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9100B1 - System for providing image database based interior design service minimizing difference between client and designer - Google Patents

System for providing image database based interior design service minimizing difference between client and desig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9100B1
KR102089100B1 KR1020190054284A KR20190054284A KR102089100B1 KR 102089100 B1 KR102089100 B1 KR 102089100B1 KR 1020190054284 A KR1020190054284 A KR 1020190054284A KR 20190054284 A KR20190054284 A KR 20190054284A KR 102089100 B1 KR102089100 B1 KR 1020891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style
interior
space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428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승원
Original Assignee
정승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승원 filed Critical 정승원
Priority to KR10201900542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910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91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910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10Geometric CAD
    • G06F30/13Architectural design, e.g. computer-aided architectural design [CAAD] related to design of buildings, bridges, landscapes, production plants or ro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10/00Indexing scheme for image generation or computer graphics
    • G06T2210/04Architectural design, interior desig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ometr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ystem for providing an image database-based interior design service for minimizing mutual recognition differences which can increase the emotional quality of a customer. The system comprises: a user terminal to input information of a space to which an interior design is to be applied, select an image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design style by stage, and finally select an image by space; and an interior design service providing server including a storage unit to map and store the user terminal and the information of the space when the information of the space is inputted from the user terminal, a selection providing unit to provide the user terminal with an image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design style by stage and by space to be selected; a transmission unit to generate a virtual interior design image based on an image by stage and an image by space selected by the user terminal to transmit the virtual interior design image to the user terminal, a sharing unit to extract at least one designer terminal if design work progress is confirmed by the user terminal to share the information of the space and the selected image by stage and the image by space, a transfer unit to receive at least one perspective drawing by space from the at least one designer terminal to transmit the at least one perspective drawing by space to the user terminal, and a company selection unit to request an estimate from at least one interior design company terminal and receive feedback to select an interior design company if one perspective drawing by space of the at least one perspective drawing by space is selected by the user terminal.

Description

이미지 데이터베이스 기반 상호인식차를 최소화하는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IMAGE DATABASE BASED INTERIOR DESIGN SERVICE MINIMIZING DIFFERENCE BETWEEN CLIENT AND DESIGNER}Interior service provision system that minimizes image database-based mutual recognition vehicle {SYSTEM FOR PROVIDING IMAGE DATABASE BASED INTERIOR DESIGN SERVICE MINIMIZING DIFFERENCE BETWEEN CLIENT AND DESIGNER}

본 발명은 이미지 데이터베이스 기반 상호인식차를 최소화하는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고객과 디자이너가 생각하는 인식 및 컨셉에 따른 이미지와 디자인의 간극을 최소화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rior service providing system that minimizes mutual recognition differences based on an image database, and provides a platform capable of minimizing the gap between image and design according to the perception and concept that customers and designers think.

디지털 디자인 프로세스는 크게 형태 생성, 재현, 구축의 세 단계로 진행되며, 개념으로부터 의도된 형태가 제어 가능한 데이터의 형태로써 유지된 채 시공단계까지 일관되게 통합되는 일련의 디자인 과정으로 정의된다. 이는 건축가의 개념으로부터 형상화되어 실제 건축물로 구축되는 건축행위인 개념-재현-구축의 과정을 전제로 제시된 개념으로, 디지털 기술을 바탕으로 한 비정형 건축물의 구현 및 곡면 패널 최적화, 혹은 건축행위 전반의 통합적인 프로세스 모형으로 활용되고 있다. 디지털 디자인 프로세스의 개념-재현-구축의 세 단계가 서로 분리된 것이 아닌 특정한 논리에 의하여 상호 연계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는데, 디지털 디자인 프로세스의 변화와 적용 기술의 다양화는 기존의 2차원 도면의 표현 방법에 머물던 디지털 기술의 적용 범위를 디자인 개념 생성과 형태의 제작 단계까지 확장시켰다. 이와 같이 실제 형상의 구축을 위한 디지털 디자인은 개념 생성-형태 재현-구축의 순차적이며 연속적인 과정을 수반한다.The digital design process is largely divided into three stages of form creation, reproduction, and construction, and is defined as a series of design processes in which the intended form from the concept is consistently integrated into the construction stage while being maintained as a form of controllable data. This is a concept presented on the premise of the concept-representation-construction process, which is a building act that is shaped from the architect's concept and built into a real building, realizing an atypical building based on digital technology and optimizing the curved panel, or integrating the entire building act. It is being used as a process model. The three steps of concept-representation-construction of the digital design process are not separated from each other, but have mutually interrelated characteristics by specific logic.However, changes in the digital design process and diversification of applied technologies are the methods for expressing existing 2D drawings. The application range of digital technology, which has been in Korea, has been extended to the creation of design concepts and production of forms. In this way, digital design for the construction of the actual shape involves a sequential and continuous process of concept creation-form reproduction-construction.

이때, 디자인의 개념을 재현하는 방법 중 하나는 기존의 디자인 스타일 이미지를 이용하는 것인데,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등록특허 제10-1623523호(2016년05월23일 공고)에는, 복수의 이미지에 대한 프라임 키워드(Prime Keyword) 및 스타일 키워드를 지정하여 적어도 하나의 카테고리별로 저장하고,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니즈에 따른 타겟 키워드를 입력받은 다음, 적어도 하나의 카테고리별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카테고리별로 선호 이미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선호 이미지에 기반하여 타겟 키워드에 대응하는 타겟 이미지를 추출하고, 추출된 타겟 이미지를 적어도 하나의 방법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At this time, one of the methods of reproducing the concept of design is to use an existing design style image. In this regar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623523 (announced on May 23, 2016), a plurality of images Specify a prime keyword and a style keyword and store them in at least one category, receive target keywords according to user needs from a user, display at least one category image, and display at least one category from a user Disclosed is a configuration for receiving a preference image, extracting a target image corresponding to a target keyword based on the received preference image, and displaying the extracted target image based on at least one method.

다만, 상술한 구성을 적용하더라도 여전히 사람 간의 다양한 배경지식 및 경험에 기반하여 어느 하나의 단어를 떠올릴 때의 이미지가 다름으로 인하여 디자이너와 고객 간의 연상되는 이미지 간의 간극이 발생하고, 이는 곧 고객이 원하지 않는 디자인의 도출로 이어지며, 더 나아가 고객의 수정요청으로 디자인 프로세스가 재수행되어 더뎌지고, 반복작업으로 인하여 시간 및 인력의 낭비의 결과를 낳게 되었다. 이에, 디자인의 개념을 재현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간극 및 이로 인한 재작업과 수정은, 디자인 업계의 고질적인 병폐로 자리잡고 있어서 아무도 원하지 않는 3D 직종이라는 별명까지 얻게 되었다.However, even if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s applied, a gap between an image associated with a designer and a customer occurs due to a difference in the image when a single word is recalled based on various background knowledge and experiences between people, which means that the customer It leads to the undesired design, and furthermore, the design process is re-executed and delayed due to the customer's request for modification, resulting in wasted time and manpower due to repetitive work. As a result, the gaps in the process of reproducing the concept of design, and the resulting rework and correction, have become a chronic illness in the design industry, and have earned the nickname of a 3D job that nobody wants.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복수의 디자인 스타일을 분류하여 체계화하고, 계층적으로 구축된 이미지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고객이 각 디자인 스타일을 이미지로 선택하도록 함으로써, 단어와 이미지 간의 간극이 발생하여 추상적인 단어로부터 구체적인 디자인을 도출함에 있어서 고객과 디자이너 간의 뷰(View)의 차이를 최소화하고, 컨펌된 이미지를 기반으로 인테리어 디자인을 하게 되므로 디자이너의 수정 및 반복작업을 최소화하게 되고, 최종적으로 컨펌된 디자인을 기반으로 인테리어 시공에 돌입함으로써 시공 도중 발생하는 수정으로 인하여 추가적으로 발생하는 공사비용을 제로화하고 추가적인 작업으로 인한 지연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미지 데이터베이스 기반 상호인식차를 최소화하는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design styles are classified and organized, and a customer selects each design style as an image using a hierarchically constructed image database. In deriving a concrete design from words, it minimizes the difference in view between the customer and the designer and designs the interior based on the confirmed image, thereby minimizing the designer's modification and repetition, and finally confirming the confirmed design. Based on the interior construc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interior service provision system that minimizes the mutual recognition difference based on the image database, which can minimize additional construction costs and delays caused by additional work by entering into interior construction. . However,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 as describ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may exist.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인테리어가 적용될 공간의 정보를 입력하고, 적어도 하나의 디자인 스타일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단계별로 선택하되 최종적으로 공간별 이미지를 선택하고, 단계별 이미지 및 공간별 이미지의 선택으로 생성된 가상의 인테리어 이미지를 수신하여 디자인 작업 진행을 컨펌하고, 적어도 하나의 공간별 투시도가 수신되면 적어도 하나의 공간별 투시도 중 어느 하나의 공간별 투시도를 선택하여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 및 사용자 단말로부터 공간의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과 공간의 정보를 매핑하여 저장하는 저장부, 사용자 단말로 적어도 하나의 디자인 스타일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단계별 및 공간별로 제공하여 선택하도록 하는 선택제공부, 사용자 단말에서 선택된 단계별 이미지 및 공간별 이미지를 기반으로 가상의 인테리어 이미지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부, 사용자 단말에서 디자인 작업 진행을 컨펌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디자이너 단말을 추출하여 공간의 정보와 선택된 단계별 이미지 및 공간별 이미지를 공유하는 공유부, 적어도 하나의 디자이너 단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공간별 투시도를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전달부, 사용자 단말에서 적어도 하나의 공간별 투시도 중 어느 하나의 공간별 투시도를 선택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인테리어 업체 단말로 견적을 의뢰하고 피드백을 받아 인테리어 업체를 선정하는 업체선정부를 포함하는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As a technical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puts information of a space to which an interior is to be applied, selects images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design style step by step, and finally selects images for each space. After selecting, receiving a virtual interior image generated by selecting a step-by-step image and a space-by-space image to confirm the progress of the design work, and when at least one perspective view for each space is received, any one perspective view for each space Selecting and transmitting a user terminal, and when space information is input from the user terminal, a storage unit that maps and stores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and the space, a step-by-step and space image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design style to the user terminal In the selection providing unit and the user terminal, which are provided for selection by the user A transmission unit that generates a virtual interior image based on the selected step-by-step image and space-specific image and transmits it to the user terminal. When the user terminal confirms the progress of the design work, at least one designer terminal is extracted to extract information about the space and selected step-by-step A sharing unit sharing an image and an image for each space, a transmission unit receiving at least one perspective view for each space from at least one designer terminal and transmitting it to a user terminal, and a perspective view for each space among at least one perspective view for each space at the user terminal In the case of selecting, it includes an interior service providing server including a company selection unit that requests an estimate with at least one interior company terminal and selects an interior company by receiving feedback.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복수의 디자인 스타일을 분류하여 체계화하고, 계층적으로 구축된 이미지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고객이 각 디자인 스타일을 이미지로 선택하도록 함으로써, 단어와 이미지 간의 간극이 발생하여 추상적인 단어로부터 구체적인 디자인을 도출함에 있어서 고객과 디자이너 간의 뷰(View)의 차이를 최소화하고, 컨펌된 이미지를 기반으로 인테리어 디자인을 하게 되므로 디자이너의 수정 및 반복작업을 최소화하게 되고, 최종적으로 컨펌된 디자인을 기반으로 인테리어 시공에 돌입함으로써 시공 도중 발생하는 수정으로 인하여 추가적으로 발생하는 공사비용을 제로화하고 추가적인 작업으로 인한 지연을 최소화하고, 고객의 감성 품질을 높일 수 있다.According to any one of the above-described problem solv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design styles are classified and organized, and by using a hierarchically constructed image database, a customer selects each design style as an image, thereby making it possible between words and images. In deriving a concrete design from abstract words due to a gap, the difference between views between the customer and the designer is minimized, and the interior design is based on the confirmed image. Finally, by entering the interior construction based on the confirmed design, it is possible to zero the additional construction cost caused by the modification occurring during construction, minimize delays caused by additional work, and enhance the customer's emotional qualit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데이터베이스 기반 상호인식차를 최소화하는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데이터베이스 기반 상호인식차를 최소화하는 인테리어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이미지 데이터베이스 기반 상호인식차를 최소화하는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데이터베이스 기반 상호인식차를 최소화하는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an interior service providing system that minimizes a mutual recognition difference based on an image datab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ior service providing server included in the system of FIG. 1.
3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in which an interior service that minimizes a mutual recognition difference based on an image datab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data is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each of the components included in the interior service providing system for minimizing the mutual recognition difference based on the image database of FIG.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operation flow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for providing an interior service that minimizes a mutual recognition difference based on an image datab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easily practic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addition,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lik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include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electrical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 between. . Also, when a part is said to “include”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the componen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not to exclude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xistence or addition possibilities of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are not excluded in advance.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The terms "about", "substantially", and the like us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re used in or at a value close to that value when manufacturing and substance tolerances specific to the stated meaning are given, and the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To aid, accurate or absolute figures are used to prevent unconscionable abusers from unduly using the disclosed disclosure. The term "~ (step)" or "step of" as used in the entir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mean "step for".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개의 유닛이 2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개 이상의 유닛이 1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term “unit” includes a unit realized by hardware, a unit realized by software, and a unit realized by using both. Further, one unit may be realized by using two or more hardware, and two or more units may be realized by one hardware.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some of the operations or functions described as performed by the terminal, the device, or the device may be performed instead on the server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terminal, device, or device. Similarly, some of the operations or functions described as being performed by the server may be performed in a terminal, apparatus, or device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server.

본 명세서에서 있어서, 단말과 매핑(Mapping) 또는 매칭(Matching)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단말의 식별 정보(Identifying Data)인 단말기의 고유번호나 개인의 식별정보를 매핑 또는 매칭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In this specification, some of the operations or functions described as mapping or matching with the terminal means that the unique number of the terminal o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individual, which is the identification data of the terminal, is mapped or matched. Can be interpreted a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데이터베이스 기반 상호인식차를 최소화하는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미지 데이터베이스 기반 상호인식차를 최소화하는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서버(300), 적어도 하나의 디자이너 단말(400), 및 적어도 하나의 인테리어 업체 단말(50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이미지 데이터베이스 기반 상호인식차를 최소화하는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하여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1 is a view for explaining an interior service providing system for minimizing mutual recognition difference based on an image datab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an interior service providing system 1 for minimizing mutual recognition differences based on an image database includes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an interior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at least one designer terminal 400, and At least one interior company terminal 500 may be included. However, since the interior service providing system 1 for minimizing the mutual recognition difference based on the image database of FIG. 1 is only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ly interpreted through FIG. 1.

이때,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20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디자이너 단말(400), 적어도 하나의 인테리어 업체 단말(50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디자이너 단말(4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인테리어 업체 단말(5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서버(300) 및 적어도 하나의 디자이너 단말(400)과 연결될 수 있다.At this time, each component of FIG. 1 is generally connected through a network (network, 200). 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 1,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may be connected to the interior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through the network 200. In addition, the interior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be connected to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at least one designer terminal 400, and at least one interior company terminal 500 through the network 200. In addition, at least one designer terminal 400 may be connected to the interior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through the network 200. In addition, the at least one interior company terminal 500 may be connected to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the interior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and at least one designer terminal 400 through the network 200.

여기서,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RF,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PP(5th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Here, the network means a connection structure capable of exchanging information between each node such as a plurality of terminals and servers, and examples of such a network include RF, 3GPP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network, and LTE (Long Term) Evolution network, 5GPP (5th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network,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network, Internet, Local Area Network (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LAN), Wide Area Network (WAN) , PAN (Personal Area Network), Bluetooth (Bluetooth) network, NFC network, satellite broadcasting network, analog broadcasting network,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network, and the like.

하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In the following, the term at least one is defined as a term including a singular number and a plural number, and even if the term at least one term does not exist, each component may exist in a singular or plural number, and may mean a singular or plural number It will be self-evident. In addition, it may be said that each component is provided in a singular or plural form, depending on the embodiment.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이미지 데이터베이스 기반 상호인식차를 최소화하는 인테리어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거주형태 등의 인테리어가 진행될 공간의 정보를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제공하고,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전송된 이미지를 단계별 및 공간별로 선택하고, 이를 기반으로 생성된 가상 인테리어 디자인 이미지의 선택 여부를 입력받는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가상 인테리어 디자인을 선택한 경우, 적어도 하나의 디자이너 단말(400)로부터 전송된 투시도 중 어느 하나의 투시도를 선택하고,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선정한 적어도 하나의 인테리어 업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거나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선택하도록 하는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시공 및 감리가 완료된 경우 정산을 수행하는 단말일 수 있다. 이때, 결제시기는 디자인 시작 전, 인테리어 시공 시작 전, 시공 완료 후 등 다양할 수 있고 상술한 것들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100)은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제공하는 페이지에 유료회원으로 등록되었는지의 여부에 따라 디자이너, 업체 등의 선정권을 부여받거나 부여받지 못하는 단말일 수 있으나, 이는 계약관계에 따른 구성으로 상술한 것들로 본 특허 명세서의 구성이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디자이너가 투시도를 작성하기 이전에,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도면을 제공하거나 주거지의 주소 등을 제공함으로써,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도면을 수집할 수 있도록 하는 단말일 수 있다.The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uses the interior service-related web page, app page, program, or application that minimizes the image database-based mutual recognition difference to provide the interior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with information on the space in which the interior, such as a residence type, will proceed. ), And may be a terminal that selects an image transmitted from the interior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for each step and space and selects whether to select a virtual interior design image generated based on the image. And, when the virtual interior design is selected, the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selects any one of the perspective views transmitted from the at least one designer terminal 400, and select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interior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It may be a terminal that selects any one of the interior companies or the interior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to select. Also,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may be a terminal that performs settlement when construction and supervision are completed. At this time, the payment time may be various, such as before the start of design, before the start of interior construction, and after the construction is completed, and is not limited to the above. 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100 may be a terminal that may or may not be given the right to select a designer, a company, etc., depending on whether or not it is registered as a paid member on a page provided by the interior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but this is a contract relationship. It will be apparent that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patent specification is not limited to those described above as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before the designer creates a perspective view, by providing a drawing to the interior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or by providing the address of the residence, etc., the interior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drawing It may be a terminal to collect the.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capable of accessing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a network. Here, the computer may include, for example, a navigation, a laptop equipped with a web browser, a desktop, a laptop, and the like. At this time, the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may be implemented as a terminal capable of accessing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a network.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is, for example,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at is guaranteed for portability and mobility, navigation, PCS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 (Personal Digital Cellular), Personal Handyphone System (PHS),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IMT) -2000,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2000, 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Wireless Broadband Internet ) It may include all kinds of handheld-base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a terminal, a smartphone, a smartpad, and a tablet PC.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이미지 데이터베이스 기반 상호인식차를 최소화하는 인테리어 서비스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인테리어 이미지를 빅데이터로 수집하고, 각 이미지에 태그를 부여하여 빅데이터를 수집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수집된 빅데이터의 태그 또는 이미지 인식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기 설정된 분류자에 의해 분류하고, 기 설정된 계층적 구조로 각각의 이미지를 분류자와 함께 매핑하여 저장함으로써 이미지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인테리어를 원하는 공간의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로 사용자의 의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이미지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단계별 및 공간별로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이때,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선택한 단계별 및 공간별 이미지를 사용자 단말(100)과 매핑되도록 저장하고, 선택이 끝난 경우 저장된 단계별 및 공간별 이미지에 기반하여 가상 인테리어 디자인 이미지를 생성하고,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하여 컨펌을 받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컨펌을 받은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100)로 도면정보를 요청하고, 결제가 되는 경우 디자이너 단말(400)로 단계별 및 공간별 이미지와, 도면 정보 및 가상 인테리어 디자인 이미지를 전송하여 인테리어 디자인 의뢰를 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디자이너 단말(400)로부터 투시도가 수신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하여 컨펌을 받고, 컨펌된 투시도와 사용자의 위치나 인테리어가 진행될 위치를 기준으로 적어도 하나의 인테리어 업체를 선정하여 견적을 의뢰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인테리어 업체 단말(500)로부터 견적을 수신한 경우, 자체적으로 기 설정된 결정 알고리즘에 의해 결정을 하거나,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하여 선택하도록 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인테리어 업체가 선정되었으면, 투시도를 인테리어 업체 단말(500)로 전송하고, 시공 및 감리를 진행한 후 디자이너 단말(400) 및 인테리어 업체(500)로 정산을 수행한 후, 수수료를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서버(300) 자체의 수익으로 정산하는 서버일 수 있다.The interior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be a server that provides an interior service web page, an app page, a program, or an application that minimizes an image database-based mutual recognition difference. In addition, the interior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be a server that collects at least one interior image as big data and collects big data by tagging each image. In addition, the interior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classifies images by a pre-set classifier using tags or image recognition of the collected big data, and maps each image with a classifier in a pre-set hierarchical structure. It can be a server that builds an image database by storing it. And, the interior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when the user terminal 100 transmits the information of the space desired for the interior, at least one image existing in the image database to grasp the user's intention to the user terminal 100 It may be a server that provides step by step and space. At this time, the interior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stores the image for each stage and space selected by the user terminal 100 to be mapped to the user terminal 100, and when the selection is finished, the virtual interior is based on the stored stage and space images. It may be a server that generates a design image and transmits it to the user terminal 100 to receive confirmation. And, the interior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requests drawing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100 when receiving confirmation, and images and information for each stage and space, and drawing information and virtual interior to the designer terminal 400 when payment is made. It may be a server that requests interior design by transmitting a design image. In addition, when the perspective view is received from the designer terminal 400, the interior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receives the confirmation by transmitting it to the user terminal 100, based on the confirmed perspective view and the location of the user or the location where the interior will proceed. It may be a server that selects at least one interior company and requests a quotation. In addition, the interior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when receiving an estimate from at least one interior company terminal 500, makes a decision by a predetermined determination algorithm itself, or transmits it to the user terminal 100 for selection. It can be a server. In addition, the interior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if an interior company is selected, transmits a perspective view to the interior company terminal 500, proceeds with construction and supervision, and then settles to the designer terminal 400 and the interior company 500. After performing, it may be a server that settles the fee as the profit of the interior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itself.

여기서,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interior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capable of accessing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a network. Here, the computer may include, for example, a navigation, a laptop equipped with a web browser, a desktop, a laptop, and the like.

적어도 하나의 디자이너 단말(400)은, 이미지 데이터베이스 기반 상호인식차를 최소화하는 인테리어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디자이너의 단말일 수 있다. 이때, 디자이너는 인테리어 디자이너일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디자이너 단말(400)은,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단계별 및 공간별 이미지와, 가상 인테리어 디자인 이미지와 도면 정보를 수신하고, 이에 대응하도록 투시도를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하는 단말일 수 있다. 또한, 인테리어 시공 및 감리 등이 완료된 경우,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인테리어 디자인 비용에 대한 정산을 받는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디자이너 단말(400)은, 인력 풀(Pool)에 등록되도록,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디자이너의 정보와 태그나 검색어 또는 키워드 등을 등록하고, 포트폴리오나 작업 결과물을 등록하는 단말일 수 있다.The at least one designer terminal 400 may be a designer's terminal using an interior service-related web page, app page, program, or application that minimizes image database-based mutual recognition. At this time, the designer may be an interior designer. Then, the at least one designer terminal 400 receives the step-by-step and space-specific images, the virtual interior design image and drawing information from the interior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and provides a perspective view to respond to the interior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It may be a terminal transmitting to. In addition, when the interior construction and supervision are completed, it may be a terminal receiving settlement for interior design cost from the interior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Here, the at least one designer terminal 400 registers the designer's information and tags, search terms, or keywords with the interior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so as to be registered in the workforce pool, and registers portfolios or work results. It may be a terminal.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디자이너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디자이너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디자이너 단말(4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at least one designer terminal 400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capable of accessing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a network. Here, the computer may include, for example, a navigation, a laptop equipped with a web browser, a desktop, a laptop, and the like. In this case, the at least one designer terminal 400 may be implemented as a terminal that can access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a network. The at least one designer terminal 400 is, for example,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in which portability and mobility are guaranteed, navigation, PCS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 (Personal Digital Cellular), Personal Handyphone System (PHS),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IMT) -2000,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2000, 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Wireless Broadband Internet ) It may include all kinds of handheld-base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a terminal, a smartphone, a smartpad, and a tablet PC.

적어도 하나의 인테리어 업체 단말(500)은, 이미지 데이터베이스 기반 상호인식차를 최소화하는 인테리어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투시도를 수신하고, 인테리어 견적을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제공하는 단말일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인테리어 업체 단말(500)은, 디자이너와 마찬가지로, 인력 풀 또는 업체 풀에 포함되도록, 키워드, 검색어, 태그, 정보, 포트폴리오, 인테리어 시공 결과물 등의 파일이나 데이터를 포함하는 콘텐츠를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등록하는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인테리어 업체 단말(500)은, 시공이 가능한 지역을 설정하거나 업체가 위치한 지역을 함께 등록할 수 있는 단말일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인테리어 업체 단말(500)은, 인테리어가 진행되는 경우, 시공 및 감리 등의 공사가 끝난 후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정산을 받는 단말일 수 있다.At least one interior company terminal 500 receives a perspective view using an interior service-related web page, app page, program, or application that minimizes image database-based mutual recognition, and transmits the interior estimate to the interior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It may be a providing terminal. At this time, at least one interior company terminal 500, like a designer, decorates content including files or data such as keywords, search terms, tags, information, portfolios, interior construction results, etc., to be included in a workforce pool or a company pool. It may be a terminal that registers with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In addition, the at least one interior company terminal 500 may be a terminal capable of setting an area where construction is possible or registering an area where a company is located. At this time, at least one interior company terminal 500 may be a terminal that receives settlement from the interior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after construction, supervision, and the like is completed, when the interior is in progress.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인테리어 업체 단말(5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인테리어 업체 단말(5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인테리어 업체 단말(5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at least one interior company terminal 500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capable of accessing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a network. Here, the computer may include, for example, a navigation, a laptop equipped with a web browser, a desktop, a laptop, and the like. In this case, the at least one interior company terminal 500 may be implemented as a terminal capable of accessing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a network. The at least one interior company terminal 500 is, for example,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in which portability and mobility are guaranteed, navigation, PCS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 (Personal Digital Cellular). , PHS (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2000, W-CDMA (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 (Wireless Broadband Internet) terminal, a smart phone (smartphone), a smart pad (smartpad), a tablet PC (Tablet PC) and the like may include all kinds of handheld (Handheld) -base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데이터베이스 기반 상호인식차를 최소화하는 인테리어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ior service providing server included in the system of FIG. 1, and FIG. 3 is an embodiment in which an interior service for minimizing mutual recognition based on an image datab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It is a drawing for explaining.

도 2를 참조하면,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저장부(310), 선택제공부(320), 전송부(330), 공유부(340), 전달부(350), 업체선정부(360), 및 정산부(370)를 포함할 수 있다.2, the interior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includes a storage unit 310, a selection providing unit 320, a transmission unit 330, a sharing unit 340, a delivery unit 350, and a business selection unit 360 ), And a settlement unit 37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서버(300)나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디자이너 단말(400), 및 적어도 하나의 인테리어 업체 단말(500)로 이미지 데이터베이스 기반 상호인식차를 최소화하는 인테리어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전송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디자이너 단말(400), 및 적어도 하나의 인테리어 업체 단말(500)은, 이미지 데이터베이스 기반 상호인식차를 최소화하는 인테리어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서비스 프로그램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디자이너 단말(400), 및 적어도 하나의 인테리어 업체 단말(500)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An interior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nother server (not shown) operating in conjunction with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at least one designer terminal 400, and at least one interior When transmitting interior service applications, programs, app pages, web pages, etc. that minimize image database-based mutual recognition to the company terminal 500,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at least one designer terminal 400, and At least one interior company terminal 500 may install or open an interior service application, program, app page, web page, etc., which minimizes image database-based mutual recognition difference. In addition, the service program may be driven in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at least one designer terminal 400, and at least one interior company terminal 500 using a script executed in a web browser. Here, the web browser is a program that enables the use of the World Wide Web (WWW) service, and refers to a program that receives and displays hypertext described in HTML (hyper text mark-up language), for example, Netscape. , Explorer, chrome and the like. In addition, an application means an application on a terminal, and includes, for example, an app running on a mobile terminal (smartphone).

도 2를 참조하면, 저장부(31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공간의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과 공간의 정보를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때, 공간의 정보는, 인테리어가 적용될 공간의 면적, 주거형태가 아파트인지, 일반 주택인지, 주택이라면 복층인지, 오피스텔인지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그리고, 공간의 정보를 입력할 때, 아파트의 경우에는 도면이 이미 수집되어 있는 경우도 존재하므로, 각 동수나 호수를 기입하는 경우, 이후에 도면을 별도로 수집하지 않아도 인테리어 디자인 작업이 가능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when space information is input from the user terminal 100, the storage 310 may map and store the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and the space. At this time, the information of the space may be, but is not limited to, the area of the space to which the interior is applied, whether the residential type is an apartment, a general house, a multi-story house, an officetel, or the like. In addition, when inputting space information, in the case of an apartment, there are cases where drawings have already been collected. Therefore, when entering each number or lake, interior design work may be possible without separately collecting drawings later.

선택제공부(320)는, 사용자 단말(100)로 적어도 하나의 디자인 스타일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단계별 및 공간별로 제공하여 선택하도록 한다. 이때, 단계별로 제공되는 이미지 및 공간별로 제공되는 이미지는 이하 표 1과 같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빅데이터가 수집됨에 따라 분류되는 식별자(제 1 단계를 구분하는 식별자, 제 2 단계를 구분하는 식별자, 제 3 단계를 구분하는 식별자)가 다양해짐에 따라 증가하거나 감소하거나 편집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이때, 제 1 단계를 구분하는 식별자는, 모던 인테리어 스타일, 클래식 스타일, 네추럴 인테리어 스타일일 수 있고, 제 2 단계를 구분하는 식별자는, 미니멀 스타일, 젠 스타일, 엔틱 스타일, 네오클래식 스타일, 캐주얼 스타일, 프로방스&컨트리 스타일, 에스닉 스타일일 수 있고, 제 3 단계를 구분하는 식별자는, 거실, 주방, 안방일 수 있으나, 상술한 것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변경되거나 증가 또는 감소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상술한 식별자는 상술한 식별자와 매칭되는 대표 이미지(단수 또는 복수)와 매핑되어 저장되는데, 이를 이미지 데이터베이스라 한다.The selection providing unit 320 provides the user terminal 100 with images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design style for each step and space for selection. At this time, the image provided for each step and the image provided for each space may be as shown in Table 1 below,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 identifier classified as the big data is collected (identifier for classifying the first step and classifying the second step) It will be apparent that the identifier, which identifies the third step) can be increased, decreased, or edited as the number varies. At this time, the identifier for distinguishing the first stage may be modern interior style, classical style, or natural interior style, and the identifier for distinguishing the second stage may be minimal style, gen style, antique style, neoclassic style, casual style, It may be Provence & Country style, ethnic style, and the identifier for distinguishing the third step may be a living room, a kitchen, or a master room, but it is obvious that it is not limited to the above and can be changed, increased, or decreased. . Further, the above-described identifier is mapped and stored with a representative image (single or plural) matching the above-described identifier, which is called an image database.

제 1 단계First step 제 2 단계Stage 2 제 3 단계Stage 3 모던 인테리어 스타일Modern interior style 미니멀 스타일Minimalist style 거실Livingroom 주방kitchen 안방Inner room 젠 스타일Zen style 거실Livingroom 주방kitchen 안방Inner room 북유럽 스타일Nordic style 거실Livingroom 주방kitchen 안방Inner room 클래식 스타일Classic style 로맨틱 스타일Romantic style 거실Livingroom 주방kitchen 안방Inner room 젠 스타일Zen style 거실Livingroom 주방kitchen 안방Inner room 앤틱 스타일Antique style 거실Livingroom 주방kitchen 안방Inner room 네추럴 인테리어 스타일Natural interior style 캐주얼 스타일Casual style 거실Livingroom 주방kitchen 안방Inner room 프로방스&컨트리 스타일Provence & Country Style 거실Livingroom 주방kitchen 안방Inner room 에스닉 스타일Ethnic style 거실Livingroom 주방kitchen 안방Inner room

도 3b 및 도 3c를 참조하면, 이미지 데이터베이스(미도시)는, 제 1 단계의 디자인 스타일에 모던 인테리어 스타일, 클래식 스타일 및 네추럴 인테리어 스타일의 세부 설명과, 각 스타일을 대표하는 제 1 단계 이미지가 각각 매핑되어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이미지 데이터베이스에는, 제 2 단계의 디자인 스타일이 저장될 수 있고, 이는, 모던 인테리어 스타일의 하위 스타일인 미니멀 스타일, 젠 스타일, 및 북유럽 스타일의 세부 설명과, 미니멀 스타일, 젠 스타일 및 북유럽 스타일을 대표하는 제 2 단계 이미지가 각각 매핑되어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이미지 데이터베이스에는, 제 2 단계의 디자인 스타일이 저장될 수 있는데, 클래식 스타일의 하위 스타일인 로맨틱 스타일, 젠 스타일, 앤틱 스타일, 및 네오클래식 스타일의 세부 설명과, 로맨틱 스타일, 젠 스타일, 앤틱 스타일 및 네오클래식 스타일을 대표하는 제 2 단계 이미지가 각각 매핑되어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이미지 데이터베이스에는, 제 2 단계의 디자인 스타일이 저장될 수 있는데, 이는, 네추럴 인테리어 스타일의 하위 스타일인 캐주얼 스타일, 프로방스&컨트리 스타일, 및 에스닉 스타일의 세부 설명과, 캐주얼 스타일, 프로방스&컨트리 스타일, 및 에스닉 스타일을 대표하는 제 2 단계 이미지가 각각 매핑되어 저장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이미지 데이터베이스에는, 제 3 단계의 디자인 스타일은 제 1 단계 및 제 2 단계의 디자인 스타일이 적용된 공간별 이미지와, 공간별 키워드가 각각 매핑되어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각 단계별 디자인 스타일을 대표하는 이미지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이미지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때 빅데이터를 이용하고, 빅데이터의 이미지 검색이나, 이미지 태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우선, 선택제공부(320)는, 정형 데이터, 비정형 데이터 및 반정형 데이터를 포함하는 로우 데이터(Raw Data)를 병렬 및 분산하여 저장하고, 로우 데이터 내에 포함된 비정형(Unstructed) 데이터, 정형(Structured) 데이터 및 반정형 데이터(Semi-structured)를 정제하고, 메타 데이터로 분류를 포함한 전처리를 실시할 수 있고, 전처리된 데이터를 데이터 마이닝(Data Mining)을 포함하는 분석을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선택제공부(320)는, 분석된 데이터를 시각화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데이터 마이닝은, 전처리된 데이터 간의 내재된 관계를 탐색하여 클래스가 알려진 훈련 데이터 셋을 학습시켜 새로운 데이터의 클래스를 예측하는 분류(Classification) 또는 클래스 정보 없이 유사성을 기준으로 데이터를 그룹짓는 군집화(Clustering)를 수행할 수 있다. 물론, 이외에도 다양한 마이닝 방법이 존재할 수 있으며, 수집 및 저장되는 빅데이터의 종류나 이후에 요청될 질의(Query)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마이닝될 수도 있다. 이렇게 구축된 빅데이터는, 인공신경망 딥러닝이나 기계학습 등으로 검증과정을 거칠 수도 있다. 이때, 인공 신경망은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구조가 이용될 수 있는데, CNN은 컨볼루션 층을 이용한 네트워크 구조로 이미지 처리에 적합하며, 이미지 데이터를 입력으로 하여 이미지 내의 특징을 기반으로 이미지를 분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텍스트 마이닝(Text Mining)은 비/반정형 텍스트 데이터에서 자연어처리 기술에 기반하여 유용한 정보를 추출, 가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기술이다. 텍스트 마이닝 기술을 통해 방대한 텍스트 뭉치에서 의미 있는 정보를 추출해 내고, 다른 정보와의 연계성을 파악하며, 텍스트가 가진 카테고리를 찾아내거나 단순한 정보 검색 그 이상의 결과를 얻어낼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테리어 서비스에서는, 질의로 입력되는 식별자나 자연어를 분석하고, 그 안에 숨겨진 정보를 발굴해 내기 위해 대용량 언어자원과 통계적, 규칙적 알고리즘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클러스터 분석(Cluster Analysis)은, 비슷한 특성을 가진 객체를 합쳐가면서 최종적으로 유사 특성의 그룹을 발굴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3B and 3C, the image database (not shown) includes detailed descriptions of modern interior styles, classic styles, and natural interior styles in the first stage design style, and first stage images representing each style, respectively. It can be mapped and stored. And, in the image database, the second-stage design style may be stored, which includes sub-styles of modern interior styles such as minimal styles, gen styles, and Nordic style details, and minimal styles, gen styles, and Nordic styles. Each of the representative second stage images may be mapped and stored. In addition, in the image database, the second-stage design style may be stored. Detailed descriptions of the classical style sub-styles, Romantic Style, Zen Style, Antique Style, and Neoclassical Style, Romantic Style, Zen Style, Antique Style And a second step image representing the neoclassical style may be mapped and stored, respectively. And, in the image database, a second-stage design style may be stored, which is a sub-style of natural interior style, casual style, provence & country style, and ethnic style details, casual style, provence & country style. , And a second step image representing an ethnic style may be mapped and stored, respectively. Finally, in the image database, the design style of the third step may be stored by mapping the space-specific images and the keywords for each space to which the first and second design styles are applied. Here, an image representing a design style for each stage may include at least one image. When constructing the above-described image database, big data is used, and image search or image tags of big data may be used. First, the selection providing unit 320 stores raw and unstructured data and raw data including raw data in parallel and distributed, and includes unstructured data and structured data included in the raw data. Data and semi-structured data may be refined, and pre-processing including classification as meta data may be performed, and analysis including data mining may be performed on the pre-processed data. Then, the selection providing unit 320 may visualize and output the analyzed data. In this case, data mining searches for an implicit relationship between pre-processed data to classify data based on similarity without classification or classification to predict a class of new data by learning a set of training data for which a class is known. Clustering) can be performed. Of course, there may be various mining methods, and mining may be perform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type of big data collected and stored or the type of query to be requested later. The big data constructed in this way may be verified through artificial neural network deep learning or machine learning. In this case, the artificial neural network may use a CN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structure, CNN is a network structure using a convolutional layer is suitable for image processing, to classify the image based on the features in the image by inputting the image data Because it can. In addition, text mining is a technology aimed at extracting and processing useful information based on natural language processing technology from non / semi-structured text data. Through text mining technology, it is possible to extract meaningful information from a large bundle of text, grasp the linkage with other information, find categories of text, or get more than just searching for information. Using this, in the interior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large-scale language resource, statistical, and regular algorithms may be used to analyze an identifier or natural language inputted as a query and discover hidden information therein. In addition, cluster analysis can be used to finally discover groups of similar characteristics while merging objects with similar characteristics.

이렇게 빅데이터가 구축되어 이미지가 분류되고 각 이미지에 태그가 부착되어 계층구조를 이루며 이미지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된 경우, 이를 학습하는 과정을 통하여 유사하거나 비슷한 이미지를 하나의 군집으로 포함시킴으로써, 이미지 데이터베이스를 풍부하게 할 수 있다. 이때, 내용기반 이미지 검색(Content-based Image Retrieval, CBIR)이 이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제 1 단계의 모던 인테리어 스타일의 대표 이미지가 A 하나만 존재한다면, 사용자는 이를 선택할지 말지 등을 많이 고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선택제공부(320)는 모던 인테리어 스타일에 포함된 이미지를 질의(Query) 이미지로 설정하고, 질의 이미지에 포함된 물체와 유사한 것을 포함한 이미지를 빅데이터나 외부 웹 등을 통하여 수집하고, 수집된 이미지를 A 라는 대표 이미지와 함께 매핑하여 저장함으로써, 대표 이미지를 2 개로 늘릴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을 계속하다보면 풍부한 이미지 데이터베이스가 생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도 선택의 폭이 넓어질 수 있다. 이때, 내용기반 이미지 검색에서 질의 이미지와 유사한 이미지를 찾을 때 두 이미지의 비교가 이루어지게 되는데, SIFT나 SURF를 이용하여 특징점(Keypoint) 기술자를 이용한 이미지 비교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특징점 기술자는 이미지의 크기변화 및 회전변화에도 불변한(invariant)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다양한 상황에서도 유사한 이미지를 검색할 수 있고, 기존의 방법(색상, 질감 등을 사용한 방법)에 비해 높은 정확도의 검색 결과를 보일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특징점 기술자를 사용한 이미지 검색을 더욱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BOVW(Bag-of-visual-words) 모델을 더 이용할 수도 있다. BOVW 모델에서는 이미지의 각 특징점 기술자가 미리 생성된 코드북(비주얼 워드 사전)의 한 단어로 매핑된다. 그 결과, 각 이미지는 그 이미지에 포함된 비주얼 워드의 빈도수로 구성된 한 개의 비주얼 워드 벡터로 표현된다. 두 이미지의 유사도는 각 이미지의 비주얼 워드 벡터의 유사도(코사인 유사도 등)를 통해 빠른 시간에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정보검색(Information Retrieval) 분야에서 사용하는 역인덱스(inverted index)를 활용함으로써, 질의 이미지와 동일한 비주얼 워드를 포함하고 있는 이미지만을 빠르게 가져올 수 있고, 그 결과 전체 이미지 중 일부 만을 질의 이미지와 비교할 수 있기 때문에 검색 속도가 빠르게 된다. When the big data is constructed, images are classified, tags are attached to each image to form a hierarchical structure, and when the image database is built, the image database is enriched by including similar or similar images as a cluster through learning process. Can be done. At this time, a content-based image retrieval (CBIR) may be used. For example, if only one representative image of the modern interior style of the first stage exists, the user may choose whether or not to select it. I can worry. Accordingly, the selection providing unit 320 sets the image included in the modern interior style as a query image, and collects images including objects similar to the objects included in the query image through big data or an external web, and collects them. By mapping and storing the image together with the representative image A, the representative image can be increased to two. Continuing this way, a rich image database can be created, and the user can have a wide selection. At this time, when searching for an image similar to the query image in the content-based image search, the comparison of the two images is performed. An image comparison method using a keypoint descriptor can be used by using SIFT or SURF. Since such feature point descriptors have invariant characteristics in the size change and rotation change of the image, similar images can be searched in various situations and are higher than in the existing method (method using color, texture, etc.). You can show the search results of accuracy. In additio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use a Bag-of-visual-words (BOVW) model in order to more efficiently perform image search using a feature point descriptor. In the BOVW model, each feature point descriptor in the image is mapped to a word in a pre-generated codebook (visual word dictionary). As a result, each image is represented by one visual word vector composed of the frequency of visual words included in the image. The similarity between the two images can be quickly calculated through the similarity (such as cosine similarity) of the visual word vector of each image. In addition, by utilizing an inverted index used in the field of information retrieval, only images that contain the same visual word as the query image can be quickly fetched, and as a result, only a part of the entire image can be compared with the query image. Search speed.

덧붙여서, 이미지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때, 추상적인 형용사나 감성 단어나 이미지 주관적인 정보 등을 이용하여 매핑하여 저장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의 감성정보를 획득하는 경우에는 사람의 주관적인 정보가 조사에 영향을 미치며 또한 설문 문항에서 사용자에게 제시할 감정 레이블링의 기준 또한 애매하다. 이러한 여러 가지의 이유로 감성 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를 획득하는 일은 쉽지 않은 일인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IAPS(International Affective Picture System) 이미지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함으로써 감성 이미지를 분류할 수 있도록 한다. GAPED(Geneva Affective PicturE Database)이나, NAPS(The Nencki Affective Picture System)을 이용하여 각 디자인에서 얻어질 수 있는 감성의 종류를 분류하고, 이를 각 이미지에 태깅하여 저장함으로써, 이후에 사람이 감성 단어에 의해 인테리어 디자인을 검색할 수 있도록 한다. 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크라우드 소싱 기반의 감성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는데, 카테고리 기반 모델을 이용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감성정보를 획득하고, 이미 구축된 이미지 데이터베이스와 더불어 설문조사의 응답 결과까지 포함하는 경우, 감성 정보를 가지는 데이터베이스를 획득할 수 있다. 물론, 상술한 방법 이외에도 다양한 방법으로 이미지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훈련 및 학습하는 과정을 진행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In addition, when constructing an image database, it is also possible to use a method of mapping and storing using abstract adjectives, emotional words, or image subjective information. For example, in the case of acquiring emotional information of an image, subjective information of a person affects a survey, and the criteria for emotion labeling to be presented to a user in a questionnaire question is ambiguous. For these various reasons, it is not easy to obtain an image including emotion information.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lassify the emotion image by using the International Affective Picture System (IAPS) image database. By using the Geneva Affective PicturE Database (GAPED) or The Nencki Affective Picture System (NAPS) to classify the types of emotions that can be obtained in each design, tagging and storing them in each image, a person is then added to the emotional words. By making interior design searchable. Alternatively,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lso possible to acquire emotion information based on crowdsourcing, which acquires emotion information through a survey using a category-based model, and also includes an already built image database and a response result of the survey. When included, a database having emotional information can be obtained. Of course, it will be apparent that the image database can be constructed, trained, and learned in various ways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methods.

다시 도 2로 돌아와서, 전송부(33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선택된 단계별 이미지 및 공간별 이미지를 기반으로 가상의 인테리어 이미지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A가 32평형대 아파트를 선택했고, 제 1 단계에서 모던 인테리어 디자인을 선택하고, 제 2 단계에서 미니멀 스타일을 선택했고, 미니멀 스타일에 매핑된 거실 이미지 B, 주방 이미지 C, 안방 이미지 D를 선택했다고 가정하자. 이때, 가상의 인테리어 이미지는, 32평형 아파트의 기본 디폴트 도면에, 거실 이미지 B, 주방 이미지 C, 안방 이미지 D를 적용(오버레이 또는 랜더링)한 이미지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Returning to FIG. 2 again, the transmitter 330 may generate a virtual interior image based on the step-by-step image and space-specific images selected by the user terminal 100 and transmit the virtual interior image to the user terminal 100. For example, user A selects a 32-storied apartment, selects a modern interior design in step 1, selects a minimal style in step 2, and maps a living room image B, a kitchen image C, and a bedroom image mapped to the minimal style. Suppose you chose D. In this case, the virtual interior image is an image obtained by applying (overlaying or rendering) the living room image B, the kitchen image C, and the master image D to the basic default drawing of the 32-flat apartment,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이때, 사용자 단말(100)에서 선택된 단계별 이미지 및 공간별 이미지는 복수일 수 있다. 각각의 단계별로 매핑되어 저장된 이미지가 1 개가 아니라 복수일 수 있는데, 사용자가 제 1 단계에서 A를 고르고, 제 2 단계에서 B를 고르고, 제 3 단계에서 C를 고른 경우, A, B, C와 유사한 그룹으로 클러스터링되었던 다른 이미지, 예를 들어, D, E, F를 기준으로 재작업을 수행할 수도 있다. 물론, 상술한 구성을 모두 초기화하는 드롭(Drop)이 진행될 수도 있으나, 만약 A, B, C와 느낌은 비슷한데 약간 다른 디자인을 원하는 것이라면, 한 그룹으로 클러스터링되었던 다른 이미지를 이용하여 새로운 가상 인테리어 이미지를 생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전송부(330)는, 가상의 인테리어 이미지를 생성할 때 사용된 단계별 이미지 및 공간별 이미지를 제외한 단계별 이미지 및 공간별 이미지를 이용하여 가상의 인테리어 이미지를 재생성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tep-by-step image selected by the user terminal 100 and the image for each space may be plural. There may be a plurality of images mapped to each step, not one, but when the user selects A in the first step, B in the second step, and C in the third step, A, B, C and Rework may be performed based on other images that have been clustered in a similar group, for example, D, E, and F. Of course, a drop may be performed to initialize all of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s, but if the feelings of A, B, and C are similar, but a slightly different design is desired, a new virtual interior image is created using different images clustered as a group. You can also create Accordingly, the transmission unit 330 may regenerate the virtual interior image using the step-by-step image and the space-by-space image except for the step-by-step image and the space-by-space image used when generating the virtual interior image.

여기서, 가상 인테리어 이미지는, CGI(Computer-Generated imagery)와 디지털 랜더링을 이용하여 건축 시각화(Architectural Visualization) 이미지로 제공될 수도 있다. 이는, 건축 인테리어 랜더링의 연구에서, Fleming 원칙을 이용할 수 있다. 우선, 전역 조명(Global Illumination)의 원칙에 따라 빛과 관련된 항목인 Specularity와 Radiosity를 포함시킬 수 있다. 두 번째로, 지오메트리와 관련된 원칙을 정확한 오브젝트의 재현(Accurate Object Representation)이라고 명명하고, 표면 텍스쳐(Surface Texture), 사면의 모서리(Beveled Edges), 오브젝트 재질의 두께(Object Material Depth)를 여기에 포함시킨다. 세 번째, Fleming의 원칙 중 어질러짐과 혼돈(Clutter and Chaos)를 단순히 혼돈(Chaos) 원칙으로 규정하고, 그 아래에 인간과 주변환경과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발생하는 어질러짐(Clutter), 자연 현상이나 우연에 의하여 발생하여 인간이 제어할 수 없는 무작위성(Randomness), 사물이 완벽하게 균일한 형태와 배치로 존재할 수 없음을 나타내는 비균일성(Non-Uniformity)으로 구분한다. 네 번째, 때(Dirt), 손상(Dings)를 결점(Imperfections) 원칙에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물리적으로 정확한 빛을 계산하고, 포토리얼리스틱 랜더링 이미지를 구현하기 위하여 정확하게 오브젝트의 형상을 재현하고, 사실적인 재질과 텍스처의 표현을 추가하고, 사진에 나타나는 카메라의 특성을 재현함으로써 가상의 인테리어 디자인 이미지를 사실적으로 표현하고, 최대한 고객이 선택을 한 것과 결과물의 차이가 발생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공사를 다시 진행하는 일이 없도록 할 수도 있다. 물론, 가상 인테리어 이미지를 랜더링하는 과정이나 방법은 상술한 방법 이외에도 다양한 방법이 이용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변경가능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Here, the virtual interior image may be provided as an architectural visualization image using computer-generated imagery (CGI) and digital rendering. It can use the Fleming principle in the study of architectural interior rendering. First,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global illumination, it is possible to include specularity and radiosity, items related to light. Second, the principles related to geometry are called Accurate Object Representation, and include Surface Texture, Beveled Edges, and Object Material Depth. Order. Third, among the principles of Fleming, clutter and chaos are simply defined as chaos principles, and under them, clutter and natural phenomena caused by interaction between humans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However, it is divided into randomness, which cannot be controlled by humans due to chance, and non-uniformity, which indicates that things cannot exist in a perfectly uniform shape and arrangement. Fourth, Dirt and Dings can be included in the principle of Imperfections. In addition, to accurately calculate the physically accurate light, to accurately reproduce the shape of the object in order to realize a photorealistic rendering image, add realistic material and texture expression, and reproduc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amera shown in the photo, By expressing the interior design image realistically and avoid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customer's choice and the result as much as possible, the construction can be avoided again. Of course, a process or method for rendering a virtual interior image may be used in various ways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method, and it will be apparent that it can be chang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공유부(34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디자인 작업 진행을 컨펌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디자이너 단말(400)을 추출하여 공간의 정보와 선택된 단계별 이미지 및 공간별 이미지를 공유할 수 있다. 이때, 공간의 정보에 도면이 포함되지 않은 경우에는, 공유부(340)는 사용자 단말(100)로 도면을 요청하여 디자이너 단말(400)과 공유한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디자이너 단말(400)을 선택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진 회원은 유료회원으로 한정하나,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디자이너 단말(400)을 추출할 때, 상술한 인력 풀(Pool)에 등록된 키워드나 태그와, 사용자가 선택한 이미지의 태그가 유사한 경우에 추출할 수도 있고, 평점을 기준으로 추출할 수도 있으며, 할당된 일이 없거나 위치가 가까운 경우를 기준으로 추출할 수도 있고 다양한 기준에 의해 추출이 가능하다. 또한, 디자이너 단말(400)로 제공할 때, 예를 들어 3-4명의 디자이너에게 상술한 이미지와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다양한 디자이너로부터 인테리어 디자인을 받도록 할 수 있다.When the user terminal 100 confirms the progress of the design work, the sharing unit 340 may extract at least one designer terminal 400 to share information on space, selected step-by-step images, and images for each space. At this time, when a drawing is not included in the space information, the sharing unit 340 requests the drawing from the user terminal 100 and shares it with the designer terminal 400. Here, a member having the authority to select at least one designer terminal 400 is limited to a paid member, but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n addition, when extracting the designer terminal 400, the keyword or tag registered in the above-described workforce pool and the tag of the image selected by the user are similar, or may be extracted based on the rating. , It can be extracted based on the case that there is no assigned work or the location is close, or it can be extracted by various criteria. In addition, when provided to the designer terminal 400, for example, by sharing the above image and information to 3-4 designers, it is possible to receive interior design from various designers.

따라서, 공유부(34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디자인 작업 진행을 컨펌하는 경우, 공간의 정보에 인테리어가 진행될 공간의 도면이 포함되지 않은 경우, 사용자 단말(100)로 도면을 요청하여,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도면이 수신되는 경우 공간의 정보에 도면을 포함시켜 적어도 하나의 디자이너 단말(400)과 공유할 수 있다.Therefore, the sharing unit 340, when confirming the progress of the design work in the user terminal 100, when the information of the space does not include a drawing of the space where the interior is to proceed, requests the drawing to the user terminal 100, When a drawing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100, the drawing may be included in space information to be shared with at least one designer terminal 400.

전달부(350)는, 적어도 하나의 디자이너 단말(40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공간별 투시도를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인테리어 디자인을 복수의 디자이너에게 맡겨서 복수의 인테리어 디자인을 받을 수도 있지만, 각 공간별 디자인을 공간별 디자인을 진행하는 디자이너에게 배분하는 방식으로 공유할 수도 있고, 이러한 경우에는 전달부(350)는, 복수의 디자이너 단말(400)에서 협업을 할 수 있는 공간이나 저장소를 별도로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투시도라고 기재하였지만, 투시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인테리어 디자인을 나타낼 수 있는 다양한 포맷과 형식이 적용된 파일일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The delivery unit 350 may receive at least one perspective view for each space from at least one designer terminal 400 and transmit it to the user terminal 100. At this time, the interior design may be entrusted to a plurality of designers to receive a plurality of interior designs, but the design for each space may be shared in a manner of distributing to the designers who perform the design for each space, and in this case, the delivery unit 350 , In a plurality of designer terminals 400, a space or a repository for collaborating may be separately provided. In addition, although it is described as a perspective view, it is obvious that the file may be a file applied with various formats and formats capable of representing the interior design, not limited to the perspective view.

업체선정부(36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적어도 하나의 공간별 투시도 중 어느 하나의 공간별 투시도를 선택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인테리어 업체 단말(500)로 견적을 의뢰하고 피드백을 받아 인테리어 업체를 선정할 수 있다. 이때, 인테리어 업체로 견적을 의뢰할 때에도, 인테리어 시공이 이루어질 장소를 중심으로 업체를 선정(위치 기반)할 수도 있고, 인테리어 업체에서 시공이 가능하다고 기재한 위치를 기준으로 선정(위치 기반)할 수도 있고, 인테리어 업체에서 등록한 키워드나 태그 등을 기준으로 사용자가 의도한 인테리어가 가능한 업체인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내용기반 선정을 할 수도 있으며, 다양한 기준이 적용될 수 있고 상술한 것들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업체선정부(360)는, 사용자 단말(100)의 거주지 또는 인테리어가 진행될 공간의 위치를 기준으로 기 설정된 반경 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인테리어 업체 단말(500)을 추출하여 견적을 의뢰할 수 있다.If the user selection terminal 360 selects any one perspective view of each space among at least one space perspective view, the user selection unit 360 requests a quote from at least one interior company terminal 500 and receives feedback to receive the interior. You can select a company. At this time, even when requesting an estimate as an interior company, a company may be selected based on the place where the interior construction will be performed (location-based), or may be selected based on a location where the interior company has stated that construction is possible (location-based). In addition, content-based selection may be made to determine whether the interior intended by the user is possible based on keywords or tags registered by the interior company, and various standards may be applied and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Accordingly, the company selection unit 360 may request at least one interior company terminal 500 located within a preset radius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100's residence or interior space to be processed, and request a quotation. .

정산부(370)는, 인테리어 업체가 선정된 후 시공 및 감리가 완료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로 정산요청을 전송하여 인테리어 비용을 정산받고, 디자이너 단말(400) 및 인테리어 업체 단말(500)로 디자인 비용 및 인테리어 시공비를 정산할 수 있다. 이때, 대부분의 경우 계약금으로 전체 공사대금이나 디자인 비용의 10%를 지급하고, 중도금을 공사가 진행하면 지급하며, 잔금을 완료된 후 지급하는 경우 등이 많은데, 이러한 관행 이외에도 양 당사자의 계약관계나 약정으로 다르게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고, 상술한 구성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The settlement unit 370 receives the interior cost by sending a settlement request to the user terminal 100 when construction and supervision are completed after the interior company is selected, and the designer terminal 400 and the interior company terminal 500 The design cost and interior construction cost can be settled. In this case, in most cases, 10% of the total construction cost or design cost is paid as a down payment, and the intermediate payment is paid when the construction is in progress, and the balance is paid after the completion of the balance. It is also possible to set differently, and it will be apparent that it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이하, 상술한 도 2의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에 따른 동작 과정을 도 3을 예로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Hereinafter, an opera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interior service providing server of FIG. 2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as an example. However, the embodiment is only one of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hat it is not limited thereto.

도 3을 참조하면, (a)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주거 형태, 평수, 용도 등의 인테리어가 적용될 공간의 정보를 수신하고, 공간 정보 및 사용자 정보를 매핑하여 저장한다. 그리고 나서, (b) 사용 목적 및 주거 형태 등에 기 매핑되어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베이스 내의 이미지를 단계별 및 공간별로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100)에서 각 단계별로 및 공간별로 출력되는 이미지를 선택하는 경우,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c) 이를 각 단계별 및 공간별로 저장하고, 저장된 이미지에 기반하여 가상의 인테리어 이미지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하여 진행을 할 것인지의 여부를 묻는다. 이때, (d) 사용자 단말(100)에서 진행을 결정하고 계약금을 입금하는 등으로 결제를 진행하는 경우,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디자이너를 선정하고, 투시도를 제작하여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하고 이를 컨펌받고, 컨펌된 투시도를 기반으로 인테리어 업체를 선정하고, 선정된 인테리어 업체 단말(500)로 견적을 의뢰하고, 어느 하나의 인테리어 업체가 자동 또는 수동으로 선택되면, 시공 및 감리를 진행한 후 정산을 하는 과정을 진행하게 된다. 이때, 자동으로 선정하기 위해서는 가격, 퀄리티, 고객 만족도, 고객 선택 등을 반영할 수 있으나, 상술한 파라미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Referring to FIG. 3, (a) the interior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receives information of a space to which the interior, such as a residential type, floor space, and usage,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100 is applied, and maps spatial information and user information And save. Then, (b) the image in the image database which is pre-mapped and stored in the purpose of use and the form of residence i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100 for each step and space. Accordingly, when the user terminal 100 selects an image that is output for each step and space, the interior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stores (c) it for each step and space, and stores the virtual image based on the stored image. The interior image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100 to ask whether or not to proceed. At this time, (d) when the user terminal 100 determines the progress and payment is made by depositing a deposit, etc., the interior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selects a designer and produces a perspective view to create a user terminal 100 To the interior, select the interior company based on the confirmed perspective, and request an estimate with the selected interior company terminal 500, and if any interior company is automatically or manually selected, construction and supervision After proceeding, the process of settlement will proceed. At this time, the price, quality, customer satisfaction, customer selection, etc. may be reflected in order to automatically select, but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parameters.

이와 같은 도 2 및 도 3의 이미지 데이터베이스 기반 상호인식차를 최소화하는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을 통해 이미지 데이터베이스 기반 상호인식차를 최소화하는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The details not provided for the interior service providing method for minimizing the mutual recognition difference based on the image database of FIGS. 2 and 3 are described above with respect to the interior service providing method for minimizing the mutual recognition difference based on the image database through FIG. Since it can be easily inferred from the same or described content,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이미지 데이터베이스 기반 상호인식차를 최소화하는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4를 통해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할 것이나, 이와 같은 실시예로 본원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이 변경될 수 있음은 기술분야에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data is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each of the components included in the interior service providing system for minimizing the mutual recognition difference based on the image database of FIG.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an example of a process in which data is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each compon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but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is illustrated in FIG. 4 according to the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above. 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oces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may be changed.

도 4를 참조하면,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공간 정보를 수신하고(S4100), 이에 대응하도록 구축된 이미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단계별 이미지를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하고(S4110), 단계별로 이미지를 선택받는다(S4130). 그리고,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단계별로 선택된 이미지에 매핑되어 저장된 공간별 이미지를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하고(S4130),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공간별 이미지를 선택받는다(S4210).Referring to FIG. 4, the interior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receives spatial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100 (S4100), and transmits a step-by-step image from the image database constructed to correspond to the user terminal 100 ( S4110), the image is selected step by step (S4130). Then, the interior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transmits the space-specific images mapped and stored to the selected images step by step to the user terminal 100 (S4130), and receives the space-specific images from the user terminal 100 (S4210). .

그리고 나서,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선택된 단계별 이미지 및 공간별 이미지를 사용자 단말(100)과 매핑하여 저장하고, 이에 기반하여 가상의 인테리어 이미지를 생성하여(S4300),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하고(S4310),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전송된 피드백이 컨펌인 경우(S4330, S4400) 이를 기반으로 이후 프로세스를 진행할 준비를 하고, 컨펌이 아닌 경우 초기화를 하거나 드랍시키는데, 드랍도 아니고 컨펌도 아닌 경우에는, 이미 선택된 이미지가 포함된 클러스터 내에 포함된 다른 이미지로 가상의 인테리어 이미지를 다시 작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컨펌을 받는 단계로 복귀하며 루프를 돌게 된다(S4410).Then, the interior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ps and stores the selected step-by-step images and space-specific images with the user terminal 100, and generates a virtual interior image based thereon (S4300), the user terminal 100 Provided as (S4310), and if the feedback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100 is a confirmation (S4330, S4400), prepares to proceed with a subsequent process based on this, and if it is not a confirmation, initializes or drops, but is not a drop, but a confirmation Otherwise, the virtual interior image is rewritten with another image included in the cluster including the already selected image, provided to the user, and the process returns to the step of receiving a confirmation and the loop is executed (S4410).

한편,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S4400 단계에서 피드백이 컨펌인 경우, 사용자 단말(100)로 인테리어가 제공될 장소의 도면을 요청하고(S4500),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도면이 수신되는 경우(S4510), 디자이너를 선정하고(S4600), 선정된 디자이너 단말(400)로 단계별, 공간별 및 가상 인테리어 이미지와, 도면을 전송하고(S4700), 각 공간별 투시도를 제공받는다(S4800).On the other hand, when the feedback is confirmed in step S4400, the interior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requests a drawing of the place where the interior is to b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100 (S4500), and when the drawing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100 (S4510), the designer is selected (S4600), and the step-by-step, space and virtual interior images and drawings are transmitted to the selected designer terminal 400 (S4700), and a perspective view for each space is provided (S4800).

이때,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피드백을 받고(S4810), 피드백이 컨펌인 경우(S4830) 컨펌된 공간별 투시도를 이용하여 견적을 받을 인테리어 업체를 추출하고(S4850), 추출된 인테리어 업체의 단말인 인테리어 업체 단말(500)로 견적을 요청하고(S4870), 견적을 인테리어 업체 단말(500)로부터 수신한 경우(S4890)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하여 다시 컨펌을 받는다(S4900). 이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100)의 컨펌 이외에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설정한 기준에 의해 자동으로 선정을 하는 것도 가능함은 상술한 바와 같다. 그리고,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수동 또는 자동으로 컨펌된 견적서를 발행한 업체로 시공을 의뢰하고(S4910), 시공이 완료된 경우 감리 프로세스가 종료되면 디자이너, 인테리어 업체로 정산을 수행한다(S4930).At this time, the interior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receives feedback from the user terminal 100 (S4810), and if the feedback is confirmation (S4830), extracts an interior company to receive a quotation using the confirmed perspective view for each space (S4850) ), Request the quotation to the interior company terminal 500, which is the terminal of the extracted interior company (S4870), and when the quotation is received from the interior company terminal 500 (S4890), transmit it to the user terminal 100 to confirm again. Receive (S4900). In this step, it is also possible to automatically select according to the criteria set by the interior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in addition to the confirma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as described above. In addition, the interior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requests a construction to a company that issued a manually or automatically confirmed quotation (S4910), and when the construction is completed, when the supervision process is finished, performs settlement to the designer and interior company ( S4930).

상술한 단계들(S4100~S4930)간의 순서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단계들(S4100~S4930)간의 순서는 상호 변동될 수 있으며, 이중 일부 단계들은 동시에 실행되거나 삭제될 수도 있다.The order between the above-described steps (S4100 to S4930) is only an example, and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the order between the above-described steps (S4100 ~ S4930) may be mutually variable, some of which may be executed or deleted simultaneously.

이와 같은 도 4의 이미지 데이터베이스 기반 상호인식차를 최소화하는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3을 통해 이미지 데이터베이스 기반 상호인식차를 최소화하는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The description of the interior service providing method for minimizing the mutual recognition difference based on the image database of FIG. 4 is no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to FIG. 3 above. Since it can be easily inferred from the same or described content,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데이터베이스 기반 상호인식차를 최소화하는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서버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공간의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과 공간의 정보를 매핑하여 저장한다(S5100).5 is an operation flow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for providing an interior service that minimizes a mutual recognition difference based on an image datab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5, when the space information is input from the user terminal, the interior service providing server maps and stores the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and the space (S5100).

그리고,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서버는, 사용자 단말로 적어도 하나의 디자인 스타일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단계별 및 공간별로 제공하여 선택하도록 하고(S5200), 사용자 단말에서 선택된 단계별 이미지 및 공간별 이미지를 기반으로 가상의 인테리어 이미지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로 전송한다(S5300).In addition, the interior service providing server provides an image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design style to the user terminal for each step and space to be selected (S5200), and the virtual interior is based on the step-by-step image selected in the user terminal and the image for each space. The image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S5300).

또한,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서버는, 사용자 단말에서 디자인 작업 진행을 컨펌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디자이너 단말을 추출하여 공간의 정보와 선택된 단계별 이미지 및 공간별 이미지를 공유한다(S5400). 그리고,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디자이너 단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공간별 투시도를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로 전송한다(S5500).In addition, the interior service providing server, when confirming the progress of the design work in the user terminal, extracts at least one designer terminal and shares the information of the space, the selected step-by-step image and the image for each space (S5400). Then, the interior service providing server receives at least one perspective view for each space from at least one designer terminal and transmits it to the user terminal (S5500).

그리고,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서버는, 사용자 단말에서 적어도 하나의 공간별 투시도 중 어느 하나의 공간별 투시도를 선택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인테리어 업체 단말로 견적을 의뢰하고 피드백을 받아 인테리어 업체를 선정한다(S5600).In addition, when the interior service providing server selects any one perspective view of each of the at least one space perspectives from the user terminal, the interior service provider requests a quote from at least one interior company terminal and receives feedback to select an interior company (S5600) ).

이와 같은 도 5의 이미지 데이터베이스 기반 상호인식차를 최소화하는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이미지 데이터베이스 기반 상호인식차를 최소화하는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The contents not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method for providing interior service that minimizes the image database-based mutual recognition difference of FIG. 5 are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method for providing the interior service that minimizes the image database-based mutual recognition vehicle through FIGS. 1 to 4. Since it can be easily inferred from the same or described content,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5를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데이터베이스 기반 상호인식차를 최소화하는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The interior service providing method of minimizing the mutual recognition difference based on the image databas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is in the form of a recording medium including instructions executable by a computer, such as an application or program module executed by a computer. Can also be implemented. Computer readable media can be any available media that can be accessed by a computer and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media,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In addition, computer-readable media may include any computer storage media. Computer storage media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implemented in any method or technology for storage of information such as computer readable instructions, data structures, program modules or other data.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데이터베이스 기반 상호인식차를 최소화하는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데이터베이스 기반 상호인식차를 최소화하는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The interior service providing method for minimizing the mutual recognition difference based on the image datab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may include an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terminal (this may include a program included in a platform or an operating system basically mounted in the terminal). ), And may be executed by an application (that is, a program) installed by the user directly on the master terminal through an application providing server such as an application store server, an application, or a web server related to a corresponding service. In this sense, the interior service providing method for minimizing the mutual recognition difference based on the image datab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implemented as an application (that is, a program) basically installed in a terminal or directly installed by a user, and the like. It can be recorded o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on only,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understand that it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similarly,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and it should be interpreted that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equivalent concepts thereof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Claims (7)

인테리어가 적용될 공간의 정보를 입력하고, 적어도 하나의 디자인 스타일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단계별로 선택하되 최종적으로 공간별 이미지를 선택하고, 단계별 이미지 및 공간별 이미지의 선택으로 생성된 가상의 인테리어 이미지를 수신하여 디자인 작업 진행을 컨펌하고, 적어도 하나의 공간별 투시도가 수신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별 투시도 중 어느 하나의 공간별 투시도를 선택하여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공간의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공간의 정보를 매핑하여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적어도 하나의 디자인 스타일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단계별 및 공간별로 제공하여 선택하도록 하는 선택제공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선택된 단계별 이미지 및 공간별 이미지를 기반으로 가상의 인테리어 이미지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디자인 작업 진행을 컨펌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디자이너 단말을 추출하여 상기 공간의 정보와 상기 선택된 단계별 이미지 및 공간별 이미지를 공유하는 공유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자이너 단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공간별 투시도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전달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별 투시도 중 어느 하나의 공간별 투시도를 선택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인테리어 업체 단말로 견적을 의뢰하고 피드백을 받아 인테리어 업체를 선정하는 업체선정부를 포함하는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서버는, 제 1 단계의 디자인 스타일에 모던 인테리어 스타일, 클래식 스타일 및 네추럴 인테리어 스타일의 세부 설명과, 상기 각 스타일을 대표하는 제 1 단계 이미지가 각각 매핑되어 저장되고, 제 2 단계의 디자인 스타일은, 상기 모던 인테리어 스타일의 하위 스타일인 미니멀 스타일, 젠 스타일, 및 북유럽 스타일의 세부 설명과, 상기 미니멀 스타일, 젠 스타일 및 북유럽 스타일을 대표하는 제 2 단계 이미지가 각각 매핑되어 저장되고, 상기 제 2 단계의 디자인 스타일은, 상기 클래식 스타일의 하위 스타일인 로맨틱 스타일, 젠 스타일, 앤틱 스타일, 및 네오클래식 스타일의 세부 설명과, 상기 로맨틱 스타일, 젠 스타일, 앤틱 스타일 및 네오클래식 스타일을 대표하는 제 2 단계 이미지가 각각 매핑되어 저장되고, 상기 제 2 단계의 디자인 스타일은, 상기 네추럴 인테리어 스타일의 하위 스타일인 캐주얼 스타일, 프로방스&컨트리 스타일, 및 에스닉 스타일의 세부 설명과, 상기 캐주얼 스타일, 프로방스&컨트리 스타일, 및 에스닉 스타일을 대표하는 제 2 단계 이미지가 각각 매핑되어 저장되고, 제 3 단계의 디자인 스타일은 상기 제 1 단계 및 제 2 단계의 디자인 스타일이 적용된 공간별 이미지와, 공간별 키워드가 각각 매핑되어 저장되는 이미지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공유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디자인 작업 진행을 컨펌하는 경우, 상기 공간의 정보에 인테리어가 진행될 공간의 도면이 포함되지 않은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 도면을 요청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도면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공간의 정보에 상기 도면을 포함시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자이너 단말과 공유하고,
상기 업체선정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거주지 또는 상기 인테리어가 진행될 공간의 위치를 기준으로 기 설정된 반경 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인테리어 업체 단말을 추출하여 견적을 의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데이터베이스 기반 상호인식차를 최소화하는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
Enter the information of the space to which the interior will be applied, select the image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design style step by step, finally select the image for each space, and receive the virtual interior image created by selecting the step-by-step image and the image for each space A user terminal configured to confirm the progress of the design work and to select and transmit any one of the spatial perspectives among the at least one spatial perspectives when at least one spatial perspective is received; And
When information of the space is inputted from the user terminal, a storage unit that maps and stores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and the space, and provides images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design style to the user terminal by step and space for selection A selection providing unit to perform, a transmission unit that generates a virtual interior image based on the step-by-step image selected by the user terminal and a space-specific image, and transmits it to the user terminal. When the user terminal confirms the progress of the design work, at least one A sharing unit for extracting a designer terminal and sharing the information of the space, the selected step-by-step image, and a space-specific image, and a transmission unit that receives at least one perspective view by space from the at least one designer terminal and transmits it to the user terminal. The enemy in the user terminal If any one of the perspective view of each space is selected, the interior service providing server including a company selection unit that requests an estimate with at least one interior company terminal and selects an interior company by receiving feedback; includes ,
In the interior service providing server, a detailed description of a modern interior style, a classic style, and a natural interior style and a first stage image representing each style are mapped and stored in the design style of the first stage, respectively, and the second stage The design style is a sub-style of the modern interior style, the minimal style, the gen style,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Nordic style, and the second stage images representing the minimal style, the gen style, and the Nordic style are mapped and stored, respectively. The design style of the second stage is a sub-style of the above-mentioned classic style,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omantic style, the gen style, the antique style, and the neoclassic style, and the representative representing the romantic style, the gen style, the antique style, and the neoclassic style. Step 2 images are mapped and stored respectively, and the second stage The design style of the system includes a detailed description of casual style, provence & country style, and ethnic style, which are sub-styles of the natural interior style, and a second stage image representing the casual style, provence & country style, and ethnic style. Each mapped and stored, and the design style of the third step further includes a space-specific image to which the design styles of the first and second steps are applied, and an image database in which keywords for each space are mapped and stored, respectively;
The sharing unit, when confirming the progress of the design work at the user terminal, when the space information does not include a drawing of the space where the interior is to be processed, requests a drawing from the user terminal, and the drawing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In case the information of the space is included in the drawing and shared with the at least one designer terminal,
Minimizing the mutual recognition difference based on the image databas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mpany selection unit extracts at least one interior company terminal located within a preset radius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s residence or the space where the interior is to be processed, and requests an estimate. Interior service providing system.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단계별 디자인 스타일을 대표하는 이미지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데이터베이스 기반 상호인식차를 최소화하는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image representing the design style for each stage includes at least one image. An image database-based interior service providing system that minimizes mutual recognition differenc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선택된 단계별 이미지 및 공간별 이미지는 복수이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디자인 작업 진행을 컨펌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전송부는, 상기 가상의 인테리어 이미지를 생성할 때 사용된 단계별 이미지 및 공간별 이미지를 제외한 단계별 이미지 및 공간별 이미지를 이용하여 가상의 인테리어 이미지를 재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데이터베이스 기반 상호인식차를 최소화하는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step-by-step image and the image for each space selected in the user terminal are plural,
If the user terminal does not confirm the progress of the design work, the transmitting unit uses the virtual interior image by using the step-by-step image and the space-by-space image except for the step-by-step image and the space-by-space image used when generating the virtual interior image. Interior service providing system that minimizes mutual recognition difference based on image database characterized by regenera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인테리어 업체가 선정된 후 시공 및 감리가 완료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정산요청을 전송하여 인테리어 비용을 정산받고, 상기 디자이너 단말 및 인테리어 업체 단말로 디자인 비용 및 인테리어 시공비를 정산하는 정산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데이터베이스 기반 상호인식차를 최소화하는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interior service providing server,
When the interior company is selected, when construction and supervision are completed, a settlement request is sent to the user terminal to calculate the interior cost, and the designer terminal and the interior company terminal to settle the design cost and interior construction cost;
Interior service providing system for minimizing mutual recognition difference based on an image database, further comprising a.
KR1020190054284A 2019-05-09 2019-05-09 System for providing image database based interior design service minimizing difference between client and designer KR10208910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4284A KR102089100B1 (en) 2019-05-09 2019-05-09 System for providing image database based interior design service minimizing difference between client and desig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4284A KR102089100B1 (en) 2019-05-09 2019-05-09 System for providing image database based interior design service minimizing difference between client and design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9100B1 true KR102089100B1 (en) 2020-03-13

Family

ID=69938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4284A KR102089100B1 (en) 2019-05-09 2019-05-09 System for providing image database based interior design service minimizing difference between client and desig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9100B1 (en)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82389A (en) * 2020-07-23 2020-11-03 上海鸿臣互动传媒有限公司 Customization system applied to secondary processing of materials
KR20220072381A (en) * 2020-11-25 2022-06-02 주식회사 어반베이스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mmending object on adjacent trunk line based on data structure of trunk line connection generated from big data of interior service
KR20220072385A (en) * 2020-11-25 2022-06-02 주식회사 어반베이스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mmending object on adjacent trunk line based on data structure of trunk line connection generated from big data of interior service
KR102481969B1 (en) * 2021-07-16 2022-12-27 주식회사 코스비 System for providing interior service providing three-dimentional simulation video
KR102511502B1 (en) * 2022-12-28 2023-03-17 주식회사 엠쓰리시스템즈 Ai based architecture decision making support system
KR102533499B1 (en) * 2022-10-13 2023-05-17 주식회사 디자인 홈파베르 User-customized interior design recommedating platform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WO2023140402A1 (en) * 2022-01-21 2023-07-27 주식회사 어반베이스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mmending adjacent main line object, based on main line connection data structure constructed from bigdata of interior service
WO2023140403A1 (en) * 2022-01-21 2023-07-27 주식회사 어반베이스 Regression edge object recommendation device and method based on edge connection data structure constructed from big data of interior design service
KR102634668B1 (en) * 2023-05-10 2024-02-13 주식회사 디자인짜임 A building remodeling method to reduce construction waste generation
KR102665885B1 (en) * 2024-02-01 2024-05-14 주식회사 디자인짜임 Building remodeling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based on construction waste calculation
KR102666577B1 (en) * 2024-02-07 2024-05-20 윤은혜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interior construction ordering system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8784A (en) * 2000-06-28 2000-10-05 함이규 Method for simulation to building interior and manufacture of the same
KR20160089825A (en) * 2015-01-20 2016-07-28 주식회사스페이스레븐 Method and platform for two-way information service of position-based interior design
KR20170139903A (en) * 2016-06-10 2017-12-20 박희정 interior service method and interior service system
KR20180001259A (en) * 2016-06-27 2018-01-04 (주) 아키드로우 Apparatus and Method of Processing for Interior Information
KR101869356B1 (en) * 2017-03-27 2018-06-20 주식회사 한진모드 information provider system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8784A (en) * 2000-06-28 2000-10-05 함이규 Method for simulation to building interior and manufacture of the same
KR20160089825A (en) * 2015-01-20 2016-07-28 주식회사스페이스레븐 Method and platform for two-way information service of position-based interior design
KR20170139903A (en) * 2016-06-10 2017-12-20 박희정 interior service method and interior service system
KR20180001259A (en) * 2016-06-27 2018-01-04 (주) 아키드로우 Apparatus and Method of Processing for Interior Information
KR101869356B1 (en) * 2017-03-27 2018-06-20 주식회사 한진모드 information provider system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82389A (en) * 2020-07-23 2020-11-03 上海鸿臣互动传媒有限公司 Customization system applied to secondary processing of materials
CN111882389B (en) * 2020-07-23 2024-01-23 上海观池聚光数字科技有限公司 Customization system applied to secondary processing of materials
KR20220072381A (en) * 2020-11-25 2022-06-02 주식회사 어반베이스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mmending object on adjacent trunk line based on data structure of trunk line connection generated from big data of interior service
KR20220072385A (en) * 2020-11-25 2022-06-02 주식회사 어반베이스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mmending object on adjacent trunk line based on data structure of trunk line connection generated from big data of interior service
KR102443166B1 (en) 2020-11-25 2022-09-14 주식회사 어반베이스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mmending object on adjacent trunk line based on data structure of trunk line connection generated from big data of interior service
KR102492699B1 (en) * 2020-11-25 2023-01-27 주식회사 어반베이스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mmending object on adjacent trunk line based on data structure of trunk line connection generated from big data of interior service
KR102481969B1 (en) * 2021-07-16 2022-12-27 주식회사 코스비 System for providing interior service providing three-dimentional simulation video
WO2023140403A1 (en) * 2022-01-21 2023-07-27 주식회사 어반베이스 Regression edge object recommendation device and method based on edge connection data structure constructed from big data of interior design service
WO2023140402A1 (en) * 2022-01-21 2023-07-27 주식회사 어반베이스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mmending adjacent main line object, based on main line connection data structure constructed from bigdata of interior service
KR102533499B1 (en) * 2022-10-13 2023-05-17 주식회사 디자인 홈파베르 User-customized interior design recommedating platform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KR102511502B1 (en) * 2022-12-28 2023-03-17 주식회사 엠쓰리시스템즈 Ai based architecture decision making support system
KR102634668B1 (en) * 2023-05-10 2024-02-13 주식회사 디자인짜임 A building remodeling method to reduce construction waste generation
KR102665885B1 (en) * 2024-02-01 2024-05-14 주식회사 디자인짜임 Building remodeling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based on construction waste calculation
KR102666577B1 (en) * 2024-02-07 2024-05-20 윤은혜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interior construction ordering system
KR102666571B1 (en) * 2024-02-07 2024-05-20 윤은혜 Complex interior design and production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9100B1 (en) System for providing image database based interior design service minimizing difference between client and designer
CN109960453B (en) Removing and replacing objects in images according to guided user sessions
US11216861B2 (en) Color based social networking recommendations
US11899681B2 (en) Knowledge graph building method, electronic apparatus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CN109344223B (en) Building information model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based on cloud computing technology
US11023545B2 (en)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recommended contents
US8374914B2 (en) Advertising using image comparison
US9268826B2 (en) System and method for crowdsourced template based search
JP2021061034A (e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questionnaire
JP2022091890A (en) SYSTEMS AND METHODS FOR CREATING USER-MANAGED ONLINE PAGES (MAPpages) LINKED TO LOCATIONS ON INTERACTIVE DIGITAL MAP
KR102402026B1 (en) System for providing virtual space renting service using virtual space archive
US1077644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reating user-managed online pages (MAPpages) linked to locations on an interactive digital map
US2016016258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arching information using graphical user interface
Anichini et al. Developing the ArchAIDE application: a digital workflow for identifying, organising and sharing archaeological pottery using automated image recognition
Purificato et al. Multimedia and geographic data integration for cultural heritage information retrieval
CN110968801A (en) Real estate product searching method,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device
CN101957825A (en) Method for searching image based on image and video content in webpage
Jaillot et al. Delivering time-evolving 3D city models for web visualization
US20200073925A1 (e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a website from collected content
CN115329131A (en) Material label recommendation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CN103842997A (en) Searching for and creating an adaptive content
CN116089745A (en) Information recommendation metho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US11373057B2 (en) Artificial intelligence driven image retrieval
KR20220108914A (en) System for providing image database based interior design service
CN116205687A (en) Intelligent recommendation method based on multi-source data fus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