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2851B1 - 유리화설비의 저온용융로 및 그 설치방법 - Google Patents

유리화설비의 저온용융로 및 그 설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2851B1
KR102482851B1 KR1020210015118A KR20210015118A KR102482851B1 KR 102482851 B1 KR102482851 B1 KR 102482851B1 KR 1020210015118 A KR1020210015118 A KR 1020210015118A KR 20210015118 A KR20210015118 A KR 20210015118A KR 102482851 B1 KR102482851 B1 KR 1024828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lting furnace
sectors
low
melt
insulating me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51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11842A (ko
Inventor
정정수
최서용
홍성훈
이미현
박경록
이지훈
Original Assignee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151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2851B1/ko
Publication of KR202201118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18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28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28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5/00Melting in furnaces; Furnaces so far as specially adapted for glass manufacture
    • C03B5/005Melting in furnaces; Furnaces so far as specially adapted for glass manufacture of glass-forming waste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5/00Melting in furnaces; Furnaces so far as specially adapted for glass manufacture
    • C03B5/16Special features of the melting process; Auxiliary means specially adapted for glass-melting furnaces
    • C03B5/42Details of construction of furnace walls, e.g. to prevent corrosion; Use of materials for furnace walls
    • C03B5/43Use of materials for furnace walls, e.g. fire-bric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Vertical, Hearth, Or Arc Furnaces (AREA)
  • Crucibles And Fluidized-Bed Furnaces (AREA)

Abstract

유리리화설비의 저온용융로 및 그 설치방법을 제공한다. 유리리화설비의 저온용융로는 둘레방향으로 다수 배치되어, 용융로의 용융공간을 형성하는 섹터; 및 상기 섹터들 사이에 위치되는 알루미나 재질의 절연매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리화설비의 저온용융로 및 그 설치방법{VITRIFICATION COLD CRUCIBLE AND INSTALL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유리화설비의 저온용융로 및 그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원자력 발전 등을 통해 나오는 방사성 폐기물을 보다 안정적으로 처리, 보관 및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유해성 폐기물을 처리, 보관하는 방법으로서 저온용융로 유리화 기술이 개발되어 왔다.
저온용융로 유리화 기술은 유도가열식 저온용융로를 이용하여 유해성폐기물을 연소시키고 중금속을 용융하여 유리와 함께 유리고화체로 만들어 유리 구조 속에 가두어 주변 환경으로 침출되지 않도록 하여 격리시키는 것이다.
여기서, 유리화 설비 저온용융로는 섹터와 섹터 사이가 절연수단이 운모판으로 접합되는 경우 저온용융로에 이물질 유입 시 아킹(Arcing) 현상이 발생하여 운모판이 손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운모판이 손상되면 섹터와 섹터 사이로 용융물이 침투할 수 있고, 이 과정이 반복되면 저온용융로의 안정성에도 악영향을 줄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섹터와 섹터 사이는 운모판으로 강하게 결합이 되어 있어, 운모판의 교체 및 정비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65668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저온용융로의 섹터간 결합에 필요한 절연재를 개선하여 기존 운모판 절연재를 사용함으로 발생되는 절연재 파손, 용융물과 가스의 외부 누설 등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유리화설비의 저온용융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유도가열에 의한 금속섹터간 아크발생을 방지하여 금속섹터의 건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유리화설비의 저온용융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면(aspect)에 따른 유리화설비의 저온용융로는, 둘레방향으로 다수 배치되어, 용융로의 용융공간을 형성하는 섹터; 및 상기 섹터들 사이에 위치되는 알루미나 재질의 절연매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연매개체는 보드타입인 알루미나보드로 구비되며, 상기 용융로 내부가 외부로부터 차단되도록 상기 섹터 상호간의 결속에 기반하여 가압 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연매개체는 상기 이웃하는 섹터들과 대응하는 면적으로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섹터는 냉각순환을 위하여 높이방향상으로 상호 이웃하여 연통되는, 적어도 한 쌍의 수냉라인이 내장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알루미나보드는 내열성이 1200 내지 1800℃ 인 것일 수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면(aspect)에 따른 유리화설비의 저온용융로 설치방법은, 절연매개체를 사이에두고 둘레방향으로 다수의 섹터가 배치되는 단계; 및 배치된 상기 섹터들이 둘레방향상에서 상호 밀착 가압 되도록 결속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절연매개체는 알루미나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유리화설비의 저온용융로 및 그 설치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저온용융로의 섹터간 결합에 필요한 절연재를 개선하여 기존 절연재(예: 운모판 등)를 사용시 발생되는 이물질 유입에 의한 아킹과 절연재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유리화설비의 저온용융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유도가열에 의한 금속섹터간 아크발생을 방지하여 금속섹터의 건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유리화설비의 저온용융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온용융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챔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A-A'를 따라 취한 구성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융로 내부의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융로 내부의 용융물 유동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above)"에 놓일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소자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을 다른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과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소자, 제1 구성요소 또는 제1 섹션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소자, 제2 구성요소 또는 제2 섹션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판처리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리화설비의 저온용융로가 도시되어 있다. 저온용융로는 상부챔버(110), 투입구(111), 배기체출구(112), 하부챔버(120), 배출구(130), 유도코일(1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챔버(110)는 방사성폐기물, 일반 산업체 폐기물, 세라믹재료, 금속재료 등의 용융 대상물질이 투입되는 폐기물투입구(111)와 용융 과정에서 발생하는 배기체가 배출되는 배기체출구(112)가 구비될 수 있다.
상부챔버(110)의 하측으로 이음부(105)를 매개로 연결되고 투입된 폐기물이 수용되어 용융 및 배출되는 하부챔버(120)로 구성된다. 하부챔버(120)는 금속재질을 포함하는 섹터(121)로 구비될 수 있다.
하부챔버(120)는 하부에 경사형 수냉바닥판(150)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수냉바닥판(150) 하측에는 용융물이 배출되는 용융물 배출부(130)가 구비될 수 있다.
경사형 수평 유도코일(140)에 고주파 전류가 인가되면 발생된 유도전류가 하부챔버(120) 내부에 폐기물에 전달되어 폐기물을 가열 및 용융시킬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따른 하부챔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하부챔버(120)는 섹터(121), 절연매개체(12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하부챔버(120)의 섹터(121)는 용융로의 용융공간을 형성하도록 다수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섹터(121)는 둘레방향을 따라 다수로 배치되어 통형상을 이루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연매개체(122)는 둘레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섹터(121) 집합체들 사이에 각각 위치될 수 있다.
용융물은 통상 약 1150
Figure 112022079022053-pat00001
의 온도를 가지기 때문에 , 통상 약500
Figure 112022079022053-pat00002
내열성을 가지는 운모판과 같은 절연체로서는 용융물에 대응하는 절연, 내구성 등을 충족시킬 수 없다.
이로 인하여 고온 용융물과, 가스 등의 외부 누설을 방지하는데 신뢰성과 안정성이 떨어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절연매개체(122)는 알루미나 (Al
Figure 112022079022053-pat00003
O₃)재질로서 구비된다. 이러한 절연매개체(122)는 알루미나보드는 내열성이 1200 내지 1800
Figure 112022079022053-pat00004
인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약 1600
Figure 112022079022053-pat00005
의 내열성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용융로 내부에서 발생하는 고온 용융물 및 가스 등의 외부 누설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도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절연매개체(122)는 예컨데, 보드타입의 알루미나보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A-A'를 따라 취한 구성의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절연매개체(122)는 용융로 내부가 외부로부터 차단되도록 섹터(121) 상호간의 결속에 기반하여 가압 밀착될 수 있다. 즉, 절연매개체(122)는 섹터(121)들 사이에서 다수 배치되는데, 섹터(121)들의 결속구조에 의한 물리적인 결속힘을 통해 섹터(121)들 사이에 가압되면서, 섹터(121)들의 사이공간을 메우도록 구비될 수 있다.
섹터(121)는 전술한 바와 같이 용융로의 하부챔버(120)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절연매개체(122)는 이웃하는 섹터(121)들과 대응하는 면적, 또는 두께 등으로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섹터(121)는 높이방향상으로 수냉라인(1211, 1212)이 내장될 수 있다. 이러한 수냉라인(1211, 1212)은 상호 이웃하여 적어도 한 쌍으로 다수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어느 하나의 제1 수냉라인(1211)은 냉각수가 투입되어 유동되는 라인일 수 있다. 그리고 다른 하나의 제2 수냉라인(1212)는 냉각수가 배출되도록 유동되는 라인일 수 있다.
따라서 제1 수냉라인(1211)과 제2 수냉라인(1212)를 통한 냉각수 순환 구조를 통해 각 섹터(121)는 용융물 등의 접촉 대상물에 대한 냉각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융로 내부의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융로 내부의 용융물 유동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용융로 내부(121a)에 용융물(M1)은 파동이 없거나 잔잔한 상태로 존재할 수 있다. 반면, 도 5를 참조하면, 용융로 내부(121a)의 용융물(M1)은 내부요인(예: 내부 압력, 가스, 열 등) 또는 외부요인(예: 충격, 진동 등)에 의하여 용융물(M1)의 파동(波動)(M2)이 발생될 수 있다.
용융로 내부에서 용융물(M1)이 파동이 발생됨에 있어서, 도 5에서와 같이 용융물의 수위가 높아진 상태에서는 그 파동(M2)의 수위, 세기, 발생빈도 등이 더 세지게 된다.
특히 이러한 용융물(M1)의 휘몰아치는 형태의 파동(M2)으로 내벽의 절연매개체(122)를 지속반복적으로 때리게 된다. 이러한 경우, 일반적인 운모판은 용융물의 접촉에 따라 그 내구성이 떨어져 용융물(M1), 가스 등의 누설로 이어질 수 있다.
그러나 알루미나보드인 절연매개체(122)는 이러한 용융물(M1)의 파동(M2)에 따른 지속 반복적 접촉에도 충분히 견디는 내구성을 갖춘다. 따라서 용융물(M1), 가스 등의 외부 누설 방지를 위한 안정성과 신뢰성이 담보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10: 상부챔버
111: 투입구
112: 배기체출구
120: 하부챔버
121: 섹터
121a: 용융로 내부
1211: 제1 수냉라인
1212: 제2 수냉라인
130: 배출구
140: 유도코일
150: 수냉바닥판
M1: 용융물
M2: 파동

Claims (4)

  1. 원자력 발전소 방사성 폐기물 처리를 위한 유리화설비의 저온용융로로서,
    통형상체의 적어도 외벽을 이루도록 둘레방향으로 상호 이웃하여 다수 배치되며, 내부측으로 용융로의 용융공간을 형성하는 섹터; 및 상기 섹터들 사이에 위치되어 용융물 또는 가스의 누출방지와 용융물에 의한 손상방지를 위한 알루미나 재질의 절연매개체를 포함하되,
    상기 절연매개체는,
    보드타입인 알루미나보드로 구비되며, 상기 용융로 내부가 외부로부터 차단되도록 상기 섹터 상호간의 결속에 기반하여 가압 밀착되고, 이웃하는 상기 섹터들과 대응하는 면적으로 구비되는, 유리화설비의 저온용융로.
  2. 삭제
  3. 삭제
  4. 원자력 발전소 방사성 폐기물 처리를 위한 유리화설비의 저온용융로 설치방법으로서,
    절연매개체를 사이에두고 둘레방향으로 다수의 섹터가 배치되는 단계; 및
    배치된 상기 섹터들이 둘레방향상에서 상호 밀착 가압 되도록 결속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절연매개체는 알루미나 재질을 포함하되,
    상기 섹터는,
    통형상체의 적어도 외벽을 이루도록 다수 배치되며, 내부측으로 용융로의 용융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절연매개체는,
    상기 섹터들 사이에 위치되어 용융물 또는 가스의 누출방지와 용융물에 의한 손상방지를 위한 것으로서 보드타입인 알루미나보드로 구비되며, 상기 용융로 내부가 외부로부터 차단되도록 상기 섹터 상호간의 결속에 기반하여 가압 밀착되고, 이웃하는 상기 섹터들과 대응하는 면적으로 구비되는, 유리화설비의 저온용융로 설치방법.
KR1020210015118A 2021-02-03 2021-02-03 유리화설비의 저온용융로 및 그 설치방법 KR1024828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5118A KR102482851B1 (ko) 2021-02-03 2021-02-03 유리화설비의 저온용융로 및 그 설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5118A KR102482851B1 (ko) 2021-02-03 2021-02-03 유리화설비의 저온용융로 및 그 설치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1842A KR20220111842A (ko) 2022-08-10
KR102482851B1 true KR102482851B1 (ko) 2022-12-28

Family

ID=82846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5118A KR102482851B1 (ko) 2021-02-03 2021-02-03 유리화설비의 저온용융로 및 그 설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2851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47436A (en) * 1991-04-09 1992-09-15 Corning Incorporated Method for forming flat glass-ceramic articles
KR101162484B1 (ko) 2010-12-13 2012-07-05 주식회사 우진 방사성 폐기물 유리화 설비 온도 측정용 S-Type 온도측정장치 조립체
KR20140064048A (ko) * 2012-11-19 2014-05-28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유리용융로 바닥용 금속섹터 및 유리용융로
TWI759302B (zh) * 2016-05-25 2022-04-01 美商康寧公司 用於玻璃管製造的加熱設備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1842A (ko) 2022-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7467B1 (ko) 아크로의 노벽 및 노덮개용 수냉패널
US4021603A (en) Roof for arc furnace
US7388896B2 (en) Induction melter apparatus
US3829595A (en) Electric direct-arc furnace
US5304701A (en) Melting furnace for treating wastes and a heating method of the same
US20130032978A1 (en) Burner Gland For An Electric Arc Furnace
KR102482851B1 (ko) 유리화설비의 저온용융로 및 그 설치방법
KR101707980B1 (ko) 교체가능한 곡면 냉각패널 플라즈마 저온 용융로
US8142711B2 (en) Forged copper burner enclosure
US4304396A (en) Cooling box for steel-making arc furnace
US20210262657A1 (en) Burner panel for a metallurgical furnace
US4091228A (en) Water cooled shell for electric arc furnaces
US3412195A (en) Intermediate furnace barrier
US4610015A (en) Electrode assembly for arc furnaces
KR102203021B1 (ko) 유리화 저온용융로 이중관 금속섹터
BRPI0211234B1 (pt) Arranjo de montagem para queimador ou lança auxiliar
US5719897A (en) Furnace vessel for a direct current arc furnace
CA1040694A (en) Roof for arc furnace
CN217131782U (zh) 一种电弧炉遮热装置及电弧炉
US6132206A (en) Water cooled finger for pre-heater of furnace top
KR101951805B1 (ko) 용탕배출 장치
EP4025857B1 (en) A burner panel and a method for cooling a burner panel of a metallurgical furnace
KR101307741B1 (ko) 외측면이 곡면 형상인 금속 섹터를 포함하는 유도가열식 저온용융로
CN207828360U (zh) 一种淬火设备
JP3746533B2 (ja) 溶融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