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3486B1 - 블록체인 기반 케리코인 거래 관리 플랫폼 - Google Patents

블록체인 기반 케리코인 거래 관리 플랫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3486B1
KR102483486B1 KR1020200145191A KR20200145191A KR102483486B1 KR 102483486 B1 KR102483486 B1 KR 102483486B1 KR 1020200145191 A KR1020200145191 A KR 1020200145191A KR 20200145191 A KR20200145191 A KR 20200145191A KR 102483486 B1 KR102483486 B1 KR 1024834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et
customer
terminal device
carrycoin
trans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51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59694A (ko
Inventor
조북룡
천호식
Original Assignee
조북룡
천호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북룡, 천호식 filed Critical 조북룡
Priority to KR10202001451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3486B1/ko
Publication of KR202200596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96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34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34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06Q20/06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0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funds transfer [EFT]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ome bank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7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06Q20/3276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using a pictured code, e.g. barcode or QR-code, being read by the M-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06Q20/367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 G06Q20/3678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e-cash details, e.g. blinded, divisible or detecting double spen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7Payment using discounts or coup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09Incentive being awarded or redeemed in connection with the playing of a video gam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Abstract

제휴 숍에서 케리코인으로 상품 결제시 할인해주는 블록체인 기반 케리코인 거래 관리 플랫폼에 있어서,
케리코인 거래 관리 플랫폼은 증강현실 게임 서버, 케리코인 관리서버를 구비하며, 고객이 고객 단말장치의 표시부에 증강현실 게임아이템 앱을 띄어 제휴 숍에 지근거리로 이동하면 게임아이템이 출몰하고 고객이 터치 조작으로 게임 미션을 종료하면 보상으로 첫 번째 포인트가 적립되고 고객이 제휴 숍에 들어가면 추가로 게임아이템이 출몰하여 고객의 게임 미션 종료 여부에 따라 보상으로 두 번째 포인트의 적립 여부가 결정되며,
고객이 제휴 숍에서 구매한 상품의 결제시 먼저 케리코인 거래 관리 플랫폼의 운영자가 발행한 케리코인 수량 및 지갑 관련 정보가 기재된 카드를 원화통화로 구매하고 카드의 지갑 관련 정보를 고객 단말장치와 케리코인 관리서버 와의 데이터 송·수신으로 케리코인 관리서버에서 관리하는 활성화된 고객 지갑으로 만들며, 아울러 보상으로 적립된 포인트도 데이터 송·수신으로 포인트에 상응하는 수량의 케리코인이 운영자의 지갑에서 고객 지갑으로 입금되며, 그리고
제휴 숍에서 고객 지갑으로 거래하면 에이전시 지갑으로 결제금액의 일정률에 해당되는 수량의 케리코인을 에이전시 거래수수료로 송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블록체인 기반 케리코인 거래 관리 플랫폼{Kerricoin Blockchain Managing Platform}
본 발명은 케리코인 거래 관리 플랫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게임 이용자가 증강현실 게임으로 보상으로 받은 케리코인을 제휴 숍에서 결제 화폐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 케리코인 거래 관리 플랫폼에 관한 것이다.
증강현실은 사용자가 눈으로 보는 현실 세계(real world)에 가상 오브젝트(virtual object)를 겹쳐서 보여주는 기술을 말한다. 실제 세계에 실시간으로 부가정보를 갖는 가상 세계(virtual world)를 합쳐 하나의 영상으로 보여줌으로 혼합현실(mixed reality)이라고도 한다. 또한 증강현실 게임이란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기술을 이용하여 실제 환경인 실세계에서 가상의 아이템(item) 및 오브젝트 (object)를 게임 플랫폼에서 지정한 위치에서 조우하며, 터치 조작하여 이벤트를 진행 처리하는 게임으로, 사용자는 실제 세계를 돌아다니며 이벤트 처리를 발생시켜 증강현실 게임을 진행한다.
그리고 이동 통신 기술을 보면, 현재의 이동 통신 기술은 더 빠른 데이터 통신과 멀티미디어를 이용한 다양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5G 세대로 진화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통신 기술을 이용한 모바일 장치인 통신 단말에서도 CPU 등의 프로세서, RAM 및 ROM 등의 메모리, 각종 주변 장치 및 구현 기술의 각 분야에서 기술혁신이 진행된 결과, 다기능화와 고기능화 모두에서 비약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이와 같이, 이동 통신 및 통신 단말에 관한 엄청난 기술 발전으로 음성 통화뿐만 아니라 영상 통화, 이메일, 웹 브라우징, 채팅 등의 다양한 통신 서비스가 스마트 폰에서 실현되고 있다. 또한 다기능화한 통신 단말에는 LCD / OLED 디스플레이 모듈, 카메라 모듈, 비접촉 IC 카드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 블루투스 통신 모듈, 와이파이 통신 모듈, GPS 모듈, 가속도센서, 지자기 센서, 센서 모듈 같은 각종 장치가 탑재되고 있다.
또한, 통신 단말의 다기능화는 탑재되는 소프트웨어에서도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각종 모듈을 제어하는 다양한 앱(application) 소프트웨어 또한 각종 뷰어,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브라우저, 우편물, 게임, PIM(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등의 응용 프로그램 소프트웨어가 터미널 운영 시스템에 구현되어 있으며, 멀티 태스킹 기능으로 여러 응용 프로그램을 동시 병행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고도의 기능 실현이 가능하다.
한편, 정보처리 분야에서는 컴퓨터 그래픽에 의해 가상현실 공간을 구성하는 가상현실(virtual reality)과 현실 공간의 영상을 컴퓨터로 처리하여 더 많은 정보를 추가하는 증강현실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특히 최근에는 증강현실 기술이 주목받고 있다. 이 증강현실 기술을 이용한 증강현실의 실현 방법에는 여러 가지 측면을 생각할 수 있는데, 그 하나에 카메라 폰을 갖춘 단말기를 이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위치정보 서비스와 연계한 위치정보 기반의 증강현실 게임에서는 가상으로 건물이나 캐릭터 등이 출몰하는 경우가 많아 게임 연출에 사용자의 현재위치의 풍경에 건물이나 캐릭터를 합성하고 표시하는 증강현실 표시 기능을 갖추고 있다.
그런데 기존의 증강현실 게임은, 단순히 출몰한 가상의 아이템 및 오브젝트를 터치조작으로 이동하면서 이벤트를 처리하는 것으로 게임 미션을 마무리 하면 포인트로 가상화폐를 사용자의 증강현실 게임용 단말장치인 모바일 장치에 적립하여 이 가상화폐를 결제수단으로 입점 숍, 인근 점포에서 사용자가 구매할 수 있는 즉 게임을 즐기면서 경제적인 보상을 주는 베네핏(benefit)을 제공해주지 못하는 것이 현실이다.
한편 블록체인은 크게 4가지의 기반 기술로 P2P(Peer-to-Peer) 네트워크, 암호화, 분산 장부, 분산 합의로 구성되며 각각의 기술들은 블록체인의 가치라 할 수 있는 탈중앙화, 데이터의 무결성 유지 등을 위해 상호 보완적인 관계를 취하고 있으며 블록체인 동작 메커니즘의 근간을 이루고 있다. 그리고, 블록체인 환경에서의 응용 기술인 스마트 컨트랙트는 프로그램의 실행 코드 및 그 결과에 대한 무결성(integrity), 신뢰성을 제공해주는 기술로서 자동화된 거래, 제어 등의 분야에서 주목받고 있다. 우선, 블록체인의 참가자들 간 연결 및 통신은 P2P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여 이루어진다. P2P 네트워크는 기존 클라이언트-서버 방식에서 탈피한 동등한 계층의 참가자들로 이루어지는 네트워크로서 크게 구조적 P2P(structured P2P)와 비구조적 P2P(unstructured P2P)로 분류된다.
특히 비구조적 P2P는 서버를 중심으로 참가자들 간의 망이 이루어지는 중앙 집중형 방식과 데이터의 플러딩(flooding)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하는 분산형 P2P 네트워크로 다시 구분할 수 있다. 블록체인은 기술의 특징이자 이념인 탈중앙화 분산 네트워크를 위해 플러딩 기반의 비구조적 P2P 네트워크를 사용한다.
또한 P2P 네트워크의 통신은 UDP(user datagram protocol)를 통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블록체인에서는 TCP/IP를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블록체인의 참가자들은 자신과 물리적으로 가장 인접한 참가자들의 IP를 유지하고 있으며 이를 사용하여 메시지 및 데이터를 주고받는다.
블록체인에서 사용되는 암호화 기술은 데이터의 무결성 검증(validation)을 위한 머클 트리(merkle state tree), 거래의 부인방지를 위한 공개키 기반 디지털 서명 기법이 사용되고 있다. 머클 트리는 해시 트리(hash tree)의 일종으로 모든 비리프 노드(non-leaf node)의 이름이 자식 노드(child node)들의 해시로 구성된 트리를 일컫는다. 즉, 리프 노드들은 파일이나 특정 값 등의 데이터를 가리키며 상위 노드(upper layer node)는 이 리프 노드의 해시로 구성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구성된 머클 트리의 루트 노드(root node)는 트리를 구성하는 모든 리프 노드들의 데이터의 해시값(hashvalue)으로 이루어져있으며 사용자는 루트 노드의 해시를 검증하는 것만으로 데이터들의 위변조를 검증할 수 있다. 따라서 블록체인에서는 리프 노드에 참가자들 간의 거래, 정보 들을 삽입함으로써 머클 트리의 기초를 구성하며 상위 노드를 만들 때 사용될 수 있는 해시 함수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블록체인에서는 SHA-256 (secure hash algorithm-256) 함수(function)를 사용하여 머클 트리를 활용하고 있다.
공개 키(public key) 기반의 디지털 서명 방식은 사전에 비밀 키(private key)를 나누어 가지지 않은 참가자간의 안전한 통신을 이루어지게 하는 암호화 기술로 본인 인증 등의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공개 키 기반 구조에서는 공개 키와 비밀 키 두 개의 키 쌍(pair)이 존재하며, 공개 키는 모든 참가자들이 알 수 있지만 이에 대응되는 비밀 키는 해당 소유자만이 알 수 있도록 유지되어야 한다. 이러한 공개 키 기반 디지털 서명 방식을 블록체인에서는 거래의 유효성을 검증하는데 사용하고 있다. 거래를 발생시키려는 사용자가 자신의 비밀 키를 사용하여 해당 거래에 대해 서명을 하고 이에 대응되는 자신의 공개 키와 함께 블록체인 네트웍에 거래정보를 전송한다. 이 거래 정보를 받은 다른 모든 참가자들은 거래에 담긴 송신자의 공개 키를 이용하여 해당 거래의 유효성을 검증하고 이를 통해 그 거래는 블록체인의 참가자가 보냈음을 확인한다.
분산 장부는 참가자들 간의 합의에 의해 복제되고 공유, 동기화된 정보의 기록 저장소이다. 특히 분산 장부가 P2P 네트워크상에서 적용되기 위해서는 분산 장부의 기록에 대한 참가자들의 합의가 필요하다는 특징을 가지며 이는 블록체인에서도 그 특징을 유지하고 있다. 블록체인에서 분산 장부는 발생하는 모든 거래, 정보들을 참여자들의 검증과정을 거쳐 기록하며, 모든 참가자가 동일한 정보를 유지한다.
거래나 정보를 검증할 시에는 먼저 참가자 개개인이 유지하고 있는 분산 장부에 이미 기록되어 있는 정보와의 연결성을 확인하고 참가자들 간의 합의를 거쳐 적법한 거래나 정보만이 블록체인의 분산 장부에 저장된다. 거래나 정보를 저장 시에는 이들을 일정 시간동안 누적하여 블록(block)이라는 단위로 저장하고 이 블록 간의 연결성을 부여한 상태에서 분산 장부에 저장한다. 이러한 분산 장부는 블록체인이 제공하는 데이터 무결성 보장(protection)의 바탕이 된다. 블록체인에 참가하고 있는 모든 사용자들은 동일한 분산 장부의 데이터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외부에서 공격자가 특정 데이터를 위변조하거나 이중거래 등을 시도하기 위해서는 참가자들이 유지하고 있는 분산 장부들 중 절반 이상의 장부들에 대해 공격을 시도해야 하기 때문에 높은 비용과 컴퓨팅 리소스가 필요로 한다.
분산 합의는 분산 컴퓨팅과 멀티 에이전트 시스템 등의 분야에서 결함이 있는 프로세스가 있는 경우, 전반적인 시스템의 신뢰성을 달성하기 위하여 프로세스나 에이전트 간의 특정 데이터 값에 대한 동의를 이끌어내는 프로토콜이다. 이를 위한 분산 합의 프로토콜은 다음과 같은 성질을 지니고 있다. 우선, 유효성(validity), 즉 모든 올바른 프로세스들이 동일한 데이터를 제안했다면, 모든 프로세스들은 제안된 데이터에 결정(유효, 무효)을 내리고, 두 번째로, 무결성, 즉 모든 올바른 프로세스들이 하나의 데이터를 채택하였다면 그 데이터는 다른 프로세스에 의해 제안된 데이터이며, 세 번째로, 동의(agreement), 모든 올바른 프로세스들은 반드시 어떤 데이터에 대해 동의하여야 하며, 네 번째로, 종료(termination), 모든 올바른 프로세스들은 어떤 데이터들에 대해 결정을 내려야 한다.
블록체인에서는 위와 같은 분산 합의 프로토콜 설계하고 이를 통해 발생하는 거래나 정보에 대해 참여자 간의 합의를 이끌어낸다. 합의를 거쳐 적합한 거래나 정보만이 블록체인에서 유지되기 때문에 핵심이 되는 부분 중 하나이다. 또한 어떠한 방식의 분산 합의 프로토콜을 사용하고 있는가에 따라 블록체인의 특징이 구별되어지고 시스템의 신뢰성 또한 영향을 받는다. 대표적인 블록체인 서비스라고 할 수 있는 비트코인의 경우 작업 증명(proof-of-work)이라는 분산 합의 프로토콜을 사용하고 있다. 이 작업 증명 프로토콜은 참가자들이 블록으로 저장되기 위한 거래 및 데이터들과 SHA-256 해시 함수를 사용하여 시행착오 방식으로 특정 해시 값을 찾아내는 작업을 함으로써 참가자간의 블록 정보에 대한 합의를 이끌어내는 프로토콜이다. 이때, 블록체인은 지분증명(proof-of stake)이라는 투표 기반 합의 알고리즘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보안성은 작업 증명 합의보다 낮아졌지만 합의 속도, 전력낭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러한 지분증명을 기초로 하여 DPoS(Delegated Proof-of-Stake), PBFT(Practical Byzantine Fault Tolerance)기반의 텐더민트(tendermint) 등의 합의 알고리즘이 더 사용될 수 있다.
KR 10-2082625 B1 KR 10-2020-0094407 A KR 10-2103894 B1 KR 10-2019-0141396 A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여 가상화폐인 케리코인의 활용가능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블록체인 기반 케리코인 거래 관리 플랫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여 가상화폐인 케리코인의 활용가능성을 보다 넓히기 위하여 블록체인 기반 케리코인 거래 관리 플랫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숍 이용자에게 증강현실 게임을 즐기면서 짧은 시간내에 케리코인을 획득하여 경제적 보상을 주면서 전략적 제휴 관계인 입점 숍의 마케팅을 지원 관리하는 블록체인 기반 케리코인 거래 관리 플랫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플랫폼 사용자에 관한 빅 데이터를 활용하여 얻어지는 부가가치를 제휴 숍, 파트너 와 공유하는 공유 경제를 지향하는 블록체인 기반 케리코인 거래 관리 플랫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독창 기술인 공유 플랫폼에서 생성되는 정보와 데이터를 이용하여 숍 이용자인 고객 중심의 원 스톱 서비스가 가능한 블록체인 기반 케리코인 거래 관리 플랫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상화폐인 케리코인의 입출금 처리를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여 숍 이용자, 숍, 파트너(에이전시)에게 투명한 데이터 베이스의 운영이 가능한 블록체인 기반 케리코인 거래 관리 플랫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고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케리코인 거래 관리 플랫폼은
고객의 단말장치와 에이전시 단말장치 및 제휴 숍의 판매 시스템에 각각 네트웍에 연결되며 고객이 상기 제휴 숍에서 케리코인으로 상품 결제시 할인해주는 케리코인 거래 관리 플랫폼에 있어서,
상기 케리코인 거래 관리 플랫폼은 증강현실 게임 서버, 케리코인 관리서버를 구비하며,
상기 고객이 고객 단말장치의 표시부에 증강현실 게임아이템 앱을 띄어 상기 제휴 숍에 지근거리로 이동하면 상기 게임아이템이 출몰하고 상기 고객이 터치 조작으로 게임 미션을 종료하면 보상으로 첫 번째 포인트가 적립되고 상기 고객이 상기 제휴 숍에 들어가면 추가로 상기 게임아이템이 출몰하여 상기 고객의 게임 미션 종료 여부에 따라 보상으로 두 번째 포인트의 적립 여부가 결정되며,
상기 고객이 상기 제휴 숍에서 구매한 상품의 결제시 먼저 상기 케리코인 거래 관리 플랫폼의 운영자가 발행한 케리코인 수량 및 지갑 관련 정보가 기재된 카드를 원화통화로 구매하고 상기 카드의 지갑 관련 정보를 상기 고객 단말장치와 상기 케리코인 관리서버 와의 데이터 송·수신으로 상기 케리코인 관리서버에서 관리하는 활성화된 고객 지갑으로 만들며, 아울러
상기 보상으로 적립된 포인트도 상기 데이터 송·수신으로 상기 포인트에 상응하는 수량의 케리코인이 상기 운영자의 지갑에서 상기 고객 지갑으로 입금되며, 그리고 상기 제휴 숍에서 상기 고객 지갑으로 거래하면 에이전시 지갑으로 결제금액의 일정률에 해당되는 수량의 케리코인을 에이전시 거래수수료로 송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게임아이템 앱은 위치 기반의 증강현실 게임으로 상기 증강현실 게임 서버에서 상기 아이템의 출몰 위치를 상기 제휴 숍의 위치로 조정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말장치는 상기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정보 단말기로 컴퓨터, 휴대폰, 태블릿 피시 등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매 상품 결제시 상기 제휴 숍의 시스템의 결제 단말기에 표시된 QR 코드를 상기 사용자의 단말장치가 읽고 상기 사용자의 단말장치에 표시된 송금처, 송금액을 확인한 후 상기 사용자가 송금 지시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케리코인 거래 관리 플랫폼은 숍 이용자에게 증강현실 게임을 즐기면서 짧은 시간 내에 케리코인을 획득하여 경제적 보상을 주면서 입점 숍으로 집객력을 높여 전략적 제휴 관계인 입점 숍의 마케팅을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플랫폼 이용자에 관한 빅 데이터를 활용하여 얻어지는 부가가치를 제휴 숍, 파트너 와 공유하는 공유 경제를 제공할 수 있으며, 그리고 플랫폼에서 생성되는 정보와 데이터를 이용하여 이용자인 고객 중심의 원 스톱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블록체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하이퍼레저 패브릭의 블록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케리코인 거래 관리 플랫폼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케리코인 관리서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거래데이터의 구성의 일 예를 보여주는 설명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케리코인 송금자 단말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케리코인 관리서버 및 고객 단말장치를 포함하는 결제시스템의 개요도이다.
도 8은 케리코인 관리서버 및 고객 단말장치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9 는 지갑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된 각종 테이블의 구성의 일 예를 보여주는 설명도이다.
도 10은 지갑의 활성화 처리를 보여주는 플로우 차트이다.
이하, 본 발명의 장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블록체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블록체인의 블록은 헤더(header)와 바디(body)로 구성된다. 헤더는 단일 블록에 링크드 리스트(linked list)를 만들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고, 바디는 블록에 담기는 거래의 내용 등을 포함한다. 가상화폐인 케리코인의 경우, 헤더는 소프트웨어 버전, 난이도, 이전 블록의 해시값, 블록 생성시간, 머클루트 및 난스(nonce)라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바디는 적어도 하나의 트랜잭션(transaction)을 포함할 수 있다.
블록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난스의 값을 찾는 과정이 필요한데, 이전 블록에 대한 해시값이 새로운 블록의 난스값을 계산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난스의 값을 찾는 과정을 가상화폐인 비트코인에서는 채굴이라고 표현하여, 동시에 '합의 알고리즘'이라고도 불린다. 이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상에 참가자들이 실시간으로 동일한 장부를 보유하게 하는 분산 원장의 기능을 가능하게 하며, 블록을 서로 연결시켜준다. 블록체인의 안정성은 링크드 리스트를 통한 체인 길이의 확대와 블록체인 네트워크 참가자 간의 동일한 장부를 통해 생겨난다. 체인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이전에 존재하는 하나의 블록을 해킹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까워지고, 새롭게 생겨난 블록의 거래 데이터를 분산 원장을 통해 모든 노드(node)가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과반수 이상을 수정할 수 있는 연산력을 보유하지 않는 이상 블록체인의 데이터 조작은 불가능하다.
한편, 블록체인은 그 활용도 측면에서 퍼블릭 블록체인(public blockchain), 프라이빗 블록체인(private blockchain), 콘소시움 블록체인(consortium blockchain) 등의 형태를 이루고 있다. 퍼블릭 블록체인의 경우 누구나 참여가능하고 누구나 정보를 열람할 수 있다. 프라이빗 블록체인은 참가자의 제한과 열람 범위의 제한 등 목적에 따라 제한된 기능을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콘소시움 블록체인은 퍼블릭 블록체인과 프라이빗 블록체인의 중간 형태로, 퍼블릭 블록체인과 프라이빗 블록체인 간에 상호 운용되도록 구성된다.
도 2는 하이퍼레저 패브릭의 블록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하이퍼레저(hyperledger)는 리눅스 재단의 주도 하에 산업간 블록체인 기술 발전을 위해 조직된 전세계적인 오픈 소스 협업 활동이다. 금융, 뱅킹, 사물인터넷, 공급망, 제조 및 기술 분야의 총 130개 이상 회원이 하이퍼레저 패브릭, 하이퍼레저 컴포저 등 8개 프로젝트에 현재 참여 중이며, 표준화된 개방형 엔터프라이즈급 분산 원장 프레임워크 및 코드 베이스 개발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하이퍼레저 패브릭(hyperledger fabric)의 블록 구조는 암호화된 해시 함수를 사용하여 블럭 구조를 저장함으로써 과거의 트랜잭션 정보가 훼손되지 않도록 보호한다. 또한, 하이퍼레저 패블릭의 블록 구조는 비트코인의 경우와 거의 동일하지만, KVS(key-value store) 해시값도 기록되는 점에 특징이 있다.
이전 블록의 해시 값은 512bit(64bytes)에서 SHA3 SHAKE256 을 사용하여 계산되며, 블록의 메타데이터는 각 노드에서 자유로운 값을 넣을 수 있으며, 해시 계산에서 제외된다.
본 발명에서 케리코인을 이용한 상품 대금의 결제나 이에 대한 보상은 기본적으로 하이퍼레저 패브릭 블록체인 시스템이 적용되며, 이와 관련된 데이터나 정보 등은 트랜잭션(transaction)에 저장되어 송수신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반드시 하이퍼레저 패브릭 블럭체인 시스템에만 국한되어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일반적인 퍼블릭 블록체인 시스템뿐만 아니라 가상화폐(암호화폐)로 결제가 가능한 모든 블록체인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케리코인 거래 관리 플랫폼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블록체인 기반 케리코인 거래 관리 플랫폼은 케리코인(kerricoin)을 결제수단으로 사용하는 고객이 사용하는 단말장치(10), 케리코인(kerricoin)을 결제통화로 받는 제휴 숍의 판매 시스템(20), 거래수수료로 케리코인을 받는 에이전시 단말장치(12), 케리코인의 거래 서비스를 관리하는 케리코인 관리서버(40)을 갖추고 있다.
케리코인 거래 관리 플랫폼(1)은 고객의 단말장치(10), 에이전시 단말장치(12), 제휴 숍의 판매 시스템(20), 증강현실 게임 서버(30), 케리코인 관리서버(40)을 포함한다. 각 장치는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N)을 통해 서로 통신 연결되어있어서 상호 정보의 송·수신이 가능하다.
고객 단말장치(10)와 케리코인 관리서버(40)는 복수 개의 단말장치(노드, 18a, 18b,,, 18n)과 연결되어 있으며, P2P 네트웍을 구성하고 분산형 암호화 데이터베이스인 블록체인을 공유한다. 블록체인으로 케리코인의 송금관련 거래내용이 명시된 트랜잭션(transaction)을 포함하는 블록이 연결되는 구성으로 된다. 케리코인은 전자 서명을 이용하여 거래하는 가상 통화이며, 예를 들면 비트코인(BTC), 이더리움(ETH), 라이트코인(LTC), 케리코인(kerricoin) 등이 포함된다.
도 3의 블록체인 기반 케리코인 거래 관리 플랫폼(1)에서 고객 단말장치(10)로부터 케리코인 관리서버(40)에 케리코인 송금이 이뤄질 경우 케리코인의 송금 정보(송금액, 수신처, 송금일자 등의 정보)는 블록으로 P2P 네트웍상의 복수개의 노드(고객 단말장치(10), 제휴 숍의 단말장치(20), 에이전시 단말장치(12), 케리코인 관리서버(40)를 포함한 복수개의 단말장치(18a, 18b,,, 18n)에서 공유되고, 합의 형성을 위한 처리가 노드(node)에서 수행된 후 해당 블록이 블록체인으로 분산형 암호화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다.
이용자(사용자)인 고객은 플랫폼(1)이 운영하는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관리 플랫폼을 운영하는 운영자의 증강현실 게임 서버(30)가 제공하는 증강현실 게임아이템을 플레이하기 위한 회원가입 신청을 할 수 있으며, 관리 플랫폼은 이용자(사용자)의 회원가입 신청을 접수한다. 또는 구글 플레이 스토어에서 관리 플랫폼 운영자의 증강현실 게임아이템 앱을 자신의 단말장치(10)에 다운로드 받고 단말장치(10)의 표시부(64)에 증강현실 게임아이템 앱을 띄어 증강현실 게임을 플레이한다. 플랫폼 운영자의 증강현실 게임아이템 앱은 위치기반 증강현실 게임으로 이용자의 단말장치(10)의 위치가 플랫폼 운영자가 정한 임의 장소 즉 제휴 숍(20)의 위치와 동일 공간 내에 있는지를 판별할 수 있다.
증강현실 게임아이템 앱은 위치 기반의 증강현실 게임으로 증강현실 게임 서버(30)에서 게임아이템의 출몰 위치를 제휴 숍(20)의 위치로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이용자(고객, 10)가 제휴 숍(20)에 지근거리로 이동하면 단말장치(10)의 표시부(64)에 게임아이템을 출몰시켜, 이용자(고객, 10)가 터치 조작으로 게임 미션을 종료하면 보상으로 포인트가 단말장치(10)에 적립된다. 다음, 이용자(고객, 10)이 제휴 숍(20)에 들어가면 추가로 단말장치(10)의 표시부(64)에 게임아이템이 출몰한다. 이용자(고객, 10)가 터치 조작으로 게임 미션을 종료하면 보상으로 추가로 포인트가 단말장치(10)에 적립되나 이용자(고객, 10)가 터치 조작으로 게임 미션을 수행하지 않으면 포인트는 단말장치(10)에 적립되지 않는다. 즉 이용자(고객, 10)의 게임 미션 종료에 따라 보상으로 포인트의 여부가 결정된다.
그리고 회원가입 신청을 하지 않은 이용자(고객, 10)는 포인트를 나중에 사용하기 위하여 플랫폼이 운영하는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회원가입 신청을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케리코인 관리서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4를 보면, 케리코인 관리서버(40)는 제어부(26), 지갑관리 제어부(34), 기록장치(28), 통신부(44), ROM(46) 및 RAM(48)을 갖추고 있다. 제어부(26)는 케리코인 관리서버(40)의 동작을 종합적으로 제어하며, ROM(46)에 기록된 시스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기동되며, 제어부(26)에 연계되는 기능 등을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26)는 기록장치(28)에 저장되어 있는 거래 서비스 제공 프로그램이 실행됨으로써, 수취자측 인증부(36), 블록생성부(38) 등 케리코인 거래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한 각종 기능이 구비된다.
기록장치(28)는, 예를 들면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와 비휘발성 메모리(NVM)로서, 케리코인 거래 서비스를 실행하기위한 거래 서비스 제공 프로그램 외에도 지갑 데이터베이스(50), 거래 데이터베이스(52), 블록체인(54)이 기록되어있다. 또한 거래 서비스 제공 프로그램들이 기록장치(28)에 설치되어 있지만, 통신부(44)에 의해 외부 서버로부터 거래 서비스 제공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수취자측 인증부(36)는 케리코인 수취자의 단말장치(12, 20)의 인증에 사용되는 인증코드를 생성하고, 수취자의 단말장치(12, 20)로부터 수신한 인증 코드가 케리코인 관리서버(40)에 미리 기억되어있는 인증코드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일치하는 경우에는 수취자의 단말장치(12, 20)에 기록된 지갑 데이터베이스(50)를 이용 가능하게 한다.
블록 생성부(38)는 예를 들면 케리코인 송금이 이루어진 경우에 당해 송금 정보(송금액, 수신처, 송금일자 등의 정보)를 블록으로 생성하여 P2P 네트웍의 복수 개의 노드(18a, 18b,,, 18n)에 브로드캐스트(broadcast)한다. 브로드캐스트된 블록은 복수 개의 노드(18a, 18b,,, 18n)에서 공유되고 합의 형성을 위한 처리가 노드에서 수행된 후 해당 블록은 블록체인으로 분산형 암호화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다. 케리코인 관리서버(40)의 블록체인(54)에 저장된다.
지갑관리 제어부(34)는 기록장치(28)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리드아웃(read out)하여 이 프로그램에 따라 다른 요소를 제어한다. 지갑관리 제어부(34)는 프로그램에 따라 연산 결과를 메모리에 적절히 쓰거나 읽거나 할 수 있다. 지갑관리 제어부(34)는 프로그램에 따라 지갑 생성부(34a), 활성화부(34b) 및 트랜잭션부(34c)로 기능 역할을 한다.
지갑관리 제어부(34)는 고객 단말장치(10)의 사용자(고객)로부터의 지시를 받고, 케리코인 관리서버(40)내에 케리코인 수취자의 단말장치(12, 20)가 사용하는 지갑(비밀 키 와 공개 키)을 생성하고 케리코인 수취자의 단말장치(12, 20)의 식별정보(이메일 주소, 전화 번호, 이름)와 대응하며 지갑 데이터(50)로 기록장치(28)에 저장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거래데이터의 구성의 일 예를 보여주는 설명도이다.
도 5를 보면, 기록장치(28)에 저장된 거래 데이터베이스(52)는 수취자의 단말장치(12, 20)의 식별 정보(이메일 주소, 전화 번호), 수취 코드와 인증을 받은 수취자의 단말장치(12, 20)가 이용 가능한 지갑 데이터의 식별번호(지갑번호)가 저장된다.
RAM(48)은 ROM(46)로부터 리드아웃(read out)한 각종 프로그램 등의 데이터 외에도 기록장치(28)에 저장된 케리코인 거래 서비스 제공 프로그램을 리드아웃하여 케리코인 거래 서비스를 실행한다. 통신부(44)는 통신 네트웍(N)을 통해 케리코인 송금자의 단말장치(10)와 케리코인 수취자의 단말장치(12, 20)사이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케리코인 송금자 단말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 블록도이다.
도 6을 보면, 케리코인 송금자 단말장치(10)는 제어부(56), 기록장치(58), 입력부(62), 표시부(64), 통신부(66), ROM(76) 및 RAM(78)을 갖추고 있다. 제어부(56)는 케리코인 송금자 단말장치(10)의 동작을 종합적으로 제어하며 ROM(76)에 저장된 시스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송금자 단말장치(10)의 각종 기능을 수행하며 블록생성부(68)가 구비된다. 블록생성부 (68)의 동작에 대해서는 케리코인 관리서버(40)의 블록생성부(38)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기록장치(58)는 예를 들면 비휘발성 메모리로서, 지갑 데이터(70) 및 블록체인(74)이 저장되어 있다. 지갑 데이터(70) 및 블록체인(74)은 케리코인 관리서버(40)에 구비되어 있는 것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입력부(62)는 예를 들면 케리코인 송금자 단말장치(10)의 전면에 설치된 터치 패널이며, 사용자(user, 고객)의 각종 조작 입력을 받아들이고 작업 내용에 따라 입력 신호를 제어부(56)로 출력한다. 표시부(64)는 LCD패널이나 OLED패널이며, 증강현실 게임 화면 등의 각종 화면을 표시한다. 통신부(66)는 통신 네트웍(N)를 통해 케리코인 수취자의 단말장치(12, 20)와 케리코인 관리서버(40) 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ROM(76)은 케리코인 송금자 단말장치(10)의 기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각종 프로그램 및 설정 데이터가 저장되며 케리코인 송금자 단말장치(10)의 기동시에 제어부(56)에 의해 리드아웃된다. RAM(78)은 ROM(76)으로부터 리드아웃된 각종 프로그램 등의 데이터가 저장된다.
케리코인 송금자 단말장치(10)는 사용자(고객)이 조작할 수 있는 정보 단말기로 컴퓨터, 휴대폰, 태블릿 피시 등을 포함한다.
케리코인 수취자의 단말장치(12, 20)의 구성은 블록생성부, 지갑 데이터 및 블록체인이 구비되어 있지 않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케리코인 송금자 단말장치(10)와 동일함으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케리코인 관리 서버 및 고객 단말장치를 포함하는 결제시스템의 개요도이다.
도 7를 보면, 케리코인 관리 서버(40) 및 고객 단말장치(10)를 포함하는 결제 시스템의 개요와 함께 지갑 활성화 처리의 일례를 보여주고 있다.
케리코인 관리 서버(40)와 고객 단말장치(10)은 인터넷 등의 정보 통신회선을 통해 연결되어 상호 정보의 송·수신이 가능하다.
케리코인 관리 서버(40)는 지갑을 관리하는 시스템(플랫폼) 운영자에 의해 운용된다. 고객 단말장치(10)는 지갑을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user,고객)에 의해 소유되는 단말장치이다. 케리코인 관리 서버(40)는 지갑 데이터베이스(50)을 갖추고 있다. 지갑 데이터베이스(50)에는 케리코인을 보관하는 지갑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지갑 데이터베이스(50)에는 이미 활성화된 지갑 외에 아직 활성화되지 않은 비활성 지갑도 다수 저장되어 있다. 지갑에 관련한 정보는, 예를 들면 카드(55)에 인쇄되어 있다. 이 카드(55)는 케리코인 거래 관리 플랫폼(1)의 운영자가 발행한 것으로 케리코인 수량 및 지갑 관련 정보가 기재되어 있다.
제휴 숍(20)은 사용자(user,고객)가 구매 상품 결제시 결제수단으로 케리코인을 사용하면 할인을 받으므로, 케리코인 관리 서버(40)내에 지갑이 없는 사용자(user,고객)는 먼저 제휴 숍(20)에서 카드(55)을 구매한다. 카드(55)에 기재된 케리코인 수량과 대응가인 원화통화로 결제한다. 그리고 사용자(user,고객)는 구매한 카드(55)의 지갑 관련 정보를 후술하는 고객 단말장치(10)와 케리코인 관리 서버(40)와의 데이터 송·수신으로 비활성 지갑을 케리코인 관리 서버(40)에서 관리하며 사용자(user,고객) 개인이 소유하는 활성화된 지갑이 된다.
그리고 사용자(user,고객)가 플랫폼(1) 운영자가 제공하는 증강현실 게임아이템의 미션 종료로 얻은 적립된 포인트는 후술하는 고객 단말장치(10)와 케리코인 관리서버(40) 와의 데이터 송·수신 프로세스중에 사용자 개인 메일 주소에 대응되는 지갑으로 적립된 포인트에 상응하는 수량의 케리코인이 플랫폼(1) 운영자의 지갑에서 사용자(고객) 지갑으로 입금된다.
사용자(user,고객)가 제휴 숍(20)에서 구매한 상품을 카트에 넣고 숍 판매 시스템(20)의 계산대 앞으로 가면, 제휴 숍의 결제 단말기에 QR(quick response) 코드가 표시된다. 사용자(user,고객)가 단말장치(10)로 이 QR 코드를 촬상하면 고객 단말장치(10)의 표시부(64)에 제휴 숍의 단말장치(20)의 식별 정보(이메일 주소, 전화번호, 이름) 와 결제 금액(케리코인 수량이 표기됨)이 표시된다. 사용자(user,고객)가 고객 단말장치(10)에서 상술한 식별 정보 와 결제금액에 대해서 네트웍(N)을 통해 케리코인 관리 서버(40)로 송금 지시를 한다.
사용자(고객)로부터의 지시를 받은 케리코인 관리서버(40)의 지갑관리 제어부(34)는 케리코인 관리서버(40)내에 활성화 지갑인 제휴 숍 단말장치(20)의 지갑으로 케리코인을 입금한다.
그리고 케리코인 거래 관리 플랫폼에 제휴 숍(20)이 입점하게 힘쓰고 제휴 숍의 마케팅을 지원 관리하는 에이전시(12)에게 결제금액의 일정률에 해당되는 수량의 케리코인을 에이전시 거래수수료로 플랫폼(1) 운영자의 지갑에서 에이전시 지갑으로 입금된다.
카드(55)의 뒷면에는 지갑 고유의 지갑 ID(identifier)((식별 정보), 지갑 활성화 처리시의 인증에 사용되는 액세스 코드, 케리코인의 잔액 확인 및 입출금 처리시 지갑에 액세스(access)하기 위한 지갑 주소 및 케리코인의 송금 처리시의 인증에 사용되는 비밀 키가 인쇄되어 있다. 또한 액세스 코드, 지갑 주소 및 비밀 키는 스크래치 인쇄되어 있으며, 문자위에 도포된 실버 잉크를 제거하지 않으면 볼 수 없도록 되어 있다. 또한 카드(55)의 뒷면에는 지갑의 활성화 처리를 위한 웹 페이지 URL(uniform resource locator)를 인쇄해 놓고 있다. 또한 카드(55)의 표면에는 지갑을 활성화했을 때 얻을 수 있는 케리코인의 수량이 인쇄된다. 고객은 카드(55)에 인쇄된 케리코인의 수량에 대응되는 원화통화로 결제하여 카드를 구매한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객 단말장치(10)가 지갑의 활성화를 위한 웹 페이지에 액세스하면 케리코인 관리서버(40)가 고객 단말장치(10)의 표시부(64)에 소정의 입력 폼(61)을 표시한다. 이 입력 폼(61)은 사용자 개인의 메일 주소, 카드(55)에 인쇄된 지갑 ID와 액세스 코드를 입력해야 한다. 입력 폼(61)을 통해 입력된 각종 정보를 고객 단말장치(10)로부터 케리코인 관리 서버(40)에 전송된다. 케리코인 관리 서버(40)는 고객 단말장치(1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의 이메일 주소로 인증 메일을 보낸다. 인증 메일에는 지갑의 활성화를 위한 웹 페이지의 URL이 포함되어 있으며, 사용자(고객)가 해당 URL에 액세스하면 해당 사용자의 이메일 주소가 지갑 ID 등과 관련하여 지갑 데이터베이스(50)에 등록된다. 이렇게 하면 비활성 지갑에 이메일 주소가 할당되고, 그 지갑을 활성화한다. 그 후, 케리코인 관리 서버(40)는 활성화된 지갑에 카드(55)에 기재된 수량의 케리코인을 입금한다. 이렇게 하면 사용자는 활성화된 지갑에서 케리코인을 송금하거나 또는 그 지갑에 케리코인 입금을 받을 수 있다. 또한, 케리코인의 송금시에는 지갑 고유의 비밀 키의 입력이 요구된다.
도 8은 케리코인 관리 서버(40) 및 고객 단말장치(10)의 기능 블록도를 보여준다. 케리코인 관리서버(40)는 지갑 데이터베이스(50), 지갑관리제어부(34) 및 통신부(44)를 구비한다. 또한, 도 9에는 지갑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된 각종 테이블의 데이터 구조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지갑 데이터베이스(50)는 지갑에 대한 정보와 각 지갑 잔액 및 각 지갑의 입출금 내역에 관한 데이터베이스이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갑 데이터베이스(50)에는 예를 들면, 지갑 테이블, 잔액 테이블 및 트랜잭션 테이블이 포함된다. 지갑 테이블은 지갑에 대한 마스터 정보를 기억하고 있다. 지갑 테이블을 예를 들면, 지갑 ID 항목을 기본 키로 액세스 코드 항목, 지갑 주소 항목, 비밀 키 항목 및 이메일 주소 항목이 있다. 지갑 ID 항목에 각 지갑 고유의 지갑 ID가 등록된다. 액세스 코드 항목에는 각 지갑의 활성화 처리의 인증에 필요한 액세스 코드가 등록된다. 지갑 주소는 지갑에 대해 케리코인의 잔액확인 및 입출금 처리시 지갑에 액세스할 수 있는 주소(URL, uniform resource locator)가 등록된다. 비밀 키 항목은 지갑에 대해 케리코인의 송금 처리 인증에 필요한 비밀 키가 등록된다. 이메일 주소 항목에는 각 지갑을 소유하는 사용자(user,고객)의 이메일 주소가 등록된다. 비활성지갑에 관하여는 이메일 주소가 미등록이며, 이메일 주소가 등록되어 처음으로 지갑이 사용 가능한 상태가 된다. 트랜잭션 테이블은 각 지갑의 입출금 내역을 기록하고 있다. 트랜잭션 테이블은 지갑 ID 항목을 기본 키로 입출금 날짜 항목, 거래처 항목 및 입출금액 항목을 가지고 있다. 입출금 날짜 항목에는 각 지갑에 입금 된 날짜 또는 각 지갑에서 인출한 날짜가 등록된다. 거래처 항목에는 각 지갑에 입금자 또는 각 지갑에서 수신처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다. 입출 금액 항목에는 각 지갑에 입금된 금액 또는 각 지갑에서 인출된 금액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다. 케리코인 관리서버(40)의 지갑관리 제어부(34)는 지갑의 활성화와 케리코인의 거래(입출금) 등 전체 시스템의 운영 처리를 한다. 지갑관리 제어부(34)는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지갑관리 제어부(34)는 메모리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리드아웃(read out)하여 이 프로그램에 따라 다른 요소를 제어한다. 지갑관리 제어부(34)는 프로그램에 따라 연산 결과를 메모리에 적절히 쓰거나 읽거나 할 수 있다. 케리코인 관리서버(40)의 지갑관리 제어부(34)는 프로그램에 따라 지갑 생성부(34a), 활성화부(34b) 및 트랜잭션부(34c)로 기능 역할을 한다. 케리코인 관리서버(40)의 통신부(44)는 지갑관리 제어부(34)에 의한 제어에 따라 인터넷을 통해 고객 단말장치(10)사이에서 정보를 송·수신한다.
기본적으로, 케리코인 관리서버(40)는 통신부(44)를 통해 고객 단말장치(10)의 웹 브라우저, 전용 앱 등으로 지갑의 활성화에 필요한 입력 폼(61)을 제공한다.
도 10은 지갑의 활성화 처리의 일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먼저 케리코인 관리서버(40)의 지갑 생성부(34a)는 비활성 지갑을 미리 복수개 생성해 둔다 (단계 S1). 구체적으로는 지갑 생성부 (34a)는 1개의 지갑에 고유의 지갑 ID, 액세스 코드, 지갑 주소, 비밀 키를 새것으로 할당하여 이 정보들을 지갑 데이터베이스(50)의 지갑 테이블에 등록한다. 비활성 지갑은 지갑 테이블에 이메일 주소 항목이 등록이 안된 상태로 케리코인 관리서버(40)에서는 이런 소유자가 미확정 상태인 지갑을 미리 복수 개 생성해 둔다.
비활성 지갑에 관련된 정보는 인쇄된 카드(55)에 기재된다.
즉, 각각의 카드(55a, 55b, ..55n)에는 지갑 생성부(34a)에 의해 할당된 지갑 ID, 액세스 코드, 지갑 주소 및 비밀 키가 인쇄된다. 액세스 코드, 지갑 주소 및 비밀 키에 대해서는 스크래치 인쇄가 되어 있고 그것을 구입한 사용자 외에는 알려지지 않게 숨겨져 있다.
카드(55)를 구입 또는 취득한 사용자는 고객 단말장치(10)를 이용하여 지갑의 활성화를 위하여 웹 사이트에 액세스하는 단계 (S2). 웹 사이트에 대한 액세스 정보(URL)는 카드(55)에 기재되어 있음으로 사용자(카드 구매자)는 그것을 확인하면 된다. 고객 단말장치(10)가 웹 사이트에 액세스하면, 케리코인 관리서버(4)로부터 고객 단말장치(10)에 대해 필요사항 입력 폼(61)이 제공된다. 이어서, 사용자(카드 구매자)는 고객 단말장치(10)의 표시부(64)에 표시되는 입력 폼(61)의 안내에 따라 고객 자신의 메일 주소와 카드(55)에 기재되어있는 지갑 ID 및 액세스 코드를 고객 단말장치(10)에서 입력한다(스텝 S3 ). 고객 단말장치(10)는 사용자(고객)가 입력한 이메일 주소, 지갑 ID 및 액세스 코드를 케리코인 관리서버(40)에 전송한다.
케리코인 관리서버(40)의 활성화부(34a)는 고객 단말장치(10)로부터 상기 정보를 수신하면 액세스 코드 인증처리를 수행한다(단계 S4).
즉, 활성화부(34a)는 고객 단말장치(10)로부터 받은 지갑 ID 및 액세스 코드의 대응관계가 지갑 데이터베이스(50)의 지갑 테이블에 등록되어 있는 것과 일치 여부를 확인한다.
액세스 코드의 인증이 완료되면 활성화부(34a)는 고객 단말장치(10)로부터 수신한 이메일 주소로 이메일 인증용 웹 페이지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이 포함된 이메일을 전송한다(단계 S5). 사용자는 고객 단말장치(10)에서 케리코인 관리서버(40)로부터의 메일을 확인하고 거기에 기재되어있는 URL에 액세스한다(스텝 S6). 지정 URL에 대한 액세스가 확인된 경우, 활성화부(34a)은 상기 이메일을 발송한 메일 주소가 진정한 것이라고 판단하고 이메일 주소를 지갑 데이터베이스(50)에 등록한다(단계 S7).
즉, 사용자(고객)의 이용 신청이 있던 지갑 ID와 이메일 주소를 지갑 데이터베이스(50)의 지갑 테이블에 등록한다. 그러면 그 지갑 ID에 관한 지갑이 해당 이메일 주소를 소유하는 사용자(고객)의 것이 된다. 그 후, 활성화 부(34a)는 이메일 주소에 관련된 지갑을 활성화시킨다(단계 S8). 이렇게 하면 사용자는 지갑을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게 되며 그 지갑에 케리코인을 입금하거나 또는 지갑에서 케리코인을 송금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 지갑의 활성화처리가 완료되면 케리코인 관리서버(40)의 트랜잭션부(34c)는 판매 금액(원화통화)에 상응하는 소정 수량의 케리코인을 사용자의 지갑에 입금한다(단계 S9).
트랜잭션부(34c)는 소정의 지갑으로 입금 처리한 경우 지갑 데이터베이스(50)의 잔액 테이블의 잔액값을 갱신함과 동시에, 그 입금 날짜와 입금자, 입금액 등의 값을 트랜잭션 테이블에 등록한다. 다음, 지갑에서 케리코인을 인출한 경우도 마찬가지로, 트랜잭션부(34c)는 잔액 테이블의 잔액 값을 업데이트함과 동시에 그 출금 날짜 및 송금처, 출금액 등을 트랜잭션 테이블에 등록한다. 또한, 케리코인의 인출시에는 트랜잭션부(34c)는 송금처의 지갑 ID 또는 지갑 주소를 고객 단말장치(10)에 입력하는 것을 사용자(고객)에게 요청한다. 또한 송금 처리 인증을 수행하기 위해 트랜잭션부(34c)는 송금처의 지갑 ID와 비밀 키의 입력을 요구하고, 입력된 지갑 ID와 비밀 키의 대응 관계가 지갑 테이블에 등록되어 있는 것과 일치하는지 확인한다. 상기와 같이 사용자(고객)는 카드(55)를 사용할 때 자신의 메일 주소를 등록하는 것만으로 지갑을 활성화시켜 쉽게 케리코인의 이용을 개시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으로,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한 것이다.
1 : 케리코인 거래관리 플랫폼 10 : 단말장치 (고객, 사용자),이용자
12 : 단말장치 (에이전시), 수취자의 단말장치
18, 18a, 18b, ,,,18n : 복수 개의 단말장치(노드)
20 : 판매 시스템(제휴 숍), 수취자의 단말장치, 제휴 숍 단말장치
26 : 제어부 (케리코인 관리서버) 28 : 기록장치
30 : 증강현실 게임 서버 34 : 지갑관리 제어부
34a : 지갑생성부 34b : 활성화부
34c : 트랜잭션부 36 : 수취자측 인증부
38 : 블록생성부 (케리코인 관리서버) 40 : 케리코인 관리서버
44 : 통신부 (케리코인 관리서버) 46 : ROM (케리코인 관리서버)
48 : RAM (케리코인 관리서버) 50 : 지갑 데이터베이스
52 : 거래 데이터베이스 54 : 블록체인 (케리코인 관리서버)
55, 55a, 55b, ..55n : 카드 56 : 제어부 (고객 단말장치)
58 : 기록장치 (고객 단말장치) 61 : 입력 폼 (고객 단말장치)
62 : 입력부 (고객 단말장치) 64 : 표시부, 출력부 (고객 단말장치)
66 : 통신부 (고객 단말장치) 68 : 블록생성부 (고객 단말장치)
70 : 지갑데이터 (고객 단말장치) 74 : 블록체인 (고객 단말장치)
76 : ROM (고객 단말장치) 78 : RAM (고객 단말장치)
N : 네트웍

Claims (4)

  1. 고객의 단말장치와 에이전시 단말장치 및 제휴 숍의 판매 시스템에 각각 네트웍에 연결되며 고객이 상기 제휴 숍에서 케리코인으로 상품 결제시 할인해주는 블록체인 기반 케리코인 거래 관리 플랫폼에 있어서,
    상기 케리코인 거래 관리 플랫폼은 증강현실 게임 서버, 케리코인 관리서버를 구비하되,
    상기 고객이 고객 단말장치의 표시부에 증강현실 게임아이템 앱을 띄어 상기 제휴 숍에 지근거리로 이동하면 상기 게임아이템이 출몰하고 상기 고객이 터치 조작으로 게임 미션을 종료하면 보상으로 첫 번째 포인트가 적립되고 상기 고객이 상기 제휴 숍에 들어가면 추가로 상기 게임아이템이 출몰하여 상기 고객의 게임 미션 종료 여부에 따라 보상으로 두 번째 포인트의 적립 여부가 결정되되,
    상기 고객이 상기 제휴 숍에서 구매한 상품의 결제시 먼저 상기 케리코인 거래 관리 플랫폼의 운영자가 발행한 케리코인 수량 및 지갑 관련 정보가 기재된 카드를 원화통화로 구매하고 상기 카드의 지갑 관련 정보를 상기 고객 단말장치와 상기 케리코인 관리서버 와의 데이터 송·수신으로 상기 케리코인 관리서버에서 관리하는 활성화된 고객 지갑으로 만들되, 아울러
    상기 케리코인 관리서버의 지갑 생성부는 비활성 지갑을 미리 복수개 생성해두는 단계;
    상기 고객이 상기 고객 단말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비활성 지갑의 활성화를 위하여 웹사이트에 액세스하는 단계;
    상기 고객이 상기 비활성 지갑의 ID 및 액세스 코드를 상기 고객 단말장치에서 입력하는 단계;
    상기 케리코인 관리서버의 활성화부는 상기 고객 단말장치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수신하여 액세스 코드 인증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케리코인 관리서버의 상기 활성화부는 이메일 인증용 웹페이지의 URL이 포함된 이메일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고객이 상기 URL에 액세스가 확인되면 상기 활성화부는 상기 고객의 이메일 주소를 지갑 데이터 베이스에 등록하는 단계;
    상기 활성화부는 상기 이메일 주소의 상기 비활성 지갑을 활성화시키는 단계;
    상기 케리코인 관리서버의 트랜잭션부는 상기 원화통화에 상응하는 상기 케리코인 수량을 상기 활성화된 고객 지갑에 입금하는 단계;
    를 포함하면서,
    상기 보상으로 적립된 포인트도 상기 데이터 송·수신으로 상기 포인트에 상응하는 수량의 케리코인이 상기 운영자의 지갑에서 상기 고객 지갑으로 입금되며, 그리고 상기 제휴 숍에서 상기 상품의 결제시 상기 고객 지갑으로 거래하면 상기 제휴 숍의 시스템의 결제 단말기에 표시된 QR 코드를 상기 고객 단말장치가 읽고 상기 고객 단말장치에 표시된 송금처, 송금액을 확인한 후 상기 고객이 송금 지시하며 에이전시 지갑으로 결제금액의 일정률에 해당되는 수량의 상기 케리코인을 에이전시 거래수수료로 송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 케리코인 거래 관리 플랫폼.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200145191A 2020-11-03 2020-11-03 블록체인 기반 케리코인 거래 관리 플랫폼 KR1024834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5191A KR102483486B1 (ko) 2020-11-03 2020-11-03 블록체인 기반 케리코인 거래 관리 플랫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5191A KR102483486B1 (ko) 2020-11-03 2020-11-03 블록체인 기반 케리코인 거래 관리 플랫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9694A KR20220059694A (ko) 2022-05-10
KR102483486B1 true KR102483486B1 (ko) 2022-12-30

Family

ID=81592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5191A KR102483486B1 (ko) 2020-11-03 2020-11-03 블록체인 기반 케리코인 거래 관리 플랫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348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9726B1 (ko) * 2016-08-19 2017-07-20 박주환 위치정보 기반의 증강현실을 활용한 이벤트 마켓팅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3894B1 (ko) 2017-04-25 2020-05-29 주식회사 모아플래닛 암호화폐를 이용한 할인 적립금 지급 방법, 플랫폼 서버 및 시스템
KR102099556B1 (ko) * 2017-10-19 2020-04-09 이정윤 실시간 암호화 화폐 환율 조회를 이용한 암호화 화폐 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90141396A (ko) 2018-06-14 2019-12-24 주식회사 라페어리 암호화폐를 기반으로 하는 투자 상품 거래 플랫폼 및 그 방법
KR102082625B1 (ko) 2019-06-30 2020-02-27 주식회사 티월드글로벌 암호화폐를 이용한 결제 및 보상 방법
KR102293877B1 (ko) * 2018-11-26 2021-08-26 (주)아라커뮤니케이션즈 블록체인 기반 관광 이벤트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94407A (ko) 2019-01-30 2020-08-07 주식회사 하나은행 지역화폐 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9726B1 (ko) * 2016-08-19 2017-07-20 박주환 위치정보 기반의 증강현실을 활용한 이벤트 마켓팅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9694A (ko) 2022-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114584A1 (en) Apparatus and methods to define and use bearer tokens, certified tokens and applications using bearer tokens and certified tokens
US2018017412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llaborative shopping
EP3574464B1 (en) Computer implemented method and system
US11443301B1 (en) Sending secure proxy elements with mobile wallets
JP2019506075A (ja) ブロックチェーンベースのトークナイゼーションを用いた交換
JP2019506074A (ja) ブロックチェーンを使用してピアツーピア分散型台帳におけるエンティティを効率的な移転の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6404435B1 (ja) アイテム取引システム及びアイテム取引プログラム
WO2022076800A1 (en) Apparatus and methods to instantiate and transact nfts using atomic instructions without smart contracts
JP2019079502A (ja) アイテム取引システム及びアイテム取引プログラム
US20230298001A1 (en) Non-fungible token (nft) purchase and transfer system
US20110208615A1 (en)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and Marketing Authentic Virtual Memorabilia
CN117616410A (zh) 计算机分片环境中的多方计算
Lisi et al. Practical application and evaluation of atomic swaps for blockchain-based recommender systems
KR20200119671A (ko) 디지털 컨텐츠의 이용 권리 증서를 발행 수량 만큼 유통시키는 방법,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서버,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Baker Trustless property systems and anarchy: How trustless transfer technology will shape the future of property exchange
Kehrli Blockchain explained
JP6434086B1 (ja) ランダム仲介手数料設定機能を有する不動産仲介システム、不動産仲介方法、及び不動産仲介プログラム
US20110208655A1 (en)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And Marketing Authentic Virtual Memorabilia
KR102483486B1 (ko) 블록체인 기반 케리코인 거래 관리 플랫폼
Chen et al. Secure OTT service scheme based on blockchain technology
Pushpalatha et al. A trustworthy decentralized Onkart ecommerce platform based on blockchain technology
CN115965458A (zh) 生成标记化的信誉分数
JP7349689B1 (ja) 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US20220414726A1 (en) Blockchain-based permissions ledger for metaverse implementation
US20230360029A1 (en) Non-fungible tokens for stadium seats and ticke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