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7333B1 - 고정 지그 장치 - Google Patents

고정 지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7333B1
KR102477333B1 KR1020180055283A KR20180055283A KR102477333B1 KR 102477333 B1 KR102477333 B1 KR 102477333B1 KR 1020180055283 A KR1020180055283 A KR 1020180055283A KR 20180055283 A KR20180055283 A KR 20180055283A KR 102477333 B1 KR102477333 B1 KR 1024773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pressing
jig device
fixing parts
proces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5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0764A (ko
Inventor
김성주
안민형
고상범
김춘수
이은수
전중일
황선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552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7333B1/ko
Publication of KR201901307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07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73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73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1/00Work holder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in the subclass, e.g. magnetic work holders, vacuum work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0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mounting on a work-table, tool-slide, or analogous part
    • B23Q3/06Work-clamping means
    • B23Q3/062Work-clamping means adapted for holding workpieces having a special form or being made from a special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2703/00Work clamping
    • B23Q2703/02Work clamping means
    • B23Q2703/10Devices for clamping workpieces of a particular form or made from a particular material

Abstract

가공 대상물을 고정하는 고정 지그 장치와 관련된 다양한 실시예들이 기술된 바, 한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 지그 장치는, 고정 구조물; 상기 고정 구조물의 중심을 기준으로 분할하여 배치된 복수의 고정부; 상기 고정 구조물의 중심에 배치되고, 가압 장치에 의해 선형이동하여 상기 복수의 고정부를 가압하는 가압부; 및 상기 고정 구조물상에 포함되고, 상기 가압부가 상기 복수의 고정부를 가압할 경우, 상기 복수의 고정부를 탄성에 의해 휘어지게 하는 굽힘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고정부는 굽힘부에 의해 휨이 발생될 경우, 상기 고정 구조물의 내측 방향으로 동시에 이동함에 따라 발생된 가압력으로 상기 가공 대상물을 고정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다양한 다른 실시예들이 가능하다.

Description

고정 지그 장치{FIXING JIG DEVICE}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상의 가공 대상물을 고정하는 고정 지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전 제품, 정보통신 기기, 이통통신 단말기, 스마트 폰 등 다양한 형태의 전자 장치의 사용이 일상화되면서, 전자 장치는 실내 장식이나 사용자 개인의 취향을 드러내는 장신구로도 활용될 수 있다. 예컨대, 스마트 폰과 같은 사용자 개인과 밀접한 기기 일수록 고급스러운 외관을 요구하는 추세이다. 이러한 전자 장치의 외관에 대한 소비자의 요구는 더욱 다양해지고 고급화되고 있다. 전자 장치의 외관(예: 하우징 또는 케이스)은 대체로, 대량 생산이 용이한 합성수지로 제작되어 왔지만, 이러한 소비자 요구에 따라 금속이나 유리, 세라믹 등 다양한 소재가 전자 장치의 하우징 또는 케이스 제작에 활용되고 있다. 예컨대, 제작하고자 하는 제품의 형상, 색상, 심미감 등을 고려하여 합성수지뿐만 아니라 금속, 유리, 세라믹 등 다양한 소재가 선택적으로 또는 조합되어 활용될 수 있다.
금속 소재 또는 금속 소재와 다른 소재(예: 합성 수지 등)의 조합으로 제작되는 제품은 내구성, 내충격성 등을 확보하면서도, 외관의 다양화, 고급화가 용이할 수 있다. 금속 소재를 이용한 제품 제작에 있어서는 단조, 주조, 프레스, 밀링 등의 다양한 공정을 통해 가공 대상물이 제작될 수 있으며, 가공 대상물은 컴퓨터 수치 제어(computerized numerical control; CNC) 선반 등의 가공 장치에 의해 설계된 형상이나 치수에 만족하는 제품으로 가공될 수 있다.
고정 지그에 외관이 불규칙한 형상의 가공 대상물(예; 직선, 곡선 및 원형의 형상의 조합으로 형성된 가공 대상물)을 고정시킬 경우, 이러한 상기 가공 대상물의 형상에 맞는 여러 개의 고정 지그를 사용해야 하고, 여러 개의 고정 지그에 상기 가공 대상물을 여러번 반복적으로 안착시 불안정하게 안착될 수 있다. 가공 대상물을 고정 지그에 불안정하게 안착된 상태에서 가공할 경우, 제품의 완성도를 저하시키거나 불량율이 증가할 수 있다. 이러한 완성도의 저하나 불량율의 증가는, 곡면 형태의 외관을 가진 제품에서 더욱 커질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는 서로 다른 형상의 가공 대상물들을 가공하더라도 각각의 가공 대상물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고정 지그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는 다양한 형상의 가공 대상물을 여러번 반복 이동하지 않더라도 한번의 가압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 지그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는 가압부가 선택적으로 복수의 고정부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고정부들이 동시에 이동하거나 독립적으로 이동하게 하여 다양한 형상의 가공 대상물을 고정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고정 지그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 지그 장치는, 고정 구조물; 상기 고정 구조물의 중심을 기준으로 분할하여 배치된 복수의 고정부; 상기 고정 구조물의 중심에 배치되고, 가압 장치에 의해 선형이동하여 상기 복수의 고정부를 가압하는 가압부; 및 상기 고정 구조물상에 포함되고, 상기 가압부가 상기 복수의 고정부를 가압할 경우, 상기 복수의 고정부를 탄성에 의해 휘어지게 하는 굽힘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고정부는 상기 굽힙부에 의해 휨이 발생될 경우, 상기 고정 구조물의 내측방향(예; 상기 고정 구조물의 중심방향)으로 동시에 이동함에 따라 발생된 가압력으로 가공 대상물을 고정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 지그 장치는, 고정 구조물; 상기 고정 구조물의 중심을 기준으로 분할하여 배치된 복수의 고정부; 및 상기 고정 구조물의 중심에 배치되고, 가압 장치에 의해 선형이동하여 상기 복수의 고정부를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압부; 및 상기 고정 구조물상에 포함되고, 상기 가압부들이 상기 복수의 고정부를 선택적으로 가압할 경우, 선택된 상기 복수의 고정부를 탄성에 의해 휘어지게 하는 굽힘부;를 포함하고, 선택된 상기 복수의 고정부는 상기 굽힘부에 의해 휨이 발생될 경우, 상기 고정 구조물의 내측방향(예; 상기 고정 구조물의 중심방향)으로 동시에 이동하거나 독립적으로 이동함에 따라 발생된 가압력으로 상기 가공 대상물을 고정할 수 있다.
전술한 본 개시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하면, 고정 구조물에 한번의 가압에 의해 다양한 형상의 가공 대상물을 고정하는 복수의 고정부를 구성함으로써, 다양한 형상의 가공 대상물을 여러 번 반복적으로 이동할 필요 없이 한번의 가압으로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고, 이로인해 제품의 고정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가압부가 복수의 고정부를 선택적으로 가압함으로써, 상기 고정부를 고정 구조물의 내측방향(예; 상기 고정 구조물의 중심방향)으로 동시에 이동하거나, 독립적으로 이동함에 따라 발생된 가압력으로 다양한 형상의 가공 대상물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상의 가공 대상물의 고정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고정부가 동시에 또는 가공 대상물의 형상에 따라 일부의 고정부가 선택적으로 가공 대상물을 가압함으로써, 가공 대상물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복수의 고정부가 동시에 가공 대상물을 가압하더라도 가공 대상물의 형상에 따라 각각의 고정부가 제공하는 가압력은 다를 수 있다. 따라서 형상이 각기 다른 다양한 가공 대상물 또는 제품을 가공, 제작하더라도, 하나의 고정 지그 장치만으로 가공 대상물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가공 대상물이 안정적으로 고정됨에 따라, 선반, 밀링등의 가공 공정에서, 가공 대상물은 설계 사양에 부합하는 제품으로 가공될 수 있다. 예컨대, 제품의 완성도나 불량율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고정 지그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고정 지그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고정 지그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로써, 고정 지그 장치의 작동 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고정 지그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확대 측단면도로써, 고정 지그 장치의 작동 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고정 지그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로써, 고정 지그 장치의 작동 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고정 지그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확대 측단면도로써, 고정 지그 장치의 작동 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고정 지그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확대 측단면도로써, 굽힘부를 나타내는 확대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고정 지그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고정 지그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고정 지그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고정 지그 장치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고정 지그 장치의 구성 중 복수의 고정부를 동시에 작동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고정 지그 장치의 구성 중 복수의 고정부를 독립적으로 작동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고정 지그 장치의 구성 중 복수의 고정부를 독립적으로 작동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다.
본 문서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일부 실시 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문서를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문서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전면', '후면', '상면', '하면' 등과 같은 도면에 보이는 것을 기준으로 기술된 상대적인 용어들은 '제1', '제2' 등과 같은 서수들로 대체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서수들에 있어서 그 순서는 언급된 순서나 임의로 정해진 것으로서, 필요에 따라 임의로 변경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문서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문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고정 지그 장치(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고정 지그 장치(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가공 대상물(예; 도 6의 100a)을 고정하는 고정 지그 장치(100)는, 예를 들어, 고정 구조물(110), 복수의 고정부(120), 가압부(130), 굽힘부(140) 및 가압 장치(1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 구조물(110)은 후술하는 복수의 고정부(120)의 이동에 따라 발생된 가압력으로 상기 가공 대상물(100a)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가압 장치(170)의 상단부에 장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고정부(120)는 상기 고정 구조물(110)의 중심(A1)을 기준으로 분할하여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복수의 고정부(120)는 4개의 고정부(120)로 분할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120)가 상기 고정 구조물 (110)의 중심(A1)을 기준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부(120)들은 실질적으로 서로 동일한 형상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고정부(120)는 상기 가공 대상물(예; 도 6의 100a)을 안착시키는 안착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고정부(120)는 후술하는 상기 가압부(130)와 접촉되는 가압접촉부재(1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130)는 상기 가압 장치(170)에 의해 선형이동하여 상기 복수의 고정부(120)의 가압접촉부재(121)에 접촉하여 가압하도록 상기 고정 구조물(110)의 중심(A1)에 배치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도 2와 같이, 상기 가압부(130)는 상기 복수의 고정부(120)의 가압접촉부재(121)와 접촉되는 헤더부(1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헤더부(131)의 하부에는 상기 가압 장치(170)의 실린더(173)에 형성된 삽입홀(173a)에 결합되는 결합 돌기(132)가 포함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가압부(130)의 결합 돌기(132)는 상기 고정 구조물(110)의 중심(A1)에 형성된 관통홀(110a)에 관통 결합되고, 관통된 상기 결합 돌기(132)는 상기 가압 장치(170)의 실린더(173)에 체결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압부(130)의 헤더부(131)는 상기 관통홀(110a)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헤더부(131)는 상기 관통홀(110a)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고, 이 상태에서, 상기 가압부(130)가 선형 이동될 경우, 상기 헤더부(131)가 상기 관통홀(110a)의 주변 둘레에서 고정부(120), 예를 들면, 가압접촉부재(121)를 누를 수 있다. 상기 가압부(130)가 상기 가압접촉부재(121)를 누르면, 상기 복수의 고정부(120)도 함께 눌려지고, 상기 복수의 고정부(120)는 상기 고정 구조물(110)의 내측방향(예; 상기 고정 구조물(110)의 중심(A1)방향)으로 휨이 발생함과 동시에 이동하여 상기 가공 대상물(예; 도 6의 100a)을 가압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굽힘부(140)는 상기 가압부(130)가 상기 복수의 고정부(120)를 가압할 경우, 상기 복수의 고정부(120)를 탄성에 의해 휘어질 수 있도록 지지할 수 있다. 상기 굽힘부(140)는 상기 결합 고정부(170a)에 결합됨과 동시에 고정되고, 상기 복수의 고정부(120)가 휘어질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굽힘부(140)는 상기 가압부(130)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120)의 가압접촉부재(121)를 가압할 경우, 탄성적으로 변형되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120)가 고정 구조물(110)의 중심(A1)을 향하게 또는 고정 구조물의 중심(A1)으로부터 멀어지게 이동하는 것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가압 장치(170)는 공압식 가압 장치, 유압식 가압 장치 또는 전동 모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압 장치는 공압식 가압 장치, 유압식 가압 장치 또는 전동 모터를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상기 가압 장치는 상기 가압부(130)를 선형이동하여 상기 고정부(120)들을 가압시킬 수 있는 장치라면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가압 장치(170)는 상기 굽힘부(140)와 결합되는 결합 고정부(170a)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굽힘부(140)가 상기 가압 장치(170)의 상부에 결합되고, 이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굽힘부(140)는 상기 결합 고정부(170a)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결합 고정부(170a)는 상기 굽힘부(140)와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굽힘부(140)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고정부(120)는 휘어짐과 동시에 X축방향, Y축방향 및 Z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고정 지그 장치(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로써, 고정 지그 장치(100)의 작동 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고정 지그 장치(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확대 측단면도로써, 고정 지그 장치(100)의 작동 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고정 지그 장치(100)는 복수의 고정부(120)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고정부(120)는 고정 구조물(110)의 중심(A1)을 기준으로 4개로 분할하여 배치할 수 있다. 4개로 분할된 고정부(120)의 하부에는 굽힘부(140)를 형성하고, 상기 굽힘부(140)는 상기 가압 장치(170)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굽힘부(140)는 상기 가압 장치(170)의 상부에 구비된 결합 고정부(170a)에 결합되어 상기 가압 장치(170)의 상부에 결합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4개로 분할된 고정부(120)의 중심(A1)에는 관통홀(110a)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관통홀(110a)에 상기 가압부(130)의 결합 돌기(132)를 관통하여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결합 돌기(132)의 일단은 상기 고정부(120)의 가압접촉부재(121)와 접촉되는 헤더부(131)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결합 돌기(132)의 타일단은 상기 가압 장치(170)의 실린더(173)에 형성된 삽입홀(173a)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결합 돌기(132)의 타일단이 상기 관통홀(110a)을 관통하여 결합함과 동시에 상기 실린더의 삽입홀(173a)에 삽입되어 나사 체결될 수 있다.
도 4와 같이, 상기 고정 지그 장치(100)가 작동하기 전 상태에서 상기 헤더부(131)는 상기 관통홀(110a)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돌출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고정 지그 장치(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로써, 고정 지그 장치(100)의 작동 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a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고정 지그 장치(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확대 측단면도로써, 고정 지그 장치(100)의 작동 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b는 굽힘부를 나타내는 확대 도면이다.
도 5 및 도 6a을 참조하면, 상기 고정부(120)들에 둘러싸인 영역 또는 공간에 가공할 가공 대상물(100a)이 안착 또는 고정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고정부(120)들에 형성된 안착부(150)내에 상기 가공 대상물(100a)을 안착시킬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가압부(130)는 상기 가압 장치(170)에 의해 선형이동하여 상기 4개로 분할된 고정부(120)들을 가압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130)는 상기 가압 장치(170)에 의해 상측에서 하측으로 선형이동하고, 이때, 상기 가압부(130)는 상기 고정부(120)들의 가압접촉부재(121)와 접촉됨과 동시에 가압하여 누를 수 있다. 눌러진 상기 고정부(120)들은 상기 고정 구조물(110)의 내측방향으로 동시에 이동함에 따라 휨이 발생될 수 있고, 이때, 상기 고정부(120)들은 휨이 발생됨과 동시에 가압력도 발생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120)들은 이렇게 발생된 가압력으로 상기 가공 대상물(100a)을 고정시킬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고정부(120)들은 휘어지면서 상기 고정 구조물(110)의 중심(A1)방향으로 모아질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가압부(130)에 의해 가압되면서 고정부들이 상기 고정 구조물(110)의 내측 방향으로 모아지면서 상기 가공 대상물(100a)을 가압하며, 상기 굽힘부(140)는 상기 고정부(120)들이 휘어지거나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와 같이, 상기 굽힘부(140)에는 상기 굽힘부(140)를 굽어지게 함과 동시에 탄성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굽힘홀(140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굽힘홀(140a)은 상기 굽힙부(140)를 잘 굽어지게 하여 상기 고정부(120)들을 잘 휘어질 수 있도록 지지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굽힘홀(140a)은 상기 굽힘부(140)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굽힙부가 잘 굽어지도록 원통형상의 굽힘 공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굽힙부(140)에 적어도 하나의 굽힘홀(140a)이 형성되어 있지 않으며, 상기 굽힘부(140)가 굽어질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상기 고정부(120)들의 휨발생을 지지할 수 없다. 따라서, 상기 굽힙부(140)의 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굽힘홀(140a)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굽힘홀(140a)이 상기 굽힘부(140)를 잘 굽어지게 함과 동시에 탄성력을 발생시킬 수 있고, 이로인해 상기 고정부(120)들의 휨 발생을 지지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앞서 도 2와 같이, 상기 가압 장치(170)는 공압 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공압 실린더는 실린더 배럴(171)과, 상기 실린더 배럴(171)의 내부 챔버를 구획하고 있는 피스톤(172)과, 상기 피스톤(172)과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실린더(173)와, 상기 실린더 배럴(171)의 내부로 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공기 주입부(174) 및 상기 실린더 배럴(171)의 내부로부터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공기 배출부(175)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공기 주입부(174)에 공기를 주입할 경우, 상기 피스톤(172)에 의해 구획되어 있던 제 1 챔버(171a)에 공기가 주입됨과 동시에 공기압이 상승하고, 이때, 상기 피스톤(172)은 하측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실린더(173)도 함께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챔버(171b)의 내부에 있던 공기는 상기 공기 배출부(175)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실린더(173)가 하측으로 이동될 경우, 상기 실린더(173)와 고정된 상기 가압부(130)도 함께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피스톤(172)이 상기 챔버내에서 하측으로 이동되면, 상기 실린더(173)도 함께 하측으로 이동하고, 상기 실린더(173)는 상기 가압부(130)를 하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가압부(130)가 하측으로 이동될 경우, 상기 가압부(130)의 헤더부(131)가 상기 고정부(120)들의 가압접촉부재(121)를 접촉됨과 동시에 눌러 상기 고정부(120)들을 이동시키고, 이때, 상기 굽힘부(140)는 상기 4개의 고정부(120)들이 휘어질 수 있도록 지지하며, 상기 고정부(120)들은 상기 굽힘부(140)에 의해 상기 고정 구조물(110)의 중심(A1)방향으로 모아질 수 있다. 상기 4개의 고정부(120)들은 상기 고정 구조물(110)의 내측방향으로 동시에 이동함에 따라 가압력을 발생시킬 수 있고, 상기 고정부(120)들는 발생된 가압력으로 다양한 형상의 가공 대상물(100a)을 가압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4개의 고정부(120)들은 상기 고정 구조물(110)의 중심(A1)으로 모아짐과 동시에 X축방향, Y축방향 및 Z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4개의 고정부(120)들은 상기 고정 구조물(110)의 중심(A1)으로 모아지면서 발생된 가압력으로 상기 가공 대상물(100a)을 가압할 수 있다. 상기 4개의 고정부(120)들의 사이에는 상기 고정부(120)들을 이동가능하도록 공간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분절부(160)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상기 4개의 고정부(120)들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분절부(160)의 공간내로 이동하면서 모아질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분절부(160)는 상기 고정부(120)들이 서로 근접하게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공간 또는 간격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4개의 고정부(120)들은 상기 가압부(130)의 한번의 가압에 따라 상기 고정 구조물(110)의 내측방향(예; 상기 고정 구조물(110)의 중심(A1)방향)으로 한번에 동시에 이동함에 따라 발생된 가압력으로 상기 가공 대상물(100a)을 가압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다양한 형상의 가공 대상물(100a)은 상기 고정부들 사이에 안정적으로 고정됨에 따라, 선반, 밀링등의 가공 공정에서, 가공 대상물은 설계 사양에 부합하는 제품으로 가공될 수 있다. 예컨대, 제품의 완성도나 불량율을 개선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가공 대상물(100a)이 가공이 완료되면, 상기 4개의 고정부(120)들의 가압을 해제하기 위해서 반대로 상기 공기 배출부(175)에 공기를 주입하면, 상기 공기 배출부(175)는 상기 제 2 챔버(171b)내로 공기를 주입함과 동시에 공기압을 상승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피스톤(172)은 상기 4개의 고정부(120)쪽으로 상승하여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 1 챔버(171a)내의 공기는 상기 공기 주입부(17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피스톤(172)이 상기 공기압에 의해 상승하면, 상기 피스톤(172)은 상기 실린더(173)를 상승시킬 수 있고, 상기 실린더(173)는 상기 가압부(130)를 상승시킴과 동시에 상기 가압부(130)의 헤더부(131)도 함께 상승시킬 수 있다. 상기 헤더부(131)가 상승되면, 상기 헤더부(131)가 누르고 있던 상기 고정부(120)들의 가압접촉부재(121)로부터 이탈되고, 상기 굽힘부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4개 고정부(120)들는 상기 고정 구조물(110)의 외측방향으로 한번에 동시에 펼지면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4개의 고정부(120)들은 상기 가공 대상물(100a)을 가압하고 있던 상기 가압력이 해제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120)들의 가압력이 해제되면, 상기 4개의 고정부(120)들은 상기 고정 구조물(110)의 외측방향으로 펼쳐짐과 동시에 원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4개의 고정부(120)들은 상기 굽힘부(140)의 탄성에 의해 원위치될 수 있고, 이때, 상기 4개의 고정부(120)들의 사이가 벌어짐과 동시에 다시 적어도 하나의 분절부(160)가 형성하는 공간이 커질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4개의 고정부(120)들로부터 완성된 제품을 분리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고정 지그 장치(200)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가공 대상물(예; 도 6의 100a)을 고정하는 고정 지그 장치(200)는 고정 구조물(210), 복수의 고정부(220), 가압부(230) 및 굽힘부(240)를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상기 8개 고정부(220)는 상기 고정 구조물(210)의 중심(A1)의 주위에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으며, 인접하는 두 고정부 사이에는 일정 정도의 간격(예: 분절부 (260))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고정부(220)들은 상 고정 구조물(210)의 중심을 기준으로 8개로 분할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230) 및 상기 굽힘부(240)는 위에서 설명된 가압부(예; 도 2의 130) 및 굽힘부(예; 도 2의 140)와 적어도 일부의 구성이 유사하거나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압부(230) 및 상기 굽힘부(240)는 위에서 전술한 실시예를 통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8개의 고정부(220)는 상기 가압부(230)에 의해 휨이 발생될 경우, 상기 고정 구조물(210)의 내측방향(예; 상기 고정 구조물(210)의 중심(A1)방향)으로 한번에 동시에 이동함으로써, 상기 다양한 형상의 가공 대상물(예; 도 6의 100a)을 고정시킬 수 있다.
한 실시예 따르면, 상기 8개의 고정부(220)는 상기 가압부(230)에 의해 동시에 이동하여 상기 가공 대상물(예; 도 6의 100a)을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가공 대상물(예; 도 6의 100a)의 다양한 형상도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가공 대상물(예; 도 6의 100a)의 형상이 원형이 아닌 타원형이나 곡선이 많을 경우, 상기 8개의 고정부(220)가 상기 가공 대상물(예; 도 6의 100a)의 외관 형상에 맞추어 이동하여 동시에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고정부(220)는 휘어짐과 동시에 X축방향, Y축방향 및 Z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8개의 고정부(220)가 한번에 동시에 이동하여 다양한 형상의 가공 대상물(예; 도 6의 100a)을 고정함으로써, 다양한 형상의 가공 대상물(예; 도 6의 100a)의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질적으로 수평 이동에 의해 가공 대상물을 고정할 수 있으므로 가공 대상물의 형상이나 크기가 달라지더라도 안정된 고정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가공 대상물의 형상이나 크기에 상응하는 다른 고정부로 교체하지 않더라도 상기 고정부가 가공 대상물의 형상이나 크기에 상응하게 수평 이동하여 제품을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음은 물론 제품의 제작비용도 절감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고정 지그 장치(300)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가공 대상물(예; 도 6의 100a)을 고정하는 고정 지그 장치(300)는 고정 구조물(310), 복수의 고정부(320), 가압부(330) 및 댐퍼(380)를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상기 댐퍼(380)는 상기 복수의 고정부(320)들의 사이에 선택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가공 대상물(예; 도 6의 100a)의 형상에 따라 상기 고정부(320)들의 가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330) 및 상기 굽힘부(340)는 위에서 설명된 가압부(예; 도 1의 130) 및 굽힘부(예; 도 1의 140)와 적어도 일부의 구성이 유사하거나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압부(330) 및 상기 굽힘부(340)는 위에서 전술한 실시예를 통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앞서 도 8과 같이, 상기 복수의 고정부(320)는 상기 고정 구조물(310)의 중심(A1)을 기준으로 분할하여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복수의 고정부(320)는 상기 고정 구조물(210)의 중심(A1)의 주위에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이중에서 2개의 고정부(320)의 사이에는 상기 댐퍼(380)가 배치될 수 있고, 나머지 상기 2개의 고정부(320)의 사이에는 댐퍼(380)를 배치하지 않는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댐퍼(380)는 댐퍼 본체(381), 결합홀(382) 및 적어도 하나의 끼움홀(383)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댐퍼 본체(381)는 후술하는 결합홀(382) 및 적어도 하나의 끼움홀(383)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결합홀(382)은 상기 댐퍼 본체(381)의 중심(A1)에 형성되고, 상기 가압부(330)의 헤더부에 관통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결합홀(382)은 상기 가압부(330)의 헤더부와 관통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가압부(330)의 선형이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끼움홀(383)은 선택된 2개의 상기 고정부(320)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돌기(300a)에 끼워 결합되도록 상기 결합홀(382)의 둘레에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댐퍼(380)는 금속 재질, 합성수지재질 또는 고무 재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댐퍼(380)는 금속 재질, 합성수지재질 또는 고무 재질 중이외에 다른 재질도 적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댐퍼(380)의 중심(A1)에 형성된 결합홀(382)은 상기 고정부(320)들의 중심(A1)에 돌출된 가압부(330)의 헤더부에 관통 결합하고, 이와 동시에 상기 댐퍼(380)의 적어도 하나의 끼움홀(383)은 선택된 2개의 상기 고정부(320)들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돌기(300a)에 끼워 결합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320)들에 가공 대상물(예; 도 6의 100a)을 삽입하여 올려 놓고, 상기 가압부(330)가 선형 이동하면, 상기 고정부(320)들을 가압하여 상기 고정부(320)들의 중심(A1)으로 모아지게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부(320)들은 상기 고정 구조물(310)의 내측방향(예; 상기 고정 구조물(310)의 중심(A1)방향)으로 한번에 동시에 이동하여 상기 가공 대상물(예; 도 6의 100a)의 외측을 가압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부(320)들은 상기 가압부(330)의 가압에 의해 상기 가공 대상물(예; 도 6의 100a)을 가압할 경우, 상기 가공 대상물(예; 도 6의 100a)의 형상에 상관없이 동일하게 가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부들은 실질적으로 동시에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모아지면서 가공 대상물을 가압할 수 있다. 안착된 가공 대상물의 외형이 부분적으로 돌출되거나 오목한 부분이 있다면, 고정부들 중 일부가 가공 대상물에 가하는 가압력은 다른 일부가 가하는 힘과 다를 수 있다. 예컨대, 가압부에 의해 고정부들에 가해지는 동일하지만 고정부들이 가공 대상물에 가하는 힘이 부분적으로 달라질 수 있다. 가공 대상물에 가해지는 가압력이 부분적으로 달라진다면 가공 공정에서 가공 대상물의 고정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어려울 수 있다.
상기 댐퍼(380)는 이러한 가공 대상물(예; 도 6의 100a)의 형상을 고려하여 상기 고정부(320)들의 내측에 선택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가공 대상물(예; 도 6의 100a)의 형상에 따라 상기 댐퍼가 적절한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고정부(320)들이 가공 대상물을 고정하는 가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320)들에 상기 가공 대상물(예; 도 6의 100a)을 결합할 경우, 상기 가공 대상물(예; 도 6의 100a)의 외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는 부분은 상기 댐퍼(380)가 배치된 상기 고정부(320)들의 사이에 결합하고, 상기 가공 대상물(예; 도 6의 100a)의 내측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부분은 상기 댐퍼(380)가 없는 상기 고정부(320)들의 사이에 결합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320)들을 가압할 경우, 상기 상기 댐퍼(380)가 배치된 고정부(320)들은 상기 댐퍼(380)와 접촉되어 상기 고정부(320)들의 이동을 제한하여 상기 가공 대상물(예; 도 6의 100a)의 외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는 부분에 가압력을 작게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댐퍼(380)가 없는 고정부(320)들은 상기 고정부(320)들의 이동을 제한하지 않으므로, 상기 가공 대상물(예; 도 6의 100a)의 내측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부분에 가압력을 크게 전달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고정부(320)들은 상기 가공 대상물(예; 도 6의 100a)의 외측 형상에 따라 가압력이 작게 필요한 곳에 댐퍼(380)를 배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고정부(320)들은 상기 댐퍼(380)에 의해 상기 가공 대상물(예; 도 6의 100a)의 외측 형상에 따라 가압력을 조절함으로써, 다양항 형상의 상기 가공 대상물(예; 도 6의 100a)이 상기 고정부(320)들로부터 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로인해, 제품을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음은 물론 제품의 고정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고정 지그 장치(400)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다
도 9를 참조하면, 가공 대상물(100a)을 고정하는 고정 지그 장치(400)는 고정 구조물(410), 복수의 고정부(420), 가압부(430) 및 굽힘부(440)를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상기 복수의 고정부(420)는 상기 가공 대상물(예; 도 6의 100a)과 접촉되는 접촉 부재(49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430) 및 상기 굽힘부(440)는 위에서 설명된 가압부(예; 도 2의 130) 및 굽힘부(예; 도 2의 140)와 적어도 일부의 구성이 유사하거나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압부(430) 및 상기 굽힘부(440)는 위에서 전술한 실시예를 통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접촉 부재(490)는 접촉 부분(491) 또는 비접촉 부분(492)으로 구분될 수 있고, 상기 접촉 부분(491) 또는 상기 비접촉 부분(492)은 선택적으로 서로 다른 재질 또는 동일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접촉 부분(491)은 금속 재질, 합성수지재질 또는 고무 재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마찬가지로 상기 비접촉 부분(492)도 금속 재질, 합성수지재질 또는 고무 재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접촉 부분(491)은 고무 재질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비접촉 부분(492)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반대로, 상기 접촉 부분(491)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비접촉 부분(492)은 고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접촉 부분(491)은 고무 재질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비접촉 부분(492)도 고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접촉 부분(491)은 고무 재질로 이루어지고, 비접촉 부분(492)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420)들에 가공 대상물(100a)을 삽입하여 올려 놓고, 상기 가압부(430)가 선형 이동하면, 상기 고정부(420)들을 가압하여 상기 고정 구조물(410)의 중심(A1)으로 모아지게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부(420)들은 상기 고정 구조물(410)의 내측방향으로 한번에 동시에 이동하여 상기 가공 대상물(100a)의 외측을 가압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고정부(420)들은 상기 가압부(430)의 가압에 의해 상기 가공 대상물(예; 도 6의 100a)을 가압할 경우, 고무 재질의 접촉 부분(491)이 상기 가공 대상물(예; 도 6의 100a)의 외측과 접촉되고, 이때, 상기 고무 재질의 접촉 부분(491)은 고무 재질의 쿠션으로 인해 상기 가공 대상물(100a)의 외측을 고정시킬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가공 대상물의 외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는 부분은 상기 고정부(420)들의 가압시 상기 고무 재질의 접촉 부분(491)이 탄성에 의해 많이 눌려지고, 상기 가공 대상물(100a)의 내측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부분은 상기 고무 재질의 접촉 부분(491)이 탄성에 의해 작게 눌려지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공 대상물(100a)에 전달되는 상기 고정부(420)들의 가압력이 균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접촉 부재(490)는 접촉 부분(491) 또는 비접촉 부분(492)으로 구분되고, 상기 접촉 부분(491) 또는 비접촉 부분(492)은 선택에 따라 서로 다른 재질 또는 동일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접촉 부분(491) 또는 비접촉 부분(492)은 이종 소재의 재질의 특성을 이용하여 다양한 형상의 가공 대상물(100a)에 상기 고정부(420)들의 가압력을 균일하게 제공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상기 다양한 형상의 가공 대상물(100a)의 고정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고정 지그 장치(500)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가공 대상물(100a)을 고정하는 고정 지그 장치(500)는, 예를 들어, 고정 구조물(510), 복수의 고정부(520), 가압부(530), 굽힘부(540) 및 가압 장치(예; 도 2의 1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고정부(520) 및 상기 굽힘부(540)는 위에서 설명된 복수의 고정부(예; 도 2의 120) 및 굽힘부(예; 도 2의 140)와 적어도 일부의 구성이 유사하거나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복수의 고정부(520) 및 상기 굽힘부(540)는 위에서 전술한 실시예를 통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압부(530)는 상기 가압 장치(예; 도 2의 170)에 의해 선형이동하여 상기 복수의 고정부(520)의 가압접촉부재(521)에 접촉하여 가압하도록 상기 고정 구조물(510)의 중심(A1)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530)는 복수의 고정부(520)를 선택적으로 동시에 가압하거나 독립적으로 가압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압부(530)의 일단에는 상기 복수의 고정부(520)의 가압접촉부재(521)에 안착되어 걸리게 하도록 걸이부(53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이부(531)의 하부에는 상기 가압접촉부재(521)의 일면과 대면되어 상기 걸이부(531)을 지지하도록 지지 부재(532)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선택된 상기 복수의 고정부(520)는 상기 가압부(530)의 가압에 의해 휨이 발생될 경우, 상기 고정 구조물(510)의 내측방향(예; 상기 고정 고조물의 중심(A1)방향)으로 동시에 이동하거나 독립적으로 이동하면서 가압력을 발생시켜 상기 가공 대상물(100a)을 동시에 고정시키거나 독립적으로 각각 고정시킬 수 있다. 이로인해 제품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상의 가공 대상물(100a)의 고정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고정 지그 장치(500)의 구성 중 복수의 고정부(520)를 동시에 작동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고정 지그 장치(500)는 복수의 고정부(520)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고정부(520)는 고정 구조물(510)의 중심(A1)을 기준으로 분할하여 배치할 수 있다. 복수의 고정부(520)는 상기 고정 구조물(510)의 중심(A1)의 주위에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520)들의 하부에는 굽힘부(540)를 형성하고, 상기 굽힘부(540)는 상기 가압 장치(예; 도 2의 170)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굽힘부(540)는 상기 가압 장치(예; 도 2의 170)의 상부에 구비된 결합 고정부(570a)들에 결합되어 상기 가압 장치(예; 도 2의 170)의 상부에 결합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부(520)들의 중심(A1)에는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관통홀에 상기 가압부(530)를 관통하여 결합시킬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가압부(530)가 상기 고정부(520)의 가압접촉부재(521)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530)의 걸이부(531)는 상기 복수의 고정부(520)의 가압접촉부재(521)에 안착됨과 동시에 걸릴 수 있다. 상기 걸이부(531)의 하부에 형성된 지지 부재(532)는 상기 가압접촉부재(521)의 일면과 대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각의 상기 고정부(520)의 가압접촉부재(521)에 상기 가압부(530)의 걸이부(53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압부는 상기 가압부의 길이방향으로 절단된 측단면을 볼 때, " ㄱ "자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고정 지그 장치(500)는 상기 고정부(520)들에 가공 대상물(100a)이 놓여질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고정부(520)들에 형성된 안착부(550)내에 상기 가공 대상물(예; 도 2의 100a)을 안착시킬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가압부(530)의 걸이부(531)는 상기 가압 장치(예; 도 2의 170)에 의해 선형이동하여 상기 고정부(520)들의 가압접촉부재(521)들을 동시에 가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걸이부(531)는 상기 가압 장치(예; 도 2의 170)에 의해 상측에서 하측으로 선형이동하고, 이때, 상기 걸이부(531)는 상기 고정부(520)들의 가압접촉부재(521)와 접촉됨과 동시에 가압하여 누룰 수 있다. 눌러지는 상기 고정부(520)들은 상기 고정 구조물(510)의 내측방향으로 동시에 이동함과 동시에 휨이 발생될 수 있고, 이때, 상기 고정부(520)들은 휨이 발생됨과 동시에 가압력도 발생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520)들은 이렇게 발생된 가압력으로 상기 가공 대상물(100a)을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고정부(520)는 상기 굽힘부에 의해 휘어짐과 동시에 X축방향, Y축방향 및 Z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압 장치(예; 도 2의 170)는 위에서 설명된 공압식 가압 장치(예; 도 2의 170)와 적어도 일부의 구성이 유사하거나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압 장치(예; 도 2의 170)의 구성은 위에서 전술한 실시예를 통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상기 고정부(520)들은 상기 가공 대상물(예; 도 2의 100a)을 상기 가압부(530)의 가압에 따라 상기 고정 구조물(510)의 내측방향(예; 상기 고정 구조물(510)의 중심(A1))으로 한번에 동시에 이동함에 따라 발생된 가압력으로 가압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이렇게 고정된 상기 가공 대상물(예; 도 2의 100a)은 안정적으로 가공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고정 지그 장치(500)의 구성 중 복수의 고정부(520)를 독립적으로 작동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고정 지그 장치(500)의 구성 중 복수의 고정부(520)를 독립적으로 작동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고정부(520)들의 가압접촉부재(521)에 상기 가압부(530)의 걸이부(531)를 결합시킬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걸이부(531)는 상기 가압접촉부재(521)의 일단에 걸려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걸이부(531)의 하부에는 상기 가압접촉부재(521)의 일면과 대면되는 지지부재(532)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걸이부(531)가 상기 가압접촉부재(521)의 일단에 걸려 고정됨과 동시에 상기 지지 부재(532)는 상기 걸이부(531)을 지지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고정 지그 장치(500)는 상기 고정부(520)들에 가공할 가공 대상물(100a)을 올려 놓는다. 예컨대, 상기 고정부(520)들에 형성된 안착부(550)내에 상기 가공 대상물(100a)을 안착시킬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가압부(530)는 상기 가압 장치(예; 도 2의 170)에 의해 선형이동하여 선택된 상기 고정부(520)들의 가압접촉부재(521)들 독립적으로 가압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고정부(520)의 가압접촉부재(521)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독립적으로 선형이동시킬 수 있다. 선택된 상기 가압부(530)는 상기 가압 장치(예; 도 2의 170)에 의해 상측에서 하측으로 선형이동하고, 이때, 선택된 상기 가압부(530)는 상기 고정부(520)의 가압접촉부재(521)와 접촉됨과 동시에 가압하여 누를 수 있다. 눌러지는 상기 고정부(520)는 상기 고정 구조물(510)의 내측방향으로 독립적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휨이 발생될 수 있고, 이때, 상기 고정부(520)는 상기 굽힘부에 의해 휨이 발생됨과 동시에 가압력도 발생될 수 있다. 선택된 상기 고정부(520)는 이렇게 발생된 가압력으로 상기 가공 대상물(100a)을 고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선택된 상기 고정부(520)는 상기 가압부(530)의 가압에 따라 상기 고정 구조물(510) 내측방향으로 독립적으로 이동하면서 가압력을 발생시켜 상기 다양한 형상의 가공 대상물(100a)을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압부(530)는 상기 가공 대상물(100a)의 다양한 형상에 따라 선택적으로 고정부(520)를 이동시켜 상기 가공 대상물(100a)을 독립적으로 가압함으로써, 다양한 형상의 가공 대상물(예; 도 2의 100a)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가공 대상물(예; 도 2의 100a)을 고정하는 고정 지그 장치(100)는, 고정 구조물(예; 도 2의 110); 상기 고정 구조물의 중심을 기준으로 분할하여 배치된 복수의 고정부(예; 도 2의 120); 상기 고정 구조물의 중심에 배치되고, 가압 장치에 의해 선형이동하여 상기 복수의 고정부를 가압하는 가압부(예; 도 2의 130); 및 상기 고정 구조물상에 포함되고, 상기 가압부가 상기 복수의 고정부를 가압할 경우, 상기 복수의 고정부를 탄성에 의해 휘어지게 하는 굽힘부(예; 도 2의 140);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고정부는 상기 굽힘부에 의해 휨이 발생될 경우, 상기 고정 구조물의 내측방향으로 동시에 이동함에 따라 발생된 가압력으로 상기 가공 대상물을 고정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고정부는 상기 가공 대상물을 안착시키는 안착부(예; 도 2의 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고정부의 사이는 상기 고정부들을 이동가능하도록 공간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분절부(예; 도 2의 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고정부는 상기 가압부와 접촉되는 가압접촉부재(예; 도 2의 121)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압부는, 상기 복수의 고정부의 가압접촉부재와 접촉되는 헤더부를 포함하고, 상기 헤더부의 하부에는 상기 가압 장치의 실린더에 형성된 삽입홈에 결합되는 결합 돌기가 포함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압 장치는 상기 굽힘부와 결합되는 결합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압 장치는 공압식 가압 장치, 유압식 가압 장치 또는 전동 모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고정부는 4개로 분할되거나 8개로 분할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부들 중 상기 가압부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는 두 고정부 사이에 배치된 댐퍼를 더 포함하고, 상기 댐퍼는 상기 가압부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는 상기 두 고정부 사이의 이동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댐퍼는, 댐퍼 본체; 상기 댐퍼 본체의 중심에 형성되고, 상기 가압부의 헤더부와 관통하게 결합되는 결합홀; 및 상기 결합홀과 이격되어 상기 댐퍼를 관통하게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끼움홀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끼움홀은 상기 복수의 고정부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돌기에 끼워 결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댐퍼는 금속 재질, 합성수지재질 또는 고무 재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고정부는 상기 가공 대상물과 접촉되는 접촉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접촉 부재는 접촉 부분 또는 비접촉 부분으로 구분되고, 상기 접촉 부분 또는 상기 비접촉 부분은 선택적으로 서로 다른 재질 또는 동일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접촉 부분 또는 상기 비접촉 부분은 금속 재질, 합성수지재질 또는 고무 재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굽힘부에는 상기 굽힘부를 굽어지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굽힘홀이 형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가공 대상물을 고정하는 고정 지그 장치에 있어서, 고정 구조물; 상기 고정 구조물의 중심을 기준으로 분할하여 배치된 복수의 고정부; 상기 고정 구조물의 중심에 배치되고, 가압 장치에 의해 선형이동하여 상기 복수의 고정부를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압부; 및 상기 고정 구조물상에 포함되고, 상기 가압부들이 상기 복수의 고정부를 선택적으로 가압할 경우, 선택된 상기 복수의 고정부를 탄성에 의해 휘어지게 하는 굽힘부;를 포함하고, 선택된 상기 복수의 고정부는 상기 굽힘부에 의해 휨이 발생될 경우, 상기 고정 구조물의 내측방향으로 동시에 이동하거나 독립적으로 이동함에 따라 발생된 가압력으로 상기 가공 대상물을 고정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고정부는 상기 가공 대상물을 안착시키는 안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부들 중 인접하는 두 고정부 사이에 형성된 분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압부의 일단에는 상기 복수의 고정부의 가압접촉부재에 안착되어 걸리게 하는 걸이부가 형성되고, 상기 걸이부의 하부에는 상기 가압접촉부재의 일면과 대면되어 상기 걸이부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압부는 상기 가압부의 길이방향으로 절단된 측단면을 볼 때, " ㄱ " 자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의 고정 지그 장치는 전술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개시의 기술적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고정 지그 장치: 100, 200, 300, 400, 500
고정 구조물 : 110, 120, 310, 410, 510
고정부 : 120, 220, 320, 420, 520
가압부 : 130, 230, 330, 430, 530
굽힘부 : 140, 240, 340, 440, 540
안착부 : 150, 250, 350, 550
분절부 : 160, 260, 360, 460, 560

Claims (20)

  1. 가공 대상물을 고정하는 고정 지그 장치에 있어서,
    고정 구조물;
    상기 고정 구조물의 중심을 기준으로 분할하여 배치된 복수의 고정부;
    상기 고정 구조물의 중심에 배치되고, 가압 장치에 의해 선형이동하여 상기 복수의 고정부를 가압하는 가압부;
    상기 고정 구조물 상에 포함되고, 상기 가압부가 상기 복수의 고정부를 가압할 경우, 상기 복수의 고정부를 탄성에 의해 휘어지게 하는 굽힘부; 및
    상기 고정부들 중 상기 가압부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는 두 고정부 사이에 배치된 댐퍼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고정부는, 상기 굽힘부에 의해 휨이 발생될 경우, 상기 고정 구조물의 내측 방향으로 동시에 이동함에 따라 발생된 가압력으로 상기 가공 대상물을 고정하고,
    상기 댐퍼는 상기 가압부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는 상기 두 고정부 사이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는 고정 지그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고정부는 상기 가공 대상물을 안착시키는 안착부를 더 포함하는 고정 지그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들 중 인접하는 두 고정부 사이에 형성된 분절부를 더 포함하는 고정 지그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고정부는 상기 가압부와 접촉되는 가압접촉부재를 포함하는 고정 지그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복수의 고정부의 가압접촉부재와 접촉되는 헤더부를 포함하고,
    상기 헤더부의 하부에는 상기 가압 장치의 실린더에 형성된 삽입홀에 결합되는 결합 돌기가 포함되는 고정 지그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장치는 상기 굽힘부와 결합되는 결합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고정 지그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장치는 공압식 가압 장치, 유압식 가압 장치 또는 전동 모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고정 지그 장치.
  8. ◈청구항 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고정부는 4개로 분할되거나 8개로 분할되는 고정 지그 장치.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댐퍼 본체;
    상기 댐퍼 본체의 중심에 형성되고, 상기 가압부의 헤더부와 관통하게 결합되는 결합홀; 및
    상기 결합홀과 이격되어 상기 댐퍼를 관통하게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끼움홀;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끼움홀은 상기 복수의 고정부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돌기에 끼워 결합되는 고정 지그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금속 재질, 합성수지재질 또는 고무 재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고정 지그 장치.
  12. ◈청구항 1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고정부는 상기 가공 대상물과 접촉되는 접촉 부재를 더 포함하는 고정 지그 장치
  13. ◈청구항 1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부재는 접촉 부분 또는 비접촉 부분으로 구분되고, 상기 접촉 부분 또는 상기 비접촉 부분은 선택적으로 서로 다른 재질 또는 동일 재질을 포함하는 고정 지그 장치
  14. ◈청구항 1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부분 또는 상기 비접촉 부분은 금속 재질, 합성수지재질 또는 고무 재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고정 지그 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굽힘부에는 상기 굽힘부를 굽어지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굽힘홀이 형성되는 고정 지그 장치.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80055283A 2018-05-15 2018-05-15 고정 지그 장치 KR1024773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5283A KR102477333B1 (ko) 2018-05-15 2018-05-15 고정 지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5283A KR102477333B1 (ko) 2018-05-15 2018-05-15 고정 지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0764A KR20190130764A (ko) 2019-11-25
KR102477333B1 true KR102477333B1 (ko) 2022-12-15

Family

ID=68730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5283A KR102477333B1 (ko) 2018-05-15 2018-05-15 고정 지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73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77527B (zh) * 2019-12-12 2022-06-07 河北汉光重工有限责任公司 一种异形曲面结构工件夹紧装置
KR102493902B1 (ko) 2021-10-08 2023-01-31 김도석 알텍베이스 가공용 지그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5981B1 (ko) * 2010-12-28 2012-08-22 김진복 플랜지형 공작물 고정용 척
KR101718914B1 (ko) * 2015-03-04 2017-03-22 주식회사 유도 고정지그가 구비된 콜릿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0764A (ko) 2019-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77333B1 (ko) 고정 지그 장치
KR101550619B1 (ko) 프레스 장치
KR100629010B1 (ko) 방진구 브래킷용 단관의 제조장치
KR20150139799A (ko) 자동차용 수지 부품의 제조 방법 및 자동차용 수지 부품의 제조 장치
CN110090911A (zh) 锻造装置以及锻造方法
EP3461612B1 (en) Undercut processing mechanism and molding die assembly
KR101655449B1 (ko) 소재 이중 지지용 가이드가 구비된 홀 클린칭 장치
KR101650275B1 (ko) 차량의 크로스멤버 제조용 금형장치
KR102267533B1 (ko) 벤딩 및 피어싱을 포함하는 금속부품을 생산하기 위한 프레스 금형 및 이를 이용하여 금속부품을 생산하는 방법
US6832501B2 (en) Method for producing components using a flowable active medium and a forming tool
KR20110127780A (ko) 분말 압착 성형장치
US9205586B2 (en) Hybrid injection molding system
US9505157B2 (en) Injection mould product ejection apparatus and method
CN206779414U (zh) 压铸模具
US20170266709A1 (en) Cushion pin
KR101780670B1 (ko) 버 발생 방지 기능을 갖는 차량시트 착석부 서스펜션 어셈블리 제조용 스프링구조체의 인서트사출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CN210911019U (zh) 新型二次顶出机构
CN218700822U (zh) 一种epp材料注塑模具用定位套
CN213797792U (zh) 双射模具
KR100353970B1 (ko) 단추 성형용 코아 및 그 제조방법
CN111070717B (zh) 镜头加工方法
KR101449476B1 (ko) 금형 카운터
KR102139924B1 (ko) 프레스의 슬라이드 장치
CN107718459B (zh) 手机前壳注塑机构及其注塑方法
KR20150051736A (ko) 일체형 방수부재의 인서트 몰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