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2244B1 - 쇽업소버 - Google Patents

쇽업소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2244B1
KR102482244B1 KR1020200036596A KR20200036596A KR102482244B1 KR 102482244 B1 KR102482244 B1 KR 102482244B1 KR 1020200036596 A KR1020200036596 A KR 1020200036596A KR 20200036596 A KR20200036596 A KR 20200036596A KR 102482244 B1 KR102482244 B1 KR 1024822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shock absorber
compression
piston
free pis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65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20205A (ko
Inventor
박현수
Original Assignee
에이치엘만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엘만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치엘만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365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2244B1/ko
Publication of KR202101202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02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22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22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48Arrangements for providing different damping effects at different parts of the stroke
    • F16F9/49Stops limiting fluid passage, e.g. hydraulic stops or elastomeric elements inside the cylinder which contribute to changes in fluid damp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48Arrangements for providing different damping effects at different parts of the stroke
    • F16F9/486Arrangements for providing different damping effects at different parts of the stroke comprising a pin or stem co-operating with an aperture, e.g. a cylinder-mounted stem co-operating with a hollow piston ro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22/00Special physical effects, e.g. nature of damping effects
    • F16F2222/12Fluid dam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쇽업소버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압 압축 스토퍼 장치는 피스톤 로드의 단부에서 유압 압축 스토퍼 장치를 향해 연장되는 작동 로드와, 압축챔버에서 실린더 내벽에 고정되며 내부에 압축챔버와 연통하는 작동실을 갖는 스토퍼 케이싱과, 작동실 상부를 덮으며 작동실에서 탄성부재에 의해 탄력 지지된 상태로 상하로 이동 가능한 프리 피스톤을 포함하고, 프리 피스톤에는 쇽업 소버의 압축 행정 시 피스톤 로드의 단부가 접촉하여 밀폐되는 출입홀이 형성된다.

Description

쇽업소버{SHOCK ABSORBER}
본 발명은 쇽업 소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압축행정 시 피스톤 로드의 압축을 감속 및 정지시킬 수 있는 유압 압축 스토퍼를 갖는 쇽업소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주행시 차축이 노면으로부터 받는 충격이나 진동을 완충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완충장치가 설치되며, 이와 같은 완충장치의 하나로서 쇽업소버가 사용된다.
쇽업소버는 노면 상태에 따른 차량의 진동에 따라 작동하게 되며, 이때 쇽업소버의 작동속도에 따라, 즉 작동속도가 빠르거나 느림에 따라 쇽업소버에서 발생하는 감쇠력이 달라진다.
쇽업소버는 통상적으로, 오일이 충전된 실린더와, 차체 측에 연결되어 왕복하는 피스톤 로드와, 피스톤 로드의 하단에 결합되어 실린더 내에서 슬라이딩하고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는 피스톤 밸브 및 실린더의 하단에 설치되어 피스톤 밸브와 마주하는 바디 밸브 등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실린더 내부는 피스톤 밸브에 의해서 압축챔버와 인장챔버로 구획되고, 피스톤 밸브에는 압축유로 및 인장유로가 상하로 관통 형성된다. 이에 피스톤 밸브는 압축 및 인장 행정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면서 유체의 저항력에 의한 감쇠력이 발생시킨다. 또한 피스톤 밸브의 압축 및 인장 행정 시 유체가 바디 밸브를 통과하여 감쇠력을 발생시키도록 마련된다.
한편, 압축 행정시 쇽업소버가 일정 속도 이상 급격히 작동하는 경우 실린더의 상단이 직접적으로 차체 측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실린더에 오일의 압력에 의해 피스톤 로드의 압축을 감속 및 정지시킬 수 있는 스토퍼 구조가 개시된다. 이와 관련된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272757호에 개시되어 있다.
공개된 선행문헌에 따르면, 쇽업소버는 피스톤 로드의 하단부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오목부를 갖추고, 압축 행정시 오목부 내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핀 부재를 갖추고 있다. 그러나 핀 부재가 오목부 내에 삽입되도록 두 부재 간 일렬로 정렬시켜야 하기 때문에 정밀하게 제작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두 부재 간의 부딪침으로 인한 노이즈 및 내구성 등의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272757호(2013.06.10 공고)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간단한 구조를 통해 고 감쇠력을 갖는 유압 압축 스토퍼를 구현하면서 파손 및 충돌 소음을 저감할 수 있는 쇽업소버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부를 압축챔버와 인장챔버로 구획하는 피스톤 밸브와, 상기 피스톤 밸브가 결합된 피스톤 로드와, 상기 인장챔버에 배치된 유압 압축 스토퍼 장치를 포함한 쇽업소버에 있어서, 상기 유압 압축 스토퍼 장치는, 상기 피스톤 로드의 단부에서 상기 유압 압축 스토퍼 장치를 향해 연장되는 작동 로드;와, 상기 압축챔버에서 상기 실린더 내벽에 고정되며 내부에 상기 압축챔버와 연통하는 작동실을 갖는 스토퍼 케이싱;과, 상기 작동실 상부를 덮으며 상기 작동실에서 탄성부재에 의해 탄력 지지된 상태로 상하로 이동 가능한 프리 피스톤;을 포함하고, 상기 프리 피스톤에는 상기 쇽업 소버의 압축 행정 시 상기 피스톤 로드의 단부가 접촉하여 밀폐되는 출입홀이 형성되는 쇽업소버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프리 피스톤에는 상기 피스톤 로드의 단부와 접촉 시 충격을 완화시키는 완충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완충부재와 상기 스토퍼 케이싱 내주면 사이 틈새를 실링하도록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스토퍼 케이싱의 내주면과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완충부재와 상기 프리 피스톤의 상면 전체를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출입홀은 상기 프리 피스톤의 중앙에서 상하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 케이싱은 상기 압축챔버와 상기 작동실을 연통시키는 복수의 오리피스홀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스토퍼 케이싱은 상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이고, 상기 복수의 오리피스홀은 상기 스토퍼 케이싱의 측벽에 형성된 복수의 측방 오리피스홀과, 상기 스토퍼 케이싱의 바닥에 형성된 바닥 오리피스홀을 포함한다.
상기 작동 로드, 상기 출입홀 및 상기 바닥 오리피스홀은 동축상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 케이싱의 내주면에는 상기 프리 피스톤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돌출된 이탈방지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리 피스톤의 상하 이동 시 상기 프리 피스톤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상기 스토퍼 케이싱의 내주면과 상기 프리 피스톤의 외주면에는 상호 맞물려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출입홀의 상부는 상기 작동 로드의 단부가 접촉되는 제1 부분과, 상기 작동 로드 단부의 진입을 유도하도록 상기 제1 부분보다 확장된 직경을 갖는 제2 부분을 포함한다.
상기 탄성부재는 일단이 상기 작동실 바닥에 지지되며 타단은 상기 프리 피스톤 하면에 지지되는 코일 스프링을 포함한다.
상기 쇽업 소버의 압축 행정 시 상기 프리 피스톤은 상기 작동 로드에 의해 상기 출입홀이 밀폐된 상태에서 가압되어 상기 작동실을 압축하고, 상기 쇽업 소버의 인장 행정 시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원 위치로 복귀되면서 상기 작동 로드가 상기 출입홀에서 이격됨에 따라 상기 출입홀은 개방되어 댐핑유체의 흐름을 허용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 케이싱의 외주면에는 상기 실린더 내벽에 고정되는 플랜지가 구비되고, 상기 플랜지에는 댐핑유체의 이동을 허용하도록 상하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 케이싱의 상기 측벽은 상기 실린더의 내주면과 이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피스톤 로드의 압축을 감속 및 정지 시 높은 감쇠력을 구현할 수 있고, 피스톤 로드의 충격에 의한 소음발생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쇽업소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유압 압축 스토퍼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유압 압축 스토퍼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실시 예의 압축행정 시 작동 로드가 프리 피스톤에 접촉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실시 예의 압축행정 시 작동 로드에 의해 프리 피스톤이 하강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시한 것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실시 예의 프리 피스톤의 가이드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실시 예의 프리 피스톤에 형성된 출입홀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쇽업소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보하면, 본 실시 예의 의한 쇽업소버(10)는 오일 등의 댐핑유체가 충전되는 실린더(11)와, 실린더(11)의 내부를 압축챔버(12)와 인장챔버(13)로 구획하는 피스톤 밸브(30)와, 피스톤 밸브(30)가 결합된 피스톤 로드(20)와, 댐핑유체의 압력에 의해 피스톤 로드(20)의 압축을 감속 및 정지시킬 수 있도록 압축챔버(12)에 배치된 유압 압축 스토퍼 장치(50)를 포함한다.
피스톤 로드(20)는 일단이 실린더(11) 내부에 위치하고, 타단은 실린더(11)의 외부로 연장되어 차체(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다.
피스톤 로드(20)에 결합된 피스톤 밸브(30)에 의해 실린더(11)의 내부는 피스톤 밸브(30) 상부의 인장챔버(13)와 피스톤 밸브(30) 하부의 압축챔버(12)로 구분될 수 있다.
피스톤 밸브(30)는 쇽업소버(10)의 압축 행정 시 댐핑유체가 통과하는 하나 이상의 압축유로(31)와 쇽업소버(10)의 인장 행정 시 댐핑유체가 통과하는 하나 이상의 인장유로(32)를 갖는 밸브 몸체(33)를 포함한다.
밸브 몸체(33)의 외주면에는 실린더(11)의 내주면과 밀착 및 마모 방지를 위한 윤활부재(34)가 설치될 수 있다.
밸브 몸체(33)의 상부에는 압축유로(31)를 통과한 댐핑유체의 압력에 대항하여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압축 밸브부(35)가 배치되고, 밸브 몸체(33)의 하부에는 인장유로(32)를 통과한 댐핑유체의 압력에 대항하여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인장 밸브부(36)가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실린더(11)는 하나의 튜브로 이루어진 모노 튜브 형태를 설명하나, 실린더(11)는 두 개의 튜브로 이루어진 튜윈 튜브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2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유압 압축 스토퍼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유압 압축 스토퍼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유압 압축 스토퍼 장치(50)는 스토퍼 케이싱(60)과, 스토퍼 케이싱(60) 내에서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프리 피스톤(70)과, 프리 피스톤(70)을 탄력 지지하는 탄성부재(90)와, 프리 피스톤(70)과 선택적으로 접촉할 수 있도록 피스톤 로드(20)에 결합된 작동 로드(40)를 포함한다.
스토퍼 케이싱(60)은 상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이고, 피스톤 밸브(30) 하부의 압축챔버(12)에서 실린더(11)에 고정될 수 있다.
스토퍼 케이싱(60)의 상부 외주면에는 외측방향으로 연장된 플랜지(61)가 형성되고, 스토퍼 케이싱(60)의 플랜지(61)는 실린더(11) 내벽에 고정될 수 있다.
스토퍼 케이싱(60)의 플랜지(61)에는 댐핑유체의 이동을 허용하도록 상하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홀(62)이 형성될 수 있다.
쇽업소버(10)의 압축 행정 시 피스톤 밸브(30)와 스토퍼 케이싱(60) 사이의 댐핑유체는 플랜지(61)에 형성된 홀(62)을 통과하여 지날 수 있다.
스토퍼 케이싱(60) 내부는 프리 피스톤(70)에 의해 가압되는 작동실(63)이 형성될 수 있다.
작동실(63)은 스토퍼 케이싱(60)의 벽면에 형성된 복수의 오리피스홀(64)을 통해 압축챔버(12)와 연통될 수 있다.
복수의 오리피스홀(64)은 스토퍼 케이싱(60)의 측벽(60a)에 관통 형성된 측방 오리피스홀(64a)과, 스토퍼 케이싱(60)의 바닥(60b)에 관통 형성된 바닥 오리피스홀(64b)을 포함한다.
프리 피스톤(70)에 의해 작동실(63)이 압축될 때 복수의 오리피스홀(64)은 감쇠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스토퍼 케이싱(60)의 측벽(60a)은 실린더(11)의 내주면(11a)과 소정거리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프리 피스톤(70)이 작동실(63)을 압축하는 동안 작동실(63) 내부의 댐핑유체는 측방 오리피스홀(64a)을 통해 실린더(11) 내주면(11a)과 스토퍼 케이싱(60)의 측벽(60a) 사이 공간으로 토출되면서 감쇠력이 발생될 수 있다.
프리 피스톤(70)은 작동실(63)에 배치된 탄성부재(90)에 탄력 지지된 상태로 작동실(63)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프리 피스톤(70)은 작동실(63)의 내경과 대응하는 직경을 가질 수 있고, 프리 피스톤(70)의 외주면(71)이 작동실(63)의 내주면(63a)에 밀착되어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스토퍼 케이싱(60)의 상단 내주면에는 탄성부재(90)에 의해 지지된 프리 피스톤(7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돌기(65)가 돌출될 수 있다.
프리 피스톤(70)에는 압축챔버(12)와 작동실(63) 사이에서 댐핑유체의 흐름을 허용하기 위한 출입홀(72)이 형성된다.
출입홀(72)은 프리 피스톤(70)의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작동 로드(40)가 하강할 때 작동 로드(40)의 단부(41)가 접촉 가능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출입홀(72)은 작동 로드(40)와 동축(수직축)(Y) 상에 위치되도록 프리 피스톤(70)의 중앙에 위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바닥 오리피스홀(64b)도 작동 로드(40) 및 출입홀(72)과 동축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출입홀(72)은 작동 로드(40)의 단부(41)가 접촉하면 작동 로드(40)에 의해 출입홀(72)의 상부가 밀폐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출입홀(72)의 직경(D1)은 작동 로드(40)의 직경(D2)보다 작은 직경을 가질 수 있다.
프리 피스톤(70)의 상면에는 작동 로드(40)가 접촉할 때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한 완충부재(80)가 구비될 수 있다. 완충부재(80)는 탄성을 갖는 고무부재 등 연질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완충부재(80)는 프리 피스톤(70)의 상면 전체를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완충부재(80)에도 출입홀(72)과 대응하는 형상의 홀(82)이 형성될 수 있다.
완충부재(80)는 프리 피스톤(70)이 작동실(63)의 내주면(63a)과 미끄럼 이동하는 동안 작동실(63)의 개방된 상부를 실링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완충부재(80)의 외주면(81)은 작동실(63)의 내주면(63a)에 밀착된 상태로 접촉될 수 있다.
작동 로드(40)는 피스톤 로드(20)의 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작동 로드(40)는 피스톤 로드(20)에 나사 체결 또는 압입 등 다양한 방법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작동 로드(40)는 피스톤 로드(20)의 단부에 결합되는 결합부(42)와, 결합부(42)에서 하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된 로드부(43)를 포함할 수 있다.
쇽업소버(10)에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 로드부(43)의 단부(41)는 프리 피스톤(70)과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이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 예의 쇽업소버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실시 예의 압축행정 시 작동 로드가 프리 피스톤에 접촉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본 실시 예의 압축행정 시 작동 로드에 의해 프리 피스톤이 하강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압축행정 시 피스톤 밸브(30)와 피스톤 로드(20)가 실린더(11) 내에서 하강함에 따라 압축챔버(12) 내의 압력이 상승하게 되고 압축챔버(12) 내의 댐핑유체는 압축유로(31)를 통과하면서 감쇠력이 발생되게 된다. 그리고 압축행정이 계속되는 동안 작동 로드(40)의 단부는 프리 피스톤(70)과 접촉하여 프리 피스톤(70)에 형성된 출입홀(72) 상부를 밀폐한다. 이때 작동 로드(40)의 단부는 완충부재(80)와 먼저 접촉됨에 따라 충돌 소음 발생이 줄어들고 작동 로드(40)에 의해 프리 피스톤(70)에 가해지는 충격이 저감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작동 로드(40)의 단부가 출입홀(72) 상부를 밀폐한 상태에서 압축행정이 계속되면 작동 로드(40)의 가압력에 의해 프리 피스톤(70)은 하강하면서 작동실(63)을 압축한다.
프리 피스톤(70)이 작동실(63)에서 하강하면 완충부재(80)는 작동실(63) 상부를 실링하면서 프리 피스톤(70)과 함께 하강하고, 탄성부재(90)는 프리 피스톤(70)을 탄성 지지하면서 압축되면서 피스톤 로드(20)에 반력을 제공한다.
그리고 프리 피스톤(70)에 의해 가압되는 작동실(63) 내의 댐핑유체는 복수의 오리피스홀(64)을 압축챔버(12)로 토출되면서 추가적인 감쇠력이 발생한다.
따라서, 압축행정 동안 쇽업소버(10)가 압축 이동 변위의 끝부분에 인접할 때 피스톤 로드(20)의 압축을 감속 및 정지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 예의 유압 압축 스토퍼 장치의 다른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실시 예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 및 도 7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작동실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프리 피스톤의 가이드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작동실(63)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프리 피스톤(70)의 안정적 승강 이동을 유도하면서 프리 피스톤(70)이 작동실(63) 내에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프리 피스톤(70)의 외주면(71)과 작동실(63)의 내주면에는 상호 간에 맞물리는 가이드부가 구비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가이드부는 프리 피스톤(70)의 외주에서 돌출된 가이드 돌기(73)와, 작동실(63)의 내주에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 홈(66)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이와 반대로, 도 7과 같이 가이드부는 프리 피스톤(70)의 외주에서 함몰된 가이드 홈(74)과, 작동실(63)의 내주면(63a)에서 돌출되는 가이드 돌기(67)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본 실시 예의 프리 피스톤에 형성된 출입홀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작동 로드(40)의 단부가 접촉하여 밀폐되는 출입홀(72)의 상부는 출입홀(72)의 상부가 밀폐되도록 작동 로드(40)의 단부(41)가 접촉하는 제1 부분(84)과, 작동 로드(40)가 하강하여 제1 부분(84)에 안정적 안착이 가능하도록 제1 부분(84)보다 확장된 직경을 갖는 제2 부분(85)을 포함한다. 제2 부분(85)은 제1 부분(84)에서 작동 로드(40)를 향해 직경이 점진적으로 커지도록 경사진 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작동 로드(40)가 출입홀(72)을 밀폐하도록 하강하는 동안 작동 로드(40)와 출입홀(72)의 축선이 어긋나더라도 작동 로드(40)는 제2 부분(85)을 통해 제1 부분(84)으로 안정적 안착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 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0: 쇽업소버, 11: 실린더,
12: 압축챔버, 13: 인장챔버,
20: 피스톤 로드, 30: 피스톤 밸브,
40: 작동 로드, 41: 단부,
50: 유압 압축 스토퍼 장치, 60: 스토퍼 케이싱,
63: 작동실, 64: 오리피스홀,
65: 이탈방지돌기, 70: 프리 피스톤,
72: 출입홀, 80: 완충부재,
90: 탄성부재.

Claims (15)

  1.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부를 압축챔버와 인장챔버로 구획하는 피스톤 밸브와, 상기 피스톤 밸브가 결합된 피스톤 로드와, 상기 압축챔버에 배치된 유압 압축 스토퍼 장치를 포함한 쇽업소버에 있어서,
    상기 유압 압축 스토퍼 장치는,
    상기 피스톤 로드의 단부에서 상기 유압 압축 스토퍼 장치를 향해 연장되는 작동 로드;와, 상기 압축챔버에서 상기 실린더 내벽에 고정되며 내부에 상기 압축챔버와 연통하는 작동실을 갖는 스토퍼 케이싱;과, 상기 작동실 상부를 덮으며 상기 작동실에서 탄성부재에 의해 탄력 지지된 상태로 상하로 이동 가능한 프리 피스톤;을 포함하고,
    상기 프리 피스톤에는 상기 쇽업소버의 압축 행정 시 상기 피스톤 로드의 단부가 접촉하여 밀폐되는 출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 케이싱은
    상기 실린더의 하부로부터 이격 배치되고, 외주면에 상기 실린더 내벽에 고정되는 플랜지와,
    상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이고 상기 압축챔버와 상기 작동실을 연통시키는 복수의 오리피스홀을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오리피스홀은 상기 스토퍼 케이싱의 측벽에 형성된 복수의 측방 오리피스홀과, 상기 스토퍼 케이싱의 바닥에 형성된 바닥 오리피스홀을 포함하는 쇽업소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 피스톤의 상단에는 상기 작동 로드의 단부와 접촉 시 충격을 완화시키는 완충부재가 구비되는 쇽업소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와 상기 스토퍼 케이싱 내주면 사이 틈새를 실링하도록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스토퍼 케이싱의 내주면과 접촉하는 쇽업소버.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프리 피스톤의 상면 전체를 덮도록 형성되는 쇽업소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홀은 상기 프리 피스톤의 중앙에서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쇽업소버.
  6. 삭제
  7.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부를 압축챔버와 인장챔버로 구획하는 피스톤 밸브와, 상기 피스톤 밸브가 결합된 피스톤 로드와, 상기 압축챔버에 배치된 유압 압축 스토퍼 장치를 포함한 쇽업소버에 있어서,
    상기 유압 압축 스토퍼 장치는,
    상기 피스톤 로드의 단부에서 연장되는 작동 로드;와, 상기 압축챔버에서 상기 실린더 내벽에 고정되며 내부에 상기 압축챔버와 연통하는 작동실을 갖는 스토퍼 케이싱;과, 상기 작동실 상부를 덮으며 상기 작동실에서 탄성부재에 의해 탄력 지지된 상태로 상하로 이동 가능한 프리 피스톤;을 포함하고,
    상기 프리 피스톤에는 상기 쇽업소버의 압축 행정 시 상기 피스톤 로드의 단부가 접촉하여 밀폐되는 출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 케이싱은 상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이고 상기 압축챔버와 상기 작동실을 연통시키는 복수의 오리피스홀을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오리피스홀은 상기 스토퍼 케이싱의 측벽에 형성된 복수의 측방 오리피스홀과, 상기 스토퍼 케이싱의 바닥에 형성된 바닥 오리피스홀을 포함하는 쇽업소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로드, 상기 출입홀 및 상기 바닥 오리피스홀은 동축상에 위치되는 쇽업소버.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케이싱의 내주면에는 상기 프리 피스톤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돌출된 이탈방지돌기가 형성되는 쇽업소버.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 피스톤의 상하 이동 시 상기 프리 피스톤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상기 스토퍼 케이싱의 내주면과 상기 프리 피스톤의 외주면에는 상호 맞물려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가 형성되는 쇽업소버.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홀의 상부는 상기 작동 로드의 단부가 접촉되는 제1 부분과, 상기 작동 로드 단부의 진입을 유도하도록 상기 제1 부분보다 확장된 직경을 갖는 제2 부분을 포함하는 쇽업소버.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일단이 상기 작동실 바닥에 지지되며 타단은 상기 프리 피스톤 하면에 지지되는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는 쇽업소버.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쇽업소버의 압축 행정 시 상기 프리 피스톤은 상기 작동 로드에 의해 상기 출입홀이 밀폐된 상태에서 가압되어 상기 작동실을 압축하고, 상기 쇽업 소버의 인장 행정 시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원 위치로 복귀되면서 상기 작동 로드가 상기 출입홀에서 이격됨에 따라 상기 출입홀은 개방되어 댐핑유체의 흐름을 허용하는 쇽업소버.
  14.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케이싱의 외주면에는 상기 실린더 내벽에 고정되는 플랜지가 구비되고, 상기 플랜지에는 댐핑유체의 이동을 허용하도록 상하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홀이 형성되는 쇽업소버.
  15.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케이싱의 상기 측벽은 상기 실린더의 내주면과 이격되는 쇽업소버.
KR1020200036596A 2020-03-26 2020-03-26 쇽업소버 KR1024822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6596A KR102482244B1 (ko) 2020-03-26 2020-03-26 쇽업소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6596A KR102482244B1 (ko) 2020-03-26 2020-03-26 쇽업소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0205A KR20210120205A (ko) 2021-10-07
KR102482244B1 true KR102482244B1 (ko) 2022-12-28

Family

ID=78609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6596A KR102482244B1 (ko) 2020-03-26 2020-03-26 쇽업소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224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3999B1 (ko) * 2022-06-02 2023-05-18 주식회사 디딤돌 속도 가변형 댐퍼실린더를 이용한 층간 피난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37425A (ja) * 1999-05-31 2000-12-05 Kayaba Ind Co Ltd 油圧緩衝器の減衰力発生構造
US20160223045A1 (en) * 2015-02-03 2016-08-04 Tenneco Automotive Operating Company Inc. Secondary dampening assembly for shock absorber
WO2017093046A1 (de) * 2015-12-04 2017-06-08 Thyssenkrupp Bilstein Gmbh Schwingungsdämpfer mit hydraulischer dämpfung des druckstufenanschlage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2757B1 (ko) 2009-02-17 2013-06-10 주식회사 만도 오일 압력을 이용한 스토퍼 구조를 갖는 쇽업소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37425A (ja) * 1999-05-31 2000-12-05 Kayaba Ind Co Ltd 油圧緩衝器の減衰力発生構造
US20160223045A1 (en) * 2015-02-03 2016-08-04 Tenneco Automotive Operating Company Inc. Secondary dampening assembly for shock absorber
WO2017093046A1 (de) * 2015-12-04 2017-06-08 Thyssenkrupp Bilstein Gmbh Schwingungsdämpfer mit hydraulischer dämpfung des druckstufenanschlages
CN108291604A (zh) 2015-12-04 2018-07-17 蒂森克虏伯比尔斯坦有限公司 压缩阶段冲击中具有液压阻尼的减振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0205A (ko) 2021-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20602B2 (en) Device for damping or decelerating movable parts or pieces of furniture
US4527674A (en) Shock absorber with a hydro-mechanical stop
JP4063839B2 (ja) 端部位置で減衰緩衝作用を行うガスばね装置
KR940009223B1 (ko) 유압식 완충장치
KR20100116620A (ko) 양쪽개방 도어용 자동폐쇄 힌지 및 양쪽개방 도어 구조
EP3040577B1 (en) Hydraulic shock-absorbing device
AU2017101642A4 (en) Shock Absorber With Hydraulic Bump Stop
EP2518364A1 (en) Shock absorber
US8393447B2 (en) Vibration damper with amplitude-selective damping force
KR102482244B1 (ko) 쇽업소버
SE540238C2 (en) Hydraulic damping appliance
KR20080078574A (ko) 피스톤-실린더 장치용 피스톤
EP3396198B1 (en) Hydraulic damper having a high frequency valve assembly
US5305859A (en) Liquid spring having improved damper valve structure
KR100391419B1 (ko) 차량용 쇽 업소버
US11339848B2 (en) Shock absorber with a hydrostopper
KR102614825B1 (ko) 쇽업소버
KR101756421B1 (ko) 주파수 감응형 쇽업소버
KR101761870B1 (ko) 완충기
KR101276868B1 (ko) 쇽업소버의 바디 밸브 조립체
KR810000852Y1 (ko) 유압 완충기
KR20200141797A (ko) 쇽업소버
KR102232437B1 (ko)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
CN118025383A (zh) 自行车座管总成
KR20110067531A (ko) 유압 스토핑 구조를 가지는 쇽업소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