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0252B1 - 통신 참가자 및 통신 시스템 - Google Patents

통신 참가자 및 통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0252B1
KR102480252B1 KR1020180126298A KR20180126298A KR102480252B1 KR 102480252 B1 KR102480252 B1 KR 102480252B1 KR 1020180126298 A KR1020180126298 A KR 1020180126298A KR 20180126298 A KR20180126298 A KR 20180126298A KR 102480252 B1 KR102480252 B1 KR 1024802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participant
module
participants
sign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62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5860A (ko
Inventor
에두아르트 파버
다니 슈나이더
크리슈티안 발덱
카르슈텐 클라우쓰
토마스 레데러
Original Assignee
페스토 에스이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페스토 에스이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페스토 에스이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1900458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58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02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02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12Discovery or management of network topolog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418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006Architecture of a communication n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006Architecture of a communication node
    • H04L12/40032Details regarding a bus interface enhanc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052High-speed IEEE 1394 serial bus
    • H04L12/40078Bus 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6Interconnection of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9/00Packet switching elements
    • H04L49/30Peripheral units, e.g. input or output 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9/00Packet switching elements
    • H04L49/40Constructional details, e.g. power supply, mechanical construction or backpla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264Arrangements for coupling to transmission 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화 시스템을 위한 통신 참가자에 관한 것으로서, 통신 참가자는 적어도 2 개의 동일하게 형성된 통신 인터페이스들 (40, 41, 42) 을 포함하는 통신 컴포넌트 (25) 를 갖고, 여기서 통신 인터페이스들 (40, 41, 42) 각각은 착신 통신 신호들 (34) 을 수신하기 위한 수신 모듈 (65) 및 통신 신호들 (33) 을 송신하기 위한 송신 모듈 (68) 을 포함하며, 적어도 2 개의 통신 인터페이스들 (40, 41, 42) 각각은 직접 인접하게 배열된, 플러그-인 연결된 통신 참가자 (2, 3, 4, 5) 와의 통신을 위해 및 원격으로 배열된, 케이블-연결된 통신 참가자 (2, 3, 4, 5) 와의 통신을 위해 설계된다.

Description

통신 참가자 및 통신 시스템{COMMUNICATION PARTICIPANT AND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자동화 시스템을 위한 통신 참가자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기 버스 통신 시스템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함께 나열되어 배열되는 복수의 모듈러 I/O (input/output) 유닛들에 직접 플러스-연결을 통하거나 케이블 연결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메인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EP 2 642 603 A1 으로부터 알려져 있으며, 여기서 모듈러 I/O 유닛들 각각은 메인 통신 모듈과의 전기 통신을 허용하는 전자 회로를 포함하며, 메인 통신 모듈은 메인 통신 모듈 상에 직접의 또는 메인 통신 모듈로부터 떨어진 그의 설치와 독립하여 서브넷 어드레스로 각각의 모듈러 I/O 유닛을 자동적으로 어드레싱하도록 설계되며, 인접하게 배열된 I/O 유닛들은 수동 어댑터 플러그들에 의해 서로에 연결되고, 서로로부터 이격되어 배열된 I/O 유닛들은 케이블 연결 모듈들의 상호연결을 통해 케이블들에 의해 서로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단순화된 구성으로 통신 신호들의 향상된 송신을 보장하는 통신 시스템 뿐아니라 통신 참가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따르면, 이러한 목적은 적어도 2 개의 동일하게 형성된 통신 인터페이스들을 갖는 통신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도입부에 언급된 타입의 통신 참가자에 대해 달성되며, 여기서 통신 인터페이스들 각각은 착신 통신 신호들의 수신을 위한 수신 모듈 및 통신 신호들의 송신을 위한 송신 모듈을 포함하며, 그 적어도 2 개의 통신 인터페이스들 각각은 직접 인접하게 배열된, 플러그-인 연결된 통신 참가자와의 통신을 위해 및 원격으로 배열된, 케이블-연결된 통신 참가자와의 통신을 위해 설계된다.
특히 프로세싱 셀들 (processing cells) 또는 어셈블리 셀들과 같은 자동화 시스템들에서 사용되는 통신 참가자는 특히 입력 모듈, 출력 모듈 또는 입력/출력 모듈을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의 모듈이다. 입력 모듈로서의 통신 참가자의 구성에서, 이것은 그를 사용하여 자동화 시스템의 동작을 위해 필요한 측정값이 기록될 수 있는 외부 신호 소스, 예를 들어 센서 시스템의 신호들을 수집 및 기록하는 작용을 한다. 출력 모듈로서의 통신 참가자의 구성에서, 통신 참가자는 예를 들어 전기 드라이브, 특히 모터 또는 자기 스위치 또는 자기 드라이브의 전기 제어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실제로, 그러한 출력 모듈들은 특히 전기기계 유체 밸브들, 특히 공압 밸브들의 전기 제어를 위해 사용된다. 입력/출력 모듈로서의 통신 참가자의 구성에서, 통신 참가자는 센서 신호들을 수신 및 프로세싱할 뿐아니라, 또한 적합한 액츄에이터들로 프로세싱된 센서 신호들 또는 다른 제어 명령들을 송신할 수 있다.
자동화 시스템 내의 복수의 컴포넌트들의 원하는 영향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통신 참가자는 2 개의 통신 인터페이스들을 포함하며, 이들 각각은 추가의 통신 참가자들과의 양방향 통신, 즉 송신 동작 및 또한 수신 동작을 위해 설계된다. 이와 관련하여, 적어도 2 개의 통신 인터페이스들은 동일하게 설계되는 것, 특히 동일한 기술적 구조를 갖는 것이 고려되며, 여기서 통신 인터페이스들 각각은 수신 모듈 및 송신 모듈을 포함한다. 이와 관련하여, 수신 모듈은 각각의 통신 인터페이스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추가의 통신 참가자에 의해 송신되는 통신 신호들을 수신하도록 작용한다. 한편, 송신 모듈은 통신 참가자에 인접하게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다른 통신 참가자에의 통신 신호들의 송신을 위해 작용한다. 이를 위해, 송신 모듈 및 수신 모듈은 그들이 선택적으로 직접 인접하게 배열된, 플러그-인 연결된 통신 참가자와 또는 원격으로 배열된 및 케이블-연결된 통신 참가자와, 임의의 기술적 변경들 없이, 특히 그들의 전기 및/또는 전자 컴포넌트들의 배열을 변경하지 않고 통신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송신 모듈 및 수신 모듈은 특히, 각각의 케이스에 존재하는 통신 연결의 타입 (플러그-인 연결 또는 케이블 연결) 에 따라, 발신 및 착신 통신 신호들에 대해 각각의 케이스에서 이로운 조정들이 행해질 수 있도록, 통신 참가자와의 통신 연결을 독립적으로 분석하고 필요한 조치를 취하도록 구성된다.
플러그-인 연결된 통신 참가자와의 통신의 케이스에서, 제 1 통신 참가자의 제 1 통신 인터페이스와 제 2 통신 참가자의 제 2 통신 인터페이스 사이의 전기 라인 길이는 수 센티미터보다 작으며, 특히 10 과 30 밀리미터 사이의 범위에 있다고 가정된다. 이와 관련하여, 2 개의 통신 참가자들 사이의 플러그-인 연결의 케이스에서, 통신 인터페이스들 사이의 전기 라인 길이는 그 2 개의 상호-맞물리는 플러그-인 커넥터들의 물리적 연장에 의해 간단히 결정된다는 것이 가정되어야 한다.
한편, 제 1 통신 참가자에 대한 제 2 통신 참가자의 원격 배열의 케이스에서, 제 1 통신 인터페이스와 제 2 통신 인터페이스 사이의 전기 라인 길이는 수 센티미터 및 심지어 최대 수 미터일 수 있다고 가정되어야 한다.
통신 참가자에 대해 생각되는 통신 컴포넌트들에서, 이러한 방식으로 상이한 전기 라인 길이들이 통신 인터페이스들에 대한 임의의 기술적 변경들에 대한 필요 없이 통신 인터페이스들로부터 운용될 수 있는 것이 이롭다. 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추가의 통신 참가자는 추가의 컴포넌트들의 삽입 없이 통신 참가자들에 연결될 수 있으며, 이러한 연결에서 추가의 통신 참가자가 통신 참가자에 플러그-인 연결되는지 또는 케이블-연결되는지 여부는 관계가 없다. 이에 따라, 그러한 통신 참가자들로부터 구성된 통신 시스템은 복잡하고 비용이 드는 적응 조치에 대한 필요 없이, (플러그-인 연결되어) 함께 직접 나열되고 고도의 팩킹 (packing) 밀도로 배열된 통신 참가자들 뿐아니라, 원격으로 배열되고 (케이블-연결되어) 서로로부터 분산된 통신 참가자들 또는 통신 참가자들의 그룹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로운 개발들은 종속항들의 주제이다.
전기기계 플러그-인 커넥터가 통신 인터페이스와 연관되면 편리하며, 그 커넥터는 직접 인접하여 설치될 수 있는 통신 참가자의 대응적으로 설계된 플러그-인 커넥터와의 플러그-인 연결을 위해 설계된다. 바람직하게는, 전기기계 플러그-인 커넥터는 강성 콘택 핀들로서 또는 탄성 콘택 텅들 (tongues) 로서 특히 적어도 일부 영역들 위에 형성된 복수의 전기 라인들을 포함하며, 이들에 의해 공급 전압들 및 통신 신호들이 통신 인터페이스로부터 및/또는 통신 인터페이스로 송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기계 플러그-인 커넥터는 통신 참가자의 하우징상에 측방향으로 배열되고, 인접하게 배열된 통신 참가자의 소켓 오목부 내에 및/또는 소켓 돌출부 상에 수용을 위해 설계되는 플러그-인 돌출부 및/또는 소켓 오목부를 포함한다고 생각된다. 이와 관련하여, 통신 인터페이스는 특히 너무 높은 신호 레벨을 갖는 신호들의 송신을 피하기 위해, 송신 모듈에 대한 송신 출력 및 수신 모듈에 대한 수신 특성들을 짧은 라인 길이에 적응시키도록 설계되어야만 한다.
추가로 또는 대안적으로, 전기기계 플러그-인 커넥터가 통신 인터페이스와 연관되며, 그 커넥터는 원격으로 설치될 수 있는 통신 참가자와의 통신을 허용하기 위해 연결 케이블에 대한 플러그-인 연결을 위해 설계되는 것이 생각될 수도 있다. 이러한 케이스에서, 통신은 플러그-인 커넥터 및 특히 플러그-인 커넥터에 전기기계적으로 연결된 멀티코어-설계된 연결 케이블을 통해 통신 인터페이스로부터 시작하여, 원격으로 설치될 수 있는 통신 참가자의 플러그-인 커넥터까지 가능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연결 케이블은 통신 참가자들 사이의 거리 이상인 케이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케이스에서,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한 어려움은 긴 통신 루트를 극복하는데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들 사이의 유선 신호 송신은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로부터 시작하여, 무엇보다도 연결 케이블과의 플러그-인 연결이 생성되어야 하며, 연결 케이블은 차례로 연관된 통신 인터페이스와의 통신을 그곳으로부터 확립하기 위해 반대측 단부 영역상의 원격으로 배열된 통신 참가자의 통신 인터페이스의 플러그-인 커넥터 내로 플러깅된다는 사실에 의해 복잡하다.
바람직하게는, 수신 모듈은 착신 통신 신호의 신호 레벨을 결정하고 레벨 값을 출력하도록 설계되는 레벨 검출 모듈이 구비되고, 또한 레벨 값에 따라 수신 모듈의 수신 감도를 적응시키도록 설계되는, 수신 모듈과 연관된 조정 모듈이 구비된다. 예로서, 레벨 값 검출 모듈은 착신 통신 신호에 대한 레벨 값을 배타적으로 결정하고 수신 모듈로 송신하는 것이 생각된다. 이와 관련하여, 수신 모듈은 레벨 검출 모듈에 의해 현재 결정된 레벨 값을 미리 결정 가능한 레벨 범위와 비교하도록 설계된다. 또한, 수신 모듈은 레벨 값이 레벨 검출 모듈에 의해 너무 낮게 결정되는 경우 수신 모듈의 수신 감도을 상승시키거나, 레벨 값이 레벨 검출 모듈에 의해 너무 높게 결정되는 경우 수신 모듈의 수신 감도를 감소시키도록 배열된다.
추가로 또는 대안적으로, 레벨 검출 모듈 또는 수신 모듈은 이러한 방식으로 필요하다면 다른 통신 참가자의 통신 인터페이스의 송신 모듈의 신호 레벨을 적응시키기 위해, 레벨 검출 모듈에 의해 그로부터 원래의 통신 신호가 검출되었던 그러한 통신 참가자들로 송신될 통신 신호에서 결정된 레벨 값을 송신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순수하게 예시로써만, 추가로 또는 대안적으로, 레벨 검출 모듈 및/또는 수신 모듈은 정보가 인접하게 배열된 통신 인터페이스에서 출력되는 그러한 방식으로 통신 인터페이스로부터 송신될 통신 신호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 및 통신 신호가 미리 결정 가능한 시간 주기 내에 수신되지 않아서, 다른 통신 인터페이스로부터 테스트 신호를 수신하거나 선택적으로 에러 통지를 출력할 수 있으며, 이것이 인접하게 배열된 통신 참가자와의 통신 교란을 초래한다는 것이 생각될 수도 있다.
송신 모듈이 레벨 검출 모듈의 레벨 값에 따라 및/또는 통신 신호와 함께 송신되는 레벨 값에 따라 조정되는, 송신될 통신 신호의 신호 레벨을 조정하기 위한 조정 모듈을 포함한다면 이롭다. 이러한 조정 모듈의 목적은 인접하게 배열된 통신 인터페이스들 사이의 통신 상황들에 적합한 방식으로 송신 모듈의 신호 레벨을 적응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한편으로는 신뢰성 있고 무간섭의 통신이 보장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송신될 통신 신호의 신호 레벨이 어드레싱될 통신 간섭에서의 원하지 않는 간섭을 야기하지 않고, 특히 수신 모듈의 바람직하지 않은 과조정 (over-modulation) 을 초래하지 않는다. 또, 최소의 가능한 신호 레벨들로, 송신될 통신 신호에 기인한 간섭 방출이 가능한한 낮게 유지되며, 이것은 케이블 연결을 통해 통신 신호를 송신할 때, 이것이 아마도 송신 안테나와 같이 거동할 수 있기 때문에, 특히 중요하다. 이와 관련하여, 조정 모듈은 통신 인터페이스에서 미리 수신되고 이제 어드레싱될 통신 인터페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통신 신호의 도움으로 송신될 통신 신호의 신호 레벨을 결정하여, 2 개의 통신 인터페이스들 사이의 통신 연결의 품질에 관한 소정량의 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는 것이 생각될 수도 있다. 추가로 또는 대안적으로, 조정 모듈은 어드레싱될 통신 인터페이스로부터의 응답에 의존하여 신호 레벨을 조정하며, 여기서 이러한 응답은 레벨 값의 형태로 통신 신호를 통해 송신되지만, 이러한 절차는 물론 2 개의 통신 인터페이스들 사이의 이전의 양방향 통신을 가정한다는 것이 생각될 수 있다. 추가로 또는 대안적으로, 통신 인터페이스는 케이블 길이, 즉 인접하게 배열된 통신 인터페이스까지의 전기 라인 경로의 길이를 결정하기 위한 전자 회로가 구비되고, 조정 모듈은 결정된 케이블 길이에 의존하여 송신 모듈에 대한 신호 레벨을 조정하는 것이 생각될 수도 있다. 이러한 케이스에서, 추가적으로 결정된 케이블 길이에 따른 통신 신호에 대한 예상된 신호 레벨과, 통신 신호에 대한 실제로 요구된 신호 레벨 사이의 비교를 수행하고, 필요한 경우 미리 결정 가능한 임계값을 초과하는 편차가 여기서 발생하는 경우 에러 통지를 발행하는 것이 생각될 수 있다. 임계값 위의 편차는 예를 들어 케이블에 대한 결함 있는 플러그-인 연결 또는 케이블에 대한 손상 또는 적합하지 않은 케이블의 사용의 표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의 구성에서, 통신 컴포넌트는 적어도 2 개의 통신 인터페이스들 사이에서 통신 신호들, 특히 프로세싱되지 않은 통신 신호들을 라우팅하고, 또한 특히 통신 컴포넌트로 지향되는 통신 신호들로부터의 제어 명령들을 결정하도록 설계되는, 통신 인터페이스들에 연결된 통신 프로세서를 포함한다는 것이 생각된다. 예를 들어, 통신 프로세서는 각각의 통신 인터페이스들에서의 착신 및 발신 통신 신호들을 조정하기 위해 제공된다. 추가로 또는 대안적으로, 통신 프로세서는 예를 들어 미리 결정가능한 시스템 사이클이 유지되는 것을 보장하도록, 제 1 통신 인터페이스에서의 통신 신호의 도착과 제 2 통신 인터페이스에 의한 통신 신호의 송신 사이에 미리 결정가능한 기간이 경과하는 그러한 방식으로 통신 컴포넌트의 제 2 통신 인터페이스로 착신 통신 신호들을 제 1 통신 인터페이스에서 릴레이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통신 프로세서는 통신 인터페이스들 중 하나에 도착하고 적어도 하나의 다른 통신 인터페이스에서 재송신되어야 하는 통신 신호들의 임의의 프로세싱을 착수하지 않아서, 송신될 통신 신호들의 임의의 바람직하지 않은 지연 및/또는 위조 (falsification) 를 야기하지 않는 것이 생각된다. 또, 통신 프로세서는 특정의 통신 컴포넌트 및 그것에 연결된 추가의 컴포넌트들에 대한 제어 명령들이 통신 신호들에 포함되는지 여부, 및 이들 제어 명령들이 통신 신호로부터 추출되어야 하는지 여부를 알기 위해 착신 통신 신호들을 검사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컴퓨팅 유닛이 통신 컴포넌트에 타겟팅된 제어 명령들을 평가 및 프로세싱하고 송신될 통신 신호들을 변경하도록 설계되는 통신 프로세서와 연관된다면 이롭다. 바람직하게는, 컴퓨팅 유닛은 통신 프로세서로부터 기능적으로 분리되어 형성되며, 즉 예를 들어 통신 프로세서와 이산 컴포넌트로서 연관되거나, 또는 공통의 통합된 컴포넌트 상의 통신 프로세서 및 컴퓨팅 유닛의 구현으로, 적어도 통신 프로세서 및 컴퓨팅 유닛으로부터의 추가의 디커플링 (decoupling) 이 보장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컴퓨팅 유닛에서의 프로세싱 절차들과 통신 프로세서에서의 통신 신호들의 핸들링 사이의 바람직하지 않은 상호작용이 회피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통신 프로세서는 통신 신호들의 릴레이 및 제어 명령들의 추출에 대해 최적화될 수 있는 반면, 컴퓨팅 유닛은 제어 명령들의 통상적으로 더 복합한 프로세싱을 수행하고 이러한 목적을 위해 최적화될 수 있다. 또, 컴퓨팅 유닛은 통신 신호들을 생성하는 태스크를 가지며, 통신 신호들은 그 후 통신 인터페이스들 중 적어도 하나로의 추가의 릴레이를 위해 통신 프로세서에서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통신 프로세서 또는 컴퓨팅 유닛은 출력 신호들을 출력하고 및/또는 입력 신호들을 수신하기 위한 연결 모듈에 연결되는 것이 생각된다. 예를 들어, 출력 신호들 및/또는 입력 신호들은 디지털 신호들이다. 그러한 디지털 신호들은 예를 들어 디지털 모터 제어기에 대한 출력 신호들로서 연결 모듈에 의해 출력될 수 있거나, 연결 모듈에 연결된 디지털적으로 통신하는 센서에 의해 입력 신호들로서 수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로운 개발에서, 연결 모듈은 프로세싱된 제어 명령들에 의존하여 아날로그 출력 신호들의 제공을 위한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를 포함하고, 또한 아날로그 신호들을 출력하기 위한 연관된 아날로그 출력 및/또는 아날로그 입력 신호들을 수집하기 위한 아날로그 입력 및 수집된 입력 신호들의 디지털화를 위한 연관된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를 포함하는 아날로그 모듈을 포함하는 것이 생각된다. 아날로그 모듈의 목적은 따라서 기본적으로, 예를 들어 액츄에이터들의 경우처럼, 아날로그 출력 신호로 제어되는 경우 실제의 물리적 효과를 생성하는 컴포넌트들에 통신 참가자를 커플링하는 것에 있다. 추가로 또는 대안적으로, 아날로그 모듈은 예를 들어 실제의 물리적 효과들에 따라 아날로그 센서들에 의해 제공되는 입력 신호들의 프로세싱을 위해 작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신호는 통신 인터페이스들 중 하나에서 제공되고 통신 프로세서에 의해 통신 신호로부터 추출되는, 통신 컴포넌트에 타겟팅된 제어 명령을 포함하는 것이 생각될 수도 있다. 제어 명령은 그 후 컴퓨팅 유닛에서, 연결 모듈, 특히 아날로그 모듈에서 컴퓨팅 유닛에 의해 제공되는 제어 신호들로 변환되어, 예를 들어, 통신 참가자의 연결 모듈, 특히 아날로그 모듈에 연결된 액츄에이터에 대한 제어 전류의 방출을 허용하며, 여기서 액츄에이터는 예를 들어 자기 밸브의 자기 드라이브일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제어 명령은 통신 프로세서로부터 연결 모듈, 특히 아날로그 모듈로 직접 제공되며, 이러한 목적을 위해 통신 프로세서와 연결 모듈, 특히 아날로그 모듈 사이에 직접적인 전기 연결 (바이패스 라인) 이 제공될 수도 있다.
추가로 또는 대안적으로, 아날로그 모듈은 하나 이상의 아날로그 입력들을 스캔하고 아마도 발생하는 아날로그 입력 신호들을 검출 및 수집하기 위해 제공되어,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를 사용하여 후속 단계에서 이것들을 디지털화하고, 선택적으로 그것들을, 적어도 하나의 다른 통신 참가자로 통신 프로세서 및 통신 인터페이스들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릴레이되는 통신 신호 내에 임베딩한다.
바람직하게는, 컴퓨팅 유닛은 외부 컴퓨팅 유닛과 양방향 디지털 데이터 통신을 위해 설계되는 컴퓨팅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것, 및 컴퓨팅 유닛은 컴퓨팅된 값들을 출력하고 및/또는 컴퓨팅 인터페이스에서 컴퓨닝 동작들을 수행할 뿐아니라, 컴퓨팅 인터페이스에서 컴퓨팅된 결과들을 수신하기 위해 설계되는 것이 생각된다. 바람직하게는, 컴퓨팅 유닛은 예를 들어 자기 밸브들을 제어하도록 요구되는 것과 같은 간단한 제어 명령들을 프로세싱하기 위해 주로 배열되는 것이 생각된다. 예를 들어 브러시리스 비동기기들과 같은 복잡한 드라이브들에 대한 제어 신호들의 생성과 같은 더 복잡한 제어 명령들은 통신 컴포넌트의 컴퓨팅 유닛에 의해 외부 컴퓨팅 유닛으로 아웃소싱되며, 외부 컴퓨팅 유닛은 그러나 그러한 복잡한 컴퓨팅 동작들이 실제로 또한 수행되어야 하는 경우에만 제공된다. 외부 컴퓨팅 유닛은 특히 이산 집적회로로서 설계될 수 있고 통신 컴포넌트의 컴퓨팅 유닛에 컴퓨팅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통신 컴포넌트의 컴퓨팅 유닛은 컴퓨팅 인터페이스에서 및 따라서 외부 컴퓨팅 유닛에서 프로세싱될 컴퓨팅된 값들 및/또는 수행될 컴퓨팅 동작들을 제공하고, 또한 컴퓨팅 인터페이스에서의 컴퓨팅된 결과들을 픽업하여 이들을 추가의 내부 프로세싱을 위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생각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통신 컴포넌트는 적어도 3 개의 동일하게 설계된 통신 인터페이스들을 포함하는 것 및/또는 통신 컴포넌트는 집적회로로서 형성되는 것이 생각된다. 각각이 통신 프로세서에 이산 방식으로 연결되는 3 개의 동일하게 설계된 통신 인터페이스들이 사용될 때, 통신 참가자들의 선형 배열들이 2 개의 통신 인터페이스들을 사용하여 선택적으로 구성될 수 있거나, 또한 3 개의 통신 인터페이스들은 2 개의 통신 경로들로의 개개의 통신 경로의 분기를 허용하기 때문에, 통신 참가자들의 트리-형상 배열들이 모든 3 개의 통신 인터페이스들을 사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통신 인터페이스들, 통신 프로세서 및 컴퓨팅 유닛에 더하여, 또한 연관된 변환기들과 함께 아날로그 모듈이 형성되는, 집적회로로서의 통신 컴포넌트의 구성은 매우 직접적이고 즉각적인 신호 프로세싱이 통신 신호들에 대해서 뿐아니라, 또한 시간 손실들로부터 적어도 거의 자유로운 아날로그 모듈의 신호들에 대해서 수행되는 것을 허용한다. 통신 컴포넌트의 그러한 구성은 소정의 이벤트들이 미리 결정된 시간 간격 내에, 특히 고정된 시간 슬롯 내에 신뢰성 있게 송신되어야 하고, 또한 실시간 애플리케이션들로 지칭되는 통신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해 특히 중요하다.
제 2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설계되는 다수의 통신 참가자들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 대해 달성되며, 여기서 적어도 2 개의 통신 참가자들은 서로에 즉각적으로 인접하여 배열되고 서로 플러그-인 연결되며, 및/또는 적어도 2 개의 통신 참가자들은 서로로부터 이격되어 배열되고 서로에 케이블-연결된다. 이러한 경우에, 플러그-인 연결된 통신 참가자들은, 전기기계 플러그-인 커넥터들이 통신 참가자들의 직접적인 병치 또는 케이블들을 통한 이격된 연결을 허용하기 위해 다르게 성형될 수도 있기 때문에, 케이블-연결된 통신 참가자들과는 그들의 외부 형상과 관련하여 아마도 상이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그러나, 의도된 통신 연결들과 관계 없이, 모든 통신 참가자들이 동일하게 설계되는 것이 생각된다. 특히 이로운 실시형태에서, 이웃하는 통신 참가자들의 직접적인 병치를 허용하는 전기기계 플러그-인 커넥터들은, 모든 통신 참가자들이 동일한 전기기계 구성을 갖도록, 케이블들을 연결하기 위한 플러그-인 커넥터들로서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임의의 경우에, 모든 통신 참가자들 내의 통신 컴포넌트들은, 가능한 전기기계 차이들을 제외하고, 모든 통신 참가자들에 대해 동일한 하드웨어 및 동일한 소프트웨어가 사용될 수 있도록 동일하게 설계되는 것이 생각된다. 이것은 이러한 경우에 단순히 단일의 하드웨어 구성 뿐아니라 관련된 소프트웨어가 보안 표준의 각각의 타입의 사양들과의 컴플라이언스 (compliance) 를 위해 테스트되어야 하기 때문에, 통신 시스템의 가능한 보안-관련된 동작 모드에 대해 특히 중요하다.
통신 시스템의 하나의 구성에서, 적어도 3 개의 통신 참가자들이 제 1 통신 참가자의 송신 모듈과 제 2 통신 참가자의 수신 모듈 사이, 및 또한 제 2 통신 참가자의 송신 모듈과 제 3 통신 참가자의 수신 모듈 사이, 및 제 3 통신 참가자의 송신 모듈과 제 1 통신 참가자의 수신 모듈 사이의 통신 연결을 위해 설계되는 연결 모듈에 커플링되는 것이 생각된다. 연결 모듈은 바람직하게는 개개의 통신 참가자들의 통신 인터페이스들의 미리 결정가능한 배선을 간단히 허용하는 순수하게 수동인 컴포넌트이다. 3 개의 통신 참가자들의 직접적인 커플링의 경우에, 통신 참가자들 각각이 각각의 경우에 그것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통신 참가자와 양방향 통신하는 것이 생각된다. 따라서, 제 2 통신 참가자가 제 1 과 제 3 통신 참가자 사이에 위치되는 경우, 제 1 과 제 3 통신 참가자 사이의 통신은 항상 제 2 (상호연결된) 통신 참가자를 통해 발생한다. 한편, 연결 모듈이 3 개의 통신 참가자들을 연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경우, 이것은 제 1 통신 참가자의 송신 모듈을 제 2 통신 참가자의 수신 모듈에 및 또한 제 2 통신 참가자의 송신 모듈을 제 3 통신 참가자의 수신 모듈에 및 제 3 통신 참가자의 송신 모듈을 제 1 통신 참가자의 수신 모듈에 연결한다. 동일한 방식으로, 연결 모듈은 또한 4 개 이상의 통신 참가자들의 커플링을 위해 설계될 수 있다.
통신 시스템의 이로운 개발에서, 적어도 하나의 통신 참가자가 적어도 3 개의 동일하게 형성된 통신 인터페이스들을 포함하는 것 및 이러한 통신 참가자가 통신 분기를 형성하기 위해 3 개의 추가의 통신 참가자들에 연결되는 것이 생각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복수의 통신 참가자들을 적어도 하나의 분기를 포함하는 트리 구조로 배열하는 것이 가능하며,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통신 분기에 연결되고 서로 병치되거나 케이블에 의해 서로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분기들로 이루어지는 모든 통신 분기들이 각각의 경우에 동일한 상태에 있는 것이 생각된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경우에 인접하게 배열된 통신 참가자에 및 많아야 2 개의 통신 참가자들에 연결되는, 통신 분기에 연결된 통신 참가자들이 데이터 기술 양태로부터 물리적으로 선형이고 링-형상의 통신 연결을 형성하는 것이 생각된다. 예를 들어, 이것으로부터 정확히 하나의 통신 라인이 서로에 커플링된 2 개의 통신 참가자들 사이의 통신 신호들의 송신을 위해 제공된다고 가정되는 경우, 물리적으로 이것은 선형 연결을 형성한다. 또한, 그 2 개의 통신 참가자들 사이의 동기 양방향 통신이 이러한 하나의 통신 라인상에서 발생하는 것이 생각될 수도 있기 때문에, 데이터 기술 양태로부터 이것은 폐루프 회로이다.
통신 시스템의 추가의 구성에서, 통신 참가자의 통신 인터페이스들 각각은 추가의 통신 참가자의 직접 (플러그-인 또는 케이블) 연결된 통신 인터페이스와의 배타적인 통신을 위해 설계되는 것이 생각된다. 이것은 통신 시스템이 모든 정보 흐름들이 단일의 버스 마스터에 의해 관리되고 그것에 연결된 슬레이브로 연속적인, 차단되지 않은 버스 라인을 통해 송신되는 버스 시스템으로서 조직화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오히려,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경우에, 인접하게 배열된 통신 컴포넌트들 사이의 점-대-점 연결들의 병치가 생각된다. 통신 분기를 형성하는 각각의 통신 참가자에서 착신되고 있는 모든 통신 신호들이 항상 통신 프로세서를 통해 관리되고 이것으로부터 연결된 통신 인터페이스들로 적합한 방식으로 릴레이되기 때문에, 이러한 개념은 또한 분기에서 유지된다.
바람직하게는, 통신 참가자들 중 적어도 하나가 마스터 버스 시스템과의 양방향 통신 연결을 위해 설계되는 버스 노드에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되는 것이 생각된다. 예를 들어, 버스 노드는 필드 레벨 (field level) 로 또한 지칭될 수 있는 통신 시스템의, 커맨드 레벨 (command level) 로 또한 지칭될 수 있는 마스터 버스 시스템에 대한 커플링을 위해 작용한다. 이러한 버스 시스템은 예를 들어 그룹 Profibus, Profinet, Devicenet, Ethernet/IP, Interbus, EtherCAT, Modbus, Sercos 또는 다른 필드 버스 시스템들로부터의 필드 버스일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복잡한 기계 또는 장비의 로컬 동작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통신 시스템은 예를 들어 공장의 전체 제어를 위해 사용되는 커맨드 레벨과 연결될 수 있다.
도 1 은 직접 인접하게 배열된, 플러그-인 연결된 통신 참가자들 및 원격으로 배열된, 케이블-연결된 통신 참가자들을 갖는 통신 시스템의 고도로 개략적 표현을 보여준다.
도 2 는 도 1 에 따른 통신 시스템 내의 통신 그룹들의 고도로 개략적 표현을 보여준다.
도 3 은 도 1 에 따른 통신 참가자들 중 하나에서의 사용을 위한 통신 컴포넌트의 고도로 개략적 표현을 보여준다.
도 4 는 연결 모듈의 전적으로 개략적 표현이다.
도 1 에 전적으로 개략적으로 표현된 통신 시스템 (1) 은 이하에 더 상세히 기술되는 방식으로 각각의 경우에 적어도 하나의 추가의 통신 참가자 (2 내지 5) 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상이하게 형성된 통신 참가자들 (2, 3, 4, 및 5) 을 포함한다. 통신 참가자들 (2 내지 5) 은, 전적으로 예시로써, 액츄에이터, 특히 밸브 (6) 를 제어하기 위해 및/또는 센서 (7) 를 스캐닝하기 위해 설계된다. 따라서, 그것에 장착된 밸브들 (6) 및 센서들 (7) 과 함께 통신 시스템 (1) 은, 예를 들어 로터리 드라이브들, 선형 드라이브들, 그립핑 수단 등과 같은, 더 상세하게 도시되지 않는 추가의 컴포넌트들을 도입함으로써, 마찬가지로 더 상세하게 도시되지 않는 복잡한 머신, 특히 프로세싱 머신 또는 설치 모듈이 형성될 수 있는 자동화 시스템을 형성한다.
전적으로 예시로써, 통신 시스템 (1) 은 더 상세하게 도시되지 않는 버스 시스템의 버스 라인 (9) 에 버스 커플러 (8) 를 통해 연결되는 것이 생각된다. 이와 관련하여, 버스 라인 (9) 을 통해, 도시되지 않은 마스터 제어기, 예를 들어 저장된-프로그램 제어 (stored-program control: SPC) 로부터 통신 시스템 (1) 으로 제어 커맨드들을 발행하는 것이 생각될 수도 있으며, 그 커맨드들은 각각 어드레싱되어야 하는 밸브 (6) 또는 센서 (7) 에 연결된 통신 참가자들 (2 내지 5) 로 통신 시스템 (1) 내에서 릴레이된다. 예를 들어, 버스 프로토콜은 버스 라인 (9) 을 통해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필드 버스 시스템들 중 하나에 따라 송신된다는 것, 및 통신 시스템 (1) 에 대한 통신 신호들로의 이러한 버스 프로토콜의 변환은 버스 커플러 (8) 에서 발생한다는 것이 가정된다.
더욱이, 예시로써, 더 상세하게 도시되지 않고 통신 시스템 (1) 의 제어를 위해 제공된 버스 라인 (9) 에 연결된 버스 참가자들은 커맨드 레벨을 형성하는 반면, 도시되지 않은 가능한 추가의 컴포넌트들과 함께 연관된 통신 참가자들 (2 내지 5) 및 밸브들 (6) 및 또한 센서들 (7) 과 함께 통신 시스템 (1) 은 필드 레벨을 형성하는 것이 가정될 수도 있다.
도 1 에 도시된 통신 참가자들 (2 내지 5) 의 배열은 전적으로 예시로써 이해되어야 하고, 따라서 단순히 상징적으로 표현되어야 하며, 통신 참가자들 (2 내지 5) 은 선택적으로 번갈아 함께 나열될 수 있으며, 여기서 참가자 그룹들 (10, 11, 12) 은 도 1 에 따라 예시로써 형성된다. 참가자 그룹들 (10 내지 12) 의 배열은 이와 관련하여 각각의 통신 참가자들 (2 내지 5) 의 전기기계적 커플링에 전적으로 제한되고, 이에 따라 적어도 개개의 통신 참가자들 (2 내지 5) 이 또한 원격으로 배열된 통신 참가자들 (2 내지 5) 에 케이블에 의해 연결될 수 있기 때문에, 각각의 경우에 참가자 그룹들 (10 내지 12) 에 포함되는 통신 참가자들 (2 내지 5) 에 대한 통신 연결들에 관한 어떠한 확정적인 진술도 행해지지 않는다.
전적으로 예시로써, 모든 통신 참가자들 (2 내지 5) 은 각각의 경우에 직사각형 형상 하우징을 포함하며, 여기서 각각의 경우에 플러그-인 커넥터 (19, 20 및 21) 가 하우징 (15) 의 대향하는 측면들 (16, 17) 상에 및 또한 그 측면들 (16 과 17) 사이에 형성된 전면 (18) 상에 제공되는 것이 생각된다. 이러한 경우에, 예를 들어, 점선들에 의해서만 도시된 플러그-인 커넥터 (19) 는 하우징 (15) 으로부터 돌출하는 플러그로서 설계된 플러그-인 커넥터 (20) 를 수용하도록 제공되는, 하우징 (15) 내의 리세스 소켓 (recess socket) 으로서 형성되는 것이 생각된다. 플러그-인 커넥터 (21) 는 예를 들어 연결 케이블 (22) 의 연결을 위해 형성되고, 특히 플러그-인 커넥터 (19) 또는 플러그-인 커넥터 (20) 의 방식으로 설계될 수 있다.
더욱이, 연결 케이블 (24) 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밸브 (6)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 (7) 가, 각각의 통신 참가자 (2 내지 5) 의 구성에 따라, 연결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 인터페이스 (23) 가 하우징 (15) 상에 형성된다. 통신 참가자 (2 내지 5) 의 구성에 따라, 더 상세히 도시되지 않는 전기 또는 전자 회로가 하우징 내에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회로는 예를 들어 밸브 (6) 또는 도시되지 않은 전기 모터를 제어하기 위해 최종 스테이지로서 설계될 수 있거나, 센서 (7) 를 연결하기 위한 모듈 인터페이스 (23) 의 구성의 경우에, 센서 (7) 의 센서 신호들의 증폭을 위해 설계될 수 있다. 임의의 경우에, 통신 참가자들 (2 내지 5) 각각은 각각의 통신 참가자 (2 내지 5) 가 밸브들 (6) 및/또는 센서들 (7) 의 연결을 위해 하나 이상의 모듈 인터페이스들 (23) 을 포함하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도 3 에서 더 상세히 도시되고 또한 이하에 더 상세히 기술된 통신 컴포넌트 (25) 를 포함한다. 통신 컴포넌트 (25) 로 통신 참가자들 (2 내지 5) 을 구비시키는 것은 또한 각각의 통신 참가자 (2 내지 5) 가 참가자 그룹들 (10 내지 12) 중 하나에서 인접한 통신 참가자 (2 내지 5) 와 직접 병치를 위해, 또는 참가자 그룹들 (10 내지 12) 로부터 원격으로 배열된 하나 이상의 통신 참가자들 (2 내지 5) 에 케이블-연결 커플링을 위해 제공되는지 여부와 독립적이다.
도 1 에 따른 통신 시스템 (1) 에서, 통신 참가자들 (2 내지 5) 의 일부는 참가자 그룹들 (10 내지 12) 내에 전적으로 예시로써 배열되지만, 추가의 통신 참가자들 (2 내지 5) 은 참가자 그룹들 (10 내지 12) 로부터 원격으로 배열되기 때문에, 연결 케이블들 (22) 을 통한 원격으로 배열된 통신 참가자들 (2 내지 5) 에 대한 참가자 그룹들 (10 내지 12) 의 통신 참가자들 (2 내지 5) 의 연결이 생각된다. 예를 들어, 참가자 그룹들 (10 내지 12) 의 통신 참가자들 (2 내지 5) 상의 이들 연결 케이블들 (22) 이 플러그-인 커넥터들 (21) 에 지배적으로 연결되는 경우, 더 상세하게 도시되지 않는, 연결 케이블 (22) 의 플러그들의 적합한 설계로, 그것들은 또한 각각의 통신 참가자들 (2 내지 5) 의 플러그-인 커넥터들 (19 또는 20) 에 연결될 수 있다. 도 3 과 관련하여 이하에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이것은 개개의 통신 참가자들 (2 내지 5) 사이의 통신에 대하여 임의의 역할을 하지 않는다.
도 1 에 도시된 통신 참가자 (2) 상의 버스 커플러 (8) 의 배열은 또한 전적으로 임의적이고, 버스 커플러 (8) 는 또한 직접 플러깅에 의해 또는 선택적으로 적합한 연결 케이블의 상호연결에 의해 임의의 다른 임의적인 통신 참가자 (2 내지 5) 에 커플링될 수 있을 것이다. 버스 커플러 (8) 의 목적은 버스 라인 (9) 을 통해 커플링된, 더 상세히 도시되지 않은 필드 버스 시스템과 통신 시스템 (1) 사이의 양방향 데이터 교환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버스 커플러 (8) 는 통상적으로 버스 라인 (9) 에 연결된 각각의 필드 버스 시스템의 요건들에 개별적으로 적응되어야 하는 반면, 통신 시스템 (1) 에 대한 커플링은 항상 동일하고 마스터 필드 버스 시스템과 독립적이다.
도 2 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도 1 에 도시된 통신 시스템 (1) 은 다수의 로직 통신 그룹들 (28, 29, 30, 31 및 32) 로 서브 분할되며, 여기서 또한 각각의 통신 그룹들 (28 내지 32) 내의 통신 참가자들 (2 내지 5) 의 배열은 전적으로 예시로써 주어지고 각각의 자동화 시스템의 요건들에 적응될 수 있다. 도 2 에 도시된 표현에서, 각각의 통신 그룹 (28 내지 32) 에 대한 시스템 경계는 각각의 경우에 총 3 개의 추가의 통신 참가자들 (2 내지 5) 이 각각의 통신 참가자 (2 내지 5) 에 연결되는 경우 대응하는 통신 참가자 (2 내지 5) 내에 제공된다. 예를 들어, 이것은 참가자 그룹 (10) 으로부터의 통신 참가자 (3) 에 대해 및 참가자 그룹 (12) 로부터의 통신 참가자 (4) 에 대해 도 1 에 따른 통신 시스템 (1) 에서 그 경우이며, 여기서 이러한 선택은 전적으로 임의적이고 다른 통신 참가자들 (2 내지 5) 각각에 대해 동일한 방식으로 가능할 것이다.
각각의 통신 그룹 (28 내지 32) 내에서, 양방향 통신은 각각의 경우에 각각의 통신 참가자들 (2 내지 5) 사이에 제공된다. 모든 통신 그룹들 (28 내지 32) 의 통신 참가자들 (2 내지 5) 은 전부가 특히 도 3 과 관련하여 이하에 더 상세히 기술되는 바와 같이 통신 신호들의 릴레이에 대해 폐루프 통신 배열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통신 분기 (도 1 에 도시된 참가자 그룹 (10) 의 통신 참가자 (2) 또는 도 2 에 따른 "B", 및 도 1 에 도시된 참가자 그룹 (12) 의 통신 참가자 (4) 또는 도 2 에 따른 "J") 로부터 떠나는 통신 신호 (33) 는 각각의 경우에 연결된 통신 그룹들 (28 내지 32) 의 모든 통신 참가자들 (2 내지 5) 을 통과하고 각각의 통신 그룹 (28 내지 32) 의 각각의 경우에 마지막 통신 참가자 (2 내지 5) 에서 우회되어, 각각의 통신 그룹 (28 내지 32) 의 모든 통신 참가자들 (2 내지 5) 을 통해 각각의 통신 분기 (B, J) 까지 다시 착신 통신 신호 (34) 로서 통과한다.
이에 따라, 통신 참가자들 (2 내지 5) 은 그것들이 직접 인접하게 및 플러그-연결되어 배열되거나, 서로로부터 원격으로 케이블 연결되어 배열되기 때문에, 전적으로 물리적인 면에서 통신 그룹들 (28 내지 32) 내의 선형 배열을 형성한다. 각각의 통신 그룹들 (28 내지 32) 내의 통신 신호들 (33, 34) 의 경로에 대하여, 각각의 경우에, U-형상 통신 경로가 각각의 통신 그룹 (28 내지 32) 을 통해 형성된다. 이러한 U-형상 통신 경로는 대안적으로 각각의 경우에 개개의 통신 참가자들 (2 내지 5) 로부터의 섹션들을 통해 형성되는 실제의, 도전 경로로서 형성될 수 있거나, 대안적으로 그 통신 경로는 단순히 각각의 통신 참가자들 (2 내지 5) 로, 더 상세히 도시되지 않는 하나 이상의 통신 라인들상에서 전송되는 신호 기술적 표현이다. 개개의 통신 그룹들 (28 내지 32) 의 U-형상 통신 경로들은 통신 분기 (B, J) 에 의해 어셈블링되어 통신 링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통신 분기 (B) 에 도착하는 통신 그룹 (29) 의 입력 신호 (34) 는 통신 분기 (B) 로부터 통신 그룹 (30) 으로 릴레이되어, 그곳으로부터 통신 분기 (J) 에 의해 무엇보다도 통신 그룹 (31) 으로 릴레이되고, 그 후 통신 분기 (J) 의 상호연결에 의해, 통신 그룹 (32) 으로 릴레이된다. 그 후 통신 그룹 (32) 으로부터 도착하는 신호 (34) 는 통신 분기 (J) 로부터 통신 그룹 (30) 을 통해 통신 분기 (B) 로 릴레이되어, 그곳에서 통신 그룹 (28) 으로 송신된다. 통신 그룹 (28) 으로부터 도착하는 신호 (34) 는 그 후 통신 분기 (B) 에 의해 통신 그룹 (29) 으로 릴레이되어, 이것에 의해 통신 링이 폐쇄되도록 한다.
개개의 통신 참가자들 (2 내지 5) 사이의 통신의 경우, 통신 참가자들 (2 내지 5) 이 서로에 연결되는 방법 (플러그-인 연결 또는 케이블 연결) 은 중요하지 않으며, 이는 항상 동일한 통신 컴포넌트 (25) 가 담당하기 때문이며, 이것은 도 3 에 더 상세히 도시되지 않는다. 통신 컴포넌트 (25) 는 선택적으로 이산 전기 및 전자 컴포넌트들로부터의 통신 회로로서 또는 바람직하게는 집적회로로서, 더 상세히 기술되지 않는 방식으로, 어셈블링될 수 있고, 특히 주문형 반도체 (ASIC) 로서 설계될 수 있다. 통신 컴포넌트 (25) 는 이하에 더 상세히 논의될 그리고 통신 컴포넌트 (25) 의 전기 또는 전자 구조 내에서 반드시 이산 컴포넌트들 또는 영역들로서 표현될 필요는 없는 다수의 기능 그룹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통신 컴포넌트 (25) 는 각각의 경우에 동일하게 구성되는 3 개의 통신 인터페이스들 (40, 41, 42) 을 포함하여, 통신 인터페이스 (40) 의 다음의 논의가 다른 통신 인터페이스들 (41, 42) 에 대해 관련이 있다. 또한, 통신 컴포넌트 (25) 는 각각의 통신 인터페이스들 (40 내지 42) 에 도착하는 통신 신호들의, 각각의 경우에 다른 통신 인터페이스들 (40 내지 42) 로의 릴레이를 위해 설계되는 통신 프로세서 (43) 를 포함한다. 또한, 통신 프로세서 (43) 는 통신 인터페이스들 (40 내지 42) 에 도착하는 통신 신호들로부터 제어 명령들을 결정 또는 추출하기 위해 설계된다. 또, 통신 컴포넌트 (25) 는 제어 명령들을 평가하고 그 제어 명령들을 제어 신호들로 변환하며,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들 (40 내지 42)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송신되는 통신 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해 설계되는 컴퓨팅 유닛 (44) 을 포함한다.
디지털 형태로 존재하는, 컴퓨팅 유닛에 의해 생성된 제어 신호들은, 이들이 예를 들어 밸브 (6) 로 또는 다른 타입의 액츄에이터로 송신될 수 있도록, 아날로그 모듈 (45) 에서 아날로그 신호들로 변환된다. 이를 위해, 아날로그 모듈 (45) 은, 전적으로 예시로써, 예를 들어 각각의 경우에 더 상세히 기술되지 않는 전기적 최종 스테이지를 포함하고, 이것에 의해 예를 들어 피에조 밸브 또는 자기 밸브 또는 전기 모터가 그것에 의해 동작될 수 있는 각각의 경우 연관된 아날로그 출력 (48, 49) 에서의 아날로그 신호 레벨을 제공할 수 있는 2 개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들 (46, 47) 을 포함한다.
또한, 아날로그 모듈 (45) 은, 전적으로 예시로써, 각각 아날로그 입력들 (52, 53) 에 연결되고, 특히 센서들 (7) 로부터 각각의 아날로그 입력들 (52 및 53) 에서 제공되는 신호들의 디지털화를 위해 설계되는 2 개의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들 (50, 51) 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3 개의 통신 인터페이스들 (40, 41 및 42) 이 각각의 경우에 동일하게 형성된 내부 인터페이스들 (54, 55 및 56) 을 통해, 및 특히 배타적으로, 통신 프로세서 (43) 에 연결되어, 각각의 통신 인터페이스들 (40 내지 42) 에서 착신 통신 신호들이 특히 각각의 경우에 배타적으로 통신 프로세서 (43) 로 릴레이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통신 인터페이스들 (40 내지 42) 에 도착하는 통신 신호들을 직접 다른 통신 인터페이스들 (40 내지 42) 로 릴레이하는 것은 생각되지 않는다. 통신 프로세서 (43) 로서는 컴퓨팅 유닛 (44) 과의 통신을 위해 제공되는 추가의 내부 인터페이스 (57) 가 구비된다. 컴퓨팅 유닛 (44) 은 내부 인터페이스 (57) 에 더하여 또한 아날로그 모듈 (45) 과의 통신을 위한 내부 인터페이스 (58), 및 또한 필요한 경우 통신 컴포넌트 (25) 상의 컴퓨팅 유닛 (44) 을 지원하도록 배열될 수 있는, 도시되지 않은 외부 컴퓨팅 유닛과의 양방향 데이터 통신을 위해 제공되는 통신 인터페이스 (64) 와의 통신을 위한 내부 인터페이스 (59) 를 포함한다. 아날로그 모듈 (45) 은 내부 인터페이스 (57) 에 더하여 또한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들 (46 및 47) 및 아날로그-디지컬 변환기들 (50, 51) 과의 내부 통신을 위해 제공되는 추가의 내부 인터페이스들 (59, 60, 61 및 62) 을 갖는다.
도 3 으로부터의 통신 인터페이스의 단면 표현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동일하게 설계된 통신 인터페이스들 (41 및 42) 과 일치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40) 는 더 상세히 도시되지 않는 예를 들어 전기 및 전자 컴포넌트들에 의해 실현될 수 있는 다수의 기능 영역들을 포함한다. 착신 통신 신호들을 프로세싱하기 위해, 통신 인터페이스 (40) 는 착신 통신 신호의 레벨 적응, 특히 증폭을 수행하고 그 후 그 통신 신호를 도시되지 않은 방식으로 통신 프로세서 (43) 로 릴레이하는 수신 모듈 (65) 을 포함한다.
레벨 적응을 위해, 레벨 검출 모듈 (66) 및 또한 조정 모듈 (67) 이 수신 모듈 (65) 과 연관된다. 이와 관련하여, 레벨 검출 모듈 (66) 은 착신 통신 신호의 신호 레벨을 결정하고 신호 레벨에 의존하는 레벨 값을 출력하는 태스크를 갖는다. 이러한 레벨 값은 이것이 수신 모듈의 수신 감도의 조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먼저 조정 모듈로 릴레이될 수 있다.
추가로 또는 대안적으로, 레벨 값은 송신될 통신 신호들의 적응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기 위해, 통신 인터페이스 (40) 에 연결된 통신 참가자들 (2 내지 5) 로 전달되고 레벨값을 포함하는 통신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컴퓨팅 유닛 (44) 으로 통신 프로세서 (43) 를 통해, 더 상세히 도시되지 않은 방식으로 릴레이될 수 있다.
그러한 적응을 위해, 통신 인터페이스 (40) 는 통신 신호들을 송신하도록 설계되는 송신 모듈 (68) 에 더하여, 변수 특정 값에 의존하여 송신 모듈 (68) 에 의해 송신되는 통신 신호의 신호 레벨을 조정하기 위해 제공되는 조정 모듈 (69) 을 포함한다. 이러한 특정 값은 특히 통신 인터페이스 (40) 의 수신 모듈 (65) 에 도착했고 컴퓨팅 유닛 (44) 에 의해 평가 및 프로세싱된 통신 신호로부터 도출될 수 있다. 추가로 또는 대안적으로, 조정 모듈 (69) 에 대한 그 특정 값의 영향은 또한 송신 모듈 (68) 을 통해 테스트 신호를 송신하고 수신 모듈 (65) 및 연관된 레벨 검출 모듈 (66) 에 의해 이러한 테스트 신호에 대한 신호 응답을 평가함으로써 착될 수 있다.
추가로 또는 대안적으로, 인접한 통신 참가자들 (2 내지 5) 사이의 연결 케이블 (22) 의 길이의 결정은 또한 유사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송신 모듈 (68) 이 정의된 테스트 신호를 송신하고 그 테스트 신호가 연관된 수신 모듈 (65) 에서 다시 수신되는 시간을 결정하여, 그것으로부터 연결 케이블 (22) 의 라인 길이를 결정할 수 있는 것이 생각될 수도 있다.
이하에 전적으로 예시로써, 착신 통신 신호의 릴레이 및 선택적으로 프로세싱이 통신 컴포넌트 (25) 에서 수행되는 방법이 기술될 것이다. 이를 위해, 통신 컴포넌트 (25) 에서의 기능적 연결들만이 참조될 것이지만, 통신 신호들의 구체적인 전기적 및/또는 전자적 릴레이 및 프로세싱은 다음의 설명의 주제가 아니다.
무엇보다도, 착신 통신 신호 (34) 는 수신 모듈 (65) 에 의해 통신 인터페이스 (40) 에서 수신되고, 그것이 전기적 의미에서 최저의 가능한 전력 손실로 및 데이터-기술적 의미에서 최저의 가능한 손실로 통신 프로세서 (43) 로 릴레이될 수 있는 그러한 방식으로 그것의 신호 레벨에 대하여 적응된다. 이것은 내부 인터페이스 (54) 를 통해 통신 인터페이스 (40) 로부터 시작하여 수행된다.
통신 프로세서 (43) 는 바람직하게는 그것이 착신 통신 신호 (34) 를 가능한 작은 지연으로, 특히 임의의 지연 없이, 추가의 통신 인터페이스들 (41 및 42) 로 릴레이하며, 여기서 그 통신 신호는 인접하게 배열되지만 도시되지 않은 통신 참가자들 (2 내지 5) 로 발신 통신 신호로서 각각의 경우에 릴레이될 수 있는 그러한 방식으로 설계된다. 또한, 통신 프로세서 (43) 는 각각의 통신 컴포넌트 (25) 에 대해 의도되는, 통신 신호로부터의 제어 명령들을 추출하도록 설계된다. 제어 명령들의 이러한 추출은 예를 들어 통신 컴포넌트 (25) 의 어드레스와 일치하는, 통신 신호 내의 어드레스 정보의 도움으로 수행될 수 있다.
그러한 제어 명령들이 통신 신호 내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통신 프로세서는 이들 제어 명령들을 내부 인터페이스 (57) 를 통해 컴퓨팅 유닛 (44) 으로 릴레이한다. 컴퓨팅 유닛은 그 후 통신 컴포넌트 (25) 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액츄에이터들, 예를 들어 밸브들 (6) 에 대한 적합한 제어 신호들을 제어 명령들로부터 생성하고 및/또는 통신 컴포넌트 (25) 에 연결된 센서들 (7) 에 대한 질의 신호를 생성하는 태스크를 갖는다. 이를 위해, 내부 프로그램, 특히 소프트웨어의 컴퓨팅 유닛 (44) 이 사용되고, 그것의 도움으로 제어 명령들이 제어 신호들로 변환될 수 있다. 컴퓨팅 유닛 (44) 에 의해 결정된 제어 신호들은 내부 인터페이스 (58) 을 통해 아날로그 모듈 (45) 로 릴레이되고 거기에서 내부 인터페이스들 (59 및 60) 을 통해 적합한 방식으로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들 (46 및 47) 로 송신된다. 그곳에서 디지털 신호들의 아날로그 신호들로의 변환이 이에 따라 발생하며, 여기서 연결된 액츄에이터에 따라, 이들 아날로그 신호들은 밸브들 (6) 의 자기 코일들에 대한 대응하는 신호 레벨, 특히 적합한 전류 강도를 가지고 출력된다.
통신 참가자들 (2 내지 5) 이 하나 이상의 센서들 (7) 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50 또는 51) 에 의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고 아날로그 모듈 (45) 에 의해 내부 인터페이스 (58) 를 통해 컴퓨팅 유닛 (44) 으로 제공되는 대응하는 센서 신호가 아날로그 입력들 (52, 53) 중 적어도 하나에서 제공된다. 컴퓨팅 유닛 (44) 은, 동작하고 있는 프로그램에 따라, 통신 인터페이스들 (40 내지 42) 중 적어도 하나로의 센서 신호의 직접적인 릴레이를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컴퓨팅 유닛 (44) 은 센서 신호의 프로세싱 및 통신 인터페이스들 (40 내지 42) 중 적어도 하나로의 프로세싱 결과의 릴레이를 위해 설계된다.
컴퓨팅 유닛 (44) 에서의 센서 신호의 프로세싱은 예를 들어 착신 센서 신호의 신호 레벨의 미리 결정된 임계값과의 비교를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컴퓨팅 유닛 (44) 은 예를 들어 임계값이 현재 결정된 센서 신호에 의해 초과되는 경우에만 통신 인터페이스들 (40 내지 42) 로 대응하는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특히, 컴퓨팅 유닛 (44) 이 통신 신호의 데이터 프레임 내로 이진 상태 신호를 입력하고 그 후 그 통신 신호를 통신 프로세서 (43) 를 통해 통신 인터페이스들 (40 내지 42) 로 제공하는 것이 생각될 수도 있다. 그곳에서 그 통신 신호는 통신 참가자들 (2 내지 5) 중 적어도 하나로의 릴레이를 위해 제공되는 발신 통신 신호 (33) 를 형성한다.
통신 인터페이스들 (40 내지 42) 각각에 대해, 인접한 통신 인터페이스들 (40 내지 42) 과의 점-대-점 통신이 항상 생각되기 때문에, 통신 시스템 (1) 은 버스 마스터로부터의 모든 정보가 다수의 연결된 슬레이브들을 통해 통신되는 종래의 버스 시스템이 아니다. 오히려, 통신 시스템 (1) 은 복수의 통신 분기들이 제공된 트리 구조이며, 여기서 각각의 통신 그룹들 (28 내지 32) 내의 통신 신호들은 각각의 경우 대응하는 통신 그룹 (28 내지 32) 의 통신 참가자들 (2 내지 5) 을 통해 양방향으로 전달되고 연결된 통신 참가자들 (2 내지 5) 각각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통신 참가자들 (2 내지 5) 에 의해 이용되는 통신 신호들에 대한 통신 프로토콜은 통신 신호의 컨텐츠에 대해 원하는 대로 일반적이거나 개개의 어드레싱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통신 참가자들 (2 내지 5) 중 하나가 모든 연결된 통신 참가자들 (2 내지 5) 에 의해 관측되어야 하는 통신 신호 내로 정보의 일반적으로 유효한 아이템을 피딩하는 것이 생각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한 통신 참가자들 (2 내지 5) 중 하나가 통신 신호로 통신 시스템 (1) 내의 다른 통신 참가자들 (2 내지 5) 에 대해 특정적으로 의도된 정보의 아이쳄을 피딩하고, 이러한 정보에 대한 적절한 어드레싱을 수행하여, 이러한 정보가 그 어드레싱된 통신 참가자들 (2 내지 5) 에 의해 배타적으로 프로세싱되는 반면, 모든 다른 통신 참가자들 (2 내지 5) 은 단지 통신 신호 내에 포함된 정보를 릴레이하는 것이 생각될 수도 있다.
도 4 에 전적으로 개략적으로 도시된 연결부 (105) 는 예를 들어 통신 분기 (B) 로서 작용하는 도 2 에 따른 통신 참가자 (2) 대신에 사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3 개의 통신 참가자들 (2 내지 5) 을 수동 컴포넌트로서 결합한다. 이러한 경우에, 통신 참가자 (A) 의 송신 모듈 (68) 이 통신 참가자 (G) 의 수신 모듈 (65) 에 직접 연결되는 것이 생각된다. 또한, 통신 참가자 (G) 의 송신 모듈 (68) 이 통신 참가자 (C) 의 수신 모듈 (65) 에 직접 연결되는 것이 생각된다. 또, 통신 참가자 (C) 의 송신 모듈 (68) 이 통신 참가자 (A) 의 수신 모듈 (65) 에 직접 연결되는 것이 생각된다.

Claims (17)

  1. 자동화 시스템을 위한 통신 참가자로서,
    적어도 2 개의 동일하게 형성된 통신 인터페이스들을 포함하는 통신 컴포넌트를 갖고,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들 각각은 착신 통신 신호들의 수신을 위한 수신 모듈 및 통신 신호들의 송신을 위한 송신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2 개의 통신 인터페이스들 각각은 직접 인접하게 배열된 플러그-인 연결된 통신 참가자와의 통신을 위해 및 원격으로 배열된, 케이블-연결된 통신 참가자와의 통신을 위해 설계되고, 그리고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들 각각의 상기 송신 모듈은 송신될 통신 신호의 신호 레벨을 조정하기 위한 적응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신호 레벨은 상기 통신 신호로 송신되는 신호 레벨 값에 따라 상기 적응 모듈을 통해 조정되고,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들은 정해진 신호 레벨보다 레벨이 큰 신호들의 송신을 피하기 위해, 상기 송신 모듈에 대한 송신 출력을 짧은 라인 길이에 적응하도록 구성되는, 자동화 시스템을 위한 통신 참가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들 각각은 전기기계 플러그-인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는 직접 인접하여 설치될 수 있는 통신 참가자의 대응적으로 설계된 플러그-인 커넥터에의 플러그-인 연결을 위해 설계되는, 자동화 시스템을 위한 통신 참가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들 각각은 전기기계 플러그-인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는 원격으로 설치될 수 있는 통신 참가자와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연결 케이블에의 플러그-연결을 위해 설계되는, 자동화 시스템을 위한 통신 참가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모듈은 착신 통신 신호의 신호 레벨을 결정하고 레벨 값을 출력하도록 설계되는 레벨 검출 모듈, 및 또한 상기 수신 모듈과 연관된 조정 모듈이 구비되고,
    상기 조정 모듈은 상기 레벨 값에 따라 상기 수신 모듈의 수신 감도를 적응시키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 시스템을 위한 통신 참가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컴포넌트는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들에 연결된 통신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2 개의 통신 인터페이스들 사이에서 통신 신호들을 릴레이하고, 또한 상기 통신 신호들로부터의 제어 명령들을 결정하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 시스템을 위한 통신 참가자.
  6. 제 5 항에 있어서,
    컴퓨팅 유닛이 상기 통신 컴포넌트에 타겟팅된 상기 제어 명령들을 평가 및 프로세싱하고, 송신될 통신 신호들을 변경하도록 설계되는 상기 통신 프로세서와 연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 시스템을 위한 통신 참가자.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프로세서 또는 상기 컴퓨팅 유닛은 출력 신호들을 출력하고 입력 신호들을 수신하기 위한 연결 모듈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 시스템을 위한 통신 참가자.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모듈은 프로세싱된 제어 명령들에 의존하여 아날로그 출력 신호들의 제공을 위한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를 포함하고, 또한 상기 아날로그 출력 신호들을 출력하기 위한 연관된 아날로그 출력 및 아날로그 입력 신호들을 결정하기 위한 아날로그 입력 뿐아니라, 수집된 상기 입력 신호들의 디지털화를 위한 연관된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를 포함하는 아날로그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 시스템을 위한 통신 참가자.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팅 유닛은 외부 컴퓨팅 유닛과의 양방향 디지털 데이터 통신을 위해 설계되는 컴퓨팅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컴퓨팅 유닛은 컴퓨팅된 값들을 출력하고 상기 컴퓨팅 인터페이스에서의 동작들을 컴퓨팅하고, 또한 상기 컴퓨팅 인터페이스에서 컴퓨팅된 결과들을 수신하기 위해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 시스템을 위한 통신 참가자.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컴포넌트는 적어도 3 개의 동일하게 형성된 통신 인터페이스들을 포함하고,
    상기 통신 컴포넌트는 집적회로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 시스템을 위한 통신 참가자.
  11. 복수의 통신 참가자들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으로서,
    상기 통신 참가자들 각각은 적어도 2 개의 동일하게 형성된 통신 인터페이스들을 포함하는 통신 컴포넌트를 갖고,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들 각각은 착신 통신 신호들의 수신을 위한 수신 모듈 및 통신 신호들의 송신을 위한 송신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통신 참가자들 중 제 1 통신 참가자의 제 1 통신 모듈은 송신될 통신 신호의 신호 레벨을 조정하기 위한 적응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신호 레벨은 상기 복수의 통신 참가자들 중 제 2 통신 참가자의 레벨 검출 모듈의 레벨 값에 따라 상기 적응 모듈을 통해 조정되고,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들은 정해진 신호 레벨보다 레벨이 큰 신호들의 전송을 피하기 위해, 상기 송신 모듈에 대한 송신 출력을 짧은 라인 길이에 적응하도록 구성되고, 그리고
    상기 제 2 통신 참가자는 상기 제 1 통신 참가자에 직접 인접하게 배열되고 플러그-인 연결되거나, 또는 상기 제 1 참가자로부터 원격으로 배열되고 상기 제 1 통신 참가자와 케이블에 의해 연결되는, 통신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적어도 3 개의 통신 참가자들은, 제 1 통신 참가자의 송신 모듈과 제 2 통신 참가자의 수신 모듈 사이, 및 또한 상기 제 2 통신 참가자의 송신 모듈과 제 3 통신 참가자의 수신 모듈 사이, 및 상기 제 3 통신 참가자의 송신 모듈과 상기 제 1 통신 참가자의 수신 모듈 사이의 통신 연결을 위해 설계되는 연결부에 커플링되는, 통신 시스템.
  13. 제 11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통신 참가자는 적어도 3 개의 동일하게 형성된 통신 인터페이스들을 포함하고,
    상기 통신 참가자는 통신 분기를 형성하도록 3 개의 추가의 통신 참가자들에 연결되는, 통신 시스템.
  14. 제 13 항에 있어서,
    각각의 경우에 적어도 하나의 인접하게 배열된 통신 참가자 및 많아야 2 개의 통신 참가자들에 연결되는 상기 통신 분기에 연결된 통신 참가자들은 물리적으로 선형이며 데이터-기술적 폐루프 통신 연결을 형성하는, 통신 시스템.
  15. 제 11 항에 있어서,
    통신 참가자의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들 각각은 추가의 통신 참가자의 직접 연결된 통신 인터페이스와 배타적 통신을 위해 설계되는, 통신 시스템.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통신 참가자들 중 적어도 하나는 마스터 버스 시스템과의 양방향 통신 연결을 위해 설계되는 버스 커플러에 적어도 2 개의 통신 인터페이스들 중 하나를 통해 연결되는, 통신 시스템.


  17. 삭제
KR1020180126298A 2017-10-24 2018-10-22 통신 참가자 및 통신 시스템 KR1024802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7219001.9A DE102017219001B3 (de) 2017-10-24 2017-10-24 Kommunikationsteilnehmer und Kommunikationssystem
DE102017219001.9 2017-10-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5860A KR20190045860A (ko) 2019-05-03
KR102480252B1 true KR102480252B1 (ko) 2022-12-21

Family

ID=65364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6298A KR102480252B1 (ko) 2017-10-24 2018-10-22 통신 참가자 및 통신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218373B2 (ko)
KR (1) KR102480252B1 (ko)
CN (1) CN109698779B (ko)
DE (1) DE102017219001B3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41572A1 (en) * 2009-03-05 2012-02-16 Oxford Instruments Nanotechnology Tools Limited Tubney Woods Controller network and method of controlling a controller network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72347A (en) 1993-09-17 1995-12-05 Allen-Bradley Company, Inc. System for interconnecting I/O modules for data communications over a common backplane
US5757394A (en) * 1995-09-27 1998-05-26 Lexmark International, Inc. Ink jet print head identification circuit with programmed transistor array
US6332198B1 (en) * 2000-05-20 2001-12-18 Equipe Communications Corporation Network device for supporting multiple redundancy schemes
CN100377134C (zh) * 2003-12-30 2008-03-26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传输控制信号的电路
EP1569055B1 (de) * 2004-02-25 2007-04-25 Siemens Aktiengesellschaft Steckbarer Kommunikations-Baustein sowie Verfahren zur Kommunikation mittels eines steckbaren Kommunikations-Bausteins
CN101512982B (zh) * 2006-09-25 2011-11-16 西门子公司 用于海底电子模块的路由设施
US7753740B2 (en) * 2007-07-20 2010-07-13 Numatics, Incorporated Modular electrical bus system
US20100268850A1 (en) 2009-04-17 2010-10-21 Burton Lambert J Modular I/O System With Automated Commissioning
US8769158B2 (en) 2011-07-08 2014-07-01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High availability device level ring backplane
DE102014006148B4 (de) * 2014-04-26 2023-04-20 Festo Se & Co. Kg Endgerät für ein Automatisierungssystem, Endgeräteanordnung sowie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Endgeräts für ein Automatisierungssystem
WO2017056194A1 (ja) * 2015-09-29 2017-04-06 株式会社 東芝 情報機器または情報通信端末および、情報処理方法
DE102015116800B3 (de) * 2015-10-02 2016-12-29 Beckhoff Automation Gmbh Eingabe-/Ausgabemodul für ein Bussystem
EP3208674A1 (de) * 2016-02-19 2017-08-23 Siemens Aktiengesellschaft Netzwerksystem und verfahren zur datenübertragung in einem netzwerksystem
CN106451150B (zh) * 2016-10-26 2018-06-29 湖南长高成套电器有限公司 一种断路器装配系统及其装配方法
CN106707888B (zh) * 2017-02-16 2019-01-25 山东仕脉机器人技术有限公司 可编程控制模块及具有该控制模块的系统、控制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41572A1 (en) * 2009-03-05 2012-02-16 Oxford Instruments Nanotechnology Tools Limited Tubney Woods Controller network and method of controlling a controller networ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123968A1 (en) 2019-04-25
CN109698779B (zh) 2022-03-15
US11218373B2 (en) 2022-01-04
CN109698779A (zh) 2019-04-30
DE102017219001B3 (de) 2019-03-07
KR20190045860A (ko) 2019-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12548B2 (en) Intelligent self-determining I/O device
US11734213B2 (en) Integration of multiple communication physical layers and protocols in a process control input/output device
US11936497B2 (en) Module unit for connecting a data bus subscriber
US10136528B2 (en) Coupling unit and industrial control system
JP5095130B2 (ja) 中継接続ユニット
EP3715976B1 (en) Modular backplane for an industrial controller
US8532120B2 (en) Routing facility for a subsea electronics module
US20210144877A1 (en) Modular interface system for connecting a control device and field devices
CN104487802B (zh) 测量机器通信
EP2074757B1 (en) Routing facility for a subsea electronics module
KR102480252B1 (ko) 통신 참가자 및 통신 시스템
CN115053495A (zh) 用于将不支持以太网的现场设备连接至基于以太网的过程控制系统的基于spe的设备适配器
JP2018525753A5 (ko)
KR101004484B1 (ko) 통신모듈의 데이터 중계장치
CN114788231A (zh) 具有唯一网络地址的i/o网络模块
US8972643B2 (en) Field bus network adapter and field bus network subscriber with field bus connections
US20220209987A1 (en) Modular switch for use in a data transmission and control system
CN209184615U (zh) 一种profibus光电耦合系统
CN219998541U (zh) 一种端子排模块
JP2011176319A (ja) 電気光学式結合装置
US20120249268A1 (en) Industrial process terminated communication system
Young A fieldbus approach to robotic systems reconfiguration
JP3183184U (ja) Lanインターフェース切替装置
CN117043691A (zh) I/o单元以及通信系统
JP2018182419A (ja) 信号変換装置及び監視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