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9690B1 - 데이터 플로우를 구성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데이터 플로우를 구성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9690B1
KR102479690B1 KR1020207029969A KR20207029969A KR102479690B1 KR 102479690 B1 KR102479690 B1 KR 102479690B1 KR 1020207029969 A KR1020207029969 A KR 1020207029969A KR 20207029969 A KR20207029969 A KR 20207029969A KR 102479690 B1 KR102479690 B1 KR 1024796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data flow
qos
drb
indi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9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30735A (ko
Inventor
유민 우
Original Assignee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1307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07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96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96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10Flow control between communication endpoi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60Scheduling or organising the servicing of application requests, e.g. requests for application data transmissions using the analysis and optimisation of the required network resources
    • H04L67/61Scheduling or organising the servicing of application requests, e.g. requests for application data transmissions using the analysis and optimisation of the required network resources taking into account QoS or priority requir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30Definitions, standards or architectural aspects of layered protocol stacks
    • H04L69/32Architecture of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OSI] 7-layer type protocol stacks, e.g. the interfaces between the data link level and the physical level
    • H04L69/322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03Configuration set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50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 H04L41/5003Managing SLA; Interaction between SLA and Qo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22Parsing or analysis of hea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5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per individual bearer or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68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using specific QoS parameters for wireless networks, e.g. QoS class identifier [QCI] or guaranteed bit rate [GB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실시예는 데이터 플로우를 구성하는 방법 및 장치를 개시한다. 상기 방법은, 서비스 품질(QoS) 데이터 플로우에 대응되는 데이터 무선 베어러(DRB)가 소스 DRB에서 타겟 DRB로 변환되면, SDAP 엔티티 수신단으로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지시 정보는 제1 QoS 데이터 플로우가 상기 소스 DRB에서 송신 완료되었음 또는 제2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가 상기 타겟 DRB에서 송신되기 시작하였음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는 상기 제1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 및 상기 제2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데이터 플로우를 구성하는 방법 및 장치
관련 출원에 대한 참조
본 출원은 2018년 4월 2일 중국 특허청에 제출한, 출원번호 제 201810284187.0호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전체 내용을 참조로서 본 출원에 원용한다.
본 개시는 통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데이터 플로우를 구성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5세대(5th-Generation, 5G) 이동 통신 시스템에 서비스 품질(Quality-of-Service, QoS)의 네트워크측 지시 메커니즘이 도입되었기 때문에, 따라서 업링크 및 다운링크 데이터의 송신 과정에서 모두 사용자 기기(User Equipment, UE)의 IP 데이터 플로우의 QoS 지시 정보(예컨대 QoS flow ID)를 추가해야 하는데, 당해 프로토콜 계층은 패킷 데이터 컨버전스 프로토콜(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PDCP) 계층 위에 위치한다. 도 1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1개의 서비스 데이터 적응 프로토콜(Service Data Adaptation Protocol, SDAP) 엔티티는 1개의 고계층의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rotocol Data Unit, PDU) 세션(Session)에 대응되고, 하나의 SDAP 엔티티는 데이터 플로우(flow)를, 도 1에 나타내는 복수 개의 PDCP 엔티티에 대응되는, 복수 개의 상이한 데이터 무선 베어러(Date Resource Bearer, DRB)에 송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측은 단말 기기의 하나의 데이터 플로우(예컨대 QoS 데이터 플로우 1)의 수신단 또는 송신단의 DRB를 재구성할 수 있는바(예컨대 핸드오버 발생 시), 즉, 수신단 또는 송신단의 DRB를 DRB1(즉 소스 DRB)에서 DRB2(즉 타겟 DRB)로 변환시킨다.
그러나, SDAP 엔티티의 수신단 또는 송신단에 대응되는 DRB가 소스 DRB에서 타겟 DRB로 변환된 후, 상이한 DRB에서의 데이터 플로우가 수신단에 도달하는데는 선후 순서가 있게 되는데, 어떻게 수신된 데이터 플로우가 고계층 프로토콜 엔티티로 송달될 때에도 데이터 플로우가 수신단에 도달하는 선후 순서대로 송달되도록 확보할 것인가는 여전히 시급히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의 목적은, 데이터 플로우를 구성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여, 어떻게 수신된 데이터 플로우가 고계층 프로토콜 엔티티로 송달될 때에도 데이터 플로우가 수신단에 도달하는 선후 순서대로 송달되도록 확보할 것인가 하는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는 하기와 같이 구현된다.
제1 측면에 있어서, 서비스 데이터 적응 프로토콜(SDAP) 엔티티 송신단에 응용되는, 데이터 플로우를 구성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서비스 품질(QoS) 데이터 플로우에 대응되는 데이터 무선 베어러(DRB)가 소스 DRB에서 타겟 DRB로 변환되면, SDAP 엔티티 수신단으로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지시 정보는 제1 QoS 데이터 플로우가 상기 소스 DRB에서 송신 완료되었음 또는 제2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가 상기 타겟 DRB에서 송신되기 시작하였음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는 상기 제1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 및 상기 제2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를 포함한다.
제2 측면에 있어서, 서비스 데이터 적응 프로토콜(SDAP) 엔티티 수신단에 응용되는, 데이터 플로우를 구성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서비스 품질(QoS) 데이터 플로우에 대응되는 데이터 무선 베어러(DRB)가 소스 DRB에서 타겟 DRB로 변환되면, SDAP 엔티티 송신단으로부터의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지시 정보는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가 상기 소스 DRB에서 송신 완료되었음 또는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가 상기 타겟 DRB에서 송신되기 시작하였음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제3 측면에 있어서, 서비스 데이터 적응 프로토콜(SDAP) 엔티티 수신단에 응용되는, 데이터 플로우를 구성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서비스 품질(QoS) 데이터 플로우에 대응되는 데이터 무선 베어러(DRB)가 소스 DRB에서 타겟 DRB로 변환되고, 상기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가 제1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 및 제2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를 포함하면, 상기 소스 DRB를 통해 상기 제1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타겟 DRB를 통해 상기 제2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사전 설정된 데이터 처리 규칙에 기초하여, 상기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에 대해 데이터 처리를 진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사전 설정된 데이터 처리 규칙은 적어도,
상기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를 기타 프로토콜 계층 엔티티로 송신하지 않는 것;
상기 제2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를 기타 프로토콜 계층 엔티티로 송신하지 않고, 상기 제1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를, 상기 제1 QoS 데이터 플로우에서의 데이터 수신 순서대로 순차적으로 기타 프로토콜 계층 엔티티로 송신하는 것; 및
상기 제1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 및 상기 제2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 을 포함한다.
제4 측면에 있어서, 데이터 플로우를 구성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장치는,
서비스 품질(QoS) 데이터 플로우에 대응되는 데이터 무선 베어러(DRB)가 소스 DRB에서 타겟 DRB로 변환되면, SDAP 엔티티 수신단으로 지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지시 정보는 제1 QoS 데이터 플로우가 상기 소스 DRB에서 송신 완료되었음 또는 제2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가 상기 타겟 DRB에서 송신되기 시작하였음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는 상기 제1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 및 상기 제2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를 포함한다.
제5 측면에 있어서, 데이터 플로우를 구성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장치는,
서비스 품질(QoS) 데이터 플로우에 대응되는 데이터 무선 베어러(DRB)가 소스 DRB에서 타겟 DRB로 변환되면, SDAP 엔티티 송신단으로부터의 지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지시 정보는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가 상기 소스 DRB에서 송신 완료되었음 또는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가 상기 타겟 DRB에서 송신되기 시작하였음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제6 측면에 있어서, 데이터 플로우를 구성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장치는,
서비스 품질(QoS) 데이터 플로우에 대응되는 데이터 무선 베어러(DRB)가 소스 DRB에서 타겟 DRB로 변환되고, 상기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가 제1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 및 제2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를 포함하면, 상기 소스 DRB를 통해 상기 제1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타겟 DRB를 통해 상기 제2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유닛; 및
사전 설정된 데이터 처리 규칙에 기초하여, 상기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에 대해 데이터 처리를 진행하기 위한 처리 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사전 설정된 데이터 처리 규칙은 적어도,
상기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를 기타 프로토콜 계층 엔티티로 송신하지 않는 것;
상기 제2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를 기타 프로토콜 계층 엔티티로 송신하지 않고, 상기 제1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를, 상기 제1 QoS 데이터 플로우에서의 데이터 수신 순서대로 순차적으로 기타 프로토콜 계층 엔티티로 송신하는 것; 및
상기 제1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 및 상기 제2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 을 포함한다.
상기의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방안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방안은 적어도 하기와 같은 기술적 효과를 구비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SDAP 엔티티 송신단은 QoS 데이터 플로우에 대응되는 DRB가 소스 DRB에서 타겟 DRB로 변환되는 경우에 있어서 SDAP 엔티티 수신단으로 지시 정보를 송신가능하고, 당해 지시 정보는 제1 데이터 플로우가 소스 DRB에서 송신 완료되었음 또는 제2 QoS 데이터 플로우가 타겟 DRB에서 송신되기 시작하였음을 지시하기 위한 것일 수 있어, SDAP 엔티티 수신단이 당해 지시 정보를 수신한 후에 소스 DRB를 통해 수신된 QoS 데이터 플로우 및 타겟 DRB를 통해 수신된 QoS 데이터 플로우에 대해 구분 처리를 진행가능하도록 하는바, 따라서 SDAP 엔티티 수신단이 수신된 QoS 데이터 플로우를 수신단에 도달하는 선후 순서대로 순차적으로 고계층 프로토콜 엔티티에 송달하도록 확보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SDAP 엔티티 수신단은 QoS 데이터 플로우에 대응되는 DRB가 소스 DRB에서 타겟 DRB로 변환되는 경우에 있어서 SDAP 엔티티 송신단으로부터의 지시 정보를 수신가능하고, 당해 지시 정보는 제1 데이터 플로우가 소스 DRB가 송신 완료되었음 또는 제2 QoS 데이터 플로우가 타겟 DRB에서 송신되기 시작하였음을 지시하기 위한 것일 수 있어, SDAP 엔티티 수신단이 수신 당해 지시 정보를 수신한 후에 소스 DRB를 통해 수신된 QoS 데이터 플로우 및 타겟 DRB를 통해 수신된 QoS 데이터 플로우에 대해 구분 처리를 진행가능하도록 하는바, SDAP 엔티티 수신단이 수신된 QoS 데이터 플로우를 수신단에 도달하는 선후 순서대로 순차적으로 고계층 프로토콜 엔티티에 송달하도록 확보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SDAP 엔티티 수신단은 QoS 데이터 플로우에 대응되는 DRB가 소스 DRB에서 타겟 DRB로 변환되는 경우에 있어서, 소스 DRB를 통해 제1 QoS 데이터 플로우를 수신하고, 상기 타겟 DRB를 통해 상기 제2 QoS 데이터 플로우를 수신한 후, 사전 설정된 데이터 처리 규칙에 기초하여 QoS 데이터 플로우에 대해 데이터 처리를 진행하여, 제1 QoS 데이터 플로우 및 제2 QoS 데이터 플로우를 구분 처리가능한바, SDAP 엔티티 수신단이 수신된 QoS 데이터 플로우를 수신단에 도달하는 선후 순서대로 순차적으로 고계층 프로토콜 엔티티에 송달하도록 확보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 또는 관련 기술에 따른 기술방안을 더 명료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아래에서는 실시예 또는 관련 기술의 설명에 사용되어야 할 도면들을 간단하게 소개하기로 한다. 하기 설명에서의 도면들은 단지 본 출원에 기재된 일부 실시예들인 것으로,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게 있어서, 창조적 노동을 하지 않는다는 전제하에 이러한 도면들에 의해 기타 도면들을 더 획득할 수 있음은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관련 기술에서의 데이터 플로우 전송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플로우를 구성하는 방법의 실시 플로우의 실시 플로우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지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포맷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지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포맷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지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포맷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데이터 플로우를 구성하는 방법의 실시 플로우의 실시 플로우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데이터 플로우를 구성하는 방법의 실시 플로우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플로우를 구성하는 장치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데이터 플로우를 구성하는 장치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데이터 플로우를 구성하는 장치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기기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측 기기의 구조 개략도이다.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이 본 출원에 따른 기술방안을 더 잘 이해하도록 하기 위하여, 이하,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의 도면을 결부시켜,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 따른 기술방안을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단지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들일 뿐, 전부의 실시예가 아님은 자명한 것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들을 토대로,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이 창조적 노동을 하지 않았다는 전제하에 획득되는 모든 기타 실시예들은 모두 본 출원의 보호범위에 속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 따른 기술방안은 각종 통신 시스템, 예컨대 이동 통신 글로벌 시스템(Global System of Mobile communication, GSM), 코드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시스템, 광대역 코드분할 다중 접속(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일반 패킷 무선 서비스(General Packet Radio Service, GPRS),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LTE-어드밴스드(Long Term Evolutionadvanced, LTE-A), NR(New Radio) 등에 응용될 수 있다.
사용자 기기(User Equipment, UE)는, 모바일 단말(Mobile Terminal), 모바일 사용자 기기 등으로 칭할 수 있으며,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dio Access Network, RAN)를 거쳐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코어 네트워크와 통신할 수 있으며, 사용자 기기는 이동 단말, 예컨대 모바일 폰(또는 ‘셀룰러’ 폰) 및 모바일 단말을 갖는 컴퓨터일 수 있는바, 예컨대 휴대용, 포켓형, 핸드헬드형, 컴퓨터 내장형 또는 차량 탑재형 이동 장치일 수 있는데, 이들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와 음성 및/또는 데이터를 교환한다.
기지국은, GSM 또는 CDMA에서의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일 수도 있고, WCDMA에서의 기지국(NodeB)일 수도 있으며, 또한 LTE에서의 진화형 노드 B(eNB 또는 e-NodeB, evolutional Node B) 및 5G 기지국(gNB)일 수 있는바, 본 출원은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기로 하나, 설명의 편이성을 기하가 위하여, 아래 실시예에서는 gNB를 예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배경기술에 기재된 바와 같이, 관련 기술에서 QoS 데이터 플로우에 대응되는 DBR가 변환되는 경우, 예컨대 DBR1(즉 소스 DBR)에서 DBR2(즉 타겟 DBR)로 변환되는 경우, 상이한 DBR를 통해 전송된 데이터가 수신단에 도달하는 순서가 상이하므로, 어떻게 상이한 DBR를 통해 전송된 데이터가 수신단에 도달한 후에도 수신단이 이러한 상이한 DBR를 통해 전송된 데이터의 도달 순서대로 기타 프로토콜 계층 엔티티, 즉 고계층 프로토콜 엔티티(예컨대, IP 계층)에 송달(즉 송신)되도록 확보하는가는 여전히 솔루션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관련 기술의 기초 상에서, QoS 데이터 플로우에 대응되는 DBR가 변환되는 경우에 대한 데이터 플로우를 구성하는 방법을 제시하여, 상이한 DBR를 통해 전송된 데이터가 수신단에 도달한 후에도 여전히 도달 순서대로 순차적으로 고계층 프로토콜 엔티티에 송달됨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SDAP 엔티티의 특정 구성 정보를 사전에 네트워크측에 의해 구성하거나 또는 프로토콜에 의해 약정할 수 있다. 당해 특정 구성 정보는, ①SDAP 패킷 헤더를 캐리하는 지시 정보; ②지시 정보의 송신 여부; ③지시 정보의 송신 횟수; 중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플로우를 구성하는 방법의 실시 플로우 개략도이다. 도 2의 방법은 SDAP 엔티티 송신단에 의해 수행된다. 당해 방법은 하기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101: QoS 데이터 플로우에 대응되는 DRB가 소스 DRB에서 타겟 DRB로 변환되면, SDAP 엔티티 수신단으로 지시 정보를 송신한다.
상기의 지시 정보는, 제1 QoS 데이터 플로우가 소스 DRB에서 송신 완료되었음 또는 제2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가 타겟 DRB에서 송신되기 시작하였음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의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는 제1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 및 제2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술한 상기 지시 정보의 포맷은, 데이터 부분을 캐리하지 않은 SDAP 패킷 헤더인 포맷 1; 적어도 하나의 사전 보류 지시 비트를 포함하는 SDAP 패킷 헤더인 포맷 2; 및 적어도 하나의 사전 보류 지시 비트를 포함하는 SDAP 패킷 헤더이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전 보류 지시 비트를 포함하는 SDAP 패킷 헤더는 제어 패킷인 포맷 3; 중 하나이고, 사전 보류 지시 비트는 상술한 상기 지시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의 지시 정보의 포맷이, 데이터 부분을 캐리하지 않은 SDAP 패킷 헤더인 포맷 1일 경우, SDAP 엔티티 수신단이 SDAP 엔티티 송신단으로부터 송신한 하나의 SDAP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고, 상기 SDAP 데이터 패킷이 데이터 부분을 캐리하지 않은 SDAP 패킷 헤더이면, SDAP 엔티티 수신단이 상술한 상기 지시 정보를 수신하였음을 나타낸다. 도 3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지시 정보 포맷이 데이터 부분을 캐리하지 않은 SDAP 패킷 헤더인 경우의 개략도이다. 도 3은 하나의 옥텟(Octet, Oct으로 약칭)의 데이터 개략도이다. 당해 Oct1은 8개의 비트(bit)를 포함한다. 처음 두 개의 bit(R로 도시)는 사전 보류 bit로서, 값이 0이고, 나머지 6개의 bit(QFI로 도시)는 QoS 데이터 플로우 ID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의 지시 정보의 포맷이 적어도 하나의 사전 보류 지시 비트를 포함하는 SDAP 패킷 헤더인 포맷 2일 경우, SDAP 엔티티 수신단이 SDAP 엔티티 송신단으로부터 송신한 하나의 SDAP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고, 상기 SDAP 데이터 패킷이 적어도 하나의 사전 보류 지시 비트를 포함하는 SDAP 패킷 헤더이면, SDAP 엔티티 수신단이 상술한 상기 지시 정보를 수신하였음을 나타낸다. 도 4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지시 정보 포맷이 포맷 2일 경우의 개략도이다. 도 4(a)는 하나의 Oct의 데이터 개략도이다. 첫번째 bit(R로 도시)는 사전 보류 bit로서, 값이 0이고, 두번째 bit(E로 도시)는 사전 보류 지시 비트로서, 값이 1이고, 나머지 6개의 bit(QFI로 도시)는 QoS 데이터 플로우 ID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도 4(b)는 두 개의 Oct의 데이터 개략도이다. Oct1에서의 8개의 bit는 도 4(a)와 동일하고, Oct2는 캐리되는 데이터 부분(Data로 도시)이다. 즉, 상기의 지시 정보의 포맷이 포맷 2일 경우, 상기 SDAP 데이터 패킷은 데이터 부분을 캐리하지 않을 수도 있고, 데이터 부분을 캐리할 수도 있다.
상기의 지시 정보의 포맷이 적어도 하나의 사전 보류 지시 비트를 포함하는 SDAP 패킷 헤더이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전 보류 지시 비트를 포함하는 SDAP 패킷 헤더가 제어 패킷인 포맷 3일 경우, SDAP 엔티티 수신단이 SDAP 엔티티 송신단으로부터 송신된 하나의 SDAP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고, 상기 SDAP 데이터 패킷이 적어도 하나의 사전 보류 지시 비트를 포함하는 SDAP 패킷 헤더이며, 상기 SDAP 데이터 패킷이 제어 패킷이면, SDAP 엔티티 수신단이 상술한 상기 지시 정보를 수신하였음을 나타낸다. 도 5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지시 정보 포맷이 포맷 3일 경우의 개략도이다. 도 5는 하나의 Oct의 데이터 개략도이다. 첫번째 bit(C/D로 도시)는 당해 SDAP 데이터 패킷이 데이터 패킷인지 제어 패킷인지를 지시하기 위한 bit로서, 값이 0일 경우, 당해 SDAP 데이터 패킷은 데이터 패킷임을 나타내고; 값이 1일 경우, 당해 SDAP 데이터 패킷은 제어 패킷임을 나타내며, 두번째 bit(E로 도시)는 사전 보류 지시 비트로서, 값이 1이고, 나머지 6개의 bit(QFI로 도시)는 QoS 데이터 플로우 ID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의 지시 정보의 포맷이 포맷 3일 경우, C/D 값이 1, 즉 제어 패킷임을 만족시키는 동시에, 사전 보류 지시 비트 E의 값이 1임을 만족시킬 때에만 비로소 당해 지시 정보가 유효하다.
이해해야 할 것은, 소스 DBR 또는 타겟 DBR의 RLC 엔티티의 작동 모드는 확인응답 모드(AM), 비확인응답 모드(UM) 및 투명 모드(TM)의 세 가지 작동 모드를 포함하기 때문에, 본 개시의 실시예는,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바람직한 방안을 제공한다. 즉, 지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DRB의 무선 링크 제어 계층 프로토콜(Radio Link Control, RLC) 엔티티의 작동 모드에 기초하여, 지시 정보의 송신 횟수를 확정할 수 있으며; 지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DRB는 소스 DRB 또는 타겟 DRB이다.
DRB의 RLC 엔티티의 작동 모드에 기초하여, 지시 정보의 송신 횟수를 확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지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DRB의 RLC 엔티티의 작동 모드가 AM이면, AM 모드 자체가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을 확보가능하기 때문에, 지시 정보의 송신 횟수는 1회임을 확정한다. DRB의 RLC 엔티티의 작동 모드가 UM 또는 TM이면, 이 두 가지 작동 모드 자체는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 확보불가능하기 때문에, 지시 정보의 송신 횟수는 N회임을 확정하며, N은 1보다 큰 양의 정수이다. 즉, 이 두 가지 작동 모드에서, SDAP 엔티티의 수신단으로 지시 정보를 여러 회 반복 송신하여, 지시 정보가 SDAP 엔티티의 수신단에 의해 수신가능하도록 확보할 수 있다.
상술한 N의 값은, N은 사전 설정 송신 횟수와 같음; N은 사전 설정 송신 횟수보다 작음; N은 사전 설정 송신 횟수보다 작거나 같음; N은 사전 설정 송신 횟수보다 큼; N은 사전 설정 송신 횟수보다 크거나 같음; 의 몇몇 경우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사전 설정 송신 횟수는 프로토콜에 의해 구성되거나 네트워크측 기기가 사전 구성된 것이다.
선택적으로, QoS 데이터 플로우에 대응되는 DRB가 소스 DRB에서 타겟 DRB로의 변환은 통상적으로 단말 기기에 핸드오버가 발생되는 순간에 발생하기 때문에, 이 과정은 흔히 비교적 짧다. 번거로운 조작과 구현을 피하는데 용이하도록, SDAP 엔티티 수신단으로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것은 구체적으로, SDAP 엔티티 수신단으로 지시 정보를 M회 송신하며, M은 1보다 크거나 같은 양의 정수인 것일 수 있다. 여기서, M이 1보다 큰 양의 정수인 경우에 있어서,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DRB의 RLC 엔티티의 작동 모드가 AM, UM이든 또는 TM이든을 물론하고, 모두 SDAP 엔티티 수신단으로 지시 정보를 여러 회(M회) 반복 송신할 수 있다.
상술한 M의 값은, M은 사전 설정 송신 횟수와 같음; M은 사전 설정 송신 횟수보다 작음; M은 사전 설정 송신 횟수보다 작거나 같음; M은 사전 설정 송신 횟수보다 큼; M은 사전 설정 송신 횟수보다 크거나 같음; 의 몇몇 경우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사전 설정 송신 횟수는 프로토콜에 구성되거나 네트워크측 기기에 의해 사전 구성된 것이다.
선택적으로, SDAP 엔티티 수신단으로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것은, 하기 두 가지 조건하에 트리거될 수 있다. 조건 1: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지 않다. 조건 2: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으며, 당해 QoS 데이터 플로우에서의 마지막 하나의 데이터가 소스 DRB로 송신된 후이다. 즉, 조건 1을 만족시키면, 즉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SDAP 엔티티 수신단으로 지시 정보를 송신하고; 조건 2를 만족시키면, 즉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으면, QoS 데이터 플로우에서의 마지막 하나의 데이터가 소스 DRB로 송신된 후, SDAP 엔티티 수신단으로 지시 정보를 송신한다.
이해해야 할 것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또한, 타겟 DRB를 통해 제2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타겟 DRB를 통해 제2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은 하기 두 가지 경우를 포함한다. 경우 1: 지시 정보가 송신되기 시작하면, 타겟 DRB를 통해 제2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를 송신한다. 경우 2: 지시 정보가 송신 완료되면, 타겟 DRB를 통해 상기 제2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를 송신한다. 또한, QoS 데이터 플로우에 대응되는 DRB가 소스 DRB에서 타겟 DRB 변환됨을 확정할 경우, 즉시 타겟 DRB를 통해 제2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를 송신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본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SDAP 엔티티 수신단으로 지시 정보를 송신 시, 구체적으로, 소스 DRB를 통해 SDAP 엔티티 수신단으로 지시 정보를 송신할 수도 있고, 타겟 DRB를 통해 SDAP 엔티티 수신단으로 지시 정보를 송신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SDAP 엔티티 송신단은 QoS 데이터 플로우에 대응되는 DRB가 소스 DRB에서 타겟 DRB로 변환되는 경우에 있어서, SDAP 엔티티 수신단으로 지시 정보를 송신하고, 당해 지시 정보는 제1 데이터 플로우가 소스 DRB가 송신 완료되었음 또는 제2 QoS 데이터 플로우가 타겟 DRB에서 송신되기 시작하였음을 지시하기 위한 것일 수 있어, SDAP 엔티티 수신단이 수신 당해 지시 정보를 수신한 후에 소스 DRB를 통해 수신된 QoS 데이터 플로우 및 타겟 DRB를 통해 수신된 QoS 데이터 플로우에 대해 구분 처리를 진행가능하도록 하는바, SDAP 엔티티 수신단이 수신된 QoS 데이터 플로우를 수신단에 도달하는 선후 순서대로 순차적으로 고계층 프로토콜 엔티티에 송달하도록 확보한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른 데이터 플로우를 구성하는 방법의 실시 플로우 개략도이다. 도 6의 방법은 SDAP 엔티티 수신단에 의해 수행된다. 상기 방법은 하기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201: QoS 데이터 플로우에 대응되는 DRB가 소스 DRB에서 타겟 DRB로 변환되면, SDAP 엔티티 송신단으로부터의 지시 정보를 수신하고, 지시 정보는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가 상기 소스 DRB에서 송신 완료되었음 또는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가 타겟 DRB에서 송신되기 시작하였음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이 경우, 또한,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고; 그리고 나서,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를 기타 프로토콜 계층 엔티티로 송신한다. QoS 데이터 플로우에 대응되는 DRB는 소스 DRB에서 타겟 DRB로 변환되기 때문에, 그 결과, QoS 데이터 플로우에서의 일부 데이터는 소스 DRB를 통해 수신되고, 다른 일부는 타겟 DRB를 통해 수신되게 된다. 설명의 편이성을 기하기 위하여, 이 두 부분의 데이터를 제1 QoS 데이터 플로우 및 제2 QoS 데이터 플로우로 칭할 수 있다. 따라서, QoS 데이터 플로우는 제1 QoS 데이터 플로우 및 제2 QoS 데이터 플로우를 포함한다.
따라서,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은, 소스 DRB를 통해 제1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 및 타겟 DRB를 통해 제2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 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를 기타 프로토콜 계층 엔티티로 송신하는 것은, 구체적으로, 우선, 제1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를 제1 QoS 데이터 플로우에서의 데이터 수신 순서대로 순차적으로 기타 프로토콜 계층 엔티티로 송신하고; 그리고 나서, 제2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를 제2 QoS 데이터 플로우에서의 데이터 수신 순서대로 순차적으로 기타 프로토콜 계층 엔티티로 송신하는 것일 수 있다. 즉, 먼저 수신된 데이터(즉 소스 DRB를 통해 수신된 제1 QoS 데이터 플로우에서의 데이터)를 먼저 기타 프로토콜 계층 엔티티에 송달한다.
선택적으로, 상술한 SDAP 엔티티 송신단으로부터의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것은, 소스 DRB를 통해 SDAP 엔티티 송신단으로부터의 지시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고, 타겟 DRB를 통해 지시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를 수신한 후에, 또한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를 기타 프로토콜 계층에 송달해야 하므로, 제1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 및 제2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를 더 저장할 수 있다. 제1 QoS 데이터 플로우와 제2 QoS 데이터 플로우에서의 데이터의 수신 순서를 구분하기 용이하도록 하고, 이러한 데이터들을 기타 프로토콜 계층 엔티티(예컨대 고계층 프로토콜 엔티티 IP 계층)에 송달 시 또한 이러한 데이터들의 수신 순서대로 순차적으로 송달되도록 확보하기 위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1 QoS 데이터 플로우 및 제2 QoS 데이터 플로우를 저장 시, 구체적으로는 제1 QoS 데이터 플로우 및 제2 QoS 데이터 플로우에서의 데이터 수신 순서대로 제1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 및 제2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제1 QoS 데이터 플로우와 제2 QoS 데이터 플로우는 각각 소스 DRB와 타겟 DRB를 통해 수신된 것이므로, 제1 QoS 데이터 플로우에서의 데이터는 제2 QoS 데이터 플로우에서의 데이터에 비해 수신 순서 상 약간 앞서게 된다. 이 경우, 이 두 개의 QoS 데이터 플로우를 구분하기 용이하도록, 하기 두 가지 방식에 의해 저장할 수 있다. 한편으로는, 제1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를 제1 저장 위치에 저장하고, 제2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를 제2 저장 위치에 저장할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제1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 및 제2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를 타겟 저장 위치에 저장(즉 동일 위치에 저장)하고, 제1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와 제2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에게 상이한 라벨을 할당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SDAP 엔티티 수신단은 QoS 데이터 플로우에 대응되는 DRB가 소스 DRB에서 타겟 DRB로 변환되는 경우에 있어서 SDAP 엔티티 송신단으로부터의 지시 정보를 수신가능하고, 당해 지시 정보는 제1 데이터 플로우가 소스 DRB가 송신 완료되었음 또는 제2 QoS 데이터 플로우가 타겟 DRB에서 송신되기 시작하였음을 지시하기 위한 것일 수 있어, SDAP 엔티티 수신단이 수신 당해 지시 정보를 수신한 후에 소스 DRB를 통해 수신된 QoS 데이터 플로우 및 타겟 DRB를 통해 수신된 QoS 데이터 플로우에 대해 구분 처리를 진행가능하도록 하는바, SDAP 엔티티 수신단이 수신된 QoS 데이터 플로우를 수신단에 도달하는 선후 순서대로 순차적으로 고계층 프로토콜 엔티티에 송달하도록 확보한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른 데이터 플로우를 구성하는 방법의 실시 플로우 개략도이다. 도 7의 방법은 SDAP 엔티티 수신단에 의해 수행된다. 상기 방법은 하기 단계들을 포함한다.
단계 301: QoS 데이터 플로우에 대응되는 DRB가 소스 DRB에서 타겟 DRB로 변환되고, 상기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가 제1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 및 제2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를 포함하면, 소스 DRB를 통해 제1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를 수신하고, 타겟 DRB를 통해 제2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를 수신한다.
단계 302: 사전 설정된 데이터 처리 규칙에 기초하여,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에 대해 데이터 처리를 진행한다.
사전 설정된 데이터 처리 규칙은 적어도,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를 기타 프로토콜 계층 엔티티에 송달하지 않는 것; 제2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를 기타 프로토콜 계층 엔티티로 송신하지 않고, 제1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를 제1 QoS 데이터 플로우에서의 데이터 수신 순서대로 순차적으로 기타 프로토콜 계층 엔티티로 송신하는 것; 및 제1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 및 제2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 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제1 QoS 데이터 플로우와 제2 QoS 데이터 플로우에서의 데이터의 수신 순서를 구분하기 용이하도록 하고, 이러한 데이터를 기타 프로토콜 계층 엔티티(예컨대 고계층 프로토콜 엔티티 IP 계층)에 송달(즉 송신) 시 또한 이러한 데이터들의 수신 순서대로 순차적으로 송달됨을 확보가능하도록, 본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1 QoS 데이터 플로우 및 제2 QoS 데이터 플로우를 저장 시, 구체적으로는 제1 QoS 데이터 플로우와 제2 QoS 데이터 플로우에서의 데이터 수신 순서대로 제1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 및 제2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제1 QoS 데이터 플로우와 제2 QoS 데이터 플로우는 각각 소스 DRB와 타겟 DRB를 통해 수신된 것이므로, 제1 QoS 데이터 플로우에서의 데이터는 제2 QoS 데이터 플로우에서의 데이터에 비해 수신 순서 상 약간 앞서게 된다. 이 경우, 이 두 개의 QoS 데이터 플로우를 구분하기 용이하도록, 하기 두 가지 방식에 의해 저장할 수 있다. 즉, 한편으로는, 제1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를 제1 저장 위치에 저장하고, 제2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를 제2 저장 위치에 저장할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제1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 및 제2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를 타겟 저장 위치에 저장(즉 동일 위치에 저장)하고, 제1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와 제2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에게 상이한 라벨을 할당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SDAP 엔티티 수신단은 QoS 데이터 플로우에 대응되는 DRB가 소스 DRB에서 타겟 DRB로 변환되는 경우에 있어서, 소스 DRB를 통해 제1 QoS 데이터 플로우를 수신하고, 상기 타겟 DRB를 통해 상기 제2 QoS 데이터 플로우를 수신한 후, 사전 설정된 데이터 처리 규칙에 기초하여 QoS 데이터 플로우에 대해 데이터 처리를 진행하여, 제1 QoS 데이터 플로우 및 제2 QoS 데이터 플로우를 구분 처리가능한 바, SDAP 엔티티 수신단이 수신된 QoS 데이터 플로우를 수신단에 도달하는 선후 순서대로 순차적으로 고계층 프로토콜 엔티티에 송달하도록 확보한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플로우를 구성하는 장치(400)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8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당해 데이터 플로우를 구성하는 장치(400)는 송신 유닛(401)을 포함할 수 있다.
송신 유닛(401)은, 서비스 품질(QoS) 데이터 플로우에 대응되는 데이터 무선 베어러(DRB)가 소스 DRB에서 타겟 DRB로 변환되면, SDAP 엔티티 수신단으로 지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지시 정보는 제1 QoS 데이터 플로우가 상기 소스 DRB에서 송신 완료되었음 또는 제2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가 상기 타겟 DRB에서 송신되기 시작하였음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는 상기 제1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 및 상기 제2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지시 정보의 포맷은,
데이터 부분을 캐리하지 않은 SDAP 패킷 헤더인 포맷;
적어도 하나의 사전 보류 지시 비트를 포함하는 SDAP 패킷 헤더인 포맷; 및
적어도 하나의 사전 보류 지시 비트를 포함하는 SDAP 패킷 헤더이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전 보류 지시 비트를 포함하는 SDAP 패킷 헤더는 제어 패킷인 포맷; 중 하나이고,
상기 사전 보류 지시 비트는 상기 지시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장치는,
상기 지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DRB의 RLC 엔티티의 작동 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지시 정보의 송신 횟수를 확정하기 위한 확정 유닛; 을 더 포함하며,
그 중, 상기 지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DRB는 상기 소스 DRB 또는 상기 타겟 DRB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확정 유닛은,
상기 지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DRB의 RLC 엔티티의 작동 모드가 확인응답 모드(AM)이면, 상기 지시 정보의 송신 횟수는 1회임을 확정하고;
상기 DRB의 RLC 엔티티의 작동 모드가 비확인응답 모드(UM) 또는 투명 모드(TM)이면, 상기 지시 정보의 송신 횟수는 N회임을 확정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N은 1보다 큰 양의 정수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N은 사전 설정 송신 횟수와 같고;
상기 N은 상기 사전 설정 송신 횟수보다 작고;
상기 N은 상기 사전 설정 송신 횟수보다 작거나 같고;
상기 N은 상기 사전 설정 송신 횟수보다 크고;
상기 N은 상기 사전 설정 송신 횟수보다 크거나 같고;
상기 사전 설정 송신 횟수는 프로토콜에 의해 구성되거나 네트워크측에 의해 사전 구성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송신 유닛(401)은,
상기 SDAP 엔티티 수신단으로 상기 지시 정보를 M회 송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M은 1보다 크거나 같은 양의 정수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M은 사전 설정 송신 횟수와 같고;
상기 M은 상기 사전 설정 송신 횟수보다 작고;
상기 M은 상기 사전 설정 송신 횟수보다 작거나 같고;
상기 M은 상기 사전 설정 송신 횟수보다 크고;
상기 M은 상기 사전 설정 송신 횟수보다 크거나 같고;
상기 사전 설정 송신 횟수는 프로토콜에 의해 구성되거나 상기 네트워크측에 의해 사전 구성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송신 유닛(401)은,
상기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SDAP 엔티티 수신단으로 상기 지시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으면, 상기 QoS 데이터 플로우에서의 마지막 하나의 데이터를 상기 소스 DRB로 송신한 후, 상기 SDAP 엔티티 수신단으로 상기 지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장치는,
상기 타겟 DRB를 통해 상기 제2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제1 송신 유닛; 을 더 포함한다.
데이터 플로우를 구성하는 장치(400)는 또한 도 2의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데, 구체적인 구현은 도 2에 나타내는 실시예를 참고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의 다른 데이터 플로우를 구성하는 장치(500)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9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데이터 플로우를 구성하는 장치(500)는 수신 유닛(501)을 포함할 수 있다.
수신 유닛(501)은, 서비스 품질(QoS) 데이터 플로우에 대응되는 데이터 무선 베어러(DRB)가 소스 DRB에서 타겟 DRB로 변환되면, SDAP 엔티티 송신단으로부터의 지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지시 정보는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가 상기 소스 DRB에서 송신 완료되었음 또는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가 상기 타겟 DRB에서 송신되기 시작하였음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장치는,
상기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제1 수신 유닛; 및
상기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를 기타 프로토콜 계층 엔티티로 송신하기 위한 송신 유닛; 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QoS 데이터 플로우는 제1 QoS 데이터 플로우 및 제2 QoS 데이터 플로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수신 유닛은,
상기 소스 DRB를 통해 상기 제1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타겟 DRB를 통해 상기 제2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송신 유닛은,
상기 제1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를, 상기 제1 QoS 데이터 플로우에서의 데이터 수신 순서대로 순차적으로 기타 프로토콜 계층 엔티티로 송신하고;
상기 제1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를 상기 제1 QoS 데이터 플로우에서의 데이터 수신 순서대로 순차적으로 상기 기타 프로토콜 계층 엔티티로 송신한 후, 상기 제2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를 상기 제2 QoS 데이터 플로우에서의 데이터 수신 순서대로 순차적으로 기타 프로토콜 계층 엔티티로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수신 유닛(501)은,
상기 소스 DRB 또는 타겟 DRB를 통해 상기 지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장치는,
상기 제1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 및 상기 제2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유닛; 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저장 유닛은,
상기 제1 QoS 데이터 플로우 및 상기 제2 QoS 데이터 플로우에서의 데이터 수신 순서대로 상기 제1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 및 상기 제2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저장 유닛은,
상기 제1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를 제1 저장 위치에 저장하고, 상기 제2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를 상기 제2 저장 위치에 저장하기 위한 것; 또는
상기 제1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 및 상기 제2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를 타겟 저장 위치에 저장하고, 상기 제1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와 상기 제2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에게 상이한 라벨을 할당하기 위한 것이다.
데이터 플로우를 구성하는 장치(500)는 또한 도 6의 방법을 수행가능한데, 구체적인 구현은 도 6에 나타내는 실시예를 참고할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른 데이터 플로우를 구성하는 장치(600)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10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데이터 플로우를 구성하는 장치(600)는 수신 유닛(601) 및 처리 유닛(602)을 포함할 수 있다.
수신 유닛(601)은, 서비스 품질(QoS) 데이터 플로우에 대응되는 데이터 무선 베어러(DRB)가 소스 DRB에서 타겟 DRB로 변환되고, 상기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가 제1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 및 제2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를 포함하면, 상기 소스 DRB를 통해 상기 제1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타겟 DRB를 통해 상기 제2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고;
처리 유닛(602)은, 사전 설정된 데이터 처리 규칙에 기초하여, 상기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에 대해 데이터 처리를 진행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사전 설정된 데이터 처리 규칙은 적어도,
상기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를 기타 프로토콜 계층 엔티티에 송달하지 않는 것;
상기 제2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를 기타 프로토콜 계층 엔티티에 송달하지 않고, 상기 제1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를 상기 제1 QoS 데이터 플로우에서의 데이터 수신 순서대로 순차적으로 기타 프로토콜 계층 엔티티에 송달하는 것; 및
상기 제1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 및 상기 제2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 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처리 유닛(602)은, 상기 제1 QoS 데이터 플로우 및 상기 제2 QoS 데이터 플로우를 저장할 때,
상기 제1 QoS 데이터 플로우 및 상기 제2 QoS 데이터 플로우에서의 데이터 수신 순서대로 상기 제1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 및 상기 제2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처리 유닛(602)은,
상기 제1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를 제1 저장 위치에 저장하고, 상기 제2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를 제2 저장 위치에 저장하기 위한 것; 또는
상기 제1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 및 상기 제2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를 타겟 저장 위치에 저장하고, 상기 제1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와 상기 제2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에게 상이한 라벨을 할당하기 위한 것이다.
데이터 플로우를 구성하는 장치(600)는 또한 도 7의 방법을 수행가능한데, 구체적인 구현은 도 7에 나타내는 실시예를 참고할 수 있다.
도 11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 기기의 구조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말 기기(7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710), 메모리(720),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730)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740)를 포함한다. 단말 기기(700) 중의 각각의 컴포넌트는 버스 시스템(750)에 의해 함께 커플링되어 있다. 버스 시스템(750)은 이러한 컴포넌트들 사이의 연결 통신을 실현하기 위한 것임을 이해할 수 있다. 버스 시스템(750)은 데이터 버스를 포함하는 외에, 전원 버스, 제어 버스 및 상태 신호 버스를 더 포함한다. 하지만 설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도 11에서는 각종 버스를 모두 버스 시스템(750)으로 표기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740)는 디스플레이, 키보드 또는 클릭 기기(예를 들어, 마우스, 트랙볼(trackball), 터치판 또는 터치스크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의 메모리(720)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도 있고, 또는 휘발성 및 비휘발성 메모리를 모두 포함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비휘발성 메모리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프로그래머블 읽기 전용 메모리 (Programmable ROM, PROM), 이레이저블 프로그래머블 읽기 전용 메모리(Erasable PROM, EPROM), 전기적 이레이저블 프로그래머블 읽기 전용 메모리(Electrically EPROM, EEP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일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는 외부 고속 캐시로 사용되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일 수 있다. 예시적이지만 비한정적으로, 많은 형태의 RAM을 이용가능한바, 예컨대, 스태틱 랜덤 액세스 메모리(Static RAM, SRAM), 다이내믹 랜덤 액세스 메모리(Dynamic RAM, DRAM), 동기 다이내믹 랜덤 액세스 메모리(Synchronous DRAM, SDRAM), 더블 데이터 레이트 동기 다이내믹 랜덤 액세스 메모리(Double Data Rate SDRAM, DDRSDRAM), 증강형 동기 다이내믹 랜덤 액세스 메모리(Enhanced SDRAM, ESDRAM), 싱크-링크 다이내믹 랜덤 액세스 메모리(Synchronous link DRAM, SLDRAM) 및 다이렉트 램버스 랜덤 액세스 메모리(Direct Rambus RAM, DRRAM)를 이용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설명되는 시스템 및 방법의 메모리(720)는 이러한 및 임의의 기타 적합한 유형의 메모리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을 의도한다.
몇몇 실시형태들에 있어서, 메모리(720)에는, 실행가능 모듈 또는 데이터 구조, 또는 그들의 부분 집합, 또는 그들의 확장 집합인 작업 시스템(721) 및 응용 프로그램(722) 등의 엘리먼트들이 격납되어 있다.
작업 시스템(721)는, 각종 시스템 프로그램, 예컨대 프레임워크 계층, 코어 라이브러리 계층, 구동 계층 등을 포함하여, 각종 베이직 서비스를 구현하고 하드웨어 기반의 태스크를 처리하는데 사용된다. 응용 프로그램(722)은, 각종 응용 프로그램, 예컨대 미디어 플레이어(Media Player), 브라우저(Browser) 등을 포함하여, 각종 응용 서비스를 구현하는데 사용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은 응용 프로그램(722)에 포함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단말 기기(700)는, 메모리(720)에 저장되어 프로세서(710)에서 실행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더 포함하며,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710)에 의해 실행될 때, 상술한 데이터 플로우를 구성하는 방법의 각각의 과정을 구현하며,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가능한바, 중복되는 설명을 피하기 위하여, 여기서 더이상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상술한 본 개시의 실시예에 개시된 방법은 프로세서(710)에 응용되거나, 또는 프로세서(71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710)는 신호 처리 능력을 갖는 집적 회로 칩일 수 있다. 구현 과정에서, 상술한 방법의 각 단계는 프로세서(710) 중의 하드웨어의 집적 로직 회로 또는 소프트웨어 형태의 명령에 의해 완성될 수 있다. 상술한 프로세서(710)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개시된 각 방법, 단계 및 논리 블록도를 구현 또는 수행기능한,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 특정 용도 지향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 논리 소자, 디스크리트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논리 소자, 디스크리트 하드웨어 컴포넌트일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일 수도 있고, 또는 당해 프로세서는 임의의 종래의 프로세서 등일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를 결부시켜 개시된 데이터 플로우를 구성하는 방법의 단계는 직접 하드웨어 디코딩 프로세서에 의해 완성되거나 또는 디코딩 프로세서 중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모듈의 조합에 의해 수행 및 완성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랜덤 액새스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읽기 전용 메모리, 프로그래머블 읽기 전용 메모리 또는 전기적 이레이저블 프로그래머블 읽기 전용 메모리, 레지스터 등의 해당 기술분야에서 성숙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메모리(720)에 위치한다. 프로세서(710)는 메모리(720) 내의 정보를 판독하고, 그의 하드웨어를 결부시켜 상술한 데이터 플로우를 구성하는 방법의 단계를 완성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으며,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710)에 의해 실행될 때 상술한 데이터 플로우를 구성하는 방법에서의 방법 실시예의 각 단계를 구현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설명된 이러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미들웨어, 마이크로코드 또는 그들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하드웨어 구현에 있어서, 처리 유닛은,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특정 용도 지향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ing, DSP), 디지털 신호 처리 기기(DSP Device, DSPD), 프로그램 가능 논리 소자(Programmable Logic Device, PLD), 필드 프로그램 가능 게이트 어레이(Field-Programmable Gate Array, FPGA), 범용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마이크로프로세서, 본 개시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기타 전자 유닛 또는 그 조합에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구현에 있어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의 모듈(예컨대 과정, 함수 등)을 실행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내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메모리는 프로세서 내에서 또는 프로세서 외부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12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측 기기의 구조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12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네트워크측 기기(800)는 프로세서(810), 송수신기(820), 메모리(830) 및 버스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측 기기(800)는 메모리(830)에 저장되어 상기 프로세서(810)에서 실행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 프로세서(810)에 의해 실행될 때, 상술한 데이터 플로우를 구성하는 방법에서의 각각의 과정을 구현하며,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가능한 바, 중복되는 설명을 피하기 위하여, 여기서 더이상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도 12에서, 버스 아키텍처는 임의의 수량의 서로 연결된 버스와 브릿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프로세서(810)에 의해 대표되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와 메모리(830)에 의해 대표되는 메모리의 각종 회로는 함께 연결되어 있다. 버스 아키텍처는 또한 주변 기기, 전압 안정기 및 파워 관리 회로 등과 같은 각종 기타 회로를 함께 연결할 수 있는데, 이들은 모두 해당 기술분야에 공지된 것이므로, 본문에서는 더이상 이에 대해 진일보하여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버스 인터페이스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송수신기(820)는 복수 개의 소자일 수 있는바, 즉, 송신기 및 수신기를 포함하여, 전송 매체 상에서 각종 기타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유닛을 제공한다.
프로세서(810)는 버스 아키텍처 관리 및 통상의 처리를 책임지고, 메모리(830)는 프로세서(810)가 조작을 수행할 때 사용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더 제공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술한 데이터 플로우를 구성하는 방법의 각각의 과정을 구현하며,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가능한바, 중복되는 설명을 피하기 위하여, 여기서 더이상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예컨대 읽기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 등일 수 있다.
요컨대, 상기한 바는 단지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일 뿐, 본 개시의 보호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이 아니다. 본 개시의 정신과 원칙내에서 실시된 임의의 수정, 균등물에 위한 치환, 개량 등은 모두 본 개시의 보호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기술된 시스템, 장치, 모듈 또는 유닛은, 구체적으로, 컴퓨터 칩 또는 엔티티에 의해 구현되거나, 또는 일정 기능을 제품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일 전형적인 구현 기기는 컴퓨터이다. 구체적으로, 컴퓨터는, 예를 들어, 개인용 컴퓨터, 랩톱 컴퓨터, 셀룰러폰, 카메라폰, 스마트폰,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 미디어 플레이어, 네비게이션 기기, 이메일 기기, 게임 콘솔, 태블릿 PC, 웨어러블 기기 또는 이러한 기기들 중 임의의 기기의 조합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영구 매체와 비영구 매체, 이동가능 매체와 이동불가능 매체를 포함하며,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에 의해 정보 저장을 실현할 수 있다. 정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의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일 수 있다. 컴퓨터의 저장 매체의 예는, 컴퓨터 액세스가능한 정보를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상변화 램(PRAM), 스태틱 랜덤 액세스 메모리(SRAM), 다이내믹 랜덤 액세스 메모리(DRAM), 기타 타입의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읽기 전용 메모리(ROM), 전기적으로 지울 수 있는 프로그램이 가능한 읽기 전용 메모리(EEP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기타 메모리 기술, 콤팩트 디스크 읽기 전용 메모리(CD-ROM),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또는 기타 광학 기록 장치, 자기 테이프 카트리지,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 또는 자기 기록 장치 또는 임의의 기타 비전송 매체를 포함하나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정의에 따르면,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변조된 데이터 신호 및 반송파와 같은 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transitory media)를 포함하지 않는다.
더 설명해야 할 것은, 용어 ‘포함’, ‘내포’ 또는 기타 임의의 변체는 비배타적인 포함을 포괄함으로써, 일련의 요소를 포함하는 과정, 방법, 상품 또는 기기가 그런 요소들만을 포함하는 것이 아니라, 명시적으로 열거되지 않은 기타 요소들을 더 포함하거나, 또는 이러한 과정, 방법, 상품 또는 기기에 고유한 요소들을 더 포함하도록 할 것을 의도한다. 추가적인 한정이 없을 경우, 어구 ‘하나의 …를 포함’에 의해 한정되는 요소는, 상기 요소를 포함하는 과정, 방법, 상품 또는 장치에 다른 동일한 요소가 존재함을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의 각각의 실시예는 모두 점진적 방식으로 기술되었는바, 각각의 실시예들 사이의 동일 또는 흡사한 부분은 서로 참조하면 되고, 각 실시예에서 중점적으로 설명된 것은 모두 기타 실시예와의 상이한 점들이다. 특히, 시스템 실시예에 있어서, 기본적으로 방법 실시예와 흡사하므로, 비교적 간단하게 기술되었는데, 관련 개소는 방법 실시예의 부분의 설명을 참조하면 된다.

Claims (47)

  1. 서비스 데이터 적응 프로토콜(SDAP) 엔티티 송신단에 응용되는, 데이터 플로우를 구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서비스 품질(QoS) 데이터 플로우에 대응되는 데이터 무선 베어러(DRB)가 소스 DRB에서 타겟 DRB로 변환되면, SDAP 엔티티 수신단으로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지시 정보는 제1 QoS 데이터 플로우가 상기 소스 DRB에서 송신 완료되었음 또는 제2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가 상기 타겟 DRB에서 송신되기 시작하였음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는 상기 제1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 및 상기 제2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지시 정보의 포맷은,
    데이터 부분을 캐리하지 않은 SDAP 패킷 헤더인 포맷; 및
    적어도 하나의 사전 보류 지시 비트를 포함하는 SDAP 패킷 헤더이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전 보류 지시 비트를 포함하는 SDAP 패킷 헤더는 제어 패킷인 포맷; 중 하나이고,
    그 중, 상기 사전 보류 지시 비트는 상기 지시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SDAP 패킷 헤더는 오직 하나의 옥텟(Octe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지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DRB의 RLC 엔티티의 작동 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지시 정보의 송신 횟수를 확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그 중, 상기 지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DRB는 상기 소스 DRB 또는 상기 타겟 DR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DRB의 RLC 엔티티의 작동 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지시 정보의 송신 횟수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지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DRB의 RLC 엔티티의 작동 모드가 확인응답 모드(AM)이면, 상기 지시 정보의 송신 횟수는 1회임을 확정하는 단계; 및
    상기 DRB의 RLC 엔티티의 작동 모드가 비확인응답 모드(UM) 또는 투명 모드(TM)이면, 상기 지시 정보의 송신 횟수는 N회임을 확정하는 단계 - 상기 N은 1보다 큰 양의 정수임 - ; 를 포함하며,
    그 중, 상기 N은 사전 설정 송신 횟수와 같고; 또는,
    상기 N은 상기 사전 설정 송신 횟수보다 작고; 또는,
    상기 N은 상기 사전 설정 송신 횟수보다 작거나 같고; 또는,
    상기 N은 상기 사전 설정 송신 횟수보다 크고; 또는,
    상기 N은 상기 사전 설정 송신 횟수보다 크거나 같고;
    그 중, 상기 사전 설정 송신 횟수는 프로토콜에 의해 구성되거나 네트워크측에 의해 사전 구성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DAP 엔티티 수신단으로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SDAP 엔티티 수신단으로 상기 지시 정보를 M회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M은 1보다 크거나 같은 양의 정수이며,
    그 중, 상기 M은 사전 설정 송신 횟수와 같고; 또는,
    상기 M은 상기 사전 설정 송신 횟수보다 작고; 또는,
    상기 M은 상기 사전 설정 송신 횟수보다 작거나 같고; 또는,
    상기 M은 상기 사전 설정 송신 횟수보다 크고; 또는,
    상기 M은 상기 사전 설정 송신 횟수보다 크거나 같고;
    그 중, 상기 사전 설정 송신 횟수는 프로토콜에 의해 구성되거나 네트워크측에 의해 사전 구성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DAP 엔티티 수신단으로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SDAP 엔티티 수신단으로 상기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으면, 상기 QoS 데이터 플로우에서의 마지막 하나의 데이터를 상기 소스 DRB로 송신한 후, 상기 SDAP 엔티티 수신단으로 상기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그 중, 상기 방법은,
    상기 타겟 DRB를 통해 상기 제2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그 중, 상기 타겟 DRB를 통해 상기 제2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지시 정보가 송신되기 시작하면, 상기 타겟 DRB를 통해 상기 제2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지시 정보가 송신 완료되면, 상기 타겟 DRB를 통해 상기 제2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또는, 상기 SDAP 엔티티 수신단으로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소스 DRB 또는 상기 타겟 DRB를 통해 상기 SDAP 엔티티 수신단으로 상기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서비스 데이터 적응 프로토콜(SDAP) 엔티티 수신단에 응용되는, 데이터 플로우를 구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서비스 품질(QoS) 데이터 플로우에 대응되는 데이터 무선 베어러(DRB)가 소스 DRB에서 타겟 DRB로 변환되면, SDAP 엔티티 송신단으로부터의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지시 정보는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가 상기 소스 DRB에서 송신 완료되었음 또는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가 상기 타겟 DRB에서 송신되기 시작하였음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지시 정보의 포맷은,
    데이터 부분을 캐리하지 않은 SDAP 패킷 헤더인 포맷; 및
    적어도 하나의 사전 보류 지시 비트를 포함하는 SDAP 패킷 헤더이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전 보류 지시 비트를 포함하는 SDAP 패킷 헤더는 제어 패킷인 포맷; 중 하나이고,
    그 중, 상기 사전 보류 지시 비트는 상기 지시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SDAP 패킷 헤더는 오직 하나의 옥텟(Octe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를 기타 프로토콜 계층 엔티티로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그 중, 상기 QoS 데이터 플로우는 제1 QoS 데이터 플로우 및 제2 QoS 데이터 플로우를 포함하고,
    그 중, 상기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소스 DRB를 통해 상기 제1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타겟 DRB를 통해 상기 제2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를 기타 프로토콜 계층 엔티티로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를, 상기 제1 QoS 데이터 플로우에서의 데이터 수신 순서대로 순차적으로 기타 프로토콜 계층 엔티티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를 상기 제1 QoS 데이터 플로우에서의 데이터 수신 순서대로 순차적으로 상기 기타 프로토콜 계층 엔티티로 송신한 후, 상기 제2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를 상기 제2 QoS 데이터 플로우에서의 데이터 수신 순서대로 순차적으로 기타 프로토콜 계층 엔티티로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 및 상기 제2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그 중, 상기 제1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 및 상기 제2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제1 QoS 데이터 플로우 및 상기 제2 QoS 데이터 플로우에서의 데이터 수신 순서대로 상기 제1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 및 상기 제2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제1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 및 상기 제2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제1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를 제1 저장 위치에 저장하고, 상기 제2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를 제2 저장 위치에 저장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제1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 및 상기 제2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를 타겟 저장 위치에 저장하고, 상기 제1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와 상기 제2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에게 상이한 라벨을 할당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가 제1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 및 제2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를 포함하면, 상기 소스 DRB를 통해 상기 제1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타겟 DRB를 통해 상기 제2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사전 설정된 데이터 처리 규칙에 기초하여, 상기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에 대해 데이터 처리를 진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그 중, 상기 사전 설정된 데이터 처리 규칙은 적어도,
    상기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를 기타 프로토콜 계층 엔티티로 송신하지 않는 것;
    상기 제2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를 기타 프로토콜 계층 엔티티로 송신하지 않고, 상기 제1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를, 상기 제1 QoS 데이터 플로우에서의 데이터 수신 순서대로 순차적으로 기타 프로토콜 계층 엔티티로 송신하는 것; 및
    상기 제1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 및 상기 제2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데이터 플로우를 구성하는 장치에 있어서,
    서비스 품질(QoS) 데이터 플로우에 대응되는 데이터 무선 베어러(DRB)가 소스 DRB에서 타겟 DRB로 변환되면, SDAP 엔티티 수신단으로 지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지시 정보는 제1 QoS 데이터 플로우가 상기 소스 DRB에서 송신 완료되었음 또는 제2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가 상기 타겟 DRB에서 송신되기 시작하였음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는 상기 제1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 및 상기 제2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지시 정보의 포맷은,
    데이터 부분을 캐리하지 않은 SDAP 패킷 헤더인 포맷; 및
    적어도 하나의 사전 보류 지시 비트를 포함하는 SDAP 패킷 헤더이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전 보류 지시 비트를 포함하는 SDAP 패킷 헤더는 제어 패킷인 포맷; 중 하나이고,
    그 중, 상기 사전 보류 지시 비트는 상기 지시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SDAP 패킷 헤더는 오직 하나의 옥텟(Octe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데이터 플로우를 구성하는 장치에 있어서,
    서비스 품질(QoS) 데이터 플로우에 대응되는 데이터 무선 베어러(DRB)가 소스 DRB에서 타겟 DRB로 변환되면, SDAP 엔티티 송신단으로부터의 지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지시 정보는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가 상기 소스 DRB에서 송신 완료되었음 또는 QoS 데이터 플로우의 데이터가 상기 타겟 DRB에서 송신되기 시작하였음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지시 정보의 포맷은,
    데이터 부분을 캐리하지 않은 SDAP 패킷 헤더인 포맷; 및
    적어도 하나의 사전 보류 지시 비트를 포함하는 SDAP 패킷 헤더이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전 보류 지시 비트를 포함하는 SDAP 패킷 헤더는 제어 패킷인 포맷; 중 하나이고,
    그 중, 상기 사전 보류 지시 비트는 상기 지시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SDAP 패킷 헤더는 오직 하나의 옥텟(Octe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데이터 플로우를 구성하는 방법의 단계, 또는 제6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데이터 플로우를 구성하는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41. 삭제
  42. 삭제
  43. 삭제
  44. 삭제
  45. 삭제
  46. 삭제
  47. 삭제
KR1020207029969A 2018-04-02 2019-04-02 데이터 플로우를 구성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4796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10284187.0A CN110351221B (zh) 2018-04-02 2018-04-02 配置数据流的方法和装置
CN201810284187.0 2018-04-02
PCT/CN2019/080986 WO2019192464A1 (zh) 2018-04-02 2019-04-02 配置数据流的方法和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0735A KR20200130735A (ko) 2020-11-19
KR102479690B1 true KR102479690B1 (ko) 2022-12-20

Family

ID=68099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9969A KR102479690B1 (ko) 2018-04-02 2019-04-02 데이터 플로우를 구성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11470508B2 (ko)
EP (1) EP3780536A4 (ko)
JP (1) JP7250036B2 (ko)
KR (1) KR102479690B1 (ko)
CN (1) CN110351221B (ko)
WO (1) WO2019192464A1 (ko)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17365B (zh) * 2011-04-12 2014-07-09 华为技术有限公司 长期演进基站及其处理数据业务的方法
CN105704197B (zh) * 2014-11-28 2020-04-10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数据传输方法及系统
EP3373534A4 (en) * 2015-11-05 2019-05-01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 RECEIVING DATA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FOR SUPPORTING THEREOF
US10959240B2 (en) 2016-04-15 2021-03-23 Qualcomm Incorporated Providing quality-of-ser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s
CN109548090B (zh) * 2016-05-24 2020-07-07 华为技术有限公司 QoS控制方法及设备
EP3482582B1 (en) 2016-08-01 2021-03-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and apparatus for managing data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KR102385719B1 (ko) * 2016-08-09 2022-04-12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평면 동작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GB201621072D0 (en) * 2016-12-12 2017-01-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NR QOS handling
EP3603189B1 (en) * 2017-05-05 2021-02-17 Sony Corporation Communications device, infrastructure equipment,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and methods
CN108809584B (zh) * 2017-05-05 2021-05-18 华为技术有限公司 数据传输方法及通信设备
CN113055146B (zh) * 2017-05-05 2022-07-1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反转服务流特性的通信方法及装置
US20180324631A1 (en) 2017-05-05 2018-11-08 Mediatek Inc. Using sdap headers for handling of as/nas reflective qos and to ensure in-sequence packet delivery during remapping in 5g communication systems
CN109246852B (zh) * 2017-06-13 2023-08-11 夏普株式会社 无线协议层实体处理方法以及相应的用户设备
CN109246766B (zh) * 2017-06-15 2023-05-30 夏普株式会社 无线配置方法和相应的用户设备
CN109151915B (zh) * 2017-06-16 2023-11-17 夏普株式会社 用于数据分组递送的方法、用户设备和基站
TWI680688B (zh) * 2017-07-20 2019-12-21 華碩電腦股份有限公司 無線通訊系統中服務服務質量流的方法和設備
KR102404909B1 (ko) * 2017-08-11 2022-06-02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데이터 전송 방법, 송신단 장치와 수신단 장치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Huawei et al, "QoS Flow to DRB Re-Mapping", 3GPP TSG-RAN WG2#99 Meeting, R2-1708938 (2017.08.21-25.)*
MediaTek Inc., "SDAP header design for reflective QoS indication and QoS flow remapping", 3GPP TSG-RAN WG2 Meeting #99, R2-1708260 (2017.08.21-25.)*
Xiaomi, "QoS Flow Remapping", 3GPP TSG-RAN2 #100, R2-1712378 (2017.11.27.-12.0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0735A (ko) 2020-11-19
US20220408314A1 (en) 2022-12-22
EP3780536A1 (en) 2021-02-17
CN110351221A (zh) 2019-10-18
US11902835B2 (en) 2024-02-13
JP2021520110A (ja) 2021-08-12
US11470508B2 (en) 2022-10-11
CN110351221B (zh) 2020-07-17
EP3780536A4 (en) 2021-02-24
WO2019192464A1 (zh) 2019-10-10
US20210014735A1 (en) 2021-01-14
JP7250036B2 (ja) 2023-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49037B2 (en) Data transmission method, base station, and terminal equipment
EP3826354B1 (en)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and communication device
WO2019179350A1 (zh) 资源选择方法、用户设备和网络侧设备
CN109560946B (zh) 数据传输失败的处理方法及装置
CN111788847A (zh) 用于资源建立的方法及设备
WO2019242712A1 (zh) 一种能力交互方法及相关设备
EP3651538B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transmitting end device, and receiving end device
WO2020186529A1 (zh) 一种策略确定方法及装置、终端
US10856312B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and computer storage medium
KR20200030031A (ko) 데이터 전송 방법, 단말 기기 및 네트워크 기기
US20220061075A1 (en)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and network device
WO2021087827A1 (zh) 激活或者更新pusch路损rs的方法和设备
KR102479690B1 (ko) 데이터 플로우를 구성하는 방법 및 장치
WO2020000174A1 (zh) 一种核心网选择方法及装置、终端设备、网络设备
WO2020010619A1 (zh) 数据传输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WO2021004374A1 (zh) 数据发送的方法、数据接收的方法和设备
US11968728B2 (en) Method of configuring service data adaptation protocol entity and device
EP3672353B1 (en) Data processing method, receiving terminal and storage medium
CN110839265B (zh) 一种信息配置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CN109716822B (zh) 控制终端设备产生上行信令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KR102470011B1 (ko)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네트워크 장치와 단말 장치
CN110167065B (zh) 一种取消上行调度请求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侧设备
KR20210142132A (ko) 정보 송신 방법, 정보 수신 방법 및 디바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