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2274B1 - 센서 어셈블리 및 이를 적용한 모듈러 유닛 - Google Patents

센서 어셈블리 및 이를 적용한 모듈러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2274B1
KR102482274B1 KR1020220052626A KR20220052626A KR102482274B1 KR 102482274 B1 KR102482274 B1 KR 102482274B1 KR 1020220052626 A KR1020220052626 A KR 1020220052626A KR 20220052626 A KR20220052626 A KR 20220052626A KR 102482274 B1 KR102482274 B1 KR 1024822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magnetic body
frame
sensor assembly
coll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26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석규
Original Assignee
장석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석규 filed Critical 장석규
Priority to KR10202200526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22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22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22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30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an instrument;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a set of instru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둘 이상의 프레임이 조립되어 형성된 내부공간에 구비되는 센서 어셈블리로서, 내부공간에서 각종 정보를 수집하는 수집부 및 수집부와 연결되어 수집부가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센서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각종 정보를 수집 및 처리하는 수집부를 통해 내부공간에서 외부와 자유롭게 소통하고 각종 전자장비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임시 목적으로 설치되는 구조물에서도 용이한 설치 및 사용이 가능하고, 센서 어셈블리의 위치 및 각도의 조정이 용이하여,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센서 어셈블리 및 이를 적용한 모듈러 유닛{Sensor assembly and modular unit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센서 어셈블리 및 이를 적용한 모듈러 유닛으로서, 상세하게는 각종 정보의 수집 및 정보 처리가 가능한 센서 어셈블리 및 상기 센서 어셈블리가 설치된 프레임 모듈부를 포함하는 모듈러 유닛에 관한 것이다.
건축용 모듈러 유닛은 복수의 프레임의 집합체로서, 적층 및 조립을 통해 건축물을 구성하는 구조 시스템이다. 상기와 같은 모듈러 유닛은 기본적으로 사각형 형태로 배치된 4개의 강재 기둥, 상기 각 기둥 상부를 연결하는 복수의 강재 천장보 및 각 기둥 하부를 연결하는 복수의 강재 바닥보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모듈러 유닛은 제조 및 조립이 용이하고, 재사용 및 재생사용이 비교적 용이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최근 캠핑, 레저활동 등 야외활동이나 특수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간이 이동식 건축물, 비건축 시설물의 수요가 증가하면서, 이를 모듈러 유닛으로 개발 및 개선하려는 움직임 또한 증가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움직임에 대응하여, 내부공간에 ICT 설비 등의 장치를 플러그인하여 미래형 공간시설물로 조성하고, 안팎의 각종 정보를 수집 및 처리할 수 있어 사용 시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센서 어셈블리 및 이를 적용한 모듈러 유닛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필요성을 충족하기 위한 것으로서, 각종 정보를 취득 및 처리하기 용이한 센서 어셈블리 및 상기 센서 어셈블리가 적용되어 내부공간에서 외부와 소통 가능한 공간을 조성할 수 있는 모듈러 유닛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모듈러 유닛의 내부 공간에 대한 각종 정보의 수집을 동시에 수행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각종 정보의 수집 과정에서 센서 어셈블리의 위치 및 시야각을 자유롭게 조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둘 이상의 프레임이 조립되어 형성된 내부공간에 구비되는 센서 어셈블리로서, 각종 정보를 수집하는 수집부 및 수집부와 연결되어 수집부를 위치 고정시키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센서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각종 정보를 수집 및 처리하는 수집부를 통해 내부공간에서 외부와 자유롭게 소통하고 각종 전자장비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임시 목적으로 설치되는 구조물에서도 용이한 설치 및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을 통해 센서 어셈블리의 위치 및 각도의 조정이 용이하여,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 어셈블리가 적용된 모듈러 유닛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모듈부에 센서 어셈블리가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모듈부의 분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 어셈블리 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착 제어부가 내측 방향으로 가압되지 않을 시 제1자성체 및 제2자성체의 배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착 제어부가 내측 방향으로 가압될 시 제1자성체 및 제2자성체의 배치 구조를 나타내는 절단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 및 프레임 간 고정 및 고정 해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탈착제어부의 가압 및 가압 해제에 의한 지지부 및 프레임 간 고정 및 고정 해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축부, 구동부 및 연결부를 나타내는 절단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집부가 추가 장착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 및 체결홈에 따라 축부 및 접촉부가 서로 체결되는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에 앞서, 일 방향 및 타 방향은 후술할 프레임에 장착된 센서 어셈블리가 가이드 이동하는 방향으로서, 일 방향 및 타 방향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상측 방향”, “하측 방향” 등의 방향을 지칭하는 용어는 모듈러 유닛이 거치되는 지면 상을 기준으로 설명하되, “내측 방향”, “외측 방향” 등의 용어는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 어셈블리가 적용된 모듈러 유닛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모듈러 유닛은 센서 어셈블리(200)가 설치된 프레임 모듈부(100)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프레임 모듈부(100) 및 센서 어셈블리(200)를 포함한다.
프레임 모듈부(100)는 사각 틀 형태의 프레임(110) 또는 복수의 프레임(110)의 조립을 통해 형성되는 것으로서, 내부공간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직육면체 형태의 프레임 모듈부(100)가 형성됨에 따라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프레임 모듈부(100)의 전체적인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프레임 모듈부(100)는 센서 어셈블리(200)가 위치할 공간을 제공함과 동시에, 내부공간에 거주성을 부여한다.
프레임 모듈부(100)는 형태, 설치목적 및 세부 구조에 따라 건축형 프레임 모듈부(100) 및 노출형 프레임 모듈부(100)로 구분될 수 있다.
건축형 프레임 모듈부(100)는 건축자재에 의해 프레임(110)이 매립되는 형태를 갖는다. 상세하게, 프레임(110)이 내외장재에 의해 감싸지도록 구비되고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선수단이 내장되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보다 큰 크기의 건축물을 형성하기 위해, 복수의 건축형 프레임 모듈부(100)가 결합될 수 있다.
건축형 프레임 모듈부(100)는 하중 및 외력으로부터 보다 견고한 고정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별도의 구조프레임(110)이 덧대어져 보강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건축형 프레임 모듈부(100)를 구성하는 프레임(110)에는 배기를 위한 별도의 환풍수단이 구비되고, 이는 프레임(110)에 복수의 통공이 형성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아울러, 건축형 프레임 모듈부(100)를 구성하는 프레임(110)은 각종 전자장치와 전기적 연결 및 통신 연결을 유도할 수 있는 연결수단(140)과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내부공간에서 본 발명에 따른 센서 어셈블리(200), 별도의 연산수단 및 제어수단 등의 전자장치는 전원을 공급받고 통신연결되어 각종 정보를 수집 및 처리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건축형 프레임 모듈부(100)는 비교적 견고한 배치 상태를 유지해야 하는 군사시설, 병원, 교육, 업무 등의 목적을 갖는 임시 건축물에 사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견고하면서도 각종 정보를 수집 및 처리할 수 있기 때문에 건축을 위한 환경이 열악한 지역에서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각종 정보는 사용자의 인적 정보 및 프레임 모듈부(100)의 내부 또는 외부를 대상으로 하는 환경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환경 정보는 기온, 습도, 미세먼지 정보, 기상 정보 등 환경적 요소에 관한 정보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노출형 프레임 모듈부(100)는 선술한 건축형 프레임 모듈부(100)와 비교했을 때 보다 용이한 설치 및 해제를 목적 및 효과로 갖는다. 상세하게, 노출형 프레임 모듈부(100)는 정거장, 온실 등의 옥외시설물, 외부와의 차폐성을 줄여도 되는 임시시설에 사용될 수 있다.
노출형 프레임 모듈부(100)를 구성하는 프레임(110)은 선술한 건축형 프레임 모듈부(100) 내 별도의 구조프레임(110)이 생략되고, 프레임(110) 자체가 노출된다. 또한, 프레임(110)에는 옥외 또는 인도어 설치용도의 유리자재, 금속판을 부착할 수 있다.
노출형 프레임 모듈부(100)는 건축형 프레임 모듈부(100)에 구비되는 별도의 환풍수단 및 연결수단(140)을 공유할 수 있다.
한편, 건축형 프레임 모듈부(100) 및 노출형 프레임 모듈부(100)에는 본 발명에 따른 센서 어셈블리(200)가 설치됨으로써 실외환경, 실내환경, 유저 환경 등을 포함하는 각종 정보를 수집 및 처리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모듈부(100)에 센서 어셈블리(200)가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모듈부(100)에 센서 어셈블리(200)가 장착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센서 어셈블리(200)는 프레임(110)에 근접하여 설치된 별도의 연결수단(140)을 통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으며, 전력을 공급하는 수단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프레임 모듈부(100)의 상측 방향에 설치되는 별도의 태양광 발전수단으로도 대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모듈부(100)의 분해도이다.
프레임 모듈부(100)는 골격을 이루는 프레임(110), 복수의 프레임(110)을 연결하는 삽입부(120), 배선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배선 제공부(130) 및 통전, 통신연결을 제공하는 연결수단(140)을 포함한다.
삽입부(120)는 복수의 프레임(110)이 모이는 프레임 모듈부(100)의 꼭지점 부분에 구비된다. 삽입부(120)를 중심으로 복수의 프레임(110)이 맞닿도록 배치됨으로써, 상기 복수의 프레임(110)의 직립 상태를 보다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삽입부(120)는 정육면체 또는 직육면체 형태를 갖되, 프레임(110)의 단면에 대응하도록 돌출 형성되어 체결력을 높이는 돌출부재(121)를 더 포함한다. 즉, 돌출부재(121)는 프레임(110)의 음각 단면 및 양각 단면에 대응되는 돌출 구조를 갖는다.
도 3을 일례로, 프레임(110)의 단면이 중심으로부터 “x”자로 구획되어 이등변삼각형 부분이 4개 형성되는 형태를 가질 경우, 돌출부재(121)는 프레임(110)에 삽입될 수 있도록 프레임(110)의 단면 형상과 대응되는 단면을 갖는다.
이를 통해, 프레임(110) 및 삽입부(120)가 서로 접하도록 배치될 시, 프레임(110) 및 삽입부(120)재는 서로 끼워맞춤되는 형태를 갖는다. 따라서, 복수의 프레임(110) 간 고정력을 높일 수 있다.
배선 제공부(130)는 배선을 타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공간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배선 제공부(130)는 프레임(110)을 따라 배치되되 내부가 양단 및 내부가 개구되는 관 형태로 구비된다. 이를 통해, 연결수단(140)이나 또다른 전원공급수단과 연결된 배선이 배선 제공부(130)를 따라 이동하여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배선이 외부로 노출되거나 외력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배선을 별도로 매설하기 위한 별도의 구성을 생략할 수 있어 간소화 및 설치 용이성 관련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선술한 바와 같이, 연결수단(140)은 프레임(110)에 근접하거나 접촉한 상태로 설치되어, 각종 정보 수집 및 습득에 필요한 전기적 연결 및 통신 연결을 지원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 어셈블리(200) 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센서 어셈블리(200)는 각종 정보를 취합 및 처리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상기 각종 정보는 프레임 모듈부(100)에 의해 형성된 내부공간 또는 프레임 모듈부(100)의 외부에서 획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센서 어셈블리(200)는 환경 정보를 수집하는 수집부(210), 수집부(210)의 고정 상태를 유지하는 지지부(220), 수집부(210)를 회전시키는 구동부(230), 지지부(220) 및 프레임(110) 간 탈착을 제어하는 탈착제어부(24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환경 정보 등 각종 정보를 수집하는 수집부(210)와 연결되어 상기 각종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한다. 통신부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 fidelity), 블루투스 등의 단거리 통신 및 LTE(Long term evolution) 등의 장거리 통신이 모두 가능한 통신모듈로 구비된다. 상기 통신부가 환경 정보 등 각종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통신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통신부는 프레임 모듈부(1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한 사용자 소유의 단말 또는 별도 지정된 서버 등 정보를 수신 및 저장할 수 있는 객체에 환경 정보 등 각종 정보를 송신한다. 이를 통해, 프레임 모듈부(1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관한 환경 정보를 용이하게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재실여부 및 동작감지 등 다양한 이슈 파악에 사용될 수 있어 범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 어셈블리(200)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도 5를 통해 설명하는 “일 방향”은 도 5의 우상측 방향이고, “타 방향”은 “일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서 도 5의 좌하측 방향인 것으로 설명한다.
수집부(210)는 내부공간 내외의 각종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수집부(210)는 수집한 각종 정보를 취합 및 처리한 결과물을 화면, 음성 등의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수집부(210)는 지지부(220)와 일체로 프레임(110)과 연결된다. 또한, 수집부(210)는 복수 개 구비되어 일 방향 및 타 방향으로 배열된 상태에서 지지부(220)와 연결될 수 있다. 수집부(210)는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촬상부(211), 감지부(212), 환경정보 저장부(213), 입출력부(214) 및 지지부(22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수집부(21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축부(250)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으며, 축부(250)를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촬상각 및 입출력 각도를 가변시킬 수 있다.
촬상부(211)는 내부공간을 촬영하는 구성으로서, 촬상각을 갖는 카메라 등 촬상수단으로 구비된다. 촬상부(211)는 내부공간을 향해 촬영을 실시함으로써 사진, 동영상 형태의 결과물을 획득할 수 있다. 촬상부(211)가 구비됨으로써 내부공간에 관한 시각적 결과물을 용이하게 획득할 수 있다.
감지부(212)는 객체 움직임을 인지하기 위해 구비된다. 상세하게, 감지부(212)는 내부공간 내에서의 객체 움직임을 파악하는 동작 감지센서 형태로 구비된다. 여기서, 객체는 사람 또는 사물로 구비되고, 감지부(212)에는 객체 감지를 위한 별도의 기지정 로직 및 알고리즘이 포함될 수 있다. 감지부(212)를 통해 내부공간에서의 움직임을 용이하게 파악하고, 이를 활용한 후속 작업을 유도할 수 있다. 일례로, 감지부(212)를 통해 재실상태를 파악하되 객체의 움직임이 없는 경우 내부에 설치된 전화기를 통해 소방서, 경찰서 등 기지정된 연락처에 연락을 실시할 수 있다.
환경정보 저장부(213)는 내부공간 내외의 환경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는 구성으로서, 상세하게는 프레임 모듈부(100)의 내부 및 외부에 관한 실외환경 및 실내환경에 관한 정보로 구비되는 환경정보를 수집한다.
실외환경에 관한 정보는 눈, 비 등이 오는지에 관한 기상정보, 외부 공기질에 관한 정보, 외도 온도 및 습도에 관한 정보, 조도 및 풍향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내환경에 관한 정보는 내부공간의 온도 및 습도에 관한 정보, 공기질에 관한 정보 및 조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환경정보 저장부(213)를 통해 획득한 환경정보를 기반으로, 내부공간의 공기를 정화하는 정화수단의 가동을 제어하거나, 스프링쿨러, 방화벽의 구동을 통한 방화 및 방재를 실시할 수 있다.
입출력부(214)는 생체정보를 입출력하는 구성이다. 상세하게, 입출력부(214)는 유저 환경을 입력 및 출력함으로써 내부공간을 사용하는 사용자 또는 접근하는 사람에 관한 후속 작업이 가능하도록 생체정보를 수집 및 출력한다.
생체정보는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체온, 몸무게, 얼굴, 지문 등 신체적인 정보, 사용자가 기설정한 투약이 필요한 의약품, 음식 등의 정보를 포함하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례로, 사용자는 생체정보를 미리 설정한 상태에서 별도의 단말기를 통해 프레임 모듈부(100)의 외부에 있는 상점과 연결하여 식료품을 주문하는 행동을 취할 수 있다.
지지부(220)는 선술한 일련의 구성을 포함하는 수집부(210)의 위치를 고정하는 구성으로서, 수집부(210) 및 프레임(110)을 서로 연결한 상태에서 내장된 탈착제어부(240)를 통해 수집부(210)의 고정 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지지부(220)는 프레임(110) 및 수집부(210)의 사이에 위치하는 바 형태로 구비된다. 또한, 지지부(220)는 후술할 연결부(260)를 보관하는 구성으로서, 구체적으로 다단 형태의 연결부(260)가 인출될 수 있도록 공간을 제공한다. 즉, 지지부(220)는 탈착제어부(240) 및 연결부(260)가 용이하게 작동함으로써 수집부(210)의 가이드 이동 및 추가 장착을 유도하는 공간을 제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착 제어부가 내측 방향으로 가압되지 않을 시 제1자성체(241) 및 제2자성체(242)의 배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착 제어부가 내측 방향으로 가압될 시 제1자성체(241) 및 제2자성체(242)의 배치 구조를 나타내는 절단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따른 탈착제어부(240), 제1자성체(241), 제2자성체(242) 및 자력부재(244)를 대상으로 지지부(220) 및 프레임(110) 내에서의 배치 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하기 위해 각각의 단면을 달리하여 표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가 제1자성체 및 제1개구통로와 연결된 것을 추가로 도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탈착제어부(240)는 수행부 및 지지부(220)가 프레임(110)을 따라 일 방향 및 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어하는 구성이다. 상세하게, 탈착제어부(240)는 지지부(220) 및 프레임(110)을 서로 고정하거나, 가압을 통해 상기 고정을 해제함으로써 수집부(210)가 프레임(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이를 위해, 탈착제어부(240)는 사용자가 힘을 가함으로써 내측 방향으로 가압되는 버튼 형태로 구비된다.
사용자의 가압 시, 탈착제어부(240)는 지지부(220)의 내부에 내측 방향으로 개구된 제1개구통로(a1)로 삽입되며, 이 과정에서 후술할 제1자성체(241) 및 제2자성체(242)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지지부(220) 및 프레임(110) 간 연결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제1자성체(241)는 탈착제어부(240)에 의해 위치 변동되어 제2자성체(242)와 상호 작용함으로써 지지부(220) 및 프레임(110)의 탈착 여부를 결정한다. 이를 위해, 제1자성체(241)는 지지부(220)에 내설되고 스프링 형태의 탄성부재(243)를 통해 외측 방향(도 6의 우하측 방향)에 구비된 탈착제어부(240)와 연결된다.
여기서, 탄성부재(243)의 복원력을 이용하여 탈착제어부(240) 및 제1자성체(241)가 과도하게 이력되거나 근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자성체(241)는 지지부(220)의 내부에 형성되어 “ㅗ” 단면 형상을 갖는 제1개구통로(a1)의 내부에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제1개구통로(a1)의 상측 방향은 프레임(110) 내 제2개구통로(a2)의 하측 방향과 연결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제1자성체(241)의 외측 방향 및 내측 방향으로의 폭은 제1개구통로(a1)의 상측 방향의 폭보다 크도록 구비된다. 즉, 제1자성체(241)는 제1개구통로(a1)에서 제2개구통로(a2)로 이동할 수 없도록 구비되어야 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의도하지 않은 제1자성체(241)의 제2개구통로(a2)로의 이동에 따른 지지부(220) 및 프레임(110) 간 의도하지 않은 분리를 미연에 차단할 수 있다.
탈착제어부(240)의 가압 시, 제1자성체(241)는 탄성부재(243) 및 탈착제어부(240)에 의해 내측 방향으로 이동한다. 반면, 탈착제어부(240)의 가압이 해제될 시, 탄성부재(243)의 복원력에 의해 탈착제어부(240)가 외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일부가 지지부(220)의 외부로 노출된다. 이 과정에서 탈착제어부(240)의 이동에 대응하여, 제1자성체(241)는 외측 방향으로 재차 이동함으로써 제1개구통로(a1) 및 제2개구통로(a2)가 연결되는 지점에 배치된다.
탄성부재(243)는 탈착제어부(240) 및 제1자성체(241)를 서로 연결함과 동시에 복원력을 제공함으로써, 탈착제어부(240)의 외측 방향 및 내측 방향으로의 이동에 대응하여 제1자성체(241)를 동반 이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탄성부재(243)는 복원력을 갖는 스프링 등 탄성수단으로 구비된다. 여기서, 탄성부재(243)의 복원력이 제1자성체(241) 및 제2자성체(242) 간 자력보다 크도록 구비되어야 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탈착제어부(240) 및 제1자성체(241)가 일체로 연결되고, 탄성부재(243)는 제1개구통로의 내부에 위치하되 상기 제1자성체(241)의 내측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탈착제어부(240) 및 제1자성체(241)는 바 형태를 갖는 별도의 부재를 통해 내측 방향에 위치한 제1자성체(241)와 연결되고, 상기 별도의 부재는 탄성을 갖지 않는다. 여기서, 상기 별도의 부재를 대체하여 탈착제어부(240)의 내측 방향이 바 형상 또는 막대 형상으로 돌출되어 제1자성체(241)와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탄성부재(243)는 제1자성체(241)의 내측 방향에 위치하고, 양단은 각각 제1개구통로 및 제1자성체(241)와 연결된다. 이에 따라, 탈착제어부(240)의 가압 시 탄성부재(243)는 이에 대응하여 축소된다. 이후 탈착제어부(240)의 가압을 해제할 시 탄성부재(243)는 다시 신장하고, 이에 대응하여 제1자성체(241) 및 탄성부재(243)가 일체로 외측 방향으로 이동한다.
제2자성체(242)는 제1자성체(241)에 대응한 상하 방향으로의 이동을 통해 지지부(220) 및 프레임(110)의 고정 상태를 유지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제2자성체(242)는 프레임(110)의 내부에 배치되고 자력에 의해 제1자성체(241)와 접한다. 상세하게, 제2자성체(242)는 제1자성체(241)와의 인력이 작용하는 자성을 갖고, 프레임(110)의 내부에 구비된 제2개구통로(a2)의 내부에 배치된다. 또한, 제2자성체(242)는 상측 방향이 하측 방향보다 큰 폭(외측 방향 및 내측 방향으로의 길이)을 갖음에 따라, “ㅜ” 단면 형상을 갖는다.
여기서, 제2개구통로(a2)는 “ㅜ”단면 형상을 갖는 제2자성체(242)에 대응하도록 구비된다. 상세하게, 제2개구통로(a2)의 상측 방향의 폭은 하측 방향의 폭보다 크도록 구비된다. 보다 상세하게, 제1개구통로(a1)와 이어지는 제2개구통로(a2)의 하측 방향에는 단턱(111)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2자성체(242)는 상측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하지만, 하측 방향으로의 이동 시 상측 방향이 단턱(111)과 접함으로써 과도한 추가 이동이 제한된다.
추가로, 단턱(111) 상에는 충격흡수부재(112)가 더 구비될 수 있다(도 6 참조). 충격흡수부재(112)는 제2개구통로(a2) 내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자성체(242)의 과도한 이동 및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스펀지 등 제2자성체(242) 및 단턱(111) 간의 접촉으로 인해 발생하는 과도한 크기의 충격력을 감소시키는 소재로 구비된다. 이를 통해, 제1자성체(241)에 대응하여 이동하는 제2자성체(242)는 단턱(111) 상에 배치된 충격흡수부재(112)와 접하는 과정에서 하측 방향으로의 과도한 이동이 감쇠되므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자력부재(244)는 제2자성체(242)와의 상호 작용을 통해 상기 제2자성체(242)를 상측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구비된다. 상세하게, 탈착제어부(240)의 가압에 따른 제1자성체(241) 및 제2자성체(242)의 분리 시, 자력부재(244)는 제2자성체(242)를 상측 방향으로 이동시켜 지지부(220) 및 프레임(110) 간 고정력을 제거한다. 자력부재(244)는 제2자성체(242)와의 인력이 작용하는 자성을 갖되, 제1자성체(241)보다 작은 크기로 구비된다. 이에 따라, 제1자성체(241) 및 제2자성체(242)가 서로 접촉하는 동안 제2자성체(242)는 자력부재(244)를 향해 이동하지 않는다.
자력부재(244)는 프레임(110)에 내설되어 제2개구통로(a2)의 내부에 위치하되 제2자성체(242)의 상측 방향에 위치한다. 또한, 자력부재(244)는 제2개구통로(a2)의 상측 방향에 배치된 상태로 지속 고정된다.
탈착제어부(240) 및 제1자성체(241)가 가압됨에 따라 제2자성체(242)가 제2개구통로(a2) 내에서 상측 방향으로 이동할 시, 제2자성체(242)는 자력부재(244)와 완전히 면접촉하지 않고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제2자성체(242)의 상측 방향으로의 이동 과정에서 자력부재(244)와의 충돌로 인해 상기 제2자성체(242) 및 자력부재(244)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제2자성체(242) 및 자력부재(244) 간 접촉 및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제2개구통로(a2)에는 제2자성체(242)의 상측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돌기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세하게, 돌기부는 고정 상태의 자력부재(244) 및 제1자성체(241)와 근접하는 제2자성체(242)의 사이에 위치하여, 제2개구통로(a2)의 내부에 돌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2자성체(242)는 제2개구통로(a2)를 따라 이동하면서 돌기부와의 마찰력에 의해 상측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어, 자력부재(244)와 충돌하지 않고 이격되어 제2개구통로(a2)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돌기부 및 제2자성체(242) 간의 마찰력은 제1자성체(241) 및 제2자성체(242) 간 자력의 크기보다 작도록 구비될 수 있다.추가 실시예로서, 제1자성체(241) 및 제2자성체(242)가 서로 대응하도록 이동할 시, 상기 제1자성체(241) 및 제2자성체(242)는 서로 면접촉하지 않고 소정의 간격만큼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세하게, 제1자성체(241) 및 제2자성체(242)가 서로 직상 방향 및 직하 방향에 위치할 시, 제2자성체(242)의 하단은 제1자성체(241)의 상면과 접하지 않고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도록 구비된다.
즉, 제1자성체(241) 및 제2자성체(242)는 서로 직접 접촉하지 않고, 제2자성체(242)의 하측 이동 과정에서 선술한 충격흡수부재(112) 및 단턱(111)과의 면접촉이 이루어짐으로써, 프레임(110) 및 지지부(220) 간 고정을 유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자성체(241) 및 제2자성체(242) 간의 충돌 과정에서 발생하는 파손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제1자성체(241) 및 제2자성체(242)간 자력 결합 시 상하 방향으로 이격 배치됨에 따라, 선술한 자력부재(244)가 없어도 용이한 프레임(110) 및 지지부(220) 간의 고정 및 고정 해제가 가능하다.
도 8a은 탈착제어부(240)가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지 않는 상태로서, 지지부(220) 및 프레임(110)이 고정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탈착제어부(240)는 탄성부재(243)를 통해 제1자성체(241)와 연결되고, 제1자성체(241)는 제1개구통로(a1) 및 제2개구통로(a2)가 연결되는 지점에 배치된다.
여기서, 제2자성체(242)는 제1자성체(241)와의 자력에 의해 자력부재(244)로부터 이격되어 하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하면이 제1자성체(241)의 상면과 접한다.
제1자성체(241)와 접하는 제2자성체(242)의 상측 방향은 단턱(111)에 의해 프레임(110)에 걸린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지지부(220) 및 프레임(110)은 제1자성체(241) 및 제2자성체(242) 간의 자력 및 제2자성체(242) 간 단턱(111)간 고정력에 의해 서로 접한 상태를 유지하며 고정된다.
도 8b는 탈착제어부(240)의 가압에 의해 지지부(220) 및 프레임(110) 간 고정이 해제되는 경우를 뜻한다.
탈착제어부(240)가 가압될 시, 가압력에 의해 탄성부재(243) 및 제1자성체(241)는 내측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과정에서 상기 가압력이 제1자성체(241) 및 제2자성체(242) 간 자력보다 크기 때문에, 제1자성체(241) 및 제2자성체(242)가 서로 분리된다.
이후, 제1자성체(241)와의 접촉이 해제된 제2자성체(242)는 자력부재(244)와의 인력에 의해 제2개구통로(a2)를 따라 프레임(110)의 내부로 이동하여 제2개구통로(a2) 내 위치하거나 자력부재(244)와 근접하도록 이동한다. 이는 제2자성체(242)로부터 노출되는 제1자성체(241)의 크기보다 자력부재(244)의 크기가 크기 때문에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일련의 과정을 통해, 지지부(220) 및 프레임(110) 간 고정이 해제될 수 있다.
사용자가 탈착제어부(240)에 가한 외력을 해제할 시, 탈착제어부(240)는 탄성부재(243)의 복원력을 통해 외측 방향으로 이동하고, 탈착제어부(240)의 외측 방향으로의 이동에 대응하여 탄성부재(243) 및 제1자성체(241)가 재차 외측 방향으로 동반 이동한다. 이는 탈착제어부(240)가 외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힘의 크기가 제1개구통로(a1) 및 제1자성체(241) 간의 마찰력보다 큼으로 인해 이루어진다.
제1자성체(241)가 재차 외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제1자성체(241)가 제2자성체(242)의 직하 방향에 배치되고, 제2자성체(242)는 제1자성체(241)에 대응하여 재차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1자성체(241)와의 자력 결합한다. 이는 제1자성체(241) 및 제2자성체(242) 간 자력이 제2자성체(242) 및 자력부재(244) 간 자력보다 크기 때문에 가능하다.
탈착제어부(240)는 지지부(220)에 둘 이상 구비된다. 상세하게, 둘 이상의 탈착제어부(240)가 구비된 상태에서 어느 하나의 탈착제어부(240)를 가압하여 해당 탈착제어부(240)에 대응되는 부분의 프레임(110) 및 지지부(220) 간 고정을 해제할 수 있다.
해당 탈착제어부(240)를 가압한 상태에서 지지부(220)를 파지하여 프레임(110)을 따라 이동시키려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발휘하는 외력이 나머지 프레임(110) 및 지지부(220)를 고정하는 힘보다 크도록 구비될 시, 지지부(220)를 일 방향 및 타 방향으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사용자에 의해 발생하는 일 방향 및 타 방향으로의 외력이 나머지 고정 상태를 유지하는 프레임(110) 및 지지부(220) 간 고정력보다 작은 경우, 지지부(220) 및 수집부(210)는 프레임(110)을 따라 이동되지 않고 고정 상태를 지속 유지한다.
반면, 어느 하나의 탈착제어부(240)를 가압함에 따라 프레임(110) 및 지지부(220) 간 고정력이 감소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외력이 상기 고정력보다 큰 경우, 지지부(220) 및 수집부(210)는 프레임(110)을 따라 가이드 이동할 수 있다.
상술한 일련의 구성 및 과정을 통해, 프레임(110) 및 지지부(220)를 선택적으로 이동 및 고정시킬 수 있어, 사용자의 입장에서 원할 때마다 수집부(210)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어, 취급이 간편하다.
또한, 지지부(220)에 구비된 복수의 탈착제어부(240)를 모두 누르지 않고도 어느 하나의 탈착제어부(240)를 누른 상태에서 일 방향 및 타 방향으로 외력을 가하는 것만으로도 용이하게 수집부(210)를 가이드 이동시킬 수 있어,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아울러, 지지부(220)에 구비된 모든 탈착제어부(240)를 가압하는 경우 프레임(110)으로부터 지지부(220)를 완전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청소 및 수집부(210)의 추가 탈착 과정이 용이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탈착제어부(240)의 가압 및 가압 해제에 의한 지지부(220) 및 프레임(110) 간 고정 및 고정 해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9a는 탈착제어부(240)에 가한 외력을 제거한 경우이고, 도 9b는 탈착제어부(240)를 가압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도 9a를 참조하면,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탈착제어부(240) 및 제1자성체(241)는 정위치를 유지한다. 전술하였듯이, 탈착제어부(240) 및 제1자성체(241)는 별도의 부재로 연결되거나, 탈착제어부(240)의 내측 방향이 바 형태로 돌출되어 제1자성체(241)와 연결될 수도 있다. 제1자성체(241) 및 제2자성체(242) 간 자력 및 제2자성체(242)의 상측 방향이 단턱과 연결됨에 따라, 지지부(220) 및 프레임(110)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도 9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외력을 가함에 따라 탈착제어부(240) 및 제1자성체(241)는 일체로 내측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과정에서 제1자성체(241)의 내측 방향에 배치된 탄성부재(243)의 탄성에 따라, 제1자성체(241) 및 탈착제어부(240)의 과도한 내측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어된다. 제1자성체(241)가 내측 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의 크기가 제1자성체(241) 및 제2자성체(242) 간 자력보다 클 시, 제1자성체(241) 및 제2자성체(242)는 서로 분리된다. 이 과정에서 제1자성체(241)는 내측 방향으로 이동하고, 제2자성체(242)는 상측 방향에 위치한 자력부재(244)와의 인력에 의해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접한다. 이에 따라, 지지부(220) 및 프레임(110) 간 고정이 해제된다.
사용자가 가한 외력을 제거함에 따라, 탈착제어부(240) 및 제1자성체(241)는 탄성부재(243)의 복원력에 따라 외측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과정에서 제1자성체(241)는 제2자성체(242)의 직하 방향에 위치한다. 여기서, 제1자성체(241)의 크기 및 자력이 자력부재(244)의 크기 및 자력보다 큼에 따라, 제2자성체(242)는 자력부재(244)로부터 분리되고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1자성체(241)와 접한다. 제1자성체(241) 및 제2자성체(242) 간 접촉 과정에서 제2자성체(242)의 상단이 단턱에 걸림에 따라, 지지부(220) 및 프레임(110) 간 고정 상태를 재차 유지할 수 있다.
도 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축부(250), 구동부(230) 및 연결부(260)를 나타내는 절단사시도이다.
축부(250)는 수집부(210)를 회전 운동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수집부(210)에 내설된 상태에서 회전시키기 위한 봉 형태로 구비된다. 상세하게, 축부(250)는 수집부(210)에 일대일 대응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수집부(210)를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수집부(210)의 내부에는 축부(250)가 배치된다. 축부(250)의 회전축은 일 방향 및 타 방향을 향하도록 구비되어야 함이 바람직하다.
연결부(260)는 지지부(220) 및 축부(250)를 연결하는 구성으로서, 축부(250)의 일 방향 및 타 방향으로의 위치를 고정시킴으로써 수집부(210)가 축부(250)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이를 위해, 연결부(260)는 양단이 각각 지지부(220) 및 축부(250)의 일 단과 접하도록 구비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연결부(260)는 다단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세하게, 연결부(260)는 지지부(220)로부터 인출되는 일단이 다단 형태를 갖음으로써, 일 방향 및 타 방향으로 신장 및 축소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수집부(210)의 추가 장착 또는 제거를 위한 길이 축소가 가능하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도 11에서 후술할도록 한다.
연결부(260)에 의해 축부(250)가 지지부(220)와 연결되고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수집부(210)는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축부(25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촬상부(211), 감지부(212) 및 환경정보 저장부(213) 중 적어도 하나로 구비되는 수집부(210)를 회전시켜 촬상각, 인지 영역 또는 계측 영역을 조정할 수 있다. 추가로, 입출력부(214)로 구비되는 수집부(210)를 대상으로 유저 정보 입력 또는 음성 출력이 이루어지는 위치를 조절할 수 있어, 취급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구동부(230)는 축부(250)를 회전시켜 수집부(210)를 회전시키는 구성이다. 상세하게, 구동부(230)는 사용자의 외력 없이도 적시에 수집부(210)를 회전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이를 위해, 구동부(230)는 수집부(210)의 일 방향 또는 타 방향에 구비되어 축부(250)를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구동부(230)는 하나 이상의 수집부(210)에 일대일 대응되도록 구성된 축부(250)와 연결되어야 함이 바람직하다. 축부(250)와 연결된 구동부(230)가 동력을 제공함으로써 축부(250)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이에 대응하여 수집부(210)를 전동식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복수의 수집부(210)가 서로 연결될 시, 구동부(230)는 일괄적으로 상기 복수의 수집부(210)들을 회전 이동시키거나, 전체 수집부(210) 중 특정된 하나 이상의 수집부(21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구동부(230)가 복수 개 구비되어 근접 배치된 수집부(210)와 각각 연결됨으로써, 복수의 수집부(210)는 각각 별개로 회전할 수 있다. 즉, 구동부는 단일 또는 복수로 구비되어 하나 이상의 수집부(210)를 일괄 회전 또는 개별 회전시킬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집부(210)가 추가 장착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수집부(210)의 추가 장착을 위해 연결부(260)를 신장시키고 수집부(210)에 포함된 축부(250)를 서로 연결하기 위한 구조를 나타낸다. 수집부(210)의 추가 연결 및 회전을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수집부(210)는 접촉부(270)를 더 포함한다.
접촉부(270)는 복수의 봉부를 연결함으로써, 복수의 수집부(210)를 서로 연결하기 위한 구성이다. 또한, 접촉부(270)는 복수의 봉부가 구동부(230)에 의해 일체로 회전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이를 위해, 접촉부(270)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축부(250)의 양단에 각각 배치된다. 또한, 접촉부(270)는 원판 형태로 구비되고 봉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봉부는 한 쌍의 접촉부(270)를 관통한 상태에서 양단에 각각 접촉부(270)가 각각 구비되는 형태를 갖는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봉부 및 접촉부(270)의 사이에는 씰링부재가 구비되어 봉부 및 접촉부(270)가 의도하지 않게 분리되는 것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로서, 접촉부(270)의 양면에는 복수의 돌륜부가 형성된다. 돌륜부는 한 쌍의 접촉부(270)가 대향하여 접촉 시 마찰력을 높이기 위해 구비된다. 이를 위해, 돌륜부는 접촉부(270)의 양면으로부터 양각 또는 음각 형성된다. 또한, 돌륜부는 불균일한 패턴을 갖고 접촉부(270)의 표면에 무작위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서로 마주하는 접촉부(270)가 접할 시, 상기 접촉부(270) 간 마찰력을 극대화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접촉부(270)가 연결부(260)에 의해 끼워진 상태에서, 또다른 접촉부(270)를 추가할 경우 연결부(260)를 신장한다. 상세하게, 연결부(260)를 파지한 후 일 방향 또는 타 방향으로 외력을 가하여 다단 형태의 연결부(260)의 길이를 신장시킨다.
연결부(260)가 신장된 후, 한 쌍의 접촉부(270)가 양단에 각각 배치된 축부(250)를 수용하는 상기 또다른 접촉부(270)를 먼저 배치된 수집부(210)의 일 방향 또는 타 방향에 배치한다.
이후, 신장된 연결부(260)를 가압하여 신규 추가된 또다른 접촉부(270)의 접촉부(270)와 상기 연결부(260)가 접하도록 길이를 축소시킨다. 이에 따라, 또다른 수집부(210) 내 구비된 한 쌍의 접촉부(270)는 각각 먼저 배치된 수집부(210) 내 접촉부(270) 및 연결부(260)의 끝단과 접촉한다. 대향하는 한 쌍의 접촉부(270)가 접함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접촉부(270)를 각각 관통하는 각각의 축부(250)는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복수의 축부(250) 간 중심축이 일치하도록 수집부(210)의 추가 배치를 완료할 수 있다.
선술한 연결부(260) 및 접촉부(270) 구성을 통해, 복수의 수집부(210) 및 축부(250)를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고, 연결 과정에서 어느 하나의 수집부(210) 및 축부(250)가 틀어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수집부(210)의 일 방향 또는 타 방향에 구동부(230)가 배치될 경우, 필요 시에 따라 구동부(230)에 의한 복수의 수집부(210)의 일괄 회전을 유도할 수 있어, 편의성을 보다 극대화할 수 있다.
추가 실시예로서, 복수의 수집부(210) 내 구비되는 접촉부(270) 및 축부(250)는 근접한 구동부(230)에 의해 회전하되, 독립적인 회전이동이 가능하다(도 13 참조).
상세하게, 어느 하나의 수집부(210) 내부에 구성된 접촉부(270) 및 축부(250)는 서로 접하지 않고,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수집부(210)는 후술할 이격부재(290)를 통해 일체로 이동하지 않고 각각의 회전 운동을 실시할 수 있다. 양 수집부(210)는 한 쌍의 구동부와 각각 연결되어 개별로 회전하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받을 수 있고, 하나의 구동부가 양 수집부(210)를 각각 회전시킬 수도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수집부(210)의 일 방향 또는 타 방향에는 원테 형상을 갖는 이격부재(290)가 형성되며, 상기 이격부재(290)가 형성된 수집부(210)의 일 방향 또는 타 방향의 반대 방향에는 상기 이격부재(290)가 삽입될 수 있는 별도의 삽입홈이 구비된다. 일례로, 수집부(210)의 타면에는 이격부재(290)가 돌출 형성되고, 일면에는 이격부재(290)의 삽입을 위한 삽입홈이 음각 형성된다.
또한, 일 예로 각각의 수집부(210)의 일면 및 타면 중 어느 하나의 면에만 구비되는 이격부재(290)는 톱니 단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한 쌍의 수집부(210)의 위치 조정에 따라 한 쌍의 이격부재(290)가 서로 대향할 시, 양 이격부재(290)는 서로 계합되도록 배치된다.
만약, 양 방향에 위치한 수집부(210)의 서로 독립된 회전 운동을 원하는 경우, 이격부재(290)가 서로 접하도록(삽입되지 않은 상태) 수집부(210)를 배치한다. 이에 따라,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접촉부(270) 및 축부(250)는 직접 접촉하지 않는다.
여기서, 양 수집부(210) 중 어느 하나의 수집부(210)를 대상으로 구동부에 의한 회전 운동을 실시할 시, 상기 어느 하나의 수집부(210)만 회전운동을 실시할 수 있다.
반면, 양 수집부(210)를 일괄 회전시키고자 할 경우, 어느 하나의 수집부에 구비된 이격부재(290)를 또다른 수집부에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시킨다. 이에 따라, 이격부재(290)가 삽입홈에 삽입된 양 수집부(210) 내 축부(250) 및 접촉부(270)가 서로 접하여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구동부를 통해 양 수집부(210)를 일체로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실시예를 통해, 사용자는 삽입홈에 이격부재(290)를 삽입하는지 여부를 결정하여 수집부(210)를 배치함으로써, 수집부(210)의 개별 회전 또는 일체 회전을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특히, 이격부재(290)가 서로 접하도록 배치된 경우, 양 수집부 중 어느 하나의 수집부(210)가 구동부에 의해 구동력을 제공받아 회전하는 과정에서 축부(250)가 또다른 수집부의 배치 상태에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에, 이격부재(290)에 계합된 상태로도 용이한 개별 회전운동이 가능하다.
추가로, 이격부재(290)가 삽입홈에 삽입되도록 배치될 시, 양 수집부에 근접한 구동부에 의해 일체로 회전운동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용이하게 일체 회전을 원하는 수집부(210)끼리 그룹화하고 구동력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장에서 복수의 수집부(210) 중에서 개별로 회전운동하는 어느 수집부(210)를 보다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어, 수집부의 추가 설치 또는 탈거 시 혼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등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쐐기 단면, 다각형 단면 또는 톱니 단면을 갖는 한 쌍의 이격부재(290)가 서로 접하는 과정에서 보다 많은 면접촉을 이룰 수 있어, 복수의 수집부(210)가 배열된 상태에서 의도하지 않게 이탈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격부재(290) 간 접촉을 통해 어느 하나의 수집부(210)가 보다 정교하게 회전할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2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280) 및 체결홈(271)에 따라 축부(250) 및 접촉부(270)가 서로 체결되는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축부(250) 및 접촉부(270)의 보다 견고한 체결을 위한 체결부재(280) 및 체결홈(27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체결부재(280)는 축부(250) 및 접촉부(270)의 사이에 배치되어 마찰력을 높이는 구성이다. 체결부재(280)는 링 형태로 구비되고 외주면이 톱니 형상, 말뚝 형상 등으로 형성되는 단면 형상을 갖는다.
체결홈(271)은 접촉부(270)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체결부재(280)와 접한다. 상세하게, 체결홈(271)은 체결부재(280)의 외주면에 대응하여 접촉부(270)의 내주면으로부터 음각 형성된다. 이에 접촉부(270)의 내주면은 체결부재(280)의 외주면와 면접촉한다.
체결부재(280)가 체결홈(271)에 대응하도록 계합된 상태에서, 축부(250)가 상기 체결부재(280)에 관통 삽입되는 경우, 축부(250)의 회전 과정에서 외력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비틀림 모멘트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축부(250) 및 접촉부(270)가 보다 많은 마찰력을 갖도록 유도할 수 있어, 궁극적으로 수집부(210)가 헛도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프레임 모듈부 110: 프레임
111: 단턱 200: 센서 어셈블리
210: 수집부 220: 지지부
230: 구동부 240: 탈착제어부
241: 제1자성체 242: 탄성부재
243: 제2자성체 244: 자력부재
250: 축부 260: 연결부
270: 접촉부 280: 체결부재
290: 이격부재

Claims (10)

  1. 둘 이상의 프레임이 조립되어 형성된 내부공간에 구비되는 센서 어셈블리로서,
    상기 내부공간 내외의 환경 정보를 수집하는 수집부;
    상기 수집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 구비되고, 내측 방향으로의 가압에 따라 상기 지지부 및 프레임 간의 고정 상태를 해제하는 탈착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집부에 일대일 대응되도록 관통되어 내설되는 축부; 및
    상기 수집부의 일 방향 또는 타 방향에 구비되고, 상기 축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센서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부는,
    상기 내부공간을 촬영하는 촬상부;
    상기 내부공간 내 객체 움직임을 인지하는 감지부;
    상기 내부공간 내외의 환경정보를 저장하는 환경정보 저장부; 및
    상기 내부공간 내외의 생체정보를 입출력하는 입출력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센서 어셈블리.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제어부와 연결되고, 상기 지지부에 내설되는 제1자성체; 및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구비되고, 자력에 의해 상기 제1자성체와 접하는 제2자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탈착제어부의 내측 방향으로의 가압에 의해, 상기 제1자성체 및 제2자성체가 분리됨으로써 상기 지지부 및 프레임 간 고정을 해제하는, 센서 어셈블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 내설되고, 상기 제1자성체 및 제2자성체의 분리 시 자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2자성체를 상기 프레임의 내부로 이동시키는 자력부재;를 포함하는, 센서 어셈블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제어부는 상기 지지부에 둘 이상 구비되고,
    복수의 탈착제어부 중 어느 하나의 탈착제어부를 가압 시 상기 지지부 및 프레임의 고정이 해제되어, 상기 수집부 및 지지부는 일체로 상기 프레임을 따라 가이드 이동하는, 센서 어셈블리.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 및 축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다단 형태로 구비되어 일 방향 및 타 방향으로 신장 및 축소되는, 센서 어셈블리.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축부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접촉부;를 더 포함하고,
    복수의 수집부의 접촉 시, 대향하는 한 쌍의 상기 접촉부가 접함에 따라 각각의 상기 축부를 서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어셈블리.
  10. 제 1 항, 제 2 항, 제 4 항 내지 제 6 항, 제 8 항 및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센서 어셈블리가 구비된 프레임이 조립되어 형성된 프레임 모듈부를 포함하는, 모듈러 유닛.
KR1020220052626A 2022-04-28 2022-04-28 센서 어셈블리 및 이를 적용한 모듈러 유닛 KR1024822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2626A KR102482274B1 (ko) 2022-04-28 2022-04-28 센서 어셈블리 및 이를 적용한 모듈러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2626A KR102482274B1 (ko) 2022-04-28 2022-04-28 센서 어셈블리 및 이를 적용한 모듈러 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2274B1 true KR102482274B1 (ko) 2022-12-27

Family

ID=84568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2626A KR102482274B1 (ko) 2022-04-28 2022-04-28 센서 어셈블리 및 이를 적용한 모듈러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227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21930A1 (en) * 2008-04-18 2011-01-27 W.I.N.- Wireless Integrated Network S.R.L. Support device for sensors and/or actuators that can be part of a wireless network of sensors/actuators
US20170363451A1 (en) * 2016-06-19 2017-12-21 Edyza, Inc. Sensor bus architecture for modular sensor systems
KR20190052870A (ko) * 2017-11-09 2019-05-17 센시(주) 출입자의 음주상태 진단시스템
KR102134146B1 (ko) * 2020-04-01 2020-07-16 최현배 고령자의 건강 및 생활 관리를 위한 스마트 스피커 시스템
KR20210008999A (ko) * 2019-07-16 2021-01-26 센서클라우드주식회사 포터블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21930A1 (en) * 2008-04-18 2011-01-27 W.I.N.- Wireless Integrated Network S.R.L. Support device for sensors and/or actuators that can be part of a wireless network of sensors/actuators
US20170363451A1 (en) * 2016-06-19 2017-12-21 Edyza, Inc. Sensor bus architecture for modular sensor systems
KR20190052870A (ko) * 2017-11-09 2019-05-17 센시(주) 출입자의 음주상태 진단시스템
KR20210008999A (ko) * 2019-07-16 2021-01-26 센서클라우드주식회사 포터블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
KR102134146B1 (ko) * 2020-04-01 2020-07-16 최현배 고령자의 건강 및 생활 관리를 위한 스마트 스피커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90868B1 (en) Microprojection device, magnetic suspension base and microprojection equipment
CN201242685Y (zh) 向导机器人
US7643052B2 (en) Self-contained panoramic or spherical imaging device
KR102482274B1 (ko) 센서 어셈블리 및 이를 적용한 모듈러 유닛
CN202261556U (zh) 一种微小型光电侦察球及其便携式显控器
WO2020231336A1 (en) Robotic devices and systems with passive reconfigurable wheels
JP6508770B2 (ja) 移動型プロジェクション装置
US20220277629A1 (en) Security camera system with multi-directional mount and method of operation
JP2019034713A (ja) 無人航空機、その使用方法、研究授業レビュー支援システムおよび研究授業レビュー支援方法
KR102048349B1 (ko) 가상현실을 이용한 안전체험기구
EP3034937A1 (en) Lifting reel having bearing type wire winding drum
JP6687954B2 (ja) 移動型プロジェクション装置及びプロジェクションシステム
KR20170097447A (ko) 로켓 추진체 회수 장치와 방법, 추진체 회수 제어 장치 및 방법
Suzuki et al. Deployment of wireless sensor network using mobile robots to construct an intelligent environment in a multi-robot sensor network
KR20180052904A (ko) 가상현실을 이용한 지진체험 기구
JP7076702B2 (ja) 支持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免震足場
JP2014015820A (ja) 空気膜を利用したドーム状構造物およびその骨組み構造
JP7383315B2 (ja) 移動型プロジェクション装置及び移動型プロジェクション装置用プログラム
KR20240048888A (ko) 안정적인 감시 활동이 가능한 이동형 감시장치
CN214704531U (zh) 一种便于组装检修的数字化快速仿真平台
CN212195949U (zh) 一种无人机机载空气检测系统
KR102622094B1 (ko) 증강현실을 위한 실내공간 3d 맵핑 지원 시스템
CN215285302U (zh) 一种无人飞行器起降平台
CN218567857U (zh) 一种用于智能家居的智能中控
CN214986128U (zh) 一种基于openmv的无人机拍摄测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