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2681B1 - 주행 안정성이 향상된 견인 구동방식 궤도차량 시스템 - Google Patents

주행 안정성이 향상된 견인 구동방식 궤도차량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2681B1
KR102482681B1 KR1020220085418A KR20220085418A KR102482681B1 KR 102482681 B1 KR102482681 B1 KR 102482681B1 KR 1020220085418 A KR1020220085418 A KR 1020220085418A KR 20220085418 A KR20220085418 A KR 20220085418A KR 102482681 B1 KR102482681 B1 KR 1024826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unit
frame
track
bogi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54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광모
김정배
Original Assignee
이엠티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엠티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엠티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854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26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26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26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CLOCOMOTIVES; MOTOR RAILCARS
    • B61C3/00Electric locomotives or railc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3/00Other railway systems
    • B61B13/02Rack rail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CLOCOMOTIVES; MOTOR RAILCARS
    • B61C11/00Locomotives or motor railca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means applying the tractive effort; 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running gear other than normal driving wheel
    • B61C11/04Locomotives or motor railca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means applying the tractive effort; 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running gear other than normal driving wheel tractive effort applied to r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CLOCOMOTIVES; MOTOR RAILCARS
    • B61C9/00Locomotives or motor railca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transmission system used;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locomotives or motor railcars
    • B61C9/38Transmission systems in or for locomotives or motor railcars with electric motor propul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7/00Construction details of vehicle bodies
    • B61D17/04Construction details of vehicle bodies with bodies of metal; with composite, e.g. metal and wood body structures
    • B61D17/12Roof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FRAIL VEHICLE SUSPENSIONS, e.g. UNDERFRAMES, BOGIES OR ARRANGEMENTS OF WHEEL AXLES; RAIL VEHICLES FOR USE ON TRACKS OF DIFFERENT WIDTH; PREVENTING DERAILING OF RAIL VEHICLES; WHEEL GUARDS, OBSTRUCTION REMOVERS OR THE LIKE FOR RAIL VEHICLES
    • B61F5/00Constructional details of bogies; Connections between bogies and vehicle underframes; Arrangements or devices for adjusting or allowing self-adjustment of wheel axles or bogies when rounding curves
    • B61F5/02Arrangements permitting limited transverse relative movements between vehicle underframe or bolster and bogie; Connections between underframes and bogies
    • B61F5/22Guiding of the vehicle underframes with respect to the bog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FRAIL VEHICLE SUSPENSIONS, e.g. UNDERFRAMES, BOGIES OR ARRANGEMENTS OF WHEEL AXLES; RAIL VEHICLES FOR USE ON TRACKS OF DIFFERENT WIDTH; PREVENTING DERAILING OF RAIL VEHICLES; WHEEL GUARDS, OBSTRUCTION REMOVERS OR THE LIKE FOR RAIL VEHICLES
    • B61F5/00Constructional details of bogies; Connections between bogies and vehicle underframes; Arrangements or devices for adjusting or allowing self-adjustment of wheel axles or bogies when rounding curves
    • B61F5/38Arrangements or devices for adjusting or allowing self- adjustment of wheel axles or bogies when rounding curves, e.g. sliding axles, swinging axles
    • B61F5/44Adjustment controlled by movements of vehicle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GCOUPLINGS; DRAUGHT AND BUFFING APPLIANCES
    • B61G5/00Couplings for special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G5/02Couplings for special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upling articulated trains, locomotives and tenders or the bogies of a vehicle; Coupling by means of a single coupling bar; Couplings preventing or limiting relative lateral movement of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5/00Tracks for special kinds of railways
    • E01B25/02Tracks for rack railways
    • E01B25/04Rack rails; Supports or connections for rack r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5/00Tracks for special kinds of railways
    • E01B25/22Tracks for railways with the vehicle suspended from rigid supporting r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견인 구동방식 궤도차량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다수의 레일모듈이 연결된 궤도부를 따라 견인 방식에 의해 궤도차량의 주행이 이루어지고, 수평조절부에 의해 궤도차량의 차체부에 대한 수평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궤도차량의 주행 안정성을 향상시킨 견인 구동방식 궤도차량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궤도부를 따라 궤도차량의 주행이 이루어지는 궤도차량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궤도차량은, 궤도부를 따라 주행이 이루어지는 동력대차부; 동력대차부의 상측에 장착되는 수평조절부; 수평조절부에 안착설치되고 탑승객의 승하차가 이루어지는 차체부;를 포함하되, 상기 동력대차부는, 샤시프레임과, 샤시 프레임의 일측단 하측에 설치되어 궤도부에 구름접촉되며 이동되도록 설치되는 제1대차부와, 샤시 프레임의 타측단 하측에 설치되어 궤도부에 구름접촉되며 이동되도록 설치되는 제2대차부와, 샤시 프레임에 연결되지 않도록 제1대차부와 제2대차부 사이에 배치되고, 제2대차부에 조인트 연결되며, 구동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궤도부를 따라 이동되는 하나 이상의 동력부;를 포함하여, 동력부에 의한 제2대차부의 견인에 의해 궤도부를 따라 궤도차량의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주행 안정성이 향상된 견인 구동방식 궤도차량 시스템{Traction-type track vehicle system with excellent driving safety}
본 발명은 주행 안정성이 향상된 견인 구동방식 궤도차량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동력부에 의한 대차부의 견인에 의해 궤도차량의 주행이 이루어지고, 궤도차량의 차체부에 대한 수평조절이 이루어지며, 별도의 거더 설치없이 다수의 레일모듈 연결에 의해 궤도부가 견고하게 구성되도록 하여, 궤도부를 따라 궤도차량의 주행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견인 구동방식 궤도차량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궤도차량 시스템은 레일을 따라 주행되어지는 교통기관을 일컫는 것으로, 단궤조(單軌條) 위를 달리는 모노레일(Monorail), 지상 및 지하를 따라 이동되는 철도차량, 경전철, 지하철 등등을 포함하며, 전기의 공급에 의해 모터가 구동되어 레일을 따라 운반대차의 주행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궤도차량 시스템은 지역간 승객의 이동을 위하여 운용되어지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나, 최근에는 관광지나 유원지 등에 설치되어, 관광을 위해 승객을 이송시키거나 과수원, 산악 등에 설치되어 과수물, 자재 및 작업자를 이송시키는 수단으로 널리 사용되어지고 있다.
특히, 모노레일(Monorail)용 궤도차량 시스템은, 단궤조(單軌條) 위를 달리는 교통기관을 일컫는 것으로, 도심지에서 높은 지주의 사이를 빔으로 연결하여 차량을 주행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나, 보다 간단한 구조를 가지고 관광지나 유원지에 설치되어 승객을 이송시키거나, 과수원, 산악 등에 설치되어 과수물, 자재 및 작업자를 이송시키는 수단으로 널리 사용되어지고 있다.
상기와 같은 모노레일용 궤도차량 시스템은 주로 단일 레일로 이루어져 있으나, 최근에는 주행안정성 및 주행성을 고려하여 2선 레일 또는 3선 레일로 이루어진 궤도부를 따라 궤도차량(모노레일 카)의 주행이 이루어지는 궤도차량 시스템이 사용되어지고 있다.
종래의 궤도차량 시스템은 승객의 탑승이 이루어지는 차체부와, 차체부의 플로어 밑에 연결설치되는 대차부를 포함하고, 상기 대차부는 궤도부를 따라 주행이 이루어지도록 동력수단이 일체로 구비되어 있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궤도차량 시스템은 대차부에 동력수단이 일체로 구성되어 있어, 동력수단에 이상이 발생될 경우, 이를 교체하기 위해서는 동력수단이 구비된 대차부 전체가 차체부로부터 분리되어야 하므로, 동력수단의 수리/교체를 위해서는 차체부를 지지하기 위한 별도의 지지수단이 필요하며, 이로 인해 설비비가 증가될 뿐 아니라, 지지수단의 설치 및 보관을 위한 별도의 공간이 확보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종래의 궤도차량 시스템은 동력수단과 대차부가 일체로 구성되어 있어, 구조가 복잡해지고 설계가 어려울 뿐 아니라, 조립시간 및 조립공수 증가에 의해 작업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동력수단이 일체화된 대차부는 고중량을 구비하게 되어, 이를 차체부로부터 분리하여 수리/교체하기 위한 작업자체에 어려움이 발생되고 있다. 특히, 18인승 이상의 대형 궤도차량 시스템의 경우, 대차부의 부피 및 중량이 더더욱 증가되므로, 이에 대한 분리/수리/교체 작업에 많은 어려움이 발생되고 있다.
또한, 종래의 궤도차량 시스템은 동력수단을 구비한 대차부에 차체부가 장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어, 평지구간 또는 경사가 급하지 않은 구간에서는 궤도차량의 주행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나, 과수원, 산악 또는 언덕지대 등은 경사가 급하게 형성되어 있어, 설치된 궤도부의 경사진 상태에 따라 승객이 탑승되는 궤도차량 역시 경사진 상태로 운행되어지고 있으며, 이로 인해 궤도차량의 주행 시, 승객의 안전에 위험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 궤도차량 시스템의 궤도차량은, 동력수단을 구비한 대차부와 승객의 탑승이 이루어지는 차체부가 일체로 구성되어 있어, 경사면의 각도에 따라 궤도부의 각도가 변화할 경우, 궤도부의 각도에 따라 궤도차량의 각도도 함께 변화되어, 승객의 안전성 및 승차감이 저하되는 현상이 발생되고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대차부와 차체부가 다수의 실린더에 의해 연결되도록 구성하여, 궤도부의 경사각도에 따라 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차체부가 수평상태로 유지되도록 한 것도 있으나, 차체부의 수평각도 및 하중이 다수의 실린더에 의해 지지되므로, 변화되는 궤도부의 각도에 맞추어 차체부의 수평이 유지되도록 실린더의 실시간 동기 제어가 어려울 뿐 아니라, 탑승하는 승객의 수 및 승객의 이동에 따라 차체부의 하중이 변화하게 되므로, 실린더의 작동범위가 일정하지 않게 되고 이로 인해 차체부의 수평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없는 등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2066513(2020.01.09)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561836(2015.10.14)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2228872(2021.03.11)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600642(2006.07.06)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의 레일모듈이 연결된 궤도부를 따라 견인 방식에 의해 궤도차량의 주행이 이루어지고, 수평조절부에 의해 궤도차량의 차체부에 대한 수평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궤도차량의 주행 안정성을 향상시킨 견인 구동방식 궤도차량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대차부와 동력부가 별도 구성되고, 동력부에 의해 대차부가 견인작동에 의해 궤도차량의 주행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궤도차량의 주행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고, 동력부의 수리/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주행 안정성이 향상된 견인 구동방식 궤도차량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차체부와 동력대차부가 수평조절부에 의해 연결되어, 평지구간 또는 경사구간에 관계없이 차체부의 수평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이를 통해 탑승객의 안정성 및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견인 구동방식 궤도차량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궤도부가 거더의 설치없이 레일부 자체가 거더 기능을 구비하도록 구성되어, 시공성과 원가비용이 절감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직진성 및 견고성을 구비하는 견인 구동방식 궤도차량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소형 및 중형 궤도차량 시스템뿐 아니라, 18인승 이상의 대형 궤도차량 시스템에도 적용되어 궤도차량의 안정적인 주행이 이루어질 수 있는 주행 안정성이 향상된 견인 구동방식 궤도차량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궤도부를 따라 궤도차량의 주행이 이루어지는 궤도차량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궤도차량은, 궤도부를 따라 주행이 이루어지는 동력대차부; 동력대차부의 상측에 장착되는 수평조절부; 수평조절부에 안착설치되고 탑승객의 승하차가 이루어지는 차체부;를 포함하되, 상기 동력대차부는, 샤시프레임과, 샤시 프레임의 일측단 하측에 설치되어 궤도부에 구름접촉되며 이동되도록 설치되는 제1대차부와, 샤시 프레임의 타측단 하측에 설치되어 궤도부에 구름접촉되며 이동되도록 설치되는 제2대차부와, 샤시 프레임에 연결되지 않도록 제1대차부와 제2대차부 사이에 배치되고, 제2대차부에 조인트 연결되며, 구동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궤도부를 따라 이동되는 하나 이상의 동력부;를 포함하여, 동력부에 의한 제2대차부의 견인에 의해 궤도부를 따라 궤도차량의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궤도부는, 다수의 레일모듈이 신축이음재에 의해 연결되어 궤도차량(모노레일 차량)의 주행이 이루어지는 레일부와, 신축이음재에 의해 연결된 2개의 레일모듈이 동시에 지지되는 지주부를 포함하되, 상기 레일모듈은, 소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는 좌우 한 쌍의 트러스 레일과, 트러스 레일 간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양단이 한 쌍의 트러스 레일에 연결설치되는 다수의 간격유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지주부는, 지면에 고정설치되는 하단지주와, 하단지주의 상단에 핀볼트에 의해 결합되고 방사형으로 상향경사지게 분기된 다수의 가지지주가 이웃하는 2개의 레일모듈을 지지하도록 형성된 상단지주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은 동력대차부가 대차부와 동력부가 분리구성되어 연결되고, 동력부에 의해 대차부가 견인되어 구동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있어, 대차부 또는 동력부의 이상발생 시, 수리/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궤도차량 시스템의 운행효율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제1대차부가 롤링, 피칭, 요잉 동작이 이루어지는 3축 구조로 구성되고, 제2대차부가 피칭, 요잉 동작이 이루어지는 2축 구조로 구성되어 있어, 경사구간, 코너구간, 굴곡구간 등에 대하여 궤도차량의 안정적인 운행이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피칭 및 요잉 동작이 이루어지는 제2대차부가 동력부에 의해 견인작동되도록 되어 있어, 제1대차부의 롤링, 피칭, 요잉 동작이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평지구간 뿐 아니라 경사구간에 대해서도 궤도차량의 안정적인 주행이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동력부가 조인트에 의해 직렬로 연결되도록 되어 있어, 일측 동력부에 이상이 발생되더라도 또다른 동력부에 의해 제2대차부의 견인이 이루어지므로, 궤도차량의 운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동력부가 직렬연결될 수 있어, 필요에 따라 하나 이상의 동력부가 동시작동될 수 있으므로, 급경사구간에 대하여, 18인승 이상의 대형 궤도차량에 대한 주행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동력부가 제1,2대차부 사이에 설치되도록 되어 있어, 동력부의 외부노출이 방지되고, 이를 통해 외부에서 동력부로의 이물질 유입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동력부는 대차부와 분리구성되어 있으면서, 차체부와 제1,2대차부에 둘러싸이도록 구성되어 있어, 외부요인으로 인한 충격 또는 영향이 차단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동력부와 대차부가 분리구성되어 있어, 소형, 중형, 대형 궤도차량에 따라 적절한 출력을 구비한 동력부의 선택 설치가 가능하므로, 궤도차량 시스템의 효율적인 구성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동력대차부와 차체부 사이에 수평조절부가 설치되어 있어, 평지구간 및 경사구간에서도 차체부의 수평이 조절되므로, 탑승객의 안정성 및 승차감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수평조절부가 고정브래킷과 틸팅프레임 및 틸팅구동부로 이루어지는 간단한 구성의 모듈로 이루어져 있어, 이상발생시 해당 모듈에 대한 수리 또는 교체가 이루어질 수 있어, 유지보수 및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궤도부가 레일부와 지주부로 구성되고, 상기 레일부가 모듈화된 다수의 레일모듈이 신축이음재에 의해 연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궤도부의 설치시공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레일모듈은, 지주부간의 거더기능과 궤도차량(모노레일 카)의 주행을 위한 레일기능이 동시에 구비되도록 구성되어 있어, 트러스트 구조로 이루어진 한 쌍의 트러스 레일과 다수의 간격유지재로 구성되어, 별도의 거더 설치없이 지주부 간에 연결설치가 가능할 뿐 아니라, 거더를 구비한 레일부에 비해 경량성을 구비하여 현장으로의 운반 및 설치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레일모듈은 한 쌍의 트러스 레일과 간격유지재의 결합으로 구성되어 있어, 1∼20m 길이를 구비하도록 제작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10인승 미만의 소형 궤도차량 또는, 10인승에서 18인승 미만의 중형 궤도차량 또는, 18인승 이상의 대형 궤도차량의 주행용 궤도부로 사용되어질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레일모듈은 5∼20m 길이를 구비하여도 18인승 이상의 대형 궤도차량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강성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레일모듈이 한 쌍의 트러스 레일이 다수의 간격유지재에 의해 조립되도록 구성되어 있어, 공장에서의 생산조립 후 현장으로의 운반이 가능할 뿐 아니라, 현장에서 직접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수의 레일모듈이 신축이음재에 의해 상호 연결되도록 되어 있어, 온도변화에 의해 레일에 신축되어도 궤도차량(모노레일 카)의 주행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뿐 아니라, 궤도부의 전체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레일모듈이 발판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어, 안전점검을 위한 점검발판 또는 대피로가 별도 설치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레일모듈은 3선 레일 또는 2선 레일로 구성될 수 있어, 다양한 궤도차량(모노레일 카)에 적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지주부는 다수의 가지지주를 구비하도록 되어 있어, 이웃하는 2개의 레일모듈이 하나의 지주부에 의해 지지되므로, 지주부의 설치개수가 절감되고 이를 통해 작업시간 및 설치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거더기능을 구비하는 레일모듈이 신축이음재에 의해 연결되고, 레일모듈의 연결부위에 지주부가 설치되도록 되어 있어, 지주간 간격을 넓게 설정할 수 있는 등 많은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수평조절부와 동력대차부 및 궤도부의 연결관계를 보인 예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결합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제1대차부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제2대차부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피봇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동력부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수평조절부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차체부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통로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궤도부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일모듈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일모듈의 조립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일모듈의 일측면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신축이음재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지주부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지주부의 조립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지주부의 조립구성을 보인 또다른 예시도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수평조절부와 동력대차부 및 궤도부의 연결관계를 보인 예시도를,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결합상태를 보인 예시도를,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제1대차부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제2대차부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피봇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동력부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수평조절부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차체부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통로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11 은 본 발명에 따른 궤도부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12 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일모듈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13 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일모듈의 조립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14 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일모듈의 일측면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15 는 본 발명에 따른 신축이음재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16 은 본 발명에 따른 지주부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17 은 본 발명에 따른 지주부의 조립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18 은 본 발명에 따른 지주부의 조립구성을 보인 또다른 예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은 궤도부(300)를 따라 궤도차량(700)의 주행이 이루어지는 궤도차량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궤도차량(700)은, 궤도부(300)를 따라 주행이 이루어지는 동력대차부(500); 동력대차부(500)의 상측에 장착되는 수평조절부(600); 수평조절부(600)에 안착설치되고 탑승객의 승하차가 이루어지는 차체부(400);를 포함하되,
상기 동력대차부(500)는, 샤시프레임(530)과, 샤시 프레임(530)의 일측단 하측에 설치되어 궤도부(300)에 구름접촉되며 이동되도록 설치되는 제1대차부(510)와, 샤시 프레임(530)의 타측단 하측에 설치되어 궤도부(300)에 구름접촉되며 이동되도록 설치되는 제2대차부(520)와, 샤시 프레임(530)에 연결되지 않도록 제1대차부(510)와 제2대차부(520) 사이에 배치되고, 제2대차부(520)에 조인트 연결되며, 구동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궤도부(300)를 따라 이동되는 하나 이상의 동력부(540);를 포함하여,
동력부(540)에 의한 제2대차부(520)의 견인에 의해 궤도부(300)를 따라 궤도차량(700)의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동력대차부(500)는, 도 1 내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시프레임(530)의 하측 양단(전후단)에 제1대차부(510)와 제2대차부(520)가 연결설치되고, 제1대차부(510)와 제2대차부(520) 사이에 동력부(540)가 배치되며, 상기 동력부(540)는 제2대차부(520)에 조인트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동력부(540)의 구동력에 의해 제2대차부(520)의 견인이 이루어져, 궤도차량(700)의 주행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동력대차부(500)는 샤시프레임(530)에 제1,2대차부(510,520)가 연결설치되고, 제1,2대차부(510,520) 사이에 제2대차부(520)에 연결되도록 동력부(540)가 배치되되, 상기 동력부(540)는 샤시프레임(530)에 연결되지 않고 샤시프레임(530) 하측에 독립적으로 구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샤시프레임(530)은 상측에 수평조절부(600)가 설치되고, 하측에 제1,2대차부(510,520)가 연결설치된다.
또한, 상기 샤시프레임(530)에는 도 1 내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력부(540)로 전원를 공급하기 위한 충전용 배터리부(531)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충전용 배터리부(531)는 수평조절부(600)의 동작에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샤시프레임(530) 일측에 설치되며, 유/무선 방식에 의해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샤시프레임(530)에는 전차선(도시없음)에 의해 동력부(540)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532)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공급부(532)는 충전용 배터리부(531)와 연결되어, 궤도차량(700)의 주행이 이루어지면서 배터리부의 충전이 함께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궤도차량 시스템은, 충전용 배터리부(531)와 전차선에 의해 전원이 공급되는 하이브리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대차부(510)는, 궤도차량(700)의 주행방향(A)에 대하여 전단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고, 롤링(R), 피칭(P), 요잉(Y) 동작이 이루어지는 3축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제1대차부(510)는,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시프레임(530)과 연결설치되는 레일프레임(511)과, 레일프레임(511)과 스윙핀(513)에 의해 연결되는 스윙프레임(512)과, 레일프레임(511)의 양끝단에 상측이 연결되고 스윙프레임(512)에 하측이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완충기(514)와, 스윙프레임(512)의 양단에 스티어링 피봇(515)을 매개로 각각 연결설치되고 궤도부(300)에 구름접촉되는 다수의 롤러(516a)가 구비된 한 쌍의 트레일러 서브블록(516)과, 한 쌍의 트레일러 서브블록(516)에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연결설치되는 스티어링 링크 바(517)를 포함하여, 스윙핀(513)을 중심으로 하는 롤링(R), 스티어링 피봇(515)을 중심으로 하는 피칭(P) 및 요잉(Y)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레일프레임(511)은 고무 마운트 등의 마운트 댐퍼(511a)를 매개로 샤시프레임(530)에 연결설치되며, 중앙 하측이 스윙핀(513)에 의해 연결되어 완충기(514)가 설치된 양단이 스윙핀(513)을 중심으로 스윙(롤링)작동되도록 스윙프레임(512)에 연결설치된다. 즉, 상기 레일프레임(511)은 스윙핀(513)을 중심으로 양단이 동일범위로 스윙(롤링)작동되도록 스윙프레임(512)에 연결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레일프레임(511)에는, 스윙핀(513)이 연결되는 센터브래킷(511b)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스윙프레임(512)은, 레일프레임(511)이 상측에 위치하도록 스윙핀(513)에 의해 중앙이 레일프레임(511)에 연결되고, 한 쌍의 트레일러 서브블록(516)이 하측에 위치하도록 스티어링 피봇(515)에 의해 양측이 트레일러 서브블록(516)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완충기(514)는 스윙핀(513)을 중심으로 하는 레일프레임(511) 또는 스윙프레임(512)의 스윙(롤링)동작 시, 충격을 완충시키는 것으로, 상단이 레일프레임의 양끝단에 구비된 상단브래킷(511c)에 연결되고, 하단이 스윙프레임(512)의 양끝단에 구비된 하단브래킷(512a)에 연결설치된다. 이때, 상기 완충기(514)는 스티어링 피봇(515)에 의해 스윙프레임(512)에 연결설치된 트레일러 서브블록(516)의 작동에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설치된다.
상기 트레일러 서브블록(516)은 스티어링 피봇(515)을 중심으로 피칭(P) 및 요잉(Y) 동작되면서 궤도부(300)를 따라 이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스티어링 피봇(515)은, 도 6 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윙프레임(512)에 고정설치되는 어퍼하우징(515a)과, 어퍼하우징(515a)에 대하여 베어링 지지되도록 어퍼하우징(515a)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어퍼회전축(515b)과, 어퍼 회전축(515b)의 하단에 어퍼회전축(515b)과 일체로 연결설치되는 로우하우징(515c)과, 로우하우징(515c)에 대하여 베어링 지지되도록 로우하우징(515c)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양단이 트레일러 서브블록(516)에 연결설치되는 피칭핀(515d)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어퍼하우징(515a)은 상단에 베어링 커버(515e)가 설치되고, 상기 베어링 커버(515e)는 어퍼회전축(515b)에 결합되는 와셔(515f) 및 너트(515g)에 의해 고정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스티어링 피봇(515)은 어퍼회전축(515b)과 피칭핀(515d)이 수직으로 배치되어, 어퍼회전축(515b)을 중심으로 하는 요잉(Y)동작 및, 피칭핀(515d)을 중심으로 하는 피칭(P)동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트레일러 서브블록(516)은, 피칭핀(515d)을 중심으로 하는 피칭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중간이 스티어링 피봇(515)에 연결되고, 양단 즉, 전/후단에 궤도부(300)의 레일상면에 구름접촉되는 다수의 롤러(516a)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트레일러 서브블록(516)은 궤도부(300)의 레일측면에 구름접촉되는 다수의 사이드롤러(516b)가 더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사이드롤러(516b)는 한 쌍의 트레일러 서브블록(516)에 대하여 모두 설치되거나, 일측 트레일러 서브블록에 설치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한 쌍의 트레일러 서브블록(516)이 스티어링 링크 바(517)에 의해 연결되므로, 일측 트레일러 서브블록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티어링 링크 바(517)는 한 쌍의 트레일러 서브블록(516)의 작동이 동기화되도록 하는 것으로, 양단이 각각 트레일러 서브블록(516)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스티어링 링크 바(517)는 하나만 설치되어도 한 쌍의 트레일러 서브블록(516)의 작동에 대한 동기화가 이루어질 수 있으나, 트레일러 서브블록(516)의 전/후단에 각각 연결되도록 2개의 스티어링 링크 바(516)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한 쌍의 트레일러 서브블록이 2개의 스티어링 링크 바에 의해 연결될 경우, 상기 한 쌍의 트레일러 서브블록와 2개의 스티어링 링크 바는 평행사변형 링크구조를 구비하게 되어, 트레일러 서브블록의 피칭(P) 및 요잉(Y) 동작에 대한 동기화가 더욱 정밀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제1대차부(510)는 스윙프레임(512)에 연결설치되어 제1대차부(510)의 들림(이탈)현상을 방지하는 언더롤러(51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언더롤러(518)는 소정길이를 구비하는 롤러브래킷(518a)에 의해 스윙프레임(512) 하측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설치되어, 트레일러 서브블록의 롤러(516a)가 궤도부(300)의 레일상면에 구름접촉될 시, 궤도부(300)의 레일하면에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고, 제1대차부(510)의 들림현상이 발생될 시, 궤도부(300)의 레일하면에 접촉지지됨으로써, 제1대차부(510)의 들림(이탈)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제2대차부(520)는 궤도차량(700)의 주행방향(A)에 대하여 후단측에 배치되고 동력부(540)에 연결되어 견인되고, 피칭(P) 및 요잉(Y) 동작이 이루어지는 2축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제2대차부(520)는,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시프레임(530)과 연결설치되고 동력부(540)와 조인트 연결되는 레일프레임(521)과, 레일프레임(521)의 양단에 스티어링 피봇(525)을 매개로 각각 연결설치되고 궤도부(300)에 구름접촉되는 다수의 롤러(526a)가 구비된 한 쌍의 트레일러 서브블록(526)과, 한 쌍의 트레일러 서브블록(526)에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연결설치되는 스티어링 링크 바(527)를 포함하여, 스티어링 피봇(525)을 중심으로 피칭 및 요잉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레일프레임(521)은 고무 마운트 등의 마운트 댐퍼(521a)를 매개로 샤시프레임(530)에 연결설치되며, 일측에 동력부(540)에 조인트 연결되는 연결플랜지(521b)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트레일러 서브블록(526)은 스티어링 피봇(525)을 매개로 레일프레임(521)에 연결되어 있으며, 스티어링 피봇(525)을 중심으로 피칭 및 요잉동작되어 궤도부(300)를 따라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상기 스티어링 피봇(525)은, 도 6 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프레임(521)에 고정설치되는 어퍼하우징(525a)과, 어퍼하우징(525a)에 대하여 베어링 지지되도록 어퍼하우징(525a)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어퍼회전축(525b)과, 어퍼 회전축(525b)의 하단에 어퍼회전축(525b)과 일체로 연결설치되는 로우하우징(525c)과, 로우하우징(525c)에 대하여 베어링 지지되도록 로우하우징(525c)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양단이 트레일러 서브블록(526)에 연결설치되는 피칭핀(525d)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어퍼하우징(525a)은 상단에 베어링 커버(525e)가 설치되고, 상기 베어링 커버(525e)는 어퍼회전축(525b)에 결합되는 와셔(525f) 및 너트(525g)에 의해 고정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스티어링 피봇(525)은 어퍼회전축(525b)과 피칭핀(525d)이 수직으로 배치되어, 어퍼회전축(525b)을 중심으로 하는 요잉(Y) 동작 및, 피칭핀(515d)을 중심으로 하는 피칭(P) 동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대차부의 스티어링 피봇(525)은 제1대차부에 구비된 스티어링 피봇(515)과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어퍼하우징(525a)이 레일프레임(521)에 고정설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트레일러 서브블록(526)은 피칭핀(525d)을 중심으로 하는 피칭(P)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스티어링 피봇(525)에 중간부분이 연결되고, 양단 즉, 주행방향(A)의 전/후단에 궤도부(300)의 레일상면에 구름접촉되는 다수의 롤러(526a)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트레일러 서브블록(526)은 궤도부(300)의 레일측면에 구름접촉되는 다수의 사이드롤러(526b)가 더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사이드롤러(526b)는 한 쌍의 트레일러 서브블록(526)에 대하여 모두 설치되거나, 일측 트레일러 서브블록에 설치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한 쌍의 트레일러 서브블록(526)이 스티어링 링크 바(527)에 의해 연결되므로, 일측 트레일러 서브블록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티어링 링크 바(527)는 한 쌍의 트레일러 서브블록(526)이 동기화되어 작동되도록 하는 것으로, 양단이 각각 트레일러 서브블록(526)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2대차부(520)는 레일프레임(521)에 연결설치되어 제2대차부(520)의 들림(이탈)현상을 방지하는 언더롤러(52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언더롤러(528)는 소정길이를 구비하는 롤러브래킷(528a)에 의해 레일프레임(521) 하측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설치되어, 트레일러 서브블록의 롤러(526a)가 궤도부(300)의 레일상면에 구름접촉될 시, 궤도부(300)의 레일하면에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고, 제2대차부(520)의 들림현상이 발생될 시, 궤도부(300)의 레일하면에 접촉지지됨으로써, 제2대차부(520)의 들림(이탈)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2대차부(520)는 도 2 및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프레임(521)이 동력부(530)에 조인트 결합되어, 동력부(530)의 구동력에 의해 견인됨으로써, 궤도부(300)를 따라 이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동력부(540)는,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궤도부(300)를 따라 구름접촉되며 이동되는 다수의 아이들 롤러가 구비되고, 제2대차부에 조인트 결합되는 트레인 프레임(541)과, 트레인 프레임(541)에 고정설치되는 구동모터(542)와, 트레인 프레임(541)에 장착되고 구동모터(542)가 연결설치되어 구동모터(542)의 구동력을 감속시키는 감속기(543)와, 감속기(543)의 출력축(도시없음)에 연결설치되고 궤도부의 랙기어(130)에 치합되며 이동되는 피니언 기어(544)를 포함한다.
상기 트레인 프레임(541)은 제2대차부(520)와 조인트 연결되어 제2대차부(520)를 견인하는 기능, 궤도부(300)를 따라 동력부(540)가 원활하게 이동되도록 지지하는 기능 및, 궤도부의 랙기어(130)에 피니언 기어(544)가 일정하게 치합되도록 지지하여 동력전달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상기 트레인 프레임(541)은, 구동모터(542) 및 감속기(543)가 장착되고 제2대차부(520)에 조인트 연결되는 프레임 본체(541a)와, 궤도부(300)의 레일상면에 구름접촉되도록 프레임 본체(541a)에 설치되는 다수의 아이들 롤러(541b)와, 궤도부(300)의 레일측면에 구름접촉될 수 있도록 프레임 본체(541a)에 설치되는 다수의 사이드 롤러(541c)와, 궤도부(300)의 레일하면 하측에 위치하도록 프레임 본체(541a)에 설치되어 동력부(540)의 이탈을 방지하는 언더롤러(541d)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동력부(540)는, 제1대차부(510)와 제2대차부(520) 사이에 한 대의 동력부가 배치되고, 제2대차부(52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동력부(540)는, 제1대차부(510)와 제2대차부(520) 사이에 두 대 이상의 동력부가 조인트 결합되어 일렬로 연결되고, 제2대차부에 이웃하는 한 대의 동력부가 제2대차부에 조인트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일 예로, 도 2 및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동력부(540a,540b)가 일렬로 연결 배치되고, 제2동력부(540b)가 제2대차부(520)에 조인트 연결되어, 제1,2동력부(540a,540b)의 구동력에 의해 제2대차부(520)가 견인되거나, 제1동력부(540a) 또는 제2동력부(540b)의 구동력에 의해 제2대차부(520)의 견인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동력부(540)는 제2대차부(520)와 유니버셜 조인트(550)에 의해 연결되고, 제1동력부(500a)와 제2동력부(500b)는 토잉 블록(towing block) 방식의 유니버셜 조인트(56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력부(540)는 변속을 위한 전자클러치(545)와, 안전을 위한 브레이크(546)가 감속기(543)에 더 설치되어, 동력부(540)에 의한 주행이 원활하고 안전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동력부(540)는 동력부의 주행이 더욱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서포트 롤러(547)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서포트 롤러(547)는 궤도부(300)의 일측에 구름접촉되도록 서포트 브래킷(547a)에 의해 트레인 프레임(541)의 일측에 연결설치되어, 동력부(540)의 좌우방향 유동을 방지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동력부(540)는 필요에 따라 제2대차부(520)가 아닌 제1대차부(510)에 조인트 연결되고, 동력부(540)에 의한 제1대차부(510)의 밀림구동에 의해 궤도차량(700)의 주행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력부(540)는 피니언 기어의 정/역회전 구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경우, 동력부(540)에 의한 제2대차부(520)의 밀림구동에 의해 궤도차량(700)의 후진 주행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수평조절부(600)는 궤도차량(700)의 수평이 유지되도록 자동조절되는 것으로, 고정브래킷(610)과 틸팅프레임(630) 및 틸팅구동부(640)가 연결되어 하나의 모듈화되어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수평조절부(600)는,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력대차부(500)에 고정설치되는 고정브래킷(610)과, 고정브래킷(610)에 회전가능하도록 힌지축(620)에 의해 연결되고 상단이 차체부(400)에 고정설치되는 틸팅프레임(630)과, 고정브래킷(610)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설치되고, 상단이 틸팅프레임(630)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연결설치되는 틸팅구동부(640)를 포함하여, 틸팅구동부(640)의 구동에 의해 힌지축(620)을 중심으로 틸팅프레임(630)이 회전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고정브래킷(610)은 차체부(400)의 하중을 지지하면서 틸팅프레임(630)의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힌지축(620)을 베어링 지지하는 것으로, 힌지축(620)의 양단이 베어링 지지되도록 한 쌍이 소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된다.
상기 틸팅프레임(630)은 힌지축(620)이 삽입설치되는 힌지프레임(631)과, 차체부에 고정설치되는 고정프레임(632)과, 힌지프레임(631)에서 고정브래킷(632)에 연결되는 다수의 연결프레임(633)을 포함한다.
즉, 상기 틸팅프레임(630)은 힌지프레임(631)을 꼭지점으로 하여 다수의 연결프레임(633)이 방사형 또는 트러스 구조로 형성되어 고정프레임(632)에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틸팅구동부(640)는 틸팅프레임(630) 즉, 틸팅프레임의 고정프레임(632)에 스크류 로드(641a) 끝단이 연결설치되는 스크류 실린더(641)와, 스크류 실린더(641)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642)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구동모터(642)는 스크류 실린더(641)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감속기(643)를 매개로 스크류 실린더(641)에 연결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틸팅구동부(640)는, 틸팅프레임(630) 및 동력대차부(500)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수평조절부(600)는, 차체부(400)의 수평상태 유지여부에 따라, 틸팅구동부의 구동모터(642)에 의해 스크류 실린더(641)가 자동 작동되고, 상기 스크류 실린더(641)의 작동에 의해 틸팅프레임(630)이 힌지축(620)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틸팅프레임(630)에 고정된 차체부(400)에 대한 수평조절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차체부(400)의 수평상태 유지여부는 별도 설치된 감지센서(도시없음)에 의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모듈화되어 구성된 수평조절부(600)는,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력대차부(500) 및 차체부(400)에 연결되도록 하나 이상이 설치되어 동기작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차체부(400)는 도 9 및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루프패널(412)을 기준으로 공조기(460)가 설치된 루프공간(440)과, 승객의 탑승이 이루어지는 탑승공간(450)을 구비하고, 상기 루프공간(440)은 공기통로(430)에 의해 외부로 연통되며, 상기 탑승공간(450)은 도어 또는 창문(451)에 의해 외부와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궤도차량의 차체부는 골격프레임에 FRP 수지로 이루어진 외장패널이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공조기가 설치되는 루프공간은 외장패널에 의해 폐쇄된 구조를 구비하도록 되어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차체부(400)는 루프공간(440)이 공기통로(430)에 의해 외부로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차체부(400)의 이동에 따른 공기흐름에 의해 루프공간(440)내로 공조기(460)에서 발생되는 열의 외부방출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차체부(400)는, 수평조절부(600)에 안착되도록 장착되고, 공조기(460)가 설치된 루프공간(440)이 덕트구(411)에 의해 외부와 연통되도록 형성된 바디(410)와, 덕트구(411)가 내측에 위치하도록 덕트구의 상단플랜지(411a)에 고정설치되는 루프커버(420)를 포함하되,
상기 루프커버(420)는, 바디(410)와의 사이에 제1공기통로(431)가 구비되도록 루프커버의 하단(420a)이 바디(410)에 이격되고, 덕트구(411)와 루프커버(420) 사이에 제2공기통로(432)가 구비되도록 덕트구의 상단플랜지(411a)에 상단패널(420b)가 설치되며,
상기 덕트구(411)는, 루프커버의 상단패널(420b)과의 사이에 제2공기통로(432) 및 루프공간(440)과 연통되는 제3공기통로(433)가 구비되도록 형성되어,
제1,2,3공기통로(431,432,433)에 의해 차체부(400)의 주행방향으로 외부에서 루프공간(440)내로 연통되는 공기통로(430)가 형성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바디(410)는 골격프레임(412)에 외장패널(413)이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루프패널(412)을 기준으로 공조기(460)가 설치되는 루프공간(440)과, 승객의 탑승이 이루어지는 탑승공간(450)으로 분리구획된다.
또한, 상기 덕트구(411)는 바디(410) 상측 즉, 바디의 상측에 위치한 외장패널(413)에 소정높이를 구비하도록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덕트구(411)의 상단에 구비된 상단플랜지(411a)에 루프커버(420)의 상단패널(420b)이 리벳 또는 볼트 등에 의해 결합된다.
또한, 상기 루프커버(420)에는 제2공기통로(432)와 연통되도록 다수의 루버(louver,421)가 형성되어 공기의 흐름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통로(430)는 궤도부(300)를 따라 궤도차량(700)의 주행이 이루어질 시, 주행방향(A)에서 루프공간(400)내로 외부공기가 유입되고, 루프공간(400)에서 후방방향(B)으로 공기의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궤도부(300)는, 도 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레일모듈(110)이 신축이음재(120)에 의해 연결되어 궤도차량(모노레일 카)의 주행이 이루어지는 레일부(100)와, 신축이음재(120)에 의해 연결되는 이웃하는 2개의 레일모듈(110)이 동시에 지지되는 지주부(200)를 포함하되,
상기 레일모듈(110)은, 소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는 좌우 한쌍의 트러스 레일(111)과, 트러스 레일(111)간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양단이 한 쌍의 트러스 레일(110)에 연결설치되는 다수의 간격유지대(112)를 포함하고,
상기 지주부(200)는, 지면에 고정설치되는 하단지주(210)와, 하단지주(210)의 상단에 핀볼트(230)에 의해 결합되고 방사형으로 상향경사지게 분기된 다수의 가지지주가 이웃하는 2개의 레일모듈(110)을 지지하도록 형성된 상단지주(220)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레일모듈(110)은 도 1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트러스 레일(111)이 간격유지대(112)에 의해 상호 일체로 연결되는 'U' 자 형상의 구조를 구비하고 있어, 지주부간의 거더기능과 궤도차량(모노레일 카)의 주행이 이루어지는 레일기능을 동시에 구비한다.
상기 트러스 레일(111)은, 궤도차량이 연결설치되어 주행이 이루어지는 레일프레임(112)과, 간격유지대(112)가 연결설치되는 지지프레임(113)과, 레일프레임(112)과 지지프레임(113)에 연결되는 다수의 지지재(114)를 포함하여 트러스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레일프레임(112)은 궤도차량(700)의 주행이 이루어지는 레일에 해당된다.
상기 지지재(114)는 수직지지재(114a)와 경사지지재(114b)로 구성되거나, 수직지지재(114a) 또는 경사지지재(114b)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단이 레일프레임(112)에 연결되고 하단이 지지프레임(113)에 연결된다. 이때, 지지재(114)는 용접 또는 볼트/너트 체결 등에 의해 레일프레임(112)과 지지프레임(113)에 고정설치된다.
또한, 상기 레일프레임(112)과 지지프레임(113) 및 지지재(114)는 모두 파이프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레일프레임(112)은 궤도차량(모노레일 카)의 안정적인 주행이 이루어지도록 사각 파이프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레일프레임(112)과 지지프레임(113)은 동일한 크기의 파이프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트러스 레일(111)은 간격유지대(112)가 결합되는 다수의 체결플레이트(115)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플레이트(115)는 지지프레임(113) 또는, 지지프레임(113)과 지지재(114)에 연결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간격유지대(116)는 한 쌍의 트러스 레일간 거리(폭)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지지하는 것으로, 트러스 레일의 체결플레이트(115)에 접촉되어 볼트/너트에 의해 체결되는 결합플레이트(116a)와, 결합플레이트(116a)가 양단에 설치되어 한 쌍의 트러스 레일(111)의 간격을 지지하는 간격프레임(116b)을 포함한다.
상기 결합플레이트(116a)는 트러스 레일의 지지프레임(113)과 체결플레이트(115)에 동시 접촉되도록 간격프레임(116b)의 양단에 일체로 설치되며, 상기 간격프레임(116b)은 지지프레임(113)과 동일평면상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간격프레임(116b)는 지지프레임(113)은 동일한 크기의 파이프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결합플레이트(116a)와 간격프레임(116b) 사이에는 지지리브(116c)가 더 설치되어, 결합플레이트(116a)의 지지력을 향상시킴으로써, 한 쌍의 트러스 레일간 거리(폭)가 더욱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일모듈(110)은 다수의 간격유지대(116) 사이에 양단이 트러스 레일의 레일프레임(112)에 연결되는 다수의 보조연결대(117)를 더 포함하도록 하여, 좌우 한 쌍의 트러스 레일(111)간의 거리가 더욱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일모듈(110)은 도 13 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격유지대(116) 또는, 간격유지대(116)와 트러스 레일의 지지프레임(113)에 연결되는 발판(11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레일모듈(110)은 발판(118)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유지보수 및 대피통로의 기능을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발판(118)은 간격유지대(116) 상에 위치하도록 한 쌍의 트러스 레일(111) 사이에 연결설치되어, 궤도차량, 레일부(100) 또는 지주부(200)의 안전점검 및, 궤도차량(모노레일 카)에 이상이 발생될 경우, 탑승객을 안전한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대피로 기능을 구비한다.
이때, 상기 발판(118)은 레일모듈의 경량화가 유지되도록 격자 구조 또는 다공판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레일모듈(110)이 발판(118) 일체형으로 형성될 경우, 레일 점검을 위한 별도의 안전발판에 대한 설치를 생략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좌우 한쌍의 트러스 레일과 연결대가 발판에 의해 일체화되므로, 레일부 전체의 강성이 향상되어지는 효과가 발생된다. 또한, 레일모듈(110)에 발판(118)이 설치될 경우, 한 쌍의 트러스 레일(111)은 난간 기능을 구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레일모듈(110)은, 일측에 궤도차량(700)의 동력대차부(500) 즉, 동력부의 피니언기어(544)가 결합되는 랙기어(130)를 포함하는 2선 레일구조 또는 3선 레일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레일모듈(110)은 도 14 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브래킷(141)에 의해 일측 트러스 레일에 별도의 단일레일(140)이 연결설치되고, 상기 단일레일(140)의 하단에 랙기어(130)가 설치되어, 레일프레임(112)을 구비하는 한 쌍의 트러스 레일(111)이 보조레일 기능을 구비하고, 랙기어(130)가 구비된 단일레일(140)이 주행레일 기능을 구비하는 3선 레일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레일모듈(110)이 3선 레일구조로 이루어질 경우, 동력대차부의 제1,2대차부(510,520)에 구비된 롤러(516a,526a)는 트러스 레일(111)의 레일프레임(112)에 구름접촉되고, 동력부의 아이들 롤러(541b)는 단일레일(140)에 구름접촉되며, 동력부의 피니언기어(544)는 랙기어(130)에 치합구동되어 궤도차량(700)의 주행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레일모듈(110)은 도 14 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랙기어(130)가 고정브래킷(131)에 의해 일측 트러스 레일에 연결설치되어, 랙기어(130)가 연결설치된 일측 트러스 레일이 주행레일 기능을 구비하고, 랙기어(130)가 연결되지 않은 타측 트러스 레일이 보조레일 기능을 구비하는 2선 레일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랙기어(130)는 한 쌍의 트러스 레일 사이에 위치하도록 일측 트러스 레일에 연결설치되거나, 한 쌍의 트러스 레일 외측에 위치하도록 일측 트러스 레일에 연결설치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트러스 레일 사이에 레일프레임(112)과 평행하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이 레일모듈(110)이 2선 레일구조로 이루어질 경우, 동력대차부의 제1,2대차부(510,520)에 구비된 롤러(516a,526a)는 트러스 레일(111)의 레일프레임(112)에 구름접촉되고, 동력부의 아이들롤러(541b)는 주행레일 기능을 구비하는 일측 트러스 레일의 레일프레임에 구름접촉되며, 동력부의 피니언기어(544)는 랙기어(130)에 치합구동되어 궤도차량(700)의 주행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레일모듈(110)은 거더 및 레일 기능을 모두 구비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5m 이상의 길이를 구비하도록 제작되어도 지주부간에 거더없이 설치가 이루어질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레일모듈(110)은 1∼20m 길이를 구비하도록 제작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10인승 미만의 소형 궤도차량 또는, 10인승에서 18인승 미만의 중형 궤도차량 또는, 18인승 이상의 대형 궤도차량의 주행을 위한 궤도부에 적용되어질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트러스 레일(111)의 레일프레임(112)이 직접적으로 보조레일 기능 또는, 보조레일과 주행레일 기능을 구비하도록 되어 있어, 트러스 레일(111)을 포함하는 레일모듈(110)이, 5∼20m 길이를 구비하여도 18인승 이상의 대형 궤도차량(모노레일 카)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강성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신축이음재(120)는, 온도변화에 따른 레일프레임(112)의 신축발생 시에도, 궤도차량(모노레일 카)의 주행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레일모듈(110)을 연결하는 것으로, 도 11 및 도 1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레일모듈(110a)의 레일프레임(112)에 고정설치되는 제1이음레일(121)과, 타측 레일모듈(110b)의 레일프레임(112)에 고정설치되는 제2이음레일(122)과, 제1이음레일(121)을 관통하여 일측 레일모듈의 레일프레임(112)내로 일측(123a)이 끼움되어 고정설치되고, 제2이음레일(122)을 관통하여 타측 레일모듈의 레일프레임(112)내로 타측(123b)이 끼움삽입되는 이음파이프(123)를 포함하되,
제1이음레일(121)과 제2이음레일(122)은, 마주하는 상부 끝단이 사선으로 형성되어 제1경사면(121a)과 제2경사면(122a)을 구비하고, 제1경사면(121a)과 제2경사면(121b)이 소정의 이격 거리를 두고 상호 대향되도록 설치된다.
즉, 상기 신축이음재(120)는 일측 레일모듈의 레일프레임(112)에 제1이음레일(121)과 이음파이프의 일측(123a)이 고정설치되고, 타측 레일모듈의 레일프레임(112)에 제2이음레일(122)이 고정설치되며, 이음파이프의 타측(123b)이 제2이음레일(122)을 관통하여 타측 레일모듈의 레일프레임(112)내로 삽입되도록 설치된다.
이때, 일측 레일모듈(110a)과 제1이음레일(121) 및 이음파이프의 일측(123a), 타측 레일모듈(110b)과 제2이음레일(122)은 용접 등에 의해 일체로 연결설치되고, 타측 레일모듈(110b)과 제2이음레일(122)은 이음파이프(123)를 따라 이동이 가능하도록 이음파이프의 타측(123b)이 끼움결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신축이음재(120)는, 온도변화에 의해 레일프레임(112)에 신축현상이 발생될 경우, 이음파이프(123)를 따라 타측 레일모듈(110b)의 레일프레임(112)과 제2이음레일(122)이 슬라이딩 유동되어 레일프레임(112)의 길이방향에 대한 유동이 안정적으로 지지되게 된다.
이때, 제1이음레일(121)과 제2이음레일(122)은 제1이음레일의 제1경사면(121a)과 제2이음레일의 제2경사면(122a)이 마주하는 범위내에서 유동이 이루어지므로, 제1,2이음레일(121,122)의 이격에 따른 덜컹거림없이 궤도차량(700)의 안정적인 주행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신축이음재(120)에 의해 레일모듈(110)이 상호 연결될 시, 일측 레일모듈(110a)에 설치된 랙기어(130) 또는, 랙기어가 설치된 단일레일(140)과 일측 레일모듈(110a)에 설치된 랙기어(130) 또는, 랙기어가 설치된 단일레일(140)은, 장홈과 연결플레이트를 이용한 볼트/너트 체결에 의해 연결되어 신축작용이 흡수되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장홈과 연결플레이트를 이용한 결합은 공지의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지주부(200)는, 레일모듈(110)간의 연결부위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신축이음재(120)에 의해 연결된 이웃하는 2개의 레일모듈(110)을 지지하는 것으로, 도 11, 도 16 내지 도 1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 또는 지면에 설치된 기초구조물(도시없음)에 고정설치되는 하단지주(210)와, 하단지주(210)의 상단에 핀볼트(230)에 의해 결합되고 2개의 레일모듈(110a,110b)의 끝단을 지지하는 복수의 가지지주가 상향경사지게 분기되어 형성된 상단지주(220)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하단지주(210)는, 지면 또는 지면에 설치된 기초구조물(도시없음)에 고정설치되는 메인몸체(211)와, 메인몸체(211)의 상단에 일체로 설치된 하단플랜지(212)와, 하단플랜지(212)에 일체로 설치되어 핀볼트(230)가 삽입결합되는 하단 힌지브래킷(213)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메인몸체(211)는 높이가 고정된 단일구조로 이루어지거나, 높이가 가변되는 다단구조(일 예로 텔레스코프 접이식 구조, 플랜지 결합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메인몸체(211)가 다단구조로 이루어질 경우, 메인몸체(211)의 높이는 볼트너트 체결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핀볼트(230)는, 하단지주(210)에 대한 상단지주(220)이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단지주(220)를 지지할 뿐 아니라, 상단지주(220)와 하단지주(210)가 일체로 결합되도록 너트와의 체결에 의해 소정의 조임력을 구비하는 볼트가 사용되어질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핀볼트(230)는 장볼트, 숄더렌치볼트 등이 사용되어질 수 있다. 또한, 핀볼트(230)와 너트의 체결은 공지의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상단지주(220)는, 하단지주의 하단 힌지브래킷(213)에 핀볼트(230)에 의해 결합되는 상단 힌지브래킷(223)과, 상단 힌지브래킷(223)이 일체로 형성된 상단 플랜지(222)와, 상단 플랜지(222)의 상측 중앙에 일체로 상향 돌출되어 형성된 중앙몸체(221)와, 중앙몸체(221)에 하단이 일체로 연결되고, 중앙몸체(221)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상향경사지게 분기되어 형성되고 상단에 레일모듈의 일측 즉, 트러스 레일의 지지프레임(113)에 결합되는 받침플레이트(225)가 일체로 형성된 가지지주(224)를 포함한다.
상기 가지지주(224)는 2개의 레일모듈(110a,110b)에 균일하게 결합되어 지지되도록 짝수 갯수로 형성되어 있다. 일 예로 상기 가지지주(224)는 2개, 4개, 6개, 8개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총 2개 또는 4개의 가지지주(224)가 상단지주의 중앙몸체(221)를 중심으로 대칭이 이루어지도록 상향 경사지게 방사형으로 형성되어, 평지 또는 경사지에서도 레일모듈(110)에 대한 지지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지지주(224)는 2개의 레일모듈(110a,110b)을 지지하는 가지지주의 길이(중앙몸체에서 받침플레이트 까지의 길이)가 동일하도록 구성되거나,
상기 가지지주(224)는 지지되는 2개의 레일모듈의 연결상태에 맞추어 길이(중앙몸체에서 받침플레이트 까지의 길이)가 조절되도록 구성되거나,
상기 가지지주(224)는 일측 레일모듈(110a)을 지지하는 가지지주와 타측 레일모듈(110b)을 지지하는 또다른 가지지주의 길이에 차이가 있도록 다양하게 제작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지지주(224)는, 받침플레이트(225)가 트러스 레일의 지지프레임(113) 하단에 용접 등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거나, 도 1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 하단에 별도 설치된 받침브래킷(119)에 볼트/너트 또는 용접 등에 의해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단지주(220)는 도 1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몸체(221)에 수직으로 형성된 수직지주(226)와, 2개의 레일모듈(110a,110b)에 동시접촉되어 지지되도록 수직지주(226)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된 받침대(227)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수직지주(226)와 받침대(227)는 일측 레일모듈(110a)과 신축이음재(120)에 의해 결합된 타측 레일모듈(110b)의 연결부분을 지지하여, 가지지주(224)에 의해 지지된 2개의 레일모듈(110a,110b)에 대한 지지력을 더욱 향상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지주부(200)는, 하단지주(210)에 대하여 상단지주(220)가 핀볼트(230)에 의해 가결합되고, 신축이음재(120)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레일모듈(110)이 상단지주(220)의 가지지주(224)에 안착되도록 핀볼트(230)를 중심으로 상단지주(220)가 회전조절된 후, 핀볼트(230) 또는, 핀볼트(230)와 용접에 의해 하단지주(210)에 상단지주(220)가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견인 구동방식 궤도차량 시스템(800)은, 10인승 미만의 소형 궤도차량 시스템 또는, 10인승에서 18인승 미만의 중형 궤도차량 시스템 또는, 18인승 이상의 대형 궤도차량 시스템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동력부와 대차부가 분리구성되고 하나 이상의 동력부에 의해 대차부가 견인되는 방식에 의해 주행이 이루어지고, 궤도부의 레일모듈이 5∼20m 길이를 구비할 수 있으며, 모듈화된 다수의 수평조절부에 의해 궤도차량의 차체부에 대한 수평이 조절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18인승 이상의 대형 궤도차량 시스템에 더욱 적합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기재된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이 기재된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00) : 레일부 (110) : 레일모듈
(111) : 트러스 레일 (112) : 레일프레임
(113) : 지지프레임 (114) : 지지재
(114a): 수직지지재 (114b): 경사지지재
(115) : 체결플레이트 (116) : 간격유지대
(116a) : 결합플레이트 (116b) : 간격프레임
(116c): 지지리브 (117) : 보조연결대
(118) : 발판 (119) : 받침브래킷
(120) : 신축이음재 (121) : 제1이음레일
(121a): 제1경사면 (122) : 제2이음레일
(122a): 제2경사면 (123) : 이음파이프
(123a): 이음파이프 일측 (123b): 이음파이프 타측
(130) : 랙기어 (131) : 고정브래킷
(140) : 단일레일 (141) : 레일브래킷
(200) : 지주부 (210) : 하단지주
(211) : 메인몸체 (212) : 하단플랜지
(213) : 하단 힌지브래킷 (220) : 상단지주
(221) : 중앙몸체 (222) : 상단플랜지
(223) : 상단 힌지브래킷 (224) : 가지지주
(225) : 받침플레이트 (230) : 핀볼트
(300) : 궤도부 (400) : 차체부
(410) : 바디 (411) : 덕트구
(411a): 상단플랜지 (412) : 골격프레임
(413) : 외장패널 (420) : 루프커버
(420a) : 루프커버 하단 (420b) : 루프패널
(421): 루버 (430) : 공기통로
(431) : 제1공기통로 (432) : 제2공기통로
(433) : 제3공기통로 (440) : 루프공간
(450) : 탑승공간 (451) : 도어 또는 창문
(460) : 공조기 (500) : 동력대차부
(510) : 제1대차부 (511) : 레일프레임
(511a): 마운트 댐퍼 (511b): 센터브래킷
(511c): 상단브래킷 (512) : 스윙프레임
(512a): 하단브래킷 (513) : 스윙핀
(514) : 완충기 (515) : 스티어링 피봇
(515a): 어퍼하우징 (515b): 어퍼회전축
(515c): 로우하우징 (515d): 피칭핀
(515e): 베어링 커버 (515f): 와셔
(515g): 너트 (516) : 트레일러 서브블록
(516a): 롤러 (516b): 사이드롤러
(517) : 스티어링 링크 바 (518) : 언더롤러
(520) : 제2대차부 (521) : 레일프레임
(521) : 레일프레임 (521a): 마운트 댐퍼
(521b): 연결플랜지 (525) : 스티어링 피봇
(525a): 어퍼하우징 (525b): 어퍼회전축
(525c): 로우하우징 (525d): 피칭핀
(525e): 베어링 커버 (525f): 와셔
(525g): 너트 (526) : 트레일러 서브블록
(526a): 롤러 (526b): 사이드롤러
(527) : 스티어링 링크 바 (528) : 언더롤러
(530) : 샤시프레임 (540) : 동력부
(541) : 트레인 프레임 (541a): 프레임 본체
(541b): 아이들 롤러 (541c): 사이드 롤러
(541d): 언더롤러 (542) : 구동모터
(543) : 감속기 (544) : 피니언 기어
(545) : 전자클러치 (546) : 안전브레이크
(547) : 서포트 롤러 (547a): 서포트 브래킷
(550,560): 유니버설 조인트 (600) : 수평조절부
(610) : 고정브래킷 (620) : 힌지축
(630) : 틸팅프레임 (640) : 틸팅구동부
(641) : 스크류 실린더 (642) : 구동모터
(643) : 감속기 (700) : 궤도차량
(800) : 궤도차량 시스템 (900) : 지면
(910) : 기초구조물

Claims (13)

  1. 궤도부를 따라 궤도차량의 주행이 이루어지는 궤도차량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궤도차량은,
    궤도부를 따라 주행이 이루어지는 동력대차부;
    동력대차부의 상측에 장착되는 수평조절부;
    수평조절부에 안착설치되고 탑승객의 승하차가 이루어지는 차체부;를 포함하되,
    상기 차체부는, 수평조절부에 안착되도록 장착되고, 공조기가 설치된 루프공간이 덕트구에 의해 외부와 연통되도록 형성된 바디와, 덕트구가 내측에 위치하도록 덕트구의 상단플랜지에 고정설치되는 루프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루프커버는, 바디와의 사이에 제1공기통로가 구비되도록 루프커버의 하단이 바디에 이격되고, 덕트구와 루프커버 사이에 제2공기통로가 구비되도록 덕트구의 상단플랜지에 루프패널이 설치되며, 상기 덕트구는, 루프커버의 루프패널과의 사이에 제2공기통로 및 루프공간과 연통되는 제3공기통로가 구비되도록 형성되어, 제1,2,3공기통로에 의해 차체부의 주행방향으로 외부에서 루프공간내로 연통되는 공기통로가 형성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동력대차부는, 샤시프레임과, 샤시 프레임의 일측단 하측에 설치되어 궤도부에 구름접촉되며 이동되도록 설치되는 제1대차부와, 샤시 프레임의 타측단 하측에 설치되어 궤도부에 구름접촉되며 이동되도록 설치되는 제2대차부와, 샤시 프레임에 연결되지 않도록 제1대차부와 제2대차부 사이에 배치되고, 제2대차부에 조인트 연결되며, 구동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궤도부를 따라 이동되는 하나 이상의 동력부;를 포함하여,
    동력부에 의한 제2대차부의 견인에 의해 궤도부를 따라 궤도차량의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인 구동방식 궤도차량 시스템.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제1대차부는,
    샤시프레임과 연결설치되는 레일프레임과, 스윙핀에 의해 레일프레임에 연결되는 스윙프레임과, 레일프레임의 양끝단에 상측이 연결되고 스윙프레임에 하측이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완충기와, 스윙프레임의 양단에 스티어링 피봇을 매개로 각각 연결설치되고 궤도부에 구름접촉되는 다수의 롤러가 구비된 한 쌍의 트레일러 서브블록과, 한 쌍의 트레일러 서브블록에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연결설치되는 스티어링 링크 바를 포함하여, 스윙핀을 중심으로 하는 롤링 동작, 스티어링 피봇을 중심으로 하는 피칭 및 요잉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고,
    제2대차부는,
    샤시프레임에 연결설치되고 동력부와 조인트 연결되는 레일프레임과, 레일프레임의 양단에 스티어링 피봇을 매개로 각각 연결설치되고 궤도부에 구름접촉되는 다수의 롤러가 구비된 한 쌍의 트레일러 서브블록과, 한 쌍의 트레일러 서브블록에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연결설치되는 스티어링 링크 바를 포함하여, 스티어링 피봇을 중심으로 피칭 및 요잉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인 구동방식 궤도차량 시스템.
  3. 청구항 2 에 있어서;
    제1대차부의 스티어링 피봇은,
    스윙프레임에 고정설치되는 어퍼하우징과, 어퍼하우징에 대하여 베어링 지지되도록 어퍼하우징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어퍼회전축과, 어퍼 회전축의 하단에 어퍼회전축과 일체로 연결설치되는 로우하우징과, 로우하우징에 대하여 베어링 지지되도록 로우하우징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양단이 트레일러 서브블록에 연결설치되는 피칭핀을 포함하고,
    제2대차부의 스티어링 피봇은,
    레일프레임에 고정설치되는 어퍼하우징과, 어퍼하우징에 대하여 베어링 지지되도록 어퍼하우징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어퍼회전축과, 어퍼 회전축의 하단에 어퍼회전축과 일체로 연결설치되는 로우하우징과, 로우하우징에 대하여 베어링 지지되도록 로우하우징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양단이 트레일러 서브블록에 연결설치되는 피칭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인 구동방식 궤도차량 시스템.
  4. 청구항 1 에 있어서;
    동력부는,
    궤도부를 따라 구름접촉되며 이동되는 다수의 아이들 롤러가 구비되고, 제2대차부에 조인트 결합되는 트레인 프레임과,
    트레인 프레임에 고정설치되는 구동모터와,
    트레인 프레임에 장착되고 구동모터가 연결설치되어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감속시키는 감속기와,
    감속기에 연결설치되고 궤도부의 랙기어에 치합되며 이동되는 피니언 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인 구동방식 궤도차량 시스템.
  5. 청구항 4 에 있어서;
    트레인 프레임은, 구동모터 및 감속기가 장착되고 제2대차부에 조인트 연결되는 프레임 본체와, 궤도부의 레일상면에 구름접촉되도록 프레임 본체에 설치되는 다수의 아이들 롤러와, 궤도부의 레일측면에 구름접촉될 수 있도록 프레임 본체에 설치되는 다수의 사이드 롤러와, 궤도부의 레일하면 하측에 위치하도록 프레임 본체에 설치되어 동력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언더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인 구동방식 궤도차량 시스템.
  6. 청구항 4 에 있어서;
    동력부는 궤도부의 일측에 구름접촉되는 서포트 롤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서포트 롤러는, 서포트 브래킷에 의해 트레인 프레임의 일측에 연결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인 구동방식 궤도차량 시스템.
  7. 청구항 1 에 있어서;
    동력부는 제2대차부와 유니버셜 조인트에 의해 연결되고,
    두 대 이상의 동력부가 유니버셜 조인트 결합되어 일렬로 연결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인 구동방식 궤도차량 시스템.
  8. 청구항 1 에 있어서;
    수평조절부는, 동력대차부에 고정설치되는 고정브래킷과, 고정브래킷에 회전가능하도록 힌지축에 의해 연결되고 상단이 차체부에 고정설치되는 틸팅프레임과, 고정브래킷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설치되고, 상단이 틸팅프레임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연결설치되는 틸팅구동부를 포함하는 하나의 모듈로 구성되어, 동력대차부와 차체부 사이에 하나 이상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인 구동방식 궤도차량 시스템.
  9. 삭제
  10. 청구항 1 에 있어서;
    궤도부는,
    다수의 레일모듈이 신축이음재에 의해 연결되어 궤도차량의 주행이 이루어지는 레일부와, 신축이음재에 의해 연결된 2개의 레일모듈이 동시에 지지되는 지주부를 포함하되,
    상기 레일모듈은, 소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는 좌우 한쌍의 트러스 레일과, 트러스 레일 간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양단이 한 쌍의 트러스 레일에 연결설치되는 다수의 간격유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지주부는, 지면에 고정설치되는 하단지주와, 하단지주의 상단에 핀볼트에 의해 결합되고 방사형으로 상향경사지게 분기된 다수의 가지지주가 이웃하는 2개의 레일모듈을 지지하도록 형성된 상단지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인 구동방식 궤도차량 시스템.
  11. 청구항 10 에 있어서;
    레일모듈은, 한 쌍의 트러스 레일이 간격유지대에 의해 상호 일체로 연결되는 'U' 자형상을 구비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트러스 레일은, 궤도차량이 연결설치되어 주행이 이루어지는 레일프레임과, 간격유지대가 연결설치되는 지지프레임과, 레일프레임과 지지프레임에 연결되는 다수의 지지재를 포함하여 트러스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인 구동방식 궤도차량 시스템.
  12. 청구항 10 또는 청구항 11 에 있어서;
    레일모듈은, 레일브래킷에 의해 일측 트러스 레일에 별도의 단일레일이 연결설치되고, 상기 단일레일의 하단에 랙기어가 설치되어, 레일프레임이 구비된 한 쌍의 트러스 레일과, 랙기어가 구비된 단일레일을 포함하는 3선 레일구조로 이루어지거나,
    레일모듈은 고정브래킷에 의해 일측 트러스 레일에 랙기어가 연결설치되어, 랙기어가 구비된 한 쌍의 트러스 레일을 포함하는 2선 레일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인 구동방식 궤도차량 시스템.
  13. 청구항 10 에 있어서;
    하단지주는, 지면 또는 지면에 설치된 기초구조물에 고정설치되는 메인몸체와, 메인몸체의 상단에 일체로 설치된 하단플랜지와, 하단플랜지에 일체로 설치되어 핀볼트가 삽입결합되는 하단 힌지브래킷을 포함하고,
    상단지주는, 하단지주의 하단 힌지브래킷에 핀볼트 결합되는 상단 힌지브래킷과, 상단 힌지브래킷이 일체로 형성된 상단 플랜지와, 상단 플랜지의 상측 중앙에 일체로 상향 돌출되어 형성된 중앙몸체와, 중앙몸체에 하단이 일체로 연결되고, 중앙몸체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상향경사지게 분기되어 형성되며 상단에 레일모듈의 일측에 결합되는 받침플레이트가 일체로 형성된 가지지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인 구동방식 궤도차량 시스템.
KR1020220085418A 2022-07-12 2022-07-12 주행 안정성이 향상된 견인 구동방식 궤도차량 시스템 KR1024826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5418A KR102482681B1 (ko) 2022-07-12 2022-07-12 주행 안정성이 향상된 견인 구동방식 궤도차량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5418A KR102482681B1 (ko) 2022-07-12 2022-07-12 주행 안정성이 향상된 견인 구동방식 궤도차량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2681B1 true KR102482681B1 (ko) 2022-12-29

Family

ID=84539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5418A KR102482681B1 (ko) 2022-07-12 2022-07-12 주행 안정성이 향상된 견인 구동방식 궤도차량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2681B1 (ko)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4865A (ja) * 1997-07-18 1999-02-09 Hitachi Zosen Corp 搬送台車装置
KR100600642B1 (ko) 2004-02-03 2006-07-14 주식회사 로템 모노레일 시스템
JP2009292232A (ja) * 2008-06-03 2009-12-17 Kaho Seisakusho:Kk 斜面昇降機の振動防止構造
KR101561836B1 (ko) 2013-09-13 2015-10-20 주식회사 태광 퍼스널 모노레일의 구동롤러장치
KR101709650B1 (ko) * 2016-11-28 2017-02-24 주식회사 하이드로코리아 레일바이크용으로 제작된 교량 및 그 시공방법
KR102049541B1 (ko) * 2019-07-17 2019-11-27 서광모 3선 레일부를 구비하는 궤도차량 시스템
KR102066513B1 (ko) 2019-07-18 2020-01-15 인천교통공사 궤도차량 시스템
KR102112821B1 (ko) * 2019-10-18 2020-05-19 주식회사 대림모노레일 모노레일 차량 구동 장치
KR102125710B1 (ko) * 2019-07-15 2020-06-23 성부섭 조립식 거더를 이용한 모노레일 시스템
KR102228872B1 (ko) 2020-11-30 2021-03-17 이엠티씨 주식회사 경사각도가 조절되는 궤도차량
KR102362821B1 (ko) * 2021-07-28 2022-02-14 성지훈 각관으로 제작한 레일의 변형 방지 모노레일 구동부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4865A (ja) * 1997-07-18 1999-02-09 Hitachi Zosen Corp 搬送台車装置
KR100600642B1 (ko) 2004-02-03 2006-07-14 주식회사 로템 모노레일 시스템
JP2009292232A (ja) * 2008-06-03 2009-12-17 Kaho Seisakusho:Kk 斜面昇降機の振動防止構造
KR101561836B1 (ko) 2013-09-13 2015-10-20 주식회사 태광 퍼스널 모노레일의 구동롤러장치
KR101709650B1 (ko) * 2016-11-28 2017-02-24 주식회사 하이드로코리아 레일바이크용으로 제작된 교량 및 그 시공방법
KR102125710B1 (ko) * 2019-07-15 2020-06-23 성부섭 조립식 거더를 이용한 모노레일 시스템
KR102049541B1 (ko) * 2019-07-17 2019-11-27 서광모 3선 레일부를 구비하는 궤도차량 시스템
KR102066513B1 (ko) 2019-07-18 2020-01-15 인천교통공사 궤도차량 시스템
KR102112821B1 (ko) * 2019-10-18 2020-05-19 주식회사 대림모노레일 모노레일 차량 구동 장치
KR102228872B1 (ko) 2020-11-30 2021-03-17 이엠티씨 주식회사 경사각도가 조절되는 궤도차량
KR102362821B1 (ko) * 2021-07-28 2022-02-14 성지훈 각관으로 제작한 레일의 변형 방지 모노레일 구동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6511B1 (ko) 기지 스테이션을 구비하는 궤도차량 시스템
KR102049541B1 (ko) 3선 레일부를 구비하는 궤도차량 시스템
US20130180429A1 (en) Carriage body for a rail vehicle and method for producing said carriage body
CN106368464B (zh) 一种旋转滑升无避让立体车库
US4702173A (en) Vehicle supported in cantilever fashion and switching of at rail divergent junctions
KR102066513B1 (ko) 궤도차량 시스템
AU2008324761B2 (en) A monorail rapid transit system
KR102482681B1 (ko) 주행 안정성이 향상된 견인 구동방식 궤도차량 시스템
CN202219788U (zh) 用于轨道车辆的车体模块及轨道车辆
EP1796991B1 (en) Conveyor system
KR102500774B1 (ko) 견인식 모노레일 시스템
CN112224221A (zh) 车架以及空中运输车辆
US4233908A (en) Construction of reactor-driven articulated trains with elevated tracks
WO2024060280A1 (zh) 一种转向架及空轨列车
KR102482679B1 (ko) 2선 레일 주행용 궤도차량 시스템
KR101794206B1 (ko) 교량 작업용 대차 장치
KR102203793B1 (ko) 이동식 철로설비 보수 작업대
CN207241693U (zh) 车辆转向架和空中轨道列车
CN214396726U (zh) 一种城市单轨空中列车
KR20160109079A (ko) 교량 작업용 대차 장치
CN210529388U (zh) 公铁两用铣磨车体
KR102493670B1 (ko) 궤도차량 주행용 레일 장치
CA2455238A1 (en) Overhead track train
Boocock et al. The advanced passenger train
KR102111540B1 (ko) 모노레일용 천차대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