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2132B1 - 탄소 면상 발열 기능을 갖는 침대 시트 - Google Patents

탄소 면상 발열 기능을 갖는 침대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2132B1
KR102482132B1 KR1020210008123A KR20210008123A KR102482132B1 KR 102482132 B1 KR102482132 B1 KR 102482132B1 KR 1020210008123 A KR1020210008123 A KR 1020210008123A KR 20210008123 A KR20210008123 A KR 20210008123A KR 102482132 B1 KR102482132 B1 KR 1024821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weight
parts
planar heating
heating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81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05431A (ko
Inventor
윤달환
Original Assignee
세명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명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세명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081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2132B1/ko
Publication of KR202201054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54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21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21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 A47C21/048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02Mattress or cushion tickings or cover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32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oxygen, ozone, ozonides, oxides, hydroxides or percompounds;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 D06M11/36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oxygen, ozone, ozonides, oxides, hydroxides or percompounds;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with oxides, hydroxides or mixed oxides; with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 D06M11/46Oxides or hydroxides of elements of Groups 4 or 14 of the Periodic Table; Titanates; Zirconates; Stannates; Plumbat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73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carbon or compounds thereof
    • D06M11/74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carbon or compounds thereof with carbon or graphite; with carbides; with graphitic acids or their sal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21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26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f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Salts or esters thereof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21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32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f unsaturated alcohols or esters thereof
    • D06M15/33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f unsaturated alcohols or esters thereof of vinyl acetate; Polyvinylalcoh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Resistance Heating (AREA)
  • Thermotherapy And Cooling Therapy Devices (AREA)
  • Surface Heating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탄소 면상 발열 기능을 갖는 침대 시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가 쿠션재로 채워지고 외표면이 커버에 의하여 씌워지는 침대 매트리스용 탄소 면상 발열 기능을 갖는 침대 시트로서, 상기 매트리스 상부의 커버 내측에 배치되고, 탄소코팅 섬유실로 직조된 면상 발열체; 및 상기 면상 발열체의 표면과 이면에 덧대지고, 가장자리가 상기 매트리스의 상부면 가장자리에 재봉되어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발열체 커버를 포함하는 탄소 면상 발열 기능을 갖는 침대 시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탄소 면상 발열 기능을 갖는 침대 시트{Sheet of bed with carbon fiber plane heating function}
본 발명은 탄소 면상 발열 기능을 갖는 침대 시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저항값의 균일성 및 코팅층의 내마모성이 개선된 탄소코팅 섬유실로 직조된 면상발열체를 구비한 침대 시트에 관한 것이다.
최근 주거공간의 서양화로 인하여 입식 생활이 일반화됨에 따라 가정이나 숙박업소 등에서 침구류로서 전통적인 담요와 이불 대신에 침대를 적용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는바, 침대위에 놓여지는 매트리스의 경우 쿠션기능은 있으나, 온돌과 같은 따뜻함은 없어 예로부터 온돌문화에 익숙한 우리나라 사람에게는 사용이 매우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불편함으로 인하여 침대의 매트리스를 따뜻하게 하기 위해 별도의 전기장판을 매트리스 위에 올려 놓고 사용하는 경우가 있으나, 종래의 전기장판의 경우 내부에 전류가 인가되면 발열되는 단순한 히터코일이 설치되기 때문에 작동시 인체에 유해한 전자파가 다량으로 발생됨에 따라 장기간 사용시 사용자의 건강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는 심각한 문제가 있다.
이에, 발열체의 한면의 양쪽에 전극을 부착시킨 시트(Sheet)형상의 면상 발열체를 적용시킨 침대 매트리스용 발열 시트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섬유에 탄소를 코팅하여 제조된 섬유(이하 '탄소코팅 섬유실'이라 칭함)에 전기를 인가할 경우 저항을 발생하므로 이를 발열사로 이용하여 직조된 면상 발열체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탄소코팅 섬유실을 발열사로 이용하여 직조된 발열 직물은 발열사의 높은 전기 저항 특성으로 인해 짧은 시간에 원하는 온도까지 쉽게 온도를 올릴 수 있고 기존의 전기 매트와는 달리 전자파가 전혀 발생하지 않으며, 일정 온도에 도달하면 더 이상 온도가 증가하지 않는 항온 특성을 가지므로 전력 사용을 최소화할 수 있고 화상을 입을 염려가 없으므로 건강용 소재로서 최근 높은 관심을 받고 있다.
이와 같은 면상 발열체는 직조 원단을 탄소액에 침지시킨 후 건조하여 제조하기도 하고, 최근에는 전도성 카본과 열가소성 또는 열경화성 수지를 용제에 분산하여 만든 용액을 섬유사 표면에 도포처리하여 건조함으로써 발열사를 만들고 이렇게 만들어진 발열사를 직조하여 면상 발열체를 제조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로서, 등록특허 제0534295호(도전성 탄소코팅섬유를 이용한 발열체 원단의 제조방법)는 섬유실(fiber)에 카본 블랙(carbon black)을 코팅하여 탄소코팅 섬유실을 제조하고 섬유원단 제직에 코팅안한 섬유실과 탄소코팅섬유실를 위사로, 코팅안한 섬유실과 동선을 경사로 직물원단을 직조하고 직물원단 표면에 절연코팅을 하여 전기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변환하는 면상발열체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기술의 경우, 수용성 아크릴계 수지를 첨가한 탄소콜로이드용액에 함침하여 제작한 면상발열체는 전기적 특성이 좋은 아크릴수지가 전기저항을 좋게 하나 강성도가 높은 아크릴수지 자체의 화학적인 특성상 코팅중이나 코팅된 섬유가 섬유와 수지의 단락으로 인한 카본층 분리가 쉽게 일어나는 단점으로 인해 전기저항값의 편차가 심하여 이를 개선할 필요가 있으며 장시간 사용하기 위하여는 코팅층의 내마모성이 개선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탄소 면상 발열 기능을 갖는 침대 시트에 사용될 면상발열체의 전기저항값의 균일성 및 코팅층의 내마모성 개선에 대하여 연구하던 중, 탄소나노튜브 입자 및 그라파이트 입자가 섬유실에 융착하도록 아크릴계 수지 고착제에 섞어 탄소 콜로이드 용액을 만들고 상기 탄소 콜로이드 용액에 섬유실을 함침시켜 제조된 탄소코팅 섬유실로 직조할 경우 전기저항값의 균일성 및 코팅층의 내마모성이 향상됨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534295호 (공고일자 2005. 12. 08)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기저항값의 균일성 및 코팅층의 내마모성이 개선된 탄소코팅 섬유실로 직조된 면상발열체를 구비한 탄소 면상 발열 기능을 갖는 침대 시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소 면상 발열 기능을 갖는 침대 시트는, 내부가 쿠션재로 채워지고 외표면이 커버에 의하여 씌워지는 침대 매트리스용 탄소 면상 발열 기능을 갖는 침대 시트로서, 상기 매트리스 상부의 커버 내측에 배치되고, 탄소코팅 섬유실로 직조된 면상 발열체; 및 상기 면상 발열체의 표면과 이면에 덧대지고, 가장자리가 상기 매트리스의 상부면 가장자리에 재봉되어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발열체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탄소코팅 섬유실로 직조된 면상발열체는, 탄소나노튜브 입자 및 그라파이트 입자가 섬유실에 융착하도록 아크릴계 수지 고착제에 섞어 탄소 콜로이드 용액을 만들고, 상기 탄소 콜로이드 용액에 섬유실을 함침시켜 제조된 탄소코팅 섬유실로 직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탄소 콜로이드 용액은 아크릴계 수지고착제 및 탄소용액을 혼합 후 교반하여 제조되고, 상기 아크릴계 수지고착제는 이소부틸 아크릴레이트(Isobuthyl acrylate), 2-에톡시에틸 아크릴레이트(2-Ethoxyethyl Acrylate), 아크릴산(Acrylic Acid), 아크릴로 나이트릴(Acrylo Nitile), 아크릴 아미드(Acryl Amide), 유화제, 물, 수산화암모늄(Ammonium Hydroxide), 실리콘 소포제, 과황산암모늄(Ammonium persulphate), 중아류산소다(Sodium Bisulfite) 및 이산화티탄 졸용액을 혼합하여 제조되고, 상기 탄소용액은 물, 탄소나노튜브 입자, 그라파이트 입자 및 폴리비닐알콜을 혼합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소 면상 발열 기능을 갖는 침대 시트에 있어서, 상기 탄소코팅 섬유실로 직조된 면상발열체는 상기 탄소코팅 섬유실을 탄소코팅되지 않은 섬유실과 직조하여 제조된 면상발열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소 면상 발열 기능을 갖는 침대 시트에 있어서, 상기 매트리스는 상기 쿠션재 하부에 다수의 스프링부재가 배열되어 형성된 완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소 면상 발열 기능을 갖는 침대 시트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수지고착제는, 이소부틸 아크릴레이트(Isobuthyl acrylate) 10-30 중량부, 2-에톡시에틸 아크릴레이트(2-Ethoxyethyl Acrylate) 5-15 중량부, 아크릴산(Acrylic Acid) 2-5 중량부, 아크릴로 나이트릴(Acrylo Nitile) 0.5-2 중량부, 아크릴 아미드(Acryl Amide) 0.5-2 중량부, 유화제 1-5 중량부, 물 40-60 중량부, 수산화암모늄(Ammonium Hydroxide) 0.1-0.5 중량부, 실리콘 소포제 0.2-0.5 중량부, 과황산암모늄(Ammonium persulphate) 0.1-0.5 중량부, 중아류산소다(Sodium Bisulfite) 0.1-0.5 중량부 및 이산화티탄 졸용액 10-20 중량부를 혼합한 반응기에서 반응합성시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소 면상 발열 기능을 갖는 침대 시트에 있어서, 상기 탄소용액은, 증류수 60-75 중량부, 탄소나노튜브 입자 10-20 중량부, 그라파이트 입자 10-20 중량부 및 폴리비닐알콜 5 중량부를 혼합하여 콜로이드상태로 분쇄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소 면상 발열 기능을 갖는 침대 시트에 있어서, 상기 이산화티탄 졸용액은 티타늄 테트라부톡사이드(Titanium tetrabutoxide) 에탄올 및 톨루엔을 혼합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탄소 면상 발열 기능을 갖는 침대 시트는 탄소코팅 섬유실로 직조된 면상발열체의 전기저항값의 균일성 및 코팅층의 내마모성을 개선함으로써 장기간 사용시에도 발열효율을 유지할 수 있고, 전기저항값의 편차를 최소화하여 균일한 발열이 가능하도록 하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탄소 면상 발열 기능을 갖는 침대 시트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탄소 면상 발열 기능을 갖는 침대 시트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소 면상 발열 기능을 갖는 침대 시트는, 내부가 쿠션재로 채워지고 외표면이 커버에 의하여 씌워지는 침대 매트리스용 탄소 면상 발열 기능을 갖는 침대 시트로서, 상기 매트리스 상부의 커버 내측에 배치되고, 탄소코팅 섬유실로 직조된 면상 발열체; 및 상기 면상 발열체의 표면과 이면에 덧대지고, 가장자리가 상기 매트리스의 상부면 가장자리에 재봉되어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발열체 커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면상 발열체가 적용된 매트리스(10)는 전원의 인가시 매트리스가 따뜻하게 가열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매트리스(10) 상부의 커버(14) 내측에 여러 가닥의 도전성 탄소섬유를 직조한 형태로 이루어지고 외부로부터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발열되는 면상 발열체(16)가 설치된다.
또, 상기 면상 발열체(16)의 표면과 이면에 방수성과 보온성이 우수한 가죽 재질의 발열체 커버(18)가 덧대어지고, 상기 발열체 커버(18)의 가장자리는 매트리스(10)의 상부면 가장자리에 재봉되어 고정된다.
상기 면상 발열체(16)는 상·하 이중으로 설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가운데 부분에는 별도의 공지의 보온재가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탄소코팅 섬유실로 직조된 면상발열체는, 탄소나노튜브 입자 및 그라파이트 입자가 섬유실에 융착하도록 아크릴계 수지 고착제에 섞어 탄소 콜로이드 용액을 만들고, 상기 탄소 콜로이드 용액에 섬유실을 함침시켜 제조된 탄소코팅 섬유실로 직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소 콜로이드 용액은 아크릴계 수지고착제 및 탄소용액을 혼합 후 교반하여 제조되고, 상기 아크릴계 수지고착제는 이소부틸 아크릴레이트(Isobuthyl acrylate), 2-에톡시에틸 아크릴레이트(2-Ethoxyethyl Acrylate), 아크릴산(Acrylic Acid), 아크릴로 나이트릴(Acrylo Nitile), 아크릴 아미드(Acryl Amide), 유화제, 물, 수산화암모늄(Ammonium Hydroxide), 실리콘 소포제, 과황산암모늄(Ammonium persulphate), 중아류산소다(Sodium Bisulfite) 및 이산화티탄 졸용액을 혼합하여 제조되고, 상기 탄소용액은 물, 탄소나노튜브 입자, 그라파이트 입자 및 폴리비닐알콜을 혼합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탄소코팅 섬유실로 직조된 면상발열체는 아크릴계 수지고착제에 이산화티탄 졸용액을 혼합함으로써 탄소용액의 탄소나노튜브 입자, 그라파이트 입자의 분산성을 높이고 탄소코팅 섬유실로 직조된 면상발열체의 전기저항값의 균일성 및 코팅층의 내마모성을 개선함으로써 장기간 사용시에도 발열효율을 유지할 수 있고, 전기저항값의 편차를 최소화하여 균일한 발열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하,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하나, 하기의 실시예 및 실험예는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본 발명의 탄소 면상 발열 기능을 갖는 침대 시트의 발열체로 사용되는 탄소면상 발열체는 탄소나노튜브 입자 및 그라파이트 입자가 섬유실에 융착하도록 아크릴계 수지고착제에 섞어 탄소 콜로이드 용액을 만들고, 탄소 콜로이드 용액에 섬유실을 함침시켜 제조된 탄소코팅 섬유실을 직조하여 제조된 것으로, 본 발명의 탄소면상 발열체는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아크릴계 수지고착제는 이소부틸 아크릴레이트(Isobuthyl acrylate) 25 중량부, 2-에톡시에틸 아크릴레이트(2-Ethoxyethyl Acrylate) 10 중량부, 아크릴산(Acrylic Acid) 2 중량부, 아크릴로 나이트릴(Acrylo Nitile) 0.5 중량부, 아크릴 아미드(Acryl Amide) 0.5 중량부, 유화제로서 비이온 계면활성제인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 아민(Polyoxyethylene Lauryl Amine) 1 중량부, 물 50 중량부, 수산화암모늄(Ammonium Hydroxide) 0.25 중량부, 실리콘 소포제 0.5 중량부, 과황산암모늄(Ammonium persulphate) 0.25 중량부, 중아류산소다(Sodium Bisulfite) 0.5 중량부 및 이산화티탄 졸용액 15 중량부를 반응기에 혼합하여 4시간 반응시켜 아크릴계 수지고착제를 합성 제조하였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이산화티탄 졸용액은, 티타늄 테트라부톡사이드(Titanium tetrabutoxide, Ti(OCH2CH2CH2CH3)4) 20 ml에, 에탄올 40 ml, 톨루엔 18 ml를 혼합하여 첨가한 후 30분간 교반하여 혼합용액을 제조하고, 제조된 상기 혼합용액에 뷰렛을 이용하여 증류수와 에탄올을 2:1 부피비율로 혼합하여 제조한 용액을 한방울씩 30분에 걸쳐 천천히 첨가하면서 교반시킨 후 24시간 동안 에이징(aging)을 거쳐 제조하였다.
탄소용액은 증류수 60 중량부, 탄소나노튜브 입자 10 중량부, 그라파이트 입자 10 중량부를 혼합하고 폴리비닐알콜 5 중량부 및 유화제인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 아민(Polyoxyethylene Lauryl Amine) 2 중량부를 첨가하여 믹서기로 분쇄한 후 샌드밀을 이용하여 콜로이드상태로 분쇄하여 탄소용액을 얻었다.
상기 탄소용액 60 중량부에 아크릴계 수지고착제 20 중량부를 혼합하여 믹서기로 12시간 교반하여 탄소콜로이드용액을 제조하였다.
섬유실 중에서 폴리에스테르사를 선정하고 폴리에스터사의 윤활성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메탄올로 섬유실을 세척하고 탄소콜로이드용액에 함침한 후 130℃의 건조로를 8분간 통과시켜 탄소코팅 섬유실을 제조하였다.
탄소코팅 섬유실과 코팅안한 섬유실을 위사에 일정 간격으로 배열하고 경사에 전극의 역할을 하는 동선과 코팅안한 섬유실을 배열하여 직물원단을 직조하고 직물원단의 표면에 우레탄 절연코팅을 실시하여 면상발열체 원단을 제조하였다.
이와 같이 제조된 탄소코팅 섬유실로 직조된 면상발열체는 전기저항값의 균일성 및 코팅층의 내마모성을 개선함으로써 장기간 사용시에도 발열효율을 유지할 수 있고, 전기저항값의 편차를 최소화하여 균일한 발열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 비교예>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탄소코팅 섬유실로 직조된 면상발열체를 제조하되, 비교예 1은 아크릴계 수지고착제를 제조시 이산화티탄 졸용액을 첨가하지 않고 아크릴계 수지고착제를 제조한 후 탄소코팅 섬유실로 직조된 면상발열체를 제조하였고, 비교예 2는 아크릴계 수지고착제를 제조시 이산화티탄 졸용액 대신 인산이산화티타늄 15 중량부를 혼합하여 아크릴계 수지고착제를 제조한 후 탄소코팅 섬유실로 직조된 면상발열체를 제조하였으며, 비교예 3은 탄소용액 제조시 탄소나노튜브 입자 및 그라파이트 입자 대신 카본블랙 20 중량부를 첨가하여 탄소용액을 제조후 탄소코팅 섬유실로 직조된 면상발열체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코팅층의 내마모성 시험을 위하여 도막 경도(H)ASTM D3363의 기준에 따라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PET(polyethyleneterephthalate) 필름에 대한 면상발열체 페이스트의 접착력을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시험하였다:
- PET 필름 : 200×200 mm 사이즈에 면상 발열체 페이스트를 그라비아 인쇄 방식으로 8 - 10 ㎛ 두께로 도포하여 열풍건조로에서 온도는 150℃, 시간은 1 hr ~ 3 hr 동안 경화하였다.
- 핫 라미네이팅: 가열 온도: 200℃, 압력(kgf): 100kgf, 압력시간: 1-30min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 1 내지 3을 히팅(heating)판에 올려 상기 설명된 조건으로 핫 프레스(hot press)를 실시한 후, 1시간 실온 방치 후 도막 경도(H)ASTM D3363의 기준에 따라 측정하였다.
측정용 연필을 끼우고, 일정 하중(1Kg)을 가함으로써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측정결과는 9H ~ 1H, F, HB, 1B ~ 6B로 나타내었으며, 9H의 경우 최고로 단단한 것이며, 6B의 경우 가장 약한 경도를 나타낸다.
2) 전기저항값의 균일성 측정를 위해 사용되는 섬유실은 PVA(polyvinyl alcohol) 1800g/d 필라멘트사를 선정하고, 탄소코팅 섬유실의 전기저항값의 균일성 측정을 위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 1 내지 3에 의하여 제조된 각각의 탄소코팅 섬유실 3개의 스폿(spot)에 대한 전기저항값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3) 시험결과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3은 도막경도(내마모성)의 특성이 좋지 않고 전기저항값의 편차가 커서 균일성이 좋지 않은 반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내마모성 및 전기저항값의 균일성이 향상되는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구분 실시예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내마모성(도막경도, H) 5H 2H 3H 3H
전기저항값
(㏀·m)
spot 1 140 110 130 100
spot 2 150 90 170 130
spot 3 140 140 100 160
균일성 ±5% 이내 ±30% 이내 ±40% 이내 ±40% 이내
한편,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6)

  1. 내부가 쿠션재로 채워지고 외표면이 커버에 의하여 씌워지는 침대 매트리스용 탄소 면상 발열 기능을 갖는 침대 시트로서,
    상기 매트리스 상부의 커버 내측에 배치되고, 탄소코팅 섬유실로 직조된 면상 발열체; 및
    상기 면상 발열체의 표면과 이면에 덧대지고, 가장자리가 상기 매트리스의 상부면 가장자리에 재봉되어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발열체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탄소코팅 섬유실로 직조된 면상발열체는,
    탄소나노튜브 입자 및 그라파이트 입자가 섬유실에 융착하도록 아크릴계 수지 고착제에 섞어 탄소 콜로이드 용액을 만들고, 상기 탄소 콜로이드 용액에 섬유실을 함침시켜 제조된 탄소코팅 섬유실로 직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탄소 콜로이드 용액은 아크릴계 수지고착제 및 탄소용액을 혼합 후 교반하여 제조되고, 상기 아크릴계 수지고착제는 이소부틸 아크릴레이트(Isobuthyl acrylate) 10-30 중량부, 2-에톡시에틸 아크릴레이트(2-Ethoxyethyl Acrylate) 5-15 중량부, 아크릴산(Acrylic Acid) 2-5 중량부, 아크릴로 나이트릴(Acrylo Nitile) 0.5-2 중량부, 아크릴 아미드(Acryl Amide) 0.5-2 중량부, 유화제 1-5 중량부, 물 40-60 중량부, 수산화암모늄(Ammonium Hydroxide) 0.1-0.5 중량부, 실리콘 소포제 0.2-0.5 중량부, 과황산암모늄(Ammonium persulphate) 0.1-0.5 중량부, 중아류산소다(Sodium Bisulfite) 0.1-0.5 중량부 및 이산화티탄 졸용액 10-2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되고,
    상기 이산화티탄 졸용액은 티타늄 테트라부톡사이드(Titanium tetrabutoxide), 에탄올 및 톨루엔을 혼합하여 혼합용액을 제조한 뒤, 상기 혼합용액에 증류수와 에탄올을 혼합시키고 에이징 과정을 거쳐서 제조되며,
    상기 탄소용액은 물, 탄소나노튜브 입자, 그라파이트 입자 및 폴리비닐알콜을 혼합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 면상 발열 기능을 갖는 침대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코팅 섬유실로 직조된 면상발열체는 상기 탄소코팅 섬유실을 탄소코팅되지 않은 섬유실과 직조하여 제조된 면상발열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 면상 발열 기능을 갖는 침대 시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리스는 상기 쿠션재 하부에 다수의 스프링부재가 배열되어 형성된 완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 면상 발열 기능을 갖는 침대 시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산화티탄 졸용액은 15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 면상 발열 기능을 갖는 침대 시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용액은,
    증류수 60-75 중량부, 탄소나노튜브 입자 10-20 중량부, 그라파이트 입자 10-20 중량부 및 폴리비닐알콜 5 중량부를 혼합하여 콜로이드상태로 분쇄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 면상 발열 기능을 갖는 침대 시트.
  6. 삭제
KR1020210008123A 2021-01-20 2021-01-20 탄소 면상 발열 기능을 갖는 침대 시트 KR1024821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8123A KR102482132B1 (ko) 2021-01-20 2021-01-20 탄소 면상 발열 기능을 갖는 침대 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8123A KR102482132B1 (ko) 2021-01-20 2021-01-20 탄소 면상 발열 기능을 갖는 침대 시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5431A KR20220105431A (ko) 2022-07-27
KR102482132B1 true KR102482132B1 (ko) 2022-12-27

Family

ID=82701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8123A KR102482132B1 (ko) 2021-01-20 2021-01-20 탄소 면상 발열 기능을 갖는 침대 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213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8243B1 (ko) * 2009-07-23 2010-03-18 윤병수 면상발열체용 탄소코팅섬유 제조방법
KR101475491B1 (ko) * 2013-03-07 2014-12-23 김선환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실내난방 겸용 온돌 침대
JP2020070214A (ja) * 2018-10-31 2020-05-07 株式会社ブルー・リンケージ グラフェン発熱シート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4295B1 (ko) * 2004-02-13 2005-12-08 이춘구 도전성 탄소코팅섬유를 이용한 발열체 원단의 제조방법
KR20080010959A (ko) * 2006-07-28 2008-01-31 이관호 면상 발열체가 적용된 매트리스
KR101577403B1 (ko) * 2014-04-16 2015-12-17 주식회사 지클로 광에 의해 발열하는 항균섬유 및 원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8243B1 (ko) * 2009-07-23 2010-03-18 윤병수 면상발열체용 탄소코팅섬유 제조방법
KR101475491B1 (ko) * 2013-03-07 2014-12-23 김선환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실내난방 겸용 온돌 침대
JP2020070214A (ja) * 2018-10-31 2020-05-07 株式会社ブルー・リンケージ グラフェン発熱シート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5431A (ko) 2022-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18212B2 (en) Heating chair using carbon fiber heating element having multi-layered thermal layer
KR101813685B1 (ko) 면상발열체의 제조방법
KR20170043789A (ko) 그래핀을 함유한 발열원단 및 그 발열원단 제조방법
JP2020070214A (ja) グラフェン発熱シートの製造方法
KR102482132B1 (ko) 탄소 면상 발열 기능을 갖는 침대 시트
KR100756053B1 (ko) 면상 발열체용 탄소섬유의 제조법
CN106273921B (zh) 一种基于改性碳纤维热芯层的碳纤维热芯地板
KR102426146B1 (ko) 탄소면상 발열체를 이용한 사우나 부스
KR20170120987A (ko) 탄소기반 선상 발열사 소재를 사용하며 이중으로 화재를 방지할 수 있는 온열매트
KR20190057008A (ko) 탄소 섬유를 이용한 복사열이 강한 온열 시트
KR101731711B1 (ko) 온열매트
KR101162715B1 (ko) 카본 발열선을 이용한 발열시트
KR20150122861A (ko) 24시간 항시 보온원단
KR102641286B1 (ko) 탄소 면상 발열 기능을 갖는 보온의류
KR102464038B1 (ko) 탄소 면상 발열 기능을 갖는 콘테이너를 이용한 이동식 주택
KR101995002B1 (ko) 에어층을 구비한 온열의자
KR101804873B1 (ko) 플렉시블 면상발열체의 제조 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되는 플렉시블 면상발열체
KR100799229B1 (ko) 물침대 매트리스의 온도조절 수단
KR20230150243A (ko) 탈취 및 소독 기능을 갖는 탄소 면상 발열체를 구비한 온열패드
KR100665705B1 (ko) 도전성 금속섬유와 기능성화합물을 이용한 시트형 발열체및 이의 제조방법
KR100901458B1 (ko) 졸 함침 발열체
KR20180033660A (ko) 탄소섬유 발열선을 이용한 화물트럭용 24v 온열매트
KR20030093380A (ko) 카본 발열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255745B1 (ko) 발열원단 및 그 제조방법
JP6077227B2 (ja) 遠赤外線効能を有するシート材、及びこれを利用した建築用暖房材、並びにシート材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