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9314B1 - 나선 악보, 나선 악보 제공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나선 악보, 나선 악보 제공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9314B1
KR102479314B1 KR1020210032874A KR20210032874A KR102479314B1 KR 102479314 B1 KR102479314 B1 KR 102479314B1 KR 1020210032874 A KR1020210032874 A KR 1020210032874A KR 20210032874 A KR20210032874 A KR 20210032874A KR 102479314 B1 KR102479314 B1 KR 1024793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iral
sheet music
sound data
note
diffe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28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28168A (ko
Inventor
이기준
노준탁
우한결
이재혁
이혜준
장지호
추장우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2100328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9314B1/ko
Priority to US17/475,661 priority patent/US20220293072A1/en
Publication of KR202201281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81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93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93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0008Associated control or indicating means
    • G10H1/0025Automatic or semi-automatic music composition, e.g. producing random music, applying rules from music theory or modifying a musical piec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GREPRESENTATION OF MUSIC; RECORDING MUSIC IN NOTATION FORM; ACCESSORIES FOR MUSIC OR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UPPORTS
    • G10G1/00Means for the representation of music
    • G10G1/02Chord or note indicators, fixed or adjustable, for keyboard of fingerboard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GREPRESENTATION OF MUSIC; RECORDING MUSIC IN NOTATION FORM; ACCESSORIES FOR MUSIC OR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UPPORTS
    • G10G1/00Means for the representation of music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GREPRESENTATION OF MUSIC; RECORDING MUSIC IN NOTATION FORM; ACCESSORIES FOR MUSIC OR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UPPORTS
    • G10G1/00Means for the representation of music
    • G10G1/04Transposing; Transcribing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GREPRESENTATION OF MUSIC; RECORDING MUSIC IN NOTATION FORM; ACCESSORIES FOR MUSIC OR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UPPORTS
    • G10G3/00Recording music in notation form, e.g. recording the mechanical operation of a musical instrument
    • G10G3/04Recording music in notation form, e.g. recording the mechanical operation of a musical instrument using electrical mea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0008Associated control or indicating mea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6Accompaniment arrangements
    • G10H1/38Chord
    • G10H1/383Chord detection and/or recognition, e.g. for correction, or automatic bass generatio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10/00Aspects or methods of musical processing having intrinsic musical character, i.e. involving musical theory or musical parameters or relying on musical knowledge, as applied in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10/005Musical accompaniment, i.e. complete instrumental rhythm synthesis added to a performed melody, e.g. as output by drum machin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10/00Aspects or methods of musical processing having intrinsic musical character, i.e. involving musical theory or musical parameters or relying on musical knowledge, as applied in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10/031Musical analysis, i.e. isolation, extraction or identification of musical elements or musical parameters from a raw acoustic signal or from an encoded audio signal
    • G10H2210/086Musical analysis, i.e. isolation, extraction or identification of musical elements or musical parameters from a raw acoustic signal or from an encoded audio signal for transcription of raw audio or music data to a displayed or printed staff representation or to displayable MIDI-like note-oriented data, e.g. in pianoroll format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10/00Aspects or methods of musical processing having intrinsic musical character, i.e. involving musical theory or musical parameters or relying on musical knowledge, as applied in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10/101Music Composition or musical creation; Tools or processes therefor
    • G10H2210/105Composing aid, e.g. for supporting creation, edition or modification of a piece of music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10/00Aspects or methods of musical processing having intrinsic musical character, i.e. involving musical theory or musical parameters or relying on musical knowledge, as applied in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10/395Special musical scales, i.e. other than the 12- interval equally tempered scale; Special input devices therefor
    • G10H2210/401Microtonal scale; i.e. continuous scale of pitches, also interval-free input devices, e.g. continuous keyboards for violin, singing voice or trombone synthesi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10/00Aspects or methods of musical processing having intrinsic musical character, i.e. involving musical theory or musical parameters or relying on musical knowledge, as applied in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10/571Chords; Chord sequences
    • G10H2210/616Chord seventh, major or minor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10/00Aspects or methods of musical processing having intrinsic musical character, i.e. involving musical theory or musical parameters or relying on musical knowledge, as applied in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10/571Chords; Chord sequences
    • G10H2210/621Chord seventh dominant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005Non-interactive screen display of musical or status data
    • G10H2220/015Musical staff, tablature or score displays, e.g. for score reading during a performanc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021Indicator, i.e. non-screen output user interfacing, e.g. visual or tactile instrument status or guidance information using lights, LEDs, seven segments displays
    • G10H2220/026Indicator, i.e. non-screen output user interfacing, e.g. visual or tactile instrument status or guidance information using lights, LEDs, seven segments displays associated with a key or other user input device, e.g. key indicator lights
    • G10H2220/036Chord indicators, e.g. displaying note fingering when several notes are to be played simultaneously as a chord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091Graphical user interface [GUI]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e.g. interactive musical displays, musical instrument icons or menus; Details of user interactions therewith
    • G10H2220/101Graphical user interface [GUI]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e.g. interactive musical displays, musical instrument icons or menus; Details of user interactions therewith for graphical creation, edition or control of musical data or parameters
    • G10H2220/131Graphical user interface [GUI]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e.g. interactive musical displays, musical instrument icons or menus; Details of user interactions therewith for graphical creation, edition or control of musical data or parameters for abstract geometric visualisation of music, e.g. for interactive editing of musical parameters linked to abstract geometric figur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155User input interfaces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2220/441Image sensing, i.e. capturing images or optical patterns for musical purposes or musical control purpos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50/00Aspects of algorithms or signal processing methods without intrinsic musical character, yet specifically adapted for or used in electrophonic musical processing
    • G10H2250/131Mathematical functions for musical analysis, processing, synthesis or composition
    • G10H2250/151Fuzzy logic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50/00Aspects of algorithms or signal processing methods without intrinsic musical character, yet specifically adapted for or used in electrophonic musical processing
    • G10H2250/131Mathematical functions for musical analysis, processing, synthesis or composition
    • G10H2250/215Transforms, i.e. mathematical transforms into domains appropriate for musical signal processing, coding or compression
    • G10H2250/235Fourier transform; Discrete Fourier Transform [DFT]; Fast Fourier Transform [FFT]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50/00Aspects of algorithms or signal processing methods without intrinsic musical character, yet specifically adapted for or used in electrophonic musical processing
    • G10H2250/311Neural networks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or musical processing, e.g. for musical recognition or control, automatic composition or improvis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usic (AREA)
  • Shaping Of Tube Ends By Bending Or Straightening (AREA)

Abstract

음의 높낮이에 기반하여 서로 다른 음이 나선의 서로 다른 위치에 표시되는 나선 악보, 나선 악보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나선 악보 제공 장치는 음의 높낮이에 기반하여 서로 다른 음이 나선의 서로 다른 위치에 표시되는 나선 악보 및 음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음 데이터의 주파수에 기초하여 나선 악보 내 나선 상에서 음 데이터에 관련된 음표 위치를 결정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나선 악보, 나선 악보 제공 장치 및 방법{SPIRAL MUSIC SHEET,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SPIRAL MUSIC SHEET}
본 발명은 음의 높낮이에 기반하여 서로 다른 음이 나선의 서로 다른 위치에 표시되는 나선 악보, 나선 악보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악보 표시 방법(이하, "기보법"으로 호칭될 수 있음)에서 음(音)은 기본적으로 높이와 길이로 표현된다.
예를 들어, 서양 기보법의 경우 각기 다른 음의 길이를 나타내는 음표들을 음의 높낮이를 표시하는 5개의 선 위에 배치함으로써 음들을 기록하는 오선 악보를 사용한다.
오선 악보는 서양 악기의 발전과 함께 만들어져서 피아노 등 건반 악기의 연주에 최적화되어 있다. 즉, 흰 건반은 오선 악보에서 한 줄위에 또는 줄과 줄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게 되고, 검은 건반은 샵(#)이나 플랫(b)기호를 사용하지 않고서는 나타낼 수 없다.
또한, 오선 악보에서는 한 칸 차이가 상황에 따라 온음 또는 반음이 되므로, 3도씩 네 개의 음을 쌓아 7화음을 구성할 때, 샵이나 플랫기호를 사용하지 않고서는 장7화음, 단7화음, 딸림7화음, 반감7화음 등을 구별하여 표현할 수가 없다.
선행기술(등록특허 제10-0621825호)은 기초선, 중앙선, 보조선에 기초하여 샵이나 플랫을 사용하지 않고도 모든 음을 표시할 수 있는 악보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선행문헌은 표시할 수 있는 음을 확장하기 위해 오선 악보보다 많은 선을 추가 함에 따라, 악보에 표현된 음을 사용자(예컨대, 연주자)가 직관적으로 인지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고, 이러한 악보에 화음이 표현된 경우에는 사용자가 화음을 인지하기가 더욱 어렵다.
따라서, 샵이나 플랫기호를 사용하지 않고도 모든 음(또는, 화음)을 쉽게 표현할 수 있고, 사용자로 하여금 음(또는, 화음)을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게 하는 기보법이 필요하다.
선행기술: 등록특허공보 제10-0621825호(2006.09.01 등록)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음의 높낮이에 기반하여 서로 다른 음이 나선의 서로 다른 위치에 표시되는 나선 악보를 통해, 샵이나 플랫기호를 사용하지 않고도 모든 음을 표시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음표의 위치에 기반하여 음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화음에 해당하는, 복수의 음 데이터 각각의 크기 및 위상각에 대응하는 나선 상의 지점을 음표 위치로 결정하고, 결정된 음표 위치에 각각 음표를 표시함으로써, 음표 간의 위치 차이를 통해 화음을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복수의 옥타브 내 음 데이터들을 표시할 수 있는 나선 악보를 제공함으로써, 1옥타브 이상 차이가 나는 음들을 표시하기 어려운 기존 악보와 달리, 다양한 음들을 표시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12음계에 기반한 음들 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주파수를 지니는 사이음들도 나선 악보에 표시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악기에서 연주되는 소리로부터 획득한 배음을 나선 악보에 표시하여 제공함으로써, 악기의 음색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기존 악보로부터 음 데이터를 생성하고, 음 데이터에 관련된 음표를 표시한 나선 악보를 제공함으로써, 기존 악보를 나선 악보로 쉽게 변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음의 높낮이에 기반하여 서로 다른 음이 나선의 서로 다른 위치에 표시되는 나선 악보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음의 높낮이에 기반하여 서로 다른 음이 나선의 서로 다른 위치에 표시되는 나선 악보 및 음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음 데이터의 주파수에 기초하여 나선 악보 내 나선 상에서 음 데이터에 관련된 음표 위치를 결정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나선 악보 제공 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서로 다른 음이 서로 다른 위치에 표시되는 나선과, 음의 높낮이에 기반하여 나선에 표시된 음표를 포함하고, 나선은 평면 상에서 소용돌이 형태로 표시되는, 나선 악보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나선 악보 제공 장치에 의해 구현되는 나선 악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나선 악보 제공 장치에서, 음의 높낮이에 기반하여 서로 다른 음이 나선의 서로 다른 위치에 표시되는 나선 악보 및 음 데이터를 메모리에 유지하는 단계와, 나선 악보 제공 장치에서, 음 데이터의 주파수에 기초하여 나선 악보 내 나선 상에서 음 데이터에 관련된 음표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나선 악보 제공 방법일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음의 높낮이에 기반하여 서로 다른 음이 나선의 서로 다른 위치에 표시되는 나선 악보를 통해, 샵이나 플랫기호를 사용하지 않고도 모든 음을 표시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음표의 위치에 기반하여 음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화음에 해당하는, 복수의 음 데이터 각각의 크기 및 위상각에 대응하는 나선 상의 지점을 음표 위치로 결정하고, 결정된 음표 위치에 각각 음표를 표시함으로써, 음표 간의 위치 차이를 통해 화음을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복수의 옥타브 내 음 데이터들을 표시할 수 있는 나선 악보를 제공함으로써, 1옥타브 이상 차이가 나는 음들을 표시하기 어려운 기존 악보와 달리, 다양한 음들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12음계에 기반한 음들 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주파수를 지니는 사이음들도 나선 악보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악기에서 연주되는 소리로부터 획득한 배음을 나선 악보에 표시하여 제공함으로써, 악기의 음색을 시각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기존 악보로부터 음 데이터를 생성하고, 음 데이터에 관련된 음표를 표시한 나선 악보를 제공함으로써, 기존 악보를 나선 악보로 쉽게 변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나선 악보 제공 장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환경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나선 악보 제공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나선 악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나선 악보 제공 장치에서 나선 악보에 화음을 표시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나선 악보 제공 장치에서 나선 악보에 화음을 표시하는 다른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나선 악보 제공 장치에서 나선 악보에 배음을 표시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나선 악보의 다른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나선 악보 제공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되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아래에서 제시되는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아래에 제시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나선 악보 제공 장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환경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나선 악보 제공 장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환경(100)은 입력 장치(110), 나선 악보 제공 장치(120), 출력 장치(130) 및 네트워크(140)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110)는 예컨대, 마이크, 카메라, 태블릿 PC(Personal Computer), 스캐너 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입력 장치(110)는 마이크 또는 카메라일 경우, 외부의 소리(예컨대, 악기에서 연주되는 소리)를 입력받아, 나선 악보 제공 장치(120)에 전송할 수 있다.
입력 장치(110)는 카메라 또는 스캐너일 경우, 악보(예컨대, 오선 악보, 나선 악보)를 촬영 또는 스캔하여 악보 이미지를 생성하고, 악보 이미지를 나선 악보 제공 장치(12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입력 장치(110)는 태블릿 PC일 경우, 태블릿 PC에 보관되거나 작성된 악보 이미지(또는, 악보 파일)를 나선 악보 제공 장치(120)에 전송할 수 있다.
나선 악보 제공 장치(120)는 입력 장치(110)로부터 소리가 수신되면, 소리로부터 주파수를 추출하고, 주파수에 기초하여 음 데이터를 생성하여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음 데이터는 해당 음에 대한 디지털 정보일 수 있으며, 소리로부터 추출된 주파수, 음 데이터의 박자 및 세기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와 함께,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음 데이터는 악보 형식에 적합하게 악보에서 해당 음의 위치를 데이터로 저장한 형태일 수 있다.
나선 악보 제공 장치(120)는 입력 장치(110)로부터 악보 이미지(또는, 악보 파일)가 수신되면, 악보 이미지(또는, 악보 파일)로부터 음표를 추출하고, 음표 위치에 기초하여 음 데이터를 생성하여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나선 악보 제공 장치(120)는 예컨대, 음표의 형태 및 색상에 기초하여 음 데이터의 박자 및 세기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더 생성하여, 음 데이터와 함께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나선 악보 제공 장치(120)는 악보 이미지(또는, 악보 파일) 내 악보가 오선 악보 또는 나선 악보인지를 식별하고, 식별된 악보의 기설정된 음표 표시 기준에 기초하여 음 데이터(또는, 박자, 세기)를 생성할 수 있다.
나선 악보 제공 장치(120)는 음 데이터의 주파수에 기초하여 나선 악보 내 나선 상에서, 음 데이터에 관련된 음표 위치를 결정하고, 음표 위치에 음 데이터에 관련된 음표를 표시한 나선 악보를 출력 장치(13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나선 악보 제공 장치(120)는 음 데이터의 박자 및 세기에 기초하여 음표의 형태 및 색상을 상이하게 표시할 수 있다.
나선 악보 제공 장치(120)는 소리로부터 생성된 음 데이터를 나선 악보에 표시하여 출력 장치(130)에 전송함으로써, 연주 현장에서 획득한 소리를 나선 악보로 용이하게 표현할 수 있다.
또한, 나선 악보 제공 장치(120)는 악보 이미지(또는, 악보 파일)로부터 생성된 음 데이터를 나선 악보에 표시하여 출력 장치(130)에 전송함으로써, 미리 작성되거나 편집된 악보의 전달뿐 아니라, 기존의 오선 악보를 나선 악보로 용이하게 변환하여 제공할 수 있다.
출력 장치(130)는 예컨대, 디스플레이 장치(예컨대, 태블릿 PC, 노트북)일 수 있으며, 나선 악보 제공 장치(120)로부터 수신한 나선 악보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입력 장치(110) 및 출력 장치(130)는 나선 악보 제공 장치(120)의 외부에 위치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입력 장치(110) 및 출력 장치(130) 내 적어도 일부의 구성이 나선 악보 제공 장치(120)의 내부에 포함될 수 있다.
네트워크(140)는 입력 장치(110), 나선 악보 제공 장치(120) 및 출력 장치(130)를 연결할 수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140)는 예컨대, LANs(local area networks), WANs(Wide area networks), MANs(metropolitan area networks), ISDNs(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s) 등의 유선 네트워크나, 무선 LANs, CDMA, 블루투스, 위성 통신 등의 무선 네트워크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네트워크(140)는 근거리 통신 및/또는 원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 통신은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wideband), ZigBee, Wi-Fi(Wireless fidelity) 기술을 포함할 수 있고, 원거리 통신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기술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나선 악보 제공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나선 악보 제공 장치(200)는 입력부(210), 프로세서(220), 출력부(230) 및 메모리(240)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210)는 예컨대, 마이크, 카메라, GUI(Graphical User Interfac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210)는 예컨대, 마이크 또는 카메라를 통해 외부의 소리를 입력 받거나, GUI(예컨대, 마우스, 터치 펜)를 통해 작성(편집)된 악보(예컨대, 오선 악보, 나선 악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입력부(210)에서 입력된 소리 또는 악보에 기초하여 음 데이터를 생성하고, 음 데이터를 메모리(240)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220)는 입력부(210)를 통해 입력된 소리로부터 주파수를 추출하고, 주파수에 기초하여 음 데이터를 생성하여 메모리(240)에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소리로부터 음 데이터의 박자 및 세기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더 추출하여 음 데이터와 함께 메모리(240)에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음 데이터의 주파수에 기초하여 나선 악보 내 나선 상에서 음 데이터에 관련된 음표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나선 악보는 2차원 극좌표 복소평면에 매칭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220)는 입력부(210)에서 입력된 소리로부터 생성되거나, 또는 메모리(240)로부터 획득한 음 데이터의 주파수에 기초하여 극좌표 복소평면에서의 음 데이터에 관한 크기 및 위상각을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음 데이터는 예컨대, 12음계(예컨대, C, C#, D, D#, E, F, F#, G, G#, A, A#, B) 중 어느 하나의 음에 관한 데이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각 음계 사이의 사이음에 관한 데이터일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음 데이터를 극좌표 복소평면에 매칭시켜, [수학식 1]의 복소수 형태로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21029646723-pat00001
프로세서(220)는 [수학식 2]에 의해, 음 데이터에 관한 크기(
Figure 112021029646723-pat00002
) 및 위상각(
Figure 112021029646723-pat00003
)을 산출할 수 있다.
Figure 112021029646723-pat00004
여기서,
Figure 112021029646723-pat00005
는 음 데이터에 관한 크기를 의미하고,
Figure 112021029646723-pat00006
는 가청주파수가 극좌표 복소평면에서 차지하는 범위를 정하기 위해 기설정된 임의의 상수이다.
Figure 112021029646723-pat00007
는 음 데이터의 주파수이다.
또한,
Figure 112021029646723-pat00008
는 음 데이터에 관한 위상각을 의미하고,
Figure 112021029646723-pat00009
는 위상각(
Figure 112021029646723-pat00010
)가 0이 되는 주파수로서, 기설정될 수 있다.
[수학식 2]에서, 음 데이터에 관한 크기(
Figure 112021029646723-pat00011
)는 음이 높아질수록 작아지고, 위상각(
Figure 112021029646723-pat00012
)은 음이 높아질수록 반시계방향으로 증가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 데이터에 관한 크기(
Figure 112021029646723-pat00013
)가 주파수에 비례하도록 하여, 음이 낮아질수록 작아지거나, 위상각(
Figure 112021029646723-pat00014
)이 음이 낮을수록 시계방향으로 증가하도록 [수학식 2]가 변형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음 데이터의 크기 및 위상각에 대응하는 나선 상의 지점을 음 데이터에 관련된 음표 위치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음표 위치는 나선의 중심점을 중심으로 서로 이격되어 방사형으로 배치되고, 상이한 음계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방사선과 나선이 교차하는 복수의 지점 중 어느 하나로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방사선은 예컨대, C, C#, D, D#, E, F, F#, G, G#, A, A# 및 B에 대응하는 12개의 방사선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30°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동일한 옥타브 내의 서로 다른 음 데이터들의 음표 위치들은 중심점으로부터의 거리 및 위상각이 서로 다른 음표 위치들로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동일한 옥타브 내의 D의 음표 위치와 F의 음표 위치는 중심점으로부터의 거리 및 위상각이 서로 다른 음표 위치들로 결정될 수 있다. 이때, F의 음표 위치에 대한 중심점으로부터의 거리는 D의 음표 위치에 대한 중심점으로부터의 거리보다 작고, F의 음표 위치에 대한 위상각은 D의 음표 위치에 대한 위상각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옥타브만 서로 다른 옥타브 음 데이터들의 각 음표 위치들은 중심점으로부터의 거리가 상이하고, 위상각이 동일한 음표 위치들로 결정될 수 있다. 즉, 옥타브만 서로 다른 옥타브 음 데이터들의 각 음표 위치들은 위상각이 동일함에 따라, 나선과 교차하는 동일한 방사선 상의 지점들일 수 있다.
여기서, 옥타브만 서로 다른 옥타브 음 데이터들은 예컨대, 1옥타브 차이가 나는 낮은 C(C3)와 가온 C(C4)를 의미하거나, 1옥타브 차이가 나는 가온 C와 높은 C(C5)를 의미할 수 있다. 이때, 낮은 C의 음표 위치에 대한 중심점으로부터의 거리는 가온 C의 음표 위치에 대한 중심점으로부터의 거리의 2배일 수 있다. 즉, 중심점에 근접할수록 해당 음 데이터는 상대적으로 높은 음일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음표 위치에 음 데이터와 관련된 음표를 표시한 나선 악보를 출력부(23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나선 악보 내 복수의 방사선 중, 반음과 관련된 방사선은 다른 방사선과 상이한 색상 또는 상이한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즉, 프로세서(220)는 복수의 방사선 중, 오선 악보에서 샵(#) 또는 플랫(b)로 표현되는 음계와 연관된 방사선을 다른 방사선과 상이한 색상 또는 형태로 표시함으로써, 반음과 관련된 음 데이터를 쉽게 인지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반음과 관련된 음 데이터는 예컨대, C#, D#, F#, G#, A#로서, 피아노의 검은 건반(반음 건반)에 해당하는 음 데이터이고, 반음과 관련되지 않은 다른 방사선은 예컨대, C, D, E, F, G, A, B로서, 피아노의 흰 건반(온음 건반)에 해당하는 음 데이터일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화음에 해당하는, 복수의 음 데이터가 생성(획득)될 경우, 복수의 음 데이터 각각의 크기 및 위상각에 대응하는 나선 상의 지점을 음표 위치로 결정하고, 결정된 음표 위치에 각각 음표를 표시함으로써, 음표 간의 위치 차이를 통해 화음을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프로세서(220)는 음 데이터의 박자에 기초하여, 음표를 나선 악보에 상이하게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220)는 음 데이터의 박자가 1박자일 경우, 1박자에 대응하는 형태의 음표를 나선 악보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음 데이터의 박자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게 한다. 이때, 프로세서(220)는 음 데이터의 세기에 기초하여 음표의 색상을 상이하게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220)는 상대적으로 강한 세기의 음 데이터에 관련된 음표에 대해 상대적으로 약한 세기의 음 데이터에 관련된 음표보다 진한 색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20)는 출력부(230)를 통해, 2차원의 나선 악보를 제공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3차원의 나선 악보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220)는 평면 상의 나선과 수직인 방향(시간 축 방향)으로, 나선이 연장된 3차원의 롤 형태인, 나선 악보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220)는 음 데이터의 박자만큼, 음표의 길이를 나선과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하여 나선 악보에 표시할 수 있다.
3차원의 나선 악보 제공시, 프로세서(220)는 3D 렌더링 소프트웨어(rendering software)를 지원하여, 3차원의 나선 악보를 다양한 방향으로 돌려가면서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220)는 복수의 음 데이터가 포함된 음악의 진행에 따라, 나선 악보 상의 음표들이 생겨나고 지워지기를 반복하도록 하여, 시간 흐름에 따라 유효한 음표들(음악의 진행 시점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시간 내에 해당하는 음표들)만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해당 음표들을 쉽게 인지할 수 있게 한다.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20)는 입력부(210)를 통해 입력된 소리를 푸리에 변환하여, 서로 다른 주파수를 갖는 복수의 음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음 데이터는 진동수가 배수 관계를 갖는 배음(harmonics)일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배음에 해당하는 복수의 음 데이터 각각의 크기 및 위상각에 대응하는 나선 상의 지점을 음표 위치로 결정하고, 결정된 음표 위치에 각각 음표를 표시함으로써, 악기의 음색을 시각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220)는 배음에 해당하는 복수의 음 데이터가 동일한 주파수(예컨대, 440Hz)를 갖더라도, 복수의 음 데이터의 파형이 상이함에 따라 달라지는 음색을 표현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220)는 장치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배음 기능이 활성화된 경우에 한하여 배음을 나선 악보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20)는 복수의 음 데이터에 기초하여 악기의 종류를 식별할 수 있으며, 나선 악보에 악기의 종류를 함께 표시하여, 복수의 음 데이터에 적합한 악기를 추천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20)는 복수의 음 데이터(또는, 나선 악보)에 대한 소리 출력 요청에 따라, 출력부(230)를 통해 복수의 음 데이터에 대응하는 악기의 연주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230)는 예컨대, 디스플레이, 스피커일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는 프로세서(220)의 제어에 따라, 각 음 데이터의 음표 위치에 음표를 표시한 나선 악보를 표시할 수 있다.
메모리(240)는 음의 높낮이에 기반하여 서로 다른 음이 나선의 서로 다른 위치에 표시되는 나선 악보 및 음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240)는 음 데이터의 박자, 세기 및 주파수 중 적어도 하나를 더 저장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나선 악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나선 악보(300)는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선(310) 및 음표(320)를 포함할 수 있다.
나선(310)은 예컨대, 평면 상에서 중심점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소용돌이 형태로 진행하는 형식으로 표시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음이 서로 다른 위치에 표시될 수 있다.
음표(320)는 음의 높낮이에 기반하여 나선(310)에 표시될 수 있다. 음표(320)는 중심점(330)을 중심으로 서로 이격되어 방사형으로 배치되고, 상이한 음계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방사선(340)과 나선이 교차하는 복수의 지점들 중 어느 하나에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음표(320)가 중심점(330)에 가까이 위치할수록 높은 음에 해당할 수 있다.
이때, 동일한 옥타브 내의 서로 다른 음에 관련된 제1 음표(320-1) 및 제2 음표(320-2)는 중심점(330)으로부터의 거리(321-1, 321-2) 및 위상각(322-1, 322-2)이 서로 다른 지점들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옥타브만 서로 다른 옥타브 음(옥타브 음 데이터)에 관련된 제1 음표(320-1) 및 제3 음표(320-3)는 중심점(330)으로부터의 거리가 상이하고, 위상각이 동일한 지점들에 표시될 수 있다. 즉, 제1 음표(320-1) 및 제3 음표(320-3)는 이격되어 동일한 방향에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제3 음표(320-3)에 대한 중심점(330)으로부터의 거리는 제1 음표(320-1)에 대한 중심점(330)으로부터의 거리보다 2배일 수 있다.
나선 악보(300)는 다수의 옥타브 내의 음에 관련된 음표를 표시할 수 있게 함으로써, 기존의 악보에서 옥타브 차이가 나는 음들을 함께 표시할 수 없는 부분을 해결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나선 악보(300) 내 복수의 방사선 중, 일부 방사선은 다른 방사선과 구별되도록 표시될 수 있다. 예컨대, 나선 악보(300)에서, 대응하는 음계가 반음과 관련된 방사선(340-1)은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방사선과 상이한 색상 또는 상이한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피아노의 검은 건반에 해당하는 음 데이터(예컨대, C#, D#, F#, G#, A#)를 쉽게 인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나선 악보 제공 장치에서 나선 악보에 화음을 표시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나선 악보 제공 장치는 예컨대, Ⅱ-Ⅴ-Ⅰ의 7화음을 나선 악보에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나선 악보 제공 장치는 '레(410)-파(411)-라(412)-도(413)'의 음 데이터의 주파수에 기초하여, 음 데이터에 관한 크기 및 위상각을 산출하고, 음 데이터의 크기 및 위상각에 대응하는 나선 상의 지점에, 음 데이터에 관련된 음표를 (a)IIm7화음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선 악보에 표시할 수 있다. 나선 악보 제공 장치는 '레(420)-파(421)-솔(422)-시(423)'의 음 데이터의 주파수에 기초하여, 음 데이터에 관한 크기 및 위상각을 산출하고, 음 데이터의 크기 및 위상각에 대응하는 나선 상의 지점에, 음 데이터에 관련된 음표를 (b)V7화음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선 악보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나선 악보 제공 장치는 '도(430)-미(431)-솔(432)-시(433)'의 음 데이터의 주파수에 기초하여, 음 데이터에 관한 크기 및 위상각을 산출하고, 음 데이터의 크기 및 위상각에 대응하는 나선 상의 지점에, 음 데이터에 관련된 음표를 (c)Imaj7화음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선 악보에 표시할 수 있다.
IIm7화음에서, 레(D)(410)-파(F)(411) 사이의 각도는 90도이고, 파(F)(411)-라(A)(412) 사이의 각도는 120도이며, 라(A)(412)-도(C)(413) 사이의 각도는 90도이다. 어느 두 음도 180도 간격에 있지 않는 IIm7화음은 '단7화음'을 이룬다.
V7화음에서, 파(F)(421)-시(B)(423) 사이의 각도는 180도이다. 이러한 V7화음은 '딸림7화음'을 이룬다.
Imaj7화음에서, 어느 두 음도 180도 간격에 있지 않는다. 이러한 Imaj7화음은 단7화음과 상이한 장7화음을 이룬다.
나선 악보 제공 장치는 화음에 해당하는 복수의 음 데이터의 음표가 표시된 나선 악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음표 간의 위치 차이를 통해 화음을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게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나선 악보 제공 장치에서 나선 악보에 화음을 표시하는 다른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나선 악보 제공 장치는 예컨대, C를 근음으로 하는 장3화음(a), 단3화음(b), 감7화음(c) 및 증3화음(d)을 나선 악보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감7화음(c) 및 증3화음(d)은 포함된 음 간의 간격이 균일하다. 즉, 감7화음(c) 내 음 사이의 각도는 90도 이고, 증3화음(d) 내 음 사이의 각도는 120도이다. 이러한 균일각도로 이루어진 화음은 근음이 어느 음인지 구분할 수 없어 무조성의 느낌을 준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음 사이의 각도를 통해, 해당 화음을 보다 쉽게 인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나선 악보 제공 장치에서 나선 악보에 배음을 표시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나선 악보 제공 장치는 악기에서 연주되는 소리로부터 획득한 배음을 나선 악보에 표시하여 제공함으로써, 악기의 음색을 시각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이때, 나선 악보 제공 장치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배음 기능이 활성화된 경우에 한하여 배음을 나선 악보에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나선 악보 제공 장치는 악기에서 연주되는 소리를 입력 받고, 입력 받은 소리를 푸리에 변환으로 서로 다른 주파수를 갖는 복수의 음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음 데이터는 진동수가 배수 관계를 갖는 배음(harmonics)일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음 데이터는 예컨대, 12음계 중 어느 하나의 음에 관한 데이터 및 각 음계 사이의 사이음에 관한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나선 악보 제공 장치는 복수의 음 데이터 각각의 크기 및 위상각에 대응하는 나선 상의 지점에 음표를 표시하고, 음표가 표시된 나선 악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나선 악보 제공 장치는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럼펫에서 연주되는 소리에 대한 440Hz음의 파형, 파워 스펙트럼(power spectrum)을 획득하고, 이에 기초하여 서로 다른 주파수를 갖는 복수의 음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나선 악보 제공 장치는 복수의 음 데이터에 관련된 음표를 나선악보에 표시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나선 악보 제공 장치는 트럼펫에서 연주되는 소리를 시간 시계열 데이터(time series data)로 취급하고, 무빙 윈도우 푸리에 변환(moving-window Fourier transformation)을 실시간으로 수행하여 변환된 복수의 음 데이터의 음표를 나선악보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나선 악보 제공 장치는 중심점으로부터의 거리를 파장의 로그(logarithm)에 비례하도록 음표를 표시함으로써, 많은 배음을 표시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나선 악보 제공 장치는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이올린에서 연주되는 소리에 대한 440Hz 음의 파형, 파워 스펙트럼(power spectrum)을 획득하고, 이에 기초하여 서로 다른 주파수를 갖는 복수의 음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나선 악보 제공 장치는 복수의 음 데이터에 관련된 음표를 나선악보에 표시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나선 악보 제공 장치는 트럼펫에서 연주되는 소리와 마찬가지로, 바이올린에서 연주되는 소리를 시간 시계열 데이터로 취급하고, 무빙 윈도우 푸리에 변환을 실시간으로 수행하여 변환된 복수의 음 데이터의 음표를 나선악보에 표시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나선 악보의 다른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나선 악보 제공 장치는 음 데이터의 박자를 나선 악보에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나선 악보 제공 장치는 평면의 나선 악보에, 음 데이터의 박자에 기초하여 음표를 상이하게 표시함으로써, 음 데이터의 박자를 나선 악보에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나선 악보 제공 장치는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 데이터의 박자가 1박자(예컨대, 4분음표)일 경우, 1박자에 대응하는 음표(710)를 음표 위치에 표시하고, 음 데이터의 박자가 반박자(예컨대, 8분음표)일 경우, 반박자에 대응하는 음표(711)를 음표 위치에 표시함으로써, 음계뿐만 아니라 박자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박자별 음표의 형태는 예컨대, 오선 악보에서 사용되는 방식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에서, 나선 악보 제공 장치는 음표(710)의 형태(종류)에 기초하여 음 데이터의 박자를 표시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음표의 크기(즉, 원의 크기), 음표의 밝기(짙은 정도) 등에 기초하여 음 데이터의 박자를 표시할 수 있다.
나선 악보 제공 장치는 음 데이터의 박자뿐아니라, 음 데이터의 세기 또한 나선 악보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나선 악보 제공 장치는 예컨대, 기설정된 색상 변화를 이용하여 음 데이터의 세기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나선 악보 제공 장치는 평면 상의 나선과 수직인 방향으로, 나선이 연장된 3차원의 롤 형태의 나선 악보에서, 음 데이터의 박자만큼, 음표의 길이를 나선과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하여 표시함으로써, 음 데이터의 박자를 나선 악보에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나선 악보 제공 장치는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 데이터의 박자가 1박자일 경우, 1박자에 대응하는 1㎝ 길이만큼 음표(720)의 길이를 나선과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하여 3차원의 나선 악보에 표시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나선 악보 제공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단계 S810에서, 나선 악보 제공 장치는 음의 높낮이에 기반하여 서로 다른 음이 나선의 서로 다른 위치에 표시되는 나선 악보 및 음 데이터를 메모리에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음 데이터는 외부로부터 입력된 소리 또는 악보로부터 획득된 정보일 수 있으며, 음데이터의 박자, 세기 및 주파수와 함께,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단계 S820에서, 나선 악보 제공 장치는 음 데이터의 주파수에 기초하여 나선 악보 내 나선 상에서 음 데이터에 관련된 음표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나선 악보는 2차원 극좌표 복소평면에 매칭될 수 있다.
음표 위치 결정을 위해 먼저, 나선 악보 제공 장치는 외부로부터 입력된 소리로부터 생성되거나, 또는 메모리로부터 획득한 음 데이터의 주파수에 기초하여 극좌표 복소평면에서의 음 데이터에 관한 크기 및 위상각을 산출할 수 있다. 나선 악보 제공 장치는 음 데이터를 극좌표 복소평면에 매칭시켜, [수학식 1]의 복소수 형태로 나타낼 수 있으며, [수학식 2]에 의해, 음 데이터에 관한 크기(
Figure 112021029646723-pat00015
) 및 위상각(
Figure 112021029646723-pat00016
)을 산출할 수 있다.
이후, 나선 악보 제공 장치는 음 데이터의 크기 및 위상각에 대응하는 나선 상의 지점을 음 데이터에 관련된 음표 위치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음표 위치는 중심점을 중심으로 서로 이격되어 방사형으로 배치되고, 상이한 음계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방사선과 나선이 교차하는 복수의 지점 중 어느 하나로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방사선은 예컨대, C, C#, D, D#, E, F, F#, G, G#, A, A# 및 B에 대응하는 12개의 방사선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30°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동일한 옥타브 내의 서로 다른 음 데이터들의 음표 위치들은 중심점으로부터의 거리 및 위상각이 서로 다른 음표 위치들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옥타브만 서로 다른 옥타브 음 데이터(예컨대, 1옥타브 차이가 나는 낮은 C와 가온 C)들의 각 음표 위치들은 중심점으로부터의 거리가 상이하고, 위상각이 동일한 음표 위치들로 결정될 수 있다.
단계 S830에서, 나선 악보 제공 장치는 음표 위치에 음 데이터에 관련된 음표를 표시하고, 음표가 표시된 나선 악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나선 악보 제공 장치는 화음에 해당하는, 복수의 음 데이터가 생성(획득)될 경우, 복수의 음 데이터에 관련된 복수의 음표를 각각 나선 악보에 표시하여 제공함으로써, 음표 간의 위치 차이를 통해 화음을 바로 인지할 수 있게 한다.
나선 악보 내 복수의 방사선 중, 반음과 관련된 방사선(예컨대, C#, D#, F#, G#, A#에 해당하는 방사선으로서, 피아노의 검은 건반에 관련된 방사선)은 다른 방사선(예컨대, C, D, E, F, G, A, B에 해당하는 방사선으로서, 피아노의 흰 건반과 관련된 방사선)과 상이한 색상 또는 상이한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반음과 관련된 음 데이터를 쉽게 인지할 수 있다.
또한, 나선 악보 제공 장치는 음 데이터의 박자를 2차원의 나선 악보에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나선 악보 제공 장치는 음 데이터의 박자에 기초하여, 음표를 나선 악보에 상이하게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나선 악보 제공 장치는 음 데이터의 세기에 기초하여 음표의 색상을 상이하게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나선 악보 제공 장치는 상대적으로 강한 세기의 음 데이터에 관련된 음표에 대해 상대적으로 약한 세기의 음 데이터에 관련된 음표보다 진한 색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나선 악보 제공 장치는 3차원의 나선 악보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나선 악보 제공 장치는 평면 상의 나선과 수직인 방향으로, 나선이 연장된 3차원의 롤 형태인, 나선 악보를 통해 음 데이터의 박자를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나선 악보 제공 장치는 음 데이터의 박자만큼, 음표의 길이를 나선과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하여 3차원의 나선 악보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나선 악보 제공 장치는 복수의 음 데이터가 포함된 음악의 진행에 따라, 나선 악보 상의 음표들의 표시 여부를 제어함으로써, 유효한 음표들만을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서, 나선 악보 제공 장치는 외부로부터 입력된 소리를 푸리에 변환으로 서로 다른 주파수를 갖는 복수의 음 데이터로 변환하고, 복수의 음 데이터 각각의 크기 및 위상각을 산출할 수 있다. 나선 악보 제공 장치는 복수의 음 데이터 각각의 크기 및 위상각에 대응하는 나선 상의 지점을 음표 위치로 결정하고, 복수의 음 데이터에 관련된 음표를 음표 위치에 표시함으로써, 배음에 해당하는 복수의 음 데이터를 나선 악보에 표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나선 악보 제공 장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환경
110: 입력 장치 120: 나선 악보 제공 장치
130: 출력 장치 140: 네트워크

Claims (17)

  1. 음의 높낮이에 기반하여 서로 다른 음이 나선의 서로 다른 위치에 표시되는 나선 악보 및 음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음 데이터의 주파수에 기초하여 상기 나선 악보 내 나선 상에서 상기 음 데이터에 관련된 음표 위치를 결정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나선은 중심점으로부터 거리가 멀어지는 방향으로 평면 상에서 소용돌이 형태로 표시되는,
    나선 악보 제공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 악보는 2차원 극좌표 복소평면에 매칭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음 데이터의 주파수에 기초하여, 상기 극좌표 복소평면에서의 상기 음 데이터에 관한 크기 및 위상각을 산출하고, 상기 음 데이터의 크기 및 위상각에 대응하는 상기 나선 상의 지점을 상기 음표 위치로 결정하는,
    나선 악보 제공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소리를 입력 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입력 받은 상기 소리를 푸리에 변환으로 서로 다른 주파수를 갖는 복수의 음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복수의 음 데이터 각각의 크기 및 위상각을 산출하고, 상기 복수의 음 데이터 각각의 크기 및 위상각에 대응하는 상기 나선 상의 지점을 상기 음표 위치로 결정하는,
    나선 악보 제공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표 위치는,
    상기 중심점을 중심으로 서로 이격되어 방사형으로 배치되고, 상이한 음계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방사선과 상기 나선이 교차하는 복수의 지점 중 어느 하나로 결정되는,
    나선 악보 제공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동일한 옥타브 내의 서로 다른 음 데이터들의 음표 위치들은 상기 중심점으로부터의 거리 및 위상각이 서로 다른 음표 위치들로 결정되는,
    나선 악보 제공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옥타브만 서로 다른 옥타브 음 데이터들의 각 음표 위치들은 상기 중심점으로부터의 거리가 상이하고, 위상각이 동일한 음표 위치들로 결정되는,
    나선 악보 제공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각 음 데이터의 음표 위치에 음표를 표시한 나선 악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방사선 중, 반음과 관련된 방사선은 다른 방사선과 상이한 색상 또는 상이한 형태로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나선 악보 제공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음 데이터의 박자에 기초하여, 상기 음 데이터에 관련된 음표를 상기 나선 악보에 상이하게 표시하는,
    나선 악보 제공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 악보는 평면 상의 나선과 수직인 방향으로, 상기 나선이 연장된 3차원의 롤 형태이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음 데이터의 박자만큼, 상기 음표의 길이를 상기 나선과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하여 상기 나선 악보에 표시하는,
    나선 악보 제공 장치.
  10. 서로 다른 음이 서로 다른 위치에 표시되는 나선; 및
    음의 높낮이에 기반하여 상기 나선에 표시된 음표를 포함하고,
    상기 나선은 평면 상에서 소용돌이 형태로 표시되는,
    나선 악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음표는,
    중심점을 중심으로 서로 이격되어 방사형으로 배치되고, 상이한 음계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방사선과 상기 나선이 교차하는 복수의 지점들 중 어느 하나에 표시된,
    나선 악보.
  12. 제11항에 있어서,
    동일한 옥타브 내의 서로 다른 음에 관련된 음표는 상기 중심점으로부터의 거리 및 위상각이 서로 다른 지점들에 표시되고,
    옥타브만 서로 다른 옥타브 음에 관련된 음표는 상기 중심점으로부터의 거리가 상이하고, 위상각이 동일한 지점들에 표시되는,
    나선 악보.
  13. 나선 악보 제공 장치에 의해 구현되는 나선 악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나선 악보 제공 장치에서, 음의 높낮이에 기반하여 서로 다른 음이 나선의 서로 다른 위치에 표시되는 나선 악보 및 음 데이터를 메모리에 유지하는 단계; 및
    상기 나선 악보 제공 장치에서, 상기 음 데이터의 주파수에 기초하여 상기 나선 악보 내 상기 나선 상에서 상기 음 데이터에 관련된 음표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나선은 중심점으로부터 거리가 멀어지는 방향으로 평면 상에서 소용돌이 형태로 표시되는,
    나선 악보 제공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 악보는 2차원 극좌표 복소평면에 매칭되고,
    상기 음표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음 데이터의 주파수에 기초하여, 상기 극좌표 복소평면에서의 상기 음 데이터에 관한 크기 및 위상각을 산출하고, 상기 음 데이터의 크기 및 위상각에 대응하는 상기 나선 상의 지점을 상기 음표 위치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나선 악보 제공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 악보 제공 장치에서, 외부로부터 입력 받은 소리를 푸리에 변환으로 서로 다른 주파수를 갖는 복수의 음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나선 악보 제공 장치에서, 상기 복수의 음 데이터 각각의 크기 및 위상각을 산출하고, 상기 복수의 음 데이터 각각의 크기 및 위상각에 대응하는 상기 나선 상의 지점을 상기 음표 위치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나선 악보 제공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음표 위치는,
    상기 중심점을 중심으로 서로 이격되어 방사형으로 배치되고, 상이한 음계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방사선과 상기 나선이 교차하는 복수의 지점 중 어느 하나로 결정되는,
    나선 악보 제공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 악보 제공 장치에서, 상기 음표 위치에 음표를 표시한 나선 악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방사선 중, 반음과 관련된 방사선은 다른 방사선과 상이한 색상 또는 상이한 형태로 표시되는,
    나선 악보 제공 방법.
KR1020210032874A 2021-03-12 2021-03-12 나선 악보, 나선 악보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4793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2874A KR102479314B1 (ko) 2021-03-12 2021-03-12 나선 악보, 나선 악보 제공 장치 및 방법
US17/475,661 US20220293072A1 (en) 2021-03-12 2021-09-15 Spiral curve type music sheet,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spiral curve type music she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2874A KR102479314B1 (ko) 2021-03-12 2021-03-12 나선 악보, 나선 악보 제공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8168A KR20220128168A (ko) 2022-09-20
KR102479314B1 true KR102479314B1 (ko) 2022-12-19

Family

ID=83194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2874A KR102479314B1 (ko) 2021-03-12 2021-03-12 나선 악보, 나선 악보 제공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20293072A1 (ko)
KR (1) KR10247931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96844A (ja) * 2006-10-13 2008-04-24 Keio Gijuku 自動採譜装置及び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117084A4 (en) 1998-08-21 2002-12-18 Tokyo Yusyo Co Ltd WRITING SYSTEM FOR NOTES
US7538265B2 (en) * 2006-07-12 2009-05-26 Master Key,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visualizing music and other sound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96844A (ja) * 2006-10-13 2008-04-24 Keio Gijuku 自動採譜装置及び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8168A (ko) 2022-09-20
US20220293072A1 (en) 2022-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7578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visualization of music using note extraction
US793245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aring musical works
US7960637B2 (en) Archiving of environmental sounds using visualization components
JP5205512B2 (ja) 手動入力の音符信号を生成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その方法
US20190051275A1 (en) Method for providing accompaniment based on user humming melody and apparatus for the same
JP2014186228A (ja) コード演奏ガイド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Davismoon et al. Combining musical constraints with Markov transition probabilities to improve the generation of creative musical structures
Six et al. Tarsos, a modular platform for precise pitch analysis of Western and non-Western music
CN112203114A (zh) 协同演奏方法、系统、终端设备及存储介质
US9098679B2 (en) Raw sound data organizer
KR102479314B1 (ko) 나선 악보, 나선 악보 제공 장치 및 방법
JP6750727B2 (ja) 移調装置、移調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50310876A1 (en) Raw sound data organizer
JP2011164162A (ja) 演奏表情付け支援装置
US7919702B2 (en) Apparatus and method of displaying infinitely small divisions of measurement
Huang et al. Towards an automatic music arrangement framework using score reduction
De Haas et al. Comparing approaches to the similarity of musical chord sequences
Yust Periodicity-based descriptions of rhythms and Steve Reich's rhythmic style
KR20200122579A (ko) 인식된 음계를 이용한 악보제작시스템
Johnson The Standard, Power, and Color Model of Instrument Combination in Romantic-Era Symphonic Works.
JP2015060200A (ja) 演奏データファイル調整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Teixeira et al. Expressiveness in music from a multimodal perspective
Sendhil et al. Deciphering the frozen music in building architecture and vice-versa process
US807370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ty verification using visual representation of a spoken word
Milne et al. New tonalities with the Thummer and The Vik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