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9103B1 - Antenna apparatus for vehicle - Google Patents

Antenna apparatus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9103B1
KR102479103B1 KR1020180036134A KR20180036134A KR102479103B1 KR 102479103 B1 KR102479103 B1 KR 102479103B1 KR 1020180036134 A KR1020180036134 A KR 1020180036134A KR 20180036134 A KR20180036134 A KR 20180036134A KR 102479103 B1 KR102479103 B1 KR 1024791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ator
antenna
vehicle
shape
signal proc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613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118041A (en
Inventor
김태형
정희철
최승호
Original Assignee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18/004579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8194405A1/en
Priority to US16/603,759 priority patent/US10992032B2/en
Priority to JP2019552103A priority patent/JP6782371B2/en
Priority to EP18788465.5A priority patent/EP3614495B1/en
Publication of KR201801180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804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91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910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27Adaptation for use in or on movable bodies
    • H01Q1/32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 H01Q1/325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antenna on the vehicle
    • H01Q1/3275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antenna on the vehicle mounted on a horizontal surface of the vehicle, e.g. on roof, hood, trun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27Adaptation for use in or on movable bodies
    • H01Q1/32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8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med by a conductive layer on an insulating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44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using equipment having another main function to serve additionally as an antenna, e.g. means for giving an antenna an aesthetic aspec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30Combinations of separate antenna units operating in different wavebands and connected to a common feeder syst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5/00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operation of antennas on two or more different wavebands, e.g. dual-band or multi-band arrangements
    • H01Q5/30Arrangements for providing operation on different wavebands
    • H01Q5/378Combination of fed elements with parasitic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5/00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operation of antennas on two or more different wavebands, e.g. dual-band or multi-band arrangements
    • H01Q5/40Imbricated or interleaved structures; Combined or electromagnetically coupled arrangements, e.g. comprising two or more non-connected fed radiating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16Resonant antennas with feed intermediate between the extremities of the antenna, e.g. centre-fed dipole
    • H01Q9/28Conical, cylindrical, cage, strip, gauze, or like elements having an extended radiating surface; Elements comprising two conical surfaces having collinear axes and adjacent apices and fed by two-conductor transmission li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08Means for collapsing antennas or parts thereof
    • H01Q1/088Quick-releasable antenna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1207Supports; Mounting means for fastening a rigid aerial element
    • H01Q1/1214Supports; Mounting means for fastening a rigid aerial element through a wa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1207Supports; Mounting means for fastening a rigid aerial element
    • H01Q1/1221Supports; Mounting means for fastening a rigid aerial element onto a wa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42Housings not intimately mechanically associated with radiating elements, e.g. radom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0407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30Resonant antennas with feed to end of elongated active element, e.g. unipole
    • H01Q9/32Vertical arrangement of el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안테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안테나 장치는, 차량용 안테나 장치에 있어서, 신호 처리 기판과 연결되는 제 1 안테나; 및 상기 제 1 안테나를 통해 상기 신호 처리 기판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안테나와 다른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는 제 2 안테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안테나는, 상기 제 2 안테나의 일단을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는 제1 방사체; 상기 제1 방사체와 함께 다이폴 안테나로서 동작하는 제2 방사체; 및 상기 제1 방사체 및 제2 방사체에서 방사되는 빔 패턴을 제어하는 제3 방사체;를 포함하는 차량용 안테나 장치.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antenna device, and the vehicle antenna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vehicle antenna device, comprising: a first antenna connected to a signal processing board; and a second antenna connected to the signal processing substrate through the first antenna and operating in a frequency band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rst antenna, wherein the first antenna is detachably fixed to one end of the second antenna. a first emitter; a second radiator operating as a dipole antenna together with the first radiator; and a third radiator controlling beam patterns emitted from the first radiator and the second radiator.

Description

차량용 안테나 장치{Antenna apparatus for vehicle}Vehicle antenna device {Antenna apparatus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안테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수평방향에 대해 최적 방사 패턴이 형성되어 차량통신(Vehicle to Everything, 이하 V2X)에 최적화된 차량용 안테나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antenna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hicle antenna device optimized for vehicle communication (Vehicle to Everything, hereinafter V2X) by forming an optimal radiation pattern in a horizontal direction.

최근 차량의 자율주행이 사회적 이슈로 부상하고 있다. 이는 지능형 교통 시스템(ITS: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지능형 교통시스템(ITS)은 WAVE 주파수를 이용해 차량과 차량(V2V), 차량과 도로변 인프라(V2I) 간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돌발상황에 대처하여 교통사고를 최소화할 수 있는 첨단 기술이다. 또한, 이는 V2X 통신 기술 또는 V2X 통신 시스템에 기반한다. 상기 V2X 통신 시스템은 응용서비스에 따라 전방 위험물 감지, 교통 트래픽 제어, 응급 차량 교차로 무정차 통과, 교차로 사각지대 사고예방, 이륜차 접근 사전 감지 등 교통사고 예방에 획기적으로 일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Recently, autonomous vehicle driving has emerged as a social issue. It is based on the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 (ITS), which uses WAVE frequencies to communicate between vehicles (V2V) and between vehicles and roadside infrastructure (V2I) to respond to unexpected situations. It is an advanced technology that can minimize traffic accidents by coping with it. In addition, it is based on V2X communication technology or V2X communication system. Depending on the application service, the V2X communication system has the advantage of contributing to the prevention of traffic accidents, such as forward dangerous object detection, traffic control, emergency vehicle crossing without stopping, intersection blind spot accident prevention, and two-wheeled vehicle approach detection in advance.

한편, 차량 간 V2X 통신이 원활하기 위해서는 차량 전후방 방향, 즉 수평면에 대하여 최적의 방사가 이루어지는 것이 필수적이나, 일반적으로 차량의 루프(Roof)에 탑재되는 안테나의 경우에는 수평면 방사가 원활하지 못하다. On the other hand, in order for V2X communication between vehicles to be smooth, it is essential to achieve optimum radiation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vehicle, that is, on the horizontal plane.

도 1은 종래 차량용 안테나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vehicle antenna device.

도 1을 참고하면, 차량용 안테나 장치(10)는 베이스(11), 신호 처리 기판(13), 안테나부(15) 및 케이스(17)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 the vehicle antenna device 10 includes a base 11, a signal processing board 13, an antenna unit 15, and a case 17.

베이스(11)는 차량용 안테나 장치(10)의 바닥에 위치하고 전체적으로 플레이트(plate) 형상을 가지는 부재로서, 하부면이 차량의 외부 패널에 결합되고 상부에 신호 처리 기판(13)및 안테나부(15)가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 따라, 베이스(11)와 케이스(17)는 결합되어 샤크 핀 구조를 형성하고 차량 이동시 발생하는 공기 저항과 풍절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베이스(11)와 케이스(17)의 결합은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례로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결합할 수 있다. The base 11 i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vehicle antenna device 10 and has a plate shape as a whole, and its lower surface is coupled to the outer panel of the vehicle, and the signal processing substrate 13 and the antenna unit 15 are formed on the upper side. is installe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base 11 and the case 17 are combined to form a shark fin structure, and air resistance and wind noise generated when the vehicle is moving can be reduced. The base 11 and the case 17 may be coupled in various ways, and may be coupled using, for example, bolts and nuts.

신호 처리 기판(13)은 베이스(11)의 일면에 결합되며 안테나부(15)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처리한다. 예컨대, 원하는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대역 통과 필터로 필터링하여 노이즈 등을 제거하고 필요한 수준으로 증폭한다. 이러한 신호 처리 기판(13)의 일면에는 각종 안테나 부품과 안테나 부품을 고정할 수 있는 고정장치, 케이스(17)와 결합되는 나사 홈부, 안테나 부품이 연결되어 회로 배선이 형성될 수 있다. The signal processing substrate 13 is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base 11 and processes a signal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unit 15 . For example, a signal of a desired frequency band is filtered with a band pass filter to remove noise and amplify to a required level. On one surface of the signal processing substrate 13, circuit wiring may be formed by connecting various antenna components, a fixing device capable of fixing the antenna components, a screw groove coupled to the case 17, and an antenna component.

안테나부(15)는 안테나의 방사 특성과 효율을 최대로 이끌어낼 수 있도록 차량용 안테나 장치(10)의 내부에 위치하며 각종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안테나부(15)는 GNSS 안테나(151), SXM 안테나(153), 통신용 안테나(155)를 포함한다. GNSS 안테나(151) 및 SXM 안테나(153)는 패치 안테나이며, 통신용 안테나(155)는 FM/AM 신호, LTE 등의 통신 신호를 수신하는 코일 형태의 모노폴 안테나이다.The antenna unit 15 is located inside the vehicle antenna device 10 so as to maximize radiation characteristics and efficiency of the antenna, and can transmit and receive various signals. The antenna unit 15 includes a GNSS antenna 151, an SXM antenna 153, and a communication antenna 155. The GNSS antenna 151 and the SXM antenna 153 are patch antennas, and the communication antenna 155 is a coil-type monopole antenna that receives communication signals such as FM/AM signals and LTE.

케이스(17)는 베이스(11)와 결합하여 내부 수용 공간에 상기 신호 처리 기판(13) 및 안테나부(15)를 수용한다. 또한, 케이스(17)는 하부가 개방되고 내부가 비어 있는 돔 형태를 갖고, 내부에 안테나부(15)와 같은 구성 요소를 수용하기 위한 일정길이 이상의 높이를 갖는다.The case 17 is combined with the base 11 to accommodate the signal processing substrate 13 and the antenna unit 15 in an internal accommodating space. In addition, the case 17 has a dome shape with an open bottom and a hollow inside, and has a height of a predetermined length or more to accommodate components such as the antenna unit 15 therei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차량용 안테나 장치는 샤크 핀 (Shark Fin)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샤크 핀 형태의 차량용 안테나 장치는 차량 루프(Roof)를 GND로 활용하는데, 이러한 샤크 핀 형태의 차량용 안테나 장치는 차량 루프의 영향으로 차량 간 통신에 적합한 수평면 방향의 방사가 원활하지 못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차량용 안테나 장치는, 복수의 안테나를 포함하고 있고, 여기에 차량 간 V2X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V2X 안테나를 추가해야 할 경우, 차량용 안테나 장치의 크기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최근의 소형화 추세에 역행한다. As shown in FIG. 1, a conventional vehicle antenna device is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shark fin. A shark pin type vehicle antenna device utilizes a vehicle roof as a GND. However, this shark pin type vehicle antenna device has a problem in that radiation in a horizontal plane suitable for vehicle-to-vehicle communication is not smooth due to the influence of the vehicle roof. .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vehicle antenna device includes a plurality of antennas, and when a V2X antenna for supporting vehicle-to-vehicle V2X communication needs to be added, the size of the vehicle antenna device increases. This goes against the recent miniaturization trend.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2014-0005050호 "안테나 장치"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2014-0005050 "Antenna device"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차량 간 통신에서 차량의 전후방 방사 효율이 높아 유효통신거리 확보가 용이한 차량용 안테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provides a vehicle antenna device that can easily secure an effective communication distance due to high front and rear radiation efficiency of vehicles in vehicle-to-vehicle communication.

일 측면에 따른, 차량용 안테나 장치는, 신호 처리 기판과 연결되는 제 1 안테나; 및 상기 제 1 안테나를 통해 상기 신호 처리 기판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안테나와 다른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는 제 2 안테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안테나는, 상기 제 2 안테나의 일단을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는 제1 방사체; 상기 제1 방사체와 함께 다이폴 안테나로서 동작하는 제2 방사체; 및 상기 제1 방사체 및 제2 방사체에서 방사되는 빔 패턴을 제어하는 제3 방사체;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one aspect, a vehicle antenna device includes a first antenna connected to a signal processing substrate; and a second antenna connected to the signal processing substrate through the first antenna and operating in a frequency band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rst antenna, wherein the first antenna is detachably fixed to one end of the second antenna. a first emitter; a second radiator operating as a dipole antenna together with the first radiator; and a third radiator controlling beam patterns emitted from the first radiator and the second radiator.

상기 제3 방사체는, 신호 처리 기판의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방사체는 상기 지지대에 수직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 방사체 및 제2 방사체가 배열되는 방향의 양 측면 또는 일 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The third radiator includes a support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of the signal processing substrate, and the third radiator is vertically coupled to the support to both sides or one side of a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radiators are arranged. can be located in

상기 제3 방사체는, 상기 제1 방사체 및 제2 방사체로부터 방사되는 신호 파장의 1/4배에 0.92를 곱한 값에 대응하는 전기적 길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third radiator may include an electrical length corresponding to a value obtained by multiplying 0.92 by 1/4 of a signal wavelength emitted from the first and second radiators.

상기 신호 파장은, 0.17m 내지 0.28m의 범위 내로 구성될 수 있다. The signal wavelength may be configured within a range of 0.17m to 0.28m.

상기 제3 방사체는, 신호 처리 기판의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제1 방사체 및 제2 방사체가 서로 근접하는 영역의 양 측면 또는 일 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The third radiator is formed to extend in a vertical direction of the signal processing substrate and may be positioned on both sides or one side of an area where the first radiator and the second radiator are adjacent to each other.

상기 제3 방사체는, 상기 제1 방사체 및 제2 방사체로부터 방사되는 신호 파장의 1/4배에 해당하는 거리만큼 이격 되게 위치할 수 있다. The third radiator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distance corresponding to 1/4 times the wavelength of a signal emitted from the first and second radiators.

상기 제 2 안테나를 가압하여 상기 제1 방사체에 착탈시 상기 제1 방사체가 탄성 변형되어 상기 제 2 안테나의 일단과 탄성 결합할 수 있다. When the second antenna is attached to or detached from the first radiator by pressing the second antenna, the first radiator is elastically deformed and elastically coupled to one end of the second antenna.

상기 제1 방사체는, 상기 제 2 안테나와 탄성 결합하기 위해 상기 제 2 안테나 일단의 볼 형상에 대응되는 소켓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소켓 형상의 진입 직경은 상기 볼 형상의 직경보다 작게 구성될 수 있다. The first radiator may be configured in a socket shape corresponding to a ball shape of one end of the second antenna to be elastically coupled to the second antenna, and an entry diameter of the socket shape may be smaller than a diameter of the ball shape.

상기 제1 방사체는, 도전성 재질의 금속 판으로서 일단이 급전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타단이 전기적으로 개방되고 중앙부분이 휘어져 단면이 소켓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first radiator is a metal plate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and one end thereof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unit, the other end thereof is electrically open, and a central portion thereof is bent to have a socket shape in cross section.

상기 제1 방사체는, 도전성 재질의 육면체로서 상 측면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삽입홈이 함입되어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의 진입 직경은 상기 제 2 안테나 일단의 볼 형상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은 상기 제 2 안테나 일단의 볼 형상에 대응되는 소켓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first radiator is a hexahedron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and has an opening formed on an upper side surface and an insertion groove embedded therein. The entry diameter of the opening is smaller than the ball-shaped diameter of one end of the second antenna, The groove may have a socket shape corresponding to a ball shape of one end of the second antenna.

상기 제1 방사체는,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연장되고 서로 대향하는 부분이 볼록한 한 쌍의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radiator may include a base portion; and a pair of extension portions extending from the base portion and having convex portions facing each other.

상기 한 쌍의 연장부는,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고 탄성 변형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pair of extensions may be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configured to be elastically deformable.

상기 제2 방사체는, 일단이 급전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전기적으로 개방되며 접은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second radiator has one e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unit and the other end electrically open, and may be configured in a folded shape.

상기 제1 방사체와 상기 제2 방사체는, 상기 제1 방사체 및 제2 방사체로부터 방사되는 신호 파장의 1/10배에 해당하는 거리만큼 이격 되게 상호 위치할 수 있다. The first radiator and the second radiator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distance corresponding to 1/10 times a wavelength of a signal emitted from the first radiator and the second radiator.

상기 신호 파장은, 0.075m 내지 0.155m의 범위 내로 구성될 수 있다. The signal wavelength may be configured within a range of 0.075m to 0.155m.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의 전후 수평방향으로 지향성을 높여 차량 간 통신이 원활하게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smoothly perform inter-vehicle communication by increasing directivity in the forward and backward horizontal directions of the vehicl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용 안테나의 공간적 한계를 극복하고 독립된 포트 및 안테나를 추가하지 않고도 차량에 V2X 통신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overcome the spatial limitation of a vehicle antenna and provide a V2X communication function to a vehicle without adding an independent port and antenna.

일 실시예에 따르면, V2X 통신 신호를 송수신하는 차량과 보행자에게 V2X 서비스(레저 서비스, 운행패턴, 실시간 교통정보, 안전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차량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운전자 및 보행자에게 안전관련 정보를 제공하여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V2X services (leisure services, driving patterns, real-time traffic information, and vehicle services including safety-related information) can be provided to vehicles and pedestrians that transmit and receive V2X communication signals, and safety-related to drivers and pedestrians. Accidents can be prevented by providing information.

도 1은 종래 차량용 안테나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안테나 장치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V2X 안테나의 전체 구조를 자세하게 보여주는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제3 방사체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V2X 안테나의 전기적인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3의 V2X 안테나의 구성요소 상호 간 바람직한 배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제3 방사체의 전기적 길이(L)에 따른 방사 효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은 도 6의 제1 방사체 및 제2 방사체 상호 간 간격(A)에 따른 방사 효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는 도 3의 제1 방사체의 형상에 대한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3의 제1 방사체의 형상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3의 제1 방사체의 형상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라 V2X 안테나에서 방사되는 빔 패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vehicle antenna device.
2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vehicle antenna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3 is an enlarged view showing in detail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V2X antenna of FIG.
FIG. 4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third radiator of FIG. 3 .
5 is a diagram explaining the electrical configuration of the V2X antenna of FIG. 3.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eferred arrangement between components of the V2X antenna of FIG. 3.
FIG. 7 is a graph showing radiation efficiency according to an electrical length (L) of the third radiator of FIG. 6 .
FIG. 8 is a graph showing radiation efficiency according to a distance A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radiators of FIG. 6 .
FIG. 9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shape of a first radiator of FIG. 3 .
FIG. 10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hape of the first radiator of FIG. 3 .
FIG. 11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hape of the first radiator of FIG. 3 .
12 is a diagram showing a beam pattern radiated from a V2X antenna according to an embodiment.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도면과 명세서에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following examples. This embodiment is provided to more complete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n addition, although specific terms have been used in the drawings and specific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y are only used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us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meaning or claims. Therefore,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그러면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차량용 안테나 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Then,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vehicle antenna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2를 참고하면, 차량용 안테나 장치(20)는 베이스(21), 신호 처리 기판(23), 안테나부(25) 및 케이스(27)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2 , the vehicle antenna device 20 includes a base 21, a signal processing substrate 23, an antenna unit 25, and a case 27.

베이스(21)는 차량용 안테나 장치(20)의 바닥에 위치하고 전체적으로 플레이트(plate) 형상을 가지는 부재로서, 하부면이 차량의 외부 패널에 결합되고 상부에 신호 처리 기판(23)및 안테나부(25)가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 따라, 베이스(21)와 케이스(27)는 결합되어 샤크 핀 구조를 형성하고 차량 이동시 발생하는 공기 저항과 풍절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베이스(21)와 케이스(27)의 결합은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례로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결합할 수 있다. The base 21 is located on the bottom of the vehicle antenna device 20 and has a plate shape as a whole. is installe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base 21 and the case 27 are combined to form a shark fin structure, and air resistance and wind noise generated when the vehicle is moving can be reduced. The base 21 and the case 27 may be coupled in various ways, and may be coupled using, for example, bolts and nuts.

신호 처리 기판(23)은 베이스(21)의 일면에 결합되며 안테나부(25)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처리한다. 예컨대, 원하는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대역 통과 필터로 필터링하여 노이즈 등을 제거하고 필요한 수준으로 증폭한다. 이러한 신호 처리 기판(23)의 일면에는 각종 안테나 부품과 안테나 부품을 고정할 수 있는 고정장치, 케이스(27)와 결합되는 나사 홈부, 안테나 부품이 연결되어 회로 배선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 처리 기판(23)은 PCB(Printed Circuit Board)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The signal processing substrate 23 is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base 21 and processes a signal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unit 25 . For example, a signal of a desired frequency band is filtered with a band pass filter to remove noise and amplify to a required level. Circuit wiring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ignal processing substrate 23 by connecting various antenna components, a fixing device capable of fixing the antenna components, a screw groove coupled to the case 27, and an antenna component. For example, the signal processing board 23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printed circuit board (PCB).

안테나부(25)는 안테나의 방사 특성과 효율을 최대로 이끌어낼 수 있도록 차량용 안테나 장치(20)의 내부에 위치하며 각종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안테나부(25)는 GNSS 안테나(251), SXM 안테나(253), 통신용 안테나(255) 및 V2X 안테나(257)를 포함한다. The antenna unit 25 is located inside the vehicle antenna device 20 to maximize radiation characteristics and efficiency of the antenna and transmits and receives various signals. The antenna unit 25 includes a GNSS antenna 251, an SXM antenna 253, a communication antenna 255 and a V2X antenna 257.

GNSS 안테나(251)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GNSS 안테나(251)는 GPS(미국), GLONASS(러시아), Galileo(유럽)의 위성 주파수를 수신받을 수 있는 안테나들이 포함되어 있어 전 세계 어디서든 정밀한 위치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다. The GNSS antenna 251 may receive a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GNSS) signal. The GNSS antenna 251 includes antennas capable of receiving satellite frequencies of GPS (USA), GLONASS (Russia), and Galileo (Europe), so that precise location services can be provided anywhere in the world.

SXM 안테나(253)는 북미향 위성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위한 SXM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GNSS 안테나(251) 및 SXM 안테나(253)는 신호 처리 기판(23)의 접지면에 설치되고, 유전체 및 안테나 패치가 순서대로 적층되어 있다. 즉 GNSS 안테나(251) 및 SXM 안테나(253)는 일반적인 패치 안테나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SXM antenna 253 may receive an SXM signal for North American satellite multimedia service. The GNSS antenna 251 and the SXM antenna 253 are installed on the ground plane of the signal processing board 23, and dielectric and antenna patches are sequentially stacked. That is, the GNSS antenna 251 and the SXM antenna 253 may be formed as a general patch antenna type.

통신용 안테나(255)는 AM/FM 라디오 신호 및 LTE 등의 통신용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용 안테나(255)는 모노폴(monopole) 타입의 안테나로서 두 개의 나선형(helical) 코일을 포함하되 그 두 개의 코일은 피치(pitch)가 다르다. 여기서 피치는 코일의 두 권선 사이의 간격을 의미하며, 피치가 다른 각 영역은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 특성을 갖는다. 그러나 여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하나의 나선형 코일을 길이 방향으로 피치를 달리할 수도 있다.The communication antenna 255 may receive AM/FM radio signals and communication signals such as LTE. The communication antenna 255 is a monopole type antenna and includes two helical coils, but the two coils have different pitches. Here, the pitch means the interval between the two windings of the coil, and each region having a different pitch has different frequency band characteristics.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itch of one helical coi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may be different.

통신용 안테나(255)의 일단은 결합부(255a)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255a)는 신호 처리 기판(23)에 직접 연결되지 않고, V2X 안테나(257)를 매개로 신호 처리 기판(23)에 간접 연결된다. One end of the communication antenna 255 may include a coupler 255a. The coupler 255a is not directly connected to the signal processing substrate 23, but is indirectly connected to the signal processing substrate 23 via the V2X antenna 257.

V2X 안테나(257)는 차량 간 통신을 위한 V2X 신호를 수신한다. V2X 안테나(257)는 V2X 신호를 송수신하면서 동시에 상기 통신용 안테나(255)를 신호 처리 기판(23)에 연결한다. 이를 위해 V2X 안테나(257)는 통신용 안테나(255)의 일단에 형성된 결합부(255a)가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고 고정하는 고정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V2X antenna 257 receives a V2X signal for vehicle-to-vehicle communication. The V2X antenna 257 transmits and receives a V2X signal and simultaneously connects the communication antenna 255 to the signal processing board 23 . To this end, the V2X antenna 257 may include a fixing structure in which a coupling portion 255a formed at one end of the communication antenna 255 is detachably inserted and fixed.

일 실시예에 따라, V2X 안테나(257)는 WAVE 주파수를 이용해 V2X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WAVE(Wireless Access in Vehicular Environment) 주파수는 5.8GHz~ 5.9GHz를 사용함으로써 짧은 파장으로 직진성이 뛰어나며 차량 진행의 수평면 방향으로 최적화되었을 때 유효 통신거리 확보가 용이하다. 또한, V2X 통신은 차량과 인프라 간(Vehicle-to-Infrastructure, 이하 V2I), 차량과 차량 간(Vehicle-to-Vehicle, 이하 V2V), 차량과 모바일 간(Vehicle-to-Momadic devices, 이하 V2N)의 통신으로 구별할 수 있다. 따라서, V2X 안테나(257)를 포함하는 차량은 내/외부로부터 무선 데이터를 수신받아 운전자 중심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능형 교통 시스템(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 ITS)을 실현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V2X antenna 257 may perform V2X communication using a WAVE frequency. Here, WAVE (Wireless Access in Vehicular Environment) frequency uses 5.8 GHz to 5.9 GHz, so it is excellent in straightness with a short wavelength and it is easy to secure an effective communication distance when optimiz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vehicle progress. In addition, V2X communication includes vehicle-to-infrastructure (V2I), vehicle-to-vehicle (V2V), and vehicle-to-mobile devices (V2N). communication can be distinguished. Accordingly, a vehicle including the V2X antenna 257 may realize an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 (ITS) that receives wireless data from inside/outside and provides a driver-centered service.

다른 실시예에 따라, V2X 안테나(257)는 라디오 신호(AM/FM), 방송 신호(DMB, DAB, SXM 등), 통신 신호(3G, 4G, LTE) 등을 송수신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V2X antenna 257 may transmit and receive radio signals (AM / FM), broadcast signals (DMB, DAB, SXM, etc.), communication signals (3G, 4G, LTE), and the like.

케이스(27)는 베이스(21)와 결합하여 내부 수용 공간에 상기 신호 처리 기판(23) 및 안테나부(25)를 수용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케이스(27)는 하부가 개방되고 내부가 비어 있는 돔 형태를 갖고, 내부에 안테나부(25)와 같은 구성 요소를 수용하기 위한 일정길이 이상의 높이를 갖는다.The case 27 is combined with the base 21 to accommodate the signal processing substrate 23 and the antenna unit 25 in an internal accommodating spa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ase 27 has a dome shape with an open bottom and an empty interior, and has a height of a certain length or more to accommodate components such as the antenna unit 25 therein.

도 3은 도 2의 V2X 안테나의 전체 구조를 자세하게 보여주는 확대도이며, 도 4는 도 3의 제3 방사체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3 is an enlarged view showing the entire structure of the V2X antenna of FIG. 2 in detail, and FIG. 4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third radiator of FIG.

도 3을 참고하면, V2X 안테나(257)는 제1 방사체(31), 제2 방사체(33), 급전부(35), 그리고 제3 방사체(37)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 the V2X antenna 257 may include a first radiator 31, a second radiator 33, a power supply unit 35, and a third radiator 37.

일 실시예에 따라, V2X 안테나(257)는 다이폴 안테나에 대응하는 전기적 특성을 갖는다. 즉, 제1 방사체(31) 및 제2 방사체(33)는 RF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사체로 동작하며, 제1 방사체(31) 및 제2 방사체(33)의 전기적 길이 합은 방사되는 RF 신호 파장(λ)의 절반에 해당한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V2X antenna 257 has electrical characteristics corresponding to a dipole antenna. That is, the first radiator 31 and the second radiator 33 operate as radiators that transmit and receive RF signals, and the sum of electrical lengths of the first radiator 31 and the second radiator 33 is the RF signal wavelength ( corresponds to half of λ).

V2X 안테나(257)는 다른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는 안테나를 신호 처리 기판(23)에 연결하는 커넥터(connector)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V2X 안테나(257)를 통해 신호 처리 기판(23)에 연결되는 안테나는 통신용 안테나(255)이다. The V2X antenna 257 may perform a connector function of connecting an antenna operating in a different frequency band to the signal processing substrate 23. In this embodiment, referring to FIGS. 2 and 3 , the antenna connected to the signal processing board 23 through the V2X antenna 257 is the communication antenna 255 .

제1 방사체(31)는 통신용 안테나(255)의 일단에 형성된 결합부(255a)를 착탈 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다. 즉, 통신용 안테나(255)를 가압하여 제1 방사체(31)에 착탈시 제1 방사체(31)가 탄성 변형되어 통신용 안테나(255)의 일단에 형성된 결합부(255a)와 탄성 결합할 수 있다. The first radiator 31 may detachably fix the coupling portion 255a formed at one end of the communication antenna 255 . That is, when the communication antenna 255 is attached or detached from the first radiator 31 by pressing, the first radiator 31 is elastically deformed and can be elastically coupled to the coupler 255a formed at one end of the communication antenna 255.

제2 방사체(33)는 제1 방사체(31)와 함께 급전되는 RF 신호를 방사하고 외부로부터 전송되는 RF 신호를 수신하는 방사체로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2 방사체(33)는 제1 방사체(31)와 함께 다이폴 안테나로서 동작할 수 있다. The second radiator 33 may operate as a radiator that radiates an RF signal supplied with the first radiator 31 and receives an RF signal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econd radiator 33 may operate as a dipole antenna together with the first radiator 31 .

급전부(35)는 제1 방사체(31) 및 제2 방사체(33)에 급전 신호 및 접지 전압을 제공한다. The power supply unit 35 provides a power supply signal and a ground voltage to the first radiator 31 and the second radiator 33 .

제3 방사체(37)는 제1 방사체(31) 및 제2 방사체(33)에서 방사되는 빔 패턴을 제어하여 차량의 전후방 방향으로 안테나 이득을 높일 수 있고, 기생소자로 지칭될 수도 있다. 제3 방사체(37)의 제어로 차량의 전후방 방향으로 지향성이 높아지면 차량 간 통신이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다. The third radiator 37 can increase antenna gain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vehicle by controlling beam patterns emitted from the first radiator 31 and the second radiator 33, and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parasitic element. When directivity is increas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vehicle by the control of the third radiator 37, vehicle-to-vehicle communication can be smoothly performed.

도 3을 참고하면, 일 실시예에 따라, 제3 방사체(37)는 제1 방사체(31) 및 제2 방사체(33)가 배열되는 방향의 양 측면 또는 일 측면에 일정간격 이격 되어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방사체(31) 및 제2 방사체(33)가 배열되는 방향의 양 측면이란, 예를 들어, 제1 방사체(31) 및 제2 방사체(33)가 임의의 방향(ex, Y축 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될 때, 방사체(31) 및 제2 방사체(33)의 배열방향(ex, Y축 방향)의 우측영역 및 좌측영역으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방사체(37)가 위치한 영역으로 실현될 수 있다. 또한, 제1 방사체(31) 및 제2 방사체(33)가 배열되는 방향의 일 측면이란, 상기 양 측면 중 일부 영역, 즉, 우측영역 또는 좌측영역으로 구현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third radiator 37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interval on both sides or one side of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radiator 31 and the second radiator 33 are arranged. there is. Here, both sides of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radiator 31 and the second radiator 33 are arranged refer to, for example, the first radiator 31 and the second radiator 33 in an arbitrary direction (ex, Y-axis). As shown in FIG. 3, the third radiator ( 37) can be realized as the area where it is located. In addition, one side of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radiator 31 and the second radiator 33 are arranged may be implemented as a partial area of both sides, that is, a right area or a left area.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방사체(37)는 지지대(37a)에 의해 지지되어 제1 방사체(31) 및 제2 방사체(33)가 배열되는 방향의 양 측면에서 제1 방사체(31) 및 제2 방사체(33)와 평행하게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위치할 수 있다. 도 3의 상측에서 바라보면(도 3의 A 방향), 제3 방사체(37)의 일단은 제1 방사체(31)의 끝단에 도달하지 못하고, 제3 방사체(37)의 타단은 제2 방사체(33)의 끝단에 대응되어, 제3 방사체(37)의 전체 길이가 제1 방사체(31)의 끝단부터 제2 방사체(33)의 끝단까지 길이보다 짧게 구현될 수 있으며, 이는 이하 설명할 도 6에 자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또한, 제3 방사체(37)는 지지대(37a)에 의해 지지되어 제1 방사체(31) 및 제2 방사체(33)가 배열되는 방향의 일 측면에서 제1 방사체(31) 및 제2 방사체(33)와 평행하게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위치할 수 있다. The third radiator 37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supported by the support 37a, and the first radiator 31 and the second radiator 31 and the second radiator 37 ar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radiator 31 and the second radiator 33 are arranged. It may be positioned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parallel to the radiator 33 . When viewed from the upper side of FIG. 3 (direction A in FIG. 3 ), one end of the third radiator 37 does not reach the end of the first radiator 31, and the other end of the third radiator 37 is the second radiator ( 33), the entire length of the third radiator 37 may be implemented shorter than the length from the end of the first radiator 31 to the end of the second radiator 33,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in FIG. 6 are shown in detail. In addition, the third radiator 37 is supported by the support 37a so that the first radiator 31 and the second radiator 33 ar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radiator 31 and the second radiator 33 are arranged. ) and may be positioned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parallel to.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대(37a)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 처리 기판(23)에서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제3 방사체(37)의 중심부분을 수직하게 지지하여 제3 방사체(37)와 함께 전체적으로 알파벳 'T'자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도 3의 측면에서 바라보면(도 3에서 B 방향), 제3 방사체(37)에 의해 제2 방사체(33)의 상면, 즉, 'ㄱ' 형상에서 'ㅡ' 형상으로 구현되는 상면(331)이 가려질 수 있고, 이때 상면(331)이 가려질 수 있도록 지지대(37a)의 높이를 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방사체(33)의 상면(331)은, 이하 도 5에서 자세하게 설명한다. As shown in FIG. 3 , the support 37a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formed to extend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the signal processing substrate 23 and vertically supports the center portion of the third radiator 37 to support the third radiator 37a. Together with (37), it can be implemented in an alphabet 'T' shape as a whole. At this time, when viewed from the side of FIG. 3 (direction B in FIG. 3),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radiator 33 by the third radiator 37, that is, the upper surface implemented from the 'a' shape to the 'ㅡ' shape ( 331) can be covered, and at this time, the height of the support 37a can be calculated so that the upper surface 331 can be covered. Here, the upper surface 331 of the second radiator 33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5 below.

또한, 지지대(37a)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방사체(37)의 중심부분을 지지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3 방사체(37)의 임의의 부분을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3 방사체(37)의 일단 또는 타단의 끝단에 수직하게 결합되어 제3 방사체(37)와 함께 전체적으로 'ㄱ'자 형상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upport 37a may support the center portion of the third radiator 37 as shown in FIG. 3 ,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support an arbitrary portion of the third radiator 37 . Accordingly, it may be vertically coupled to one end or the other end of the third radiator 37 and implemented in an 'L' shape together with the third radiator 37 as a whole.

도 4를 참고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3 방사체(37)는 제1 방사체(31) 및 제2 방사체(33)가 배열되는 방향의 양 측면 또는 일 측면에 일정간격 이격 되어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방사체(31) 및 제2 방사체(33)가 배열되는 방향의 양 측면이란, 예를 들어, 제1 방사체(31) 및 제2 방사체(33)가 임의의 방향(ex, Y축 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될 때, 방사체(31) 및 제2 방사체(33)의 배열방향(ex, Y축 방향)의 우측영역 및 좌측영역으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방사체(37)가 위치한 영역으로 실현될 수 있다. 또한, 제1 방사체(31) 및 제2 방사체(33)가 배열되는 방향의 일 측면이란, 상기 양 측면 중 일부 영역, 즉, 우측영역 또는 좌측영역으로 구현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third radiator 37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interval on both sides or one side of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radiator 31 and the second radiator 33 are arranged. there is. Here, both sides of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radiator 31 and the second radiator 33 are arranged refer to, for example, the first radiator 31 and the second radiator 33 in an arbitrary direction (ex, Y-axis). As shown in FIG. 4, the third radiator ( 37) can be realized as the area where it is located. In addition, one side of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radiator 31 and the second radiator 33 are arranged may be implemented as a partial area of both sides, that is, a right area or a left area.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3 방사체(37)는 신호 처리 기판(23)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 방사체(31) 및 제2 방사체(33)가 배열되는 방향의 양 측면, 도 4를 참고하면, 바람직하게 제1 방사체(31) 및 제2 방사체(33)가 서로 근접하는 영역의 양 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4의 측면에서 바라보면(도 4의 B 방향), 제3 방사체(37)에 의해 제1 방사체(31)의 측면, 또는 제2 방사체(33)의 수직면이 부분적으로 가려질 수 있다. 여기서, 제1 방사체(31)의 측면은 지지부(315)로서, 이하 도 7에서 자세하게 설명하고, 제2 방사체(33)의 수직면은 'ㄱ' 형상에서 'ㅣ' 형상으로 구현되는 수직면(333)으로 이하 도 5에서 자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제3 방사체(37)는 신호 처리 기판(23)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 방사체(31) 및 제2 방사체(33)가 배열되는 방향의 일 측면에만, 도 4를 참고하면, 바람직하게 제1 방사체(31) 및 제2 방사체(33)가 서로 근접하는 영역의 양 측면 중 하나의 측면에만 위치할 수 있다. The third radiator 37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s formed to extend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the signal processing substrate 23, and both sides of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radiator 31 and the second radiator 33 are arranged, FIG. 4 Referring to , preferably, the first radiator 31 and the second radiator 33 may be located on both sides of an area in close proximity to each other. In this case, when viewed from the side of FIG. 4 (direction B of FIG. 4 ),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radiator 31 or the vertical surface of the second radiator 33 may be partially covered by the third radiator 37 . there is. Here,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radiator 31 is the support part 315,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7, and the vertical surface of the second radiator 33 is a vertical surface 333 implemented in a 'ㅣ' shape from an 'A' shape. 5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In addition, the third radiator 37 is formed to extend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the signal processing substrate 23 and is disposed on only one side of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radiator 31 and the second radiator 33 are arranged, see FIG. 4 . In this case, preferably, the first radiator 31 and the second radiator 33 may be located on only one side of both sides of an area in close proximity to each other.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3 방사체(37)는 신호 처리 기판(23)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측 끝단이 제1 방사체(31)의 상측 끝단보다 아래에 위치하도록 연장되어, 제3 방사체(37)의 높이가 제1 방사체(31)의 높이보다 낮게 구현되도록 제3 방사체(37)의 길이를 산정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hird radiator 37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extends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the signal processing substrate 23, and extends so that its upper end is located below the upper end of the first radiator 31, so that it is a third radiator. The length of the third radiator 37 may be calculated so that the height of (37) is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first radiator 31.

도 5는 도 3의 V2X 안테나의 전기적인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a)는 제1 방사체(31) 및 제2 방사체(33)의 물리적 형상을 간단히 설명하고, 도 5(b)는 제1 방사체(31) 및 제2 방사체(33)의 전기적인 형상에 따른 길이를 설명한다. 5 is a diagram explaining the electrical configuration of the V2X antenna of FIG. 3. 5(a) briefly describes the physical shapes of the first radiator 31 and the second radiator 33, and FIG. 5(b) shows the electrical shapes of the first radiator 31 and the second radiator 33. Describe the length according to .

도 5(a)를 참고하면, 제1 방사체(31) 및 제2 방사체(33)는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져 방사체로서 동작하며 급전되는 RF 신호를 방사하고 외부로부터 전송되는 RF 신호를 수신한다.Referring to FIG. 5( a ), the first radiator 31 and the second radiator 33 are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and operate as radiators, radiating a powered RF signal and receiving an RF signal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제1 방사체(31)는 일단이 급전부(3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타단이 전기적으로 개방(open)되고 중앙부분이 휘어져 단면이 소켓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소켓 형상은 진입부(311), 바닥부(313), 그리고 지지부(315)로 구분될 수 있다. 진입부(311)는 통신용 안테나(255)의 결합부(255a)가 가압되어 진입할 때 외측으로 탄성 변형되고 결합부(255a)가 바닥부(313)에 안착되면 진입부(311)의 양 측면은 원래 위치로 복원되어 통신용 안테나(255)의 결합부(255a)와 탄성 결합할 수 있다. 바닥부(313)는 상기 결합부(255a)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현되어, 결합부(255a)가 안착하는 영역이다. 한 쌍의 지지부(315)는 상기 소켓 형상을 지지할 수 있고, 도 3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한 쌍의 지지부(315) 중 일 측의 지지부(315)는 제2 방사체(33)의 수직면(333)과 근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The first radiator 31 may have one e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unit 35, the other end electrically open, and a central portion bent to have a socket shape in cross section. The socket shape may be divided into an entry portion 311 , a bottom portion 313 , and a support portion 315 . The entry part 311 is elastically deformed outward when the coupling part 255a of the communication antenna 255 is pressed and entered, and both sides of the entry part 311 when the coupling part 255a is seated on the bottom part 313. is restored to its original position and can be elastically coupled to the coupling portion 255a of the communication antenna 255. The bottom part 313 is implement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coupling part 255a, and is an area where the coupling part 255a is seated. The pair of support parts 315 may support the socket shape, and referring to FIGS. 3 to 5 , the support part 315 on one side of the pair of support parts 315 is the vertical surface of the second radiator 33 . (333) and may be located in close proximity.

또한, 제1 방사체(31)는 도 5(a)와 같이 전형적인 소켓 형상이 아닌, 곡면 일부의 곡률이 달라지거나 일부 곡면이 직선화되는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통신용 안테나(255)와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제1 방사체(31)의 형상이 통신용 안테나(255)의 결합부(255a) 형상에 대응되게 하기 위함이다. In addition, the first radiator 31 may include an embodiment in which a part of a curved surface has a different curvature or a part of a curved surface is straightened rather than having a typical socket shape as shown in FIG. 5(a). This is to make the shape of the first radiator 31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coupling portion 255a of the communication antenna 255 so as to facilitate coupling with the communication antenna 255 .

제2 방사체(33)는 일단이 급전부(3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타단이 전기적으로 개방(open)되고 접은(folded)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접은 형상은 직선의 일부가 접혀 굽어진 형상으로, 도 3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ㄱ'자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ㄱ'자 형상은 'ㅡ' 형상으로 구현되는 상면(331)과 'ㅣ' 형상으로 구현되는 수직면(333)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면(331)의 끝단은 전기적으로 개방(open)되고 수직면(333)의 끝단은 급전부(3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수직면(333)은 제1 방사체(31)의 한 쌍의 지지부(315) 중 일 측의 지지부(315)와 근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다만, 제2 방사체(33)의 형상이 'ㄱ'자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방사체(31)와 전기적으로 대칭되는 형상으로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radiator 33 may have one e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unit 35 and the other end electrically open and fold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folded shape is a shape in which a portion of a straight line is folded and bent, and referring to FIGS. 3 to 5 , it may be implemented in an 'L' shape. The 'ㄱ' shape can be divided into an upper surface 331 implemented in a 'ㅡ' shape and a vertical surface 333 implemented in a 'ㅣ' shape. The end of the upper surface 331 is electrically open, the end of the vertical surface 333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unit 35, and the vertical surface 333 is a pair of support parts 315 of the first radiator 31. ) It may be located in close proximity to the support part 315 on one side. However, the shape of the second radiator 33 is not limited to the 'L' shape, and various embodiments implemented in a shape electrically symmetrical to the first radiator 31 may be included.

급전부(35)는, 도 5(a)를 참고하면, 제1 방사체(31)에 급전 신호를 제공하고 제2 방사체(33)에 접지 전압을 제공하고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급전부(35)는 제1 방사체(31)에 접지 전압을 제공하고 제2 방사체(33)에 급전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a) , the power supply unit 35 provides a power supply signal to the first radiator 31 and provides a ground voltage to the second radiator 33 .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power supply unit 35 may provide a ground voltage to the first radiator 31 and a power supply signal to the second radiator 33 .

도 5(b)를 참고하면,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방사체(31)의 전기적인 형상은 대략 육면체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V2X 안테나(257)가 반파장 다이폴 안테나에 대응하는 전기적 특성을 갖는 경우, 제1 방사체(31)의 전기적 육면체의 높이 및 제2 방사체(33)의 일단에서 타단까지 전기적 길이는 각각 방사되는 RF 신호 파장의 1/4에 대응하는 전기적 길이를 갖는다. 따라서, 제1 방사체(31) 및 제2 방사체(33)의 전기적 길이에 의해 방사되는 RF 신호의 주파수(파장)가 결정된다. Referring to FIG. 5(b) ,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the electrical shape of the first radiator 31 may be formed in a substantially hexahedral shape. That is, when the V2X antenna 257 has electrical characteristics corresponding to the half-wavelength dipole antenna, the height of the electrical hexahedron of the first radiator 31 and the electrical length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radiator 33 are respectively radiated. It has an electrical length corresponding to 1/4 of the RF signal wavelength. Accordingly, the frequency (wavelength) of the radiated RF signal is determined by the electrical lengths of the first radiator 31 and the second radiator 33 .

도 6은 도 3의 V2X 안테나의 구성요소 상호 간 바람직한 배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또한, 도 6은 도 3에서 상측(A 방향)에서 바라봤을 때, V2X 안테나의 구성요소 상호 간 배치도면일 수 있다.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eferred arrangement between components of the V2X antenna of FIG. 3. In addition, FIG. 6 may be a mutual arrangement diagram of components of a V2X antenna when viewed from the upper side (direction A) in FIG. 3.

도 6을 참고하면, 제1 방사체(31)와 제2 방사체(33)는 상호 간 소정 간격(A)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2 방사체(33)가 제1 방사체(31)로부터, 방사되는 RF 신호 파장(λ)의 1/10에 해당하는 거리만큼 이격되게 위치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 the first radiator 31 and the second radiator 33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 Preferably, the second radiator 33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radiator 31 by a distance corresponding to 1/10 of the wavelength λ of the radiated RF signal.

또한, 제3 방사체(37)는 제1 방사체(31)와 제2 방사체(33)로부터 소정 간격(T)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3 방사체(37)는 제1 방사체(31) 및 제2 방사체(33)로부터 방사되는 RF 신호 파장(λ)의 1/4에 해당하는 거리만큼 이격되게 위치한다. In addition, the third radiator 37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radiator 31 and the second radiator 33 by a predetermined interval (T). Preferably, the third radiator 37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distance corresponding to 1/4 of the RF signal wavelength λ radiated from the first radiator 31 and the second radiator 33 .

또한, 제3 방사체(37)의 전기적 길이(L)는 방사되는 RF 신호 파장의 1/4에 대응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방사되는 RF 신호 파장의 1/4에 0.92를 곱한 값으로 구현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electrical length (L) of the third radiator 37 may correspond to 1/4 of the radiated RF signal wavelength, and is preferably implemented as a value obtained by multiplying 1/4 of the radiated RF signal wavelength by 0.92. can

상기와 같은 전기적 길이(L)를 갖는 제3 방사체(37)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제1 방사체(31)의 끝단에 도달하지 못하고, 타단은 제2 방사체(33)의 끝단에 대응되어, 제3 방사체(37)의 전체 길이가 제1 방사체(31)의 끝단부터 제2 방사체(33)의 끝단까지 사이 거리보다 짧게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와 같은 전기적 길이(L)를 갖는 제3 방사체(37)는 제1 방사체(31)의 끝단부터 제2 방사체(33)의 끝단까지 사이의 임의의 지점에 위치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6 , in the third radiator 37 having the electrical length L as described above, one end does not reach the end of the first radiator 31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radiator 33 Corresponding to the end, the total length of the third radiator 37 may be implemented short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end of the first radiator 31 and the end of the second radiator 33 . Also, although not shown, the third radiator 37 having the electrical length L as described above may be located at any point between the end of the first radiator 31 and the end of the second radiator 33. there is.

도 7은 도 6의 제3 방사체의 전기적 길이(L)에 따른 방사 효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FIG. 7 is a graph showing radiation efficiency according to an electrical length (L) of the third radiator of FIG. 6 .

도 7에서, 가로축은 제1 방사체(31) 및 제2 방사체(33)로부터 방사되는 RF 신호 파장(λ)의 변화에 따른 제3 방사체(37)의 전기적 길이(L=λ/4×0.92)의 변화이고, 세로축은 제3 방사체(37)의 전기적 길이(L)의 변화에 따른 방사체의 방사 효율(%)를 나타낸다. 구체적 수치는 하기 <표 1>과 같다. In FIG. 7 , the horizontal axis is the electrical length (L=λ/4×0.92) of the third radiator 37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RF signal wavelength λ radiated from the first radiator 31 and the second radiator 33. , and the vertical axis represents the radiation efficiency (%) of the radiator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electrical length (L) of the third radiator 37 . Specific values are shown in <Table 1> below.

Figure 112018031036275-pat00001
Figure 112018031036275-pat00001

<표 1><Table 1>

도 7 및 표 1을 참고하면, 제1 방사체(31) 및 제2 방사체(33)로부터 방사되는 RF 신호 파장(λ)의 하한은 0.17m 이상 또는 0.18m 이상 또는 0.21m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상한은 0.25m 이하 또는 0.27m 이하 또는 0.28m 이하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and Table 1, the lower limit of the RF signal wavelength λ emitted from the first radiator 31 and the second radiator 33 may include 0.17 m or more, 0.18 m or more, or 0.21 m or more, , the upper limit may include 0.25 m or less, or 0.27 m or less, or 0.28 m or less.

예를 들어, 제1 방사체(31) 및 제2 방사체(33)로부터 방사되는 RF 신호 파장(λ)은 0.17m 이상 0.28m 이하의 범위를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RF 신호 파장(λ)에 따른 제3 방사체(37)의 전기적 길이(0.0391m≤L≤0.0644m)에서 방사 효율(ex, 40% 이상)이 우수하게 유지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RF signal wavelength λ emitted from the first radiator 31 and the second radiator 33 may include a range of 0.17 m or more and 0.28 m or less, depending on the RF signal wavelength λ. Radiation efficiency (eg, 40% or more) may be excellently maintained at the electrical length (0.0391m≤L≤0.0644m) of the third radiator 37 .

도 8은 도 6의 제1 방사체 및 제2 방사체 상호 간 간격(A)에 따른 방사 효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FIG. 8 is a graph showing radiation efficiency according to a distance A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radiators of FIG. 6 .

도 8에서, 가로축은 제1 방사체(31) 및 제2 방사체(33)로부터 방사되는 RF 신호 파장(λ)의 변화에 따른 제1 방사체(31) 및 제2 방사체(33)의 이격 거리(A=λ/10)의 변화이고, 세로축은 제1 방사체(31) 및 제2 방사체(33)의 이격 거리(A)의 변화에 따른 방사체의 방사 효율(%)를 나타낸다. 구체적 수치는 하기 <표2>와 같다. In FIG. 8 , the horizontal axis is the separation distance A between the first radiator 31 and the second radiator 33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RF signal wavelength λ radiated from the first radiator 31 and the second radiator 33 . =λ/10), and the vertical axis represents the radiation efficiency (%) of the radiator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separation distance (A) of the first radiator 31 and the second radiator 33. Specific values are shown in <Table 2> below.

Figure 112018031036275-pat00002
Figure 112018031036275-pat00002

<표 2> <Table 2>

도 8 및 표 2를 참고하면, 제1 방사체(31) 및 제2 방사체(33)로부터 방사되는 RF 신호 파장(λ)의 하한은 0.075m 이상 또는 0.080m 이상 또는 0.090m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상한은 0.105m 이하 또는 0.0135m 이하 또는 0.155m 이하를 포함할 수 있다. 8 and Table 2, the lower limit of the RF signal wavelength λ emitted from the first radiator 31 and the second radiator 33 may include 0.075 m or more, 0.080 m or more, or 0.090 m or more, , the upper limit may include 0.105 m or less, or 0.0135 m or less, or 0.155 m or less.

예를 들어, 제1 방사체(31) 및 제2 방사체(33)로부터 방사되는 RF 신호 파장(λ)은 0.075m 이상 0.155m 이하의 범위를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RF 신호 파장(λ)에 따른 제1 방사체(31) 및 제2 방사체(33)의 이격 거리(0.0075m≤A≤0.0155m)에서 방사 효율(ex, 40% 이상)이 우수하게 유지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RF signal wavelength λ emitted from the first radiator 31 and the second radiator 33 may include a range of 0.075 m or more and 0.155 m or less, depending on the RF signal wavelength λ. Radiation efficiency (eg, 40% or more) may be excellently maintained at a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irst radiator 31 and the second radiator 33 (0.0075m≤A≤0.0155m).

도 9는 도 3의 제1 방사체의 형상에 대한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10은 도 3의 제1 방사체의 형상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11은 도 3의 제1 방사체의 형상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9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shape of the first radiator of FIG. 3, FIG. 10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hape of the first radiator of FIG. 3, and FIG. 11 is a view of the first radiator of FIG. It is a drawing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hape of the radiator.

도 9 내지 도 11에서, 제1 방사체(31)는 탄성 재질로 구성되어 결합부(255a)와 볼-소켓 유닛을 형성하는 다양한 실시예를 포함한다. 한편, 도 9 내지 도 11에 제2 방사체(33)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2 방사체(33)는 도 3에 도시된 형상으로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제1 방사체(31)와 한 쌍을 이루어 방사체로 동작할 수 있다. In FIGS. 9 to 11 , the first radiator 31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and includes various embodiments in which a coupling portion 255a and a ball-socket unit are formed. Meanwhile, although the second radiator 33 is not shown in FIGS. 9 to 11, the second radiator 33 has the shape shown in FIG. 3 and is a pair of the first radiator 31 shown in FIGS. 9 to 11. and can operate as a emitter.

도 9 내지 도 11에서, 제1 방사체(31)는 다양한 모양의 소켓구조로 형성되어 볼 형상의 결합부(255a)와 탄성 결합할 수 있다. 9 to 11, the first radiator 31 is formed in a socket structure having various shapes and can be elastically coupled to the ball-shaped coupling part 255a.

도 9(a)를 참고하면, 일 실시예에 따라, 결합부(255a)는 전형적인 볼 형상이 아니라, 결합시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일부 영역이 내측으로 만곡되어 전체적으로 절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방사체(31)는 상기 결합부(255a) 형상에 대응되도록 곡면 일부의 곡률이 달라지거나 일부 곡면이 직선화되어 결합부(255a)의 볼 형상에 대응되는 소켓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통신용 안테나(255)와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제1 방사체(31)의 형상이 결합부(255a)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Referring to FIG. 9(a) ,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the coupling part 255a may not have a typical ball shape, but may be formed in a mortar shape as a whole by partially curved inward to prevent separation during coupling. In this case, the first radiator 31 may have a socket shape corresponding to the ball shape of the coupling portion 255a by changing a curvature of a portion of the curved surface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coupling portion 255a or by straightening a portion of the curved surface. . This is to make the shape of the first radiator 31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coupler 255a so as to facilitate coupling with the communication antenna 255 .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도 9(b)에서, 결합부(255a)는 내측으로 만곡된 부분(C)에서 돌출부분(P)으로 이어지는 면이 수평면과 예각(α°< 90°)을 이루고, 돌출부분(P)에서 하측으로 다시 만곡되는데, 이때 돌출부분(P)에서 하측으로 만곡되는 면은 제1 방사체(31)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는 가이드부(2551)이다. More specifically, in FIG. 9 (b), in the coupling portion 255a, the plane extending from the inwardly curved portion C to the protruding portion P forms an acute angle (α° < 90°) with the horizontal plane, It is curved downward again at the protruding portion P, and at this time, the surface curved downward at the protruding portion P is the guide portion 2551 that facilitates coupling with the first radiator 31 .

제1 방사체(31)는 상 방향으로 개구되고, 좌우 방향 단면의 중심은 소켓 형상으로 형성되어 단면 전체가 알파벳 'M' 모양과 유사하고 단면 중심부는 소켓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radiator 31 is open in the upward direction, and the center of the cross section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is formed in a socket shape so that the entire cross section is similar to the shape of the alphabet 'M' and the center of the cross section may be formed in a socket shape.

상기 소켓 형상은 진입부(311), 바닥부(313), 그리고 지지부(315)로 구분될 수 있다. 도 9(b)와 같이, 한 쌍의 진입부(311)는, 양 측면 사이 간격인 진입 직경(L1)이 결합부(255a)의 돌출부분(P)의 직경(L2)보다 소정간격 작게 형성됨으로써, 한 쌍의 진입부(311)의 양 측면은 통신용 안테나(255)의 결합부(255a)가 가압되어 진입할 때 외측으로 탄성 변형되고 결합부(255a)가 바닥부(313)에 안착되면 진입부(311)의 양 측면은 원래 위치로 복원되어 통신용 안테나(255)의 결합부(255a)와 탄성 결합할 수 있다. 바닥부(313)는 상기 결합부(255a)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현되어 결합부(255a)가 안착하는 영역으로, 바닥부(313)의 내부 직경(L3)은 결합부(255a)의 직경(L2)에 대응되게 형성되거나(L2=L3), 조금 크게 형성될 수 있다(L2<L3). 지지부(315)는 상기 소켓 형상을 지지할 수 있다. The socket shape may be divided into an entry portion 311 , a bottom portion 313 , and a support portion 315 . As shown in FIG. 9(b), in the pair of entry parts 311, the entrance diameter L1, which is the distance between both sides,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L2 of the protruding part P of the coupling part 255a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s a result, both sides of the pair of entry parts 311 are elastically deformed outward when the coupling part 255a of the communication antenna 255 is pressed and enters, and when the coupling part 255a is seated on the bottom part 313 Both side surfaces of the entry portion 311 may be restored to their original positions and elastically coupled to the coupling portion 255a of the communication antenna 255 . The bottom portion 313 is implement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coupling portion 255a and is an area where the coupling portion 255a is seated, and the inner diameter L3 of the bottom portion 313 is the size of the coupling portion 255a. It may be formed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L2 (L2=L3) or slightly larger (L2<L3). The support part 315 may support the socket shape.

따라서, 제1 방사체(31)가 도 9와 같은 형상으로 구현됨으로써, 결합부(255a)를 가압하여 제1 방사체(31)에 착탈시 제1 방사체(31)의 진입부(311)의 양 측면이 탄성 변형되어 결합부(255a)와 탄성 결합할 수 있다. Therefore, since the first radiator 31 is implemented in the shape shown in FIG. 9 , both side surfaces of the entry portion 311 of the first radiator 31 when attached to or detached from the first radiator 31 by pressing the coupling portion 255a. This elastic deformation can be elastically coupled to the coupling portion 255a.

도 10을 참고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라, 결합부(255a)는 전형적인 볼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방사체(31)는 상기 결합부(255a)의 볼 형상에 대응되는 소켓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통신용 안테나(255)와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제1 방사체(31)의 형상이 결합부(255a)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Referring to FIG. 10 ,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coupling portion 255a may be formed in a typical ball shape. In this case, the first radiator 31 may have a socket shape corresponding to the ball shape of the coupler 255a. This is to make the shape of the first radiator 31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coupler 255a so as to facilitate coupling with the communication antenna 255 .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10에서, 결합부(255a)는 전형적인 볼 형상으로 형성되어, 구심을 지나는 직경에서 하부 곡면부분은 제1 방사체(31)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는 가이드부(2551)이다. More specifically, in FIG. 10, the coupling portion 255a is formed in a typical ball shape, and the lower curved portion at the diameter passing through the centroid is a guide portion 2551 that facilitates coupling with the first radiator 31. .

제1 방사체(31)는 전체적으로 육면체로 형성되고 육면체 상 측면에 개구부(31a)가 형성되고, 내부에 결합부(255a)가 삽입고정되는 삽입홈(31b)이 함입되어 형성되며, 전체적으로 결합부(255a)의 볼 형상에 대응되는 소켓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first radiator 31 is formed as a hexahedron as a whole, has an opening 31a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hexahedron, and an insertion groove 31b into which the coupling portion 255a is inserted and fixed is formed, and the coupling portion ( 255a) may be configured in a socket shape corresponding to the ball shape.

상기 소켓 형상은 진입부(311), 그리고 바닥부(313)로 구분될 수 있다. 도 도 10과 같이, 진입부(311)는, 양 측면 사이 간격인 진입 직경(L1)이 결합부(255a)의 돌출부분(P)의 직경(L2)보다 소정간격 작게 형성됨으로써, 진입부(311)의 양 측면은 통신용 안테나(255)의 결합부(255a)가 가압되어 진입할 때 외측으로 탄성 변형되고 결합부(255a)가 바닥부(313)에 안착되면 진입부(311)의 양 측면은 원래 위치로 복원되어 통신용 안테나(255)의 결합부(255a)와 탄성 결합할 수 있다. 바닥부(313)는 상기 결합부(255a)의 형상에 대응되는 구 형상으로 구현되어 결합부(255a)가 안착하는 영역으로, 바닥부(313)의 구심을 지나는 내부 직경(L3)은 결합부(255a)의 구심을 지나는 직경(L2)에 대응되게 형성되거나(L2=L3), 조금 크게 형성될 수 있다(L2<L3). The socket shape may be divided into an entry portion 311 and a bottom portion 313 . As shown in FIG. 10, the entry part 311 has an entry diameter L1, which is the distance between both sides, smaller than the diameter L2 of the protruding part P of the coupling part 255a by a predetermined distance, so that the entry part ( 311) is elastically deformed outward when the coupling portion 255a of the communication antenna 255 is pressed and entered, and when the coupling portion 255a is seated on the bottom portion 313, both sides of the entry portion 311 is restored to its original position and can be elastically coupled to the coupling portion 255a of the communication antenna 255. The bottom portion 313 is implemented in a spherical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coupling portion 255a and is an area where the coupling portion 255a is seated, and the inner diameter L3 passing through the centripetal center of the bottom portion 313 is the coupling portion. It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diameter L2 passing through the centripetal center of (255a) (L2=L3) or may be formed slightly larger (L2<L3).

제1 방사체(31)가 도 10과 같은 형상으로 구현됨으로써, 결합부(255a)를 가압하여 제1 방사체(31)에 착탈시 제1 방사체(31)의 진입부(311)의 양 측면이 탄성 변형되고 결합부(255a)의 볼 형상에 대응되는 바닥부(313)가 결합부(255a)와 결합할 수 있다. Since the first radiator 31 is implemented in the shape shown in FIG. 10 , both sides of the entry portion 311 of the first radiator 31 are elastic when the coupler 255a is pressed and attached or detached from the first radiator 31 . The deformed bottom portion 313 corresponding to the ball shape of the coupling portion 255a may be engaged with the coupling portion 255a.

도 11을 참고하면,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결합부(255a)는 전형적인 볼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방사체(31)는 상기 결합부(255a)의 볼 형상에 대응되도록 단면이 소켓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통신용 안테나(255)와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제1 방사체(31)의 형상이 결합부(255a)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Referring to FIG. 11 ,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coupling portion 255a may be formed in a typical ball shape. In this case, the cross section of the first radiator 31 may be configured in a socket shape to correspond to the ball shape of the coupler 255a. This is to make the shape of the first radiator 31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coupler 255a so as to facilitate coupling with the communication antenna 255 .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11에서, 결합부(255a)는 전형적인 볼 형상으로 형성되어, 구심을 지나는 직경에서 하부 곡면부분은 제1 방사체(31)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는 가이드부(2551)이다. More specifically, in FIG. 11, the coupling portion 255a is formed in a typical ball shape, and the lower curved portion at a diameter passing through the center is a guide portion 2551 that facilitates coupling with the first radiator 31. .

제1 방사체(31)는 일측에서 타측까지 연장되는 하나의 평면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진입부(311), 연장부(317), 그리고 바닥부(315)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진입부(311)는 결합부(255a)와 착탈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고, 연장부(317)는 바닥부(315)로부터 연장되며 형상이 대칭되는 마주보는 한 쌍으로 구현되고,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결합부(255a)가 안착하는 삽입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바닥부(315)는 제1 방사체(31)를 지지하며, 결합부(255a)의 하면이 안착될 수 있다. The first radiator 31 may be formed as one plane extending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and may include an entry portion 311 , an extension portion 317 , and a bottom portion 315 . The pair of entry portions 311 may be detachably provided with the coupling portion 255a, and the extension portion 317 extends from the bottom portion 315 and is implemented as a pair facing each other having a symmetrical shape. Spaced apart at set intervals, it is possible to form an insertion space in which the coupling portion 255a is seated. The bottom portion 315 supports the first radiator 31, and a lower surface of the coupling portion 255a may be seated thereon.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11을 참고하면, 한 쌍의 진입부(311)는 연장부(317)로부터 라운드가 형성되게 연장되며 중심으로부터 가장자리로 갈수록 이격되는 간격이 증가하도록 구성되어 서로 대향하는 부분이 볼록하게 구성될 수 있다. 즉, 연장부(317)로부터 멀어질수록 한 쌍의 연장부(31d) 사이의 이격 간격이 감소하다 다시 증가하도록 라운드가 형성될 수 있다. In more detail, referring to FIG. 11, the pair of entry parts 311 extend from the extension part 317 to form a round, and are configured to increase in distance from the center to the edge so that they face each other. It can be configured convexly. That is, the round may be formed such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pair of extensions 31d decreases and then increases again as the distance from the extension 317 increases.

또한, 한 쌍의 진입부(311)의 중심에서의 이격되는 간격(L1)은 결합부(255a)의 구심을 지나는 직경(L2)보다 소정간격 작게 형성되어 결합부(255a)를 가압하여 제1 방사체(31)에 착탈시 한 쌍의 진입부(311)가 탄성 변형되어 결합부(255a)와 탄성 결합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istance L1 spaced apart from the center of the pair of entry parts 311 is formed smaller than the diameter L2 passing through the centripetal center of the coupling part 255a by pressing the coupling part 255a so that the first When attaching or detaching from the radiator 31, the pair of entry parts 311 are elastically deformed and can be elastically coupled to the coupler 255a.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라 V2X 안테나에서 방사되는 빔패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a)는 종래 5.8 GHZ 안테나 빔 패턴을 보여주는 예시 도면이고, 도 1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5.8 GHZ 안테나 빔 패턴을 보여주는 예시 도면이다. 12 is a diagram showing a beam pattern radiated from a V2X antenna according to an embodiment. 12(a)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 conventional 5.8 GHZ antenna beam pattern, and FIG. 12(b)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 5.8 GHZ antenna beam patter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a)를 참고하면, 종래 차량용 안테나 장치가 샤크 핀 안테나(Shark Fin Type)로 구현되는 경우, 샤크 핀 안테나에서는 차량 루프(Roof)를 GND로 활용하는 경우가 많다. 차량 루프(Roof)에 안테나 장치가 배치될 경우, 5.8 GHZ의 고주파의 빔 패턴은 그라운드에 반사되어, 도 12(a)에 표시된 화살표 방향과 같이 빔 피크가 위쪽으로 나타나게 되어 차량 간 통신에 적합한 수평면 방향의 방사가 원활하지 못하다는 문제가 있다. Referring to FIG. 12(a) , when a conventional vehicle antenna device is implemented as a shark fin type antenna, a vehicle roof is often used as a GND in the shark fin antenna. When the antenna device is placed on the vehicle roof, the high-frequency beam pattern of 5.8 GHZ is reflected to the ground, and the beam peak appears upward as shown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shown in FIG.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adiation of the direction is not smooth.

이에, 본 발명은 차량 루프에 장착된 차량용 안테나 장치(20) 간의 원활한 통신을 위해서 수평면에 대하여 최적 방사가 이루어지도록 제1 방사체(31) 및 제2 방사체(33)가 배열되는 방향의 양 측면 또는 일 측면에 제3 방사체(37)를 포함하고 있다. 즉, 제3 방사체(37)는 제1 방사체(31) 및 제2 방사체(33)에서 방사되는 빔 패턴을 제어하여 차량의 전후방 방향으로 지향성을 높여 차량 간 통신이 원활하게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ed to both sides of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radiator 31 and the second radiator 33 are arranged so that optimum radiation is achieved on a horizontal plane for smooth communication between the vehicle antenna devices 20 mounted on the vehicle roof. A third radiator 37 is included on one side. That is, the third radiator 37 can control beam patterns emitted from the first radiator 31 and the second radiator 33 to increase directivity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vehicle so that vehicle-to-vehicle communication can be smoothly performed.

도 12(b)를 참고하면, 일 실시예에 따라, V2X 안테나(257)는 차량간 통신(V2X)에 최적화를 위해 약 5.8 GHZ 대역(ex, WAVE 주파수)에서 제3 방사체(37)를 통한 빔 틸팅으로 수평각에 최적화된 안테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2(b)는, 제3 방사체(37)의 제어로 안테나의 빔을 전후방으로 유도하여 수평방향에 대해 최적 방사 패턴이 형성되어 V2X 통신에 적합한 빔 패턴을 구현할 수 있음을 보이고 있다. Referring to FIG. 12 (b),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V2X antenna 257 transmits through a third radiator 37 in a band of about 5.8 GHZ (ex, WAVE frequency) for optimization of vehicle-to-vehicle communication (V2X). An antenna optimized for a horizontal angle can be provided by beam tilting. FIG. 12(b) shows that a beam pattern suitable for V2X communication can be implemented by forming an optimal radiation patter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y inducing the beam of the antenna forward and backward under the control of the third radiator 37.

본 명세서는 많은 특징을 포함하는 반면, 그러한 특징은 본 발명의 범위 또는 특허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별적인 실시예에서 설명된 특징들은 단일 실시예에서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반대로, 본 명세서에서 단일 실시예에서 설명된 다양한 특징들은 개별적으로 다양한 실시예에서 구현되거나, 적절히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While this specification contains many features, such feature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invention or the claims. Also, features described in separate embodiments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implemented in combination in a single embodiment. Conversely, various features that are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in a single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embodiments individually or in combination as appropriate.

도면에서 동작들이 특정한 순서로 설명되었으나, 그러한 동작들이 도시된 바와 같은 특정한 순서로 수행되는 것으로, 또는 일련의 연속된 순서, 또는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 모든 설명된 동작이 수행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 환경에서 멀티태스킹 및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아울러, 상술한 실시예에서 다양한 시스템 구성요소의 구분은 모든 실시예에서 그러한 구분을 요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프로그램 구성요소 및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단일 소프트웨어 제품 또는 멀티플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지로 구현될 수 있다.Although actions are described in a particular order in the drawings, it should not be understood that such actions are performed in the specific order as shown, or that the actions are performed in a series of sequential order, or that all described actions are performed to achieve a desired result. . Multitasking and parallel processing can be advantageous in certain circumstances. In addi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division of various system component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does not require such division in all embodiments. The program components and systems described above may generally be implemented as a package in a single software product or multiple software products.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시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더 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as a program and stored in a recording medium (CD-ROM, RAM, ROM, floppy disk, hard disk, magneto-optical disk, etc.) in a computer-readable form. Since this process can be easily performe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will not be described in detail.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capable of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and thu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It is not limited by drawings.

30: V2X 안테나 31: 제1 방사체
33: 제2 방사체 35: 급전부
37: 제3 방사체
30: V2X antenna 31: first radiator
33: second radiator 35: power supply unit
37: third emitter

Claims (15)

삭제delete 차량용 안테나 장치에 있어서,
신호 처리 기판과 연결되는 제 1 안테나; 및
상기 제 1 안테나를 통해 상기 신호 처리 기판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안테나와 다른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는 제 2 안테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안테나는,
상기 제 2 안테나의 일단을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는 제1 방사체;
상기 제1 방사체와 함께 다이폴 안테나로서 동작하는 제2 방사체; 및
상기 제1 방사체 및 제2 방사체에서 방사되는 빔 패턴을 제어하는 제3 방사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방사체는,
신호 처리 기판의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방사체는 상기 지지대에 수직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 방사체 및 제2 방사체가 배열되는 방향의 양 측면 또는 일 측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안테나 장치.
In the vehicle antenna device,
a first antenna connected to the signal processing substrate; and
a second antenna connected to the signal processing board through the first antenna and operating in a frequency band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rst antenna;
The first antenna,
a first radiator detachably fixing one end of the second antenna;
a second radiator operating as a dipole antenna together with the first radiator; and
A third radiator controlling beam patterns emitted from the first radiator and the second radiator;
The third radiator,
and a support extend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ignal processing substrate.
The vehicle antenna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third radiator is vertically coupled to the support and positioned on both sides or one side of a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radiator and the second radiator are arranged.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방사체는,
상기 제1 방사체 및 제2 방사체로부터 방사되는 신호 파장의 1/4배에 0.92를 곱한 값에 대응하는 전기적 길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안테나 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third radiator,
and an electrical length corresponding to a value obtained by multiplying 1/4 of a signal wavelength radiated from the first radiator and the second radiator by 0.92.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파장은,
0.17m 내지 0.28m의 범위 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안테나 장치.
According to claim 3,
The signal wavelength is
Vehicle antenna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within the range of 0.17m to 0.28m.
차량용 안테나 장치에 있어서,
신호 처리 기판과 연결되는 제 1 안테나; 및
상기 제 1 안테나를 통해 상기 신호 처리 기판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안테나와 다른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는 제 2 안테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안테나는,
상기 제 2 안테나의 일단을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는 제1 방사체;
상기 제1 방사체와 함께 다이폴 안테나로서 동작하는 제2 방사체; 및
상기 제1 방사체 및 제2 방사체에서 방사되는 빔 패턴을 제어하는 제3 방사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방사체는,
신호 처리 기판의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제1 방사체 및 제2 방사체가 서로 근접하는 영역의 양 측면 또는 일 측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안테나 장치.
In the vehicle antenna device,
a first antenna connected to the signal processing substrate; and
a second antenna connected to the signal processing board through the first antenna and operating in a frequency band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rst antenna;
The first antenna,
a first radiator detachably fixing one end of the second antenna;
a second radiator operating as a dipole antenna together with the first radiator; and
A third radiator controlling beam patterns emitted from the first radiator and the second radiator;
The third radiator,
An antenna devic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to extend in a vertical direction of a signal processing substrate and is located on both sides or one side of an area in which the first radiator and the second radiator are in close proximity to each other.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방사체는,
상기 제1 방사체 및 제2 방사체로부터 방사되는 신호 파장의 1/4배에 해당하는 거리만큼 이격 되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안테나 장치.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5,
The third radiator,
The vehicle antenna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locat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distance corresponding to 1/4 times the wavelength of the signal radiated from the first radiator and the second radiator.
차량용 안테나 장치에 있어서,
신호 처리 기판과 연결되는 제 1 안테나; 및
상기 제 1 안테나를 통해 상기 신호 처리 기판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안테나와 다른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는 제 2 안테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안테나는,
상기 제 2 안테나의 일단을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는 제1 방사체;
상기 제1 방사체와 함께 다이폴 안테나로서 동작하는 제2 방사체; 및
상기 제1 방사체 및 제2 방사체에서 방사되는 빔 패턴을 제어하는 제3 방사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안테나를 가압하여 상기 제1 방사체에 착탈시 상기 제1 방사체가 탄성 변형되어 상기 제 2 안테나의 일단과 탄성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안테나 장치.
In the vehicle antenna device,
a first antenna connected to the signal processing substrate; and
a second antenna connected to the signal processing board through the first antenna and operating in a frequency band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rst antenna;
The first antenna,
a first radiator detachably fixing one end of the second antenna;
a second radiator operating as a dipole antenna together with the first radiator; and
A third radiator controlling beam patterns emitted from the first radiator and the second radiator;
When the second antenna is attached to or detached from the first radiator by pressing the second antenna, the first radiator is elastically deformed and elastically coupled to one end of the second antenna.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사체는,
상기 제 2 안테나와 탄성 결합하기 위해 상기 제 2 안테나 일단의 볼 형상에 대응되는 소켓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소켓 형상의 진입 직경은 상기 볼 형상의 직경보다 작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안테나 장치.
According to claim 7,
The first radiator,
It is composed of a socket shape corresponding to the ball shape of one end of the second antenna to be elastically coupled with the second antenna.
The vehicle antenna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entrance diameter of the socket shape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ball shape.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사체는,
도전성 재질의 금속 판으로서 일단이 급전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타단이 전기적으로 개방되고 중앙부분이 휘어져 단면이 소켓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안테나 장치.
According to claim 8,
The first radiator,
As a metal plate made of conductive material, one e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unit, the other end is electrically open, and the central portion is bent to form a socket shape in cross section.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사체는, 도전성 재질의 육면체로서 상 측면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삽입홈이 함입되어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의 진입 직경은 상기 제 2 안테나 일단의 볼 형상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은 상기 제 2 안테나 일단의 볼 형상에 대응되는 소켓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안테나 장치.
According to claim 7,
The first radiator is a hexahedron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and has an opening formed on an upper side surface and an insertion groove embedded therein.
An entrance diameter of the opening is formed smaller than a diameter of a ball shape of one end of the second antenna, and the insertion groove is configured in a socket shape corresponding to the ball shape of one end of the second antenna.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사체는,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연장되고 서로 대향하는 부분이 볼록한 한 쌍의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안테나 장치.
According to claim 7,
The first radiator,
base part; and
A vehicle antenna device comprising: a pair of extension portions extending from the base portion and having convex portions opposite to each other.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연장부는,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고 탄성 변형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안테나 장치.
According to claim 11,
The pair of extensions,
A vehicle antenna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paced apart at a preset interval and configured to be elastically deformabl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방사체는,
일단이 급전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전기적으로 개방되며 접은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안테나 장치.
According to claim 7,
The second radiator,
A vehicle antenna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one e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unit and the other end is electrically open and configured in a folded shape.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사체와 상기 제2 방사체는,
상기 제1 방사체 및 제2 방사체로부터 방사되는 신호 파장의 1/10배에 해당하는 거리만큼 이격 되게 상호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안테나 장치.
According to claim 13,
The first radiator and the second radiator,
The vehicle antenna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distance corresponding to 1/10 times the wavelength of the signal radiated from the first radiator and the second radiator.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파장은,
0.075m 내지 0.155m의 범위 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안테나 장치.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signal wavelength is
Vehicle antenna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within the range of 0.075m to 0.155m.
KR1020180036134A 2017-04-20 2018-03-28 Antenna apparatus for vehicle KR102479103B1 (en)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8/004579 WO2018194405A1 (en) 2017-04-20 2018-04-19 Antenna apparatus for vehicle
US16/603,759 US10992032B2 (en) 2017-04-20 2018-04-19 Antenna apparatus for vehicle
JP2019552103A JP6782371B2 (en) 2017-04-20 2018-04-19 Vehicle antenna device
EP18788465.5A EP3614495B1 (en) 2017-04-20 2018-04-19 Antenna apparatus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051287 2017-04-20
KR1020170051287 2017-04-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8041A KR20180118041A (en) 2018-10-30
KR102479103B1 true KR102479103B1 (en) 2022-12-19

Family

ID=64101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6134A KR102479103B1 (en) 2017-04-20 2018-03-28 Antenna apparatus for vehicle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992032B2 (en)
EP (1) EP3614495B1 (en)
JP (1) JP6782371B2 (en)
KR (1) KR10247910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7182B1 (en) * 2018-11-19 2021-02-18 삼성전자주식회사 Communication device for car
KR102192766B1 (en) * 2019-08-19 2020-12-18 인팩일렉스 주식회사 Fin antenna for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30480B2 (en) 1993-07-30 1998-03-25 日本アンテナ株式会社 3 wave shared roof antenna
US5650792A (en) * 1994-09-19 1997-07-22 Dorne & Margolin, Inc. Combination GPS and VHF antenna
JPH11355019A (en) 1998-06-05 1999-12-24 Raitsu:Kk Antenna for portable telephone set
JP3464639B2 (en) 2000-03-17 2003-11-10 日本アンテナ株式会社 Multi-frequency antenna
DE60225513T2 (en) * 2001-02-26 2008-06-19 Nippon Antena K.K. TONE ANTENNA
JP2004228909A (en) 2003-01-22 2004-08-12 Kojima Press Co Ltd Roof antenna for car
JP2007228456A (en) 2006-02-27 2007-09-06 Clarion Co Ltd Combined antenna
KR101711150B1 (en) 2011-01-31 2017-03-03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Dual-polarized antenna for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and multi-band antenna system
KR20130009124A (en) 2011-07-14 2013-01-23 주식회사 바켄 Integrated antenna for vehicle
KR101375880B1 (en) 2012-05-15 2014-03-17 인팩일렉스 주식회사 Vehicle antenna for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JP2014093623A (en) 2012-11-02 2014-05-19 Mitsumi Electric Co Ltd Antenna and antenna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140005050U (en) 2013-03-13 2014-09-23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Antenna apparatus
KR20150062087A (en) 2013-11-28 2015-06-0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Antenna device for vehicle
KR101567187B1 (en) 2014-01-28 2015-11-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Multiple band antenna for vehic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622170B1 (en) 2015-08-20 2016-05-18 몰렉스 엘엘씨 External antenna for vehicle
KR101709077B1 (en) 2015-11-20 2017-02-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ntenna apparatus, manufacture method of antenna apparatus, vehicle hav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14495B1 (en) 2022-08-10
US20210098866A1 (en) 2021-04-01
JP6782371B2 (en) 2020-11-11
KR20180118041A (en) 2018-10-30
JP2020510370A (en) 2020-04-02
EP3614495A1 (en) 2020-02-26
EP3614495A4 (en) 2020-12-02
US10992032B2 (en) 2021-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74895B2 (en) Collective antenna device
Khalifa et al. A multiwideband compact antenna design for vehicular sub-6 GHz 5G wireless systems
JP4863804B2 (en) Planar antenna
US10027014B2 (en) Antenna apparatus and vehicle using the same
KR102479103B1 (en) Antenna apparatus for vehicle
KR102181319B1 (en) Internal antenna
US8081113B2 (en) Aperture coupled microstrip antenna
CN106611901B (en) V2X antenna and V2X communication system with V2X antenna
JP2010161436A (en) Composite antenna element
WO2019027036A1 (en) In-vehicle antenna device
US10903555B2 (en) Antenna system and side mirror for a vehicle incorporating said antenna
CN106252844B (en) Vehicle-mounted rearview mirror LTE antenna
JP4962407B2 (en) antenna
KR102165731B1 (en) Antenna apparatus for vehicle
KR102022617B1 (en) Communcation Antena for vehicle to vehicle
JP2007110390A (en) High-frequency glass antenna for automobile
US8730114B2 (en) Low-profile multiple-beam lens antenna
JP2008141481A (en) Rearview mirror having built-in etc, antenna arrangement configuration and antenna arrangement method
KR102215659B1 (en) Antenna assembly and frequency adaptive ground layer
KR102022629B1 (en) Communcation Antena for vehicle to vehicle
JP2018182722A (en) Antenna device
US20230101103A1 (en) Antenna device
US20240014561A1 (en) Antenna device
WO2018194405A1 (en) Antenna apparatus for vehicle
JP2008109252A (en) Patch antenn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