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9044B1 - 피플카운팅 장치, 시스템 및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피플카운팅 장치, 시스템 및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9044B1
KR102479044B1 KR1020200092905A KR20200092905A KR102479044B1 KR 102479044 B1 KR102479044 B1 KR 102479044B1 KR 1020200092905 A KR1020200092905 A KR 1020200092905A KR 20200092905 A KR20200092905 A KR 20200092905A KR 102479044 B1 KR102479044 B1 KR 1024790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ople
disaster
information
target
coun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29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13673A (ko
Inventor
김보균
김형수
Original Assignee
제주한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주한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제주한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929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9044B1/ko
Publication of KR202200136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36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90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90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MCOUNTING MECHANISMS; COUNTING OF OBJE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M1/00Design features of general application
    • G06M1/08Design features of general application for actuating the drive
    • G06M1/10Design features of general application for actuating the drive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0022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for sensing the radiation of moving bodies
    • G01J5/0025Living bod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6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using determination of colour temperatur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0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calamitous events, e.g. tornados or earthquak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30Transforming light or analogous information into electric information
    • H04N5/33Transforming infrared radia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H05B47/11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by determining the presence or movement of objects or living be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플카운팅 장치, 시스템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조명 기능과 재난 감지 기능을 구비하는 피플카운팅 장치, 시스템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감지 영역을 지나는 카운팅 대상을 감지하고 카운팅 대상이 사람인지 판정하여 카운팅된 사람의 수에 대한 정보를 생성함으로써, 감지 영역을 지나는 사람의 수를 카운팅할 수 있고, 감지 영역을 포함하는 소정의 범위에 빛을 비추는 조명 기능을 제공하며, 애드훅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카운팅된 사람의 수에 대한 정보를 타 노드 또는 게이트웨이에 송신하도록 구비됨으로써, 실내나 실외의 구분없이 설치 및 운용이 용이하며, 건물 붕괴, 지진, 화재 및 가스 누출을 포함하는 재난 상황의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재난 감지 기능을 제공하며, 동작 전원 공급이 차단되거나 재난 상황이 감지되는 경우 보조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비됨으로써, 재난으로 인해 동작 전원이 차단된 상황에서도 재난 상황이나 구조 대상에 대한 정보의 전파가 가능하다.

Description

피플카운팅 장치, 시스템 및 제어방법{Apparatus,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people counting}
본 발명은 피플카운팅 장치, 시스템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조명 기능과 재난 감지 기능을 구비하는 피플카운팅 장치, 시스템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피플카운팅 시스템은 특정한 지역을 지나는 사람의 수와 동선에 대한 정보를 측정하고 측정한 결과에 대한 정보를 수집 및 분석하며, 분석한 결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이러한, 피플카운팅 시스템은 실내외의 관광지, 박물관 등에 널리 활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각종 매장이나 세미나, 전시회 등에서도 활용되고 있다.
한편, 종래의 피플카운팅 시스템은 사람의 출입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피플카운팅 장치를 설치하여야 하는데, 종래의 피플카운팅 장치는 대부분 유선 통신망을 기반으로 제작되어 있기 때문에, 실내에 설치하고자 할 때 설치 비용이 크게 발생하고 설치 위치도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피플카운팅 장치는 통신 환경이 열악한 실외에서는 사실상 운용이 곤란한 문제점도 있다.
아울러, 종래의 피플카운팅 장치는 설치 비용이나 유지 보수 비용을 지속적으로 소모하는 것에 비해, 사람의 수를 카운팅하는 것 이외의 유용한 기능을 더 제공하지는 못하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조명 기능과 재난 감지 기능을 구비하는 피플카운팅 장치, 시스템 및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실내나 실외의 구분없이 설치 및 운용이 용이하고, 재난 상황에서도 재난 상황이나 구조 대상에 대한 정보의 전파가 가능한 피플카운팅 장치, 시스템 및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노드(Node)로 동작하여 무선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피플카운팅 장치로서, 감지 영역을 지나는 카운팅 대상을 감지하는 센싱부; 상기 센싱부의 감지 영역을 포함하는 소정의 범위에 빛을 비추는 조명부; 상기 조명부를 제어하여 점등 또는 소등하고, 상기 센싱부에서 감지되는 카운팅 대상이 사람인지 판정하여 카운팅된 사람의 수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카운팅된 사람의 수에 대한 정보를 타 노드 또는 게이트웨이에 송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피플카운팅 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감지 영역에 진입한 카운팅 대상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는 포토 센서; 및 상기 감지된 카운팅 대상의 체온을 측정하는 열화상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카운팅 대상의 체온을 근거로 해당 카운팅 대상이 사람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감지 영역에 진입한 카운팅 대상을 촬영하는 이미지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카운팅된 사람의 수에 대한 정보의 송신 시, 상기 이미지 센서로부터 촬영된 카운팅 대상의 촬영 이미지를 함께 송신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건물 붕괴, 지진, 화재 및 가스 누출을 포함하는 재난 상황의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재난 감지부;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재난 감지부는, 위치 변화량을 측정하여 건물 붕괴 또는 지진 상황을 감지하는 위치 센서;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재난 감지부는, 재난 상황의 발생 시, 재난 발생 지역에서 인식되는 음성을 통해 구조 대상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는 음성인식 센서;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재난 감지부는, 대기 중의 유해 물질을 측정하여 화재 또는 가스 누출 상황을 감지하는 가스 센서;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및 상기 전원부의 동작 전원 공급이 차단되거나 상기 재난 감지부에서 재난 상황이 감지되는 경우 보조 전원을 공급하는 보조 전원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재난 상황으로 인해 동작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상기 보조 전원부의 보조 전원을 공급받아 재난 상황에 대한 정보를 외부에 전파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피플카운팅 장치가 노드(Node)로 동작하여 무선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피플카운팅 시스템으로서, 상기 피플카운팅 장치로부터 카운팅된 사람의 수에 대한 정보 또는 재난 상황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게이트웨이; 및 상기 게이트웨이에 수집되는 상기 카운팅된 사람의 수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 또는 일정 주기마다 수신하여, 상기 피플카운팅 장치가 설치된 위치에 출입한 사람의 전체 수와 이동 흐름 및 혼잡도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여 저장 및 관리하며, 상기 게이트웨이에서 상기 재난 상황에 대한 정보가 수집되면 기설정된 관리자 단말 또는 재난 관리 시스템에 재난 상황에 대한 알림을 전송하는 관제 서버;를 포함하는 피플카운팅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피플카운팅 장치에서 수행되는 피플카운팅 장치의 제어방법으로서, (1) 상기 피플카운팅 장치가, 감지 영역을 포함하는 소정의 범위에 빛을 비추는 조명으로 동작하면서 감지 영역을 지나는 카운팅 대상을 감지하는 단계; (2) 감지 영역에서 감지되는 카운팅 대상이 사람인지 판정하여 카운팅된 사람의 수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4) 상기 카운팅된 사람의 수에 대한 정보를 타 노드 또는 게이트웨이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플카운팅 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단계는, (1-1) 감지 영역에 진입한 카운팅 대상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및 (1-2) 상기 감지된 카운팅 대상의 체온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2)단계에서 상기 피플카운팅 장치는, 상기 감지된 카운팅 대상의 체온을 근거로 해당 카운팅 대상이 사람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단계는, (1-3) 감지 영역에 진입한 카운팅 대상을 촬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4)단계는, 상기 카운팅된 사람의 수에 대한 정보의 송신 시, 상기 촬영된 카운팅 대상의 촬영 이미지를 함께 송신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2)단계와 상기 제 (4)단계 사이에, (3) 건물 붕괴, 지진, 화재 및 가스 누출을 포함하는 재난 상황의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3)단계에서 상기 피플카운팅 장치는, 위치 변화량을 측정하여 건물 붕괴 또는 지진 상황을 감지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3)단계에서 상기 피플카운팅 장치는, 재난 상황의 발생 시, 재난 발생 지역에서 인식되는 음성을 통해 구조 대상의 존재 여부를 감지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3)단계에서 상기 피플카운팅 장치는, 대기 중의 유해 물질을 측정하여 화재 또는 가스 누출 상황을 감지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3)단계에서 상기 피플카운팅 장치는, 동작 전원 공급이 차단되거나 재난 상황이 감지되는 경우 보조 전원부를 통해 보조 전원을 공급받으며, 상기 제 (4)단계는, 재난 상황으로 인해 동작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상기 보조 전원부의 보조 전원을 공급받아 재난 상황에 대한 정보를 외부에 전파한다.
전술한 과제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감지 영역을 지나는 카운팅 대상을 감지하고 카운팅 대상이 사람인지 판정하여 카운팅된 사람의 수에 대한 정보를 생성함으로써, 감지 영역을 지나는 사람의 수를 카운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감지 영역을 포함하는 소정의 범위에 빛을 비추는 조명부를 구비함으로써, 조명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애드훅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카운팅된 사람의 수에 대한 정보를 타 노드 또는 게이트웨이에 송신하는 통신부를 구비함으로써, 실내나 실외의 구분없이 설치 및 운용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건물 붕괴, 지진, 화재 및 가스 누출을 포함하는 재난 상황의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재난 감지부를 구비함으로써, 재난 감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동작 전원 공급이 차단되거나 재난 상황이 감지되는 경우 보조 전원을 공급하는 보조 전원부를 구비함으로써, 재난으로 인해 동작 전원이 차단된 상황에서도 재난 상황이나 구조 대상에 대한 정보의 전파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플카운팅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플카운팅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플카운팅 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는데,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또한 이들의 변형에 의해서도 본 발명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플카운팅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플카운팅 시스템은 피플카운팅 장치(100), 게이트웨이(200) 및 관제 서버(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피플카운팅 장치(100)는 복수 개로 구비되며, 실내외의 관광지, 박물관, 각종 매장이나 세미나, 전시회가 이루어지는 실내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피플카운팅 장치(100)는 실내의 천장부에 설치되거나 실외의 가로등 및 가로수를 포함하여 소정 높이를 갖는 구조물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피플카운팅 장치(100)는 감지 영역을 지나는 사람을 감지함은 물론이고, 해당 감지 영역을 포함하는 소정의 범위에 빛을 비치는 조명으로서 기능하며, 또한, 설치 위치에서 발생한 재난 상황을 감지하여 그 재난 상황에 대한 정보를 후술하는 게이트웨이(200)를 통해 관제 서버(300)에 전파할 수 있다.
상기 게이트웨이(200)는 피플카운팅 장치(100)로부터 카운팅된 사람의 수에 대한 정보 또는 재난 상황에 대한 정보를 수집한다.
상기 관제 서버(300)는 게이트웨이(200)에 수집되는 카운팅된 사람의 수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 또는 일정 주기마다 수신하여, 피플카운팅 장치(100)가 설치된 위치에 출입한 사람의 전체 수와 이동 흐름 및 혼잡도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여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또한, 관제 서버(300)는 게이트웨이(200)에서 재난 상황에 대한 정보가 수집되면 기설정된 관리자 단말 또는 재난 관리 시스템에 재난 상황에 대한 알림을 전송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플카운팅 장치(100)의 세부 구성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플카운팅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플카운팅 장치(100)는 센싱부(110), 제어부(120), 통신부(130), 전원부(140), 조명부(150), 재난 감지부(160) 및 보조 전원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플카운팅 장치(100)는 노드(Node)로 동작하여 무선 네트워크를 형성하며, 바람직하게는, 애드훅(Ad Hoc) 네트워크를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센싱부(110)는 감지 영역을 지나는 카운팅 대상을 감지한다.
이러한, 센싱부(110)는 포토 센서(111), 열화상 센서(112) 및 이미지 센서(11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포토 센서(111)는 감지 영역에 진입한 카운팅 대상, 즉, 움직이는 물체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포토 센서(111)에서 감지된 카운팅 대상에 대한 정보는 제어부(120)에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열화상 센서(112)는 포토 센서(111)에서 감지된 카운팅 대상의 체온을 측정하고, 측정된 체온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120)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센서(113)는 감지 영역에 진입한 카운팅 대상을 촬영한다. 이러한, 이미지 센서(113)에서 촬영된 카운팅 대상의 촬영 이미지는 제어부(120) 또는 후술하는 통신부(130)에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20)는 장치 전반을 제어하며, 특히, 센싱부(110)에서 감지되는 카운팅 대상이 사람인지 판정하는 기능과 후술하는 재난 감지부(160)에서 감지되는 감지 결과를 근거로 재난 상황의 발생을 판정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0)는 센싱부(110)에서 감지되는 카운팅 대상이 사람인지 판정하여 카운팅된 사람의 수에 대한 정보를 생성한다. 이때, 제어부(120)는 감지된 카운팅 대상의 체온을 근거로 해당 카운팅 대상이 사람인지의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후술하는 조명부(150)를 제어하여 점등 또는 소등할 수 있으며, 제어부(120)의 조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120)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플카운팅 장치(100)가 설치된 설치 위치 정보가 저장될 수도 있고, 설치된 높이나 좌표에 대한 정보가 저장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정보들은 별도의 메모리나 저장 매체를 구비하여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통신부(130)는 노드로 동작하는 타 피플카운팅 장치(100) 또는 게이트웨이(200)와 통신한다. 이러한, 통신부(130)는 제어부(120)에서 카운팅된 사람의 수에 대한 정보를 타 노드 또는 게이트웨이(200)에 송신할 수 있다.
아울러, 통신부(130)는 카운팅된 사람의 수에 대한 정보의 송신 시, 이미지 센서(113)로부터 촬영된 카운팅 대상의 촬영 이미지를 함께 송신할 수도 있다.
한편, 통신부(130)는 재난 상황으로 인해 전원부(140)에서 동작 전원의 공급이 차단되면, 후술하는 보조 전원부(170)로부터 보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할 수 있다. 즉, 통신부(130)는 보조 전원이 공급되는 동안에는 계속 동작하면서 타 노드 또는 게이트웨이(200)와 통신할 수 있다.
상기 전원부(140)는 장치 전반에 동작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부(140)는 유선 전원 케이블을 통해 상용 전원을 공급받거나, 태양전지 패널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조명부(150)는 센싱부(110)의 감지 영역을 포함하는 소정의 범위에 빛을 비추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조명부(150)는 제어부(120)의 제어하에 동작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조명부(150)는 소형으로 전력 효율이 우수한 엘이디(LED)로 구비함이 바람직하나, 광원으로 사용될 수 있는 다른 전구로 대체 적용될 수도 있다.
상기 재난 감지부(160)는 건물 붕괴, 지진, 화재 및 가스 누출을 포함하는 재난 상황의 발생 여부를 감지한다. 아울러, 재난 감지부(160)에서 재난 발생 상황이 감지되면, 제어부(120)는 재난 감지부(160)로부터 재난 상황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통신부(130)를 통해 재난 상황에 대한 정보를 외부에 전파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재난 감지부(160)는 위치 센서(161), 음성인식 센서(162) 및 가스 센서(16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위치 센서(161)는 위치 변화량을 측정하여 건물 붕괴 또는 지진 상황을 감지한다. 즉, 위치 센서(161)는 피플카운팅 장치(100)가 설치된 설치 위치가 기준 위치로서 설정되고, 해당 기준 위치로부터 위치 변화가 발생하면, 그 위치 변화량을 감지하도록 구비된다.
이때, 전술한 제어부(120)는 위치 센서(161)의 위치 변화량을 근거로, 소정 높이만큼 낙하한 것으로 감지되면 피플카운팅 장치(100)가 설치된 건물 또는 천장부가 붕괴된 것으로 판정하고, 상하좌우로 흔들린 것이 감지되면 지진이 발생한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상기 음성인식 센서(162)는 외부의 음성을 인식하기 위한 것으로, 평상 시에는 슬립 상태로 대기하고 있다가 재난 상황인 것이 감지된 이후에 동작 상태로 전환되어 외부의 음성을 인식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음성인식 센서(162)는 재난 상황의 발생 시, 재난 발생 지역에서 인식되는 음성을 통해 구조 대상의 존재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20)는 음성인식 센서(162)에서 구조 대상의 음성이 감지되면, 구조 대상의 존재 여부에 대한 정보 또는 구조 대상의 음성에 대한 정보를 통신부(130)를 통해 게이트웨이(200) 및 관제 서버(300)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가스 센서(163)는 대기 중의 유해 물질을 측정하여 화재 또는 가스 누출 상황을 감지한다.
이러한, 가스 센서(163)는 화재로 인해 발생되는 이산화탄소, 일산화탄소를 포함하는 유독성 화재 가스를 감지하도록 구비되거나, 화재로 인해 감소하는 산소 농도를 감지하도록 구비되고, 제어부(120)에서는 가스 센서(163)에서 유독성 화재 가스가 감지되는지의 여부 또는 산소 농도가 감소하는지의 여부를 근거로 화재 상황을 판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플카운팅 장치(100)는 공장이나 사무실 등의 상주 근무 인력이 존재하는 장소에도 설치될 수 있는데, 이 경우, 가스 센서(163)는 유해화학물질 취급 공정의 수행 여부에 따라 해당 유해화학물질, 예컨대, 황산, 불산, 암모니아 등을 감지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으며, 제어부(120)는 가스 센서(163)에서 유해화학물질이 감지되면 가스 누출 상황을 판정할 수 있다.
상기 보조 전원부(170)는 전원부(140)의 동작 전원 공급이 차단되거나 재난 감지부(160)에서 재난 상황이 감지되는 경우 보조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보조 전원부(170)는 소형의 배터리나 커패시터로 구비될 수 있으며, 평상 시에는 전원부(140)에 공급되는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보조 전원부(170)는 각 장치에 모두 보조 전원을 공급할 수도 있으나, 보조 전원의 충전량이 한정적이므로, 재난 상황의 전파를 위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통신부(130), 재난 감지부(160) 및 제어부(120)에 우선적으로 보조 전원을 공급함이 바람직하다.
즉, 건물 붕괴나 화재, 지진 등을 포함하는 재난 상황이 발생하게 되면 상용 전원의 공급이 차단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전원부(140)에 의한 동작 전원의 공급도 차단될 수 있는데, 보조 전원부(170)에 의해 보조 전원이 공급됨으로써, 재난 상황에 대한 정보를 외부에 전파할 수 있게 된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피플카운팅 장치(100)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피플카운팅 장치(100)의 제어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피플카운팅 장치(100)의 제어방법은 상술한 피플카운팅 장치(100)에서 수행되는 것이므로, 각 단계에서 수행되는 기능은 상술한 피플카운팅 장치(100)와 관련하여 상술한 기능과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전체적인 흐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플카운팅 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피플카운팅 장치의 제어부가, 조명부를 제어하여 감지 영역을 포함하는 소정의 범위에 빛을 비추는 조명으로 동작하게 하면서(S100), 동시에, 센싱부를 제어하여 감지 영역을 지나는 카운팅 대상을 감지한다(S200).
이때, 감지 영역에 진입한 카운팅 대상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고(S210), 감지된 카운팅 대상의 체온을 측정하며(S220), 감지 영역에 진입한 카운팅 대상을 촬영하는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S230).
다음, 센싱부로부터 카운팅 대상이 감지되면, 제어부는 감지 영역에서 감지되는 카운팅 대상이 사람인지 판정하여 카운팅된 사람의 수에 대한 정보를 생성한다(S300).
이때, 피플카운팅 장치의 제어부는 감지된 카운팅 대상의 체온을 근거로 해당 카운팅 대상이 사람인지의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참고로, 제 S100 단계, 제 S200 단계 및 제 S300 단계는 후술하는 단계들과 독립적으로 지속적으로 수행된다. 또한, 상기 제 S100 단계 내지 제 S300 단계에서 수행되는 기능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센싱부 및 조명부의 기능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그 다음, 피플카운팅 장치의 제어부는 재난 감지부를 제어하여 건물 붕괴, 지진, 화재 및 가스 누출을 포함하는 재난 상황의 발생 여부를 감지하게 한다(S400).
이때, 재난 감지부는 위치 변화량을 측정하여 건물 붕괴 또는 지진 상황을 감지하거나, 대기 중의 유해 물질을 측정하여 화재 또는 가스 누출 상황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재난 감지부는 재난 상황의 발생 시, 재난 발생 지역에서 인식되는 음성을 통해 구조 대상의 존재 여부를 감지할 수도 있다.
이때, 제어부는 재난 감지부에서 감지되는 감지 결과를 근거로 어떠한 재난 상황이 발생하였는지 판정하고, 그 판정 결과에 따라 재난 상황에 대한 정보를 통신부를 통해 타 노드나 게이트웨이에 전파하게 할 수 있다(S410).
한편, 상기 제 S400단계에서, 건물이 붕괴되거나 화재, 지진을 포함하는 재난 상황의 발생이 감지되거나, 재난 발생으로 인해 동작 전원 공급이 차단되는 경우 보조 전원부를 통해 통신부, 제어부 및 재난 감지부에 보조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즉, 전원부에 의한 동작 전원의 공급이 차단되더라도, 보조 전원을 이용하여 지속적으로 재난 상황에 대한 정보의 전파가 가능하게 된다.
그 다음에는, 제어부가 통신부를 제어하여 카운팅된 사람의 수에 대한 정보를 타 노드 또는 게이트웨이에 송신하게 한다(S500).
이때, 통신부는 카운팅된 사람의 수에 대한 정보의 송신 시, 상기 제 S130단계에서 촬영된 카운팅 대상의 촬영 이미지를 함께 송신할 수도 있다(S510).
아울러, 통신부는 상기 제 S300단계에서 재난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에는, 재난 상황에 대한 정보를 전파할 수도 있다(S520).
참고로, 통신부는 재난 상황으로 인해 동작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전술한 바와 같이, 보조 전원부의 보조 전원을 공급받아 재난 상황에 대한 정보를 외부에 전파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제 S500단계가 완료되고 제 S400단계에서 재난 상황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는 제 S100단계부터 다시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으며, 제 S500단계가 완료되고 제 S400단계에서 재난 상황이 감지되며 동작 전원까지 차단된 경우에는 보조 전원의 공급이 고갈될 때까지 재난 상황에 대한 정보를 외부에 전파하는 과정을 반복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100 : 피플카운팅 장치
110 : 센싱부
111 : 포토 센서 112 : 열화상 센서
113 : 이미지 센서
120 : 제어부 130 : 통신부
140 : 전원부 150 : 조명부
160 : 재난 감지부
161 : 위치 센서 162 : 음성인식 센서
163 : 가스 센서
170 : 보조 전원부
200 : 게이트웨이 300 : 관제 서버

Claims (17)

  1. 노드(Node)로 동작하여 무선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피플카운팅 장치로서,
    감지 영역을 지나는 카운팅 대상을 감지하는 센싱부;
    상기 센싱부의 감지 영역을 포함하는 소정의 범위에 빛을 비추는 조명부;
    상기 조명부를 제어하여 점등 또는 소등하고, 상기 센싱부에서 감지되는 카운팅 대상이 사람인지 판정하여 카운팅된 사람의 수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
    상기 카운팅된 사람의 수에 대한 정보를 타 노드 또는 게이트웨이에 송신하는 통신부; 및
    건물 붕괴, 지진, 화재 및 가스 누출을 포함하는 재난 상황의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재난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재난 감지부는,
    재난 상황의 발생 시, 재난 발생 지역에서 인식되는 음성을 통해 구조 대상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는 음성인식 센서;
    위치 변화량을 측정하여 건물 붕괴 또는 지진 상황을 감지하는 위치 센서; 및
    대기 중의 유해 물질을 측정하여 화재 또는 가스 누출 상황을 감지하는 가스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성인식 센서에서 구조 대상의 음성이 감지되면, 구조 대상의 존재 여부에 대한 정보 또는 구조 대상의 음성에 대한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타 노드 또는 게이트웨이에 송신하고,
    상기 위치 센서의 위치 변화량을 근거로, 소정 높이만큼 낙하한 것으로 감지되면 건물 또는 천장부가 붕괴된 것으로 판정하고, 상하좌우로 흔들린 것이 감지되면 지진이 발생한 것으로 판정하며,
    상기 가스 센서에서 유독성 화재 가스가 감지되는지의 여부 또는 산소 농도가 감소하는지의 여부를 근거로 화재 상황을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플카운팅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감지 영역에 진입한 카운팅 대상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는 포토 센서; 및
    상기 감지된 카운팅 대상의 체온을 측정하는 열화상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카운팅 대상의 체온을 근거로 해당 카운팅 대상이 사람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플카운팅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감지 영역에 진입한 카운팅 대상을 촬영하는 이미지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카운팅된 사람의 수에 대한 정보의 송신 시, 상기 이미지 센서로부터 촬영된 카운팅 대상의 촬영 이미지를 함께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플카운팅 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및
    상기 전원부의 동작 전원 공급이 차단되거나 상기 재난 감지부에서 재난 상황이 감지되는 경우 보조 전원을 공급하는 보조 전원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재난 상황으로 인해 동작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상기 보조 전원부의 보조 전원을 공급받아 재난 상황에 대한 정보를 외부에 전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플카운팅 장치.
  9. 제 1항, 제 2항, 제 3항 및 제 8항 중 어느 한 항의 피플카운팅 장치가 노드(Node)로 동작하여 무선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피플카운팅 시스템으로서,
    상기 피플카운팅 장치로부터 카운팅된 사람의 수에 대한 정보 또는 재난 상황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게이트웨이; 및
    상기 게이트웨이에 수집되는 상기 카운팅된 사람의 수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 또는 일정 주기마다 수신하여, 상기 피플카운팅 장치가 설치된 위치에 출입한 사람의 전체 수와 이동 흐름 및 혼잡도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여 저장 및 관리하며, 상기 게이트웨이에서 상기 재난 상황에 대한 정보가 수집되면 기설정된 관리자 단말 또는 재난 관리 시스템에 재난 상황에 대한 알림을 전송하는 관제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게이트웨이는,
    재난 상황의 발생 시, 상기 피플카운팅 장치로부터 구조 대상의 존재 여부에 대한 정보 또는 구조 대상의 음성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플카운팅 시스템.
  10. 피플카운팅 장치에서 수행되는 피플카운팅 장치의 제어방법으로서,
    (1) 상기 피플카운팅 장치가, 감지 영역을 포함하는 소정의 범위에 빛을 비추는 조명으로 동작하면서 감지 영역을 지나는 카운팅 대상을 감지하는 단계;
    (2) 감지 영역에서 감지되는 카운팅 대상이 사람인지 판정하여 카운팅된 사람의 수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3) 건물 붕괴, 지진, 화재 및 가스 누출을 포함하는 재난 상황의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및
    (4) 상기 카운팅된 사람의 수에 대한 정보를 타 노드 또는 게이트웨이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3)단계에서 상기 피플카운팅 장치는,
    재난 상황의 발생 시, 재난 발생 지역에서 인식되는 음성을 통해 구조 대상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고, 구조 대상의 음성이 감지되면, 구조 대상의 존재 여부에 대한 정보 또는 구조 대상의 음성에 대한 정보를 타 노드 또는 게이트웨이에 송신하며,
    위치 변화량을 측정하여 건물 붕괴 또는 지진 상황을 감지하되, 위치 변화량에 근거하여 소정 높이만큼 낙하한 것이 감지되면 건물 또는 천장부가 붕괴된 것으로 판정하고, 상하좌우로 흔들린 것이 감지되면 지진이 발생한 것으로 판정하며,
    대기 중의 유해 물질을 측정하여 화재 또는 가스 누출 상황을 감지하고, 유독성 화재 가스가 감지되는지의 여부 또는 산소 농도가 감소하는지의 여부를 근거로 화재 상황을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플카운팅 장치의 제어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단계는,
    (1-1) 감지 영역에 진입한 카운팅 대상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및
    (1-2) 상기 감지된 카운팅 대상의 체온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2)단계에서 상기 피플카운팅 장치는,
    상기 감지된 카운팅 대상의 체온을 근거로 해당 카운팅 대상이 사람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플카운팅 장치의 제어방법.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단계는,
    (1-3) 감지 영역에 진입한 카운팅 대상을 촬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4)단계는,
    상기 카운팅된 사람의 수에 대한 정보의 송신 시, 상기 촬영된 카운팅 대상의 촬영 이미지를 함께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플카운팅 장치의 제어방법.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3)단계에서 상기 피플카운팅 장치는,
    동작 전원 공급이 차단되거나 재난 상황이 감지되는 경우 보조 전원부를 통해 보조 전원을 공급받으며,
    상기 제 (4)단계는,
    재난 상황으로 인해 동작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상기 보조 전원부의 보조 전원을 공급받아 재난 상황에 대한 정보를 외부에 전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플카운팅 장치의 제어방법.
KR1020200092905A 2020-07-27 2020-07-27 피플카운팅 장치, 시스템 및 제어방법 KR1024790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2905A KR102479044B1 (ko) 2020-07-27 2020-07-27 피플카운팅 장치, 시스템 및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2905A KR102479044B1 (ko) 2020-07-27 2020-07-27 피플카운팅 장치, 시스템 및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3673A KR20220013673A (ko) 2022-02-04
KR102479044B1 true KR102479044B1 (ko) 2022-12-16

Family

ID=80268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2905A KR102479044B1 (ko) 2020-07-27 2020-07-27 피플카운팅 장치, 시스템 및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904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R1010416B (el) * 2022-05-17 2023-02-24 Δημητριος Νικολαου Φουντουλης Μεθοδος ταχειας ειδοποιησης και διαχειρισης κτιριακων και ανθρωπινων ζημιων και απωλειων, βασιζομενη σε μηνυματα εκπεμπομενα απο συσκευες ειδοποιησης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3151B1 (ko) * 2017-07-17 2018-11-28 주식회사 디케이이앤씨 아이오티 기반 지능형 재난 대피 시스템 및 방법
KR101961891B1 (ko) * 2018-07-23 2019-03-25 (주)넥스리얼 자동출입심사대에 진입하는 사람 및 물건 중 사람을 자동 계수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991064B1 (ko) * 2019-03-11 2019-09-30 화인시스템(주) 듀얼 센서를 이용한 건물의 에너지 관제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5033A (ko) * 2015-01-07 2016-07-15 주식회사 올젠케어 학습형 다중센서 재난감지 시스템과 그 방법
KR20170083737A (ko) * 2016-01-11 2017-07-19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재실인원에 따른 전력제어 및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3151B1 (ko) * 2017-07-17 2018-11-28 주식회사 디케이이앤씨 아이오티 기반 지능형 재난 대피 시스템 및 방법
KR101961891B1 (ko) * 2018-07-23 2019-03-25 (주)넥스리얼 자동출입심사대에 진입하는 사람 및 물건 중 사람을 자동 계수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991064B1 (ko) * 2019-03-11 2019-09-30 화인시스템(주) 듀얼 센서를 이용한 건물의 에너지 관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3673A (ko) 2022-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134992A1 (en) Evacuation system
KR101771579B1 (ko) 통합형 센서모듈을 이용한 상시 환경제어 및 재난대응 관제시스템
US20170345265A1 (en) Dynamic acquisition terminal for behavior statistic information of people, evacuation system and method
WO2017219530A1 (zh) 安全监测方法、装置、系统、监控系统和电子设备
CN109697807A (zh) 一种智能火情探测分析的物联网逃生引导系统
KR101669940B1 (ko) 전자식 센서를 이용한 스마트 소화기 위치 알림 거치대
CN106401650B (zh) 多参数矿井巷道火灾监测报警系统
CN108665668B (zh) 一种灾情监控方法及系统
KR102000057B1 (ko) 기후 재난 정보를 반영한 재난 경보 방송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무선 경보 단말기
CN103024064A (zh) 一种建筑状态监测和逃生指引系统及其方法
KR101901335B1 (ko) 사물지능 통신 기반의 엘이디 실내등을 이용한 재난관제 동보시스템
KR102479044B1 (ko) 피플카운팅 장치, 시스템 및 제어방법
CN211124271U (zh) 一种应急疏散系统
CN109541543A (zh) 一种消防现场人员定位系统、定位方法及检测定位设备
KR102085130B1 (ko) 에너지 절감형 공조기 관리장치
KR102529829B1 (ko) 스마트 화재 진압 방법 및 시스템
CN103996261A (zh) 一种火灾报警信息采集系统
KR20100025308A (ko)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대피 경로 안내 방법
CN115841409A (zh) 一种楼宇施工火灾逃生引导方法、系统、设备及介质
CN109741563B (zh) 一种灾情监控方法及灾情监控装置
CN114501324A (zh) 一种火灾逃生指引方法、系统、计算机设备及可读储存介质
KR102034638B1 (ko) 에너지 절감형 실내 공기관리장치
KR102370576B1 (ko) 다중 이용 시설의 대피 유도 시스템 및 방법
KR102358207B1 (ko) 관광지 방문객 관제시스템 및 그 관제방법
KR102368669B1 (ko) 화재 경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