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1969B1 - System for providing interior service providing three-dimentional simulation video - Google Patents

System for providing interior service providing three-dimentional simulation video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1969B1
KR102481969B1 KR1020220037741A KR20220037741A KR102481969B1 KR 102481969 B1 KR102481969 B1 KR 102481969B1 KR 1020220037741 A KR1020220037741 A KR 1020220037741A KR 20220037741 A KR20220037741 A KR 20220037741A KR 102481969 B1 KR102481969 B1 KR 1024819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struction
client
simulation
stage
desig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774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소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스비
(주)자리소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스비, (주)자리소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스비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19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196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5/003D [Three Dimensional] image rendering
    • G06T15/10Geometric effects
    • G06T15/20Perspective computation
    • G06T15/205Image-based rende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20Editing of 3D images, e.g. changing shapes or colours, aligning objects or positioning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Architectur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ometr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Provided is a system for providing an interior-design service providing a 3D simulation video for each stage of construction work. The system comprises: a client terminal which receives a 3D simulation video for each stage of construction work and decides whether to confirm or not; at least one designer terminal which produces a 3D simulation video for each stage of construction work including planning design, basic design, working design, on-site shop drawing review, and construction management, transmits the produced 3D simulation video to the client terminal, and receives confirmation; and an interior-design service providing server. The interior-design service providing server comprises: a storage unit which stores data on work performance details and phased achievements for each stage of construction work including planning design, basic design, working design, on-site shop drawing review, feedback, and construction management; an allocation unit which transmits, to the at least one designer terminal, the data on the work performance details and phased achievements for each stage of construction work; a transmission unit which transmits a 3D simulation video corresponding to the phased achievements uploaded from the at least one designer terminal to the client terminal; and a confirmation checking unit which carries out a process to proceed to the next step when a confirmation is received from the client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3D simulation video for each stage of construction work to a client, a different in thoughts between the client and a contractor after the interior design is completed can be minimized.

Description

건축행위 단계별 3D 시뮬레이션 영상을 제공하는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INTERIOR SERVICE PROVIDING THREE-DIMENTIONAL SIMULATION VIDEO}Interior service providing system that provides 3D simulation video for each stage of construction

본 발명은 건축행위 단계별 3D 시뮬레이션 영상을 제공하는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의뢰인에게 사전에 건축행위 단계별 3D 시뮬레이션을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rior service providing system that provides 3D simulation images for each construction activity step, and provides a system capable of providing a client with 3D simulation for each construction activity step in advance.

건축디자인 표현 방식은 디지털 기술의 발전과 함께 다양한 모습으로 변해왔다. 디자인 의사를 전달하기 위해서는 손으로 작업하였기 때문에 시간이 오래 걸리고 투시도 작업은 전문가가 아닌 전문가에 맡겨 작업하므로 전문가의 의도를 완전하게 담아낼 수 없었다. 보다 효율적인 건축디자인 표현을 위한 CAD 시스템의 등장으로 시간의 효율적인 활용과 전문가의 보다 정확한 디자인 의도의 전달이 가능해졌다. 하지만 CAD시스템으로 생성한 도면과 3차원 시각화 이미지 모두 상징화된 표현에 불과할 뿐 실제 실내 공간의 모습을 동일하게 나타내는데 있어서 어려움이 있다. 사진의 등장과 함께 실제 건축물과 완벽하게 동일한 실내 공간 표현이 가능하게 되었지만, 일반적인 사진 역시 공간의 단편적인 시야만을 나타낸다는 다른 어려움이 존재한다. The architectural design expression method has changed in various ways with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In order to convey the design intent, it took a long time because it was done by hand, and the perspective drawing work was left to a non-expert, so the expert's intention could not be completely captured. With the advent of the CAD system for more efficient architectural design expression, efficient use of time and more accurate delivery of design intentions by experts have become possible. However, both drawings and 3D visualization images created by CAD systems are only symbolic representations, and there is difficulty in representing the same appearance of the actual indoor space. With the advent of photography, it has become possible to express indoor spaces that are perfectly identical to real buildings, but there is another difficulty in that general photographs also show only a fragmentary view of space.

이때, 인테리어 결과물을 3D 시뮬레이션으로 제공하는 방법이 연구 및 개발되었는데,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공개특허 제2018-0001261호(2018년01월04일 공개) 및 한국등록특허 제10-1789931호(2017년11월21일 공고)에는, 고객 단말에서 2D 이미지를 서버로 전송하면, 서버에서 2D 이미지를 3D 이미지로 변환하고, 3D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는 3D 인테리어 정보를 고객 단말로 전송하는 구성과, 2D 화면에 벽체 및 각종 인테리어 객체를 생성한 후 3D로 변환할 수 있도록, 벽체를 생성하고 생성된 벽체를 기반으로 각종 인테리어 객체를 생성하며, 화면에 생성되는 벽체 및 인테리어 객체를 3D로 변환하고, 생성된 벽체의 치수를 확인한 후 절대 크기를 측정하여 인테리어 객체를 배치하는 구성이 각각 개시되어 있다.At this time, a method for providing interior results in 3D simulation has been researched and developed. In this regard, prior art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8-0001261 (published on January 04, 2018) and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789931 ( Announced on November 21, 2017), when the customer terminal transmits the 2D image to the server, the server converts the 2D image into a 3D image and transmits 3D interior information based on the 3D image to the customer terminal; After creating walls and various interior objects on the 2D screen, create walls and create various interior objects based on the created walls so that they can be converted to 3D, convert the walls and interior objects created on the screen to 3D, A configuration of arranging interior objects by measuring the absolute size after checking the dimensions of the created wall is disclosed.

다만, 상술한 구성 중 전자의 경우 단순히 2D 이미지를 3D 이미지로만 변환할 뿐이어서 상술한 바와 같이 사진 이미지로 대체하는 것 이상의 공간감을 실제로 제공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후자의 경우에도 각 인테리어 객체를 배치하는 것만을 개시할 뿐, 인테리어를 어떻게 진행할 것인지에 대한 BIM 프로세스를 개시한 구성이 아니다. 이에, 다차원 가상공간에 기획, 설계, 엔지니어링(구조, 설비, 전기 등), 시공 및 유지관리까지 가상으로 시설물을 모델링하면서 각 단계별로 의뢰인에게 3D 시뮬레이션을 제공 및 컨펌받을 수 있는 통합 플랫폼의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된다.However, among the above configurations, the former simply converts a 2D image into a 3D image, so there is a limit to actually providing a sense of space beyond replacing with a photographic image as described above. Even in the latter case, only the arrangement of each interior object is initiated, and the BIM process for how to proceed with the interior is not disclosed. Therefore, while virtually modeling facilities from planning, design, engineering (structure, facility, electricity, etc.),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in multidimensional virtual spac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an integrated platform that can provide and confirm 3D simulations to clients at each stage development is requir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다차원 가상공간에 기획, 설계, 엔지니어링, 시공 및 유지관리까지 가상으로 시설물을 모델링하면서 각 단계별로 의뢰인에게 3D 시뮬레이션을 제공 및 컨펌받을 수 있는 프로세스를 기반으로, 의뢰인에게 각 건축행위 단계별 3D 시뮬레이션 영상을 제공함으로써, 인테리어가 완료된 후 의뢰인과 시공자 간의 생각의 차이나 간극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의뢰인은 각 건축행위 단계를 미리 확인하고 컨펌할 수 있기 때문에 재공사나 작업이 불완전하게 마무리되는 위험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고, 시공사 역시 재공사를 진행함으로써 발생되는 지출을 제로화할 수 있는, 건축행위 단계별 3D 시뮬레이션 영상을 제공하는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3D simulation to the client at each stage while virtually modeling facilities from planning, design, engineering,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in a multidimensional virtual space, and based on a process that can receive confirmation, By providing 3D simulation images for each construction activity step,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difference or gap between the client and the constructor after the interior is completed, and the client can check and confirm each construction activity step in advance, so that the reconstruction or work is incomplete.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interior service providing system that provides 3D simulation images for each stage of construction activity, which can minimize the risk of finishing, and which can also reduce the expenditure incurred by the construction company to zero. However,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 as describ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may exist.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건축행위 단계별 3D 시뮬레이션 영상을 수신하고 컨펌 여부를 결정하는 의뢰인 단말, 기획설계, 기본설계, 실시설계, 현장 샵드로잉 도면 검토 및 피드백 및 시공관리의 각 건축행위 단계별 3D 시뮬레이션 영상을 제작하여 의뢰인 단말로 전송한 후 컨펌을 받는 적어도 하나의 디자이너 단말 및 기획설계, 기본설계, 실시설계, 현장 샵드로잉 도면 검토 및 피드백 및 시공관리의 각 건축행위 단계별 업무수행내용 및 단계별 성과물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각 건축행위 단계별 업무수행내용 및 단계별 성과물에 대한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의 디자이너 단말로 전송하는 할당부, 적어도 하나의 디자이너 단말로부터 업로드된 단계별 성과물에 대응하는 3D 시뮬레이션 영상을 의뢰인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부, 의뢰인 단말로부터 컨펌을 받은 경우 다음 단계를 진행하도록 프로세스를 진행하는 컨펌확인부를 포함하는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As a technical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a 3D simulation image for each stage of construction activity and determines whether or not to confirm the client's terminal, planning design, basic design, implementation design, on-site shop drawing drawing Review and feedback and at least one designer terminal receiving confirmation after producing a 3D simulation video for each construction activity step of construction management and sending it to the client terminal and planning design, basic design, construction design, on-site shop drawing drawing review and feedback and construction A storage unit for storing data on work performance details and results for each stage of management, an allocation unit for transmitting data on work performance details and results for each stage of construction activity to at least one designer terminal, at least one designer It includes an interior service providing server including a transmission unit that transmits 3D simulation images corresponding to step-by-step results uploaded from the terminal to the client terminal, and a confirmation confirmation unit that proceeds with a process to proceed to the next step when confirmation is received from the client terminal.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다차원 가상공간에 기획, 설계, 엔지니어링, 시공 및 유지관리까지 가상으로 시설물을 모델링하면서 각 단계별로 의뢰인에게 3D 시뮬레이션을 제공 및 컨펌받을 수 있는 프로세스를 기반으로, 의뢰인에게 각 건축행위 단계별 3D 시뮬레이션 영상을 제공함으로써, 인테리어가 완료된 후 의뢰인과 시공자 간의 생각의 차이나 간극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의뢰인은 각 건축행위 단계를 미리 확인하고 컨펌할 수 있기 때문에 재공사나 작업이 불완전하게 마무리되는 위험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고, 시공사 역시 재공사를 진행함으로써 발생되는 지출을 제로화할 수 있다.According to any one of the above-described problem solv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a process of providing and confirming a 3D simulation to a client at each stage while virtually modeling a facility in a multidimensional virtual space from planning, design, engineering,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Based on this, by providing the client with 3D simulation images for each stage of construction activity,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difference or gap between the client and the constructor after the interior is completed, and the client can check and confirm each construction activity step in advance. The risk of reconstruction or work being completed incompletely can be minimized, and the construction company can also zero out the expenses incurred by proceeding with reconstruc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행위 단계별 3D 시뮬레이션 영상을 제공하는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행위 단계별 3D 시뮬레이션 영상을 제공하는 인테리어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행위 단계별 3D 시뮬레이션 영상을 제공하는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변형례에 따른 인테리어 제공 서버에서 각 건축행위 단계별 복수의 후보군 3D 시뮬레이션 영상에서 각 건축행위 단계별 선정된 3D 시뮬레이션 영상을 의뢰인 단말에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interior service providing system that provides 3D simulation images for each stage of a building 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ior service providing server included in the system of FIG. 1 .
3 and 4 are views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in which an interior service providing 3D simulation images for each stage of a building 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5 is an operation flow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for providing an interior service for providing 3D simulation images for each stage of a building 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a 3D simulation image selected for each construction activity step from a plurality of candidate group 3D simulation images for each construction activity step in an interior providing server according to a modified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client terminal.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to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where it is "directly connected" but also the case where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terposed therebetween. . In addi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this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no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and one or more other characteristics.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exist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As us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e terms "about", "substantially", etc., are used at or approximating that value when manufacturing and material tolerances inherent in the stated meaning are given, and do not convey an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ccurate or absolute figures are used to help prevent exploitation by unscrupulous infringers of the disclosed disclosure. The term "step of (doing)" or "step of" as us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mean "step for".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한편,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부'는 어드레싱 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 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In this specification, a "unit" includes a unit realized by hardware, a unit realized by software, and a unit realized using both. Further, one unit may be realized using two or more hardware, and two or more units may be realized by one hardware. On the other hand, '~ unit' is not limited to software or hardware, and '~ unit' may be configured to be in an addressable storage medium or configured to reproduce one or more processors. Thus, as an example, '~unit' refers to components such as software components, object-oriented software components, class components, and task components, processes, functions, properties, and procedures. , subroutines, segments of program code, drivers, firmware, microcode, circuitry, data, databases, data structures, tables, arrays and variables. Functions provided within components and '~units' may be combined into smaller numbers of components and '~units' or further separated into additional components and '~units'. In addition, components and '~units' may be implemented to play one or more CPUs in a device or a secure multimedia card.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In this specification, some of the operations or functions described as being performed by a terminal, device, or device may be performed instead by a server connected to the terminal, device, or device. Likewise, some of the operations or functions described as being performed by the server may also be performed by a terminal, apparatus, or device connected to the server.

본 명세서에서 있어서, 단말과 매핑(Mapping) 또는 매칭(Matching)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단말의 식별 정보(Identifying Data)인 단말기의 고유번호나 개인의 식별정보를 매핑 또는 매칭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In this specification, some of the operations or functions described as mapping or matching with the terminal mean mapping or matching the terminal's unique number or perso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which is the terminal's identifying data. can be interpreted a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행위 단계별 3D 시뮬레이션 영상을 제공하는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건축행위 단계별 3D 시뮬레이션 영상을 제공하는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적어도 하나의 의뢰인 단말(100),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서버(300), 적어도 하나의 디자이너 단말(40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건축행위 단계별 3D 시뮬레이션 영상을 제공하는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하여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interior service providing system that provides 3D simulation images for each stage of a building 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 the interior service providing system 1 that provides 3D simulation images for each stage of construction activity includes at least one client terminal 100, an interior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and at least one designer terminal 400. can include However, since the interior service providing system 1 that provides 3D simulation images for each stage of the building act shown in FIG. 1 is only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ly interpreted through FIG. 1 .

이때,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20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의뢰인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의뢰인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디자이너 단말(40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디자이너 단말(4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At this time, each component of FIG. 1 is generally connected through a network (Network, 200).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 , at least one client terminal 100 may be connected to the interior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through the network 200 . Also, the interior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be connected to at least one client terminal 100 and at least one designer terminal 400 through the network 200 . In addition, at least one designer terminal 400 may be connected to the interior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through the network 200 .

여기서,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인터넷(WWW: World Wide Web),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전화망,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 등을 포함한다. 무선 데이터 통신망의 일례에는 3G, 4G, 5G,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5GPP(5th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와이파이(Wi-Fi),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RF(Radio Frequency),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Near-Field Communication)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Here, the network refers to a connection structure capable of exchanging information between nodes such as a plurality of terminals and servers, and examples of such networks include a local area network (LAN) and a wide area network (WAN: Wide Area Network), the Internet (WWW: World Wide Web), wired and wireless data communications networks, telephone networks, and wired and wireless television communications networks. Examples of wireless data communication networks include 3G, 4G, 5G,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5th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5GPP), Long Term Evolution (LTE),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Wi-Fi , Internet (Internet), LAN (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 (Wide Area Network), PAN (Personal Area Network), RF (Radio Frequency), Bluetooth (Bluetooth) network, NFC ( A Near-Field Communication (Near-Field Communication) network, a satellite broadcasting network, an analog broadcasting network,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network, etc. are included, but not limited thereto.

하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In the following, the term at least one is defined as a term including singular and plural, and even if at least one term does not exist, each component may exist in singular or plural, and may mean singular or plural. It will be self-evident. In addition, the singular or plural number of each component may be changed according to embodiments.

적어도 하나의 의뢰인 단말(100)은, 건축행위 단계별 3D 시뮬레이션 영상을 제공하는 인테리어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인테리어 각 건축행위 단계별 3D 시뮬레이션 영상을 수신하고 컨펌을 하는 단말일 수 있다.At least one client terminal 100 is a terminal that receives and confirms 3D simulation images for each interior construction activity step by using an interior service-related web page, app page, program, or application that provides 3D simulation images for each construction activity step. can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의뢰인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의뢰인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의뢰인 단말(1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Here, at least one client terminal 100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capable of accessing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a network. Here, the computer may include, for example, a laptop, a desktop, a laptop, and the like equipped with a navigation system and a web browser. At this time, at least one client terminal 100 may be implemented as a terminal capable of accessing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a network. At least one client terminal 100 is, for example,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at ensures portability and mobility, and includes navigation, PCS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 (Personal Digital Cellular), PHS (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 (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 (Wireless Broadband Internet ) may include all types of handheld-base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terminals, smartphones, smart pads, tablet PCs, and the like.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건축행위 단계별 3D 시뮬레이션 영상을 제공하는 인테리어 서비스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각 건축행위 단계별 업무수행내용 및 단계별 성과물을 저장하고, 각 건축행위 단계별로 적어도 하나의 디자이너 단말(400)을 등록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각 건축행위 단계별 디자이너 단말(400)로부터 단계별 성과물을 수집하고, 3D 시뮬레이션 영상을 시공 전 의뢰인 단말(100)로 전송한 후 컨펌을 받는 서버일 수 있다. The interior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be a server providing an interior service web page, an app page, a program, or an application that provides 3D simulation images for each construction activity step. Further, the interior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be a server that stores task execution details and achievements for each stage of construction activity, and registers at least one designer terminal 400 for each stage of construction activity. In addition, the interior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be a server that collects results of each stage of construction activity from the designer terminal 400, transmits a 3D simulation image to the client terminal 100 before construction, and receives confirmation.

여기서,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interior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capable of accessing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a network. Here, the computer may include, for example, a laptop, a desktop, a laptop, and the like equipped with a navigation system and a web browser.

적어도 하나의 디자이너 단말(400)은, 건축행위 단계별 3D 시뮬레이션 영상을 제공하는 인테리어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건축행위 단계별 업무수행내용에 따라 업무를 수행하고, 단계별 성과물을 업로드하면서 3D 시뮬레이션 영상을 외부에 의뢰하거나 자체적으로 제작하여 의뢰인 단말(100)의 컨펌을 받는 단말일 수 있다.At least one designer terminal 400 performs tasks according to the contents of the work performed at each stage of the building activity using an interior service related web page, app page, program or application that provides 3D simulation images for each stage of the building activity, and displays the results of each stage. While uploading, it may be a terminal that receives confirmation from the client terminal 100 by requesting a 3D simulation image from the outside or producing it on its own.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디자이너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디자이너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디자이너 단말(4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Here, at least one designer terminal 400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capable of accessing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a network. Here, the computer may include, for example, a laptop, a desktop, a laptop, and the like equipped with a navigation system and a web browser. At this time, at least one designer terminal 400 may be implemented as a terminal capable of accessing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a network. At least one designer terminal 400 is, for example,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at ensures portability and mobility, navigation, PCS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 (Personal Digital Cellular), PHS (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 (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 (Wireless Broadband Internet ) may include all types of handheld-base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terminals, smartphones, smart pads, tablet PCs, and the like.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행위 단계별 3D 시뮬레이션 영상을 제공하는 인테리어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ior service providing server included in the system of FIG. 1, and FIGS. 3 and 4 are implementations of an interior service providing 3D simulation images for each construction activity ste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rawing for explaining one embodiment.

도 2를 참조하면,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저장부(310), 할당부(320), 전송부(330), 컨펌확인부(340), 렌더링부(350) 및 시뮬레이션부(36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interior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includes a storage unit 310, an allocation unit 320, a transmission unit 330, a confirmation unit 340, a rendering unit 350, and a simulation unit 360. ) may be includ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서버(300)나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적어도 하나의 의뢰인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디자이너 단말(400)로 건축행위 단계별 3D 시뮬레이션 영상을 제공하는 인테리어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전송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의뢰인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디자이너 단말(400)은, 건축행위 단계별 3D 시뮬레이션 영상을 제공하는 인테리어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서비스 프로그램이 적어도 하나의 의뢰인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디자이너 단말(400)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The interior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nother server (not shown) operating in conjunction with at least one client terminal 100 and at least one designer terminal 400 performs 3D simulation for each construction activity. In the case of transmitting an interior service application, program, app page, web page, etc. that provides images, at least one client terminal 100 and at least one designer terminal 400 provide an interior that provides 3D simulation images for each construction activity step. You can install or open service applications, programs, app pages, web pages, etc. Also, the service program may be driven in at least one client terminal 100 and at least one designer terminal 400 by using a script executed in a web browser. Here, the web browser is a program that allows users to use the web (WWW: World Wide Web) service, and means a program that receives and displays hypertext described in HTML (Hyper Text Mark-up Language). For example, Netscape , Explorer, Chrome, and the like. In addition, an application means an application on a terminal, and includes, for example, an app running on a mobile terminal (smart phone).

도 2를 참조하면, 저장부(310)는, 기획설계, 기본설계, 실시설계, 현장 샵드로잉 도면 검토 및 피드백 및 시공관리의 각 건축행위 단계별 업무수행내용 및 단계별 성과물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기획설계, 기본설계, 실시설계, 현장 샵드로잉 도면 검토 및 피드백 및 시공관리는 나열된 순서대로 순차적으로 진행되는 단계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 the storage unit 310 may store data on work performed by each stage of construction activity and results of planning design, basic design, construction design, on-site shop drawing drawing review and feedback, and construction management. . Planning design, basic design, implementation design, on-site shop drawing, drawing review and feedback, and construction management may be sequential steps in the listed order.

할당부(320)는, 각 건축행위 단계별 업무수행내용 및 단계별 성과물에 대한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의 디자이너 단말(400)로 전송할 수 있다.The allocator 320 may transmit data on work performed by each construction activity stage and achievements by stage to at least one designer terminal 400 .

전송부(330)는, 적어도 하나의 디자이너 단말(400)로부터 업로드된 단계별 성과물에 대응하는 3D 시뮬레이션 영상을 의뢰인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디자이너 단말(400)은, 기획설계, 기본설계, 실시설계, 현장 샵드로잉 도면 검토 및 피드백 및 시공관리의 각 건축행위 단계별 3D 시뮬레이션 영상을 제작하여 의뢰인 단말(100)로 전송한 후 컨펌을 받을 수 있다. 의뢰인 단말(100)은, 건축행위 단계별 3D 시뮬레이션 영상을 수신하고 컨펌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The transmission unit 330 may transmit a 3D simulation image corresponding to a step-by-step result uploaded from at least one designer terminal 400 to the client terminal 100 . At least one designer terminal 400 produces a 3D simulation image for each construction activity step of planning design, basic design, construction design, on-site shop drawing drawing review and feedback, and construction management, transmits it to the client terminal 100, and confirms can receive The client terminal 100 may receive a 3D simulation image for each construction activity step and determine whether to confirm.

컨펌확인부(340)는, 의뢰인 단말(100)로부터 컨펌을 받은 경우 다음 단계를 진행하도록 프로세스를 진행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인테리어 시공 프로세스를 진행할 때 각 시공별 스케줄을 조정할 수 있다. 건설공사를 수주받아 시공하는 종합건설 업체는 토목, 미장, 가구, 마감공사 등의 공사부분을 단종업체에 하도급 하는 방법으로 시공이 이루어지고 있다. 실제 마감공사 단계에서 건축물 공사 전체 예산감축으로 인한 공사비 축소, 디자인 변경과 같은 이유로 설계 내용이 변경되는 경우가 많다. 그로 인해 마감공사 관계자들 간의 잦은 회의가 진행되며 도면 변경을 위한 시간과 인력이 낭비된다. 또한 새로운 물량, 견적산출과 디자인수정이 완료되면 최초 도면과 실제 시공 치수가 다른 상황이 발생될 때 현장 실측이 다시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사전 방지하기 위한 방안으로 다차원 가상공간에 기획, 설계, 엔지니어링(구조, 설비, 전기 등), 시공 및 유지관리, 폐기까지 가상으로 시설물을 모델링 하는 BIM 프로세스를 사용할 수 있다.When confirmation is received from the client terminal 100, the confirmation confirmation unit 340 may proceed with a process to proceed to the next step. In this case, when at least one interior construction process is performed, a schedule for each construction may be adjusted. General construction companies that receive orders for construction work are subcontracting construction parts such as civil engineering, plastering, furniture, and finishing work to discontinued companies. In the actual finishing construction stage, the design details are often changed for reasons such as reduction of construction cost due to budget reduction of the entire building construction and design change. As a result, frequent meetings are held between the finishing workers, and time and manpower for drawing changes are wasted. In addition, when a new quantity, quotation calculation, and design revision are completed, on-site measurement must be performed again when a situation occurs where the initial drawing and actual construction dimensions are different. As a way to prevent these problems in advance, a BIM process that virtually models facilities from planning, design, engineering (structure, facility, electricity, etc.), construction, maintenance, and disposal can be used in a multidimensional virtual space.

건축행위 단계에서 발생되어지는 설계 변경, 자재 및 물량 변경에 따른 업무자 간의 의사소통 혼동 및 현황 파악 등의 문제점 해결방안으로써 3D 스캐닝 데이터를 활용한 시공현황 단계를 파악하고 BIM과 연동을 통해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한 시나리오를 이용할 수 있다. 골조공사가 마무리된 후 마감공사 착수 전 건설관계자들이 모여 마감공사의 실물량을 재정비하게 된다. 마감공사 공정 진행 과정 중 현장 상황에 맞게 변경되는 많은 변수들 때문에 설계단계에서 계획되었던 마감공사의 자재, 물량, 디자인과 다르게 변경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러함에 시공과정 중 현장상황에 따라 변경되는 설계 내용을 변경하고 시뮬레이션을 통해 시공완료상태를 추측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구성하는 가이드라인을 제공할 수 있다. 시스템은 최초 설계되었던 BIM 모델링과 도면 정보들과 3D 스캐닝 기술을 이용하여 마감공사 진행 단계에서 중 변경되는 정보들을 실시간으로 시스템에 적용하여 변경된 자료를 설계자, 클라이언트, 하도급자, 감리자 등 건설 관계자들에 공유할 수 있도록 구성하며, 공유된 자료는 각자의 업무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해주 는 시스템이다.As a solution to problems such as communication confusion between workers and current status due to design change, material and quantity change that occur in the construction activity stage, the construction status stage using 3D scanning data is identified and the decision is made smooth through BIM linkage Scenarios for communication are available. After the frame work is completed, the construction officials gather before the start of the finishing work to reorganize the actual amount of the finishing work. Due to the many variables that change according to the site situation during the finishing work process, most of the cases are changed differently from the materials, quantity, and design of the finishing work planned in the design stag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ovide guidelines for configuring the system so that the design details that change according to the site situation during the construction process can be changed and the construction completion status can be estimated through simulation. The system uses BIM modeling and drawing information originally designed and 3D scanning technology to apply the information that changes during the finishing process to the system in real time, and shares the changed data with designers, clients, subcontractors, and supervisors. It is a system that supports the use of shared data in each person's work.

건설관계자별 역할 및 요구 데이터를 정리하면, 기본적으로 발주처의 요구에 따른 디자인 및 예산 변경으로 인해 마감공사 자재와 물량이 변하는 경우가 있다. 발주처는 디자인 및 예산변경을 시행사 혹은 시공사에게 요청하며 이러한 작업을 위해 시스템에서 요청하기 위한 서버와 구성체계가 필요하다. 시공사는 클라이언트의 변경 요청에 따라 설계사, 하도급업체와 함께 회의를 진행하고 시공내용을 변경하게 되며 이러한 작업을 최소화할 수 있는 원격 회의서버와 현장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해줄 수 있는 서버가 필요하다. 또한 변경된 디자인을 BIM과 연동하여 시공 현장에 적용시켜 치수정보 변경, 디자인 변경, 물량 변경순으로 현장 BIM 정보를 변경하는 서버가 필요하다. 공정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의사소통 때문에 발생하는 오류들과 낭비되는 시간 및 인력들을 최소화하기 위해 건설 관계자들간에 협업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건설관계자들의 분야별 업무를 정확히 분석하고 서로간의 업무에 있어서 협업해야 하는 부분 중 3D 스캐닝 자료를 기본으로 하는 부분을 분석한다.When the role and demand data of each construction party are organized, there are cases where the materials and quantity of finishing work are changed due to changes in design and budget basically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owner. The owner requests design and budget changes to the implementer or builder, and for this task, a server and configuration system are required to request from the system. According to the client's request for change, the constructor holds a meeting with the designer and subcontractors and changes the construction details. A remote meeting server that can minimize such work and a server that can provide site information in real time are needed. In addition, a server is needed to change the site BIM information in the order of dimension information change, design change, and quantity change by applying the changed design to the construction site in conjunction with BIM. In order to minimize errors caused by communication and wasted time and manpower in the course of the proces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ystem for collaboration among construction officials. Among the parts that need to be collaborated in the work between the departments, the parts that are based on 3D scanning data are analyzed.

<마감공사 3D 스캐닝 협업 프로세스><Finish 3D scanning collaboration process>

건축관련 많은 기업들이 구체적이고 체계화된 건축시스템을 구축하려 연구 및 개발을 진행하고 있지만, 건축시스템의 건설현장 활용도는 미흡한 상황이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BIM 기술, 3D 스캐닝 기술을 활용한 마감공사에서의 활용 가능한 XR 협업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다. 시스템은 클라우드 서버를 통해 가상화된 3D 스캐닝 수집자료를 시스템 리소스(IT 리소스) 요구하는 즉시 제공할 수 있도록 구축해야 한다. BIM 건설프로젝트 및 사진기반 3D 스캐닝 기능, 현장 3D이미지 데이터 DB, 3D BIM 데이터 DB, 사용자 데이터관리 DB, 건설 데이터 관리 DB 등 여러 DB를 구축하여 서버를 운영하여야 사용자들이 필요한 데이터들을 즉시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마감공사에서의 필요한 자료들이 XR 환경 지원을 위한 BIM 데이터 변환 모듈, 3D 데이터 관리 서버 애플리케이션, DB 서버 호환 모듈 등의 기술들로 구성되어야 한다. 제시된 시스템을 통해 마감공사단계에서 변경될 내용을 실제 필요한 데이터들로 변환하여 실시간으로 시공에 반영할 수 있도록 지원해주고 시공 오류를 줄이기 위해 시뮬레이션을 확인하여 업무의 효율성을 높여줄 수 있다.Although many architecture-related companies are conducting research and development to establish a specific and systematic building system, the utilization of building systems at construction sites is insufficient.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is,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XR collaboration system that can be utilized in finishing work using BIM technology and 3D scanning technology can be used. The system must be built so that virtualized 3D scanning collections can be provided immediately upon demand for system resources (IT resources) through a cloud server. BIM construction project and photo-based 3D scanning function, on-site 3D image data DB, 3D BIM data DB, user data management DB, construction data management DB, etc. must be established and the server operated to provide users with the necessary data immediately. . In addition, necessary materials for finishing work should be composed of technologies such as BIM data conversion module for XR environment support, 3D data management server application, and DB server compatible module. Through the proposed system, it is possible to convert the contents to be changed in the finishing construction stage into actual necessary data and reflect them to the construction in real time, and to check the simulation to reduce construction errors, thereby increasing work efficiency.

<마감공사 XR 협업시스템 구성><Composition of the Finishing Work XR Collaboration System>

예를 들어, 구글의 경우 모바일 사진을 이용하여 3D 스캐닝을 이용하여 3D 모델링 변환 후 여러 방면에서 기술을 사용하고 있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도 마감공사에의 응용하여 적용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BIM Partners에서는 3D 스캐닝을 통해 BIM과 연동하여 골조 단차 및 거푸집 위치잡기, 배관 위치잡기, 오차측정 시공에서의 간섭 검토하는 기능들을 사용하고 있으며, 대림산업에서는 3D 스캐닝 기술을 토대로 취득한 정보들을 취합하여 도면으로 추출하거나 기존 도면과 비교하여 건물의 미세한 mm 단위의 오차들을 잡아내는 기능을 사용하고 있다. GS건설은 CUPIX와 협업하여 건설에서 3D 스캐닝을 기반으로 AI 영상 분석을 통해 이미지 분할, 증강현실, 빅데이터 구축 등 다양한 연구를 진행 중에 있다고 밝혔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Google, after converting 3D modeling using 3D scanning using mobile photos, technology is used in various fields.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ystem that can be applied by applying to finishing work is built can do. BIM Partners uses functions to interlock with BIM through 3D scanning to locate frame steps and formwork, locate pipes, and examine interference in error measurement construction. Daelim Industrial collects information acquired based on 3D scanning technology It is used to extract or compare with the existing drawing to catch minute errors in the unit of mm of the building. GS E&C announced that it is conducting various researches such as image segmentation, augmented reality, and big data construction through AI image analysis based on 3D scanning in construction in collaboration with CUPIX.

건설공정에서 마감공사는 여러 인테리어 관련 하도급업체들이 들어와 시공을 실시하게 된다. 마감공사 착수 전 클라이언트, 시행사, 시공사에 의해 디자인변경, 공사금액 축소 요청등 다양한 이유로 도면, 시공내용, 공정일정 등 내용이 변경되는 경우가 많다. 건설관계자들간의 많은 회의와 현장설명회를 실시하여 마감공사 착수계획을 변경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많은 시공내용이 변경되어 디자인, 자재, 물량 견적등 많은 내용을 다시 산출하게 된다. 마감재가 바뀌면 시공법 또한 변경해야하며 도면을 전면 재수정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마감공사에서 3D 스캐닝 기반 XR 협업시스템의 시뮬레이션 중 3D 스캐닝 VR Information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영상 분리 기술인 Semantic Segmentation & Instance Segmentation과 혹은 이미지 분리 기술 Image Semantic Segmentation로 정보를 획득하여 객체를 분리해주는 작업과 이를 통해 얻은 객체에 정보를 연결해 BIM과 연동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할 수 있다. 이를 기반으로 포인트 클라우드를 통해 현장 3D 스캐닝 자료를 BIM 자료로 변환하여 기존 BIM에 적용하여 현장 상황과 최초 설계된 현장 BIM 자료가 비교되어 추출되는 내용을 필요로 한다. 이는 계획되었던 설계내용과 실제 골조공사 마무리 내용이 비교되어 둘 내용의 오차범위 부분이 표시된다. 또한 자재 크기와 자재 종류를 체크할 수 있어야 하며 색상, 재질 등의 디자인적 요소를 변경할 수 있는 시스템 구성이 더 부가될 수 있다. 상술한 기술들을 이용하여 BIM 자료, Scanning 자료, XR 시뮬레이션 자료 등을 추출 등을 즉각적으로 확인하여 수정하고 적용할 수 있도록 하여 실제 진행되는 회의와 커뮤니케이션의 시간적인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시스템을 건설관계자들에게 제공해 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저장된 자료들은 건설관계자들에게 공유되어 업무자들간의 원격회의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In the construction process, the finishing work is carried out by several interior-related subcontractors. Prior to the commencement of finishing work, the contents such as drawings, construction details, and process schedules are often changed by clients, contractors, and construction companies for various reasons such as design changes and requests for reduction of construction costs. Many meetings and on-site briefings are held between construction officials to change the start plan for finishing work. In this process, many construction details are changed, and many details such as design, materials, and quantity estimates are recalculated. If the finishing material is changed, the construction method must also be changed, and the drawing needs to be completely revised. In order to enable 3D scanning VR Information during the simulation of 3D scanning-based XR collaboration system in finishing construction, it is necessary to separate objects by obtaining information with image separation technology Semantic Segmentation & Instance Segmentation or image separation technology Image Semantic Segmentation, and You can use software that can link information to objects and work with BIM. Based on this, the field 3D scanning data is converted into BIM data through point cloud and applied to the existing BIM, and the field situation and the initially designed field BIM data are compared and extracted. This compares the planned design contents and the actual frame construction finished contents, and the error range part of the two contents is displayed. In addition, it should be possible to check the material size and material type, and a system configuration capable of changing design elements such as color and material may be further added. Using the above-mentioned technologies, BIM data, scanning data, XR simulation data, etc. can be immediately checked, corrected, and applied to extract, etc., so that construction officials can minimize the time waste of actual meetings and communication. to be able to provide it to them. In addition, the saved data can be shared with construction workers and used usefully in remote meetings between workers.

<마감공사 XR 협업 시나리오><Finishing XR Collaboration Scenario>

마감시공 착수 전에 3D 스캐닝 공간정보 데이터와 BIM 데이터를 통해 현장 상황의 3D 데이터가 완성된다. 3D 데이터는 XR 데이터로 변환되고, 도면자료들과 함께 DB 서버에 등록된다. 시공전 XR 환경에서 건설관계자들이 시공 시뮬레이션을 확인할 수 있으며 도면, 자재, 물량, 디자인 등 의 변경 요청에 따라 설계사는 도면 수정, 시공사는 일정, 자재, 물량수정, 하도급업자 일정 수정, 물량 확보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또한 현장의 모든 업무는 DB서버에 저장되며 시공오류가 발생되면 감리자, 설계자, 시공자는 XR 환경에서 시공상태를 체크하여 오류에 대한 해결책을 마련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설계자, 시공사, 하도급시공자의 업무에 따라 적용되는 순서이며, 3D 스캐닝 기술기반의 건설현장 XR 협업 지원시스템으로 감공사단계의 시공 착수 전 데이터 수집부터 데이터변환, 시공 오류 발생시 대처 과정, 후속 작업인 문서 작업까지 마감공사 단계 공정 완료까지의 과정을 보여주는 가이드라인이다. 설계자, 시공사, 작업자로 구분하여 각자의 역할을 구분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지침을 설정할 수 있다.3D data of the site situation is completed through 3D scanning spatial information data and BIM data before the start of finishing construction. 3D data is converted into XR data and registered in the DB server along with drawing materials. In the XR environment before construction, construction officials can check the construction simulation, and in response to requests for changes in drawings, materials, quantity, and design, designers modify drawings, constructors modify schedules, materials, and quantities, subcontractor schedules, and secure quantities. do the job In addition, all work on site is stored in the DB server, and when a construction error occurs, the supervisor, designer, and constructor check the construction status in the XR environment so that they can come up with a solution for the error. In other words, it is the order applied according to the work of the designer, constructor, and subcontractor. It is a construction site XR collaboration support system based on 3D scanning technology. It is a guideline that shows the process from the finishing work to the completion of the finishing work. Guidelines can be set so that each role can be divided into designers, constructors, and workers.

첫 번째 마감공사 시공 관계자는 로그인하여 공정에 맞는 정보와 위치데이터를 통해 현장의 정보를 불러온다. 두 번째, 서버 접속 후 공간스캔인데 접속한 시공사는 3D 스캐닝 기기를 이용하여 공간스캔 후 정보를 DB 서버로 전송한다. 세 번째, 데이터 변환 및 추출인데, 3D 스캐닝 데이터 정보는 환경 정보 인식 후 DB 서버와 연동된 후 필요환경 정보 제공을 한다. 기존 BIM의 3D 데이터와 시공현장의 3D 스캐닝 자료가 비교되어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네 번째 현장 BIM 데이터 환경정보 인식인데, 추출된 New BIM 자료는 기존 BIM과 비교되어 시공 오류, 객체선택 등 여러 기능을 선택할 수 있도록 환경정보인식이 표현된다. 다섯 번째로, 필요 정보 제공인데, 마감공사에 착수하기 전 시공사는 시스템을 이용하여 클라이언트, 설계자, 하도급자들과 협업하여 시공 재료, 물량, 치수 등을 확인하고 실제 시공에 맞게 데이터화하여 업로드한다. 업로드 되어진 자료는 건설관계자들에게 공유되며, 하도급자는 자료에 맞게 시공준비 후 시공에 착수한다.The person involved in the first finishing work logs in and brings up on-site information through information and location data suitable for the process. Second, after connecting to the server, space is scanned. The connected construction company scans the space using a 3D scanning device and transmits the information to the DB server. Third, data conversion and extraction. 3D scanning data information provides necessary environmental information after recognizing environmental information and linking with the DB server. Data can be extracted by comparing the 3D data of the existing BIM with the 3D scanning data of the construction site. Fourth, on-site BIM data environmental information recognition. Extracted New BIM data is compared with existing BIM, and environmental information recognition is expressed so that various functions such as construction errors and object selection can be selected. Fifth, the provision of necessary information. Before commencing the finishing work, the contractor uses the system to collaborate with clients, designers, and subcontractors to check construction materials, quantity, dimensions, etc., and convert data to fit actual construction and upload it. Uploaded data is shared with construction officials, and subcontractors start construction after preparing for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data.

여섯 번째로, 시공내용 변경 상황인데, 클라이언트의 공사내용 변경요청, 공사비 축소 등 다양한 이유로 시공 내용이 변경되는 경우가 잦다. 앞선 자료들을 활용하여 시스템 내에서 XR 환경 시공 시뮬레이션을 실행하고 마감공사 관계자들간의 협업을 통해 디자인, 자재, 물량 등 변경되는 시공 내용을 즉시 받아 공정에 추가할 수 있다. 일곱 번째로, 마감공사 체크인데, 1차적으로 완료되어진 마감공사는 다시 3D Scannning 작업을 거쳐 오류를 찾아낸다. 작업자가 놓쳤을 부분을 한번 더 체크할 수 있다. 문제없이 완료시 모든 자료는 DB 서버에 업로드 된다. 여덟 번째로 검측 요청 및 결재인데, 앞선 업로드된 시공현장의 자료를 공유 받아 검측, 일일 대장 등 다양한 문서 작업에 사용할 수 있다. 아홉 번째로, DB 서버에서의 완료 데이터 업로드인데, 마감공사 시스템에서의 자료들은 DB 서버에 업로드되며 추후 공정과 다음 프로젝트에서 재사용될 수 있다. 이를 이용하는 경우, 건설관계자들에게 육안으로 확인이 가능한 시각적인 면과 치수, 물량, 자재 정보 등 다양한 정보의 시공 시뮬레이션을 보여주어 클라이언트, 설계자, 시공사, 하도급업자 등에게 정확한 정보전달과, 효율적인 의사소통의 현장 이익을 예상할 수 있다. Sixth, there are changes in the construction details, and the construction details are often changed for various reasons, such as the client's request to change the construction details and the reduction in construction costs. By utilizing the previous data, the XR environment construction simulation can be executed within the system, and through collaboration between finishing work officials, the changed construction contents such as design, materials, and quantity can be immediately received and added to the process. Seventh, the finishing work is checked in, and the primarily completed finishing work is again 3D Scanned to find errors. You can check the part that the operator missed once more. Upon completion without any problems, all data will be uploaded to the DB server. Eighth is inspection request and approval. The data of the previously uploaded construction site can be shared and used for various document work such as inspection and daily ledger. The ninth is the upload of completion data from the DB server. Data from the finishing work system are uploaded to the DB server and can be reused in future processes and projects. When using this, it shows a construction simulation of various information such as visual aspects and dimensions, quantity, and material information that can be confirmed by the naked eye to construction officials, enabling accurate information delivery and efficient communication to clients, designers, constructors, and subcontractors. of field benefits can be expected.

렌더링부(350)는, 3D 시뮬레이션 영상을 제작하기 위하여 렌더링(Rendering)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간 렌더링을 지원하는 대표적인 프로그램은 유니티와 언리얼(Unreal) 등 게임 엔진들이 있으며 직접 코딩을 통해 이미지를 구현하는 프로그래밍 언어도 사용된다. 프로세싱(Processing), 맥스/MSP(Max/MSP), 퓨어 데어터(Pure Data), 쿼츠 컴포저(Quartz Composer), 터치디자이너(TouchDesigner), VVVV 등이 사용되며 이들은 일반적인 스크립트 언어들보다 더 간단한 문법을 사용하거나 VPL(Visual Programming Language)의 구조로 프로그래밍을 할 수 있어 실시간 영상 및 각종 상호작용 기법을 구현하기 편리하다.The rendering unit 350 may perform rendering to produce a 3D simulation image. Representative programs that support real-time rendering include game engines such as Unity and Unreal, and programming languages that implement images through direct coding are also used. Processing, Max/MSP, Pure Data, Quartz Composer, TouchDesigner, and VVVV are used, and they use simpler syntax than common script languages. It is convenient to implement real-time video and various interactive techniques because it can be programmed with the VPL (Visual Programming Language) structure.

또, 실측 서비스는 기존의 레이저 장비를 대신하여 스마트폰의 사진 기능을 활용하여 3D 스캐닝 기술을 사용한 3D 공간 스캔 기술을 이용할 수도 있다. 현장에서 자신이 원하는 부분을 스캔하여 3D 모델링화를 진행하여 객체를 선택할 수 있고, 객체의 세부적인 내용을 추출 해내는 작업부터 수정할 수 있는 기능까지의 단계가 필요하다. 이를 구체화 하기 위해서는 3D 스캐닝을 이용한 인테리어 모바일 시스템 엔진들과 기능들을 구성해야 한다.In addition, the actual measurement service can use 3D space scan technology using 3D scanning technology by utilizing the photo function of a smartphone instead of the existing laser equipment. You can select an object by scanning the part you want in the field and proceed with 3D modeling, and you need steps from the work of extracting the details of the object to the ability to modify it. In order to materialize this, it is necessary to configure interior mobile system engines and functions using 3D scanning.

3D 스캐닝 기술을 이용한 인테리어 시스템은 일반 사용자, 인테리어 디자이너 작업자 등이 어느 한 공간에서 모바일 시스템을 이용하여 공간을 3D 데이터화 하여 활용하는 것이 주목적인 시스템이다. 시스템의 구성은 공간의 3D 데이터화 작업을 위한 변환 엔진들이 구성되어야 하며 3D 데이터는 이미지, 길이측량, 평면도화로 변환하기 위해 다양한 기능들이 구성돼야 한다. 이 기능들은 사용자가 요구하는 가구, 벽지, 조명, 바닥 등의 디자인을 변경 수정할 수 있는 정보들로 활용될 것이며 이는 실시간으로 작업 되어 모바일에서 모든 것을 처리하여 개인 맞춤형 디자인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변경된 공간 이미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시뮬레이션화를 구성할 수 있고, XR 변환 엔진을 통해 XR 관련 장비들과 연동시켜 더욱 현실감 있는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이 자료들은 추후 실제 인테리어 전문가에게 의뢰하여 인테리어 시공을 위한 견적서를 받아 볼 수 있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The main purpose of the interior system using 3D scanning technology is to convert the space into 3D data using a mobile system in a space by general users and interior designers. As for the configuration of the system, conversion engines for 3D data conversion of space must be configured, and various functions must be configured to convert 3D data into images, length measurement, and plan drawing. These functions will be used as information that can change and modify designs such as furniture, wallpaper, lighting, and floors requested by the user, and this will be processed in real time so that you can get a personalized design by processing everything on mobile. In addition, simulation can be configured to check the changed space image, and more realistic information can be obtained by linking with XR-related equipment through the XR conversion engine. These materials can be used as data to receive a quote for interior construction by requesting an actual interior expert in the future.

시스템의 주기능인 3D 스캐닝을 활용한 공간 스캔은 3D 모델링 데이터화가 진행된 후 어떠한 기능들이 필요한지에 대하여 분류할 수 있다. 시스템은 Modeling된 공간의 각 개체들이 이미지 분할과 이미지 인식을 통해 객체별로 분류되어 속성을 갖게 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분할은 사물의 배경이나 객체 간의 영역을 픽셀 단위로 구분하는 기술로써 스캔된 공간의 이미지 경계를 인식하여 객체를 분할시켜주는 기술이며 이미지 인식은 딥러닝 기반으로 정교한 작업을 거쳐 분할된 객체를 식별하는 기술이다. 다양한 기술들을 접목하여 3D 스캐닝으로 얻은 공간 3D 모델링의 단순 이미지와 객체 치수 뿐만 아니라 디자인 모델 변경 공간에서의 객체 삭제 등의 기능을 더하여 3D 모델링 공간을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Spatial scan using 3D scanning, which is the main function of the system, can be classified as to what functions are needed after 3D modeling data conversion is in progress. The system may include a function in which each object in the modeled space is classified by object through image segmentation and image recognition and has properties. Image segmentation is a technology that divides the background of an object or the area between objects in pixel units. It is a technology that recognizes the image boundary of the scanned space and divides the object. It is a technique to By combining various technologies, not only simple images and object dimensions of spatial 3D modeling obtained through 3D scanning, but also functions such as object deletion in the design model change space can be added to configure the 3D modeling space to be changed as desired by the user.

첫 번째로, 모바일 사진기반의 3D 스캐닝 기능으로 시스템 내에서 공간을 3D 모델링화 할 수 있다. 두 번째로, 3D 모델링화된 공간데이터 안의 객체들은 이미지 분할 기능을 통해 이미지가 분류된다. 세 번째로, 사진기반 공간스캔 3D 모델링 데이터의 길이치수 표시를 위한 터치 방식 중 정확한 위치를 터치하는 것이 어려운 점을 보완하여 객체의 꼭짓점 마커가 생기는 기능을 추가한다. 네 번째로, 이미지 분할된 객체는 이미지 인식을 기능을 거쳐 각 속성에 맞는 객체 목록에 연결되어 수정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하며, 3D 모델링 데이터의 목록인 가구 중에서도 더 세분화될 수 있다. 이미지 인식 분류를 위한 딥러닝을 통해 시스템 내에서 소파 침대 책상 등 객체에 맞는 목록에 속할 수 있도록 해주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다섯 번째 이미지 인식으로 객체 목록에 분류된 소파는 삭제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삭제함에 따라 빈 공간은 주변 객체 속성을 인식하여 경계선에 맞게 채워져 어색하지 않게 보여줄 수 있다.First, with the mobile photo-based 3D scanning function, space can be 3D modeled within the system. Second, the objects in the 3D modeled spatial data are classified into images through the image segmentation function. Thirdly, among the touch methods for displaying the length and dimensions of the photo-based space scan 3D modeling data, it is difficult to touch the exact location to add a function that creates a vertex marker of the object. Fourth, image-segmented objects are linked to an object list suitable for each property through image recognition and configured to be modified and changed, and can be further subdivided among furniture, which is a list of 3D modeling data. With deep learning for image recognition classification, you can include functions within the system that allow objects such as sofas, beds, desks, and so on to belong to the right list. Fifth, the sofa classified in the object list through image recognition can be configured to be deleted. By deleting, the empty space can be displayed without awkwardness by recognizing the surrounding object properties and filling it to fit the boundary line.

시스템의 주요 기능을 활용하여 공간의 정보 획득 및 수정할 수 있으며 공간 안의 객체에 이미지 분할 기능을 접목하여 각객체의 목록들로 분류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자신의 공간을 취향에 따라 개인 맞춤형으로 디자인을 변경할 수 있는 배경을 만들어 주는 필수 요소들이다. 이처럼 공간을 스캔하여 모바일 사진기반의 3D 스캐닝 기능으로 시스템 내에서 공간을 3D 모델링화 하여 사용자가 요구하는 디자인으로 변경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시스템이 구현되기 위해서는 많은 기술들을 요구한다 단순히 이미지 분할을 실행할 뿐 아니라 분할된 이미지에 이미지 인식 기술을 더해 객체에 속성을 연결해 주는 기능을 요구한다. Using the main functions of the system, it is possible to acquire and modify space information, and it can be configured to classify into lists of each object by grafting the image segmentation function to objects in the space. These are essential elements that create a background that allows users to change the design of their space in a personalized way according to their taste. In this way, the system can be configured so that the space can be 3D modeled within the system with the mobile photo-based 3D scanning function by scanning the space and changed to the design requested by the user. In order to implement the system, many technologies are required. In addition to simply performing image segmentation, it requires a function that connects attributes to objects by adding image recognition technology to the segmented image.

우선, 모바일상에서의 공간 3D 스캐닝을 이용하여 공간의 이미지 길이 측량 등 다양한 데이터가 완성된다. 완성된 데이터는 모바일 안에서 다양한 작업을 할 수 있다. 사용자가 서버에 접속하여 디자인을 변경하는 단계와 XR 환경에서 변경된 디자인 확인 기능을 통해 인테리어 전문가가 확인하여 견적을 낼 수 있는 단계까지 가능할 수 있다. 첫 번째로, 사용자 접속으로 사용자는 인테리어를 변경하고 싶은 공간이 발생하여 서버에 접속한다. 두 번째로, 3D Scannig & 3D 모델링 데이터 변환 및 추출을 수행하는데, 서버 접속 후 변경하고 공간을 모바일 3D 스캐닝을 통해 3D 모델링화 한다. 세 번째로 데이터 수정 및 변경인데, 3D 모델링 자료는 모바일상에서 수정할 수 있으며 원하는 부분이나 객체를 선택하여 추출 수정할 수 있다. 네 번째로, 디자인 변경 자료 공유인데, 사용자는 원하는 디자인을 서버에서 불러와 스캔된 3D Model에 적용하여 디자인할 수 있다. 또한 변경된 디자인의 자료는 서버에 저장되며 다른 사용자들과 공유할 수 있다. 다섯 번째로, 3D Model과 XR 환경에서의 연동인데, 모바일에서 변경된 자료를 MR 형태로 구현해 낼 수 있으며 장비와 연동하여 XR 환경에서 실제 변경된 인테리어 환경을 확인할 수 있다.First of all, various data such as measurement of the length of an image of space are completed using space 3D scanning on a mobile device. Completed data can perform various tasks in mobile. It may be possible from the stage where the user connects to the server to change the design and the stage where the interior expert can check and make a quote through the changed design confirmation function in the XR environment. First, the user connects to the server by generating a space where the user wants to change the interior. Second, 3D Scannig & 3D modeling data conversion and extraction are performed, and after connecting to the server, it is changed and the space is 3D modeling through mobile 3D scanning. The third is data modification and modification. 3D modeling data can be modified on mobile, and a desired part or object can be selected and modified. Fourth, sharing of design change data, users can design by calling the desired design from the server and applying it to the scanned 3D model. Also, the changed design data is stored on the server and can be shared with other users. Fifth, linkage between 3D Model and XR environment. Data changed on mobile can be implemented in MR form, and the interior environment that has actually changed can be checked in the XR environment by linking with equipment.

상술한 과정을 따르면, 사용자는 시스템 내에서 공간을 스캔하여 디자인 변경 후 견적서를 추출할 수 있는 단계까지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시나리오가 구성된다. 모바일 공간 스캔 자료는 3D 모델링화 되어 활용되며 시스템 내에서 이미지 분할, 이미지 인식 등 다양한 기능들이 활용되어 빅데이터 기반의 정보들과 함께 디자인 변경에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가 요구하는 디자인으로 변경된 자료는 XR 변환 모듈을 통해 시뮬레이션을 제공하고 실제 인테리어 전문가들이 확인하여 보다 정확한 견적을 추출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process, a scenario is configured so that the user scans the space within the system and is provided with information up to the step of extracting a quote after design change. Mobile space scan data is 3D modeled and used, and various functions such as image segmentation and image recognition are utilized within the system, and can be used for design change along with big data-based information. The data changed to the design requested by the user can be simulated through the XR conversion module and checked by real interior experts to provide a service that can extract a more accurate estimate.

시뮬레이션부(360)는, FF&E(Furniture, Fixtures and Equipment) 요소를 포함하여 3D 시뮬레이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FF&E 요소와 3D 시뮬레이션 내 인테리어 간 색차를 줄이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영상 블랜딩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 시뮬레이션부(360)는, FF&E 요소의 객체를 포아송 블랜딩 방법으로 3D 시뮬레이션 영상에 합성한 후, 블랜딩한 3D 시뮬레이션 영상과 FF&E 요소 간의 색차를 비교하고, 색차가 기 설정된 임계값 이상인 경우, FF&E 요소의 객체에 대해 알파 블랜딩을 수행한 후, 포아송 블랜딩 방법으로 블랜딩된 3D 시뮬레이션 영상과 가중치를 부여하여 합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F&E 요소 및 3D 시뮬레이션 영상을 합성할 수 있다.The simulation unit 360 may perform 3D simulation work including Furniture, Fixtures and Equipment (FF&E) elements. At this time, at least one image blending algorithm for reducing the color difference between the FF&E element and the interior in the 3D simulation may be used. The simulation unit 360, after synthesizing the object of the FF&E element into a 3D simulation image by the Poisson blending method, compares the color difference between the blended 3D simulation image and the FF&E element, and if the color difference is greater than a preset threshold value, the FF&E element After performing alpha blending on the object, it is possible to synthesize the FF&E element and the 3D simulation image, characterized in that the 3D simulation image blended by the Poisson blending method and weights are added and synthesized.

포아송 블랜딩 방식에서는 소스 영상 객체의 색상이 목표 영상의 색상에 의해 왜곡될 수 있다. 그 이유는 포아송 블랜딩 과정에서 수학식 1의 디리클레 경계 조건(Dirichlet Boundary Condition)으로 인해 합성 영역의 경계에서 목표 영상의 화소값을 합성 영상의 화소값으로 사용하기 때문이다. 색상 왜곡의 종류는 색 번짐(Color Bleeding) 현상과 색 오류(Color Artifact) 현상으로 구분할 수 있다. 색 번짐 현상은 목표 영상의 경계 화소값이 합성된 객체 영역 전체로 번지는 형태의 왜곡을 의미한다. 그리고 색 오류 현상은 합성 영역의 경계 영역이 부분적으로 목표 영상 경계의 색상으로 얼룩지게 보이는 현상을 의미한다. In the Poisson blending method, the color of a source image object may be distorted by the color of a target image. This is because, in the Poisson blending process, pixel values of the target image are used as pixel values of the synthesized image at the boundary of the synthesized region due to the Dirichlet boundary condition of Equation 1. Types of color distortion can be divided into a color bleeding phenomenon and a color artifact phenomenon. The color spreading phenomenon means distortion in the form of spreading the edge pixel values of the target image to the entire synthesized object area. Also, the color error phenomenon refers to a phenomenon in which the border area of the synthesized area is partially stained with the color of the target image border.

[수학식 1][Equation 1]

Figure 112022032874406-pat00001
Figure 112022032874406-pat00001

이에 따라, 포아송 블랜딩에 의해 발생하는 색상 왜곡 현상을 억제하여 합성 영상의 자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합성 영상에서 소스 영상(FF&E 요소)의 객체가 가지고 있는 색상 및 텍스처를 보존하는 알파 블랜딩의 특징과 소스 영상의 객체와 목표 영상(3D 시뮬레이션 영상)의 배경이 이음매 없이 조합되는 포아송 블랜딩의 특징을 동시에 활용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색차에 기반하며, 색차는 RGB와 색성분, 합성영역에 포함된 화소 수, 알파 블랜딩된 객체의 화소값에 기초하여 계산될 수 있다. 다양한 수학식이 적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수학식으로 한정하지는 않는다.Accordingly, in order to suppress the color distortion caused by Poisson blending and improve the naturalness of the synthesized image, the characteristics and source of alpha blending that preserves the color and texture of the object of the source image (FF&E element) in the synthesized image. The object of the image and the background of the target image (3D simulation image) can be made in a way that simultaneously utilizes the characteristics of Poisson blending that are combined seamlessly. This is based on the color difference, and the color difference can be calculated based on the RGB and color components, the number of pixels included in the composition area, and the pixel values of the alpha-blended object. Various equations may be applied, but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limited to any one equation.

이하, 상술한 도 2의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에 따른 동작 과정을 도 3 및 도 4를 예로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Hereinafter, an opera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above-described interior service providing server of FIG. 2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as examples. However, it will be apparent that the embodiment is only any one of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limited thereto.

도 3은 인테리어 서비스가 진행되는 프로세스를 설명한 표이다. 도 3의 순서대로 진행될 수 있으나 각 단계의 내용은 변경될 수도 있다. 도 4a 내지 도 4f는 각 층의 설계도면을 2D 평면도, 3D 평면도, VR 콘텐츠로 제공한 일 실시예이다. 이때, 3D 시뮬레이션을 영상으로 제공할 수 있고 360도 파노라마 이미지나 XR, 즉 MR, VR, AR 등으로 나타낼 수도 있다. 전문가는 자신의 건축물에 대한 디자인 의도를 다른 사람으로 하여금 이해하고 설득시킬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스케치, 도면, 사진, 3차원 시각화 모델들은 전문가의 의도를 전달하는데 보조적인 도구로써 큰 역할을 한다. 그러나 앞서 말한 방법들은 건축물을 사실 그대로 전달하는데 어려움이 있다는 점, 제한적인 시야만 전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제약을 받는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시뮬레이션 영상이나, 상술한 360 파노라마 이미지를 제공하는 경우, 한 장의 이미지만 있으면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시야의 이미지를 추출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사진의 촬영각도 등을 조절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이미지를 한 장의 이미지에서 손쉽게 편집하여 만들어 낼 수도 있다. 3 is a table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an interior service is performed. It may proceed in the order of FIG. 3, but the contents of each step may be changed. 4a to 4f are examples of providing design drawings of each floor as a 2D plan view, a 3D plan view, and VR content. At this time, the 3D simulation may be provided as an image and may be expressed as a 360-degree panoramic image or XR, that is, MR, VR, AR, and the like. Experts must be able to understand and convince others of their architectural design intentions. In this process, sketches, drawings, photos, and 3D visualization models play a large role as auxiliary tools in conveying the expert's intention. However, the aforementioned methods are limited in that they have difficulties in conveying the building as it is and can only convey a limited view. Accordingly, in the case of providing the 3D simulation image or the above-described 360 panoramic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mages of various views desired by the user can be extracted with only one image. In addition, the user can easily edit and create the desired image from one image by adjusting the shooting angle of the photo.

이와 같은 도 2 내지 도 4의 건축행위 단계별 3D 시뮬레이션 영상을 제공하는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을 통해 건축행위 단계별 3D 시뮬레이션 영상을 제공하는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Matters that have not been described for the interior service providing method of providing 3D simulation images for each construction activity stage of FIGS. 2 to 4 are described in the interior service providing method for providing 3D simulation images for each construction activity stage through FIG. 1 . Since it can be easily inferred from the same or described content,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건축행위 단계별 3D 시뮬레이션 영상을 제공하는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5를 통해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할 것이나, 이와 같은 실시예로 본원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이 변경될 수 있음은 기술분야에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between components included in an interior service providing system providing 3D simulation images for each stage of a construction act of FIG.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an example of a proces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between each component will be described through FIG. 5, but the present application is not limited to such an embodiment, and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above,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a proces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may be changed.

도 5를 참조하면,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서버는, 기획설계, 기본설계, 실시설계, 현장 샵드로잉 도면 검토 및 피드백 및 시공관리의 각 건축행위 단계별 업무수행내용 및 단계별 성과물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한다(S5100).Referring to FIG. 5, the interior service providing server stores data on work performance and results for each stage of construction activity such as planning design, basic design, construction design, on-site shop drawing drawing review and feedback, and construction management (S5100 ).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서버는, 각 건축행위 단계별 업무수행내용 및 단계별 성과물에 대한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의 디자이너 단말로 전송하고(S5200), 적어도 하나의 디자이너 단말로부터 업로드된 단계별 성과물에 대응하는 3D 시뮬레이션 영상을 의뢰인 단말로 전송한다(S5300).The interior service providing server transmits data on the contents of each stage of construction activity and the results of each stage to at least one designer terminal (S5200), and transmits the 3D simulation image corresponding to the staged achievement uploaded from the at least one designer terminal to the client It is transmitted to the terminal (S5300).

또,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서버는, 의뢰인 단말로부터 컨펌을 받은 경우 다음 단계를 진행하도록 프로세스를 진행한다(S5400).In addition, the interior service providing server proceeds with a process to proceed to the next step when receiving confirmation from the client terminal (S5400).

상술한 단계들(S5100~S5400)간의 순서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단계들(S5100~S5400)간의 순서는 상호 변동될 수 있으며, 이중 일부 단계들은 동시에 실행되거나 삭제될 수도 있다.The order between the above-described steps (S5100 to S5400) is only an example, and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the order of the above-described steps (S5100 to S5400) may be mutually changed, and some of the steps may be simultaneously executed or deleted.

이와 같은 도 5의 건축행위 단계별 3D 시뮬레이션 영상을 제공하는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건축행위 단계별 3D 시뮬레이션 영상을 제공하는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Items not described for the interior service providing method of providing 3D simulation images for each stage of construction activity in FIG. Since it can be easily inferred from the same or described content,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5를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행위 단계별 3D 시뮬레이션 영상을 제공하는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The interior service providing method for providing 3D simulation images for each stage of a construction activ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is in the form of a recording medium including instructions executable by a computer such as an application or program module executed by a computer. can also be implemented. Computer readable media can be any available media that can be accessed by a computer and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media,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Also, computer readable media may include all computer storage media. Computer storage media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implemented in any method or technology for storage of information such as computer readable instructions, data structures, program modules or other data.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건축행위 단계별 3D 시뮬레이션 영상을 제공하는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방법의 변형례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건축행위 단계별 3D 시뮬레이션 영상을 제공하는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방법의 변형례에서는 BMI/3D 스캐닝 기술 등으로 제작된 3D 시뮬레이션 영상을 모델링/랜더링 스타일이 상호 다른 복수의 후보군 영상으로 마련한 다음 의뢰인의 개인 정보를 분석하여 의뢰인에 따라 맞춤형 3D 시뮬레이션 영상을 선정하여 제공함으로써 의뢰인의 만족도를 높이고 컨펌 확률을 높일 수 있는 기술이 추가되었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6, a modified example of a method for providing interior services for providing 3D simulation images for each stage of a building 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the modified example of the interior service providing method for providing 3D simulation images for each stage of construction activity of the present invention, 3D simulation images produced by BMI/3D scanning technology, etc. are prepared as a plurality of candidate group images with different modeling/rendering styles, and then the client's individual By analyzing the information and selecting and providing customized 3D simulation images according to the client, a technology has been added that can increase the client's satisfaction and increase the confirmation rate.

이를 위해, 의뢰인 단말(100)은 각 건축행위 단계별 선정된 3D 시뮬레이션 영상을 수신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디자이너 단말(400)은 기획설계, 기본설계, 실시설계, 현장 샵드로잉 도면 검토 및 피드백 및 시공관리에 대한 상기 각 건축행위 단계별 3D 시뮬레이션 복수의 후보군 영상을 제작하며, 상기 의뢰인 단말로부터 상기 각 건축행위 단계별 선정된 3D 시뮬레이션 영상에 대한 컨펌을 받을 수 있으며,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전송부(330)는 단계별 성과물에 대응하는 각 건축행위 단계별 선정된 3D 시뮬레이션 영상을 상기 의뢰인 단말로 전송할 수 있으며 컨펌확인부(340)는 의뢰인 단말(100)로부터 만족도 지수 정보를 수신하고 컨펌을 받은 경우 다음 단계를 진행하도록 프로세스를 진행할 수 있다. 나아가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디자이너 단말(400)로부터 업로드된 각 건축행위 단계별 3D 시뮬레이션 복수의 후보군 영상에서 의뢰인 단말(100)에서 업로드된 의뢰인 개인 정보를 반영하여 의뢰인 단말(100)로 송신할 상기 각 건축행위 단계별 선정된 3D 시뮬레이션 영상을 결정하는 판단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client terminal 100 may receive a 3D simulation image selected for each construction activity step, and at least one designer terminal 400 reviews and feedbacks planning design, basic design, implementation design, on-site shop drawing drawings, and Produces a plurality of 3D simulation candidate group images for each construction activity step for construction management, receives confirmation of the selected 3D simulation image for each construction activity step from the client terminal, and transmits from the interior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The unit 330 may transmit the 3D simulation image selected for each construction activity step corresponding to the step-by-step result to the client terminal, and the confirmation confirmation unit 340 receives the satisfaction index information from the client terminal 100 and receives confirmation. You can proceed the process to proceed to the next step. Furthermore, the interior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reflects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client uploaded from the client terminal 100 in the 3D simulation plural candidate group images for each construction act step uploaded from at least one designer terminal 400, and then displays the client terminal 100. It may further include a determination unit (not shown) for determining the 3D simulation image selected for each construction activity stage to be transmitted.

이 경우,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의뢰인 단말(100)이 판단부에 의뢰인 개인 정보를 업로드하는 단계(S6100); 적어도 하나의 디자이너 단말(400)이 각 건축행위 단계별 복수의 후보군 3D 시뮬레이션 영상을 판단부에 업로드하는 단계(S6200); 판단부가 제1인공지능을 이용하여 각 건축행위 단계별 선정된 3D 시뮬레이션 영상을 생성하고, 전송부(330)가 의뢰인 단말(100)에 각 건축행위 단계별 선정된 3D 시뮬레이션 영상 제공하는 단계(S6300); 의뢰인 단말(100)이 컨펌확인부(340)에 각 건축행위 단계별 선정된 3D 시뮬레이션 영상에 대한 만족도 지수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S6400); 판단부가 제2인공지능을 이용하여 제1인공지능을 업데이트하는 단계(S6500)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각 건축행위 단계별 복수의 후보군 3D 시뮬레이션 영상에서 각 건축행위 단계별 선정된 3D 시뮬레이션 영상을 의뢰인 단말(100)에 제공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interior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includes the step of uploading the client's personal information to the determination unit by the client terminal 100 (S6100); Uploading, by at least one designer terminal 400, a plurality of 3D simulation images of candidate groups for each construction activity stage to a judgment unit (S6200); The judgment unit generates a 3D simulation image selected for each construction activity step by using first artificial intelligence, and the transmitter 330 provides the 3D simulation image selected for each construction activity step to the client terminal 100 (S6300); Transmitting, by the client terminal 100, satisfaction index information for the 3D simulation image selected for each construction activity stage to the confirmation confirmation unit 340 (S6400); The judgment unit updates the first artificial intelligence using the second artificial intelligence (S6500), and the client terminal (100 ) can be provided.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의뢰인 단말(100)이 판단부에 의뢰인 개인 정보를 업로드하는 단계(S6100)는 의뢰인이 의뢰인의 성별과 나이와 직업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의뢰인 개인 정보를 판단부에 업로드하는 단계일 수 있다.In the interior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the client terminal 100 uploads the client's personal information to the judgment unit (S6100), the client sends the client's personal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about the client's gender, age, and occupation to the judgment unit. It may be an upload step.

적어도 하나의 디자이너 단말(400)이 각 건축행위 단계별 복수의 후보군 3D 시뮬레이션 영상을 판단부에 업로드하는 단계(S6200)는 적어도 하나의 디자이너가 각 건축행위 단계별 상호 다른 타입의 디자인(모델링/랜더링 스타일, 선의 굵기 종류 표현방법 색감의 명도 채도 등이 다른 스타일)으로 제작된 복수의 후보군 3D 시뮬레이션 영상을 판단부에 업로드하는 단계일 수 있다.Uploading, by at least one designer terminal 400, a plurality of 3D simulation images of candidate groups for each stage of construction activity to the judgment unit (S6200), at least one designer designs different types of designs (modeling/rendering style, It may be a step of uploading 3D simulation images of a plurality of candidate groups produced in different styles, such as line thickness, type, expression method, color brightness, and saturation, to the determination unit.

판단부가 제1인공지능을 이용하여 각 건축행위 단계별 선정된 3D 시뮬레이션 영상을 생성하고, 전송부(330)가 의뢰인 단말(100)에 각 건축행위 단계별 선정된 3D 시뮬레이션 영상 제공하는 단계(S6300)는 판단부에서 제1인공지능을 이용하여 의뢰인 개인 정보를 처리함으로써 복수의 후보군 3D 시뮬레이션 영상에서 선정된 3D 시뮬레이션 영상을 생성하고 전송부를 통해 의뢰인에게 제공하는 단계일 수 있다.The step of generating a 3D simulation image selected for each construction activity step by the judgment unit using the first artificial intelligence and providing the 3D simulation image selected for each construction activity step by the transmission unit 330 to the client terminal 100 (S6300). It may be a step of generating a 3D simulation image selected from a plurality of candidate 3D simulation images by processing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client using the first artificial intelligence in the determination unit and providing the selected 3D simulation image to the client through the transmission unit.

한편, 운영초기에는 플랫폼을 통해 얻을 수 있는 데이터가 한정적이기 때문에 제1인공지능을 학습시키는 데이터셋을 충분히 확보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변형례에서는 가상의 데이터로 인공지능 예측 알고리즘을 생성하여 선정된 3D 시뮬레이션 영상을 의뢰인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제1인공지능 알고리즘을 생성시키는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data that can be obtained through the platform is limited at the beginning of operation, there may be a problem of not securing enough datasets for learning the first artificial intelligence. Accordingly, in the modified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rtificial intelligence prediction algorithm may be generated with virtual data and the selected 3D simulation image may be provided to the client. A detailed description of generating the above-described first artificial intelligence algorithm will be described later.

의뢰인 단말(100)이 컨펌확인부(340)에 각 건축행위 단계별 선정된 3D 시뮬레이션 영상에 대한 만족도 지수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S6400)에서는 의뢰인이 판단부에서 선정된 3D 시뮬레이션 영상에 대한 만족도를 평가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이 경우, 만족도 지수 정보는 전송부(330)로부터 상기 의뢰인 단말에 제공된 상기 각 건축행위 단계별 선정된 3D 시뮬레이션 영상을 절대평가하는 자연수값일 수 있다.In the step of the client terminal 100 transmitting satisfaction index information on the 3D simulation image selected for each construction activity stage to the confirmation confirmation unit 340 (S6400), the client evaluates the satisfaction with the 3D simulation image selected by the judgment unit It may be a step to In this case, the satisfaction index information may be a natural number value for absolute evaluation of the 3D simulation image selected for each construction activity stage provided to the client terminal from the transmission unit 330 .

판단부가 제2인공지능을 이용하여 제1인공지능을 업데이트하는 단계(S6500)는 판단부에서 실제 의뢰인 개인 정보와 실제 각 건축행위 단계별 선정된 3D 시뮬레이션 영상에 대한 의뢰인의 실제 만족도 지수 정보에 의해 학습된 제2인공지능으로 제1인공지능을 업데이트하는 단계일 수 있다.In the step of updating the first artificial intelligence by the judgment unit using the second artificial intelligence (S6500), the judgment unit learns based on the client's actual satisfaction index information for the actual client's personal information and the 3D simulation image selected for each actual construction activity stage. It may be a step of updating the first artificial intelligence with the second artificial intelligence.

즉, 플랫폼의 운영이 안정화되는 단계에서는 플랫폼에서 자체적으로 얻은 의뢰인 개인 정보와 각 건축행위 단계별 선정된 3D 시뮬레이션 영상과 만족도 지수 정보를 데이터셋으로 설정하여 상술한 제1인공지능 알고리즘을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하는 새로운 인공지능 예측 알고리즘을 생성하여 제1인공지능을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상술한 제2인공지능 알고리즘을 생성시키는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In other words, in the stage where the operation of the platform is stabilized,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client obtained by the platform itself, the 3D simulation image selected for each construction activity stage, and the satisfaction index information are set as a dataset to update the above-mentioned first artificial intelligence algorithm in real time. The first AI can be continuously updated by creating a new artificial intelligence prediction algorithm. A detailed description of generating the above-described second artificial intelligence algorithm will be described later.

이하, 본 발명의 변형례에서 이용되는 인공지능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인공지능(AI; Artificial Intelligence)은 인간의 학습능력, 추론능력, 지각능력, 자연언어의 이해능력 등을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실현한 컴퓨터 공학 및 정보기술의 한 분야이다. 특히, 인공지능 중 가장 많은 분야에서 활용되는 지도학습(Supervised learning)은 정답(Label)을 포함하는 트레이닝 데이터를 이용하여 미래 값을 예측하는 방법이다.Hereinafter, the artificial intelligence used in the modified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rtificial intelligence (AI) is a field of computer engineering and information technology that realizes human learning ability, reasoning ability, perception ability, and natural language understanding ability through computer programs. In particular, supervised learning, which is used in the most fields of artificial intelligence, is a method of predicting future values using training data including correct answers (labels).

참고로, 기계학습은 명시적으로 프로그램되지 않아도 컴퓨터가 스스로 학습할 수 있도록 능력을 부여하는 방법론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이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프로그램이 스스로 데이터의 패턴을 학습하도록 하는 방식이다. 기계학습은 학습에 필요한 데이터에 정답의 명시 여부에 따라 지도학습(Supervised Learning)과 비지도학습(Unsupervised Learning)으로 구되고, 사용 목적에 따라 데이터를 유한개의 카테고리로 나누는 분류(Classification), 연속적인 값으로 맵핑하는 리그레션(Regression), 유사한 데이터를 묶는 군집화(Clustering), 다차원의 데이터를 대표성 있는 낮은 차원으로 사상하는 차원축소(Dimension Reduction) 방법론으로 구분된다.For reference, machine learning can be defined as a methodology that gives computers the ability to learn on their own without being explicitly programmed. Machine learning is divided into supervised learning and unsupervised learning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 correct answer is specified in the data required for learning, classification that divides data into finite categorie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use, and continuous It is divided into regression methodology that maps to values, clustering method that groups similar data, and dimension reduction methodology that maps multidimensional data to a representative lower dimension.

딥러닝은 기계학습 기법 중 하나로 한동안 정체되었던 기계학습의 성능을 획기적으로 향상시켰는데, 딥러닝은 인간의 뇌 구조에서 시냅스의 중첩을 흉내 낸 인공신경망(ANN; Artificial Neural Network) 알고리즘에 기반한 방법론이며, 딥러닝 구조로는 입력 계층(Input Layer)과 출력 계층(Output Layer) 사이에 복수의 은닉 계층(Hidden Layer)이 존재하는 심층신경망(DNN; Deep Neural Network), 은닉계층 앞에 요인 추출에 필요한 필터를 두고 필터를 함께 학습하는 나선형신경망(CN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각 시간의 인공신경망을 적층해 시계열 데이터 처리가 가능한 재귀신경망(RNN; Recurrent Neural Network)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딥러닝 모델의 높은 성능은 두 가지로 설명되는데, 첫째, 인경신경망은 각 계층에 있는 함수들의 가중합의 중첩으로 모든 종류의 함수가 근사 가능한 범용근사법(Universal Approximator)으로 충분히 일반적인 데이터가 주어 진다면 높은 정확도로 데이터를 모사할 수 있다. 둘째, 데이터를 잘 구분하기 위해서는 데이터를 대표하는 요인을 적절하게 추출하는 것이 중요한데 나선형신경망을 이용하여 필터 학습을 통해 최적의 요인을 추출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딥러닝은 인공신경망(neural network)이라는 인공지능분야의 모형이 발전된 형태로서, 계층구조로 이루어진 인공신경망의 내부계층(hidden layer)이 여러 단계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최근의 딥러닝 모형은 내부계층이 많아져서 노드(node)를 연결하는 가중치(weight, 연결강도를 의미함)의 수가 최대 수십억 개가 되기도 한다.Deep learning, one of the machine learning techniques, has dramatically improved the performance of machine learning, which has been stagnant for a while. , The deep learning structure is a deep neural network (DNN) in which multiple hidden layers exist between the input layer and the output layer, and a filter required for factor extraction in front of the hidden layer. It may include a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 that learns filters together with , and a Recurrent Neural Network (RNN) capable of processing time-series data by stacking artificial neural networks of each time. Here, the high performance of the deep learning model is explained in two ways. First, the neural network is a universal approximator that can approximate all kinds of functions by overlapping the weighted sum of functions in each layer. If sufficiently general data is given, Data can be replicated with high accuracy. Second, in order to classify data well, it is important to properly extract factors representing the data, and optimal factors can be extracted through filter learning using a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In addition, deep learning is a form in which a model in the field of artificial intelligence called a neural network has been developed, and a structure in which a hidden layer of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composed of a hierarchical structure is composed of several steps. Recent deep learning models have many internal layers, and the number of weights (meaning the strength of connection) connecting nodes can reach up to billions.

본 발명의 변형례에서는 플랫폼의 운영초기에는 인공지능을 학습시킬 데이터가 부족하므로,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서버(300)가 관리자에 의해 설정된 가상의 의뢰인 개인 정보를 피쳐값으로 관리자에 의해 설정된 가상의 각 건축행위 단계별 선정된 3D 시뮬레이션 영상을 레이블값으로 설정된 데이터셋을 학습한 제1인공지능을 이용하여, 실제 의뢰인 단말(100)에 의해 입력된 의뢰인 개인 정보를 입력하면 가상의 각 건축행위 단계별 선정된 3D 시뮬레이션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In the modified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data for learning artificial intelligence is insufficient in the initial stage of operation of the platform, the interior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uses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virtual client set by the manager as a feature value for each virtual building set by the manager. By using the first artificial intelligence that learned the dataset set as the label value of the 3D simulation image selected for each action step, if the client's personal information input by the actual client terminal 100 is entered, the selected 3D image for each virtual construction action step is entered. A simulation image can be created.

이에 따라,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가상의 의뢰인 개인 정보(피쳐값)와 가상의 각 건축행위 단계별 선정된 3D 시뮬레이션 영상(레이블값)으로 인공지능을 학습시켜, 실제 의뢰인이 의뢰인 개인 정보를 입력하면 가상의 각 건축행위 단계별 복수의 후보군 3D 시뮬레이션 영상에서 의뢰인의 성향에 매칭되는 가상의 각 건축행위 단계별 선정된 3D 시뮬레이션 영상을 출력하는 제1인공지능 예측 알고리즘을 생성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interior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learns artificial intelligence with the virtual client's personal information (feature value) and the 3D simulation image (label value) selected for each virtual construction activity stage, so that the actual client can obtain the client's personal information. If input, it is possible to generate a first artificial intelligence prediction algorithm that outputs a 3D simulation image selected for each virtual construction activity step matching the client's propensity from a plurality of candidate 3D simulation images for each virtual construction activity step.

나아가 본 발명의 변형례에서는 플랫폼의 운영이 안정화되면 플랫폼 자체 내에서 생성된 데이터로 인공지능을 학습시켜 상술한 제1인공지능 알고리즘에 피드백을 제공하는 제2인공지능 예측 알고리즘을 생성하여 제1인공지능 알고리즘을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Furthermore, in the modified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operation of the platform is stabilized, artificial intelligence is learned with data generated within the platform itself, and a second artificial intelligence prediction algorithm is generated to provide feedback to the first artificial intelligence algorithm described above. The intelligent algorithm can be updated in real time.

상세하게,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서버(300)가 실제 복수의 의뢰인에 의해 축적된 의뢰인 개인 정보와 가상의 각 건축행위 단계별 선정된 3D 시뮬레이션 영상을 피쳐값으로 만족도 지수 정보를 레이블값으로 학습한 제2인공지능을 이용하여 특정 디자인 스타일을 선호하는 의뢰인에게 특정 가상의 각 건축행위 단계별 선정된 3D 시뮬레이션 영상을 추천하였을 때 의뢰인이 느끼는 만족도 지수 정보를 예측할 수 있다. 그 다음,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제1인공지능을 학습시키기 위해 기존의 관리자에 의해 설정된 가상의 의뢰인 개인 정보와 가상의 각 건축행위 단계별 선정된 3D 시뮬레이션 영상을 피쳐값으로 제2인공지능에 입력하면 이에 대한 유저의 만족도 지수 정보를 예측할 수 있다. 그 다음,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제1인공지능을 학습시키기 위해 관리자에 의해 세팅된 가상의 의뢰인 개인 정보와 가상의 각 건축행위 단계별 선정된 3D 시뮬레이션 영상에 대한 복수의 데이터셋 중 제2인공지능에 입력하여 도출된 만족도 지수 정보의 값이 기설정된 만족도 지수 정보의 평균값(복수의 실제 유저에 평가된 만족도 지수 정보의 평균값) 이하인 데이터셋을 제1인공지능을 학습시키는 데이터셋에서 제외시킴으로써 제1인공지능을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인공지능은 새롭게 관리자에 의해 설정된 가상의 의뢰인 개인 정보와 가상의 각 건축행위 단계별 선정된 3D 시뮬레이션 영상을 계속적으로 공급받아 학습하므로, 학습데이터의 부재는 발생하지 않으며 유저에게 맞추어 진화할 수 있다.In detail, the interior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uses the personal information of clients accumulated by a plurality of real clients and the 3D simulation image selected for each virtual construction activity step to obtain a second artificial intelligence that learns satisfaction index information as a label value as a feature value. It is possible to predict the satisfaction index information that the client feels when the 3D simulation image selected for each virtual construction activity step is recommended to the client who prefers a specific design style by using intelligence. Next, the interior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uses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virtual client set by the existing manager and the 3D simulation image selected for each virtual construction activity stage to train the first AI as a feature value of the second AI. If you enter in , you can predict the user's satisfaction index information. Next, the interior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uses the second of a plurality of datasets for the virtual client's personal information set by the manager and the 3D simulation image selected for each virtual construction activity stage in order to train the first artificial intelligence. By excluding the data set in which the value of the satisfaction index information derived by inputting into artificial intelligence is less than the average value of the predetermined satisfaction index information (the average value of the satisfaction index information evaluated by a plurality of actual users) from the data set for learning the first artificial intelligence. The first artificial intelligence can be updated in real time. In this case, the first artificial intelligence continuously receives and learns the virtual client's personal information newly set by the manager and the 3D simulation image selected for each virtual construction activity step, so the absence of learning data does not occur and evolves according to the user can do.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행위 단계별 3D 시뮬레이션 영상을 제공하는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행위 단계별 3D 시뮬레이션 영상을 제공하는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interior service providing method for providing 3D simulation images for each stage of construction activ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pplication basically installed in a terminal (this may include a program included in a platform or operating system basically installed in the terminal). It can be executed by an application (i.e., a program) directly installed in the master terminal through an application providing server such as an application store server, an application, or a web server related to the corresponding service. In this sense, the above-described interior service providing method for providing 3D simulation images for each stage of construction activ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as an application (ie, a program) that is basically installed in a terminal or directly installed by a user, and is implemented in a terminal. It can be recorded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uch as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understand that it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limiting.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similarly,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bove,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Claims (2)

각 건축행위 단계별 선정된 3D 시뮬레이션 영상을 수신하고 컨펌 여부를 결정하는 의뢰인 단말;
기획설계, 기본설계, 실시설계, 현장 샵드로잉 도면 검토 및 피드백 및 시공관리에 대한 상기 각 건축행위 단계별 3D 시뮬레이션 복수의 후보군 영상을 제작하며, 상기 의뢰인 단말로부터 상기 각 건축행위 단계별 선정된 3D 시뮬레이션 영상에 대한 컨펌을 받는 적어도 하나의 디자이너 단말; 및
기획설계, 기본설계, 실시설계, 현장 샵드로잉 도면 검토 및 피드백 및 시공관리의 각 건축행위 단계별 업무수행내용 및 단계별 성과물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각 건축행위 단계별 업무수행내용 및 단계별 성과물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자이너 단말로 전송하는 할당부, 상기 단계별 성과물에 대응하는 상기 각 건축행위 단계별 선정된 3D 시뮬레이션 영상을 상기 의뢰인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부, 상기 의뢰인 단말로부터 만족도 지수 정보를 수신하고 컨펌을 받은 경우 다음 단계를 진행하도록 프로세스를 진행하는 컨펌확인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자이너 단말로부터 업로드된 상기 각 건축행위 단계별 3D 시뮬레이션 복수의 후보군 영상에서 상기 의뢰인 단말에서 업로드된 의뢰인 개인 정보를 반영하여 상기 의뢰인 단말로 송신할 상기 각 건축행위 단계별 선정된 3D 시뮬레이션 영상을 결정하는 판단부를 포함하는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서버;
를 포함하고,
상기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의뢰인 단말이 상기 판단부에 의뢰인 개인 정보를 업로드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자이너 단말이 상기 각 건축행위 단계별 복수의 후보군 3D 시뮬레이션 영상을 상기 판단부에 업로드하는 단계;
상기 판단부가 제1인공지능을 이용하여 상기 각 건축행위 단계별 선정된 3D 시뮬레이션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전송부가 상기 의뢰인 단말에 상기 각 건축행위 단계별 선정된 3D 시뮬레이션 영상 제공하는 단계;
상기 의뢰인 단말이 상기 컨펌확인부에 상기 각 건축행위 단계별 선정된 3D 시뮬레이션 영상에 대한 만족도 지수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판단부가 제2인공지능을 이용하여 제1인공지능을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상기 각 건축행위 단계별 복수의 후보군 3D 시뮬레이션 영상에서 상기 각 건축행위 단계별 선정된 3D 시뮬레이션 영상을 상기 의뢰인 단말에 제공하고,
의뢰인 개인 정보는 의뢰인의 성별과 나이와 직업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만족도 지수 정보는 상기 전송부로부터 상기 의뢰인 단말에 제공된 상기 각 건축행위 단계별 선정된 3D 시뮬레이션 영상을 절대평가하는 자연수값이며,
상기 판단부는 가상의 의뢰인 개인 정보를 피쳐값으로 가상의 상기 각 건축행위 단계별 선정된 3D 시뮬레이션 영상을 레이블값으로 설정된 데이터셋으로 제1인공지능을 학습시키고, 상기 의뢰인 단말로부터 업로드된 의뢰인 개인 정보를 제1인공지능에 입력하여 출력된 상기 각 건축행위 단계별 선정된 3D 시뮬레이션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판단부는 기존에 상기 의뢰인 단말로부터 업로드된 복수의 의뢰인 개인 정보와 기존에 상기 의뢰인 단말로 제공된 복수의 상기 각 건축행위 단계별 선정된 3D 시뮬레이션 영상을 피쳐값으로 기존에 상기 의뢰인 단말로부터 송신된 복수의 만족도 지수 정보를 레이블값으로 제2인공지능을 학습시키고, 제1인공지능을 학습시키는 가상의 의뢰인 개인 정보와 가상의 상기 각 건축행위 단계별 선정된 3D 시뮬레이션 영상에 대한 데이터셋을 제2인공지능에 입력하여 출력된 만족도 지수 정보가 기존에 상기 의뢰인 단말로부터 송신된 복수의 만족도 지수 정보의 평균값 이하인 경우 해당 데이터셋을 제1인공지능을 학습시키는 데이터셋에서 제외시킴으로써 제1인공지능을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행위 단계별 3D 시뮬레이션 영상을 제공하는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
A client terminal for receiving a 3D simulation image selected for each construction activity step and determining whether to confirm;
Planning design, basic design, detailed design, on-site shop drawing drawing review and feedback, and production of a plurality of 3D simulation candidate group images for each of the above construction activities for construction management, and 3D simulation images selected for each construction activity phase from the client terminal at least one designer terminal receiving confirmation for; and
A storage unit that stores data on the details of work performed by each stage of construction activities and the results of each phase of planning design, basic design, detailed design, on-site shop drawing, drawing review and feedback, and construction management. An allocator for transmitting data for at least one designer terminal, a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3D simulation image selected for each construction activity step corresponding to the achievement for each step to the client terminal, and satisfaction index information from the client terminal. If received and confirmed, a confirmation confirmation unit that proceeds with the process to proceed to the next step,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client uploaded from the client terminal from the plurality of 3D simulation candidate images for each construction activity stage uploaded from the at least one designer terminal an interior service providing server including a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the 3D simulation image selected for each construction activity stage to be reflected and transmitted to the client terminal;
including,
The interior service providing server,
Uploading, by the client terminal, personal information of the client to the judgment unit;
Uploading, by the at least one designer terminal, a plurality of 3D simulation images of candidate groups for each construction activity stage to the determination unit;
generating a 3D simulation image selected for each construction activity stage by the determination unit using first artificial intelligence, and providing the 3D simulation image selected by each construction activity stage to the client's terminal by the transmission unit;
Transmitting, by the client terminal, satisfaction index information for the 3D simulation image selected for each construction activity step to the confirmation confirmation unit;
In a method including the step of updating the first artificial intelligence by using the second artificial intelligence, the determination unit transmits the 3D simulation image selected for each construction activity step from the plurality of 3D simulation images of the candidate group for each construction activity step to the client terminal. provide,
The client's personal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about the client's gender, age, and occupation;
The satisfaction index information is a natural number value for absolute evaluation of the 3D simulation image selected for each construction activity step provided to the client terminal from the transmitter,
The determination unit learns the first artificial intelligence with a data set set as a label value of the virtual 3D simulation image selected for each construction activity step using the virtual client's personal information as a feature value, and the client's personal information uploaded from the client terminal Generates a 3D simulation image selected for each construction activity stage, which is input and output to the first artificial intelligence,
The determination unit uses a plurality of personal information of the client previously uploaded from the client terminal and a plurality of 3D simulation images selected for each construction activity step previously provided to the client terminal to obtain a plurality of previously transmitted from the client terminal as feature values. The satisfaction index information is used as a label value to train the second artificial intelligence, and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virtual client to learn the first artificial intelligence and the data set for the 3D simulation image selected for each virtual construction activity stage are transferred to the second artificial intelligence. When the input and output satisfaction index information is less than the average value of a plurality of satisfaction index information previously transmitted from the client terminal, the first artificial intelligence is updated by excluding the corresponding dataset from the dataset for learning the first artificial intelligence. An interior service providing system that provides 3D simulation images for each stage of construction activity.
제1항에 있어서,
기획설계, 기본설계, 실시설계, 현장 샵드로잉 도면 검토 및 피드백 및 시공관리는 나열된 순서대로 순차적으로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행위 단계별 3D 시뮬레이션 영상을 제공하는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Planning design, basic design, construction design, on-site shop drawing drawing review and feedback, and construction management are sequentially performed in the order listed. An interior service providing system that provides 3D simulation images for each stage of construction activity.
KR1020220037741A 2021-07-16 2022-03-28 System for providing interior service providing three-dimentional simulation video KR102481969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3606 2021-07-16
KR20210093606 2021-07-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1969B1 true KR102481969B1 (en) 2022-12-27

Family

ID=84568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7741A KR102481969B1 (en) 2021-07-16 2022-03-28 System for providing interior service providing three-dimentional simulation video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1969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9178B1 (en) * 2024-01-10 2024-03-19 주식회사 커넥트코리아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providing customized interior design
KR102658273B1 (en) * 2024-01-16 2024-04-18 주식회사 커넥트코리아 Methods, devices and systems for creating interiors based on interior desig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4763B1 (en) * 2016-06-02 2017-12-08 주식회사 리즈디자인 Method of construction projection based on 3-dimension,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a containing program for executing the same, and application stored in media for executing the same
KR102037829B1 (en) * 2019-06-14 2019-10-29 정창용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interior construciton inmformation based on scenario
KR102089100B1 (en) * 2019-05-09 2020-03-13 정승원 System for providing image database based interior design service minimizing difference between client and designer
KR20200075503A (en) * 2018-12-18 2020-06-26 엄미란 System and method for customized requesting interior
KR20200145201A (en) * 2019-06-21 2020-12-30 김영천 A psychological fusion type online interior transit system based on virtual reality and three-dimensional modeling
KR102222319B1 (en) * 2020-08-03 2021-03-03 진재화 Interior finishing material customized design provision system and service method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4763B1 (en) * 2016-06-02 2017-12-08 주식회사 리즈디자인 Method of construction projection based on 3-dimension,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a containing program for executing the same, and application stored in media for executing the same
KR20200075503A (en) * 2018-12-18 2020-06-26 엄미란 System and method for customized requesting interior
KR102089100B1 (en) * 2019-05-09 2020-03-13 정승원 System for providing image database based interior design service minimizing difference between client and designer
KR102037829B1 (en) * 2019-06-14 2019-10-29 정창용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interior construciton inmformation based on scenario
KR20200145201A (en) * 2019-06-21 2020-12-30 김영천 A psychological fusion type online interior transit system based on virtual reality and three-dimensional modeling
KR102222319B1 (en) * 2020-08-03 2021-03-03 진재화 Interior finishing material customized design provision system and service method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9178B1 (en) * 2024-01-10 2024-03-19 주식회사 커넥트코리아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providing customized interior design
KR102658273B1 (en) * 2024-01-16 2024-04-18 주식회사 커넥트코리아 Methods, devices and systems for creating interiors based on interior desig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2650B1 (en) System for providing virtual reality based interior service using three-dimentional space reconstruction
Alizadehsalehi et al. From BIM to extended reality in AEC industry
KR102481969B1 (en) System for providing interior service providing three-dimentional simulation video
Roh et al. An object-based 3D walk-through model for interior construction progress monitoring
Nath et al. Productivity improvement of precast shop drawings generation through BIM-based process re-engineering
Abdirad Metric-based BIM implementation assessment: a review of research and practice
Hitchcock et al. Transforming IFC architectural view BIMs for energy simulation: 2011
Kensek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Waly et al. A virtual construction environment for preconstruction planning
Arayici et al. Building information modelling (BIM) for construction lifecycle management
Zhang et al.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an industry foundation classes‐based graphic information model for virtual construction
Baldwin The BIM-manager: A practical guide for BIM project management
CA2345182A1 (en) System and method for take-off of materials using two-dimensional cad interface
Fernandes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BIM platforms on construction site
Graham et al. Defining geometry levels for optimizing BIM for VR: Insights from traditional architectural media
Wang et al. A deployment framework for BIM localization
Di Biccari et al.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and building performance simulation interoperability: State-of-the-art and trends in current literature
Kamari et al. Potential shift of integrated design (ID) through BIM in sustainable building renovation
Alzraiee Cost estimate system using structured query language in BIM
Brinda et al. Developments of facility management using building information modelling
Hellmuth et al. Datasets of captured images of three different devices for photogrammetry calculation comparison and integration into a laserscan point cloud of a built environment
Urbieta et al. Generating BIM model from structural and architectural plan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KR20220108914A (en) System for providing image database based interior design service
Balakrishnan Selvakumaran et al. From crowd to cloud: Simplified automatic reconstruction of digital building assets for facility management
Angel et al. Durand neighbourhood heritage inventory: toward a digital citywide survey approach to heritage planning in Hamilt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