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1702B1 - 하나 이상의 스태빌라이저를 갖는 표면 처리 장치용 청소 헤드 및 이를 갖는 표면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하나 이상의 스태빌라이저를 갖는 표면 처리 장치용 청소 헤드 및 이를 갖는 표면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1702B1
KR102481702B1 KR1020217011620A KR20217011620A KR102481702B1 KR 102481702 B1 KR102481702 B1 KR 102481702B1 KR 1020217011620 A KR1020217011620 A KR 1020217011620A KR 20217011620 A KR20217011620 A KR 20217011620A KR 102481702 B1 KR102481702 B1 KR 1024817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bilizer
cleaning head
surface cleaning
neck portion
ne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16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57810A (ko
Inventor
제이슨 비. 손
카이 쑤
브루스 청
이안 리우
아이밍 쑤
웬시우 가오
안드레 디. 브라운
사무엘 엠리스 제임스
조단 리드글레이
니콜라스 사다르
크리스토퍼 핀체스
데이비드 에스. 클레어
리 엠. 코트렐
Original Assignee
샤크닌자 오퍼레이팅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샤크닌자 오퍼레이팅 엘엘씨 filed Critical 샤크닌자 오퍼레이팅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2100578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78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17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17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8Suction cleaners with handles and nozzles fixed on the casings, e.g. wheeled suction cleaners with steering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55Bearing mea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09Storing devices ; Supports, stands or holders
    • A47L9/0054Stands or the like for temporary interruption of work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9Carrying-vehicles; Arrangements of trollies or wheels; Means for avoiding mechanical obsta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표면 청소 헤드 예시는 본체, 본체에 피봇식으로 결합된 네크부, 스태빌라이저, 및 본체와 스태빌라이저에 피봇식으로 결합된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는 네크부의 피봇 이동에 응답하여 스태빌라이저가 연장 위치와 수축 위치 사이에서 전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하나 이상의 스태빌라이저를 갖는 표면 처리 장치용 청소 헤드 및 이를 갖는 표면 처리 장치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발명의 명칭이 "Cleaning Head for a Surface Treatment Apparatus having one or more Stabilizers and Surface Treatment Apparatus having the same"이고 2018년 9월 19일에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2/733,239호, 및 발명의 명칭이 "Cleaning Head for a Surface Treatment Apparatus having one or more Stabilizers and Surface Treatment Apparatus having the same"이고 2019년 6월 17일에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2/862,436호의 이익을 주장하며, 이들 각각은 참조로서 본원에 완전히 포함된다.
기술분야
본 개시는 일반적으로 표면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하나 이상의 스태빌라이저를 갖는 표면 처리 장치용 청소 헤드에 관한 것이다.
표면 처리 장치는 표면(예, 바닥)으로부터 부스러기를 흡입하도록 구성된 진공 청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진공 청소기는, 표면(예, 카펫)을 흔들어 부스러기를 진공 청소기에 의해 생성된 기류 내로 밀어내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브러시 롤을 갖는, 표면 청소 헤드를 포함할 수 있다. 그 다음, 기류 내의 부스러기는 나중에 폐기하기 위해 부스러기 수집기에 침착될 수 있다.
이러한 특징과 장점 및 다른 특징과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도면과 함께 읽음으로써 더 잘 이해될 것이며, 도면 중,
도 1은 본 개시의 구현예에 따라, 보관 위치에 있는 진공 청소기의 개략적인 도면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개시의 구현예에 따라, 사용 위치에 있는 도 1의 진공 청소기의 개략적인 도면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개시의 구현예에 따라, 완드에 결합된 표면 청소 헤드의 사시도를 도시하며, 여기서 완드는 보관 위치에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구현예에 따라, 사용 위치에 있는 완드를 갖는 도 3의 표면 청소 헤드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개시의 구현예에 따라, 도 3의 표면 청소 헤드 예시의 사시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개시의 구현예에 따라, 도 5의 표면 청소 헤드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개시의 구현예에 따라, 도 3의 표면 청소 헤드의 다른 예시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개시의 구현예에 따라, 도 7의 표면 청소 헤드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9는 본 개시의 구현예에 따라, 도 7의 표면 청소 헤드의 측부도를 나타낸다.
도 10은 본 개시의 구현예에 따라, 보관 위치에서 네크부를 갖는 표면 청소 헤드의 측부도를 나타낸다.
도 11은 본 개시의 구현예에 따라, 사용 위치에서 네크부를 갖는 도 10의 표면 청소 헤드의 측부도를 나타낸다.
도 12는 본 개시의 구현예에 따라, 보관 위치에서 네크부를 갖는 도 10의 표면 청소 헤드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3은 본 개시의 구현예에 따라, 도 10의 네크부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4는 본 개시의 구현예에 따라, 도 10의 네크부의 다른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5는 본 개시의 구현예에 따라, 네크부가 사용 위치에 있는 도 10의 표면 청소 헤드의 측부도를 나타낸다.
도 16은 본 개시의 구현예에 따라, 표면 청소 헤드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7은 본 개시의 구현예에 따라, 도 16의 표면 청소 헤드의 다른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8은 본 개시의 구현예에 따라, 보관 위치에서 표면 청소 헤드의 측부도를 나타낸다.
도 19는 본 개시의 구현예에 따라, 사용 위치에서 도 18의 표면 청소 헤드의 측부도를 나타낸다.
도 20은 본 개시의 구현예에 따라, 도 18의 표면 청소 헤드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1은 본 개시의 구현예에 따라, 도 18의 표면 청소 헤드의 다른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2는 본 개시의 구현예에 따라, 보관 위치에서 표면 청소 헤드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3은 본 개시의 구현예에 따라, 사용 위치에서 도 22의 표면 청소 헤드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4는 본 개시의 구현예에 따라, 흡입 장치에 결합된 도 22의 표면 청소 헤드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5는 본 개시의 구현예에 따라, 표면 청소 헤드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26은 본 개시의 구현예에 따라, 연장 위치에서 복수의 스태빌라이저를 갖는 표면 청소 헤드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7은 본 개시의 구현예에 따라, 수축 위치에서 복수의 스태빌라이저를 갖는 도 26의 표면 청소 헤드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8은 본 개시의 구현예에 따라, 도 26의 표면 청소 헤드의 상부도를 나타낸다.
도 29는 본 개시의 구현예에 따라, 도 27의 표면 청소 헤드의 상부도를 나타낸다.
도 30은 본 개시의 구현예에 따라, 도 26의 표면 청소 헤드 일부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31은 본 개시의 구현예에 따라, 도 26의 표면 청소 헤드의 연결부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32는 본 개시의 구현예에 따라, 도 26의 스태빌라이저를 체결하는 제1 피봇 위치에서의 도 31의 연결부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33은 본 개시의 구현예에 따라, 도 26의 스태빌라이저를 체결하는 제2 피봇 위치에서의 도 31의 연결부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34는 본 개시의 구현예에 따라, 도 26의 스태빌라이저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35는 본 개시의 구현예에 따라, 연장 위치에서 스태빌라이저를 갖는 표면 청소 헤드의 개략적인 측부도를 나타낸다.
도 36은 본 개시의 구현예에 따라, 수축 위치에서 스태빌라이저를 갖는 도 35의 표면 청소 헤드의 개략적인 측부도를 나타낸다.
도 37은 본 개시의 구현예에 따라, 연장 위치에서 스태빌라이저를 갖는 표면 청소 헤드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38은 본 개시의 구현예에 따라, 수축 위치에서 스태빌라이저를 갖는 도 37의 표면 청소 헤드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39는 본 개시의 구현예에 따라, 연장 위치에서 스태빌라이저를 갖는 표면 청소 헤드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40은 본 개시의 구현예에 따라, 수축 위치에서 스태빌라이저를 갖는 도 39의 표면 청소 헤드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41은 본 개시의 구현예에 따라, 도 37의 표면 청소 헤드 본체 일부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42는 본 개시의 구현예에 따라, 도 41의 본체 일부의 다른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43은 본 개시의 구현예에 따라, 표면 청소 헤드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44는 본 개시의 구현예에 따라, 연장 위치에서 스태빌라이저를 갖는 표면 청소 헤드의 개략적인 측부도를 나타낸다.
도 45는 본 개시의 구현예에 따라, 수축 위치에서 스태빌라이저를 갖는 도 44의 표면 청소 헤드의 개략적인 측부도를 나타낸다.
도 46은 본 개시의 구현예에 따라, 연장 위치에서 스태빌라이저를 갖는 표면 청소 헤드의 개략적인 측부도를 나타낸다.
도 47은 본 개시의 구현예에 따라, 수축 위치에서 스태빌라이저를 갖는 도 46의 표면 청소 헤드의 개략적인 측부도를 나타낸다.
도 48은 본 개시의 구현예에 따라, 연장 위치에서 스태빌라이저를 갖는 표면 청소 헤드의 측부도를 나타낸다.
도 49는 본 개시의 구현예에 따라, 수축 위치에서 스태빌라이저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50은 본 개시의 구현예에 따라, 연장 위치에서 도 49의 스태빌라이저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51은 본 개시의 구현예에 따라, 스태빌라이저를 갖는 표면 청소 헤드의 개략적인 측부도를 나타낸다.
도 52는 본 개시의 구현예에 따라, 제1 위치에서 스태빌라이저 시스템을 갖는 진공 청소기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53은 본 개시의 구현예에 따라, 제2 위치에서 스태빌라이저 시스템을 갖는 도 52의 진공 청소기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나타낸다.
본 개시는, 일반적으로 직립부 및 직립부에 피봇식으로 결합된 표면 청소 헤드를 갖는 표면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직립부는, 표면 청소 헤드에 대해 직립부를 피봇시킴으로써, 사용 위치와 보관 위치 사이에서 전환 가능하다. 표면 청소 헤드는, 예를 들어 보관 위치와 사용 위치 사이에서 직립부를 전이시키는 것에 응답하여 연장 위치에서 수축 위치로 전이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스태빌라이저를 포함한다. 스태빌라이저는, 예를 들어 표면 처리 장치가 표면 처리 장치의 사용을 실질적으로 방해하지 않고 사용 중이지 않을 경우에, 표면 처리 장치의 안정성을 개선할 수 있다. 이는, 표면 처리 장치가 부주의하게 넘어져, 예를 들어 그 자체, 다른 대상, 동물 및/또는 사람에게 손상을 초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진공 청소기(100)의 개략도를 나타내며, 진공 청소기는,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하나 이상의 휠(103)을 갖는 표면 청소 헤드(102), 직립부(104), 먼지 컵(106), 및 흡입 모터(108)를 포함한다. 흡입 모터(108)는, 표면 청소 헤드(102)의 유입구(110) 내로 기류를 발생시켜 부스러기가 청소될 표면(예, 바닥)으로부터 흡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기류에 잡힌 부스러기의 적어도 일부는, 진공 청소기(100)의 사용자에 의한 추후 폐기를 위해 먼지 컵(106) 내에 침착된다. 먼지 컵(106)을 통과한 후에, 기류는 배기 유출구(112)에서 흡입 모터(108)로부터 배기된다. 흡입 모터(108)는,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배터리 및/또는 전기 그리드에 의해 전력이 공급될 수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직립부(104)는 보관(또는 직립) 위치에 있다. 직립부(104)는, 표면 청소 헤드(102)의 본체(101)에 피봇식으로 결합되어서, 직립부(104)는 (예를 들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또는 눕혀진) 위치로 피봇될 수 있다. 보관 위치와 사용 위치 사이에서 전이하는 경우에, 직립부(104)가 피봇하는 축은, 하나 이상의 휠(103)이 회전하는 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관 위치와 사용 위치 사이에서 전이하는 직립부(104)에 응답하고/응답하거나 사용자 상호 작용에 응답하여, 연장 위치(예, 도 1에 나타냄)와 수축 위치(예, 도 2에 나타냄) 사이에서 전이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스태빌라이저(114)가 제공될 수 있다. 스태빌라이저(114)는, 직립부(104)가 보관 위치에 있을 경우에, 진공 청소기(100)로부터 연장되고 표면(예, 바닥)과 체결하도록(예,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스태빌라이저(114)를 포함하지 않는 진공 청소기(100)와 비교하면, 진공 청소기(100)의 안정성을 개선할 수 있다.
직립부(104)가 사용 위치를 향해 피봇됨에 따라, 스태빌라이저(114)는 피봇 이동의 적어도 일부에 대해 수축 위치를 향해서 이동할 수 있어, 스태빌라이저(114)가 진공 청소기(100)의 사용을 실질적으로 방해하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이, 표면 청소 헤드(102)는, 스태빌라이저(114)가 청소될 표면과 체결(예, 접촉)하지 않고 청소될 표면(예, 바닥)을 가로질러 이동할 수 있다. 즉, 진공 청소기(100)의 안정성은, 진공 청소기(100)의 조작 가능성을 실질적으로 방해하지 않고 개선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표면 청소 헤드(102)의 예시일 수 있는 표면 청소 헤드(300)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나타낸 바와 같이, 표면 청소 헤드(300)는, 표면 청소 헤드(300)의 본체(303)에 피봇식으로 결합된, 네크부(302)를 포함한다. 네크부(302)는 완드(304)를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네크부(302)와 완드(304)는, 예를 들어 도 1의 진공 청소기(100)와 같은 진공 청소기의 직립부의 적어도 일부를 총체적으로 형성하는 것으로서 설명될 수 있다. 또한 나타낸 바와 같이, 표면 청소 헤드(300)는, 청소될 표면(301)(예, 바닥)을 가로질러 가압되는 표면 청소 헤드(300)에 응답하여 회전축(308)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주 바퀴(306)를 포함할 수 있다.
네크부(302)는 하나 이상의 축을 중심으로 피봇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크부(302)는, 하나 이상의 휠(306)의 회전축(308)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된 제1 피봇축(310)을 중심으로 피봇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네크부(302)와 완드(304)는, 제1 피봇 축(310)에 대한 피봇에 응답하여 보관 위치(예, 도 3에 나타냄)와 사용 위치(예, 도 4에 나타냄) 사이에서 전이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네크부(302)는 하나 이상의 휠(306)의 회전축(308)을 가로질러(예를 들어, 이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제2 피봇축(312)을 중심으로 좌우로 피봇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표면 청소 헤드(300)를 더욱 쉽게 조작시킬 수 있다.
완드(304)는, 공기 유입구(316)를 통해 표면 청소 헤드(300) 내로 흡인된 공기가 완드(304)를 통과할 수 있도록, 유체 채널(314)을 정의할 수 있다. 즉, 완드(304)는 표면 청소 헤드(300)에 유체 결합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완드(304)는 네크부(302)에 탈착식으로 결합될 수 있어서, 완드(304)가 표면 청소 헤드(300)와 독립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예를 들어, 완드(304)는 표면 청소 액세서리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음).
나타낸 바와 같이, 표면 청소 헤드(300)는, 스태빌라이저(318)가 청소될 표면(301)과 체결(예, 접촉)하는 연장 위치(예, 도 3에 나타냄)와 스태빌라이저(318)가 청소될 표면(301)과 분리하도록 구성된 수축 위치(예, 도 4에 나타냄) 사이에서 전이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스태빌라이저(318)를 포함한다. 스태빌라이저(318)는, 예를 들어 네크부(302)가 보관 위치와 사용 위치 사이에서 피봇하는 것에 응답하여, 연장 위치와 수축 위치 사이에서 전이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네크부(302)가 보관 위치로부터 사용 위치를 향해서 전이되는 경우에, 스태빌라이저(318)는 연장 위치에서 수축 위치로 전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태빌라이저(318)는, 네크부(302)가 사용 위치에 있을 경우에, 청소될 표면(301)을 가로질러 표면 청소 헤드(300)의 이동을 실질적으로 방해하지 않아야 한다. 추가 예시로서, 목(302)이 사용 위치로부터 보관 위치로 전이하는 경우에, 스태빌라이저(318)는 수축 위치에서 연장 위치로 전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네크부(302)가 보관 위치에 있을 경우에, 스태빌라이저(318)는, 예를 들어 전복될 가능성이 더 적어지도록 표면 청소 헤드(300)의 안정성을 개선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스태빌라이저(318)는 이에 결합된 하나 이상의 휠(예, 적어도 하나의 휠(306) 및/또는 추가 휠)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태빌라이저(318)가 연장 위치에 있을 경우에, 하나 이상의 휠은, 휠이 청소될 표면(301)과 롤링식으로 체결될 수 있도록 청소될 표면(301)과 체결(예,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스태빌라이저(318)는 네크부(302)의 피봇 이동의 일부에 대해서만 연장되거나 수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태빌라이저(318)는, 네크부(302)가 보관 위치를 향해서 전이하는 경우 및 네크부(302)가 보관 위치의 소정 각도(예, 2°, 5°, 7°, 10°, 15°, 및/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각도) 내에 있을 경우에, 연장되기 시작할 수 있다. 즉, 스태빌라이저(318)는, 소정의 범위 내에서 피봇하는 네크부(302)에 응답하여 연장 위치와 수축 위치 사이에서 전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나타낸 바와 같이, 스태빌라이저(318)가 연장 위치에 있을 경우에, 스태빌라이저(318)는 하나 이상의 휠(306) 뒤에 연장되어, 하나 이상의 휠(306)이 스태빌라이저(318)의 적어도 일부분과 표면 청소 헤드(300)의 공기 유입구(316) 사이에 배치되도록 한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스태빌라이저(318)가 연장 위치에 있을 경우에, 완드(304)는, 표면 청소 헤드(300)의 본체(303)와 스태빌라이저(318)의 가장 원위인 부분(예, 청소될 표면(301)과 체결하도록 구성된 스태빌라이저(318)의 일부)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스태빌라이저(318)가 수축 위치에 있을 경우에, 하나 이상의 휠(306)이 청소될 표면(301)과 스태빌라이저(318)의 적어도 일부 사이에 배치되도록, 스태빌라이저(318)의 적어도 일부는 표면 청소 헤드(300)의 본체(303) 내에 정의된 공동 내로 전이할 수 있다.
또한 나타낸 바와 같이, 일부 경우에, 복수의 스태빌라이저(318)가 제공될 수 있다. 이들 경우에, 각각의 스태빌라이저(318)의 길이 방향 축(320)은 표면 청소 헤드(300)의 전방 이동 방향(322)에 대해 가로 방향으로 연장된다. 즉, 길이 방향 축(320)은 서로 횡단하여 연장된다. 결과적으로, 스태빌라이저(318) 사이에서 연장된 분리 거리(324)는, 표면 청소 헤드(300)의 안정성이 개선될 수 있도록, 스태빌라이저(318)가 청소될 표면(301)에 접근함에 따라 증가한다. 다른 경우에, 길이 방향 축(320)은 서로 및/또는 전방 이동 방향(322)에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도 5는, 도 3의 표면 청소 헤드(300)의 일례일 수 있는 표면 청소 헤드(500) 예시의 사시도를 나타내며, 이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상부 커버의 일부가 제거된 것이다. 나타낸 바와 같이, 표면 청소 헤드(500)의 본체(501)는 스태빌라이저(318)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공동(502)을 정의한다. 스태빌라이저(318)는, 보관 위치와 사용 위치 사이에서 네크부(302)를 전이시키는 것에 응답하여 스태빌라이저(318)가 공동(502) 내에서 활주하도록, 공동(502)과 활주 가능하게 체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면 청소 헤드(500)는, 연장 위치와 수축 위치 사이에서 스태빌라이저(318)를 가압하도록 구성된, 돌출부(504)(점선으로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출부(504)는 네크부(302)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돌출부(504)는, 보관 위치와 사용 위치 사이에서 네크부(302)를 전이하는 것에 응답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출부(504)는 스태빌라이저(318)와 체결(예, 접촉)하도록 구성된 연결부(600)에 결합될 수 있다. 사용 위치와 보관 위치 사이에서 네크부(302)의 전이에 응답하여 돌출부(504)가 회전함에 따라 연결부(600)가 수축 위치와 연장 위치 사이에서 스태빌라이저(318)를 전이시키도록, 연결부(600)는 돌출부(504)에 피봇식으로 결합할 수 있다.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부(600)는, 연결부(600)가 피봇함에 따라 플런저(604)가 피봇 아암(602) 내에서 활주하도록, 그 안에 활주 가능하게 배치된 피봇 아암(602) 및 플런저(604)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플런저(604)를 스태빌라이저(318)와 체결시키도록, 편향 기구(예, 스프링)가 제공될 수 있다.
도 5에 또한 나타낸 바와 같이, 스태빌라이저(318)는, 네크부(302)가 보관 위치를 향해서 전이될 때까지 스태빌라이저(318)를 연장 위치에서 유지하도록 구성된, 리브(506)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브(506)는 멈춤쇠와 체결(예,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는, 도 3의 표면 청소 헤드(300)의 예시일 수 있는 표면 청소 헤드(700)의 여러 도면을 나타낸다. 나타낸 바와 같이, 스태빌라이저(318)는, 랙과 피니언이 형성되도록 대응하는 기어와 체결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치형부(70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치형부(702)는, 보관 위치와 사용 위치 사이에서 전이하는 네크부(302)에 응답하여 회전하는, 기어와 체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0은, 도 1의 표면 청소 헤드(102)의 예시일 수 있는 표면 청소 헤드(1000)의 예시를 나타낸다. 나타낸 바와 같이, 표면 청소 헤드(1000)는, 표면 청소 헤드(1000)의 본체(1001)에 피봇식으로 결합된, 네크부(1002)를 포함한다. 네크부(1002)는, 하나 이상의 축을 중심으로 표면 청소 헤드(1000)의 본체(1001)에 대해 피봇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크부(1002)는 직립 위치(예, 도 10에 나타냄)와 사용 위치(예, 도 11에 나타냄) 사이에서 피봇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네크부(1002)는 또한 좌우로 피봇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나타낸 바와 같이, 네크부(1002)는 (예를 들어,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은) 연장 위치와 (예를 들어,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수축 위치 사이에서 전이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스태빌라이저(1004)를 포함한다. 네크부(1002)가 보관 위치로부터 사용 위치를 향해서 전이함에 따라, 스태빌라이저(1004)의 적어도 일부는 표면 청소 헤드(1000)의 본체(1001)를 향해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스태빌라이저(1004)가 표면 청소 헤드(1000)의 본체(1001)를 향해 이동함에 따라, 스태빌라이저(1004)의 일부는 네크부(1002) 내에 형성된 슬롯(1006) 내에서 활주하며, 슬롯(1006)은 네크부(1002)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와 같이, 수축 위치로 전이하는 경우에, 스태빌라이저(1004)의 적어도 일부는 본체(1001)의 방향으로 이동하고, 스태빌라이저의 적어도 일부는 본체(1001)로부터 멀어지게 이동해서 스태빌라이저(1004)가 청소될 표면(예, 바닥)과 체결하지 않게 하도록 한다.
피봇 아암(1008)은 또한 스태빌라이저(1004)의 연장 거리를 제한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피봇 아암(1008)은, 스태빌라이저(1004) 및 네크부(1002) 또는 표면 청소 헤드(1000)의 본체(1001)에 피봇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태빌라이저(1004)가 슬롯(1006)을 따라 활주함에 따라, 피봇 아암(1008)은 스태빌라이저(1004) 및 네크부(1002) 또는 본체(1001)에 대해 피봇한다.
일부 경우에, 스태빌라이저(1004)는 네크부(1002)의 피봇 이동의 일부에 대해서만 연장되거나 수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태빌라이저(1004)는, 네크부(1002)가 보관 위치를 향해서 전이하는 경우 및 네크부(1002)가 보관 위치의 소정 각도(예, 2°, 5°, 7°, 10°, 15°, 및/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각도) 내에 있을 경우에, 연장되기 시작할 수 있다. 즉, 스태빌라이저(1004)는, 소정의 범위 내에서 피봇하는 네크부(1002)에 응답하여 연장 위치와 수축 위치 사이에서 전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2는, 도 10의 표면 청소 헤드(1000)의 측면 사시도이다. 나타낸 바와 같이, 네크부(1002)는 그로부터 연장되도록 구성된 복수의 스태빌라이저(1004)를 포함할 수 있다.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의 스태빌라이저(1004)의 길이 방향 축(1200)은, 이송 전방 방향(1202)에 대해 가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길이 방향 축(1200)은 서로 가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태빌라이저(1004)가 표면 청소 헤드(1000)의 본체(100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때, 스태빌라이저(1004) 사이에서 연장된 분리 거리(1204)는 증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표면 청소 헤드(1000)의 안정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다른 경우에, 길이 방향 축(1200)은 서로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도 13은, 수축 위치에서 스태빌라이저(1004)를 갖는 도 10의 네크부(1002)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14는 연장 위치에 스태빌라이저(1004)를 갖는 네크부(1002)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5는 사용 위치에 네크부(1002)를 갖는 표면 청소 헤드(1000)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16은, 도 1의 표면 청소 헤드(102)의 예시일 수 있는 표면 청소 헤드(1600)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나타낸 바와 같이, 표면 청소 헤드(1600)는, 표면 청소 헤드(1600)의 본체(1601)에 피봇식으로 결합된, 네크부(1602)를 포함한다. 네크부(1602)는 보관 위치와 사용 위치 사이에서 피봇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경우에, 네크부(1602)는 또한 좌우로 피봇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스태빌라이저(1604)는 네크부(1602)에 결합되고, (예를 들어,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은) 연장 위치와 (예를 들어,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축 위치에서 전이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스태빌라이저(1604)는 레버(1606)의 작동에 응답하여 수축 위치에서 연장 위치로 전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레버(1606)는 사용자에 의해 (예를 들어, 풋을 사용하여 레버(1606)를 누르는 사용자에 응답하여) 작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추가 예시로서, 하나 이상의 스태빌라이저(1604)는 레버(1606)의 후속 작동에 응답하여 연장 위치에서 수축 위치로 전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태빌라이저(1604)는, 레버(1606)의 후속 작동이 편향 기구(예, 스프링)으로 하여금 스태빌라이저(1604)를 수축 위치를 향해 가압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가 하나 이상의 스태빌라이저(1604)를 연장할 때를 결정할 수 있게 함으로써, 예를 들어 네크부(1602)가 보관 위치에 있을 때, 사용자가 진공 청소기를 보다 쉽게 조작할 수 있게 한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스태빌라이저(1604)는, 네크부(1602)가 보관 위치로부터 사용 위치를 향해서 전이하는 것에 응답하여 연장 위치에서 수축 위치로 전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나타낸 바와 같이, 연장 위치와 수축 위치 사이에서 전이하는 경우에, 스태빌라이저(1604)는 네크부(1602) 내에 형성된 슬롯(1608) 내에서 활주한다. 피봇 아암(1610)은 또한 스태빌라이저(1604) 및 네크부(1602) 또는 표면 청소 헤드(1600)의 본체(1601)에 피봇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피봇 아암(1610)은, 스태빌라이저(1604)가 표면 청소 헤드(1600)의 본체(1601)로부터 연장될 수 있는 거리를 제한한다.
일부 경우에, 그리고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스태빌라이저(1604)가 네크부(1602)에 결합될 수 있다. 각각의 스태빌라이저(1604)의 길이 방향 축(1612)은, 표면 청소 헤드(1600)의 전방 이동 방향(1614)을 가로질러 연장될 수 있다. 즉, 길이 방향 축(1612)은 서로 가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다른 경우에, 길이 방향 축(1612)은 서로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스태빌라이저(1604) 및 레버(1606)는, 네크부(1602)에 탈착식으로 결합된 스태빌라이저 어셈블리의 일부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태빌라이저 어셈블리는 진공 청소기의 사용자에 의해 설치될 수 있다.
도 18은, 도 1의 표면 청소 헤드(102)의 예시일 수 있는 표면 청소 헤드(1800)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나타낸 바와 같이, 표면 청소 헤드(1800)는, 표면 청소 헤드(1800)의 본체(1801)에 피봇식으로 결합된, 네크부(1802)를 포함한다. 네크부(1802)는 보관 위치(예, 도 18에 나타냄)와 사용 위치(예, 도 19에 나타냄) 사이에서 좌우로 피봇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네크부(1802)가 보관 위치에 있을 경우에, 스태빌라이저(1804)는 표면 청소 헤드(1800)의 본체(1801)로부터 연장되도록 구성된다. 스태빌라이저(1804)는, 네크부(1802)가 보관 위치로 전이되는 경우에 (예를 들어,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은) 연장 위치로 전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태빌라이저(1804)는, 스태빌라이저(1804)를 연장 위치를 향해 가압하는 편향 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네크부(1802)가 보관 위치로 전이하는 경우에, 네크부(1802)는 스태빌라이저(1804)가 연장되도록 래치를 해제할 수 있다.
또한 나타낸 바와 같이, 스태빌라이저(1804)는 복수의 접이식 부분(1806)을 포함하며, 접이식 부분(1806)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접이식 부분(1806)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가장 원위인 접이식 부분(1806)은 그로부터 연장된 지지부(1808)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1808)는, 지지부(1808)가 표면 청소 헤드(1800)가 안착하는 표면(예, 바닥)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소정의 각도에서 가장 원위인 접이식 부분(1806)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스태빌라이저(1804)는, 접이식 부분(1806) 중 하나 이상이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접이식 부분(1806) 내에 수용되도록 사용자가 접이식 부분(1806)에 힘을 가하는 것에 응답하여 연장 위치에서 (예를 들어,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은) 수축 위치로 전이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스태빌라이저(1804)는, 사용 위치에서 보관 위치로 전이하는 네크부(1802)에 응답하여 연장 위치에서 수축 위치로 전이할 수 있다.
도 20은 연장 위치에서의 스태빌라이저(1804)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21은 수축 위치에서의 스태빌라이저(1804)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나타낸 바와 같이, 스태빌라이저(1804)는 제1 복수의 접이식 부분(2000)과 제2 복수의 접이식 부분(200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복수의 접이식 부분(2000 및 2002)은 표면 청소 헤드(1800)의 대향면들 상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네크부(1802) 및 하나 이상의 휠(2004)은, 제1 및 제2 복수의 접이식 부분(2000 및 2002)의 적어도 일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부(1808)는 제1 및 제2 복수의 접이식 부분(2000 및 2002)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다. 스태빌라이저(1804)를 연장 위치에서 수축 위치로 전이시키기 위해, 사용자는 (예를 들어, 풋을 사용하여) 지지부(1808)에 힘을 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네크부(1802)를 사용 위치로 전이시키는 동안에, 스태빌라이저(1804)를 수축 위치로 전이시킬 수 있다.
도 22는, 도 1의 표면 청소 헤드(102)의 예시일 수 있는 표면 청소 헤드(2200)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나타낸 바와 같이, 표면 청소 헤드(2200)는, 표면 청소 헤드(2200)의 본체(2204)에 피봇식으로 결합된, 네크부(2202)를 포함한다. 네크부(2202)는 보관 위치(예, 도 22에 나타냄)와 사용 위치(예, 도 23에 나타냄) 사이에서 좌우로 피봇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나타낸 바와 같이, 표면 청소 헤드(2200)는 (예를 들어,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은) 연장 위치와 (예를 들어,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은) 수축 위치 사이에서 전이하도록 구성된 스태빌라이저(2206)를 포함할 수 있다. 스태빌라이저(2206)는, 예를 들어 보관 위치와 사용 위치 사이에서 네크부(2202)가 전이하는 것에 응답하여 연장 위치와 수축 위치 사이에서 전이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스태빌라이저(2206)는 네크부(2202)의 피봇 이동의 일부에 대해서만 연장되거나 수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태빌라이저(2206)는, 네크부(2202)가 보관 위치를 향해서 전이하는 경우 및 네크부(2202)가 보관 위치의 소정 각도(예, 2°, 5°, 7°, 10°, 15°, 및/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각도) 내에 있을 경우에, 연장되기 시작할 수 있다. 즉, 스태빌라이저(2206)는, 소정의 범위 내에서 피봇하는 네크부(2202)에 응답하여 연장 위치와 수축 위치 사이에서 전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태빌라이저(2206)는 하나 이상의 휠(2208)에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태빌라이저(2206)가 연장 위치와 수축 위치 사이에서 전이하는 경우에, 스태빌라이저(2206)는 (예를 들어,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은) 연장 위치와 (예를 들어,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은) 수축 위치 사이에서 하나 이상의 휠(2208)을 가압한다. 수축 위치에 있을 경우에, 하나 이상의 휠(2208)은, 청소 작업 중에 표면(예, 바닥) 위로 표면 청소 헤드(2200)를 조작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연장 위치에 있을 경우에, 하나 이상의 휠(2208)은, 네크부(2202)가 보관 위치에 있을 경우에 표면 청소 헤드(2200)의 안정성을 개선하면서 여전히 표면 청소 헤드(2200)를 하나 이상의 휠(2208)을 사용하여 표면 위로 조작시킬 수 있다(예, 도 24에 나타냄).
나타낸 바와 같이, 스태빌라이저(2206)는, 표면 청소 헤드(2200)의 본체(2204)의 적어도 일부에 정의된 트랙(2210)과 활주 가능하게 체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트랙(2210)은 네크부(2202)의 적어도 일부에 정의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그리고 나타낸 바와 같이, 트랙(2210)은 하나 이상의 휠(2208)이 수축 위치에 있을 경우에 하나 이상의 휠(2208)의 최후방 부분을 지나 연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수축 위치에 있을 경우에, 하나 이상의 휠(2208)은, 표면 청소 헤드(2200)의 본체(2204)와 트랙(2210)의 가장 원위인 부분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시에서, 트랙(2210)은, 하나 이상의 휠(2208)이 수축 위치에 있을 경우에 트랙이 하나 이상의 휠(2208)을 지나 연장되지 않도록, 본체(2204) 내에 정의될 수 있다.
도 25는, 도 1의 표면 청소 헤드(102)의 예시일 수 있는 표면 청소 헤드(2500)의 개략적인 도면을 나타낸다. 나타낸 바와 같이, 표면 청소 헤드(2500)는, 회전축(2504)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스태빌라이저(2502)를 포함한다. 일부 경우에, 회전축(2504)은, 표면 청소 헤드(2500)의 본체(2508)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하나 이상의 휠(2506)이 회전하는 축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장 위치에 있을 경우에, 하나 이상의 휠(2506)은 표면 청소 헤드(2500)의 본체(2508)와 스태빌라이저(2502)의 적어도 일부 사이에 배치된다. 수축 위치에 있을 경우에, 스태빌라이저(2502)는 표면 청소 헤드(2500)의 본체(2508) 내에 정의된 해당 수용부(2510) 내에 수용된다.
스태빌라이저(2502)는 "L" 형상을 갖는 것으로 나타나 있지만, 다른 구성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스태빌라이저(2502)는 "J" 형상, "P" 형상, "T" 형상, 및/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스태빌라이저(2502)는 실질적으로 직선일 수 있고, 하나 이상의 휠(2506) 뒤에 연장되도록 구성된 부분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스태빌라이저(2502)는, 스태빌라이저(2502)가 집합적으로 "U" 형상의 스태빌라이저를 형성하도록, 함께 결합될 수 있다. 이들 예시에서, "U" 형상의 스태빌라이저는, 휠(2506) 사이로 연장되거나, 휠(2506)이 "U" 형상의 스태빌라이저 내에 정의된 영역 내에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6 및 도 27은, 도 1의 표면 청소 헤드(102)의 예시일 수 있는 표면 청소 헤드(2600)의 사시 측부도를 나타낸다. 나타낸 바와 같이, 표면 청소 헤드(2600)는 본체(2602), 본체(2602)에 피봇식으로 결합되고 완드(예, 도 3의 완드(304)))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네크부(2604), 본체(260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복수의 메인 휠(2606)(예, 청소하면서 사용 중에 표면 청소 헤드(2600)를 조작하는 데 사용되는 휠), 및 연장 위치(예, 도 26에 나타냄)와 수축 위치(예, 도 27에 나타냄) 사이에서 전이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스태빌라이저(2608)를 포함한다. 스태빌라이저(2608)는 각각의 스태빌라이저 휠(2610)을 개별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연장 위치에 있을 경우에, 스태빌라이저 휠(2610)의 실질적인 부분(예, 스태빌라이저 휠(2610)의 직경의 적어도 95%)은 본체(2602)의 최후방 표면(2609)을 넘어 연장될 수 있고, 수축 위치에 있을 경우에, 스태빌라이저 휠(2610)은 네크부(2604)의 최전방 표면(2611)과 최후방 표면(2609) 사이에서 실질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예를 들어, 개별 표면을 넘어 연장된 스태빌라이저 휠(2610)의 길이 측정값은 스태빌라이저 휠(2610)의 직경의 5% 미만으로 측정됨).
나타낸 바와 같이, 스태빌라이저(2608)는, 본체(2602)에 정의된 각각의 스태빌라이저 개구(2612)로부터 연장된다. 각각의 스태빌라이저 개구(2612)는, 청소될 표면(2616)의 방향으로 각도를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고, 본체(2602)의 상단 표면(2614)과 각각의 메인 휠(2606) 사이의 위치에서 본체(2602)에 정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각의 스태빌라이저(2608)의 적어도 일부는, 각각의 메인 휠(2606)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연장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스태빌라이저 개구(2612)는, 적어도 일부분이 네크부(2604)의 중앙 길이방향 축(2613)의 대향 측면 상에 배치되도록, 본체(2602)에 정의될 수 있다.
스태빌라이저(2608)가 연장 위치로 전이하는 경우에, 스태빌라이저 휠(2610)은 청소될 표면(2616)과의 체결(예, 접촉)로 전이한다. 스태빌라이저(2608)가 수축 위치로 전이하는 경우에, 스태빌라이저 휠(2610)은 청소될 표면(2616)과의 체결(예, 접촉)이 안되도록 전이한다. 이와 같이, 일부 경우에, 스태빌라이저(2608)는, 스태빌라이저 휠(2610)이 청소될 표면(2616)과 체결하고 체결하지 않게 전이하도록, 청소될 표면(2616)의 각도 및 방향에서 본체(2602)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도 2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태빌라이저(2608)는 각각의 연장 축(2802 및 2804)을 따라 본체(2602)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된다. 제1 연장 축(2802)은 제2 연장 축(2804)에 가로질러 연장된다. 이와 같이, 스태빌라이저 폭(2806)은, 본체(2602)로부터의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한다. 즉, 스태빌라이저(2608) 사이에서 연장된 분리 거리(2807)는, 본체(2602)로부터의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한다. 나타낸 바와 같이, 스태빌라이저 폭(2806)은 스태빌라이저 휠(2610)의 최외측 표면 사이에서 연장된다. 일부 예시에서, 예를 들어 스태빌라이저(2608)가 연장 위치에 있을 경우에, 스태빌라이저 폭(2806)은 표면 청소 헤드 폭(2808)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측정될 수 있다. 수축 위치로 전이되는 경우에, 도 2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태빌라이저 폭(2608)은, 예를 들어 표면 청소 헤드 폭(2808)보다 더 적게 측정될 수 있다.
도 30은, 표면 청소 헤드(2600)의 일부분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내며, 여기서 스태빌라이저(2608)는 연장 위치에 있다.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의 스태빌라이저(2608)는, 연결부(3000)와 체결하는 네크부(2604)에 응답하여 연장 위치와 수축 위치 사이에서 가압되도록 구성된다. 연결부(3000)는 표면 청소 헤드(2600)의 본체(2602)의 일부에 피봇식으로 결합될 수 있고, 네크부(2604)는 연결부(3000)의 적어도 일부와 체결하도록 구성된 돌출부(3002)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3002)와 연결부(3000) 사이의 체결은, 네크부(2604)의 피봇 이동에 응답하여 연결부(3000)를 본체(2602)에 대해 피봇시킨다.
연결부(3000)가 제1 피봇 위치와 제2 피봇 위치 사이에서 피봇함에 따라, 스태빌라이저(2608)는 연장 위치와 수축 위치 사이에서 전이된다. 즉, 연결부(3000)는, 네크부(2604)의 피봇 이동에 응답하여 각각의 스태빌라이저(2608)가 연장 위치와 수축 위치 사이에서 전이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연결부(3000)는, 연결부(3000)가 제1 피봇 위치 및/또는 제2 피봇 위치에 있을 경우에 피봇 이동에 저항하도록 구성될 수 있어서, 스태빌라이저(2608)가 연장 위치 또는 수축 위치 중 각각에서 유지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스태빌라이저(2608)가 연장 위치에 있고 연결부가 제1 피봇 위치에 있는 경우에, 연결부(3000)는 기계적 잠금 기구(예, 멈춤쇠, 스냅 끼워맞춤, 마찰 끼워맞춤, 및/또는 임의의 다른 기계적 잠금 기구)의 일부를 체결하고/체결하거나 이를 형성하고, 스태빌라이저(2608)가 수축 위치에 있고 연결부(3000)가 제2 피봇 위치에 있는 경우에, 연결부(3000)는 편향 기구(예, 스프링, 탄성 물질, 예컨대 고무, 및/또는 임의의 다른 편향 기구)에 의해 제2 피봇 위치로 편향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편향 기구에 의해 연결부(3000)에 가해진 편향력에 의해, 스태빌라이저(2608)를 수축 위치로 가압시킬 수 있다. 추가 예시로서, 연결부(3000)는 기계적 잠금 기구를 사용하여 제1 및 제2 피봇 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돌출부(3002)는 네크부(2604)로부터 연장될 수 있고, 연결부(3000)에 정의된 오네크부(3004)와 체결할 수 있다. 오네크부(3004)는 연결부(3000)의 피봇 아암(3008)의 외부 표면(3006)에 정의될 수 있다. 네크부(2604)가 보관 위치와 사용 위치 사이에서 피봇함에 따라, 돌출부(3002)는 오네크부(3004)의 적어도 일부분과 체결하여, 연결부(3000)의 적어도 일부분을 네크부(2604)의 반대 방향으로 피봇시키도록 한다.
도 31은 도 30의 연결부(3000)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나타낸 바와 같이, 피봇 아암(3008)은, 플런저(3104)를 활주 가능하게 수용하도록 구성된 채널(3102)을 정의한다. 연결부(3000)가 보관 위치와 사용 위치 사이에서 전이되는 네크부(2604)에 응답하여 피봇함에 따라, 플런저(3104)는 채널(3102) 내에서 활주한다. 또한 나타낸 바와 같이, 오네크부(3004)는 일반적으로 아치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오네크부(3004)의 적어도 일부는 테이퍼가 질 수 있다.
나타낸 바와 같이, 플런저(3104)는 플런저 개구(3106)를 정의할 수 있다. 플런저 개구(3106)는, 샤프트가 플런저 개구(3106)에 대해 회전하도록, 개구를 통해 샤프트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런저(3104)는, 스태빌라이저(2608) 및 플런저 개구(3106)를 통해 연장된 샤프트를 사용하여, 각각의 스태빌라이저(2608)에 피봇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결부(3000)는, 일반적으로 스태빌라이저(2608)에 피봇식으로 결합되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플런저 개구(3106)는, 플런저 개구(3106)에 대한 샤프트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는 베어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나타낸 바와 같이, 피봇 아암(3008)은 피봇 아암 개구(3108)를 포함할 수 있다. 피봇 아암 개구(3108)는, 샤프트가 피봇 아암(3108)에 대해 회전하도록, 개구를 통해 샤프트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봇 아암(3008)은, 피봇 아암(3008)이 표면 청소 헤드(2600)의 본체(2602)에 피봇식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본체(2602)로부터 연장된 샤프트를 사용하여 표면 청소 헤드(2600)의 본체(2602)에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결부(3000)는, 일반적으로 본체(2602)와 스태빌라이저(2608)에 피봇식으로 결합되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피봇 아암 개구(3108)는, 피봇 아암 개구(3108)에 대한 샤프트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는 베어링을 포함할 수 있다.
피봇 아암(3008)은 또한, 피봇 아암 개구(3108)에 근접하고 이로부터 반경 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된 리브(3110)를 포함할 수 있다. 나타낸 바와 같이, 리브(3110)는, 피봇 아암 개구(3108) 주위로 연장된 보스(3112)와 오네크부(3004) 사이에서 연장된다. 리브(3110)는, 제1 및/또는 제2 피봇 위치에서 연결부를 유지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멈춤쇠와 체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2 및 도 33은 스태빌라이저(2608) 및 이에 결합된 연결부(3000)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부(3000)는 스태빌라이저(2608)에 피봇식으로 결합된다. 예를 들어, 플런저(3104)는 스태빌라이저(2608)에 피봇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나타낸 바와 같이, 플런저(3104)의 연장 거리(3202)는, 스태빌라이저(2608)가 (예를 들어, 도 32에 나타낸 바와 같은) 연장 위치에서 (예를 들어, 도 33에 나타낸 바와 같은) 수축 위치로 전이함에 따라, 증가할 수 있다.
도 34는 스태빌라이저(2608)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나타낸 바와 같이, 스태빌라이저(2608)는, 스태빌라이저 휠(2610)에 피봇식으로 결합된 스태빌라이저 몸체(3400)를 포함한다. 스태빌라이저 몸체(3400)는, 스태빌라이저(2608)의 스태빌라이저 길이 방향 축(3404)을 따라 연장된 길이 방향 부분(3402), 및 스태빌라이저 길이 방향 축(3404)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된 휠 결합 부분(3406)을 포함한다. 일부 경우에, 길이 방향 부분(3402)은 아치형 형상을 가질 수 있되, 아크의 오목 부분은 청소될 표면(2616)과 대면한다.
휠 결합부(3406)는 스태빌라이저 휠(261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휠 리셉터클(3408)을 포함한다. 나타낸 바와 같이, 휠 리셉터클(3408)은 스태빌라이저 휠(2610) 주위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고, 스태빌라이저 몸체(3400)의 길이 방향 부분(3402)으로부터 수직으로 이격된다. 스태빌라이저 휠(2610)은, 스태빌라이저 휠(2610)이 스태빌라이저 휠 회전 축(3410)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휠 리셉터클(3408)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나타낸 바와 같이, 휠 리셉터클(3408)은, 스태빌라이저 휠 회전 축(3410)이 수직이 아닌 각도로 스태빌라이저 길이 방향 축(3404)을 가로질러 연장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스태빌라이저 휠 회전 축(3410)이 표면 청소 헤드(2600)의 전방 이동 방향에 수직이 되도록, 스태빌라이저 휠(2610)을 배향할 수 있다.
도 35 및 도 36은, 도 1의 표면 청소 헤드(102)의 예시일 수 있는 표면 청소 헤드(3500)의 개략적인 도면을 나타낸다. 나타낸 바와 같이, 표면 청소 헤드(3500)는 본체(3502), 본체(3502)에 피봇식으로 결합된 네크부(3504), 적어도 하나의 휠(3506), 및 스태빌라이저(3508)를 포함한다.
나타낸 바와 같이, 스태빌라이저(3508)는 제1 피봇 지점(3510)에서 표면 청소 헤드(3500)의 본체(3502)에 피봇식으로 결합된다. 또한 나타낸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휠(3506)은 제2 피봇 지점(3512)에서 스태빌라이저(3508)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 피봇 지점(3510)은, 스태빌라이저(3508)가 제1 피봇 지점(3510)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휠이 연장 위치(예, 도 35에 나타냄)와 수축 위치(예, 도 36에 나타냄) 사이에서 제1 피봇 지점(3510) 주위로 회전함으로써 전이하도록, 제2 피봇 지점(3512)으로부터 이격된다. 스태빌라이저(3508)는, 예를 들어 네크부(3504)가 보관 위치(예, 도 35에 나타냄)와 사용 위치(예, 도 36에 나타냄) 사이에서 전이하는 것에 응답하여, 제1 피봇 지점(3510)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그리고 나타낸 바와 같이, 연장 위치와 수축 위치 사이에서 전이하는 경우에, 적어도 하나의 휠(3506)은 제1 피봇 지점(3510)을 중심으로 (예를 들어,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180° 회전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연장 위치와 수축 위치 사이에서 전이하는 경우에, 적어도 하나의 휠(3506)은 제1 피봇 지점(3510)을 중심으로 (예를 들어,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180° 미만 또는 초과로 회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축 위치에 있을 경우에, 적어도 하나의 휠(3506)은, 본체(3502)의 바닥 대향면(3514)이 청소될 표면(3516)(예, 바닥)을 가로질러 연장되도록, 제1 피봇 지점(3510) 주위로 회전할 수 있다.
도 37 및 도 38은, 도 22의 표면 청소 헤드(2200)의 예시일 수 있는, 표면 청소 헤드(3700)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나타낸 바와 같이, 표면 청소 헤드(3700)는 본체(3702), 본체(3702)에 피봇식으로 결합된 네크부(3704), 적어도 하나의 스태빌라이저(3706), 및 적어도 하나의 스태빌라이저(3706)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휠(3708)을 포함한다. 네크부(3704)는 보관 위치(예, 도 37에 나타냄)와 사용 위치(예, 도38에 나타냄) 사이에서 좌우로 피봇하도록 구성된다. 네크부(3704)가 보관 위치에서 사용 위치로 전이하는 경우에, 적어도 하나의 스태빌라이저(3706)는 적어도 하나의 휠(3708)을 연장 위치(예, 도 37에 나타냄)에서 수축 위치(예, 도 38에 나타냄)를 향해 가압한다.
나타낸 바와 같이, 네크부(3704)는, 표면 청소 헤드(3700)의 본체(3702)에 피봇식으로 결합된 스위블(3712)과 체결(예, 접촉)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3710)를 포함한다. 돌출부(3710)는, 네크부(3704)가 보관 위치와 사용 위치 사이에서 전이되는 것에 응답하여 스위블(3712)을 피봇시키도록 구성된다. 스위블(3712)은, 네크부(3704)가 보관 위치와 사용 위치 사이에서 전이되는 것에 응답하여 적어도 하나의 휠(3708)이 연장 위치와 수축 위치 사이에서 전이되도록, 트랙(3714)을 따라 스태빌라이저(3706)를 가압하도록 구성된다.
스위블(3712)은, 스위블(3712)이 표면 청소 헤드(3700)의 본체(3702)를 향해 스태빌라이저(3706)를 가압하도록 편향될 수 있다. 즉, 스위블은, 적어도 하나의 휠(3708)을 수축 위치를 향해 가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위블(3712)은 스프링(예, 비틀림 스프링, 압축 스프링, 연장 스프링, 및/또는 임의의 다른 스프링)에 의해 편향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스태빌라이저(3706)는 편향 기구(예, 비틀림 스프링, 압축 스프링, 연장 스프링, 및/또는 임의의 다른 스프링과 같은 스프링)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9 및 도 4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장 스프링(3900)은 표면 청소 헤드(3901)의 본체(3902) 및 스태빌라이저(3906)에 결합될 수 있어서, 스태빌라이저(3906)가 표면 청소 헤드(3901)의 본체(390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트랙(3914)을 따라 가압됨에 따라 연장 스프링(3900)이 연장되도록 한다. 연장 스프링(3900)이 연장됨에 따라, 연장 스프링(3900)은, 표면 청소 헤드(3901)의 본체(3902)를 향해 스태빌라이저(3906)를 가압하는 스태빌라이저(3906)에 힘을 가한다.
도 41은 본체(3702)의 일부분의 사시도를 나타내며, 여기서 본체(3702)의 상부는 명료성을 위해 투명한 것으로 나타나 있다. 도 42는 도 41에 나타낸 본체(3702)의 일부분의 다른 사시도를 나타낸다. 나타낸 바와 같이, 스위블(3712)은, 전방 이동 방향에 대해 가로질러(예를 들어, 수직으로) 연장된 피봇 축(4100)을 중심으로 피봇하도록 구성된다. 즉, 피봇 축(4100)은 휠 회전축(4102)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나타낸 바와 같이, 휠 회전축(4102)은 피봇축(4100)으로부터 수직으로 이격된다. 일부 경우에, 비틀림 스프링은 스위블(3712)에 힘을 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예, 비틀림 스프링은 휠 회전축(4102) 주위로 연장될 수 있음).
도 43은, 도 1의 표면 청소 헤드(102)의 예시일 수 있는 표면 청소 헤드(4300)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나타낸 바와 같이, 표면 청소 헤드(4300)는 단일 스태빌라이저(4302)를 포함하며, 이는 이에 결합된 복수의 휠(4304)을 갖는다. 스태빌라이저(4302)는, 보관 위치와 사용 위치 사이에서 네크부(4303)가 전이하는 것에 응답하여 연장 위치와 수축 위치 사이에서 전이하도록 구성된다. 나타낸 바와 같이, 스태빌라이저(4302)는 표면 청소 헤드(4300)의 바닥 표면(4308)을 따라 연장된 트랙(4306)(예, T-슬롯)과 체결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경우에, 그리고 나타낸 바와 같이, 트랙(4306)은 표면 청소 헤드(4300)의 본체(4310)에 정의될 수 있다.
도 44 및 도 45는, 도 1의 표면 청소 헤드(102)의 예시일 수 있는 표면 청소 헤드(4401)의 개략적인 도면을 나타낸다. 나타낸 바와 같이, 표면 청소 헤드(4401)는 (예를 들어, 도 44에 나타낸 바와 같은) 연장 위치와 (예를 들어, 도 45에 나타낸 바와 같은) 수축 위치 사이에서 전이하도록 구성된 스태빌라이저(440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태빌라이저(4400)는 복수의 연결부(4402)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4402)는, 스태빌라이저(4400)가 연장 위치와 수축 위치 사이에서 전이할 수 있도록, 서로 피봇식으로 결합된다. 이와 같이, 스태빌라이저(4400)는 일반적으로 시저 기구로서 지칭될 수 있다. 나타낸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휠(4404)은 스태빌라이저(4400)(예, 복수의 연결부(4402) 중 가장 원위인 곳)에 결합되어, 스태빌라이저(4400)가 연장 위치와 수축 위치 사이에서 전이됨에 따라, 휠(4404)이 확장 위치(예, 도 44에 나타냄)와 수축 위치(예, 도 45에 나타냄) 사이에서 가압되도록 한다.
도 46 및 도 47은, 도 1의 표면 청소 헤드(102)의 예시일 수 있는 표면 청소 헤드(4600)의 개략적인 도면을 나타낸다. 나타낸 바와 같이, 표면 청소 헤드(4600)는 (예를 들어, 도 46에 나타낸 바와 같은) 연장 위치와 (예를 들어, 도 47에 나타낸 바와 같은) 수축 위치 사이에서 전이하도록 구성된 스태빌라이저(4602)를 포함할 수 있다. 나타낸 바와 같이, 스태빌라이저(4602)는, 네크부(4608)가 (예를 들어, 도 46에 나타낸 바와 같은) 사용 위치와 (예를 들어, 도 47에 나타낸 바와 같은) 보관 위치 사이에서 전이하는 것에 응답하여 피봇 지점(4606)을 중심으로 피봇하도록 구성된 레버(4604)를 포함한다. 나타낸 바와 같이, 네크부(4608)가 사용 위치와 보관 위치 사이에서 전이함에 따라, 네크부(4608)에 결합된 돌출부(4610)는, 레버(4604)와 체결(예, 접촉)하여 레버(4604)를 피봇 지점(4606)을 중심으로 피봇시키도록 한다. 레버(4604)가 피봇함에 따라, 레버(4604)는 트랙(4614)을 따라 플런저(4612)를 가압한다. 플런저(4612)는 적어도 하나의 휠(4616)에 결합되어, 플런저(4612)가 (예를 들어, 도 46에 나타낸 바와 같은) 연장 위치와 (예를 들어, 도 47에 나타낸 바와 같은) 수축 위치 사이에서 적어도 하나의 휠(4616)을 가압하도록 한다.
도 48은, 도 1의 표면 청소 헤드(102)의 예시일 수 있는 표면 청소 헤드(4800)의 측부도를 나타낸다. 나타낸 바와 같이, 표면 청소 헤드(4800)는 본체(4802), 본체(4802)에 피봇식으로 결합된 네크부(4804), 및 연장 위치와 수축 위치 사이에서 전이하도록 구성된 스태빌라이저(4806)를 포함한다. 나타낸 바와 같이, 스태빌라이저(4806)는, 피봇 아암(4808)이 피봇 지점(4810)을 중심으로 피봇할 때, 피봇 아암(4808)이 트랙(4814)을 따라 플런저(4812)를 가압하도록, 본체(4802)에 피봇식으로 결합된, 피봇 아암(4808)을 포함한다. 피봇 아암(4808)은, 피봇 아암이 표면 청소 헤드(4800)의 본체(4802)를 향해 플런저(4812)를 가압하도록, (예를 들어, 스프링을 사용하여) 편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네크부(4804)는 피봇 아암(4808)과 체결(예, 접촉)하도록 구성된 돌출부(4816)를 포함할 수 있어서, 플런저(4812)가 보관 위치와 사용 위치 사이에서 네크부(4804)를 전이하는 것에 응답하여 트랙(4814)을 따라 이동하도록 한다. 또한 나타낸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휠(4818)은 플런저(4812)에 결합될 수 있어서, 네크부(4804)가 보관 위치와 사용 위치 사이에서 전이되는 것에 응답하여 적어도 하나의 휠(4818)이 연장 위치와 수축 위치 사이에서 전이하도록 한다.
도 49 및 도 50은, 표면 청소 헤드(4904)의 본체(4902)의 일부에 결합된, 도 1의 스태빌라이저(114)의 예시일 수 있는, 스태빌라이저(4900)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스태빌라이저(4900)는, 본체(4902) 및 휠(4908)에 피봇식으로 결합된, 하나 이상의 스트럿(4906)을 포함할 수 있다. 휠(4908)은 표면 청소 헤드(4904)의 메인 휠일 수 있다. 나타낸 바와 같이, 스태빌라이저(4900)가 (예를 들어, 도 4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축 위치에 있을 경우에, 하나 이상의 스트럿(4906)은 표면 청소 헤드(4904)의 본체(4902)의 표면에 일반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고, 스태빌라이저가 (예를 들어, 도 5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장 위치에 있을 경우에, 스트럿(4906)은 본체(490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 51은, 도 1의 표면 청소 헤드(102)의 예시일 수 있는 표면 청소 헤드(5100)의 개략적인 도면을 나타낸다. 나타낸 바와 같이, 표면 청소 헤드(5100)는, 표면 청소 헤드(5100)의 네크부(5104)에 피봇식으로 결합된, 스태빌라이저(5102)를 포함한다. 나타낸 바와 같이, 스태빌라이저(5102)는 연장 위치와 수축 위치 사이에서 피봇하도록 구성된다(두 위치를 명확성을 위해 도 51에 나타냄). 수축 위치에 있을 경우에, 스태빌라이저(5102)는 네크부(5104)의 길이 방향 축(5106)에 일반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연장 위치에 있을 경우에, 스태빌라이저(5102)는 네크부(5104)로부터 먼 방향으로 청소될 표면(예, 바닥)을 향해 연장된다. 일부 예시에서, 스태빌라이저(5102)는 네크부(5104)에 탈착식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는 다수의 표면 처리 장치(예, 진공 청소기) 사이의 스태빌라이저(5102)의 사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52 및 도 53은, 진공 청소기(5200)의 안정성을 개선하도록 구성된 스태빌라이저 시스템 예시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나타낸 바와 같이, 진공 청소기(5200)의 흡입 몸체(5202)(예를 들어, 흡입 모터 및 먼지 컵을 가짐)는 표면 청소 헤드(5206)의 방향으로 완드(5204)를 따라 활주하도록 구성되어, 진공 청소기의 질량 중심 위치가 표면 청소 헤드(5206)에 더 가깝게 위치할 수 있도록 한다. 나타낸 바와 같이, 완드(5204)는 가요성 호스(5208)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될 수 있다. 가요성 호스(5208)는 흡입 몸체(5202)를 따라 연장된다.
표면 청소 헤드 예시는 본체, 본체에 피봇식으로 결합된 네크부, 스태빌라이저, 및 본체와 스태빌라이저에 피봇식으로 결합된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는 네크부의 피봇 이동에 응답하여 스태빌라이저가 연장 위치와 수축 위치 사이에서 전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예시에서, 네크부는, 연결부의 적어도 일부분과 체결하도록 구성된,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는, 목의 피봇 이동에 응답하여 연결부를 피봇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예시에서, 연결부는 피봇 아암과 플런저를 포함할 수 있다. 피봇 아암은, 플런저를 수용하기 위한 채널을 정의할 수 있다. 일부 예시에서, 플런저는 네크부의 피봇 이동에 응답하여 채널 내에서 활주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예시에서, 스태빌라이저는 휠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시에, 표면 청소 헤드는 복수의 스태빌라이저를 포함하되, 각각의 스태빌라이저는 제1 축 및 제2 축 중 각각의 하나를 따라 연장된다. 일부 예시에서, 제1 축은 제2 축에 대해 가로질러 연장될 수 있어서, 스태빌라이저 사이의 분리 거리는 본체로부터의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한다. 일부 예시에서, 본체는 개구를 포함할 수 있고, 이로부터 스태빌라이저가 연장된다. 일부 예시에서, 개구는 본체의 상단 표면과 메인 휠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예시에서, 스태빌라이저의 적어도 일부는 메인 휠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연장될 수 있다.
진공 청소기의 예시는 완드와 표면 청소 헤드를 포함할 수 있다. 표면 청소 헤드는 본체, 네크부, 스태빌라이저, 및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네크부는 완드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네크부는 본체에 피봇식으로 결합되어, 상기 완드가 보관 위치와 사용 위치 사이에서 전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연결부는 본체 및 스태빌라이저에 피봇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연결부는 네크부의 피봇 이동에 응답하여 스태빌라이저가 연장 위치와 수축 위치 사이에서 전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예시에서, 네크부는, 연결부의 적어도 일부분과 체결하도록 구성된,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는, 목의 피봇 이동에 응답하여 연결부를 피봇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예시에서, 연결부는 피봇 아암과 플런저를 포함할 수 있다. 피봇 아암은, 플런저를 수용하기 위한 채널을 정의할 수 있다. 일부 예시에서, 플런저는 네크부의 피봇 이동에 응답하여 채널 내에서 활주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예시에서, 스태빌라이저는 휠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시에서, 표면 청소 헤드는 복수의 스태빌라이저를 포함할 수 있되, 각각의 스태빌라이저는 제1 축 및 제2 축 중 각각의 하나를 따라 연장된다. 일부 예시에서, 제1 축은 제2 축에 대해 가로질러 연장될 수 있어서, 스태빌라이저 사이의 분리 거리는 본체로부터의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한다. 일부 예시에서, 본체는 개구를 포함할 수 있고, 이로부터 스태빌라이저가 연장된다. 일부 예시에서, 개구는 본체의 상단 표면과 메인 휠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예시에서, 스태빌라이저의 적어도 일부는 메인 휠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원리는 본원에서 설명되었지만, 당업자는 이 설명이 단지 예시로서 이루어지며 본 발명의 범위에 대한 제한이 아니라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본원에 나타내고 설명된 예시적인 구현예 이외에 다른 구현예가 본 발명의 범주 내에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당업자에 의한 변형 및 대체는 본 발명의 범주 내에 있는 것으로 간주되며, 이는 다음 청구 범위를 제외하고는 제한되지 않는다.

Claims (20)

  1. 표면 청소 헤드로서,
    본체;
    상기 본체에 피봇식으로 결합된 네크부;
    스태빌라이저; 및
    상기 본체와 상기 스태빌라이저에 피봇식으로 결합된 연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부는 상기 네크부의 피봇 이동에 응답하여 상기 스태빌라이저를 연장 위치와 수축 위치 사이에서 전이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연결부는 피봇 아암과 플런저를 포함하고, 상기 피봇 아암은 상기 플런저를 수용하기 위한 채널을 정의하는, 표면 청소 헤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크부는 상기 연결부의 적어도 일부분과 체결하도록 구성된 돌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돌출부는, 상기 네크부의 피봇 이동에 응답하여 상기 연결부를 피봇시키도록 가압하기 위해 구성되는, 표면 청소 헤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는 상기 네크부의 피봇 이동에 응답하여 상기 채널 내에서 활주하도록 구성되는, 표면 청소 헤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태빌라이저는 휠을 포함하는, 표면 청소 헤드.
  6.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스태빌라이저를 추가로 포함하되, 각각의 스태빌라이저는 제1 축 및 제2 축 중 각각의 하나를 따라 연장되는, 표면 청소 헤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축은 상기 제2 축을 가로질러 연장되어, 상기 스태빌라이저 사이의 분리 거리는, 상기 본체로부터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표면 청소 헤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개구를 포함하고, 이로부터 상기 스태빌라이저가 연장되는, 표면 청소 헤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는 상기 본체의 상단 표면과 메인 휠 사이에 배치되는, 표면 청소 헤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태빌라이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메인 휠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연장되는, 표면 청소 헤드.
  11. 진공 청소기로서,
    완드; 및
    표면 청소 헤드를 포함하되, 상기 표면 청소 헤드는,
    본체;
    상기 완드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완드가 보관 위치와 사용 위치 사이에서 전이하기 위해 구성되도록 상기 본체에 피봇식으로 결합되는, 네크부;
    스태빌라이저; 및
    상기 본체와 상기 스태빌라이저에 피봇식으로 결합된 연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부는 상기 네크부의 피봇 이동에 응답하여 상기 스태빌라이저를 연장 위치와 수축 위치 사이에서 전이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연결부는 피봇 아암과 플런저를 포함하고, 상기 피봇 아암은 상기 플런저를 수용하기 위한 채널을 정의하는, 진공 청소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네크부는 상기 연결부의 적어도 일부분과 체결하도록 구성된 돌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돌출부는, 상기 네크부의 피봇 이동에 응답하여 상기 연결부를 피봇시키도록 가압하기 위해 구성되는, 진공 청소기.
  13. 삭제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는 상기 네크부의 피봇 이동에 응답하여 상기 채널 내에서 활주하도록 구성되는, 진공 청소기.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스태빌라이저는 휠을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
  16. 제11항에 있어서, 복수의 스태빌라이저를 추가로 포함하되, 각각의 스태빌라이저는 제1 축 및 제2 축 중 각각의 하나를 따라 연장되는, 진공 청소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축은 상기 제2 축을 가로질러 연장되어, 상기 스태빌라이저 사이의 분리 거리는, 상기 본체로부터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진공 청소기.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개구를 포함하고, 이로부터 상기 스태빌라이저가 연장되는, 진공 청소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는 상기 본체의 상단 표면과 메인 휠 사이에 배치되는, 진공 청소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스태빌라이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메인 휠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연장되는, 진공 청소기.
KR1020217011620A 2018-09-19 2019-09-19 하나 이상의 스태빌라이저를 갖는 표면 처리 장치용 청소 헤드 및 이를 갖는 표면 처리 장치 KR1024817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862733239P 2018-09-19 2018-09-19
US62/733,239 2018-09-19
US201962862436P 2019-06-17 2019-06-17
US62/862,436 2019-06-17
PCT/US2019/051889 WO2020061285A1 (en) 2018-09-19 2019-09-19 Cleaning head for a surface treatment apparatus having one or more stabilizers and surface treatment apparatus hav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7810A KR20210057810A (ko) 2021-05-21
KR102481702B1 true KR102481702B1 (ko) 2022-12-26

Family

ID=69773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1620A KR102481702B1 (ko) 2018-09-19 2019-09-19 하나 이상의 스태빌라이저를 갖는 표면 처리 장치용 청소 헤드 및 이를 갖는 표면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00085267A1 (ko)
EP (1) EP3852592A4 (ko)
JP (1) JP7200362B2 (ko)
KR (1) KR102481702B1 (ko)
CN (2) CN113015473B (ko)
AU (1) AU2019342737B2 (ko)
CA (1) CA3113028C (ko)
WO (1) WO202006128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06609S1 (en) * 2018-07-31 2020-12-29 Sharkninja Operating Llc Vacuum body for a vacuum cleaner
JP7200362B2 (ja) * 2018-09-19 2023-01-06 シャークニンジャ オペレーティング エルエルシー 1つ又は複数のスタビライザを有する表面処理装置用のクリーニングヘッド及びこれを有する表面処理装置
GB2605743B (en) * 2020-12-18 2023-11-22 Numatic Int Ltd Floor treatment machin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88194A1 (en) * 2009-10-15 2011-04-21 Dyson Technology Limited Surface treating appliance
US20150067981A1 (en) * 2012-03-19 2015-03-12 Aktiebolaget Electrolux Upright vacuum cleaner having a support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20011A (en) * 1936-04-11 1938-06-07 P A Geier Co Suction cleaner
US2784441A (en) * 1951-06-22 1957-03-12 Hoover Co Nozzle adjustment for suction cleaners
US3939518A (en) * 1973-11-30 1976-02-24 Clarke-Gravely Corporation Floor treatment machine
JP4000249B2 (ja) * 2001-09-28 2007-10-31 アマノ株式会社 床面洗浄清掃機
GB2391459A (en) * 2002-08-09 2004-02-11 Dyson Ltd A surface treating appliance with increased manoeuverability
US7987552B2 (en) * 2004-11-17 2011-08-02 Techtronic Floor Care Technology Limited Floor care appliance with a plurality of cleaning modes
GB2422094B8 (en) * 2005-01-18 2008-06-05 Dyson Technology Ltd Surface-treating appliance
EP1709897A1 (en) * 2005-04-04 2006-10-11 JohnsonDiversey, Inc. Floor cleaning machine comprising a vertically movable water slider
GB0619181D0 (en) * 2006-09-29 2006-11-08 Dyson Technology Ltd Surface treating appliance
GB2452548B (en) * 2007-09-08 2011-11-30 Dyson Technology Ltd A surface treating appliance
KR101390924B1 (ko) * 2007-10-08 2014-05-07 삼성전자주식회사 조향유닛을 구비한 업라이트 진공청소기
US8627545B2 (en) * 2011-03-18 2014-01-14 Panasonic Corporation Of North America Vacuum cleaner with enhanced maneuverability
DE102012110182A1 (de) * 2012-10-25 2014-04-30 Miele & Cie. Kg Upright-Staubsauger
US9364127B2 (en) * 2013-02-28 2016-06-14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8978207B2 (en) * 2013-03-15 2015-03-17 Electrolux Home Care Products, Inc. Vacuum cleaner edge cleaning system
CN106998972B (zh) * 2014-07-25 2020-12-11 尚科宁家运营有限公司 具有向侧面枢转的手柄的表面清洁设备
JP7200362B2 (ja) * 2018-09-19 2023-01-06 シャークニンジャ オペレーティング エルエルシー 1つ又は複数のスタビライザを有する表面処理装置用のクリーニングヘッド及びこれを有する表面処理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88194A1 (en) * 2009-10-15 2011-04-21 Dyson Technology Limited Surface treating appliance
US20150067981A1 (en) * 2012-03-19 2015-03-12 Aktiebolaget Electrolux Upright vacuum cleaner having a suppor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015473A (zh) 2021-06-22
CN113015473B (zh) 2023-10-03
CA3113028A1 (en) 2020-03-26
AU2019342737A1 (en) 2021-04-15
KR20210057810A (ko) 2021-05-21
WO2020061285A1 (en) 2020-03-26
JP7200362B2 (ja) 2023-01-06
EP3852592A4 (en) 2022-06-29
EP3852592A1 (en) 2021-07-28
AU2019342737B2 (en) 2023-02-09
US20200085267A1 (en) 2020-03-19
JP2022500183A (ja) 2022-01-04
CN212186355U (zh) 2020-12-22
CA3113028C (en) 2023-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1702B1 (ko) 하나 이상의 스태빌라이저를 갖는 표면 처리 장치용 청소 헤드 및 이를 갖는 표면 처리 장치
CN110720856B (zh) 具有可折叠杆以提供存储构造的真空清洁装置
US7681279B2 (en) Vacuum cleaner
KR102125336B1 (ko) 청소기
US11197592B2 (en) Vacuum cleaner
KR20150056488A (ko) 표면청소기용 회동핸들
US7386917B2 (en) Vacuum cleaner with quick release wand
JP5865700B2 (ja) 吸込口体および電気掃除機
US11723498B2 (en) Vacuum pod configured to couple to one or more accessories
US9572466B2 (en) Nozzle for a vacuum cleaner
US11617482B2 (en) Accessories for a surface treatment apparatus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onal states and surface treatment apparatus configured to actuate the same
US20090144927A1 (en) Cord-reel apparatus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KR102268576B1 (ko) 진공청소기
JP2013132477A (ja) 吸込口体および電気掃除機
AU2018102200A4 (en) Vacuum cleaner
WO2017077568A1 (ja) 掃除具及びバキューム掃除機
KR200164816Y1 (ko) 청소기의 흡입 장치
JP2011120617A (ja) 電気掃除機
KR20090012961U (ko) 진공청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