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8680B1 - 포장용 상자 - Google Patents

포장용 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8680B1
KR102478680B1 KR1020210005502A KR20210005502A KR102478680B1 KR 102478680 B1 KR102478680 B1 KR 102478680B1 KR 1020210005502 A KR1020210005502 A KR 1020210005502A KR 20210005502 A KR20210005502 A KR 20210005502A KR 102478680 B1 KR102478680 B1 KR 1024786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side portion
support
box
packaging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55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03248A (ko
Inventor
최창환
김근영
김찬우
Original Assignee
애경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애경산업(주) filed Critical 애경산업(주)
Priority to KR10202100055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8680B1/ko
Publication of KR202201032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32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86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86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2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 B65D5/2004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the container body having hollow side-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2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 B65D5/2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held erect by extensions of one or more sides being doubled-over to enclose extensions of adjacent s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266Folding lines, score lines, crease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50Internal supporting or protecting elements for contents
    • B65D5/5002Integral elements for containers having tubular body walls
    • B65D5/5016Integral elements for containers having tubular body walls formed by folding inwardly of extensions hinged to the side edges of the bod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0Packaging reuse or recycling, e.g. of multilayer packa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상자는, 바닥면부, 바닥면부로부터 연장되어 포장용 상자의 대향하는 한 쌍의 측면을 형성하는 제1 측면부 및 제2 측면부, 바닥면부로부터 연장되어 포장용 상자의 대향하는 나머지 한 쌍의 측면을 형성하는 제3 측면부 및 제4 측면부, 및 제2 측면부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내용물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제3 측면부에는 정공부 및 홈부가 형성되고, 제4 측면부에는 정공부 및 홈부가 형성되고, 지지부는 제1 돌출부, 제2 돌출부 및 내용물이 삽입 수용되도록 형성된 개구를 포함하고, 제1 돌출부는 정공부에 삽입되고 제2 돌출부는 홈부에 삽입됨으로써 지지부를 제3 측면부 및 제4 측면부에 고정시킨다.

Description

포장용 상자{PACKAGE BOXING}
본 개시는 포장용 상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용물을 지지 및 수용하는 포장용 상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장용 상자는 종이나 판지 등을 재료로 하여 성형한 용기를 통칭한다. 포장용 상자는 기능적으로 구부리거나 자르고 이을 수 있어서, 그 목적에 따라 자유롭게 형상의 변형이 가능하다. 상자는 인쇄성이 좋고, 포장작업의 자동화에 유리하고, 용기 강성이나 내용물의 보전성이 우수하다. 이에 최근에는 그 형태의 자유성과 사용성에 따라 다양한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다. 한편, 상자 구조는 기능적이고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디자인됨이 바람직하다. 상자 구조는 패키지의 내용과 재료 및 유통환경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형태로 디자인될 수 있다.
최근 포장용 상자 내부에 사용되던 플라스틱 삽입물에 대해 규제가 생겨남에 따라, 플라스틱 삽입물 없이도 내용물을 지지할 수 있는 상자 구조에 대한 니즈가 생겨나고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측면부에 고정된 지지부를 통해 내용물을 지지 및 수용할 수 있는 포장용 상자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상자는, 바닥면부, 바닥면부로부터 연장되어 포장용 상자의 대향하는 한 쌍의 측면을 형성하는 제1 측면부 및 제2 측면부, 바닥면부로부터 연장되어 포장용 상자의 대향하는 나머지 한 쌍의 측면을 형성하는 제3 측면부 및 제4 측면부, 및 제2 측면부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내용물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제3 측면부에는 정공부 및 홈부가 형성되고, 제4 측면부에는 정공부 및 홈부가 형성되고, 지지부는 제1 돌출부, 제2 돌출부 및 내용물이 삽입 수용되도록 형성된 개구를 포함하고, 제1 돌출부는 정공부에 삽입되고 제2 돌출부는 홈부에 삽입됨으로써 지지부를 제3 측면부 및 제4 측면부에 고정시킨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3 측면부와 제4 측면부는 각각 외측면과 내측면을 포함하고, 정공부는 제3 측면부의 외측면과 내측면이 접히는 모서리 및 제4 측면부의 외측면과 내측면이 접히는 모서리에 형성되고, 홈부는 제3 측면부 및 제4 측면부의 내측면의 모서리에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부는 제2 측면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제1 면, 제1 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개구를 포함하는 제2 면, 및 제2 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제3 면을 포함하고, 제1 돌출부는 제1 면의 모서리에 형성되고, 포장용 상자 조립 시 제1 면에 대하여 90도 접힌 상태로 정공부에 삽입되고, 제2 돌출부는 제3 면의 모서리에 형성되고, 포장용 상자 조립 시 제3 면과 동일 평면 상에서 홈부에 삽입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3 측면부 및 제4 측면부로부터 연장된 날개부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측면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상면부를 더 포함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포장용 상자는 지지부에 형성된 개구부에 내용물을 삽입 수용함으로써 내용물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돌출부가 정공부 및/또는 홈부에 삽입됨으로써, 지지부는 제3 측면부 및/또는 제4 측면부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자 조립 시 포장용 상자의 일 측면부에 형성된 날개부가 타 측면부 및/또는 지지부에 삽입됨으로써, 상자 구조의 측면부는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플라스틱 삽입물 없이도 내용물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1 장의 포장용 종이만을 이용하여 포장용 상자를 조립할 수 있다.
본 개시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상자를 형성하기 위한 상자 구조의 전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상자를 형성하기 위한 상자 구조의 전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 과정 중에 있는 상자 구조의 일부를 나타낸다.
도 4는 조립이 완료된 도 3의 상자 구조 중 일부를 나타낸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우려가 있는 경우, 널리 알려진 기능이나 구성에 관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를 중복하여 기술하는 것이 생략될 수 있다. 그러나, 구성요소에 관한 기술이 생략되어도, 그러한 구성요소가 어떤 실시예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개시된 실시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관련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단수인 것으로 특정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복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복수인 것으로 특정하지 않는 한, 단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개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개시에서, 도면의 위쪽은 그 도면에 도시된 구성의 "상부" 또는 "상측", 그 아래쪽은 "하부" 또는 "하측"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있어서 도시된 구성의 상부와 하부의 사이 또는 상부와 하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측부" 또는 "측면"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 이러한 "상부", "상측" 등과 같은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본 개시는 그러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에서, 한 구조물의 내부 공간으로 향하는 방향을 "내측", 개방된 외부 공간으로 돌출된 방향을 "외측"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 이러한 "내측", "외측" 등과 같은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본 개시는 그러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에서 "A 및/또는 B"의 기재는 A, 또는 B, 또는 A 및 B를 의미한다.
본 개시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개시된 실시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개시가 통상의 기술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상자를 형성하기 위한 상자 구조(100)의 전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자는 1 장의 종이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상자의 재질은 종이로 한정되지 않으며, 종이 이외에도 PP, PET 등 플라스틱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자 구조(100)는 상자의 바닥면을 형성하기 위한 바닥면부(110), 상자의 측면을 형성하기 위한 제1 측면부(120) 내지 제4 측면부(150), 상자 내부에서 내용물을 지지하도록 형성된 지지부(160), 및 상자의 상면을 형성하기 위한 상면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자 구조(100)의 각 면들은 도 1에서 점선으로 도시된 접이선을 따라 접힐 수 있고, 인접한 면들은 접착제를 통해 서로 고정 부착될 수 있으며, 이로부터 최종적으로 내용물을 수용하는 상자가 제조될 수 있다.
바닥면부(110)의 외측은 상자가 바닥에 닿는 부분에 해당하고, 바닥면부(110)의 내측은 상자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이 상자와 접하는 부분에 해당할 수 있다. 제1 측면부(120) 및 제2 측면부(130)는 바닥면부(110)로부터 연장되어 포장용 상자의 대향하는 한 쌍의 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3 측면부(140) 및 제4 측면부(150)는 바닥면부(110)로부터 연장되어 포장용 상자의 대향하는 나머지 한 쌍의 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3 측면부(140)와 제4 측면부(150)는 각각 외측면과 내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3 측면부(140)는 외측면(142)과 내측면(144)을 포함하고, 제4 측면부(150)는 외측면(152)과 내측면(154)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외측면(142, 152)과 내측면(144, 154)이 서로 접히는 부분은 일정한 폭을 갖는 모서리 또는 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포장용 상자가 조립되어 외측면과 내측면이 접힌 후, 외측면은 외부 공간을 향하는 면에 해당하고, 내측면은 내부 공간을 향하는 면에 해당한다.
제3 측면부(140)와 제4 측면부(150)에는 정공부(146, 156)와 홈부(148, 158)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3 측면부(140)에는 제1 정공부(146) 및 제1 홈부(148)가 형성될 수 있고, 제4 측면부(150)에는 제2 정공부(156) 및 제2 홈부(158)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정공부(146)는 제3 측면부(140)의 외측면(142)과 내측면(144)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정공부(146)는 제3 측면부(140)의 외측면(142) 및 내측면(144)이 접혀서 형성된 일정한 폭을 갖는 모서리의 일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정공부(156)는 제4 측면부(150)의 외측면(152)과 내측면(154)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정공부(156)는 제4 측면부(150)의 외측면(152) 및 내측면(154)이 접혀서 형성된 일정한 폭을 갖는 모서리의 일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홈부(148)는 포장용 상자가 조립된 상태에서 바닥면부(110)와 접하게 되는 제3 측면부(140)의 내측면(144) 모서리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홈부(148)는 제2 측면부(130) 부근의 내측면(144) 모서리의 일측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홈부(158)는 포장용 상자가 조립된 상태에서 바닥면부(110)와 접하게 되는 제4 측면부(150)의 내측면(154) 모서리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홈부(158)는 제2 측면부(130) 부근의 내측면(154) 모서리의 일측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160)는 제2 측면부(130)로부터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부(160)는 제2 측면부(130)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제1 면(162), 제1 면(162)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제2 면(164), 및 제2 면(164)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제3 면(166)을 포함할 수 있다. 포장용 상자가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 제1 면(162)은 제2 측면부(130)와 90도 각도를 형성하며 포장용 상자의 상면부(170)와 접할 수 있다. 또한, 제2 면(164)은 제1 면(162)과 90도 각도를 형성하며 포장용 상자의 제1 측면부(120)와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3 면(166)은 제2 면(164)과 90도 각도를 형성하며 포장용 상자의 바닥면부(110)와 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면(164)은 개구(165)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160)는 내용물이 삽입 수용되도록 형성된 개구(165)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160)는 상자 내부에 수용되는 내용물을 지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부(160)는 개구(165) 내측으로 삽입된 내용물을 지지함으로써 상자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을 지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개구(165)는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구(165)는 제2 면(164) 상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복수의 개구에 해당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 개의 개구(165)는 개구(165)의 내측으로 삽입된 내용물을 지지함으로써 상자 내부에 수용된 복수의 내용물을 구분하여 지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개구(165)는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개구(165)는 원형, 사각형, 삼각형 또는 내용물의 모양과 크기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160)는 포장용 상자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 정공부(146, 156)에 삽입되는 제1 돌출부(16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160)는 포장용 상자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 홈부(148, 158)에 삽입되는 제2 돌출부(167)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돌출부(163)가 정공부(146, 156)에 삽입되고 제2 돌출부(167)가 홈부(148, 158)에 삽입됨으로써, 지지부(160)는 제3 측면부(140) 및 제4 측면부(150)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돌출부(163)는 포장용 상자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 제3 측면부(140) 및 제4 측면부(150)와 접하게 되는 제1 면(162)의 모서리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돌출부(163)는 제1 면(162)에 대하여 90도 각도로 접힌 상태로 정공부(146, 156)에 삽입될 수 있다.
제2 돌출부(167)는 포장용 상자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 제3 측면부(140) 및 제4 측면부(150)와 접하게 되는 제3 면(162)의 모서리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돌출부(167)는 제3 면(166)과 동일 평면 상에서 홈부(148, 158)에 삽입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면부(170)는 제1 측면부(120)로부터 연장되어 포장용 상자의 상면을 형성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상자를 형성하기 위한 상자 구조(200)의 전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구성 중 도 1에 도시된 구성과 대응되는 것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포장용 상자의 상자 구조(200)는 상면 개방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자 구조(200)는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 별도의 상면부(미도시)와 결합할 수 있다. 이 경우, 상면부는 조립이 완료된 상자의 개방된 상측을 덮거나, 상측과 더불어 측면부까지 모두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자 구조(200)는 바닥면부(110), 상자의 측면을 형성하기 위한 제1 측면부(210), 제2 측면부(130), 제3 측면부(220), 및 제4 측면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자 구조(200)는 제3 측면부(220) 및 제4 측면부(230)로부터 제1 측면부(210) 및 제2 측면부(130) 측으로 연장되어, 포장용 상자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 제1 측면부(210), 제2 측면부(130), 및 지지부(160)에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날개부(242, 24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자 구조(200)의 각 면들은 도 2에서 점선으로 도시된 접이선을 따라 접힐 수 있고, 인접한 면들은 접착제를 통해 서로 고정 부착될 수 있으며, 이로부터 최종적으로 복수 개의 내용물을 구분하여 수용하는 상자가 제조될 수 있다.
제1 측면부(210)는 바닥면부(110)로부터 연장되어 포장용 상자의 일 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측면부(210)는 외측면(212)과 내측면(214)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외측면(212)과 내측면(214)이 접혀서 일정한 폭을 갖는 모서리 또는 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측면부(210)는 제3 홈부(226) 및 제4 홈부(236)에 삽입되는 제3 돌출부(216)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돌출부(216)는 포장용 상자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 제3 측면부(220) 및 제4 측면부(230)와 접하게 되는 제1 측면부(210)의 내측면(214) 모서리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돌출부(216)는, 제3 측면부(220) 부근의 내측면(214) 모서리의 일측 단부, 및 제4 측면부(230) 부근의 내측면(214) 모서리의 일측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3 돌출부(216)는 제1 측면부(210)의 내측면(214)과 동일 평면 상에서 제3 홈부(226) 및 제4 홈부(236)에 삽입될 수 있다.
제3 측면부(220) 및 제4 측면부(230)는 바닥면부(110)로부터 연장되어 포장용 상자의 대향하는 한 쌍의 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3 측면부(220)의 내측면(224)에는 제3 홈부(226)가 형성될 수 있다. 제4 측면부(230)의 내측면(234)에는 제4 홈부(236)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홈부(226)는 제3 측면부(220)의 내측면(224)과 제2 날개부(244)가 접히는 모서리 부근에 형성될 수 있고, 제4 홈부(236)는 제4 측면부(230)의 내측면(234)과 제2 날개부(244)가 접히는 모서리 부근에 형성될 수 있다.
날개부(242, 244)는 상자 구조(200)의 안정성을 강화하기 위해 제3 측면부(220) 및 제4 측면부(230)로부터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날개부(242, 244)는 제3 측면부(220) 및 제4 측면부(230)의 양 단부로부터 제1 측면부(210) 및 제2 측면부(130)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날개부(242, 244)는 제1 날개부(242)와 제2 날개부(244)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날개부(242)는 제3 측면부(220) 및 제4 측면부(230)의 외측면(222, 232)에 형성되고, 제2 날개부(244)는 제3 측면부(220) 및 제4 측면부(230)의 내측면(224, 234)에 형성될 수 있다.
포장용 상자가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 날개부(242, 244)는 제3 측면부(220) 및 제4 측면부(230)와 90도 각도를 형성하며 제1 측면부(210) 및 제2 측면부(130)에 삽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날개부(242, 244)는 제1 측면부(210)의 외측면(212)과 내측면(214) 사이에 삽입되고, 제2 측면부(130)와 지지부(160)으로 둘러싸인 공간에 삽입될 수 있다. 날개부(242, 244)가 제1 측면부(210), 제2 측면부(130), 및 지지부(160)에 삽입됨으로써, 상자의 측면부(210, 130, 220, 230)는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 과정 중에 있는 상자 구조의 일부를 나타낸다. 도 3에 도시된 구성 중 도 1에 도시된 구성과 대응되는 것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돌출부(163)는 제2 정공부(156)에 삽입되고, 제2 돌출부(167)는 제2 홈부(158)에 삽입됨으로써, 지지부는 제4 측면부(150)에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면(162)의 모서리 상에 형성된 제1 돌출부(163)는 제4 측면부(150)에 형성된 제2 정공부(156)에 삽입되고, 제3 면(166) 상에 형성된 제2 돌출부(167)는 제4 측면부(150)의 내측면(154)에 형성된 제2 홈부(158)에 삽입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돌출부(163)는 제1 면(162)에 대하여 90도 각도로 접힌 상태로 제2 정공부(156)에 삽입되고, 제2 돌출부(167)는 제3 면(166)과 동일 평면 상에서 제2 홈부(158)에 삽입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면(164) 상에 형성된 개구(165)는 가이드부(31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부(310)는 개구(165)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310)는 내용물이 개구(165)의 내측으로 삽입될 때 내용물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꺾일 수 있다. 가이드부(310)는 개구(165)의 내측에서 대향하는 한 쌍의 돌출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310)는 개구(165)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내용물이 개구(165)에 수직으로 삽입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310)는 개구에 삽입 수용되어 있는 내용물과 맞닿아 있음으로써, 내용물이 지지부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조립이 완료된 도 3의 상자 구조 중 일부를 나타낸다. 도 4에 도시된 구성 중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구성과 대응되는 것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4에서는, 포장용 상자의 보다 명확한 이해를 위해 상자 구조의 구성 중 상면부(예를 들어, 도 1의 도면부호 170)가 생략되었다.
상자 구조가 조립 완료된 상태에서, 지지부(160)는 상자 내부에서 제2 측면부(도 1의 130)와 인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가 정공부 및/또는 홈부에 삽입됨으로써, 지지부(160)는 제3 측면부(140) 및 제4 측면부(150)에 결합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돌출부(163)가 제1 정공부(146)에 삽입됨으로써, 지지부(160)는 제3 측면부(14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지지부(160)의 제2 면(164)에 형성된 복수의 개구(165)에는 포장용 상자 내측에 수용되는 내용물이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용물은 바닥면부(110)에 놓인 상태로 복수의 개구(165) 각각에 삽입됨으로써 개별 포장 형태로 상자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으로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00: 상자 구조 110: 바닥면부
120: 제1 측면부 130: 제2 측면부
140: 제3 측면부 150: 제4 측면부
146, 156: 정공부 148, 158: 홈부
160: 지지부 163: 제1 돌출부
165: 개구 167: 제2 돌출부
170: 상면부

Claims (5)

  1. 삭제
  2. 포장용 상자로서,
    바닥면부;
    상기 바닥면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포장용 상자의 대향하는 한 쌍의 측면을 형성하는 제1 측면부 및 제2 측면부;
    상기 바닥면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포장용 상자의 대향하는 나머지 한 쌍의 측면을 형성하는 제3 측면부 및 제4 측면부; 및
    상기 제2 측면부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내용물을 지지하는 지지부
    를 포함하고,
    제3 측면부에는 정공부 및 홈부가 형성되고,
    제4 측면부에는 정공부 및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는 제1 돌출부, 제2 돌출부 및 상기 내용물이 삽입 수용되도록 형성된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정공부에 삽입되고,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홈부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지지부를 상기 제3 측면부 및 상기 제4 측면부에 고정시키고,
    상기 제3 측면부와 상기 제4 측면부는 각각 외측면과 내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정공부는 상기 제3 측면부의 외측면과 내측면이 접히는 모서리 및 상기 제4 측면부의 외측면과 내측면이 접히는 모서리에 형성되고,
    상기 홈부는 상기 제3 측면부 및 상기 제4 측면부의 내측면의 모서리에 형성되는, 포장용 상자.
  3. 포장용 상자로서,
    바닥면부;
    상기 바닥면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포장용 상자의 대향하는 한 쌍의 측면을 형성하는 제1 측면부 및 제2 측면부;
    상기 바닥면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포장용 상자의 대향하는 나머지 한 쌍의 측면을 형성하는 제3 측면부 및 제4 측면부; 및
    상기 제2 측면부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내용물을 지지하는 지지부
    를 포함하고,
    제3 측면부에는 정공부 및 홈부가 형성되고,
    제4 측면부에는 정공부 및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는 제1 돌출부, 제2 돌출부 및 상기 내용물이 삽입 수용되도록 형성된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정공부에 삽입되고,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홈부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지지부를 상기 제3 측면부 및 상기 제4 측면부에 고정시키고,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2 측면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제1 면, 상기 제1 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상기 개구를 포함하는 제2 면 및 상기 제2 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제3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제1 면의 모서리에 형성되고, 포장용 상자 조립 시 상기 제1 면에 대하여 90도 접힌 상태로 상기 정공부에 삽입되고,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제3 면의 모서리에 형성되고, 포장용 상자 조립 시 상기 제3 면과 동일 평면 상에서 상기 홈부에 삽입되는, 포장용 상자.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측면부 및 상기 제4 측면부로부터 연장된 날개부를 더 포함하는, 포장용 상자.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상면부를 더 포함하는, 포장용 상자.
KR1020210005502A 2021-01-14 2021-01-14 포장용 상자 KR1024786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5502A KR102478680B1 (ko) 2021-01-14 2021-01-14 포장용 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5502A KR102478680B1 (ko) 2021-01-14 2021-01-14 포장용 상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3248A KR20220103248A (ko) 2022-07-22
KR102478680B1 true KR102478680B1 (ko) 2022-12-19

Family

ID=82605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5502A KR102478680B1 (ko) 2021-01-14 2021-01-14 포장용 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868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9057B1 (ko) * 2019-07-16 2019-11-26 주식회사 한국에프앤비 손잡이 일체형 포장박스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2275U (ko) * 2014-12-22 2016-06-30 이영석 와인병 수납겸용 의약품 포장상자
KR102152413B1 (ko) * 2018-12-26 2020-09-07 고문당인쇄(주) 조립이 간편한 포장용 박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9057B1 (ko) * 2019-07-16 2019-11-26 주식회사 한국에프앤비 손잡이 일체형 포장박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3248A (ko) 2022-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50997B2 (en) Merchandise housing container
US7980452B2 (en) Covered container for enclosing a food product or the like
KR980001734A (ko) 용기 캐리어
KR102478680B1 (ko) 포장용 상자
KR102130449B1 (ko) 포장 박스용 포장재 및 그 포장재에 의해 조립된 포장 박스
KR101689277B1 (ko) 계란 포장박스
KR20090011014U (ko) 포장박스
JP2006188282A (ja)
KR20210002862U (ko) 포장용 상자
KR200394927Y1 (ko) 포장박스
JP6120803B2 (ja) 仕切り機能付き段ボール箱
KR102604033B1 (ko) 배송용 상자
KR102425211B1 (ko) 포장상자
KR200475295Y1 (ko) 피자 박스
JPH1095419A (ja) 収納容器
KR102137070B1 (ko) 조립식 상자를 이용한 재활용 상자
JP6147381B1 (ja) 紙箱、梱包体、紙組立体、及び収納体
KR200305967Y1 (ko) 포장용 상자
JPH10152124A (ja) 組立箱及び貼箱
JP3417429B2 (ja) 包装用容器
JPH0330289Y2 (ko)
KR20230140337A (ko) 이중 구조의 박스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전개시트
KR20230173415A (ko) 손잡이 일체형 포장상자
KR100345477B1 (ko) 다각형 포장용기 및 그 제조방법
JP4553719B2 (ja) 梱包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