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9560B1 - Vertical type water culture apparatus - Google Patents
Vertical type water culture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79560B1 KR102479560B1 KR1020200115543A KR20200115543A KR102479560B1 KR 102479560 B1 KR102479560 B1 KR 102479560B1 KR 1020200115543 A KR1020200115543 A KR 1020200115543A KR 20200115543 A KR20200115543 A KR 20200115543A KR 102479560 B1 KR102479560 B1 KR 10247956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egetation
- vertical
- members
- frame
- hydroponic cultiva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01G31/06—Hydroponic culture on racks or in stacked container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8—Component parts, e.g. dispensing fittings, level indicato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씨앗 또는 재배용 식물이 재배되는 공간효율성이 개선되고 설치가 용이한 수직형 수경재배장치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직형 수경재배장치는 일측 및 타측에 이격 배치되는 수직부재들이 형성되는 제1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에 거치되어 상하부로 적층되는 제1 식생부재들 및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형성되는 노즐부를 포함하고, 상기 노즐부에서 분사되는 수분이 상기 제1 식생부재들 사이에 배치되는 식물 또는 씨앗에 공급된다.Disclosed herein relates to the provision of a vertical hydroponic cultivation device that is easy to install and improves space efficiency in which seeds or plants for cultivation are grow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disclosure disclosed herein, the vertical hydroponic cultivation apparatus is a first frame in which vertical members spaced apart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are formed, the first vegetation members mounted on the first frame and stacked vertically and a nozzle part disposed above the frame, and water sprayed from the nozzle part is supplied to plants or seeds disposed between the first vegetation members.
Description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수직형 수경재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식물의 재배가 가능한 수직형 수경재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disclosure herein relates to a vertical hydroponic cultivation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rtical hydroponic cultivation device capable of cultivating plants.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Unless otherwise indicated herein, material described in this section is not prior art to the claims in this application, and inclusion in this section is not an admission that it is prior art.
일반적으로, 수직형 수경재배장치는 영양분이 충분한 양액 또는 물을 실내에서 조명과 함께 씨앗 또는 식물에 공급하여 최소한의 공간에서 최대한의 작물 수확을 가능하게 하는 장치이다.In general, a vertical hydroponic cultivation device is a device that enables maximum crop harvest in a minimum space by supplying nutrient solution or water with sufficient nutrients to seeds or plants with lighting indoors.
최근에는 수직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제작되는 식생판 또는 화분 삽입대에 복수의 씨앗 또는 식물을 식재한 후 실내에서 작물을 재배하는 장치가 개발되고 있지만 초기 제작 비용과 유지비용이 높은 단점이 있다.Recently, a device for cultivating crops indoors after planting a plurality of seeds or plants on a planting plate or pot insert that is manufactured to be vertically extended has been developed, but has a disadvantage in that initial production cost and maintenance cost are high.
이와 관련하여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01997호는 수직 적층 구조의 식생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고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85979호는 직립형 분무 수경 재배 장치하고 있다.In this regard,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2101997 discloses a vertical stacked vegetation system, and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485979 discloses an upright spray hydroponic cultivation device.
그러나 기존 발명들은 제작편의성 또는 유지비용을 개선시키는 수경재배 기술은 개시하지 않고 있다.However, existing inventions do not disclose hydroponic cultivation technology that improves manufacturing convenience or maintenance cost.
씨앗 또는 재배용 식물이 재배되는 공간효율성이 개선되고 설치가 용이한 수직형 수경재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It is to provide a vertical hydroponic cultivation device that is easy to install and improves space efficiency in which seeds or plants for cultivation are grown.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In addition, it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d it is obvious that other technical problems may be derived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수직형 수경재배장치는 일측 및 타측에 이격 배치되는 수직부재들이 형성되는 제1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에 거치되어 상하부로 적층되는 제1 식생부재들 및 상기 제1 프레임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형성되는 노즐부를 포함하고, 상기 노즐부에서 분사되는 수분이 상기 제1 식생부재들 사이에 배치되는 식물 또는 씨앗에 공급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disclosed contents, the vertical hydroponic cultivation apparatus is a first frame in which vertical members spaced apart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are formed, the first vegetation members mounted on the first frame and stacked vertically, and the first A nozzle unit disposed above one frame, and water sprayed from the nozzle unit is supplied to plants or seeds disposed between the first vegetation members.
또한, 상기 제1 식생부재들 각각은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바 형태로 연장되어 상기 수직부재들의 사이에 끼움 결합되고, 상부면 및 저면에 전방 및 상부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each of the first vegetation members is extended in a bar shape toward one side or the other side to be fitted between the vertical members, and inclined surfaces extending obliquely toward the front and the top may be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또한, 상기 수직형 수경재배장치는 상부 또는 하부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프레임의 후방에 이격 배치되며 제2 식생부재들과 상하부로 적층되도록 탈부착 결합되는 제2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vertical hydroponic cultivation apparatus is formed to extend upward or downward, spaced apart from the rear of the first frame and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frame that is detachably coupled so as to be stacked up and down with second vegetation members. .
또한, 상기 노즐부는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의 사이에 배치되는 공급관 및 상기 공급관의 하부에 결합되는 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The nozzle unit may include a supply pipe dis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frames and a nozzle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supply pipe.
또한, 상기 제1 식생부재는 배면의 일부분이 전방 상부를 향해 경사지게 함몰되어 전면 및 배면을 연결하는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portion of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vegetation member may be recessed obliquely toward the front upper portion to form a passage connecting the front and rear surfaces.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직형 수경재배장치는 동일한 형태의 식생부재들을 상하부로 적층시키고 상기 식생부재들의 사이에 씨앗 또는 재배용 식물을 식재하여 공간효율적인 재배가 가능하고 식생부재들의 유지관리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vertical hydroponic cultivation apparatus stacks vegetation members of the same type vertically and plants seeds or plants for cultivation between the vegetation members to enable space-efficient cultivation and maintenance of the vegetation members.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easy to use.
또한, 수직형 수경재배장치는 식재되는 식물의 뿌리가 한쪽으로 자라나도록 제작되어 단일의 노즐부를 통해 양액의 공급이 원활하고, 식생부재들의 탈부착이 용이하여 작업편의성이 개선되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vertical hydroponic cultivation device is manufactured so that the roots of the plants to be planted grow to one side, so that the supply of nutrient solution is smooth through a single nozzle unit, and the attachment and detachment of vegetation members are easy to improve work convenience.
아울러, 이와 같은 기재된 본 발명의 효과는 발명자가 인지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기재된 내용의 구성에 의해 당연히 발휘되게 되는 것이므로 상술한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 따른 몇 가지 효과일 뿐 발명자가 파악 또는 실재하는 모든 효과를 기재한 것이라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In addition, since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s described above are naturally exhibit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described contents regardless of whether the inventor recognizes them, the above-described effects are only a few effects according to the described contents, and all the effects that the inventor grasps or realizes should not be accepted as written.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인 문장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기재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In addition,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additionally grasped by the overall description of the specification, and even if it is not described in an explicit sentenc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described contents belong will have such an effect through this specification. If the effect can be recognized as such, it should be regarded as the effect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형 수경재배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2는 도 1의 수직형 수경재배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직형 수경재배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직형 수경재배장치의 사용상태도.1 is a state of use of a vertical hydroponic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vertical hydroponic cultivation device of FIG.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vertical hydroponic cultivatio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Figure 4 is a state of use of a vertical hydroponic cultivatio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직형 수경재배장치의 구성,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look at the configuration, operation and effect of the vertical hydroponic cultivation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For reference, in the following drawings, each component is omitted or schematically illustrated for convenience and clarity, the size of each component does not reflect the actual size,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 and reference numerals for the same components in the individual drawings will be omitted.
수직형 수경재배장치(100)는 제1 프레임(200), 제1 식생부재(300)들, 제2 프레임(400), 제2 식생부재(500)들, 연결프레임(600), 노즐부(700), 양액수조부(800), 조명부(900) 및 커버(905)를 포함한다.The vertical
도 1을 참조하면, 복수의 수직형 수경재배장치(100)들은 전방의 제1 방향(1) 또는 후방의 제2 방향(2)을 향해 서로 동일한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되고, 수직형 수경재배장치(100)들의 사이에는 조명부(900)가 배치된다.Referring to Figure 1, a plurality of vertical
또한, 복수의 수직형 수경재배장치(100)들에 형성된 제1 및 제2 프레임(200, 400)들과 제1 및 제2 프레임(200, 400)들에 거치되는 제1 및 제2 식생부재(300, 500)들은 일측 또는 타측으로 순차배치되고, 재배공간에 따라서 일측 또는 타측으로 배치되는 제1 및 제2 프레임(200, 400)들의 숫자는 증가 또는 감소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vegetation members mounted on the first and
제1 프레임(200)은 수직부재(210, 220)들 및 수평부재(230)를 포함한다.The
제1 프레임(200)은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연장되는 브라켓 형태의 지지대들이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이격 배치되도록 형성되고, 상부에서 일측 또는 타측으로 연장되는 수평지지대가 상기 지지대들의 사이를 연결시키도록 형성된다.The
수직부재(210)의 일단 일측은 넓은 표면이 일측 및 타측을 향하는 수직판 형태로 형성되고, 일단 타측은 일단 일측의 제2 방향(2)쪽 모서리 일부분이 타측을 향해 절곡 연장되며, 타단은 일단의 형태를 유지하면서 상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된다.One end of the
수직부재(220)의 일단 일측은 수직부재(210)의 타측에 이격된 위치에서 넓은 표면이 제1 및 제2 방향(1, 2)을 향하는 수직판 형태로 형성되고, 타측은 일단 일측의 타측 모서리 일부분이 제1 방향(1)으로 절곡 연장되어 형성되며, 타단은 일단의 형태를 유지하면서 상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된다.One end of the
수직부재(210, 220)들 각각의 일단 일측 및 타측 제1 방향(1)쪽 모서리 사이에는 양측으로 연장되는 수직판 형태의 커버가 형성되어 수직부재(210, 220)들을 연결시키고 수직부재(210, 220)들 사이의 거리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킨다.A cover in the form of a vertical plate extending to both sides is formed between one end of each of the
수평부재(230)의 일단 하부는 넓은 표면을 가지는 전면 및 배면 각각이 제1 및 제2 방향(1, 2)을 향한 수직판 형태로 형성되고, 일단 상부는 일단 하부의 상단모서리 일부가 수평판 형태로 제1 방향(1)으로 절곡 및 연장되어 형성되며, 타단은 일단의 형태를 유지하면서 타측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된다.One end of the lower part of the
수평부재(230)의 일단 제2 방향(2)쪽 하부 배면은 수직부재(210)의 타단 타측의 제1 방향(1)쪽 전면에 면결합되고, 수평부재(230)의 타단 제2 방향(2)쪽 하부 배면 일부는 수직부재(220)의 타단 일측의 제1 방향(1)쪽 전면에 면결합된다.One end of the
제1 식생부재(300)의 일단은 제2 방향(2)쪽에서 제1 방향(1) 및 상부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는 모서리들 각각이 하부 및 상부에 형성되는 평행사변형 형태의 일측면을 가지고, 일측에서 타측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형성된다.One end of the
제1 식생부재(300)의 타단은 일단과 동일한 형태를 유지하면서 일단에서 타측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고, 제1 식생부재(300)의 하부 및 상부에는 경사면(310, 320)들이 각각 형성되며, 스티로폼을 포함하는 경량의 고분자 또는 금속 소재로 제작된다.The other end of the
제1 식생부재(300)는 제1 식생부재(300)의 일단 일측면이 수직부재(210)의 일측 안쪽면에 밀착되고, 제1 식생부재(300)의 타단 타측면이 수직부재(220)의 타측 안쪽면에 밀착되면서 수직부재(210, 220)들 사이에 끼움 결합된다.In the
제1 식생부재(300)들 각각은 수직부재(210, 220)들의 사이에 해당되는 공간에서 하부에서 상부를 향해 적층 배치되고, 각각의 경사면(320)에 씨앗(20) 또는 식물(21)을 배치시킨 상태에서 상부에 제1 식생부재(300)를 적층시키면 씨앗(20) 또는 식물(21)이 상부에 배치되는 제1 식생부재(300)의 경사면(310)과 밀착되면서 고정된다.Each of the
제1 식생부재(300)들은 수직부재(210, 220)들의 사이에 끼움 결합되기 때문에 경사면(320)의 상부에 식재되는 씨앗(20) 또는 식물(21)의 종류에 따라 제1 식생부재(300)를 회전시켜 경사면(320)의 제1 방향(1)쪽 상단부를 제1 방향(2)을 향해 돌출시키거나 제1 식생부재(300)들의 전면 및 배면이 각각 지면과 수직하게 배치되도록 위치변경이 용이하다.Since the
또한, 제1 식생부재(300)의 상단을 제1 방향(1)을 향해 이동시켜 경사면(320)의 제1 방향(1)쪽 상부 공간을 확장시키면 자라나면서 크기가 커지는 씨앗(20) 또는 식물(21)이 거치될 수 있는 공간 확보가 가능하다.In addition, when the upper end of the
제2 프레임(400)은 수직부재(410, 420)들 및 수평부재(430)를 포함한다.The
제2 프레임(400)은 제1 프레임(200)의 제2 방향(2)쪽에 이격된 상태에서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연장되는 브라켓 형태의 지지대들이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이격 배치되도록 형성되고, 상부에서 일측 또는 타측으로 연장되는 수평지지대가 상기 지지대들의 사이를 연결시키도록 형성된다.The
제2 프레임(400)은 제1 프레임(200)과 동일한 형태로 제작이 가능하고, 이 경우 제작비용이 감소되며 일부분이 파손된 경우 편리하게 유지 보수가 가능하며 부품의 보관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The
수직부재(410)의 일단 일측은 넓은 표면이 일측 및 타측을 향하는 수직판 형태로 형성되고, 일단 타측은 일단 일측의 제1 방향(1)쪽 모서리 일부분이 타측으로 절곡 및 연장되어 형성되며, 타단은 일단의 형태를 유지하면서 상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된다.One end of the
수직부재(420)의 일단 일측은 수직부재(210)의 타측에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넓은 표면이 제1 및 제2 방향(1, 2)을 향하는 수직판 형태로 형성되고, 타측은 일단 일측의 타측 모서리 일부분이 제2 방향(2)으로 절곡 및 연장되어 형성되며, 타단은 일단의 형태를 유지하며 상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된다.One end of the
수직부재(410, 420)들 각각의 일단 일측 및 타측 제2 방향(2)쪽 모서리들 사이에는 양측으로 연장되는 수직판 형태의 커버가 형성되어 수직부재(410, 420)들을 연결시키고 수직부재(410, 420)들 사이의 거리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킨다.A cover in the form of a vertical plate extending to both sides is formed between the corners of one end of each of the
수평부재(430)의 일단 하부는 넓은 표면을 형성하는 전면 및 배면 각각이 제1 및 제2 방향(1, 2)을 향한 수직판 형태로 형성되고, 일단 상부는 일단 하부의 상단모서리 일부가 수평판 형태로 제2 방향(2)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타단은 일단의 형태를 유지하면서 타측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된다.One lower end of the
수평부재(430)의 일단 하부 전면은 수직부재(410)의 타단 타측의 배면에 면결합되고, 수평부재(430)의 타단 하부 전면 일부는 수직부재(420)의 타단 일측의 제2 방향(2)쪽 배면에 면결합된다.One lower front surface of the
제2 식생부재(500)의 일단은 제1 방향(1)쪽에서 제2 방향(2) 및 상부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는 모서리들이 하부 및 상부에 형성되는 평행사변형 형태의 일측면을 가지고 일측에서 타측을 향해 연장되어 평행사변형 기둥 형태로 형성된다.One end of the
제2 식생부재(500)의 타단은 일단과 동일한 형태를 유지하면서 일단에서 타측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고, 하부 및 상부에는 경사면(510, 520)들이 형성되며, 발포고분자, 스티로폼을 포함하는 경량의 고분자 또는 금속 소재로 제작된다.The other end of the
제2 식생부재(500)는 제1 식생부재(300)보다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길게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경사면(510, 520)들의 경사도는 경사면(310, 320)들의 경사도와 동일하게 형성되거나 식재되는 씨앗(20) 또는 식물(21)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The
제1 및 제2 식생부재(300, 500)들의 높이를 다르게 하여 제1 및 제2 프레임(200, 400)들 각각에 결합시키는 경우, 사용자는 수확할 시점에 서로 다른 크기로 자라는 종류의 작물들을 수직형 수경재배장치(100)에서 수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When the heights of the first and
제2 식생부재(500)는 제2 식생부재(500)의 일단 일측면이 수직부재(410)의 일측 내측면에 밀착되고, 제2 식생부재(500)의 타단 타측면이 수직부재(420)의 타측 내측면에 밀착되면서 수직부재(410, 420)들 사이에 끼움 결합된다.In the
제2 식생부재(500)들 각각은 수직부재(410, 420)들의 사이에 해당되는 공간에서 하부에서 상부를 향해 적층 배치되고, 각각의 경사면(520)에 씨앗(20) 또는 식물(21)을 배치시킨 상태에서 상부에 제2 식생부재(500)를 추가 적층시키면 씨앗(20) 또는 식물(21)이 상부에 배치되는 제2 식생부재(500)의 경사면(510)과 밀착되면서 안정적으로 거치된다.Each of the
도 2의 확대된 도면을 참조하면, 제2 식생부재(500)들은 수직부재(410, 420)들의 사이에 끼움 결합되기 때문에 경사면(520)의 상부에 식재되는 씨앗(20) 또는 식물(21)의 종류에 따라 제2 식생부재(500)를 회전시켜 경사면(520)의 제2 방향(2)쪽 상단부를 제2 방향(2)을 향해 돌출시키거나 제2 식생부재(500)들의 전면 및 배면이 각각 지면과 수직하게 배치되도록 위치변경이 용이하다.Referring to the enlarged view of FIG. 2, since the
연결프레임(600)은 연결부재(610, 620)들을 포함한다.The
연결프레임(600)은 제1 및 제2 프레임(200, 400)들의 일측 및 타측에서 제1 또는 제2 방향(1, 2)으로 연장되는 수직판 형태로 형성되고, 제1 및 제2 프레임(200, 400)들과 결합되어 제1 및 제2 프레임(200, 400)들을 연결시킨다.The
연결부재(610)의 일단은 하부는 넒은 표면이 일측 및 타측을 향하는 수직판 형태로 형성되고, 타단은 일단의 형태를 유지하면서 일단에서 제1 방향(1)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된다.One end of the
연결부재(610)들 각각은 수직부재(210, 410)들의 타측 중앙 및 타측 상부에 이격 배치된 상태에서 연결부재(610)들 각각의 일단 및 타단이 수직부재(410, 210)들 각각의 타측 전면 및 배면에 각각 면결합된다.Each of the connecting
수직부재(210, 410)들 사이에서 수직부재(210, 410)들의 타측 상부에 배치되는 연결부재(610)의 상부 중앙의 일부분은 하부를 향해 반원형태로 함몰되어 제1 상부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상부홈에는 공급관(710)이 삽입되어 안착된다.A part of the upper center of the connecting
연결부재(620)의 일단은 넒은 표면이 일측 및 타측을 향하는 수직판 형태로 형성되고, 타단은 일단의 형태를 유지하면서 일단에서 제1 방향(1)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된다.One end of the connecting
연결부재(620)들 각각은 수직부재(220, 420)들의 일측 중앙 및 일측 상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연결부재(620)들 각각의 일단 및 타단이 하부 일측면이 수직부재(420, 220)들 각각의 일측 전면 및 배면에 면결합된다.Each of the connecting
수직부재(220, 420)들 사이에서 수직부재(220, 420)들의 타측 상부에 배치되는 연결부재(620)의 상부 중앙의 일부분은 하부를 향해 반원형태로 함몰되어 제2 상부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상부홈에는 공급관(710)이 삽입되어 안착된다.A part of the upper center of the connecting
연결부재(610, 620)들이 제1 및 제2 프레임(200, 400)들의 사이에 결합된 상태에서, 연결부재(610, 620)들의 사이에는 제1 공간(30)에서 제1 및 제2 방향(1, 2) 각각에 이격 배치되는 동일한 형태의 사각틀들이 형성되어 연결부재(610, 620)들 각각과 면결합된다.In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ng
노즐부(700)는 공급관(710) 및 노즐(720)을 포함한다.The
노즐부(700)는 제1 및 제2 프레임(200, 400) 사이에 해당되는 제1 공간(30)의 상부에 배치되고, 물 또는 양액을 공급하는 펌프와 연결되어 물 또는 양액을 단일의 노즐 또는 복수의 노즐들을 통해 제1 공간(30)으로 분사시킨다.The
공급관(710)은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연장되는 관 형태로 형성되고, 일측 또는 타측에 배치되는 펌프와 연결되며, 상기 펌프의 구동에 의해 공급되는 물 또는 양액은 공급관(710)의 내부로 이동된다.The
단일의 노즐(720)은 공급관(710)의 하부에 결합되어 공급관(710)의 내부공간과 연결되고, 복수의 노즐(720)들은 공급관(710)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된 상태에서 공급관(710)의 하부에 결합되어 공급관(710)의 내부공간과 연결된다. The
상기 펌프의 구동으로 공급관(710)으로 이동하는 물 또는 양액은 단일의 노즐(720) 또는 복수의 노즐(720)들을 통해 제1 공간(30)으로 분사되어 제1 공간(30)을 향해 자라나는 작물의 뿌리들에 물 또는 양액을 공급한다.Water or nutrient solution moving to the
양액수조부(800)는 하수판(810), 수조(820) 및 펌프(830)를 포함한다.The nutrient
양액수조부(800)는 제1 및 제2 프레임(200, 400)들의 일측에 연결되고, 제1 공간(30)의 하부로 배수되는 물 또는 양액을 어류를 양식하기 위한 물로 활용하며, 어류에 의해 오염된 물은 씨앗(20) 또는 식물(21)을 위한 양액으로 노즐부(700)에 공급시킨다.The nutrient
하수판(810)은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길게 연장된 사각용기 형태로 형성되어 제1 및 제2 프레임(200, 400)들의 하부를 둘러싸고, 제1 및 제2 식생부재(300, 500)를 따라 흘러내리면서 정수되는 물은 하수판(810)의 내부로 유입된다.The
하수판(810)은 상기 커버를 포함한 제1 및 제2 프레임(200, 400)들의 하부를 둘러싸므로, 제1 공간(30)에서 낙하하는 물 또는 양액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장점이 있다.Since the
수조(820)는 하수판(810)의 일측에 배치되고, 하수판(810)으로 유입된 정수된 물은 하수판(810)에 연결된 펌프를 통해 수조(820)의 내부로 주입되며, 수조(820) 내부에서 오염된 물은 일측에 연결된 펌프(830)를 통해 공급관(710)으로 공급된다.The
따라서, 양액수조부(800) 및 노즐부(700)를 통해 씨앗(20) 또는 식물(21)에 물 또는 양액의 공급이 가능하고, 제1 및 제2 식생부재(300, 500)들을 따라 흘러내리면서 정수된 물은 수조(820)의 내부로 이동되어 씨앗(20), 식물(21) 및 어류에 필요한 물 또는 양액의 지속적인 순환이 가능하다.Therefore, water or nutrient solution can be supplied to the
커버(905)는 사각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저면의 제1 및 제2 방향(1, 2)쪽 일부분은 수평부재(230, 430)들 각각의 상부면에 면결합되며, 측면으로 연결되어 배치되는 제1 및 제2 프레임(200, 400)들의 개수에 따라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한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The
커버(905)의 테두리쪽 저면 일부분은 수평부재(230, 430)들 및 연결부재(610, 620)들의 상부에 면접된 상태에서 제1 및 제2 프레임(200, 400)과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된다.A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toward the edge of the
본 실시예에 따른 수직형 수경재배장치(120)는 제1 및 제2 식생부재(350, 550)들을 제외하면, 도 1 및 2의 수직형 수경재배장치(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한 참조번호와 명칭을 사용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Since the vertical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형 수경재배장치(120)는 제1 및 제2 식생부재(350, 55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ure 3, the vertical
제1 식생부재(350)의 일단은 제2 방향(2)쪽에서 제1 방향(1) 및 상부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는 모서리들 각각이 하부 및 상부에 형성되는 평행사변형 형태의 일측면을 가지고, 일측에서 타측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형성된다.One end of the
제1 식생부재(350)의 타단은 일단과 동일한 형태를 유지하면서 일단에서 타측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고, 하부 및 상부에는 경사면(310, 320)들이 각각 형성되며, 발포고분자 및 스티로폼을 포함하는 경량의 고분자 또는 금속 소재로 제작된다.The other end of the
제1 식생부재(350)는 제1 식생부재(350)의 일단 일측면이 수직부재(210)의 일측 안쪽면에 밀착되고, 제1 식생부재(350)의 타단 타측면이 수직부재(220)의 타측 안쪽면에 밀착되면서 수직부재(210, 220)들 사이에 끼움 결합된다.In the
제1 식생부재(350)의 제2 방향(2)쪽 배면에 위치하고 제1 식생부재(350)의 연장 방향을 따라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원형의 배면 일부분들은 제1 방향(1) 및 상부를 향해 경사지게 함몰되어 제1 식생부재(350)의 제1 및 제2 방향(1, 2)쪽 공간들을 연결하는 통로(352)들로 형성된다.Parts of the circular rear surface loca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direction (2) side of the
제2 식생부재(550)의 일단은 제1 방향(1)쪽에서 제2 방향(2) 및 상부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는 모서리들이 하부 및 상부에 형성되는 평행사변형 형태의 일측면을 가지고, 일측에서 타측을 향해 연장되어 평행사변형 기둥 형태로 형성된다.One end of the
제2 식생부재(550)의 타단은 일단과 동일한 형태를 유지하면서 일단에서 타측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고, 하부 및 상부에는 경사면(510, 520)들이 형성되며, 스티로폼을 포함하는 경량의 고분자 또는 금속 소재로 제작된다.The other end of the
제2 식생부재(550)는 제1 식생부재(350)보다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길게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경사면(510, 520)들의 경사도는 경사면(310, 320)들의 경사도와 동일하게 형성되거나 식재되는 씨앗(20) 또는 식물(21)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The
제2 식생부재(550)의 제1 방향(1)쪽 전면에 위치하고 제2 식생부재(550)의 연장 방향을 따라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원형의 전면 일부분들은 제2 방향(2) 및 상부를 향해 경사지게 함몰되어 제2 식생부재(550)의 제1 및 제2 방향(1, 2)쪽 공간들을 연결하는 통로(552)들로 형성된다.Circular front parts loca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씨앗(20) 또는 재배용 식물(21)은 통로(352, 552)들에 삽입되어 식재가 가능하고, 통로(352, 552)들에서 자라나는 작물은 뿌리가 제1 공간(30)으로 늘어나며, 잎들은 제1 및 제2 식생부재(350, 550)들 각각의 제1 및 제2 방향(1, 2)쪽 공간들 각각을 향해 자라난다.The
따라서, 제1 및 제2 식생부재(350, 550)에 형성된 통로(352, 552)들을 통해 제1 및 제2 식생부재(350, 550)들에 식재되고 수확되는 작물의 생산성이 증가하는 장점이 있다.Therefore, through the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형 수경재배장치(100)는 제1 및 제2 프레임(200, 400)들의 사이에 해당되는 제1 공간(30)의 일측 및 타측에 제1 식생부재(300) 또는 제2 식생부재(500)를 재단하여 형성되는 제3 식생부재들을 거치시킬 수 있다.As shown in FIG. 4, the vertical
상기 제3 식생부재들은 제1 또는 제2 식생부재(300, 500)들 중 어느 하나의 일단 및 타단쪽에 해당되는 부분을 재단하여 제작되고, 상기 제3 식생부재들은 제1 및 제2 프레임(200, 400)의 사이에 끼움 결합되며, 상하부로 적층된 제1 또는 제2 식생부재(300, 500)들 각각의 사이에서 씨앗(20) 또는 식물(21)의 재배가 가능하다.The third vegetation members are manufactured by cutting a portion corresponding to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any one of the first or second vegetation members (300, 500), and the third vegetation members are first and second frames (200). , 400), it is possible to grow
짧게 재단된 상기 제3 식생부재들은 제1 공간(30)의 일측 및 타측에 배치되어 제1 공간(30)을 밀폐시키므로, 노즐(720)들을 통해 분사되는 양액 또는 물이 제1 공간(30)을 벗어나지 않고 제1 공간(30)에서 온전히 씨앗(20) 또는 식물(21)로 분사되는 장점이 있다.The short-cut third vegetation members are dispos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represent all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is no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various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that can replace them at the time of this applica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in all respect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120: 수직형 수경재배장치 200: 제1 프레임
300, 350: 제1 식생부재 400: 제2 프레임
500: 제2 식생부재 600: 연결프레임
700: 노즐부 800: 양액수조부100, 120: vertical hydroponic cultivation device 200: first frame
300, 350: first vegetation member 400: second frame
500: second vegetation member 600: connection frame
700: nozzle unit 800: nutrient solution tank unit
Claims (6)
상기 제1 프레임에 거치되어 상하부로 적층되는 제1 식생부재들;
상기 제1 프레임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형성되는 노즐부;
상부 또는 하부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제2 수직부재들이 상기 제1 수직부재들 각각의 후방에 이격 배치되며 상하부로 적층된 제2 식생부재들과 탈부착 결합되는 제2 프레임; 및
상기 제1 수직부재들 및 제2 수직부재들 각각의 사이에 거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식생부재들과 함께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둘러싸는 제3 식생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노즐부에서 분사되는 수분이 상기 제1 식생부재들 사이에 배치되는 식물 또는 씨앗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수경재배장치.
A first frame in which first vertical members spaced apart from one side and the other side are formed;
First vegetation members mounted on the first frame and stacked vertically;
a nozzle unit disposed above the first frame;
A second frame in which second vertical members extending upward or downwar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the rear of the first vertical members and are detachably coupled with the second vegetation members stacked vertically; and
A third vegetation member mounted between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vertical members and surrounding a space form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frames together with the first and second vegetation members; includes do,
Vertical hydroponic cultiv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water sprayed from the nozzle unit is supplied to plants or seeds disposed between the first vegetation member.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바 형태로 연장되어 상기 제1 수직부재들의 사이에 끼움 결합되고, 상부면 및 저면에 전방 및 상부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수경재배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each of the first vegetation members,
Vertical hydroponic cultiv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extending in the form of a bar toward one side or the other side is fitted between the first vertical members, the upper surface and the bottom surface is formed with an inclined surface extending obliquely toward the front and the top.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의 사이에 배치되는 공급관; 및
상기 공급관의 하부에 결합되는 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수경재배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nozzle unit,
a supply pipe dis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frames; and
Vertical hydroponic cultivation apparatus comprising a; nozzle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ly pipe.
배면의 일부분이 전방 상부를 향해 경사지게 함몰되어 전면 및 배면을 연결하는 통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수경재배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vegetation member,
A vertical hydroponic cultiv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portion of the rear surface is recessed obliquely toward the front upper portion to form a passage connecting the front and rear surfac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07488 | 2020-08-26 | ||
KR20200107488 | 2020-08-26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26982A KR20220026982A (en) | 2022-03-07 |
KR102479560B1 true KR102479560B1 (en) | 2022-12-21 |
Family
ID=80817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15543A KR102479560B1 (en) | 2020-08-26 | 2020-09-09 | Vertical type water culture apparatu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79560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132575A (en) | 2023-02-27 | 2024-09-04 | 주식회사 흙지움 | Rotating vertical plant cultivation system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NO347966B1 (en) * | 2022-11-24 | 2024-06-03 | Autostore Tech As | Vertical farming system, a growth frame and framework structure for the vertical farming system, and a method of providing a root chamber in the vertical farming system |
CN118172664B (en) * | 2024-03-08 | 2024-10-29 | 中化现代农业有限公司 |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soybean harvesting period,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30101645A1 (en) | 2001-12-04 | 2003-06-05 | Robert Cole | Hydroponic growing enclosure and method for the fabrication of animal feed grass from seed |
KR101033007B1 (en) * | 2010-07-30 | 2011-05-09 | 주식회사 에프씨포이베 | Nutriculture plate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85979Y1 (en) * | 2016-08-17 | 2018-03-19 | 주식회사 리본인터내셔널 | Standing Fog-culturing Apparatus |
KR20180001195U (en) * | 2016-10-20 | 2018-04-30 | 윤효종 | Standing Fog-culturing Apparatus |
KR20190005411A (en) * | 2017-07-06 | 2019-01-16 | 주식회사 애그로닉스 | Water culture unit using pectinate frame and fiber bed |
KR20190080998A (en) * | 2017-12-28 | 2019-07-09 | 농업회사법인에코그로잉주식회사 | aeroponics cultivation |
KR102186207B1 (en) * | 2018-10-22 | 2020-12-03 |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그린 | Hydroponics apparatus |
KR102186208B1 (en) * | 2018-10-22 | 2020-12-03 |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그린 | Hydroponics apparatus |
KR102243168B1 (en) * | 2019-05-07 | 2021-04-21 | 김준형 | Plant cultivation equipment |
-
2020
- 2020-09-09 KR KR1020200115543A patent/KR102479560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30101645A1 (en) | 2001-12-04 | 2003-06-05 | Robert Cole | Hydroponic growing enclosure and method for the fabrication of animal feed grass from seed |
KR101033007B1 (en) * | 2010-07-30 | 2011-05-09 | 주식회사 에프씨포이베 | Nutriculture plate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132575A (en) | 2023-02-27 | 2024-09-04 | 주식회사 흙지움 | Rotating vertical plant cultivation system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26982A (en) | 2022-03-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505238B2 (en) | Vertical aeroponic plant growing system | |
KR102479560B1 (en) | Vertical type water culture apparatus | |
US5826375A (en) | Modular planter system | |
US20120000128A1 (en) | Modular hydroponic growing unit | |
US20110219689A1 (en) | Botanical Arrangement and Display Apparatus | |
US20160135398A1 (en) | Vertical growing system and method | |
FI125733B (en) | VERTICAL PLANTING PLANT FOR CULTIVATING PLANTS | |
TW403628B (en) | Plant cultivation apparatus | |
KR101510463B1 (en) | Multi layer flowerpot | |
JP2010523129A (en) | Hydroponics system | |
US20220000050A1 (en) | Container unit and container assembly for hydroponics | |
JP4928992B2 (en) | Bottom irrigation water supply panel, cultivation pot for the panel, and cultivation system using them | |
JP4948034B2 (en) | Tomato cultivation method and apparatus | |
KR100788273B1 (en) | Seedling-raising apparatus of automatic bottom irrigation | |
KR20220091077A (en) | Hydroponics apparatus | |
CN201267124Y (en) | Stepped three-dimensional cultivation rack | |
CN208258685U (en) | Multifunctional lighting planter units | |
JP4507444B2 (en) | Plant hydroponics equipment | |
CN214046858U (en) | Seedling growing device for landscaping | |
CN108651267A (en) | A kind of Multifunctional lighting planter units | |
CN211090974U (en) | Seedling raising bed for landscaping nursery stocks | |
CN209546533U (en) | A kind of stereo assembled soilless-culture equipment | |
CN208370564U (en) | Multifunctional lighting plants pallet assembly | |
CA2284389C (en) | Modular planter system | |
CN220630506U (en) | Plant hydroponic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