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9915B1 - 저온환경에서 폐굴껍데기 원료화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저온환경에서 폐굴껍데기 원료화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9915B1
KR102479915B1 KR1020220104285A KR20220104285A KR102479915B1 KR 102479915 B1 KR102479915 B1 KR 102479915B1 KR 1020220104285 A KR1020220104285 A KR 1020220104285A KR 20220104285 A KR20220104285 A KR 20220104285A KR 102479915 B1 KR102479915 B1 KR 1024799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heating furnace
oyster shell
closed
raw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42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재경
김동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동서산업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동서산업롤 filed Critical 주식회사동서산업롤
Priority to KR10202201770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048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99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99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00Lime, magnesia or dolomite
    • C04B2/005Lime, magnesia or dolomite obtained from an industrial by-produ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by passing the gas or air or vapour over or through a liquid ba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8Liquid phase processes with gas-liquid contact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00Lime, magnesia or dolomite
    • C04B2/10Preheating, burning calcining or coo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1/00Arrangement of elements for electric heating in or on furn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9/00Arrangements of controll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7/00Forming, maintaining, or circulating atmospheres in heating chambers
    • F27D7/02Supplying steam, vapour, gases, or liq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7/00Forming, maintaining, or circulating atmospheres in heating chambers
    • F27D7/04Circulating atmospheres by mechanica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9/00Arrangements of controlling devices
    • F27D2019/0003Monitoring the temperature or a characteristic of the charge and using it as a controlling valu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7D99/0001Heating elements or systems
    • F27D99/0006Electric heating elements or system
    • F27D2099/0015Induction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7D99/0001Heating elements or systems
    • F27D99/0006Electric heating elements or system
    • F27D2099/0028Microwave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폐굴껍데기 원료화 시스템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폐굴껍데기 원료화 시스템은 폐굴껍데기를 건조하기 위한 건조부, 건조기에 의해 건조된 폐굴껍데기에 소정의 수분을 공급하기 위한 수분공급장치, 수분이 공급된 폐굴껍데기가 투입되며 가열과정을 진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가열로를 포함하는 가열부, 상기 가열로의 내부가 일정 압력이 되면 배출되는 배출가스가 유입되며, 유입된 배출가스가 소정의 액체를 통과하면서 이물질이 침적되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액체탱크를 포함하며, 상기 가열부는 150도에서 350도 사이로 가열과정을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저온환경에서 폐굴껍데기 원료화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and method that converts waste oyster shells into raw materials in low temperature}
본 발명은 폐굴껍데기 원료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폐굴껍데기를 가열, 소성 과정을 거쳐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원료로 생산하는 시스템에서, 보다 효율적인 가열 방식으로 폐굴껍데기를 가열하면서 다양한 수요에 맞는 원료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적 사상에 관한 것이다.
굴양식의 활성화에 따라, 버려지는 폐굴껍데기의 양 또한 증가하고 있다.
굴껍데기의 주성분은 천연 석회석과 동일한 탄산칼슘(CaCO3)으로 이루어져 있어, 불순물을 제거하고 일정 이상의 고온으로 가열하면 다양한 분야에 원료로 사용이 가능한 생석회를 획득할 수 있다.
이처럼 획득된 생석회는 화력발전소나 제철소의 탈황원료로 사용되는 석회석의 대체재로 활용이 가능하며, 물과 반응시킨 액상소석회의 경우에는 소각장 연소가스 제거제로도 활용할 수 있다. 또한 고온으로 소성 과정을 거쳐 분말화하는 경우에는 화장품의 원료로도 활용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생석회 및/또는 액상소석회를 2차 가공하여 건축용 블록이나 석고 보드 등 다양한 건축자재를 생산하는데 활용할 수도 있다.
종래에는 이처럼 폐굴껍데기의 소성 과정을 위한 가열 공정에 주로 가스나 경유 등을 연소시켜 고온에서 이물질을 태움과 동시에 원재료의 소성을 진행하는 방식이어서, 획득되는 원재료 대비 투입되는 에너지가 과하여 경제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고 이로 인해 실제 산업현장에서는 활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저온에서도 폐굴껍데기에서 이물질을 제거한 후 석회 원재료를 얻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실용적으로 폐굴껍데기를 재활용할 수 있는 기술적 사상이 요구된다.
한국등록특허(등록번호 10-1827456, "굴껍질로부터 천연칼슘을 제조하는 방법 및 그 장치") 한국특허출원(출원번호 10-2018-0010486, "패각류를 마이크로파 가열처리하여 고활성 산화칼슘을 제조하는 방법")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폐굴껍데기로부터 석회 등의 원재료를 획득하여 폐굴껍데기를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종래에 비해 저온 가열을 통해 이를 수행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적은 에너지를 소비하여 재활용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저온 가열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폐굴껍데기에 포함된 각종 이물질이 완전 연소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는데, 이러한 연소되지 않은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기술적 사상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재활용 결과 획득되는 재료의 품질에 따라 적응적으로 가열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경제적이고 효과적인 자원 재활용이 가능토록 하는 기술적 사상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폐굴껍데기 원료화 시스템은 폐굴껍데기를 건조하기 위한 건조부, 건조기에 의해 건조된 폐굴껍데기에 소정의 수분을 공급하기 위한 수분공급장치, 수분이 공급된 폐굴껍데기가 투입되며 가열과정을 진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가열로를 포함하는 가열부, 상기 가열로의 내부가 일정 압력이 되면 배출되는 배출가스가 유입되며, 유입된 배출가스가 소정의 액체를 통과하면서 이물질이 침적되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액체탱크를 포함하며, 상기 가열부는 150도에서 350도 사이로 가열과정을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분공급장치는 상기 건조된 폐굴껍데기의 중량대비 5% 내지 10%의 수분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가열부는 복수의 가열로들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가열로들 중에는 마이크로 웨이브 가열방식을 이용한 가열로를 포함하고, 고주파 유도 가열방식의 가열로 또는 열선을 이용한 열선 가열방식의 가열로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열로는 150도에서 350도 사이에서 설정된 목표온도까지 상기 가열로가 도달하는데 걸리는 도달시간 및 상기 도달시간을 유지하는 숙성시간이 각각 제어되며, 상기 도달시간이 상기 숙성시간에 비해 짧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숙성시간은 상기 도달시간 대비 150% 내지 250%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폐굴껍데기 원료화 시스템은 복수의 액체탱크들을 포함하며, 복수의 액체탱크들 중 어느 하나인 제1액체탱크에 포함된 액체의 온도가 일정 온도 이상이 되거나, 상기 액체의 양이 일정 양 이하가 되거나,상기 액체탱크에 침적된 이물질의 양이 일정 량 이상이 되는 경우, 상기 가열로로부터 배출되는 배출가스는 제1액체탱크로 이동되는 것이 중지되고, 제2액체탱크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폐굴껍데기를 건조하기 위한 건조단계, 건조된 폐굴껍데기에 소정의 수분을 공급하기 위한 수분공급단계, 수분이 공급된 폐굴껍데기가 투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열로에서 진행되는 가열단계, 및 상기 가열로의 내부가 일정 압력이 되면 배출되는 배출가스가 유입되며, 유입된 배출가스가 상기 배출가스 대비 상대적 저온의 액체를 통과하면서 이물질이 침적되도록 형성되는 이물질 침적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가열단계는 150도에서 350도 사이로 가열과정이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분공급단계는 상기 건조된 폐굴껍데기의 중량대비 5% 내지 10%의 수분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가열단계는 150도에서 350도 사이에서 설정된 목표온도까지 상기 가열로가 도달하는데 걸리는 도달시간 및 상기 도달시간을 유지하는 숙성시간이 각각 제어되며, 상기 도달시간이 상기 숙성시간에 비해 짧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폐굴껍데기로부터 석회 등의 원재료를 획득하여 폐굴껍데기를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종래에 비해 저온 가열을 통해 이를 수행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적은 에너지를 소비하여 경제적인 폐굴껍데기의 재활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저온 가열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폐굴껍데기에 포함된 각종 이물질이 완전 연소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는데, 이러한 연소되지 않은 이물질을 저온 액체에 침적할 수 있도록 하는 환경을 제공하여 효과적으로 저온 가열환경에서도 이물질의 제거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재활용 결과 획득되는 재료의 품질에 따라 적응적으로 가열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경제적이고 효과적인 자원 재활용이 가능토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폐굴껍데기 원료화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폐굴껍데기 원료화 시스템의 전처리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폐굴껍데기 원료화 방법을 단계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폐굴껍데기 원료화 시스템의 가열부의 가열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폐굴껍데기 원료화 시스템의 제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폐굴껍데기 원료화 방식의 실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원료가 연화된다고 함은, 상기 원료가 가열로 인해 연화되며 젤 형태의 물성으로 변화하는 상태를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폐굴껍데기 원료화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또한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폐굴껍데기 원료화 시스템의 전처리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폐굴껍데기 원료화 시스템(10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대적으로 저온에서 폐굴껍데기를 가열하여 석회등의 원재료를 획득할 수 있는 가열부(13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폐굴껍데기 원료화 시스템(100)은 껍데기를 분쇄하기 위한 분쇄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열부(130)는 상기 분쇄부(110)에 의해 분쇄된 폐굴껍데기를 받아서 가열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분쇄된 폐굴껍데기에 대해 전처리를 수행하여 1차적으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이는 전처리부(12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전처리부(120)는 상기 분쇄부(110)에 의해 분쇄된 이후 상기 폐굴껍데기로부터 원료화에 불필요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물론 실시 예에 따라서는 상기 분쇄부(110)에 의해 분쇄되기 전, 상기 분쇄부(110)에 의해 분쇄되는 과정에서 전처리부에 의해 이물질이 제거될 수도 있다. 전처리부(120)에 의해 제거되는 이물질은 물리적으로 폐굴껍데기와 이격이 용이한 이물질들일 수 있다. 상기 전처리부(120)는 마그네틱 드럼(121), 흡진부(122), 건조부(12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라 전처리부(120)에는 수분공급장치(124)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상기 수분공급장치(124)는 전처리부(120)에 포함되어 수분공급과정까지가 전처리과정으로 정의될 수도 있고, 전처리부(120)와 별개로 수분공급장치(124)가 구비된다고 정의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에는 수분공급과정 전까지의 프로세스가 전처리 과정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전처리 과정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수분공급장치(124)는 폐굴껍데기 즉, 원료에 균일한 정도의 수분을 공급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상대적으로 저온에서 가열을 하여 목적하는 재활용 재료(석회 등)를 획득하기 위해 일정정도의 수분이 필요하고, 이러한 수분이 가열부(130)에 포함된 가열로 내에서 스팀화될 때 이물질이 스팀에 혼합되어 기체에 포함되도록 하는 중요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방식에 의하면, 이물질의 제거에는 폐굴껍데기에 공급되는 수분의 양 역시 가열과정에서의 이물질 제거에 중요한 요소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폐굴껍데기의 양에 비해 너무 많은 수분이 공급되거나 또는 너무 적은 수분이 공급되는 경우에는 가열과정에서 스팀을 통해 함께 배출되는 이물질의 양 상대적으로 낮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처럼 가열부(130)에 포함된 가열로에 공급되기 전에 폐굴껍데기에 공급하는 수분 및 수분의 양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마그네틱 드럼(121)은 분쇄 전 혹은 분쇄된 이후 폐굴껍데기에 섞인 철 성분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흡진부(122)는 상기 분쇄부(110)에 의해 폐굴껍데기가 분쇄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비산먼지를 흡입하여, 비산먼지가 대기 중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건조부(123)는 분쇄된 폐굴껍데기가 가열부(130)로 이송되기 전, 분쇄된 폐굴껍데기를 건조시킬 수 있다. 예컨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분쇄부(110)에 의한 폐굴껍데기의 분쇄과정 중에 물이 분사된 경우나, 폐굴껍데기 자체가 습기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상기 건조부(123)에 의해 분쇄된 폐굴껍데기에 대한 일정 수준 이상 건조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건조부(123)를 통해 건조되는 과정 후에 수분공급장치(124)를 통해 수분이 공급됨으로써 가열부(130)에 투입되는 재료(폐굴껍데기+수분)에서 수분의 함량이 균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이러한 구성 외에도, 일반적으로 비산먼지나 철/비철 성분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장치들이 상기 전처리부(120)에 포함될 수 있음을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평균적 전문가는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폐굴껍데기 원료화 시스템(100)은 액체탱크(160)를 적어도 하나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액체탱크(160)는 가열부(130)에 포함된 가열로에서 수분이 스팀화되고 상기 스팀에는 이물질들이 묻어서 스팀에 포함되도록 하는 경우, 상기 가열로에 일정 압력이 되면 주기적으로 상기 스팀 즉, 배출가스를 인입받을 수 있다.
상기 액체탱크(160)는 상기 가열로로부터 배출되는 배출가스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액체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출가스는 상기 액체를 통과하도록 상기 액체탱크(160)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액체탱크(160)는 물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배출가스에 포함된 이물질이 침적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액체종류가 활용될 수 있다.
가열로로부터 배출된 배출가스 즉, 가열과정에서 폐굴껍데기로부터 분해되어 나온 이물질이 묻어있는 스팀은 액체탱크(160)에 저장된 상대적 저온의 액체와 만나서 체적이 급격히 낮아지고 이때 비중이 높은 스팀속의 이물질들은 액체 밑으로 침적되게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르면 이러한 과정을 통해 가열로 내에서 획득하고자 하는 원료외의 이물질을 상대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종래에는 상대적 고온 즉, 1000도씨 이상에서 폐굴껍데기를 가열하여 소성하였고, 이러한 경우에는 가열로내의 이물질들이 대부분 연소되었던 반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저온 가열의 과정에서는 필수적으로 이루어지는 과정일 수 있다.
한편, 액체탱크(160)를 통과한 배출가스 즉, 스팀은 오염방지부(170)를 통해 정화되어 대기 중으로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폐굴껍데기 원료화 시스템(100)은 상기 가열부(130)에 의해 가열 과정을 거쳐 원료화된 폐굴껍데기를 수집하는 후처리부(140), 및/또는 상기 가열부(130)의 가열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시스템(1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쇄부(110)는 원료화될 폐굴껍데기를 분쇄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 상기 분쇄부(110)는 폐굴껍데기를 분쇄하는 도중 비산먼지 발생을 억제하기 위하여 폐굴껍데기에 물을 분사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가열부(130)는 분쇄된 폐굴껍데기를 가열하여, 폐굴껍데기에 대한 가열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가열부(130)는 상온 또는 상온에 근접한 온도에서부터 일정 수준의 목표온까지 가열이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상기 가열부(13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가열로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그 중 적어도 하나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가열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열부(130)는 고주파 유도 현상을 이용한 고주파 유도 가열방식, 및/또는 열선을 이용한 열선 가열방식을 이용하는 가열로를 포함할 수 있다.
순도면에서 고품질의 원료를 획득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마이크로파 방식의 가열로를 이용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물론 상대적으로 마이크로파 방식 가열로는 고비용이 들 수 있지만, 온도의 미세조절이 유리하다는 장점이 있어서 고순도의 원료를 획득하는데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중품질의 원료를 획득하는 데에는 열선 즉 전기히터 방식의 가열로가 유리하며, 하품질의 원료를 획득하는 데에는 상대적으로 저비용이지만 일반스틸을 가열로로 구현함으로써 발생하는 불순물이 썩일 위험이 있는 고주파 유도방식의 가열로가 유리할 수 있다.
따라서 대용량 폐굴껍데기 원료화 시스템(100)을 구현하는 경우에는 복수의 가열로를 구비하되, 상기 가열로는 마이크로파 가열방식의 가열로를 포함하며, 필요에 따라 열선방식 가열로 및/또는 고주파 유도방식 가열로를 함께 구비함으로써 원료의 순도에 따라 가장 경제적이고 효과적인 가열로를 선택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어떤 경우든 가열방식이 다르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르면 가열과정은 상대적으로 저온인 150도 내지 350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후처리부(140)는 가열부에 포함된 각 가열로 내부에 남은 원료를 수집하고 이송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컨베이어벨트 및/또는 원료가 모집되는 소정의 박스 등이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제어시스템(150)은 가열부(13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가열로 각각의 온도 및/또는 스팀의 배출여부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시스템(150)에 대해서는 도 7에서 후술하도록 한다.
결국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상대적으로 저온에서 폐굴껍데기의 가열을 통해 원료화를 수행하면서, 저온 가열로 인해 가열과정에서 생성되는 이물질이 연소되지 않는 문제점을 스팀과 함께 배출될 수 있도록 하여 해결하는 특징이 있다.
또한 가열로내에서 생성되는 스팀과 이를 통한 이물질의 효과적 제어를 위해 본 발명은 가열로 내에 인입되는 재료들(폐굴껍데기 및 수분)에서 수분의 함량 제어, 그리고 후술할 바와 같은 도달시간과 숙성시간의 제어를 수행하는 특징이 있다.
한편, 널리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굴껍데기의 주성분은 천연 석회석과 동일한 탄산칼슘(CaCO3)으로 이루어져 있어, 불순물을 제거하고 일정 이상의 고온으로 가열하면 생석회를 획득할 수 있다.
이처럼 획득된 생석회는 화력발전소나 제철소의 탈황원료로 사용되는 석회석의 대체재로 활용이 가능하며, 물과 반응시킨 액상소석회의 경우에는 소각장 연소가스 제거제로도 활용할 수 있다. 또한 고온으로 소성 과정을 거쳐 분말화하는 경우에는 화장품의 원료로도 활용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생석회 및/또는 액상소석회를 2차 가공하여 건축용 블록이나 보도 블록 등 다양한 건축자재를 생산하는데 활용할 수도 있다.
종래에는 이처럼 폐굴껍데기의 소성 과정을 위한 가열 공정에 주로 가스나 경유 등을 연소시켜 열원으로 하여 고온(1000도씨 이상에서) 가열을 이용하였는데, 높은 연료비로 인해 경제성이 없는 문제가 있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효과가 있다.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폐굴껍데기 원료화 방법을 단계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폐굴껍데기 원료화 방법은 분쇄부에 의한 폐굴껍데기의 분쇄과정을 거칠 수 있다(S100). 물론 폐굴껍데기 원료화 시스템(100)에 분쇄된 폐굴껍데기가 투입되는 경우에는 이러한 과정은 생략될 수 있다.
그러면 전처리부(120)에 의해 가열로에 투입되기 전에 이루어지는 전처리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S110). 전처리과정은 건조부(122)에 의한 건조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마그네틱 드럼에 의한 철 성분의 제거, 흡진부에 의한 분진의 제거과정이 전처리과정에 더 포함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전처리과정을 통해 건조된 재료에 수분공급장치(124)는 소정 량의 수분을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건조된 재료의 중량 대비 5% 내지 10%의 수분을 공급하는 경우에 가장 효과적인 이물질 제거가 이루어짐을 실험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더 많은 수분이 공급되는 경우는 스팀이 과하게 생성되거나 조기에 생성되어 이물질이 스팀에 융화되는 효율이 낮을 수 있고, 더 작은 수분이 공급되는 경우에는 충분한 스팀이 발생하지 않아서 이물질 제거에 효과적이지 않았다.
수분이 공급된 재료는 가열부(13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가열로(131, 132)에 투입되어 저온 가열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S130).
저온 가열 과정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150도 내지 350에서 이루어진 가열과정을 의미할 수 있으며, 이는 종래에 1000도 이상에서 이루어지는 가열과정에 비해 월등히 저온에서 이루어지는 과정임을 알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가열로들(131, 132) 중 적어도 하나는 마이크로 웨이브를 이용한 마이크로 웨이브 가열방식을 이용한 가열로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상대적으로 순도가 높은 석회 원료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가열로들(131, 132)에는 고주파 유도 가열방식의 가열로 또는 열선을 이용한 열선 가열방식의 가열로 중 적어도 하나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대적으로 낮은 순도의 원료도 괜찮은 경우에는 고주파 유도 가열방식의 가열로를 사용하는 것이 경제적일 수 있다. 또한 중품질 이상의 원료를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열선 즉 전기히터를 이용한 가열방식의 가열로를 이용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서로 다른 가열방식을 가지는 복수의 가열로들(131, 132)을 포함하면서 원재료의 품질에 따라 선택적으로 가열과정을 수행할 가열로를 결정함으로써 더욱 경제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물론 본 발명에 따른 폐굴껍데기 원료화 시스템(100)에는 원료의 처리 용량에 따라 단일의 가열로가 구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가열로의 종류 즉, 가열방식과 무관하게 각 가열로들은 150도에서 350도 사이에서 설정된 목표온도까지 상기 가열로가 도달하는데 걸리는 도달시간 및 상기 도달시간을 유지하는 숙성시간이 각각 제어될 수 있다. 이러한 가열로의 온도 제어는 상기 제어시스템(150)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라 도달시간 및 숙성시간에 따라 이물질의 제거효과가 상이함을 반복된 실험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 결과 상기 도달시간이 상기 숙성시간에 비해 짧은 경우에 이물질의 제거효과가 더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숙성시간은 상기 도달시간 대비 150% 내지 250% 사이의 경우에 이물질의 제거효과가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구체적인 가열과정의 제어는 도 8을 통해 후술하도록 한다.
한편 저온가열을 수행하면서 가열로(예컨대, 131 또는 132)에는 공급된 수분에 의한 스팀이 발생하며, 가열과정을 통해 폐굴껍데기의 내외부에 유입된 이물질이 이러한 스팀에 융화되어 이물질을 포함한 스팀이 가열로에 생성되기 시작한다.
그리고 이러한 스팀에 의한 가열로의 압력이 상승하다가 미리 정해진 기준압력이 되면, 가열로(예컨대, 131 또는 132)에 구비된 밸브가 오픈되면서 스팀 즉 배출가스가 배출되고, 이러한 배출가스는 액체탱크(예컨대, 161 또는 162)로 배출될 수 있으며, 배출가스는 액체탱크(161 또는 162)에 저장된 액체를 통과하면서 급격한 온도 저하를 통한 부피 저하로 비중이 높은 스팀에 포함되어있던 이물질들이 액체탱크(161 또는 162)에 침적되는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S140).
그리고 이물질이 액체에 침적된 후의 배출가스 즉, 폐가스는 액체탱크(161 또는 162)로부터 배출되어 오염처리부(170)로 이동되며, 오엽처리부(170)는 기체를 정화하는 기능을 가지도록 구비되어 일정수준 오염이 처리된 즉 정화된 폐가스가 대기로 방출될 수 있다(S141).
그리고 가열로(예컨대, 131 또는 132) 내에 남아있는 원료들은 후처리부(140)에 의해 수집 및/또는 이동되어 재활용된 원료가 획득되는 과정이 수행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S150).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액체탱크(161 또는 162)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제1액체탱크(예컨대, 161)가 지속적으로 사용되는 경우 해당 제1액체탱크(예컨대, 161)에 저장된 액체의 온도가 지속적으로 상승하여 이물질의 침적효율이 낮아지거나 또는 제1액체탱크(예컨대, 161)에 저장된 액체가 배출가스와 만나는 경우 고온으로 인해 기화되어 액체의 수위가 지속적으로 낮아지거나, 또는 제1액체탱크(예컨대, 161)에 이물질이 과하게 침적되는 경우가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액체탱크(예컨대, 161)의 사용을 중지하고 제2액체탱크(예컨대, 162)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이를 위해 가열로(예컨대, 131 또는 132)들과 액체탱크(161 또는 162) 사이에 소정의 밸브들이 구비되고 이를 통해 액체탱크(161 또는 162)가 선택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액체탱크(161 또는 162)에는 저장된 액체의 온도, 수위, 또는 액체탱크의 무게를 센싱하기 위한 센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시스템(150)은 현재 이용되고 있는 액체탱크(161 또는 162)에 저장된 액체의 온도가 일정온도 이상 높아지거나, 액체의 수위(양)가 일정 수준 이하가 되거나, 또는 상기 액체탱크에 침적된 이물질의 양이 일정 량 이상이 되는 경우 상기 가열로(예컨대, 131 또는 132)로부터 배출되는 배출가스는 더 이상 제1액체탱크(161)로 이동되지 않도록 밸브를 제어하고, 제2액체탱크(162)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침적된 이물질의 양은 액체탱크(161 또는 162)의 무게로 계산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5 내지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폐굴껍데기 원료화 시스템의 가열부의 가열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5는 마이크로 웨이브 가열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상기 가열부(130)는 마이크로 웨이브 가열방식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 웨이브 발신장치(131)와, 상기 마이크로 웨이브 발신장치(131)로부터 발신되는 마이크로 웨이브에 감응하여 발열하는 마이크로 웨이브 감응형 발열장치(132)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처럼 소정의 마이크로 웨이브 감응형 발열장치 및/또는 마이크로 웨이브 발신장치를 이용하여 소정의 피가열체(예컨대, 가열로(130-1)를 가열하는 방식을 마이크로 웨이브 가열방식으로 정의하도록 한다.
상기 마이크로 웨이브 발신장치(131)는 후술할 상기 제어 시스템(150)에 의해 제어될 수 있으며, 상기 마이크로 웨이브 발신장치(131)로부터 발신되는 마이크로 웨이브에 의해 상기 마이크로 웨이브 감응형 발열장치(132)가 반응하면서 가열되고, 가열되는 상기 마이크로 웨이브 감응형 발열장치(132)에 의해 상기 가열로(130-1) 가열될 수 있다.
도 6은 고주파 유도 가열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고주파 유도 가열방식은 전자유도작용을 이용하여 코일에 교류전류를 흘려 교번자속이 발생하도록 함으로써 피가열물에 유도전류(와전류)가 흐르도록 하고, 이 유도전류에 의해 줄열이 발생, 이를 이용하여 가열이 수행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고주파 유도 가열과 관련한 기술적 사상은 이미 널리 공지되어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코일에 전류를 흘려 발생하는 전자유도작용을 이용해 가열을 수행하는 방식을 고주파 유도 가열방식이라 정의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고주파 유도 가열방식의 경우, 다른 방식에 비해 피가열물에 급속 가열이 가능할 수 있다. 다만 고주파 유도 가열의 경우 전술한 마이크로 웨이브를 이용한 마이크로 웨이브 가열방식이나 종래의 일반적인 밴드 히터, 기타 열원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에너지 소모가 큰 편이지만, 가열 효율이 뛰어나 전술한 바와 같이 급속 가열이 가능하고 상대적으로 고온까지 가열이 용이하여 가열 효율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이러한 고주파 유도 가열을 위해,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가열부(130)의 가열로(131-1)에는 전자유도를 위한 코일이 미리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코일에 전류를 흘려보내기 위한 소정의 전원 시스템이 상기 제어 시스템(150)에 미리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유도 가열을 위한 전원 시스템에 대해서는 이미 공지된 사항이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가열부(130)는 열선을 이용한 열선 가열방식을 통해서 폐굴껍데기를 가열할 수도 있다.
이러한 열선 가열방식은, 간접식 저항 가열에 사용하는 발열체를 활용하는 가열 방식으로, 이를 위한 발열체는 용융, 연화, 산화 온도가 높고 내열, 내식성이 크며 고유 저항이 비교적 크면서 온도 계수는 작은 소재가 적절할 수 있다.
이를 위한 전열선은 대표적으로 니켈크롬 합금선(니크롬선), 또는 철크롬 합금선(칸탈선)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열선 가열방식에 철크롬 합금선(칸탈선)을 전열선으로 사용하는 방식이 사용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폐굴껍데기 원료화 시스템의 제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폐굴껍데기 원료화 시스템(100)에서 상기 가열부(130)의 가열 및 배출가스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시스템(150)은 입력부(151), 온도 감지부(152), 및/또는 제어부(15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151)는 사용자로부터 목표온도를 포함하는 입력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목표 온도까지의 도달시간 및 숙성시간을 입력받을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 상기 입력부(151)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마이크로 웨이브 발신장치(200)의 출력정도, 고주파 유도를 위한 코일에 흘릴 전류의 양, 및/또는 열선에 흘릴 전류의 양에 관한 정보가 더 포함된 입력정보를 수동으로 입력받을 수도 있다.
상기 온도 감지부(152)는 온도를 감지할 수 있는 소정의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온도 감지부(152)는 상기 가열부(130) 및/또는 가열로(130-1)의 내부 온도 또는 표면 온도 중 적어도 하나의 온도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마이크로 웨이브 감응형 발열장치(132)는 상기 가열로(130-1)의 표면에 구비되어 발열하면서 상기 가열로(130-1)를 가열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상기 가열로(130-1)의 표면의 온도가 상기 가열로(130-1)의 내부 온도에 비해 높게 측정될 수 있다. 다만, 폐굴껍데기는 상기 가열로(130-1)의 내부에 위치하여 가열되므로, 폐굴껍데기가 가열되는 온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상기 가열로(130-1) 내부의 온도를 정확하게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153)는 상기 입력정보 및 상기 온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가열부(130) 및/또는 상기 가열로(130-1)에서 상기 마이크로 웨이브 발신장치(131)의 출력을 제어하거나, 고주파 유도를 제어하거나, 열선의 발열 정도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입력된 목표온도, 도달시간, 및/또는 숙성시간에 상응하도록 가열로의 온도 및 시간을 포함하는 가열과정을 제어할 수 있다. 목표온도를 도달시간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어느 정도의 가열을 해야할지에 대해서는 여러번의 반복을 통해 미리 결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제어부(153)가 고주파 유도를 제어한다고 함은, 코일에 흘릴 전류의 양을 제어하거나, 전류를 흘릴지 여부를 제어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53)가 상기 마이크로 웨이브 발신장치(131)의 출력을 제어한다고 함은, 상기 제어부(153)가 상기 마이크로 웨이브 발신장치(200)에 의해 출력되는 마이크로 웨이브의 주파수를 다르게 하거나, 또는 상기 마이크로 웨이브 발신장치(131)로부터 마이크로 웨이브가 도달하는 범위인 출력범위를 다르게 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53)가 열선의 발열 정도를 제어한다고 함은, 상기 제어부(153)가 열선에 흐를 전류의 양을 제어하거나, 전류를 흘릴지 여부를 제어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마이크로 웨이브 가열방식의 경우, 상기 제어부(153)는 상기 입력부(151)에 의해 입력된 상기 입력정보에 따라 상기 마이크로 웨이브 발신장치(131)가 마이크로 웨이브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어부(153)는 상기 온도 감지부(152)에 의해 감지된 상기 온도정보와 상기 입력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온도정보가 상기 입력정보 즉, 목표온도에 도달할 수 있도록 상기 마이크로 웨이브 발신장치(131)를 제어할 수 있다. 물론, 도달시간에 목표온도가 도달될 수 있도록 제어됨은 물론이다.
한편 목표 온도에 도달한 후에는 설정된 숙성시간 동안 목표온도가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제어부(153)의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온도 감지부(152)에 의해 감지된 현재 온도정보가 상기 목표온도에 비해 낮은 경우, 상기 제어부(153)는 상기 마이크로 웨이브 감응형 발열장치(132)가 계속해서 발열할 수 있도록, 또는 보다 높은 온도로 발열할 수 있도록 상기 마이크로 웨이브 발신장치(131)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온도 감지부(152)에 의해 감지된 현재 온도정보가 상기 목표온도에 비해 높아지는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153)는 상기 마이크로 웨이브 감응형 발열장치(132)가 더 이상 발열하지 못하도록 상기 마이크로 웨이브 발신장치(131)를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마이크로 웨이브 감응형 발열장치(132)가 보다 낮은 온도로 발열하도록 상기 마이크로 웨이브 발신장치(131)를 제어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제어부(153)는 상기 온도 감지부(152)로부터 획득되는 상기 온도정보에 대한 피드백 작용을 통해 상기 온도정보가 상기 목표온도에 도달하거나 상기 목표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마이크로 웨이브 발신장치(131)를 제어함으로써, 용이하고 효율적인 온도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는 전술한 바와 같이 고주파 유도 가열방식 및/또는 열선 가열방식에서도 동일 또는 유사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53)는 액체탱크(161 또는 162)에 구비된 센서들의 값을 수신하고, 그에 따라 배출가스를 선택적으로 액체탱크(161 또는 162)들 중 어느 하나로 이송시키기 위한 밸브 제어를 수행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한편, 상기 굴껍데기 원료화 시스템(1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가열부(130)에 의한 가열(소성 과정) 중에 발생한 배출가스가 액체탱크(161 또는 162)를 통과한 후의 폐가스를 폐가스를 수집하고 처리할 수 있는 오염방지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가열부(130)에서 굴껍데기를 가열하는 과정에서 일산화 탄소를 비롯한 각종 오염물질에 스팀에 포함될 수 있고, 이 중에서는 액체탱크(161 또는 162)에서 걸러지지 않는 오염물질이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폐가스가 그대로 대기 중에 배출되게 되면 대기 오염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상기 오염방지부(160)는 액체탱크(161 또는 162)를 통과한 폐가스를 수집하고 처리하여 대기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이처럼 대기의 오염을 유발하는 폐가스를 수집, 처리하는 기술적 사상에 대해서는 널리 알려진 바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단순히 저온가열을 수행하는 것 보다 목표온도까지 도달시간 및 숙성시간을 개별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이물질의 제거성능이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일 예는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폐굴껍데기 원료화 방식의 실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출원인은 저온가열을 통해 폐굴껍데기에 포함된 이물질이 완전연소되지 않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실험을 수행하였고, 이를 통해 목표온도까지의 도달시간과 목표온도를 유지하는 숙성시간에 따라 이물질의 제거 성능이 달라짐을 알 수 있었다.
도 8은 서로 다른 목표온도에서 서로 다른 도달시간 및/또는 숙성시간을 이용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정을 거친 후에, 가열로(예컨대, 131 또는 132)에 남은 원료의 성분의 성분비를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다.
바람직하기로는 원료에서 탄소, 산소, 및 칼슘을 제외한 다른 물질은 이물질이므로 모두 제거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원자재 1 및 2는 가열로(예컨대, 131 또는 132)에 투입되기 전의 서로 다른 폐굴껍데기 샘플의 성분비를 나타내고 있고, 도시된 바와 같이 탄소, 산소, 칼슘 이외에도 나트륨, 마그네슘, 알루미늄, 규소, 황, 염소, 칼륨, 철이 포함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원자재 1 또는 2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가열조건(목표온도, 도달시간 및/또는 숙성시간)들로 3회 내지 5회를 반복실험 한 후의 가열로 내의 원료의 성분비가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A 조건, B 조건, C 조건, D 조건, E 조건, F 조건, G 조건, H 조건에서 각각목표온도는 200, 250, 300, 150 등을 선택적으로 사용하였다.
또한 그리고 각 조건별로 목표온도까지 숙성시간 없이 도달시간만 설정된 경우(즉, 도달시간동안 천천히 가열되는 경우), 도달시간 및 숙성시간을 개별적으로 설정하되 각 도달시간과 숙성시간을 달리한 경우가 실험의 대상이 되었다.
예컨대 목표온도까지 도달시간만 4시간으로 설정한 경우, 도달시간만 2시간 40분으로 설정한 경우, 도달시간 1시간 및 숙성시간 2시간으로 총 3시간 가열한 경우, 도달시간 1시간 30분 및 숙성시간 2시간으로 가열한 경우 등 다양한 도달시간과 숙성시간을 설정하여 실험을 하였다.
그리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C 조건 및 H 조건이 상대적으로 가장 이물질이 잘 제거된 경우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C 조건 및 H 조건의 목표온도는 각각 200도 및 150도 였다. 또한 C 조건은 도달시간 대비 숙성시간이 2배이고 H 조건의 경우 도달시간 대비 숙성시간은 1.5배였다.
기타 다양한 조건을 변경하면서 실험을 통해 150도에서 350도까지 내에서 설녕된 목표온도에서는 목표온도보다는 도달시간 대비 숙성시간이 이물질 제거 성능에 더 영향을 많이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또한 도달시간 대비 숙성시간이 긴 것이 이물질 성능이 높아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달시간 대비 숙성시간이 150%에서 250% 길게 설정된 경우 이물질 제거 성능이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7)

  1. 폐굴껍데기를 건조하기 위한 건조부;
    건조기에 의해 건조된 폐굴껍데기에 소정의 수분을 공급하기 위한 수분공급장치;
    수분이 공급된 폐굴껍데기가 투입되며 가열과정을 진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가열로를 포함하는 가열부;
    상기 가열로의 내부가 일정 압력이 되면 배출되는 배출가스가 유입되며, 유입된 배출가스가 소정의 액체를 통과하면서 이물질이 침적되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액체탱크를 포함하며,
    상기 가열로는,
    150도에서 350도 사이로 가열과정을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150도에서 350도 사이에서 설정된 목표온도까지 상기 가열로가 도달하는데 걸리는 도달시간 및 상기 도달시간을 유지하는 숙성시간이 각각 제어되며, 상기 도달시간이 상기 숙성시간에 비해 짧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굴껍데기 원료화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공급장치는,
    상기 건조된 폐굴껍데기의 중량대비 5% 내지 10%의 수분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굴껍데기 원료화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는,
    복수의 가열로들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가열로들 중에는 마이크로 웨이브 가열방식을 이용한 가열로를 포함하고,
    고주파 유도 가열방식의 가열로 또는 열선을 이용한 열선 가열방식의 가열로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폐굴껍데기 원료화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숙성시간은 상기 도달시간 대비 150% 내지 250%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굴껍데기 원료화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폐굴껍데기 원료화 시스템은,
    복수의 액체탱크들을 포함하며,
    복수의 액체탱크들 중 어느 하나인 제1액체탱크에 포함된 액체의 온도가 일정 온도 이상이 되거나, 상기 액체의 양이 일정 양 이하가 되거나,상기 액체탱크에 침적된 이물질의 양이 일정 량 이상이 되는 경우,
    상기 가열로로부터 배출되는 배출가스는 제1액체탱크로 이동되는 것이 중지되고, 제2액체탱크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굴껍데기 원료화 시스템.
  6. 폐굴껍데기를 건조하기 위한 건조단계;
    건조된 폐굴껍데기에 소정의 수분을 공급하기 위한 수분공급단계;
    수분이 공급된 폐굴껍데기가 투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열로에서 진행되는 가열단계; 및
    상기 가열로의 내부가 일정 압력이 되면 배출되는 배출가스가 유입되며, 유입된 배출가스가 상기 배출가스 대비 상대적 저온의 액체를 통과하면서 이물질이 침적되도록 형성되는 이물질 침적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가열단계는,
    150도에서 350도 사이로 가열과정이 진행되고,
    150도에서 350도 사이에서 설정된 목표온도까지 상기 가열로가 도달하는데 걸리는 도달시간 및 상기 도달시간을 유지하는 숙성시간이 각각 제어되며,
    상기 도달시간이 상기 숙성시간에 비해 짧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굴껍데기 원료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공급단계는,
    상기 건조된 폐굴껍데기의 중량대비 5% 내지 10%의 수분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굴껍데기 원료화 방법.

KR1020220104285A 2021-11-11 2022-08-19 저온환경에서 폐굴껍데기 원료화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4799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7063A KR102704813B1 (ko) 2021-11-11 2022-12-16 저온환경에서 폐굴껍데기 원료화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5094 2021-11-11
KR20210155094 2021-11-11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77063A Division KR102704813B1 (ko) 2021-11-11 2022-12-16 저온환경에서 폐굴껍데기 원료화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9915B1 true KR102479915B1 (ko) 2022-12-21

Family

ID=8453668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4285A KR102479915B1 (ko) 2021-11-11 2022-08-19 저온환경에서 폐굴껍데기 원료화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220177063A KR102704813B1 (ko) 2021-11-11 2022-12-16 저온환경에서 폐굴껍데기 원료화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77063A KR102704813B1 (ko) 2021-11-11 2022-12-16 저온환경에서 폐굴껍데기 원료화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4799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9038A (ko) * 2021-11-11 2023-05-18 주식회사동서산업롤 저온환경에서 폐굴껍데기 원료화 시스템 및 그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1529A (ko) * 1986-07-09 1988-04-23 김익 패각을 이용한 칼슘의 추출 방법
KR200318448Y1 (ko) * 2003-03-27 2003-06-28 배동한 굴 패각분(貝殼粉)제조장치
KR20180010486A (ko) 2016-07-21 2018-01-31 (주)바이오어텍 패각류를 마이크로파 가열처리하여 고활성 산화칼슘을 제조하는 방법
KR101827456B1 (ko) 2017-01-12 2018-02-08 안상익 굴껍질로 부터 천연칼슘을 제조하는 방법 및 그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9915B1 (ko) * 2021-11-11 2022-12-21 주식회사동서산업롤 저온환경에서 폐굴껍데기 원료화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1529A (ko) * 1986-07-09 1988-04-23 김익 패각을 이용한 칼슘의 추출 방법
KR200318448Y1 (ko) * 2003-03-27 2003-06-28 배동한 굴 패각분(貝殼粉)제조장치
KR20180010486A (ko) 2016-07-21 2018-01-31 (주)바이오어텍 패각류를 마이크로파 가열처리하여 고활성 산화칼슘을 제조하는 방법
KR101893254B1 (ko) * 2016-07-21 2018-08-29 (주)바이오어텍 패각류를 마이크로파 가열처리하여 고활성 산화칼슘을 제조하는 방법
KR101827456B1 (ko) 2017-01-12 2018-02-08 안상익 굴껍질로 부터 천연칼슘을 제조하는 방법 및 그 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25 no.1 , 2019년, pp.74 - 80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9038A (ko) * 2021-11-11 2023-05-18 주식회사동서산업롤 저온환경에서 폐굴껍데기 원료화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704813B1 (ko) * 2021-11-11 2024-09-09 주식회사동서산업롤 저온환경에서 폐굴껍데기 원료화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704813B1 (ko) 2024-09-09
KR20230069038A (ko) 2023-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79915B1 (ko) 저온환경에서 폐굴껍데기 원료화 시스템 및 그 방법
DK170368B1 (da) Fremgangsmåde til bortbrænding af affald i et cementovnanlæg, samt anlæg til udøvelse af fremgangsmåden
TWI511936B (zh) 處理污泥之器具及方法
CN105132028A (zh) 一种农作物秸秆连续分段热解循环系统
CN106179286A (zh) 一种利用过热蒸汽热再生活性炭的方法
WO2011000430A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a process for burning a lime containing mixture to burnt lime
CN109553310A (zh) 减少石灰窑中形成环的方法和系统
AU2002252628A1 (en) Closed cycle waste combustion
CN102161484A (zh) 零煤耗的活性炭生产工艺及用于该工艺的生产装置
CN106583426A (zh) 一种造纸废渣能源化利用方法
KR20240029866A (ko) 저온환경에서 폐굴껍데기 원료화 시스템 및 그 방법
CN208527685U (zh) 一种污染土壤电加热间接热脱附装置
JP2000063848A (ja) 加熱水蒸気による炭化炉
JP5040174B2 (ja) 乾燥汚泥と廃棄物炭化物の混合燃料製造方法及び装置
JP2007314625A (ja) 汚泥と廃棄物炭化物の混合燃料製造方法及び装置
CN105149327B (zh) 一种垃圾预清洗下的处理工艺
NL7908844A (nl) Werkwijze en inrichting voor het regelen van een stelsel voor verbranding in vochtige toestand.
RU2450064C2 (ru) Способ для управления производительностью обжиговой машины для обжига железорудных окатышей
RU2247025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ереработки резиновых отходов
CN107990737A (zh) 一种液态炉渣的加热回收利用装置
RU2336476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ушки сыпучих материалов
CN208829277U (zh) 一种用于制备超级电容炭的装置
SU1289948A1 (ru) Способ приготовлени битума в потоке гор чего газ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
Berg et al. Application of Kumera steam dryers in mineral processing
SU1576815A1 (ru) Установка дл сушки металлической стружк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