가압부재의 볼트관통홀에 삽입되는 가압볼트의 체결력에 의해, 상기 방향제어부재(121)로 가해지는 압력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상적 진동의 영향이 없는 장수명의 다방향 진동제어장치.





KR1020220088868A 2022-07-19 2022-07-19 일상적 진동의 영향이 없는 장수명의 다방향 진동제어장치 KR1024837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8868A KR102483798B1 (ko) 2022-07-19 2022-07-19 일상적 진동의 영향이 없는 장수명의 다방향 진동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8868A KR102483798B1 (ko) 2022-07-19 2022-07-19 일상적 진동의 영향이 없는 장수명의 다방향 진동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3798B1 true KR102483798B1 (ko) 2023-01-03

Family

ID=84924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8868A KR102483798B1 (ko) 2022-07-19 2022-07-19 일상적 진동의 영향이 없는 장수명의 다방향 진동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379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6088B1 (ko) * 2006-07-10 2007-05-08 주식회사 에스코알티에스 마찰을 이용한 수직진동 감쇠베어링
KR100741718B1 (ko) * 2007-03-14 2007-07-23 매크로드 주식회사 프리스트레스가 적용된 마찰 감쇠형 전단키
KR101162687B1 (ko) * 2011-11-29 2012-07-05 (주)알티에스 면진장치
KR102100808B1 (ko) 2019-04-15 2020-04-14 주식회사 에이티에스 댐핑력 조절이 가능한 선형 점성 댐퍼
KR20200127704A (ko) * 2019-05-02 2020-11-11 한대홍 스마트 내진 감쇄장치를 갖는 수배전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6088B1 (ko) * 2006-07-10 2007-05-08 주식회사 에스코알티에스 마찰을 이용한 수직진동 감쇠베어링
KR100741718B1 (ko) * 2007-03-14 2007-07-23 매크로드 주식회사 프리스트레스가 적용된 마찰 감쇠형 전단키
KR101162687B1 (ko) * 2011-11-29 2012-07-05 (주)알티에스 면진장치
KR102100808B1 (ko) 2019-04-15 2020-04-14 주식회사 에이티에스 댐핑력 조절이 가능한 선형 점성 댐퍼
KR20200127704A (ko) * 2019-05-02 2020-11-11 한대홍 스마트 내진 감쇄장치를 갖는 수배전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2687B1 (ko) 면진장치
US5014474A (en) System and apparatus for limiting the effect of vibrations between a structure and its foundation
US7249442B2 (en) Storage rack vibration isolators and related storage rack systems
KR100919926B1 (ko) 진동저감장치
KR100762941B1 (ko) 구조물용 면진 베어링장치
KR102102614B1 (ko) 다중 슬립하중 마찰댐퍼
US4805359A (en) Method of applying floor vibration-damping work and vibration-damping floor device
US4040590A (en) Vibration isolator with integral non-amplifying seismic restraint
KR101232906B1 (ko) 진동감쇠 마찰기구 및 이를 이용한 면진장치
KR101289820B1 (ko) 이중패드 면진장치
CA2907567A1 (en) Disc and spring isolation bearing
KR101749589B1 (ko) 내진장치가 구비된 수배전반
US4371141A (en) Vibration isolation system with adjustable constant force, all-directional, attenuating seismic restraint
CN116044036A (zh) 一种分级屈服耗能阻尼器
KR101365093B1 (ko) 구조물 지지용 면진장치
KR101351069B1 (ko) 완충구조를 갖는 감쇠용 교좌장치
KR102483798B1 (ko) 일상적 진동의 영향이 없는 장수명의 다방향 진동제어장치
KR20060075358A (ko) 저 마찰 구름운동 진자받침
KR101291809B1 (ko) 교량용 면진장치
KR200431157Y1 (ko) 구조물용 면진 베어링장치
KR102138941B1 (ko) 쐐기를 이용한 면진장치 및 이를 위한 탄성지지 쐐기기구
KR200262491Y1 (ko) 큰 수직완충력을 갖는 교좌장치
KR102138940B1 (ko) 쐐기를 이용한 탄성 마찰댐퍼 및 이를 이용한 댐핑구조물
KR102125231B1 (ko) 면진모듈 및 이를 적용한 가설교량
JPH03202525A (ja) すべり支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