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3454B1 - 터치패널을 이용한 자동 제어형 원통 연마기 - Google Patents

터치패널을 이용한 자동 제어형 원통 연마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3454B1
KR102483454B1 KR1020220030182A KR20220030182A KR102483454B1 KR 102483454 B1 KR102483454 B1 KR 102483454B1 KR 1020220030182 A KR1020220030182 A KR 1020220030182A KR 20220030182 A KR20220030182 A KR 20220030182A KR 102483454 B1 KR102483454 B1 KR 1024834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xis
axis servomotor
speed
servomotor
cylindrical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01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준
Original Assignee
이재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준 filed Critical 이재준
Priority to KR10202200301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34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34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34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5/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surfaces of revolution on work, including those which also grind adjacent plane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 B24B5/02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surfaces of revolution on work, including those which also grind adjacent plane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involving centres or chucks for holding work
    • B24B5/04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surfaces of revolution on work, including those which also grind adjacent plane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involving centres or chucks for holding work for grinding cylindrical surfaces extern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1/00Component parts such as frames, beds, carriages, headstocks
    • B24B41/02Frames; Beds; Carri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7/00Drives or gearings; Equipment therefor
    • B24B47/02Drives or gearings; Equipment therefor for performing a reciprocating movement of carriages or work- t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5/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surfaces of revolution on work, including those which also grind adjacent plane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 B24B5/36Single-purpose machines or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stituent Portions Of Griding Lathes, Driving, Sensing And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직경이 일정한 원통체 또는 직경이 다양한 다단 원통체를 고정하는 클램핑유닛과, 연마공구(숯돌)를 고속 회전시키는 공구테이블을 X-Y축으로 상대 이동시키면서 원통체의 표면을 연마하는 원통 연마기에 있어서, 연마공구(숯돌)를 고속 회전시키는 공구테이블의 상대 이동 거리와 방향, 속도, 가공 정도(가공치수 및 절입량) 등의 가동 정보를 작업자가 터치패널을 통해 용이하게 입력하고, 입력된 가공 정보에 따라 공구테이블이 X축 서보모터 및 Y축 서보모터에 의해 자동으로 X-Y축으로 이동하면서 원통체를 정밀하고 신속하게 연마 가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취급성과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 제어형 원통 연마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터치패널을 이용한 자동 제어형 원통 연마기{Cylinder Grinding Machi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원통체를 연마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직경이 일정한 원통체 또는 직경이 다양한 다단 원통체를 고정하는 클램핑유닛과, 연마공구(숯돌)를 고속 회전시키는 공구테이블을 X-Y축으로 상대 이동시키면서 원통체의 표면을 연마하는 원통 연마기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유닛과 공구테이블의 상대 이동 거리와 방향, 속도, 가공 정도 등의 정보를 작업자가 터치패널을 통해 입력하면, 입력된 정보에 따라 공구테이블이 자동으로 동작하여 원통체를 연마 가공할 수 있도록 한 터치패널을 이용한 원통 연마기의 제어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기계가공품의 고정밀화 추세에 따라 연삭가공 기술도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절삭가공 기계들은 고속화, 고정밀화, 고능률화 추세에 있으며, 이러한 제품의 고정밀화 등의 요구에 맞춰 고정밀 연삭가공의 수요가 늘어나고 있으며 이에 덧붙여 높은 생산성과 고품질의 연삭 표면 연마도 요구하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에서도 이에 따라 고정밀화, 고능률화 기계가공품들이 생산되어짐으로 인해 연마/연삭기 산업이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현재 국내 소상공인들의 원통 연마작업의 90%를 범용인 원통연마기를 사용하여 진행하고 있다. 즉 국내 소상공인들은 원통 연마 작업시 CNC(Computerized Numerical Control)가 아닌 범용 수동 연마기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고정밀도 제품의 경우 직진도, 정밀도가 1/100 ~ 2/100 mm, 표면 거칠기 S 32, S 08 등인데 이를 수동연마기로 처리하기 어려움이 많았다.
또한 열처리 제품의 경우, CNC 범용 선반에서 가공이 끝나고 열처리(침탄, 고주파 등)하면 변형 제품마다 연마기에 클램프할 때 숙련된 작업자가 아날로그식으로 1:1 수정클램핑과 핸들을 돌려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소량 다품종 제품이 75 ~ 80% 차지하는 현실에서 CNC 연마기는 프로그램 전문가만 할 수 있고, 디지털화 프로그램 작업시간 또한 많이 소요된다.
따라서 원통연마기 시장의 90% 이상인 수동 연마기를 아날로그에서 디지털로 바꿔 원통연마기 시장의 혁신적 변화를 일으키고, 일반인들도 짧은 시간 교육을 통해 구동할 수 있는 새로운 디지털 제품이 필요하게 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95679호
본 발명은 연마공구(숯돌)를 고속 회전시키는 공구테이블의 상대 이동 거리와 방향, 속도, 가공 정도(가공치수 및 절입량) 등의 가공 정보를 작업자가 터치패널을 통해 용이하게 입력하고, 입력된 가공 정보에 따라 공구테이블이 자동으로 X-Y축으로 이동하여 원통체를 정밀하고 신속하게 연마 가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취급성과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 제어형 원통 연마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원통 연마기의 제어장치는, 가공 대상 원통체의 양단부를 고정하는 클램핑유닛; 상기 원통체의 표면을 연마시키기 위한 연마공구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공구테이블; 상기 공구테이블을 좌우방향(X축 방향)으로 소정의 속도와 위치로 수평 이동시키는 X축 서보모터와, 상기 공구테이블을 전후방향(Y축 방향)으로 소정의 속도와 위치로 수평 이동시키는 Y축 서보모터와, 상기 X축 서보모터 및 Y축 서보모터의 동력을 공구테이블로 전달하여 공구테이블을 각각 X축 방향과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X축 선형운동장치 및 Y축 선형운동장치를 포함하는 테이블구동부; 상기 공구테이블 및 테이블구동부를 전후방향으로 일정 거리 전후진 이동시키는 유압실린더; 가공 대상 원통체에 수행될 가공 방법, 공구테이블의 작업 원점 위치 및 속도, 가공방법에 따른 공구테이블의 Y축 방향 작업 위치와 속도, X축 방향 작업 위치와 속도, 원통체의 가공 정도를 포함하는 가공 작업 정보를 입력하고 입력된 가공 작업 정보를 출력하는 터치패널과, 상기 X축 서보모터 또는 Y축 서보모터의 수동 운전 및 자동 운전을 선택하는 운전모드선택부와, 유압실린더의 작동을 선택하는 실린더작동선택부와, 상기 X축 서보모터와 Y축 서보모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원통체의 자동 가공 작업을 지시하는 자동운전선택부, 상기 연마공구의 가공 방향을 설정하는 가공방법선택부를 포함하는 정보입출력모듈; 및, 상기 정보입출력모듈에 입력된 가공 작업 정보에 따라 상기 X축 서보모터와 Y축 서보모터 및 유압실린더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제어형 원통 연마기는,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사람의 누름 조작 또는 회전 조작에 의해 상기 X축 서보모터 또는 Y축 서보모터를 작동시키는 제어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인가하는 회로기판과, 상기 회로기판을 수용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부면에 설치되어 사람의 누름 조작에 의해 상기 회로기판을 통해 X축 서보모터 또는 Y축 서보모터의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복수의 라피드버튼과 사람의 회전 조작에 의해 상기 회로기판을 통해 X축 서보모터 또는 Y축 서보모터의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조그핸들을 구비한 셋팅조작패널을 포함하는 수동셋팅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셋팅조작패널에 상기 라피드버튼에 의한 속도 제어와 조그핸들에 의한 속도 제어를 선택하기 위한 라피드/조그핸들 선택스위치와, 조그핸들을 이용한 제어 방법을 선택 시 조그핸들의 회전량(회전 각도)에 따른 X축 및 Y축 속도를 설정하는 속도설정스위치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라피드버튼에 의해 제어되는 X축 서보모터 및 Y축 서보모터의 속도는 조그핸들의 제어에 의한 X축 서보모터 및 Y축 서보모터의 속도보다 상대적으로 빠르게 설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한 형태에 따른 자동 제어형 원통 연마기는, 상기 연마기 본체의 전방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테이블구동부의 X축 선형운동장치 및 Y축 선형운동장치와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X축 서보모터 및 Y축 서보모터가 작동하지 않을 때 작업자의 회전 조작에 의해 X축 선형운동장치 및 Y축 선형운동장치를 각각 작동시키는 X축 수동핸들 및 Y축 수동핸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정보입출력모듈의 터치패널을 통해 가공 모드 별로 필요한 가공 정보를 입력하고 자동 운전을 시작하면, 제어부에 미리 저장된 자동 프로그램에 의해 X축 서보모터 및 Y축 서보모터가 지정된 위치와 속도로 이동하면서 클램핑유닛에 고정된 원통체를 설정된 치수와 형태로 정밀하고 신속하게 가공할 수 있다.
일반적인 CNC 선반에서 가공 대상물을 자동으로 가공하기 위해서는 전문 기술자가 가공 치수와 공구 및 가공 대상물 간의 상대 위치 및 속도 등을 제어하는 전문적인 가공 프로그램을 직접 작성하고, 이를 CNC 선반의 컴퓨터 또는 제어장치에 입력하여 자동 가공 작업을 실시하므로 고도로 숙련된 전문 기술자만이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원통 연마기는 정보입출력모듈의 터치패널에서 제공되는 화면을 통해 필수 가공 치수 정보를 간편하게 입력하고, 정보입출력모듈에 구비된 누름식 버튼이나 회전식 노브(knob)로 된 여러가지 스위치를 이용하여 원통 연마기의 X축 서보모터와 Y축 서보모터를 자동으로 작동시켜 가공 대상 원통체를 정확한 치수와 형태로 신속하고 용이하게 가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원통 연마기는 정보입출력모듈과는 독립적으로 제어부에 연결된 수동셋팅모듈을 이용하여 X축 서보모터 및 Y축 서보모터를 작동시켜 기계원점과 가공 작업 원점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셋팅할 수 있으므로, 정확도와 편의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통 연마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통 연마기의 제어를 위한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통 연마기의 X축 방향 구동을 위한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통 연마기의 Y축 방향 구동을 위한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원통 연마기를 구성하는 정보입출력모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원통 연마기를 구성하는 수동셋팅모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원통 연마기의 터치패널에서 출력되는 화면들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 7a는 기본 화면,
도 7b는 메인화면,
도 7c는 후렌지 가공 모드의 화면,
도 7d는 트레버스 가공 모드의 화면,
도 7e는 측면 가공 모드의 화면,
도 7f는 서보알람발생화면을 각각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원통 연마기에서 수행되는 원통체의 트레버스 2단 가공 순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원통 연마기의 터치패널에서 출력되는 화면 중 내경 트레버스 가공을 선택하여 셋팅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원통 연마기의 터치패널에서 출력되는 화면 중 드레싱 가공에 대한 화면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개시된 실시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개시된 실시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관련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단수인 것으로 특정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복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복수인 것으로 특정하지 않는 한, 단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할 수 있으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부"는 프로세서 및 메모리로 구현될 수 있다. 용어 "프로세서" 는 범용 프로세서, 중앙 처리 장치(CPU), 마이크로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상태 머신 등을 포함하도록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몇몇 환경에서는, "프로세서" 는 주문형 반도체(ASIC), 프로그램가능 로직 디바이스(PLD), 필드 프로그램가능 게이트 어레이(FPGA) 등을 지칭할 수도 있다. 용어 "프로세서"는, 예를 들어, DSP 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조합, DSP 코어와 결합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조합, 또는 임의의 다른 그러한 구성들의 조합과 같은 처리 디바이스들의 조합을 지칭할 수도 있다.
용어 "메모리" 는 전자 정보를 저장 가능한 임의의 전자 컴포넌트를 포함하도록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용어 메모리는 임의 액세스 메모리(RAM), 판독-전용 메모리(ROM), 비-휘발성 임의 액세스 메모리(NVRAM), 프로그램 가능 판독-전용 메모리(PROM), 소거-프로그램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EPROM), 전기적으로 소거가능 PROM(EEPROM), 플래쉬 메모리, 자기 또는 광학 데이터 저장장치, 레지스터들 등과 같은 프로세서-판독가능 매체의 다양한 유형들을 지칭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가 메모리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고/하거나 메모리에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면 메모리는 프로세서와 전자 통신 상태에 있다고 불린다. 프로세서에 집적된 메모리는 프로세서와 전자통신 상태에 있다.
본 명세서에서 구동부는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는 구성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구동부는 모터, 리니어모터, 전자 모터, DC모터, AC모터, 유압실린더, 공압실린더, 리니어 액추에이터, 전동 액추에이터 등의 회전운동 또는 직선 왕복 운동을 일으키는 동력발생장치와, 동력발생장치의 동력을 운동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로 전달하는 기어, 풀리, 벨트, 볼스크류, 스프로켓, 체인 등의 동력전달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7은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통 연마기 및 그 제어를 위한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통 연마기는 연마기 본체(10)와, 가공 대상 원통체(C)의 양단부를 고정하는 클램핑유닛(20), 원통체(C)의 표면을 연마시키기 위한 연마공구(31)(숯돌)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공구테이블(30), 공구테이블(30)을 연마기 본체(10)의 좌우방향(X축 방향) 및 전후방향(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테이블구동부, 공구테이블(30) 및 테이블구동부를 함께 전후방향으로 일정 거리 전후진 이동시키는 유압실린더(미도시), 가공을 위한 각종 정보를 입력 및 출력할 수 있는 터치패널(110)을 구비한 정보입출력모듈(100), 정보입출력모듈(100)에 입력된 가공 작업 정보에 따라 테이블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80) 및, 상기 제어부(80)와 전선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사람의 누름 조작 또는 회전 조작에 의해 상기 테이블구동부를 작동시켜 공구테이블(30)의 위치를 셋팅하는 수동셋팅모듈(200), 상기 연마기 본체(10)의 전방면에 상기 테이블구동부의 X축 선형운동장치 및 Y축 선형운동장치와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작업자의 회전 조작에 의해 X축 선형운동장치 및 Y축 선형운동장치를 각각 작동시키는 X축 수동핸들(50) 및 Y축 수동핸들(70)을 포함한다.
클램핑유닛(20)은 연마기 본체(10)에 고정되어 원통체(C)의 일단부를 고정하는 고정클램프부(21)와, 연마기 본체(10)에 좌우방향(X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원통체(C)의 다른 일단부를 고정하는 가동클램프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클램핑유닛(20)에 의해 가공대상 원통체(C)는 그 축방향이 연마기 본체(10)의 좌우방향으로 정렬되게 장착된다. 상기 고정클램프부(21) 또는 가동클램프부(22)에는 연마 가공 시에 원통체(C)를 그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공지의 스핀들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공구테이블(30)에는 원통체(C)를 연마 가공하기 위한 원형 디스크 형태의 연마공구(31)(숯돌)가 공구구동용 모터(미도시)에 의해 고속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공구테이블(30)은 테이블구동부의 X축 선형운동장치 및 Y축 선형운동장치에 결합되어 연마기 본체(10)의 좌우방향(X축 방향)과 및 전후방향(Y축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원통체(C)를 가공하는 작업을 진행한다.
상기 클램핑유닛(20) 및 공구테이블(30)은 통상의 원통 연마기에 구성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한 것을 적용할 수 있다.
테이블구동부는 공구테이블(30)을 연마기 본체(10)의 좌우방향(X축 방향) 및 전후방향(Y축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연마공구(31)를 가공을 위해 지정된 위치로 이동시키는 작용을 하도록 된 것이다. 테이블구동부는 공구테이블(30)을 좌우방향(X축 방향)으로 소정의 속도와 위치로 수평 이동시키는 X축 서보모터(40)와, 상기 공구테이블(30)을 전후방향(Y축 방향)으로 소정의 속도와 위치로 수평 이동시키는 Y축 서보모터(60)와, X축 서보모터(40) 및 Y축 서보모터(60)의 동력을 공구테이블(30)로 전달하여 공구테이블(30)을 각각 X축 방향과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X축 선형운동장치 및 Y축 선형운동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X축 서보모터(40) 및 Y축 서보모터(60)는 공구테이블(30)에 설치되는 X축 선형운동장치 및 Y축 선형운동장치와 직접 연결되거나 기어 또는 풀리, 벨트와 같은 동력전달장치를 매개로 연결되어 공구테이블(30)을 각각 X축 방향과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동력을 발생한다.
도 3에 도시한 것과 같이, X축 선형운동장치는, 연마기 본체(10)에 X축 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되는 X축 볼스크류(41)와, X축 볼스크류(41)의 회전에 의해 X축 볼스크류(41)의 축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공구테이블(30)과 결합되는 X축 너트부(42), 상기 X축 서보모터(40)와 X축 볼스크류(41) 사이에 설치되어 X축 서보모터(40)의 동력을 X축 볼스크류(41)로 전달하는 복수의 풀리(43)와 풀리(43)에 감겨져 회전력을 전달하는 타이밍벨트(44)를 포함하는 X축 동력전달기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X축 볼스크류(41)는 연마기 본체(10)의 전방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X축 수동핸들(50)의 중심축과 수동 동력전달기구를 통해 연결되어 X축 수동핸들(50)의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여기서 수동 동력전달기구는, X축 수동핸들(50)을 연마기 본체(10)의 전방면에 대해 전후진시키는 동작에 의해 분리 또는 연결되는 클러치(51)와, 상기 클러치(51)에 연결되는 클러치풀리(52)와, 상기 클러치풀리(52)에 타이밍벨트(53)를 매개로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받는 변환기입력풀리(54)와, 변환기입력풀리(54)에 의해 전달된 회전방향을 90도로 변환시키는 베벨기어 등을 적용한 운동방향변환기(55)와, 운동방향변환기(55)의 출력축에 연결되는 변환기출력풀리(56)와, 상기 변환기출력풀리(56)와 X축 볼스크류(41)에 결합된 스크류풀리(58)를 연결하는 타이밍벨트(57)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X축 서보모터(40)를 사용한 자동 연마 작동을 수행하지 않을 때 X축 서보모터(40)를 정지시킨 상태에서 작업자가 X축 수동핸들(50)의 너트(50a)를 이용하여 X축 수동핸들(50)을 후진시켜 클러치(51)를 결합한 후 X축 수동핸들(50)을 돌리면, 클러치(51)와 운동방향변환기(55)를 통해 X축 볼스크류(41)에 회전력이 전달되어 공구테이블(30)을 수동으로 X축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것과 같이, Y축 선형운동장치는, 연마기 본체(10)에 Y축 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되는 Y축 볼스크류(61)와, Y축 볼스크류(61)의 회전에 의해 Y축 볼스크류(61)의 축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공구테이블(30)과 결합되는 Y축 너트부(62), 상기 Y축 서보모터(60)와 Y축 볼스크류(61) 사이에서 Y축 볼스크류(61)와 나란하게 설치되는 동력전달샤프트(63), Y축 서보모터(60)의 동력을 동력전달샤프트(63)로 전달하기 위한 복수의 풀리(64)와 풀리(64)에 감겨진 타이밍벨트(65)와 복수의 동력전달기어(66)를 포함하는 Y축 동력전달기구를 포함한다.
상기 동력전달샤프트(63)의 전단부는 연마기 본체(10)의 전방면에 탈착되는 Y축 수동핸들(70)과 수동작동기어(71)를 통해 연결되어, Y축 서보모터(60)를 사용한 자동 연마 작동을 수행하지 않을 때 작업자가 Y축 수동핸들(70)을 돌리면, 수동작동기어(71)와 동력전달샤프트(63) 및 동력전달기어(66)를 통해 Y축 볼스크류(61)에 회전력을 전달하여 공구테이블(30)을 수동으로 Y축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원통 연마기는 테이블구동부의 X축 서보모터(40)와 Y축 서보모터(60)를 이용한 자동 연마 가공이 가능함과 더불어, X축 서보모터(40)와 Y축 서보모터(60)를 정지시킨 상태에서 X축 수동핸들(50) 및 Y축 수동핸들(70)을 통한 수동 연마 가공도 가능한 이점을 갖고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정보입출력모듈(100)은 연마기 본체(10)의 일측에 구비되며, 작업자가 원통체(C)의 연마 가공에 필요한 연마 가공 종류 및 가공 치수 및 속도 등의 가공 작업 정보를 화면을 통해 직접 입력하고 입력된 정보를 가시적으로 출력하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터치패널(110)을 포함한다.
또한 정보입출력모듈(100)은 상기 X축 서보모터(40) 또는 Y축 서보모터(60)의 수동 운전 및 자동 운전을 선택하는 운전모드선택부(120)와, 유압실린더(미도시)의 작동을 선택하는 실린더작동선택부(130)와, 상기 X축 서보모터(40)와 Y축 서보모터(6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원통체의 자동 가공 작업을 지시하는 자동운전선택부(140), 상기 연마공구(31)의 가공 방향을 설정하는 가공방법선택부(151), 알람 및 가공 불량수량을 표시하는 알람리셋스위치(152) 및 정품수량스위치(153a) 및 불량수량스위치(153b)와, 알람음을 출력하는 스피커(154), 알람 온/오프스위치(15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운전모드선택부(120)는 수동셋팅모듈(200) 운전과 자동 운전을 선택하는 수동/자동 스위치(121)와, 수동셋팅모듈(200) 작동시 셋팅 방향과 자동 운전 방향을 선택하는 XY선택 스위치(122)를 포함한다. 수동/자동 스위치(121)에서 '수동'을 선택하게 되면 수동셋팅모듈(200)을 이용한 셋팅 작업이 진행될 수 있고, '자동'을 선택하면 자동 가공 프로그램을 이용한 연마 가공 작업이 진행될 수 있다. XY선택 스위치(122)에서 X 또는 Y를 선택하면 수동셋팅모듈(200) 작동 시 X축 서보모터(40) 또는 Y축 서보모터(60)를 이용한 공구테이블(30)의 이동이 발생할 수 있고, 중앙의 XY를 선택하면 자동 가공 프로그램 작동 시 X축 서보모터(40) 및/또는 Y축 서보모터(60)에 의한 공구테이블(30)의 자동 이동이 발생할 수 있다.
실린더작동선택부(130)는 상단의 비상스위치(131)와, 전진스위치(132), 후진스위치(133)로 구성될 수 있다. 비상스위치(131)는 긴급 상황이 발생 시 누르면 제어부(80) 및 정보입출력모듈(100)의 전원이 차단되고, X축 수동핸들(50) 및 Y축 수동핸들(70)을 이용한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전진스위치(132) 및 후진스위치(133)는 유압실린더(미도시)를 전진 또는 후진시켜 공구테이블(30) 및 테이블구동부를 일정 거리로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데 사용한다.
자동운전선택부(140)는 공구테이블(30)을 Y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연마 가공의 처음 시작점(기계원점)에 정렬하는 리셋(reset) 스위치(141), 자동 가공 프로그램을 이용한 자동 연마 가공을 시작하는 시작스위치(142), 자동 연마 가공을 일시 정지하는 정지스위치(14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지스위치(143)를 누른 상태에서는 터치패널(110)을 통한 자동 가공 프로그램의 가공 정보를 재설정할 수 있다. 이 때
가공방법선택부(151)는 '좌', '우', '좌우'를 선택할 수 있는데, '좌'를 선택하게 되면 트레버스 가공 시 좌측에서만 Y축 전진이 발생하게 되며, '우'를 선택하게 되면 트레버스 가공 시 우측에서만 Y축 전진이 발생하게 된다. '좌우'를 선택하면, 트레버스 가공 시 좌측 및 우측에서 Y축 전진이 발생하게 된다.
알람리셋스위치(152)는 알람내용을 제거하고 알람을 해제한다.
정품수량스위치(153a) 및 불량수량스위치(153b)를 누르면 제품의 정품 누적 수량 및 불량 누적 수량을 볼 수 있다.
상기 터치패널(110)은 정보입출력모듈(100) 전방면의 일측에 마련되며, 드레싱 작업, 트레버스 작업(1단 이상), 후렌지 작업과 같은 가공 작업 종류와, 연속 작업, 기계 원점 위치, X축 및 Y축 작업 위치 및 속도, 가공 치수, 자동 작동 시간, 알람 발생 시 알람 위치 및 번호, 불량 수량 등을 화면으로 나타내고, 화면에 표시된 입력창을 작업자가 터치하면 가공 작업에 필요한 정보들을 쉽게 입력하고 프로그래밍하여 자동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터치패널(110)은 도 7a 내지 도 7f에 도시한 것과 같은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들을 출력할 수 있다. 도 7a는 기본 화면으로서 현재 작업상태를 알려주고 각 화면의 모드 버튼(표시영역)을 누르면 설정된 화면으로 이동한다. 이 화면에서 '작업설정화면 이동' 표시영역을 누르면 메인화면으로 이동하여 후렌지 가공, 트레버스 가공, 좌측면 가공 등의 가공 모드 및 기계원점을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도 7b는 메인화면을 나타내며, 후렌지 가공, 트레버스 가공(1단~4단), 좌측면 가공 등의 가공 모드 및 기계원점, 비상정지, 유압후진 미사용, 알람발생, 서보알람화면이동 등을 출력한다.
도 7c, 도 7d, 및 도 7e는 각각 메인화면(도 7b 참조)에서 후렌지 가공모드와 트레버스 2 가공 모드, 측면 가공 모드를 선택한 경우 출력되는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7f는 연마 가공 도중 발생하는 이상 상태를 알려주는 서보알람발생화면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터치패널(110)에서 출력되는 화면들은 실시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며,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도 6은 수동셋팅모듈(200)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수동셋팅모듈(200)은 정보입출력모듈(100)과는 독립적으로 구성된다. 이 실시예에서 수동셋팅모듈(200)은 전선(260)을 통해 제어부(8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사람의 누름 조작 또는 회전 조작에 의해 상기 X축 서보모터(40) 또는 Y축 서보모터(60)를 작동시키는 제어신호를 상기 제어부(80)로 인가하는 회로기판(미도시)과, 상기 회로기판(미도시)을 수용하는 하우징(210)(도 1 참조)과, 상기 하우징(210)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셋팅조작패널(220)을 포함한다.
상기 셋팅조작패널(220)에는 작업자의 누름 조작에 의해 상기 회로기판(미도시)을 통해 X축 서보모터(40) 또는 Y축 서보모터(60)의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복수의 라피드버튼(230)과, 사람의 회전 조작에 의해 상기 회로기판(미도시)을 통해 X축 서보모터(40) 또는 Y축 서보모터(60)의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조그핸들(240)을 구비한다.
라피드버튼(230)은 ± X축 방향과 ± Y축 방향 버튼을 구비하며, 조그핸들(240)의 주변부에는 회전량을 지시하는 눈금이 표시될 수 있다. 라피드버튼(230)의 제어에 의한 X축 서보모터(40) 및 Y축 서보모터(60)의 속도는 조그핸들(240)의 제어에 의한 X축 서보모터(40) 및 Y축 서보모터(60)의 속도보다 상대적으로 빠르게 설계될 수 있다.
또한 셋팅조작패널(220)에는 상기 라피드버튼(230)에 의한 제어와 조그핸들(240)에 의한 제어를 선택하기 위한 라피드/조그핸들 선택스위치(251)와, 조그핸들(240) 선택 시 조그핸들(240)의 회전량(회전 각도)에 따른 X축 및 Y축 속도를 1배속, 10배속, 100배속 둥 어느 하나로 설정하는 속도설정스위치(252)가 설치된다.
상기 라피드버튼(230)은 X축 서보모터(40) 및 Y축 서보모터(60)의 속도를 상대적으로 빠르게 제어하여 신속한 위치 제어가 필요한 경우에 사용하며, 조그핸들(240)은 X축 서보모터(40) 및 Y축 서보모터(60)의 속도를 상대적으로 느르게 제어 하여 정밀한 위치 제어가 필요한 경우에 사용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제어부(80)는 정보입출력모듈(100)과 수동셋팅모듈(200), X축 서보모터(40), Y축 서보모터(60), 유압실린더(미도시)에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펌프(90) 등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신호를 수신 및 송신하여 작동을 제어한다. 제어부(80)는 정보입출력모듈(100)과는 독립적으로 구성될 수도 있지만, 정보입출력모듈(100)과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80)에는 정보입출력모듈(100)을 통해 입력된 가공 정보에 의해 상기 X축 서보모터(40)와 Y축 서보모터(60), 유압펌프(미도시)의 작동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자동 가공 프로그램이 내장되어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은 정보입출력모듈(100)과 수동셋팅모듈(200)을 이용하여 원통체(C)를 가공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후렌지 가공
후렌지(flange) 가공은 연마공구(31)가 원통체(C)에 대해 Y축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동하여 원통체(C)의 외면을 반경방향으로 일정 깊이로 연삭하는 가공 방법이다.
후렌지 가공을 위해서는 먼저 기계원점을 설정해야 한다. 기계원점 설정은 X축 수동핸들(50)과 Y축 수동핸들(70)을 이용하거나, 아래와 같이 수동셋팅모듈(200)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먼저 정보입출력모듈(100)의 실린더작동선택부(130)에서 전진스위치(132)를 눌러서 유압실린더(미도시)를 전진시킨다. 그리고 운전모드선택부(120)의 수동/자동 스위치(121)를 '수동'으로 선택하고, XY선택 스위치(122)에서 X 또는 Y를 선택한 다음, 수동셋팅모듈(200)의 라피드버튼(230) 또는 조그핸들(240)을 조작하여 공구테이블(30)을 X축 및 Y축을 이동하여 연마공구(31)가 원통체(C)의 작업 시작 위치, 즉 기계 원점에 정렬하도록 하고, 도 7c에 도시한 것과 같은 터치패널(110)의 화면 상에서 기계원점(X축 0.000 및 Y축 0.000)을 셋팅한다. 이어서 터치패널(110)의 메인화면에서 기계원점 속도를 설정한다.
그런 다음 터치패널(110)의 메인화면에서 후렌지 모드를 터치하고, 완료위치, 정삭위치, 후진속도, 황삭속도, 정삭속도, 정지시간을 입력하고 저장한다. 이 때, 메인화면에서 유압실린더(미도시)의 전,후진 자동 작동을 설정할 수 있다.
전술한 것과 같이 터치패널(110)의 화면을 통해 후렌지 모드의 가공 정보를 입력한 후, 운전모드선택부(120)의 수동/자동 스위치(121)에서 '자동'을 선택하고, XY선택 스위치(122)에서 'XY'를 선택한다. 그리고 실린더작동선택부(130)의 전진스위치(132)를 누른 다음, 자동운전선택부(140)의 시작스위치(142)를 누르면 제어부(80)의 자동 프로그램에 의해 Y축 서보모터(60)의 작동이 제어되면서 원통체(C)가 연마공구(31)에 의해 자동으로 설정된 치수로 정확하게 연삭된다.
트레버스 가공
트레버스 가공은 연마공구(31)를 원통체(C)의 외면에 대해 전후방향(Y축 방향) 및 좌우방향(X축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원통체(C)의 외면을 연삭하는 가공 방법이다.
트레버스 가공은 1단에서부터 2단 이상의 다단 가공이 가능한데, 트레버스 2단 가공을 진행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기계 원점을 설정해야 하는데, 이는 전술한 후렌지 가공에서 수동셋팅모듈(200)을 이용하여 기계원점을 설정하는 방법과 동일하다. 물론, 수동셋팅모듈(200)을 이용하지 않고 비상스위치(131)를 누른 후 X축 수동핸들(50) 및 Y축 수동핸들(70)을 이용하여 기계원점을 설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기계 원점 설정 후, 원통체 가공을 위한 트레버스 원점을 설정한다.
도 7b에 도시한 터치패널(110)의 메인화면에서 '트레버스1'을 선택하여 도 7d에 도시한 것과 같은 '트레버스1'에 대한 화면으로 전환하고, 수동셋팅모듈(200)의 라피드버튼(230) 또는 조그핸들(240)을 조작하여 연마공구(31)가 제1원점에서 제2지점으로 이동하여 가공 대상 원통체의 외면을 터치하게 한 후 터치패널(110)의 '트레버스1 원점' 버튼을 누른 뒤 저장버튼을 누른다.
트래버스1 원점이 저장되면 현재위치 창에서 X축 0.000 Y축 0.000으로 세팅된다. '트래버스1' 화면에서 프로그램 전후 Y축 가공 치수 정보(가공치수, 절입량, 속도) X축 가공 치수 정보(절입량, 속도), 카운터(절입작업이 완료된 후 좌우 왕복 회전 설정) 설정을 한 뒤 저장버튼을 누른다.
그럼 다음, 트래버스 2 원점을 설정한다.
Main 화면에서 '트래버스2'를 선택하면 버튼색상이 변하며 '트래버스2' 화면으로 전환된다. 그리고 수동셋팅모듈(200)의 라피드버튼(230) 또는 조그핸들(240)을 조작하여 연마공구(31)가 제2지점에서 제3지점으로 이동해 가공 대상 원통체(C)를 터치한 후 '트래버스 2원점' 버튼을 누른 뒤 저장버튼을 누른다.
트래버스2 원점이 저장되면 현재위치 창에서 X축 0.000 Y축 0.000으로 셋팅된다. 트래버스2 화면에서 프로그램 전후 Y축 가공 치수 정보(가공치수, 절입량, 속도) X축 가공 치수 정보(절입량, 속도), 카운터(절입작업이 완료된 후 좌우 왕복 회전 설정) 설정을 한 뒤 저장버튼을 누른다.
전술한 것과같이 트레버스 2단 가공 모드에 대한 프로그램 셋팅이 완료되면, 수동셋팅모듈(200)을 사용하여 연마공구(31)를 원통체(C)에서 약간 떨어트린 뒤 자동운전선택부(140)의 리셋 스위치(141)를 누른다.
그리고 터치패널(110)의 메인화면에서 '트레버스연속작업'을 선택하고, 트레버스 1번 작업 선택, 2번 작업 선택을 클릭하여 ON 시킨다. 이어서 운전모드선택부(120)의 수동/자동 스위치(121)에서 '자동'을 선택하고, XY선택 스위치(122)에서 'XY'를 선택한 다음, 실린더작동선택부(130)의 전진스위치(132)를 누른다.
끝으로 자동운전선택부(140)의 시작스위치(142)를 누르면 제어부(80)의 자동 프로그램에 의해 X축 서보모터(40) 및 Y축 서보모터(60)의 작동이 제어되면서 연마공구(31)가 도 8에 도시한 것과 같은 작업 순서의 경로를 따라 자동으로 이동하여 원통체(C)가 연마공구(31)에 의해 설정된 치수로 정확하게 연삭된다.
이러한 트레버스 가공은 외경 트레버스 작업과 내경 트레버스 작업을 추가로 선택하여 외경에 대한 트레버스 가공 및 내경에 대한 트레버스 가공을 수행할 수도 있다. 즉, 도 9에 도시한 것과 같이 트레버스 가공을 셋팅하는 화면에서 내경 사용을 선택하여 내경 트레버스 작업을 셋팅할 수 있다. 이 때, 외경 트레버스 작업과 내경 트레버스 작업 또한 1단 또는 2단 이상의 다단으로 셋팅하여 진행할 수 있다.
전술한 후렌지 가공 및 트레버스 가공 이외에 본 발명의 원통 연마기는 드레싱 가공 작업, 측면 가공(예를 들어 좌측면 가공), 내경 가공 등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드레싱 가공은 연마공구(숯돌)(31)의 평탄도 작업을 수행하도록 된 것으로, 상기 드레싱 가공 또한 트레버스 가공 작업과 마찬가지로 1단 또는 2단 이상의 다단으로 가공 작업을 셋팅하여 진행할 수 있다(도 10 참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원통 연마기는 정보입출력모듈(100)의 터치패널(110)을 통해 가공 모드 별로 필요한 가공 정보를 입력하고 자동 운전을 시작하면, 제어부(80)에 미리 저장된 자동 프로그램에 의해 X축 서보모터(40) 및 Y축 서보모터(60)가 지정된 위치와 속도로 이동하면서 클램핑유닛(20)에 고정된 원통체(C)를 설정된 치수와 형태로 정확하고 신속하게 연삭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의 원통 연마기는 일반적인 CNC 선반에서 수행해야 하는 전문적인 가공 프로그램의 작성 및 입력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고, 상기 정보입출력모듈(100)의 터치패널(110)의 화면을 통해 간단하게 필수 가공 치수 정보만 입력하고, 정보입출력모듈(100)의 누름식 버튼이나 회전식 노브(knob)로 된 여러가지 스위치들을 이용하여 원통 연마기의 공구테이블(30) 및 연마공구(31)를 지정된 위치와 속도로 자동으로 이동시켜 원통체(C)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가공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의 원통 연마기는 정보입출력모듈(100)과는 독립적으로 제어부(80)에 연결된 수동셋팅모듈(200)을 이용하여 X축 서보모터(40) 및 Y축 서보모터(60)를 작동시켜 기계원점과 가공 작업 원점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으므로, 정확도와 편의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제까지 다양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 : 원통체 10 : 연마기 본체
20 : 클램핑유닛 21 : 고정클램프부
22 : 가동클램프부 30 : 공구테이블
31 : 연마공구(숯돌) 40 : X축 서보모터
41 : X축 볼스크류 42 : X축 너트부
50 : X축 수동핸들 60 : Y축 서보모터
61 : Y축 볼스크류 62 : Y축 너트부
70 : Y축 수동핸들 80 : 제어부
90 : 유압펌프 100 : 정보입출력모듈
110 : 터치패널 120 : 운전모드선택부
121 : 수동/자동 스위치 122 : XY선택 스위치
130 : 실린더작동선택부 131 : 비상스위치
132 : 전진스위치 133 : 후진스위치
140 : 자동운전선택부 141 : 리셋(reset) 스위치
142 : 시작스위치 143 : 정지스위치
151 : 가공방법선택부 152 : 알람리셋스위치
153a : 정품수량스위치 153b : 불량수량스위치
154 : 스피커 155 : 알람 온/오프스위치
200 : 수동셋팅모듈 210 : 하우징
220 : 셋팅조작패널 230 : 라피드버튼
240 : 조그핸들 251 : 라피드/조그핸들 선택스위치
252 : 속도설정스위치 260 : 전선

Claims (5)

  1. 가공 대상 원통체의 양단부를 고정하는 클램핑유닛;
    상기 원통체의 표면을 연마시키기 위한 연마공구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공구테이블;
    상기 공구테이블을 좌우방향(X축 방향)으로 소정의 속도와 위치로 수평 이동시키는 X축 서보모터와, 상기 공구테이블을 전후방향(Y축 방향)으로 소정의 속도와 위치로 수평 이동시키는 Y축 서보모터와, 상기 X축 서보모터 및 Y축 서보모터의 동력을 공구테이블로 전달하여 공구테이블을 각각 X축 방향과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X축 선형운동장치 및 Y축 선형운동장치를 포함하는 테이블구동부;
    상기 공구테이블 및 테이블구동부를 전후방향으로 일정 거리 전후진 이동시키는 유압실린더;
    가공 대상 원통체에 수행될 가공 방법, 공구테이블의 작업 원점 위치 및 속도, 가공방법에 따른 공구테이블의 Y축 방향 작업 위치와 속도, X축 방향 작업 위치와 속도, 원통체의 가공 정도를 포함하는 가공 작업 정보를 입력하고 입력된 가공 작업 정보를 출력하는 터치패널과, 상기 X축 서보모터 또는 Y축 서보모터의 수동 운전 및 자동 운전을 선택하는 운전모드선택부와, 유압실린더의 작동을 선택하는 실린더작동선택부와, 상기 X축 서보모터와 Y축 서보모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원통체의 자동 가공 작업을 지시하는 자동운전선택부, 상기 연마공구의 가공 방향을 설정하는 가공방법선택부를 포함하는 정보입출력모듈;
    상기 정보입출력모듈에 입력된 가공 작업 정보에 따라 상기 X축 서보모터와 Y축 서보모터 및 유압실린더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공구테이블을 X축 및 Y축을 이동하여 연마공구가 원통체의 작업 시작 위치에 정렬되도록 공구테이블의 위치를 수동으로 셋팅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사람의 누름 조작 또는 회전 조작에 의해 상기 X축 서보모터 또는 Y축 서보모터를 작동시키는 제어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인가하는 회로기판과, 상기 회로기판을 수용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부면에 설치되어 사람의 누름 조작에 의해 상기 회로기판을 통해 X축 서보모터 또는 Y축 서보모터의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복수의 라피드버튼과 사람의 회전 조작에 의해 상기 회로기판을 통해 X축 서보모터 또는 Y축 서보모터의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조그핸들을 구비한 셋팅조작패널을 포함하는 수동셋팅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셋팅조작패널에 상기 라피드버튼에 의한 속도 제어와 조그핸들에 의한 속도 제어를 선택하기 위한 라피드/조그핸들 선택스위치와, 조그핸들을 이용한 제어 방법을 선택 시 조그핸들의 회전량에 따른 X축 및 Y축 속도를 설정하는 속도설정스위치가 설치되며,
    상기 조그핸들의 주변부에 조그핸들의 회전량을 지시하는 눈금이 표시되고,
    상기 라피드버튼에 의해 제어되는 X축 서보모터 및 Y축 서보모터의 속도는 조그핸들의 제어에 의한 X축 서보모터 및 Y축 서보모터의 속도보다 상대적으로 빠른 자동 제어형 원통 연마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기 본체의 전방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테이블구동부의 X축 선형운동장치 및 Y축 선형운동장치와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X축 서보모터 및 Y축 서보모터가 작동하지 않을 때 작업자의 회전 조작에 의해 X축 선형운동장치 및 Y축 선형운동장치를 각각 작동시키는 X축 수동핸들 및 Y축 수동핸들을 더 포함하는 자동 제어형 원통 연마기.
KR1020220030182A 2022-03-10 2022-03-10 터치패널을 이용한 자동 제어형 원통 연마기 KR1024834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0182A KR102483454B1 (ko) 2022-03-10 2022-03-10 터치패널을 이용한 자동 제어형 원통 연마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0182A KR102483454B1 (ko) 2022-03-10 2022-03-10 터치패널을 이용한 자동 제어형 원통 연마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3454B1 true KR102483454B1 (ko) 2023-01-02

Family

ID=84925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0182A KR102483454B1 (ko) 2022-03-10 2022-03-10 터치패널을 이용한 자동 제어형 원통 연마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345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5679B1 (ko) 2016-03-25 2017-01-12 이문섭 근접 센서와 전자클러치와 타이머를 이용한 원통 연마기 자동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5679B1 (ko) 2016-03-25 2017-01-12 이문섭 근접 센서와 전자클러치와 타이머를 이용한 원통 연마기 자동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57213C (en) A surface processing system for a work piece
KR100795470B1 (ko) 고속 연마기능을 갖는 터닝가공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066583B1 (ko) Plc 셋팅 제어를 이용한 자동 호빙머신
US5595525A (en) Numerically controlled grinding machine
KR102483454B1 (ko) 터치패널을 이용한 자동 제어형 원통 연마기
KR101695679B1 (ko) 근접 센서와 전자클러치와 타이머를 이용한 원통 연마기 자동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AU2003233410B2 (en) Computer controlled grinding machine
KR20030041814A (ko) 글래스 시이트의 코너 라운딩 기계
US2929172A (en) Machine for cutting a succession of workpieces to a predetermined size
JPH071288A (ja) 新世代普通旋盤
US3719459A (en) End mill grinder
JP2007125644A (ja) 砥石車のツルーイング装置
CN111230678A (zh) 一种精密细小圆弧磨削加工机构
CN207104524U (zh) 全自动数控外圆磨床
CN211805417U (zh) 一种精密细小圆弧磨削加工机构
WO1999067052A2 (en) Grinding machine, computer software to operate such a machine, and their uses therefor
JPH074646Y2 (ja) 数値制御装置
JP6124637B2 (ja) 工作機械における加工方法
JPH0419067A (ja) 全自動研削のできる汎用研削盤
JPH07204986A (ja) 数値制御研削盤およびその研削条件設定方法
JPH04201046A (ja) 加工データ作成装置
JP2021194728A (ja) 研削方法及び研削装置
JP2000343396A (ja) トラバース研削加工方法及びトラバース研削装置
JPH0516067A (ja) 研削盤における自動研削制御方法およびその装置
CN108015560A (zh) 智能数控立卧回转工作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