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9835B1 - 검사구 가공공구 - Google Patents

검사구 가공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9835B1
KR102479835B1 KR1020220055992A KR20220055992A KR102479835B1 KR 102479835 B1 KR102479835 B1 KR 102479835B1 KR 1020220055992 A KR1020220055992 A KR 1020220055992A KR 20220055992 A KR20220055992 A KR 20220055992A KR 102479835 B1 KR102479835 B1 KR 1024798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l
machining
processing
elastic member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5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제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제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제이
Priority to KR10202200559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98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98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98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7/00Marking-out or setting-out work
    • B25H7/04Devices, e.g. scribers, for marking
    • B25H7/045Devices, e.g. scribers, for marking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mark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1/00Chucks; Expansion mandrels; Adaptations thereof for remote control
    • B23B31/02Chuck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5/0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for measuring thickn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sertion Pins And Rive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가공공구는 합성수지재 패널 검사구를 가공하기 위한 공구로서, 금속재로써 형성되되 원형의 단면을 가지며 내부에는 길이 방향을 따르는 내부개구가 형성되는 몸체부와, 금속재로써 형성되되 상기 내부개구에 수용되어 상기 몸체부의 선단부로 돌출되도록 배치되는 가공단부와, 상기 내부개구에 수용되어 상기 가공단부의 후단부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도록 배치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몸체부의 후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내부개구를 폐쇄하면서 상기 탄성부재의 후단부를 지지하는 캡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의 전방부는 측단면 상 사다리꼴 형상을 갖는 절두원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의 후방부는 측단면 상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중공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탄성부재는 금속재 코일스프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해, 가공 대상인 합성수지재 패널의 표면에 균일한 압력으로 접촉됨으로써, 합성수지재 패널 표면 높이에 편차가 있는 경우에도 균일한 폭의 선을 가공할 수 있으며, 장기간 가공의 경우에도 균일한 선폭으로 합성수지재 패널을 가공할 수 있다.
또한, 미세한 선폭을 정확도 높게 가공할 수 있어 가공 선의 정밀도를 높일 수 있고, 장기간 가공의 경우에도 충격에 의한 공구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으며, 가공 중 발생되는 합성수지재 조각들이 원활히 배출될 수 있다.

Description

검사구 가공공구{WORKING TOOL FOR INSPECTION PANEL}
본 발명은 합성수지재 패널로 형성되는 검사구를 가공하기 위한 가공공구에 관한 발명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공 대상인 합성수지재 패널의 표면에 균일한 압력으로 접촉되며, 장기간 가공의 경우에도 미세한 선폭을 균일하게 가공 가능하고, 충격에 의한 파손이 방지되도록 구성되는 검사구 가공공구에 관한 발명이다.
통상적으로, 부품을 제작할 때에는 소정의 설계 치수데로 가공이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검사 작업이 수행된다.
자동차 또는 반도체 기술 분야에 이용되는 각종 부품 또는 패널의 검사에 있어서도 투명한 합성수지재 재질로 형성되는 검사구가 이용되는데, 상기 검사구 상에 부품 또는 패널을 거치시킨 상태에서, 올바른 형상으로 가공되었는지 여부와 각종 부품의 체결을 위한 체결부 등이 바르게 가공되었는지를 확인한다.
주로 투명한 아크릴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재질로 형성되는 상기 검사구는, 부품과 대비하여 시각적으로 검사하기 위한 각종 선과 도형들이 음각으로 형성된 상태에서, 이들의 내부에 유색 잉크가 도포되어 시각적으로 명확히 인식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1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종래 상기 검사구를 가공하기 위한 공구(100)는, 컴퓨터 수치제어 가공장치(CNC 공작기계)의 척(Chuck, 150)에 결합된 상태에서 합성수지재 패널(200)의 표면을 가공하도록 이용된다.
그런데, 검사구용 합성수지재 패널의 가공에 이용되는 종래 상기 공구(100)의 경우, 상기 척에 결합되는 몸체부(110) 부분에 가공 팁(120)이 견고히 결합된다.
즉, 상기 몸체부(110) 부분에 대해 상기 가공 팁(120) 부분이 상대적으로 변위되지 않도록 결합된 상태에서, 합성수지재 패널을 가공하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합성수지재 패널(200)의 경우 그 크기가 커질수록 패널의 두께가 미세하게 달라지는 영역이 발생될 수 있다.
상기 합성수지재 패널(200)이 수치제어 가공장치에 놓여지는 경우, 상기 패널(200)의 두께는 곧 가공 높이가 되는데, 상기와 같이 몸체부(110)에 대해 가공 팁(120)이 견고히 결합된 상태에서, 가공 높이에 편차가 발생되는 것은 최종적으로 가공되는 선의 폭이 달라지는 요인이 된다.
특히, 합성수지재 패널(200) 크기가 매우 커져 가공 높이의 편차 역시 커질 경우, 가공된 선에 잉크를 도포하는 작업이 어렵거나 선명하게 도포되지 않는 불량이 발생될 수도 있다.
그리고, 종래 공구(100)에서는 상기 가공 팁(120)에서 합성수지재 패널(200)의 표면에 접촉되는 단부(122)가 원추형으로 형성되었다.
이러한 상태에서 장기간 가공이 이루어질 경우, 상기 단부(122)의 하단부가 마찰에 의해 닳게 되는데, 이에 따라 가공되는 선의 두께(폭)에 변화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결국 이러한 점은, 가공되는 선들의 정확도와 정밀도를 높이는데 한계로써 작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가공 대상인 합성수지재 패널의 표면에 균일한 압력으로 접촉되도록 구성되는 검사구 가공공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장기간 가공의 경우에도 균일한 선폭으로 가공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검사구 가공공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미세한 선폭을 정확도 높게 가공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검사구 가공공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장기간 가공의 경우에도 충격에 의한 파손이 방지되도록 구성되는 검사구 가공공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가공 중 발생되는 합성수지재 조각들이 원활히 배출되도록 구성되는 검사구 가공공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가공공구는 합성수지재 패널 검사구를 가공하기 위한 공구로서, 금속재로써 형성되되 원형의 단면을 가지며 내부에는 길이 방향을 따르는 내부개구가 형성되는 몸체부와, 금속재로써 형성되되 상기 내부개구에 수용되어 상기 몸체부의 선단부로 돌출되도록 배치되는 가공단부와, 상기 내부개구에 수용되어 상기 가공단부의 후단부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도록 배치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몸체부의 후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내부개구를 폐쇄하면서 상기 탄성부재의 후단부를 지지하는 캡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의 전방부는 측단면 상 사다리꼴 형상을 갖는 절두원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의 후방부는 측단면 상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중공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탄성부재는 금속재 코일스프링으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공단부는 합성수지재 패널의 표면에 접촉되는 접촉단부와 상기 몸체부와 접촉되어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접촉단부와 결합부 사이에 형성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가공단부에서 상기 접촉단부는 원형 단면을 갖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접촉단부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는 높이 방향을 따라 점차적으로 커지는 직경을 갖는 원추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결합부의 후방부에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상기 걸림턱의 상부는 상기 결합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의 원형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걸림턱에는 지지플레이트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원형의 테두리부와 상기 테두리부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걸림턱의 상부에 접촉 체결되는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테두리부에서 일 측은 외부로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접촉단부와 제 1 연결부는 열처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촉단부에는 유색 도료가 도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내부개구의 후단부에는 암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캡부재의 표면에는 수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캡부재에서 상기 탄성부재를 대면하는 측에는 측단면 상 사다리꼴 단면 형태를 갖는 탄성부재접촉부가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성부재접촉부의 표면에는 요철부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내부개구에서 상기 결합부와 접촉되는 부분에는 오목부들이 상기 몸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의 표면에는 오목부들이 상기 결합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체부에서 상기 결합부와 접촉되는 부분의 표면에는 불규칙적인 미세한 오목부들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접촉단부에 연결되는 제 1 연결부와 상기 결합부에 연결되는 제 2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연결부는 높이 방향을 따라 점차적으로 커지는 직경을 갖는 원추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연결부와 제 2 연결부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오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의 전방 부분은 측단면 상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전방 부분에는 높이 방향을 따라 오목부들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결합부에서 상기 연결부 측의 단부는 측단면 상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의 전방 부분은 측단면 상 서로 다른 두 개의 경사 각도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의 후방 부분에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홈에 지지플레이트가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코일스프링의 단부는 상기 코일스프링의 중심축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굽혀져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코일스프링의 단부에서 상기 코일스프링의 중심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굽혀지는 부분은 270도 이상 360도 이하의 범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사구 가공공구.
본 발명에 의해, 가공 대상인 합성수지재 패널의 표면에 균일한 압력으로 접촉됨으로써, 합성수지재 패널 표면 높이에 편차가 있는 경우에도 균일한 폭의 선을 가공할 수 있다.
또한, 장기간 가공의 경우에도 균일한 선폭으로 합성수지재 패널 표면에 선을 가공할 수 있다.
또한, 미세한 선폭을 정확도 높게 가공할 수 있어 가공 선의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장기간 가공의 경우에도 충격에 의한 공구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가공 중 발생되는 합성수지재 조각들이 원활히 배출될 수 있다.
첨부의 하기 도면들은,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이해시키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은 하기 도면에 도시된 사항에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 은 종래 검사구 가공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검사구 가공공구의 사시도이며,
도 3 은 상기 가공공구의 단면도이며,
도 4 는 상기 가공공구에 포함되는 가공단부의 측면도이며,
도 5 는 상기 가공공구에 포함되는 가공단부에 지지플레이트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6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가공단부의 측면도이며,
도 7 은 상기 가공공구에 포함되는 몸체부와 캡부재의 측면도이며,
도 8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공공구의 단면도이며,
도 9 는 상기 가공공구에 포함되는 가공단부의 측면도이며,
도 10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몸체부의 측면도이며,
도 11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공공구의 단면도이며,
도 12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공단부의 측면도이며,
도 13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몸체부의 측면도이며,
도 14(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몸체부의 측단면도이며, 도 14(b)는 상기 몸체부의 다른 측단면도이며,
도 15(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공단부의 측면도이며, 도 15(b)는 상기 가공단부의 다른 측단면도이다.
도 16 은 상기 가공공구에 포함되는 탄성부재의 사시도이며,
도 17 은 상기 탄성부재의 정면도와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는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히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 및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표현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검사구 가공공구의 사시도이며, 도 3 은 상기 가공공구의 단면도이며, 도 4 는 상기 가공공구에 포함되는 가공단부의 측면도이며, 도 5 는 상기 가공공구에 포함되는 가공단부에 지지플레이트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6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가공단부의 측면도이며, 도 7 은 상기 가공공구에 포함되는 몸체부와 캡부재의 측면도이며, 도 8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공공구의 단면도이며, 도 9 는 상기 가공공구에 포함되는 가공단부의 측면도이며, 도 10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몸체부의 측면도이며, 도 11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공공구의 단면도이며, 도 12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공단부의 측면도이며, 도 13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몸체부의 측면도이며, 도 14(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몸체부의 측단면도이며, 도 14(b)는 상기 몸체부의 다른 측단면도이며, 도 15(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공단부의 측면도이며, 도 15(b)는 상기 가공단부의 다른 측단면도이며, 도 16 은 상기 가공공구에 포함되는 탄성부재의 사시도이며, 도 17 은 상기 탄성부재의 정면도와 측면도이다.
도 2 와 3 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가공공구는 투명한 아크릴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패널 검사구를 가공하기 위한 공구로서, 금속재로써 형성되되 원형의 단면을 가지며 내부에는 길이 방향을 따르는 내부개구(15)가 형성되는 몸체부(10)와, 금속재로써 형성되되 상기 내부개구(15)에 수용되어 상기 몸체부(10)의 선단부로 돌출되도록 배치되는 가공단부(20)와, 상기 내부개구(15)에 수용되어 상기 가공단부(20)의 후단부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도록 배치되는 탄성부재(30)와, 상기 몸체부(10)의 후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내부개구(15)를 폐쇄하면서 상기 탄성부재(30)의 후단부를 지지하는 캡부재(50)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10)의 전방부(11)는 측단면 상 사다리꼴 형상을 갖는 절두원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10)의 후방부는 측단면 상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중공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탄성부재(30)는 금속재 코일스프링으로 형성된다.
상기 몸체부(10)는 컴퓨터 수치제어 가공장치의 척에 결합되는 부분으로서, 강과 같은 금속재로써 형성된다.
상기 몸체부(10)는 원형의 단면을 갖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가공단부(20)가 결합되는 전방 부분(11)은 사다리꼴 형태의 측단면을 갖는 절두 원추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몸체부(10)의 내부에는 길이 방향을 따르는 내부개구(15)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내부개구(15)의 전방 부분에는 상기 가공단부(20)가 배치되어, 상기 가공단부(20)의 전방 부분이 상기 몸체부(10)의 선단부로부터 돌출된다.
상기 가공단부(20) 역시 강과 같은 금속재로써 형성되며, 합성수지재 패널의 표면에 접촉되는 접촉단부(22)와 상기 몸체부(10)와 접촉되어 결합되는 결합부(24)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접촉단부(22)와 결합부(24) 사이에는 연결부(26)가 형성된다.
상기 가공단부(20)는 길이 방향을 따라 전체가 원형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접촉단부(22)는 가장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접촉단부(22)는 상기 가공단부(20)에서 가장 작은 직경을 갖는 원형 단면의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촉단부(22)는 예를 들어 0.3 mm 내지 0.7 mm 의 직경으로써 대략 1 mm 내지 2 mm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촉단부(22)가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직경을 갖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장기간 가공에 의해 상기 접촉단부(22)의 선단부가 마모되는 경우에도 일정한 폭의 선들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종래 가공공구의 경우 공구가 합성수지재 패널 표면에 접촉되는 압력에 따라 가공되는 선의 폭(두께)이 달라지는데, 본발명의 경우 상기 접촉단부(22)가 일정한 직경의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접촉 압력이 변동되는 경우에도 일정한 폭의 선들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10)의 내부개구(15)에서 상기 가공단부(20)의 후방에는 코일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30)가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30)가 상기 가공단부(20)의 후방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그리하여, 가공 대상인 합성수지재 패널의 두께가 변동되는 경우에도, 상기 접촉단부(22)의 선단부 부분이 합성수지재 패널 표면에 거의 균일한 압력으로 접촉될 수 있다.
이에 의해, 합성수지재 패널의 크기가 커 국소적으로 패널 두께에 편차가 발생되는 경우에도, 균일한 폭의 선들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몸체부(10)의 후단부에는 금속재로 형성되는 캡부재(50)가 결합되어, 상기 내부개구(15)를 폐쇄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캡부재(50)의 결합을 위해,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부개구(15)의 후단부에는 암나사산(12)이 형성되고, 상기 캡부재(50)의 표면에는 수나사산(52)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캡부재(50)의 후방에는 렌치 공구를 삽입할 수 있는 렌치홈(58)이 형성된다.
그리하여, 상기 렌치홈(58)에 렌치를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캡부재(50)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캡부재(50)가 상기 몸체부(10)의 후단부에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도 3 과 7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캡부재(50)에서 상기 탄성부재(30)를 대면하는 전방부 측에는 측단면 상 사다리꼴 단면 형태를 갖는 탄성부재접촉부(54)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접촉부(54)의 표면에는 요철부(5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요철부(56)는 상기 탄성부재접촉부(54) 표면에 오목부를 형성함으로써, 오목부가 형성되지 않은 표면은 볼록부가 되는 방식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캡부재(50)의 탄성부재접촉부(54) 부분에 요철부(56)가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탄성부재(30)와 접촉되어 지지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요철부(56) 부분이 탄성부재(30)에 가하는 마찰력이 증대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내부개구(15)에서 탄성부재(30)가 회전되어 최초 설치 위치로부터 변위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6 과 17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코일스프링(30)의 단부(32)는 상기 코일스프링(30)의 중심축선(C)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굽혀져 형성된다.
상기 코일스프링(30)에서 상기 양 단부(32) 사이의 부분(34)에서는 상기 코일스프링(30)을 형성하기 위한 금속재 강선(31)이 나선 방향으로 굽혀진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코일스프링(30)의 단부(32) 부분에서는 상기 금속재 강선(31)이 상기 코일스프링(30)의 중심축선(C)에 대해 수직한 평면을 따라 굽혀지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코일스프링(30)의 단부(32)에서 상기 코일스프링(30)의 중심축선(C)에 수직한 방향으로 굽혀지는 부분은 270도 이상 360도 이하의 범위로 형성된다.
그리하여, 상기 코일스프링(30)의 단부(32) 부분에서 270도 내지 360도 각도(a) 범위로 상기 탄성부재접촉부(54)와 지지플레이트(60)에 접촉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의해, 상기 코일스프링(30)의 양 단부(32) 부분이 상기 탄성부재접촉부(54)와 지지플레이트(60)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되면서도, 상기 코일스프링(30)의 끝부분(35)들이 상기 탄성부재접촉부(54)에 형성되는 요철부(56) 부분과 지지플레이트(60)의 체결부(64)에 의해 간섭되어 최초 배치 위치로부터 용이하게 회전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또한, 장기간 작동의 경우에도 상기 코일스프링(30)의 변형 또는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도 4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가공단부(20)에서 상기 연결부는(26)는 상기 접촉단부(22)에 연결되는 제 1 연결부(26-1)와 상기 결합부(24)에 연결되는 제 2 연결부(26-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24)는 상기 몸체부의 전방 부분(11)에 결합되는 부분으로서, 전체적으로 원형 단면을 갖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연결부(26-1)는 상기 제 2 연결부(26-2) 측을 향할수록 점차적으로 커지는 직경을 갖는 원추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연결부(26-2)는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직경을 갖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연결부(26-2)의 직경은 상기 결합부(24)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제 2 연결부(26-2)와 결합부(24) 사이에 턱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3 과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부(24)의 후방부에는 걸림턱(28)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턱(28)의 상부(29, 도 4 에서 걸림턱의 우측)는 상기 결합부(24)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의 원형 단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턱(28)에는 지지플레이트(60)가 결합되어, 상기 지지플레이트(60)가 상기 내부개구(15)의 전방에 형성되는 내부턱(19) 부분에 접촉 배치된다.
그리하여, 상기 지지플레이트(60)가 상기 내부턱(19) 부분에 거치됨으로써, 상기 가공단부(20)가 상기 몸체부(10)의 전방 부분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상기 탄성부재(30)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가공 대상인 합성수지재 패널의 두께에 편차가 있는 경우에도, 상기 접촉단부(22) 부분이 거의 일정한 접촉 압력 상태에서 합성수지재 패널 표면에 접촉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플레이트(60)는 대략 원형으로 형성되는 테두리부(62)와 상기 테두리부(62)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는 체결부(6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부(64)는 상기 결합부(24)의 상부에 체결되어, 상기 지지플레이트(60)가 상기 걸림턱(28) 부분에 배치된다.
도 5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플레이트(60)의 테두리부(62)에서 일 측(S)은 외부로 개방되도록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개방된 부분(S)으로 상기 걸림턱의 상부(29) 부분을 삽입하고, 상기 테두리부(62)를 굽혀 상기 체결부(64) 부분이 상기 걸림턱의 상부(29) 부분을 압박하도록 결합된다.
이때, 상기 테두리부(62)로부터 상기 체결부(64) 부분이 내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체결부(64)들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는데, 상기 공간 부분에 대해 상기 체결부(64) 부분이 상기 탄성부재(30) 선단부 부분의 원주 방향 회전에 대한 걸림턱으로서의 역할을 하여, 상기 탄성부재(30)의 선단부 부분의 회전을 방지하여 위치 고정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내부개부(15)에서 상기 탄성부재(30)가 최초 설치 위치로부터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6 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접촉단부(22)와 제 1 연결부(26-1) 부분이 더욱 강한 강도를 갖도록 열처리될 수 있다.
그리하여, 장기간 가공의 경우에도 상기 접촉단부(22) 부분이 파손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접촉단부(22) 부분에는 검은색 또는 청색과 같은 유색 도료가 도포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작업 현장에서 상기 접촉단부(22) 부분의 마모 여부를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하여, 상기 접촉단부(22) 부분이 마모될 경우, 상기 가공단부(20)를 즉시 교체하여 항상 일정한 폭의 선들이 가공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도 8 에 도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공단부(20)에서 제 1 연결부(26-1)가 결합부(24)에 직접 연결되어 상기 제 2 연결부(26-2)가 없도록 구성된다.
그리하여, 상기 결합부(24)에서 상기 제 1 연결부(26-1)에 연결되는 단부 부분(25)에 턱이 형성되지 않아, 상기 턱 부분(도 3 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25 부분)에 합성수지재 조각들이 부딪혀 상기 접촉단부(22) 부근에 적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상기 결합부(24)의 후방 부분에 결합홈(28-1)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홈(28-1) 부분에 상기 지지플레이트(60)가 결합된다.
그리하여, 상기 결합홈(28-1)에 상기 지지플레이트(60)가 안정적으로 결합됨으로써, 상기 가공단부(20)가 상기 몸체부(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상기 탄성부재(30)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한편, 도 10 에 도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몸체부(10)에서 상기 결합부(20)와 접촉되는 몸체부의 전방 부분(11) 표면에는 불규칙적인 미세한 오목부들이 형성된다.
상기 불규칙적인 미세한 오목부들은 예를 들어, 샌드 블러스팅(Sand Blusting) 가공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불규칙적인 미세한 오목부들에 의해, 상기 전방 부분(11)이 합성수지재 조각들과 접촉되는 표면적을 감소시켜, 합성수지재 조각들이 상기 전방 부분(11) 표면을 더욱 원활히 미끄러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하여, 상기 가공단부(20)를 통한 합성수지재 패널 가공 중 발생되는 조각들이 상기 전방 부분(11)과 마찰되는 경우에 발생되는 마찰력을 감소시킴으로써, 가공 중에 발생된 합성수지재 조각들이 상기 접촉단부(22) 부근에 적체되는 것을 방지하고 주변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가공 중 발생되는 합성수지재 조각들을 주변으로 원활히 분산시킬 수 있도록, 도 11 에 도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몸체부(10)의 전방 부분(11)은 측단면 상 서로 다른 두 개의 경사 각도를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하여, 상기 전방 부분(11)의 선단부 부분(13)은 측단면 상 경사 작도가 큰 측면을 갖는 절두 원추 형상(측단면 상으로는 중공 사다리꼴 단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전방 부분(11)은 측단면 상 상기 선단부 부분(13) 보다는 작은 경사 각도를 갖는 절두 원추 형상(측단면 상으로는 중공 사다리꼴 단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몸체부의 전방 부분(11) 또는 선단부 부분(13)에 합성수지재 조각이 부딪혀 상기 접촉단부(22) 부근에 적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효과를 더욱 높이기 위해, 상기 결합부(24)에서 상기 연결부(26-2) 측의 단부 부분(25)은 도 11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측단면 상 경사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합성수지재 조각과 부딪히는 표면적을 감소시키기 위해, 도 12 에 도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연결부(26-1)와 제 2 연결부(26-2)에 길이 방향을 따라 오목부(27)들이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 1 연결부(26-1)와 제 2 연결부(26-2) 부분에도 샌드 블러스팅 가공에 의한 불규칙적인 미세한 오목부들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 1 연결부(26-1)와 제 2 연결부(26-2) 부분에 불규칙적인 미세한 오목부들을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길이 방향을 따르는 오목부(27)들을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1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의 전방 부분(11) 표면에도 높이 방향(길이 방향)을 따라 오목부(17)들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접촉단부(22)를 통한 합성수지재 패널 가공 중 발생되는 조각들이, 상기 연결부(26) 또는 몸체부의 전방 부분(11)과 접촉되는 경우에 발생되는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도 14(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몸체부의 측단면도이며, 14(a)는 상기 14(b) 상태를 우측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상기 몸체부(10)의 내부개구(15)에서 상기 결합부(24)와 접촉되는 전방 부분(11) 내부에는 오목부(14)들이 상기 전방 부분(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5(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공단부의 측면도이며, 15(b)는 상기 15(a) 상태를 우측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15(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부(24)의 표면에는 오목부(25)들이 상기 결합부(24)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전방 부분(11) 내부의 오목부(14)와 결합부(24) 표면의 오목부(25)들의 단면에서 모서리 부분들이 미세한 걸림턱으로서의 역할을 하도록 하여, 상기 결합부(24) 부분이 상기 전방 부분(11) 내부에서 상대 회전되는 것을 억제하도록 구성된다.
그리하여, 상기 몸체부(10) 부분이 컴퓨터 수치제어 가공장치의 척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때에, 상기 결합부(24) 부분이 상기 전방 부분(11) 내부에서 상대회전되어 가공 효율을 저하시키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러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하기 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목적 범위 내라면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 이상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된 "포함된다" 또는 "구성된다" 의 용어는 해당 구성 요소가 포함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그 외 다른 구성 요소들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몸체부
20: 가공단부
30: 탄성부재
50: 캡부재
60: 지지플레이트

Claims (23)

  1. 합성수지재 패널 검사구를 가공하기 위한 가공공구로서,
    금속재로써 형성되되 원형의 단면을 가지며 내부에는 길이 방향을 따르는 내부개구가 형성되는 몸체부와;
    금속재로써 형성되되 상기 내부개구에 수용되어 상기 몸체부의 선단부로 돌출되도록 배치되는 가공단부와;
    상기 내부개구에 수용되어 상기 가공단부의 후단부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도록 배치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몸체부의 후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내부개구를 폐쇄하면서 상기 탄성부재의 후단부를 지지하는 캡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의 전방부는 측단면 상 사다리꼴 형상을 갖는 절두원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의 후방부는 측단면 상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중공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탄성부재는 금속재 코일스프링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공단부는 합성수지재 패널의 표면에 접촉되는 접촉단부와 상기 몸체부와 접촉되어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접촉단부와 결합부 사이에 형성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공단부에서 상기 접촉단부는 원형 단면을 갖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의 후방부에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상기 걸림턱의 상부는 상기 결합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의 원형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걸림턱에는 지지플레이트가 결합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원형의 테두리부와 상기 테두리부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걸림턱의 상부에 접촉 체결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내부개구의 후단부에는 암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캡부재의 표면에는 수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캡부재에서 상기 탄성부재를 대면하는 측에는 측단면 상 사다리꼴 단면 형태를 갖는 탄성부재접촉부가 형성되며,
    상기 탄성부재접촉부의 표면에는 요철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의 후방 부분에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홈에 지지플레이트가 결합되고,
    상기 코일스프링의 양 단부는 상기 코일스프링의 중심축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굽혀져 형성되어,
    상기 코일스프링의 일 단부는 상기 탄성부재접촉부의 요철부에 의해 간섭되고, 타 단부는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체결부에 의해 간섭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사구 가공공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높이 방향을 따라 점차적으로 커지는 직경을 갖는 원추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사구 가공공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테두리부에서 일 측은 외부로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사구 가공공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단부와 제 1 연결부는 열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사구 가공공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단부에는 유색 도료가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사구 가공공구.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개구에서 상기 결합부와 접촉되는 부분에는 오목부들이 상기 몸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사구 가공공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의 표면에는 오목부들이 상기 결합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사구 가공공구.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전방부 표면에는 불규칙적인 미세한 오목부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사구 가공공구.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접촉단부에 연결되는 제 1 연결부와 상기 결합부에 연결되는 제 2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연결부는 높이 방향을 따라 점차적으로 커지는 직경을 갖는 원추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사구 가공공구.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결부와 제 2 연결부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오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사구 가공공구.
  11.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전방부에는 높이 방향을 따라 오목부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사구 가공공구.
  12.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에서 상기 연결부 측의 단부는 측단면 상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사구 가공공구.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전방부는 측단면 상 서로 다른 두 개의 경사 각도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사구 가공공구.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스프링의 단부에서 상기 코일스프링의 중심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굽혀지는 부분은 270도 이상 360도 이하의 범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사구 가공공구.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KR1020220055992A 2022-05-06 2022-05-06 검사구 가공공구 KR1024798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5992A KR102479835B1 (ko) 2022-05-06 2022-05-06 검사구 가공공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5992A KR102479835B1 (ko) 2022-05-06 2022-05-06 검사구 가공공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9835B1 true KR102479835B1 (ko) 2022-12-23

Family

ID=84536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5992A KR102479835B1 (ko) 2022-05-06 2022-05-06 검사구 가공공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983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64837A (ja) * 1991-06-12 1992-12-17 I N R Kenkyusho:Kk 研削工具
KR20070120066A (ko) * 2006-06-16 2007-12-21 산드빅 인터렉츄얼 프로퍼티 에이비 코팅된 절삭 공구 인서트
KR20090092076A (ko) * 2008-02-26 2009-08-31 김정배 복곡면 검사치구 외표면의 오차범위경계선 형성용내마모침이 구비된 경계선형성공구
JP2014105595A (ja) * 2012-11-26 2014-06-09 Toyota Motor Corp スプリングリテーナ組付方法、スプリングリテーナ及び組付治具
JP2017003551A (ja) * 2015-06-08 2017-01-05 文 光中 垂直コイルバネプローブ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64837A (ja) * 1991-06-12 1992-12-17 I N R Kenkyusho:Kk 研削工具
KR20070120066A (ko) * 2006-06-16 2007-12-21 산드빅 인터렉츄얼 프로퍼티 에이비 코팅된 절삭 공구 인서트
KR20090092076A (ko) * 2008-02-26 2009-08-31 김정배 복곡면 검사치구 외표면의 오차범위경계선 형성용내마모침이 구비된 경계선형성공구
JP2014105595A (ja) * 2012-11-26 2014-06-09 Toyota Motor Corp スプリングリテーナ組付方法、スプリングリテーナ及び組付治具
JP2017003551A (ja) * 2015-06-08 2017-01-05 文 光中 垂直コイルバネプローブ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13973B2 (en) Clamping fixture
KR101509954B1 (ko) 절삭 인서트 및 인덱서블 드릴
EP2030713B1 (en) Radius end mill
US7341409B2 (en) Tool for chip removing machining
US8061717B2 (en) Positioning and clamping device for tools and/or workpieces
JP3795890B2 (ja) 可変長パンチ・アセンブリ
CN105992665A (zh) 具有可调刀片切削角的切削工具
KR20020062738A (ko) 회전 절삭 공구와 스로어웨이 팁
US9296045B2 (en) Metal-cutting tool
KR102479835B1 (ko) 검사구 가공공구
US7980565B2 (en) Diaphragm chuck
US6238150B1 (en) Drilling tool
US11311949B2 (en) Indexable face milling cutting insert and face milling cutting head using the cutting insert
US4786062A (en) Apparatus for clamping non-rotating work pieces
KR102448291B1 (ko) 합성수지재 패널 검사구 가공공구
CN105081384A (zh) 防夹持变形的弹性卡爪
JP2013208676A (ja) 刃先交換式切削工具及びその切れ刃位置調整方法
US20170239736A1 (en) Machining tool
KR20180005707A (ko) 날끝 교환식 절삭 공구
US10099337B2 (en) Tools for lens processing
JP2020163524A (ja) 刃先交換式切削工具、切削インサート、および工具本体
JP4170769B2 (ja) 切削加工用工具
JP2001515795A (ja) 切り屑を除去する機械加工用の工具
EP3285947B1 (en) Chuck arrangement
SE503706C2 (sv) Fastspänningsanordning för skärverkty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