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9784B1 - 서비스 데이터 어댑테이션 프로토콜 sdap 엔티티의 설정 방법 및 기기 - Google Patents

서비스 데이터 어댑테이션 프로토콜 sdap 엔티티의 설정 방법 및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9784B1
KR102479784B1 KR1020207030779A KR20207030779A KR102479784B1 KR 102479784 B1 KR102479784 B1 KR 102479784B1 KR 1020207030779 A KR1020207030779 A KR 1020207030779A KR 20207030779 A KR20207030779 A KR 20207030779A KR 102479784 B1 KR102479784 B1 KR 1024797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dap entity
drb
configuration information
target
standb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07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35860A (ko
Inventor
유민 우
Original Assignee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1358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58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97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97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03Configuration set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1Allocation or use of connection ident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2Setup of transport tu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2Manipulation of transport tun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서비스 데이터 어댑테이션 프로토콜(SDAP) 엔티티의 설정 방법 및 기기를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구성 정보 중에는 설정 대기 데이터 무선 베어러(DRB)의 식별자 및 상기 설정 대기 DRB에 대응하는 SDAP 엔티티 식별자를 포함함 - ; 및 상기 구성 정보에 따라, 상기 설정 대기 DRB 및 상기 SDAP 엔티티 식별자와 대응하는 목표 SDAP 엔티티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서비스 데이터 어댑테이션 프로토콜 SDAP 엔티티의 설정 방법 및 기기
관련 출원에 대한 참조
본 출원은 2018년 4월 2일 중국에 제출된 중국 특허 출원 제 201810284821.0호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전체 내용을 본 출원에 원용한다.
본 개시는 통신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서비스 데이터 어댑테이션 프로토콜 SDAP 엔티티의 설정 방법 및 기기에 관한 것이다.
통신 기술의 발전에 따라, 제5대 이동 통신 기술(fifth-generation, 5G)이 나타났다. 그리고 5G 시스템에 서비스 품질(Quality of Service, Qos)의 네트워크 측 메카니즘이 도입되었다. 따라서 업링크 데이터 및 다운링크 데이터의 전송 과정에 단말 기기의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 IP) 데이터 스트림의 Qos 지시 정보(예를 들어, QoSflow ID)가 추가될 필요가 있으며, 기존의 패킷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PDCP) 층 상에 새로운 프로토콜 층, 서비스 데이터 어댑테이션 프로토콜(Service Data Adaptation Protocol, SDAP) 층을 도입하였다.
또한, 하나의 SDAP 엔티티는 하나의 상위 레이어의 패킷 데이터 유닛 세션(Packet Data Unit, PDU Session)에 대응하고, 하나의 SDAP 엔티티는 여러개의 데이터 스트림을 여러개의 상이한 데이터 무선 베어러(Data Radio Bearer, DRB)로 송신할 수 있으며, 여기서 하나의 DRB는 하나의 PDCP 엔티티에 대응한다.
관련 기술에 있어서, 단말 기기의 SDAP 엔티티를 설정할 때, 일반적으로 네트워크 측 기기가 단말 기기로 설정 명령을 송신하는 방식으로 진행하지만, 시그널링의 설정은 일정한 오버헤드를 필요로 하고, 이에 의해 SDAP 엔티티를 설정할 때, 오버헤드가 증가된다.
본 개시 실시예의 목적은, 서비스 데이터 어댑테이션 프로토콜(SDAP) 엔티티의 설정 방법을 제공하여 SDAP 엔티티 설정의 오버헤드를 감소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개시 실시예는 아래와 같이 실현된다.
제1 측면에 있어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단말 기기에 적용되는 서비스 데이터 어댑테이션 프로토콜(SDAP) 엔티티의 설정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구성 정보 중에는 설정 대기 데이터 무선 베어러(DRB)의 식별자 및 상기 설정 대기 DRB에 대응하는 SDAP 엔티티 식별자를 포함함 - ; 및
상기 구성 정보에 따라, 상기 설정 대기 DRB 및 상기 SDAP 엔티티 식별자와 대응하는 목표 SDAP 엔티티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2 측면에 있어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네트워크 측 기기에 적용되는 서비스 데이터 어댑테이션 프로토콜(SDAP) 엔티티의 설정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구성 정보 중에는 설정 대기 데이터 무선 베어러(DRB)의 식별자 및 상기 설정 대기 DRB에 대응하는 SDAP 엔티티 식별자를 포함함 - ;을 포함하고,
상기 구성 정보는 단말 기기가 상기 구성 정보에 따라, 상기 설정 대기 DRB 및 상기 SDAP 엔티티 식별자와 대응하는 목표 SDAP 엔티티를 설정하는데 사용된다.
제3 측면에 있어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단말 기기를 더 제공하며, 상기 기기는: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데 사용되는 수신 모듈 - 상기 구성 정보 중에는 설정 대기 데이터 무선 베어러(DRB)의 식별자 및 상기 설정 대기 DRB에 대응하는 SDAP 엔티티 식별자를 포함함 - ; 및
상기 구성 정보에 따라, 상기 설정 대기 DRB 및 상기 SDAP 엔티티 식별자와 대응하는 목표 SDAP 엔티티를 설정하는데 사용되는 설정 모듈;을 포함한다.
제4 측면에 있어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네트워크 측 기기를 더 제공하며, 상기 기기는: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데 사용되는 송신 모듈 - 상기 구성 정보 중에는 설정 대기 데이터 무선 베어러(DRB)의 식별자 및 상기 설정 대기 DRB에 대응하는 SDAP 엔티티 식별자를 포함함 - ;을 포함하고,
상기 구성 정보는 단말 기기가 상기 구성 정보에 따라, 상기 설정 대기 DRB 및 상기 SDAP 엔티티 식별자와 대응하는 목표 SDAP 엔티티를 설정하는데 사용된다.
제5 측면에 있어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단말 기기를 더 제공하며, 상기 기기는:
메모리, 프로세서,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며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고,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제1 측면에 따른 서비스 데이터 어댑테이션 프로토콜(SDAP) 엔티티의 설정 방법의 단계를 구현한다.
제6 측면에 있어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네트워크 측 기기를 더 제공하며, 상기 기기는:
메모리, 프로세서,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며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고,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제2 측면에 따른 서비스 데이터 어댑테이션 프로토콜(SDAP) 엔티티의 설정 방법의 단계를 구현한다.
제7 측면에 있어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를 더 제공하며,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제1 측면에 따른 서비스 데이터 어댑테이션 프로토콜(SDAP) 엔티티의 설정 방법의 단계를 구현한다.
제8 측면에 있어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를 더 제공하며,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제2 측면에 따른 서비스 데이터 어댑테이션 프로토콜(SDAP) 엔티티의 설정 방법의 단계를 구현한다.
본 개시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데이터 어댑테이션 프로토콜(SDAP) 엔티티의 설정 방법 및 기기는, DRB에 대한 설정을 통해 SDAP 엔티티 식별자에 대응하는 목표 SDAP 엔티티에 대하여 설정을 진행하는 것을 실현할 수 있다. 즉, 본 개시 실시예는 묵시의 방식으로 SDAP 엔티티에 대하여 설정을 진행함으로써, SDAP 엔티티에 대하여 설정하는 구성 시그널링의 재송신을 피면하고 SDAP 엔티티를 설정하는 구성 시그널링에 대한 오버헤드를 절약하여 SDAP 엔티티 설정의 오버헤드를 감소한다.
이 곳에서 개시된 도면은 본 개시의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제공되며, 본 개시의 일부분을 구성하며,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 및 설명은 본 개시를 해석하는데 사용되며 본 개시에 대한 부적절한 한정을 구성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개시 실시예의 서비스 데이터 어댑테이션 프로토콜(SDAP) 엔티티의 설정 방법의 첫번째 방법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개시 실시예의 서비스 데이터 어댑테이션 프로토콜(SDAP) 엔티티의 설정 방법의, DRB와 SDAP 엔티티의 대응 관계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 실시예의 서비스 데이터 어댑테이션 프로토콜(SDAP) 엔티티의 설정 방법의, SDAP 엔티티, PDU 세션 및 PDCP 엔티티의 대응 관계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개시 실시예의 서비스 데이터 어댑테이션 프로토콜(SDAP) 엔티티의 설정 방법의 두번째 방법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개시 실시예의 서비스 데이터 어댑테이션 프로토콜(SDAP) 엔티티의 설정 방법의 세번째 방법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개시 실시예의 단말 기기의 모듈 구성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개시 실시예의 네트워크 측 기기의 모듈 구성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개시 실시예의 단말 기기의 아키텍처도이다.
도 9는 본 개시 실시예의 네트워크 측 기기의 아키텍처도이다.
이하 본 개시 실시예의 도면을 결합하여 본 개시 실시예 중의 기술적 방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알아야 할 것은, 설명한 실시예는 본 개시의 일부분 실시예일 뿐, 전부 실시예는 아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기술 영역의 일반 기술인원이 획득한 모든 다른 실시예들은 모두 본 개시의 청구범위에 포함된다. 설명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한 "및/또는"은 접속 대상 중 적어도 하나를 의미한다.
본 개시의 기술 방안은 글로벌 이동 통신 시스템(Global System of Mobile communication, GSM), 코드 분할 다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시스템, 광대역 코드 분할 다접속(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시스템, 일반 패킷 무선 서비스(General Packet Radio Service, GPRS), 엘티이(Long Term Evolution, LTE), 엘티이 어드벤스드(Long Term Evolution, LTE-A), 뉴 라디오(New Radio, NR)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UE는 또한 사용자 터미널,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이동 사용자 기기 등일 수 있다. UE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예를 들어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dio Access Network, RAN)를 통해 하나 이상의 코어 네트워크와 통신할 수 있다. 단말 기기는, 예를 들어 이동 전화(또는 "셀룰러" 전화로 지칭함)와 같은 이동 단말기일 수 있으며,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와 언어 및/또는 데이터를 교환하는 휴대용, 컴퓨터 내장형 또는 온보드 이동 장치일 수 있다.
네트워크 측 기기는 단말 기기와 통신하기 위한 것이며, GSM 또는 CDMA 중의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 또는 WCDMA 중의 기지국(NodeB)일 수 있고, LTE 중의 진화형 기지국(evolutional Node B, eNB 또는 e-NodeB) 및 5G 기지국(gNB)일 수 있다. 본 개시 실시예에서 이에 대하여 한정하지 않는다. 하지만 설명의 편리성을 위하여 이하 실시예는 gNB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하, 본 개시의 각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개시 실시예에 언급된 영어 약칭 주석은 아래와 같다.
서비스 데이터 어댑데이션 프로토콜(Service Data Adaptation Protocol, SDAP);
데이터 무선 베어러(Data Radio Bearer, DRB);
패킷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PDCP);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rotocol Data Unit, PDU);
난 액세스 층(Non-access stratum, NAS)이다.
본 개시 실시예는 SDAP 엔티티의 설정 방법을 제공하며 해당 방법은 단말 기기에 적용되고 단말 기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 실시예의 서비스 데이터 어댑테이션 프로토콜(SDAP) 엔티티의 설정 방법의 흐름도이다. 해당 방법은 이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102: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102). 해당 구성 정보 중에는 설정 대기 DRB의 식별자 및 상기 설정 대기 DRB에 대응하는 SDAP 엔티티 식별자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단계(102)에서 수신한 구성 정보는 네트워크 측 기기가 송신한 것일 수 있다. 그 중, 상기 DRB의 식별자는 DRB의 유일한 코드(identification, ID)일 수 있고, 상기 SDAP 엔티티 식별자는 SDAP 엔티티의 ID일 수 있다.
상기 구성 정보에서, 포함된 설정 대기 DRB의 수량은 하나 또는 여러개일 수 있고, 포함된 SDAP 엔티티의 수량도 하나 또는 여러개일 수 있다. 하지만 하나의 설정 대기 DRB는 하나의 SDAP 엔티티에 대응, 즉 하나의 DRB는 단지 하나의 SDAP 엔티티에만 설정된다. 그러나 하나의 SDAP 엔티티는 여러개의 DRB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구성 정보 중에서, 설정 대기 DRB가 DRB1, DRB2 및 DRB3이고, DRB1 및 DBR2는 SDAP1에 대응하고, DRB3은 SDAP2에 대응, 즉 DRB1 및 DRB2는 모두 SDAP1로 설정되고, DRB3은 SDAP2로 설정된다. 이럴 경우, DRB1 및 DRB2는 다시 SDAP2로 설정될 수 없고, DRB3도 역시 다시 SDAP1로 설정될 수 없다. 이런 상황 하에서, DRB1, DRB2 및 DBR3과 SDAP1, SDAP2의 대응 관계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다.
본 개시 실시예에서, 하나의 DRB는 단 하나의 SDAP 엔티티에 대응하여 DRB가 정확하게 데이터를 어느 SDAP 엔티티로 송신하는지 알 수 있어, DRB가 여러개의 SDAP 엔티티에 대응할 경우 DRB가 데이터를 어느 SDAP 엔티티에 송신하는지를 알 수 없는 것으로 인한 데이터 송신이 혼란되는 상황을 피면할 수 있다.
단계 104: 상기 구성 정보에 따라, 상기 설정 대기 DRB 및 상기 SDAP 엔티티 식별자와 대응하는 목표 SDAP 엔티티를 설정하는 단계(104)이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 실시예에서, 상기 설정 대기 DRB를 설정하는 것은, 설정 대기 DRB를 삭제 또는 건축, 또는 설정 대기 DRB와 대응하는 SDAP 엔티티를 수정하는 것 등일 수 있고, 상기 SDAP 엔티티에 대응하는 목표 SDAP 엔티티에 대하여 설정을 진행하는 것은 목표 SDAP 엔티티의 삭제, 건축 등일 수 있다.
본 개시 실시예에서, 수신된 구성 정보에는 설정 대기 DRB의 식별자 및 해당 설정 대기 DRB와 대응하는 SDAP 엔티티의 식별자가 포함되어 있고, 해당 구성 정보에 따라 설정 대기 DRB에 대하여 설정을 진행하며, DRB에 대한 설정을 통하여 SDAP 엔티티에 대응하는 목표 SDAP 엔티티에 대한 설정을 실현할 수 있다. 즉, 본 개시 실시예에서 묵시적 방식으로 SDAP 엔티티에 대한 설정을 실현하여, SDAP 엔티티에 대하여 설정하는 구성 시그널링의 재송신을 피면하고 SDAP 엔티티를 설정하는 구성 시그널링에 대한 오버헤드를 절약하여 SDAP 엔티티 설정의 오버헤드를 감소한다.
본 개시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구성 정보는 설정 대기 DRB를 구축하는 것을 지시하는데 사용된다.
대응되게, 상기 단계(104)에서, 상기 구성 정보에 따라 설정 대기 DRB 및 SDAP 엔티티 식별자와 대응하는 목표 SDAP 엔티티를 설정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 이하 단계를 포함한다. 즉:
만약 목표 SDAP 엔티티를 구축하지 않았다면, 설정 대기 DRB를 구축하고, 목표 SDAP 엔티티를 구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 실시예에서, 단말 기기가 상기 구성 정보를 수신한 후, 단말 기기는 현재 상기 목표 SDAP 엔티티를 이미 구축하였는지를 검색하고, 아직 목표 SDAP 엔티티를 구축하지 않았다면, 단말 기기는 상기 설정 대기 DRB 및 목표 SDAP 엔티티를 구축하고 설정 대기 DRB와 목표 SDAP 엔티티의 대응 관계도 구축할 필요가 있다.
만약 단말 기기가 이미 목표 SDAP 엔티티를 구축하였다면, 단말 기기는 상기 설정 대기 DRB을 구축하고 설정 대기 DRB와 목표 SDAP 엔티티의 대응 관계만 구축하면 된다.
본 개시 실시예에서, 구성 정보를 통해 설정 대기 DRB를 구축하는 것을 지시하여 단말 기기가 이미 목표 SDAP 엔티티를 구축하였는지 자체 검사하는 것을 트리거하여, 아직 구축하지 않았다면 단말 기기가 해당 목표 SDAP 엔티티를 구축하는 것을 트리거하고, 네트워크 측 기기가 SDAP 엔티티에 대하여 설정하는 구성 시그널링의 재송신을 피면하고 SDAP 엔티티를 설정하는 구성 시그널링에 대한 오버헤드를 절약하여 SDAP 엔티티 설정의 오버헤드를 감소한다.
SDAP 엔티티가 DRB와 대응하는 것외에 SDAP 엔티티는 상위 레이어의 PDU 세션과도 대응하기에 하나의 SDAP 엔티티는 하나의 PDU 세션과 대응된다. SDAP 엔티티, PDU 세션 및 DRB의 대응 관계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3에 도시된 것은 SDAP 엔티티와 PDU 세션, 및 DRB에 대응하는 PDCP 엔티티의 대응 관계이고, 하나의 DRB는 하나의 PDCP 엔티티에 대응된다. 도 3에 도시된 상황에는 하나의 SDAP 엔티티가 두개의 PDCP에 대응되는 상황을 열거하였지만, 실제로 하나의 SDAP 엔티티가 대응한 PDCP 엔티티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개시 실시예에서, 상기 구성 정보에는 SDAP 엔티티 식별자와 대응하는 PDU 세션 식별자를 더 포함한다.
대응되게, 상기 설정 대기 DRB 및 목표 SDAP 엔티티를 구축한 후, 본 개시 실시예에서 제공한 방법은 이하 단계를 더 포함한다. 즉:
목표 SDAP 엔티티와 PDU 세션 식별자에 대응하는 목표 PDU 세션의 대응 관계를 구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개시 실시예에서, 설정 대기 DRB, 목표 SDAP 엔티티 및 설정 대기 DRB와 목표 SDAP 엔티티의 대응 관계를 구축한 후, 설정 대기 DRB에 대응하는 목표 PDCP 엔티티는 데이터를 수신한 후, 해당 데이터를 목표 SDAP 엔티티에 송신하여 설정 대기 DRB와 목표 SDAP 엔티티간의 데이터 전송을 실현할 수 있다.
본 개시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구성 정보는 설정 대기 DRB에 대응하는 제1 SDAP 엔티티를 상기 목표 SDAP 엔티티로 수정하는 것을 지시하는데 사용된다.
대응되게, 단계(104)에서, 상기 구성 정보에 따라 설정 대기 DRB 및 SDAP 엔티티 식별자와 대응하는 목표 SDAP를 설정하는 단계는,
만약 목표 SDAP 엔티티를 구축하지 않았다면, 목표 SDAP 엔티티를 구축하고, 설정 대기 DRB와 목표 SDAP 엔티티의 대응관계를 구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 중, 상기 설정 대기 DRB에 대응하는 제1 SDAP 엔티티를 상기 목표 SDAP 엔티티로 수정한다는 것은, 단말 기기에 이미 존재한 DRB의 대응 관계를 수정한다는 것을 뜻한다. 즉, 기존에 단말 기기에서 설정 대기 DRB와 제1 SDAP 엔티티가 대응되지만, 설정 대기 DRB의 대응 관계를 목표 SDAP 엔티티와 대응되게 수정할 필요가 있다. 즉, 설정 대기 DRB와 제1 SDAP 엔티티의 대응 관계를 해제하고 설정 대기 DRB와 목표 SDAP 엔티티의 대응 관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이런 상황에서, 단말 기기는 구성 정보를 수신한 후, 이미 목표 SDAP 엔티티를 구축하였는지를 조회하고, 아직 목표 SDAP 엔티티를 구축하지 않았을 경우, 목표 SDAP 엔티티를 구축하고 설정 대기 DRB와 목표 SDAP 엔티티의 대응 관계를 구축하며, 동시에 설정 대기 DRB와 제1 SDAP 엔티티의 대응 관계를 해제한다.
만약 단말 기기가 이미 상기 목표 SDAP 엔티티를 구축하였다면, 설정 대기 DRB와 목표 SDAP 엔티티의 대응 관계를 구축하고, 설정 대기 DRB와 제1 SDAP 엔티티의 대응 관계만 해제하면 된다.
본 개시 실시예에서, 구성 정보를 통해 단말 기기에 이미 존재한 설정 대기 DRB에 대응하는 SDAP 엔티티를 수정하는 것을 지시하여, 단말 기기가 이미 목표 SDAP 엔티티를 구축하였는지 자체 검사하는 것을 트리거하여, 아직 목표 SDAP 엔티티를 구축하지 않았다면 단말 기기가 목표 SDAP 엔티티를 구축하는 것을 트리거하고, 네트워크 측 기기가 SDAP 엔티티에 대하여 설정하는 구성 시그널링의 재송신을 피면하고 SDAP 엔티티를 설정하는 구성 시그널링에 대한 오버헤드를 절약하여 SDAP 엔티티 설정의 오버헤드를 감소한다.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만약 상기 설정 대기 DRB가 제1 SDAP 엔티티에 대응되는 모든 DRB이라면, 본 개시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방법은 이하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제1 SDAP 엔티티를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제1 SDAP 엔티티는 3개의 DRB에 대응되고, 각각 DRB1, DRB2 및 DRB3으로 하고, 상기 구성 정보 중의 설정 대기 DRB가 때마침 DRB1, DRB2 및 DRB3이라면, DRB1, DRB2 및 DRB3과 목표 SDAP 엔티티의 대응 관계를 구축하고, DRB1, DRB2 및 DRB3과 제1 SDAP 엔티티의 대응 관계를 삭제한 후, 제1 SDAP 엔티티는 대응되는 DRB가 존재하지 않는다. 이때, 단말 기기가 해당 제1 SDAP 엔티티를 삭제하는 것을 트리거한다.
본 개시 실시예에서, 구성 정보가 단말 기기에 이미 존재한 설정 대기 DRB에 대응하는 SDAP 엔티티를 수정하는 것을 지시할 경우, 설정 대기 DRB가 제1 SDAP 엔티티에 대응되는 모든 DRB이라면, 단말 기기가 제1 SDAP 엔티티를 삭제하는 것을 트리거하고, 네트워크 측 기기가 SDAP 엔티티에 대하여 설정하는 구성 시그널링의 재송신을 피면하고 SDAP 엔티티를 설정하는 구성 시그널링에 대한 오버헤드를 절약하여 SDAP 엔티티 설정의 오버헤드를 감소한다.
또한, 본 개시의 또 다른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구성 정보는 설정 대기 DRB를 삭제하는 것을 지시하는데 사용된다.
이럴 경우, 상기 단계(104)에서 구성 정보에 따라 설정 대기 DRB 및 SDAP 엔티티 식별자와 대응하는 목표 SDAP 엔티티를 설정하는 단계는 이하 단계를 포함한다. 즉,
만약 목표 SDAP 엔티티를 이미 구축하였고, 설정 대기 DRB가 목표 SDAP 엔티티에 대응하는 모든 DRB이라면, 설정 대기 DRB 및 목표 SDAP 엔티티를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 실시예에서, 상기 구성 정보가 설정 대기 DRB를 삭제하는 것을 지시하는데 사용된다면, 단말 기기는 해당 구성 정보를 수신한 후, 이미 목표 SDAP 엔티티를 구축하였는지를 검측하고 상기 설정 대기 DRB가 목표 SDAP 엔티티에 대응하는 모든 DRB인지를 판단하며, 맞을 경우, 상기 설정 대기 DRB 및 목표 SDAP 엔티티를 삭제하고, 설정 대기 DRB가 목표 SDAP 엔티티에 대응하는 모든 DRB가 아닐 경우, 단말 기기는 설정 대기 DRB만 삭제하면 된다.
예를 들어, 상기 구성 정보 중에 포함되는 설정 대기 DRB는 DRB1, DRB2 및 DRB3이고, DRB1, DRB2 및 DRB3은 SDAP 엔티티1에 대응하고 DRB1, DRB2 및 DRB3이 SDAP 엔티티1에 대응하는 모든 DRB일 경우, 상기 구성 정보는 DRB1, DRB2 및 DRB3를 삭제하는 것을 지시하는데 사용되고, DRB1, DRB2 및 DRB3을 삭제하는 동시에 SDAP 엔티티를 삭제한다.
본 개시 실시예에서, 구성 정보를 통해 설정 대기 DRB를 삭제하는 것을 지시하여, 단말 기기가 DRB에 대응하는 목표 SDAP 엔티티가 이미 구축되었고 설정 대기 DRB가 목표 SDAP 엔티티에 대응하는 모든 DRB인 것을 검출하였을 경우, 목표 SDAP 엔티티를 삭제하는 것을 트리거한다. 이로 하여, 목표 SDAP 엔티티에 대응하는 DRB의 개수가 0인 것을 검출하였을 경우, 단말 기기가 직접 해당 목표 SDAP 엔티티를 삭제하는 것을 트리거하고, 네트워크 측 기기가 SDAP 엔티티에 대하여 설정하는 구성 시그널링의 재송신을 피면하고 SDAP 엔티티를 설정하는 구성 시그널링에 대한 오버헤드를 절약하여 SDAP 엔티티 설정의 오버헤드를 감소한다.
또한, 본 개시 실시예에서, 목표 SDAP 엔티티를 삭제한 후, 목표 SDAP 엔티티에 대응하는 PDU 세션은 대응하는 SDAP 엔티티가 존재하지 않기에, 목표 SDAP 엔티티에 대응하는 PDU 세션도 삭제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개시 실시예에서, 상기 구성 정보에는 SDAP 엔티티 식별자와 대응하는 PDU 세션 식별자를 더 포함한다.
대응되게, 상기 설정 대기 DRB 및 목표 SDAP 엔티티를 삭제한 후, 본 개시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방법은 이하 단계를 더 포함한다.
목표 SDAP 엔티티와 PDU 세션 식별자에 대응하는 목표 PDU 세션의 대응 관계를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개시 실시예에서, NAS가 이미 삭제한 SDAP 엔티티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상황이 나타나는 것을 피면하기 위하여 목표 SDAP 엔티티가 삭제되었다는 메시지를 NAS로 통지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개시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방법은 이하 단계를 더 포함한다.
NAS 엔티티에 삭제 통지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해당 삭제 통지 메시지는 NAS 엔티티에 목표 SDAP 엔티티가 이미 삭제되었다는 것을 통지하는데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목표 SDAP 엔티티를 삭제하는 동시에 NAS로 상기 삭제 통지 메시지를 송신할 수도 있고, 목표 SDAP 엔티티를 삭제한 후에 NAS로 상기 삭제 통지 메시지를 송신할 수도 있다.
본 개시 실시예에서, 목표 SDAP 엔티티를 삭제한 메시지를 NAS로 통지함으로써, NAS가 계속 목표 SDAP 엔티티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을 피면할 수 있다.
그 중, 상기 통지 메시지는 이하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즉,
목표 SDAP 엔티티에 대응하는 SDAP 엔티티 식별자;
목표 SDAP 엔티티에 대응하는 목표 PDU 세션의 PDU 세션 식별자;
목표 SDAP 엔티티에 대응하는 DRB 식별자;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삭제 통지 메시지는 목표 SDAP 엔티티에 대응하는 SDAP 엔티티 식별자, 목표 SDAP 엔티티에 대응하는 목표 PDU 세션의 PDU 세션 식별자 및 목표 SDAP 엔티티에 대응하는 DRB 식별자 중의 하나, 2개 또는 3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와 대응하게 본 개시 실시예는 네트워크 측 기기에 적용되는 서비스 데이터 어댑테이션 프로토콜(SDAP) 엔티티의 설정 방법을 제공하며, 본 개시 실시예에서 상기 실시예와 같은 부분의 상세한 설명은 상기 실시예의 내용을 참조하며 본 실시예에서 중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도 4는 본 개시 실시예의 서비스 데이터 어댑테이션 프로토콜(SDAP) 엔티티의 설정 방법의 두번째 방법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방법은 이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202: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202). 해당 구성 정보 중에는 설정 대기 DRB의 식별자 및 상기 설정 대기 DRB에 대응하는 SDAP 엔티티 식별자를 포함한다.
그 중, 상기 구성 정보는 단말 기기가 구성 정보에 따라 설정 대기 DRB의 식별자 및 SDAP 엔티티에 대응하는 목표 SDAP 식별자를 설정하는데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단계(202)에서, 구성 정보를 단말 기기에 송신하고, 단말 기기가 구성 정보에 따라 설정 대기 DRB 및 상기 SDAP 엔티티 식별자와 대응하는 목표 SDAP 엔티티를 설정한다.
그 중, 상기 DRB의 식별자는 DRB의 ID일 수 있고, 상기 SDAP 엔티티 식별자는 SDAP 엔티티의 ID일 수 있다.
상기 구성 정보에서, 포함된 설정 대기 DRB의 수량은 하나 또는 여러개일 수 있고, 포함된 SDAP 엔티티의 수량도 하나 또는 여러개일 수 있다. 하지만 하나의 설정 대기 DRBB는 하나의 SDAP 엔티티에 대응, 즉 하나의 DRB는 단지 하나의 SDAP 엔티티에만 설정된다. 그러나 하나의 SDAP 엔티티는 여러개의 DRB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구성 정보 중에서, 설정 대기 DRB가 DRB1, DRB2 및 DRB3이고, DRB1 및 DBR2는 SDAP1에 대응하고, DRB3은 SDAP2에 대응, 즉 DRB1 및 DRB2는 모두 SDAP1로 설정되고, DRB3은 SDAP2로 설정된다. 이럴 경우, DRB1 및 DRB2는 다시 SDAP2로 설정될 수 없고, DRB3도 역시 다시 SDAP1로 설정될 수 없다.
본 개시 실시예에서, 하나의 DRB는 단 하나의 SDAP 엔티티에 대응하여 DRB가 정확하게 데이터를 어느 SDAP 엔티티로 송신하는지 알 수 있어, DRB가 여러개의 SDAP 엔티티에 대응할 경우 DRB가 데이터를 어느 SDAP 엔티티에 송신하는지를 알 수 없는 것으로 인한 데이터 송신이 혼란되는 상황을 피면할 수 있다.
그 중, 상기 단말 기기가 구성 정보에 따라 설정 대기 DRB를 설정하는 것은 설정 대기 DRB를 삭제, 설정 대기 DRB를 구축, 또는 설정 대기 DRB와 대응하는 SDAP 엔티티를 수정하는 것 등일 수 있고, 상기 SDAP에 대응하는 목표 SDAP 엔티티를 설정하는 것은 목표 SDAP 엔티티를 삭제 또는 목표 SDAP 엔티티를 구축하는 것 등일 수 있다.
본 개시 실시예에서, 단말 기기에 설정 대기 DRB의 식별자 및 해당 설정 대기 DRB와 대응하는 SDAP 엔티티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구성 정보를 송신하여, 단말 기기 해당 구성 정보에 따라 설정 대기 DRB에 대하여 설정을 진행하며, DRB에 대한 설정을 통하여 SDAP 엔티티에 대응하는 목표 SDAP 엔티티에 대한 설정을 실현할 수 있다. 즉, 본 개시 실시예에서 묵시적 방식으로 SDAP 엔티티에 대한 설정을 실현하여, 단말 기기로 SDAP 엔티티에 대하여 설정하는 구성 시그널링의 재송신을 피면하고 SDAP 엔티티를 설정하는 구성 시그널링에 대한 오버헤드를 절약하여 SDAP 엔티티 설정의 오버헤드를 감소한다.
본 개시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구성 정보는 설정 대기 DRB를 구축하는 것을 지시하는데 사용된다.
대응되게, 상기 구성 정보는 만약 목표 SDAP 엔티티를 구축하지 않았다면, 단말 기기가 상기 구성 정보에 따라 설정 대기 DRB를 구축하고, 목표 SDAP 엔티티를 구축하는데 더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 실시예에서, 상기 구성 정보를 단말 기기로 송신한 후, 단말 기기는 현재 상기 목표 SDAP 엔티티를 이미 구축하였는지를 검색하고, 아직 목표 SDAP 엔티티를 구축하지 않았을 경우, 단말 기기는 상기 구성 정보에 따라 상기 설정 대기 DRB 및 목표 SDAP 엔티티를 구축하고 설정 대기 DRB와 목표 SDAP 엔티티의 대응 관계도 구축할 필요가 있다.
만약 단말 기기가 이미 목표 SDAP 엔티티를 구축하였다면, 단말 기기는 상기 설정 대기 DRB을 구축하고 설정 대기 DRB와 목표 SDAP 엔티티의 대응 관계만 구축하면 된다.
본 개시 실시예에서, 단말 기기로 송신한 구성 정보를 통해 설정 대기 DRB를 구축하는 것을 지시하여 단말 기기가 이미 목표 SDAP 엔티티를 구축하였는지 자체 검사하는 것을 트리거하여, 아직 구축하지 않았다면 단말 기기가 해당 목표 SDAP 엔티티를 구축하는 것을 트리거하고, 단말 기기로 목표 SDAP 엔티티를 구축하는 구성 시그널링을 송신할 필요가 없어, SDAP 엔티티를 설정하는 구성 시그널링에 대한 오버헤드를 절약하여 SDAP 엔티티 설정의 오버헤드를 감소한다.
또한, 본 개시 실시예에서, 상기 구성 정보에는 SDAP 엔티티 식별자와 대응하는 PDU 세션 식별자를 더 포함한다.
대응되게, 상기 구성 정보는 단말 기기가 해당 구성 정보에 따라 목표 SDAP 엔티티와 PDU 세션 식별자에 대응하는 목표 PDU 세션의 대응관계를 구축하는데 더 사용된다.
본 개시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구성 정보는 설정 대기 DRB에 대응하는 제1 SDAP 엔티티를 상기 목표 SDAP 엔티티로 수정하는 것을 지시하는데 사용된다.
대응되게, 상기 구성 정보는 만약 목표 SDAP 엔티티를 구축하지 않았다면, 단말 기기가 상기 구성 정보에 따라 목표 SDAP 엔티티를 구축하고, 설정 대기 DRB와 목표 SDAP 엔티티의 대응관계를 구축하는데 더 사용된다.
그 중, 상기 설정 대기 DRB에 대응하는 제1 SDAP 엔티티를 상기 목표 SDAP 엔티티로 수정한다는 것은, 단말 기기에 이미 존재한 DRB의 대응 관계를 수정한다는 것을 뜻한다. 즉, 기존에 단말 기기에서 설정 대기 DRB와 제1 SDAP 엔티티가 대응되지만, 설정 대기 DRB의 대응 관계를 목표 SDAP 엔티티와 대응되게 수정할 필요가 있다. 즉, 설정 대기 DRB와 제1 SDAP 엔티티의 대응 관계를 해제하고 설정 대기 DRB와 목표 SDAP 엔티티의 대응 관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이런 상황에서, 네트워크 측 기기는 구성 정보를 단말 기기로 송신한 후, 단말 기기가 이미 목표 SDAP 엔티티를 구축하였는지를 조회하고, 아직 목표 SDAP 엔티티를 구축하지 않았을 경우, 해당 구성 정보에 따라 목표 SDAP 엔티티를 구축하고 설정 대기 DRB와 목표 SDAP 엔티티의 대응 관계를 구축하며, 동시에 설정 대기 DRB와 제1 SDAP 엔티티의 대응 관계를 해제한다.
만약 단말 기기가 이미 상기 목표 SDAP 엔티티를 구축하였다면, 단말 기기는 상기 구성 정보에 따라 설정 대기 DRB와 목표 SDAP 엔티티의 대응 관계를 구축하고, 설정 대기 DRB와 제1 SDAP 엔티티의 대응 관계만 해제하면 된다.
본 개시 실시예에서, 단말 기기로 송신한 구성 정보를 통해 설정 대기 DRB에 대응하는 제1 SDAP 엔티티를 목표 SDAP 엔티티로 수정하는 것을 지시하여, 단말 기기가 이미 목표 SDAP 엔티티를 구축하였는지 자체 검사하는 것을 트리거하여, 아직 목표 SDAP 엔티티를 구축하지 않았다면 단말 기기가 목표 SDAP 엔티티를 구축하는 것을 트리거하고, 단말 기기로 목표 SDAP 엔티티를 구축하는 구성 시그널링을 송신할 필요가 없어, SDAP 엔티티를 설정하는 구성 시그널링에 대한 오버헤드를 절약하여 SDAP 엔티티 설정의 오버헤드를 감소한다.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만약 상기 설정 대기 DRB가 제1 SDAP 엔티티에 대응되는 모든 DRB이라면,
상기 구성 정보는 단말 기기가 해당 구성 정보에 따라 제1 SDAP 엔티티를 삭제하는데 더 사용된다.
예를 들어,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제1 SDAP 엔티티는 3개의 DRB에 대응되고, 각각 DRB1, DRB2 및 DRB3으로 하고, 상기 구성 정보 중의 설정 대기 DRB가 때마침 DRB1, DRB2 및 DRB3이라면, DRB1, DRB2 및 DRB3과 목표 SDAP 엔티티의 대응 관계를 구축하고, DRB1, DRB2 및 DRB3과 제1 SDAP 엔티티의 대응 관계를 삭제한 후, 제1 SDAP 엔티티는 대응되는 DRB가 존재하지 않는다. 이때, 단말 기기가 해당 제1 SDAP 엔티티를 삭제하는 것을 트리거한다.
본 개시 실시예에서, 단말 기기로 송신한 구성 정보가 단말 기기에 이미 존재한 설정 대기 DRB에 대응하는 SDAP 엔티티를 수정하는 것을 지시할 경우, 설정 대기 DRB가 제1 SDAP 엔티티에 대응되는 모든 DRB이라면, 단말 기기가 제1 SDAP 엔티티를 삭제하는 것을 트리거하고, 단말 기기로 목표 SDAP 엔티티를 구축하는 구성 시그널링을 송신할 필요가 없어, SDAP 엔티티를 설정하는 구성 시그널링에 대한 오버헤드를 절약하여 SDAP 엔티티 설정의 오버헤드를 감소한다.
또한, 본 개시의 또 다른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구성 정보는 설정 대기 DRB를 삭제하는 것을 지시하는데 사용된다.
대응되게, 상기 구성 정보는 만약 목표 SDAP 엔티티를 이미 구축하였고, 설정 대기 DRB가 목표 SDAP 엔티티에 대응하는 모든 DRB이라면, 단말 기기가 해당 구성 정보에 따라 설정 대기 DRB 및 목표 SDAP 엔티티를 삭제하는데 더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 실시예에서, 상기 구성 정보가 설정 대기 DRB를 삭제하는 것을 지시하는데 사용된다면, 해당 구성 정보를 단말 기기로 송신한 후, 단말 기기는 해당 구성 정보에 따라 이미 목표 SDAP 엔티티를 구축하였는지를 검측하고 상기 설정 대기 DRB가 목표 SDAP 엔티티에 대응하는 모든 DRB인지를 판단하며, 맞을 경우, 상기 설정 대기 DRB 및 목표 SDAP 엔티티를 삭제하고, 설정 대기 DRB가 목표 SDAP 엔티티에 대응하는 모든 DRB가 아닐 경우, 단말 기기는 설정 대기 DRB만 삭제하면 된다.
예를 들어, 상기 구성 정보 중에 포함되는 설정 대기 DRB는 DRB1, DRB2 및 DRB3이고, DRB1, DRB2 및 DRB3은 SDAP 엔티티1에 대응하고 DRB1, DRB2 및 DRB3이 SDAP 엔티티1에 대응하는 모든 DRB일 경우, 상기 구성 정보는 DRB1, DRB2 및 DRB3를 삭제하는 것을 지시하는데 사용되고, DRB1, DRB2 및 DRB3을 삭제하는 동시에 SDAP 엔티티를 삭제한다.
본 개시 실시예에서, 단말 기기로 송신한 구성 정보를 통해 설정 대기 DRB를 삭제하는 것을 지시하여, 단말 기기가 DRB에 대응하는 목표 SDAP 엔티티가 이미 구축되었고 설정 대기 DRB가 목표 SDAP 엔티티에 대응하는 모든 DRB인 것을 검출하였을 경우, 목표 SDAP 엔티티를 삭제하는 것을 트리거한다. 이로 하여, 목표 SDAP 엔티티에 대응하는 DRB의 개수가 0인 것을 검출하였을 경우, 단말 기기가 직접 해당 목표 SDAP 엔티티를 삭제하는 것을 트리거하고, 네트워크 측 기기가 SDAP 엔티티에 대하여 설정하는 구성 시그널링의 재송신을 피면하고 SDAP 엔티티를 설정하는 구성 시그널링에 대한 오버헤드를 절약하여 SDAP 엔티티 설정의 오버헤드를 감소한다.
또한, 본 개시 실시예에서, 단말 기기가 목표 SDAP 엔티티를 삭제한 후, 단말 기기 상의 목표 SDAP 엔티티에 대응하는 PDU 세션은 대응하는 SDAP 엔티티가 존재하지 않기에, 단말 기기는 목표 SDAP 엔티티에 대응하는 PDU 세션도 삭제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개시 실시예에서, 상기 구성 정보에는 SDAP 엔티티 식별자와 대응하는 PDU 세션 식별자를 더 포함한다.
대응되게, 상기 구성 정보는 단말 기기가 해당 구성 정보에 따라 목표 SDAP 엔티티와 PDU 세션 식별자에 대응하는 목표 PDU 세션의 대응 관계를 삭제하는데 더 사용된다.
본 개시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데이터 어댑테이션 프로토콜(SDAP) 엔티티의 설정 방법은, 단말 기기로 설정 대기 DRB의 식별자 및 해당 설정 대기 DRB에 대응하는 SDAP 엔티티 식별자를 포함하는 구성 정보를 송신함으로써, 단말 기기가 해당 구성 정보에 따라 설정 대기 DRB에 대하여 설정하고, DRB에 대한 설정을 통해 SDAP 엔티티 식별자에 대응하는 목표 SDAP 엔티티에 대한 설정을 실현할 수 있다. 즉, 본 개시 실시예는 묵시의 방식을 통해 SDAP 엔티티에 대하여 설정하여, 단말 기기로 SDAP 엔티티에 대하여 설정하는 구성 시그널링의 재송신을 피면하고 SDAP 엔티티를 설정하는 구성 시그널링에 대한 오버헤드를 절약하여 SDAP 엔티티 설정의 오버헤드를 감소한다.
도 5는 본 개시 실시예의 서비스 데이터 어댑테이션 프로토콜(SDAP) 엔티티의 설정 방법의 세번째 방법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방법은 적어도 이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302: 네트워크 측 기기가 단말 기기로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302). 해당 구성 정보에는 설정 대기 DRB의 식별자 및 설정 대기 DRB에 대응하는 SDAP 엔티티 식별자를 포함한다.
단계 304: 단말 기기가 네트워크 측 기기에서 송신한 상기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304)이다.
단계 306: 단말 기기가 상기 구성 정보에 따라 설정 대기 DRB 및 SDAP 엔티티 식별자와 대응하는 목표 SDAP 엔티티를 설정하는 단계(306)이다.
본 개시 실시예의 구체적인 실시 과정은 상술한 실시예의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 중복 설명은 하지 않는다.
본 개시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데이터 어댑테이션 프로토콜(SDAP) 엔티티의 설정 방법은, 묵시의 방식으로 SDAP 엔티티에 대하여 설정함으로써, 단말 기기로 SDAP 엔티티에 대하여 설정하는 구성 시그널링의 재송신을 피면하고 SDAP 엔티티를 설정하는 구성 시그널링에 대한 오버헤드를 절약하여 SDAP 엔티티 설정의 오버헤드를 감소한다.
상기 실시예에서 제공한 서비스 데이터 어댑테이션 프로토콜(SDAP) 엔티티의 설정 방법에 대응하게, 본 개시 실시예는 단말 기기를 더 제공하며, 본 개시 실시예에서 제공한 단말 기기는 상기 실시예 중 단말 기기가 실현한 각 프로세스를 실현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 실시예의 단말 기기의 모듈 구성 예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단말 기기는 적어도 이하 모듈을 포함한다. 즉: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데 사용되는 수신 모듈(401) - 해당 구성 정보 중에는 설정 대기 DRB의 식별자 및 설정 대기 DRB에 대응하는 SDAP 엔티티 식별자를 포함함 -; 및
상기 구성 정보에 따라, 설정 대기 DRB 및 SDAP 엔티티 식별자와 대응하는 목표 SDAP 엔티티를 설정하는데 사용되는 설정 모듈(402); 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구성 정보는 설정 대기 DRB를 구축하는 것을 지시하는데 사용되고;
대응되게, 상기 설정 모듈(402)은 구체적으로, 만약 목표 SDAP 엔티티를 구축하지 않았다면, 설정 대기 DRB를 구축하고, 목표 SDAP 엔티티를 구축하는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구성 정보는 설정 대기 DRB에 대응하는 제1 SDAP 엔티티를 목표 SDAP 엔티티로 수정하는 것을 지시하는데 사용되고;
대응되게, 상기 설정 모듈(402)은 구체적으로, 만약 목표 SDAP 엔티티를 구축하지 않았다면, 목표 SDAP 엔티티를 구축하고, 설정 대기 DRB와 목표 SDAP 엔티티의 대응 관계를 구축하는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만약 설정 대기 DRB가 제1 SDAP 엔티티에 대응되는 모든 DRB이라면, 상기 기기는,
제1 SDAP 엔티티를 삭제하는데 사용되는 제1 삭제 모듈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구성 정보는 설정 대기 DRB를 삭제하는 것을 지시하는데 사용되고;
대응되게, 상기 설정 모듈(402)은 구체적으로, 만약 목표 SDAP 엔티티를 이미 구축하였고, 설정 대기 DRB가 목표 SDAP 엔티티에 대응하는 모든 DRB이라면, 설정 대기 DRB 및 목표 SDAP 엔티티를 삭제하는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구성 정보에서, 하나의 설정 대기 DRB는 하나의 SDAP 엔티티와 대응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구성 정보 중에는, SDAP 엔티티 식별자와 대응하는 PDU 세션 식별자를 더 포함한다.
대응되게, 상기 기기는 목표 SDAP 엔티티와 PDU 세션 식별자에 대응하는 목표 PDU 세션의 대응 관계를 삭제하는데 사용되는 제2 삭제 모듈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기기는 난 액세스 층(NAS) 엔티티에 삭제 통지 메시지를 송신하는데 사용되는 송신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삭제 통지 메시지는 상기 NAS 엔티티에 상기 목표 SDAP 엔티티가 이미 삭제되었다는 것을 통지하는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삭제 통지 메시지는 이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즉:
상기 목표 SDAP 엔티티의 SDAP 엔티티 식별자;
상기 목표 SDAP 엔티티에 대응하는 목표 PDU 세션의 PUD 세션 식별자;
상기 목표 SDAP 엔티티에 대응하는 DRB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개시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단말 기기는, DRB에 대한 설정을 통해 SDAP 엔티티 식별자에 대응하는 목표 SDAP 엔티티에 대하여 설정을 진행하는 것을 실현할 수 있다. 즉, 본 개시 실시예는 묵시의 방식으로 SDAP 엔티티에 대하여 설정을 진행함으로써, SDAP 엔티티에 대하여 설정하는 구성 시그널링의 재송신을 피면하고 SDAP 엔티티를 설정하는 구성 시그널링에 대한 오버헤드를 절약하여 SDAP 엔티티 설정의 오버헤드를 감소한다.
상기 실시예에서 제공한 서비스 데이터 어댑테이션 프로토콜(SDAP) 엔티티의 설정 방법에 대응하게, 본 개시 실시예는 네트워크 측 기기를 더 제공하며, 본 개시 실시예에서 제공한 네트워크 측 기기는 상기 실시예 중 네트워크 측 기기가 실현한 각 프로세스를 실현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 실시예의 네트워크 측 기기의 모듈 구성 예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네트워크 측 기기는 적어도 이하 모듈을 포함한다.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데 사용되는 송신 모듈(501), 상기 구성 정보 중에는 설정 대기 DRB의 식별자 및 설정 대기 DRB에 대응하는 SDAP 엔티티 식별자를 포함한다.
그 중, 상기 구성 정보는 단말 기기가 해당 구성 정보에 따라, 설정 대기 DRB 및 SDAP 엔티티 식별자와 대응하는 목표 SDAP 엔티티를 설정하는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구성 정보는 설정 대기 DRB를 구축하는 것을 지시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구성 정보는, 만약 목표 SDAP 엔티티를 구축하지 않았다면, 단말 기기가 해당 구성 정보에 따라 설정 대기 DRB를 구축하고, 목표 SDAP 엔티티를 구축하는데 더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구성 정보는 설정 대기 DRB에 대응하는 제1 SDAP 엔티티를 목표 SDAP 엔티티로 수정하는 것을 지시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구성 정보는, 만약 목표 SDAP 엔티티를 구축하지 않았다면, 단말 기기가 해당 구성 정보에 따라 목표 SDAP 엔티티를 구축하고, 설정 대기 DRB와 목표 SDAP 엔티티의 대응 관계를 구축하는데 더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만약 설정 대기 DRB가 제1 SDAP 엔티티에 대응되는 모든 DRB이라면,
상기 구성 정보는, 단말 기기가 해당 구성 정보에 따라 제1 SDAP 엔티티를 삭제하는데 더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구성 정보는 설정 대기 DRB를 삭제하는 것을 지시하는데 사용되고;
그 중, 상기 구성 정보는, 만약 목표 SDAP 엔티티를 이미 구축하였고, 설정 대기 DRB가 목표 SDAP 엔티티에 대응하는 모든 DRB이라면, 단말 기기가 해당 구성 정보에 따라 설정 대기 DRB 및 목표 SDAP 엔티티를 삭제하는데 더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구성 정보에서, 하나의 설정 대기 DRB는 하나의 SDAP 엔티티와 대응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구성 정보 중에는, SDAP 엔티티 식별자와 대응하는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DU) 세션 식별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성 정보는, 단말 기기가 해당 구성 정보에 따라 목표 SDAP 엔티티와 PDU 세션 식별자에 대응하는 목표 PDU 세션의 대응 관계를 삭제하는데 더 사용된다.
본 개시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네트워크 측 기기는, 단말 기기로 설정 대기 DRB의 식별자 및 해당 설정 대기 DRB에 대응하는 SDAP 엔티티 식별자를 포함하는 구성 정보를 송신함으로써, 단말 기기가 해당 구성 정보에 따라 설정 대기 DRB에 대하여 설정하고, DRB에 대한 설정을 통해 SDAP 엔티티 식별자에 대응하는 목표 SDAP 엔티티에 대한 설정을 실현할 수 있다. 즉, 본 개시 실시예는 묵시의 방식을 통해 SDAP 엔티티에 대하여 설정하여, 단말 기기로 SDAP 엔티티에 대하여 설정하는 구성 시그널링의 재송신을 피면하고 SDAP 엔티티를 설정하는 구성 시그널링에 대한 오버헤드를 절약하여 SDAP 엔티티 설정의 오버헤드를 감소한다.
상기 실시예에서 제공한 서비스 데이터 어댑테이션 프로토콜(SDAP) 엔티티의 설정 방법에 대응하게, 본 개시 실시예는 단말 기기를 더 제공하며, 본 개시 실시예에서 제공한 단말 기기는 상기 실시예 중 단말 기기가 실현한 각 프로세스를 실현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 실시예의 단말 기기의 아키텍처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단말 기기(60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601), 메모리(602),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604)와 사용자 인터페이스(603)을 포함한다. 단말 기기(600)의 각 구성 요소들은 버스 인터페이스(605)을 통해 결합된다. 이해할 수 있는 것은, 버스 인터페이스(605)는 이들 부품들 사이의 연결 통신을 실현하는데 사용된다. 버스 인터페이스(605)는 버스 외에, 전원 버스, 제어 버스, 및 상태 신호 버스를 더 포함한다. 그러나, 명확한 설명을 하기 위해 도 8 중의 각 버스는 전부 버스 인터페이스(605)로 표시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603)는 디스플레이, 키보드 또는 클릭 기기, 예를 들어 마우스, 트랙볼(trackball), 터치 패널 또는 터치 스크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 실시예 중의 메모리(602)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고 또는 휘발성 및 비휘발성 메모리 둘 다 포함할 수 있다. 그 중에서, 비휘발성 메모리는 판독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프로그램 가능 판독 메모리(Programmable ROM, PROM), 소거 프로그램 가능 판독 메모리(Erasable PROM, EPROM), 전기 소거 프로그램 가능 판독 메모리(Electrically EPROM, EEP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일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일 수 있고 외부 고속 버퍼로서 사용된다. 일례로서 제한적이지 않지만, RAM은 정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tatic RAM, SRAM), 다이나믹 랜덤 액세스 메모리(Dynamic RAM, DRAM), 동기형 DRAM(Synchronous DRAM, SDRAM), 2배 데이터율 DRAM(Double Data Rate SDRAM, DDRSDRAM), 인핸스드 동기형 DRAM(Enhanced SDRAM, ESDRAM), 동기형 다이나믹 액세스 메모리(Synchlink DRAM, SLDRAM) 및 직접 버스의 랜덤 액세스 메모리(Direct Rambus RAM, DRRAM) 등일 수 있다. 본 개시에서 기술된 메모리(602)는 이들 및 임의의 다른 적합한 유형의 메모리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메모리(602)는 모듈 또는 데이터 구조, 또는 그들의 부분집합, 또는 그들의 확대 집합: 작업 시스템(6021) 및 애플리케이션(6022)을 저장하고 있다.
여기서 작업 시스템(6021)은, 다양한 기본 트래픽과 하드웨어 기반 태스크를 처리하기 위한 프레임워크, 코어 라이브러리층, 구동층 등과 같은 다양한 시스템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애플리케이션(6022)은 다양한 응용 서비스들의 실현을 위해, 미디어 플레이어(Media Player), 브라우저(Browser) 등과 같은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들을 포함한다. 본 개시 실시예 방법의 프로그램은 애플리케이션(6022)에 포함될 수 있다.
본 개시 실시예에서, 단말(600)은 메모리(602), 프로세서(601) 및 메모리(602)에 저장되며 프로세서(601)에서 실행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601)에 의해 실행될 때 이하 단계를 실현한다.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구성 정보 중에는 설정 대기 DRB의 식별자 및 상기 설정 대기 DRB에 대응하는 SDAP 엔티티 식별자를 포함함 -; 및
상기 구성 정보에 따라, 상기 설정 대기 DRB 및 상기 SDAP 엔티티 식별자와 대응하는 목표 SDAP 엔티티를 설정하는 단계; 를 실현한다.
상술한 본 개시 실시예에 개시된 방법은 프로세서(601)에 적용될 수 있거나 또는 프로세서(601)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601)는 신호 처리 능력을 갖는 집적 회로 칩일 수 있다. 구현 과정에서 상기 방법의 각 단계는 프로세서 (601) 내의 하드웨어를 통합하는 로직 회로 또는 소프트웨어 형태의 명령어에 의해 완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601)는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 전용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필드 프로그램가능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램 가능한 논리 디바이스, 개별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논리 디바이스, 별개의 하드웨어 컴포넌트일 수 있고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개시된 여러 방법, 단계 및 논리 블록 다이어그램을 구현 또는 실행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이거나 또는 프로세서는 임의의 종래의 프로세서 등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형태와 관련하여 개시된 방법의 단계는 하드웨어 디코딩 프로세서에 의한 실행을 직접 실시하거나, 디코딩 프로세서에서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모듈의 조합으로 완성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랜덤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판독 전용 메모리, 프로그램 가능한 전용 메모리 또는 전기 소거 및 기록 가능 메모리, 레지스터 등 당분야에 성숙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위치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메모리(602) 내에 위치하고, 프로세서(601)가 메모리(602) 내의 정보를 판독하여 하드웨어와 결합하여 상기 방법의 단계들을 완성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601)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실시예의 각 단계를 구현한다.
이해하여야 할 것은, 본 개시 실시예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중간 소자, 마이크로코드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하드웨어로 구현에 대하여, 처리 유닛은 하나 이상의 전용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ing, DSP),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DSP Device, DSPD), 프로그램 가능한 논리 장치(Programmable Logic Device, PLD), 현장 프로그램 가능한 게이트 어레이(Field-Programmable Gate Array, FPGA), 범용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프로세서, 본 개시의 다른 전자 유닛들 또는 이들의 조합에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구현은 본 개시 실시예의 상기 기능의 모듈(프로세스, 함수 등)을 실행하는 것을 통해 본 개시 실시예의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고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메모리는 프로세서 내부에 또는 프로세서 외부에 구현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601)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설정 대기 DRB를 구축하는 것을 지시하는데 사용되고;
그 중, 상기 구성 정보에 따라 상기 설정 대기 DRB 및 상기 SDAP 엔티티 식별자와 대응하는 목표 SDAP 엔티티를 설정하는 것은,
만약 상기 목표 SDAP 엔티티를 구축하지 않았다면, 상기 설정 대기 DRB를 구축하고, 상기 목표 SDAP 엔티티를 구축하는 것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601)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설정 대기 DRB에 대응하는 제1 SDAP 엔티티를 상기 목표 SDAP 엔티티로 수정하는 것을 지시하는데 사용되고;
그 중, 상기 구성 정보에 따라 상기 설정 대기 DRB 및 상기 SDAP 엔티티 식별자와 대응하는 목표 SDAP 엔티티를 설정하는 것은,
만약 상기 목표 SDAP 엔티티를 구축하지 않았다면, 상기 목표 SDAP 엔티티를 구축하고, 상기 설정 대기 DRB와 상기 목표 SDAP 엔티티의 대응 관계를 구축하는 것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601)에 의해 실행될 때, 만약 상기 설정 대기 DRB가 제1 SDAP 엔티티에 대응되는 모든 DRB이라면,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SDAP 엔티티를 삭제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601)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설정 대기 DRB를 삭제하는 것을 지시하는데 사용되고;
그 중, 상기 구성 정보에 따라 상기 설정 대기 DRB 및 상기 SDAP 엔티티 식별자와 대응하는 목표 SDAP 엔티티를 설정하는 것은,
만약 상기 목표 SDAP 엔티티를 이미 구축하였고, 상기 설정 대기 DRB가 상기 목표 SDAP 엔티티에 대응하는 모든 DRB이라면, 상기 설정 대기 DRB 및 상기 목표 SDAP 엔티티를 삭제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601)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구성 정보에서, 하나의 설정 대기 DRB는 하나의 SDAP 엔티티와 대응한다.
선택적으로,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601)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구성 정보 중에는, 상기 SDAP 엔티티 식별자와 대응하는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DU) 세션 식별자를 더 포함하고;
그 중, 상기 설정 대기 DRB 및 상기 목표 SDAP 엔티티를 삭제한 후, 상기 방법은,
상기 목표 SDAP 엔티티와 상기 PDU 세션 식별자에 대응하는 목표 PDU 세션의 대응 관계를 삭제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601)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방법은,
난 액세스 층(NAS) 엔티티에 삭제 통지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삭제 통지 메시지는 상기 NAS 엔티티에 상기 목표 SDAP 엔티티가 이미 삭제되었다는 것을 통지하는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601)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삭제 통지 메시지는 이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즉:
상기 목표 SDAP 엔티티의 SDAP 엔티티 식별자;
상기 목표 SDAP 엔티티에 대응하는 목표 PDU 세션의 PUD 세션 식별자;
상기 목표 SDAP 엔티티에 대응하는 DRB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개시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단말 기기는, DRB에 대한 설정을 통해 SDAP 엔티티 식별자에 대응하는 목표 SDAP 엔티티에 대하여 설정을 진행하는 것을 실현할 수 있다. 즉, 본 개시 실시예는 묵시의 방식으로 SDAP 엔티티에 대하여 설정을 진행함으로써, SDAP 엔티티에 대하여 설정하는 구성 시그널링의 재송신을 피면하고 SDAP 엔티티를 설정하는 구성 시그널링에 대한 오버헤드를 절약하여 SDAP 엔티티 설정의 오버헤드를 감소한다.
단말 기기(600)은 상기 실시예 중 단말 기기가 구현한 각 프로세스를 구현할 수 있으며 중복 설명을 피면하기 위하여 여기서 상세히 설명하지는 않는다.
상기 실시예에서 제공한 서비스 데이터 어댑테이션 프로토콜(SDAP) 엔티티의 설정 방법에 대응하게, 본 개시 실시예는 네트워크 측 기기를 더 제공하며, 본 개시 실시예에서 제공한 네트워크 측 기기는 상기 실시예 중 네트워크 측 기기가 실현한 각 프로세스를 실현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 실시예의 네트워크 측 기기의 아키텍처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네트워크 측 기기(700)은 프로세서(701), 송수신기(702), 메모리(703), 사용자 인터페이스(704) 및 버스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본 개시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측 기기(700)은 메모리(702)에 저장되며 프로세서(701)에서 실행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701)에 의해 실행될 때 이하 단계를 실현한다.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실현하며, 그 중, 상기 구성 정보 중에는 설정 대기 데이터 무선 베어러(DRB)의 식별자 및 상기 설정 대기 DRB에 대응하는 SDAP 엔티티 식별자를 포함하며;
상기 구성 정보는 단말 기기가 상기 구성 정보에 따라, 상기 설정 대기 DRB 및 상기 SDAP 엔티티 식별자와 대응하는 목표 SDAP 엔티티를 설정하는데 사용된다.
도 9에서, 버스 아키텍처는 임의의 수의 상호 연결된 버스 및 브리지를 포함할 수 있고, 특히 프로세서(701)를 대표로 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메모리(703)를 대표로 하는 메모리의 다양한 회로로 연결된다. 버스 아키텍처는 또한 주변 기기, 레귤레이터 및 전력 관리 회로 등과 같은 다양한 다른 회로들을 함께 연결할 수 있고, 이들은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기에 이에 대해서는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버스 인터페이스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송수신기(702)는 다수의 요소, 즉, 송신기 및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고, 전송 매체 상의 다양한 다른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유닛이 제공된다. 상이한 단말 기기들의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704)는 내부 연결에 필요한 외부 인터페이스일 수 있으며, 키패드, 디스플레이, 스피커, 마이크로폰, 조이스틱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프로세서(701)는 버스 아키텍처 및 통상의 프로세싱을 관리하는 것을 담당하며, 메모리(703)는 동작이 수행되는 동안 프로세서(701)에 의해 사용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메모리(703)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701)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설정 대기 DRB를 구축하는 것을 지시하는데 사용되고;
그 중, 상기 구성 정보는, 만약 상기 목표 SDAP 엔티티를 구축하지 않았다면, 단말 기기가 상기 구성 정보에 따라 상기 설정 대기 DRB를 구축하고, 상기 목표 SDAP 엔티티를 구축하는데 더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메모리(703)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701)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설정 대기 DRB에 대응하는 제1 SDAP 엔티티를 상기 목표 SDAP 엔티티로 수정하는 것을 지시하는데 사용되고;
그 중, 상기 구성 정보는, 만약 상기 목표 SDAP 엔티티를 구축하지 않았다면, 단말 기기가 상기 구성 정보에 따라 상기 목표 SDAP 엔티티를 구축하고, 상기 설정 대기 DRB와 상기 목표 SDAP 엔티티의 대응 관계를 구축하는데 더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메모리(703)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701)에 의해 실행될 때, 만약 상기 설정 대기 DRB가 제1 SDAP 엔티티에 대응되는 모든 DRB이라면,
상기 구성 정보는, 단말 기기가 상기 구성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SDAP 엔티티를 삭제하는데 더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메모리(703)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701)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설정 대기 DRB를 삭제하는 것을 지시하는데 사용되고;
그 중, 상기 구성 정보는, 만약 상기 목표 SDAP 엔티티를 이미 구축하였고, 상기 설정 대기 DRB가 상기 목표 SDAP 엔티티에 대응하는 모든 DRB이라면, 단말 기기가 상기 구성 정보에 따라 상기 설정 대기 DRB 및 상기 목표 SDAP 엔티티를 삭제하는데 더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메모리(703)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701)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구성 정보에서, 하나의 설정 대기 DRB는 하나의 SDAP 엔티티와 대응한다.
선택적으로, 메모리(703)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701)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구성 정보 중에는, 상기 SDAP 엔티티 식별자와 대응하는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DU) 세션 식별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성 정보는, 단말 기기가 상기 구성 정보에 따라 상기 목표 SDAP 엔티티와 상기 PDU 세션 식별자에 대응하는 목표 PDU 세션의 대응 관계를 삭제하는데 더 사용된다.
본 개시 실시예에서, 단말 기기로 설정 대기 DRB의 식별자 및 해당 설정 대기 DRB에 대응하는 SDAP 엔티티 식별자를 포함하는 구성 정보를 송신함으로써, 단말 기기가 해당 구성 정보에 따라 설정 대기 DRB에 대하여 설정하고, DRB에 대한 설정을 통해 SDAP 엔티티 식별자에 대응하는 목표 SDAP 엔티티에 대한 설정을 실현할 수 있다. 즉, 본 개시 실시예는 묵시의 방식을 통해 SDAP 엔티티에 대하여 설정하여, 단말 기기로 SDAP 엔티티에 대하여 설정하는 구성 시그널링의 재송신을 피면하고 SDAP 엔티티를 설정하는 구성 시그널링에 대한 오버헤드를 절약하여 SDAP 엔티티 설정의 오버헤드를 감소한다.
네트워크 측 기기(700)은 상기 실시예 중 네트워크 측 기기가 구현한 각 프로세스를 구현할 수 있으며 중복 설명을 피면하기 위하여 여기서 상세히 설명하지는 않는다.
본 개시 실시예에서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를 더 제공하며, 해당 매체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본 개시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데이터 어댑테이션 프로토콜(SDAP) 엔티티의 설정 방법의 단계를 구현할 수 있으며, 같은 기술적 효과를 이룰 수 있다. 중복 설명을 피면하기 위하여 여기서 상세히 설명하지는 않는다. 상술한 저장 매체는 리드 온리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 등일 수 있다.
본 영역의 기술자는 전자 하드웨어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와 전자 하드웨어의 조합으로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기재된 각 실시예들의 유닛 및 알고리즘 단계들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기능들이 하드웨어로 수행하는지 소프트웨어로 수행되는지는 기술적 및 설계 제약에 따라 결정된다. 전문 기술자들은 기술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각각의 특정 응용에 따라 다른 방법을 사용할 수 있지만, 이러한 구현은 본 개시의 보호범위를 넘었다고 할 수 없다.
기재의 편의성 및 간략화를 위해 전술한 시스템, 장치 및 유닛의 구체적인 동작 과정은 전술한 실시예의 대응 과정을 참조하면 알 수 있다는 것을 본 영역의 기술자는 이해하기에 더 이상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개시된 장치 및 방법은 다른 수단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전술한 장치 실시예들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고, 예를 들어, 유닛들의 분할은 단지 하나의 논리 기능만 분할되는 것일 뿐이며, 실제 실현은 추가의 파티션이 있을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다수의 유닛 또는 컴포넌트들이 이들 중 다른 시스템에 통합될 수 있거나, 또는 일부 특징들은 무시되거나 또는 작업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표시되거나 논의된 서로 연결된 또는 직접 결합 또는 통신 접속은 전자, 기계 또는 다른 형태일 수 있는 인터페이스, 장치 또는 유닛에 의한 간접 결합 또는 통신 접속일 수 있다.
상술한 분리 수단으로서 설명한 유닛은 물리적으로 분리되거나, 물리적으로 분리되지 않을 수 있고, 유닛으로서 표시된 부품은 물리적 유닛이거나 아닐 수도 있고, 한 장소에 위치될 수도 있고, 다수의 네트워크 요소에 분포될 수도 있다. 실제 필요에 따라 이러한 유닛의 일부 또는 전체를 선택하여 본 개시 실시예의 방안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형태의 각 기능 유닛은 하나의 처리 유닛에 통합될 수도 있고, 각 유닛은 분리되어 물리적으로 존재할 수도 있고, 두개 이상의 유닛들이 하나의 유닛으로 통합될 수도 있다.
상기 기능이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태로 구현되고 개별 제품으로서 판매 또는 사용될 경우,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제로 또는 기술적 및 기술에 대한 기여가 되는 이러한 기술적 방안들은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해당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저장 매체에 저장되고 다수의 명령들을 포함하여 컴퓨터 장치(개인용 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장치 등)가 본 개시 각 실시예의 전부 또는 일부 방법을 실행할 수 있다. 상술한 저장 매체는 U 디스크, 가동 하드 디스크, 리드 온리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 등의 각종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매체를 포함한다.
이상은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이며, 본 영역의 일반 기술인원에 대하여서는 본 개시의 원리를 이탈하지 않은 전제하에서 다수의 변형 및 윤색을 진행할 수 있다.

Claims (36)

  1. 단말 기기에 적용되는 서비스 데이터 어댑테이션 프로토콜(SDAP) 엔티티의 설정 방법에 있어서,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구성 정보에 따라, 설정 대기 DRB 및 SDAP 엔티티 식별자와 대응하는 목표 SDAP 엔티티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구성 정보 중에는 설정 대기 데이터 무선 베어러(DRB)의 식별자 및 상기 설정 대기 DRB에 대응하는 SDAP 엔티티 식별자가 포함되며;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설정 대기 DRB를 구축하는 것을 지시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구성 정보에 따라 상기 설정 대기 DRB 및 상기 SDAP 엔티티 식별자와 대응하는 목표 SDAP 엔티티를 설정하는 단계는,
    만약 상기 목표 SDAP 엔티티를 구축하지 않았다면, 상기 설정 대기 DRB를 구축하고, 상기 목표 SDAP 엔티티를 구축하는 단계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설정 대기 DRB에 대응하는 제1 SDAP 엔티티를 상기 목표 SDAP 엔티티로 수정하는 것을 지시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구성 정보에 따라 상기 설정 대기 DRB 및 상기 SDAP 엔티티 식별자와 대응하는 목표 SDAP 엔티티를 설정하는 단계는,
    만약 상기 목표 SDAP 엔티티를 구축하지 않았다면, 상기 목표 SDAP 엔티티를 구축하고, 상기 설정 대기 DRB와 상기 목표 SDAP 엔티티의 대응 관계를 구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만약 상기 설정 대기 DRB가 제1 SDAP 엔티티에 대응되는 모든 DRB이라면,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SDAP 엔티티를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구성 정보 중에는 설정 대기 데이터 무선 베어러(DRB)가 포함되고,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설정 대기 DRB를 삭제하는 것을 지시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구성 정보에 따라 상기 설정 대기 DRB 및 상기 SDAP 엔티티 식별자와 대응하는 목표 SDAP 엔티티를 설정하는 단계는,
    만약 상기 목표 SDAP 엔티티를 이미 구축하였고, 상기 설정 대기 DRB가 상기 목표 SDAP 엔티티에 대응하는 모든 DRB이라면, 상기 설정 대기 DRB 및 상기 목표 SDAP 엔티티를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에서, 하나의 설정 대기 DRB는 하나의 SDAP 엔티티와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네트워크 측 기기에 적용되는 서비스 데이터 어댑테이션 프로토콜(SDAP) 엔티티의 설정 방법에 있어서,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구성 정보는 단말 기기가 상기 구성 정보에 따라, 설정 대기 DRB 및 SDAP 엔티티 식별자와 대응하는 목표 SDAP 엔티티를 설정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구성 정보 중에는 설정 대기 데이터 무선 베어러(DRB)의 식별자 및 상기 설정 대기 DRB에 대응하는 SDAP 엔티티 식별자가 포함되며;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설정 대기 DRB를 구축하는 것을 지시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구성 정보는, 만약 상기 목표 SDAP 엔티티를 구축하지 않았다면, 상기 단말 기기로 하여금 상기 구성 정보에 따라 상기 설정 대기 DRB를 구축하고, 상기 목표 SDAP 엔티티를 구축하도록 하는 데 사용되거나;
    또는,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설정 대기 DRB에 대응하는 제1 SDAP 엔티티를 상기 목표 SDAP 엔티티로 수정하는 것을 지시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구성 정보는, 만약 상기 목표 SDAP 엔티티를 구축하지 않았다면, 상기 단말 기기로 하여금 상기 구성 정보에 따라 상기 목표 SDAP 엔티티를 구축하고, 상기 설정 대기 DRB와 상기 목표 SDAP 엔티티의 대응 관계를 구축하도록 하는 데 더 사용되며,
    만약 상기 설정 대기 DRB가 제1 SDAP 엔티티에 대응되는 모든 DRB이라면,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로 하여금 상기 구성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SDAP 엔티티를 삭제하도록 하는 데 더 사용되거나;
    또는,
    상기 구성 정보 중에는 설정 대기 데이터 무선 베어러(DRB)가 포함되고,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설정 대기 DRB를 삭제하는 것을 지시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구성 정보는, 만약 상기 목표 SDAP 엔티티를 이미 구축하였고, 상기 설정 대기 DRB가 상기 목표 SDAP 엔티티에 대응하는 모든 DRB이라면, 상기 설정 대기 DRB 및 상기 목표 SDAP 엔티티를 삭제하는 데 더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에서, 하나의 설정 대기 DRB는 하나의 SDAP 엔티티와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단말 기기에 있어서,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데 사용되는 수신 모듈; 및
    상기 구성 정보에 따라, 설정 대기 DRB 및 SDAP 엔티티 식별자와 대응하는 목표 SDAP 엔티티를 설정하는 데 사용되는 설정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구성 정보 중에는 설정 대기 데이터 무선 베어러(DRB)의 식별자 및 상기 설정 대기 DRB에 대응하는 SDAP 엔티티 식별자가 포함되며;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설정 대기 DRB를 구축하는 것을 지시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설정 모듈은 구체적으로,
    만약 상기 목표 SDAP 엔티티를 구축하지 않았다면, 상기 설정 대기 DRB를 구축하고, 상기 목표 SDAP 엔티티를 구축하는 데 사용되거나;
    또는,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설정 대기 DRB에 대응하는 제1 SDAP 엔티티를 상기 목표 SDAP 엔티티로 수정하는 것을 지시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설정 모듈은 구체적으로,
    만약 상기 목표 SDAP 엔티티를 구축하지 않았다면, 상기 목표 SDAP 엔티티를 구축하고, 상기 설정 대기 DRB와 상기 목표 SDAP 엔티티의 대응 관계를 구축하는 데 사용되며,
    만약 상기 설정 대기 DRB가 제1 SDAP 엔티티에 대응되는 모든 DRB이라면, 상기 단말 기기는,
    상기 제1 SDAP 엔티티를 삭제하는 데 사용되는 제1 삭제 모듈;을 더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구성 정보 중에는 설정 대기 데이터 무선 베어러(DRB)가 포함되고,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설정 대기 DRB를 삭제하는 것을 지시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설정 모듈은 구체적으로,
    만약 상기 목표 SDAP 엔티티를 이미 구축하였고, 상기 설정 대기 DRB가 상기 목표 SDAP 엔티티에 대응하는 모든 DRB이라면, 상기 설정 대기 DRB 및 상기 목표 SDAP 엔티티를 삭제하는 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6. 네트워크 측 기기에 있어서,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데 사용되는 송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구성 정보는 단말 기기가 상기 구성 정보에 따라, 설정 대기 DRB 및 SDAP 엔티티 식별자와 대응하는 목표 SDAP 엔티티를 설정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구성 정보 중에는 설정 대기 데이터 무선 베어러(DRB)의 식별자 및 상기 설정 대기 DRB에 대응하는 SDAP 엔티티 식별자가 포함되며;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설정 대기 DRB를 구축하는 것을 지시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구성 정보는, 만약 상기 목표 SDAP 엔티티를 구축하지 않았다면, 상기 단말 기기로 하여금 상기 구성 정보에 따라 상기 설정 대기 DRB를 구축하고, 상기 목표 SDAP 엔티티를 구축하도록 하는 데 사용되거나;
    또는,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설정 대기 DRB에 대응하는 제1 SDAP 엔티티를 상기 목표 SDAP 엔티티로 수정하는 것을 지시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구성 정보는, 만약 상기 목표 SDAP 엔티티를 구축하지 않았다면, 상기 단말 기기로 하여금 상기 구성 정보에 따라 상기 목표 SDAP 엔티티를 구축하고, 상기 설정 대기 DRB와 상기 목표 SDAP 엔티티의 대응 관계를 구축하도록 하는 데 더 사용되며,
    만약 상기 설정 대기 DRB가 제1 SDAP 엔티티에 대응되는 모든 DRB이라면,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로 하여금 상기 구성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SDAP 엔티티를 삭제하도록 하는 데 더 사용되거나;
    또는,
    상기 구성 정보 중에는 설정 대기 데이터 무선 베어러(DRB)가 포함되고,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설정 대기 DRB를 삭제하는 것을 지시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구성 정보는, 만약 상기 목표 SDAP 엔티티를 이미 구축하였고, 상기 설정 대기 DRB가 상기 목표 SDAP 엔티티에 대응하는 모든 DRB이라면, 상기 설정 대기 DRB 및 상기 목표 SDAP 엔티티를 삭제하는 데 더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측 기기.
  7.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청구항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서비스 데이터 어댑테이션 프로토콜(SDAP) 엔티티의 설정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거나, 또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청구항 제3항 또는 제4항에 따른 상기 서비스 데이터 어댑테이션 프로토콜(SDAP) 엔티티의 설정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KR1020207030779A 2018-04-02 2019-03-28 서비스 데이터 어댑테이션 프로토콜 sdap 엔티티의 설정 방법 및 기기 KR1024797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10284821.0A CN110351103B (zh) 2018-04-02 2018-04-02 服务数据适配协议sdap实体的配置方法及设备
CN201810284821.0 2018-04-02
PCT/CN2019/080092 WO2019192382A1 (zh) 2018-04-02 2019-03-28 服务数据适配协议sdap实体的配置方法及设备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5860A KR20200135860A (ko) 2020-12-03
KR102479784B1 true KR102479784B1 (ko) 2022-12-20

Family

ID=68099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0779A KR102479784B1 (ko) 2018-04-02 2019-03-28 서비스 데이터 어댑테이션 프로토콜 sdap 엔티티의 설정 방법 및 기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11968728B2 (ko)
EP (1) EP3780492A4 (ko)
JP (1) JP7335262B2 (ko)
KR (1) KR102479784B1 (ko)
CN (1) CN110351103B (ko)
WO (1) WO2019192382A1 (ko)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11610B2 (ja) 2007-09-28 2013-01-09 インターデイジタル パテント ホールディング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アップリンクプロトコル変更をサポート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CN101572955B (zh) * 2008-04-29 2011-10-05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删除承载的方法与装置
EP4096288A1 (en) * 2016-08-01 2022-11-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data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N115334583A (zh) * 2016-08-03 2022-11-11 三星电子株式会社 用于下一代移动通信系统的空闲模式下的小区重选的方法
CN112672343B (zh) * 2016-08-09 2022-04-26 三星电子株式会社 无线通信系统中管理用户平面操作的方法和装置
CN107637123B (zh) * 2017-04-27 2020-12-04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信息传递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2359746B1 (ko) * 2017-06-05 2022-02-10 삼성전자 주식회사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인액티브 모드 단말이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CN115397037A (zh) * 2017-08-11 2022-11-25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建立双连接的方法及装置
US11032866B2 (en) * 2017-11-27 2021-06-08 FG Innovation Company Limited Methods and related devices for multi-connectivity
JP2019121829A (ja) 2017-12-28 2019-07-22 シャープ株式会社 端末装置、方法、および、集積回路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Ericsson, ‘SDAP Configuraion Aspects’, 3GPP TSG-RAN WG2 #101, R2-1803158, 페이지 1-5, 2018년 3월 2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029755A1 (en) 2021-01-28
EP3780492A4 (en) 2021-05-26
US11968728B2 (en) 2024-04-23
EP3780492A1 (en) 2021-02-17
JP7335262B2 (ja) 2023-08-29
US20220330356A1 (en) 2022-10-13
JP2021520133A (ja) 2021-08-12
KR20200135860A (ko) 2020-12-03
WO2019192382A1 (zh) 2019-10-10
CN110351103A (zh) 2019-10-18
CN110351103B (zh) 2020-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1190442A1 (zh) 副链路中继架构中的切换方法和设备
WO2021228033A1 (zh) 切换方法及装置、终端设备及网络设备
CN112399507B (zh) 用于传输数据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US11968575B2 (en) Data transmission method,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system
WO2021013236A1 (zh) 副链路数据复制功能控制、信息配置方法和设备
US20210258911A1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device
US11792700B2 (en) Method and device for cell change
US20230046436A1 (en) Configuration method in sidelink relay architecture and device
WO2022083558A1 (zh) 通信方法,装置,可读存储介质和系统
WO2022078112A1 (zh) 连接建立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102455840B1 (ko) 서빙 노드 업데이트 방법, 단말기와 네트워크 장치
WO2018195943A1 (zh) 用于拥塞处理的方法和设备
WO2020001256A1 (zh) 一种数据传输方法及装置
CN113412665A (zh) 一种会话设置方法、网络设备、用户设备
US20190020688A1 (en) Security configuration method for radio bearer and device
KR102479784B1 (ko) 서비스 데이터 어댑테이션 프로토콜 sdap 엔티티의 설정 방법 및 기기
WO2021023185A1 (zh) 一种接入限制检测方法和装置
WO2019228459A1 (zh) 通信方法、装置及存储介质
WO2020034125A1 (zh) 一种恢复rrc连接的方法及装置、终端
JP2021520110A (ja) データフロー設定方法及び装置
CN105323786A (zh) 一种pdcp状态报告组建方法及装置
WO2020164536A1 (zh) 数据包承载路径确定、信息发送方法和设备
WO2021208817A1 (zh) 网络资源控制的方法及设备
WO2023066361A1 (zh) 报告发送方法、终端、基站、装置、和存储介质
WO2022206294A1 (zh) 一种传输处理方法、装置及终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