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9124B1 - 검체수송용기용 마개 - Google Patents

검체수송용기용 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9124B1
KR102479124B1 KR1020220011344A KR20220011344A KR102479124B1 KR 102479124 B1 KR102479124 B1 KR 102479124B1 KR 1020220011344 A KR1020220011344 A KR 1020220011344A KR 20220011344 A KR20220011344 A KR 20220011344A KR 102479124 B1 KR102479124 B1 KR 1024791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transport container
protruding
sample transport
samp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13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경준
Original Assignee
한경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경준 filed Critical 한경준
Priority to KR10202200113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91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91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91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8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rigid containers not provided for above
    • B01L3/5082Test tubes per se
    • B01L3/50825Closing or opening means, corks, bu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2Adapting objects or devices to another
    • B01L2200/026Fluid interfacing between devices or objects, e.g. connectors, inlet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6Fluid handling related problems
    • B01L2200/0647Handling flowable solids, e.g. microscopic beads, cells, particles
    • B01L2200/0663Stretching or orienting elongated molecules or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14Process control and prevention of errors
    • B01L2200/141Preventing contamination, tamp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4Closures and closing means
    • B01L2300/041Connecting closures to device or container
    • B01L2300/042Caps; Plu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6Auxiliary integrated devices, integrated components
    • B01L2300/069Absorbents; Gels to retain a flui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검체수송용기용 마개에 관한 것으로, 나사부가 내측 둘레면에 구비되어 있고 천정부를 포함하는 마개본체; 상기 마개본체의 천정부 일측에서 수직으로 돌출 형성되되, 용기본체의 상부 내주면에 결합되는 외측면과, 상기 외측면으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에 형성된 내측면과, 상기 외측면과 내측면을 연결하는 경사면을 포함하는 가이드벽; 상기 가이드벽의 내측에 구비되되 상기 마개본체의 천정부 중심측에서 수직으로 돌출 형성되고, 원통부와 상기 원통부 하부에 형성된 원추부로 이루어지는 가이드봉; 및 상기 가이드봉에 구비되어 비강용 및 구강용 검체채취면봉을 고정 지지하는 지지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검체수송용기용 마개{Cover for specimen transport container}
본 발명은 검체수송용기용 마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검체수송용기의 용기본체와 검체수송용기용 마개의 결합시 구강용 검체채취면봉과 비강용 검체채취면봉의 고정 지지를 확실히 이루어 검체수송용기와 검체수송용기용 마개의 분리시 비강용 및 구강용 검체채취면봉이 검체수송용기용 마개에 고정 지지된 상태로 인출될 수 있도록 한 검체수송용기용 마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검체수송용기는 검체의 안전한 이동과 임의적인 유출을 차단하기 위한 수송용기로서 PCR 검사 단계에서 마개를 개봉하여 검체채취면봉을 인출하게 되는데 작업자의 손으로 직접 인출하는 경우 부주의로 인한 위생 및 오염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마개 개봉시 검체채취면봉이 함께 인출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아래의 특허문헌 1은 검체 채취용 수송용기에 관한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의 압력에 의해 내부에 구비된 시약이 개방된 일측으로 이송되는 커버부(10)와; 상기 커버부(10)의 개방된 일측에 일체형으로 삽입되고, 중앙부에 커버부(10)의 시약이 이송되는 관통홀(23)이 형성되는 어댑터(20)와; 상기 커버부(10)와 튜브부(40)를 상호 연결해주도록 양측이 개방되고, 중앙부에 어댑터(20)의 관통홀(23)을 커버부(10)의 회전에 따라 개폐하는 개폐부(32)가 형성되는 연결부(30)와; 상기 연결부(30)의 일측에 결합되어 연통되도록 일측이 개방되고, 내부에 검사할 검체 및 커버부(10)의 시약이 저장되는 튜브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개폐부(32)의 타측 중앙부는 중앙부에 결합홈(37)이 형성된 결합돌기(36)가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결합돌기(36)의 결합홈(37)에는 튜브부(40)의 검체를 채취하도록 튜브부(40) 내에 구비되는 면봉(50)이 결합되어 있다.
아래의 특허문헌 2는 검체수송용기에 관한 것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상기 검체용기(10)의 상부에 체결되고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관통 유도홀(25)이 형성된 검체바(20)와, 상기 검체바(20)에 고정되고 상기 검체용기(10) 내부로 수용되는 브러시 또는 면봉(30)을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 및 2는 모두 면봉이 용기 내부에 고정되는 구조를 택함으로써 검체 채취 전후의 면봉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복잡한 구조가 필요해지므로 단순한 구조의 마개 구성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고, 이는 제조 비용의 상승으로 이어지게 된다.
등록특허공보 제10-1777169호(2017. 9. 11. 공고) 등록특허공보 제10-1090140호(2011. 12. 6. 공고)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검체수송용기의 용기본체와 검체수송용기용 마개의 결합시 구강용 검체채취면봉 뿐만 아니라 비강용 검체채취면봉의 고정 지지를 확실히 이룰 수 있고 검체수송용기와 검체수송용기용 마개의 분리시 비강용 및 구강용 검체채취면봉이 검체수송용기용 마개에 고정 지지된 상태로 인출될 수 있는 검체수송용기용 마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검체수송용기용 마개는, 나사부가 내측 둘레면에 구비되어 있고 천정부를 포함하는 마개본체; 상기 마개본체의 천정부 일측에서 수직으로 돌출 형성되되, 용기본체의 상부 내주면에 결합되는 외측면과, 상기 외측면으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에 형성된 내측면과, 상기 외측면과 내측면을 연결하는 경사면을 포함하는 가이드벽; 상기 가이드벽의 내측에 구비되되 상기 마개본체의 천정부 중심측에서 수직으로 돌출 형성되고, 원통부와 상기 원통부 하부에 형성된 원추부로 이루어지는 가이드봉; 및 상기 가이드봉에 구비되어 비강용 및 구강용 검체채취면봉을 고정 지지하는 지지수단;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검체수송용기용 마개는, 상기 지지수단이 상기 원통부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구비되되 축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갖는 다수의 돌출편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검체수송용기용 마개는, 상기 돌출편이 한 쌍의 돌출편 사이에 비강용 검체채취면봉이 억지 끼움 형태로 삽입 지지될 수 있는 간격으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검체수송용기용 마개는, 상기 돌출편이 천정부 방향으로 갈수록 돌출편의 상호 간격이 좁아지는 구조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검체수송용기용 마개는, 상기 돌출편의 상방으로 고정돌출편이 더 구비되고, 상기 고정돌출편은 그 길이가 돌출편의 길이 보다 더 길게 형성되고 그 간격은 돌출편의 간격보다 작게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검체수송용기용 마개는, 상기 지지수단이 상기 원통부의 외경을 원추부의 최대 직경보다 작게 하여 상기 원추부에 형성된 돌출단부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검체수송용기용 마개는, 상기 돌출단부와 가이드벽의 내측면 사이의 거리는 비강용 검체채취면봉이 억지 끼움 형태로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검체수송용기용 마개에 의하면, 검체수송용기의 용기본체와 검체수송용기용 마개의 결합시 구강용 검체채취면봉 뿐만 아니라 비강용 검체채취면봉의 고정 지지를 확실히 이룰 수 있고 검체수송용기와 검체수송용기용 마개의 분리시 비강용 및 구강용 검체채취면봉이 검체수송용기용 마개에 고정 지지된 상태로 인출될 수 있으므로 비강용 및 구강용 검체채취면봉의 취급이 매우 용이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검체수송용기용 마개에 의하면, 검체수송용기로부터 비강용 및 구강용 검체채취면봉을 꺼낼 때 사용자가 비강용 및 구강용 검체채취면봉을 직접 만질 필요가 없어 위생적이고 접촉에 따른 오염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검체 채취용 수송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다른 종래 기술에 따른 검체수송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체수송용기용 마개가 용기본체에 결합되는 것을 나타내는 분리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체수송용기용 마개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체수송용기용 마개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체수송용기용 마개의 수평 단면을 하부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검체수송용기용 마개의 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검체수송용기용 마개의 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 실시예에 따른 검체수송용기용 마개의 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체수송용기용 마개가 용기본체에 결합된 상태에서 그 내부에 비강용 및 구강용 검체채취면봉이 보관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체수송용기용 마개(1)는 마개본체(100)와, 상기 마개본체(100)의 천정부(110)에 구비된 가이드벽(200) 및 가이드봉(300)과, 상기 가이드봉(300)에 구비되는 지지수단(400)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검체수송용기용 마개(1)는 검체수송용기의 결합시 검체수송용기에 보관되는 비강용 및 구강용 검체채취면봉(S1, S2)이 상기 가이드벽(200)과 가이드봉(300) 사이에 삽입 고정되어 추후 검체수송용기로부터 검체수송용기용 마개(1)를 분리하는 경우 비강용 및 구강용 검체채취면봉(S1, S2)이 검체수송용기용 마개(1)와 함께 인출되도록 한다.
이하, 각 구성별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한다.
상기 마개본체(100)는 검체수송용기(2)의 용기본체(2a) 상부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부(2b)에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부(100a)가 내측 둘레면에 구비되어 있고, 용기본체(2a)의 개방부(2c)를 폐쇄하는 천정부(110)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벽(200)은 상기 마개본체(100)의 천정부(110) 일측에서 수직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되 소정 두께를 갖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이드벽(200)은 용기본체(2a)의 상부 내주면에 결합되는 외측면(210)과, 상기 외측면(210)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에 형성된 내측면(220)과, 상기 외측면(210)과 내측면(220)을 하부에서 연결하는 경사면(230)을 포함한다.
상기 경사면(230)은 후술하는 가이드봉(300)의 원추부(320)와 함께 비강용 및 구강용 검체채취면봉(S1, S2)을 수용공간부(a)로 유도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봉(300)은 가이드벽(200)의 내측에 구비되되 상기 마개본체(100)의 천정부(110) 중심측에서 수직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이드봉(300)은 가이드벽(200)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원통부(310)와 상기 원통부(310) 하부에 형성된 원추부(320)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봉(300)과 가이드벽(200) 사이의 이격 공간에는 수용공간부(a)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부(a)에 비강용 및 구강용 검체채취면봉(S1, S2)이 수용된다.
즉, 용기본체(2a)에 검체수송용기용 마개(1)를 결합하는 과정에서 상기 가이드벽(200)의 경사면(230)과 상기 가이드봉(300)의 원추부(320)로 인해 비강용 및 구강용 검체채취면봉(S1, S2)이 자동적으로 상기 수용공간부(a) 내로 진입하여 수용되게 된다.
상기 지지수단(400)은 비강용 및 구강용 검체채취면봉(S1, S2)이 용기본체(2a)와 검체수송용기용 마개(1)의 결합시 상기 수용공간부(a)에 삽입되어 고정 지지되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지지수단(400)은 일 실시예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통부(310)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구비되되 축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갖는 다수의 돌출편(410)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돌출편(410)의 간격은 상기 돌출편(410)의 사이에 비강용 검체채취면봉(S1)이 억지 끼움 형태로 삽입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돌출편(410)의 간격은 넓은 것보다 좁은 것이 검체채취면봉을 보다 확실히 고정 지지할 수 있지만, 위와 같이 상기 돌출편(410)의 간격을 비강용 검체채취면봉(S1) 기준으로 구성한 것은 비강용 검체채취면봉(S1)의 구조적인 특성을 감안한 것이다.
즉, 구강용 검체채취면봉(S2)은 일정한 굵기로 이루어져 충분한 굽힘 강도를 갖고 있는바 상기 돌출편(410)의 간격이 좁게 구성되더라도 검체수송용기와 검체수송용기용 마개(1)의 결합 과정에서 돌출편(410) 사이를 통과하여 수용공간부(a) 내로 충분히 삽입될 수 있지만, 비강용 검체채취면봉(S1)은 구강용 검체채취면봉(S2)과 달리 일부분이 가늘게 구성되어 쉽게 구부러질 수 있는바 상기 돌출편(410)의 간격이 너무 좁게 구성되면 휘어지기만 할 뿐 돌출편(410) 사이로 삽입되지 못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돌출편(41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방 즉, 천정부(110) 방향으로 갈수록 돌출편(410)의 상호 간격이 좁아지는 구조로 구성할 수 있다.
이는 비강용 및 구강용 검체채취면봉(S1, S2)이 수용공간부(a) 내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비강용 및 구강용 검체채취면봉(S1, S2)과 한 쌍의 돌출편(410)이 서로 쐐기작용을 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앞서 돌출편(410)의 구조는 비강용 검체채취면봉(S1)을 위한 것이어서 구강용 검체채취면봉(S2)이 돌출편(410)을 통과할 때는 약간 헐거운 상태로 통과되므로 구강용 검체채취면봉(S2)의 확실한 고정 지지가 어렵게 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출편(410)의 상방으로 고정돌출편(42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돌출편(420)은 그 길이가 돌출편(410)의 길이 보다 더 길게 형성되고 그 간격은 돌출편(410)의 간격보다 작게 형성되며 구강용 검체채취면봉(S2)이 한 쌍의 고정돌출편(420) 사이에서 억지 끼움되도록 한다.
구강용 검체채취면봉(S2)은 돌출편(410)에는 약간 헐거운 상태로 끼워지더라도 고정돌출편(420)에 억지 끼움되므로 구강용 검체채취면봉(S2)을 확실히 고정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지지수단(400)은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추부(320)에 돌출단부(430)를 구성하는 것이고, 상기 돌출단부(430)는 원통부(310)의 외경을 원추부(320)의 최대 직경보다 작게 구성함으로써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돌출단부(430)와 가이드벽(200)의 내측면(220) 사이의 거리(d)는 비강용 및 구강용 검체채취면봉(S1, S2)의 최대 직경보다 작게 구성한다.
이로 인해 검체수송용기와 검체수송용기용 마개(1)의 결합시 비강용 또는 구강용 검체채취면봉(S2)은 그 직경보다 작은 돌출단부(430)와 가이드벽(200)의 내측면(220) 사이를 억지 끼움 형태로 통과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돌출단부(430)와 가이드벽(200)의 내측면(220) 사이의 거리(d)는 비강용 검체채취면봉(S1)이 억지 끼움 형태로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가이드벽(200)과 가이드봉(300) 사이의 천정부측 수직 단면 형상은 구강용 검체채취면봉(S2)의 파단부 수직 단면 형상에 대응되도록 구성할 수 있고, 이는 수용공간부(a) 내에 구강용 검체채취면봉(S2)의 보다 확실한 지지를 가능하게 한다.
이때, 비강용 검체채취면봉(S1)은 그 굽힘 강도로 인하여 상기 가이드벽(200)과 가이드봉(300) 사이의 천정부측까지 이르지 못하고 수용공간부(a)의 소정 깊이까지만 진입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 실시예로서, 상기 가이드벽(200)의 내측면(220)에 돌기편(440)이 더 구성되도록 하며, 이는 상기 돌출편(410)의 비강용 및 구강용 검체채취면봉(S1, S2) 고정 지지 작용을 보완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돌기편(440)은 내측면(220) 상에 원주 방향으로 간헐적으로 형성되도록 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돌출편(410)의 사이 공간에 위치하도록 한다.
앞서 검체수송용기에 검체수송용기용 마개(1)를 결합하는 과정에서 비강용 및 구강용 검체채취면봉(S1, S2)이 돌출편(410) 사이에 억지 끼움 형태로 삽입 지지된다고 하였는데, 상기 돌기편(440)으로 인해 비강용 및 구강용 검체채취면봉(S1, S2)의 측면이 추가적으로 지지됨으로써 비강용 및 구강용 검체채취면봉(S1, S2)의 보다 확실한 고정 지지가 가능해진다.
도 10을 참조하면, 구강용 검체채취면봉(S2)은 천정부(110)측까지 삽입되는 반면에, 비강용 검체채취면봉(S1)은 그 굽힘 강도로 인하여 상기 가이드벽(200)과 가이드봉(300) 사이의 천정부(110)측까지 이르지 못하고 비강용 검체채취면봉(S1)은 검체수송용기 내에서 구부러진 상태로 보관되어 수송됨을 알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체수송용기용 마개는 나중에 PCR 검사를 위해 검체수송용기로부터 비강용 및 구강용 검체채취면봉(S1, S2)을 꺼낼 때 비강용 및 구강용 검체채취면봉(S1, S2)이 검체수송용기용 마개(1)에 고정 지지된 상태로 인출되므로 사용자가 비강용 및 구강용 검체채취면봉(S1, S2)을 직접 만질 필요가 없어 위생적이고 접촉에 따른 오염도 방지할 수 있으며 비강용 및 구강용 검체채취면봉(S1, S2)의 취급이 매우 용이해진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1: 검체수송용기용 마개 2: 검체수송용기
100: 마개본체 110: 천정부
200: 가이드벽 210: 외측면
220: 내측면 230: 경사면
300: 가이드봉 310: 원통부
320: 원추부 400: 지지수단
410: 돌출편 420: 고정돌출편
430: 돌출단부 440: 돌기편

Claims (7)

  1. 검체수송용기(2)의 용기본체(2a)에 결합되는 검체수송용기용 마개에 있어서,
    나사부(100a)가 내측 둘레면에 구비되어 있고 천정부(110)를 포함하는 마개본체(100);
    상기 마개본체(100)의 천정부(110) 일측에서 수직으로 돌출 형성되되, 용기본체(2a)의 상부 내주면에 결합되는 외측면(210)과, 상기 외측면(210)으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에 형성된 내측면(220)과, 상기 외측면(210)과 내측면(220)을 연결하는 경사면(230)을 포함하는 가이드벽(200);
    상기 가이드벽(200)의 내측에 구비되되, 상기 마개본체(100)의 천정부(110) 중심측에서 수직으로 돌출 형성되고, 원통부(310)와 상기 원통부(310) 하부에 형성된 원추부(320)로 이루어지는 가이드봉(300); 및
    상기 가이드봉(300)에 구비되어 비강용 및 구강용 검체채취면봉(S1, S2)을 고정 지지하는 지지수단(400);
    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수단(400)은
    상기 원통부(310)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구비되되 축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갖는 다수의 돌출편(41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돌출편(410)은
    한 쌍의 돌출편(410) 사이에 비강용 검체채취면봉(S1)이 억지 끼움 형태로 삽입 지지될 수 있는 간격으로 구성되고,
    상기 돌출편(410)은 천정부(110) 방향으로 갈수록 돌출편(410)의 상호 간격이 좁아지는 구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수송용기용 마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편(410)의 상방으로 고정돌출편(420)이 더 구비되고,
    상기 고정돌출편(420)은 그 길이가 돌출편(410)의 길이 보다 더 길게 형성되고 그 간격은 돌출편(410)의 간격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수송용기용 마개.
  6. 검체수송용기(2)의 용기본체(2a)에 결합되는 검체수송용기용 마개에 있어서,
    나사부(100a)가 내측 둘레면에 구비되어 있고 천정부(110)를 포함하는 마개본체(100);
    상기 마개본체(100)의 천정부(110) 일측에서 수직으로 돌출 형성되되, 용기본체(2a)의 상부 내주면에 결합되는 외측면(210)과, 상기 외측면(210)으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에 형성된 내측면(220)과, 상기 외측면(210)과 내측면(220)을 연결하는 경사면(230)을 포함하는 가이드벽(200);
    상기 가이드벽(200)의 내측에 구비되되, 상기 마개본체(100)의 천정부(110) 중심측에서 수직으로 돌출 형성되고, 원통부(310)와 상기 원통부(310) 하부에 형성된 원추부(320)로 이루어지는 가이드봉(300); 및
    상기 가이드봉(300)에 구비되어 비강용 및 구강용 검체채취면봉(S1, S2)을 고정 지지하는 지지수단(400);
    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수단(400)은
    상기 원통부(310)의 외경을 원추부(320)의 최대 직경보다 작게 하여 상기 원추부(320)에 형성된 돌출단부(430)로 이루어지며,
    상기 돌출단부(430)와 가이드벽(200)의 내측면(220) 사이의 거리(d)는 비강용 검체채취면봉(S1)이 억지 끼움 형태로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수송용기용 마개.
  7. 삭제
KR1020220011344A 2022-01-26 2022-01-26 검체수송용기용 마개 KR1024791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1344A KR102479124B1 (ko) 2022-01-26 2022-01-26 검체수송용기용 마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1344A KR102479124B1 (ko) 2022-01-26 2022-01-26 검체수송용기용 마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9124B1 true KR102479124B1 (ko) 2022-12-19

Family

ID=84535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1344A KR102479124B1 (ko) 2022-01-26 2022-01-26 검체수송용기용 마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912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9901U (ko) * 2009-03-31 2010-10-08 (주) 모아랩 임상검사용 검체물 수송용기
KR101090140B1 (ko) 2010-10-28 2011-12-06 염성희 검체수송용기
KR101777169B1 (ko) 2015-12-21 2017-09-11 주식회사 노블바이오 검체 채취용 수송용기
KR20200022609A (ko) * 2018-08-23 2020-03-04 주식회사 알엠생명과학 검체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검체 수송배지 용기
KR20200105562A (ko) * 2019-02-28 2020-09-08 인 펑 씨오 엘티디 검체 채집용기
KR102287448B1 (ko) * 2020-06-02 2021-08-09 (주)바이온라이프사이언스 검체 채취 및 보관용 키트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9901U (ko) * 2009-03-31 2010-10-08 (주) 모아랩 임상검사용 검체물 수송용기
KR101090140B1 (ko) 2010-10-28 2011-12-06 염성희 검체수송용기
KR101777169B1 (ko) 2015-12-21 2017-09-11 주식회사 노블바이오 검체 채취용 수송용기
KR20200022609A (ko) * 2018-08-23 2020-03-04 주식회사 알엠생명과학 검체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검체 수송배지 용기
KR20200105562A (ko) * 2019-02-28 2020-09-08 인 펑 씨오 엘티디 검체 채집용기
KR102287448B1 (ko) * 2020-06-02 2021-08-09 (주)바이온라이프사이언스 검체 채취 및 보관용 키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97014B2 (en) Specimen rack
JPH0250776B2 (ko)
KR100944919B1 (ko) 시약 용기를 자동 개방하기 위한 시스템
US9925539B2 (en) Fluid rapid testing device
WO2022037007A1 (zh) 一种采样管
JPH0390862A (ja) それぞれ1個の管状容器を保持するためのケーシングを有している鎖状保持装置
KR101725090B1 (ko) 타액 수집용 키트
US513223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paration of liquids for examination
JPH01318959A (ja) ピストン型フィルタ、ディスペンサバイアル
EP0595836A1 (en) A sealing cap with a one way valve
KR102287449B1 (ko) 검체 채취 및 보관용 키트
KR102479124B1 (ko) 검체수송용기용 마개
KR102289674B1 (ko) 혈액 채취 기구
JP2010078483A (ja) 試験管ホルダー
US20130243669A1 (en) Sample container for storing and processing samples taken with a sampling tool
JPH0780511B2 (ja) 密閉容器間の溶液移送用具
CN109071081B (zh) 进入自动化系统中的带螺旋盖的容器的包装和设备
EP3060925B1 (en) Kit, method and assembly for preparing a sample
JP7102444B2 (ja) 少量の体液のための採集アセンブリ
KR20220062362A (ko) 릴리즈 스토퍼, 스토퍼 및 키트가 구비된 용기 및 이에 관련된 릴리즈 방법
US20090202394A1 (en) Vial with coaxial small sample tube insert
KR102488945B1 (ko) 샘플 전처리 튜브
JP2005245705A (ja) 分注器
JP2020512862A (ja) 針、針を含む針アセンブリ、及びこれらのための関連する製造方法及び使用方法
AU2011205088A1 (en) System and method for dispensing fluid from a container and into a fluid recepta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