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1508B1 - 스팀 조리장치 - Google Patents

스팀 조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1508B1
KR102481508B1 KR1020210134785A KR20210134785A KR102481508B1 KR 102481508 B1 KR102481508 B1 KR 102481508B1 KR 1020210134785 A KR1020210134785 A KR 1020210134785A KR 20210134785 A KR20210134785 A KR 20210134785A KR 102481508 B1 KR102481508 B1 KR 1024815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ply
guide
axis
steam
guid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47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익
Original Assignee
이정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익 filed Critical 이정익
Priority to KR10202101347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15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15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15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 A47J27/16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heated by stea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47J2027/043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스팀 조리장치가 제공된다. 스팀 조리장치는, 조리실을 형성하는 케이스와,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열원과, 열원의 X축 방향 전방에 위치하도록 케이스에 설치되는 히터 가이드 및 히터 가이드의 X축 반대방향 후면에 설치되는 물 공급 가이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팀 조리장치{Steam cooking apparatus}
본 발명은 스팀 조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물 공급 가이드로 공급되는 물이 100% 수증기로 변환된 후, 히터가이드를 통과하면서 조리실 내부에 전체적으로 이동되도록 하여 음식물이 균일하게 익을 수 있도록 하는 스팀 조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을 조리하는데 사용되는 가열조리장치로 고주파를 이용하는 전자레인지와 히터를 이용하여 음식물에 직접 열을 가하는 가스 오븐, 전기오븐 등이 있다. 상기 가열조리장치 중, 전자레인지는 조리할 수 있는 음식물의 종류에 있어 많은 제약이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리 후 음식물이 건조되어 음식물의 맛이 떨어지게 되는 단점이 있고, 가스 오븐과 전기오븐은 상대적으로 밀도가 낮은 공기가 히터와 음식물 사이에서 열전달 매체로 작용함에 따라 조리 시간이 길어지고 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상기 가열조리장치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최근에는 스팀조리기기가 출시되고 있다. 스팀조리기기는 음식물의 조리를 위하여 가열하는 과정에서 음식물에 포함된 수분이 증발되어 건조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조리실 내부로 스팀을 공급하는 장치로, 음식물에 적절한 수분이 유지되어 음식물의 맛을 유지함은 물론 조리실 내부에 가득찬 스팀이 효과적인 열전달매체로 작용하여 조리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상기 스팀조리기기는 상부 또는 측면에서 공급되는 물을 히터 또는 이와 상응되는 열원에 공급하여 수증기를 생성하고, 생성된 수증기가 열교환팬에 의해 조리실 내부에 대류시키는 방식을 사용한다.
그러나 상기 물이 100% 수증기로 변환되기 전, 열교환팬에 의하여 조리되고 있는 음식물에 투입되므로 요리의 질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71666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물 공급 가이드로 공급되는 물이 100% 수증기로 변환된 후, 히터가이드를 통과하도록 하는 스팀 조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히터 가이드의 양측을 후방으로 절곡하여 히터가이드를 통과하는 수증기가 조리실 내부에 전체적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스팀 조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 조리장치는, 조리실을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열원, 상기 열원의 X축 방향 전방에 위치하도록 케이스에 설치되는 히터 가이드, 및 상기 히터 가이드의 X축 반대방향 후면에 설치되는 물 공급 가이드를 포함한다.
상기 히터 가이드는, 상기 케이스의 조리실 내부에 설치되는 수직판, 상기 수직판의 Y축 반대방향인 좌측과 Y축 방향인 우측에 구비되는 좌측면판과 우측면판, 및 상기 수직판의 Z축 방향인 상부와 Z축 반대방향인 하부에 절곡되는 절곡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좌측면판과 우측면판의 절곡각도는 10~30°일 수 있다.
상기 물 공급 가이드는, 상기 히터 가이드의 X축 반대방향 후면 상단부에 설치되는 제1 물공급 가이드부재, 및 상기 제1 물공급 가이드부재 하부에 위치하고, 히터 가이드의 X축 반대방향 후면에 설치되는 제2 물공급 가이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물공급 가이드부재는, 상부가 개구되게 형성되고, 수도전 또는 물 저장장치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저장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에 저장된 물을 제2 물공급 가이드부재로 공급하는 물 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 공급부는 상기 몸체의 측부에 절단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물 공급 가이드로 흐르는 물이 열원에 의해 변환된 수증기의 이동을 안내하는 수증기 안내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증기 안내부재는, 제1 부재와 제2 부재, 및 상기 제1 부재와 제2 부재를 방사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원의 히트파이프가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정렬하는 설치안내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치안내부재는, 상기 히트파이프를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된 설치안내몸체, 및 상기 설치안내몸체의 X축 반대방향 단부에 Z축 방향으로 절곡형성된 제1 설치편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 조리장치에 의하면, 물 공급 가이드로 공급되는 물이 100% 수증기로 변환된 후, 히터가이드를 통과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히터 가이드의 양측을 후방으로 절곡하여 히터가이드를 통과하는 수증기가 조리실 내부에 전체적으로 이동되도록 하여 음식물이 균일하게 익을 수 있으므로 요리의 질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 조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 조리장치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 조리장치의 열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 조리장치의 히터 가이드와 물 공급 가이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 조리장치의 제2 물공급 가이드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 조리장치의 수증기 안내부재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 조리장치의 설치안내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 조리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참조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 조리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 조리장치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 조리장치(100)는, 조리실 내부에 스팀을 공급하여 음식물을 조리하는 장치로서, 케이스(110), 열원(120), 히터 가이드(130), 물 공급 가이드(140)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10)는 조리실을 형성할 수 있다. 케이스(110)는 하부부재(111), 후방부재(112), 전방부재, 상부부재(113)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부재(111)는 Z축 방향과 X축 방향으로 개구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하부부재(111)는 내부에 배수공이 관통형성될 수 있다. 후방부재(112)는 하부부재(111)의 X축 반대방향 단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부부재(113)는 하부부재(111)의 Z축 방향 단부에 설치될 수 있다. 전방부재는 하부부재(111)의 X축 방향 단부에 설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전방부재는 도어일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열원(120)은 다수의 히트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열원(120)은 물 공급 가이드(140)로 공급되는 물을 가열하여 수증기로 변환시킬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히트파이프를 수용하여 케이스(110)에 설치하는 브라켓(12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121)은 판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히트파이프가 결합되는 결합공이 관통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브라켓(121) 내부에 볼트와 같은 고정부재가 고정되는 고정공이 관통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는 케이스(110)의 후방부재(112)와 브라켓(121)의 고정으로 결합되어 케이스(110)와 브라켓(121)을 고정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히터 가이드(130)는 열원(120)의 X축 방향 전방에 위치하도록 케이스(110)에 설치될 수 있다. 히터 가이드(130)는 수직판(131), 좌측면판(132) 및 우측면판(133), 절곡판(134)을 포함할 수 있다.
수직판(131)은 케이스(110)의 조리실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수직판(131)은 판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통기공이 관통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통기공은 하기에서 설명하는 제2 물공급 가이드부재(142)가 설치되는 수직판(131)의 중앙 부분에는 관통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수직판(131)에 관통된 통기공으로 수증기가 배출되면서 조리실 내부의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다.
좌측면판(132) 및 우측면판(133)은 수직판(131)의 Y축 반대방향인 좌측과 Y축 방향인 우측에 구비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좌측면판(132)과 우측면판(133)은 수직판(131)을 기준으로 X축 반대방향으로 절곡되고 내부에 통기공이 관통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좌측면판(132)과 우측면판(133)의 절곡각도는 10~30°이며, 바람직하게는 20°일 수 있다. 상기 좌측면판(132)과 우측면판(133)에 관통된 통기공으로 수증기가 배출되면서 조리실 내부의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다. 즉,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수직판(131)과 좌측면판(132) 및 우측면판(133)에 관통된 통기공으로 배출되는 수증기가 조리실에 위치한 음식물로 이동되고, 상기 수증기가 대류현상으로 순환하면서 음식물을 균일하게 익힐 수 있다.
절곡판(134)은 수직판(131)의 Z축 방향인 상부와 Z축 반대방향인 하부에 절곡되어 케이스(110)의 상부부재(113)와 하부부재(111)에 밀착되고, 볼트와 같은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절곡판(134)은 수직판(131)의 상부와 하부에 X축 방향으로 절곡되거나 X축 반대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절곡판(134)은 수직판(131)의 상부와 하부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다.
물 공급 가이드(140)는 히터 가이드(130)의 X축 반대방향 후면에 설치되어 열원(120)으로 물을 공급하여 수증기를 형성할 수 있다. 물 공급 가이드(140)는 제1 물공급 가이드부재(141), 제2 물공급 가이드부재(1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물공급 가이드부재(141)는 히터 가이드(130)의 X축 반대방향 후면 상단부에 설치되어 수도전 또는 물 저장장치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공급받아 저장할 수 있다. 제1 물공급 가이드부재(141)는 몸체(141a), 물 공급부(141b)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141a)는 상부가 개구되게 형성될 수 있다. 물 공급부(141b)는 몸체(141a)에 저장된 물을 제2 물공급 가이드부재(142)로 흘려보낼 수 있다. 물 공급부(141b)는 몸체(141a)의 측부가 절단되어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물 공급부(141b)는 몸체(141a)의 저면에 관통형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 물공급 가이드부재(142)는 제1 물공급 가이드부재(141)의 하부에 위치하고, 히터 가이드(130)의 X축 반대방향 후면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물공급 가이드부재(142)는 일측이 개구되도록 'ㄷ'자로 절곡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물공급 가이드부재(142)는 개구된 방향은 히터 가이드(130)의 X축 반대방향으로 개구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물공급 가이드부재(142)를 따라 흘러내리는 물이 열원(120)에 의해 용이하게 수증기로 변환될 수 있다. 또한, 제2 물공급 가이드부재(142)의 일측이 개구됨으로써 청소가 용이할 수 있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스팀 조리장치(100)는 수증기 안내부재(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증기 안내부재(150)는 물 공급 가이드(140)로 흐르는 물이 열원(120)에 의해 변환된 수증기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수증기 안내부재(150)는 제1 부재(151), 제2 부재(152), 연결부재(15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재(151)와 제2 부재(152)는 대응하는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부재(151)와 제2 부재(152)는 원형의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재(153)는 제1 부재(151)와 제2 부재(152)를 연결하는 편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부재(153)는 제1 부재(151)와 제2 부재(152)를 방사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부재(153)는 수증기의 이동이 원활하도록 만곡되게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부재(153)는 X축 방향 단부와 X축 반대방향 단부에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가 결합되도록 제1 부재(151)와 제2 부재(152)에는 결합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7을 참조하면, 스팀 조리장치(100)는 설치안내부재(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설치안내부재(160)는 열원(120)의 히트파이프가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정렬할 수 있다. 설치안내부재(160)는 설치안내몸체(161), 제1 설치편(162)을 포함할 수 있다. 설치안내몸체(161)는 함체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히트파이프를 수용하는 수용홈(161')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설치편(162)은 설치안내몸체(161)의 X축 반대방향 단부에 Z축 방향으로 절곡형성될 수 있다. 제1 설치편(162)은 케이스(110) 즉, 후방부재(112)에 밀착되고, 볼트와 같은 고정부재에 의해 후방부재(112)와 제1 설치편(162)이 고정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설치안내부재(160)는 제2 설치편(16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설치편(163)은 설치안내몸체(161)의 X축 방향 단부에서 Z축 반대방향으로 절곡형성될 수 있다. 제2 설치편(163)은 수증기 안내부재(150) 즉, 제2 부재(152)에 밀착되고 볼트와 같은 고정부재에 의해 제2 설치편(163)과 제2 부재(152)가 고정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아니며, 상기 설치안내부재(160)는 열원(120)에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 방향이 달라질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스팀 조리장치
110: 케이스
111: 하부부재
112: 후방부재
113: 상부부재
120: 열원
121: 브라켓
130: 히터 가이드
131: 수직판
132: 좌측면판
133: 우측면판
134: 절곡판
140: 물 공급 가이드
141: 제1 물공급 가이드부재
141a: 몸체
141b: 물 공급부
142: 제2 물공급 가이드부재
150: 수증기 안내부재
151: 제1 부재
152: 제2 부재
153: 연결부재
160: 설치안내부재
161: 설치안내몸체
161': 수용홈
162: 제1 설치편
163: 제2 설치편

Claims (10)

  1. 조리실을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열원;
    상기 열원의 X축 방향 전방에 위치하도록 케이스에 설치되는 히터 가이드; 및
    상기 히터 가이드의 X축 반대방향 후면에 설치되는 물 공급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물 공급 가이드는,
    상기 히터 가이드의 X축 반대방향 후면 상단부에 설치되어 수도전 또는 물 저장장치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저장하는 제1 물공급 가이드부재; 및
    상기 제1 물공급 가이드부재 하부에 위치하고, 히터 가이드의 X축 반대방향 후면에 설치되고, 일측이 개구되도록 'ㄷ' 자로 절곡형성되는 제2 물공급 가이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물공급 가이드부재는,
    상부가 개구되게 형성되고, 수도전 또는 물 저장장치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저장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측부에 절단되어 형성되고, 상기 몸체에 저장된 물을 제2 물공급 가이드부재로 흘러내리도록 하는 물 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열원의 히트파이프가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정렬하는 설치안내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설치안내부재는,
    상기 히트파이프를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된 설치안내몸체;
    상기 설치안내몸체의 X축 반대방향 단부에 Z축 방향으로 절곡형성된 제1 설치편; 및
    상기 설치안내몸체의 X축 방향 단부에서 Z축 반대방향으로 절곡형성된 제2 설치편을 포함하는 스팀 조리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 가이드는,
    상기 케이스의 조리실 내부에 설치되는 수직판;
    상기 수직판의 Y축 반대방향인 좌측과 Y축 방향인 우측에 구비되는 좌측면판과 우측면판; 및
    상기 수직판의 Z축 방향인 상부와 Z축 반대방향인 하부에 절곡되는 절곡판을 포함하는 스팀 조리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면판과 우측면판의 절곡각도는 10~30°인 스팀 조리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물 공급 가이드로 흐르는 물이 열원에 의해 변환된 수증기의 이동을 안내하는 수증기 안내부재를 더 포함하는 스팀 조리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수증기 안내부재는,
    제1 부재와 제2 부재; 및
    상기 제1 부재와 제2 부재를 방사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스팀 조리장치.
  9. 삭제
  10. 삭제
KR1020210134785A 2021-10-12 2021-10-12 스팀 조리장치 KR1024815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4785A KR102481508B1 (ko) 2021-10-12 2021-10-12 스팀 조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4785A KR102481508B1 (ko) 2021-10-12 2021-10-12 스팀 조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1508B1 true KR102481508B1 (ko) 2022-12-23

Family

ID=84536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4785A KR102481508B1 (ko) 2021-10-12 2021-10-12 스팀 조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150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6054A (ko) * 2003-12-09 2005-06-14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열조리장치
KR200428053Y1 (ko) * 2006-07-22 2006-10-04 양준호 가판대용 전열조리기
JP2010210119A (ja) * 2009-03-09 2010-09-24 Jamco Corp 旅客機搭載用スチームオーブンの加熱むら防止装置
KR101671666B1 (ko) 2016-03-17 2016-11-01 김해성 애견용 냉각패드
CN208957657U (zh) * 2017-11-30 2019-06-11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一种蒸汽发生结构及具有该结构的蒸制烹饪设备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6054A (ko) * 2003-12-09 2005-06-14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열조리장치
KR200428053Y1 (ko) * 2006-07-22 2006-10-04 양준호 가판대용 전열조리기
JP2010210119A (ja) * 2009-03-09 2010-09-24 Jamco Corp 旅客機搭載用スチームオーブンの加熱むら防止装置
KR101671666B1 (ko) 2016-03-17 2016-11-01 김해성 애견용 냉각패드
CN208957657U (zh) * 2017-11-30 2019-06-11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一种蒸汽发生结构及具有该结构的蒸制烹饪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28458B2 (en) Steam generator and cooking apparatus including steam generator
KR101273825B1 (ko) 오븐 도어
KR102642751B1 (ko) 조리기기
KR100629336B1 (ko) 스팀 오븐의 증기 발생 장치
CA2572115C (en) Electric oven
KR20120122171A (ko) 스팀조리기기
US20130019762A1 (en) Condensate guiding system and steam cooker including the same
WO2011002054A1 (ja) 加熱調理器
JP4457166B2 (ja) 加熱調理器
US6930286B2 (en) Heating cooker
KR101626491B1 (ko) 조리기기
CN113227659A (zh) 烤箱
KR102481508B1 (ko) 스팀 조리장치
KR101307659B1 (ko) 스팀 용수 배수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스팀 조리기기
KR20100112966A (ko)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US11561012B2 (en) Pump assembly and cooking appliance with pump assembly
KR101907827B1 (ko) 다단식 취사기
JP2010007984A (ja) 加熱調理器
KR100762270B1 (ko) 조리기기
CN217959653U (zh) 一种家用蒸制炊具
JP2020094736A (ja) 加熱調理器
KR100634789B1 (ko) 가열조리장치
CN216754187U (zh) 一种蒸烤箱及集成灶
CN215502455U (zh) 一种蒸制烹饪设备
JP2019035537A (ja) スチームコンベクションオーブン及びスチーム発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