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1496B1 - 멀티탭 고정용 브라켓 - Google Patents

멀티탭 고정용 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1496B1
KR102481496B1 KR1020200180442A KR20200180442A KR102481496B1 KR 102481496 B1 KR102481496 B1 KR 102481496B1 KR 1020200180442 A KR1020200180442 A KR 1020200180442A KR 20200180442 A KR20200180442 A KR 20200180442A KR 102481496 B1 KR102481496 B1 KR 1024814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cutting
tap
block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04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89847A (ko
Inventor
박길홍
소병일
Original Assignee
(주)대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성 filed Critical (주)대성
Priority to KR10202001804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1496B1/ko
Publication of KR202200898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98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14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14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7/00Coupling parts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 H01R27/02Coupling parts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7/00Four or more pole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책상이나 책장 등의 가구에 멀티탭을 매립한 후 이를 고정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멀티탭 고정용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멀티탭의 저면에 결합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로부터 절곡 형성된 다리부 및 상기 다리부로부터 외측으로 절곡된 지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지지부가 상기 설치공 주위의 판재 내측을 지지함에 따라 설치공에 인입된 멀티탭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더 나아가 커팅부를 더 도입하여 설치공이 형성된 판재의 두께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한 멀티탭 고정용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멀티탭 고정용 브라켓{BRACKET FOR FIXING MULTI-TAP}
본 발명은 책상이나 책장 등의 가구에 멀티탭을 매립한 후 이를 고정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멀티탭 고정용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멀티탭의 저면에 결합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로부터 절곡 형성된 다리부 및 상기 다리부로부터 외측으로 절곡된 지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지지부가 상기 설치공 주위의 판재 내측을 지지함에 따라 설치공에 인입된 멀티탭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더 나아가 커팅부를 더 도입하여 설치공이 형성된 판재의 두께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한 멀티탭 고정용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멀티콘센트(멀티탭)는 벽이나 바닥에 설치된 전원콘센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다수의 가전제품에 동시에 전기를 공급할 수 있는 기기이다.
이와 같은 멀티콘센트는 주로 다수의 콘센트를 구비하며 콘센트의 갯수에 따라 2구~6구의 멀티콘센트가 제공되고 있다.
따라서 가정 및 사무실의 다수의 전기기기나 개인용컴퓨터의 사용시 모니터, 프린터, 스피커 등 여러 가지 주변기기들의 전원을 동시에 공급해 주고 있다.
상기 멀티콘센트는 대부분이 외부로 노출된 상태이므로, 바닥 청소 시 물기에 의해 누전의 위험성을 항상 내포하고 있어 누전으로 인한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었다.
따라서 근래에는 가구에 직접 매립하여 사용 편의성을 높이고 디자인적 효과를 높이면서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기술들이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다.
이와 관련된 종래기술로는 등록특허 제10-2076541호 "가구용 콘센트"(이하 '종래기술1'이라 함.), 등록실용신안 제20-0474858호 "콘센트 기구"(이하 '종래기술2'라 함.), 등록실용신안 제20-0440437호 "책상 매립형 멀티콘센트"(이하 '종래기술3'이라 함.), 등록특허 제10-2019929호 "테이블 매립형 멀티 콘센트장치"(이하 '종래기술4'라 함.)를 들 수 있다.
상기 종래기술1은 상기 콘센트는 가구에 장착되는 가구용 콘센트이고, 상기 콘센트 본체는 상기 가구의 표면 안 쪽에 삽입되며 상기 콘센트 표면은 가구 표면 위에 위치하고, 상기 콘센트 표면 위에는 슬라이딩 덮개가 구비되어 상기 컨센트 표면을 열고 닫을 수 있으며 상기 슬라이딩 덮개를 열면 상기 220 V 전원 연결구가 노출되고, 상기 슬라이딩 덮개 양 측면에 덮개 측벽이 구비되고, 상기 덮개 측면에 홈 혹은 돌기가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딩 덮개가 콘센트 표면과 슬라이딩 이동되며, 상기 가구의 표면 안쪽에 삽입된 콘센트 본체를 고정하는 지지 링이 더 구비되고, 상기 지지 링과 콘센트 본체는 나사 결합하므로서, 가구용 콘센트를 용이하게 가구에 장착하고, 또한 장기간 사용한 후에도 가구 콘센트를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체결 구조를 가지는 지지 링을 제공하며, 상기 지지 링의 크기를 최적화 하도록 하는 설계 구조를 갖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상기 종래기술2는 전자제품의 플러그가 삽입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플러그 삽입결합부를 구비하며, 가구의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삽입통공에 부분적으로 삽입되어 자리 배치되는 콘센트 기구본체; 및 가구의 내측에서 가구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콘센트 기구본체에 체결되어 콘센트 기구본체를 가구의 플레이트 상에 고정시키는 로킹 너트를 포함하여 싱크대에 매립될 수 있도록 고안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상기 종래기술1 및 2는 콘센트를 고정함에 있어, 나사결합을 이용하여 콘센트 후면을 고정하는 방식으로, 결합하고자 하는 가구의 두께가 두꺼운 경우에는 나사결합을 하기 위한 공간이 적어 견고하게 고정되지 못하는 한계가 있으며, 특히 나사결합 방식은 충격 등에 의해 마모되거나, 쉽게 풀릴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할 수 밖에 없다.
아울러 1구 콘센트의 경우에는 사용이 가능할 수 있으나, 3구 이상의 멀티탭에 사용하기에는 결합하는 너트의 크기가 커져 제작비용 증가 및 공간을 많이 차지할 수 밖에 없다.
상기 종래기술3은 책상 상측에서 사용하는 개인용 컴퓨터 및 주변기기들의 전원케이블이나 통신케이블 및 유에스비 단자 등을 쉽게 연결할 수 있으며 멀티콘센트를 책상 상판의 모든 두께를 수용하여 고정할 수 있고 각각의 책상을 바닥의 배선 없이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으며 덮개부의 구조를 간단히 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킨 책상 매립형 멀티콘센트에 관한 것이고,
상기 종래기술4는 테이블에 형성되는 설치공의 가장자리에 안착되는 안착턱이 외측면 상단 둘레에 형성되고, 내부 바닥에는 플러그 접속부를 갖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상부체와, 상기 수용공간을 개폐하도록 상기 수용공간의 입구 한쪽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와, 제어회로 및 전기공급장치를 구비하여 상기 테이블의 저면에 배치되는 하부체와, 상기 하부체를 상기 상부체에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식탁, 책상, 테이블 등에 매립되는 콘센트에 커버를 구비시켜 먼지를 포함한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아울러 상기 종래기술3 및 4의 경우에는 별도의 브라켓을 이용하여 콘센트 후면을 고정하는 방식으로, 앞서 종래기술1 및 2와 같이 설치하고자 하는 가구의 두께가 차이가 나는 경우에는 대응할 수 없어, 그 두께에 맞는 브라켓을 새롭게 제작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따라서 제작비용이 증가하고, 종류가 많아짐에 따라 관리의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설치공에 삽입된 멀티탭 저면에 결합되는 고정부와, 이 고정부로부터 절곡 형성되는 한 쌍의 다리부, 상기 각각의 다리부로부터 외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설치공 주위의 내측을 지지하여 멀티탭이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지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멀티탭이 설치공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멀티탭 고정용 브라켓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리부 및 지지부에 커팅부를 더 구비하여, 설치공이 형성되는 가구의 두께에 대응하여 다리부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멀티탭 고정용 브라켓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커팅부를 커팅홀과 상기 커팅홀에 연장되는 커팅유도홈을 포함하여 다른 도구 없이 손으로 다리부의 길이를 조절하여 커팅할 수 있도록 고안된 멀티탭 고정용 브라켓을 제공함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멀티탭 고정용 브라켓은
설치공에 삽입된 멀티탭을 고정하는 멀티탭 고정용 브라켓에 있어서,
상기 멀티탭의 저면에 결합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 양측에 절곡 형성되는 한 쌍의 다리부;
상기 다리부로부터 외측으로 절곡되어 설치공 주위의 내측을 지지하여 설치공에 구비된 멀티탭을 고정하는 지지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멀티탭 고정용 브라켓은
멀티탭을 매립하기 위해 설치공이 형성된 가구에 구비되어, 매립된 멀티탭을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멀티탭 저면을 결합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 양측에 절곡 형성된 다리부, 이 다리부로부터 외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설치공 주위의 설치면 내측을 지지하는 지지부로 이루어져, 멀티탭이 설치공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적으로 멀티탭을 가구에 매립시킬 수 있으며, 가구의 설치면의 방향, 즉 책상 위와 같이 수평방향이거나, 책장 벽과 같이 수직방향인 경우에도 모두 고정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설치면의 두께가 두꺼워지면 멀티탭의 인입부분이 짧아지게 되는데, 상기 다리부와 지지부에는 커팅부를 형성하여, 인입부분의 깊이에 맞게 다리부를 잘라낼 수 있어, 다리부를 커팅할 수 있어, 추가적으로 공간을 확보할 필요가 없으며, 하나의 브라켓을 이용하여 이를 모두 커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상기 커팅부를 커팅홀과 커팅유도홈으로 구성함에 따라, 커팅이 필요할 때 사용자 또는 작업자가 별도의 도구 없이 손으로 가볍게 다리부를 절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상기 커팅유도홈이 상기 커팅홀로부터 절곡되어 상호 어긋나도록 위치함에 따라, 설치면 내측을 지지할 때, 힘을 분산시켜 안정적으로 멀티탭을 고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탭 고정용 브라켓의 실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탭 고정용 브라켓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탭 고정용 브라켓의 실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탭 고정용 브라켓의 실시예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탭 고정용 브라켓의 변형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멀티탭(MT)을 가구에 매립할 때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멀티탭 고정용 브라켓(BR)에 관한 것으로서,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고정부(10), 다리부(20) 및 지지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은 크게 가구에 멀티탭(MT)을 매립하기 위한 것으로 한정하기는 하나, 가구가 아니라 벽이나 천정, 바닥 등에 매립하는 것도 가능하고, 멀티탭(MT)은 1구부터 5구 등 다양한 개수의 콘센트를 가질 수 있으며, 멀티탭(MT)이 아닌 일반 콘센트 단자 일 수도 있다. 또한 설치면(F)이라 함은 설치하고자 하는 면, 즉 가구의 어느 한 판재이거나 벽면 등을 말하는 것이며, 설치공(F1)은 멀티탭(MT)의 크기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도면에 나타난 크기에 한정되지 않는 것으로 한다.
또한 일반적으로 설치공(F1)에 멀티탭(MT)을 매립할 때, 멀티탭(MT) 상부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플랜지(MT-P)가 형성되어 플랜지(MT-P)에 의해 설치공(F1) 내부에 멀티탭(MT) 전체가 인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도1 및 도3에 도시된 도면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멀티탭(MT)이 인입방향으로 다시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여 고정하는 것으로,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본 발명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고정부(10), 다리부(20), 지지부(30)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구성들은 일체형으로 성형되어 제조 편의성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나, 각 구성별로 제조하여 용접 등의 방식으로 접합할 수도 있다.
상기 고정부(10)는 상기 멀티탭(MT)의 저면(상기 콘센트가 노출되는 반대방향의 면을 지칭하도록 한다.)에 고정되는 것으로, 도면과 같이 사각형의 판상형 부재로, 상기 멀티탭(MT)의 저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부(10)에는 결합공(11)이 형성되어 멀티탭(MT)과 볼트(FB) 등을 이용하여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으며, 볼트(FB)가 아닌 후술하는 탈착결합블록에 의해 고정될 수도 있으며, 이는 하기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다시 상기 고정부(10)의 양측에는 상기 고정부(10)로부터 절곡 형성되는 한 쌍의 다리부(20)가 구비되게 되는데, 상기 다리부(20)는 상기 고정부(10)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되어 멀티탭(MT)의 바디에 인접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결과적으로 한 쌍의 다리부(20) 사이에 수용부(12)가 형성되어 멀티탭(MT)이 상기 수용부(12)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한 쌍의 다리부(20) 각각에는 고정부(10)와 반대방향, 즉 수용부(12) 반대방향으로 절곡된 지지부(30)가 더 형성되어 있으며, 도2를 기준으로 상기 각각의 다리부(20)에 전면과 후면에 각각 절곡되어 형성되게 된다.
즉 본 발명은 도1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설치공(F1)의 폭은 상기 한 쌍의 다리부(20) 사이의 거리와 동일하거나 작게 형성되어 있어, 상기 설치공(F1)을 통과하지 못하고 설치공(F1) 주위를 지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실제로 상기 다리부(20)만 구비되는 경우에도 상기 다리부(20)의 단부가 설치면(F) 내측을 지지함에 따라 멀티탭(MT)을 고정할 수는 있으나, 안정적이지 못하다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다리부(20)로부터 수용부(12) 반대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지지부(30)를 더 구비하여 설치면(F)의 내측을 지지하는 표면적을 넓혀 보다 안정적으로 멀티탭(MT)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멀티탭(MT)을 매립하고자 하는 가구 또는 벽체 등은 그 종류에 따라 설치면(F)의 두께가 상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설치면(F) 내측에 위치하는 멀티탭(MT)의 인입부분의 길이가 달라지게 된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서로 다른 종류의 브라켓을 적용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번거로움을 해결하도록 고안된 것으로, 이는 커팅부(40)의 구성에 그 특징이 있다.
도2 및 도3을 참조하여 커팅부(40)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커팅부(40)는 상기 다리부(20) 및 지지부(30)에 구비되는 것으로, 서로 이격되어 복수개가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다리부(20), 보다 정확하게는 다리부(20) 및 지지부(30)를 자르거나 절곡시켜 다리부(20)의 길이를 변경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커팅부(40)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커팅부(40)는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다리부(20)와 지지부(30)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다리부(20)를 정면에서 볼 때 중앙을 기준으로 양측에 서로 대칭되게 구비되어 있으며, 상하 방향으로 일정간격(등간격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이격되도록 복수개가 형성되게 된다.
상기 커팅부(40)의 이격거리는 가구에 주로 사용되는 판재의 두께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커팅부(40)가 다리부(20)의 중앙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구비되는 것은 상기 다리부(20)의 양측(전면과 후면)에 각각 지지부(30)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이며, 이 중 어느 하나의 커팅부(40)를 기준으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커팅부(40)는 상기 다리부(20)부터 지지부(30)까지 형성되는 커팅홀(41)과, 상기 커팅홀(41)에 연장되는 커팅유도홈(4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커팅홀(41)은 기본적으로 상기 다리부(20) 및 지지부(30)에 형성된 홀로서, 직선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커팅홀(41) 중 다리부(20) 쪽의 단부는 상방향(고정부(10) 방향)으로 일부 절곡된 절곡부(412)가 형성되게 된다.
이는 커팅홀(41)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다리부(20)를 자를 때, 잔존물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동일 수평상에 형성된 두 커팅홀(41)을 기준으로 자르게 되면, 커팅홀(41)이 형성된 부분은 커팅홀(41)의 상부면을 기준으로 잘리게 되는데, 이 때 상기 커팅홀(41)과 커팅홀(41) 사이에 절곡부(412)가 구비되어 있지 않으면 커팅홀(41)과 커팅홀(41) 사이가 상기 잘려진 다리부(20)의 측부보다 더 돌출되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도4[A] 참조) 그러나 본 발명과 같이, 상기 절곡부(412)를 형성함에 따라 상기 절곡부(412)의 상부가 가이드 역할을 하여 더 내측으로 잘릴 수 있어 설치면(F) 내측을 지지할 때 간섭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도4[B] 참조)
나아가 상기 커팅홀(41)의 단부,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절곡부(412)와 반대방향의 단부, 더욱 정확하게는 지지부(30)에 형성된 커팅홀(41)의 단부에는 상기 커팅홀(41)과 연장되는 커팅유도홈(43)이 더 형성되어 있으며, 이 커팅유도홈(43)은 상기 지지부(30)의 바깥쪽에 형성되게 된다.
상기 커팅유도홈(43)은 사용자가 보다 손쉽게 다리부(20) 및 지지부(30)를 커팅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커팅유도홈(43)은 상기 커팅홀(41)과 달리 지지부(30)를 관통하는 홀이 아니라 지지부(30)의 두께를 얇게 만드는 홈으로 지지부(30)의 가장자리와 상기 커팅홀(41) 사이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커팅유도홈(43)이 형성된 부분은 지지부(30)의 두께가 얇기 때문에 보다 적은 힘으로 다리부(20)를 절단 또는 절개할 수 있다.
나아가 보다 바람직하게는 동일 수평상에 있는 한 쌍의 커팅홀(41) 사이에도 커팅유도홈(43)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커팅유도홈(43)은 상기 다리부(20) 내측, 즉 수용부(12) 방향에 형성되어 보다 손쉽게 커팅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커팅홀(41)로부터 상향으로 절곧된 절곡부(412)를 서로 연결하여 상기 커팅홀(41)과 어긋난 위치에 형성되게 된다.
아울러 커팅유도홈(43) 또한 커팅홀(41)과 같이 지지부(30)를 관통시키는 홀로 이루어지면 지지력이 저하됨에 따라 커팅유도홈(43)으로 구성하여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 또한 기대할 수 있다.
다시 상기 커팅유도홈(43) 또한 상기 절곡부(412)와 마찬가지로 상기 커팅홀(41)로부터 절곡되어 어긋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설치면(F) 내측을 지지할 때, 절곡부(412)와 마찬가지로 커팅 시 잔존물이 돌출되어 생기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커팅홀(41)과 동일선상에 두께가 얇은 부분이 있으면 힘을 받으면 내구성이 저하되어 쉽게 부러질 수 있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내구성 및 지지력 향상의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도5 및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탭 고정용 브라켓(BR)의 변형례를 도시한 것으로서, 볼트(FB)를 이용하여 멀티탭(MT)에 고정되는 것이 아닌 탈착결합블록(A)을 통하여 손쉽게 멀티탭(MT)에 결합되고, 멀티탭(MT) 고장으로 인한 유지보수 시 손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탈착결합블록(A)은 상호 결합되는 제1블록(A1) 및 제2블록(A2)과 상기 제2블록(A2) 내에 구비되는 아이언볼(BB) 및 상기 제1블록(A1)과 제2블록(A2) 각각에 구비되는 제1푸쉬바(P1) 및 제2푸쉬바(P2)로 이루어지는 푸쉬유닛(P)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제1블록(A1)과 제2블록(A2)을 상호간에 안정적으로 결합되고, 손쉽게 록킹 및 해정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으로, 이하 도5 및 도6을 참조하여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며, 도5를 기준으로 좌우 및 상하 방향을 정하여 설명하도록 하나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먼저 간략하게는 상기 제1블록(A1)은 상기 고정부(10)의 일측 보다 정확하게는 도2를 기준으로 전방 또는 후방 또는 전후방 단부에 구비되며, 내부에 삽입홈(A12)이 형성되고,
상기 제2블록(A2)은 멀티탭(MT)에 구비되며 상기 삽입홈(A12)에 결합되도록 돌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삽입블록(B)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하기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겠으나, 상기 제1블록(A1)과 제2블록(A2)은 상호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되어 측방향 분리를 방지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멀티탭에는 상기 고정부(11)의 후면(상기 머??탭의 반대면)을 지지하면서 고정부(11)의 테두리 일부가 내삽되는 'ㄱ'자 형의 고정돌기(미도시)가 더 구비되는 것이 좋다.
즉, 상기 멀티탭에 상기 타측(후면)에는 상기 고정돌기가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10)을 멀티탭(MT)의 측방향에서 결합시켜 고정부(11)의 후단이 상기 고정돌기에 내삽되어 상하 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고정부(11)의 전방에 구비되는 상기 제1블록(A1)이 상기 멀티탭(MT)에 구비되는 제2블록(A2)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아이언볼(BB)은 상기 제2블록(A2)에 구비되며, 상기 삽입블록(B)와 와이어(W)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제2블록(A2)에 형성된 볼이동부(A23)에 위치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푸쉬유닛(P)은 상기 제1블록(A1)으로부터 돌출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아이언볼(BB)을 볼이동부(A23)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푸쉬하는 제1푸쉬바(P1)와, 상기 제2블록(A2)에 구비되어 상기 아이언볼(BB)을 볼이동부(A23) 타단에서 일단으로 복귀시키는 제2푸쉬바(P2)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블록(A1)은 고정부(10) 단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일측으로 돌출된 제1밀착부(A11)가 형성된 유사 '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블록(A2)은 멀티탭(MT) 단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타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밀착부(A11) 하부에 밀착되는 제2밀착부(A21)가 형성된 유사 'ㄴ'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블록(A1)의 밀착부와 제2블록(A2)의 제2밀착부(A21)가 서로 어긋나게 밀착되어 제1블록(A1)과 제2블록(A2)이 상호간에 결합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제1블록(A1)의 제1밀착부(A11)에는 상기 제2밀착부(A21)와 밀착되는 부분에 삽입홈(A1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삽임홈에 후술하는 삽입블록(B)이 끼워져 제1블록(A1)과 제2블록(A2)의 횡방향 분리를 방지하도록 이루어진다.(제1블록(A1)과 제2블록(A2)은 횡방향으로 결합되는 구조를 갖고 있다.)
상기 제2블록(A2)은 상기 제2밀착부(A21)에 앞서 언급한 삽입블록(B)이 승하강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이동부(A2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삽입이동부(A22) 상부측에서 상기 삽입이동부(A22) 타측 하부 방향으로 곡선형의 볼이동부(A23)가 형성되며, 이 볼이동부(A23)에 아이언볼(BB)이 내장되어 볼이동부(A23)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다.
먼저 상기 삽입블록(B)은 상기 삽입홈(A12)에 내삽되는 삽입부(B1)와, 상기 삽입부(B1) 하부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수평부(B2), 상기 수평부(B2) 타측에 상부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수직부(B3)로 이루어져 있어, 승하강 시 흔들림없이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상기 삽입블록(B)을 승하강동작하여 제1블록(A1)과 제2블록(A2)을 상호간에 결합 및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 이를 위하여 아이언볼(BB), 와이어(W) 및 푸쉬유닛(P)의 구성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도5 및 도6을 참조하여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상기 아이언볼(BB)은 상기 볼이동부(A23)를 따라 움직일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볼이동부(A23)와 상기 삽입블록(B),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삽입블록(B)의 수직부(B3)는 탄성력이 없는 와이어(W)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이때 상기 볼이동부(A23)의 일단은 상기 제2블록(A2)의 외부와 연통되도록 이루어지며, 이때 상기 아이언볼(BB)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단턱(A231)이 더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2블록(A2)에는 상기 와이어(W)가 걸쳐지는 도르래봉(D)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도르래봉(D)은 상기 볼이동부(A23)의 곡선부 하부이면서 상기 삽입이동부(A22)의 상부방향에 형성되어 있어, 상기 아이언볼(BB)이 볼이동부(A23)의 일단(도5참조)에 위치하면 삽입이동부(A22)내에서 삽입블록(B)이 하강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아이언볼(BB)이 볼이동부(A23)의 타단(도6참조)에 위치하면 상기 와이어(W)가 당겨지면서 도르래와 같이 삽입블록(B)이 상승하여 삽입부(B1)가 제1블록(A1)의 삽입홈(A12)에 내삽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은 상기 아이언볼(BB)의 움직임을 통하여 상기 삽입블록(B)을 상승 또는 하강하도록 이루어지며, 이러한 동작을 위하여 상기 푸쉬유닛(P)의 구성을 더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푸쉬유닛(P)은 상기 제1블록(A1)에 구비되는 제1푸쉬바(P1)와 상기 제2블록(A2)에 구비되는 제2푸쉬바(P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제1블록(A1)에는 상기 제1푸쉬바(P1)가 내삽되는 푸쉬홀(A13)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푸쉬홀(A13)은 도5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홀(A132)과, 상기 이동홀(A132)로부터 일측으로 절곡된 걸림홀(A131)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푸쉬바(P1)는 상기 이동홀(A132)에 내삽되는 푸쉬부(P11)와, 상기 푸쉬부(P11)로부터 상부방향으로 절곡되어 제1블록(A1) 상부방향으로 일부가 노출되는 손잡이부(P12)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푸쉬홀(A13)에는 제1탄성체(P3)가 구비되어 상기 푸쉬바의 일측에 탄성력을 부여하며, 상기 이동홀(A132)의 타단은 상기 제1블록(A1)의 타측으로 개구되어 있다.
상기 제1푸쉬바(P1)는 평상시에는 상기 손잡이부(P12)가 걸림홈에 위치하도록 하여 상기 제1탄성체(P3)가 압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상기 제1푸쉬바(P1)를 회전시켜 상기 손잡이부(P12)가 이동홀(A132)에 위치하도록 한 후 이를 놓으면 상기 제1탄성체(P3)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푸쉬부(P11)의 타단은 제1블록(A1)의 타측으로 순간적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제1블록(A1)과 제2블록(A2)이 밀착되었을 때, 상기 이동홀(A132)의 타측은 상기 볼이동부(A23)의 일단과 서로 연통하게 되고, 상기 제1푸쉬바(P1)를 동작하면 상기 제1푸쉬바(P1)의 타단이 볼이동부(A23) 일단에 위치하는 아이언볼(BB)의 측면을 순간적으로 밀어 상기 아이언볼(BB)을 볼이동부(A23) 일단에서 타단으로 이동시켜 삽입블록(B)이 상승되어 삽입홈(A12)에 끼워질 수 있게 한다.
이는 곧 제1블록(A1)과 제2블록(A2)이 결합상태를 유지하게 됨을 의미한다.
반대로, 제2블록(A2)에는 제2푸쉬바(P2)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2푸쉬바(P2)는 일측이 상기 제2블록(A2) 외면으로 돌출되며 상기 볼이동부(A23) 타단에 위치하고, 하부에 제2탄성체(P4)가 구비되어 있다.(상기 제2탄성체(P4)는 볼이동부(A23)에 구비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1블록(A1)과 제2블록(A2)이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아이언볼(BB)이 상기 제2푸쉬바(P2) 상부에 위치하게 되고, 이 때 사용자가 제2푸쉬바(P2)를 하강시켜 제2탄성체(P4)를 압축시킨 후, 놓으면 상기 제2푸쉬바(P2)가 상승하면서 아이언볼(BB)의 하부를 타격하여 상기 아이언볼(BB)을 볼이동부(A23) 일단으로 이동시켜 삽입블록(B)이 다시 하강하게 한다.
이는 곧 제1블록(A1)과 제2블록(A2)이 분리 가능한 상태를 유지하게 됨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제1블록(A1)과 제2블록(A2)을 결합 및 분리함에 있어, 제1푸쉬바(P1) 및 제2푸쉬바(P2)를 동작함으로서 손쉽게 제1블록(A1)과 제2블록(A2)을 견고하게 고정 또는 분리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 편의성과 결합안정성 및 분리의 용이성을 모두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상기 아이언볼(BB)은 볼이동부(A23)의 일단 및 타단에 정확하게 위치하여야 하며, 이를 위하여 볼이동부(A23)의 일측에는 제1스토퍼(S1)가 구비되어 아이언볼(BB)이 임의로 볼이동부(A23) 타단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이와 마찬가지로 상기 볼이동부(A23) 타단에 제2스토퍼(S2)를 구비하여 아이언볼(BB)이 임의로 볼이동부(A23) 일단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아이언볼(BB)은 푸쉬유닛(P)의 타격을 통하여 제1스토퍼(S1) 및 제2스토퍼(S2)(이를 함께 스토퍼(S)라 한다.)를 통과해야하며, 이를 위하여 상기 스토퍼(S)는 연질재질로 이루어져 압착되면서 아이언볼(BB)의 관통을 허용하도록 한다.
더 나아가 상기 볼이동부(A23)의 일단 상부에는 마그넷(M)을 더 구비하여 자성을 통해 아이언볼(BB)을 볼이동부(A23) 일단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마그넷(M)은 볼이동부(A23) 타단에도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자성은 아이언볼(BB)의 움직임을 약하게 제한할 수 있을 정도로만 이루어져 푸쉬유닛(P)의 타격에 의해 아이언볼(BB)이 움직이는 것을 간섭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 및 구성을 갖는 멀티탭 고정용 브라켓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BR : 멀티탭 고정용 브라켓 MT : 멀티탭
MT-P : 플랜지 FB : 볼트
F : 설치면 F1 : 설치공
10 : 고정부 11 : 결합공
12 : 수용부 20 : 다리부
30 : 지지부 40 : 커팅부
41 : 커팅홀 412 : 절곡부
43 : 커팅유도홈

Claims (4)

  1. 설치공에 삽입된 멀티탭을 고정하는 멀티탭 고정용 브라켓에 있어서,
    상기 멀티탭의 저면에 결합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 양측에 절곡 형성되는 한 쌍의 다리부;
    상기 다리부로부터 고정부 반대방향으로 절곡되어 설치공 주위의 설치면 내측을 지지하여 설치공에 구비된 멀티탭을 고정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리부와 지지부에는
    서로 이격된 복수의 커팅부가 형성되어, 상기 다리부의 길이를 변경하도록 절단 또는 절곡 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탭 고정용 브라켓.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부는
    상기 다리부 및 지지부에 형성된 커팅홀과, 상기 커팅홀에 연장되며, 상기 지지부의 외측단부의 두께가 작아지도록 구비되는 커팅유도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탭 고정용 브라켓.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유도홈은 상기 커팅홀로부터 절곡되어 어긋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탭 고정용 브라켓.
  4. 삭제
KR1020200180442A 2020-12-22 2020-12-22 멀티탭 고정용 브라켓 KR1024814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0442A KR102481496B1 (ko) 2020-12-22 2020-12-22 멀티탭 고정용 브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0442A KR102481496B1 (ko) 2020-12-22 2020-12-22 멀티탭 고정용 브라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9847A KR20220089847A (ko) 2022-06-29
KR102481496B1 true KR102481496B1 (ko) 2022-12-27

Family

ID=82270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0442A KR102481496B1 (ko) 2020-12-22 2020-12-22 멀티탭 고정용 브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149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8652Y1 (ko) 2005-07-22 2005-10-14 (주)진성테크 매입형 전선함의 후면 지지봉
KR200440761Y1 (ko) * 2008-05-09 2008-07-01 주식회사 퍼맥스 책상 매립형 멀티콘센트용 케이스
KR102019929B1 (ko) * 2018-02-20 2019-09-11 주식회사 웰바스 테이블 매립형 멀티 콘센트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1748Y1 (ko) * 2008-12-04 2011-01-10 세홍산업 주식회사 콘센트 박스 지지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8652Y1 (ko) 2005-07-22 2005-10-14 (주)진성테크 매입형 전선함의 후면 지지봉
KR200440761Y1 (ko) * 2008-05-09 2008-07-01 주식회사 퍼맥스 책상 매립형 멀티콘센트용 케이스
KR102019929B1 (ko) * 2018-02-20 2019-09-11 주식회사 웰바스 테이블 매립형 멀티 콘센트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9847A (ko) 2022-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48001B1 (en) Access flooring module
EP2797174B1 (en) Safe electrical outlet
US8576579B2 (en) Mounting and fixing apparatus for analog-to-digital electrical equipment
US20090042428A1 (en) Electrical system for office furniture
KR101916327B1 (ko) 일체형 접지단자를 구비한 매입형 콘센트
EP2924815B1 (en) Electrical device with a mounting interface and an electrical module
EP3149809B1 (en) Electrical connector for use with printed circuit boards
CA2351647A1 (en) Interlocking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having a guiding member and removal recess
CA1232668A (en) Housing for electrical connectors
KR102481496B1 (ko) 멀티탭 고정용 브라켓
KR200457427Y1 (ko) 콤팩트한 안전콘센트용 모듈
US7402061B1 (en) Structure of energy-efficient lamp base
EP0291524A1 (en) Wall mounting system for data communications connectors
KR102121044B1 (ko) 공동주택 실내벽면용 전기 콘센트박스
KR102142108B1 (ko) 간편 장착구조를 갖는 가구용 콘센트 기구
CN219418817U (zh) 嵌入式开关盒、多联排嵌入式开关盒和开关组件
CN210985031U (zh) 一种插座的安全门装配结构
CN220821419U (zh) 一种接线端子及接触器
CN217387670U (zh) 一种墙壁插座及其底盒
CN219371481U (zh) 一种深度可调节的墙壁插座
KR940003139Y1 (ko) 가전제품의 다리
CN211047558U (zh) 电源外壳及电源
KR200258053Y1 (ko) 분전반용 누전차단기의 받침대
JP4313283B2 (ja) 配線ダクト装置
CA1334540C (en) Retractable power cen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