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7688B1 - 음식물 분리 수거함 세척 장치 - Google Patents

음식물 분리 수거함 세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7688B1
KR102477688B1 KR1020220108988A KR20220108988A KR102477688B1 KR 102477688 B1 KR102477688 B1 KR 102477688B1 KR 1020220108988 A KR1020220108988 A KR 1020220108988A KR 20220108988 A KR20220108988 A KR 20220108988A KR 102477688 B1 KR102477688 B1 KR 1024776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er
food
collection box
food waste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89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케이티글로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케이티글로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케이티글로벌
Priority to KR10202201719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60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76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76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7/00Cleaning or disinfecting devices combined with refuse receptacles or refuse vehicles
    • B65F7/005Devices, mounted on refuse collecting vehicl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refuse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8Cleaning containers, e.g. tanks
    • B08B9/0821Handling or manipulating containers, e.g. moving or rotating containers in cleaning devices, conveying to or from clean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8Cleaning containers, e.g. tanks
    • B08B9/093Cleaning containers, e.g. tanks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22Tank vehicles
    • B60P3/224Tank vehicles comprising auxiliary devices, e.g. for unloading or level indicating
    • B60P3/2245Adaptations for loading or unloa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3/00Vehicles particularly adapted for collecting refuse
    • B65F3/02Vehicles particularly adapted for collecting refuse with means for discharging refuse receptacles thereinto
    • B65F3/04Linkages, pivoted arms, or pivoted carriers for raising and subsequently tipping receptacles
    • B65F3/041Pivoted arms or pivoted 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3/00Vehicles particularly adapted for collecting refuse
    • B65F3/02Vehicles particularly adapted for collecting refuse with means for discharging refuse receptacles thereinto
    • B65F3/08Platform elevators or hoists with guides or runways for raising or tipping recepta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개시된 세척 장치는. 음식물 수거함이 장착되는 마운팅 핑거와 이를 지지하는 서포팅 암를 가지는 수거함 이송 장착대, 상기 수거함을 일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 장치. 그 선단에 상기 음식물 수거함의 내측 면과 외측 면에 대응하는 것으로 고압 스팀의 압력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형 노즐이 마련되어 있는 다수의 노즐봉을 갖춘 고압 스팀 분사 장치, 그리고 상기 노즐로 고압의 수증기를 공급하는 고압 수증기 발생 장치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음식물 분리 수거함 세척 장치{Washing device for food sorting bin}
본 개시는 음식물 분리 수거함을 세척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음식물 수거함의 내외 부분을 세척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음식물 수거함은 음식점이나 아파트 단지 등에서 많이 사용된다. 음식물 수거함은 버려지는 음식물이 수집하여 이를 재사용하거나 이를 폐기하는 전문 처리 업체로 넘겨진다.
이러한 음식물 수거함은 음식물에 의한 환경오염을 막을 수 있는 매우 중요한 물품이지만, 부패된 음식 잔유물이 음식물 수거함의 내부뿐 아니라 외표면에 존재하기 때문에 기피 물품이다.
음식물 수거함은 대부분 오염된 상태에서 반복 사용되고 있고, 가끔 세척 노즐등을 원시적인 방법에 의해 세척이 수행되고 있는데, 이에 따르면, 세척 시, 수거함에서 배출된 오염된 세척수가 주변을 더럽힐 수 있다. 따라서, 수거함 세척 시 발생되는 오염수를 효과적으로 수거할 수 있는 방법의 모색이 필요하다.
오염된 음식물 수거함은 전용화된 세척 장치에 의해 세척되는데, 이들 세척 장치는 매우 복잡한 구조를 가질 뿐 아니라 제작 비용이 고가이다. 그리고 이들은 고압 세척수를 사용하기 때문에 세척 시 다량의 세척수가 요구되고, 또한, 사용된 세척수에 따른 다량의 세척오염수의 처리가 매우 곤란하다.
KR 10-2006-0113308 A0 KR 10-0820326 B1 KR 10-0896329 B1
본 개시는 음식물 수거함을 간단하게 세척할 수 있는 음식물 수거함 세척 장치를 제안한다.
본 개시는 음식물 수거함을 세척할 때에 발생하는 오염수를 효과적으로 회수할 수 있는 음식물 수거함 세척 장치를 제안한다.
본 개시는 음식물 수거함으로 발생한 오수를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는 음식물 수거함 세척 장치를 제안한다.
본 개시에 따른 음식물 수거함 세척 장치:는
음식물 수거함이 장착되는 수거함 마운팅 핑거(mounting finger)와 이를 지지하는 서포팅 암(supporting arm)를 가지는 수거함 이송 장착대;
상기 수거함을 일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 장치;
상기 이송 장치의 이송 방향에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 설치되며, 그 선단에 상기 음식물 수거함의 내측 면과 외측 면에 대응하는 것으로 고압 스팀의 압력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형 노즐이 마련되어 있는 다수의 노즐봉을 갖춘 고압 스팀 분사 장치; 그리고
상기 노즐로 고압의 수증기를 공급하는 고압 수증기 발생 장치; 를 구비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음식물 수거함의 수평 이송 구간의 하부에는 상기 음식물 수거함으로부터 배출된 오수가 수거되는 오수 저류조가 설치될 수 있다.
본 개시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오수 저류조의 위에 상기 이송 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오수 저류조의 상부에는 상기 수거함의 이송 방향에 직하부에 대응하는 오수 유동 채널이 소정 깊이 형성되고, 상기 채널의 바닥에는 상기 저류조의 내부로 통하는 통수공이 다수 형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이송 장착대는 상기 마운팅 핑게의 양측에 설치되는 2개의 서포팅 암을 포함하고, 상기 서포팅 암에 대응하여 상기 이송 장치는 2개의 이송 블록 및 이송 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본 개시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2개의 이송 장치의 사이에 상기 오수 수거 채널이 배치될 수 있다.
본 개시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이송 블록에는 상기 서포팅 암의 하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브라켓이 마련되고, 상기 브라켓에는 상기 지지대의 회동을 방지하는 록킹부가 마련되어 있다.
본 개시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마운팅 핑거는 상기 음식물 수거함의 상단 양측 가장자리 부분이 끼워지는 채널형 삽입부를 구비할 수 있다.
도1은 본 개시에 따른 음식물 수거함 세척 장치가 차량 설치된 상태를 보인다.
도2는 도1에 도시된 세척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3은 도1에 도시된 세척 장치의 측면도로서 이송 장치에 의한 수거함의 움직임을 보인다.
도4 내지 도6은 본 개시에 따른 음식물 수검 세척 장치의 개략적 사시도로서, 일 실시 예에 따른 수거함 이송 장치에 의한 작동 및 이에 따른 수거함의 자세 변화를 보인다.
도7은 본 개시에 따른 음식물 수거함 세척 장치에서 수거함을 고정하는 회동형 지지암과 이를 지지하는 이송블록의 발췌 사시도이다.
도8은 본 개시에 따른 음식물 수거함 세척 장치에서 수거함을 고정하는 회동형 지지암과 이를 지지하는 이송블록에서 회전 방지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인다.
도9 및 도10은 본 개시에 따른 음식물 수거함 세척 장치에서 이송 장치에 의해 이송되는 음식물 수거함과 이것에 고압 스팀을 분사하는 분사 장치와의 관계를 보이는 개략적 측면도이다.
도11은 분사 장치의 노즐에 의한 음식물 수거함에 대한 고압 스팁의 분사 상태를 예시한다.
도12는 본 개시에 따른 음식물 수거함 세척 장치에서 이송 장치가 설치되는 기반시설로서의 오수 저류조의 개략적 외관 사시도 이다.
도13은 본 개시에 따른 음식물 수거함 세척 장치에서, 고압 스팀 분사 장치의 개략적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모범적 실시 예들에 따른 음식물 수거함의인라인 세척 장치를 설명한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 개념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로 인해 한정 되어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져서는 안 된다. 모범적 본 발명 개념의 실시 예들은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 개념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 되어지는 것으로 해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동일한 부호는 시종 동일한 요소를 의미한다. 나아가, 도면에서의 다양한 요소와 영역은 개략적으로 그려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 개념은 첨부한 도면에 그려진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제한되어지지 않는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 개념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 요소는 제 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반대로 제 2 구성 요소는 제 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 개념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갖는다” 등의 표현은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개수,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개수,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여기에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기술 용어와 과학 용어를 포함하여 본 발명 개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공통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바와 동일한 의미를 지닌다. 또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바와 같은 용어들은 관련되는 기술의 맥락에서 이들이 의미하는 바와 일관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여기에 명시적으로 정의하지 않는 한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될 것임은 이해될 것이다.
첨부 도면에 있어서, 예를 들면, 제조 기술 및/또는 공차에 따라, 도시된 형상의 변형들이 예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에 도시된 영역의 특정 형상에 제한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예를 들면 제조 과정에서 초래되는 형상의 변화를 포함하여야 한다. 여기에 사용되는 모든 용어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 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도1은 모범적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설치형 음식물 수거통 세척 장치를 도식적으로 보이며, 도2는 그 평면도이다.
도1과 도2를 참조하면, 차량(100)의 적재함(101)에 본 발명에 따른 세척 장치(200)가 설치되어 있다.
세척 장치(200)는 적재함(101)의 바닥에 설치되는 오수 저류조(210), 차량(100)의 운전석 뒤편에 세워진 고압 스팀 분사 장치(220), 오수 저류조(210)의 상부에 설치되는 음식물 수거함 이송 장치(230), 그리고 상기 음식물 수거함(1)이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이송 장치(230)에 의해 차량의 적재함(101)에서 일 방향, 본 실시 예에서는 전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는 회동형 수거함 이송 장착대(240)를 구비한다.
고압 스팀 분사 장치(220)는 수평으로 누여진 음식물 수거함(1)의 내부와 외부에 스팀을 분사하는 분사기로서 노즐(222a, 222b)이 장착된 다수의 노즐봉(222), 및 이를 지지하는 것으로 그 내부에 상기 노즐봉(222)으로 스팀을 공급하기 위한 배관 시스템을 가지는 함체(223), 그리고 스팀을 생성하여 공급하는 스팀 발생기(221)를 구비한다. 상기 스팀 발생기(221)는 하나 또는 그 이상 설치될 수 있다.
오수 저류조(210)는 차량(100)의 적재함(101)의 바닥에 설치되는 것으로 그 상면에 T 형으로 오목한 오수 도랑 또는 채널(211))이 형성되어 있고, 그 바닥에 저류조(210)의 내부로 오수를 유입시키는 다수의 통수공(211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오수 저류조(210)의 후단에는 오수를 배출하는 드레인 장치(21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오수 저류조(210) 위에는 음식물 수거함(1)을 이송하는 수거함 이송 장치(230)이 설치된다. 이송 장치(230)는 두 개의 나란한 경로로 왕복 운동하는 이송 블록(231)이 마련되며, 여기에 수거함 이송 장착대(240)가 결합된다.
상기 이송 블록(231)은 이송 장착대(240)의 서포팅 암(242)과 회동 가능하도록 피봇 결합되는 브라켓(235), 여기에는 이송 장착대(240)의 움직임을 저지 및 해제하는 락킹부(236)가 마련된다.
음식물 수거함(1)이 장착되는 회동형 수거함 이송 장착대(240)는 음식물 수거함(1)의 상단부 가장자리를 파지 또는 클램핑하도록 상기 음식물 수거함의 상단 양측 가장자리 부분이 끼워지는 채널형 삽입부, 즉 U 형 마운팅 핑거(241)와 이를 지지하는 서포팅 암(242)를 구비한다.
상기 이송 장착대(240)는 수직 수평 방향으로 회동 가능한데,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상태로 놓인 상태에서 수직 방향으로 세워진 음식물 수거함이 끼워져 결합되고, 이 상태에서 수직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음식물 수거함(1)을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수평 방향으로 누인 상태로 바꾸어 수평방향 왕복 이송이 가능하게 된다(도2 참고).
도3은 도1에 도시된 세척 장치의 측면도로서 이송 장치에 의한 수거함의 움직임을 보인다.
도3을 참조하면, 음식물이 제거된 비어 있는 음식물 수거함(1)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수평 방향으로 누여 있는 수거함 이송 장착대(240)에 장착된다. 이송 장착대(240)에 수거함(1)이 장착된 이 후, 이송 장착대(240)가 수직으로 세워지는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음식물 수거함(1)은 수평 방향으로 누여 지게 된다.
수평방향으로 누여진 음식물 수거함(1)은 이송 장치(230)에 의해 고압 스팀 분사 장치의 노즐봉(222)에 근접하게 되며, 이때에 노즐봉(222)의 노즐(222a, 222b) 로 부터 스팀이 분사되면서 음식물 수거함(1)에 대한 세척이 진행된다.
스팀이 분사되는 수거함 세척은 이송 장치(230)이 작동하는 과정에서 이루어 지며 따라서 음식물 수거함(1)의 내측 면과 외측 면에 대한 고압 스팀이 강하게 부딪히면서 수거함(1)에 부착된 오물을 제거하게 된다. 이때에 본 발명은 세척수가 아닌 고온, 고압의 수증기(스팀)을 사용하며, 따라서 세척 시 발생하는 오수의 발생량을 줄일 수 있다.
누여 있는 수거함(1)에서 씻겨 나온 오수는 오수 저류조(210) 위의 오수 채널(211)을 통해 오수 저류조(210)로 저장되게 되며, 이것은 오수 취합 시설에서 회수된다.
도4, 도5, 도6은 본 개시에 따른 세척 장치에서 이송 장치(230)의 구체적 구조를 보이는 것으로 이송 장치의 작동에 따른 음식물 수거함(1)의 위치 변화를 보이는 세척 장치의 주요부 발췌 사시도이다.
도4는 음식물 수거함(1)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이송 장착대(240)의 마운팅 핑거(241)에 1차 장착된 상태를 보인다.
도5는 이송 장착대(240)가 회전하여 음식물 수거함(1)이 수평으로 누인 상태로서 아직 스팀 분사 장치(220)로 접근하지 않은 상태를 보인다.
도6은 이송 장치(230)가 작동하여 음식물 수거함(1)이 고압 스팀 분사 장치(220)의 노즐봉(222)에 최근접한 상태로서, 세척이 진행되는 위치를 보인다. 도6에 도시된 상태에서, 이송 장치(230)가 소정 거리 왕복 이송 운동함으로써 음식물 수거함(1)이 스팀을 분사하는 노즐봉(222)의 노즐(222a, 222b)가 음식물 수거함(1)의 외측면과 내측면 전체에 고압 고온의 스팀이 충돌하여 오물 세척이 이루어 진다.
도4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이송 장치(230)는, 이송 블록(231)과 이송 블록(231)를 선형 이송을 수행하는 리드 스크류(lead screw, 233)와 리드 스크류(233)를 회전시키는 모터(232)를 구비한다. 리드 스크류(233)는 이송 블록(231)에 대해 나사 결합되어 있고, 따라서 모터(232)가 회전하면 리드 스크류(233)의 회전에 의해 이송 블록(231)은 선형적으로 왕복 이동한다.
도7은 이송 장치(230)에 대한 이송 장착대(240)와 이송 장착대(240)의 결합구조를 보이고, 그리고 도8은 이송 장치(230)의 이송 블록(231)에 마련되는 락킹부(236)의 구체적 구조를 보인다.
도5 내지 도8을 참조하면, 리드 스크류(233)는 수거함 이송 장착대(240)의 이송을 수행하는 것으로 다수 노즐봉(222)과 같은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이송 장치(230)의 이송 블록(231)은 레일(238)을 따라서 선형적인 왕복 이동이 가능하며, 그 일측에는 리드 스크류(233)가 나사 결합되는 이송 너트(239)가 일체적으로 마련된다. 또한, 상기 이송 블록(231) 위에는 상기 서포팅 암(242)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브라켓(235)이 일체적으로 고정 또는 결합된다.
상기 브라켓(235)에는 서포팅 암(242)의 회전을 억압 또는 허용하는 락킹부(236)가 설치된다. 상기 락킹부(236)는 서포팅 암(242)의 회전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사구조의 조임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이를 보조하여 회전 방지핀(237, 도5)이 상기 브라켓(235)에 형성된 핀 삽입홀(235a)에 삽입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회전 방지핀(237)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 장착대(240)가 세워졌을 때,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 장착대(240)의 서포팅 암의 하단에 마련되는 회전방지 돌출턱(242a)의 회동방향에 마주 대하도록 촉되도록 핀 삽입홀(235a)에 끼워져 상기 서포팅 암(242)의 회전을 저지한다.
도9 내지 도11은 음식물 수거함(1)에 대한 세척 과정에서 음식물 수거함(1)과 이에 대응하는 노즐봉(222)의 관계를 보여 준다.
구체적으로, 도9는 음식물 수거함(1)이 고압 스팀 분사 장치(220)로 접근하기전의 초기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는 이송 장착대(240)의 마운팅 핑거(241)에 물려 있는 음식물 수거함(1)이 레일(238)가 나란하게 수평 방향으로 누여 있다. 이송 장착대(240)의 하부측 서포팅 암(242)는 회전 방지핀(237) 및 락킹부(236)에 의해 이송 장치(230)의 브라켓(235)에 회전할 수 없게 고정되어 있다.
도9와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압 스팀 분사 장치(220)의 다수의 노즐봉(222)은 음식물 수거함(1)의 내부와 외부에 각각 대응하게 배치되어 있다. 상기 이송 장착대(240)를 지지하고 있는 이송 장치(230)은 모터(234)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는 리드 스크류(233)로 상기 이송 장착대(240) 전체를 수평방향으로 왕복 이송하여 노즐봉(222)의 노즐(222a, 222b) 가 음식물 수거함의 내측면과 외측면 인접한 상태에서 왔다갔다 하면서 고압 스팀을 분사하게 된다.
도11은 음식물 수거함(1)의 내부와 외부에 배치된 노즐(222a, 222b) 들에 의한 음식물 수거함에 대한 고압 스팀 분사 상태를 예시한다.
음식물 수거함(1) 내부에 배치된 중앙 노즐(222b)은 음식물 수거함(1)의 내벽에 고압스팀을 분사한다. 이때에 중앙 노즐(222b)에는 예를 들어, 4개의 스팀 분사구멍이 형성되어 있어서 음식물 수거함(1)의 4개의 내벽에 스팀을 분사한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중앙 노즐(222b)은 분사되는 스팀에 의한 반력에 의해 회전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는데, 이는 일반적인 회전형 스프링쿨러에서 와 같은 내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위와 같은 과정의 음식물 수거함의 세척에 의해 발생하는 오수는 음식물 수거함(1)의 하부에 위치하는 오수 저류조(210, 도12)의 오수 채널(211)을 통해 그 내부로 유입된다.
도12는 상기 오수 저류조(210)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수 저류조(210)는 사각 함체이며, 차량의 적재함 바닥에 설치될 수 있다.
오수 저류조(210)의 상면에는 T 형의 오수 채널(211)이 형성되어 있고, 오수 채널(211)의 바닥에는 통수공(211a)이 마련되어 있다. 한편, 오수 채널(211)의 양측에는 전술한 이송 장치(230)가 설치되는 이송 장치 설치부(213)을 가진다.
이송 장치 설치부(213)의 하부에는 도4, 5의 설명에서 언급된 모터(234), 리드 스크류(233) 등이 설치되고, 그 위에는 이송 블록(231)이 설치되는 레일(238)이 위치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오수 저류조(210)는 상기 이송 장치(230)과는 분리된 독립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13은 고압 스팀 분사 장치(220)의 개략적 구성을 보인다.
스팀 발생기(221)로 부터의 스팀이 다수의 노즐봉(222)으로 공급된다. 각 노즐봉(222)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노즐(222a, 222b)이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스팀 발생기(221)와 노즐봉(222)의 사이에는 스팀의 공급을 제어하는 스팀 공급 제어 벨브(226)가 마련된다.
위에서 설명된 음식물 수거함 세척 장치는 개략적이고 개념적으로 설명되었다. 실제 작동을 위한 구체적인 구조는 공지의 다양한 기술 및 구조를 응용함으로써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모범적 실시 예들에 대해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 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앞으로의 실시 예들의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Claims (10)

  1. 음식물 수거함이 장착되는 마운팅 핑거와 이를 지지하는 서포팅 암를 가지는 수거함 이송 장착대;
    상기 수거함을 일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 장치;
    상기 이송 장치의 이송 방향에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 설치되며, 그 선단에 상기 음식물 수거함의 내측 면과 외측 면에 대응하는 것으로 고압 스팀의 압력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형 노즐이 마련되어 있는 다수의 노즐봉을 갖춘 고압 스팀 분사 장치; 그리고
    상기 노즐로 고압의 수증기를 공급하는 고압 수증기 발생 장치; 를 구비하는 음식물 수거함 세척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식물 수거함의 수평 이송 구간의 하부에는 상기 음식물 수거함으로부터 배출된 오수가 수거되는 오수 저류조가 설치되어 있는, 음식물 수거함 세척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수 저류조의 위에 상기 이송 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오수 저류조의 상부에는 상기 수거함의 이송 방향에 직하부에 대응하는 오수 유동 채널이 소정 깊이 형성되고, 그리고
    상기 채널의 바닥에는 상기 저류조의 내부로 통하는 통수공이 다수 형성되어 있는, 음식물 수거함 세척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장착대는 상기 마운팅 핑거의 하부 양측에 설치되는 2개의 서포팅 암을 포함하고, 상기 이송 장착대에 대응하여 상기 이송 장치는 2개의 이송 블록 및 이송 장치를 구비하는, 음식물 수거함 세척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장착대는 상기 마운팅 핑거의 하부 양측에 설치되는 2개의 서포팅 암을 포함하고, 상기 이송 장착대에 대응하여 상기 이송 장치는 2개의 이송 블록 및 이송 장치를 구비하는, 음식물 수거함 세척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블록에는 상기 서포팅 암의 하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브라켓이 마련되고, 상기 브라켓에는 상기 서포팅 암의 회동을 방지하는 록킹부; 마련되어 있는, 음식물 수거함 세척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블록에는 상기 서포팅 암의 하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브라켓이 마련되고, 상기 브라켓에는 상기 서포팅 암의 회동을 방지하는 록킹부; 마련되어 있는, 음식물 수거함 세척 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핑거는 상기 음식물 수거함의 상단 양측 가장자리 부분이 끼워지는 채널형 삽입부를 구비하는, 음식물 수거함 세척 장치.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핑거는 상기 음식물 수거함의 상단 양측 가장자리 부분이 끼워지는 채널형 삽입부를 구비하는, 음식물 수거함 세척 장치.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핑거는 상기 음식물 수거함의 상단 양측 가장자리 부분이 끼워지는 채널형 삽입부를 구비하는, 음식물 수거함 세척 장치.
KR1020220108988A 2021-09-14 2022-08-30 음식물 분리 수거함 세척 장치 KR1024776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1965A KR102556048B1 (ko) 2021-09-14 2022-12-09 음식물 분리 수거함 세척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2781 2021-09-14
KR20210122781 2021-09-14
KR1020220040463A KR102477689B1 (ko) 2021-09-14 2022-03-31 음식물 분리 수거함 세척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0463A Division KR102477689B1 (ko) 2021-09-14 2022-03-31 음식물 분리 수거함 세척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71965A Division KR102556048B1 (ko) 2021-09-14 2022-12-09 음식물 분리 수거함 세척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7688B1 true KR102477688B1 (ko) 2022-12-15

Family

ID=84439619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0463A KR102477689B1 (ko) 2021-09-14 2022-03-31 음식물 분리 수거함 세척 장치
KR1020220108988A KR102477688B1 (ko) 2021-09-14 2022-08-30 음식물 분리 수거함 세척 장치
KR1020220171965A KR102556048B1 (ko) 2021-09-14 2022-12-09 음식물 분리 수거함 세척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0463A KR102477689B1 (ko) 2021-09-14 2022-03-31 음식물 분리 수거함 세척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71965A KR102556048B1 (ko) 2021-09-14 2022-12-09 음식물 분리 수거함 세척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247768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2423A (ko) * 2001-06-28 2001-08-30 신승경 이동형 음식물용기 자동세척장치 및 그를 이용한 세척방법
KR20060113308A (ko) 2005-04-28 2006-11-02 황창규 음식물 쓰레기 수거 운반 차량 세척 장치
KR100820326B1 (ko) 2006-12-29 2008-04-08 주원산기 주식회사 차량 장착용 음식물쓰레기수거용기 외부세척장치
KR100896329B1 (ko) 2008-12-26 2009-05-07 유한회사 삼능기계 음식물 쓰레기 수거차량의 음식물 수거통 세척장치 및 그 세척방법
KR101471373B1 (ko) * 2014-06-27 2014-12-10 현대머티리얼 주식회사 음식물 쓰레기 용기 세척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2423A (ko) * 2001-06-28 2001-08-30 신승경 이동형 음식물용기 자동세척장치 및 그를 이용한 세척방법
KR20060113308A (ko) 2005-04-28 2006-11-02 황창규 음식물 쓰레기 수거 운반 차량 세척 장치
KR100820326B1 (ko) 2006-12-29 2008-04-08 주원산기 주식회사 차량 장착용 음식물쓰레기수거용기 외부세척장치
KR100896329B1 (ko) 2008-12-26 2009-05-07 유한회사 삼능기계 음식물 쓰레기 수거차량의 음식물 수거통 세척장치 및 그 세척방법
KR101471373B1 (ko) * 2014-06-27 2014-12-10 현대머티리얼 주식회사 음식물 쓰레기 용기 세척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9590A (ko) 2023-03-21
KR102477689B1 (ko) 2022-12-15
KR102556048B1 (ko) 2023-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38366B2 (en) Automated spray cleaning apparatus for semiconductor wafers
US8381746B2 (en) Shopping cart auto washing system
US7806987B2 (en) Washing device and its work conveying method
US20070199578A1 (en) Cleaning apparatus, cleaning method and product manufacturing method
JP2004516651A (ja) 基板エッジ洗浄装置
US7775220B2 (en) Parts washer
KR20100005996U (ko) 컨테이너 세척장치
KR102477688B1 (ko) 음식물 분리 수거함 세척 장치
KR102038840B1 (ko) 급수수단이 포함된 브러시를 이용한 솔라패널 세척장치
CN109346427A (zh) 清洗装置及半导体晶圆清洗设备
US8978673B2 (en) Megasonic cleaning system
KR101746536B1 (ko) 포터블 열교환기의 열판 세척 장치
CN104818769B (zh) 燃料水池清洗装置
KR200494450Y1 (ko) 대걸레 세척기
JP2010056312A (ja) ダイシング装置及びワーク洗浄乾燥方法
JPH1176955A (ja) 大型部品に対するロボット式洗浄装置
JPH0129054B2 (ko)
JP4173754B2 (ja) 洗浄装置
JP2006102560A (ja) 介護用ベッドの部品の洗浄装置
JPH11277009A (ja) 超音波洗浄機および超音波洗浄システム
KR102641125B1 (ko) 전후방 회동기능이 구비된 분사노즐 회동장치
CN116586391A (zh) 用于清洗用于圈养实验动物的物体的装置、机器和方法
KR101667924B1 (ko) 신발 세척이 용이한 에어 샤워 장치
JPH0637819Y2 (ja) 容器類洗浄機における容器類の押さえ装置
JPH0745956Y2 (ja) キャリア洗浄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