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2541B1 - 낚시대 위치고착부재 및 이를 이용한 낚시대 위치고착방법 - Google Patents

낚시대 위치고착부재 및 이를 이용한 낚시대 위치고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2541B1
KR102482541B1 KR1020220091124A KR20220091124A KR102482541B1 KR 102482541 B1 KR102482541 B1 KR 102482541B1 KR 1020220091124 A KR1020220091124 A KR 1020220091124A KR 20220091124 A KR20220091124 A KR 20220091124A KR 102482541 B1 KR102482541 B1 KR 1024825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rod
width
rod
bent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11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섭
Original Assignee
김창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섭 filed Critical 김창섭
Priority to KR10202200911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25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25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25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10Supports for ro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ishing R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낚시대 위치고착부재 및 이를 이용한 낚시대 위치고착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낚시대에 장착된 상태에서 낚시대 거치대의 일측에 끼워서 낚시대가 릴의 무게에 의하여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낚시대 위치고착부재 및 이를 이용한 낚시대 위치고착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낚시대 거치대의 일측에 끼워진 낚시대가 릴의 무게에 의하여 회동되지 않으므로, 선박의 벽체 또는 난간에서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낚시대 위치고착부재 및 이를 이용한 낚시대 위치고착방법 {Fishing rod position fixing device and fishing rod position fix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낚시대 위치고착부재 및 이를 이용한 낚시대 위치고착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낚시대에 장착된 상태에서 낚시대 거치대의 일측에 끼워서 낚시대가 릴의 무게에 의하여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낚시대 위치고착부재 및 이를 이용한 낚시대 위치고착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상에서의 낚시는 밤을 지새우거나 오랜 시간 입질을 기다리는 등의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 따라서, 다수 개의 낚시대는 선상 갑판의 가장자리에 설치된 난간에 고정되어 오랜 시간 입질을 기다리는 방식으로 선상 낚시가 행해진다.
상기와 같이 낚시대를 난간에 고정하기 위하여 간단한 고정구가 설치되어 이에 낚시대를 고정하여 사용하였으나, 선상 낚시에 최적화되지 못하고 일반적인 낚시대의 고정구의 구조를 벗어나지 못하였다.
따라서, 선상의 상황이나 구조에 따라 적절하게 변형하여 사용할 수 없어, 좁고 혼잡한 갑판에서의 낚시대의 거치 문제는 위험 요소로까지 인식되기도 하였다.
즉, 좁은 선상의 통로에 낚시대의 손잡이 부분이 돌출되어 지나는 사람들에게 방해가 되고, 또한 사람과 부딪혀 이탈되어 낚시대가 바다로 유실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또한, 기존에는 낚시대를 선상에 고정 또는 거치하도록 낚시대 거치대가 공지되어 있는데, 종래의 낚시대 거치대에 낚시대를 거치하는 경우 도 12와 같이 릴의 무게에 의하여 낚시대가 회동되어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었다.
등록실용신안 제20-0447541호 (2010.01.25.)
본 발명은 낚시대에 장착된 상태에서 낚시대 거치대의 일측에 끼워서 낚시대가 릴의 무게에 의하여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낚시대 위치고착부재 및 이를 이용한 낚시대 위치고착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낚시대(10)의 로드(11)에 장착된 상태에서 낚시대거치대(20)의 일측에 끼워서 낚시대(10)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고정시키는 낚시대위치고착부재(1000)에 있어서, 제1몸체(100); 상기 제1몸체(100)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고, 제1몸체(100)와 마주보면서 결합되는 제2몸체(200);를 포함하고, 상기 제1몸체(100)는 낚시대(10)의 로드(11)의 횡방향 제1측(a1)이 수용되는 제1-1절곡부(110)와, 상기 제1-1절곡부(110)의 일단에서 절곡연장되어, 낚시대거치대(20)의 일측에 끼워지도록 구비되는 제1-2절곡부(120)를 포함하고, 상기 제2몸체(200)는 상기 낚시대(10)의 로드(11)의 횡방향 제1측(a1)에 대향되는 낚시대(10)의 로드(11)의 횡방향 제2측(a2)이 수용되는 제2-1절곡부(210)와, 상기 제2-1절곡부(210)의 일단에서 절곡연장되어, 낚시대거치대(20)의 일측에 끼워지도록 구비되는 제2-2절곡부(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대 위치고착부재 및 상기 낚시대 위치고착부재를 이용하여 낚시대(10)를 낚시대거치대(20)에 고정시키는 방법을 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낚시대 거치대의 일측에 끼워진 낚시대가 릴의 무게에 의하여 회동되지 않으므로, 선박의 벽체 또는 난간에서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의 낚시대 위치고착부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낚시대 위치고착부재의 일부 결합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낚시대 위치고착부재의 전체 결합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의 측면도로서, 낚시대의 로드에 장착된 모습을 나타낸다.
도 8은 도 6의 측면도로서, 낚시대의 로드에 장착된 모습을 나타낸다.
도 9는 도 5,6의 정면도로서, 낚시대의 로드에 장착된 모습을 나타낸다.
도 10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낚시대거치대에 대한 도면이다.
도 12는 낚시대거치대에 낚시대를 거치하는 종래의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낚시대 위치고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낚시대 위치고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낚시대 위치고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은 도 16의 K부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 기재에 의하여 파악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게 하는 공지기술의 설명은 생략한다.
단,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또한, 본 발명의 설명 중 "상", "하" 등의 방향 한정은 이해를 돕기 위해 도 1의 형태를 기준으로 지시하는 것일 뿐, 기준선(또는 도면)을 달리하면 방향도 달리 지시될 것임을 밝혀둔다.
본 발명은 낚시대 위치고착부재 및 이를 이용한 낚시대 위치고착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낚시대에 장착된 상태에서 낚시대 거치대의 일측에 끼워서 낚시대가 릴의 무게에 의하여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낚시대 위치고착부재 및 이를 이용한 낚시대 위치고착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의 낚시대 위치고착부재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낚시대 위치고착부재의 일부 결합사시도이고,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낚시대 위치고착부재의 전체 결합사시도이고, 도 7은 도 5의 측면도이고, 도 8은 도 6의 측면도이고, 도 9는 도 5,6의 정면도이고, 도 10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낚시대거치대에 대한 도면이고, 도 12는 낚시대거치대에 낚시대를 거치하는 종래의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3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낚시대 위치고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낚시대 위치고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6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낚시대 위치고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8은 도 16의 K부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낚시대 위치고착부재(1000)는 낚시대(10)에 장착된 상태에서 낚시대거치대(20)의 일측에 끼워서 낚시대(10)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고정시키는 것으로서, 제1몸체(100)와, 제2몸체(200)와, 제1쿠션부재(300)와, 제2쿠션부재(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낚시대거치대(20)는 선상에 체결되는 체결부(21)와, 상기 체결부(21)의 상측에 결합되고, 상측이 개구된 ㄷ자 또는 반원(
Figure 112022076937527-pat00001
) 형상으로 형성되어, 낚시대(10)의 종방향 제1측(b1)이 거치되는 거치부(22)와, 상기 거치부(22)의 선단으로부터 평행되게 이격되어 연장되는 연장부(23)와, 상기 연장부(23)의 단부에 하측이 개구된 ㄷ자 또는 반원(
Figure 112022076937527-pat00002
)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거치부(22)에 낚시대(10)의 종방향 제1측(b1)이 거치된 상태에서, 상기 낚시대(10)의 종방향 제1측(b1)으로부터 후방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낚시대(10)의 종방향 제2측(b2)을 지지하는 지지부(2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전방" 이란 낚시대(10)의 로드(11)에서 릴(12)로 향하는 방향을 의미하고, "후방" 이란 낚시대(10)의 로드(11)에서 손잡이(13)로 향하는 방향을 의미한다(도 12 내지 도 17 참조).
제1몸체(100)에 대해 설명한다. 제1몸체(100)는 ⅰ) 제1-1절곡부(110)와, 상기 제1-1절곡부(110)의 일단에서 절곡연장되는 제1-2절곡부(120)를 포함하여 ㄴ자 형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ⅱ) 제1-1절곡부(110)와, 상기 제1-1절곡부(110)의 양단에서 절곡연장되는 제1-2절곡부(120) 및 제1-3절곡부(130)를 포함하여 ㄷ자 형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제1-1끈걸이부(140)와, 제1-2끈걸이부(150)가 추가로 구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제1몸체(100)가 ㄷ자 형상으로 제시되어 있지만, G 점선(도 1,도 2)을 기준으로 제1-3절곡부(130)가 형성되어 있지 않으면, 제1몸체(100)는 ㄴ자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이다.
제1-1절곡부(110)에 대해 설명한다. 제1-1절곡부(110)는 낚시대(10)의 로드(11)의 횡방향 제1측(a1,도 9)이 수용되는 부분으로서, 제1수용홈(111)과, 제1함몰홈(112)과, 제1체결공(11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수용홈(111)에 대해 설명한다. 제1수용홈(111)은 제1-1절곡부(110)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함몰형성되어, 낚시대(10)의 로드(11)의 횡방향 제1측(a1,도 9)을 수용할 수 있도록 반원통 형상으로 구비되는 부분이다.
도 9에서는 제1수용홈(111)이 낚시대(10)의 로드(11)의 횡방향 제1측(a1)을 수용하고 있는 제1쿠션부재(300)를 수용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로드(11)의 직경은 다양하므로, 로드(11)의 직경이 제1수용홈(111)의 내경에 대응되는 경우에는 제1쿠션부재(300)를 제외하고 로드(11)의 횡방향 제1측(a1)이 제1수용홈(111)에 직접 수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제1함몰홈(112)에 대해 설명한다. 제1함몰홈(112)은 상기 제1수용홈(111)으로부터 제1-1절곡부(110)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함몰형성되어, 후술할 제1쿠션부재(300)의 제1결합부(320)에 결합되는 부분이다.
제1체결공(113)에 대해 설명한다. 제1체결공(113)은 제1-1절곡부(110)에 관통형성되어, 체결부재(30)가 결합되는 부분으로서, 제1-1체결공(113a)과, 제1-2체결공(113b)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1체결공(113a)은 제1-1절곡부(110)의 일측에 관통형성되어, 제1체결부재(31)가 결합되는 부분이고, 제1-2체결공(113b)은 제1-1절곡부(110)의 타측에 관통형성되어, 제2체결부재(32)가 결합되는 부분이다.
제1-2절곡부(120)에 대해 설명한다. 제1-2절곡부(120)는 상기 제1-1절곡부(110)의 일단에서 절곡연장되어, 낚시대거치대(20)의 일측에 끼워지도록 구비되는 부분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2절곡부(120)는 후단(120b)에서 선단(120a)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경사진 형상으로 형성되되, ⅰ) 선단(120a)의 폭(t11)은 상기 체결부(21)의 상단면(21a)과 거치부(22)의 하면(22a) 사이의 빈공간(s)의 폭(t1)보다 작고, 후단(120b)의 폭(t12)은 상기 빈공간(s)의 폭(t1)보다 크게 형성되어, 체결부(21)의 상단면(21a)과 거치부(22)의 하면(22a) 사이에 끼워지도록 구비됨과 동시에, ⅱ) 선단(120a)과 낚시대(10)의 로드(11) 사이의 폭(t11')은 상기 지지부(24)의 폭(t2)보다 크고, 후단(120b)과 낚시대(10)의 로드(11) 사이의 폭(t12')은 상기 지지부(24)의 폭(t2)보다 작게 형성되어, 지지부(24)에 끼워지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도 7, 도 11 참조).
즉, 제1-2절곡부(120)가 후단(120b)과 선단(120a) 사이의 어느 한 지점에서 체결부(21)의 상단면(21a)과 거치부(22)의 하면(22a) 사이에 끼워지거나, 지지부(24)가 제1-2절곡부(120)의 후단(120b)과 선단(120a) 사이의 어느 한 지점과 로드(11) 사이에 끼워지는 것이다.
제1-2절곡부(120)가 체결부(21)와 거치부(22) 사이에 끼워진 모습은 도 13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다. 다만, 제1-2절곡부(120)가 주변 구성에 의해 가려져 그 부호 120이 표시되어 있지 않지만, 그 위치는 다른 도면에 비추어 제1-3절곡부(130)에 대향되는 위치로 파악될 수 있음이 자명하다. 제1-2절곡부(120)가 지지부(24)에 끼워진 모습은 도 15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다.
제1-3절곡부(130)에 대해 설명한다. 제1-3절곡부(130)는 상기 제1-1절곡부(110)의 타단에서 절곡연장되어, 낚시대거치대(20)의 일측에 끼워지도록 구비되는 부분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3절곡부(130)는 후단(130b)에서 선단(130a)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경사진 형상으로 형성되되, ⅰ) 선단(130a)의 폭(t21)은 상기 체결부(21)의 상단면(21a)과 거치부(22)의 하면(22a) 사이의 빈공간(s)의 폭(t1)보다 작고, 후단(130b)의 폭(t22)은 상기 빈공간(s)의 폭(t1)보다 크게 형성되어, 체결부(21)의 상단면(21a)과 거치부(22)의 하면(22a) 사이에 끼워지도록 구비됨과 동시에, ⅱ) 선단(130a)과 낚시대(10)의 로드(11) 사이의 폭(t21')은 지지부(24)의 폭(t2)보다 크고, 후단(130b)과 낚시대(10)의 로드(11) 사이의 폭(t22')은 상기 지지부(24)의 폭(t2)보다 작게 형성되어, 지지부(24)에 끼워지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도 7, 도 11 참조).
즉, 제1-3절곡부(130)가 후단(130b)과 선단(130a) 사이의 어느 한 지점에서 체결부(21)의 상단면(21a)과 거치부(22)의 하면(22a) 사이에 끼워지거나, 지지부(24)가 제1-3절곡부(130)의 후단(130b)과 선단(130a) 사이의 어느 한 지점과 로드(11) 사이에 끼워지는 것이다.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제1-3절곡부(130)가 체결부(21)와 거치부(22) 사이 또는 지지부(24)에 끼워진 모습이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이는 제1-2절곡부(120)가 끼워진 도 13 내지 도 17로 미루어 파악될 수 있음이 자명하다.
제1-1끈걸이부(140)에 대해 설명한다. 제1-1끈걸이부(140)는 상기 제1-2절곡부(120)에 대향되는 제1-1절곡부(110)의 일단에 형성되어, 끈형상체(40)를 걸 수 있도록 구비되는 부분이다.
제1-2끈걸이부(150)에 대해 설명한다. 제1-2끈걸이부(150)는 상기 제1-3절곡부(130)에 대향되는 제1-1절곡부(110)의 타단에 형성되어, 끈형상체(40)를 걸 수 있도록 구비되는 부분이다.
제2몸체(200)에 대해 설명한다. 제2몸체(200)는 상기 제1몸체(100)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고, 제1몸체(100)와 마주보면서 결합되는 부분으로서, ⅰ) 제2-1절곡부(210)와, 상기 제2-1절곡부(210)의 일단에서 절곡연장되는 제2-2절곡부(220)를 포함하여 ㄴ자 형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ⅱ) 제2-1절곡부(210)와, 상기 제2-1절곡부(210)의 양단에서 절곡연장되는 제2-2절곡부(220) 및 제2-3절곡부(230)를 포함하여 ㄷ자 형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제2-1끈걸이부(240)와, 제2-2끈걸이부(250)가 추가로 구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제2몸체(200)가 ㄷ자 형상으로 제시되어 있지만, H 점선(도 1,도 2)을 기준으로 제2-3절곡부(230)가 형성되어 있지 않으면, 제1몸체(100)는 ㄴ자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이다.
제2-1절곡부(210)에 대해 설명한다. 제2-1절곡부(210)는 낚시대(10)의 로드(11)의 횡방향 제1측(a1)에 대향되는 낚시대(10)의 로드(11)의 횡방향 제2측(a2,도 9)이 수용되는 부분으로서, 제2수용홈(211)과, 제2함몰홈(212)과, 제2체결공(21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2수용홈(211)에 대해 설명한다. 제2수용홈(211)은 제2-1절곡부(210)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함몰형성되어, 낚시대(10)의 로드(11)의 횡방향 제2측(a2,도 9)을 수용할 수 있도록 반원통 형상으로 구비되는 부분이다.
도 9에서는 제2수용홈(211)이 낚시대(10)의 로드(11)의 횡방향 제2측(a2)을 수용하고 있는 제2쿠션부재(400)를 수용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로드(11)의 직경은 다양하므로, 로드(11)의 직경이 제2수용홈(211)의 내경에 대응되는 경우에는 제2쿠션부재(400)를 제외하고 로드(11)의 횡방향 제2측(a2)이 제2수용홈(211)에 직접 수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제2함몰홈(212)에 대해 설명한다. 제2함몰홈(212)은 상기 제2수용홈(211)으로부터 제2-1절곡부(210)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함몰형성되어, 후술할 제2쿠션부재(400)의 제2결합부(420)에 결합되는 부분이다.
제2체결공(213)에 대해 설명한다. 제2체결공(213)은 제2-1절곡부(210)에 관통형성되어, 체결부재(30)가 결합되는 부분으로서, 제2-1체결공(213a)과, 제2-2체결공(213b)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1체결공(213a)은 제2-1절곡부(210)의 일측에 관통형성되어, 제1체결부재(31)가 결합되는 부분이고, 제2-2체결공(213b)은 제2-1절곡부(210)의 타측에 관통형성되어, 제2체결부재(32)가 결합되는 부분이다.
상기 제1-1체결공(113a)과 제2-1체결공(213a)은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제1체결부재(31)가 제1-1체결공(113a)과 제2-1체결공(213a)에 동시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1체결공(113a)과 제2-1체결공(213a)의 내주면에는 암나사산이, 제1체결부재(31)의 외주면에는 상기 암나사산에 대응되는 수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제1-2체결공(113b)과 제2-2체결공(213b)은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제2체결부재(32)가 제1-2체결공(113b)과 제2-2체결공(213b)에 동시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2체결공(113b)과 제2-2체결공(213b)의 내주면에는 암나사산이, 제2체결부재(32)의 외주면에는 상기 암나사산에 대응되는 수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2-2절곡부(220)에 대해 설명한다. 제2-2절곡부(220)는 상기 제2-1절곡부(210)의 일단에서 절곡연장되어, 낚시대거치대(20)의 일측에 끼워지도록 구비되는 부분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2절곡부(220)는 후단(220b)에서 선단(220a)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경사진 형상으로 형성되되, ⅰ) 선단(220a)의 폭(t31)은 상기 체결부(21)의 상단면(21a)과 거치부(22)의 하면(22a) 사이의 빈공간(s)의 폭(t1)보다 작고, 후단(220b)의 폭(t32)은 상기 빈공간(s)의 폭(t1)보다 크게 형성되어, 체결부(21)의 상단면(21a)과 거치부(22)의 하면(22a) 사이에 끼워지도록 구비됨과 동시에, ⅱ) 선단(220a)과 낚시대(10)의 로드(11) 사이의 폭(t31')은 상기 지지부(24)의 폭(t2)보다 크고, 후단(220b)과 낚시대(10)의 로드(11) 사이의 폭(t32')은 상기 지지부(24)의 폭(t2)보다 작게 형성되어, 지지부(24)에 끼워지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도 8, 도 11 참조).
즉, 제2-2절곡부(220)가 후단(220b)과 선단(220a) 사이의 어느 한 지점에서 체결부(21)의 상단면(21a)과 거치부(22)의 하면(22a) 사이에 끼워지거나, 지지부(24)가 제2-2절곡부(220)의 후단(220b)과 선단(220a) 사이의 어느 한 지점과 로드(11) 사이에 끼워지는 것이다.
제2-2절곡부(220)가 체결부(21)와 거치부(22) 사이에 끼워진 모습은 도 13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다. 다만, 제2-2절곡부(220)가 주변 구성에 의해 가려져 그 부호 220이 표시되어 있지 않지만, 그 위치는 다른 도면에 비추어 제2-3절곡부(230)에 대향되는 위치로 파악될 수 있음이 자명하다. 제2-2절곡부(220)가 지지부(24)에 끼워진 모습은 도 15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다.
한편, 낚시대거치대(20)의 지지부(24)가 하측이 개구된 반원(
Figure 112022076937527-pat00003
) 형상으로 형성된 경우, 상기 지지부(24)가 로드(11)와 제1-2절곡부(120) 사이 및 로드(11)와 제2-2절곡부(220) 사이로 인입될 때, 지지부(24)의 외측면은 제1점(p1)에서 로드(11)의 하측면과 접촉되고, 지지부(24)의 내측면은 제2점(p2)에서 제2-2절곡부(220)의 상측 모서리와 접촉됨과 동시에 제3점(p3)에서 제1-2절곡부(120)의 상측 모서리와 접촉되어, 3점(p1,p2,p3) 접촉에 의해 지지부(24)가 로드(11)와 제1-2절곡부(120) 사이 및 로드(11)와 제2-2절곡부(220) 사이에 끼워질 수 있다.
이러한 3점 접촉 방식으로 지지부(24)가 로드(11)와 제1-2절곡부(120) 사이 및 로드(11)와 제2-2절곡부(220) 사이로 끼워지는 경우에는 낚시대(10)가 매우 안정적으로 위치고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제2-3절곡부(230)에 대해 설명한다. 제2-3절곡부(230)는 상기 제2-1절곡부(210)의 타단에서 절곡연장되어, 낚시대거치대(20)의 일측에 끼워지도록 구비되는 부분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3절곡부(230)는 후단(230b)에서 선단(230a)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경사진 형상으로 형성되되, ⅰ) 선단(230a)의 폭(t41)은 상기 체결부(21)의 상단면(21a)과 거치부(22)의 하면(22a) 사이의 빈공간(s)의 폭(t1)보다 작고, 후단(230b)의 폭(t42)은 상기 빈공간(s)의 폭(t1)보다 크게 형성되어, 체결부(21)의 상단면(21a)과 거치부(22)의 하면(22a) 사이에 끼워지도록 구비됨과 동시에, ⅱ) 선단(230a)과 낚시대(10)의 로드(11) 사이의 폭(t41')은 지지부(24)의 폭(t2)보다 크고, 후단(230b)과 낚시대(10)의 로드(11) 사이의 폭(t42')은 상기 지지부(24)의 폭(t2)보다 작게 형성되어, 지지부(24)에 끼워지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도 8, 도 11 참조).
즉, 제2-3절곡부(230)가 후단(230b)과 선단(230a) 사이의 어느 한 지점에서 체결부(21)의 상단면(21a)과 거치부(22)의 하면(22a) 사이에 끼워지거나, 지지부(24)가 제2-3절곡부(230)의 후단(230b)과 선단(230a) 사이의 어느 한 지점과 로드(11) 사이에 끼워지는 것이다.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제2-3절곡부(230)가 체결부(21)와 거치부(22) 사이 또는 지지부(24)에 끼워진 모습이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이는 제2-2절곡부(220)가 끼워진 도 13 내지 도 17로 미루어 파악될 수 있음이 자명하다.
제2-1끈걸이부(240)에 대해 설명한다. 제2-1끈걸이부(240)는 상기 제2-2절곡부(220)에 대향되는 제2-1절곡부(210)의 일단에 형성되어, 끈형상체(40)를 걸 수 있도록 구비되는 부분이다.
제2-2끈걸이부(250)에 대해 설명한다. 제2-2끈걸이부(250)는 상기 제2-3절곡부(230)에 대향되는 제2-1절곡부(210)의 타단에 형성되어, 끈형상체(40)를 걸 수 있도록 구비되는 부분이다.
상기 제1-1끈걸이부(140)와 제2-1끈걸이부(240)는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끈형상체(40)가 제1-1끈걸이부(140)와 제2-1끈걸이부(240)에 동시에 걸리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2끈걸이부(150)와 제2-2끈걸이부(250)는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끈형상체(40)가 제1-2끈걸이부(150)와 제2-2끈걸이부(250)에 동시에 걸리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쿠션부재(300)에 대해 설명한다. 제1쿠션부재(300)는 상기 제1몸체(100)에 결합되는 부분으로서, 로드(11)의 직경이 제1,2몸체(100,200)의 제1,2수용홈(111,211)의 내경보다 작을 때 그 틈을 메우기 위한 부분이다. 제1쿠션부재(300)는 제1쿠션부(310)와, 제1결합부(3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쿠션부(310)에 대해 설명한다. 제1쿠션부(310)는 제1수용홈(111)의 내주면에 대응되는 반원통 형상으로 구비되는 부분으로서, 그 내경은 낚시대(10)의 로드(11)의 다양한 직경에 대응되게 다양한 크기로 구비될 수 있다.
제1결합부(320)에 대해 설명한다. 제1결합부(320)는 상기 제1쿠션부(310)의 외측면에 형성되어, 제1함몰홈(112)에 결합되는 부분이다. 구체적으로, 제1함몰홈(112)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함몰홈(112)에 끼워맞춤 결합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제2쿠션부재(400)에 대해 설명한다. 제2쿠션부재(400)는 상기 제2몸체(200)에 결합되는 부분으로서, 로드(11)의 직경이 제1,2몸체(100,200)의 제1,2수용홈(111,211)의 내경보다 작을 때 그 틈을 메우기 위한 부분이다. 제2쿠션부재(400)는 제2쿠션부(410)와, 제2결합부(4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2쿠션부(410)에 대해 설명한다. 제2쿠션부(410)는 제2수용홈(211)의 내주면에 대응되는 반원통 형상으로 구비되는 부분으로서, 그 내경은 낚시대(10)의 로드(11)의 다양한 직경에 대응되게 다양한 크기로 구비될 수 있다.
제2결합부(420)에 대해 설명한다. 제2결합부(420)는 상기 제2쿠션부(410)의 외측면에 형성되어, 제2함몰홈(212)에 결합되는 부분이다. 구체적으로, 제2함몰홈(212)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2함몰홈(212)에 끼워맞춤 결합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낚시대 거치대의 일측에 끼워진 낚시대가 릴의 무게에 의하여 회동되지 않으므로, 선박의 벽체 또는 난간에서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상술한 구성을 토대로, 낚시대위치고착부재(1000)를 이용하여 낚시대(10)를 낚시대거치대(20)에 고정시키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이러한 위치고착방법은 세 가지 실시예로 제시된다.
제1실시예에 따른 낚시대 위치고착방법은, 낚시대위치고착부재(1000)를 낚시대거치대(20)의 체결부(21)와 거치부(22) 사이에 끼워서 낚시대(10)를 고정시키는 방법이다.
먼저, 낚시대(10)의 로드(11)를 사이에 두고 제1몸체(100)의 제1-2절곡부(120)와 제2몸체(200)의 제2-2절곡부(220)가 낚시대(10)의 릴(12)을 향하도록 한 후에, 제1몸체(100)와 제2몸체(200)를 결합시켜 낚시대(10)의 로드(11)에 장착한다(S110).
다음으로, 상기 낚시대(10)의 로드(11)에 장착된 제1몸체(100)의 제1-2절곡부(120)와 제2몸체(200)의 제2-2절곡부(220)를 낚시대거치대(20)의 체결부(21)와 거치부(22) 사이에 끼워서 장착한다(S120).
제2실시예에 따른 낚시대 위치고착방법은, 낚시대위치고착부재(1000)를 낚시대거치대(20)의 지지부(24)에 끼워서 낚시대(10)를 고정시키는 방법이다.
먼저, 낚시대(10)의 로드(11)를 사이에 두고 제1몸체(100)의 제1-2절곡부(120)와 제2몸체(200)의 제2-2절곡부(220)가 낚시대(10)의 릴(12)을 향하도록 한 후에, 제1몸체(100)와 제2몸체(200)를 결합시켜 낚시대(10)의 로드(11)에 장착한다(S210).
다음으로, 상기 낚시대(10)의 로드(11)에 장착된 제1몸체(100)의 제1-2절곡부(120)와 제2몸체(200)의 제2-2절곡부(220)를 지지부(24)에 끼워서 장착하되, 지지부(24)를 사이에 두고 낚시대(10)의 로드(11)가 지지부(24)의 하부에 배치됨과 동시에, 제1몸체(100)의 제1-2절곡부(120)와 제2몸체(200)의 제2-2절곡부(220)가 지지부(24)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한다(S220).
제3실시예에 따른 낚시대 위치고착방법은, 낚시대위치고착부재(1000)를 낚시대거치대(20)의 지지부(24)에 끼워서 낚시대(10)를 고정시키는 방법으로서, 제2실시예에 따른 위치고착방법과 유사하지만, 낚시대(10)의 로드(11)를 지지부(24)의 내측으로 배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제1,2실시예에 따른 위치고착방법보다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이다.
먼저, 낚시대(10)의 로드(11)를 사이에 두고 제1몸체(100)의 제1-2절곡부(120)와 제2몸체(200)의 제2-2절곡부(220)가 낚시대(10)의 릴(12)을 향하도록 한 후에, 제1몸체(100)와 제2몸체(200)를 결합시켜 낚시대(10)의 로드(11)에 장착한다(S310).
다음으로, 상기 낚시대(10)의 로드(11)에 장착된 제1몸체(100)의 제1-2절곡부(120)와 제2몸체(200)의 제2-2절곡부(220)를 지지부(24)에 끼워서 장착하되, 지지부(24)를 사이에 두고 낚시대(10)의 로드(11)가 지지부(24)의 상부에 배치됨과 동시에, 제1몸체(100)의 제1-2절곡부(120)와 제2몸체(200)의 제2-2절곡부(220)가 지지부(24)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한다.
상술한 세 가지 실시예에 따른 낚시대 위치고착방법에서, 제1-2절곡부(120) 및 제2-2절곡부(220)가 제1-3절곡부(130) 및 제2-3절곡부(230)로 대체되어도 동일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100 : 제1몸체
110 : 제1-1절곡부
111 : 제1수용홈
112 : 제1함몰홈
113 : 제1체결공
113a : 제1-1체결공
113b : 제1-2체결공
120 : 제1-2절곡부
130 : 제1-3절곡부
140 : 제1-1끈걸이부
150 : 제1-2끈걸이부
200 : 제2몸체
210 : 제2-1절곡부
211 : 제2수용홈
212 : 제1함몰홈
213 : 제2체결공
213a : 제2-1체결공
213b : 제2-2체결공
220 : 제2-2절곡부
230 : 제2-3절곡부
240 : 제2-1끈걸이부
250 : 제2-2끈걸이부
300 : 제1쿠션부재
310 : 제1쿠션부
320 : 제1결합부
400 : 제2쿠션부재
410 : 제2쿠션부
420 : 제2결합부
10 : 낚시대
11 : 로드
12 : 릴
13 : 손잡이
20 : 낚시대거치대
21 : 체결부
22 : 거치부
23 : 연장부
24 : 지지부
30 : 체결부재
31 : 제1체결부재
32 : 제2체결부재
40 : 끈형상체

Claims (7)

  1. 낚시대(10)의 로드(11)에 장착된 상태에서 낚시대거치대(20)의 일측에 끼워서 낚시대(10)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고정시키는 낚시대위치고착부재(1000)에 있어서,

    제1몸체(100);
    상기 제1몸체(100)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고, 제1몸체(100)와 마주보면서 결합되는 제2몸체(200);를 포함하고,

    상기 낚시대거치대(20)는
    선상에 체결되는 체결부(21)와,
    상기 체결부(21)의 상측에 결합되고, 상측이 개구된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낚시대(10)의 종방향 제1측(b1)이 거치되는 거치부(22)와,
    상기 거치부(22)의 선단으로부터 평행되게 이격되어 연장되는 연장부(23)와,
    상기 연장부(23)의 단부에 하측이 개구된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거치부(22)에 낚시대(10)의 종방향 제1측(b1)이 거치된 상태에서, 상기 낚시대(10)의 종방향 제1측(b1)으로부터 후방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낚시대(10)의 종방향 제2측(b2)을 지지하는 지지부(24)를 포함하고,

    상기 제1몸체(100)는
    낚시대(10)의 로드(11)의 횡방향 제1측(a1)이 수용되는 제1-1절곡부(110)와,
    상기 제1-1절곡부(110)의 일단에서 절곡연장되어, 낚시대거치대(20)의 일측에 끼워지도록 구비되는 제1-2절곡부(120)를 포함하고,

    상기 제1-2절곡부(120)는
    후단(120b)에서 선단(120a)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경사진 형상으로 형성되되, ⅰ) 선단(120a)의 폭(t11)은 상기 체결부(21)의 상단면(21a)과 거치부(22)의 하면(22a) 사이의 빈공간(s)의 폭(t1)보다 작고, 후단(120b)의 폭(t12)은 상기 빈공간(s)의 폭(t1)보다 크게 형성되어, 체결부(21)의 상단면(21a)과 거치부(22)의 하면(22a) 사이에 끼워지도록 구비됨과 동시에, ⅱ) 선단(120a)과 로드(11) 사이의 폭(t11')은 상기 지지부(24)의 폭(t2)보다 크고, 후단(120b)과 로드(11) 사이의 폭(t12')은 상기 지지부(24)의 폭(t2)보다 작게 형성되어, 지지부(24)에 끼워지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2몸체(200)는
    상기 낚시대(10)의 로드(11)의 횡방향 제1측(a1)에 대향되는 낚시대(10)의 로드(11)의 횡방향 제2측(a2)이 수용되는 제2-1절곡부(210)와,
    상기 제2-1절곡부(210)의 일단에서 절곡연장되어, 낚시대거치대(20)의 일측에 끼워지도록 구비되는 제2-2절곡부(220)를 포함하고,

    상기 제2-2절곡부(220)는
    후단(220b)에서 선단(220a)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경사진 형상으로 형성되되, ⅰ) 선단(220a)의 폭(t31)은 상기 체결부(21)의 상단면(21a)과 거치부(22)의 하면(22a) 사이의 빈공간(s)의 폭(t1)보다 작고, 후단(220b)의 폭(t32)은 상기 빈공간(s)의 폭(t1)보다 크게 형성되어, 체결부(21)의 상단면(21a)과 거치부(22)의 하면(22a) 사이에 끼워지도록 구비됨과 동시에, ⅱ) 선단(220a)과 로드(11) 사이의 폭(t31')은 상기 지지부(24)의 폭(t2)보다 크고, 후단(220b)과 로드(11) 사이의 폭(t32')은 상기 지지부(24)의 폭(t2)보다 작게 형성되어, 지지부(24)에 끼워지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대 위치고착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100)에 결합되는 제1쿠션부재(300);
    상기 제2몸체(200)에 결합되는 제2쿠션부재(4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쿠션부재(300)는
    제1수용홈(111)의 내주면에 대응되는 반원통 형상의 제1쿠션부(310)와,
    상기 제1쿠션부(310)의 외측면에 형성되어, 제1함몰홈(112)에 결합되는 제1결합부(320)를 포함하고,

    상기 제2쿠션부재(400)는
    제2수용홈(211)의 내주면에 대응되는 반원통 형상의 제2쿠션부(410)와,
    상기 제2쿠션부(410)의 외측면에 형성되어, 제2함몰홈(212)에 결합되는 제2결합부(420)를 포함하고,

    상기 제1-1절곡부(110)는
    제1-1절곡부(110)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함몰형성되어, 낚시대(10)의 로드(11)의 횡방향 제1측(a1)을 수용하는 반원통 형상의 제1수용홈(111)과,
    상기 제1수용홈(111)으로부터 제1-1절곡부(110)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함몰형성되는 제1함몰홈(112)과,
    제1-1절곡부(110)에 관통형성되어, 체결부재(30)가 결합되는 제1체결공(113)을 포함하고,

    상기 제1체결공(113)은
    제1-1절곡부(110)의 일측에 관통형성되어, 제1체결부재(31)가 결합되는 제1-1체결공(113a)과,
    제1-1절곡부(110)의 타측에 관통형성되어, 제2체결부재(32)가 결합되는 제1-2체결공(113b)을 포함하고,

    상기 제2-1절곡부(210)는
    제2-1절곡부(210)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함몰형성되어, 낚시대(10)의 로드(11)의 횡방향 제2측(a2)을 수용하는 반원통 형상의 제2수용홈(211)과,
    상기 제2수용홈(211)으로부터 제2-1절곡부(210)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함몰형성되는 제2함몰홈(212)과,
    제2-1절곡부(210)에 관통형성되어, 체결부재(30)가 결합되는 제2체결공(213)을 포함하고,

    상기 제2체결공(213)은
    제2-1절곡부(210)의 일측에 관통형성되어, 제1체결부재(31)가 결합되는 제2-1체결공(213a)과,
    제2-1절곡부(210)의 타측에 관통형성되어, 제2체결부재(32)가 결합되는 제2-2체결공(213b)을 포함하고,

    상기 제1-1체결공(113a)과 제2-1체결공(213a)은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그 내주면에는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외주면에 수나사산이 형성된 제1체결부재(31)가 제1-1체결공(113a)과 제2-1체결공(213a)에 동시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1-2체결공(113b)과 제2-2체결공(213b)은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그 내주면에는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외주면에 수나사산이 형성된 제2체결부재(32)가 제1-2체결공(113b)과 제2-2체결공(213b)에 동시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대 위치고착부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100)는
    상기 제1-1절곡부(110)의 타단에서 절곡연장되어, 낚시대거치대(20)의 일측에 끼워지도록 구비되는 제1-3절곡부(130)와,
    상기 제1-2절곡부(120)에 대향되는 제1-1절곡부(110)의 일단에 형성되어, 끈형상체(40)를 걸 수 있도록 구비되는 제1-1끈걸이부(140)와,
    상기 제1-3절곡부(130)에 대향되는 제1-1절곡부(110)의 타단에 형성되어, 끈형상체(40)를 걸 수 있도록 구비되는 제1-2끈걸이부(15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3절곡부(130)는
    후단(130b)에서 선단(130a)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경사진 형상으로 형성되되, ⅰ) 선단(130a)의 폭(t21)은 상기 체결부(21)의 상단면(21a)과 거치부(22)의 하면(22a) 사이의 빈공간(s)의 폭(t1)보다 작고, 후단(130b)의 폭(t22)은 상기 빈공간(s)의 폭(t1)보다 크게 형성되어, 체결부(21)의 상단면(21a)과 거치부(22)의 하면(22a) 사이에 끼워지도록 구비됨과 동시에, ⅱ) 선단(130a)과 로드(11) 사이의 폭(t21')은 지지부(24)의 폭(t2)보다 크고, 후단(130b)과 로드(11) 사이의 폭(t22')은 상기 지지부(24)의 폭(t2)보다 작게 형성되어, 지지부(24)에 끼워지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2몸체(200)는
    상기 제2-1절곡부(210)의 타단에서 절곡연장되어, 낚시대거치대(20)의 일측에 끼워지도록 구비되는 제2-3절곡부(230)와,
    상기 제2-2절곡부(220)에 대향되는 제2-1절곡부(210)의 일단에 형성되어, 끈형상체(40)를 걸 수 있도록 구비되는 제2-1끈걸이부(240)와,
    상기 제2-3절곡부(230)에 대향되는 제2-1절곡부(210)의 타단에 형성되어, 끈형상체(40)를 걸 수 있도록 구비되는 제2-2끈걸이부(250)를 포함하고,

    상기 제2-3절곡부(230)는
    후단(230b)에서 선단(230a)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경사진 형상으로 형성되되, ⅰ) 선단(230a)의 폭(t41)은 상기 체결부(21)의 상단면(21a)과 거치부(22)의 하면(22a) 사이의 빈공간(s)의 폭(t1)보다 작고, 후단(230b)의 폭(t42)은 상기 빈공간(s)의 폭(t1)보다 크게 형성되어, 체결부(21)의 상단면(21a)과 거치부(22)의 하면(22a) 사이에 끼워지도록 구비됨과 동시에, ⅱ) 선단(230a)과 로드(11) 사이의 폭(t41')은 지지부(24)의 폭(t2)보다 크고, 후단(230b)과 로드(11) 사이의 폭(t42')은 상기 지지부(24)의 폭(t2)보다 작게 형성되어, 지지부(24)에 끼워지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1-1끈걸이부(140)와 제2-1끈걸이부(240)는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끈형상체(40)가 제1-1끈걸이부(140)와 제2-1끈걸이부(240)에 동시에 걸리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1-2끈걸이부(150)와 제2-2끈걸이부(250)는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끈형상체(40)가 제1-2끈걸이부(150)와 제2-2끈걸이부(250)에 동시에 걸리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대 위치고착부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낚시대거치대(20)는
    선상에 체결되는 체결부(21)와,
    상기 체결부(21)의 상측에 결합되고, 상측이 개구된 반원(
    Figure 112022110141129-pat00004
    ) 형상으로 형성되어, 낚시대(10)의 종방향 제1측(b1)이 거치되는 거치부(22)와,
    상기 거치부(22)의 선단으로부터. 평행되게 이격되어 연장되는 연장부(23)와,
    상기 연장부(23)의 단부에 하측이 개구된 반원(
    Figure 112022110141129-pat00005
    )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거치부(22)에 낚시대(10)의 종방향 제1측(b1)이 거치된 상태에서, 상기 낚시대(10)의 종방향 제1측(b1)으로부터 후방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낚시대(10)의 종방향 제2측(b2)을 지지하는 지지부(24)를 포함하고,

    상기 제1-2절곡부(120)는
    후단(120b)에서 선단(120a)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경사진 형상으로 형성되되, ⅰ) 선단(120a)의 폭(t11)은 상기 체결부(21)의 상단면(21a)과 거치부(22)의 하면(22a) 사이의 빈공간(s)의 폭(t1)보다 작고, 후단(120b)의 폭(t12)은 상기 빈공간(s)의 폭(t1)보다 크게 형성되어, 체결부(21)의 상단면(21a)과 거치부(22)의 하면(22a) 사이에 끼워지도록 구비됨과 동시에, ⅱ) 선단(120a)과 로드(11) 사이의 폭(t11')은 상기 지지부(24)의 폭(t2)보다 크고, 후단(120b)과 로드(11) 사이의 폭(t12')은 상기 지지부(24)의 폭(t2)보다 작게 형성되어, 지지부(24)에 끼워지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2-2절곡부(220)는
    후단(220b)에서 선단(220a)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경사진 형상으로 형성되되, ⅰ) 선단(220a)의 폭(t31)은 상기 체결부(21)의 상단면(21a)과 거치부(22)의 하면(22a) 사이의 빈공간(s)의 폭(t1)보다 작고, 후단(220b)의 폭(t32)은 상기 빈공간(s)의 폭(t1)보다 크게 형성되어, 체결부(21)의 상단면(21a)과 거치부(22)의 하면(22a) 사이에 끼워지도록 구비됨과 동시에, ⅱ) 선단(220a)과 로드(11) 사이의 폭(t31')은 상기 지지부(24)의 폭(t2)보다 크고, 후단(220b)과 로드(11) 사이의 폭(t32')은 상기 지지부(24)의 폭(t2)보다 작게 형성되어, 지지부(24)에 끼워지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지지부(24)가 로드(11)와 제1-2절곡부(120) 사이 및 로드(11)와 제2-2절곡부(220) 사이로 인입될 때, 지지부(24)의 외측면은 제1점(p1)에서 로드(11)의 하측면과 접촉되고, 지지부(24)의 내측면은 제2점(p2)에서 제2-2절곡부(220)의 상측 모서리와 접촉됨과 동시에 제3점(p3)에서 제1-2절곡부(120)의 상측 모서리와 접촉되어, 3점(p1,p2,p3) 접촉에 의해 지지부(24)가 로드(11)와 제1-2절곡부(120) 사이 및 로드(11)와 제2-2절곡부(220) 사이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대 위치고착부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낚시대 위치고착부재를 이용하여 낚시대(10)를 낚시대거치대(20)에 고정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낚시대(10)의 로드(11)를 사이에 두고 제1몸체(100)의 제1-2절곡부(120)와 제2몸체(200)의 제2-2절곡부(220)가 낚시대(10)의 릴(12)을 향하도록 한 후에, 제1몸체(100)와 제2몸체(200)를 결합시켜 낚시대(10)의 로드(11)에 장착하는 단계(S110);
    상기 낚시대(10)의 로드(11)에 장착된 제1몸체(100)의 제1-2절곡부(120)와 제2몸체(200)의 제2-2절곡부(220)를 낚시대거치대(20)의 체결부(21)와 거치부(22) 사이에 끼워서 장착하는 단계(S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대 위치고착부재를 이용한 낚시대 위치고착방법.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낚시대 위치고착부재를 이용하여 낚시대(10)를 낚시대거치대(20)에 고정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낚시대(10)의 로드(11)를 사이에 두고 제1몸체(100)의 제1-2절곡부(120)와 제2몸체(200)의 제2-2절곡부(220)가 낚시대(10)의 릴(12)을 향하도록 한 후에, 제1몸체(100)와 제2몸체(200)를 결합시켜 낚시대(10)의 로드(11)에 장착하는 단계(S310);
    상기 낚시대(10)의 로드(11)에 장착된 제1몸체(100)의 제1-2절곡부(120)와 제2몸체(200)의 제2-2절곡부(220)를 지지부(24)에 끼워서 장착하되, 지지부(24)를 사이에 두고 낚시대(10)의 로드(11)가 지지부(24)의 상부에 배치됨과 동시에, 제1몸체(100)의 제1-2절곡부(120)와 제2몸체(200)의 제2-2절곡부(220)가 지지부(24)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하는 단계(S3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대 위치고착부재를 이용한 낚시대 위치고착방법.
  7. 삭제
KR1020220091124A 2022-07-22 2022-07-22 낚시대 위치고착부재 및 이를 이용한 낚시대 위치고착방법 KR1024825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1124A KR102482541B1 (ko) 2022-07-22 2022-07-22 낚시대 위치고착부재 및 이를 이용한 낚시대 위치고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1124A KR102482541B1 (ko) 2022-07-22 2022-07-22 낚시대 위치고착부재 및 이를 이용한 낚시대 위치고착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2541B1 true KR102482541B1 (ko) 2022-12-28

Family

ID=84538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1124A KR102482541B1 (ko) 2022-07-22 2022-07-22 낚시대 위치고착부재 및 이를 이용한 낚시대 위치고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2541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7483Y1 (ko) * 2000-10-13 2001-03-15 김경선 낚시대받침장비
KR200364196Y1 (ko) * 2004-07-12 2004-10-08 고만제 낚싯대용 지지구
KR200447541Y1 (ko) 2009-05-08 2010-02-03 차영란 선상 낚시대 받침대
KR101699411B1 (ko) * 2015-08-27 2017-01-25 박종엽 낚시대용 받침장치
KR102113115B1 (ko) * 2017-12-08 2020-05-20 홍충기 낚시대 거치 장치
KR20200093181A (ko) * 2019-01-28 2020-08-05 이수진 낚싯대 받침용 방아쇠 타입 클램프
KR102344470B1 (ko) * 2021-03-11 2021-12-27 정태영 선상 낚싯대 설치 및 채비교환이 용이한 스마트 선상낚시 보조장치
KR102368702B1 (ko) * 2021-08-20 2022-02-28 임재영 낚시대 고정 보조 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7483Y1 (ko) * 2000-10-13 2001-03-15 김경선 낚시대받침장비
KR200364196Y1 (ko) * 2004-07-12 2004-10-08 고만제 낚싯대용 지지구
KR200447541Y1 (ko) 2009-05-08 2010-02-03 차영란 선상 낚시대 받침대
KR101699411B1 (ko) * 2015-08-27 2017-01-25 박종엽 낚시대용 받침장치
KR102113115B1 (ko) * 2017-12-08 2020-05-20 홍충기 낚시대 거치 장치
KR20200093181A (ko) * 2019-01-28 2020-08-05 이수진 낚싯대 받침용 방아쇠 타입 클램프
KR102344470B1 (ko) * 2021-03-11 2021-12-27 정태영 선상 낚싯대 설치 및 채비교환이 용이한 스마트 선상낚시 보조장치
KR102368702B1 (ko) * 2021-08-20 2022-02-28 임재영 낚시대 고정 보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425150A (en) Sectional fish-pole carrier clips
KR102482541B1 (ko) 낚시대 위치고착부재 및 이를 이용한 낚시대 위치고착방법
US20120286008A1 (en) Device for hanging items of clothing
KR960011231A (ko) 발판 부재와 수납 걸이를 구비한 관 및 케이블 걸쇠
US3443335A (en) Rod and reel holder
US5887840A (en) Pick-up truck tie down anchor
ATE401786T1 (de) Vogelfütterungsgerät
US7597460B1 (en) Tri-baffle ceiling fixture reflector including snapper assembly
US10010462B1 (en) Foot support for a wheelchair
FR2720130A1 (fr) Dispositif pour crocher et décrocher un objet situé hors portée humaine de façon répétitive sans qu'il soit besoin de repositionner manuellement le dispositif dans un état initial.
ES2097325T3 (es) Conjuntos de etiqueta.
KR20200002449U (ko) 선상 낚시 거치대 고정 장치
US5586404A (en) Fishpole storage system
KR200490915Y1 (ko) 수중 집어등을 수용하는 낚시추 조립체
KR900001627Y1 (ko) 탄인식 낚시대 받침
US3508357A (en) Combination fishing rod carrier,holder,and display hanger
CN211691161U (zh) 一种夜光式防撞扶手
JP2583552Y2 (ja) フック付ロープ緊張金具
US20200113161A1 (en) Fishing devices, systems, and methods
US20060231038A1 (en) Bird feeder accessory
KR102167244B1 (ko) 릴 시트
JPH0340200Y2 (ko)
JP6718585B2 (ja) 車載固定ベルトの退避構造
US4052810A (en) Snelled hook holder
KR20070081742A (ko) 장식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