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3262B1 - 전자파 차폐용 쉴드 캔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파 차폐용 쉴드 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3262B1
KR102483262B1 KR1020160009876A KR20160009876A KR102483262B1 KR 102483262 B1 KR102483262 B1 KR 102483262B1 KR 1020160009876 A KR1020160009876 A KR 1020160009876A KR 20160009876 A KR20160009876 A KR 20160009876A KR 102483262 B1 KR102483262 B1 KR 1024832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eld
frame
cover
contact
contact protrus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98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9537A (ko
Inventor
임재덕
방정제
장현태
박혜인
예재흥
정찬범
이새봄
이용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098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3262B1/ko
Priority to US15/415,181 priority patent/US10010016B2/en
Publication of KR201700895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95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32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32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07Casings
    • H05K9/002Casings with localised screening
    • H05K9/0022Casings with localised screening of components mounted on printed circuit boards [PCB]
    • H05K9/0024Shield cases mounted on a PCB, e.g. cans or caps or conformal shiel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07Casings
    • H05K9/002Casings with localised screening
    • H05K9/0022Casings with localised screening of components mounted on printed circuit boards [PCB]
    • H05K9/0024Shield cases mounted on a PCB, e.g. cans or caps or conformal shields
    • H05K9/0032Shield cases mounted on a PCB, e.g. cans or caps or conformal shields having multiple parts, e.g. frames mating with li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5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material of the contacting members
    • H01R4/64Connections between or with conductive parts having primarily a non-electric function, e.g. frame, casing, rai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18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 H05K1/181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associated with surface mounted compon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22Secondary treatment of printed circuits
    • H05K3/28Applying non-metallic protective coatings
    • H05K3/284Applying non-metallic protective coatings for encapsulating mounted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Abstract

쉴드 캔 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쉴드 캔 장치는 인쇄회로기판에 고정되어 전자파 차폐 대상인 적어도 하나의 회로 소자를 둘러싸는 프레임; 프레임에 결합되어 프레임의 상부에 형성된 개구를 폐쇄하는 커버; 및 프레임과 커버 사이에 형성되어 프레임과 커버를 상호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복수의 접점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파 차폐용 쉴드 캔 장치{SHIELD CAN DEVICE FOR BLOCKING ELECTROMAGNETIC WAVE}
본 발명은 쉴드 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되는 전자부품들의 방사성 노이즈를 차폐하기 위한 쉴드 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무선 단말기, 디지털 카메라와 같은 각종 전자기기나 통신기기를 사용할 때, 상기 각종 전자기기나 통신기기에 구비된 전자부품들은 전자파를 발생시키게 되는데, 여기서 상기 전자부품에 의해 발생된 전자파는 엄격하게 규제된다. 이러한 전자파는 무선 통신이나 레이더와 같이 유용하게 사용되는 반면, 전자기기의 동작에 악영향을 미치고, 인체에도 유해한 요소로 작용한다. 따라서, 각종 전자기기나 통신기기는 전자파가 사용자 환경에 적합한지 확인하는 환경 적합성 테스트(EMC:ElectroMagnetic Compatibility)를 의무적으로 실시하여야만 한다. 여기서 실시하는 전자파 환경 적합성 테스트(EMC)는 방사성 노이즈에 의한 전자파 방해(EMI: ElectroMagnetic Interfernece)와 인체에 유해한 전자파 차단을 위한 전자감수성(EMS: ElectroMagnetic Susceptibility) 테스트로 나누어져 실시되고 철저히 규제된다.
따라서 전자기기 내부의 인쇄회로기판 상에 실장되는 전자부품들을 소정의 쉴드 캔 (Shield can)으로 덮어 상기 전자부품들로부터 발생하게 되는 유해 혹은 방해 전자파를 차단함으로써 자체 전자기기는 물론 타 전자기기의 동작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 쉴드 캔은 전자부품을 덮을 수 있도록 통상 하단이 개방된 상자 모양을 취한다. 이러한 쉴드 캔은 쉴드 캔의 측벽을 클램핑하도록 인쇄회로기판에 결합되는 쉴드 캔 고정용 클립을 통해 인쇄회로기판 상에 설치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인쇄회로기판 위에 다수개의 결합홀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홀에 협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클립을 끼워 설치한 상태에서 일측이 오픈된 박스 형상의 쉴드 캔을 상기 클립의 협지부에 끼워 물려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쉴드 캔 안쪽에 위치해 있는 전자부품을 차폐시켜 주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인쇄회로기판 상에 클립을 많이 설치하면 탈/부착이 어려워지고, 양산 불량도 많아진다. 또한, 조밀하게 설치하거나 조립 등의 작업이 상당히 불편하여 시간이 많이 걸린다. 특히 상기와 같은 통신기기나 전자기기들을 떨어트릴 경우에는 충격에 의해 인쇄회로기판에 설치되어 있는 쉴드 캔 혹은 클립 중 어느 한쪽이 이탈하여 고정 상태가 불량하게 되어 버리는 일들이 생기게 되었다.
더욱이 이렇게 고정상태가 불량해 지면서 그리고 상기 쉴드 캔이 인쇄회로기판에 설치되어 있는 클립의 협지부에 물려 고정되면서 중간에 위치한 클립의 두께만큼의 틈새를 형성하게 되고, 이 쉴드 캔과 인쇄회로기판의 틈새 사이로 유해 전자파나 방해 전자파가 방사되면서 차폐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 따른 쉴드 캔의 측면체결구조만으로는 살펴본 바와 같이 차폐성능을 향상시키는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쉴드 캔 장치를 구성하는 커버와 프레임의 체결구조를 개선하여 쉴드 캔 장치의 전자파 차폐성능을 향상시키고 외부충격에도 안정적인 차폐성능을 확보하기 위한 쉴드 캔 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인쇄회로기판에 고정되어 전자파 차폐 대상인 적어도 하나의 회로 소자를 둘러싸는 프레임; 프레임에 결합되어 프레임의 상부에 형성된 개구를 폐쇄하는 커버; 및 프레임과 커버 사이에 형성되어 프레임과 커버를 상호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복수의 접점 돌기;를 포함하는 쉴드 캔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회로 소자가 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 인쇄회로기판에 고정되며 적어도 하나의 회로 소자를 둘러싸도록 폐루프(closed loop)를 이루는 프레임; 프레임의 상부에 형성된 개구를 덮는 커버; 프레임과 커버를 상호 결합하는 스냅 결합구조; 및 커버의 저면 또는 커버의 저면에 대향하는 프레임의 일부에 형성된 복수의 접점 돌기;를 포함하는 쉴드 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쉴드 캔 장치를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쉴드 캔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 에 도시된 커버의 배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표시한 부분을 나타내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한 접점 돌기의 결합 전과 후의 커버와 프레임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접점 돌기가 프레임의 절곡부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예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7은 접점 돌기가 해치(hatch) 형상으로 배열된 예를 나타내는 커버의 배면도이다.
도 8은 접점 돌기의 다양한 형상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하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 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설명되는 실시 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 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 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쉴드 캔 장치를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쉴드 캔 장치(100)는 인쇄회로기판(10)에 실장된 복수의 회로 소자(11)를 차폐하도록 인쇄회로기판(10)에 고정된다. 이 경우, 쉴드 캔 장치(10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회로 소자(11)를 한꺼번에 차폐할 수 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단일 회로 소자만을 차폐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쉴드 캔 장치(100)는 프레임(110)과, 프레임(110)에 결합되는 커버(13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10)과 커버(130)는 회로 소자(11)로부터 발생하는 전자파를 차폐할 뿐만 아니라 접지(GND)를 위해 도전성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레임(110)은 인쇄회로기판(10)에 고정되어 전자파 차폐 대상인 적어도 하나의 회로 소자(11)를 폐루프(closed loop) 상태로 둘러싼다. 이와 같은 프레임(110)은 측면부(111)와, 측면부(111)의 각 상단으로부터 측면부(11)의 내측으로 대략 90도 정도 절곡된 절곡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
측면부(111)는 간격을 두고 복수의 결합구멍(113)이 형성된다. 복수의 결합구멍(113)은 커버(130)의 후술하는 복수의 결합돌기(135)와 각각 결합된다. 이와 같이 복수의 결합구멍(113)에 복수의 결합돌기(135)가 각각 결합함에 따라 프레임(110)에 커버(130)가 결합될 수 있다.
절곡부(115)는 소정 폭을 형성함에 따라 프레임(110)의 개구(117)를 형성한다. 절곡부(115)와 개구(117)의 경계를 프레임의 에지(115a)로 한다. 절곡부(115)는 커버(130)의 저면(136)으로부터 돌출되는 복수의 접점 돌기(150)가 접촉하여 접지를 이룬다.
커버(130)는 프레임(110)의 상부를 전체적으로 커버할 수 있는 면적을 가지는 플레이트부(131)와, 플레이트부(131)의 각 측단으로부터 하향 연장된 복수의 연장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부(131)는 커버(130)와 프레임(110)의 결합시에 프레임(110)의 상부에 형성된 개구(117)를 폐쇄한다.
연장부(133)는 간격을 두고 복수의 결합돌기(135)가 형성된다. 복수의 결합돌기(135)는 프레임(110)의 복수의 결합구멍(113)과 각각 결합된다.
연장부(133)와 프레임(110) 사이에 상호 결합되는 결합부는 복수의 결합돌기(135)와 복수의 결합구멍(113)을 포함한다. 이 경우, 결합부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110)의 외측면에 결합구멍(113)이 형성되고, 연장부(133)에 결합돌기(135)가 형성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프레임(110)의 외측면에 결합돌기(135)가 형성되고, 연장부(133)에 결합구멍(113)이 형성될 수도 있다. 복수의 결합구멍(113)에 복수의 결합돌기(135)가 각각 스냅 결합함에 따라 프레임(110)에 커버(130)가 결합될 수 있다. 결합부에 의해 커버(130)는 프레임(110) 상부에 형성된 개구(117)를 덮도록 결합된다.
도 3은 도 2 에 도시된 커버의 배면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에지(115a)는 프레임(110)과 커버(130)의 결합 시에 프레임(110)의 절곡부(115)와 커버의 저면(136)이 겹쳐지는 면을 나타내기 위해 일점 쇄선으로 표시한 것이다.
복수의 접점 돌기(150)는 프레임(110)과 접촉하도록 프레임(110)과 커버(130)의 결합 시에 프레임(110)의 절곡부(115)와 마주하는 커버(130)의 저면(136)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접점 돌기(150)는 절곡부(115)의 상면(116)과 접촉하여 접지를 이룬다. 복수의 접점 돌기(150)는 도 3에 표시된 에지(115a)와 연장부(133)의 사이에 배치된다. 복수의 접점 돌기(150)는 간격을 두고 일렬로 배치될 수 있고, 에지(115a)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표시한 부분을 나타내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한 접점 돌기의 결합 전과 후의 커버와 프레임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쉴드 캔 장치(100)의 제작 과정에서 커버(130)와 프레임(110)간의 간격 없이 면 대 면 접촉이 불가능한 바, 프레임(110)과 커버(130) 결합 시에 커버(130)의 플레이트부(131)와 프레임(110)의 절곡부(115) 사이에는 간격(G)이 생길 수 있고, 이로 인해 플레이트부(131)와 절곡부(115) 간 전기적으로 접하는 곳이 많지 않은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도 4와 같이 프레임(110)에 커버(130)가 결합될 때, 커버(130)의 결합돌기(135)가 프레임(110)의 결합구멍(113)에 스냅 결합되면서 복수의 접점 돌기(150)가 절곡부(115)의 상면(116)에 압박 상태로 접촉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접점 돌기(150)의 선단(151)이 약간 뭉개지면서 절곡부(115)의 상면(116)에 접촉한다. 이에 따라 프레임(110)의 절곡부(115)와 커버(130) 간에 발생하는 유격이나 제작 공차를 극복하면서 프레임(110)과 커버(130) 간의 결합이 더욱 견고해질 수 있다. 아울러, 상기와 같은 프레임(110)과 커버(130) 간 결합에 의해 외부 충격에도 안정적인 구조가 유지되므로 높은 차폐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쉴드 캔 장치(100)의 전자파 차폐성능은 전기전도도가 높을수록 향상되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접점 돌기(150)가 프레임(110)의 절곡부(115)에 전기적 접촉으로 인해 프레임(110)과 커버(130)간 전기전도도를 높일 수 있어 쉴드 캔 장치(100)의 차폐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접점 돌기(150)는 원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접점 돌기(150)를 형성하기 위해 프레싱 가공 시 요홈(138)이 형성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점 돌기(150)는 프레싱 가공에 의해 형성될 수 도 있으나 접점 돌기(150)의 형성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각 접점 돌기(150)는 커버(130)의 저면(136)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접점 돌기(150)의 선단(151)은 절곡부(115)의 상면(116)과 점 접촉한다. 이 경우, 쉴드 캔 장치(100)의 차폐성능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복수의 접점 돌기(150)를 절곡부(115)의 에지(115a)에 인접한 위치에서 접하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접점 돌기(150)는 선단(151)에 형성된 꼭지점이 절곡부(115)와 결합 시 가압되면서 뭉개져 절곡부(115)와 면 접촉하도록 변형된다. 이는 도 5에서 자세히 후술한다.
도 4의 결합부를 참조하면, 복수의 결합구멍(113)에 복수의 결합돌기(135)가 각각 결합함에 따라 프레임(110)에 커버(130)가 결합된다. 결합돌기(135)는 결합구멍(113)의 내주면 일부분(114)과 접촉하도록 결합된다. 이와 같은 결합돌기(135)와 결합구멍(113) 간의 접촉을 통해 프레임(110)과 커버(130) 간의 접점 수를 늘릴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쉴드 캔 장치(100)의 차폐성능을 개선시킬 수도 있다.
도 5의 (a)를 살펴보면, 커버의 저면(136)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원뿔 형상의 접점 돌기(150)은 결합 전 프레임(110)과 접촉하지 않은 상태로, 접점 돌기(150)의 선단(151)에 형성된 꼭지점까지 돌출된 제1 높이(H1)를 갖는다.
도 5의 (b)를 살펴보면, 프레임(110)과 커버(130)의 결합 후 접점 돌기(150)는 선단(151)에 형성된 꼭지점이 가압되면서 접촉면(152)이 형성되도록 뭉개지게 변형되어 프레임(110)과 면 접촉하여 접지를 이룬다. 이때, 접촉하는 대상과 면 접촉하도록 변형된 접점 돌기(150)는 결합 전 돌출 높이인 제1 높이(H1) 보다 작은 제2 높이(H2)를 갖는다.
한편, 접점 돌기(150)는 원뿔 형상일 수도 있지만, 후술하는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접점 돌기(150)는 다양한 형상일 수 있다. 도 6은 접점 돌기가 프레임의 절곡부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예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을 살펴보면, 접점 돌기(150')는 전술한 접점 돌기(150)와 달리 절곡부(115)의 상면(116)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커버(130)의 저면(136)은 절곡부(115)의 상면(116)으로부터 돌출되는 복수의 접점 돌기(150')가 접촉하여 접지를 이룬다. 복수의 접점 돌기(150')는 절곡부(115)를 따라 간격을 두고 일렬로 배치된다. 이 경우, 복수의 접점 돌기는(150')는 절곡부의 에지(115a)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접점 돌기(150')는 선단(151')에 형성된 꼭지점이 커버(130)와 결합 시 가압되면서 뭉개져 커버(130)의 저면(136)과 면 접촉하도록 변형될 수 있다.
도 7은 접점 돌기가 해치 형상으로 배열된 예를 나타내는 커버의 배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복수의 접점 돌기(150a)는 가로(L) 및 세로(W)가 다른 비로 형성된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접점 돌기(150a)는 절곡부(115)를 따라 동일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다. 즉, 접점 돌기(150a)는 해치 형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쉴드 캔 장치(100)의 차폐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복수의 접점 돌기(150a)는 절곡부(115)의 에지(115a)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복수의 접점 돌기(150a)는 절곡부(115)의 상면(116) 또는 커버(130)의 저면(136)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8은 접점 돌기의 다양한 형상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접점 돌기(150)는 원뿔 형상의 돌기일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 8과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8의 (a)와 같이 접점 돌기(150b)는 대략 반구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선단이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8의 (b)와 같이 접점 돌기(150c)는 납작한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선단이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8의 (c)와 같이 접점 돌기(150d)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선단이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쉴드 캔 장치(100)는 프레임(110)과 커버(130) 사이에 형성되어 프레임(110)과 커버(130)를 상호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복수의 접점 돌기(150)를 형성함으로써 쉴드 캔 장치(100)가 인쇄회로기판(10)에 고정될 때 쉴드 캔 장치의 구조적/전기적 결합력을 높여 차폐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접점 돌기(150)의 접촉으로 인해 외부충격에도 안정적인 차폐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실시 예들에서 프레임 및 커버의 형태는 일 측의 단면적이 다른 측의 단면적보다 큰 다각형 형태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다. 즉, 프레임 및 커버는 인쇄 회로 기판의 형상이나 그 인쇄 회로 기판 상에 탑재되는 회로 부품의 크기, 형상, 개수, 배치 패턴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임은 직사각형, 정사각형, 사다리꼴 형상 등과 같은 다양한 형상이 될 수 있다.
또한, 이상과 같은 예들에서는 프레임 및 커버의 크기가 서로 대응되도록 설계된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커버의 크기가 프레임의 크기보다 조금 더 크게 또는 조금 더 적게 설계될 수도 있다.
또한, 이상과 같은 예들에서는 접점 돌기들이 프레임의 절곡부 상에서 일 열로 배치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와 같은 형태일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접점 돌기들은 적어도 2 열 이상으로 배치되어 차폐 성능을 더욱 개선시킬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0; 쉴드 캔 장치 130; 커버
110; 프레임 131; 플레이트부
111; 측면부 133; 연장부
115; 절곡부 136; 커버의 저면
117; 개구 150; 접점 돌기

Claims (15)

  1. 인쇄회로기판에서 적어도 하나의 회로 소자를 둘러싸도록 고정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형성된 개구를 폐쇄하는 커버; 및
    상기 커버와 대면하고 상기 개구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절곡부와 상기 커버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과 상기 커버를 상호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복수의 접점 돌기;를 포함하는 쉴드 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접점 돌기는 상기 절곡부의 상면 또는 상기 커버의 저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쉴드 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접점 돌기는 상기 절곡부의 에지(edge)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쉴드 캔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접점 돌기는 접촉하는 대상과 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쉴드 캔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접점 돌기는 원뿔 형상의 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쉴드 캔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접점 돌기는 선단이 접촉하는 대상과 결합 시 가압되면서 상기 접촉 대상과 면 접촉하도록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쉴드 캔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접점 돌기는 선단이 평면 또는 곡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쉴드 캔 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접점 돌기는 선단이 직사각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쉴드 캔 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접점 돌기는 절곡부를 따라 동일한 각도로 경사지게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쉴드 캔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측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를 형성하고,
    상기 연장부와 상기 프레임 사이에 상호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쉴드 캔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연장부의 내측면 및 상기 프레임의 외측면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결합돌기; 및
    상기 연장부의 내측면 및 상기 프레임의 외측면 중 나머지 하나에 형성되며, 상기 결합돌기가 접촉 상태로 결합되는 결합홈 또는 결합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쉴드 캔 장치.
  12. 인쇄회로기판에 고정되며 적어도 하나의 회로 소자를 둘러싸도록 폐루프(closed loop)를 이루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형성된 개구를 덮는 커버;
    상기 프레임과 상기 커버를 상호 결합하는 스냅 결합구조; 및
    상기 커버의 저면 또는 상기 커버와 대면하고 상기 개구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절곡부에 형성된 복수의 접점 돌기;를 포함하는 쉴드 캔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접점 돌기는 상기 절곡부를 따라 간격을 두고 일렬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쉴드 캔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접점 돌기는 상기 절곡부의 에지(edge)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쉴드 캔 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접점 돌기는 원뿔 형상 또는 반구 형상의 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쉴드 캔 장치.
KR1020160009876A 2016-01-27 2016-01-27 전자파 차폐용 쉴드 캔 장치 KR1024832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9876A KR102483262B1 (ko) 2016-01-27 2016-01-27 전자파 차폐용 쉴드 캔 장치
US15/415,181 US10010016B2 (en) 2016-01-27 2017-01-25 Shield can device for shielding electromagnetic wav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9876A KR102483262B1 (ko) 2016-01-27 2016-01-27 전자파 차폐용 쉴드 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9537A KR20170089537A (ko) 2017-08-04
KR102483262B1 true KR102483262B1 (ko) 2022-12-30

Family

ID=59359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9876A KR102483262B1 (ko) 2016-01-27 2016-01-27 전자파 차폐용 쉴드 캔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010016B2 (ko)
KR (1) KR1024832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8809B1 (ko) * 2018-07-10 2019-11-26 조인셋 주식회사 전자파 차폐를 위한 표면 실장형 실드 장치
CN112153809B (zh) * 2019-06-28 2022-04-08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主板模组及终端
US11201423B2 (en) * 2020-07-15 2021-12-14 Google Llc Card connector assemblies with integrated component shielding
US11917801B1 (en) * 2023-04-28 2024-02-27 Hewlett Packard Enterprise Development Lp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shiel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71080A (ja) * 2001-03-09 2002-09-20 Toshiba Corp 高周波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06379U (ja) * 1983-12-26 1985-07-19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電子機器用ケ−ス
US4766519A (en) * 1986-12-04 1988-08-23 Bernd Heiland Housing, particularly for hand held devices
US5014160A (en) * 1989-07-05 1991-05-07 Digital Equipment Corporation EMI/RFI shielding method and apparatus
US5383098A (en) * 1991-09-19 1995-01-17 Motorola, Inc. Shield assembly
US20020185294A1 (en) * 2001-04-27 2002-12-12 Anatoliy Shlyakhtichman Push-fit shield and method for fabricating same
US7113410B2 (en) * 2004-04-01 2006-09-26 Lucent Technologies, Inc. Electromagnetic shield assembly with opposed hook flanges
KR100649491B1 (ko) 2004-07-08 2006-11-24 삼성전기주식회사 회로기판과 실드 케이스의 고정장치
US7491899B2 (en) * 2005-10-06 2009-02-17 Laird Technologies, Inc. EMI shields and related manufacturing methods
JP2008218526A (ja) 2007-02-28 2008-09-18 Toshiba Corp シールドケースおよび電子機器
US7903431B2 (en) * 2007-06-14 2011-03-08 Laird Technologies, Inc.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shielding apparatus
US7442881B1 (en) * 2007-09-24 2008-10-28 Ezconn Corporation Shielding device
CN101453826B (zh) * 2007-11-28 2011-12-21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印刷电路板堆叠结构
KR20090131976A (ko) 2008-06-19 2009-12-30 삼성전기주식회사 인쇄회로기판용 실드 케이스
KR20110027985A (ko) 2009-09-11 2011-03-17 김연수 접속력을 향상시킨 쉴드캔 고정용 클립 터미널
CN201657596U (zh) 2010-02-03 2010-11-24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电磁屏蔽装置
JP5224407B2 (ja) 2010-07-30 2013-07-03 Necイン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シールドケースおよび電子機器
KR20130011241A (ko) 2011-07-21 2013-01-30 (주)서원인텍 기구물에 조립할 수 있는 실드캔의 조립구조.
US20130048369A1 (en) * 2011-08-31 2013-02-28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hielding circuitry from interference with a removable shield assembly
US9155233B2 (en) * 2012-08-31 2015-10-06 Sierra Wireless, Inc. Electromagnetic shield configured to inhibit deformation
KR101415306B1 (ko) 2013-05-24 2014-07-04 김선기 표면실장이 가능한 탄성 전기접촉단자
KR102223618B1 (ko) 2014-02-21 2021-03-05 삼성전자주식회사 쉴드캔 고정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71080A (ja) * 2001-03-09 2002-09-20 Toshiba Corp 高周波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215306A1 (en) 2017-07-27
US10010016B2 (en) 2018-06-26
KR20170089537A (ko) 2017-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3262B1 (ko) 전자파 차폐용 쉴드 캔 장치
US10117367B2 (en) Fastening structure for shield can
US9590362B2 (en) Connector having a conductive elastic sheet riveted to a conductive housing
US7609530B2 (en) Conductive elastomeric shielding device and method of forming same
US9877420B2 (en)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gasket
US20110205710A1 (en) Electronic device
US7663895B2 (en) Electromagnetic shielding device for printed circuit board
KR101927931B1 (ko) 방수형 마이크로 유에스비 커넥터
US20120298414A1 (en) Shield for shielding electromagnetic waves
US20090268420A1 (en) Shielding assembly
US7247041B2 (en) Land grid array connector
US20160330503A1 (en) Dual-height rf tuner shield
EP3166183B1 (en) Connector cover and connector assembly
US8827723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having shielding device for EMI thereof
CN101394725A (zh) 电子电路模块
US8337232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shielding in an opening in its base
US9980418B2 (en) RF shield assembly
JP2011228697A (ja) シールドケース及びこのシールドケースを有する電子装置
US9621216B1 (en) Cover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same
US9923318B2 (en) Electronic device, and ground structure of cable connector connected to electronic device
WO2016018544A1 (en) Heatsink push pin ground/attachment method
CN105991150B (zh) 无线通信模块
JP2007128963A (ja) 高周波機器
KR101555896B1 (ko) 쉴드 캔 고정 구조
KR101613512B1 (ko) 인터포저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