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8622B1 - Structure of retaining wall block - Google Patents

Structure of retaining wall bloc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8622B1
KR102478622B1 KR1020220040896A KR20220040896A KR102478622B1 KR 102478622 B1 KR102478622 B1 KR 102478622B1 KR 1020220040896 A KR1020220040896 A KR 1020220040896A KR 20220040896 A KR20220040896 A KR 20220040896A KR 102478622 B1 KR102478622 B1 KR 1024786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ing wall
wall block
cavity
curved section
inje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089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정식
Original Assignee
박정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식 filed Critical 박정식
Priority to KR10202200408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862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86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862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06Plastic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taining wall block structure and, more specifically, to a retaining wall block structure, which comprises: a straight section retaining wall block which has a polyhedral shape made of synthetic resin material, and includes a cavity formed therein, an injection port formed at a portion of the center of an upper surface of the straight section retaining wall block to allow the injection of materials into the cavity, one or more connection arms formed on one side of the retaining wall block to be extended, and connection grooves concavely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retaining wall block to correspond to the shape and the number of the connection arms; and a curved section retaining wall block which has a polyhedral shape made of synthetic resin material, and includes a cavity formed therein, an injection port formed at a portion of the center of an upper surface of the curved section retaining wall block to allow the injection of materials into the cavity, one or more connection arms formed on one side of the curved section retaining wall block to be extended, connection grooves concavely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curved section retaining wall block to correspond to the shape and the number of the connection arms, and a bellows-type corrugated part formed in at least one unit area of a retaining wall block body to provide flexibility for curved sections. Therefore, the retaining wall block structure can prevent the risk of accidents due to the collapse of a slope face.

Description

옹벽 블록 구조체{STRUCTURE OF RETAINING WALL BLOCK}Retaining wall block structure {STRUCTURE OF RETAINING WALL BLOCK}

본 발명은 옹벽 블록 구조체에 관련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토사 등으로 이루어진 비탈면에서 복수개의 사태 방지용 옹벽 블록 구조체를 간편하게 조립 및 설치하여 옹벽을 이룸으로써, 비탈면이 무너져 내리는 사고의 위험을 방지하고, 나아가 심미성 있는 경관을 형성할 수 있는 옹벽 블록 구조체에 관련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taining wall block structure, and specifically, by simply assembling and installing a plurality of retaining wall block structures for preventing landslides on a slope made of soil and the like to form a retaining wall, preventing the risk of an accident in which the slope collapses, and further improving aesthetics It is related to a retaining wall block structure capable of forming a landscape with

일반적으로 산비탈이나 언덕 등에 도로나 철도가 개설되거나, 하천의 범람을 방지하거나, 수자원을 이용하기 위하여 둑이나 제방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경사면이 조성된다.In general, slopes are created when roads or railroads are established on mountain slopes or hills, or when embankments or embankments are installed to prevent flooding of rivers or to use water resources.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는 비교적 산과 강이 많아 홍수나 태풍과 같은 천재지변에 의하여 산사태, 도로 유실 및 하천 제방 유실 등이 자주 발생되는데, 경사면은 폭우나, 홍수 등의 자연적인 원인에 의하여 붕괴되거나 토사가 쉽게 유실되어 막대한 인명과 재산 상의 피해를 발생시킨다.In particular, in Korea, there are relatively many mountains and rivers, so landslides, road loss, and river embankment loss often occur due to natural disasters such as floods or typhoons. It is easily lost and causes enormous damage to life and property.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수로 또는 도로 경사면, 하천, 저수지의 제방에는 옹벽 등의 각종 구조물을 설치해왔으며, 최근에는 옹벽 구조물의 시공 상의 편의를 증대하기 위하여, 조립식으로 시공되는 옹벽 블록 구조체에 대한 기술이 활발히 개발되고 있다.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this, various structures such as retaining walls have been installed on embankments of waterways or road slopes, rivers, and reservoirs. are being developed

관련 기술로서 한국 공개 특허 제10-2021-0006588호에서는, 알파벳 'T'자 형상을 하는 옹벽 블록으로서, 양측 외주면에 길이 방향으로 길게 돌출부와 삽입홈이 각각 구비되어 있어 체결 시 틈새 발생을 최소로 함으로써 옹벽 블록간의 긴밀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옹벽 블록 구조체에 대한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As a related technology,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21-0006588 is a retaining wall block in the shape of an alphabet 'T', and long protrusions and insertion grooves are provided on bo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respectively, so that the occurrence of gaps is minimized during fastening. Thus, a technique for a retaining wall block structure capable of maintaining closeness between retaining wall blocks has been proposed.

한편 상술한 선행 문헌의 경우, 별도의 앵커 작업 등의 추가 작업 공정을 요구하지 않고 옹벽 블록 간을 긴밀히 체결되도록 한다는 장점은 있으나, 옹벽 블록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콘크리트로 제조되어 옹벽 블록 자체의 무게가 상당하기에 이송 비용에 상당히 많은 비용을 소모하게 된다는 한계점이 존재하였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above-mentioned prior literatur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retaining wall blocks are tightly fastened together without requiring additional work processes such as separate anchor work, but the weight of the retaining wall block itself is reduced because the retaining wall block is made of commonly used concrete. There was a limitation that a considerable amount of cost was consumed in the transportation cost because it was considerable.

이에 본 발명은 토사 등으로 이루어진 비탈면에서 복수개의 사태 방지용 옹벽 블록 구조체를 간편하게 조립 및 설치하여 옹벽을 이룸으로써, 비탈면이 무너져 내리는 사고의 위험을 방지하도록 하는 옹벽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에 제1 목적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irst object to provide a retaining wall structure that prevents the risk of an accident in which the slope surface collapses by forming a retaining wall by simply assembling and installing a plurality of retaining wall block structures for preventing landslides on a slope made of soil and the like. .

또한 본 발명은 비탈면이 외부로 그대로 노출됨에 따라, 경관을 저해하는 문제를 해소하고자, 비탈면에 옹벽을 형성하여 심미성 있는 경관을 조성하도록 하는 옹벽 블록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에 제2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taining wall block structure that creates an aesthetic landscape by forming a retaining wall on the slop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obstructing the landscape as the slope is exposed to the outside as it i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옹벽 블록 구조체는, 합성 수지 소재로 제조되는 다면체의 형상을 하되, 내부에는 캐비티(Cavity)가 형성되어 있고, 상면 중심부 일 영역에는 캐비티로 물질을 주입할 수 있는 주입구가 형성되어 있고, 일 측부에는 하나 이상의 연결 아암이 연장 형성되며, 타 측부에는 연결 아암의 형상 및 개수에 대응되는 연결 홈이 오목하게 파인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직선 구간용 옹벽 블록; 및, 합성 수지 소재로 제조되는 다면체의 형상을 하되, 내부에는 캐비티가 형성되어 있고, 상면 중심부 일 영역에는 캐비티로 물질을 주입할 수 있는 주입구가 형성되고, 일 측부에는 하나 이상의 연결 아암이 연장 형성되며, 타 측부에는 연결 아암의 형상 및 개수에 대응되는 연결 홈이 오목하게 파인 형태로 형성되되, 옹벽 블록 바디의 적어도 일 단위 영역에는 벨로우즈(Bellows) 형태의 주름부가 형성되어 곡선 구간에 대한 유연성을 가질 수 있는 곡선 구간용 옹벽 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retaining wall block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has the shape of a polyhedron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but has a cavity formed therein, and a cavity material in one area of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An inlet for injecting is formed, one or more connecting arms are extended on one side, and a connecting groove corresponding to the shape and number of connecting arms is formed in a concave shape on the other side Retaining wall for straight section block; And, in the shape of a polyhedron made of synthetic resin material, a cavity is formed inside, an injection port for injecting a material into the cavity is formed in one area of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and one or more connection arms are formed extending from one side. On the other side, a connection groove corresponding to the shape and number of connection arms is formed in a concave shape, but a bellows-shaped wrinkle part is formed in at least one unit area of the retaining wall block body to provide flexibility for the curved sec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retaining wall block for a curved section that may have.

상술한 곡선 구간용 옹벽 블록의 주름부는, 주입구가 형성된 중심부 일 영역을 기준으로 양 측부에 형성되되, 주름부의 형성 영역은 연결 아암의 형성 영역 및, 상기 연결 홈의 형성 영역과는 구분된 영역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creases of the above-mentioned retaining wall block for the curved section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enter area where the inlet is formed, and the area where the creases are formed is the area where the connection arm is formed and the area where the connection groove is formed. it is desirable

또한 상술한 직선 구간용 옹벽 블록 및 곡선 구간용 옹벽 블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옹벽 블록은, 연결 아암 및 연결 홈이 형성된 양 측부의 중심부 일 영역이 반원기둥 형상을 하는 요홈으로 마련되고, 복수의 옹벽 블록들이 설치면에 대해 수평한 방향으로 연결되어 결합될 시, 반원기둥 형상의 요홈이 원기둥 형상의 요홈을 이룸으로써, 원기둥 형상의 요홈에 보강 부재가 삽설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retaining wall block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above-described retaining wall block for straight sections and retaining wall blocks for curved sections is provided with a groove having a semi-cylindrical shape in a center region of both sides where the connecting arm and the connecting groove are formed, and a plurality of When the retaining wall blocks are coupled in a direction horizontal to the installation surface, it is preferable that the semi-cylindrical grooves form the cylindrical grooves so that the reinforcing member can be installed in the cylindrical grooves.

또한 상술한 직선 구간용 옹벽 블록 및 곡선 구간용 옹벽 블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옹벽 블록은, 평탄면으로 구비되는 상면 일 영역에 하나 이상의 돌기부가 형성되고, 하면 일 영역에는 돌기부에 대응되는 돌기 수용부가 형성되어 있어, 복수의 옹벽 블록들이 설치면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연결되어 결합될 시, 돌기부와 돌기 수용부가 상호 체결될 수 있는 구조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retaining wall block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above-described retaining wall block for straight sections and retaining wall blocks for curved sections has one or more projections formed on one region of the upper surface provided as a flat surface, and a projection corresponding to the projection on one region on the lower surface Since the receiving portion is formed, it is preferable to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protrusion and the protrusion receiving portion can be mutually fastened when the plurality of retaining wall blocks are coupl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installation surface.

또한 상술한 옹벽 블록 구조체에는, 격자 구조를 갖는 보강재인 지오그리드 부재(Geogrid);가 더 포함되되, 지오그리드 부재는, 설치면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연결되어 결합되는 복수의 옹벽 블록 사이 영역에 끼워지는 영역인 끼움부와, 끼움부에서 연장되어 설치면 인근의 비탈면에 매립되는 매립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retaining wall block structure further includes a geogrid member (Geogrid), which is a reinforcing material having a lattice structure, but the geogrid member is connect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installation surface. It is preferable to consist of a fitting part, which is an area, and a buried part extending from the fitting part and buried in a slope near the installation surface.

또한 상술한 직선 구간용 옹벽 블록 및 곡선 구간용 옹벽 블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옹벽 블록의 일 측부에서 연장 형성된 상기 연결 아암은, 설치면을 기준으로 하는 수평 단면 상, 연장 끝 단부에서 연장 시작 단부로 향할수록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진 형상을 이루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connecting arm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retaining wall block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above-described retaining wall block for straight sections and retaining wall blocks for curved sections is extended from the end end of the extension on the horizontal cross section based on the installation surface It is preferable to form a tapered shape in which the width becomes narrower toward the end.

또한 상술한 직선 구간용 옹벽 블록 및 곡선 구간용 옹벽 블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옹벽 블록은, 캐비티에 주입되는 물질로 골재를 포함하는 시멘트 페이스트가 주입되는 경우, 시멘트 페이스트가 수화 반응에 의해 콘크리트로 경화됨에 따라, 영구 옹벽으로서 기능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retaining wall block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above-described retaining wall block for straight sections and retaining wall blocks for curved sections, when cement paste containing aggregate is injected as a material injected into the cavity, the cement paste becomes concrete by a hydration reaction. It is desirable to be able to function as a permanent retaining wall.

또한 상술한 직선 구간용 옹벽 블록 및 곡선 구간용 옹벽 블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옹벽 블록은, 캐비티에 주입되는 물질로, 물 및 토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물질이 주입될 경우, 캐비티에 물 및 토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물질이 주입된 상태에서는 옹벽으로서 기능하게 하고, 캐비티에 주입된 물질이 제거되면 철거할 수 있게 하여, 일 회 이상 재사용될 수 있는 재활용 옹벽으로서 기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retaining wall block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above-described retaining wall block for straight sections and retaining wall blocks for curved sections is a material injected into the cavity, and when at least one of water and soil is injected, water and It is preferable to function as a retaining wall in a state in which at least one material of soil is injected, and to function as a recycling retaining wall that can be reused one or more times by allowing it to be removed when the material injected into the cavity is removed.

또한 상술한 직선 구간용 옹벽 블록 및 곡선 구간용 옹벽 블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옹벽 블록은, 캐비티에 주입되는 물질로, 폴리우레탄, 폴리스티렌 및 폴리에틸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물질 기반의 용융 상태의 합성 수지가 주입될 경우, 캐비티에서 용융 상태의 합성 수지를 경화 처리하여, 옹벽 블록을 단열 옹벽으로서 기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retaining wall block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above-described retaining wall block for straight sections and the retaining wall block for curved sections is a material injected into the cavity, which is a material-based melt state including at least one of polyurethane, polystyrene, and polyethylene When the synthetic resin of is injected, it is preferable to cure the synthetic resin in a molten state in the cavity so that the retaining wall block functions as a heat insulating retaining wall.

또한 상술한 직선 구간용 옹벽 블록 및 곡선 구간용 옹벽 블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옹벽 블록에는, 옹벽 블록 바디의 상면 일 영역에 형성된 주입구를 폭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배수홈이 더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외부로 노출되는 전면에 대향하는 배면 중심부 일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고리부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retaining wall block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above-described retaining wall block for straight sections and retaining wall block for curved sections may further include a drain groove crossing the inlet formed in one reg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retaining wall block body in the width direction, , 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one ring portion may be provided in a central region of the rear surface facing the front surface exposed to the outside.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서는 토사 등으로 이루어진 비탈면에서 복수 개의 옹벽 블록 구조체를 간편하게 조립 및 설치 시공하여, 옹벽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비탈면이 무너져 내리는 사고의 위험을 방지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by simply assembling and installing a plurality of retaining wall block structures on a slope made of soil, etc. to form a retaining wall,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the risk of an accident in which the slope collapses .

특히 본 발명에서는, 옹벽 블록 구조체를 시공 현장에 운반 시에는, 내부 캐비티가 채워지지 않은 가벼운 상태로 운송되어, 운송 비용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고, 시공 현장에서 내부 캐비티에 물질이 채워져 비탈면의 토압 등을 견딜 수 있는 내력을 제공하도록 기능할 수 있다.In particular,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retaining wall block structure is transported to the construction site, it is transported in a light state in which the internal cavity is not filled, which can reduce transportation costs, and the internal cavity is filled with material at the construction site to reduce the earth pressure on the slope It can function to provide strength to withstand the back.

또한 이에 더하여 본 발명에서는, 옹벽 블록 구조체의 내부 캐비티에 채워지는 물질에 따라, 시멘트 페이스트가 주입되는 경우 영구 옹벽으로서 기능하고, 토사 및 물이 주입되는 경우, 주입된 토사 및 물을 배출시켜 다른 시공 현장 등에 재활용이 가능한 재활용 가능한 옹벽으로서 기능하며, 단열 기능성이 있는 용융 합성 수지가 주입되는 경우, 경화처리 된 후 단열 옹벽으로서 기능할 수 있는 등, 활용 범위가 넓은 옹벽 블록 구조체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depending on the material filled in the internal cavity of the retaining wall block structure, when cement paste is injected, it functions as a permanent retaining wall, and when soil and water are injected, the injected soil and water are discharged to achieve other construction It functions as a recyclable retaining wall that can be recycled in the field, and when molten synthetic resin with insulation functionality is injected, it is effective in providing a retaining wall block structure with a wide range of applications, such as being able to function as an insulated retaining wall after curing. .

또한, 이와 함께, 본 발명에서는 비탈면이 외부로 그대로 노출됨에 따라 경관을 저해하는 문제를 해소하고, 비탈면에 옹벽을 형성함으로써, 심미성 있는 경관을 조성하도록 하는 옹벽 블록 구조체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providing a retaining wall block structure that solves the problem of obstructing the landscape as the slope surface is exposed to the outside as it is and forms a retaining wall on the slope surface to create an aesthetic landscap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직선 구간용 옹벽 블록의 개략적인 형상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복수의 직선 구간용 옹벽 블록을 수평 연결하여 결합한 예.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곡선 구간용 옹벽 블록의 개략적인 형상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복수의 직선 구간용 옹벽 블록을 수평 연결하여 결합한 예.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옹벽 블록 구조체의 수직 결합 예.
도 6 및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옹벽 블록 구조체를 이용하여 옹벽을 설치 시공하는 것에 대한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옹벽 블록 구조체에 수직 보강재를 적용한 예.
1 is a schematic shape view of a retaining wall block for a straight s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ample in which a plurality of retaining wall blocks for a straight section are horizontally connected and combin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shape view of a retaining wall block for a curved s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ample in which a plurality of retaining wall blocks for straight sections are horizontally connected and combin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ample of vertical coupling of a retaining wall block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and 7 are conceptual views of installing and constructing a retaining wall using a retaining wall block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xample of applying a vertical reinforcing member to a retaining wall block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 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In the following, various embodiments and/or aspects are disclosed with reference now to the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for purposes of explanation, numerous specific details are set forth in order to facilitate a general understanding of one or more aspects. However, it will also be apprecia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such aspect(s) may be practiced without these specific details.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accompanying drawings describe in detail certain illustrative aspects of one or more aspects. However, these aspects are exemplary and some of the various methods in principle of the various aspects may be used, and the described descriptions are intended to include all such aspects and their equivalent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 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References to “embodiment,” “example,” “aspect,” “example,” etc., used in this specifica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indicating that any aspect or design described is preferable to or advantageous over other aspects or designs. .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Also, the terms "comprises" and/or "comprising" mean that the feature and/or element is present, but excludes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elements and/or groups thereof.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또한,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In addition, 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a first element may be termed a second element, and similarly, a second element may be termed a first elem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s and/or include any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reci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recited items.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n addition,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are those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have the same meaning.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not be interpreted as

본 발명은 옹벽 블록 구조체에 관련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토사 등으로 이루어진 비탈면에서 복수개의 사태 방지용 옹벽 블록 구조체를 간편하게 조립 및 설치하여 옹벽을 이룸으로써, 비탈면이 무너져 내리는 사고의 위험을 방지하도록 하는 옹벽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에 제1 목적이, 또한 비탈면이 외부로 그대로 노출됨에 따라 경관을 저해하는 문제를 해소하고자, 비탈면에 옹벽을 형성하여 심미성 있는 경관을 조성하도록 하는 옹벽 블록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에 제2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taining wall block structure, and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orm a retaining wall by simply assembling and installing a plurality of landslide prevention retaining wall block structures on a slope made of soil, etc., thereby preventing the risk of an accident in which the slope collapses The first purpose of providing a retaining wall structure is to form a retaining wall on the slope to solve the problem of obstructing the landscape as the slope is exposed to the outside as it is, to create an aesthetic landscape. To provide a retaining wall block structure It has 2 purposes.

이하에서는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대한 설명으로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인 설명을 수행하기로 하며, 하나의 기술적 특징 및 발명을 구성하는 구성 요소를 설명하기 위하여 다수의 도면이 동시 참조될 수 있을 것이다.Hereinafter, as a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mor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give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 plurality of drawings are simultaneously used to describe one technical feature and components constituting the invention. can be referenced.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옹벽 블록 구조체는 크게 두 가지 형상을 갖는 단위 옹벽 블록으로 구비된다.The retaining wall block structure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provided as a unit retaining wall block having two shapes.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직선 구간용 옹벽 블록과, 곡선 구간용 옹벽 블록을 포함할 수 있는데, 먼저 직선 구간용 옹벽 블록의 형상에 대한 설명을 위하여 도 1을 동시 참조하기로 한다.Specifically, in the present invention, a retaining wall block for a straight section and a retaining wall block for a curved section may be included. First, FIG. 1 will be simultaneously referred to for description of the shape of the retaining wall block for a straight section.

도 1의 A에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을 이어가면,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직선 구간용 옹벽 블록(10)은, 바람직하게 합성 수지 소재로 제조되는 다면체 형상을 하되, 내부에는 캐비티가 형성되어 있고, 상면 중심부 일 영역에는 상술한 캐비티로 물질을 주입할 수 있는 주입구(11)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Continuing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 shown in A of FIG. 1, the retaining wall block 10 for the straight section mentioned in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olyhedral shape, preferably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but has a cavity formed therein In addition, an injection port 11 capable of injecting a material into the above-described cavity may be formed in a central region of the upper surface.

이때, 상술한 합성 수지 소재의 종류로는 바람직하게 폴리에틸렌 및 폴리 프로필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소재가 이용되도록 하여, 옹벽으로서의 내구성과, 안료 첨가의 자율성으로 인한 옹벽 블록의 색상을 다양화하는 것에도 별다른 무리가 없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At this time, as the type of synthetic resin material described above, a material containing at least one of polyethylene and polypropylene is preferably used to diversify the color of the retaining wall block due to durability as a retaining wall and autonomy of pigment addition. It would also be desirable to make sure there is no crowding.

또한 도 1에서는 직선 구간용 옹벽 블록(10)이 가질 수 있는 다면체 형상 중, 육면체의 형상을 갖는 직선 구간용 옹벽 블록(10)의 실시 예를 한정적으로 도시하였으나, 상술한 직선 구간용 옹벽 블록(10)은 옹벽 블록으로 구현 가능한 형태라면, 사면체, 오면체 및 육면체 등을 비롯한 다면체의 형상으로 얼마든지 수정 및 변경되어 구현될 수 있음이 당연하다.In addition, in FIG. 1, an embodiment of the retaining wall block 10 for a straight section having a hexahedral shape among the polyhedral shapes that the retaining wall block 10 for a straight section can have is limitedly shown, but the above-described retaining wall block for a straight section ( It is natural that 10) can be modified and changed to any number of polyhedral shapes including tetrahedron, pentahedron, and hexahedron, as long as it can be implemented as a retaining wall block.

또한 도 1에서는 주입구(11)의 형상을 원형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러한 주입구(11)의 형상은, 준비된 물질을 내부의 캐비티로 무리 없이 이송시킬 수 있는 형태라면, 타원형, 사각형을 비롯한 다양한 도형의 형상으로 수정 및 변경되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although the shape of the inlet 11 is shown in a circular shape in FIG. 1, the shape of the inlet 11, if it is a form that can transfer the prepared material to the internal cavity without difficulty, is in the shape of various shapes including oval and square It can be modified and changed to be applied.

한편 본 발명의 직선 구간용 옹벽 블록(10)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 구간용 옹벽 블록(10)의 상면 일 영역, 상세히는 주입구(11)를 중심으로 양 측 상면 일 영역이 개방부로 마련되어 내부 캐비티와 연통되도록 하고, 개방부를 커버하는 커버 부재(101)를 더 포함될 수도 있을 것이다.Meanwhile,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retaining wall block 10 for a straight s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One area of the upper surface on both sides may be provided as an opening to communicate with the internal cavity, and a cover member 101 covering the opening may be further included.

즉 이는 본 발명에서 내부의 캐비티에 물질을 주입하는 경로를 주입구(11)또는 개방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구성으로 이용하여, 물질 주입의 효율이 증대되도록 하고, 주입된 물질이 배출 가능한 물질일 경우, 내부의 캐비티에서 물질의 배출 효율 또한 증대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ath for injecting the material into the internal cavity is used as at least one of the inlet 11 and the opening, so that the efficiency of material injection is increased, and when the injected material is a material that can be discharged , there is an effect of increasing the discharge efficiency of materials from the internal cavity.

이때 도 6의 실시 예에서는 상술한 개방부를 커버하는 커버 부재(101)의 한 예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상술한 커버 부재(101)의 하면 외곽 영역에는, 개방부를 밀폐 시, 밀폐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고무 또는 실리콘 소재로 씰링 처리가 되어 있을 수도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하지 않는다.At this time, in the embodiment of FIG. 6, an example of the cover member 101 covering the above-described opening is schematically shown, but in the outer area of the lower surface of the above-described cover member 101, when sealing the opening, to increase the sealing efficiency. It may be sealed with rubber or silicone material,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도 1에 도시되었듯 본 발명의 직선 구간용 옹벽 블록(10)의 일 측부에는 하나 이상의 연결 아암(12)이 일 측부의 단부에서 연장 형성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타 측부에는 상술한 연결 아암(12)의 형상 및 개수에 대응되는 연결 홈(13)이 타 측부의 단부에서 오목하게 파인 형태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 one or more connecting arms 12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retaining wall block 10 for a straight s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form extending from the end of one side, and on the other side, the above-described Connection grooves 13 corresponding to the shape and number of connection arms 12 may be formed in a concave shape at the end of the other side.

한 실시 예로서 도 1에서는 직선 구간용 옹벽 블록(10)의 일 측부에 두 개의 연결 아암(12)이 형성되어 있는 예가 도시되어 있고, 이에 대응하여 타 측부에는 두 개의 연결 홈(13)이 형성되어 있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한편 이들 연결 아암(12) 및 연결 홈(13)은, 둘 이상의 직선 구간용 옹벽 블록(10)이 서로 연결될 때, 연결 아암(12)과 연결 홈(13)이 상호 결합하는 구조의 관계를 가져, 수평 연결 될 수 있게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인데, 본 발명에서는 연결 아암(12)을 두 개로 형성하고, 연결 홈(13)을 두 개로 형성하는 예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연결 아암(12) 및 연결 홈(13)의 개수가 가감될 수도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은 이이 제한하지 않는다.As one embodiment, FIG. 1 shows an example in which two connecting arms 12 are formed on one side of a retaining wall block 10 for a straight section, and correspondingly, two connecting grooves 13 are formed on the other side. An example of this is shown. On the other hand, these connecting arms 12 and connecting grooves 13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connecting arms 12 and the connecting grooves 13 are mutually coupled when two or more retaining wall blocks 10 for straight section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 It will be understood that it performs the function of enabling horizontal connec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on arm 12 is formed in two, and the connection groove 13 is formed in two. The number of connection arms 12 and connection grooves 13 may be increased or decreased by the technicia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한편 도 2를 참조하여 보면, 도 2에서는 다수의 직선 구간용 옹벽 블록(10)을 수평 연결한 예로서, 제1 직선 구간용 옹벽 블록(10a)과, 제2 직선 구간용 옹벽 블록(10b) 및 제3 직선 구간용 옹벽 블록(10c)으로 준비되어 이들의 결합 구조를 주입구(11a, 11b, 11c, 11d)가 형성된 상면을 기준으로 바라본 실시 예를 도시하였다.Meanwhile, referring to FIG. 2, in FIG. 2, as an example of horizontally connecting a plurality of retaining wall blocks 10 for a straight section, a retaining wall block 10a for a first straight section and a retaining wall block 10b for a second straight section and a retaining wall block (10c) for the third straight section,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ir coupling structure is viewed based on the upper surface where the inlets (11a, 11b, 11c, and 11d) are formed.

이때 도 2의 A는 직선 구간용 옹벽 블록 구조체(10)의 제1 실시 예인, 별도의 커버 부재가 구비되지 않은 실시 예에 대한 평면도를 도시하였으며, 도 2의 B에서는 직선 구간용 옹벽 블록 구조체(10)의 제2 실시 예인 별도의 개방부를 형성하고, 개방부를 밀폐하도록 기능하는 커버 부재(101)가 구비된 예에 대한 평면도로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At this time, A in FIG. 2 shows a plan view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retaining wall block structure 10 for a straight section, an embodiment in which a separate cover member is not provided, and in B of FIG. 2, a retaining wall block structure for a straight section ( 10), which is a second embodiment, may be understood as a plan view of an example in which a cover member 101 that functions to form a separate opening and seal the opening is provided.

도 2의 A 및 B에서 보여지듯 제1 직선 구간용 옹벽 블록(10)의 연결 아암과, 제2 직선 구간용 옹벽 블록(10)의 연결 홈이 맞물려 체결되고, 제2 직선 구간용 옹벽 블록(10)의 연결 아암과 제3 직선 구간용 옹벽 블록(10)의 연결 홈이 맞물려 체결됨으로써, 다수의 직선 구간용 옹벽 블록(10)이 수평 연결될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이를 통해, 별도의 연결 부재의 구비 없이도, 둘 이상의 직선 구간용 옹벽 블록(10)을 상호 연결할 수 있기 때문에 시공 속도가 단축되고, 시공 작업이 단순화되어 시공 편의성을 크게 증대시키는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As shown in A and B of FIG. 2, the connecting arm of the retaining wall block 10 for the first straight section and the connecting groove of the retaining wall block 10 for the second straight section are engaged and fastened, and the retaining wall block for the second straight section ( By engaging and fastening the connection arm of 10) and the connecting groove of the retaining wall block 10 for the third straight section, a plurality of retaining wall blocks 10 for the straight section can be horizontally connected. Through this, in the present invention, a separate connection Since two or more retaining wall blocks 10 for a straight section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without having a member, the construction speed is shortened, and the construction work is simplified, so that the construction convenience is greatly increased.

한편 다음에서는,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옹벽 블록 구조체가 가질 수 있는 다른 형상인, 곡선 구간용 옹벽 블록(20)에 대한 설명을 도 3을 참조하여 개진하기로 한다.Meanwhile, in the following, a description of the retaining wall block 20 for a curved section, which is another shape that the retaining wall block structure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will be developed with reference to FIG. 3 .

구체적으로 도 3의 A를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의 곡선 구간용 옹벽 블록(20)은, 전술한 직선 구간용 옹벽 블록(10)과 유사하게, 합성 수지 소재로 제조되는 다면체 형상을 하되 내부에는 캐비티가 형성되어 있고, 상면 중심부 일 영역에는 상술한 캐비티로 물질을 주입할 수 있는 주입구(21)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3A, the retaining wall block 20 for a curved s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olyhedral shape made of synthetic resin material, similar to the above-described retaining wall block 10 for a straight section, but inside A cavity may be formed, and an injection hole 21 through which a material may be injected into the above-described cavity may be formed in a central region of the upper surface.

또한 일 측부에는 하나 이상의 연결 아암(22)이 연장 형성되고, 타 측부에는 연결 아암(22)의 형상 및 개수에 대응되는 연결 홈(23)이 오목하게 파인 형태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In addition, one or more connection arms 22 may be extended on one side, and connection grooves 23 corresponding to the shape and number of the connection arms 22 may be formed in a concave shape on the other side.

다만 전술한 직선 구간용 옹벽 블록(10)과는 다소 차이가 있는 구성으로서, 곡선 구간용 옹벽 블록(20)에는 옹벽 블록 바디의 적어도 일 단위 영역에 별로우즈(Bellows)형태의 주름부(28)가 형성되어 곡선 구간에 대한 유연성을 갖도록 할 수 있다.However, as a configuration that is somewhat different from the aforementioned retaining wall block 10 for straight sections, the retaining wall block 20 for curved sections includes bellows-shaped wrinkles 28 in at least one unit area of the retaining wall block body is formed to have flexibility for the curved section.

바람직하게 상술한 곡선 구간용 옹벽 블록(20)의 주름부(28)는, 주입구(21)가 형성된 중심부 일 영역을 기준으로 양 측부에 형성되되, 대칭 구조를 갖는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Preferably, the wrinkles 28 of the retaining wall block 20 for the curved section described above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enter region where the inlet 21 is formed, but may be formed in a region having a symmetrical structure.

즉 도 3에 형성된 주름부(28)와 같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것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주름부(28)의 형성 영역은 옹벽 블록 바디에서 연결 아암(22)의 형성 영역 및, 연결 홈(23)의 형성 영역과는 구분된 별도의 영역에 형성되도록 하여, 복수의 곡선 구간용 옹벽 블록(20)이 수평 체결 관계를 이루도록 하는 것에 영향이 없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it may have the same shape as the wrinkle part 28 formed in FIG. 3, and more preferably, the formation area of the wrinkle part 28 is the formation area of the connecting arm 22 in the retaining wall block body and the connection groove 23 ), so that it is formed in a separate area separated from the formation area, so that the plurality of curved section retaining wall blocks 20 do not affect the horizontal fastening relationship.

한편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곡선 구간용 옹벽 블록 구조체(20)의 다른 실시 예로서, 도 3의 B를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서는 도 3의 A와 유사하되, 도 3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곡선 구간용 옹벽 블록 구조체(20)의 상면에 형성된 주입구(21)의 양 측으로 개방부가 형성되며, 개방부를 밀폐하는 커버 부재(201)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Meanwhile,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retaining wall block structure 20 for a curved section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3B,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similar to FIG. 3A, but as shown in FIG. 3B , Opening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inlet 21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taining wall block structure 20 for the curved section, and a cover member 201 sealing the opening may be further included.

바람직하게 상술한 곡선 구간용 옹벽 블록 구조체(20)에 구비되는 커버 부재(201)의 상면은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름부(28)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을 것이고, 이를 통해, 곡선 구간용 옹벽 블록 구조체(20)가 곡선 라인으로 절곡되는 경우에도 커버 부재(201) 또한 절곡될 수 있게 하여, 커버 부재(201)의 구성 추가로 인한 곡선 구간용 옹벽 블록 구조체(20)의 유연성에 영향을 미치지 아니하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Preferably,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member 201 provided in the above-described retaining wall block structure 20 for the curved section may be provid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wrinkle portion 28, as shown in B of FIG. Through this, even when the retaining wall block structure 20 for a curved section is bent in a curved line, the cover member 201 can also be bent, so that the retaining wall block structure 20 for a curved section due to the addition of the configuration of the cover member 201 ) It would be desirable not to affect the flexibility of

또한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여 보면, 도 4에서는 전술한 곡선 구간용 옹벽 블록(20)을 다수 준비하여 수평 결합한 예를 도시하였다.Next, referring to FIG. 4, FIG. 4 shows an example in which a plurality of retaining wall blocks 20 for the curved section described above are prepared and horizontally combined.

구체적으로 도 4에서는 제1 곡선 구간용 옹벽 블록(20), 제2 곡선 구간용 옹벽 블록(20) 및 제3 곡선 구간용 옹벽 블록(20)이 구비되어, 제1 곡선 구간용 옹벽 블록(20)의 연결 홈과, 제2 곡선 구간용 옹벽 블록(20)의 연결 아암이 체결되고, 제2 곡선 구간용 옹벽 블록(20)의 연결 홈과 제3 곡선 구간용 옹벽 블록(20)의 연결 홈이 체결되는 예를 살펴볼 수 있고, 제1 곡선 구간용 옹벽 블록(20) 및 제2 곡선 구간용 옹벽 블록(20)에 주름부가 두 개 구비되어, 각각의 곡선 구간용 옹벽 블록(20)마다의 주름부가 갖는 신축성에 의해 곡선으로 유연하게 절곡되어 있는 형상을 살펴볼 수 있다.Specifically, in FIG. 4, a retaining wall block 20 for the first curved section, a retaining wall block 20 for the second curved section, and a retaining wall block 20 for the third curved section are provided, and the retaining wall block 20 for the first curved section ) and the connecting arm of the retaining wall block 20 for the second curved section are fastened, and the connecting groove of the retaining wall block 20 for the second curved section and the connecting groove of the retaining wall block 20 for the third curved section An example of this fastening can be seen, and the retaining wall block 20 for the first curved section and the retaining wall block 20 for the second curved section are provided with two wrinkles, so that each retaining wall block 20 for each curved section A shape that is flexibly bent into a curve can be observed due to the elasticity of the wrinkled portion.

이때 도 4의 A는 곡선 구간용 옹벽 블록 구조체(20)의 제1 실시 예인, 별도의 커버 부재가 구비되지 않은 실시 예에 대한 평면도를 도시하였으며, 도 4의 B에서는 곡선 구간용 옹벽 블록 구조체(20)의 제2 실시 예인 별도의 개방부를 형성하고, 개방부를 밀폐하도록 기능하는 커버 부재(201)가 구비된 실시 예에 대한 평면도로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At this time, A of FIG. 4 shows a plan view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retaining wall block structure 20 for a curved section, an embodiment in which a separate cover member is not provided, and in B of FIG. 4, a retaining wall block structure for a curved section ( 20) may be understood as a plan view of an embodiment in which a cover member 201 that functions to form a separate opening and seal the opening, which is the second embodiment, is provided.

한편 이러한 곡선 구간용 옹벽 블록(20)의 주름부(28)는, 종래 다양한 사이즈의 옹벽 블록을 구비하여, 요구되는 곡선 디자인을 구현하기 위한 목적으로 여러 사이즈의 옹벽 블록을 선정한 뒤, 곡선에 맞추어 옹벽 블록을 쌓거나, 놓는 행위를 통해 곡선 디자인을 구현하여왔던 방식 대신, 옹벽 시공 시 곡선 디자인이 요구되는 영역에 적용되어 주름부(28)의 신축성에 의해 요구되는 곡선 디자인으로 구부리는 행위만을 통해 곡선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게 됨으로써, 복잡한 시공을 간소화하는 등, 종래 기술의 한계점을 해소하는 효과를 갖는다.On the other hand, the wrinkled portion 28 of the retaining wall block 20 for the curved section includes retaining wall blocks of various sizes in the past, and after selecting retaining wall blocks of various sizes for the purpose of implementing the required curved design, according to the curve Instead of implementing the curved design through the act of stacking or placing retaining wall blocks, it is applied to the area where the curved design is required during the construction of the retaining wall, and only through the act of bending into the curved design required by the elasticity of the wrinkles (28) By being able to implement a curved design, it has an effect of solving the limitations of the prior art, such as simplifying complex construction.

또 다른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전술한 직선 구간용 옹벽 블록(10) 및 곡선 구간용 옹벽 블록(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옹벽 블록은, 평탄면으로 구비되는 상면 일 영역에 하나 이상의 돌출된 형상의 돌기부(17)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taining wall block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above-described retaining wall block 10 for a straight section and the retaining wall block 20 for a curved section is provided on one area of the upper surface provided with a flat surface. One or more protruding protrusions 17 may be formed.

이때, 상술한 평탄면이라 함은, 주입구(11, 21) 또는 주름부(28)의 형성 영역을 제외한 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영역일 수 있을 것이며, 돌기부(17)의 돌출 길이는, 모두 같을 수도, 모두 상이할 수도, 또는 전체 돌기부(17) 중 일부는 같고, 일부는 차이가 있는 등으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At this time, the above-described flat surface may be an area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areas excluding the injection holes 11 and 21 or the area where the wrinkles 28 are formed, and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protrusion 17 is, All of them may be the same, all of them may be different, or some of the entire protrusions 17 may be the same, some may be different, and the like.

또한, 전술한 직선 구간용 옹벽 블록(10) 및 곡선 구간용 옹벽 블록(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옹벽 블록의 하면 일 영역에는, 전술한 돌기부(17, 27)의 형성 위치 및 돌출 길이에 대응되는 돌기 수용부(19, 29)가 형성되어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고, 이에 따라, 복수의 옹벽 블록들이 설치면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연결되어 결합될 시, 돌기부(17)와 돌기 수용부(19, 29)가 상호 체결될 수 있는 구조가 되도록 하여, 수직 연결되는 복수의 옹벽 블록들의 체결력을 보강할 수 있다.In addition, in one area of the lower surface of the retaining wall block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aforementioned retaining wall block 10 for straight sections and the retaining wall block 20 for curved sections, the formation positions and protruding lengths of the aforementioned protrusions 17 and 27 It is preferable that the protrusion accommodating portions 19 and 29 corresponding to are formed, and accordingly, when a plurality of retaining wall blocks are connect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installation surface and coupled, the protrusion 17 and the protrusion accommodating portion (19, 29) to have a structure that can be fastened to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reinforce the fastening force of a plurality of vertically connected retaining wall blocks.

한 실시 예로서, 도 5를 참조하여 보면, 도 5에서는 직선 구간용 옹벽 블록(10) 또는 곡선 구간용 옹벽 블록(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옹벽 블록들이 설치면을 기준으로 수직한 방향으로 연결되어 결합되는 예를 도시하였다.As an embodiment, referring to FIG. 5, in FIG. 5, the retaining wall blocks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retaining wall block 10 for a straight section or the retaining wall block 20 for a curved section are perpendicular to the installation surface An example of being connected and combined is shown.

이때, 설치면이라 함은, 옹벽 블록 바디의 하면이 맞닿게 되는 지면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며, 옹벽 블록 바디의 배면과 접촉되는 비탈면과는 다른 개념으로 이해됨이 바람직할 것이다.At this time, the installation surface may be understood to mean the ground to which the lower surface of the retaining wall block body comes into contact, and it is preferable to be understood as a concept different from the slop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retaining wall block body.

한편 도 5에 도시되었듯, 둘 이상의 옹벽 블록들은 하부에 위치한 옹벽 블록의 상면에 형성된 돌기부(17, 27)가, 상부에 위치한 옹벽 블록의 하면에 형성된 돌기 수용부(19, 29)에 끼워지면서 상호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Meanwhile, as shown in FIG. 5, in two or more retaining wall blocks, the protrusions 17 and 27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retaining wall block are inserted into the protrusion receiving portions 19 and 29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retaining wall block. that can be combined with each other.

이때, 도 5에는 명시적으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돌기부(17, 27) 및 돌기 수용부(19, 29)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구성에는, 고무 및 합성 고무 소재로 표면이 논슬립 처리되어 있어, 미끌림을 방지하도록 기능할 수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서는, 상기 돌기부(17, 27)의 형태를 제1 돌기부와, 제1 돌기부에서 제1 돌기부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돌기부인 제2 돌기부로 다단으로 형성하고, 돌기 수용부(19, 29) 역시 상기 제1 돌기부 및 상기 제2 돌기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하여 수직 연결된 옹벽 블록들 간의 체결력을 더욱 강화시키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하지 않는다.At this time, although not explicitly shown in FIG. 5, the configur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protrusions 17 and 27 and the protrusion accommodating portions 19 and 29 has a non-slip surface treated with rubber and synthetic rubber material, It will be able to function to prevent slipping, and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ape of the protrusions 17 and 27 is a first protrusion, and a second protrusion having a smaller diameter than the first protrusion in the first protrusion. The protrusions are formed in multiple stages, and the protrusion accommodating portions 19 and 29 are also provided in shapes corresponding to the first protrusion and the second protrusion to further strengthen the fastening force between the vertically connected retaining wall block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또한,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상술한 직선 구간용 옹벽 블록(10) 및 곡선 구간용 옹벽 블록(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옹벽 블록의 일 측부에서 연장 형성된 연결 아암(12, 22)은, 설치면을 기준으로 하는 수평 단면 상, 연장 끝 단부에서 연장 시작 단부로 향할수록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진 형상을 이루고 있을 수 있다.In addition, as a mor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nnection arm 12 extending from one side of a retaining wall block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above-described retaining wall block 10 for a straight section and the retaining wall block 20 for a curved section, 22) may have a tapered shape in which the width becomes narrower from the extension end toward the extension start end on a horizontal cross section based on the installation surface.

즉 이러한 연결 아암(12, 22)의 형태는, 폭이 일정한 연결 아암(12, 22)이 연결 홈(13, 23)에서 쉽게 이탈될 수 있는 문제를 예방하고자 하는 형태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at is,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shape of the connecting arms 12 and 22 is a shape to prevent the problem that the connecting arms 12 and 22 having a constant width can easily be separated from the connecting grooves 13 and 23. .

한편 이러한 연결 아암(12, 22)의 형태에 대응하여, 연결 홈(13, 23)의 형태 역시, 테이퍼진 형상을 갖는 연결 아암(12, 22)을 수용할 수 있는 형태로 구비되어야 함이 바람직하고, 본 발명에서는 이에 따라 연결 아암(12, 22) 및 연결 홈(13, 23)의 체결력을 강화시킬 수 있게 된다는 효과가 있다.Meanwhil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connecting arms 12 and 22, the shape of the connecting grooves 13 and 23 should also be provided in a form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connecting arms 12 and 22 having a tapered shape. 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fastening force of the connecting arms 12 and 22 and the connecting grooves 13 and 23 can be strengthened.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서, 상술한 직선 구간용 옹벽 블록(10) 및 곡선 구간용 옹벽 블록(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옹벽 블록은, 연결 아암(12, 22) 및 연결 홈(13, 23)이 형성된 양 측부의 중심부 일 영역이 반원기둥을 하는 요홈(14, 24)으로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In addition,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taining wall block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above-described retaining wall block 10 for a straight section and the retaining wall block 20 for a curved section, the connecting arms 12 and 22 and the connecting groove (13, 23) may be provided with grooves (14, 24) having a semi-circular column in one central region of both sides.

구체적으로 도 1 및 3에서는 직선 구간용 옹벽 블록(10)에 형성된 반원기둥의 요홈(14, 24)과, 곡선 구간용 옹벽 블록(20)에 형성된 반원기둥의 요홈(14, 24)을 살펴볼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반원기둥의 요홈(14, 24)은, 둘 이상의 옹벽 블록이 설치면에 대해 수평으로 연결되어 결합될 시, 일 옹벽 블록의 일 측부에 형성된 반원기둥의 요홈(14, 24)과, 타 옹벽 블록의 타 측부에 형성된 반원기둥의 요홈(14, 24)이 서로 맞닿아, 원기둥 형상의 요홈을 이루게 된다.Specifically, in FIGS. 1 and 3, the semicircular grooves 14 and 24 formed in the retaining wall block 10 for straight sections and the semicircular grooves 14 and 24 formed in the retaining wall block 20 for curved sections can be seen. there is. On the other hand, when two or more retaining wall blocks are connected horizontally with respect to the installation surface, the semi-circular grooves 14 and 24 formed on one side of one retaining wall block and the other The semicircular grooves 14 and 24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retaining wall block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to form a cylindrical groove.

한편 이러한 원기둥 형상의 요홈은 바람직하게 설치면에 대해 수직으로 삽설되는 보강재의 삽설 영역으로 이해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such a cylindrical groove can be understood as an insertion area of a reinforcing material that is preferably installed vertically with respect to the installation surface.

한 실시 예로서 도 8을 참조하여 보면, 도 8에는 복수의 옹벽 블록(10a, 10b)을 이용하여 옹벽을 형성하고 있는 상태에서, 옹벽블록들(10a, 10b) 간의 결합으로 반원기둥의 요홈(14a, 14b)이 원기둥의 요홈을 이뤄 원기둥 요홈에 철근 등의 보강 부재가 삽입되는 예를 살펴볼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as an embodiment, in FIG. 8, in a state in which a retaining wall is formed using a plurality of retaining wall blocks 10a and 10b, a groove ( 14a, 14b) forms a cylindrical groove, and an example in which a reinforcing member such as a reinforcing bar is inserted into the cylindrical groove can be seen.

이때 상술한 보강 부재는, 옹벽 블록들이 이루는 옹벽의 전체 높이보다 긴 길이로 준비되어, 원기둥 요홈에 삽설된 후, 삽설 단부 일 영역이 설치면에 매립되는 형태를 갖도록 하여, 보강력을 극대화할 수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하지 않는다.At this time, the above-described reinforcing member is prepared with a length longer than the total height of the retaining wall formed by the retaining wall blocks, is inserted into the cylindrical groove, and then has a form in which one region of the insertion end is buried in the installation surface, thereby maximizing the reinforcing force. There will b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또 다른 한편, 상술한 직선 구간용 옹벽 블록(10) 및 곡선 구간용 옹벽 블록(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옹벽 블록은, 캐비티에 주입되는 물질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성을 발휘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retaining wall block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aforementioned retaining wall block 10 for a straight section and the retaining wall block 20 for a curved section may exhibit different functionality depending on the material injected into the cavity.

한 실시 예로서, 상술한 캐비티에 주입되는 물질로 골재를 포함하는 시멘트 페이스트가 주입되는 경우, 시멘트 페이스트가 수화 반응에 의해 콘크리트로 경화될 것이므로, 옹벽 블록을 시공 현장에 영구적으로 설치되는 영구 옹벽으로서 기능하게 할 수 있다.As an example, when cement paste containing aggregate is injected as the material injected into the cavity described above, since the cement paste will be hardened into concrete by a hydration reaction, the retaining wall block is used as a permanent retaining wall permanently installed at the construction site. can make it functional.

또한 다른 실시 예로서, 상술한 캐비티에 주입되는 물질로 물 밑 토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물질이 주입될 경우, 캐비티에 물 및 토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물질이 주입된 상태에서는 옹벽으로서 기능하게 하고, 캐비티에 주입된 물 및 토사가 제거되면 철거되게 하여, 하나 이상의 시공 현장에서 일 회 이상 재사용될 수 있는 재활용 옹벽으로서 기능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as another embodiment, when a material including at least one of soil under water is injected into the above-described cavity, in a state in which at least one of water and soil is injected into the cavity, function as a retaining wall And, when the water and soil injected into the cavity are removed, it can be demolished to function as a recycling retaining wall that can be reused one or more times at one or more construction sites.

이때,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는, 상술한 물 및 토사가 흘러 넘쳐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물 및 토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물질이 주입될 시, 상기 옹벽 블록에 형성된 주입구(11, 21)를 밀폐하거나, 개방할 수 있도록 하는 밀폐 수단(미도시)으로서, 도어 또는 커버 부재가 더 포함될 수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하지 않는다.At this time, in a mor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prevent the aforementioned water and soil from overflowing and being lost, when a material containing at least one of water and soil is injected, the inlet 11 formed in the retaining wall block , 21) as a sealing means (not shown) for sealing or opening, a door or a cover member may be further included,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상술한 실시 예에 더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서는, 상술한 캐비티에 주입되는 물질로서, 폴리우레탄, 폴리스티렌 및 폴리에틸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합성 수지 물질이 용융 상태로 가공되어 주입될 수 있고, 이 경우, 캐비티에서 용융 상태의 합성 수지 물질을 별도의 경화 처리 수단으로 경화시켜, 단열 옹벽으로서 기능하게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material injected into the above-described cavity, a synthetic resin material including at least one of polyurethane, polystyrene, and polyethylene is processed in a molten state and injected. In this case, the synthetic resin material in a molten state in the cavity may be cured by a separate curing treatment means to function as an insulating retaining wall.

이는 상기 합성 수지 물질로 옹벽 블록의 내부 캐비티를 채움으로써, 대류, 전도, 복사에 의한 열의 이동을 막아, 단열의 효과를 발휘하는 기능성 옹벽을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t will be understood that by filling the internal cavity of the retaining wall block with the synthetic resin material, it is possible to provide a functional retaining wall that exhibits an insulation effect by preventing heat transfer by convection, conduction, and radiation.

즉 정리하면,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옹벽 블록은 옹벽 블록 구조체의 내부 캐비티에 채워지는 물질에 따라, 시멘트 페이스트가 주입되는 경우 영구 옹벽으로서 기능하고, 토사 및 물이 주입되는 경우, 주입된 토사 및 물을 배출시켜 다른 시공 현장 등에 재활용이 가능한 재활용 가능한 옹벽으로서 기능하며, 단열 기능성이 있는 용융 합성 수지가 주입되는 경우, 경화처리 된 후 단열 옹벽으로서 기능할 수 있는 등, 활용 범위가 무궁 무진한 옹벽 블록 구조체를 제공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That is, in summary, the retaining wall block referred to in the present invention functions as a permanent retaining wall when cement paste is injected, depending on the material filled in the internal cavity of the retaining wall block structure, and when soil and water are injected, the injected soil and water It functions as a recyclable retaining wall that can be recycled to other construction sites by discharging the It has the effect of providing a structure.

다시 도 1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직선 구간용 옹벽 블록(10) 및, 곡선 구간용 옹벽 블록(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옹벽 블록에는, 옹벽 블록 바디의 상면 일 영역에 형성된 주입구(11, 21)를, 폭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배수홈(15)이 더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Referring back to FIG. 1, in a retaining wall block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retaining wall block 10 for a straight section and the retaining wall block 20 for a curved section mention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 one reg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retaining wall block body It is preferable to further form a drainage groove 15 crossing the formed inlets 11 and 21 in the width direction.

이때, 도 1에 도시된 도면을 기준으로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폭 방향은, 옹벽 블록의 연결 아암(12, 22)이 연장 형성되는 방향과 수직에 대응하는 방향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며, 반대로 길이 방향은 옹벽 블록의 연결 아암(12, 22)이 연장 형성 되는 방향과 평행한 방향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At this time,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width direction referred to in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drawing shown in FIG. 1 is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nnecting arms 12 and 22 of the retaining wall block are extended, and vice versa.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a direction parallel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nnecting arms 12 and 22 of the retaining wall block extend.

한편 이러한 배수홈(15)의 형성은, 종래 비탈면 등에 옹벽 블록을 이용하여 옹벽을 설치한 뒤, 유공관 등을 이용하여 옹벽의 하단 일 영역에 배수 시설을 설치하는 등의 행위를 수행하였던 작업이 요구되던 것과 달리, 옹벽 블록 바디에 U자형 단면(설치면에 대해 수직한 단면 상)을 갖는 배수홈(15)을 형성하여 별도의 배수 시설의 설치를 요구하지 않고도 비탈면에서 빠른 배수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구성에 해당한다.On the other hand, the formation of such a drainage groove 15 requires the installation of a retaining wall using a retaining wall block on a slope, etc., and then installing a drainage facility in one area at the bottom of the retaining wall using a perforated pipe. Unlike the former, by forming a drainage groove (15) with a U-shaped cross section (on a cross section perpendicular to the installation surface) on the retaining wall block body, fast drainage treatment can be performed on the slope without requiring the installation of a separate drainage facility corresponds to the configuration of

특히 본 발명에서는 옹벽을 이루고 있는 옹벽 블록마다 배수홈(15)이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장마철 등 옹벽이 지지하고 있는 비탈면 등이 갑작스럽게 많은 물을 보유하게 되는 상황에 있어서도, 상술한 배수홈(15)을 통해 신속한 배수 처리가 가능하여, 수압에 의해 옹벽이 붕괴되는 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옹벽의 내구성 향상 및 수명 연장과 같은 효과를 발휘할 수 있게 된다.In particular,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drainage groove 15 is provided for each retaining wall block constituting the retaining wall, even in a situation where the slope supported by the retaining wall suddenly holds a lot of water, such as during the rainy season, the aforementioned drainage groove 15 Through this, rapid drainage treatment is possible,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accidents in which the retaining wall collapses due to water pressure, thereby exhibiting effects such as improving durability and extending the life of the retaining wall.

또한 아울러, 본 발명의 직선 구간용 옹벽 블록(10) 및 곡선 구간용 옹벽 블록(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옹벽 블록에는, 외부로 노출되는 정면에 대향하는 배면 중심부 일 영역에는 적어도 하나의 고리부(16, 26)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retaining wall block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retaining wall block 10 for a straight section and the retaining wall block 20 for a curved s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Rings 16 and 26 may be provided.

구체적으로 도 1 및 3에서는 이러한 고리부(16, 26)가 두 개로 구비되어 있는 실시 예를 도시하여, 고리부(16, 26)의 형상을 살펴볼 수 있게 하였다.Specifically, FIGS. 1 and 3 show an embodiment in which two rings 16 and 26 are provided, so that the shape of the rings 16 and 26 can be observed.

다만 이때, 상술한 고리부(16, 26)의 형상은 도 1 및 3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형상의 고리부(16, 26)로 구비될 수도 있으나, 운반의 편의를 위해 구비되는 고리부(16, 26)라면, 도 1 및 3에 도시되지 않은 고리부 또는 후크의 형상으로도 구비될 수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하지 않는다.However, at this time, the shape of the above-described ring parts 16 and 26 may be provided with the same shape as those shown in FIGS. 1 and 3, but the ring part 16 provided for convenience of transportation. , 26), it may also be provided in the shape of a hook or hook not shown in FIGS. 1 and 3,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본 발명의 옹벽 블록 구조체에는, 격자 구조를 갖는 보강재인 지오그리드 부재(30)가 더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as a mor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taining wall block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geogrid member 30, which is a reinforcing material having a lattice structure.

이때, 상술한 지오그리드 부재(30)는, 지반의 보강에 쓰이는 지오텍스타일의 일종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며, 바람직하게는 고분자 재료를 이용하여 수지 네트에 비해 강성이 높은 것을 사용하거나 스테인리스 스틸 소재를 비롯한 철재 소재로 구비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above-described geogrid member 30 may be understood as a kind of geotextile used for ground reinforcement, preferably using a polymer material having higher rigidity than a resin net or including a stainless steel material It may be provided with a steel material.

또한 상술한 지오그리드 부재(30)는, 옹벽 블록의 설치면에 대해 수직하게 설치되되, 설치면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연결되어 결합되는 복수의 옹벽 블록 사이 영역에 끼워지는 영역인 끼움부와, 상술한 끼움부에서 연장되어 설치면 인근의 비탈면에 매립되는 매립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geogrid member 30 is installed perpendicularly to the installation surface of the retaining wall block, and a fitting portion, which is an area sandwiched between a plurality of retaining wall blocks connected and coupl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installation surface, It may include a buried part that extends from one fitting part and is buried in a slope near the installation surface.

한 실시 예로서, 도 7의 A를 참조하여 보면, 비탈면의 사태를 방지하기 위한 옹벽이 옹벽블록들에 의해 형성된 예와 함께, 옹벽 블록 사이에 설치된 지오그리드 부재(30)의 설치 형태를 개략적으로 살펴볼 수 있다.As an example, with reference to A of FIG. 7, the installation form of the geogrid member 30 installed between the retaining wall blocks, together with an example in which the retaining wall for preventing the landslide on the slope is formed by the retaining wall blocks, will be schematically reviewed. can

도 7의 A에서 보여지듯, 본 발명에서 상위 층을 구성하는 옹벽 블록그룹과, 하위 층을 구성하는 옹벽 블록 그룹을 설치면에 대해 수직으로 쌓아 올림에 있어서, 벽돌의 조적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As shown in A of FIG. 7, in the present invention, in stacking the retaining wall block group constituting the upper layer and the retaining wall block group constituting the lower layer vertically with respect to the installation surface, a brick masonry method may be used.

한 실시 예로서, 본 발명에서는 벽돌의 조적 방식 중, 블록 쌓기, 십자 쌓기 및, 벽돌의 마구리가 보이게 쌓는 방식인 마구리 쌓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조적 방식을 사용하여, 제1 층부를 구성하는 옹벽 블록 그룹과, 제2 층부를 구성하는 옹벽 블록 그룹 간의 연결부를 서로 엇갈린 형태로 쌓아 올리도록 하는 방식이 이용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제1 층부와 제2 층부를 구성하는 옹벽 블록 그룹들 간의 구조적 안정성을 증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an embodiment, in the present invention, among brick masonry methods, a masonry method including at least one of block stacking, cross stacking, and masonry stacking, which is a method of stacking bricks so that the corners of the bricks are visible, is used to construct the first layer. A method of stacking the connections between the retaining wall block groups and the retaining wall block groups constituting the second layer in a staggered manner may be used, and through this, structural It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stability.

한편, 도 7의 B를 동시 참조하면, 도 7의 B에서는 비탈면과 옹벽 블록에 의해 형성된 옹벽의 단면도를 살펴볼 수 있는데, 도 7의 B에서 수직 연결된 옹벽 블록들의 결합 형태에서 알 수 있듯, 본 발명에서는 상위 옹벽 블록의 하면 전체와, 하위 옹벽 블록의 상면 전체가 맞닿도록 연결될 수도 있을 것이나, 상위 옹벽 블록의 하면 일부와, 하위 옹벽 블록의 상면 일부가 맞닿도록 하여 계단식 구조로 연결되는 형태를 가질 수도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하지 않는다.On the other hand, referring simultaneously to B of FIG. 7, in B of FIG. 7, a cross-sectional view of a retaining wall formed by a slope and a retaining wall block can be seen. As can be seen from the combination of vertically connected retaining wall blocks in B of FIG. In , the entire lower surface of the upper retaining wall block and the entire upper surface of the lower retaining wall block may be connected so that they come into contact, or a part of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retaining wall block and a par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retaining wall block may be connected in a stepped structure. There will b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다른 예로서, 도 6을 참조하여 보면, 도 6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옹벽 블록을 벽체로서 활용하는 예를 도시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옹벽 블록은 비탈면에 대한 내력을 제공할 수 있어, 비탈면 등에서의 사태를 방지하기 위한 목적의 옹벽 블록으로서 활용 가치가 우수하나, 일반 벽체로도 그 용도를 변경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As another example, referring to FIG. 6, FIG. 6 illustrates an example of using a retaining wall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wall. Specifically, the retaining wall block mentioned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resistance to the slope, so it has excellent utility value as a retaining wall block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landslides on slopes, etc., but it can also be used as a general wall by changing its purpose there is.

이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는, 상위 층을 구성하는 옹벽 블록그룹과, 하위 층을 구성하는 옹벽 블록 그룹을 설치면에 대해 수직으로 쌓아 올려 벽체를 형성함에 있어서도 전술한 벽돌의 조적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At this time,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taining wall block group constituting the upper layer and the retaining wall block group constituting the lower layer are stacked vertically with respect to the installation surface to form a wall. The brick masonry method described above is used It can be.

예를 들어, 벽돌의 조적 방식 중, 블록 쌓기, 십자 쌓기 및, 벽돌의 마구리가 보이게 쌓는 방식인 마구리 쌓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조적 방식이 이용될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벽돌의 조적 방식과 동일 또는 유사한 형태로 옹벽 블록을 쌓아 올림으로써 설치면에 대한 중력과 횡력 방향에 대한 충격에 대한 저항성을 갖게 하여, 구조적 안정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For example, among brick masonry methods, a masonry method including at least one of block piling, cross piling, and masonry piling, which is a method of stacking bricks so that the corners of the bricks are visible, may b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rick masonry method By stacking retaining wall blocks in the same or similar form, there is an effect that structural stability can be further improved by having resistance to impact on the direction of gravity and lateral force on the installation surface.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옹벽 블록 구조체를 1/2로 분할한 크기 및 형상을 갖는 1/2 옹벽 블록 구조체가 더 구비되어,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마감부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하지 않는다.Meanwhile, as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 1/2 retaining wall block structure having a size and shape obtained by dividing the above-described retaining wall block structure in half is further provided, as shown in FIG. 6, It may also function as a finish,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즉, 이에 따라서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옹벽 블록 구조체는, 도 6과 같이 특정 공간을 구획하기 위한 벽체로도 무리 없이 사용할 수 있는 것이고, 이에 따라 활용도가 높은 옹벽 블록 구조체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That is, according to this, the retaining wall block structure mentioned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without difficulty as a wall for partitioning a specific space as shown in FIG. 6, and thus has an effect of providing a retaining wall block structure with high utilization.

또 다른 한편 첨부된 도면에는 명시적으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본 발명에서는 직선 구간용 옹벽 블록(10)과 곡선 구간용 옹벽 블록(20)의 연결 아암 및 연결 홈의 규격을 동일하게 하여, 옹벽 시공 시, 직선 구간용 옹벽 블록(10)과 곡선 구간용 옹벽 블록(20)을 상호 결합하여 옹벽을 형성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하지 않는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explicitly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pecifications of the connecting arms and connecting grooves of the retaining wall block 10 for the straight section and the retaining wall block 20 for the curved section are the same, so that when constructing the retaining wall , The retaining wall block 10 for a straight section and the retaining wall block 20 for a curved section may be mutually coupled to form a retaining wall,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마찬가지로 첨부된 도면에는 명시적으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본 발명에서는 마감 구간용 옹벽 블록으로서, 일 측부에 연결 아암을 형성하고, 타 측부에는 연결 홈이 형성되지 않은 일자형 단부를 갖는 제1 마감 구간용 옹벽 블록과, 일 측부에 연결 아암이 형성되지 않고 일자형 단부를 갖고, 타측 단부에 연결 홈이 형성된 제2 마감 구간용 옹벽 블록을 더 포함할 수도 있을 것이다.In addition, although not explicitly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present invention, as a retaining wall block for the finishing section, a connecting arm is formed on one side and a straight end with no connecting groove formed on the other side. A first finishing section having a straight end It may further include a retaining wall block and a retaining wall block for a second finishing section having a straight end without a connecting arm formed on one side and a connecting groove formed on the other end.

한편 이러한 마감 구간용 옹벽 블록은, 시공되는 옹벽의 양 측 끝 단부에 위치하게 되는 옹벽 블록의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며,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마감 구간용 옹벽 블록의 구비로 인하여, 더욱 깔끔하고 완성도 높은 옹벽 시공을 이룰 수 있어 옹벽 시공의 품질 향상을 극대화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retaining wall block for the finishing section can be understood as the concept of a retaining wall block located at both ends of the retaining wall to be constructed,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due to the provision of the retaining wall block for the finishing section, a more neat and high-quality As retaining wall construction can be achieved, the effect of maximizing the quality improvement of retaining wall construction can be exerted.

종합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서는 토사 등으로 이루어진 비탈면에서 복수 개의 옹벽 블록 구조체를 간편하게 조립 및 설치 시공하여, 옹벽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비탈면이 무너져 내리는 사고의 위험을 방지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Over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retaining wall block structures are easily assembled and installed on a slope made of soil, etc. to form a retaining wall, thereby preventing the risk of an accident in which the slope collapses there is

특히 본 발명에서는, 옹벽 블록 구조체를 시공 현장에 운반 시에는, 내부 캐비티가 채워지지 않은 가벼운 상태로 운송되어, 운송 비용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고, 시공 현장에서 내부 캐비티에 물질이 채워져 비탈면의 토압 등을 견딜 수 있는 내력을 제공하도록 기능할 수 있다.In particular,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retaining wall block structure is transported to the construction site, it is transported in a light state in which the internal cavity is not filled, which can reduce transportation costs, and the internal cavity is filled with material at the construction site to reduce the earth pressure on the slope It can function to provide strength to withstand the back.

또한 이에 더하여 본 발명에서는, 옹벽 블록 구조체의 내부 캐비티에 채워지는 물질에 따라, 시멘트 페이스트가 주입되는 경우 영구 옹벽으로서 기능하고, 토사 및 물이 주입되는 경우, 주입된 토사 및 물을 배출시켜 다른 시공 현장 등에 재활용이 가능한 재활용 가능한 옹벽으로서 기능하며, 단열 기능성이 있는 용융 합성 수지가 주입되는 경우, 경화처리 된 후 단열 옹벽으로서 기능할 수 있는 등, 활용 범위가 넓은 옹벽 블록 구조체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depending on the material filled in the internal cavity of the retaining wall block structure, when cement paste is injected, it functions as a permanent retaining wall, and when soil and water are injected, the injected soil and water are discharged to achieve other construction It functions as a recyclable retaining wall that can be recycled in the field, and when molten synthetic resin with insulation functionality is injected, it is effective in providing a retaining wall block structure with a wide range of applications, such as being able to function as an insulated retaining wall after curing. .

또한, 이와 함께, 본 발명에서는 비탈면이 외부로 그대로 노출됨에 따라 경관을 저해하는 문제를 해소하고, 비탈면에 옹벽을 형성함으로써, 심미성 있는 경관을 조성하도록 하는 옹벽 블록 구조체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providing a retaining wall block structure that solves the problem of obstructing the landscape as the slope surface is exposed to the outside as it is and forms a retaining wall on the slope surface to create an aesthetic landscape.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경사면에 설치되는 계단 구조물에 대한 설명을 수행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In the above, the description of the stair structure installed on the slope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erformed, but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presented herei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ho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spirit Within, other embodiments may be easily proposed by addition, change, deletion, addition, etc. of components, but this will also be said t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n addition, terms such as "include", "comprise" or "have" described above mean that the corresponding component may be inherent unless otherwise stated, excluding other components. It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able to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unless defined otherwise. Commonly used terms, such as terms defined in a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y are not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an exampl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claims below,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rang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0)

옹벽 블록 구조체에 있어서,
합성 수지 소재로 제조되는 다면체의 형상을 하되, 내부에는 캐비티(Cavity)가 형성되어 있고, 상면 중심부 일 영역에는 상기 캐비티로 물질을 주입할 수 있는 주입구가 형성되어 있고, 일 측부에는 하나 이상의 연결 아암이 연장 형성되며, 타 측부에는 상기 연결 아암의 형상 및 개수에 대응되는 연결 홈이 오목하게 파인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직선 구간용 옹벽 블록; 및,
합성 수지 소재로 제조되는 다면체의 형상을 하되, 내부에는 캐비티가 형성되어 있고, 상면 중심부 일 영역에는 상기 캐비티로 물질을 주입할 수 있는 주입구가 형성되고, 일 측부에는 하나 이상의 연결 아암이 연장 형성되며, 타 측부에는 상기 연결 아암의 형상 및 개수에 대응되는 연결 홈이 오목하게 파인 형태로 형성되되, 옹벽 블록 바디의 적어도 일 단위 영역에는 벨로우즈(Bellows) 형태의 주름부가 형성되어 곡선 구간에 대한 유연성을 가질 수 있는 곡선 구간용 옹벽 블록;을 포함하되,
상기 곡선 구간용 옹벽 블록의 상기 주름부는,
상기 주입구가 형성된 중심부 일 영역을 기준으로 양 측부에 형성되되,
상기 주름부의 형성 영역은 상기 연결 아암의 형성 영역 및, 상기 연결 홈의 형성 영역과는 구분된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블록 구조체.
In the retaining wall block structure,
It has the shape of a polyhedron made of synthetic resin material, but a cavity is formed inside, an injection port for injecting a material into the cavity is formed in one area of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and one or more connecting arms are formed on one side A retaining wall block for a straight section that extends and has a connecting groove corresponding to the shape and number of the connecting arms on the other side in a concave form; and,
It has the shape of a polyhedron made of synthetic resin material, but a cavity is formed inside, an injection port through which materials can be injected into the cavity is formed in one area of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and one or more connection arms are formed extending from one side. , On the other side, a connection groove corresponding to the shape and number of the connection arms is formed in a concave shape, and a bellows-shaped wrinkle part is formed in at least one unit area of the retaining wall block body to provide flexibility for the curved section A retaining wall block for a curved section that may have; including,
The wrinkles of the retaining wall block for the curved section,
It is formed on both sides based on one area of the center where the inlet is formed,
The retaining wall block structure according to claim 1 , wherein the area where the corrugation is formed is a region separated from the area where the connection arm is formed and the area where the connection groove is formed.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 구간용 옹벽 블록 및 상기 곡선 구간용 옹벽 블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옹벽 블록은,
상기 연결 아암 및 상기 연결 홈이 형성된 양 측부의 중심부 일 영역이 반원기둥 형상을 하는 요홈으로 마련되고,
복수의 옹벽 블록들이 설치면에 대해 수평한 방향으로 연결되어 결합될 시, 상기 반원기둥 형상의 요홈이 원기둥 형상의 요홈을 이룸으로써, 상기 원기둥 형상의 요홈에 보강 부재가 삽설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블록 구조체.
According to claim 1,
The retaining wall block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retaining wall block for the straight section and the retaining wall block for the curved section,
A central region of both side portions in which the connecting arm and the connecting groove are formed is provided with a semi-cylindrical groove,
When a plurality of retaining wall blocks are connected in a direction horizontal to the installation surface and combined, the semi-cylindrical groove forms a cylindrical groove, so that a reinforcing member can be installed in the cylindrical groove. Retaining wall block structure to b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 구간용 옹벽 블록 및 상기 곡선 구간용 옹벽 블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옹벽 블록은,
평탄면으로 구비되는 상면 일 영역에 하나 이상의 돌기부가 형성되고,
하면 일 영역에는 상기 돌기부에 대응되는 돌기 수용부가 형성되어 있어, 복수의 옹벽 블록들이 설치면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연결되어 결합될 시, 상기 돌기부와 상기 돌기 수용부가 상호 체결될 수 있는 구조가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블록 구조체.
According to claim 1,
The retaining wall block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retaining wall block for the straight section and the retaining wall block for the curved section,
One or more protrusions are formed on one region of the upper surface provided as a flat surface,
A protrusion accommodating part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 is formed in one area of the lower surface, so that when a plurality of retaining wall blocks are connect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installation surface and coupled, the protrusion and the protrusion accommodating part can be mutually fastened. Retaining wall block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옹벽 블록 구조체에는,
격자 구조를 갖는 보강재인 지오그리드 부재(Geogrid);가 더 포함되되,
상기 지오그리드 부재는,
상기 설치면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연결되어 결합되는 복수의 옹벽 블록 사이 영역에 끼워지는 영역인 끼움부와, 상기 끼움부에서 연장되어 설치면 인근의 비탈면에 매립되는 매립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블록 구조체.
According to claim 4,
In the retaining wall block structure,
A geogrid member (Geogrid), which is a reinforcing material having a lattice structure; is further included,
The geogrid member,
It is composed of a fitting part, which is an area inserted into the area between a plurality of retaining wall blocks connected and coupl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installation surface, and a buried part extending from the fitting part and buried in a slope near the installation surface. retaining wall block structu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 구간용 옹벽 블록 및 상기 곡선 구간용 옹벽 블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옹벽 블록의 일 측부에서 연장 형성된 상기 연결 아암은,
설치면을 기준으로 하는 수평 단면 상, 연장 끝 단부에서 연장 시작 단부로 향할수록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진 형상을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블록 구조체.
According to claim 1,
The connecting arm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retaining wall block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retaining wall block for the straight section and the retaining wall block for the curved section,
A retaining wall block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tapered shape with a width narrowing from the end of the extension toward the start of the extension on the horizontal cross section based on the installation surfa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 구간용 옹벽 블록 및 상기 곡선 구간용 옹벽 블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옹벽 블록은,
상기 캐비티에 주입되는 물질로 골재를 포함하는 시멘트 페이스트가 주입되는 경우, 상기 시멘트 페이스트가 수화 반응에 의해 콘크리트로 경화됨에 따라, 영구 옹벽으로서 기능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블록 구조체.
According to claim 1,
The retaining wall block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retaining wall block for the straight section and the retaining wall block for the curved section,
Retaining wall block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when cement paste containing aggregate is injected as a material injected into the cavity, as the cement paste is hardened into concrete by a hydration reaction, it can function as a permanent retaining wal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 구간용 옹벽 블록 및 상기 곡선 구간용 옹벽 블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옹벽 블록은,
상기 캐비티에 주입되는 물질로, 물 및 토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물질이 주입될 경우, 상기 캐비티에 상기 물 및 토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물질이 주입된 상태에서는 옹벽으로서 기능하게 하고,
상기 캐비티에 주입된 물질이 제거되면 철거할 수 있게 하여, 일 회 이상 재사용될 수 있는 재활용 옹벽으로서 기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블록 구조체.
According to claim 1,
The retaining wall block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retaining wall block for the straight section and the retaining wall block for the curved section,
As a material injected into the cavity, when at least any one of water and soil is injected, to function as a retaining wall in a state in which at least any one of water and soil is injected into the cavity,
A retaining wall block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removed when the material injected into the cavity is removed, thereby functioning as a recycling retaining wall that can be reused one or more tim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 구간용 옹벽 블록 및 상기 곡선 구간용 옹벽 블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옹벽 블록은,
상기 캐비티에 주입되는 물질로, 폴리우레탄, 폴리스티렌 및 폴리에틸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합성 수지 물질이 용융 상태로 가공되어 주입될 경우, 상기 캐비티에서 상기 용융 상태의 합성 수지 물질을 경화 처리하여, 상기 옹벽 블록을 단열 옹벽으로서 기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블록 구조체.
According to claim 1,
The retaining wall block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retaining wall block for the straight section and the retaining wall block for the curved section,
As a material injected into the cavity, when a synthetic resin material including at least one of polyurethane, polystyrene, and polyethylene is processed and injected in a molten state, the molten synthetic resin material is cured in the cavity, A retaining wall block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retaining wall block functions as an insulated retaining wal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 구간용 옹벽 블록 및 상기 곡선 구간용 옹벽 블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옹벽 블록에는,
옹벽 블록 바디의 상면 일 영역에 형성된 상기 주입구를 폭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배수홈이 더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외부로 노출되는 정면에 대향하는 배면 중심부 일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고리부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블록 구조체.
According to claim 1,
In the retaining wall block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retaining wall block for the straight section and the retaining wall block for the curved section,
A drain groove may be further formed crossing the inlet formed in one reg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retaining wall block body in the width direction,
A retaining wall block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ring part may be provided in a central region of the rear surface facing the front surface exposed to the outside.
KR1020220040896A 2022-04-01 2022-04-01 Structure of retaining wall block KR10247862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0896A KR102478622B1 (en) 2022-04-01 2022-04-01 Structure of retaining wall blo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0896A KR102478622B1 (en) 2022-04-01 2022-04-01 Structure of retaining wall bloc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8622B1 true KR102478622B1 (en) 2022-12-15

Family

ID=84439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0896A KR102478622B1 (en) 2022-04-01 2022-04-01 Structure of retaining wall bloc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8622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3961Y1 (en) * 2001-11-17 2002-02-19 주식회사 삼우공간건축사사무소 Sectional block for retaining wall building
KR20030096211A (en) * 2003-12-04 2003-12-24 주식회사 도화종합기술공사 Plastic void block for riverbank protection and riverbank protecting method using the same
KR20070102775A (en) * 2006-04-17 2007-10-22 정재영 Method of conctruction of retaining wall for reinforced earth using concrete block
KR20150014831A (en) * 2013-07-30 2015-02-09 주식회사 디엔지 Foundation pad for storage tank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2148899B1 (en) * 2019-11-12 2020-10-14 한태훈 Retaining wall structure
KR102246940B1 (en) * 2019-11-22 2021-05-03 (주)다나엠 Safety apparatus for boundary ston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3961Y1 (en) * 2001-11-17 2002-02-19 주식회사 삼우공간건축사사무소 Sectional block for retaining wall building
KR20030096211A (en) * 2003-12-04 2003-12-24 주식회사 도화종합기술공사 Plastic void block for riverbank protection and riverbank protecting method using the same
KR20070102775A (en) * 2006-04-17 2007-10-22 정재영 Method of conctruction of retaining wall for reinforced earth using concrete block
KR20150014831A (en) * 2013-07-30 2015-02-09 주식회사 디엔지 Foundation pad for storage tank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2148899B1 (en) * 2019-11-12 2020-10-14 한태훈 Retaining wall structure
KR102246940B1 (en) * 2019-11-22 2021-05-03 (주)다나엠 Safety apparatus for boundary ston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706216B2 (en) Retaining wall block and retaining wall construction
KR20210119861A (en) Slurry wall, construction method for the same and wire mesh assembly
MX2011008726A (en) Modular block.
KR20220012525A (en) Slurry wall, construction method for the same and wire mesh assembly
KR100936668B1 (en) A composite pile for earth retaining wall and centrifugal force type earth retaining wall using it
KR102193147B1 (en) Precast Concrete Culvert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ame
KR102478622B1 (en) Structure of retaining wall block
KR101397432B1 (en) Panel for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KR200402396Y1 (en) retaining wall block for planting
KR100723646B1 (en) Lattice block for retaining wall
KR100998502B1 (en) Gravity type precast retaining wall for having shear key and steel pile
KR100592346B1 (en) Construction method of a retaining wall with knuckle joint for road
KR200263961Y1 (en) Sectional block for retaining wall building
KR102455507B1 (en) Retaining wall structure for avalanche prevention
KR200398018Y1 (en) Lattice block for retaining wall
KR20070082608A (en)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block
KR101024064B1 (en) The block construction method for inclined cut embankment
KR102623877B1 (en) Protector box structure and method for construction of slurry wall using the same
KR101839576B1 (en) River bank using geo-grid
KR100189603B1 (en) Block for protecting coastal
KR102564283B1 (en) Structure of retaining wall block without geogrid parts
KR200205731Y1 (en) Block for constructing retaining wall and protecting slope
KR102371639B1 (en) Retaining wall block with improved cohesion
KR100480508B1 (en) Waterway
KR200226490Y1 (en) Construct for lin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