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7283B1 - 증발기 - Google Patents

증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7283B1
KR102477283B1 KR1020180032403A KR20180032403A KR102477283B1 KR 102477283 B1 KR102477283 B1 KR 102477283B1 KR 1020180032403 A KR1020180032403 A KR 1020180032403A KR 20180032403 A KR20180032403 A KR 20180032403A KR 102477283 B1 KR102477283 B1 KR 1024772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er
width direction
tank
evaporator
heade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2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2675A (ko
Inventor
이덕호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US15/945,325 priority Critical patent/US10760837B2/en
Publication of KR201801126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26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72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72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27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the type of heat exchanger, e.g. condenser, evapor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33Cool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densed liquid drainage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 F28D1/0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 F28D1/04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 F28D1/053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the conduits being straight
    • F28D1/0535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the conduits being straight the conduits having a non-circular cross-section
    • F28D1/05366Assemblies of conduits connected to common headers, e.g. core type radiators
    • F28D1/05383Assemblies of conduits connected to common headers, e.g. core type radiators with multiple rows of conduits or with multi-channel cond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10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 F28F1/1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 F28F1/126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consisting of zig-zag shaped f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7/00Removing ice or water from heat-exchange apparatus
    • F28F17/005Means for draining condensates from heat exchangers, e.g. from evapo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2Header boxes; End plates
    • F28F9/026Header boxes; End plates with static flow control means, e.g. with means for uniformly distributing heat exchange media into conduits
    • F28F9/028Header boxes; End plates with static flow control means, e.g. with means for uniformly distributing heat exchange media into conduits by using inserts for modifying the pattern of flow inside the header box, e.g. by using flow restrictors or permeable bodies or blocks with chan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1/00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F28D1/00 - F28D20/00
    • F28D2021/0019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8D2021/008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vehicles
    • F28D2021/0085Evapo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2Header boxes; End plates
    • F28F2009/0285Other particular headers or end p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 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폭방향의 중앙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상면에서 하측으로 오목하게 함몰된 함몰부가 형성되어 상기 함몰부가 형성된 부분이 하측으로 돌출되어 한 쌍의 격벽이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격벽에는 폭방향으로 관통된 연통홀이 각각 형성된 헤더; 상기 헤더의 격벽의 하단부에 폭방향 중앙부가 결합되고 폭방향 양측이 헤더에 결합된 탱크; 및 상기 헤더의 함몰부에 삽입되어 상기 한 쌍의 격벽에 양면이 밀착되어 결합되며, 상기 한 쌍의 격벽에 형성된 연통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홀이 형성된 인서트 플레이트; 를 포함하여 헤더탱크가 이루어지며, 격벽에 의해 구획되어 2열로 형성된 헤더탱크에서 헤더탱크의 폭방향 중앙부에 응축수가 배수될 있는 배수홀을 형성하기 용이하고, 헤더탱크의 제1열과 제2열을 연결하는 연통홀의 형성 크기 및 위치에 대한 자유도가 높으며, 헤더탱크의 연통홀이 형성된 부분의 내구성이 높은 증발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증발기 {Evaporator}
본 발명은 제1열 및 제2열에 각각 냉매가 유동되는 이중 증발기의 헤더탱크가 격벽에 의해 구획되어 제1격실 및 제2격실이 형성되며 상기 격벽에 제1격실과 제2격실을 연결하는 연통공이 형성된 증발기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공조장치는 하절기나 동절기에 자동차 실내를 냉, 난방하거나 또는 우천 시나 동절기에 윈드 실드에 끼게 되는 성에 등을 제거하여 운전자가 전후방 시야를 확보할 수 있게 할 목적으로 설치되는 자동차의 내장품으로, 이러한 공조장치는 통상 난방시스템과 냉방시스템을 동시에 갖추고 있어서 외기나 내기를 선택적으로 도입하여 그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한 다음 자동차의 실내에 송풍함으로써 자동차 실내를 냉 , 난방하거나 또는 환기한다.
이러한 공조장치의 일반적인 냉동사이클은 주변으로부터 열을 흡수하는 증발기,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주변으로 열을 방출하는 응축기,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밸브로 구성된다. 냉각 시스템에서는, 상기 증발기로부터 압축기로 유입되는 기체 상태의 냉매는 압축기에서 고온 및 고압으로 압축되고, 상기 압축된 기체 상태의 냉매가 응축기를 통과하면서 액화되는 과정에서 주변으로 액화열이 방출되며, 상기 액화된 냉매가 다시 팽창밸브를 통과함으로써 저온 및 저압의 습포화 증기 상태가 된 후, 다시 증발기로 유입되어 기화하며 주변으로부터 기화열을 흡수함으로써 주변 공기를 냉각하고, 이를 통해, 자동차 실내를 냉방한다.
이러한 냉각 시스템에 사용되는 응축기, 증발기 등이 대표적인 열교환기로서, 열교환기 외부의 공기와 열교환기 내부의 열교환매체, 즉 냉매 사이에 보다 효과적으로 열교환을 일으키기 위한 많은 연구가 꾸준히 이루어져 오고 있다. 실내의 냉방에 있어 가장 직접적인 효과가 드러나는 것은 증발기 효율인 바, 특히 증발기의 열교환 효율을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구조적 연구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같이 증발기의 열교환효율을 높이고자 하는 개선된 구조 중 하나는 튜브 및 핀으로 이루어지는 코어가 이중으로 형성되어, 냉매가 유동되는 공간인 제1열 및 제2열을 형성하는 이중 증발 구조를 갖는 예가 제안된 바 있다.
종래에 일본특허공개 제2005-308384호("이젝터 사이클", 2005.11.04)에 제1열 및 제2열 각각에 냉매가 유통되는 이중 증발기와 유사한 형태가 개시되어 있다.
이때, 이와 같은 이중 증발기는 상측 또는 하측에 배치된 헤더탱크가 격벽에 의해 구획되어 2열로 형성되며, 냉매의 흐름을 위한 유로 구성을 위해 냉매가 각각 유동되도록 형성된 제1열과 제2열을 연결하도록 제1열과 제2열을 구획하는 격벽에 연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헤더탱크는 제1열과 제2열의 중간 위치에 해당되는 부분에 배수홀이 형성되어 있지 않아, 열교환 시 증발기를 구성하는 냉매 튜브 및 핀에서 발생되는 응축수가 헤더탱크를 통과하여 배수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헤더탱크에 응축수가 배수되는 배수홀을 형성하기 위해 제1열과 제2열의 중간 위치에 해당되는 부분을 잘록하게 형성하고 이 잘록한 부분에 배수홀을 형성할 수는 있으나, 이러한 구조에서는 제1열과 제2열을 연결하는 연통홀을 형성하기 매우 어려우며 구조적인 강도가 약해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다.
JP 2005-308384 A (2005.11.04)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2열로 형성된 헤더탱크에서 헤더탱크의 폭방향 중앙부에 응축수가 배수될 있는 배수홀을 형성하기 용이하고, 헤더탱크의 제1열과 제2열을 연결하는 연통홀의 형성 크기 및 위치에 대한 자유도가 높으며, 헤더탱크의 연통홀이 형성된 부분의 내구성이 높은 증발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증발기는, 일정거리 이격되어 나란하게 형성되되, 제1열 및 제2열을 형성하도록 격벽(111)에 의해 구획되어 폭방향으로 제1격실(100a, 200a) 및 제2격실(100b, 200b)로 나누어지는 제1헤더탱크(100) 및 제2헤더탱크(200); 상기 제1헤더탱크(100) 및 제2헤더탱크(200)에 양단이 연결되어 고정된 복수개의 튜브(300); 및 상기 튜브(300)들 사이에 개재된 핀(400); 을 포함하며, 상기 제2헤더탱크(200)는, 폭방향의 중앙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상면에서 하측으로 오목하게 함몰된 함몰부(212)가 형성되어 상기 함몰부(212)가 형성된 부분이 하측으로 돌출되어 한 쌍의 격벽(211)이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격벽(211)에는 폭방향으로 관통된 연통홀(213)이 각각 형성된 헤더(210); 상기 헤더(210)의 격벽(211)의 하단부에 폭방향 중앙부가 결합되고 폭방향 양측이 헤더(210)에 결합된 탱크(220); 및 상기 헤더(210)의 함몰부(212)에 삽입되어 상기 한 쌍의 격벽(211)에 양면이 밀착되어 결합되며, 상기 한 쌍의 격벽(211)에 형성된 연통홀(213)과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홀(231)이 형성된 인서트 플레이트(23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헤더탱크(200)는, 상기 탱크(220)의 아래쪽 외부 공간과 상기 함몰부(212)가 연통되도록 상기 함몰부(212)에서 상하를 관통하는 응축수 배수홀(24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서트 플레이트(230)에는 헤더(210)의 위쪽 외부 공간과 상기 응축수 배수홀(240)을 연결하는 배수 유로(232)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수 유로(232)는, 상기 인서트 플레이트(230)의 상단에서 하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폭방향 양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제1배수 유로(232-1); 및 상기 제1배수 유로(232-1)에 상측이 연결되고 상기 응축수 배수홀(240)에 하측이 연결되되, 폭방향 양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제2배수 유로(232-2); 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응축수 배수홀(240)은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복수개가 형성되고, 상기 인서트 플레이트(230)에는 응축수 배수홀(240)들에 각각 대응되도록 배수 유로(232)들이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배수 유로(232-1)는 제2배수 유로(232-2)의 상단에서 길이방향 양측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서트 플레이트(230)는 하측에 고정탭(233)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헤더탱크(200)에는 함몰부(212)에서 상하를 관통하는 결합홀(241)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탭(233)이 결합홀(241)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더(210)의 격벽(211) 하단부가 결합되는 상기 탱크(220)의 폭방향 중앙부에는, 상기 헤더(210)가 막혀있는 부분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하를 관통하는 브레이징 확인홀(242)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증발기는, 일정거리 이격되어 나란하게 형성되되, 제1열 및 제2열을 형성하도록 격벽(111)에 의해 구획되어 폭방향으로 제1격실(100a, 200a) 및 제2격실(100b, 200b)로 나누어지는 제1헤더탱크(100) 및 제2헤더탱크(200); 상기 제1헤더탱크(100) 및 제2헤더탱크(200)에 양단이 연결되어 고정된 복수개의 튜브(300); 및 상기 튜브(300)들 사이에 개재된 핀(400); 을 포함하며, 상기 제2헤더탱크(200)는, 폭방향의 중앙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상면에서 하측으로 오목하게 함몰된 함몰부(212)가 형성되어 상기 함몰부(212)가 형성된 부분이 하측으로 돌출되어 한 쌍의 격벽(211)이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격벽(211)에는 폭방향으로 관통된 연통홀(213)이 각각 형성된 헤더(210); 및 상기 헤더(210)의 격벽(211)의 하단부에 폭방향 중앙부가 결합되고 폭방향 양측이 헤더(210)에 결합된 탱크(22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헤더(210)의 한 쌍의 격벽(211)이 서로 마주보는 면에서 연통홀(213)의 둘레부분이 폭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214)가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214)에 의해 상기 한 쌍의 격벽(211)에 형성된 연통홀(213)들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214)는 한 쌍의 격벽(211)에서 각각 돌출 형성되어, 마주보는 양측의 돌출부(214)들이 서로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헤더탱크(200)는, 상기 탱크(220)의 아래쪽 외부 공간과 상기 함몰부(212)가 연통되도록 상기 함몰부(212)에서 상하를 관통하는 응축수 배수홀(24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격벽(211)에는 연통홀(213)들이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개가 형성되어 상기 연통홀(213)이 형성된 위치에서 각각 돌출부(214)들이 형성되되, 상기 돌출부(214)들은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214)들이 길이방향으로 이격된 사이의 위치에 응축수 배수홀(24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더(210)의 격벽(211) 하단부가 결합되는 상기 탱크(220)의 폭방향 중앙부에는, 상기 헤더(210)가 막혀있는 부분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하를 관통하는 브레이징 확인홀(242)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증발기는, 일정거리 이격되어 나란하게 형성되되, 제1열 및 제2열을 형성하도록 격벽(111)에 의해 구획되어 폭방향으로 제1격실(100a, 200a) 및 제2격실(100b, 200b)로 나누어지는 제1헤더탱크(100) 및 제2헤더탱크(200); 상기 제1헤더탱크(100) 및 제2헤더탱크(200)에 양단이 연결되어 고정된 복수개의 튜브(300); 및 상기 튜브(300)들 사이에 개재된 핀(400); 을 포함하며, 상기 제2헤더탱크(200)는, 폭방향의 중앙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상면에서 하측으로 오목하게 함몰된 함몰부(212)가 형성되어 상기 함몰부(212)가 형성된 부분이 하측으로 돌출되어 한 쌍의 격벽(211)이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격벽(211)에는 폭방향으로 관통된 연통홀(213)이 각각 형성된 헤더(210); 상기 헤더(210)의 격벽(211)의 하단부에 폭방향 중앙부가 결합되고 폭방향 양측이 헤더(210)에 결합된 탱크(220); 및 상기 헤더(210)의 한 쌍의 격벽(211)에 각각 형성된 연통홀(213)들에 삽입되어 양단부가 결합된 연통관(260); 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연통관(260)에 의해 한 쌍의 격벽(211)에 형성된 연통홀(213)들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통관(260)은 일단에 외주면 바깥쪽으로 플랜지(261)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플랜지(261)가 제1격실(200a) 또는 제2격실(200b)이 형성된 측의 격벽(211)에 걸리도록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더(210)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복수개의 연통홀(213)이 형성되고, 상기 연통관(260)은 복수개가 각각 별개로 형성되어 연통홀(213)들에 개별적으로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더(210)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복수개의 연통홀(213)이 형성되고, 상기 연통관(260)은 복수개로 형성되되 연통관(260)들이 서로 연결부(262)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통관(260)은 일단에 외주면 바깥쪽으로 플랜지(261)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플랜지(261)가 제1격실(200a) 또는 제2격실(200b)이 형성된 측의 격벽(211)에 걸리도록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헤더탱크(200)는, 상기 탱크(220)의 아래쪽 외부 공간과 상기 함몰부(212)가 연통되도록 상기 함몰부(212)에서 상하를 관통하는 응축수 배수홀(24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더(210)의 격벽(211) 하단부가 결합되는 상기 탱크(220)의 폭방향 중앙부에는, 상기 헤더(210)가 막혀있는 부분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하를 관통하는 브레이징 확인홀(242)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증발기는 2열로 형성된 헤더탱크에서 헤더탱크의 폭방향 중앙부에 응축수가 배수될 있는 배수홀을 형성하기 용이하고, 헤더탱크의 제1열과 제2열을 연결하는 연통홀의 형성 크기 및 위치에 대한 자유도가 높으며, 헤더탱크의 연통홀이 형성된 부분의 내구성이 높은 장점이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증발기를 나타낸 조립사시도 및 부분 분해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2헤더탱크의 헤더, 탱크 및 인서트 플레이트를 나타낸 부분단면 사시도 및 단면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2헤더탱크의 헤더, 탱크 및 인서트 플레이트의 변형된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단면 사시도 및 단면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제2헤더탱크의 헤더, 탱크 및 인서트 플레이트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부분단면 사시도 및 단면도.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제2헤더탱크의 헤더, 탱크 및 인서트 플레이트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조립사시도 및 단면도.
도 13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제2헤더탱크의 헤더, 탱크 및 인서트 플레이트의 변형된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조립사시도 및 단면도.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의 증발기에서 냉매의 흐름을 나타낸 개념도.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증발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증발기를 나타낸 조립사시도 및 부분 분해사시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2헤더탱크의 헤더, 탱크 및 인서트 플레이트를 나타낸 부분단면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증발기(1000)는, 일정거리 이격되어 나란하게 형성되되, 제1열 및 제2열을 형성하도록 격벽(111)에 의해 구획되어 폭방향으로 제1격실(100a, 200a) 및 제2격실(100b, 200b)로 나누어지는 제1헤더탱크(100) 및 제2헤더탱크(200); 상기 제1헤더탱크(100) 및 제2헤더탱크(200)에 양단이 연결되어 고정된 복수개의 튜브(300); 및 상기 튜브(300)들 사이에 개재된 핀(400); 을 포함하며, 상기 제2헤더탱크(200)는, 폭방향의 중앙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상면에서 하측으로 오목하게 함몰된 함몰부(212)가 형성되어 상기 함몰부(212)가 형성된 부분이 하측으로 돌출되어 한 쌍의 격벽(211)이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격벽(211)에는 폭방향으로 관통된 연통홀(213)이 각각 형성된 헤더(210); 상기 헤더(210)의 격벽(211)의 하단부에 폭방향 중앙부가 결합되고 폭방향 양측이 헤더(210)에 결합된 탱크(220); 및 상기 헤더(210)의 함몰부(212)에 삽입되어 상기 한 쌍의 격벽(211)에 양면이 밀착되어 결합되며, 상기 한 쌍의 격벽(211)에 형성된 연통홀(213)과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홀(231)이 형성된 인서트 플레이트(23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우선, 본 발명의 증발기는 크게 제1헤더탱크(100), 제2헤더탱크(200), 튜브(300) 및 핀(400)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제1헤더탱크(100) 및 제2헤더탱크(200)는 각각 격벽(111, 211)에 의해 내부 공간이 구획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냉매가 유동될 수 있는 냉매 유로가 2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하여 제1헤더탱크(100)는 헤더(110)와 탱크(120)의 결합에 의해 제1격실(100a)과 제2격실(100b)이 형성되며, 제2헤더탱크(200)도 헤더(210)와 탱크(220)의 결합에 의해 제1격실(200a)과 제2격실(200b)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열을 형성하는 제1헤더탱크(100)의 제1격실(100a) 제2헤더탱크(200)의 제1격실(200a)에 양단이 연결되도록 복수개의 튜브(300)들이 결합되어 고정되며, 제2열을 형성하는 제1헤더탱크(100)의 제2격실(100b) 제2헤더탱크(200)의 제2격실(200b)에도 양단이 연결되도록 복수개의 튜브(300)들이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1열을 형성하는 튜브(300)들 사이에 핀(400)이 개재되어 결합되며, 제2열을 형성하는 튜브(300)들 사이에도 핀(400)이 개재되어 결합될 수 있다. 그리하여 제1열과 제2열이 나란하게 적층되어 결합되어 있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2헤더탱크(200)는 헤더(210), 탱크(220) 및 인서트 플레이트(2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헤더(210)는 이하에서 설명할 탱크(220)와 결합되어 내부에 냉매가 유동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하나의 부분이다. 헤더(210)는 제1격실(200a)을 형성하는 부분과 제2격실(200b)을 형성하는 부분의 사이인 폭방향의 중앙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상면에서 하측으로 오목하게 함몰된 함몰부(212)가 형성되어, 함몰부(212)가 형성된 부분이 하측으로 돌출되어 한 쌍의 격벽(211)이 서로 폭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한 쌍의 격벽(211)은 하단 부분이 서로 폭방향으로 연결되어 있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헤더(210)는 하나의 판재를 절곡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함몰부(212)가 형성된 부분이 하측으로 오목하게 "U"자 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격실(200a)과 제2격실(200b)를 형성하는 부분은 상측으로 약간 볼록한 형태로 만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만곡된 부분에는 상하면을 관통하는 튜브 삽입홀이 형성되어 튜브(300)의 단부가 튜브 삽입홀에 삽입된 후 브레이징에 의해 헤더(210)와 튜브(300)들이 결합될 수 있으며, 헤더(210)의 폭방향 양측은 하측으로 절곡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탱크(220)는 상기한 헤더(210)와 결합되어 내부에 냉매가 유동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다른 하나의 부분이다. 탱크(220)는 제1격실(200a)과 제2격실(200b)를 형성하는 부분이 하측으로 볼록하게 만곡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폭방향 양측은 상측으로 절곡되어 절곡된 부분이 상기 헤더(210) 양측의 절곡된 부분과 결합되어 브레이징 등으로 접합될 수 있다. 그리고 탱크(220)는 폭방향의 중앙부가 상기 헤더(210)의 격벽(211)들의 하단부와 접하도록 결합된 후 브레이징 등으로 접합될 수 있다. 이때, 탱크(220)의 폭방향 중앙부는 도시된 바와 같이 헤더(210)의 격벽(211)들의 하단부가 삽입된 형태로 안치될 수 있도록 오목하게 길이방향을 따라 안치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인서트 플레이트(230)는 폭방향의 두께에 비해 높이방향 및 길이방향으로의 길이가 길게 형성된 평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헤더(210)의 함몰부(212)에 삽입되어 한 쌍의 격벽(211)에 양면이 밀착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인서트 플레이트(230)는 하단면이 함몰부(212)의 바닥면에 접하여 지지될 수 있으며, 인서트 플레이트(230)의 양면은 한 쌍의 격벽(211)에 밀착된 상태에서 브레이징 등에 의해 접합될 수 있다. 그리고 인서트 플레이트(230)는 한 쌍의 격벽(211)에 형성된 연통홀(213)에 대응되도록 관통홀(231)이 형성되어, 하나의 격벽(211)에 형성된 연통홀(213)과 인서트 플레이트(230)의 관통홀(231) 및 다른 하나의 격벽(211)에 형성된 연통홀(213)이 폭방향으로 연통될 수 있다. 이때, 격벽(211)에 형성된 연통홀(213)은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대응되도록 인서트 플레이트(230)도 높이방향에 비해 길이방향으로 길이가 길게 형성되어 연통홀(213)들에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홀(231)들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하여 관통홀(231)이 뚫려있는 인서트 플레이트(230)가 하나의 격벽(211)에 형성된 연통홀(213)과 다른 하나의 격벽(211)에 형성된 연통홀(213)을 연결하는 연결통로의 역할을 하며, 동시에 이격되어 있는 두 개의 격벽(211)을 견고하게 결합시켜주는 구조물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증발기는 2열로 형성된 헤더탱크에서 헤더탱크의 폭방향 중앙부인 함몰부에 응축수가 배수될 있는 배수홀을 형성하기 용이하며, 헤더탱크의 제1열과 제2열인 제1격실과 제2격실이 연결되도록 하는 연통홀의 형성 크기 및 위치에 대한 자유도가 높으며, 헤더탱크의 연통홀이 형성된 부분의 내구성이 높은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제2헤더탱크(200)는, 상기 탱크(220)의 아래쪽 외부 공간과 상기 함몰부(212)가 연통되도록 상기 함몰부(212)에서 상하를 관통하는 응축수 배수홀(240)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함몰부(212)가 형성된 부분에서 헤더(210)의 중앙부와 탱크(220)의 중앙부가 결합된 부분을 상하로 관통하는 응축수 배수홀(24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응축수 배수홀(240)에 의해 함몰부(212)와 탱크(220)의 아래쪽 외부 공간이 연결되므로, 튜브(300)들의 표면을 따라 흘러내린 응축수가 함몰부(212)에 모여 응축수 배수홀(240)을 통해 제2헤더탱크(200)의 하측으로 배수될 수 있다. 이때, 응축수 배수홀(240)은 함몰부(212)가 형성된 부분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2헤더탱크의 헤더, 탱크 및 인서트 플레이트의 변형된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단면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서트 플레이트(230)에는 헤더(210)의 위쪽 외부 공간과 상기 응축수 배수홀(240)을 연결하는 배수 유로(232)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인서트 플레이트(230)의 하측에 응축수 배수홀(240)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인서트 플레이트(230)의 상부쪽 또는 헤더(210)의 상부쪽에 모일 수 있는 응축수가 인서트 플레이트(230)에 형성된 배수 유로(232)를 따라 유동되어 응축수 배수홀(240)을 통해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하여 인서트 플레이트(230)가 존재하는 제2헤더탱크(200)의 길이방향 구간에도 응축수 배수홀(240)을 배치할 수 있으며, 인서트 플레이트(230)의 상부측 폭방향 양측에 모일 수 있는 응축수를 용이하게 배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수 유로(232)는, 상기 인서트 플레이트(230)의 상단에서 하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폭방향 양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제1배수 유로(232-1); 및 상기 제1배수 유로(232-1)에 상측이 연결되고 상기 응축수 배수홀(240)에 하측이 연결되되, 폭방향 양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제2배수 유로(232-2); 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상기한 인서트 플레이트(230)에 형성된 배수 유로(232)의 일례이며,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 유로(232)가 인서트 플레이트(230)의 폭방향 양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인서트 플레이트(230)는 함몰부(212)의 상측 외부로 노출된 형태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배수 유로(232)는 폭방향 양면을 관통하도록 천공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배수 유로(232)는 높이방향 상단에서 하측으로 약간 이격된 위치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제1배수 유로(232-1)가 형성되고, 높이방향을 따라 제2배수 유로(232-2)가 형성되어, 상기 제1배수 유로(232-1)에 제2배수 유로(232-2)의 상측이 연결되고 응축수 배수홀(240)에 제2배수 유로(232-2)의 하측이 연결되도록 배수 유로(232)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하여 배수 유로(232)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으며, 응축수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1배수 유로(232-1)를 따라 제2배수 유로(232-2)쪽으로 모이도록 하기 용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응축수 배수홀(240)은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복수개가 형성되고, 상기 인서트 플레이트(230)에는 응축수 배수홀(240)들에 각각 대응되도록 배수 유로(232)들이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응축수 배수홀(240)이 복수개 형성되는 경우, 이격되어 배치된 응축수 배수홀(240)들에 각각 대응되는 위치의 인서트 플레이트(230)에 배수 유로(232)들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배수 유로(232-1)는 인서트 플레이트(230)의 길이방향 양단에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며,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 유로(232)가 복수개 형성되는 경우에는 제1배수 유로(232-1)들이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고 이격되어 있도록 형성되어, 배수 유로(232)들에 의해 인서트 플레이트(230)가 별도의 여러개의 부분으로 나뉘어 형성되지 않고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배수 유로(232-1)는 제2배수 유로(232-2)의 상단에서 길이방향 양측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인서트 플레이트(230)에 형성된 배수 유로(232)는 높이방향으로 형성된 제2배수 유로(232-2)의 상단에서 길이방향 양측으로 제1배수 유로(232-1)가 연장되어 형성되어, "T"자 형태의 배수 유로(232)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서트 플레이트(230)는 하측에 고정탭(233)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헤더탱크(200)에는 함몰부(212)에서 상하를 관통하는 결합홀(241)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탭(233)이 결합홀(241)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즉, 인서트 플레이트(230)의 하단에서 하측으로 고정탭(233)들이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고, 제2헤더탱크(200)의 함몰부(212)가 형성된 부분에서 상하를 관통하는 결합홀(241)들이 형성되어, 고정탭(233)이 결합홀(241)에 삽입되어 결합됨으로써, 인서트 플레이트(230)의 길이방향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제2헤더탱크(200)에 형성된 결합홀(241)은 응축수 배수홀(240)들 중 일부가 결합홀(241)로 사용될 수도 있으며, 인서트 플레이트(230)의 고정탭(233)은 결합홀(241)에 삽입되어 결합된 상태에서 탱크(220)의 중앙부 하면보다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돌출된 부분이 압착 또는 절곡 등으로 코킹되어 인서트 플레이트(230)가 삽입된 방향의 반대쪽인 높이방향 상측으로 빠지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더(210)의 격벽(211) 하단부가 결합되는 상기 탱크(220)의 폭방향 중앙부에는, 상기 헤더(210)가 막혀있는 부분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하를 관통하는 브레이징 확인홀(242)이 형성될 수 있다.
즉, 헤더(210)의 폭방향 중앙부와 탱크(220)의 폭방향 중앙부는 서로 브레이징에 의해 접합될 수 있으므로, 접합된 부분이 완전히 밀폐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헤더(210)의 폭방향 중앙부인 격벽(211)의 하단부 접하는 탱크(220)의 폭방향 중앙부에 브레이징 확인홀(24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브레이징 확인홀(242)은 헤더(210)의 중앙부에서 응축수 배수홀(240)이 형성되어 있지 않고 막혀있는 부분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브레이징을 이용해 접합된 후 브레이징 확인홀(242)을 통해 특정한 압력의 가스를 주입하였을 때 누설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검사하여 브레이징에 의한 접합부가 완전히 밀폐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브레이징 확인홀(242)은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 2]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제2헤더탱크의 헤더, 탱크 및 인서트 플레이트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부분단면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증발기(1000)는, 일정거리 이격되어 나란하게 형성되되, 제1열 및 제2열을 형성하도록 격벽(111)에 의해 구획되어 폭방향으로 제1격실(100a, 200a) 및 제2격실(100b, 200b)로 나누어지는 제1헤더탱크(100) 및 제2헤더탱크(200); 상기 제1헤더탱크(100) 및 제2헤더탱크(200)에 양단이 연결되어 고정된 복수개의 튜브(300); 및 상기 튜브(300)들 사이에 개재된 핀(400); 을 포함하며, 상기 제2헤더탱크(200)는, 폭방향의 중앙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상면에서 하측으로 오목하게 함몰된 함몰부(212)가 형성되어 상기 함몰부(212)가 형성된 부분이 하측으로 돌출되어 한 쌍의 격벽(211)이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격벽(211)에는 폭방향으로 관통된 연통홀(213)이 각각 형성된 헤더(210); 및 상기 헤더(210)의 격벽(211)의 하단부에 폭방향 중앙부가 결합되고 폭방향 양측이 헤더(210)에 결합된 탱크(22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헤더(210)의 한 쌍의 격벽(211)이 서로 마주보는 면에서 연통홀(213)의 둘레부분이 폭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214)가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214)에 의해 상기 한 쌍의 격벽(211)에 형성된 연통홀(213)들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는 상기한 실시예 1에서와 같이 증발기의 기본적인 구성은 유사하나 별도의 인서트 플레이트를 함몰부에 삽입하여 결합하는 대신, 한 쌍의 마주보는 격벽(211)에서 연통홀(213)의 둘레부분이 폭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로 돌출부(214)가 형성되어, 돌출부(214)에 의해 하나의 격벽(211)에 형성된 연통홀(213)과 다른 하나의 격벽에 형성된 마주보는 연통홀(213)이 돌출부(214)에 의해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증발기는 크게 제1헤더탱크(100), 제2헤더탱크(200), 튜브(300) 및 핀(400)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제1헤더탱크(100) 및 제2헤더탱크(200)는 각각 격벽(111, 211)에 의해 내부 공간이 구획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냉매가 유동될 수 있는 냉매 유로가 2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하여 제1헤더탱크(100)는 헤더(110)와 탱크(120)의 결합에 의해 제1격실(100a)과 제2격실(100b)이 형성되며, 제2헤더탱크(200)도 헤더(210)와 탱크(220)의 결합에 의해 제1격실(200a)과 제2격실(200b)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열을 형성하는 제1헤더탱크(100)의 제1격실(100a) 제2헤더탱크(200)의 제1격실(200a)에 양단이 연결되도록 복수개의 튜브(300)들이 결합되어 고정되며, 제2열을 형성하는 제1헤더탱크(100)의 제2격실(100b) 제2헤더탱크(200)의 제2격실(200b)에도 양단이 연결되도록 복수개의 튜브(300)들이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1열을 형성하는 튜브(300)들 사이에 핀(400)이 개재되어 결합되며, 제2열을 형성하는 튜브(300)들 사이에도 핀(400)이 개재되어 결합될 수 있다. 그리하여 제1열과 제2열이 나란하게 적층되어 결합되어 있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2헤더탱크(200)는 헤더(210) 및 탱크(2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헤더(210)는 탱크(220)와 결합되어 내부에 냉매가 유동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하나의 부분이다. 헤더(210)는 제1격실(200a)을 형성하는 부분과 제2격실(200b)을 형성하는 부분의 사이인 폭방향의 중앙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상면에서 하측으로 오목하게 함몰된 함몰부(212)가 형성되어, 함몰부(212)가 형성된 부분이 하측으로 돌출되어 한 쌍의 격벽(211)이 서로 폭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한 쌍의 격벽(211)은 하단 부분이 서로 폭방향으로 연결되어 있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헤더(210)는 하나의 판재를 절곡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함몰부(212)가 형성된 부분이 하측으로 오목하게 "U"자 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격실(200a)과 제2격실(200b)를 형성하는 부분은 상측으로 약간 볼록한 형태로 만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만곡된 부분에는 상하면을 관통하는 튜브 삽입홀이 형성되어 튜브(300)의 단부가 튜브 삽입홀에 삽입된 후 브레이징에 의해 헤더(210)와 튜브(300)들이 결합될 수 있으며, 헤더(210)의 폭방향 양측은 하측으로 절곡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탱크(220)는 상기한 헤더(210)와 결합되어 내부에 냉매가 유동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다른 하나의 부분이다. 탱크(220)는 제1격실(200a)과 제2격실(200b)를 형성하는 부분이 하측으로 볼록하게 만곡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폭방향 양측은 상측으로 절곡되어 절곡된 부분이 상기 헤더(210) 양측의 절곡된 부분과 결합되어 브레이징 등으로 접합될 수 있다. 그리고 탱크(220)는 폭방향의 중앙부가 상기 헤더(210)의 격벽(211)들의 하단부와 접하도록 결합된 후 브레이징 등으로 접합될 수 있다. 이때, 탱크(220)의 폭방향 중앙부는 도시된 바와 같이 헤더(210)의 격벽(211)들의 하단부가 삽입된 형태로 안치될 수 있도록 오목하게 길이방향을 따라 안치홈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헤더(210)는 한 쌍의 격벽(211)에 각각 폭방향 양면을 관통하도록 천공된 형태의 연통홀(213)이 형성될 수 있으며, 한 쌍의 마주보는 격벽(211)에서 연통홀(213)의 둘레부분이 폭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로 돌출부(214)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돌출부(214)는 프레싱 등을 이용해 헤더(210)의 격벽(211)과 일체로 형성되며 격벽(211)에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격벽(211)에서 마주보는쪽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돌출부(214)들은 서로 접하여 접합되는 부분에서 충분한 접합 면적을 형성할 수 있도록, 돌출부(214)는 격벽에서 폭방향으로 돌출된 단부에서 길이방향 및 높이방향으로 연통홀(213)의 중앙쪽을 향해 연장되어 있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하여 돌출부(214)가 하나의 격벽(211)에 형성된 연통홀(213)과 다른 하나의 격벽(211)에 형성된 연통홀(213)을 연결하는 연결통로의 역할을 하며, 동시에 이격되어 있는 두 개의 격벽(211)을 견고하게 결합시켜주는 구조물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증발기는 2열로 형성된 헤더탱크에서 헤더탱크의 폭방향 중앙부인 함몰부에 응축수가 배수될 있는 배수홀을 형성하기 용이하며, 헤더탱크의 제1열과 제2열인 제1격실과 제2격실이 연결되도록 하는 연통홀의 형성 크기 및 위치에 대한 자유도가 높으며, 헤더탱크의 연통홀이 형성된 부분의 내구성이 높은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214)는 한 쌍의 격벽(211)에서 각각 돌출 형성되어, 마주보는 양측의 돌출부(214)들이 서로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격벽(211)에서 모두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214)가 각각 형성되어, 서로 마주보는 돌출부(214)들이 서로 접하여 브레이징 등으로 접합될 수 있다. 이외에도 돌출부(214)는 하나의 격벽(211)에서만 돌출 형성되어, 돌출 형성된 돌출부(214)의 단부가 다른 하나의 격벽(211)의 연통홀(213) 둘레부분에 접하도록 형성되어 브레이징 등에 의해 서로 접하는 면이 접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2헤더탱크(200)는, 상기 탱크(220)의 아래쪽 외부 공간과 상기 함몰부(212)가 연통되도록 상기 함몰부(212)에서 상하를 관통하는 응축수 배수홀(240)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한 실시예 1에서와 같이 실시예 2에서도 함몰부(212)가 형성된 부분에서 헤더(210)의 중앙부와 탱크(220)의 중앙부가 결합된 부분을 상하로 관통하는 응축수 배수홀(24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격벽(211)에는 연통홀(213)들이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개가 형성되어 상기 연통홀(213)이 형성된 위치에서 각각 돌출부(214)들이 형성되되, 상기 돌출부(214)들은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214)들이 길이방향으로 이격된 사이의 위치에 응축수 배수홀(240)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격벽(211)에서 연통홀(213)들이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있도록 복수개가 형성되는 경우, 연통홀(213)들 각각에서 돌출부(214)가 형성되어, 돌출부(214)들은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돌출부(214)들이 이격된 사이의 길이방향 위치에 응축수 배수홀(240)이 형성되어, 제2헤더탱크(200)의 상측의 응측수가 길이방향으로 이격된 돌출부(214)들 사이로 유동되어 응축수 배수홀(240)을 통해 용이하게 배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더(210)의 격벽(211) 하단부가 결합되는 상기 탱크(220)의 폭방향 중앙부에는, 상기 헤더(210)가 막혀있는 부분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하를 관통하는 브레이징 확인홀(242)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한 실시예 1에서와 같이 실시예 2에서도 브레이징 확인홀(242)이 형성되어, 브레이징을 이용해 헤더(210)와 탱크(220)가 접합된 후 브레이징 확인홀(242)을 통해 특정한 압력의 가스를 주입하였을 때 누설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검사하여 브레이징에 의한 접합부가 완전히 밀폐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3]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제2헤더탱크의 헤더, 탱크 및 인서트 플레이트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조립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증발기(1000)는, 일정거리 이격되어 나란하게 형성되되, 제1열 및 제2열을 형성하도록 격벽(111)에 의해 구획되어 폭방향으로 제1격실(100a, 200a) 및 제2격실(100b, 200b)로 나누어지는 제1헤더탱크(100) 및 제2헤더탱크(200); 상기 제1헤더탱크(100) 및 제2헤더탱크(200)에 양단이 연결되어 고정된 복수개의 튜브(300); 및 상기 튜브(300)들 사이에 개재된 핀(400); 을 포함하며, 상기 제2헤더탱크(200)는, 폭방향의 중앙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상면에서 하측으로 오목하게 함몰된 함몰부(212)가 형성되어 상기 함몰부(212)가 형성된 부분이 하측으로 돌출되어 한 쌍의 격벽(211)이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격벽(211)에는 폭방향으로 관통된 연통홀(213)이 각각 형성된 헤더(210); 상기 헤더(210)의 격벽(211)의 하단부에 폭방향 중앙부가 결합되고 폭방향 양측이 헤더(210)에 결합된 탱크(220); 및 상기 헤더(210)의 한 쌍의 격벽(211)에 각각 형성된 연통홀(213)들에 삽입되어 양단부가 결합된 연통관(260); 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연통관(260)에 의해 한 쌍의 격벽(211)에 형성된 연통홀(213)들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는 상기한 실시예 1 또는 실시예 2에서와 같이 증발기의 기본적인 구성은 유사하나 별도의 인서트 플레이트를 함몰부에 삽입하여 결합하는 대신, 한 쌍의 마주보는 격벽(211)에 각각 형성된 연통홀(213)들에 연통관(260)이 삽입되어, 폭방향으로 연통관(260)의 일측 단부가 하나의 격벽(211)에 형성된 연통홀(213)에 삽입되어 격벽(211)에 결합되고 연통관(260)의 타측 단부가 다른 하나의 격벽(211)에 형성된 연통홀(213)에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때, 연통관(260)은 헤더(210)와 탱크(220)를 결합하기 전에 헤더(210)의 제1격실(200a) 또는 제2격실(200b) 쪽으로 배치시킨 다음 폭방향으로 격벽(211)에 형성된 연통홀(213)에 삽입하여 결합할 수 있으며, 연통관(260)은 연통홀(213)과 접하는 부분에서 브레이징 등으로 접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2열로 형성된 헤더탱크에서 헤더탱크의 폭방향 중앙부인 함몰부에 응축수가 배수될 있는 배수홀을 형성하기 용이하며, 헤더탱크의 제1열과 제2열인 제1격실과 제2격실이 연결되도록 하는 연통홀의 형성 크기 및 위치에 대한 자유도가 높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통관(260)은 일단에 외주면 바깥쪽으로 플랜지(261)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플랜지(261)가 제1격실(200a) 또는 제2격실(200b)이 형성된 측의 격벽(211)에 걸리도록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 관 형태의 연통관(260)의 일단에서 외주면 바깥쪽으로 플랜지(261)가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어, 연통관(260)을 격벽(211)에 형성된 연통홀(213)에 삽입하여 결합할 때 격벽(211)에 플랜지(261)가 걸려서 연통관(260)이 삽입되는 깊이가 제한될 수 있다. 그리하여 연통관(260)의 플랜지(261)가 형성되지 않은 타단이 제2격실(200b)을 형성하는 격벽(211)의 내측면에 일치하도록 위치하기 용이하며, 연통관(260)이 연통홀(213)에 삽입된 상태에서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플랜지(261)가 격벽(211)에 밀착되어 브레이징 등으로 접합될 수 있어 연통관(260)과 격벽(211) 간의 결합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더(210)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복수개의 연통홀(213)이 형성되고, 상기 연통관(260)은 복수개가 각각 별개로 형성되어 연통홀(213)들에 개별적으로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연통홀(213)은 헤더(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연통홀(213)들에 각각 연통관(260)을 삽입하여 결합할 수 있다. 그리하여 연통관(260)들 사이의 위치에 응축수가 배수될 수 있는 배수홀을 형성하기 용이하고, 연통홀(213)의 형성 위치에 대한 자유도가 높으며, 연통홀(213)들의 위치에 관계없이 연통관(260)을 조립하기 용이할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제2헤더탱크의 헤더, 탱크 및 인서트 플레이트의 변형된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조립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헤더(210)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복수개의 연통홀(213)이 형성되고, 상기 연통관(260)은 복수개로 형성되되 연통관(260)들이 서로 연결부(262)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연통홀(213)은 헤더(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연통관(260)들이 서로 연결부(262)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상태로 일체로 형성된 일체형의 연통관(260)이 한번에 연통홀(213)들에 삽입되어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다. 여기에서 연결부(262)는 서로 이웃하는 연통관(260)들의 폭방향 일측 단부들을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일례로 이웃하는 연통관(260)들의 서로 근접한 부분이 연결되도록 직선 형태로 연결부(262)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일체형의 연통관(260)을 연통홀(213)들에 삽입하여 결합될 때 연결부(262)가 격벽(211)에 걸려서 연통관(260)이 삽입되는 깊이가 제한될 수 있다.
이때,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 관 형태의 연통관(260)들의 일단에서 외주면 바깥쪽으로 플랜지(261)가 돌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플랜지(261)들은 연결부(262)와도 연결되어 있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플랜지가 없이 이웃하는 연통관들 끼리 서로 연결부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 1 및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실시예 3에서도 함몰부(212)가 형성된 부분에서 헤더(210)의 중앙부와 탱크(220)의 중앙부가 결합된 부분을 상하로 관통하는 응축수 배수홀(240)이 형성될 수 있으며, 브레이징 확인홀(242)이 형성되어 브레이징을 이용해 헤더(210)와 탱크(220)가 접합된 후 브레이징 확인홀(242)을 통해 특정한 압력의 가스를 주입하였을 때 누설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검사하여 브레이징에 의한 접합부가 완전히 밀폐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증발기는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의 경우 모두 탱크(220)에 함몰부가 형성되어 격벽 및 연통홀이 형성되고, 탱크(220)에 형성된 함몰부에 인서트 플레이트가 삽입되어 결합되거나 연통홀에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거나 연통관이 연통홀에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들에서는 제2헤더탱크(200)에만 연통홀이 형성되어 인서트 플레이트 또는 연통관에 의해 연통홀들이 연결되거나 돌출부에 의해 연통홀들이 연결되는 것을 나타내었으나, 상기한 구성이 제1헤더탱크(100)에 적용될 수도 있으며, 제1헤더탱크(100) 및 제2헤더탱크(200) 모두에 적용될 수도 있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연통홀은 폭방향으로 뚫려있는 부분의 길이방향 및 폭방향인 연통홀의 둘레 전체가 막혀있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천공되어 관통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의 증발기에서 냉매의 흐름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헤더탱크(100) 및 제2헤더탱크(200) 중 어느 하나 이상은 배플(150, 250)들에 의해 제1격실(100a, 200a) 및 제2격실(100b, 200b)을 이루는 공간이 길이방향으로 구획되어 나뉜 형태로 형성되어, 냉매가 유동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패스(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튜브(300)들을 따라 하측 또는 상측의 한쪽 방향으로 흐르는 냉매의 흐름을 하나의 패스라고 할 때, 도 18과 같이 입구 파이프(160)를 통해 유입된 냉매가 제1열의 튜브(300)를 따라 하측으로 유동되는 제1패스(P1)가 형성되고, 이후 다시 튜브(300)를 따라 상측으로 유동되는 제2패스(P2)가 형성되며, 다시 튜브(300)를 따라 하측으로 유동되는 제3패스(P3)가 형성될 수 있다. 이후 제2헤더탱크(200)에 형성된 연통홀(213)을 통해 제1열에서 제2열쪽으로 냉매가 유동되어, 다시 제2열에서 튜브(300)들을 따라 상측으로 유동되는 제4패스(P4)가 형성되고, 이후 튜브(300)를 따라 하측으로 유동되는 제5패스(P5)가 형성되며, 다시 튜브(300)를 따라 상측으로 유동되는 제6패스(P6)가 형성되어, 출구 파이프(170)를 통해 냉매가 배출되는 총 6패스로 이루어진 냉매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도 19와 같이 총 4패스로 이루어진 냉매 유로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때에는 연통홀(213)이 제1헤더탱크(100)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 이외에도 제1열 전체가 제1패스로 구성되고 제2열 전체가 제2패스로 구성된 총 2패스로 이루어진 냉매 유로로 형성될 수도 있고, 이외에도 다양한 유로의 구성이 가능하며, 이에 따른 연통홀의 배치도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0 : 증발기
100 : 제1헤더탱크
100a : 제1격실 100b : 제2격실
110 : 헤더 120 : 탱크
150 : 배플
160 : 입구 파이프 170 : 출구 파이프
200 : 제2헤더탱크
200a : 제1격실 200b : 제2격실
210 : 헤더
211 : 격벽 212 : 함몰부
213 : 연통홀 214 : 돌출부
220 : 탱크
230 : 인서트 플레이트
231 : 관통홀 232 : 배수유로
232-1 : 제1배수 유로 232-2 : 제2배수 유로
233 : 고정탭
240 : 응축수 배수홀 241 : 결합홀
242 : 브레이징 확인홀
250 : 배플
260 : 연통관 261 : 플랜지
262 : 연결부
300 : 튜브
400 : 핀
P1 : 제1패스 P2 : 제2패스
P3 : 제3패스 P4 : 제4패스
P5 : 제5패스 P6 : 제6패스

Claims (20)

  1. 일정거리 이격되어 나란하게 형성되되, 제1열 및 제2열을 형성하도록 격벽(111)에 의해 구획되어 폭방향으로 제1격실(100a, 200a) 및 제2격실(100b, 200b)로 나누어지는 제1헤더탱크(100) 및 제2헤더탱크(200); 상기 제1헤더탱크(100) 및 제2헤더탱크(200)에 양단이 연결되어 고정된 복수개의 튜브(300); 및 상기 튜브(300)들 사이에 개재된 핀(400); 을 포함하며,
    상기 제2헤더탱크(200)는,
    폭방향의 중앙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상면에서 하측으로 오목하게 함몰된 함몰부(212)가 형성되어 상기 함몰부(212)가 형성된 부분이 하측으로 돌출되어 한 쌍의 격벽(211)이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격벽(211)에는 폭방향으로 관통된 연통홀(213)이 각각 형성된 헤더(210);
    상기 헤더(210)의 격벽(211)의 하단부에 폭방향 중앙부가 결합되고 폭방향 양측이 헤더(210)에 결합된 탱크(220); 및
    상기 헤더(210)의 함몰부(212)에 삽입되어 상기 한 쌍의 격벽(211)에 양면이 밀착되어 결합되며, 상기 한 쌍의 격벽(211)에 형성된 연통홀(213)과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홀(231)이 형성된 인서트 플레이트(23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헤더(210)의 격벽(211) 하단부가 결합되는 상기 탱크(220)의 폭방향 중앙부에는, 상기 헤더(210)가 막혀있는 부분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하를 관통하는 브레이징 확인홀(24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헤더탱크(200)는,
    상기 탱크(220)의 아래쪽 외부 공간과 상기 함몰부(212)가 연통되도록 상기 함몰부(212)에서 상하를 관통하는 응축수 배수홀(24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 플레이트(230)에는 헤더(210)의 위쪽 외부 공간과 상기 응축수 배수홀(240)을 연결하는 배수 유로(23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 유로(232)는,
    상기 인서트 플레이트(230)의 상단에서 하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폭방향 양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제1배수 유로(232-1); 및
    상기 제1배수 유로(232-1)에 상측이 연결되고 상기 응축수 배수홀(240)에 하측이 연결되되, 폭방향 양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제2배수 유로(232-2);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증발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배수홀(240)은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복수개가 형성되고, 상기 인서트 플레이트(230)에는 응축수 배수홀(240)들에 각각 대응되도록 배수 유로(232)들이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배수 유로(232-1)는 제2배수 유로(232-2)의 상단에서 길이방향 양측으로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 플레이트(230)는 하측에 고정탭(233)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헤더탱크(200)에는 함몰부(212)에서 상하를 관통하는 결합홀(241)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탭(233)이 결합홀(241)에 삽입되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기.
  8. 삭제
  9. 일정거리 이격되어 나란하게 형성되되, 제1열 및 제2열을 형성하도록 격벽(111)에 의해 구획되어 폭방향으로 제1격실(100a, 200a) 및 제2격실(100b, 200b)로 나누어지는 제1헤더탱크(100) 및 제2헤더탱크(200); 상기 제1헤더탱크(100) 및 제2헤더탱크(200)에 양단이 연결되어 고정된 복수개의 튜브(300); 및 상기 튜브(300)들 사이에 개재된 핀(400); 을 포함하며,
    상기 제2헤더탱크(200)는,
    폭방향의 중앙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상면에서 하측으로 오목하게 함몰된 함몰부(212)가 형성되어 상기 함몰부(212)가 형성된 부분이 하측으로 돌출되어 한 쌍의 격벽(211)이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격벽(211)에는 폭방향으로 관통된 연통홀(213)이 각각 형성된 헤더(210); 및
    상기 헤더(210)의 격벽(211)의 하단부에 폭방향 중앙부가 결합되고 폭방향 양측이 헤더(210)에 결합된 탱크(22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헤더(210)의 한 쌍의 격벽(211)이 서로 마주보는 면에서 연통홀(213)의 둘레부분이 폭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214)가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214)에 의해 상기 한 쌍의 격벽(211)에 형성된 연통홀(213)들이 서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214)는 한 쌍의 격벽(211)에서 각각 돌출 형성되어, 마주보는 양측의 돌출부(214)들이 서로 접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헤더탱크(200)는,
    상기 탱크(220)의 아래쪽 외부 공간과 상기 함몰부(212)가 연통되도록 상기 함몰부(212)에서 상하를 관통하는 응축수 배수홀(24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기.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격벽(211)에는 연통홀(213)들이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개가 형성되어 상기 연통홀(213)이 형성된 위치에서 각각 돌출부(214)들이 형성되되, 상기 돌출부(214)들은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214)들이 길이방향으로 이격된 사이의 위치에 응축수 배수홀(24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기.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헤더(210)의 격벽(211) 하단부가 결합되는 상기 탱크(220)의 폭방향 중앙부에는, 상기 헤더(210)가 막혀있는 부분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하를 관통하는 브레이징 확인홀(24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기.
  14. 일정거리 이격되어 나란하게 형성되되, 제1열 및 제2열을 형성하도록 격벽(111)에 의해 구획되어 폭방향으로 제1격실(100a, 200a) 및 제2격실(100b, 200b)로 나누어지는 제1헤더탱크(100) 및 제2헤더탱크(200); 상기 제1헤더탱크(100) 및 제2헤더탱크(200)에 양단이 연결되어 고정된 복수개의 튜브(300); 및 상기 튜브(300)들 사이에 개재된 핀(400); 을 포함하며,
    상기 제2헤더탱크(200)는,
    폭방향의 중앙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상면에서 하측으로 오목하게 함몰된 함몰부(212)가 형성되어 상기 함몰부(212)가 형성된 부분이 하측으로 돌출되어 한 쌍의 격벽(211)이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격벽(211)에는 폭방향으로 관통된 연통홀(213)이 각각 형성된 헤더(210);
    상기 헤더(210)의 격벽(211)의 하단부에 폭방향 중앙부가 결합되고 폭방향 양측이 헤더(210)에 결합된 탱크(220); 및
    상기 헤더(210)의 한 쌍의 격벽(211)에 각각 형성된 연통홀(213)들에 삽입되어 양단부가 결합된 연통관(260); 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연통관(260)에 의해 한 쌍의 격벽(211)에 형성된 연통홀(213)들이 서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관(260)은 일단에 외주면 바깥쪽으로 플랜지(261)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플랜지(261)가 제1격실(200a) 또는 제2격실(200b)이 형성된 측의 격벽(211)에 걸리도록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기.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헤더(210)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복수개의 연통홀(213)이 형성되고, 상기 연통관(260)은 복수개가 각각 별개로 형성되어 연통홀(213)들에 개별적으로 삽입되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기.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헤더(210)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복수개의 연통홀(213)이 형성되고, 상기 연통관(260)은 복수개로 형성되되 연통관(260)들이 서로 연결부(262)에 의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관(260)은 일단에 외주면 바깥쪽으로 플랜지(261)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플랜지(261)가 제1격실(200a) 또는 제2격실(200b)이 형성된 측의 격벽(211)에 걸리도록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기.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헤더탱크(200)는,
    상기 탱크(220)의 아래쪽 외부 공간과 상기 함몰부(212)가 연통되도록 상기 함몰부(212)에서 상하를 관통하는 응축수 배수홀(24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기.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헤더(210)의 격벽(211) 하단부가 결합되는 상기 탱크(220)의 폭방향 중앙부에는, 상기 헤더(210)가 막혀있는 부분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하를 관통하는 브레이징 확인홀(24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기.
KR1020180032403A 2017-04-04 2018-03-21 증발기 KR1024772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945,325 US10760837B2 (en) 2017-04-04 2018-04-04 Evapo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043751 2017-04-04
KR1020170043751 2017-04-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2675A KR20180112675A (ko) 2018-10-12
KR102477283B1 true KR102477283B1 (ko) 2022-12-14

Family

ID=63876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2403A KR102477283B1 (ko) 2017-04-04 2018-03-21 증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72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85693A1 (ko) * 2021-11-09 2023-05-19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열교환기
WO2023121302A1 (ko) * 2021-12-22 2023-06-29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열교환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66633A1 (en) 2001-09-29 2003-04-10 Halla Climate Control Corporation Heat exchanger
JP2010190561A (ja) 2009-02-17 2010-09-02 Hamilton Sundstrand Corp 熱交換器、熱交換器ヘッダおよびその形成方法
US20140020425A1 (en) 2012-07-23 2014-01-23 Keihin Thermal Technology Corporation Evaporator
US20150000133A1 (en) * 2012-02-02 2015-01-01 Carrier Corporation Method for fabricating flattened tube finned heat exchange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59478B2 (ja) 2004-02-18 2009-04-30 株式会社デンソー 蒸発器構造およびエジェクタサイクル
KR101593200B1 (ko) * 2013-05-23 2016-02-11 한국델파이주식회사 응축수 배수 구조를 갖는 증발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66633A1 (en) 2001-09-29 2003-04-10 Halla Climate Control Corporation Heat exchanger
JP2010190561A (ja) 2009-02-17 2010-09-02 Hamilton Sundstrand Corp 熱交換器、熱交換器ヘッダおよびその形成方法
US20150000133A1 (en) * 2012-02-02 2015-01-01 Carrier Corporation Method for fabricating flattened tube finned heat exchanger
US20140020425A1 (en) 2012-07-23 2014-01-23 Keihin Thermal Technology Corporation Evapo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2675A (ko) 2018-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8490B1 (ko) 열교환기
US9200822B2 (en) Evaporator
US9062901B2 (en) Evaporator
US9200849B2 (en) Evaporator
US20140096944A1 (en) Heat exchanger
KR101462173B1 (ko) 열교환기
US10041710B2 (en) Heat exchanger and air conditioner
KR102477283B1 (ko) 증발기
US20220065542A1 (en) Heat exchanger
KR101932140B1 (ko) 증발기
US10760837B2 (en) Evaporator
KR102126311B1 (ko) 증발기
KR101877355B1 (ko) 증발기
KR20190022079A (ko) 증발기
KR20230067519A (ko) 열교환기
US20220065541A1 (en) Heat exchanger
KR101771145B1 (ko) 응축기
JP2009113625A (ja) エバポレータ
KR101195840B1 (ko) 열교환기
KR101964369B1 (ko) 증발기
KR102600972B1 (ko) 열교환기
KR100901633B1 (ko) 열교환기용 헤더
KR102173383B1 (ko) 차량용 에어컨시스템
KR20190022078A (ko) 증발기
KR102063499B1 (ko) 증발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