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0953B1 - 표면처리된 슈퍼 캐패시터 모듈의 플레이트형 단자 및 이를 포함하는 슈퍼 캐패시터 모듈 - Google Patents
표면처리된 슈퍼 캐패시터 모듈의 플레이트형 단자 및 이를 포함하는 슈퍼 캐패시터 모듈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80953B1 KR102480953B1 KR1020210042867A KR20210042867A KR102480953B1 KR 102480953 B1 KR102480953 B1 KR 102480953B1 KR 1020210042867 A KR1020210042867 A KR 1020210042867A KR 20210042867 A KR20210042867 A KR 20210042867A KR 102480953 B1 KR102480953 B1 KR 10248095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ttery cell
- heat
- terminal
- plate
- type terminal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3990 capacitor Substances 0.000 title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2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9000012809 cooling flu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group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29910000838 Al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9000000956 alloy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TWNQGVIAIRXVLR-UHFFFAOYSA-N oxo(oxoalumanyloxy)alumane Chemical compound O=[Al]O[Al]=O TWNQGVIAIRXVLR-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7743 anodi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29910018072 Al 2 O 3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4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RTAQQCXQSZGOHL-UHFFFAOYSA-N Titanium Chemical compound [Ti] RTAQQCXQSZGOH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25 accu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53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5 air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47 coating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33 condens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94 cond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98 cooling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92 electrical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68 electrolysis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80 expl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803 fossil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54 integ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739 meta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861 polymer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81 surface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6 titan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9 tita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6 trans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844 transfo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74—Terminals, e.g. extensions of current collecto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14—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adjusting or protecting hybrid or EDL capacitors
- H01G11/18—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adjusting or protecting hybrid or EDL capacitors against thermal overloads, e.g.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면처리된 슈퍼 캐패시터 모듈의 플레이트형 단자 및 이를 포함하는 슈퍼 캐패시터 모듈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면처리된 슈퍼 캐패시터 모듈의 플레이트형 단자는, 슈퍼 캐패시터 모듈을 구성하는 배터리 셀의 일면에 부착되어 사용되며, 열전도성과 전기전도성을 갖는 소재로 마련되는 플레이트형 단자로서, 상기 배터리 셀의 단자와 연결되도록 배터리 셀의 일면에 부착되어 배터리 셀의 전류를 전달하는 단자부 및 상기 단자부의 일측에 마련되어 열을 전도하는 열전도부를 포함하며, 상기 열전도부는, 절연층을 형성하도록 표면처리 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표면처리된 슈퍼 캐패시터 모듈의 플레이트형 단자 및 이를 포함하는 슈퍼 캐패시터 모듈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절연층을 형성하도록 표면처리된 슈퍼 캐패시터 모듈의 플레이트형 단자 및 이를 포함하는 슈퍼 캐패시터 모듈에 관한 것이다.
배터리는 다양한 전자기기의 전력원으로 이용되고 있다. 전기 자동차나 기타 용도로 사용되는 배터리는 필요한 용량에 따라 수 십 개 또는 백 개 이상의 단위 배터리 셀(Battery cell)이 집합된 배터리 팩으로 구성된다.
배터리의 사용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배터리 셀들의 전압 레벨을 동일하게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서 배터리 관리 시스템(battery management system: BMS)이 구비되어 배터리 팩의 각 배터리 셀들을 충전 또는 방전하면서 각 셀의 전압을 적정한 레벨로 유지시킨다.
최근, 충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는 와이어리스 모바일 기기의 에너지원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이차전지는 화석 연료를 사용하는 기존의 가솔린 차량, 디젤 차량 등의 대기오염 등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제시되고 있는 전기자동차(EV),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HEV),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Plug-In HEV), 수소전기차(FCEV) 등의 동력원으로서도 주목 받고 있다.
소형 모바일 기기들에는 디바이스 1 대당 하나 또는 두서너 개의 배터리 셀들이 사용됨에 반하여, 자동차 등과 같은 중대형 디바이스에는 고출력 대용량의 필요성으로 인해, 다수의 배터리 셀을 전기적으로 연결한 슈퍼 캐패시터 모듈이 사용된다.
슈퍼 캐패시터 모듈은 가능하면 작은 크기와 중량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높은 집적도로 충적될 수 있고 용량 대비 중량이 작은 각형 전지, 파우치형 전지 등이 슈퍼 캐패시터 모듈의 배터리 셀(단위전지)로서 주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 등을 외장부재로 사용하는 파우치형 전지는 중량이 작고 제조비용이 낮으며 형태 변형이 용이하다는 등의 이점으로 인해 최근 많은 관심을 모으고 있다.
이러한 슈퍼 캐패시터 모듈을 구성하는 배터리 셀들은 충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이와 같은 고출력 대용량 이차전지는 충방전 과정에서 다량의 열을 발생시킨다. 특히, 상기 전지모듈에 널리 사용되는 파우치형 전지의 라미네이트 시트는 열전도성이 낮은 고분자 물질로 표면이 코팅되어 있으므로, 배터리 셀 전체의 온도를 효과적으로 냉각시키기 어려운 실정이다.
충방전 과정에서 발생한 전지모듈의 열이 효과적으로 제거되지 못하면, 열축적이 일어나고 결과적으로 전지모듈의 열화를 촉진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발화 또는 폭발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고출력 대용량의 배터리팩에는 그것이 내장되어 있는 배터리 셀들을 냉각시키는 냉각시스템이 필요하다.
한편, 배터리 셀들을 냉각시키기 위해 배터리 셀의 단자를 제외한 배터리 셀 전체를 금속 플레이트로 감싸 히트싱크 작용을 하도록 하는 노력이 이루어졌고, 이의 방식은 금속 플레이트가 배터리 셀의 단자와 접촉하지 않는 구조로서 쇼트 발생 여지가 적었다.
그러나, 상기의 방식은 배터리 셀의 단자가 배터리 셀 외부로 노출되어 있을 경우에만 가능한 것으로, 배터리 셀 내부로 내재되는 내면 단자형의 슈퍼 캐패시터는 금속 플레이트가 전류를 전달하도록 배터리 셀의 단자와 연결되어야 하기 때문에 쇼트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절연처리가 반드시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되는 것으로, 본 발명은 배터리 셀의 단자와 연결되도록 배터리 셀의 일면에 부착되어 전류를 전달하면서도 히트싱크 작용을 하여 냉각 기능을 갖는 플레이트형 단자에 있어서, 쇼트 발생 방지를 위해 절연층을 형성하도록 표면처리되는 슈퍼 캐패시터 모듈의 플레이트형 단자 및 이를 포함하는 슈퍼 캐패시터 모듈을 제공하는 데 목적을 지닌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면처리된 슈퍼 캐패시터 모듈의 플레이트형 단자는, 슈퍼 캐패시터 모듈을 구성하는 배터리 셀의 일면에 부착되어 사용되며, 열전도성과 전기전도성을 갖는 소재로 마련되는 플레이트형 단자로서, 상기 배터리 셀의 단자와 연결되도록 배터리 셀의 일면에 부착되어 배터리 셀의 전류를 전달하는 단자부 및 상기 단자부의 일측에 마련되어 열을 전도하는 열전도부를 포함하며, 상기 열전도부는, 절연층을 형성하도록 표면처리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열전도성과 전기전도성을 갖는 소재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소재이며, 상기 열전도부는, 하드 아노다이징(Hard Anodizing) 공정으로 표면처리 되어, 산화알루미늄(Al2O3) 피막으로 상기 절연층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전도부는, 상기 배터리 셀의 일측면 또는 다측면으로 절곡되는 절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전도부는, 인접한 위치에 열 변화 수단이 마련되어, 상기 열 변화 수단의 열 변화에 따라 상기 단자부의 열을 방출시키거나 상기 단자부로 열을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열전도부는 다른 실시예로서, 열전도부 본체; 상기 열전도부 본체의 외측면 길이를 따라 임의 또는 일정의 간격으로 마련되는 복수의 삽입홈 및 상기 열전도부 본체보다 높은 열전도율 가지며 상기 삽입홈으로 삽입되도록 구성되되, 상기 삽입홈의 두께보다 얇은 두께로 형성되어 정면과 후면 중 하나 이상에 제1 냉각 유체 접촉면을 형성하고, 삽입홈 보다 외측으로 더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돌출된 상면과 하면에 각각 제2 냉각 유체 접촉면을 형성하고, 외측면에 제3 냉각 유체 접촉면을 형성하는 냉각향상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플레이트형 단자는, 상기 냉각향상부재의 열전도율 설정에 의해 상기 열전도부의 냉각 성능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슈퍼 캐패시터 모듈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길이 양단부 중 하나 이상의 단부에는 전극 리드가 마련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을 따라 일렬로 배열 설치되는 복수의 배터리 셀; 상기 복수의 배터리 셀의 일면에 각기 부착되어, 복수의 배터리 셀 사이 또는 배터리 셀과 프레임 전극 리드 사이에서 전류를 전달하는 플레이트형 단자; 상기 프레임의 각 단부와 배열 최 외측 배터리 셀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배터리 셀을 제어하는 제어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플레이트형 단자는, 상기 배터리 셀의 단자와 연결되도록 배터리 셀의 일면에 부착되어 배터리 셀의 전류를 전달하는 단자부 및 상기 단자부의 일측에 마련되어 열을 전도하는 열전도부을 포함하며,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소재로 마련되되, 하드 아노다이징(Hard Anodizing) 공정으로 표면처리 되어 산화알루미늄(Al2O3) 피막으로 절연층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슈퍼 캐패시터 모듈의 플레이트형 단자 및 이를 포함하는 슈퍼 캐패시터 모듈은, 일체화된 형태로 단자 기능과 냉각 기능을 동시에 수행 가능하면서도 전류 전달 부분을 제외한 부분들에 절연층이 형성되어 쇼트 발생 여지를 현저히 낮춘 장점이 있다.
여기서, 절연층은 하드 아노다이징(Anodizing) 공정에 의해 생성되는 산화피막층으로 형성되어 표면의 경도가 향상됨과 동시에 염수를 포함한 수분에 매우 강하고, 열전도성 또한 뛰어난 장점이 있다.
또한, 위에서 언급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만 한정되지 않고, 명세서 및 도면으로부터 예측 가능한 모든 효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슈퍼 캐패시터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슈퍼 캐패시터 모듈의 일부 구성을 분해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슈퍼 캐패시터 모듈의 일 구성인 플레이트형 단자의 상세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플레이트형 단자를 평면 방향에서 바라보아 열전도부에 형성되는 절연층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5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열 변화 수단에 의해 열이 전달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절곡부의 예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열전도부의 다른 예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슈퍼 캐패시터 모듈의 일부 구성을 분해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슈퍼 캐패시터 모듈의 일 구성인 플레이트형 단자의 상세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플레이트형 단자를 평면 방향에서 바라보아 열전도부에 형성되는 절연층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5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열 변화 수단에 의해 열이 전달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절곡부의 예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열전도부의 다른 예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면처리된 슈퍼 캐패시터 모듈의 플레이트형 단자 및 이를 포함하는 슈퍼 캐패시터 모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슈퍼 캐패시터 모듈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슈퍼 캐패시터 모듈의 일부 구성을 분해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슈퍼 캐패시터 모듈(1)은 프레임(10), 배터리 셀(20), 플레이트형 단자(30), 탄성부재(50) 및 제어기판(6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레임(10)은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단일 프레임으로 형성되거나 복수의 프레임이 조합을 이루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배터리 셀(20)의 장착이 용이하도록 복수의 프레임이 조합을 이룰 수 있으며, 복수의 프레임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면 프레임(11), 후면 프레임(12), 바닥 프레임(13), 상면 프레임(15)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바닥 프레임(13)과 상면 프레임(15)은 각각 정면 프레임(11)과 후면 프레임(12)에 조립되는 형태이거나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모두 가능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복수의 프레임의 형태는 일례에 불과한 것으로, 상기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프레임(10)의 구성은 다양하게 조성될 수 있다.
프레임(10)의 양단부에는 전극 리드(11a)가 마련될 수 있다. 즉, 프레임(10)의 양단부를 정면 프레임(11)과 후면 프레임(12)이 구성할 경우, 전극 리드(11a)는 정면 프레임(11)과 후면 프레임(12) 각각에 마련될 수 있다.
전극 리드(11a)는 배터리 셀(20)이 일렬로 배열을 이룰 때 최 외측에 위치한 배터리 셀(20)과 연결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배터리 셀(20)로부터 전류를 공급 받아 전극 리드(11a)에 접속하는 장치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전극 리드(11a)는 배터리 셀(20)과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플레이트형 단자(30)를 매개로 하여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플레이트형 단자(30)를 포함하는 데 일 특징이 있는 것으로, 플레이트형 단자(30)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배터리 셀(20)은 복수로 마련되어 프레임(10)을 따라 일렬로 배열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배터리 셀(20)은 전류의 공급을 위해 단자(미도시)를 갖도록 형성되는데, 배터리 셀의 단자는 위치는 한정되지는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배터리 셀(20)에 내재되는 내면 단자일 수 있다.
배터리 셀(20)이 내면 단자를 가짐으로써 단자의 노출을 최소화할 수 있고, 후술하는 플레이트형 단자(30)가 일면에 부착될 수가 있다.
한편, 플레이트형 단자(30)가 부착되는 배터리 셀(20)은 일렬로 배열 시에 플레이트형 단자(30)간 마주하지 않도록 배열될 수 있다. 즉, 인접한 배터리 셀(20) 사이에는 1개의 플레이트형 단자(30)만 위치되도록 배터리 셀(20)이 배열될 수 있는 것이다.
플레이트형 단자(30)는 열전도성과 전기전도성을 갖는 소재로서, 각 배터리 셀(20) 일면에 부착되어 배터리 셀(20)의 단자(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이는, 플레이트형 단자(30)가 배터리 셀(20)의 전류를 공급받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여기서, 열전도성과 전기전도성을 갖는 소재로서,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소재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티타늄 등의 다른 금속이나 탄소복합소재 등 설정되는 열전도성과 전기전도성에 맞춰진다면 다른 소재의 사용도 가능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후술하는 산화알루미늄(Al2O3) 피막으로 절연층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소재로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플레이트형 단자(30)는 부착된 배터리 셀(20)로부터 전류를 공급 받아 타 배터리 셀(20)로 전류를 전달할 수 있으며, 최 외측에 배치된 배터리 셀(20)의 플레이트형 단자(30)일 경우 부착된 배터리 셀(20)로부터 전류를 공급 받아 프레임(10)의 전극 리드(11a)로 전류를 전달할 수 있다.
탄성부재(50)는 프레임(10)의 각 단부와 배터리 셀(20)의 배열 중 최 외측 배터리 셀(2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이때, 탄성부재(50)는 프레임(10)을 지지 삼아 배터리 셀(20)을 압축 방향으로 압착하여 배터리 셀(20) 간의 밀착성을 높이면서 배터리 셀(20)과 프레임(10) 사이를 완충할 수 있다. 이러한 탄성부재(50)는 판 스프링, 코일 스프링 등 다양한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제어기판(60)은 배터리 셀(20)과 연결되어 배터리 셀(20)을 제어 할 수가 있다. 또한, 제어기판(60)은 연결된 배터리 셀(20)로부터 상태신호를 전송 받아 배터리 셀(20)의 상태를 감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배터리 셀(20)의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도 있다.
여기서, 배터리 셀(20)의 상태신호는 배터리 셀(20)의 작동여부나 배터리 셀(20)의 배터리 잔량 등에 대한 상태신호 일 수 있으며, 제어기판(60)은 플레이트형 단자(30)를 매개로 제어기판(60)과 연결되어 배터리 셀(20)을 제어하거나 배터리 셀(20)로부터 상태신호를 전송 받아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기판(60)은 배터리 셀(20)의 상태 감지 시에 이상 여부를 감지할 경우 LED로 발광하거나 스피커로 소리를 발산하고, 또는 연결된 사용자 단말로 문자 등을 전송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알림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배터리 셀(20)의 모니터링이 수행될 수가 있다.
도 3은 도 1의 슈퍼 캐패시터 모듈의 일 구성인 플레이트형 단자의 상세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플레이트형 단자를 평면 방향에서 바라보아 열전도부에 형성되는 절연층을 보여주는 개략도이고, 도 5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열 변화 수단에 의해 열이 전달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절곡부의 예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플레이트형 단자(30)는 단자부(31) 및 열전도부(3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자부(31)는 평판 형태로서 배터리 셀(20)의 마련된 단자와 연결되도록 배터리 셀(20)의 일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이때, 단자부(31)는 열전도성과 전기전도성을 갖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소재 등으로 마련되어 배터리 셀(20)의 전류를 전달받아 타 배터리 셀(20)이나 전극 리드(11a)로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열전도부(32)는 단자부(31)의 일측에 마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단자부(31)의 연장선상에 있는 평판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열전도부(32)는 단자부(31)와 같이 열전도성과 전기전도성을 갖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소재 등으로 마련되어 단자부(31)와 열전도부(32)가 마주하는 공간이나 장치 사이에서 열을 전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열전도부(32)가 공기층과 마주할 경우, 단자부(31)가 전류를 전달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열을 공기층으로 방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혹여 단자부(31)에서 발생되는 온도보다 높은 온도의 열을 방출하는 장치와 마주할 경우, 해당 장치에서 발생되는 열을 단자부(31)로 전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열전도부(32)는 인접한 위치에 열 변화 수단(70)이 마련될 수 있다.
열 변화 수단(70)은 단자부(31)보다 높은 온도를 형성하는 마련되는 발열체이거나 단자부(31)보다 낮은 온도를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냉각체로서, 발열체로 마련될 경우 열전도부(32)를 매개로 단자부(31)로 열을 공급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냉각체로 마련될 경우 열전도부(32)를 매개로 단자부(31)의 열을 공급받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열전도부(32)는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는 열 변화 수단(70)의 열 변화에 따라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부(31)의 열을 방출시키거나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부(31)로 열을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열전도부(32)의 작동을 하도록 만드는 열 변화 수단(70)은 공냉, 수냉 또는 냉매식의 냉각파이프나, 히트싱크, 히터, 전열소자 등 열 변화를 줄 수 있는 다양한 수단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열 변화 수단(70)은 일례에 불과한 것으로 반드시 마련되는 것은 아니며, 열 변화 수단(70)이 마련되지 않을 경우 열전도부(32)는 상술한 바와 같이 공기층과 마주하도록 구성되어 단자부(31)의 열을 공기층으로 방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열전도부(32)는 표면에 절연층(32a)을 형성하도록 표면처리 될 수 있다. 표면에 절연층(32a)이 형성되도록 표면처리된 열전도부(32)는 냉각 시 발생할 수 있는 결로 등의 수분으로 인한 쇼트 발생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다.
여기서, 열전도성과 전기전도성을 갖는 소재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소재일 경우, 열전도부(32)는, 하드 아노다이징(Hard Anodizing) 공정으로 표면처리 될 수 있다. 하드 아노다이징 공정으로 표면처리되는 열전도부는 표면에 산화알루미늄(Al2O3) 피막층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 산화알루미늄 피막층이 절연층(32a)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소재로 마련되는 열전도부(32)에 양극(Anode)으로 걸쳐 희석-산의 액으로 전해하면, 양극에서 발생하는 산소에 의해 열전도부(32)의 표면에 강하게 밀착되는 산화알루미늄 피막층이 형성된다. 이 산화알루미늄 피막층은, 내식성, 내마모성, 전기적 절연성 등의 특성을 가져 쇼트 방지를 수행하는 절연층(32a)의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이다.
더불어,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표면에 하드 아노다이징 공정을 수행할 경우, 열전도부(32)의 경도가 강화될 수 있고, 염수를 포함한 수분에 매우 강한 성질을 지닐 수도 있다.
한편, 열전도부(32)는 배터리 셀(20)의 일측면 또는 다측면으로 절곡되는 절곡부(32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절곡부(32b)는 단자부(31)에서 열전도부(32)에 이르는 평면 상의 맨 끝단에 위치하여 배터리 셀(20)의 일측면 또는 다측면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되어 열전도부(32)의 열 전달 면적을 넓히고 플레이트형 단자(30)를 배터리 셀(20) 상에 일정하게 정렬시킬 수 있다.
또한, 열전도부(32)는 다른 예로써 열전도부 본체(321), 삽입홈(322), 냉각향상부재(323)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열전도부의 다른 예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열전도부(32)는 열전도부 본체(321), 삽입홈(322), 및 냉각향상부재(32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열전도부 본체(321)는 평판 형태로서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소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절연층(32a)이 형성되도록 표면처리 될 수 있다.
삽입홈(322)은 열전도부 본체(321)의 외측면 길이를 따라 임의 또는 일정의 간격을 형성하도록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삽입홈(322)의 양단에는 후술하는 냉각향상부재(323)의 삽입을 안내하는 끼움편(322a)이 돌출되어 냉각향상부재(323)가 삽입홈(322)으로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냉각향상부재(323)는 끼움편(322a)에 상응하는 끼움홈(323a)을 마련하여 삽입홈(322)으로 삽입될 수 있다. 또한, 냉각향상부재(323)는 열전도부 본체(321) 보다 높은 열전도율을 가지어 열전도부(32)가 단자부(31)의 열을 공기 또는 냉각수 등의 냉각 유체로 방출하는 냉각 작용 시에 냉각향상부재(323)를 통해 방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냉각향상부재(323)는 삽입홈(322)의 두께보다 얇은 두께로 형성되어 정면과 후면 중 하나 이상의 면에 제1 냉각 유체 접촉면(CP1)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냉각향상부재(323)는 삽입홈(322)으로 삽입되었을 시에 삽입홈(322)보다 외측으로 더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돌출된 상면과 하면에 각각 제2 냉각 유체 접촉면(CP2)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냉각향상부재(323)는 외측면에 제3 냉각 유체 접촉면(CP3)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1 내지 제3 냉각 유체 접촉면(CP1 내지 CP3)이 형성되는 냉각향상부재(323)는 열전도부 본체(321) 보다 높은 열전도율을 가지어 단자부(31)에서 열이 발생될 시 보다 빠르게 열을 유도하고, 제1 내지 제3 냉각 유체 접촉면(CP3)을 통해 냉각 유체로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열을 배출함으로써 단자부(31)의 냉각 성능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한편, 열전도율이 다른 냉각향상부재(323)를 삽입홈(322)에 삽입하면 다른 열전도율에 따라 단자부(31)의 냉각 정도가 달리 형성될 수 있고, 이를 이용하면 삽입되는 냉각향상부재(323)를 달리하여 단자부(31)의 성능을 조절할 수가 있다.
즉, 냉각향상부재(323)의 열전도율 설정에 의해 열전도부(32)의 냉각 성능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
1 : 슈퍼 캐패시터 모듈
10 : 프레임
11 : 정면 프레임
11a : 전극 리드
12 : 후면 프레임
13 : 바닥 프레임
15 : 상면 프레임
20 : 배터리 셀
30 : 플레이트형 단자
31 : 단자부
32 : 열전도부
32a : 절연층
32b : 절곡부
321 : 열전도부 본체
322 : 삽입홈
322a : 끼움편
323 : 냉각향상부재
323a : 끼움홈
50 : 탄성부재
60 : 제어기판
70 : 열 변화 수단
CP1 : 제1 냉각 유체 접촉면
CP2 : 제2 냉각 유체 접촉면
CP3 : 제3 냉각 유체 접촉면
10 : 프레임
11 : 정면 프레임
11a : 전극 리드
12 : 후면 프레임
13 : 바닥 프레임
15 : 상면 프레임
20 : 배터리 셀
30 : 플레이트형 단자
31 : 단자부
32 : 열전도부
32a : 절연층
32b : 절곡부
321 : 열전도부 본체
322 : 삽입홈
322a : 끼움편
323 : 냉각향상부재
323a : 끼움홈
50 : 탄성부재
60 : 제어기판
70 : 열 변화 수단
CP1 : 제1 냉각 유체 접촉면
CP2 : 제2 냉각 유체 접촉면
CP3 : 제3 냉각 유체 접촉면
Claims (7)
- 슈퍼 캐패시터 모듈을 구성하는 배터리 셀의 일면에 부착되어 사용되며, 열전도성과 전기전도성을 갖는 소재로 마련되는 플레이트형 단자로서,
평판 형태로 배터리 셀의 일면에 부착되고, 배터리 셀에 내재된 내면 단자와 연결됨으로써 배터리 셀의 전류를 전달하는 단자부 및
상기 단자부로부터 배터리 셀의 모서리에 도달하는 연장선상에 평판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단자부에 열을 전도하는 열전도부를 포함하며,
상기 열전도부는,
절연층을 형성하도록 표면처리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슈퍼 캐패시터 모듈의 플레이트형 단자.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도성과 전기전도성을 갖는 소재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소재이며,
상기 열전도부는,
하드 아노다이징(Hard Anodizing) 공정으로 표면처리 되어,
산화알루미늄(Al2O3) 피막으로 상기 절연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슈퍼 캐패시터 모듈의 플레이트형 단자.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도부는,
상기 배터리 셀의 일측면 또는 다측면으로 절곡되는 절곡부를 포함하는 슈퍼 캐패시터 모듈의 플레이트형 단자.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도부는,
인접한 위치에 열 변화 수단이 마련되어, 상기 열 변화 수단의 열 변화에 따라 상기 단자부의 열을 방출시키거나 상기 단자부로 열을 공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슈퍼 캐패시터 모듈의 플레이트형 단자.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도부는,
열전도부 본체;
상기 열전도부 본체의 외측면 길이를 따라 임의 또는 일정의 간격으로 마련되는 복수의 삽입홈 및
상기 열전도부 본체보다 높은 열전도율 가지며 상기 삽입홈으로 삽입되도록 구성되되, 상기 삽입홈의 두께보다 얇은 두께로 형성되어 정면과 후면 중 하나 이상에 제1 냉각 유체 접촉면을 형성하고, 삽입홈 보다 외측으로 더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돌출된 상면과 하면에 각각 제2 냉각 유체 접촉면을 형성하고, 외측면에 제3 냉각 유체 접촉면을 형성하는 냉각향상부재를 포함하는 슈퍼 캐패시터 모듈의 플레이트형 단자.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향상부재의 열전도율 설정에 의해 상기 열전도부의 냉각 성능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슈퍼 캐패시터 모듈의 플레이트형 단자.
-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길이 양단부 중 하나 이상의 단부에는 전극 리드가 마련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을 따라 일렬로 배열 설치되는 복수의 배터리 셀;
상기 복수의 배터리 셀의 일면에 각기 부착되어, 복수의 배터리 셀 사이 또는 배터리 셀과 프레임 전극 리드 사이에서 전류를 전달하는 플레이트형 단자;
상기 프레임의 각 단부와 배열 최 외측 배터리 셀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배터리 셀을 제어하는 제어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형 단자는,
평판 형태로 배터리 셀의 일면에 부착되고, 배터리 셀에 내재된 내면 단자와 연결됨으로써 배터리 셀의 전류를 전달하는 단자부 및
상기 단자부로부터 배터리 셀의 모서리에 도달하는 연장선상에 평판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단자부에 열을 전도하는 열전도부를 포함하며,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소재로 마련되되, 하드 아노다이징(Hard Anodizing) 공정으로 표면처리 되어 산화알루미늄(Al2O3) 피막으로 절연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슈퍼 캐패시터 모듈.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42867A KR102480953B1 (ko) | 2021-04-01 | 2021-04-01 | 표면처리된 슈퍼 캐패시터 모듈의 플레이트형 단자 및 이를 포함하는 슈퍼 캐패시터 모듈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42867A KR102480953B1 (ko) | 2021-04-01 | 2021-04-01 | 표면처리된 슈퍼 캐패시터 모듈의 플레이트형 단자 및 이를 포함하는 슈퍼 캐패시터 모듈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36773A KR20220136773A (ko) | 2022-10-11 |
KR102480953B1 true KR102480953B1 (ko) | 2022-12-23 |
Family
ID=83599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42867A KR102480953B1 (ko) | 2021-04-01 | 2021-04-01 | 표면처리된 슈퍼 캐패시터 모듈의 플레이트형 단자 및 이를 포함하는 슈퍼 캐패시터 모듈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80953B1 (ko)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51446B1 (ko) * | 2009-07-07 | 2011-07-22 | 주식회사 프로파워 | 배터리 케이스 |
KR101558702B1 (ko) * | 2013-12-19 | 2015-10-08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고전압 배터리 |
KR101684008B1 (ko) * | 2014-11-27 | 2016-12-07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간접냉각식 배터리 모듈용 계면 플레이트 및 그 제조방법 |
KR20210020413A (ko) * | 2019-08-14 | 2021-02-24 |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 배터리 모듈 |
-
2021
- 2021-04-01 KR KR1020210042867A patent/KR102480953B1/ko active IP Right Grant
Non-Patent Citations (4)
Title |
---|
인용발명 1: 공개특허공보 제10-2021-0020413호(2021.02.24.) 1부.* |
인용발명 2: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63821호(2016.06.07.) 1부.* |
인용발명 3: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72522호(2015.06.30.) 1부.* |
인용발명 4: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03912호(2011.01.13.) 1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36773A (ko) | 2022-10-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027002B2 (en) | Vehicle battery pack with improved cooling efficiency | |
US9865904B2 (en) | Battery cell of improved cooling efficiency | |
KR101084969B1 (ko) | 온도 센서가 장착된 전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중대형 전지팩 | |
KR101501026B1 (ko) | 우수한 냉각 효율성과 콤팩트한 구조의 전지모듈 | |
KR101560217B1 (ko) | 냉각 효율이 향상된 전지모듈 | |
KR102072765B1 (ko) |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자동차 | |
US10135047B2 (en) | Battery pack | |
US20060214641A1 (en) | Rechargeable battery module | |
KR20110063007A (ko) | 우수한 냉각 효율성과 콤팩트한 구조의 전지모듈 및 중대형 전지팩 | |
KR20150131759A (ko) | 열전 소자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 |
CN113614985A (zh) | 电池模块和包括该电池模块的电池组 | |
EP3930103B1 (en) | Connector, battery management unit, and battery pack | |
US8124265B2 (en) | Power storage device | |
KR20190024709A (ko) | 열전달 부재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 |
KR102480948B1 (ko) | 슈퍼 캐패시터 모듈의 플레이트형 단자 및 이를 포함하는 슈퍼 캐패시터 모듈 | |
KR102480953B1 (ko) | 표면처리된 슈퍼 캐패시터 모듈의 플레이트형 단자 및 이를 포함하는 슈퍼 캐패시터 모듈 | |
KR101554877B1 (ko) | 높은 냉각 효율성의 전지모듈 | |
KR102480964B1 (ko) | 배터리 셀의 정렬기능을 갖춘 슈퍼 캐패시터 모듈의 플레이트형 단자 및 이를 포함하는 슈퍼 캐패시터 모듈 | |
KR100648732B1 (ko) | 이차 전지 모듈 | |
KR102480976B1 (ko) | 배터리 셀간의 단차 저감기능을 갖춘 슈퍼 캐패시터 모듈의 플레이트형 단자 및 이를 포함하는 슈퍼 캐패시터 모듈 | |
KR101898009B1 (ko) | 이차 전지용 배터리 셀 | |
KR102569234B1 (ko) | 배터리 모듈의 냉각 구조 | |
KR102706171B1 (ko) | 전기 에너지 저장셀간의 유격 발생을 방지하는 전기 에너지 저장셀 모듈 어셈블리 | |
CN221150190U (zh) | 电池装置 | |
CN220672653U (zh) | 卷绕电芯及锂电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