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1495B1 - 스마트폰에서 착신 신호의 선별적 알림 방법 및 이에 관한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폰에서 착신 신호의 선별적 알림 방법 및 이에 관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1495B1
KR102481495B1 KR1020220098217A KR20220098217A KR102481495B1 KR 102481495 B1 KR102481495 B1 KR 102481495B1 KR 1020220098217 A KR1020220098217 A KR 1020220098217A KR 20220098217 A KR20220098217 A KR 20220098217A KR 102481495 B1 KR102481495 B1 KR 1024814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phone
case
wireless communication
smart phone
led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82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이엔지
Priority to KR10202200982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14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14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14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context-related or environment-related condi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2Illumination; Arrangements for improving the visibility of characters on d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Bluetooth inte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폰(100)이 상기 스마트폰(100)에 설치된 스마트폰 케이스 앱(70)을 통해 제1 내지 제4 스마트폰 케이스(200a, 200b, 200c, 200d)와 무선 통신 연결을 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폰(100)이 상기 스마트폰 케이스 앱(70)을 통해 제1 스마트폰 케이스(200a)에 스마트폰(100)에 메세지를 보내는 사용자중 특정 사용자의 메세지가 착신되는 경우 제1 스마트폰 케이스(200a)가 알람을 생성하도록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스마트폰(100)에 상기 특정 사용자의 메세지가 착신된 경우 상기 제1 스마트폰 케이스(200a)가 알람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폰에서의 착신 신호의 선별적 알림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마트폰에서 착신 신호의 선별적 알림 방법 및 이에 관한 시스템 {SELECTIVE ALAM METHOD OF ARRIVAL SIGNAL IN SMART PHONE AND SYSTEN RELATING TO THE SAME}
본 발명은 스마트폰에서 다수의 메세지가 수신되는 경우 스마트폰과 무선 통신 모듈을 구비한 스마트폰 케이스에 의하여 선별적으로 수신자에게 알리고자 하는 방법이며 추가로 이러한 알림 시스템이다.
또한, 비콘 및 GPS 신호를 구비한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스마트폰 및 스마트폰 케이스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a은 스마트폰의 일반적인 화면을 도시하고 있으며 일반적인 스마트폰의 화면에는 여러개의 프로그램 (또는 앱,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프로그램에는 확인되지 않은 메세지 또는 정보에 대한 개수를 포함하는 알림 표시가 표시된다.
도 1b는 스마트폰에 설치된 카카오톡 어플리케이션(20)으로 다수의 사람들(23a, 23b, 23c, 23d)이 다수의 메세지를 보내서 다수의 알람(21a, 21b, 21c, 21d, 21e)이 표시되어 있다.
도 1b에 도시된 프로그램은 카카오톡이나 그 외 메세지, 위챗, 라인, 페이스 북등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프로그램이 있다.
현대 사회에서 사람들은 다양한 사람들하고 관계를 맺고 있어서,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프로그램에 의하여 다수의 사람들 또는 단체와 관계를 맺고 서로 정보를 주고 받으나 모든 메세지 정보를 바로 확인하는 것은 업무 집중도나 공부 효율등을 떨어뜨릴 수 밖에 없다.
또한 일반적으로 커뮤니케이션 프로그램은 확인되지 않은 정보의 개수만 표시할 뿐, 어떠한 정보가 수신되었는지 알 수가 없어서, 스팸 메세지가 온 경우에도 확인하게 하거나 또는 중요한 사람 또는 단체에서 온 메세지가 수신되어도 이를 즉각 알아차릴 수 없는 불편함이 있다.
이에 등록 특허 제10-1839226-0000호 (2018.03.09) 및 등록 특허 제10-1985164-0000호 (2019.05.28)에서는 중요도가 높은 사람을 선택하여 알림 메세지 표시를 바꾸어 사용자가 중요 메세지를 선별적으로 인식할 수 있게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특허에서는 사용자가 스마트폰에 메세지가 온 것을 인식하여야 하므로 스마트폰에서 알람 소리나 진동에 의하여 메세지가 수신된 것을 인식하여야 한다.
하루에도 수십번의 메세지가 오기 때문에 업무중에 메세지가 온 것을 매번 인식하게 되면 업무 집중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스마트폰의 메세지 알람 기능을 중지시키고 업무를 하게 되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 이런 경우에는 스마트폰에 메세지가 수신된 것을 알 수 없으므로 중요한 메세지가 수신된 것을 인식할 수 없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스마트폰과 무선 통신을 하는 스마트폰 케이스에 중요 상대방으로부터 메세지가 온 경우 시각적인 알림을 발생하게 하고 스마트폰에서는 알림 기능을 중지시켜 사용자는 보다 업무에 집중할 수 있게 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청소년이나 어린이의 경우 고가의 스마트폰을 사용하면서 분실이 자주 발생하는데, 스마트폰이 꺼져 있는 경우 위치 추적이 불가능하여 스마트폰을 찾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집에서 스마트폰이 꺼진채로 방치하는 경우 스마트폰을 쉽게 찾지 못하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스마트폰 케이스가 스마트폰이 꺼진것을 인식하는 경우 알람을 방생하는 기능 및 스마트폰 케이스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하도록 하였다.
공개 특허 10-2017-0046960호 (2017.05.04) 공개 특허 10-2015-0049664호 (2015.05.08)
본 발명은 중요도가 높은 사람으로부터 수신된 메세지를 블루투스 기능을 구비한 무선 통신 모듈을 구비한 스마트폰 케이스를 통해 업무에 방해 받지 않고 쉽게 인식할 수 있게 하고자 한다.
또한, 스마트폰의 위치를 쉽게 파악하거나 또는 분실 위험을 방지하고자 한다
또한, 스마트폰이 꺼져서 찾는것이 어려워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스마트폰(100)이 상기 스마트폰(100)에 설치된 스마트폰 케이스 앱(70)을 통해 제1 내지 제4 스마트폰 케이스(200a, 200b, 200c, 200d)와 무선 통신 연결을 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폰(100)이 상기 스마트폰 케이스 앱(70)을 통해 제1 스마트폰 케이스(200a)에 스마트폰(100)에 메세지를 보내는 사용자중 특정 사용자의 메세지가 착신되는 경우 제1 스마트폰 케이스(200a)가 알람을 생성하도록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스마트폰(100)에 상기 특정 사용자의 메세지가 착신된 경우 상기 제1 스마트폰 케이스(200a)가 알람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폰에서의 착신 신호의 선별적 알림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스마트폰 케이스(200a)는 상기 스마트폰(100)과 물리적으로 직접 결합된 케이스이고 제2 내지 제4 스마트폰 케이스(200b, 200c, 200d)는 상기 스마트폰(100)에 물리적으로 결합된 것은 아니고 무선 통신 연결이 된 것이고, 상기 제1 내지 제4 스마트폰 케이스(200a, 200b, 200c, 200d)는 모두 동일한 구성이고, 상기 제1 내지 제4 스마트폰 케이스(200a, 200b, 200c, 200d)는 상기 스마트폰(100)과 무선 통신하는 무선 통신 모듈(240), 제1 및 제2 LED 모듈 플레이트(260a, 260b) 및 상기 무선 통신 모듈(240)과 제1 및 제2 LED 모듈 플레이트(260a, 260b)을 연결하는 제1 및 제2 접속 단자(250a, 250b)를 포함한다.
상기 알람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스마트폰 케이스(200a)의 상기 제1 및 제2 LED 모듈 플레이트(260a, 260b)에 설치된 LED가 발광하는 것이고, 상기 무선 통신 모듈(240)은 GPS 수신기를 구비하여 상기 제1 내지 제4 스마트폰 케이스(200a, 200b, 200c, 200d)의 위치 정보를 상기 스마트 폰(100)이 취득할 수 있다
상기 제1 스마트폰 케이스(200a)의 무선 통신 모듈(240)이 상기 스마트폰(100)의 전원이 꺼지는 것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제1 스마트폰 케이스(200a)의 상기 제1 및 제2 LED 모듈 플레이트(260a, 260b)에 설치된 LED가 발광하고, 상기 제1 스마트폰 케이스(200a)는 투명한 재질의 바닥부(210)와 상기 바닥부(210)의 가장자리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투명한 재질의 제1 내지 제4 측벽(221, 222, 223, 224)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4 측벽(221, 222, 223, 224)으로 둘러싸인 공간에 스마트폰(100)이 끼워지고, 제1 및 제3 측벽(221, 223)은 서로 마주보고 제2 및 제4 측벽(222, 224)은 서로 마주보며, 제1 및 제3 측벽(221, 223)이 제2 및 제4 측벽(222, 224)보다 길이가 짧으며, 제1 내지 제4 측벽(221, 222, 223, 224)의 내부는 직사각형 형상이 되고, 상기 제1 LED 모듈 플레이트(260a)는 바닥부(210)에서 제4 측벽(224)에 나란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2 LED 모듈 플레이트(260b)는 바닥부(210)에서 제2 측벽(222)에 나란하게 설치되어 제4 측벽 및 제2 측벽을 통해 외부에 광을 방출하는 방식으로 알림이 생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폰 케이스 앱(70)이 설치된 스마트폰(100); 및 상기 스마트폰 케이스 앱(70)에 의하여 상기 스마트폰(100)과 무선 통신 연결되는 제1 내지 제4 스마트폰 케이스(200a, 200b, 200c, 200d);을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폰 케이스 앱(70)은 스마트폰 케이스 연결(71), 스마트폰 케이스 알람 설정(72), 스마트폰 케이스 위치 찾기(73) 및 설정 완료(74)의 메뉴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폰 케이스 연결(71)을 통해 상기 스마트폰(100)이 제1 내지 제4 스마트폰 케이스(200a, 200b, 200c, 200d)와 무선 통신 연결을 한 스마트폰에서의 착신 신호의 선별적 알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스마트폰 케이스 알람 설정(72)을 통해 상기 스마트폰(100)이 상기 스마트폰(100)에 메세지를 보내는 사용자중 특정 사용자의 메세지가 착신되는 경우 상기 제1 스마트폰 케이스(200a)가 알람을 생성하도록 설정할 수 있고, 상기 제1 스마트폰 케이스(200a)는 상기 스마트폰(100)과 물리적으로 직접 결합된 케이스이고 제2 내지 제4 스마트폰 케이스(200b, 200c, 200d)는 상기 스마트폰(100)에 물리적으로 결합된 것은 아니고 무선 통신 연결이 된 것이고, 상기 제1 내지 제4 스마트폰 케이스(200a, 200b, 200c, 200d)는 상기 스마트폰(100)과 무선 통신하는 무선 통신 모듈(240), 제1 및 제2 LED 모듈 플레이트(260a, 260b) 및 상기 무선 통신 모듈(240)과 제1 및 제2 LED 모듈 플레이트(260a, 260b)을 연결하는 제1 및 제2 접속 단자(250a, 250b)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스마트폰 케이스(200a)가 알람을 생성하는 것은 상기 제1 스마트폰 케이스(200a)의 상기 제1 및 제2 LED 모듈 플레이트(260a, 260b)에 설치된 LED가 발광하는 것이고, 상기 무선 통신 모듈(240)은 GPS 수신기를 구비하여 상기 제1 내지 제4 스마트폰 케이스(200a, 200b, 200c, 200d)의 위치 정보를 상기 스마트 폰(100)이 취득할 수 있고, 상기 제1 스마트폰 케이스(200a)의 무선 통신 모듈(240)이 상기 스마트폰(100)의 전원이 꺼지는 것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제1 스마트폰 케이스(200a)의 상기 제1 및 제2 LED 모듈 플레이트(260a, 260b)에 설치된 LED가 발광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스마트폰 케이스(200a)는 투명한 재질의 바닥부(210)와 상기 바닥부(210)의 가장자리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투명한 재질의 제1 내지 제4 측벽(221, 222, 223, 224)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4 측벽(221, 222, 223, 224)으로 둘러싸인 공간에 스마트폰(100)이 끼워지고, 제1 및 제3 측벽(221, 223)은 서로 마주보고 제2 및 제4 측벽(222, 224)은 서로 마주보며, 제1 및 제3 측벽(221, 223)이 제2 및 제4 측벽(222, 224)보다 길이가 짧으며, 제1 내지 제4 측벽(221, 222, 223, 224)의 내부는 직사각형 형상이 된다.
상기 제1 LED 모듈 플레이트(260a)은 바닥부(210)에서 제4 측벽(224)에 나란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2 LED 모듈 플레이트(260b)는 바닥부(210)에서 제2 측벽(222)에 나란하게 설치되어 제4 측벽 및 제2 측벽을 통해 외부에 광을 방출하는 방식으로 알림이 생성되고, 상기 제2 측벽(222) 안쪽에는 스마트폰(100)의 카메라에 대응되는 제1 카메라 개구(212)가 형성되어 있어서 제2 LED 모듈 플레이트(260b)이 제1 LED 모듈 플레이트(260a)에 비하여 길이가 짧게 형성되고, 상기 제3 측벽(223)에는 스마트폰 충전 개구(223a)와 이어폰 충전 개구(223b)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3 측벽(223) 하부에 위치하는 바닥부(210)의 외측면(210a)에 상기 무선 통신 모듈(240)을 충전하기 위한 충전 단자(245)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에서의 착신 신호의 선별적 알림 시스템.
본 발명은 스마트폰에 설치된 커뮤니케이션 프로그램에 사용자에게 정보를 보내는 다른 사용자 또는 단체의 중요성에 따라 스마트폰 케이스에서 알람이 발생하게 하여 사용자는 스마트폰의 메세지가 수신될때마다 스마트폰을 체크할 필요성을 없게 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서 알람 방식은 중요 사용자의 메세지가 수신될 때 또는 스마트폰의 전원이 꺼졌을 때등 특수한 상황에서 스마트폰 케이스의 LED 발광 소자에 광원이 들어와서 시각적인 인식을 하게 하고 스마트폰으로부터는 방해를 받지 않도록 하여 사용자의 업무 집중에 방해하지 않을 수 있게 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스마트폰 케이스는 스마트폰과 무선 통신을 하면서 스마트폰이 충전량 부족으로 전원이 꺼지는 경우 스마트폰의 위치를 파악하기 어려우므로 스마트폰의 전원이 꺼지는 경우 스마트폰 케이스의 LED 발광 소자가 발광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스마트폰의 배터리 부족으로 꺼졌다는 것을 인식하게 하여 추후에 스마트폰을 찾는 것이 어렵지 않게 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스마트폰 케이스에는 위치 정보 인식이 가능한 비콘 또는 GPS 수신기등이 내장되어 다른 스마트폰에서도 위치 정보를 추적하게 할 수 있게 하여 스마트폰이 꺼져 있는 경우 다른 스마트폰에서 용이하게 찾을 수 있게 하였다.
도 1a 및 1b는 종래 스마트폰의 화면 표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의 스마트폰의 화면 표시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e는 스마트폰 케이스의 무선 제어 모듈(240)과 무선 통신가능한 스마트폰 케이스 앱(70)의 프로그램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스마트폰(100)과 제1 내지 제4 스마트폰 케이스(200a, 200b, 200c, 200d)의 통신 상태의 개략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제1 스마트폰 케이스(200a)의 사시도와 배면 사시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제1 스마트폰 케이스(200a)에 스마트폰(100)이 삽인된 상태의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스마트폰의 화면 표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 스마트폰의 화면 표시 도면로서, 다수의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프로그램에는 확인되지 않은 메세지 또는 알림의 개수를 단순히 원형 안에 표시하고 있을뿐, 수신된 메세지를 보낸 사람 또는 단체가 중요성이 있는지 전혀 알수가 없다.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의 스마트폰(100)의 화면을 도시하고 있으며, 본 발명 스마트폰(100)에는 스마트폰 케이스 앱(70)이 설치되어 있으며, 스마트폰 앱(70)을 선택하면 도 3a 내지 도 3e의 화면이 전시된다.
주요 메뉴에는 스마트폰 케이스 연결(71), 스마트폰 케이스 알람 설정(72), 스마트폰 케이스 위치 찾기(73) 및 설정 완료(74)가 있다.
스마트폰 케이스 연결(71) 메뉴를 선택하면 도 3a와 같이 블루투스등을 통해 제1 내지 제4 스마트폰 케이스와 연결이 된다.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내지 제4 스마트폰 케이스(200a, 200b, 200c, 200d)는 스마트폰(100)에 블루투스, 비콘 또는 기타의 무선 통신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스마트폰 케이스(200a, 200b, 200c, 200d)는 도 5a와 도 5b 및 도 6a와 도 6b의 제1 스마트폰 케이스(200a)와 동일한 것으로, 하나의 스마트폰(100)은 다수의 스마트폰 케이스와 연결된다.
이는, 가족들의 스마트폰 케이스와 연결하여, 가족중 일부의 스마트폰이 분실되거나 집에서 찾는 경우 도움을 주기 위하여 자신의 스마트폰 케이스 뿐만 아니라 다수의 스마트폰 케이스가 자신의 스마트폰에 연결되도록 하고자 하는 것이다.
스마트폰 케이스 연결 메뉴(71)를 통해 사용자의 스마트폰(100)은 제1 내지 제4 스마트폰 케이스(200a, 200b, 200c, 200d)에 블루투스를 통해 연결할 수 있고 필요한 경우 연결을 끊을 수도 있다.
스마트폰 케이스 알람 설정 메뉴(72)를 선택하면 스마트폰(100)에 메세지가 왔을때 알람을 생성할 스마트폰 케이스를 선정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 사용자의 스마트폰(100)에 물리적으로 접촉하고 있는 제1 스마트폰 케이스(200a)를 선택하였다.
제1 스마트폰 케이스(200a)를 선택하면 도 3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중요 사용자를 선택할 수 있으며 도 3에서는 최00, 박00, 및 송00를 선택하였다.
중요 사용자란 스마트폰(100)에 그들의 메세지가 도착하였을때 제1 스마트폰 케이스(200a)를 통해 스마트폰 사용자에게 메세지가 왔다는 알림이 필요한 사용자이다.
스마트폰 케이스 앱(70)의 설정 완료(74)를 선택하면 상기 중요 사용자 정보가 스마트폰 케이스의 무선 통신 모듈(240)에 전송이 되고, 스마트폰(100)과 무선 통신 모듈(240)을 통해 무선 통신되는 제1 스마트폰 케이스(200a)에 저장이 된 후, 스마트폰(100)에 중요 사용자에 대한 메세지가 전송이 되면 제1 스마트폰 케이스(200a)에 설치된 제1 및 제2 LED 모듈(260a, 260b)에 의해 빛이 외부로 방출된다.
스마트폰 사용자는 스마트폰(100)의 알람 기능을 끄고 스마트폰 케이스 앱(70)의 알람 설정 메뉴(72)에서 선택된 사용자 (중요 사용자)의 메세지가 오면 제1 스마트폰 케이스(200a)의 제1 및 제2 LED 모듈(260a, 260b)에서 빛이 방출되게 허여 중요 사용자의 메세지의 착신에 대해서만 대응하면 되므로 업무의 집중도를 향상시킬수 있을 것이다.
제1 스마트폰 케이스(200a)는 스마트폰(100)과 통신을 하며 알람기능, 위치 추적 기능을 하기 위하여 도 5a 내지 도 6b에 도시된 것과 같은 기능 및 구조를 구비한다.
제1 스마트폰 케이스(200a)는 바닥부(210)와 상기 바닥부(210)의 가장자리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제1 내지 제4 측벽(221, 222, 223, 224)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4 측벽(221, 222, 223, 224)으로 둘러싸인 공간에 스마트폰(100)이 끼워진다.
제1 및 제3 측벽(221, 223)은 서로 마주보고 제2 및 제4 측벽(222, 224)은 서로 마주보며, 제1 및 제3 측벽(221, 223)이 제2 및 제4 측벽(222, 224)보다 길이가 짧으며, 제1 내지 제4 측벽(221, 222, 223, 224)의 내부는 직사각형 형상이 된다.
제1 내지 제4 측벽(221, 222, 223, 224)에 의해 이루어지는 모퉁이에는 제1 내지 제4 모퉁이 충격 방지부(231, 232, 233, 234)가 형성되어 스마트폰(100)이 떨어지는 경우 충격을 흡수한다
바닥부(210)에는 제1 및 제2 카메라 개구(212, 213)가 형성되어서 스마트폰(100)의 카메라부는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 개구(212, 213)를 통해 촬영이 가능하다.
상기 바닥부(210)에는 무선 통신 모듈(240), 제1 및 제2 LED 모듈 플레이트(260a, 260b) 및 상기 무선 통신 모듈(240)과 제1 및 제2 LED 모듈 플레이트(260a, 260b)을 연결하는 제1 및 제2 접속 단자(250a, 250b)가 내장되어 있다.
상기 제1 스마트폰 케이스(200a)는 투명한 재질로 되어 있어서 제1 및 제2 LED 모듈 플레이트(260a, 260b)에서 LED가 켜지는 경우 외부에 빛을 방출하게 된다.
상기 제1 및 제2 LED 모듈 플레이트(260a, 260b)의 LED는 빨강색 또는 파란색과 같이 색을 구비하여 LED가 켜진 경우 사용자가 쉽게 인식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 측벽(223)의 하부에 위치하는 바닥부(210)의 외측부에는 충전 단자(245)가 설치되고, 사용자는 충전 단자(245)를 통해 무선 통신 모듈(240)을 충전시킨다.
스마트폰(100)에 의해서 설정된 중요 사용자로 부터 메세지가 오면 무선 통신 모듈(240)에 이러한 정보가 전송이 되고 무선 통신 모듈(240)은 제1 및 제2 접속 단자(250a, 250b)를 통해 제1 및 제2 LED 모듈 플레이트(260a, 260b)의 LED를 발광하게 된다.
제3 측벽(223)에는 스마트폰 충전 개구(223a)와 이어폰 충전 개구(223b)가 형성되어 있어서, 제3 측벽(223)의 스마트폰 충전 개구(223a)를 통해서는 스마트폰(100)을 충전하고 상기 제3 측벽(223) 하부에 위치하는 바닥부(210)의 외측면(210a)에 설치된 충전 단자(245)를 통해서는 무선 통신 모듈(240)을 충전하게 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한다.
또한, 사용자는 스마트폰 케이스 앱(70)의 위치 찾기 메뉴(73)을 선택하여 자신이 찾고자 하는 스마트폰 케이스를 선택할 수 있다.
도 3d에서는 제4 스마트폰 케이스를 선택하였으며 이런 경우 제4 스마트폰 케이스의 위치 정보가 전시된다.
일반적으로 스마트폰(100)의 배터리는 오랜 시간 지속되지 않으므로 스마트폰(100)을 분실하는 경우 스마트폰(100)이 꺼져있는 경우가 많으므로 분실된 스마트폰과 결합되어 있는 스마트폰 케이스의 무선 통신 모듈에 내장된 GPS 수신기를 통해 분실된 스마트폰 및 이와 결합된 스마트폰 케이스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1 스마트폰 케이스(200a)의 무선 통신 모듈(240)은 스마트폰(100)과 통신을 하고 있으며 스마트폰(100)의 전원이 꺼지는 경우 이를 감지하고 제1 및 제2 LED 모듈(260a, 260b)의 LED를 켜서 스마트폰(100)의 전원이 꺼졌다는 것을 주위에 알린다.
이는 스마트폰이 꺼진 상태로 집에 놓여 있는 경우, 나중에 찾기 힘든 경우가 많으므로 이를 알려서 찾기 힘든 상황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자 하는 것이다
제1 LED 모듈 플레이트(260a)는 바닥부(210)에서 제4 측벽(224)에 나란하게 설치되고, 제2 LED 모듈 플레이트(260b)는 바닥부(210)에서 제2 측벽(222)에 나란하게 설치되어 제4 측벽 및 제2 측벽을 통해 외부에 광을 방출하는 방식으로 사용자에게 시각적 알림을 제공한다.
제2 측벽(222) 안쪽에는 제1 카메라 개구(212)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2 LED 모듈 플레이트(260b)가 제1 LED 모듈 플레이트(260a)에 비하여 길이가 짧게 되어 있고 서로 마주보는 상태가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부가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70: 스마트폰 케이스 앱 100: 스마트폰
200a, 200b, 200c, 200d: 제1 내지 제4 스마트폰 케이스
210: 바닥부
212, 213: 제1 및 제2 카메라 렌즈 개구
220: 측벽
221, 222, 223, 224: 제1 내지 제4 측벽
223a: 스마트폰 충전 개구 223b: 이어폰 충전 개구
250a, 250b: 제1 및 제2 접속 단자
260a, 260b: 제1 및 제2 LED 모듈 플레이트
231, 232, 233, 234: 제1 내지 제4 모퉁이 충격 방지부
240: 무선 통신 모듈 245: 충전 단자

Claims (4)

  1. 스마트폰(100)이 상기 스마트폰(100)에 설치된 스마트폰 케이스 앱(70)을 통해 제1 내지 제4 스마트폰 케이스(200a, 200b, 200c, 200d)와 무선 통신 연결을 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폰(100)이 상기 스마트폰 케이스 앱(70)을 통해 제1 스마트폰 케이스(200a)에 스마트폰(100)에 메세지를 보내는 사용자중 특정 사용자의 메세지가 착신되는 경우 제1 스마트폰 케이스(200a)가 알람을 생성하도록 요청하고 스마트 폰(100)의 알람은 끄는 단계; 및
    상기 스마트폰(100)에 상기 특정 사용자의 메세지가 착신된 경우 상기 제1 스마트폰 케이스(200a)가 알람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스마트폰 케이스(200a)는 상기 스마트폰(100)과 물리적으로 직접 결합된 케이스이고 제2 내지 제4 스마트폰 케이스(200b, 200c, 200d)는 상기 스마트폰(100)에 물리적으로 결합된 것은 아니고 무선 통신 연결이 된 것이고,
    상기 제1 내지 제4 스마트폰 케이스(200a, 200b, 200c, 200d)는 모두 동일한 구성이고,
    상기 제1 내지 제4 스마트폰 케이스(200a, 200b, 200c, 200d)는 상기 스마트폰(100)과 무선 통신하는 무선 통신 모듈(240), 제1 및 제2 LED 모듈 플레이트(260a, 260b) 및 상기 무선 통신 모듈(240)과 제1 및 제2 LED 모듈 플레이트(260a, 260b)을 연결하는 제1 및 제2 접속 단자(250a, 250b)를 포함하고,
    상기 알람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스마트폰 케이스(200a)의 상기 제1 및 제2 LED 모듈 플레이트(260a, 260b)에 설치된 LED가 발광하는 것이고,
    상기 무선 통신 모듈(240)은 GPS 수신기를 구비하여 상기 제1 내지 제4 스마트폰 케이스(200a, 200b, 200c, 200d)의 위치 정보를 상기 스마트 폰(100)이 취득할 수 있고,
    상기 제1 스마트폰 케이스(200a)의 무선 통신 모듈(240)이 상기 스마트폰(100)의 전원이 꺼지는 것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제1 스마트폰 케이스(200a)의 상기 제1 및 제2 LED 모듈 플레이트(260a, 260b)에 설치된 LED가 발광하고,
    상기 제1 스마트폰 케이스(200a)는 투명한 재질의 바닥부(210)와 상기 바닥부(210)의 가장자리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투명한 재질의 제1 내지 제4 측벽(221, 222, 223, 224)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4 측벽(221, 222, 223, 224)으로 둘러싸인 공간에 스마트폰(100)이 끼워지고,
    제1 및 제3 측벽(221, 223)은 서로 마주보고 제2 및 제4 측벽(222, 224)은 서로 마주보며, 제1 및 제3 측벽(221, 223)이 제2 및 제4 측벽(222, 224)보다 길이가 짧으며, 제1 내지 제4 측벽(221, 222, 223, 224)의 내부는 직사각형 형상이 되고,
    상기 제1 LED 모듈 플레이트(260a)는 바닥부(210)에서 제4 측벽(224)에 나란하게 내장되어 설치되고, 상기 제2 LED 모듈 플레이트(260b)는 바닥부(210)에서 제2 측벽(222)에 내장되어 나란하게 설치되어 제4 측벽 및 제2 측벽을 통해 외부에 광을 방출하는 방식으로 알림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에서의 착신 신호의 선별적 알림 방법.
  2. 삭제
  3. 스마트폰 케이스 앱(70)이 설치된 스마트폰(100); 및
    상기 스마트폰 케이스 앱(70)에 의하여 상기 스마트폰(100)과 무선 통신 연결되는 제1 내지 제4 스마트폰 케이스(200a, 200b, 200c, 200d);을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폰 케이스 앱(70)은 스마트폰 케이스 연결(71), 스마트폰 케이스 알람 설정(72), 스마트폰 케이스 위치 찾기(73) 및 설정 완료(74)의 메뉴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폰 케이스 연결(71)를 통해 상기 스마트폰(100)이 제1 내지 제4 스마트폰 케이스(200a, 200b, 200c, 200d)와 무선 통신 연결을 하고,
    상기 스마트폰 케이스 알람 설정(72)을 통해 상기 스마트폰(100)이 상기 스마트폰(100)에 메세지를 보내는 사용자중 특정 사용자의 메세지가 착신되는 경우 상기 제1 스마트폰 케이스(200a)가 알람을 생성하도록 설정하고 스마트폰(100)의 알람 기능은 끌 수 있고,
    상기 제1 스마트폰 케이스(200a)는 상기 스마트폰(100)과 물리적으로 직접 결합된 케이스이고 제2 내지 제4 스마트폰 케이스(200b, 200c, 200d)는 상기 스마트폰(100)에 물리적으로 결합된 것은 아니고 무선 통신 연결이 된 것이고,
    상기 제1 내지 제4 스마트폰 케이스(200a, 200b, 200c, 200d)는 상기 스마트폰(100)과 무선 통신하는 무선 통신 모듈(240), 제1 및 제2 LED 모듈 플레이트(260a, 260b) 및 상기 무선 통신 모듈(240)과 제1 및 제2 LED 모듈 플레이트(260a, 260b)을 연결하는 제1 및 제2 접속 단자(250a, 250b)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스마트폰 케이스(200a)가 알람을 생성하는 것은 상기 제1 스마트폰 케이스(200a)의 상기 제1 및 제2 LED 모듈 플레이트(260a, 260b)에 설치된 LED가 발광하는 것이고,
    상기 무선 통신 모듈(240)은 GPS 수신기를 구비하여 상기 제1 내지 제4 스마트폰 케이스(200a, 200b, 200c, 200d)의 위치 정보를 상기 스마트 폰(100)이 취득할 수 있고,
    상기 제1 스마트폰 케이스(200a)의 무선 통신 모듈(240)이 상기 스마트폰(100)의 전원이 꺼지는 것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제1 스마트폰 케이스(200a)의 상기 제1 및 제2 LED 모듈 플레이트(260a, 260b)에 설치된 LED가 발광하고,
    상기 제1 스마트폰 케이스(200a)는 투명한 재질의 바닥부(210)와 상기 바닥부(210)의 가장자리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투명한 재질의 제1 내지 제4 측벽(221, 222, 223, 224)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4 측벽(221, 222, 223, 224)으로 둘러싸인 공간에 스마트폰(100)이 끼워지고,
    상기 제1 및 제3 측벽(221, 223)은 서로 마주보고 상기 제2 및 제4 측벽(222, 224)은 서로 마주보며, 상기 제1 및 제3 측벽(221, 223)이 제2 및 제4 측벽(222, 224)보다 길이가 짧으며, 상기 제1 내지 제4 측벽(221, 222, 223, 224)의 내부는 직사각형 형상이 되고,
    상기 제1 LED 모듈 플레이트(260a)는 바닥부(210)에서 제4 측벽(224)에 내장되어 나란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2 LED 모듈 플레이트(260b)는 바닥부(210)에서 제2 측벽(222)에 내장되어 나란하게 설치되어 제4 측벽 및 제2 측벽을 통해 외부에 광을 방출하는 방식으로 알림이 생성되고,
    상기 제2 측벽(222) 안쪽에는 스마트폰(100)의 카메라에 대응되는 제1 카메라 개구(21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LED 모듈 플레이트(260b)이 제1 LED 모듈 플레이트(260a)에 비하여 길이가 짧게 형성되고,
    상기 제3 측벽(223)에는 스마트폰 충전 개구(223a)와 이어폰 충전 개구(223b)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3 측벽(223) 하부에 위치하는 바닥부(210)의 외측면(210a)에 상기 무선 통신 모듈(240)을 충전하기 위한 충전 단자(245)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에서의 착신 신호의 선별적 알림 시스템.

  4. 삭제
KR1020220098217A 2022-08-06 2022-08-06 스마트폰에서 착신 신호의 선별적 알림 방법 및 이에 관한 시스템 KR1024814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8217A KR102481495B1 (ko) 2022-08-06 2022-08-06 스마트폰에서 착신 신호의 선별적 알림 방법 및 이에 관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8217A KR102481495B1 (ko) 2022-08-06 2022-08-06 스마트폰에서 착신 신호의 선별적 알림 방법 및 이에 관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1495B1 true KR102481495B1 (ko) 2022-12-26

Family

ID=84547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8217A KR102481495B1 (ko) 2022-08-06 2022-08-06 스마트폰에서 착신 신호의 선별적 알림 방법 및 이에 관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149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58480A (ko) * 2012-04-20 2012-06-07 송민기 휴대폰 분실 방지장치
KR20150049664A (ko) 2013-10-30 2015-05-0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에서 알림을 표시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70046960A (ko) 2015-10-22 2017-05-04 최장호 이동형 알림 메시지 표시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1823091B1 (ko) * 2016-12-15 2018-02-28 (주) 더블유엘피 휴대 단말용 케이스 장치 및 휴대 단말의 케이스를 이용한 정보 표시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58480A (ko) * 2012-04-20 2012-06-07 송민기 휴대폰 분실 방지장치
KR20150049664A (ko) 2013-10-30 2015-05-0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에서 알림을 표시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70046960A (ko) 2015-10-22 2017-05-04 최장호 이동형 알림 메시지 표시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1823091B1 (ko) * 2016-12-15 2018-02-28 (주) 더블유엘피 휴대 단말용 케이스 장치 및 휴대 단말의 케이스를 이용한 정보 표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8639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formation about a call recipient at a user device
US8976940B2 (en) Systems and related methods for visual indication of an occurrence of an event
EP2942994B1 (en) System and method for indicating pairing availability between devices
KR20110083027A (ko) 모바일 단말의 시간 설정을 통한 자가 호출 및 긴급 신고 방법, 그 시스템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US11742884B2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and communication system
CN102334326A (zh) 可折叠式通信设备
KR102481495B1 (ko) 스마트폰에서 착신 신호의 선별적 알림 방법 및 이에 관한 시스템
JP2010086384A (ja) ロケータ管理装置,ロケータ端末,紛失防止システムおよびロケータ管理プログラム
KR102458494B1 (ko) 무선 통신을 이용한 스마트폰 위치 추적 방법 및 이의 시스템
JP6518349B2 (ja) スマートランプを制御する方法、装置及びシステム
KR101823091B1 (ko) 휴대 단말용 케이스 장치 및 휴대 단말의 케이스를 이용한 정보 표시 시스템
JP2016100774A (ja) 監視システム
JP2010011044A (ja) 携帯通信端末装置及び充電器、並びに充電システム
JP4091517B2 (ja) 着信制御装置、端末装置、メッセージ蓄積装置及び着信制御方法
KR20210088215A (ko) 블루투스를 활용한 스티커 센서
CN216748753U (zh) 一种扫码器
JP4632682B2 (ja) 赤外線を用いた防犯システム並びにこのシステムで用いられる赤外線送受信装置および無線通信装置
KR102251912B1 (ko) 탐색 기능이 구비된 단말기 거치대
KR20040110036A (ko) 근거리 호출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JP6522672B2 (ja) 電子機器
CN209046690U (zh) 光学器件模组及终端
JP4244946B2 (ja) 選択呼出受信機を用いた通信システム
JP6383443B2 (ja) 電子機器
KR20140123290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벤트 알림 제어 방법 및 이동통신 단말기 조립체의 이벤트 알림 제어 방법
JP2002281548A (ja) 携帯電話機、および携帯電話マナー支援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